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3508B1 - 날개사가 구비된 도전성 실과 도전성 실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직물 - Google Patents

날개사가 구비된 도전성 실과 도전성 실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3508B1
KR101033508B1 KR1020100123290A KR20100123290A KR101033508B1 KR 101033508 B1 KR101033508 B1 KR 101033508B1 KR 1020100123290 A KR1020100123290 A KR 1020100123290A KR 20100123290 A KR20100123290 A KR 20100123290A KR 101033508 B1 KR101033508 B1 KR 101033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examination
point
yarn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3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길
박명술
Original Assignee
박명술
이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명술, 이상길 filed Critical 박명술
Priority to KR1020100123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35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3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3508B1/ko
Priority to PCT/KR2011/006756 priority patent/WO201207789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1Yarns or threads with antistatic, conductive or radiation-shielding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Gloves (AREA)

Abstract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을 채용하는 전자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장갑을 하나의 연속된 과정에 의해 제조되도록 하는 도전성 실, 도전성 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작되는 직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실은 도전성 재질의 원사로 이루어지는 제1심사 및 제2심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심사 및 제2심사가 상호 교차되도록 하고 상호 교차되는 지점 사이에 제1심사 및 제2심사에 의해 원형 또는 타원형의 공간이 형성된 심사;
상기 제1심사와 제2심사의 교차되는 제1지점에서 제1심사 및 제2심사의 사이에 상기 제1심사 및 제2심사보다 가는 두께의 도전성 재질의 날개사를 일측에서 끼우고 상기 제1심사 및 제2심사가 교차되는 제2지점에서 상기 날개사가 다른 일측에서 끼워진 후 상기 일측의 나오도록 하여 상기 제1심사 및 제2심사에 의해 조여 고정되며 상기 제1심사 및 제2심사가 형성하는 축에 평행하게 절단된 제1날개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날개사가 구비된 도전성 실과 도전성 실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직물{A method and thread for producing conductive thread with wing thread}
본 발명은 도전성 실, 도전성 실의 제조 방법 및 도전성 실에 의해 제조되는 직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전성 재질의 원사를 이용하여 도전성 실을 제조하는 방법과 상기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도전성 실 및 상기의 도전성 실에 의해 제조되는 직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장치의 입력 장치로 터치스크린이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터치스크린은 컴퓨터나 게임기 등에 이미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용 전자장치에 채용됨에 따라 종래 마우스나 키보드 등을 대체하는 새로운 입력장치로 자리 잡고 있다.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입력장치는 터치스크린을 터치하는 지점을 정확하게 인식하는 것이 핵심기술로 터치 지점을 인식하는 방식에 따라 저항막 방식, 표면음파 방식, 정전용량 방식 등 다양한 인식 방식이 있다
도 1은 저항막 방식 터치스크린의 작동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저항막 방식은 대표적인 터치스크린 작동 방식 중 하나로 도체막 두 개를 서로 접촉시키면 전기 통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도체막 사이에 절연층(통상적으로 공기가 이용됨)을 형성하여 도체막이 눌러지면 눌려진 부위에서 전기가 통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저항이 변하는 위치를 계산하여 터치되는 지점을 알아내게 된다.
그런데 저항막 방식의 경우 반드시 도체막이 눌려져야 하므로 도체막은 통상 부드러운 소재로서 압력을 받았을 때 변형이 가능한 재질을 이용한다. 이에 따라 반복적으로 압력을 받는 경우, 도체막 표면이 손상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 표면음파 방식 터치스크린으로 도 2는 표면음파 방식 터치스크린의 작동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표면음파 터치스크린은 소리나 빛을 일정한 방향으로 입사한 후 특정 지점 즉, 터치 지점에서 펜 또는 손 등의 장애물을 만나면 파동의 변화가 생기고 그 변화를 감지하여 장애물의 위치 즉, 터치 지점의 위치를 인식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표면음파 터치스크린의 경우 장애물의 크기에 따라 터치 지점의 위치를 인식하는 해상도가 결정되므로 큰 크기의 터치스크린에는 유용하나 작은 크기의 터치스크린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핸드폰 등)에는 적합하지 않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스크린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다른 방식으로 휴대 단말기에 최근 주로 이용되고 있는 것이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이다.
도 3은 정전용량 방식 터치스크린 작동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은 두 도체판 사이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터치 지점의 위치를 인식하는 방식이다.
즉, 그림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면의 도체판의 특정 지점(터치 지점)을 터치하는 경우 손가락의 유전율에 의해 터치 지점에서의 정전용량이 변화게 되며 이에 따라 전기장 역시 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기장이 변화된 지점을 인식하여 터치 지점을 인식하게 된다.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은 인간의 몸이 전기장에 영향을 주는 도체라는 것에 착안하여 이를 터치스크린에 이용하는 것이다.
그런데 정전용량 방식의 경우, 반드시 도체의 접촉이 요구된다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부도체인 고무, 비도전성 섬유로 터치하는 경우 정전용량이 변하지 않으므로 전기장 역시 변하지 않으므로 터치 지점을 인식할 수 없다.
한편 최근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을 채용하는 휴대용 단말기가 급속하게 보급되고 있는데, 사용자가 장갑을 끼고 있는 경우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을 채용한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장갑을 벗어야 하므로 여간 불편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기온이 낮은 지역이나 겨울철에도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이 채용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미국공개특허 US2009-0000010(공개일:2009.01.01)에는 장갑의 손가락부의 끝부분에 도전성을 가진 재질을 덧된 구조의 장갑이 개시되어 있다.
도 5는 미국공개특허 US2009-0000010에 따른 도전성 영역을 가지는 장갑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따른 장갑은 손가락 끝 부분에 도전성을 가진 재질이 덧되어져 있으므로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을 이용하는 경우 손가락 끝 부분으로 터치하면 도전성 재질에 의해 정전용량이 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전기장이 변하게 되므로 장갑을 벗지 않고도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장갑의 경우, 손가락 끝 부분에 도전성을 가진 재질을 덧되는 구조이므로 손가락 끝 부분이 아닌 손가락면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이는 손가락면과 손가락 끝 부분 모두에 도전성 재질을 덧붙이는 것에 의해 해결 가능하다.
그러나 이 경우 장갑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도전성을 가지지 않는 재질의 실로 장갑을 제작하는 중간에 도전성을 가지는 재질의 실로 교체하여야 하거나 또는 도전성을 가지지 않는 재질의 실로 장갑을 완성한 후, 도전성 재질을 덧되는 별도의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장갑 제조 공정이 증가하고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을 채용하는 전자장치의 사용하는 경우에도 장갑을 벗지않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직물, 일 예로 장갑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을 채용하는 전자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장갑을 하나의 연속된 과정에 의해 제조되도록 하는 도전성 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을 채용하는 전자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장갑을 하나의 연속된 과정에 의해 제조되도록 하는 도전성 실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개사가 구비된 도전성 실 제조 방법은,
도전성 재질의 원사로 이루어지는 제1심사 및 제2심사를 상호 교차되도록 하고 상호 교차되는 지점 사이에 제1심사 및 제2심사에 의해 원형 또는 타원형의 공간이 형성되는 하는 심사 편직 단계;
상기 제1심사와 제2심사가 교차되는 제1지점에서 제1심사 및 제2심사의 사이에 상기 제1심사 및 제2심사보다 가는 두께의 도전성 재질의 원사로 이루어진 제1날개사를 일측에서 끼우고 상기 제1심사 및 상기 제2심사가 교차되는 제2지점에서 상기 날개사가 다른 일측에서 끼워진 후 상기 일측의 방향으로 나오도록 제1날개사를 편직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날개사를 끼운 후 상기 제1심사 및 제2심사를 조여 상기 제1날개사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심사 편직 단계는,
두 개의 도전성 재질의 원사를 상호 교차되도록 하며 상기 교차되는 지점 사이에 원형 또는 타원형의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제1심사를 편직하는 제1심사 편직 단계;
두 개의 도전성 재질의 원사를 상호 교차되도록 하며 상기 교차되는 지점 사이에 원형 또는 타원형의 소정의 공간을 제1심사에 형성되는 소정의 공간과 소정의 각도로 형성하고 상기 제1심사의 교차되는 지점과 제2심사의 교차되는 지점사이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제2심사를 상기 제1심사 편직 단계와 동시에 수행하는 제2심사 편직 단계를 더 포함하거나,
상기 제1심사 및 제2심사에 각각 평행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심사 및 제2심사를 편직하여 배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날개사를 편직하는 단계는,
상기 제1날개사가 편직되는 동일한 과정이나 상기 제1날개사와 반대의 방향으로 상기 제1심사 및 제2심사가 교차되는 제3지점에서 끼워져 결합되고 제4지점에서 끼워져 결합되어 나오는 제2날개사를 편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날개사를 고정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제1심사 및 제2심사에 의해 형성되는 축에 대칭으로 상기 제1 및 제2날개사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한편 상기 소정 길이로 절단된 제1 및 제2날개사와 제1심사 및 제2심사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실로 직물을 편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개사가 구비된 도전성 실은,
도전성 재질의 원사로 이루어지는 제1심사 및 제2심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심사 및 제2심사가 상호 교차되도록 하고 상호 교차되는 지점 사이에 제1심사 및 제2심사에 의해 원형 또는 타원형의 공간이 형성된 심사;
상기 제1심사와 제2심사의 교차되는 제1지점에서 제1심사 및 제2심사의 사이에 상기 제1심사 및 제2심사보다 가는 두께의 도전성 재질의 날개사를 일측에서 끼우고 상기 제1심사 및 제2심사가 교차되는 제2지점에서 상기 날개사가 다른 일측에서 끼워진 후 상기 일측의 방향으로 나오도록 하여 상기 제1심사 및 제2심사에 의해 조여 고정되며 상기 제1심사 및 제2심사가 형성하는 축에 평행하게 절단된 제1날개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날개사가 구비된 도전성 실은,
도전성 재질의 원사로 이루어지는 제1심사 및 제2심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심사 및 제2심사가 상호 교차되도록 하고 상호 교차되는 지점 사이에 제1심사 및 제2심사에 의해 원형 또는 타원형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심사 및 제2심사가 적어도 둘 이상 각각 평행하게 배열된 심사; 및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제1심사와 제2심사의 각각이 교차되는 제1지점에서 제1심사 및 제2심사의 사이에 상기 제1심사 및 제2심사보다 가는 두께의 도전성 재질의 날개사를 일측에서 끼우고 상기 제1심사 및 제2심사가 교차되는 제2지점에서 상기 날개사가 다른 일측에서 끼워진 후 상기 일측의 방향으로 나오도록 하여 상기 제1심사 및 제2심사에 의해 조여 고정되며 상기 제1심사 및 제2심사가 형성하는 축에 평행하게 절단된 제1날개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1심사는 두 개의 도전성 재질의 원사를 상호 교차되도록 하며 상기 교차되는 지점 사이에 원형 또는 타원형의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편직되고,
상기 제2심사는 두 개의 도전성 재질의 원사를 상호 교차되도록 하며 상기 교차되는 지점 사이에 원형 또는 타원형의 소정의 공간을 제1심사에 형성되는 소정의 공간과 소정의 각도로 형성하고 상기 제1심사의 교차되는 지점과 제2심사의 교차되는 지점사이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편직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날개사가 편직되는 동일한 과정이나 상기 제1날개사와 반대의 방향으로 상기 제1심사 및 제2심사가 교차되는 제3지점에서 끼워져 결합되고 제4지점에서 끼워져 결합되어 나오는 제2날개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은 본 발명의 도전성 실로 편직되는 도전성 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도전성 직물은 일 예로, 장갑 또는 상기 도전성 실로 제조된 장갑에 편직된 무늬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실에 의해 제조되는 장갑은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을 채용하는 전자장치의 사용하는 경우에도 장갑을 벗지않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실에 의해 제조되는 장갑은 도전성의 재질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 별도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하나의 연속된 과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어 장갑 제조 과정이 단순해진다.
도 1은 저항막 방식 터치스크린의 작동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표면음파 방식 터치스크린 작동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정전용량 방식 터치스크린 작동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도전성 영역을 가지는 장갑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실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실을 제조하는 과정 중 심사를 편직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실을 제조하는 과정 중 심사와 날개사의 편직이 완료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실을 확대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실의 구조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실에서 심사와 날개사의 결합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실, 도전성 실의 제조 과정을 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단, 하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실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으로, 특히 복수의 심사에 날개사를 끼워 결합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먼저 제1심사(510) 및 제2심사(520)를 통상의 편직기에 의해 편직한다. 이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심사(510) 및 제2심사(520)을 서로 평행하게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개사(530)를 제1심사(510) 및 제2심사(520)의 사이에 끼워 결합하는데, 이때 각 날개사(530)가 제1심사(510) 및 제2심사(520)의 사이에 끼워지기 시작하는 방향과 끼워진 후 나오는 방향이 일치하도록 한다.
즉, 도 5에서 날개사(530)가 A방향에서 B방향으로 끼워져서 최초의 제1심사(510) 및 제2심사(520)에 결합한다고 하면 중간의 제1심사(510) 및 제2심사(520)도 동일한 방향으로 끼워지고 마지막 심사인 제1심사(510) 및 제2심사(520)에 끼워진 후 B방향에서 A방향으로 다시 마지막의 제1심사(510) 및 제2심사(520)에 끼워져 나온 후 동일한 방향으로 중간의 제1심사(510) 및 제2심사(520)들에게도 끼워져 나온 후 최초의 제1심사(510) 및 제2심사(520)에 끼워져 결합되어 A방향으로 나오면 날개사(530)가 심사에 결합되는 것이 완료된다.
만일 다른 날개사(530')와 같이 B방향에서 제1심사(510) 및 제2심사(520)에 끼워져 결합된다고 하면, 날개사(530)와 같은 동일한 과정이나 반대의 방향으로 제1심사(510) 및 제2심사(520)에 결합되어 최종적으로 B방향으로 날개사(530')가 제1심사(510) 및 제2심사(520)에 끼워져 나와 날개사(530')가 심사에 결합되는 것이 완료된다.
한편 도 5에서는 날개사(530)와 날개사(530')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심사에 결합되는 것으로 표시되는데, 편직기를 조절함에 따라 동일한 위치에서 결합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지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걸쳐 심사와 날개사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실의 구조는 그물망 형태로 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실의 형태로서는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실의 형상을 가지도록 하기 위하여 날개사를 절단하는 과정이 추가로 수행된다.
즉, 절단기(일 예로 칼날)로 절단위치 T에 대하여 날개사(530)와 날개사(530')를 절단하면 날개사(530)와 날개사(530')의 길이가 제1심사(510) 및 제2심사(520)으로 이루어지는 심사에 대칭하게 절단된다.
날개사는 심사에 좌우 대칭으로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비대칭으로 절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위에서 실시 예에서는 날개사가 심사에 대하여 양측으로 결합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심사의 일측에만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B방향에서 A방향으로 심사에 결합되는 날개사(530')가 없이 A방향에서 B방향으로 심사에 결합되는 날개사(530)만으로 날개사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날개사(530, 530')가 절단되면 심사에 날개사(530, 530')가 날개 모양으로 부착된 도전성 실이 만들어지고 도전성 실은 이후 필요한 따라 다양한 형상의 직물을 제조하는데 이용된다.
일 예로 장갑을 제조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실로 장갑을 제조하는 경우 종래 장갑에 도전성을 구비하도록 하기 위하여 통상의 실로 편직한 후 장갑의 특정 위치 예를 들어, 손가락의 안쪽 끝 부분이나 손가락의 끝 부분 등을 편직할 때는 별도의 도전성을 가지는 실로 교체한 후 다시 편직하여야 하는 제조 과정상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실로 장갑을 제조하는 경우 장갑 전체가 도전성을 지니므로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을 채용하고 있는 휴대기기를 장갑을 낀 채로 제어하는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실을 제조하는 과정 중 심사를 편직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서 각 심사는 두 개의 원사로 이루어지는데 그 자세한 구조는 도 9 및 도 10에서 설명되므로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1심사(610) 및 제2심사(620)는 비록 두 개의 도전성 원사가 상호 교차되는 구조로 교차되는 지점 사이에 원형 또는 타원형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제1심사(610) 및 제2심사(620)는 그 중심축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면서 그 교차 지점이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하면서 두 개의 원사로 심사를 편직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편직기에 의해 편직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편직된 제1심사(610) 및 제2심사(620)는 이후 날개사가 편직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실을 제조하는 과정 중 심사와 날개사의 편직이 완료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서 도 6의 편직과정을 거친 제1심사(610) 및 제2심사(620)가 편직된 심사(710)에 날개사(720)가 끼워져 결합되어 있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이후 각 날개사(720)는 절단위치 T에서 각 심사(710)의 중심축에 대칭되게 절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을 편직하기 위한 도전성 실로 사용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실을 확대한 것으로 심사(810)에 날개사(820)가 결합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날개사(820)가 심사(810)에 대하여 비대칭으로 절단되어 있는 예에 관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실의 심사에 날개사가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실에서 심사와 날개사의 결합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심사(1010)는 두 개의 도전성 원사(1011, 1012)가 상호 교차되는 구조이고, 동일하게 제2심사(1020) 역시 두 개의 도전성 원사(1021, 1022)가 상호 교차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한편 각각의 두 개의 원사(1011, 1012, 1021, 1022)가 교차되는 지점 C1, C2와 C1', C2'사이에는 원형 또는 타원형이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원형 또는 타원형의 공간은 도 10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하여 크게 도시하였으나 편직기에 편직되는 경우에는 편직기 바늘이 통과될 수 있을 정도로 미세함에 유의하여야 한다.
다른 한편으로 두 개의 심사(1010, 1020)은 두 개의 원사로 심사로 편직하는 방식과 동일하게 편직하게 되는데 차이점은 각 심사의 원사가 교차하는 지점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는 것이다.
상기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하는 이유는 상기 이격된 공간에 날개사를 끼워 결합하는 것이 날개사를 심사에 고정하기에 가장 적합하기 때문이다.
즉, 날개사(1030, 1040)을 이격된 공간(S1, S2, S3)에 끼운 후 심사를 잡아당기게 되면 이격된 공간이 줄어들면서 날개사(1030, 1040)와 심사(1010, 1020)가 밀착되게 되어 날개사(1030, 1040)가 심사(1010, 1020)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날개사(1030, 1040)가 심사(1010, 1020)에 결합되는 위치가 동일한 지점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즉, S1 지점에서 제1날개사(1030)은 A방향에서 B방향으로 심사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고, 제2날개사(1040)는 B방향에서 A방향으로 심사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방안으로 각 날개사(1030, 1040)가 심사(1010, 1020)에 결합되는 위치가 원형 또는 타원형의 공간 하나의 차이만큼 이격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S1 지점에서 제1날개사(1030)은 A방향에서 B방향으로 심사(1010, 1020)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고, S2 지점에서 B방향에서 A방향으로 심사(1010, 1020)에 끼워진 후 나오게 되며, 제2날개사(1040')는 S2 지점에서 B방향에서 A방향으로 심사(1010, 1020)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고 S3지점에서 A방향에서 B방향으로 심사(1010, 1020)에 끼워진 후 나오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날개사(1030, 1040)가 심사(1010, 1020)에 끼워져 결합되는 시작 위치와 끼워져 결합되어 나오는 최종위치를 가변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날개사(1030)가 심사(1010, 1020)에 결합되는 시작 위치와 최종 위치가 원형 또는 타원형의 공간 두 개만큼 이격되어 있다고 하고 제1날개사(1030)이 심사(1010, 1020)에 결합되는 시작 위치가 S1이라고 하면 결합되는 최종 위치는 S3이 되는 것이다.
도 9는 상기에서 설명한 날개사와 심사의 위치 및 날개사와 날개사 사이가 가변적인 것을 예시한 것이다.
즉, 제1심사(910) 및 제2심사(920)에 제1날개사(930) 및 제2날개사(940)이 같은 위치에서 결합하는 방식이 있을 수 있고, 다른 방식으로 제1날개사(930')와 제2날개사(940')가 원형 또는 타원형의 공간 하나를 두고 결합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510: 제1심사 520: 제2심사
530, 530': 날개사 T: 날개사 절단위치
610: 제1심사 620: 제2심사
710: 심사 720: 날개사
730: 보조 심사
810: 심사 820: 날개사
910: 제1심사 920: 제2심사
930, 930': 제1날개사
940, 940': 제2날개사
1010: 제1심사
1011: 제1심사 제1원사 1012: 제1심사 제2원사
1020: 제2심사
1021: 제2심사 제1원사 1022: 제2심사 제2원사
1030: 제1날개사 1040, 1040': 제2날개사
S1, S2, S3: 심사에 날개사가 결합되는 위치

Claims (23)

  1. 도전성 재질의 원사로 이루어지는 제1심사 및 제2심사를 상호 교차되도록 하고 상호 교차되는 지점 사이에 제1심사 및 제2심사에 의해 원형 또는 타원형의 공간이 형성되는 하는 심사 편직 단계;
    상기 제1심사와 제2심사가 교차되는 제1지점에서 제1심사 및 제2심사의 사이에 상기 제1심사 및 제2심사보다 가는 두께의 도전성 재질의 원사로 이루어진 제1날개사를 일측에서 끼우고 상기 제1심사 및 상기 제2심사가 교차되는 제2지점에서 상기 날개사가 다른 일측에서 끼워진 후 상기 일측의 방향으로 나오도록 제1날개사를 편직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날개사를 끼운 후 상기 제1심사 및 제2심사를 조여 상기 제1날개사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실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사 편직 단계는,
    두 개의 도전성 재질의 원사를 상호 교차되도록 하며 상기 교차되는 지점 사이에 원형 또는 타원형의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제1심사를 편직하는 제1심사 편직 단계;
    두 개의 도전성 재질의 원사를 상호 교차되도록 하며 상기 교차되는 지점 사이에 원형 또는 타원형의 소정의 공간을 제1심사에 형성되는 소정의 공간과 소정의 각도로 형성하고 상기 제1심사의 교차되는 지점과 제2심사의 교차되는 지점사이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제2심사를 상기 제1심사 편직 단계와 동시에 수행하는 제2심사 편직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실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사 편직 단계는,
    상기 제1심사 및 제2심사에 각각 평행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심사 및 제2심사를 편직하여 배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실 제조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날개사를 편직하는 단계는,
    상기 제1날개사가 편직되는 동일한 과정이나 상기 제1날개사와 반대의 방향으로 상기 제1심사 및 제2심사가 교차되는 제3지점에서 끼워져 결합되고 제4지점에서 끼워져 결합되어 나오는 제2날개사를 편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실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점과 제3지점은 동일한 위치이며 제2지점과 제4지점이 동일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실 제조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점과 제3지점, 제2지점과 제4지점은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형 또는 타원형 공간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실 제조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점과 제2지점, 제3지점과 제4지점은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형 또는 타원형 공간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실 제조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날개사를 고정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제1심사 및 제2심사에 의해 형성되는 축에 대칭으로 상기 제1 및 제2날개사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실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길이로 절단된 제1 및 제2날개사와 제1심사 및 제2심사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실로 직물을 편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실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실로 제조된 직물은 장갑 또는 상기 도전성 실로 제조된 장갑에 편직된 무늬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실 제조 방법.
  11. 도전성 재질의 원사로 이루어지는 제1심사 및 제2심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심사 및 제2심사가 상호 교차되도록 하고 상호 교차되는 지점 사이에 제1심사 및 제2심사에 의해 원형 또는 타원형의 공간이 형성된 심사;
    상기 제1심사와 제2심사의 교차되는 제1지점에서 제1심사 및 제2심사의 사이에 상기 제1심사 및 제2심사보다 가는 두께의 도전성 재질의 날개사를 일측에서 끼우고 상기 제1심사 및 제2심사가 교차되는 제2지점에서 상기 날개사가 다른 일측에서 끼워진 후 상기 일측의 방향으로 나오도록 하여 상기 제1심사 및 제2심사에 의해 조여 고정되며 상기 제1심사 및 제2심사가 형성하는 축에 평행하게 절단된 제1날개사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실.
  12. 도전성 재질의 원사로 이루어지는 제1심사 및 제2심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심사 및 제2심사가 상호 교차되도록 하고 상호 교차되는 지점 사이에 제1심사 및 제2심사에 의해 원형 또는 타원형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심사 및 제2심사가 적어도 둘 이상 각각 평행하게 배열된 심사; 및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제1심사와 제2심사의 각각이 교차되는 제1지점에서 제1심사 및 제2심사의 사이에 상기 제1심사 및 제2심사보다 가는 두께의 도전성 재질의 날개사를 일측에서 끼우고 상기 제1심사 및 제2심사가 교차되는 제2지점에서 상기 날개사가 다른 일측에서 끼워진 후 상기 일측의 방향으로 나오도록 하여 상기 제1심사 및 제2심사에 의해 조여 고정되며 상기 제1심사 및 제2심사가 형성하는 축에 평행하게 절단된 제1날개사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실.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심사는 두 개의 도전성 재질의 원사를 상호 교차되도록 하며 상기 교차되는 지점 사이에 원형 또는 타원형의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편직되고,
    상기 제2심사는 두 개의 도전성 재질의 원사를 상호 교차되도록 하며 상기 교차되는 지점 사이에 원형 또는 타원형의 소정의 공간을 제1심사에 형성되는 소정의 공간과 소정의 각도로 형성하고 상기 제1심사의 교차되는 지점과 제2심사의 교차되는 지점사이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편직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날개사가 편직되는 동일한 과정이나 상기 제1날개사와 반대의 방향으로 상기 제1심사 및 제2심사가 교차되는 제3지점에서 끼워져 결합되고 제4지점에서 끼워져 결합되어 나오는 제2날개사가 더 포함되는 도전성 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점과 제2지점 또는 제3지점과 제4지점의 간격은 적어도 하나의 원형 또는 타원형의 공간인 도전성 실.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점과 제3지점은 동일한 위치이며 제2지점과 제4지점이 동일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실.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점과 제3지점, 제2지점과 제4지점은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형 또는 타원형 공간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실.
  18. 제11항 또는 제12항의 도전성 실로 편직되는 직물.
  19. 제13항의 도전성 실로 편직되는 직물.
  20. 제14항의 도전성 실로 편직되는 직물.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실로 편직되는 직물은 장갑 또는 상기 도전성 실로 제조된 장갑에 편직된 무늬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실로 편직되는 직물.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실로 편직되는 직물은 장갑 또는 상기 도전성 실로 제조된 장갑에 편직된 무늬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실로 편직되는 직물.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실로 편직되는 직물은 장갑 또는 상기 도전성 실로 제조된 장갑에 편직된 무늬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실로 편직되는 직물.
KR1020100123290A 2010-12-06 2010-12-06 날개사가 구비된 도전성 실과 도전성 실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직물 KR101033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290A KR101033508B1 (ko) 2010-12-06 2010-12-06 날개사가 구비된 도전성 실과 도전성 실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직물
PCT/KR2011/006756 WO2012077893A1 (ko) 2010-12-06 2011-09-14 날개사가 구비된 도전성 실과 도전성 실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직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290A KR101033508B1 (ko) 2010-12-06 2010-12-06 날개사가 구비된 도전성 실과 도전성 실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직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3508B1 true KR101033508B1 (ko) 2011-05-09

Family

ID=44365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3290A KR101033508B1 (ko) 2010-12-06 2010-12-06 날개사가 구비된 도전성 실과 도전성 실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직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33508B1 (ko)
WO (1) WO2012077893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008B1 (ko) * 2011-07-27 2012-05-22 주식회사 아이지테크 스마트폰용 장갑
KR101208100B1 (ko) * 2011-08-30 2012-12-04 주식회사 대호데크론 도전성을 가지는 원단 제조 방법 및 그 원단을 이용한 장갑 제조 방법
KR20140014767A (ko) * 2012-07-26 2014-02-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 직물 기반의 경사각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및 그 방법
KR101393399B1 (ko) 2013-05-24 2014-05-13 이창우 고신축성 날개사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7829A (ko) * 1986-12-29 1988-08-29 김재욱 장식사(Fancy Yarn),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20100004915U (ko) * 2008-11-04 2010-05-13 주식회사 선진 메탈릭얀을 이용한 편조 날개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8548A (en) * 1991-11-22 1993-09-28 Memtec America Corporation Stainless steel yarn and protective garments
KR200215487Y1 (ko) * 2000-09-14 2001-03-15 신윤자 도전성 장갑
WO2008114296A1 (en) * 2007-03-22 2008-09-25 Carraro S.R.L. Engineered textile yar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7829A (ko) * 1986-12-29 1988-08-29 김재욱 장식사(Fancy Yarn),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20100004915U (ko) * 2008-11-04 2010-05-13 주식회사 선진 메탈릭얀을 이용한 편조 날개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008B1 (ko) * 2011-07-27 2012-05-22 주식회사 아이지테크 스마트폰용 장갑
KR101208100B1 (ko) * 2011-08-30 2012-12-04 주식회사 대호데크론 도전성을 가지는 원단 제조 방법 및 그 원단을 이용한 장갑 제조 방법
WO2013032141A1 (ko) * 2011-08-30 2013-03-07 주식회사 대호데크론 도전성을 가지는 원단 제조 방법 및 그 원단을 이용한 장갑 제조 방법
CN103732817A (zh) * 2011-08-30 2014-04-16 株式会社大虎合成纤维 具有导电性的布料制造方法及利用该布料的手套制造方法
KR20140014767A (ko) * 2012-07-26 2014-02-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 직물 기반의 경사각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및 그 방법
KR101940492B1 (ko) * 2012-07-26 2019-04-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 직물 기반의 경사각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및 그 방법
KR101393399B1 (ko) 2013-05-24 2014-05-13 이창우 고신축성 날개사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77893A1 (ko) 201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82668B (zh) 觸壓式三維信號輸入裝置、多功能觸控面板及其偵測方法
KR101474733B1 (ko) 개선된 패턴 구조를 갖는 지문 인식 일체형 정전용량 터치스크린
KR101432988B1 (ko) 지문 인식 일체형 정전용량 터치스크린
US9395830B2 (en) Wired electrode of touch screen panel
US10048820B2 (en) Touch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033508B1 (ko) 날개사가 구비된 도전성 실과 도전성 실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직물
TWI541687B (zh) 觸碰螢幕電極組態
US20140118635A1 (en) Touch screen having mesh patterned electrodes
TWI461999B (zh) 互容式觸控感應裝置及包含其之互容式觸控感應電子系統
KR102221548B1 (ko) 터치 패널 표시 장치
TW201447710A (zh) 觸控屏
US20120194459A1 (en) Touch window obtaining coordinate position on boundary portion of view area and method thereof
US20160378256A1 (en) Touch window and touch device
CN106990852A (zh) 输入装置以及电子设备
TWM529883U (zh) 壓力感測裝置
US20140002177A1 (en) Switch Device
CN105426181A (zh) 移动终端界面的显示方法和移动终端
WO2024093273A1 (zh) 触控膜层和触控显示面板
CN103685656B (zh) 电容触控屏手机
KR101208100B1 (ko) 도전성을 가지는 원단 제조 방법 및 그 원단을 이용한 장갑 제조 방법
KR20110049512A (ko) 정전용량 터치패널
TWM425341U (en) Capacitive touch control device
TW201947374A (zh) 觸控感測模組
US20180188843A1 (en) Sensing method of sensing device and stretchable sensor device
US20130328617A1 (en) Touch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touch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