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7099B1 - 미세전류 인가에 의한 건강관리 카페 시스템 - Google Patents

미세전류 인가에 의한 건강관리 카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7099B1
KR102127099B1 KR1020180025638A KR20180025638A KR102127099B1 KR 102127099 B1 KR102127099 B1 KR 102127099B1 KR 1020180025638 A KR1020180025638 A KR 1020180025638A KR 20180025638 A KR20180025638 A KR 20180025638A KR 102127099 B1 KR102127099 B1 KR 102127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th
module
microcurrent
resting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5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5290A (ko
Inventor
전승덕
신현주
Original Assignee
(주)제니스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니스타 filed Critical (주)제니스타
Priority to KR1020180025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099B1/ko
Publication of KR20190105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5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094Isolation chambers used therewith, i.e. for isolating individuals from external stimul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7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with application of electrical curr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 A61M2205/3584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using modem, internet or bluetoo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syc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Biophys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Pathology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전류 인가에 의한 건강관리 카페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휴식 및 건강관리가 가능하면서 휴식 또는 건강관리 과정에서 적절하게 미세전류를 인가하여 휴식의 효과를 상승시키는 미세전류 인가에 의한 건강관리 카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미세전류 인가에 의한 건강관리 카페 시스템은 전체 장치의 작동 및 사용자의 출입을 관리하는 관리 서버(11); 관리 서버(11)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면서 각각의 장치의 작동을 조절하는 작동 관리 모듈(12); 휴식을 위하여 설치되면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인체 접촉 부위를 통하여 미세전류가 인가될 수 있는 설비가 배치된 휴식 모듈(13); 및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기초하여 미세전류가 인가되면서 건강관리 수단이 제공되는 건강 모듈(14)을 포함하고, 휴식 모듈(13) 및 건강 모듈(14)은 서로 분리된 공간에 배치된다.

Description

미세전류 인가에 의한 건강관리 카페 시스템{A Cafe System for Administrating a Health Using an Application of a Micro Current}
본 발명은 미세전류 인가에 의한 건강관리 카페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휴식 및 건강관리가 가능하면서 휴식 또는 건강관리 과정에서 적절하게 미세전류를 인가하여 휴식의 효과를 상승시키는 미세전류 인가에 의한 건강관리 카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차를 마시거나 또는 가벼운 식사를 하면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에 해당하는 카페가 산업의 발달과 함께 다양한 오락거리를 제공하는 휴식 공간으로 발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카페는 휴식 공간이 되면서 음악을 감상하거나, 인터넷 서핑 또는 게임을 즐기는 공간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을 가지는 카페에서 건강관리가 이루어지면 카페에서 휴식의 효과는 한층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식 과정에서 인체에 미세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휴식에 따른 피로 회복의 효과가 커질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건강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미세전류는 1000 ㎂ 미만의 전류를 말하고 인체 내에 40~60 ㎂에 해당하는 생체 전류가 인체 내부의 각 기관 사이의 신호 전달을 위하여 흐르고 있다. 이와 같이 인체를 흐르는 생체 전류는 신체의 상태가 불안정해지면 약해질 수 있고, 이로 인하여 건강 상태가 약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외부에서 미세전류가 강제적으로 인가되면 신체의 활동 상태가 회복될 수 있고 휴식에 따른 피로 회복에 유리하다. 미세전류의 인가에 의한 건강관리와 관련된 선행기술에 해당하는 특허등록번호 제10-1216653호는 인체의 특정 부위에 미세 전류가 흐르도록 하여 인체에 유익한 효과가 발생되도록 하는 미세전류의 흐름을 이용한 인지형 미세전류 탈모 예방 모자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특허공개번호 제10-2013-0104948호는 요실금 및 생리통 치료를 위한 미세전류 제어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이와 같은 수단에 설치된 휴식 공간 또는 건강관리 공간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 1: 특허등록번호 제10-1216653호(주식회사 웨이전스, 2012년12월28일 공고) 미세전류의 흐름을 유도하는 탈모 예방을 위한 모자 선행기술 2: 특허공개번호 제10-2013-0104948호(주식회사 웨이전스, 2013년09월25일 공개) 요실금 및 생리통 치료를 위한 미세전류 치료 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휴식과 건강관리를 위한 설비가 배치되고, 휴식 또는 건강관리 과정에서 미세전류가 인가되어 휴식 또는 건강관리의 효과가 상승되도록 하는 미세전류 인가에 의한 건강관리 카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미세전류 인가에 의한 건강관리 카페 시스템은 전체 장치의 작동 및 사용자의 출입을 관리하는 관리 서버; 관리 서버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면서 각각의 장치의 작동을 조절하는 작동 관리 모듈; 휴식을 위하여 설치되면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인체 접촉 부위를 통하여 미세전류가 인가될 수 있는 설비가 배치된 휴식 모듈; 및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기초하여 미세전류가 인가되면서 건강관리 수단이 제공되는 건강 모듈을 포함하고, 휴식 모듈 및 건강 모듈은 서로 분리된 공간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휴식 모듈의 작동 상태를 탐지하는 상태 탐지 유닛 및 건강 모듈에 배치된 기기의 작동을 관리하는 작동 관리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건강 모듈은 수면 유도 장치를 더 포함하고, 수면 유도 장치는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된 두 개의 접촉 패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페 시스템은 차 또는 커피를 마시면서 휴식을 취하는 공간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미세전류가 인가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휴식 또는 피로 회복의 효과가 향상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페 시스템은 수면 또는 마사지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으면서 수면 또는 마사지 과정에서 조절된 형태로 미세전류의 인가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페 시스템은 이미 설치된 공간에 미세전류 인가 수단이 설치되는 것에 의하여 용이하게 건강관리 카페 시스템으로 변형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페 시스템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페 시스템의 배치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페 시스템의 관리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페 시스템에 배치되는 휴식 수단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페 시스템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미세전류 인가에 의한 건강관리 카페 시스템은 전체 장치의 작동 및 사용자의 출입을 관리하는 관리 서버(11); 관리 서버(11)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면서 각각의 장치의 작동을 조절하는 작동 관리 모듈(12); 휴식을 위하여 설치되면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인체 접촉 부위를 통하여 미세전류가 인가될 수 있는 설비가 배치된 휴식 모듈(13); 및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기초하여 미세전류가 인가되면서 건강관리 수단이 제공되는 건강 모듈(14)을 포함하고, 휴식 모듈(13) 및 건강 모듈(14)은 서로 분리된 공간에 배치된다.
카페는 차, 커피 또는 이와 유사한 음료를 섭취하면서 휴식 또는 만남을 위하여 만들어진 다양한 공간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카페는 또한 간단한 음식을 제공할 수 있고, 개방 공간 구조를 가지거나 또는 독립 공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카페는 개인 수면 공간 또는 시설을 가지거나 또는 개인 건강관리 공간 또는 시설을 가질 수 있다. 카페는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지거나 개인의 휴식 또는 건강관리를 위한 다양한 설비를 가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관리 서버(11)에 의하여 카페에 설치된 장치 또는 카페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카페는 회원제로 운영되거나, 누구나 출입 가능한 형태로 운영이 될 수 있고, 관리 서버(11)에 의하여 카페의 출입자 또는 사용자의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음료 또는 설비의 이용에 따른 비용의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관리 서버(11)는 카페에 설치된 각각의 공간 사용을 관리할 수 있다. 이와 함께 관리 서버(11)는 작동 관리 모듈(12)의 작동 상태를 관리할 수 있다.
작동 관리 모듈(12)은 카페에 설치된 각각의 장치의 작동을 관리하면서 작동 상태에 대한 정보를 관리 서버(11)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동 관리 모듈(12)은 카페 전체의 온도 또는 습도 조절을 위한 장치를 작동을 관리할 수 있고, 카페에 형성된 각각의 분리 공간의 분위기 조절 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작동 관리 모듈(12)은 서로 다른 공간에 설치된 각각의 미세전류 인가 장치의 작동 상태를 탐지할 수 있다. 또는 작동 관리 모듈(12)은 각각의 미세전류 인가 장치가 작동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거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작동 관리 모듈(12)은 카페에 설치된 다양한 장치의 작동 상태를 탐지하거나, 작동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작동 관리 모듈(12)에 의하여 탐지된 탐지 정보 또는 작동 정보가 관리 서버(11)로 전송되어 저장될 수 있다.
카페는 다양한 공간 구조를 가질 수 있고, 휴식 공간 또는 건강관리 공간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휴식 공간 또는 건강관리 공간에 휴식 모듈(13) 또는 건강 모듈(14)이 배치될 수 있다. 휴식 모듈(13)은 예를 들어 의자, 테이블, 소파 또는 이와 유사한 휴식 설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건강 모듈(14)은 수면 설비, 마시지 설비, 미용 설비 또는 이와 유사한 건강관리 설비를 포함할 수 있다. 휴식 모듈(13)은 다수 개의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휴식 설비를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휴식 설비에 미세전류 인가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휴식 설비에 설치된 미세전류 인가 장치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세전류 인가 장치는 머리에 착용되어 머리 부위 또는 얼굴 부위에 미세전류를 인가할 수 있는 장치가 될 수 있다. 또는 미세전류 인가 장치는 손에 잡힐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휴식 모듈(13)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작동되는 미세전류 발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건강 모듈(14)의 적어도 하나의 건강 설비에 미세전류 발생 장치가 설치될 수 있고, 미세전류 인가 장치는 작동 관리 모듈(12)의 제어에 의하여 작동이 개시되거나 또는 작동이 조절될 수 있다. 건강 모듈(14)은 예를 들어 수면 설비를 포함할 수 있고, 수면 설비에 미세전류 발생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수면 설비에 설치된 미세전류 발생 장치의 작동 상태는 작동 관리 모듈(12)에 의하여 관리될 수 있고, 미세전류 발생 장치의 작동이 작동 관리 모듈(12)에 의하여 개시되거나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중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휴식 모듈(13)과 건강 모듈(14)에 설치되는 미세전류 발생 장치는 관리 방식이 서로 다르다는 차이점을 가진다.
휴식 모듈(13) 또는 건강 모듈(14)은 다양한 휴식 설비 또는 건강 설비를 포함할 수 있고 제시될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페 시스템의 배치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카페는 다수 개의 서로 공유되거나 또는 분리된 설비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다수인이 이용 가능한 설비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출입 유닛(21)을 통하여 카페를 형성하는 공간에 출입할 수 있고, 대기 공간(22)에서 대기할 수 있다. 대기 공간(22)에서 사용자는 사용을 위한 신청을 하거나, 식음료를 주문하거나 또는 카페 사용을 위한 준비를 할 수 있다.
휴식 공간(23)에 다양한 휴식 설비가 설치될 수 있고, 휴식 설비는 예를 들어 의자, 탁자, 테이블, 소파 또는 이와 유사한 설비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휴식 설비에 미세전류 발생 장치가 배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미세전류 발생 장치는 이어폰 형태, 팔찌 형태 또는 이와 유사한 인체 착용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휴식 공간에서 사용자는 대화 과정, 차를 마시는 과정 또는 식사를 하는 과정에서 미세전류 발생 장치를 착용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예를 들어 스위치를 작동시켜 미세전류 발생 장치의 작동을 개시시킬 수 있다. 미세전류 발생 장치가 작동되면, 작동 개시 신호가 작동 관리 모듈로 전송될 수 있다. 건강 공간(24)에 건강 설비가 설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침대 형태의 의자, 마사지 장치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건강 설비에 미세전류 발생 장치가 배치될 수 있고, 건강 설비가 작동 상태가 되면 미세전류 발생 장치가 작동될 수 있다. 미세전류 발생 장치는 건강 설비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미세전류 발생 장치의 작동 과정이 작동 관리 모듈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건강관리 공간(25)에 건강관리 설비가 배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미용설비, 마사지 설비 또는 이와 유사한 설비가 배치될 수 있다. 건강관리 공간(25)에 설치되는 건강관리 설비는 관리사에 의하여 작동이 조절될 수 있고, 건강관리 설비에 결합되는 미세전류 발생 장치의 작동이 또한 관리사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건강관리 설비는 건강 설비와 비교할 때 관리사, 안마사 또는 미용사와 같은 제3 관리사의 개입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차이를 가진다. 건강관리 설비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카페에 별도로 수면 공간(26)이 설치될 수 있고, 수면 공간(26)에 수면 유도 설비가 배치될 수 있다. 수면 유도 설비에 미세전류 발생 장치가 일체로 결합될 수 있고, 수면 설비 및 미세전류 발생 장치의 작동 상태가 작동 관리 모듈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카페에 개인 공간(27)이 설치될 수 있고, 개인 공간(27)에 사물함이 배치되거나 또는 개인 용도로 사용되는 공간이 형성되거나 또는 설비가 배치될 수 있다.
카페 시스템은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다양한 배치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페 시스템의 관리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카페 시스템 전체의 작동을 제어하거나, 각각의 설비 또는 미세전류 발생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31)이 설치될 수 있고, 제어 모듈은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공간 설정 모듈(32)에 의하여 대기 공간, 휴식 공간 또는 건강관리 공간의 환경 조건이 설정될 수 있고, 설정된 환경 조건이 제어 모듈(31)로 전송되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공간 설정 모듈(32)에 의하여 결정된 조건에 따라 구분 공간 작동 모듈(33)에 의하여 각각의 구분 공간의 환경 조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가 작동될 수 있다. 휴식 모듈(13)은 다수 개의 휴식 유닛(131, 132)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휴식 유닛(131, 132)에 미세전류 발생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건강 모듈(14)은 다수 개의 건강 유닛(141, 142, 143)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건강 유닛(141, 142, 143)에 미세전류 발생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휴식 유닛(131, 132)에 설치된 미세전류 발생 장치의 작동 상태가 상태 탐지 유닛(341)에 의하여 탐지될 수 있고, 작동 확인 유닛(35)으로 전송될 수 있다. 상태 탐지 유닛(341)은 예를 들어 작동 여부 또는 인가되는 미세전류의 크기와 같은 것을 탐지할 수 있고, 탐지된 정보를 작동 확인 유닛(35)으로 전송할 수 있다. 작동 확인 유닛(35)은 각각의 휴식 유닛(131, 132)의 작동 정보를 분류하고, 작동 개시 시간 또는 작동 유지 상태에 대한 정보와 함께 분류된 작동 정보를 작동 결정 유닛(36)으로 전송할 수 있다. 작동 결정 유닛(36)은 작동 확인 유닛(35)으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미세전류 발생 장치의 작동 여부를 결정하여 공간 설정 모듈(32)로 전송할 수 있다. 공간 설정 모듈(32)은 작동 결정 유닛(36)으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미세전류 발생 장치의 작동의 중단 또는 유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구분 공간 작동 모듈(33)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각각의 휴식 유닛(131, 132)에 설치된 미세전류 발생 장치가 사용자가 없는 상태에서 작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작동 관리 유닛(342)에 의하여 각각의 건강 유닛(141, 142, 143)에 설치된 설비의 작동 상태 및 미세전류 발생 장치의 작동이 관리될 수 있다. 설비의 작동 상태 및 미세전류 발생 장치의 작동 상태가 작동 관리 유닛(342)에 의하여 탐지되어 시간 대역별로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탐지 결과가 비교기(37)로 전송될 수 있고, 비교기(37)는 미리 생성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작동의 적정성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비교 결과를 작동 데이터 유닛(38)으로 전송할 수 있다. 작동 데이터 유닛(38)은 탐지 정보 및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작동 데이터를 생성하여 공간 설정 모듈(32)로 전송할 수 있다. 작동 데이터는 설비의 작동 조건 또는 미세전류 인가 조건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된 작동 데이터는 비교기(37)에서 적정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데이터가 될 수 있다.
건강 모듈(14)은 다양한 형태의 건강 유닛(141, 142, 14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페 시스템에 배치되는 휴식 수단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건강 모듈은 수면 유도 장치(40)를 더 포함하고, 수면 유도 장치(40)는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된 두 개의 접촉 패드(47a, 47b)를 포함한다.
수면 유도 장치(40)는 사용자가 수면을 취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마사지를 받는 것이 가능한 장치에 해당한다. 수면 유도 장치는 휴식 공간에 설치되거나 또는 건강관리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반구형이 되는 수용 유닛(41)에 머리 부분 및 상반신이 수용될 수 있고, 수용 유닛(41)의 한쪽 부분으로부터 선형으로 연장되는 연장 유닛(44)에 의하여 허리 부분과 다리 부분이 받쳐질 수 있다. 연장 유닛(44)은 판 형상으로 연장되면서 다리 부분이 허리 부분에 비하여 위쪽에 위치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수용 부분(41)의 측면 또는 내부에 걸침 유닛(43)이 형성될 수 있고, 걸침 유닛(43)은 팔걸이 기능을 하거나 작업 공간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수용 부분(41)의 반구형의 스크린(42)이 배치될 수 있고, 스크린(42)은 개폐 가능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스크린(42)이 닫히면 수용 유닛(41)과 함께 속이 빈 구형 구조가 될 수 있다. 수용 유닛(41)은 조절 다리(45)에 의하여 받쳐질 수 있고, 조절 다리(45)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면서 이와 동시에 수용 유닛(41)의 경사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조절 다리(45)의 아래쪽은 베이스(46)에 의하여 받쳐질 수 있다. 베이스(46)에 사용자의 발이 접촉되면 수면 유도 장치(40)는 작동 가능한 상태가 되고, 이와 동시에 미세전류 발생 장치가 작동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수용 유닛(41)의 내부에 등 받침 또는 머리 받침이 배치될 수 있고, 등 받침 또는 머리 받침은 연장 유닛(44)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등 받침 또는 머리 받침과 같은 받침 유닛과 연장 유닛(44)은 미세전류의 인가를 위한 패드를 형성할 수 있다. 또는 받침 유닛과 연장 유닛(44)의 위쪽 면에 미세전류 패드(47)가 배치될 수 있다.
미세전류 패드(47)는 서로 연결되면서 전체적으로 사각 평면 형상이 되는 1, 2 접촉 패드(47a, 47b)로 이루어질 수 있다. 1, 2 접촉 패드(47a, 47b)는 전도성 원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절연 유닛(471)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서로 분리될 수 있다. 각각의 접촉 패드(47a, 47b)에 전기 커넥터(472a, 472b)가 형성될 수 있고, 1, 2 접촉 패드(47a, 47b)의 내부에 평면 형상의 1, 2 접촉 탐지 유닛(48a, 48b)이 배치될 수 있다. 1, 2 접촉 탐지 유닛(48a, 48b)에 의하여 사용자의 접촉이 탐지되면 1, 2 전기 커넥터(472a, 472b)가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미세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1, 2 접촉 패드(47a, 47b)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사용자가 접촉되지 않으면 미세전류가 인가되지 않는다.
미세전류 패드(47)에 대한 미세전류의 인가는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카페 시스템은 차 또는 커피를 마시면서 휴식을 취하는 공간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미세전류가 인가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휴식 또는 피로 회복의 효과가 향상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페 시스템은 수면 또는 마사지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으면서 수면 또는 마사지 과정에서 조절된 형태로 미세전류의 인가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페 시스템은 이미 설치된 공간에 미세전류 인가 수단이 설치되는 것에 의하여 용이하게 건강관리 카페 시스템으로 변형되도록 한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관리 서버 12: 작동 관리 모듈
13: 휴식 모듈 14: 건강 모듈
21: 출입 유닛 22: 대기 공간
23: 휴식 공간 24: 건강 공간
25: 건강관리 공간 26: 수면 공간
27: 개인 공간 31: 제어 모듈
32: 공간 설정 모듈 33: 구분 공간 작동 모듈
35: 작동 확인 유닛 36: 작동 결정 유닛
37: 비교기 38: 작동 데이터 유닛
40: 수면 유도 장치 41: 수용 유닛
42: 스크린 43: 걸침 유닛
44: 연장 유닛 45: 조절 다리
46: 베이스 47: 미세전류 패드
47a, 47b: 1, 2 접촉 패드 48a, 48b: 1, 2 접촉 탐지 유닛
131, 132: 휴식 유닛 141, 142, 143: 건강 유닛
341: 상태 탐지 유닛 342: 작동 관리 유닛
471: 절연 유닛 472a, 472b: 전기 커넥터

Claims (3)

  1. 카페 시스템에 있어서,
    전체 장치의 작동 및 사용자의 출입을 관리하는 관리 서버(11);
    관리 서버(11)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면서 각각의 장치의 작동을 조절하는 작동 관리 모듈(12);
    휴식을 위하여 설치되면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인체 접촉 부위를 통하여 미세전류가 인가될 수 있는 설비가 배치된 휴식 모듈(13); 및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기초하여 미세전류가 인가되면서 건강관리 수단이 제공되는 건강 모듈(14)을 포함하고,
    휴식 모듈(13) 및 건강 모듈(14)은 서로 분리된 공간에 배치되고,
    휴식 모듈(13)의 작동 상태를 탐지하는 상태 탐지 유닛(341) 및 건강 모듈(14)에 배치된 기기의 작동을 관리하는 작동 관리 유닛(342)을 더 포함하고,
    건강 모듈(14)은 수면 유도 장치(40)를 더 포함하고, 수면 유도 장치(40)는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된 두 개의 접촉 패드(47a, 47b)를 포함하는 미세전류 패드(47)를 포함하고 두 개의 접촉 패드(47a, 47b)에 각각 포함된 접촉 탐지 유닛(48a, 48b)에 의하여 사용자의 접촉이 탐지되면 사용자에 미세전류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관리 카페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180025638A 2018-03-05 2018-03-05 미세전류 인가에 의한 건강관리 카페 시스템 KR102127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638A KR102127099B1 (ko) 2018-03-05 2018-03-05 미세전류 인가에 의한 건강관리 카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638A KR102127099B1 (ko) 2018-03-05 2018-03-05 미세전류 인가에 의한 건강관리 카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290A KR20190105290A (ko) 2019-09-17
KR102127099B1 true KR102127099B1 (ko) 2020-06-26

Family

ID=68069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5638A KR102127099B1 (ko) 2018-03-05 2018-03-05 미세전류 인가에 의한 건강관리 카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709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38898A (ja) * 2013-10-09 2016-12-15 レスメッド センサー テクノロジーズ リミテッド 疲労モニタリング及び管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6653B1 (ko) 2011-12-23 2012-12-28 주식회사 웨이전스 미세전류의 흐름을 유도하는 탈모 예방을 위한 모자
KR101350234B1 (ko) 2012-03-16 2014-01-14 주식회사 웨이전스 요실금 및 생리통 치료를 위한 미세전류 치료 장치
KR101687321B1 (ko) * 2015-03-05 2016-12-16 주식회사 프라센 수면 유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면 관리 시스템
KR101744144B1 (ko) * 2015-09-17 2017-06-08 (주)허니냅스 생체신호 무선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91058A (ko) * 2017-05-23 2017-08-08 엄상중 오프라인 카페 및 오프라인 카페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38898A (ja) * 2013-10-09 2016-12-15 レスメッド センサー テクノロジーズ リミテッド 疲労モニタリング及び管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290A (ko) 201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9437B2 (en) Digital bed system
CN105078644B9 (zh) 滑式温热治疗仪
US9134796B2 (en) Foldable tactile display
EP2772241B1 (en) Method for determining body type for thermotherapy device
US20220257962A1 (en) Body support system for emitting ultra-low radio frequency energy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JP2023540748A (ja) スマートマットレス
Foo et al. User experiences of garment-based dynamic compression for novel haptic applications
KR102127099B1 (ko) 미세전류 인가에 의한 건강관리 카페 시스템
CN108652323A (zh) 智能调节支撑模块及自动调节的床
KR102642764B1 (ko) 건강 베개
CN105078054A (zh) 保留家具外观并具有多种养生保健功能的阅读椅
KR102284897B1 (ko)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
KR101520537B1 (ko) 음악치료를 겸한 지압 및 경락마사지용 침대
KR20200101566A (ko)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
JP2019130231A (ja) シート状装置
KR200461352Y1 (ko) 경추찜질베개
KR102644080B1 (ko) 스마트 안마의자 제어 프로그램 플랫폼
KR102516996B1 (ko) 지압용 베개
CN210844202U (zh) 桑拿房座椅
KR102167682B1 (ko) 고주파 심부열을 발생하는 안마의자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20114279A (ko) 베개형 전위 치료기
US20210275393A1 (en) Rest for a mattress support system and method for sensory training of a person
WO2024025455A1 (en) An apparatus for automatic multi-sensory and kinaesthetic stimulation
CN109805647A (zh) 一种自动按摩式电脑座椅
CN110215073A (zh) 磁性保健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