WO2013094907A1 - 미세전류의 흐름을 유도하는 탈모 예방을 위한 모자 - Google Patents

미세전류의 흐름을 유도하는 탈모 예방을 위한 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094907A1
WO2013094907A1 PCT/KR2012/010667 KR2012010667W WO2013094907A1 WO 2013094907 A1 WO2013094907 A1 WO 2013094907A1 KR 2012010667 W KR2012010667 W KR 2012010667W WO 2013094907 A1 WO2013094907 A1 WO 201309490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icrocurrent
terminal
flow
contact electrod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1066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천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웨이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웨이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웨이전스
Publication of WO201309490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09490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76Array electrodes (including any electrode arrangement with more than one electrode for at least one of the polariti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0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04Decorative arrangements or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2Hats; Stiff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64Specially adapted for promoting tissue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20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continuous direct currents
    • A61N1/205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continuous direct currents for promoting a biological proc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moting growth of cells, e.g. bone cell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t that induces a flow of microcurrents to prevent hair loss, and specifically, a cognitive type using a flow of microcurrents to generate a beneficial effect on a human body by allowing a microcurrent to flow to a specific part of the human body. It relates to a microcurrent hair loss prevention cap.
  • Microcurrent refers to a current of less than 1000 mA, and a biocurrent corresponding to 40 to 60 mA in the human body flows for signal transmission between organs in the human body.
  • a biocurrent corresponding to 40 to 60 mA in the human body flows for signal transmission between organs in the human body.
  • the bioelectric current flowing in the human body is weakened.
  • various treatment methods have been developed to help the recovery of physical ability by forcibly flowing current from the outside into the human body.
  • microcurrent has been reported to be effective in increasing the production of adenosine triphosphate, promoting fracture healing, improving blood circulation, alleviating pain, treating diabetes, treating osteoporosis, and treating arthritis.
  • Microcurrent flows to the scalp, which causes the scalp cells to stimulate hair follicle cells to improve blood circulation in the scalp. Due to this, nutritional supply to the scalp is reported that hair loss can be prevented.
  • the solar cell is installed in the decorative part of the necklace to obtain a fine current
  • the output of the solar cell is configured to be charged and discharged to the charging part to 500 ⁇ 800 ⁇ based on the time of the highest solar light
  • a chipped constant current circuit connected to the charging unit and configured to make the current of the charging unit constant current to 200 to 300 mA according to the bioelectric current
  • one pole of the microcurrent which is constant current to 200 to 300 mA is a contact terminal contacting the human body.
  • the ornament Given the function.
  • the prior art includes an insole having one or more penetrating grooves, a shiatsu member inserted into the yaw groove to apply a stimulus to the sole, a spring positioned below the shiatsu member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shiatsu member; Hard case which is located under the spring and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insole, and holds the printed circuit film printed with the wiring circu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pring, and houses and protects the printed circuit film. And an electrical generator comprising one or more electrodes positioned on the outsole of the shoe and contacting the printed circuit film to provide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sole.
  • Another prior art for inducing the flow of microcurrent in the human body i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938605, 'clothes with a built-in microcurrent stimulator'.
  • the prior art is a rectangular body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a disk-shaped flow magnet flowing into the space portion, the coil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to generate a microcurrent and magnetic field by interaction with the flow magnet,
  • the microcurrent stimulator is provided with a cover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body to prevent leakage of the flow magnet, and a magnetic pol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coil to apply a microcurrent stimulus to the human body.
  •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garment with a microcurrent stimulation devic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leeve of the garment, wherein the stimulation member is exposed to the surface to be in contact with the acupuncture points of the human wrist and the skin.
  • the disclosed prior art allows the microcurrent to flow into the human body by the microcurrent generator installed in the ornament or shoe, but has a problem that the magnitude of the microcurrent or the conduction form of the microcurrent cannot be controlled.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with the prior art and has the following objectives.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p for preventing hair loss that can control the size of the microcurrent or the conduction method by allowing the microcurrent to flow through a plurality of terminal units.
  • the cap has a first contact electrode formed on the inner face of the crown in contact with one part of the head, a second contact electrode formed on the inner face of the crown in contact with the other part of the head and a first contact.
  • a microcurrent regulator for controlling a microcurrent to flow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second contact electrode, wherein the first contact electrode and the second contact electrode each comprise a plurality of terminal units.
  • each terminal unit has an area contact structure.
  • the microcurrent regulator comprises an array power supply and a switching element, wherein the array power supply and the terminal unit are selectively connected by the switching element.
  • Hat according to the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hair loss can be prevented by allowing a microcurrent to flow through the scalp when worn.
  • the microcurrent flowing through the h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size and conduction method can be adjusted by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 terminals to allow the flow of the microcurrent can be properly adjust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hat.
  • FIG. 1A and 1B illustrate an embodiment of a microcurrent generating structure that can be applied to a h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a shows an embodiment of a h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b shows an embodiment of a microcurrent regulator for the control of the microcurrent in the c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A and 1B illustrate an embodiment of a microcurrent generating structure that can be applied to a h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an electrode terminal may be formed of an output array terminal TO and an input array terminal TI, and the power supply may be an array power source S.
  • an array in an array terminal or an array power supply mean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units forming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form one aggregate so that the functions of the units can be increased quantitatively according to the number of units.
  • Each unit belonging to an array has the same function and can be connected in parallel or in series with each other.
  • the input array terminal TI and the output array terminal TO are each of a plurality of input terminal units TI1, TI2, TI3,..., TIN and output terminal units TO1 that are electr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 TO2, TO3, ..., TOM, and the array power supply S connecting the input array terminal TI and the output array terminal TO includes a plurality of power supply units S1, ..., SL. It may include.
  • the magnetic pole input terminal DI and the magnetic pole output terminal DO may be provided as independent output terminals and input terminals.
  • the stimulus input terminal DI and the stimulus output terminal DO are for supplying a current large enough to be perceived by the user and are not necessarily installed.
  • the current supplied from the power units S1, ..., SL is adjusted to an appropriate size through the output array terminal TO and the input array terminal TI, and is directed to a specific part of the human body R1, ..., RP. Can flow.
  • Each of the power units S1, ..., SL may independently supply fine currents of the same or different magnitudes and may be independently connected to the output array terminal TO or the input array terminal TI.
  • the power units S1, ..., SL may determine the magnitude of the fine current flowing through one terminal unit through various connection methods.
  • the arrangement of the terminal structure has the advantage that the microcurrent is conducted inside the human body based on the area so that the microcurrent can flow to a large area inside the human body, and at the same time, the human body current can be easily controlled.
  • Each power supply unit S1, ..., SL may have one or more output terminal units TO1, TO2, TO3, ..., TOM or one or more input terminal units TI1, TI2, TI3, ..., TIN).
  • the power supply units S1, ..., SL ar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units TO1, TO2, TO3, ..., TOM or the input terminal units TI1, TI2, TI3, ..., TIN. Accordingly, the magnitude of the human body current flowing through a specific part of the human body (R1, ..., RP) can be determined.
  • TIN may be connected in the form of a relay or switching structure. By allowing the human body current to flow in the form of a relay or a switch, it is possible to intermittently stimulate the human body.
  • the micro current flowing through the human body may be controlled by the micro controller M.
  • the microcontroller M controls the connection state of each unit by controlling the connection relays RE1, RE2, RE3 or switches connected to the input array terminal TI, the array power supply S, and the output array terminal TO, respectively. Can be.
  • a microcurrent flows to a specific portion R of the human body through the output array terminal TO and the input array terminal TI.
  • the magnitude of the microcurrent or the flow structure of the microcurrent may vary depending on how each unit of the power supply array S is connected to each unit of the input array terminal TI or the output array terminal TO. According to the method controlled by the microcontroller M, whether the microcurrent is flowing in the human body may be detected by the feedback circuit P.
  • the input array terminal TI and the output array terminal TO may be in contact with the human body on an area basis, respectively, thereby allowing a microcurrent to flow in a wide part of the human body.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easily control the size of the microcurrent flowing through the human body and allow the microcurrent to flow at regular intervals.
  • the relay connection or switching to each terminal unit can be regulated by the microcontroller M and the connection relays RE1, RE2, RE3 may not be installed as necessary. The switching for each terminal connection can be controlled by a program by the microcontroller M.
  • the microcurrent flows to the human body by using the input array terminal TI and the output array terminal TO by the connection relays RE1, RE2, and RE3 or by switching the human body current to a specific part R of the human body. It has the advantage that the period of can be adjusted. In addition, the flow of the human body current using the array power source (S) has the advantage that the magnitude of the human body current can be easily adjusted. If necessary, the size of the microcurrent can be finely adjusted by varying the contact area of each unit of the input array terminal TI or the output array terminal TO. In other words, the size of the input array terminal TI or the output array terminal TO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us,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human body may be different for each unit.
  • a stimulus input terminal DI and a stimulus output terminal DO may be formed to detect that a microcurrent flows in the human body at regular cycles.
  • the magnetic pole input terminal DI and the magnetic pole output terminal DO may consist of one or two terminals and may be connected to the array power source S.
  • the magnetic pole input terminal DI and the magnetic pole output terminal DO are intended to allow a relatively large current to flow into the human body at regular intervals. For example, a relatively large microcurrent may flow through the stimulus input terminal DI and the stimulus output terminal DO to remind the user that the microcurrent is flowing to the human body.
  •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timulus input terminal DI and the stimulus output terminal DO may be adjusted in the array power source S.
  • the input array terminal TI, the output array terminal TO, the array power supply S, the stimulus input terminal DI, or the stimulus output terminal DO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and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 the electrode or the terminal may be a single electrode or a single terminal or may be made of a structure of the array electrode or the array terminal. Alternatively, a single terminal and an array terminal may be used at the same time. If an array terminal is used, the connection to each unit can be controlled by a relay or an appropriate changeover switch.
  • Figure 2a shows an embodiment of a h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hat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the first contact electrode 23a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rown 21 in contact with one part of the head, the inner surface of the crown 21 in contact with the other part of the head And a microcurrent regulator 25 for controlling a microcurrent to flow between the second contact electrode 23b and the first contact electrode 23a and the second contact electrode 23b formed in the first contact electrode 23a.
  • the second contact electrode 23b may each include a plurality of terminal units.
  • magnetic pole terminals 234a and 234b may be provided to allow a current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or more to flow in the crown 21 or other appropriate position.
  • the hat may be of any shape known in the art and may consist of, for example, crown 21 and visor 22 or crown 21 and brim,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rown 21 corresponds to a part in contact with the head, and the first contact electrode 23a may be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rown 21 in consideration of the form of contact with the head.
  • the second contact electrode 23b may b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crown 21 in contact with another part of the head.
  • the first contact electrode 23a and the second contact electrode 23b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terminal units 231a, 232a, 233a, 231b, 232b, and 233, respectively.
  • the first contact electrode 23a and the second contact electrode 23b may be input array terminals and output array terminals, and the number of terminal units may be appropriately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structure of the crown 21.
  • the first contact electrode 23a and the second contact electrode 23b may be formed on, for example, the fixing member 23c having a band shape.
  • the strip-shaped fixing member 23 may b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rown 21 and the contact electrodes 23a and 23b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23.
  • the fixing member 23 may be an insulator in the form of a thin film.
  • the contact electrodes 23a and 23b may be provid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crown 21 and the fixing member 23c.
  • the magnetic pole terminals 234a and 234b may be formed in the fixing member 23c, the magnetic pole terminals 234a and 234b may be installed at appropriate positions of the visor 22, the rim or the crown 21 as necessary.
  • the first contact electrode 23a and the second contact electrode 23a may be connected to the microcurrent regulator 25, respectively.
  • the fine current regulator 25 can be installed, for example,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hat. Alternatively, the microcurrent regulator 25a can be separated from the cap.
  • the microcurrent regulator 25 may be connected to each terminal unit and may include an array power supply.
  • the microcurrent regulator 25 may include an independent power source that can be charged.
  • a fixing device 24 may be required when the horseshoe current regulator 25a is separated from the cap.
  • the fixing device 24 may be, for example, an adhesive tape that can be fixed to a specific part of the human body, and may be made integral with the microcurrent regulator 25a.
  • the first contact electrode 23a and the second contact electrode 23b are formed in the crown 21
  • the first contact electrode 23a and the second contact may be provided.
  • the electrode 23b may be formed on the fram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contact electrode 23a or the second contact electrode 23b is formed.
  • each terminal unit need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icrocurrent regulators 25 and 25a. Therefore, the second contact electrode 23a and the second contact electrode 23b may be connected to the microcurrent regulators 25 and 25a by cables in which a plurality of wires are accommodated therein.
  • Figure 2b shows an embodiment of a microcurrent regulator for the control of the microcurrent in the c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microcurrent controller primarily supplies power P for supplying power, a control unit 251 for controlling the entire microcurrent regulator, a display unit 252 for displaying an operating state, and a microcurrent. It may include a fine current forming unit 253 for forming a voltage, a voltage conversion unit 254 for converting to a predetermined voltage range and a constant current conversion unit 255 for maintaining a current in a predetermined range.
  • the microcurrent may flow through the constant current conversion unit 255 to the first contact electrode 23a shown in FIG. 2A.
  • the power source P may be an independent power source such as a rechargeable battery that may be embedded in the microcurrent regulator.
  • the microcurrent forming unit 253 refers to a unit for forming a microcurrent from the power source P.
  • the human body current is 50 ⁇ 1000 ⁇ A size and the microcurrent can be made to have the same size range.
  • the microcurrent forming unit 253 may be made of a device such as a variable resistor, a switch element, or a capacitor and may induce a current flow of a predetermined size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51.
  • the microcurrent forming unit 253 may comprise an array power supply and each unit of the array power supply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power supply P.
  • the microcurrent forming unit 251 may include a switching element and the control unit 251 may include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element.
  • the connection by the switching element of each unit of the array power supply and the terminal unit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251 and can be automatically controlled by a program.
  • the structure and operation program of the switching control element can be of any form known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not so limited.
  • the current generated in the microcurrent forming unit 253 may be made to have a constant magnitude of voltage through the voltage conversion unit 253.
  • a current due to a voltage having a constant magnitude may be introduced into the constant current conversion unit 255.
  • the constant current conversion unit 255 allows a current having a certain range of magnitudes to flow through the human body.
  • the microcurrent controlled to a constant size by the constant current conversion unit 255 may be conducted to each unit of the first contact terminal, flow through the scalp, and then flow into the power supply through the second contact terminal.
  • the control unit 251 ha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magnitude of the microcurrent flowing to the human body while controlling the current generated from the microcurrent forming unit 253.
  • the control unit 251 may be a microchip with a CPU, have a program for control, and have a program for control of the switching element.
  • the control unit 251 receives feedback of the voltage and current values from the voltage converting unit 254 and the constant current converting unit 255 to determine whether each device operate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of fine currents.
  •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can be controlled in the forming unit 263.
  • the control unit 251 may determine the conduction structure of the microcurrent.
  • Each contact terminal consists of a plurality of terminal units and the terminal unit may have an area contact shape or structure that can be in contact with the scalp or head. This area contact shape allows the microcurrent to flow over a large area of the scalp.
  • the control unit 251 may allow the current flow to be intermittently made while each terminal unit for each array power supply switches the connection and adjust the current magnitude.
  • the display unit 252 may display a flow state of the microcurrent while having a function of forming the microcurrent and inputting the magnitude of the microcurrent. Whether or not microcurrent is flowing can be indicated by a device such as an LED lamp, for example.
  • the user may adjust and input the magnitude of the human body current, and the input value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251.
  • the control unit 251 controls the microcurrent forming unit 253 according to the value input from the display unit 252 to adjust the required microcurrent to flow.
  • the display unit 252 may have only the function of the input unit.
  • the microcurrent regulator can be made entirely of chip structure and can be install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where the head is not in contact with the apex of the crown 21 or the back of the cap.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microcurrent regulator.
  • the microcurrent regulator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have a voltage conversion unit or a constant current conversion unit. If necessary, the microcurrent regulator may consist of a control unit, a switching element, and an array power supply.
  • Hat according to the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hair loss can be prevented by allowing a microcurrent to flow through the scalp when worn.
  • the microcurrent flowing through the h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size and conduction method can be adjusted by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 terminals to allow the flow of the microcurrent can be properly adjust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h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전류의 흐름을 유도하여 탈모 예방이 가능하도록 하는 모자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인체의 특정 부위에 미세 전류가 흐르도록 하여 인체에 유익한 효과가 발생 되도록 하는 미세전류의 흐름을 이용한 인지형 미세전류 탈모 예방 모자에 관한 것이다. 모자는 머리의 한쪽 부분과 접촉하는 크라운(21)의 내부 면에 형성된 제1 접촉 전극(23a), 머리의 다른 부분과 접촉하는 크라운(21)의 내부 면에 형성된 제2 접촉 전극(23b) 및 제1 접촉 전극(23a)과 제2 접촉 전극(23b) 사이에 미세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하는 미세전류 조절기(25)를 포함하고, 제1 접촉 전극(23a) 및 제2 접촉 전극(23b)은 각각 다수 개의 단자 유닛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규칙 제26조에 의한 보정 12.02.2013] 미세전류의 흐름을 유도하는 탈모 예방을 위한 모자
본 발명은 미세전류의 흐름을 유도하여 탈모 예방이 가능하도록 하는 모자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인체의 특정 부위에 미세 전류가 흐르도록 하여 인체에 유익한 효과가 발생 되도록 하는 미세전류의 흐름을 이용한 인지형 미세전류 탈모 예방 모자에 관한 것이다.
미세전류는 1000 ㎂ 미만의 전류를 말하고 인체 내에 40~60 ㎂에 해당하는 생체 전류가 인체 내부의 각 기관 사이의 신호 전달을 위하여 흐르고 있다. 일반적으로 신체의 상태가 불안정해지면 인체 내에 흐르는 생체 전류가 약해진다. 약해진 생체 전류의 보완을 위하여 외부에서 인체 내로 강제적으로 전류를 흐르게 하여 신체 능력의 회복을 돕는 다양한 치료 방법이 개발되어 왔다. 예를 들어, 미세전류는 아데노신3인산 생성 증가, 골절치유 촉진, 혈액순환 개선, 통증완화, 당뇨치료, 골다공증 치료, 관절염 치료에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미세전류를 인체에 강제적으로 흐르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발생되는 알려진 다른 효과로 탈모 예방이 있다. 두피에 미세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로 인하여 두피세포가 자극이 되면 모낭 세포를 자극하여 두피의 혈액 순환이 개선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두피에 영양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어 탈모가 예방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인체 내 미세전류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한국특허공개번호 제2005-0030450호 ‘미세전류에 의한 건강증진 기능이 부여된 장신구’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200~300 ㎂의 미세 전류가 인체에 착용하거나 인체에 접촉하는 목걸이, 반지 또는 손목시계와 같은 각종 장신구를 통하여 흐르도록 하는 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상기 발명에 따르면, 목걸이의 장식부에 태양전지를 설치하여 미세전류를 얻도록 구성하여 태양전지의 출력은 태양광도가 가장 높은 시간대를 기준으로 500~800 ㎂로 충전부에 충전 및 방전이 되게 구성하고, 상기 충전부에 연결되며 충전부의 전류를 생체 전류에 준하는 200~300 ㎂로 정전류화하는 칩화된 정전류회로를 접속하고, 200~300 ㎂로 정전류화된 미세전류의 한 극은 인체와 접하는 접촉단자를 통하여 인체의 가슴 주변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하고, 미세전류의 다른 한 극은 목걸이 장식부와 목걸이 줄을 통하여 인체의 목 부분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하고, 접촉단자와 장식부 사이에는 절연재를 충전하여 형성된 건강증진 기능이 부여된 장신구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인체 내 미세전류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다른 선행기술로 한국특허등록번호 제0795830호 ‘기능성 신발’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하나 이상의 관통 형성된 요삽홈이 구비된 인솔과, 요삽홈의 내부에 삽입되어 발바닥에 자극을 가하는 지압 부재와, 지압 부재의 하방에 위치되어 지압 부재를 탄성 지지하도록 구비된 스프링과, 스프링의 하방에 위치되어 인솔의 저면에 부착되며, 스프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선 회로가 인쇄된 인쇄회로필름과, 인쇄회로필름을 수납하여 보호하며, 인솔과 부착되어 발바닥의 모양을 잡아주는 하드케이스 및 신발의 아웃솔에 위치되어 발바닥에 전기적 자극을 제공하도록 상기 인쇄회로필름에 접점되는 하나 이상의 전극을 포함하는 전기발생기로 이루어진 기능성 신발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인체 내 미세전류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다른 선행기술로 한국특허등록번호 제0938605호 ‘미세전류 자극장치가 내장된 의류’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직사각형상의 몸체와, 공간부 내부에 유입되는 원판형상의 유동자석과, 몸체 외측면에 설치되어 유동자석과 상호작용에 의해 미세전류와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과, 몸체의 양측 끝단부에 설치되어 유동자석의 유출을 방지하는 커버와, 코일의 양측 끝단부에 설치되어 인체에 미세전류 자극을 가하는 자극 부재로 이루어지는 미세전류 자극장치가 구비되고 미세전류 자극장치의 몸체는 의류의 소매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자극부재는 인체 팔목의 경혈과 피부에 접촉되도록 표면에 노출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자극장치가 내장된 의류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개시된 선행기술은 장신구 또는 신발에 설치된 미세전류발생기에 의하여 미세전류가 인체로 흐르도록 하지만 미세전류의 크기 또는 미세전류의 전도 형태가 제어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이 가진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 개의 단자 유닛을 통하여 미세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미세전류의 크기 또는 전도 방법의 제어가 가능한 탈모 예방을 위한 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모자는 머리의 한쪽 부분과 접촉하는 크라운의 내부 면에 형성된 제1 접촉 전극, 머리의 다른 부분과 접촉하는 크라운의 내부 면에 형성된 제2 접촉 전극 및 제1 접촉 전극과 제2 접촉 전극 사이에 미세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하는 미세전류 조절기를 포함하고, 제1 접촉 전극 및 제2 접촉 전극은 각각 다수 개의 단자 유닛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각각의 단자 유닛은 면적 접촉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미세전류 조절기는 배열 전원 및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배열 전원과 단자 유닛은 스위칭 소자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자는 착용이 되는 경우 두피를 통하여 미세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탈모가 예방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자에 흐르는 미세전류는 다수 개의 전극 단자의 배열에 의하여 크기 및 전도 방식이 조절될 수 있어 모자의 형태에 따라 미세전류의 흐름이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모자에 적용될 수 있는 미세전류 발생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모자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모자에 미세전류의 제어를 위한 미세전류 조절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모자에 적용될 수 있는 미세전류 발생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전극 단자는 출력 배열 단자(TO) 및 입력 배열 단자(TI)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전원은 배열 전원(S)이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배열 단자 또는 배열 전원에서 배열이란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형성하는 다수 개가 단위가 하나의 집합체를 형성하여 단위가 가지는 기능을 단위의 수에 따라 양적으로 증가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의미한다. 하나의 배열에 속하는 각각의 단위는 동일한 기능을 가지며 서로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입력 배열 단자(TI) 및 출력 배열 단자(TO)는 각각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된 다수 개의 입력 단자 유닛(TI1, TI2, TI3, ... , TIN) 및 출력 단자 유닛(TO1, TO2, TO3, ... , TOM)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입력 배열 단자(TI)와 출력 배열 단자(TO)를 연결하는 배열 전원(S)은 다수 개의 전원 유닛(S1, ... , SL)을 포함할 수 있다. 독립된 출력 단자 및 입력 단자로 자극 입력 단자(DI)와 자극 출력 단자(DO)가 설치될 있다. 자극 입력 단자(DI)와 자극 출력 단자(DO)는 사용자에게 인지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큰 전류를 인체에 흐르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반드시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전원 유닛(S1, ... , SL)로부터 공급된 전류는 출력 배열 단자(TO)와 입력 배열 단자(TI)를 통하여 적절한 크기로 조절되어 인체의 특정 부위(R1, ... , RP)로 흐를 수 있다. 전원 유닛(S1, ... , SL) 각각은 독립적으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크기의 미세 전류를 공급할 수 있고 출력 배열 단자(TO) 또는 입력 배열 단자(TI)에 독립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원 유닛(S1, ... , SL)은 다양한 연결 방법을 통하여 하나의 단자 유닛에 흐르는 미세 전류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단자를 배열 구조로 만드는 것은 미세전류가 면적을 기준으로 인체 내부로 전도되도록 하여 인체 내부의 넓은 부위에 미세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하면서 이와 동시에 인체 전류의 조절이 용이하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하나의 전원 유닛(S1, ... , SL)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출력 단자 유닛(TO1, TO2, TO3, ... , TOM)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입력 단자 유닛(TI1, TI2, TI3, ... , TIN)과 연결될 수 있다. 출력 단자 유닛(TO1, TO2, TO3, ... , TOM) 또는 입력 단자 유닛(TI1, TI2, TI3, ... , TIN)에 전원 유닛(S1, ... , SL)이 연결되는 방법에 따라 인체의 특정 부위(R1, ... , RP)를 흐르는 인체 전류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인체 전류의 조절을 위하여 각각의 전원 유닛(S1, ... , SL)에 출력 단자 유닛(TO1, TO2, TO3, ... , TOM) 또는 입력 단자 유닛(TI1, TI2, TI3, ... , TIN)이 릴레이 형태 또는 스위칭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릴레이 형태 또는 스위치 구조로 인체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인체에 단속적으로 자극이 가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마이크로 제어장치(M)에 의하여 인체에 흐르는 미세 전류가 제어될 수 있다. 마이크로 제어장치(M)는 입력 배열 단자(TI), 배열 전원(S) 및 출력 배열 단자(TO) 각각 연결된 연결 릴레이(RE1, RE2, RE3) 또는 스위치를 제어하여 각 유닛의 연결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마이크로 제어장치(M)의 제어에 따라 출력 배열 단자(TO) 및 입력 배열 단자(TI)를 통하여 인체의 특정 부위(R)에 미세전류가 흐르게 된다. 미세전류의 크기 또는 미세전류의 흐름 구조는 입력 배열 단자(TI) 또는 출력 배열 단자(TO)의 각 유닛에 대한 전원 배열(S)의 각 유닛이 연결되는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마이크로 제어 장치(M)에 의하여 제어된 방법에 따라 인체에 미세전류가 흐르고 있는지 여부는 되먹임 회로(P)에 의하여 탐지될 수 있다.
입력 배열 단자(TI) 및 출력 배열 단자(TO)는 각각 면적 기준으로 인체에 접촉이 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인체 내부의 넓은 부분에 미세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인체를 흐르는 미세전류 크기의 조절이 용이하면서 일정한 주기로 미세전류가 흐르도록 할 수 있다. 각각의 단자 유닛에 릴레이 연결 또는 스위칭은 마이크로 제어 장치(M)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고 연결 릴레이(RE1, RE2, RE3)는 필요에 따라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마이크로 제어 장치(M)에 의하여 프로그램에 의하여 각각의 단자 연결에 대한 스위칭이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 릴레이(RE1,RE2,RE3) 또는 스위칭에 의하여 입력 배열 단자(TI)와 출력 배열 단자(TO)를 이용하여 인체에 미세전류를 흐르게 하는 것은 인체의 특정 부위(R)에 대한 인체 전류의 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배열 전원(S)을 이용하여 인체 전류가 흐르게 하는 것은 인체 전류의 크기가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필요에 따라 입력 배열 단자(TI) 또는 출력 배열 단자(TO)의 각각의 유닛의 접촉 면적을 달리 하는 것에 의하여 미세전류의 크기가 미세하게 조절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입력 배열 단자(TI) 또는 출력 배열 단자(TO)의 크기는 서로 다를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인체에 접촉하는 면적이 각각의 유닛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것처럼, 일정한 주기로 인체에 미세전류가 흐르고 있는 것을 감지시키기 위한 자극 입력 단자(DI) 및 자극 출력 단자(DO)가 형성될 수 있다. 자극 입력 단자(DI) 및 자극 출력 단자(DO)는 하나 또는 두 개의 단자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배열 전원(S)에 연결될 수 있다. 자극 입력 단자(DI) 및 자극 출력 단자(DO)는 일정한 주기로 비교적 큰 전류가 인체로 흐르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미세전류가 인체로 흐르고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상기시키기 위하여 자극 입력 단자(DI) 및 자극 출력 단자(DO)를 통하여 상대적으로 큰 미세전류가 흐를 수 있다. 자극 입력 단자(DI) 및 자극 출력 단자(DO)를 흐르는 전류의 크기는 배열 전원(S)에서 조절될 수 있다.
입력 배열 단자(TI), 출력 배열 단자(TO), 배열 전원(S), 자극 입력 단자(DI) 또는 자극 출력 단자(DO)는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으면 전극 또는 단자는 단일 전극 또는 단일 단자가 되거나 배열 전극 또는 배열 단자의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는 단일 단자와 배열 단자가 동시에 사용될 수도 있다. 만약 배열 단자가 사용된다면 각각의 유닛에 대한 연결은 릴레이 또는 적절한 전환 스위치에 의하여 연결 상태가 제어될 수 있다.
아래에서 단일 단자, 배열 단자, 단일 전원 또는 배열 전원을 이용하여 인체에 미세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모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모자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자는 머리의 한쪽 부분과 접촉하는 크라운(21)의 내부 면에 형성된 제1 접촉 전극(23a), 머리의 다른 부분과 접촉하는 크라운(21)의 내부 면에 형성된 제2 접촉 전극(23b) 및 제1 접촉 전극(23a)과 제2 접촉 전극(23b) 사이에 미세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하는 미세전류 조절기(25)를 포함하고, 제1 접촉 전극(23a) 및 제2 접촉 전극(23b)은 각각 다수 개의 단자 유닛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로 크라운(21) 또는 다른 적절한 위치에 일정 크기 이상의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자극 단자(234a, 234b)가 설치될 수 있다.
모자는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형태가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크라운(21)과 챙(22)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크라운(21)과 테(brim)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크라운(21)은 머리와 접촉하는 부분에 해당하고 머리와 접촉하는 형태를 고려하여 크라운(21)의 내부 면에 제1 접촉 전극(23a)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머리의 다른 부분과 접촉하는 크라운(21)의 내부 면에 제2 접촉 전극(23b)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접촉 전극(23a)과 제2 접촉 전극(23b)은 각각 다수 개의 단자 유닛(231a, 232a, 233a, 231b, 232b, 233)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접촉 전극(23a)과 제2 접촉 전극(23b)은 입력 배열 단자 및 출력 배열 단자가 될 수 있고 단자 유닛의 수는 크라운(21)의 구조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제1 접촉 전극(23a)과 제2 접촉 전극(23b)은 예를 들어 띠 형태의 고정 부재(23c)에 형성될 수 있다. 띠 형태의 고정 부재(23)는 크라운(21)의 내부 면에 고정될 수 있고 접촉 전극(23a, 23b)은 고정 부재(23)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 고정 부재(23)는 얇은 박막 형태의 절연체가 될 수 있다. 고정 부재(23c)가 박막 형태의 절연체가 되는 경우 접촉 전극(23a, 23b)은 크라운(21)의 내부 면과 고정 부재(23c)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자극 단자(234a, 234b)가 고정 부재(23c)에 형성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자극 단자(234a, 234b)는 챙(22), 테 또는 크라운(21)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접촉 전극(23a)과 제2 접촉 전극(23a)을 각각 미세전류 조절기(25)에 연결될 수 있다. 미세 전류 조절기(25)는 예를 들어 모자의 중앙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대안으로 미세전류 조절기(25a)는 모자와 분리될 수 있다. 미세전류 조절기(25)는 각각의 단자 유닛과 연결이 될 수 있고 배열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미세전류 조절기(25)는 충전 가능한 독립된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a의 아래쪽에 도시된 것처럼, 마세전류 조절기(25a)가 모자와 분리되는 경우 고정 장치(24)가 요구될 수 있다. 고정 장치(24)는 예를 들어 인체의 특정 부위에 고정할 수 있는 접착테이프와 같은 것이 될 수 있고 미세전류 조절기(25a)와 일체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2a에 제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접촉 전극(23a)과 제2 접촉 전극(23b)은 각각 크라운(21)에 형성되는 실시 예가 제시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 제1 접촉 전극(23a)과 제2 접촉 전극(23b)은 테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제1 접촉 전극(23a) 또는 제2 접촉 전극(23b)이 형성된 위치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접촉 전극(23a)과 제2 접촉 전극(23b)이 다수 개의 단자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각각의 단자 유닛이 미세전류 조절기(25, 25a)에 전기적으로 연결이 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제2 접촉 전극(23a)과 제2 접촉 전극(23b)은 다수 개의 전선이 내부에 수용된 케이블에 의하여 미세전류 조절기(25, 25a)에 연결될 수 있다.
아래에서 미세전류 조절기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모자에 미세전류의 제어를 위한 미세전류 조절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미세전류 조절기는 전력의 공급을 위한 전원(P), 미세전류 조절기 전체의 제어를 위한 제어 유닛(251), 작동 상태의 표시를 위한 표시 유닛(252), 미세 전류를 일차적으로 형성하기 위한 미세 전류 형성 유닛(253), 정해진 전압 범위로 변환하는 전압 변환 유닛(254) 및 일정 범위로 전류를 유지하기 위한 정전류 변환 유닛(255)을 포함할 수 있다. 정전류 변환 유닛(255)을 통하여 미세전류는 도 2a에 제시된 제1 접촉 전극(23a)으로 흐를 수 있다.
전원(P)은 미세전류 조절기에 내장될 수 있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와 같은 독립 전원이 될 수 있다.
미세전류 형성 유닛(253)은 전원(P)으로부터 미세전류를 형성하기 위한 유닛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인체전류는 50~1000 ㎂ 크기가 되고 미세전류도 마찬가지로 동일한 범위의 크기를 가지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미세전류 형성 유닛(253)은 가변 저항, 스위치 소자 또는 커패시터와 같은 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어 유닛(251)의 제어에 의하여 일정 크기의 전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미세전류 형성 유닛(253)은 배열 전원을 포함할 수 있고 배열 전원의 각각의 유닛은 전원(P)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미세전류 형성 유닛(251)은 스위칭 소자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 유닛(251)은 소자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배열 전원의 각각의 유닛과 단자 유닛의 스위칭 소자에 의한 연결은 제어 유닛(251)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고 프로그램에 의하여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스위칭 제어 소자의 구조 및 작동 프로그램은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형태가 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미세전류 형성 유닛(253)에서 발생된 전류는 전압 변환 유닛(253)을 통하여 일정한 크기의 전압을 가지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전압 변환 유닛(253)에서 일정한 크기의 전압에 의한 전류가 정전류 변환 유닛(255)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정전류 변환 유닛(255)은 일정한 범위의 크기를 가지는 전류가 인체를 통하여 흐르도록 한다. 정전류 변환 유닛(255)에 의하여 일정한 크기로 제어된 미세전류는 제1 접촉단자의 각각의 유닛으로 전도되어 두피를 통하여 흐르게 되고 이후 제2 접촉 단자를 통하여 전원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제어 유닛(251)은 미세전류 형성 유닛(253)에서 발생되는 전류를 제어하면서 인체로 흐르는 미세전류의 크기를 제어하는 기능을 가진다. 제어 유닛(251)은 CPU를 가진 마이크로 칩이 될 수 있고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가질 수 있고 스위칭 소자의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가질 수 있다. 제어 유닛(251)은 전압 변환 유닛(254)과 정전류 변환 유닛(255)로부터 전압 및 전류 값의 되먹임(feedback)을 받아 각각의 장치가 미리 정해진 값의 범위 내에서 작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미세전류 형성 유닛(263)에서 전류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유닛(251)은 미세전류의 전도 구조를 결정할 수 있다. 각각의 접촉 단자는 다수 개의 단자 유닛으로 이루어지고 단자 유닛은 두피 또는 머리와 접촉이 될 수 있는 면적 접촉 형상 또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면적 접촉 형상은 미세전류의 두피의 넓은 면적에 걸쳐 흐를 수 있도록 한다. 제어 유닛(251)은 각각의 배열 전원에 대한 각각의 단자 유닛이 연결을 스위칭하면서 전류 흐름이 단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전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표시 유닛(252)은 미세전류의 흐름 상태를 표시하는 한편 미세전류의 형성 및 미세전류의 크기를 입력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미세전류가 흐르고 있는지 여부는 예를 들어 엘이디 램프와 같은 장치에 의하여 표시될 수 있다. 표시 유닛(252)에서 사용자는 인체 전류의 크기를 조절하여 입력할 수 있고 입력된 값은 제어 유닛(251)에 전달될 수 있다. 제어 유닛(251)은 표시 유닛(252)로부터 입력된 값에 따라 미세전류 형성 유닛(253)을 제어하여 요구되는 미세전류가 흐르도록 조절한다. 자극 단자(234a, 234b)가 설치되는 경우 표시 유닛(252)에 표시등이 설치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경우 표시 유닛(252)은 입력 유닛의 기능만을 가질 수 있다.
미세전류 조절기는 전체적으로 칩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크라운(21)의 정점 부분 또는 모자의 뒤쪽에 머리 부분이 접촉되지 않는 적절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미세전류 조절기의 설치 위치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한편으로 미세전류 조절기가 반드시 전압 변환 유닛 또는 정전류 변환 유닛을 가질 필요는 없다. 필요에 따라 미세전류 조절기는 제어 유닛, 스위칭 소자 및 배열 전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위에서 본 발명의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면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자는 착용이 되는 경우 두피를 통하여 미세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탈모가 예방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자에 흐르는 미세전류는 다수 개의 전극 단자의 배열에 의하여 크기 및 전도 방식이 조절될 수 있어 모자의 형태에 따라 미세전류의 흐름이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Claims (3)

  1. 머리의 한쪽 부분과 접촉하는 크라운(21)의 내부 면에 형성된 제1 접촉 전극(23a);
    머리의 다른 부분과 접촉하는 크라운(21)의 내부 면에 형성된 제2 접촉 전극(23b); 및
    제1 접촉 전극(23a)과 제2 접촉 전극(23b) 사이에 미세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하는 미세전류 조절기(25)를 포함하고,
    제1 접촉 전극(23a) 및 제2 접촉 전극(23b)은 각각 다수 개의 단자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각각의 단자 유닛은 면적 접촉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3. 청구항 1에 있어서, 미세전류 조절기(25)는 배열 전원 및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배열 전원과 단자 유닛는 스위칭 소자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PCT/KR2012/010667 2011-12-23 2012-12-07 미세전류의 흐름을 유도하는 탈모 예방을 위한 모자 WO2013094907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0683 2011-12-23
KR1020110140683A KR101216653B1 (ko) 2011-12-23 2011-12-23 미세전류의 흐름을 유도하는 탈모 예방을 위한 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94907A1 true WO2013094907A1 (ko) 2013-06-27

Family

ID=47908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10667 WO2013094907A1 (ko) 2011-12-23 2012-12-07 미세전류의 흐름을 유도하는 탈모 예방을 위한 모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16653B1 (ko)
WO (1) WO20130949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7098B1 (ko) * 2018-03-02 2020-06-26 (주)제니스타 미세전류 인가 구조의 건강 침구 제품
KR102049212B1 (ko) 2018-03-05 2019-11-28 (주)제니스타 미세전류 인가용 원단
KR102127099B1 (ko) 2018-03-05 2020-06-26 (주)제니스타 미세전류 인가에 의한 건강관리 카페 시스템
KR102227714B1 (ko) 2019-03-28 2021-03-15 (주)제니스타 전도성 미세전류 원단 및 그에 의한 의류
KR102219986B1 (ko) 2019-03-28 2021-02-25 (주)제니스타 미세전류 인가 방식의 마스크 팩
KR20220133450A (ko) 2021-03-25 2022-10-05 왕 중 김 핫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63950A2 (en) * 2002-02-01 2003-08-07 The Cleveland Clinic Foundation Electrical stimulation to treat hair loss
JP2005194640A (ja) * 2003-12-26 2005-07-21 Shinji Yoshizawa 微弱電流による頭皮刺戟用帽子式電極構造とそれを用いた育毛及び脱毛防止器具
KR100994208B1 (ko) * 2009-07-28 2010-11-12 이지훈 미세전류 자극용 양말
KR20100129704A (ko) * 2009-06-01 2010-12-09 이지훈 미세전류 자극용 베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63950A2 (en) * 2002-02-01 2003-08-07 The Cleveland Clinic Foundation Electrical stimulation to treat hair loss
JP2005194640A (ja) * 2003-12-26 2005-07-21 Shinji Yoshizawa 微弱電流による頭皮刺戟用帽子式電極構造とそれを用いた育毛及び脱毛防止器具
KR20100129704A (ko) * 2009-06-01 2010-12-09 이지훈 미세전류 자극용 베개
KR100994208B1 (ko) * 2009-07-28 2010-11-12 이지훈 미세전류 자극용 양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6653B1 (ko) 2012-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94908A1 (ko) 인체 미세전류의 공급과 조절이 가능한 마스크 팩
WO2013094907A1 (ko) 미세전류의 흐름을 유도하는 탈모 예방을 위한 모자
KR101291036B1 (ko) 인체 미세전류의 발생을 위한 발마사지 장치
EP3740278B1 (en) Electrical stimulation apparatus
CN205162023U (zh) 智能帽子
KR20090040342A (ko) 인감 몸의 신경의 경피성 자극 시스템
KR200455302Y1 (ko) 미세전류를 이용한 마사지 브래지어 패드
KR20180000661A (ko) 패턴 형상의 전극이 배치된 마스크팩형 피부 미용 기기
KR101417786B1 (ko) 미세전류 치료기의 제어 방법 및 미세전류 치료를 위한 제어 시스템
KR200485010Y1 (ko) 생체전기발생용 목걸이
KR101978784B1 (ko) 전기 자극 인가 구조의 기능성 안대
KR101308364B1 (ko) 인체 미세전류의 조절이 가능한 장신구
KR101252452B1 (ko) 미세전류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이어폰
KR101803714B1 (ko) 상처 치료 또는 통증 완화용 전기 자극 디바이스
WO2015083879A1 (ko) 발착용형태의 성장자극기기
WO2018225976A1 (ko) 파동제공기능을 구비한 스마트기기
KR20160073108A (ko) 면역기능 강화용 저주파 자극기
WO2017222190A1 (ko) 패턴 형상의 전극이 배치된 마스크 팩형 피부 미용 기기
CA2575111A1 (en) Electromagnetic delivery system to influence a biological system
CN206007804U (zh) 低频脉冲理疗仪
KR20130010144A (ko) 비대칭 면적 전극패드를 구비한 간섭전류형 저주파 자극기
CN110891649A (zh) 电疗仪、电子设备及终端装置
KR101793025B1 (ko) 전기 자극 인가에 의한 피부 개선 미용 기기
KR101308361B1 (ko) 인체 미세전류의 제어구조 및 이를 이용한 장신구
CN112168615A (zh) 一种指头按摩器及指头按摩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85882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285882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