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1568A -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 - Google Patents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1568A
KR20200101568A KR1020190019268A KR20190019268A KR20200101568A KR 20200101568 A KR20200101568 A KR 20200101568A KR 1020190019268 A KR1020190019268 A KR 1020190019268A KR 20190019268 A KR20190019268 A KR 20190019268A KR 20200101568 A KR20200101568 A KR 20200101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lectric stimulation
biometric information
toilet
mobi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9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4897B1 (ko
Inventor
이의범
김갑수
곽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지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지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지엠
Priority to KR1020190019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4897B1/ko
Publication of KR20200101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1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4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4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 A47K13/105Toilet seat or toilet cover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17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03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motor muscles, e.g. for walking as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61N1/36031Control systems using physiological parameters for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3/00Exercising combined with therapy
    • A63B2213/004Exercising combined with therapy with electro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좌대 및 상기 좌대를 통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전기자극수단을 포함하는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를 제공하고, 본 발명의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에 따르면, 전기자극을 통하여 사용자 근육의 수축과 이완을 유도하면서 치료나 운동효과 등을 발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TOILET SEAT PROVIDING ELECTRICAL STIMULATION}
본 발명은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자극을 통하여 사용자 근육의 수축과 이완을 유도하면서 치료나 운동효과 등을 발휘할 수 있는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건강증진을 위한 다양한 기기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서 '의자'에 건강증진을 위한 기술이 적용된 '안마의자'의 경우에는,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신체 각 부위(목, 등, 허리, 둔부, 팔, 다리 및 발 등)를 기계식으로 마사지 한다.
의자와 같은 기기에 건강증진을 위한 기술이 적용되는 경우의 장점은 의자가 사람들이 평소에 자주 사용하는 생활용품이라는 점에 있다. 의자에 건강증진을 위한 기술이 적용되어 있다면, 평소의 생활 속에서 의자를 사용해야 할 때에, 사람들은 의자에 적용되어 있는 건강증진을 위한 기술을 자연스럽게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업무상 실외(室外)에서 근무하는 직종인 경우 또는 집 안에서 의자를 사용하지 않고 주로 바닥에서 생활하는 경우와 같이, 의자를 필수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사람도 많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아무리 건강증진을 위한 기술이 '의자'에 적용되더라도, 그 기술의 효과를 볼 수 없다. 따라서 건강증진을 위한 기술이 의자 등과 같은 생활용품이 아니라 사람들이 더 필수적으로 이용하는 아이템에 적용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종래에 건강증진용으로 주로 사용되었던 '안마의자'는 기계식으로 작동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물리적인 힘을 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을 뿐이어서, 단순히 마사지 효과만 있는 정도이다. 하지만 과학기술이 점점 발전함에 따라, 단순한 마사지 효과를 넘어서 보다 효율적으로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55082호 (공고일자: 1999.08.16.)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전기자극을 통하여 사용자 근육의 수축과 이완을 유도하면서 치료나 운동효과 등을 발휘할 수 있는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좌대 및 상기 좌대를 통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전기자극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검출할 수 있는 생체정보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는 커버 및 팔걸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기자극수단은 상기 커버 및 팔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하여 추가적으로 사용자의 신체에 전기자극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생체정보 검출부는 상기 좌대, 커버 및 팔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에 있어서, 상기 전극자극수단은, 상기 생체정보 검출부에 의하여 검출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통하여 사용자의 신원을 파악한 후, 상기 파악된 사용자와 관련된 동작조건에 따라 상기 전기자극수단이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는 모바일 기기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상기 전기자극수단의 동작조건을 설정하면, 상기 전기자극수단은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상기 동작조건을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동작조건에 따라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는 모바일 기기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기자극수단이 현재 작동 중인 동작조건에 대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는 상기 동작조건에 대응하는 운동영상을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상기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생체정보 검출부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생체정보 검출부에 의하여 검출된 사용자의 생체정보는 상기 무선통신부에 의하여 모바일 기기를 경유하여 관리서버에 송신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분석한 결과를 상기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생체정보 검출부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생체정보 검출부에 의하여 검출된 사용자의 생체정보는 상기 무선통신부에 의하여 모바일 기기를 경유하여 관리서버에 송신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생체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전기자극수단의 동작조건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동작조건은 상기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상기 무선통신부에서 수신되고, 상기 전기자극수단은 상기 수신된 동작조건에 따라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에 따르면, 전기자극을 통하여 사용자 근육의 수축과 이완을 유도하면서 치료나 운동효과 등을 발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의 여러가지 구현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의 구현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와 모바일 기기가 무선으로 연계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의 동작 중 모바일 기기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6의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 모바일 기기 및 관리서버가 무선으로 연계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응용예로서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워킹머신의 사시도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요소들(elements)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상기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용어들은 단지 상기 요소들을 서로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또, 어떤 요소가 다른 요소 위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요소 위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더욱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의 여러가지 구현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100)는 기본구성유닛(110)과 전기자극수단(120)을 포함한다. 기본구성유닛(110)은 통상의 좌변기를 구성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착석하면 둔부가 닿는 부분인 좌대나 등이 닿는 부분이 커버 등이 기본구성유닛(110)에 포함될 수 있고, 이것 외에도 좌변기를 구성하는 다양한 부분들이 기본구성유닛(110)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다양한 종류와 구조의 좌변기에 있어서, 상기 좌변기의 구성품들은 모두 본 발명의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100)에 있어서 기본구성유닛(100)에 포함될 수 있다.
전기자극수단(120)은 좌변기(100)에 착석한 사용자에게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부분이다. 여기서 전기자극(Electrical Stimulation)을 제공한다는 것은 인위적으로 전기신호를 사용자의 신체에 직간접적으로 전달하는 것이다. 전기자극수단(120)에 의하여 제공되는 전기자극은 미약한 저주파(예를 들면, 대략 1Hz ~ 150Hz 대역)인 것이 바람직하다. 저주파는 인체에 흐르는 전류와 유사하여 인체를 투과하기가 용이하고 신경과 근육을 자극하기에 적합하다.
이와 같이 인체에 인위적으로 전기자극을 주는 경우에 근육운동이나 치료 등 여러가지 긍정적인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이유는, 전기신호를 인위적으로 제공함으로써 근육 수축을 유도하고, 또한 전기신호의 제공을 중단하여 수축된 근육을 이완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근육의 수축과 이완을 반복함으로써 사람이 실제로 근육의 수축과 이완 운동을 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전기자극을 통하여 운동효과뿐만 아니라 치료효과가 발생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몸의 중심이 되는 중심근육이 불안전한 사람은 균형능력, 자세유지, 보행 등에 장애가 있을 수 있는데,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 윗몸일으키기와 같은 복부근육운동을 하더라도 쉽게 근력이 증가되지 않을 수 있지만, 전기자극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복부 등 중심근육을 용이하게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전기자극은 균형능력, 자세유지, 보행 등의 장애를 치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윗몸일으키기와 같은 근육운동을 스스로 하기 어렵지만 중심근육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는 환자들에게는, 혼자서 운동을 할 수 없는 상태에서 전기자극은 유일한 치료방법이 될 수 있다. 또한 전기자극은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에너지 소모량을 늘리고 장운동을 활발하게 하여 변비를 치료할 수 있고, 근육통에 대한 통증을 완화시키는 등 여러가지 치료 효과가 있다.
전기자극수단(120)은 접촉부(121), 제어부(122), 전원공급부(123)를 포함한다. 접촉부(121)는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하는 부분으로, 접촉부(121)를 통하여 전기자극이 신체에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122)는 전기자극수단(1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컨트롤하고, 또한 접촉부(121)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전기자극의 세기나 전기자극이 제공되는 방식 등을 조정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23)는 전기자극수단(12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내장된 배터리이거나 또는 유선으로 외부전원을 공급받는 형태가 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전기자극수단(120)은 온/오프 스위치 조작 등을 하기 위한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온/오프 스위치없이 하중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착석했다고 감지되는 순간 자동으로 전기자극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전기자극수단(120)은 주로 저주파의 전류를 발생하여 인체와의 접촉으로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것으로, 저주파 생성 및 공급의 메커니즘 자체는 종래에 알려져 있는 어떠한 기술이든 적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전기자극수단(120)을 통상의 좌변기에 적용함으로써 전기자극에 의하여 발휘되는 장점을 극대화시켰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만약 전기자극수단(120)을 별도의 기기로 형성하면, '전기자극'을 받기 위하여 전기자극기기를 이용해야 겠다고 특별히 의도하는 경우에만, 해당 기기를 사용하게 된다. 이에 비하여 통상의 좌변기에 전기자극수단(120)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특별히 '전기자극'을 받고자 하는 의사가 없더라도, 통상적으로 좌변기를 이용하면서 자연스럽게 '전기자극'까지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개인마다 차이는 있지만, 여성들은 소변을 보기 위하여 하루에 수회 정도 좌변기를 이용하고, 남성들은 대변을 보기 위하여 1일에 적어도 1회 이상은 좌변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사람들이 대소변을 보는 횟수만큼 전기자극을 제공받을 수 있는 기회가 증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전기자극'에 의한 긍정적인 효과를 많이 누릴 수 있다.
전기자극을 사용자의 신체에 전달하는 효율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사용자의 신체와 직접적으로 접촉된 상태에서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것이 전달효율이 높다고 볼 수 있다. 즉, '전기자극'은 피부가 외부에 노출된 상태에서 노출된 피부에 직접적으로 가하는 것이 효율적인데, 보통 사람들이 옷을 입고 있는 상태에서 외부로 피부가 노출되는 부위가 적기 때문에, 피부에 직접적으로 전기자극을 가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전기자극수단(120)이 좌변기(100)에 구비된다면, 사람들이 좌변기(100)를 이용할 때에 필수적으로 피부를 노출시켜야 하기 때문에, 노출된 피부로 용이하게 직접적인 전기자극을 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100)는 매우 간단한 구조(도 2 참조)이거나 또는 약간 복잡한 구조(도 3 참조) 등 다양한 구조가 될 수 있다(전기자극수단도 다양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지만, 전기자극수단의 구조에 포커스가 맞추어져 있는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 전기자극수단 자체는 단순하게 표현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100)는 기본구성유닛(110)으로서 좌대(111)를 포함한다. 좌대(111)는 사용자가 착석했을 때에 앉게 되는 부분이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좌대(111)에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수용홈에 전기자극수단(120)에 있어서 접촉부(121)가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 접촉부(121)는 인체에 전기자극을 전달하는 접촉전극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전극은 금속 등과 같은 전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좌대(111)가 형성된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접촉부(121)는 좌대(111)에 장착되어 외부로 노출되며, 사용자가 좌대(111)에 착석하게 되면, 사용자의 둔부 부분이 접촉부(121)와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전기자극수단(120)이 작동되면 접촉부(121)를 통하여 사용자는 피부와의 직접 접촉에 의한 전기자극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100)는 기본구성유닛(110)으로서 좌대(111), 커버(112) 및 팔걸이(113)를 포함한다. 좌대(111)는 사용자가 착석했을 때에 앉게 되는 부분이다. 커버(112)는 좌판(111)을 덮어서 좌변기(100)의 내부가 외부에 보이지 않도록 하며, 또한 좌변기(100)의 내부를 개방시켰을 때에는 수직으로 세워져서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팔걸이(113)는 사용자의 팔을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기본구성유닛(110)과 함께 전기자극수단(120)이 구비되며, 전기자극수단(120)은 좌대(111), 커버(112), 팔걸이(1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기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좌대(111), 커버(112) 및 팔걸이(113) 중에서 해당 구성에서 전기자극이 제공되는 부분은, 해당 구성에 전기자극수단(120)에 있어서의 접촉부가 배치된다.
좌대(111)를 통하여 전기자극이 제공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착석하였을 때에 사용자의 둔부 부위에 전기자극이 제공될 수 있다. 커버(112)를 통하여 전기자극이 제공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착석하였을 때에 사용자의 등 부위에 전기자극이 제공될 수 있다. 팔걸이(113)를 통하여 전기자극이 제공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착석하였을 때에 사용자의 손이나 팔 부위에 전기자극이 제공될 수 있다.
좌대(111), 커버(112), 팔걸이(113)를 통하여 전기자극을 제공할 때에, 전기자극이 제공되는 태양이 부위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좌대(111)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필수적으로 피부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피부와 접촉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체가 전기자극수단(120)의 접촉부에 직접적으로 접촉된다. 이에 비하여 커버(112)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대부분 옷을 착용한 상태에서 착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체가 전기자극수단(120)의 접촉부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는 않는다. 팔걸이(113)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손 부분은 전기자극수단(120)의 접촉부에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고, 팔 부분은 반팔옷을 입고 있는 경우에 전기자극수단(120)의 접촉부에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전기자극을 사용자의 신체에 전달하는 효율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사용자의 신체와 직접적으로 접촉된 상태에서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것이 전달효율이 높다고 볼 수 있다.
도 2에서는 기본구조의 좌변기가 제시되고, 도 3에서는 팔걸이(113) 등을 포함하는 다소 복잡한 좌변기의 구조가 제시되어 있는데, 이는 예시적인 목적으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종류의 어떠한 구조를 갖는 좌변기이든 모두 본 발명의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100)가 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의 구현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100)는 기본구성유닛(110), 전기자극수단(120), 생체정보 검출부(130)를 포함한다. 기본구성유닛(110)은 통상의 좌변기를 구성하는 부분으로서, 좌대(111), 커버(112), 팔걸이(11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자극수단(120)은 좌변기(100)에 착석한 사용자에게 전기자극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접촉부(121), 제어부(122), 전원공급부(123)를 포함한다. 접촉부(121)는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는 부분으로, 접촉부(121)를 통하여 전기자극이 신체에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122)는 전기자극수단(1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컨트롤하고, 또한 접촉부(121)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전기자극의 세기나 전기자극이 제공되는 방식 등을 조정한다. 전원공급부(123)는 전기자극수단(12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생체정보 검출부(130)는 좌변기(100)를 이용하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사람의 생체정보를 측정하고자 할 때에는, 측정하고자 하는 부위의 신체를 외부로 노출시킨 상태에서 측정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자신의 신체를 노출하면서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것이 번거롭다고 생각될 수 있는데, 사람이 좌변기를 이용할 때에는 필수적으로 자신의 신체를 노출시켜야 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좌변기(100)에 생체정보 검출부(130)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좌변기(100)를 이용하면서 번거롭지 않고 자연스럽게 생체정보까지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생체정보로는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기 신원확인용 생체정보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신원확인용 생체정보로는 지문이 있을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지문인식기(131)는 팔걸이(113)의 단부(端部)에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팔을 팔걸이(113)에 놓아둔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팔걸이(113) 단부에 있는 지문인식기(131)에 손가락을 대고 지문이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생체정보로는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건강진단용 생체정보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건강진단용 생체정보로는 혈압, 심박수, 심전도 등이 있을 수 있는데, 이 중 일부는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용도로까지 사용될 수 있다. 건강진단용 생체정보 중 사용자의 팔을 통하여 측정될 수 있는 것(예를 들면, 혈압)의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건강진단용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측정기(132)가 팔걸이(113)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건강진단용 생체정보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측정된 생체정보의 측정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측정치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133)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5에는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측정기(131, 132)가 모두 팔걸이(113)에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상기 측정기의 형성위치는 팔걸이(113)로만 한정되지 않으며 좌대(111)나 커버(112) 등과 같은 다른 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좌대(111)의 경우에는 항상 사용자의 신체가 노출된 상태에서 접촉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체를 직접 접촉한 상태에서 생체정보를 측정해야 하는 경우에 이용하기에 편리한 장점이 있다.
여러명이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100)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 어떠한 동작조건(전기자극이 제공되는 신체부위, 해당 신체부위에 제공되는 전기자극의 세기 등)하에서 전기자극수단(120)을 작동시킬 것인지에 대해서는 사용자마다 각각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라는 사용자는 전기자극의 세기를 약하게 하여 둔부 부분을 통하여 전기자극이 제공되기를 희망할 수 있고, B라는 사용자는 전기자극의 세기를 상대적으로 강하게 하여 팔 부분과 등 부분을 통하여 전기자극이 제공되기를 희망할 수 있다. 그런데 각 사용자가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100)를 이용할 때마다, 자신의 원하는 동작조건으로 세팅하는 것은 대단히 번거로울 수 있다. 하지만, 생체정보 검출부(130)를 통하여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경우에 사용자별로 맞춤형 동작조건에 따라 전기자극수단(120)을 작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기자극수단(120)의 제어부(122)는 데이터베이스(122a)를 포함하는데, 데이터베이스(122a)에는 사용자별로 자신이 선호하는 전기자극수단(120)의 동작조건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동작조건 데이터는 사용자가 전기자극수단(120)을 이용하면서 자신의 지문과 함께 입력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베이스(122a)에 자신이 선호하는 동작조건이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라면, 좌변기(100)에 착석하여 지문인식기(131)에 자신의 지문을 인식시킴으로써 자신의 신원이 파악될 수 있고, 제어부(122)는 데이터베이스(122a)에서 해당 사용자가 선호하는 동작조건을 검색한 후 그에 따라 전기자극수단(120)이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 좌변기에 대하여 살펴보았는데, 이러한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이하에서 살펴보듯이 다른 기기와 연계되어 사용됨으로써 더욱 상승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7은 도 6의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와 모바일 기기가 무선으로 연계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의 동작 중 모바일 기기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6의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 모바일 기기 및 관리서버가 무선으로 연계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100)는 기본구성유닛(110), 전기자극수단(120), 생체정보 검출부(130), 무선통신부(140)를 포함한다. 무선통신부(140)는 외부기기와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것으로, 무선통신은 블루투스 통신방식, 지그비 통신방식, IEEE 80211 규격의 로컬 무선통신방식 등 다양한 방식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무선통신부(140)를 제외한 기본구성유닛(110), 전기자극수단(120), 생체정보 검출부(130)는 이전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것과 큰 차이가 없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100)는 무선통신부(140)를 통하여 모바일 기기(200)와 통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좌변기(100)가 모바일 기기(200)와 연계하여 작동되는 경우에 여러가지 장점이 있다.
첫째, 앞선 실시예(도 4 및 도 5 참조)에서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여 사용자별 맞춤형 동작조건으로 전기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고 하였는데, 이러한 작동은 모바일 기기(200)와 연계해서도 가능하다. 최근에는 대변을 보는 동안 무료하지 않도록 자신의 스마트폰을 소지하고 좌변기를 이용하는 사람이 많이 있다. 만약 사용자가 자신의 스마트폰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200)에 좌변기(100)와 연계할 수 있는 적절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또한 자신이 선호하는 전기자극수단(120)의 동작조건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해 둔다면, 모바일 기기(200)를 들고 좌변기(100)를 이용할 때에 모바일 기기(200)에서 좌변기(100)로 동작조건 데이터가 전달되면서 사용자는 자동으로 자신이 선호하는 동작조건하에서 전기자극수단(120)을 작동시킬 수 있다.
둘째, 스마트폰 이나 각종 패드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200)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좌변기(100)와 연계되는 경우 좌변기(100)에 있어서 전기자극수단(120)의 동작과 관련한 각종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면, 전극자극수단(120)에 의한 전기자극을 통하여 운동의 효과를 누리고자 할 때에, 전기자극의 동작조건에 따라 운동량이나 강도 등이 달라질 수 있는데,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서는 상기 운동량이나 운동강도 등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100)에는 전기자극의 동작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조작부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고, 또는 모바일 기기(200)에 키패드나 터치스크린 방식의 입력수단이 구비되므로, 사용자는 이들 조작부나 각종 입력수단을 통하여 동작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동작조건을 설정하였을 때에, 모바일 기기(200)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동작조건에 따라 전기자극을 받으면 실제로 어느 정도 운동량의 효과가 있는지 여러가지 방식으로 보여줄 수 있다. 예컨대 간단한 방식으로 운동량을 수치로 보여줄 수 있다. 또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 자신의 아바타가 실제로 운동하고 있는 모습을 이미지로 보여줄 수 있다. 사용자가 둔부 부위에 전기자극을 받아 다리 운동을 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를 받고 있다고 한다면, 모바일 기기(200)에서는 소정의 코스를 걸으면서 다리 운동을 하고 있는 아바타의 모습을 보여줄 수 있다. 또한 전기자극수단(120)의 동작조건에 따라 A1이라는 동작조건에서는 B1이라는 운동량 효과가 있고, A2이라는 동작조건에서는 B2라는 운동량 효과가 있으며, B2가 B1보다 운동량 효과가 크다고 가정하면, 운동량이 작은 A1 동작조건에서는 도 8(a)와 같이 경사도가 낮아서 운동량이 작게 되는 코스를 걷는 모습을 보여주고, 운동량이 큰 A2의 동작조건에서는 도 8(b)와 같이 경사도가 높아서 운동량이 크게 되는 코스를 걷는 모습을 보여줄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모바일 기기(200)의 화면을 보면서, 전기자극에 의하여 받을 수 있는 운동량 등을 시각적으로 분명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파악한 운동량이나 운동효과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는 자신에게 적합한 동작조건을 정확하게 선택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100)는 무선통신부(140)를 통하여 모바일 기기(200) 및 관리서버(300)와 통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좌변기(100)가 모바일 기기(200)를 경유하여 관리서버(300)와 연계하여 작동되는 경우에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100)는 생체정보 검출부(130)를 구비하고 있으며, 생체정보 검출부(130)는 혈압, 심박수, 심전도 등과 같이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건강진단용 생체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된 건강진단용 생체정보는 모바일 기기(200)를 통하여 관리서버(300에 전달되는데. 여기에서 관리서버(300)는 각종 건강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 건강관리서버가 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서버(300)는 측정된 건강진단용 생체정보를 분석한 후, 그 결과를 모바일 기기(20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관리서버(300)는 건강진단용 생체정보를 분석하기 위하여, 사용자 개인에 대한 정보나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건강진단용 생체정보를 분석함에 있어서, 관리서버(300)는 현재 측정된 사용자의 생체정보와 미리 저장되어 있었던 평소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현재의 신체상태가 정상인지 비정상인지 진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사용자와 성별, 연령대 및 병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동일한 정상인이 나타내는 생체정보의 수치를 저장하고 있는 상태에서, 관리서버(300)는 측정된 사용자의 생체정보와 상기 저장된 생체정보의 수치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현재의 신체상태가 정상인지 비정상인지 진단할 수 있다. 상기 진단결과는 모바일 기기(20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고, 상기 화면에 비정상으로 표시된 사용자는 이를 보고 필요한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한편 관리서버(300)는 사용자의 건강진단용 생체정보를 분석한 결과에 근거하여, 전기자극수단(120)의 동작조건을 적절하게 설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강진단용 생체정보의 분석 결과, 해당 사용자는 특정 부위에 소정량의 근육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특정 부위를 통하여 적정 세기의 전기자극이 제공되도록 적절하게 동작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설정된 동작조건은 모바일 기기(200)를 무선통신부(140)에서 수신되고, 전기자극수단(120)은 수신된 동작조건에 따라 작동될 수 있다.
이상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에 대해서 살펴보았는데,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기술이 반드시 좌변기에만 적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좌변기에 적용되었을 경우의 장점은, 좌변기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필연적으로 신체 부위를 노출하게 되고 상기 노출된 신체부위로 직접 전기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하지만, 소정의 신체 부위에 직접 전기자극을 제공할 수 있는 기기는 좌변기만 있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소정의 신체 부위에 직접 전기자극을 제공할 수 있는 기기의 일예로서 워킹머신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응용예로서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워킹머신의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워킹머신(400)은 본체부(410), 조작부(420), 표시부(430), 전기자극수단(440)을 포함한다. 본체부(410)는 워킹머신(400)의 구조를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전체적인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411, 412)과 워킹이나 런닝과 같은 실질적인 사용자의 운동이 이루어지는 트랙(413)을 포함한다. 프레임(411, 412)은 수평프레임(411)과 수직프레임(412)을 포함한다. 수평 프레임(411)은 트랙(413)의 양측에 배치되고, 수직 프레임(412)은 수평프레임(411)의 좌측과 우측 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게 배치된다. 본체부(410)에 있어서 프레임(411, 412)의 구성 및 프레임(411, 412)과 트랙(413)의 배치 등은 워킹머신(400)에 있어서 외형적인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일 뿐이며, 워킹머신(400)의 외형적인 구조는 다양하게 디자인될 수 있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구조도 얼마든지 적용될 수 있다.
조작부(42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 각종 버튼이나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조작부(420)를 통하여, 사용자는 자신이 희망하는 운동조건을 설정할 수 있고 또는 자신이 희망하는 전기자극수단(440)의 동작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표시부(430)는 TV나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여러가지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가 트랙(413) 위에서 걷거나 뛰기만 하면 무료하기 때문에, 표시부(430)는 사용자가 무료하지 않도록 여러가지 영상을 제공한다.
전기자극수단(440)은 워킹머신(400)에서 운동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부분이다.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100)에서 설명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전기자극수단(440)은 접촉부, 제어부, 전원공급부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는 사용자의 신체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하여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부분으로,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할 수 있도록 외부에 노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워킹머신(400)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손잡이(441)에 형성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워킹머신(400)의 사용자가 트랙(413) 위에서 걷는 운동을 하면서 손잡이(441)를 잡는다는 점을 고려할 때에, 이와 같이 전기자극수단(440)의 접촉부가 손잡이(441)에 형성되면, 전기자극수단(440)에서 제공되는 전기자극이 손잡이(441)를 통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보았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
110: 기본구성유닛
120: 전기자극수단
130: 생체정보 검출부
140: 무선통신부

Claims (8)

  1.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좌대; 및
    상기 좌대를 통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전기자극수단을;
    포함하는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검출할 수 있는 생체정보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
  3. 제2항에 있어서,
    커버 및 팔걸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기자극수단은 상기 커버 및 팔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하여 추가적으로 사용자의 신체에 전기자극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생체정보 검출부는 상기 좌대, 커버 및 팔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자극수단은, 상기 생체정보 검출부에 의하여 검출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통하여 사용자의 신원을 파악한 후, 상기 파악된 사용자와 관련된 동작조건에 따라 상기 전기자극수단이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바일 기기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상기 전기자극수단의 동작조건을 설정하면, 상기 전기자극수단은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상기 동작조건을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동작조건에 따라 작동되는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바일 기기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기자극수단이 현재 작동 중인 동작조건에 대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는 상기 동작조건에 대응하는 운동영상을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
  7.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생체정보 검출부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생체정보 검출부에 의하여 검출된 사용자의 생체정보는 상기 무선통신부에 의하여 모바일 기기를 경유하여 관리서버에 송신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분석한 결과를 상기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
  8.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생체정보 검출부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생체정보 검출부에 의하여 검출된 사용자의 생체정보는 상기 무선통신부에 의하여 모바일 기기를 경유하여 관리서버에 송신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생체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전기자극수단의 동작조건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동작조건은 상기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상기 무선통신부에서 수신되고, 상기 전기자극수단은 상기 수신된 동작조건에 따라 작동되는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
KR1020190019268A 2019-02-19 2019-02-19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 KR102284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268A KR102284897B1 (ko) 2019-02-19 2019-02-19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268A KR102284897B1 (ko) 2019-02-19 2019-02-19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568A true KR20200101568A (ko) 2020-08-28
KR102284897B1 KR102284897B1 (ko) 2021-08-04

Family

ID=72292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9268A KR102284897B1 (ko) 2019-02-19 2019-02-19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48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6899A (ko) * 2020-12-17 2022-06-24 주식회사 바른바이오 기립 운동 장치 및 전기자극용 기립 운동 세트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5082Y1 (ko) 1997-05-23 1999-08-16 강근구 안마용 의자
KR100757294B1 (ko) * 2006-12-28 2007-09-10 이주동 저주파 치료기능이 구비된 좌변기의 좌대
KR20080037305A (ko) * 2006-10-25 2008-04-3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원격 건강관리를 위한 변좌 일체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KR200449037Y1 (ko) * 2009-07-27 2010-06-09 이창두 저주파 치료용 변기커버
KR20140030699A (ko) * 2012-09-03 2014-03-12 주식회사 장원 손바닥 전기자극 장치
KR20180064789A (ko) * 2016-12-06 2018-06-15 주식회사 라임 자극패턴을 직접 제어 가능한 전기근육자극 트레이닝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5082Y1 (ko) 1997-05-23 1999-08-16 강근구 안마용 의자
KR20080037305A (ko) * 2006-10-25 2008-04-3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원격 건강관리를 위한 변좌 일체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KR100757294B1 (ko) * 2006-12-28 2007-09-10 이주동 저주파 치료기능이 구비된 좌변기의 좌대
KR200449037Y1 (ko) * 2009-07-27 2010-06-09 이창두 저주파 치료용 변기커버
KR20140030699A (ko) * 2012-09-03 2014-03-12 주식회사 장원 손바닥 전기자극 장치
KR20180064789A (ko) * 2016-12-06 2018-06-15 주식회사 라임 자극패턴을 직접 제어 가능한 전기근육자극 트레이닝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6899A (ko) * 2020-12-17 2022-06-24 주식회사 바른바이오 기립 운동 장치 및 전기자극용 기립 운동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4897B1 (ko) 202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03717A (zh) 通过周围神经刺激治疗心脏机能障碍的系统和方法
KR101879209B1 (ko) 생체신호 인식을 통한 건강관리가 가능한 안마의자
TW201808250A (zh) 具備按摩機之施療系統
CN106361551A (zh) 一种具有多项健康指标检测功能的按摩椅
KR20220112874A (ko) 안마 의자 및 안마 의자의 제어 방법
Williams et al. Arm crank ergometer “spin” training improves seated balance and aerobic capacity in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y
KR101863005B1 (ko) 의료용 다기능 쿠션
KR20230144978A (ko)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마사지 장치
Stampacchia et al. Gait robot-assisted rehabilitation in persons with spinal cord injury: A scoping review
Smith et al. Energy expenditure and cardiovascular responses to Tai Chi Easy
KR20170036992A (ko) 건강 관리가 가능한 안마의자
KR102284897B1 (ko)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
KR20180057194A (ko) 헬스케어 플랫폼과 연동하는 전기자극 치료 모니터링 시스템
JP2011045562A (ja) 低周波パルス印加装置およびその使用方法
CN107802478A (zh) 按摩机
KR20110050954A (ko) 개인 맞춤형 운동지도 및 학습지도 서비스 제공방법
Kang et al. Effects of integrating rhythmic arm swing into robot-assisted walking in patients with subacute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study
KR102284898B1 (ko)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
Gilfeather et al. Central activation ratio is a reliable measure for gluteal neuromuscular function
US20220313551A1 (en) Bio-signal Measurement Device for Massage Apparatus
TWI773944B (zh) 人體理療機
Buffagni Designing a Soft-Actuated Smart Garment for Postural Control and Fall Prevention in Elderly Women
US20230320645A1 (en) Massage apparatus for measuring bio-signals
KR102556537B1 (ko)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마사지 장치
US20230165745A1 (en) Massage device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rm massage unit through electro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