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032141A1 - 도전성을 가지는 원단 제조 방법 및 그 원단을 이용한 장갑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도전성을 가지는 원단 제조 방법 및 그 원단을 이용한 장갑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032141A1
WO2013032141A1 PCT/KR2012/006126 KR2012006126W WO2013032141A1 WO 2013032141 A1 WO2013032141 A1 WO 2013032141A1 KR 2012006126 W KR2012006126 W KR 2012006126W WO 2013032141 A1 WO2013032141 A1 WO 201303214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enier
weight
parts
fabric
nyl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612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권영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호데크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호데크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호데크론
Priority to CN201280039783.3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3732817A/zh
Publication of WO201303214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03214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24Gloves with accesso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8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glo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06C23/02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by singeing, teasing, shearing, etching or brushing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abric having conductivity and a glove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fabric, and more particularly, to prepare a fabric having conductivity by mixing and knitting each yarn in a certain ratio, the conductive using the fabric
  • a functional glove having a conductive touch screen that employs a capacitive touch screen when using a terminal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r PDA without having to take off the glove manufacturing method and a glove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fabric It is about.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bric manufacturing method having conductivity and a glove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fabric.
  • Touch screens which replace the input devices by the user's touch method, are already widely used in computers, game machines, etc., and recently, as they are adopted in mobile terminals 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they are becoming new input devices replacing conventional mice or keyboards.
  • An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is a core technology that accurately recognizes a touch point.
  • There are various recognition methods such as a resistive film type, a surface acoustic wave type, and a capacitive type according to a method of recognizing a touch point.
  • the resistive film type is one of the typical touch screen operation methods, which uses the principle of electrical communication when two conductor film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An insulating layer (usually air is used) is formed between the conductor films, and when the conductor film is pressed, This results in the calculation of the location where the resistance changes, thereby determining the point of touch.
  • the conductor film in the case of the resistive film method, the conductor film must be pressed, so that the conductor film is usually a soft material and uses a material that can be deformed when pressure is applied. As a result, if the pressure is repeatedly applied, the surface of the conductor film is damaged.
  • the proposed surface acoustic wave type touch screen is a surface acoustic wave touch screen that enters sound or light in a certain direction, and then encounters obstacles such as a pen or a hand at a specific point, that is, a wave change occurs. By detecting the change, the position of the obstacle, that is, the position of the touch point is recognized.
  • the resolution for recognizing the position of the touch point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obstacle, it is useful for a large touch screen but is not suitable for a small touch screen such as a mobile terminal (cell phone).
  • a capacitive touch screen that is, a capacitive touch screen has been mainly used in a mobile terminal recently.
  • the capacitive touch screen senses the change in capacitance between two conductor plates to recognize the location of the touch point.
  • the touch point is recognized by recognizing the point where the electric field is changed.
  • the touch screen of the blackout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 human body is a conductor that affects the electric field and uses it for the touch screen.
  • a portable terminal employing a capacitive touch screen is rapidly spreading, and when a user wears a glove, the user needs to remove the glove in order to use the portable terminal employing the capacitive touch screen.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produce a fabric having conductivity by mixing and knitting each yarn in a certain ratio, and by using the fabric to produce a functional glove having a conductive
  • a terminal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r PDA employing a touch screen to provide a fabric manufacturing method having a conductivity that can be used without taking off the glove and a glove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fabric.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nufacture a glove using a conductive material, by stiffening (bleaching) or bleaching the fabric to achieve a smooth and uniform dyeing process to facilitate smooth operation, while maintaining the conductivity of the fabric Raising treatment softens the texture of the fabric or thickens the fabric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product and increase the insulation to maintain the unique function of the glove, as well as finish such as shirring to make the surface beautiful, smooth and even. It is to provide a fabric manufacturing method having a conductivity to increase the value of the product by treatment and a glove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fabric.
  •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producing a fabric having conductivity by knitting the yarn including the conductive yarn in a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
  • the yarn further comprises nylon, polyester and spandex, each of the yarn, 5 to 15 parts by weight of 70 denier conductive yarn, 30 to 40 weight of nylon mixed with 70 denier nylon and 100 denier nylon Part, 72 or 75 denier DTY (Draw Textured Yarn) and 144 or 150 denier DT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abric is prepared by knitting a proportion of 45 to 55 parts by weight and 3 to 7 parts by weight of 30 denier spandex.
  • the nylon is mixed 9 to 19 parts by weight of 70 denier nylon and 16 to 26 parts by weight of 100 denier nylon
  • the polyester is 8 to 18 parts by weight of 72 or 75 denier DTY and 144 or 150 denier DTY 32 to 42 The weight part is mixed.
  • the yarn is knitt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to produce a fabric, each yarn, 5 to 15 parts by weight of 70 denier conductive yarn, 70 denier nylon and 100 denier nylon mixed 30 to 30 40 parts by weight, including 72 to 75 denier Draw Textured Yarn (DTY) and 144 or 150 denier DTY 45 to 55 parts by weight and 3 to 7 parts by weight of 30 denier spandex (spandex) is prepared fabric is prepared; (b) performing a refining or bleaching process after the fabric prepared in step (a) is dyed; And (c) after the fabric of the step (b) is brushed, the shearing and heat treatment to finish the glove shape; It includes.
  • DTY Draw Textured Yarn
  • spandex 30 denier spandex
  • the nylon is mixed 9 to 19 parts by weight of 70 denier nylon and 16 to 26 parts by weight of 100 denier nylon
  • the polyester is 8 to 18 parts by weight of 72 or 75 denier DTY and 144 or 150 denier DTY 32 to 42 The weight part is mixed.
  • the present invention when manufacturing a glove using a conductive fabric, by squeezing or bleaching the fabric to achieve a quick and uniform dyeing process to facilitate smooth operation, while maintaining the conductivity of the fabric It is processed to soften the texture of the fabric or to thicken the fabric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product, to increase the insulation, to maintain the unique function of the glove, and to finish the finishing process such as shirring to make the surface beautiful, smooth and even.
  • a fabric manufacturing method having a conductivity to increase the product value and a glove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fabric.
  • FIG. 1 is an exemplary view of using a glove using a conductive materi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flow chart showing a glove manufacturing method using a conductive materi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 is an exemplary view of using a glove using a conductive materi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flow chart showing a glove manufacturing method using a conductive materi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yarn containing the conductive yarn to knit vertically and horizontally to produce a fabric having conductivity.
  • the conductive fabric manufacturing method is made of the following yarns, each yarn is formed by knitting the yarn horizontally and vertically, each yarn, 70 denier nylon and 100 denier nylon 30-40 parts by weight of mixed nylon, 72 or 75 denier draw textured yarn (DTY) and 45 to 55 parts by weight of polyester mixed with 144 or 150 denier DTY, 5 to 15 parts by weight of 70 denier conductive yarn and 30 denier spandex It is prepared to include 3 to 7 parts by weight.
  • the nylon is mixed 9 to 19 parts by weight of 70 denier nylon and 16 to 26 parts by weight of 100 denier nylon
  • the polyester is 8 to 18 parts by weight of 72 or 75 denier DTY and 144 or 150 denier DTY 32 to 42 It is preferable that a weight part is mixed.
  • denier is a unit representing the thickness of continuous or short fibers such as raw yarn, artificial silk, and nylon yarn.
  • 1 denier is a thickness when the weight of a yarn having a length of 450 meters is 0.05 grams. If is double, it is 2 denier, and if it is 10 times, it is represented as 10 denier. The symbol D is used.
  • the knitting ( ⁇ ) refers to weaving like knitting with a thread, the fabric is produced by the knitting.
  • each yarn is knitt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to produce a fabric
  • each yarn, 70 denier nylon and 100 denier nylon is mixed 30 to 40 parts by weight of nylon, 72 to 75 denier Draw Textured Yarn (DTY) and 45 to 55 parts of polyester with 144 or 150 denier DTY, 5 to 15 parts of 70 denier conductive yarn and 30 denier spandex 3 to 7 parts by weight is included to prepare a fabric (S100).
  • the nylon is mixed 9 to 19 parts by weight of 70 denier nylon and 16 to 26 parts by weight of 100 denier nylon
  • the polyester is 8 to 18 parts by weight of 72 or 75 denier DTY and 144 or 150 denier DTY 32 to 42 It is preferable that a weight part is mixed.
  • the fabric prepared in step (S100) is dyed and then refined or bleached (S200).
  • the dyeing process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uniformly to perform a smooth processing.
  • the surface of the fabric is fluffed to soften the texture of the fabric, or to make the fabric thicker to multiply the shape and increase the insulation.
  • the width is arranged to become the shape of the glove (100).
  • the fabric having conductivity is most effective when knitted at the mixing ratio and ratio as shown in [Table 1].
  • the present invention by blending each of the yarns in a certain ratio to produce a fabric having a conductivity, and by using the fabric to produce a functional glove 100 having a conductivity by using a smart phone employing a capacitive touch screen
  • a smart phone employing a capacitive touch screen
  • the terminal 200 such as a PDA or the like is to be used without taking off the glove (100).
  • the terminal 200 having the capacitive touch screen can be used while wearing the glove 100.
  • the glove 100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it is obvious that the appearance of the glove 100 may be modified in any form while maintaining the conductiv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의 원사를 가로 세로로 편직하여 원단을 제조하되, 상기 각각의 원사는, 70데니어 전도사 5 내지 15중량부, 70데니어 나일론 및 100데니어 나일론이 혼용된 나일론 30 내지 40중량부, 72 또는 75데니어 DTY(Draw Textured Yarn) 및 144 또는 150데니어 DTY가 혼용된 폴리에스테르 45 내지 55중량부 및 30데니어 스판덱스(spandex) 3 내지 7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을 가지는 원단 제조 방법 및 그 원단을 이용한 장갑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전성을 가지는 원단 제조 방법 및 그 원단을 이용한 장갑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도전성을 가지는 원단 제조 방법 및 그 원단을 이용한 장갑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의 원사를 일정 비율로 혼용하여 편직 함으로써 도전성을 가지는 원단을 제조하고, 그 원단을 이용하여 도전성을 가지는 기능성 장갑을 제조함으로써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을 채용하는 스마트폰이나 PDA 등과 같은 단말 장치를 사용할 경우 장갑을 벗지 않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도전성을 가지는 원단 제조 방법 및 그 원단을 이용한 장갑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전성을 가지는 원단 제조 방법 및 그 원단을 이용한 장갑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의 터치 방식으로 입력장치를 대체하는 터치스크린은 컴퓨터나 게임기 등에 이미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용 전자장치에 채용됨에 따라 종래 마우스나 키보드 등을 대체하는 새로운 입력장치로 자리 잡고 있다.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입력장치는 터치스크린을 터치하는 지점을 정확하게 인식하는 것이 핵심기술로 터치 지점을 인식하는 방식에 따라 저항막 방식, 표면음파 방식, 정전용량 방식 등 다양한 인식 방식이 있다.
저항막 방식은 대표적인 터치스크린 작동 방식 중 하나로 도체막 두 개를 서로 접촉시키면 전기 통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도체막 사이에 절연층(통상적으로 공기가 이용됨)을 형성하여 도체막이 눌러지면 눌려진 부위에서 전기가 통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저항이 변하는 위치를 계산하여 터치되는 지점을 알아내게 된다.
그런데 저항막 방식의 경우 반드시 도체막이 눌려져야 하므로 도체막은 통상 부드러운 소재로서 압력을 받았을 때 변형이 가능한 재질을 이용한다. 이에 따라 반복적으로 압력을 받는 경우, 도체막 표면이 손상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 표면음파 방식 터치스크린으로 표면음파 터치스크린은 소리나 빛을 일정한 방향으로 입사한 후 특정 지점 즉, 터치 지점에서 펜 또는 손 등의 장애물을 만나면 파동의 변화가 생기고 그 변화를 감지하여 장애물의 위치 즉, 터치 지점의 위치를 인식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표면음파 터치스크린의 경우 장애물의 크기에 따라 터치 지점의 위치를 인식하는 해상도가 결정되므로 큰 크기의 터치스크린에는 유용하나 작은 크기의 터치스크린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핸드폰 등)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저항막 방식의 터치스크린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다른 방식으로 휴대 단말기에 최근 주로 이용되고 있는 것이 정전용량 방식 다시말해, 정전식 터치스크린이다.
정전식 터치스크린은 두 도체판 사이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터치 지점의 위치를 인식하는 방식이다.
즉, 전면의 도체판의 특정 지점(터치 지점)을 터치하는 경우 손가락의 유전율에 의해 터치 지점에서의 정전용량이 변화게 되며 이에 따라 전기장 역시 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기장이 변화된 지점을 인식하여 터치 지점을 인식하게 된다.
정전의 터치스크린은 인간의 몸이 전기장에 영향을 주는 도체라는 것에 착안하여 이를 터치스크린에 이용하는 것이다.
그런데 정전식의 경우, 반드시 도체의 접촉이 요구된다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부도체인 고무, 비도전성 섬유로 터치하는 경우 정전용량이 변하지 않으므로 전기장 역시 변하지 않으므로 터치 지점을 인식할 수 없다.
한편 최근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채용하는 휴대용 단말기가 급속하게 보급되고 있는데, 사용자가 장갑을 끼고 있는 경우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채용한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장갑을 벗어야 하므로 여간 불편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기온이 낮은 지역이나 겨울철에도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정전식 터치스크린이 채용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각각의 원사를 일정 비율로 혼용하여 편직 함으로써 도전성을 가지는 원단을 제조하고, 그 원단을 이용하여 도전성을 가지는 기능성 장갑을 제조함으로써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을 채용하는 스마트폰이나 PDA 등과 같은 단말 장치를 사용할 경우 장갑을 벗지 않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도전성을 가지는 원단 제조 방법 및 그 원단을 이용한 장갑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전성을 가지는 원단을 이용하여 장갑을 제조하되, 원단을 정련(精練) 또는 표백처리 함으로써 염색 가공을 신속하고 균일하게 하여 원활한 작업을 도모하고, 원단의 도전성을 유지하되 기모 처리를 하여 천의 감촉을 부드럽게 하거나 천을 두껍게 하여 제품의 강도를 높이고, 보온력을 상승시켜 장갑 고유의 기능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표면의 마무리를 아름답고 부드럽고 균일하게 하기 위하여 셔링(shirring) 등의 마무리 가공 처리를 하여 상품 가치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도전성을 가지는 원단 제조 방법 및 그 원단을 이용한 장갑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도사를 포함하는 원사를 가로 세로로 편직하여 도전성을 가지는 원단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사는,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및 스판덱스(spandex)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원사는, 70데니어 전도사 5 내지 15중량부, 70데니어 나일론 및 100데니어 나일론이 혼용된 나일론 30 내지 40중량부, 72 또는 75데니어 DTY(Draw Textured Yarn) 및 144 또는 150데니어 DTY가 혼용된 폴리에스테르 45 내지 55중량부 및 30데니어 스판덱스 3 내지 7중량부의 비율로 편직하여 원단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나일론은, 70데니어 나일론 9 내지 19중량부와 100데니어 나일론 16 내지 26중량부가 혼용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72 또는 75데니어 DTY 8 내지 18중량부와 144 또는 150데니어 DTY 32 내지 42 중량부가 혼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각각의 원사를 가로 세로로 편직하여 원단을 제조하되, 상기 각각의 원사는, 70데니어 전도사 5 내지 15중량부, 70데니어 나일론 및 100데니어 나일론이 혼용된 나일론 30 내지 40중량부, 72 또는 75데니어 DTY(Draw Textured Yarn) 및 144 또는 150데니어 DTY가 혼용된 폴리에스테르 45 내지 55중량부 및 30데니어 스판덱스(spandex) 3 내지 7중량부가 포함되어 원단이 제조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제조된 원단이 염색 가공된 후 정련(精練) 또는 표백 공정이 수행되는 단계; 및 (c) 상기 (b)단계의 원단이 기모 처리된 후, 셔링(shirring) 및 열처리되어 장갑 형상으로 마감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나일론은, 70데니어 나일론 9 내지 19중량부와 100데니어 나일론 16 내지 26중량부가 혼용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72 또는 75데니어 DTY 8 내지 18중량부와 144 또는 150데니어 DTY 32 내지 42 중량부가 혼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원사를 일정 비율로 혼용하여 편직 함으로써 도전성을 가지는 원단을 제조하고, 그 원단을 이용하여 도전성을 가지는 기능성 장갑을 제조함으로써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을 채용하는 스마트폰이나 PDA 등과 같은 단말 장치를 사용할 경우 장갑을 벗지 않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도전성을 가지는 원단 제조 방법 및 그 원단을 이용한 장갑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전성을 가지는 원단을 이용하여 장갑을 제조할 때, 원단을 정련(精練) 또는 표백처리 함으로써 염색 가공을 신속하고 균일하게 하여 원활한 작업을 도모하고, 원단의 도전성을 유지하되 기모 처리를 하여 천의 감촉을 부드럽게 하거나 천을 두껍게 하여 제품의 강도를 높이고, 보온력을 상승시켜 장갑 고유의 기능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표면의 마무리를 아름답고 부드럽고 균일하게 하기 위하여 셔링(shirring) 등의 마무리 가공 처리를 하여 상품 가치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도전성을 가지는 원단 제조 방법 및 그 원단을 이용한 장갑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을 가지는 원단을 이용한 장갑의 사용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을 가지는 원단을 이용한 장갑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부호의 설명>
100 : 장갑 200 : 단말기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도전성을 가지는 원단 제조 방법 및 그 원단을 이용한 장갑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을 가지는 원단을 이용한 장갑의 사용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을 가지는 원단을 이용한 장갑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전도사를 포함하는 원사를 가로 세로로 편직하여 도전성을 가지는 원단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을 가지는 원단 제조 방법은 다음의 원사로 제조되는데, 각각의 원사를 가로 세로로 편직하여 원단을 제조하되, 상기 각각의 원사는, 70데니어 나일론 및 100데니어 나일론이 혼용된 나일론 30 내지 40중량부, 72 또는 75데니어 DTY(Draw Textured Yarn) 및 144 또는 150데니어 DTY가 혼용된 폴리에스테르 45 내지 55중량부, 70데니어 전도사 5 내지 15중량부 및 30데니어 스판덱스(spandex) 3 내지 7중량부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이때, 상기 나일론은, 70데니어 나일론 9 내지 19중량부와 100데니어 나일론 16 내지 26중량부가 혼용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72 또는 75데니어 DTY 8 내지 18중량부와 144 또는 150데니어 DTY 32 내지 42 중량부가 혼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70데니어 나일론 14중량부와 100데니어 나일론 21중량부가 혼용된 나일론 35중량부, 72 또는 75데니어 DTY(Draw Textured Yarn) 13중량부 및 144 또는 150데니어 DTY 37중량부가 혼용된 폴리에스테르 50중량부, 70데니어 전도사 10중량부, 30데니어 스판덱스(spandex) 5중량부의 원사들이 가로 세로로 편직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때, 데니어(denier)는 생사(生絲), 인조 견사, 나일론사 따위의 연속 섬유 혹은 단섬유의 굵기를 나타내는 단위로 1데니어는 길이 450미터인 실의 무게가 0.05그램일 때의 굵기로, 무게가 두 배이면 2데니어, 열 배이면 10데니어로 나타낸다. 기호는 D가 쓰인다.
또한, 상기 편직(編織)은 실로 뜨개질한 것처럼 짜는 것을 말하며 상기 편직에 의해 원단이 제조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을 가지는 원단을 이용한 장갑 제조 방법은 먼저, 각각의 원사를 가로 세로로 편직하여 원단을 제조하되, 상기 각각의 원사는, 70데니어 나일론 및 100데니어 나일론이 혼용된 나일론 30 내지 40중량부, 72 또는 75데니어 DTY(Draw Textured Yarn) 및 144 또는 150데니어 DTY가 혼용된 폴리에스테르 45 내지 55중량부, 70데니어 전도사 5 내지 15중량부 및 30데니어 스판덱스(spandex) 3 내지 7중량부가 포함되어 원단을 제조한다(S100).
이때, 상기 나일론은, 70데니어 나일론 9 내지 19중량부와 100데니어 나일론 16 내지 26중량부가 혼용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72 또는 75데니어 DTY 8 내지 18중량부와 144 또는 150데니어 DTY 32 내지 42 중량부가 혼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70데니어 나일론 14중량부와 100데니어 나일론 21중량부가 혼용된 나일론 35중량부, 72 또는 75데니어 DTY(Draw Textured Yarn) 13중량부 및 144 또는 150데니어 DTY 37중량부가 혼용된 폴리에스테르 50중량부, 70데니어 전도사 10중량부, 30데니어 스판덱스(spandex) 5중량부의 원사들이 가로 세로로 편직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 다음, 상기 (S100)단계에서 제조된 원단이 염색 가공된 후 정련(精練) 또는 표백 공정이 수행된다(S200).
이때, 상기 정련 또는 표백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염색 가공을 신속하고 균일하게 하여 원활한 가공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 다음, 상기 (S200)단계의 원단이 기모 처리된 후, 셔링(shirring) 및 열처리되어 장갑(100) 형상으로 마감한다(S300).
이때, 상기 원단을 기모 처리함으로써 원단의 표면에 보풀이 일게 하여 원단의 감촉을 부드럽게 하거나, 원단을 두껍게 보이도록 하여 태를 곱게 하고, 보온력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셔링 작업으로 인하여 마무리를 아름답고 균일하게 하고 열처리로 마무리 함으로써 폭이 정리되어 장갑(100) 형상이 되는 것이다.
상기 도전성을 가지는 원단의 성분은 다음의 [표 1]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표 1
원사명 혼용율 소요량 손실율
나일론 35% 나일론 70 14% 6.89% 0.14
나일론 100 21% 10.33% 0.21
폴리에스테르 50% DTY 75/72 13% 6.40% 0.13
DTY 150/144 37% 37% 0.36
전도사 70 10% 0.10% 0.1
스판덱스30 5% 0.05% 0.05
도전성을 가지는 원단은 상기 [표1]에서와 같은 혼용율 및 비율로 편직 되었을 때 그 효능이 가장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각각의 원사를 일정 비율로 혼용하여 편직 함으로써 도전성을 가지는 원단을 제조하고, 그 원단을 이용하여 도전성을 가지는 기능성 장갑(100)을 제조함으로써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채용하는 스마트폰이나 PDA 등과 같은 단말기(200)를 사용할 경우 장갑(100)을 벗지 않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도 1에서와 같이, 장갑(100)을 착용한 채 정전식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단말기(200)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장갑(100)은 도전성을 가지는 원단으로 제조됨에 따라 도전성을 유지하되 디자인을 포함하는 외관은 어떤 형식으로든 변형될 수 있는 것이 자명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전도사를 포함하는 원사를 가로 세로로 편직하여 도전성을 가지는 원단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을 가지는 원단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사는,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및 스판덱스(spandex)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원사는,
    70데니어 전도사 5 내지 15중량부, 70데니어 나일론 및 100데니어 나일론이 혼용된 나일론 30 내지 40중량부, 72 또는 75데니어 DTY(Draw Textured Yarn) 및 144 또는 150데니어 DTY가 혼용된 폴리에스테르 45 내지 55중량부 및 30데니어 스판덱스 3 내지 7중량부의 비율로 편직하여 원단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을 가지는 원단 제조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나일론은,
    70데니어 나일론 9 내지 19중량부와 100데니어 나일론 16 내지 26중량부가 혼용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72 또는 75데니어 DTY 8 내지 18중량부와 144 또는 150데니어 DTY 32 내지 42 중량부가 혼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을 가지는 원단 제조 방법.
  4. (a) 각각의 원사를 가로 세로로 편직하여 원단을 제조하되, 상기 각각의 원사는, 70데니어 전도사 5 내지 15중량부, 70데니어 나일론 및 100데니어 나일론이 혼용된 나일론 30 내지 40중량부, 72 또는 75데니어 DTY(Draw Textured Yarn) 및 144 또는 150데니어 DTY가 혼용된 폴리에스테르 45 내지 55중량부 및 30데니어 스판덱스(spandex) 3 내지 7중량부가 포함되어 원단이 제조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제조된 원단이 염색 가공된 후 정련(精練) 또는 표백 공정이 수행되는 단계; 및
    (c) 상기 (b)단계의 원단이 기모 처리된 후, 셔링(shirring) 및 열처리되어 장갑 형상으로 마감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도전성을 가지는 원단을 이용한 장갑 제조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나일론은,
    70데니어 나일론 9 내지 19중량부와 100데니어 나일론 16 내지 26중량부가 혼용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72 또는 75데니어 DTY 8 내지 18중량부와 144 또는 150데니어 DTY 32 내지 42 중량부가 혼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을 가지는 원단을 이용한 장갑 제조 방법.
PCT/KR2012/006126 2011-08-30 2012-08-01 도전성을 가지는 원단 제조 방법 및 그 원단을 이용한 장갑 제조 방법 WO2013032141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280039783.3A CN103732817A (zh) 2011-08-30 2012-08-01 具有导电性的布料制造方法及利用该布料的手套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169A KR101208100B1 (ko) 2011-08-30 2011-08-30 도전성을 가지는 원단 제조 방법 및 그 원단을 이용한 장갑 제조 방법
KR10-2011-0087169 2011-08-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32141A1 true WO2013032141A1 (ko) 2013-03-07

Family

ID=47756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6126 WO2013032141A1 (ko) 2011-08-30 2012-08-01 도전성을 가지는 원단 제조 방법 및 그 원단을 이용한 장갑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208100B1 (ko)
CN (1) CN103732817A (ko)
WO (1) WO201303214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63674A (zh) * 2014-09-12 2016-04-06 常熟神花针织有限公司 纬编超柔软针织面料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520B1 (ko) * 2012-12-20 2013-11-04 이상돈 터치기능을 갖는 장갑의 제조방법 및 그 장갑
KR101285798B1 (ko) 2013-01-10 2013-07-12 주식회사 대호데크론 전도성 장갑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487Y1 (ko) * 2000-09-14 2001-03-15 신윤자 도전성 장갑
KR200321270Y1 (ko) * 2003-04-24 2003-07-31 강문수 도전성 직물
KR100980235B1 (ko) * 2008-01-08 2010-09-06 김점석 도전성이 극대화된 도전성 직물, 그 제조방법 및 도전성 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그리퍼
KR101033508B1 (ko) * 2010-12-06 2011-05-09 박명술 날개사가 구비된 도전성 실과 도전성 실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직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75778A1 (en) * 2000-04-03 2001-10-11 Brunel University Conductive pressure sensitive textile
JP2013503270A (ja) * 2009-08-27 2013-01-31 トーツ アイソトナー コーポレイション 指先部が導電性の手袋
CN201758810U (zh) * 2010-04-02 2011-03-16 李顺植 触屏感应手套
CN102002791B (zh) * 2010-11-29 2011-09-28 武汉纺织大学 一种感触电子织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487Y1 (ko) * 2000-09-14 2001-03-15 신윤자 도전성 장갑
KR200321270Y1 (ko) * 2003-04-24 2003-07-31 강문수 도전성 직물
KR100980235B1 (ko) * 2008-01-08 2010-09-06 김점석 도전성이 극대화된 도전성 직물, 그 제조방법 및 도전성 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그리퍼
KR101033508B1 (ko) * 2010-12-06 2011-05-09 박명술 날개사가 구비된 도전성 실과 도전성 실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직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63674A (zh) * 2014-09-12 2016-04-06 常熟神花针织有限公司 纬编超柔软针织面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8100B1 (ko) 2012-12-04
CN103732817A (zh) 2014-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77003B (zh) 一种将手机返回键、home键和菜单键合并的方法及装置
WO2014017749A1 (ko) 자기장의 변화와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터치 입력 장치
WO2013032141A1 (ko) 도전성을 가지는 원단 제조 방법 및 그 원단을 이용한 장갑 제조 방법
WO2015154465A1 (zh) 一种具有扩展按键的终端
CN105094322A (zh) 触控手套及智能可穿戴系统
TW201305887A (zh) 用於操作一電容式觸控面板之指套及具有該指套之手套
CN107167180A (zh) 一种弹性纤维传感器及其制备方法
CN117229536B (zh) 一种聚噻吩改性腈纶浆粕导电复合胶乳涂层手套的制备方法
CN207109205U (zh) 一种防辐射真丝面料
CN106775284A (zh) 信息处理的方法及电子设备
KR20160139855A (ko) 터치 패널용 원단의 제조방법
CN202351840U (zh) 电容式触控面板
WO2020017748A1 (ko) 정전용량방식(pacp) 및 전자기유도방식(emr)을 융합한 터치 센서
CN101819467B (zh) 一种刺绣型全织物键盘
WO2012077893A1 (ko) 날개사가 구비된 도전성 실과 도전성 실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직물
CN102920072A (zh) 用于操作电容式触控面板的指套及具有该指套的手套
CN103685656B (zh) 电容触控屏手机
Liang et al. A multifunctional helical fiber operated in non-contact/contact dual-mode sensing aiming for HMI/VR applications
CN207458008U (zh) 具有指纹识别功能的显示屏及触控设备
CN203563727U (zh) 一种触摸屏手套
KR101332831B1 (ko) 전도성 가죽원단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전도성 가죽원단 및 이를 이용한 전도성 가죽장갑
CN203007546U (zh) 一种防辐射织物
CN202354425U (zh) 触摸屏手套
CN202498787U (zh) 一种新型抗菌触屏纱布
CN202956749U (zh) 电容式触控面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82700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282700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