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2165897A2 - 무선통신 단말기의 선택적인 무선망 액세스 관리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단말기의 선택적인 무선망 액세스 관리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2165897A2
WO2012165897A2 PCT/KR2012/004342 KR2012004342W WO2012165897A2 WO 2012165897 A2 WO2012165897 A2 WO 2012165897A2 KR 2012004342 W KR2012004342 W KR 2012004342W WO 2012165897 A2 WO2012165897 A2 WO 2012165897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tate
signal
detected
signal strength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434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2165897A3 (ko
Inventor
이승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에어플러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에어플러그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에어플러그
Priority to US14/115,773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40079014A1/en
Publication of WO2012165897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165897A2/ko
Publication of WO2012165897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165897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Definitions

  •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object explicitly stated above, and of course includes the purpose of achieving an effect that can be derived from the specific and exemplary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an apparatus having a storage space for a program includes: communication means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and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eans or through the communication means. And storing means for storing the received application running 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wherein the application, when executed 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hanges the time of the wireless signal from one or more access points of the wireless data network at different times. Detects N-1 'times (N ⁇ 2) and stores the intensity of the detected signal for each detection order, and detects the radio signal from one or more connection points of the wireless data network as the Nth order and each intensity of the detected signal.
  • FIG. 8 illustrates an example of detecting a change amount of wireless signal strength three or more times in order to determine mobility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numerical value according to the amount of change in the detected signal strength An operation such as determining mobility for the mobile terminal based on the operation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in the process of repeatedly checking the signal strength change by each AP even when connected to the Wi-Fi network, the terminal is determined to be “moving” or its relative direction is “distant”. The main control unit 10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to notify the user of the fact that the remote control is terminated, or that the current connection state may be terminated.
  • the signal strength from neighboring APs is re-searched to determine whether to move through comparison with the previously stored signal strength, and if it is determined to be moving, the access of the Wi-Fi network 710 is not executed.
  • the ap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server connected with the mobile phone communication network 700 or the Wi-Fi network 710 through the provided communication means to the request of the terminal 100 May be downloaded and prepared on the memory 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무선 데이터망의 액세스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일 방법은, 무선 데이터망의 하나 이상의 접속점으로부터의 무선신호를 1차로 검출하고 그 검출된 신호의 세기를 저장하며, 상기 무선 데이터망의 하나 이상의 접속점으로부터의 무선신호를 2차로 검출하고 그 검출된 신호의 각 세기에 대한 상기 1차 검출 저장된 대응되는 각 신호세기와의 차(差)에 따른 수치(數値)가, "이동중" 및 "정지중"에 각기 대응 설정한 수치범위들 중 어디에 속하는 가를 판단한다. "이동중"의 수치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무선 데이터망에의 비접속 상태를 접속상태로 전환하지 않거나 액세스가 가능하지 않은 상태로 표시하고, 정지중으로 판단되면 접속상태로 전환시키거나 액세스 가능상태로 표시한다.

Description

무선통신 단말기의 선택적인 무선망 액세스 관리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본 발명은, 무선 데이터망, 예를 들어 Wi-Fi 망에의 접근(access)을 무선통신 단말기가 선택적으로 행하도록 관리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망이 발전하면서, 이용자들은 휴대폰은 물론이고,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을 이용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신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정보와 컨텐츠를 받아볼 수 있게 되었다.
이용자들은, 데이터 양이 많은 정보나 컨텐츠의 경우 이들을 실시간으로 지원할 수 있는 고속의 무선 데이터망, 예를 들어 Wi-Fi 무선랜망에 접속하여 이용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이동전화 통신망, 예를 들어 CDMA2000 또는 W-CDMA 방식의 이동통신망을 이용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는 고속의 무선 데이터망이 제한된 지역에서만 서비스되고 있고 이용자에게 비용적 부담없이 통신 인프라를 제공하고 있는 통신환경에 기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런데, 고속의 무선 데이터망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지역적으로 산포(散布)되어 있는 제한된 좁은지역들에서만 이용가능하므로, 이동성이 높은 이용자들은 해당 서비스 지역을 곧 벗어나게 되므로 지속적인 데이터 서비스를 받을 수가 없다. 따라서, 이동전화 통신망을 사용하던 중 보다 고속 또는 비용적 측면을 고려하여 고속의 무선 데이터망으로 접속전환하거나 또는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고속의 무선 데이터망의 접근가능 상태를 인지하여 해당 데이터망에 접속하더라도 이동 중인 경우에는 곧 접속해제가 되므로 고속의 무선 데이터망에의 접속을 통한 원하는 정보습득은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는 무선 데이터망에의 접근을 위한 신호교환 및/또는 이동전화 통신망으로의 재접속을 위한 신호교환 등을 위한 망에의 오버헤드(overhead) 비중이 커지게 된다.
본 발명은, 무선 데이터망의 지속이용 가능성에 따라 해당 데이터망 자원에의 액세스(access)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망 액세스 관리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이종망(異種網)의 자원을 번갈아 액세스하게 됨으로 야기되는 각 망에의 오버헤드를 감소시키는 선택적인 무선망 액세스의 관리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위치확인을 위한 위성신호의 수신이 제한되는 상황에서도 무선 데이터망에의 액세스의 지속성 판단을 위해 무선통신 단말기의 움직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명시적으로 서술된 목적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이고 예시적인 하기의 설명에서 도출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하는 것을 그 목적에 당연히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무선 데이터망의 액세스를 관리하는 일 방법은, 상기 무선 데이터망의 하나 이상의 접속점으로부터의 무선신호를 시간을 달리하여 ‘N-1’ 회( N≥2 ) 검출하고 그 검출된 신호의 세기를 검출 차수별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데이터망의 하나 이상의 접속점으로부터의 무선신호를 상기 N차로 검출하고 그 검출된 신호의 각 세기에 대한 상기 앞서 검출 저장된 대응되는 전부 또는 일부의 각 신호세기와의 차(差)에 따른 수치(數値)에 근거하여, 적어도 2개의 기 구분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대한 제 1상태와 제 2상태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상태에 따라 상기 무선 데이터망에의 접속/비접속 상태의 전환을 위한 동작을, 또는 액세스 가능상태 표시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신호세기와 함께 검출 및 저장되는 상기 접속점의 식별자에 근거하여 각 차수에 검출된 각 신호세기들간의 상호 대응관계를 확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 1상태는, 무선통신 단말기와 접속점간의 공간적 거리 또는 신호도달 거리의 변화가 있을 때 보이는, 시간을 달리하여 검출된 신호세기 차에 따른 수치범위에 대응하여 지정된 것이고, 상기 제 2상태는, 무선통신 단말기와 접속점간의 공간적 거리 또는 신호도달 거리의 변화가 없거나 미미할 때 보이는, 시간을 달리하여 검출된 신호세기 차에 따른 수치범위에 대응하여 지정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각 신호세기와의 차에 따른 상기 수치의 어느 하나가 기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지, 상기 각 신호세기와의 차에 따른 상기 수치의 총합이 기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지, 또는 상기 각 신호세기와의 차에 따른 상기 수치의 평균이 기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지에 근거하여 상기 제 1상태로 결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하는 단계가 상기 제 1상태로 결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접속점으로부터 무선신호가 검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무선 데이터망에 대한 현재의 비접속 상태를 접속상태로 전환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무선데이터망이 액세스 가능상태가 아닌 것으로 인지되게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표시상태를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데이터망에 대한 현재의 비접속 상태를 접속상태로 전환하지 않는 경우, 이후의 데이터 통신이 수행될 수 있도록, 상기 상기 무선 데이터망과는 별도로 구축된 통신 인프라(infra)를 갖는 이동전화 통신망을 기반으로 데이터 전송제어 계층을 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결정하는 단계가 상기 제 1상태로 결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N회 검출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접속점에 대한 신호세기의 변화 방향성에 근거하여 이 후의 무선신호 검출 동작의 주기를 조정하거나 또는 별도의 재검색 요건이 충족될 때까지는 더 이상의 무선신호 검출 동작이 수행되지 않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하는 단계가 상기 제 2상태로 결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무선 데이터망에 대한 현재의 접속 상태가 해지될 수 있음을 알리는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상태와 제 2상태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함에 있어서, 직전에 결정되어 있는 상태가 상기 제 1상태인지 제 2상태인 지에 따라 다른 기준치를 적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상태와 제 2상태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함에 있어서, 상기 무선 데이터망에 현재 접속되어 있는 지 아닌지에 따라 다른 기준치를 적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각 차수에 검출된 신호의 각 세기 또는 상기 각 신호세기와의 차에 근거하여, 차수가 다른 신호세기 쌍(pair)을 상기 하나 이상의 접속점의 각 접속점에 대해 또는 일부 접속점에 대해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각 신호세기 쌍간의 차에 따른 수치에 근거하여 상기 제 1상태와 제 2상태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각 차수에 검출된 각 신호에서 그 신호의 세기가 기준치보다 낮은 신호세기, 또는 그 신호 세기의 변화량이 기준 변화량보다 큰 신호세기를 갖는 신호의 접속점으로부터 검출된 신호세기들, 또는 각 차수에 검출된 각 신호에서, 신호세기 변화 방향성이 대다수의 다른 신호세기 변화 방향성과 다른 신호의 접속점으로부터 검출된 신호세기들은 상기 선택에서 배제할 수도 있다. 다르게는, 각 차수에 검출된 각 신호에서 그 신호세기가 다른 나머지 신호들의 세기들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높고, 다른 나머지 신호들의 변화량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다른 나머지 신호들의 신호세기는 상기 선택에서 배제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차수가 다른 상기 신호세기 쌍은, 검출 차수에 있어서 연속하여 얻어진 신호세기 쌍이거나 또는 검출 차수에 있어서 불연속인 각 차수에서 검출된 신호세기의 쌍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신호세기와의 차에 따른 상기 수치는, 상기 차를 나타내는 신호세기 값이거나 상기 차의 검출된 신호세기에 대한 비율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데이터망과는 별도로 구축된 통신 인프라(infra)를 갖는 이동전화 통신망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전화 통신망을 통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와 정보교환을 수행할 수 있는 서버로부터의 상기 무선 데이터망의 접속자원에 대한 보고요청에 따라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데이터망과는 별도로 구축된 통신 인프라(infra)를 갖는 이동전화 통신망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전화 통신망을 통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와 정보교환을 수행할 수 있는 서버로부터의 상기 무선 데이터망에 대한 액세스 허용 통지에 따라 개시된다. 이 때, 상기 액세스 허용 통지는, P차( P는 1에서 상기 ‘N-1’까지의 값 중 어느 하나 )로 검출된 각 신호에 대응되는 상기 무선 데이터망의 각 접속점 중 적어도 하나를 지정하거나 열거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저장하는 단계,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수행하는 단계는,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외부 서버로부터의 절차상 개입없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 자체적으로 개시되어 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N회의 무선신호 검출에 있어서, 상기 무선신호의 대역에 할당된 채널의 전부 또는 일부를 검색하되, 특정 모드, 예를 들어 “신속모드”로 지정된 경우에 이전에 유효신호가 검출된 일부 채널을 검색한다. 다르게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가능한 외부 서버가 채널을 지정하는 경우에는 그 지정된 일부 채널에 대해서 검색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무선 데이터망 또는 상기 무선 데이터망과는 상이한 통신 인프라로써 구축된 이동전화 통신망과 통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 단말기는, 상기 무선 데이터망의 정해진 규약에 따른 신호 송수신을 통해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무선 데이터망의 하나 이상의 접속점으로부터의 무선신호 세기를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데이터 통신부와, 정보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입출력부와, 상기 데이터 통신부를 통해 외부 기기와의 정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제어동작을 수행하며, 또한, 상기 데이터 통신부로부터 상기 무선신호 세기를 시간을 달리하여 N회( N≥2 ) 검출하고, 상기 N차에 검출된 신호의 각 세기에 대한 이전 차수에 검출된 대응되는 전부 또는 일부의 각 신호세기와의 차(差)에 따른 수치(數値)에 근거하여, 적어도 2개의 기 구분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대한 제 1상태와 제 2상태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며, 그 결정된 상태에 따라, 상기 데이터 통신부를 통한 상기 무선 데이터망에의 접속/비접속 상태의 전환을 위한 동작을, 또는 상기 입출력부상에의 액세스 가능상태 표시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는, 상기 데이터 통신부를 통해 외부 기기와의 정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제어동작을 수행하며, 또한, 상기 데이터 통신부로부터 상기 무선신호 세기를 시간을 달리하여 N회( N≥2 ) 검출하고, 상기 N차에 검출된 신호의 각 세기에 대한 이전 차수에 검출된 대응되는 전부 또는 일부의 각 신호세기와의 차(差)에 따른 수치(數値)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속점에 대한 상대적 이동여부를 판단하며, 그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 통신부를 통한 상기 무선 데이터망에의 접속/비접속 상태의 전환을 위한 동작을, 또는 상기 입출력부상에의 액세스 가능상태 표시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는 상기 이동전화 통신망의 정해진 규약에 따른 신호 송수신을 통해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구성된 이동전화 통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전화 통신부를 통해 외부 기기 또는 타 단말기와 음성 또는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더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프로그램의 저장공간을 구비하고 있는 일 장치는, 외부와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수단과,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송신되는 또는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수신한,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수록되어 있는 저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될 때, 무선 데이터망의 하나 이상의 접속점으로부터의 무선신호를 시간을 달리하여 ‘N-1’회( N≥2 ) 검출하고 그 검출된 신호의 세기를 검출 차수별로 저장하며, 상기 무선 데이터망의 하나 이상의 접속점으로부터의 무선신호를 상기 N차로 검출하고 그 검출된 신호의 각 세기에 대한 이전 차수에 검출 저장된 대응되는 전부 또는 일부의 각 신호세기와의 차(差)에 따른 수치(數値)에 근거하여, 적어도 2개의 기 구분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대한 제 1상태와 제 2상태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며, 그 결정된 상태에 따라 상기 무선 데이터망에의 접속/비접속 상태의 전환을 위한 동작을 또는 액세스 가능상태 표시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구조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 또는, 하기에서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는, 불필요한 또는 이용의 효율성이 낮고 또한 통신망에 무익한 오버헤드를 발생시킬 수 있는, 무선 데이터망에의 이동중의 액세스를 억제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통신망간의 잦은 접속전환에 따른 처리부하가 감소되어 각 통신망 자원의 고유 서비스에 대한 사용효율을 높이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데이터망의 선택적 액세스를 위한 관리방법이 구현된 무선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예시한 것이고,
도 2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현재의 통신 또는 설정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상의 상태바의 표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Wi-Fi 망 같은 무선랜망으로부터의 수신신호 세기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이동성을 파악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의 일 예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주변의 무선랜망 접속점들로부터의 무선신호의 세기를 검출하는 것을 보여주는 무선통신 환경의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주변의 무선랜망 접속점들로부터의 무선신호의 세기 등을 시간을 달리하여 검출하여 저장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저장된 이전 신호세기에 대한 현재 검출된 신호세기의 차를 비교하는 방식의 구체적인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의 이동성을 판단하기 위해 무선신호 세기의 변화량을 3회이상 검출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3회이상 검출하는 신호세기에서 변화량 산출을 위한 신호세기 쌍을 연속적인 차수뿐만 아니라 비연속적인 차수의 검출 신호세기들을 선택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무선 데이터망의 액세스 관리방법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데이터망의 선택적 액세스를 위한 관리방법이 구현된 무선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예시한 것으로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는 공중의 이동전화 통신망과 고속의 무선 데이터망을 모두 액세스할 수 있는 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개념과 주제를 구현을 위해 도면에 예시된 구성을 포함한다. 그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GPS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좌표 정보를 산출하는 GPS 모듈(3)과, 공중의 이동전화 통신망, 예를 들어 2G 또는 3G의 셀룰러(cellular) 망의 지정된 방식에 따라 신호를 변조 또는 복조하여 상기 이동전화 통신망과 송수신하는 셀룰러 모뎀(1a)( RF신호의 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구성요소이다 )과, 상기 이동전화 통신망에서 채택된 통신규약에 따라 데이터를 부호화(encoding)하거나 부호화된 데이터를 복호(decoding)하는 셀룰러 코덱(1b)과, 고속의 무선 데이터망, 예를 들어 Wi-Fi 방식의 무선랜 망의 지정된 방식에 따라 신호를 변조 또는 복조하여 상기 무선 데이터망과 송수신하는 Wi-Fi 모뎀(2a)( RF신호의 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구성요소이다 )과, 상기 무선 데이터망에서 채택된 통신규약에 따라 데이터를 부호화하거나 부호화된 데이터틀 복호하는 Wi-Fi 코덱(2b)과, 영상, 문자 등의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5)과, 임의 데이터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상에서 시각적으로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을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구동부(4)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의 전면에 부착된 터치 센서(6a)와, 키(key) 및/또는 버튼(button)이 구비되어 있는 키패드(6b)와, 상기 터치 센서(6a)와 키패드(6b)상의 사용자 입력 및/또는 선택을 감지하여 그에 상응하는 입력 정보를 출력하는 입력 제어부(6)와, 상기 입력 제어부(6)로부터의 입력 정보에 따른 동작이 수행되도록, 상기 구성요소들중 그에 맞는 구성요소에 적절히 데이터를 전송 또는 그로 부터 수신하거나 제어하며 그에 따른 결과나 사용자의 원하는 동작의 선택을 위한 UI 화면의 표시를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부(4)를 제어하는 주 제어부(10)와, 상기 주 제어부(10)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메모리부(7)를 포함한다.
또한, 도 1의 무선통신 단말기(100)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상기 주 제어부(10)의 동작 또는 상기 주 제어부(10)가 실행하는 상기 메모리부(7)상의 어플리케이션( 이하, “앱”(App)이라고 칭한다. )의 동작 실현을 위해 상기 구성요소들의 물리적 자원과의 적절한 신호 및/또는 정보교환을 수행하기 위한 운영 시스템(O/S)(10a)을 또한 구비하고 있다. 상기 주 제어부(10)의 동작 또는 그에 의해 실행되는 앱의 동작에 대한 설명에서, 상기 운영 시스템(10a)의 적절한 중개동작을 그 전제로 하고 있으며 그 중개동작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에 예시한 무선통신 단말기(100)의 구성은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을 구체적이고 예시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단지 하나의 예일 뿐, 도시되지 않은 다양한 기능의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하지만, 예시되지 않은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더라도 이하에서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본 발명의 개념과 주제를 구현하고 있는 또는 별도의 앱을 실행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개념과 주제를 구현하는 무선통신 단말기는 청구범위의 해석에서 배제되지 않는 한 당연히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상기 주 제어부(10)는, 상기 Wi-Fi 모뎀(2a)과 Wi-Fi 코덱(2b)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켜 현재 위치에서 무선 데이터망, 예를 들어 Wi-Fi 무선랜망이 액세스가능한 지를 확인하고 그에 따라 무선 데이터망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Wi-Fi 모뎀(2a)은 활성화상태에서 지정된 RF신호대역을 복조하여 파일럿(pilot) 채널 신호가 검출되면 이를 상기 주 제어부(10)에 통지한다. 이 때는 Wi-Fi 무선랜망( 이하, “Wi-Fi 망”이라 칭한다. )이 액세스 가능상태이므로 상기 주 제어부(10)는 이 상태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부(4)를 제어하여,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특정의 아이콘(21)이,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의 상단 상태바(20)의 정해진 위치에 표시할 수도 있다.
만약, 이와 같이 아이콘 표시된 상태를 인지하게 되면, 사용자는 이동전화 통신망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용적 잇점( 통상, Wi-Fi 망은 무료로 지원되고 있다. )이나 속도면에서 유리한 Wi-Fi 망의 액세스를 시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시청하기를 원했던 영화, 드라마 또는 청취코자 원했던 음악 등의 스트리밍(streaming)을 요청하고 플레이하는 앱을 실행시킬 수도 있다. 그런데, Wi-Fi 망은 그 서비스 영역이 제한된 좁은 지역에서 이루어지므로 현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이동 중( 또는 정지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에 대해 Wi-Fi 망의 접속점(AP:Access Point)( 예를 들어 전철 등에 구비된 AP )이 이동중 )인 경우에는 곧 서비스 불가능상태가 되므로, 앞서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러한 망에의 단속적(斷續的) 접속은 망 자원에 오버헤드가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단말기의 “이동성”, “이동여부” 또는 “운동”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배제하지 않는 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상대적 이동성”( 단말기와 AP 중 일방 또는 쌍방의 이동여부에 따른 양자간의 공간적거리 또는 신호도달거리상의 변화 )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Wi-Fi 망이 액세스 가능상태로 확인되는 경우에도 단말기의 이동성을 판단하여( 실제적으로는, 단말기의 “운동상태”와 “비운동상태”로 각기 추정하는 것이 확률적으로 적합하다고 각기 분류한 신호세기의 변화범위 또는 변화율의 어디에 속하는 지를 결정하여 ) 현재 이동중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Wi-Fi 액세스 가능상태”를 표시하지 않거나 또는 “Wi-Fi 액세스 불가능상태”로 표시한다.
개방된 공간에서는 상기 GPS 모듈(3)은 위성신호로부터 현재 위치의 좌표정보를 산출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어서 위치좌표의 변동성을 파악하면 단말기의 이동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하지만, 폐쇄된 공간에서는 위성신호가 수신되지 못함으로 인해 현재 위치정보를 산출할 수가 없고, 또한, 상기 GPS 모듈(3)은 현재 좌표정보를 산출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 상당한 전력을 소모하기 때문에, 현재 위치좌표를 필요로 하는 기능( 예를 들어, 앱의 수행을 통한 )이 요구되지 않을 때는 상기 주 제어부(10)는 상기 GPS 모듈(3)을 기능적으로 비활성상태( “비활성 상태”란, 해당 모듈이나 기기(device)가 대기(standby)모드를 지원하는 경우에는 대기모드로 진입한 상태를 또는 공급전력이 차단된 상태를 의미하며, 이는 이하의 설명에서도 동일하다. )로 있게 한다.
따라서, Wi-Fi 액세스 가능상태에서, 단말기의 이동성 여부를 판단하고자 할 때, 항상 GPS 모듈(3)이 위치좌표를 얻을 수 있는 상태가 아닐 수가 있으며, 비활성상태에서 활성상태로 전환시키는 경우에는 그에 따른 전력소모가 수반되게 되고 또한 활성상태로의 전환 시 좌표정보를 산출할 수 있는 정상동작까지는 적지 않은 시간이 걸리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단말기의 이동성을 판단하기 위해 GPS의 좌표변화를 이용하지 않고 Wi-Fi 망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세기의 변화를 이용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Wi-Fi 망의 수신신호 세기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이동성을 파악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의 일 예이다.
Wi-Fi 신호 확인이 필요한 시점이 되면(S31), 상기 주 제어부(10)는 수신되는 Wi-Fi 신호의 세기를 검출하여 이를 저장한다(S32). 만약, 상기 Wi-Fi 모뎀(2a)과 Wi-Fi 코덱(2b)이 비활성화상태에 있었다면 이들에 대하여 활성화시킨 후 Wi-Fi 신호 세기 검출동작을 수행한다. Wi-Fi 신호 확인이 필요한 시점은 다양한 조건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Wi-Fi 망의 액세스 가능여부를 확인하는 모드로 지정된 경우에는 각 주기가 해당 시점이 된다. 또 다른 예로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상에 표시된 사용자 메뉴 UI에 따라 선택된 입력( 상기 터치 센서(6a)상의 해당 위치 접촉 또는 상기 키패드(6b)상의 대응 키 선택 )에 의한 Wi-Fi 망 검색 요청시, 또는 외부 통신망, 예를 들어 상기 셀룰러 모뎀(1a)과 셀룰러 코덱(1b)을 통해 상호 신호교환할 수 있는 이동전화 통신망상의 특정 서버로부터의 Wi-Fi 망 검색 요청시 또는 Wi-Fi 망 진입 허용시가 될 수도 있다.
Wi-Fi 신호 세기를 검출할 때는, 상기 주 제어부(10)는 상기 Wi-Fi 모뎀(2a)이 Wi-Fi 신호대역에서 유효신호의 검출 시에 제공하는 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의 값 등을 읽게 된다. 상기 Wi-Fi 모뎀(2a)은 Wi-Fi 신호대역에 할당된 채널, 예를 들어 13개의 채널 각각에 대해 검증 패킷(probing packet)을 전송하고 그에 대한 응답 패킷(response packet)이 주변의 Wi-Fi 접속점( AP:Access Point)으로부터 있으면 그 응답 패킷 신호에 대한 RSSI를 채널정보, 서비스 식별정보( SSID: Service Set Identfier )와 함께 제공한다. 상기 주 제어부(10)의 읽는 동작은 상기 Wi-Fi 모뎀(2a)의 특정 포트에 대해 수행될 수도 있고, 상기 운영 시스템(10a)에서 제공하는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에서 무선신호 정보를 리턴(return)하는 함수를 호출함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주 제어부(10)는,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획득한 신호세기 정보 등을 저장한다. 이 때, 저장하는 신호 세기의 값은 하나의 지정된 단위의 값, 예를 들어 dBm 단위의 값이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은 예시된 무선통신 환경하에서 상기 주 제어부(10)는 N개의 신호 세기정보 등을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저장한다. 도면의 예시에서 그래픽 정보(51)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시한 것일 뿐 상기 주 제어부(10)가 저장하는 정보는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 Wi-Fi AP의 식별자로서 SSID를 사용하였지만 다른 식별정보가 제공되는 경우 그 정보, 예를 들어 MAC 주소를 식별자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만약, 상기 Wi-Fi 신호세기 검출동작에서 어떠한 채널에서도 유효한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신호세기 정보는 저장하지 않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임의 채널에서 유효한 신호가 검출됨으로써 신호 세기정보 등의 저장이 이루어진 후에는, 이전 저장된 신호세기 정보가 있는 지를 확인한다(S33). 이전에 저장된 정보가 없으면 상기 주 제어부(10)는 전술한 바 있는 Wi-Fi 신호 확인이 필요한 시점까지 대기한다. 대기상태에서 Wi-Fi 신호 확인이 필요한 시점이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Wi-Fi 신호 세기정보를 다시 검출하여 저장한다(S32).
Wi-Fi 신호 세기정보를 다시 검출 저장하거나 또는 이전 저장된 신호세기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주 제어부(10)는 이전 신호세기( 동일 AP에 대한 신호세기인지의 여부는 연계저장된 AP의 식별자(52)에 의해 판단한다 )에 대한 현재 검출 저장된 신호세기의 차(差), 즉 상대적 변화량을 확인하고(S34), 그 변화량에 따른 수치(數値)가 기 설정치를 초과하는 지를 확인한다(S35). 상기 설정치는 여러가지 다양한 방식으로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에 따른 수치인 신호세기를 나타내는 값( 예를 들어, 3dBm, 5dBm 등 )이 정해질 수도 있고 변화비율( 예를 들어, 3%, 5% 등 )이 정해질 수도 있다. 도 6의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전 세기정보에 대한 현재 세기정보(53)의 각 차값(dSSk)을 먼저 구하고, 각 차값 중 어느 하나라도 기 설정된 신호세기의 값을 초과하는 지를 확인한다(S35). 도 7은 이 확인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하나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주 제어부(10)는, 현재 저장된 신호세기의 첫번째 항목부터 시작하여(S351) 차례대로(S354) 각 항목의 신호세기 차값(dSS1)을 설정된 기준치(dSSTh)와 비교(S352)하는 데, 도중에 신호세기 차값(dSSk)이 설정된 기준치(dSSTh)를 초과하는 항목이 마지막 항목까지(S353)까지 없으면 변화량의 설정치 초과확인을 위한 상기 비교 과정(S35)을 종료하게 된다.
변화량이 기 설정치를 초과하는 신호세기 저장항목이 있는 지를 확인하는 도중, 그런 신호세기 저장항목이 있으면, 상기 주 제어부(10)는 현재 단말기가 “이동중”으로 판단하고(S36), 마지막 저장항목까지 변화량이 설정치를 초과하는 신호세기 항목이 없으면 “정지중”( 여기서 “정지중”의 의미는 이동속도가 아주 미미한 경우도 포함한다. )으로 판단한다(S37).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변화량의 기 설정치를 초과여부 확인 대신, 변화량으로부터 유도한 수치, 예를 들어 변화비율( “dSSk/이전 신호세기”의 비율 )이 기 설정된 비율( dSS_RTh % )을 초과하는 신호세기 저장항목이 있는 지를 확인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각 신호세기의 변동량을 확인하는 대신 신호세기의 총변화량을 확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 신호세기의 변화량을 모두 가산하고 그 가산된 값이 기 설정된 총변화량을 초과하는 지를 확인함으로써 단말기의 이동성을 판단할 수도 있다. 다르게는, 각 신호세기의 변화량 또는 변화비율의 평균값이 기 설정된 평균치를 초과하는 지를 확인함으로써 단말기의 이동성을 판단할 수도 있으며, 전술한 다양한 비교요소들을 결합하여 이동성 여부를 판단하거나 또는 검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신호 세기가 검출되는 모든 Wi-Fi AP의 신호세기 변화량을, 움직임 여부 판단의 기초요소로 사용하지 않고 요건에 적합한 신호세기에 대해서만 판단의 기초요소로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Wi-Fi 모뎀(2a)에 의해 검출 확인된 각 신호세기에서 지정된 유효레벨(threshold)( 예를 들어, -75dBm ) 이상의 신호세기들만의 변화량을 고려하게 된다. 도 6의 예에서, 서비스 ID가 wifiNet 2에 대해서는 그 변화량(dSS2)을 움직임 판단에 있어서 배제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검출된 신호세기들 중에서 가장 높은 값을 갖는 항목들을 순서대로 K개( 예를 들어, 2개 또는 3개 등 ) 선택하여 이들 신호 세기들에 대해서만 그 변화량들을 움직임 여부 판단의 기초요소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6의 예에서 신호세기가 가장 높은 2개의 신호세기만을 사용한다면, 예시된 신호세기에서 wifiNet 1과 wifiNet N의 신호세기(dSS1,dSSN)만을 사용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신호세기의 변화량이 매우 크거나, 이동 방향성(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 다르거나, 또는 이전 신호세기와 비교할 수 없는 경우( 이전에 없었던 AP의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또는 이전에 검출되었던 AP의 신호가 현재 검출되지 않는 경우 )에는 해당 신호세기 또는 해당 AP에 의해 검출된 신호세기 모두는 이동성 판단의 기초요소로서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단일( 또는 검출된 유효레벨 이상의 신호세기들 중 소수 )의 신호세기에 대해서만 그 변화량이 기 설정한 최대변화량보다 크거나 또는 검출되었다 안되었다 하는 경우에는, 해당 AP와의 송수신 경로상에만 예기치 않은 인위적 장벽( 예를 들어, 제 3의 사람 또는 차량의 이동 )이 순간 생겼거나 또는 전철과 같은 이동수단에 장치된 AP가 정지해 있다 이동했을 수도 있기 때문에 이러한 요인에 의한, 주변 대다수의 AP에 대한 단말기의 이동성 판단오류를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단일의 AP로부터의 신호세기 변화량이 매우 크고 그 방향성이 그 외 나머지 신호세기들의 방향성과 다른 경우에는 그 단일 AP는 이동 AP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해당 신호세기의 변화량도 이동성 판단의 기초요소로서 사용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신호세기가 상대적으로 높고 그 변화량이 크지 않으며 그 외 다른 신호세기들의 변화량이 상기 하나의 신호세기의 변화량에 비해 큰 경우에는 이들 신호세기들에 대해서는 이동성 판단의 기초요소에서 모두 배제시키고, 변화량이 크지 않은 하나의 신호세기에 근거해서만 “정지중”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휴대하고 있는 사용자가, 이동하는 AP와 같은 운송수단에 탑승하고 있어서 상대적 이동성이 없을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신호세기가 상대적으로 높고 그 변화량이 크지 않으며 그 외 다른 신호세기들의 변화량이 상기 하나의 신호세기의 변화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일정폭 이상 큰 경우에 한하여 이들 신호세기들에 대해서 이동성 판단의 기초요소에서 모두 배제시킬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3회이상의 연속적인 신호세기 검출에 근거하여 이동성을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은 1차 및 2차의 신호세기 검출에 의해 이동성 판단을 하기가 여의치 않은 경우나 또는 이동성 판단을 보다 더 정확하게 하고자 하는 경우 추가적으로 신호세기 검출을 수행하여 3회이상 검출된 신호세기들로부터 판단한다. 도 8은 이에 대한 한가지 예를 도시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1차 및 2차 신호세기 검출(61)에 의해서 확인된 각 AP의 신호세기에서 기 설정된 세기 이상인 AP( 예를 들어, wifiNet 1과 wifiNet N )만을 판단의 기초요소로 사용할 때, 하나의 신호세기( wifiNet 1 )는 변화량이 크지 않고( 그 만을 고려했을 때는 “정지중”으로 판단할 수 있는 변화량 ), 그 외 다른 신호세기는 변화량이 큰( 그 들만을 고려했을 때 이동중으로 판단할 수 있는 변화량 ) 경우에, 상기 변화량이 크지 않은 신호세기가 상대적으로 매우 높다면 2차 검출에 의해 이동성을 판단하지 않고 추가적으로 더 신호세기를 검출하여 이를 추가적 판단요소로 하여 단말기의 이동성을 판단하게 된다. 도 8의 예에서, 3차 검출에 의해 검출된 각 신호세기에서 상대적으로 신호세기가 높은 AP( wifiNet 1 )의 신호변화량이 이전( 2차, 또는 1차 및 2차 )과 비교하여 여전히 미미하다면 타 신호세기들의 변화량이 두드러지더라도 “정지중”으로 판단하게 된다. 물론, 이와 같은 판단과 제시한 예는 단순히 3회이상의 검출을 통해 이동성을 판단하는 방식에 대한 예시일 뿐이며 제시하지 않은 다른 조건의 경우에도 3회이상의 검출을 통해 이동성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3회이상 신호세기를 검출하는 경우, 연속적인 2회의 신호세기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차수를 건너뛴 2회의 신호세기 또는 연속적인 3회이상의 신호세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9는 이에 대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2차 검출에서 검출된 신호세기에서 하나의 신호세기는 판단 기초요소로 사용할 유효한 신호세기 범위에 속하지만( wifiNet 1 ), 다른 AP( wifiNet 2 )의 신호세기는 2차에서는 검출되지 않았고, 또 다른 AP( wifiNet N )의 신호세기( 이전 1차에서는 유효하지 않은 범위에 속하는 신호세기( -85dBm )였음 )가 유효한 범위의 신호세기로 검출됨으로써, 판단 기초요소로 사용할 요소가 부족하다고 판단하여 추가적으로 신호세기를 검출한 경우, 2차와 3차의 검출 신호세기 쌍(63) 또는 1차와 3차의 검출 신호세기 쌍(64) ( 경우에 따라서는 1차와 2차의 쌍 - 3차에서 신호세기가 유효하게 검출되지 않은 경우 )을 이동성 판단요소로 사용한다. 물론, 3회이상의 신호검출시에 모두 유효범위의 신호세기가 검출된 AP( wifiNet 1 )에 대해서는 임의의 연속된 2회의 신호세기로부터 변화량을 산출하여 이동성 판단 기초요소로 사용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단일 AP에 대한 3회이상의 연속된 검출 신호세기의 각 차수별 변화량으로부터 상대적 이동 방향성( 대상 AP와 단말기간의 공간상 또는 신호도달상 거리가 상대적으로 줄어들고 있는 지 늘어나고 있는 지의 방향성 )을 추정하고 이로부터 이동성을 판단할 수도 있다. 도 9의 예에서, AP( wifiNet 1 )로부터 검출된 신호세기의 변화량이 각각 +4dBm( = -55 - (-59) ), +1dBm( = -54-(-55) )이므로, 2차검출시까지 해당 AP와 단말기간은 상호 “근접중”이다가 3차 검출시점에는 거의 상호간에 정지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전체 검출구간으로 보았을 때는, 이동 방향성은 해당 AP와 단말기간은 상호 근접중으로 볼 수도 있다. )
상기 주 제어부(10)는 단말기가 “정지중”으로 판단하는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부(4)를 제어하여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현재 Wi-Fi 망이 액세스 가능상태임을 알리는 아이콘(21)이 표시되도록 하고, 단말기가 “이동중”으로 판단하는 경우에는, 주변에서 Wi-Fi AP의 무선자원이 액세스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아이콘(21)이 표시되지 않도록 한다. 또는 “액세스 가능상태”와는 시각적으로 구분 인식될 수 있는 “액세스 비가능 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정지중으로 판단되어 상기 아이콘(21)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상에 표시한 후에도, 전술한 바와 같은 단말기의 이동여부 판단을 간헐적으로 수행하여 다시 이동중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화면상에 표시된 상기 아이콘(21)의 표시를 제거한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Wi-Fi 망이 액세스 가능상태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말기가 이동중인지 정지중인지의 판단결과에 따라 Wi-Fi 망의 액세스 가능상태를 선택적으로 화면상에 표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단말기가 이동중인지 여부의 판단 결과를 Wi-Fi 망의 액세스를 선택적으로 행하는 데 사용하는 데,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Wi-Fi 망의 액세스 관리방법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서로 다른 통신인프라로써 구축된 2개의 이종망, 예를 들어 이동전화 통신망(700)과 Wi-Fi 망(710,710I)을 포함하고, 상기 Wi-Fi 망(710,710I)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하는 액세스 제어서버(71)와, 상기 이동전화 통신망(700)과 상기 Wi-Fi 망(710)의 트래픽을 모니터하면서 망 자원(resource)을 통합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용하며 또한 해당 망을 액세스하는 단말기들에 대한 정보를 집중하여 관리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중앙 운용서버(72)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시된 상기 단말기(100)가 도면에 예시된 일련의 과정들(S300)( 이 과정들은 도 3의 예시된 흐름도의 단계들에 대응될 수 있다. )을 수행하게 된다. 먼저, 상기 액세스 제어서버(71)로부터 특정 조건에 따라 전송되는 “Wi-Fi망 접속자원에 대한 정보 보고요청”을 수신한다. 상기의 특정 조건은 상기 단말기(100)가 특정 서버( 도면 미도시 )상의 컨텐츠를 스트리밍 또는 다운로드 방식으로 수신할 때이거나, 별도의 공지된 방법을 통해 파악할 수 있는 상기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가, 상기 액세스 제어서버(71)가 기 파악하고 있는 Wi-Fi 존(710N)내이거나 그 존에 근접한 경우일 때일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이동전화 통신망(700)의 무선신호채널, 예를 들어 페이징 채널을 통해 상기 “Wi-Fi망 접속자원 정보 보고요청”을 수신하게 되는 데, 해당 정보를 실은 신호는 상기 셀룰러 모뎀(1a)에 의해 복조된 후 상기 셀룰러 코덱(1b)에 의해 복호되어 상기 주 제어부(10)에 전달된다. 복호된 데이터가 상기 “Wi-Fi망 접속자원 정보 보고요청”로서 인지되면 그에 따라( 도 3의 S31 ) Wi-Fi망의 신호대역의 모든 채널 또는 일부채널을 일회 또는 주기적으로 2회이상 검색하게 된다. 검색에 의해 하나 이상의 Wi-Fi AP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게 되면 해당 신호세기를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저장한다( 도 3의 S32 ). 그리고, 획득된 AP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각 AP에 대한 IP주소를 포함하는 Wi-Fi망 자원정보 보고 메시지를 구성하여, 상기 이동전화 통신망(100)의 무선신호채널, 예를 들어 액세스 채널을 통해 상기 이동전화 통신망(700)의 인접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물론, 상기 자원정보 보고 메시지는 상기 셀룰러 코덱(1b)에 의해 정해진 방식으로 부호화된 후 상기 셀룰러 모뎀(1a)에 의해 변조되어 액세스 채널에 실려서 인접 기지국으로 전송된다. 해당 기지국의 교환국에서는 액세스 채널에 포함된 상기 자원정보 보고 메시지를 적절히 해석하고, 망 제어 및 관리를 위한 운용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액세스 제어서버(71)로 적절히 라우팅(routing)시킨다.
상기 주 제어부(10)가 Wi-Fi망의 신호대역에 대해서 전부가 아닌 일부채널을 검색하는 경우는, 상기 액세스 제어서버(71)가 검색 채널들을 지정하는 경우이거나, 또는 앞서의 검색에서 유효신호가 검색된 채널들에 대해서만 검색하도록 지정하는 특정의 모드( 예를 들어 “신속모드” )가 설정된 경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Wi-Fi망 접속자원에 대한 정보 보고요청의 수신과 그에 따른 보고정보 생성/송신은 상기 단말기(100)에 펌웨어(firmware) 또는 하드코딩(hard-coding)된 프로그램 형태로 임베드(embed)된 운용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거나, 상기 단말기(100)에서 실행되는 특정의 앱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Wi-Fi망 자원정보 보고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액세스 제어서버(71)는 그 보고 메시지에 포함된 IP에 의해 특정되는 AP중에서 하나를 지정하여( 예를 들어, 도 10에서 Wi-Fi 존 7102의 AP ) 그 AP를 통해 상기 Wi-Fi망(710)에 접속하도록 상기 단말기(100)에 접속허용(admission) 메시지를 구성하여 전송한다.
상기 액세스 제어서버(71)는, 상기 중앙 운용서버(62)로부터 수신되는, 단말기 연관된 서비스 특성정보에 따라 상기 Wi-Fi망 자원정보 보고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AP중 하나를 선택한다. 단말기 연관된 상기 서비스 특성정보에는 Wi-Fi 존을 형성하는 각 AP에 대한 부하 또는 그 존에서의 트래픽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액세스 제어서버(71)는 상기 중앙 운용서버(62)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Wi-Fi망 자원정보 보고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각 AP의 부하 및/또는 해당 AP가 연결된 국부망의 트래픽 등을 근거로 복수의 AP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단말기 연관된 상기 서비스 특성정보에, 해당 단말기가 액세스 가능한 각 AP의 존에서 기 서비스받고 있는 타 단말기의 등록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즉, 각 AP존에서 기 서비스받고 있는 타 단말기들의 등록정보에 따라 하나의 AP를 선택할 수도 있다. 상기 등록정보는,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해 이동통신 서비스 개설시에 기 등록된 정보로서 사용자의 등급, 요구서비스의 품질 등에 대해 규정하는 정보이며 상기 중앙 운용서버(62)에서 DB로서 관리된다. 그리고, 상기 액세스 제어서버(71)의 허용 메시지에 근거해 또는 상기 액세스 제어서버(71)의 허용 메시지의 수신과 무관하게 임의의 Wi-Fi 존내에서 상기 Wi-Fi 망(710)을 액세스하게 되면 그 단말기에 대한 기 등록정보는 상기 중앙 운용서버(62)로부터 상기 액세스 제어서버(71)에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액세스 제어서버(71)는 상기 단말기(100)의 액세스를 허용할 AP를 결정할 때, 각 Wi-Fi 존내의 타 단말기들에 대한 등록정보를 참조하는 데, 예를 들어, 상기 수신된 접속자원 정보보고에 포함된 특정 AP에 의한 존(7101)에서 서비스되고 있는 단말기들의 사용자 등급 또는 요구서비스의 품질이 높은 경우에는, 그 AP에 의한 서비스권역의 트래픽이 상대적으로 낮더라도 그 AP를 지정하지 않고 다른 존(7102)의 AP를 결정할 수도 있다.
상기 액세스 제어서버(71)가 하나의 AP를 특정하기 위해 참조하는 상기 서비스 특성정보에는, 전술한 실시예 외에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100)가 위치한 상기 이동전화 통신망(700)의 서비스권역의 트래픽 또는 자원에 대한 부하정보, 각 AP의 유형( 공중 무선망 또는 사설 무선망의 유형 ), 상기 단말기(100)의 공간적 위치 또는 시간대가 하나의 AP를 결정하는 데 판단요소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액세스 제어서버(71)는 수신된 “Wi-Fi 자원정보 보고”에 포함되어 있는 AP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접속허용 메시지를 구성하는 대신, 그 들의 액세스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그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른 목록을 작성하여 상기 단말기(100)에 상기 접속허용 메시지로서 전송할 수도 있다. 이 때의 우선순위 결정은 물론 앞서 언급한 상기 서비스 특성정보에 따라 이루어진다.
상기 접속허용 메시지는 상기 단말기(100)의 셀룰러 모뎀(1a)의 복조와 셀룰러 코덱(1b)의 복호에 의해 정보가 추출되어 상기 주 제어부(10)에 전달되고, 상기 주 제어부(10)는 상기 접속허용 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이를 앞서 언급한 Wi-Fi 신호확인 필요시점으로 인지하고( 도 3의 S31 ) 상기 Wi-Fi 모뎀(2a)으로부터 각 AP의 신호세기에 대한 정보를 다시 읽어서 이를 저장한다( 도 3의 S32 ). 그리고는, 이전에 저장되었던 신호세기 정보( 앞서 설명한, Wi-Fi망 자원정보 보고 메시지의 송신 전 저장하였던 신호세기 정보 )가 있으므로( 도 3의 S33 ) 그 이전저장되었던 신호세기와의 변동량을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확인하고( 도 3의 S34 ),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그 변동량을 각각 또는 전체적으로, 또는 그 평균치 등을 그에 상응하는 기 설정치와 비교하여( 도 3의 S35 ) 현재 단말기가 “이동중”인지 “정지중”인지를 판단한다( 도 3의 S36 또는 S37 ).
“정지중”으로 판단하는 경우에는, Wi-Fi 망에 대한 “접속상태”로의 전환을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주 제어부(10)는 상기 수신된 접속허용 메시지내의 정보, 예를 들어 상기 액세스 제어 서버(71)에서 선택된 하나의 AP, 또는 우선순위에 따라 리스트된 AP들 중에서 특정조건들을 고려하여 선택한 하나의 AP에 대해, 그 AP의 IP를 사용하여 상기 Wi-Fi 망(710)에의 접속 요청을 하게 되고 그 요청에 의해 자신이 사용할 IP와 DNS 등의 설정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Wi-Fi 망(710)에 대해 액세스가능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주 제어부(10)에 의해 실행되는 특정의 앱은 상기 Wi-Fi 망(710) 또는 그 망과 연결된 다른 임의의 데이터 네트워크상의 특정 서버와의 세션(session)을 개설시켜 필요한 데이터 또는 정보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이동중”으로 판단하는 경우에는, 상기 주 제어부(10)는 상기 수신된 접속허용 메시지내의 AP 또는 AP들에 대한 정보를 무시하고 상기 Wi-Fi 망(710)으로 진입하지 않는다. 즉, AP에 대해 어떠한 접속요청을 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IP와 DNS가 설정되지도 않는다 ). 따라서, 물리적으로는 Wi-Fi 망에 액세스할 수 있는 상태이지만 단말기가 움직이고 있다는 판단에 따라 Wi-Fi 망에 대한 실질적인 액세스를 수행하지 않는다. 즉, Wi-Fi 망에 대한 “비접속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이동중”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그 때부터 특정의 시간을 설정하고 그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기 전까지 또는 시간제한없이 계속적으로 AP의 신호세기 변화량에 근거하여 이동중 여부를 반복적으로 확인하고 “정지중”으로 변경되어 판단되면 상기 수신된 접속허용 메시지내의 AP 또는 AP들에서 선택한 하나의 AP에 접속요청을 함으로써 상기 Wi-Fi 망(710)에 대해 액세스 가능상태가 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후에 다시 전송할 자원정보 보고 메시지와 접속허용 메시지의 송수신 횟수가 줄어들 수 있다. 상기 반복적 확인과정은 현재 단말기(100)의 통신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셀룰러 모뎀(1a)과 셀룰러 코덱(1b)을 통해 음성통화에 준하는 데이터 속도보다 훨씬 고속의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주 제어부(10)는, 상기 반복적 확인의 주기를 보다 짧게 설정하여 “이동중”에서 “정지중”으로의 상태변화가 있게 되면 이를 보다 빨리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서는, 각 차수에 검출된 일련의 신호세기들의 변화량 외에 그 변화량의 크기 또는 앞서 언급한 상대적 방향성을 확인하고 그에 따라 이 후의 동작을 적응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중”으로 판단하여 이 후에 반복적으로 각 AP에 의한 신호세기의 변화량을 반복적으로 확인해야 하는 경우에 그 “이동중” 판단시의 상대적 방향성이 “근접중”으로 확인될 수 있으면 반복하는 주기를 보다 짧게 설정하여 신호세기 변화량 확인과정을 행하게 된다. 물론, 그 역으로 “이동중” 판단시의 상대적 방향성이 “멀어짐”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그 이후의 신호세기 검출 동작은 특별한 외부 요청( 원격 서버로부터의 요청 )이나 내부 요청( 특정 앱의 재실행 등 )이 있을 때까지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서는, “정지중”으로 판단하여 Wi-Fi 망에 대한 액세스가 이루어진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은, 2회이상의 신호세기 검출, 검출된 신호세기들의 변화량에 따른 수치에 근거한 이동단말기에 대한 이동성 판단 등의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정지중’으로 판단하여 Wi-Fi망에 대한 접속상태에서도 각 AP에 의한 신호세기 변화량을 반복적으로 확인하는 과정에서 단말기의 상태가 “이동중”으로 판단되거나 또는 상대적 방향성이 “멀어짐”으로 확인되는 경우, 해당 단말기의 상기 주 제어부(10)는 그 멀어지는 사실을, 또는 그로 인해 현재의 접속상태가 해지될 수 있음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알림동작( 예를 들어, 버저 또는 특정의 아이콘 표시 등 )을 수행하거나, 또는 이동전화 통신망(700)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 Wi-Fi 망의 관점에서는 “접속상태”에서 “비접속상태”로 전환 )시킬 수도 있다. 이 외에도 Wi-Fi 망의 다른 AP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알리거나 현재 컨텐트 데이터의 수신동작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그 컨텐트의 잔여 데이터에 대해서는 네트워크상의 지정된 서버로 대신 저장시키는 일련의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각 차수에 검출된 일련의 신호세기들의 변화량에 기반하여 상대적 이동성을 판단할 때, 직전에 판단되어 있는 이동성에 대한 상태( ‘정지중’, ‘이동중’ )에 따라 현재 판단을 위한 기준치를 적응적으로 설정한다. 예를 들어, 이전에 확인된 이동성 판단 정보없이 최초 판단할 때의( 또는 “이동중”으로 직전 판단된 경우에 ) “정지중” 판단의 기준치와 직전에 “정지중”으로 판단된 경우에 또 다시 “정지중”으로 판단하기 위한 기준치는 달리 설정된다. 예를 들어, 전자의 기준치보다 후자의 기준치가 좀 더 엄격한 설정이 되는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각 차수에 검출된 일련의 신호세기들의 변화량에 기반하여 상대적 이동성을 판단할 때, 현재 Wi-Fi 망에의 접속에 대한 상태( 접속/비접속 상태: 접속 또는 비접속 중 어느 하나의 상태 )에 따라 현재 판단을 위한 기준치를 적응적으로 설정한다. 예를 들어, Wi-Fi 망에 대한 비접속상태에서의 “정지중” 판단을 위한 기준치와, 접속상태에서의 “정지중”으로 판단하기 위한 기준치는 달리 설정된다. 일 실시예에서는, 전자의 기준치가 후자의 기준치보다 좀 더 엄격한 설정이 되는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는 현재 접속상태에서는 ‘정지중’ 판단을 다소 유연하게 함으로써 이용자의 작은 움직임이나 짧은 이동 등에 의해서 ‘이동중’으로 판단되어 접속상태가 영향받는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는 여지를 줄이기 위함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라, 이동성에 대한 상태 판단을 위한 기준치는 “직전에 판단되어 있는 이동성에 대한 상태”와 “접속/비접속 상태”의 상태조합에 따라 4가지의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Wi-Fi망 접속자원 정보 보고요청”을 수신하지 않고 상기 단말기(100)가 독립적으로 주변의 Wi-Fi 망의 AP들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고 해당 신호세기의 저장과 함께 상기 Wi-Fi 망(710)에 대한 액세스 허용 요청을 상기 액세스 제어 서버(71)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 저장 및 전송동작과 그 이후의 일련의 동작들은, 상기 주 제어부(10)에 의해 상기 메모리(7)상의 특정의 앱( 네트워크로부터 많은 양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 예를 들어 동영상 스트리밍을 필요로 하는 앱, 또는 기 등록지정된 명칭의 앱 등 )이 실행되는 경우, 그 앱에 포함된 프로그램 구조에 의해, 또는 그 앱의 실행을 인지한 상기 주 제어부(10)( 실질적으로는 상기 주 제어부(10)에 의해 실행되는 내재된(built-in) 펌웨어 또는 미들웨어 등 )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액세스 허용요청 이후에는 그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액세스 제어 서버(71)로부터 수신되는 하나의 AP 또는 수신되는 목록에서 선택한 하나의 AP를 통해 상기 Wi-Fi 망(710)을 액세스하기 전에,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주변의 AP들로부터의 신호세기를 재검색하여 이전저장된 신호세기와의 비교를 통해 이동여부를 판단하고 이동중으로 판단되면 상기 Wi-Fi 망(710)의 액세스를 실행하지 않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앱은, 구비된 통신수단을 통해 상기 이동전화 통신망(700) 또는 상기 Wi-Fi 망(710)과 연결되어 있는 서버의 저장공간에 수록되어 있어서 상기 단말기(100)의 요청에 의해 다운로드되어 상기 메모리(7)상에 준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이동중의 판단에 따라 상기 Wi-Fi 망을 액세스 하지 않는 대신, 상기 주 제어부(10)는 상기 이동전화 통신망(700)의 신호를 기반으로, 데이터 전송제어( TCP/IP:Transfer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 계층을 형성시켜 이 후 실행되는 앱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에서, Wi-Fi 망만을 액세스 할 수 있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대해 적용이 제한되지 않는 내용은 모두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는 도 1의 예시된 구성에서 상기 셀룰러 모뎀(1a)과 셀룰러 코덱(1b)이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특정의 앱이 실행될 때, 그 앱에 의해 또는 그 앱의 실행을 인지한 주 제어부(10)에 의해 전술한, 주변 AP로부터 신호세기를 복수회 검출하고 그 검출된 각 차수의 신호세기들의 변화량에 따른 수치로부터 단말기의 이동성 판단을 독자적으로 수행하여 그 판단에 따라 Wi-Fi 망에 대한 액세스를 선택적으로 수행하거나 액세스 가능상태를 선택적으로 표시한다. 전술한 실시예들의 설명에서, 신호세기 변화량으로부터 접속점과 단말기간의 상대적 이동성여부를 판단한 후 그에 따라 선택적 액세스 또는 표시상태를 수행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의 개념과 원리를 구현함에 있어서, 신호세기 변화량으로부터, 실시예에서의 설명에서와 같은 특별히 현시화되는 상태변화, 즉 이동성 판단임을 명시적이고 분명하게 드러내지 않고 신호세기 변화량에 근거하여, 몇가지로 구분된 상태들 중 하나로 결정하고 그 결정된 상태에 따라 바로 Wi-Fi 망에 대한 선택적 액세스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실시예들도 선택적 액세스를 수행하는 그 이유의 기저에 단말기의 상대적 운동성이 있고 그 운동성 여부가 신호세기들의 변화량으로부터 추정될 수 있는 것을 전제로 하는 경우에는, 신호세기의 변화량을 확인하고 그에 대해 기 구분한 상태들 중 하나로 결정하는 과정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여부의 판단과정이 내재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따라서, 그러한 실시예들의 경우에는 본 발명의 개념과 원리를 벗어난 것으로 볼 수 없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42)

  1.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무선 데이터망의 액세스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데이터망의 하나 이상의 접속점으로부터의 무선신호를 시간을 달리하여 ‘N-1’ 회( N은 2이상 ) 검출하고 그 검출된 신호의 세기를 검출 차수별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데이터망의 하나 이상의 접속점으로부터의 무선신호를 상기 N차로 검출하고 그 검출된 신호의 각 세기에 대한 상기 앞서 검출 저장된 대응되는 전부 또는 일부의 각 신호세기와의 차(差)에 따른 수치(數値)에 근거하여, 적어도 2개의 기 구분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대한 제 1상태와 제 2상태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상태에 따라, 상기 무선 데이터망에의 접속/비접속 상태의 전환을 위한 동작을 또는 액세스 가능상태 표시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신호세기와 함께 검출 및 저장되는 상기 접속점의 식별자에 근거하여 각 차수에 검출된 각 신호세기들간의 상호 대응관계를 확인하는 것인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상태는, 무선통신 단말기와 접속점간의 공간적 거리 또는 신호도달 거리의 변화가 있을 때 보이는, 시간을 달리하여 검출된 신호세기 차에 따른 수치범위에 대응하여 지정된 것이고,
    상기 제 2상태는, 무선통신 단말기와 접속점간의 공간적 거리 또는 신호도달 거리의 변화가 없거나 미미할 때 보이는, 시간을 달리하여 검출된 신호세기 차에 따른 수치범위에 대응하여 지정된 것인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각 신호세기와의 차에 따른 상기 수치의 어느 하나가 기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지,
    상기 각 신호세기와의 차에 따른 상기 수치의 총합이 기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지, 또는
    상기 각 신호세기와의 차에 따른 상기 수치의 평균이 기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지에 근거하여 상기 제 1상태로 결정하는 것인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하는 단계가 상기 제 1상태로 결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접속점으로부터 무선신호가 검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무선 데이터망에 대한 현재의 비접속 상태를 접속상태로 전환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무선데이터망이 액세스 가능상태가 아닌 것으로 인지되게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표시상태를 제어하는 것인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데이터망에 대한 현재의 비접속 상태를 접속상태로 전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상기 무선 데이터망과는 별도로 구축된 통신 인프라(infra)를 갖는 이동전화 통신망을 기반으로 데이터 전송제어 계층을 활성화시켜 이후의 데이터 통신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인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가 상기 제 1상태로 결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N회 검출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접속점에 대한 신호세기의 변화 방향성에 근거하여 이 후의 무선신호 검출 동작의 주기를 조정하거나 또는 별도의 재검색 요건이 충족될 때까지는 더 이상의 무선신호 검출 동작이 수행되지 않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하는 단계가 상기 제 2상태로 결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무선 데이터망에 대한 현재의 접속 상태가 해지될 수 있음을 알리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인 방법.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상태와 제 2상태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함에 있어서, 직전에 결정되어 있는 상태가 상기 제 1상태인지 제 2상태인 지에 따라 다른 기준치를 적용하는 것인 방법.
  1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상태와 제 2상태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함에 있어서, 상기 무선 데이터망에 현재 접속되어 있는 지 아닌지에 따라 다른 기준치를 적용하는 것인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각 차수에 검출된 신호의 각 세기 또는 상기 각 신호세기와의 차에 근거하여, 차수가 다른 신호세기 쌍(pair)을 상기 하나 이상의 접속점의 각 접속점에 대해 또는 일부 접속점에 대해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각 신호세기 쌍간의 차(差)에 따른 수치에 근거하여 상기 제 1상태와 제 2상태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인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각 차수에 검출된 각 신호에서 그 신호의 세기가 기준치보다 낮은 신호세기, 또는 그 신호 세기의 변화량이 기준 변화량보다 큰 신호세기를 갖는 신호의 접속점으로부터 검출된 신호세기들, 또는 각 차수에 검출된 각 신호에서, 신호세기 변화 방향성이 대다수의 다른 신호세기 변화 방향성과 다른 신호의 접속점으로부터 검출된 신호세기들은 상기 선택에서 배제하는 것인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각 차수에 검출된 각 신호에서 그 신호세기가 다른 나머지 신호들의 세기들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높고, 다른 나머지 신호들의 변화량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다른 나머지 신호들의 신호세기는 상기 선택에서 배제하는 것인 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차수가 다른 상기 신호세기 쌍은, 검출 차수에 있어서 연속하여 얻어진 신호세기 쌍이거나 또는 검출 차수에 있어서 불연속인 각 차수에서 검출된 신호세기의 쌍인 것인 방법.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신호세기와의 차에 따른 상기 수치는, 상기 차를 나타내는 신호세기 값과 상기 차의 검출된 신호세기에 대한 비율 중 어느 하나인 것인 방법.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데이터망과는 별도로 구축된 통신 인프라(infra)를 갖는 이동전화 통신망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전화 통신망을 통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와 정보교환을 수행할 수 있는 서버로부터의 상기 무선 데이터망의 접속자원에 대한 보고요청에 따라 개시되는 것인 방법.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데이터망과는 별도로 구축된 통신 인프라(infra)를 갖는 이동전화 통신망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전화 통신망을 통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와 정보교환을 수행할 수 있는 서버로부터의 상기 무선 데이터망에 대한 액세스 허용 통지에 따라 개시되며,
    상기 액세스 허용 통지는, P차( P는 1에서 상기 ‘N-1’까지의 값 중 어느 하나 )로 검출된 각 신호에 대응되는 상기 무선 데이터망의 각 접속점 중 적어도 하나를 지정하거나 열거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수행하는 단계는,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외부 서버로부터의 절차상 개입없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 자체적으로 개시되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방법.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N회의 무선신호 검출에 있어서, 상기 무선신호의 대역에 할당된 채널의 전부 또는 일부를 검색하되, 특정 모드로 지정된 경우 이전에 유효신호가 검출된 일부 채널을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가능한 외부 서버가 채널을 지정하는 경우에는 그 지정된 일부 채널에 대해서 검색하는 것인 방법.
  20. 무선 데이터망 또는 상기 무선 데이터망과는 상이한 통신 인프라로써 구축된 이동전화 통신망과 통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무선 데이터망의 정해진 규약에 따른 신호 송수신을 통해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무선 데이터망의 하나 이상의 접속점으로부터의 무선신호 세기를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데이터 통신부와,
    정보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입출력부와,
    상기 데이터 통신부를 통해 외부 기기와의 정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제어동작을 수행하며, 또한, 상기 데이터 통신부로부터 상기 무선신호 세기를 시간을 달리하여 N회( N은 2이상 ) 검출하고, 상기 N차에 검출된 신호의 각 세기에 대한 이전 차수에 검출된 대응되는 전부 또는 일부의 각 신호세기와의 차(差)에 따른 수치(數値)에 근거하여, 적어도 2개의 기 구분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대한 제 1상태와 제 2상태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며, 그 결정된 상태에 따라, 상기 데이터 통신부를 통한 상기 무선 데이터망에의 접속/비접속 상태의 전환을 위한 동작을, 또는 상기 입출력부상에의 액세스 가능상태 표시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선통신 단말기.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부는, 무선신호 세기에 대한 상기 검출과 함께 해당 무선신호의 접속점에 대한 식별자를 더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되는 접속점에 대한 식별자에 근거하여 각 차수에 검출된 각 신호세기들간의 상호 대응관계를 확인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상태는, 무선통신 단말기와 접속점간의 공간적 거리 또는 신호도달 거리의 변화가 있을 때 보이는, 시간을 달리하여 검출된 신호세기 차에 따른 수치범위에 대응하여 지정된 것이고,
    상기 제 2상태는, 무선통신 단말기와 접속점간의 공간적 거리 또는 신호도달 거리의 변화가 없거나 미미할 때 보이는, 시간을 달리하여 검출된 신호세기 차에 따른 수치범위에 대응하여 지정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신호세기와의 차에 따른 상기 수치의 어느 하나가 기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지,
    상기 각 신호세기와의 차에 따른 상기 수치의 총합이 기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지, 또는
    상기 각 신호세기와의 차에 따른 상기 수치의 평균이 기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지에 근거하여 상기 제 1상태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대한 상태를 상기 제 1상태로 결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통신부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접속점으로부터 무선신호가 검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무선 데이터망에 대한 현재의 비접속 상태를 접속상태로 전환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무선데이터망이 액세스 가능상태가 아닌 것으로 인지되게 상기 입출력부의 표시상태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데이터망에 대한 현재의 비접속 상태를 접속상태로 전환하지 않는 경우, 이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상기 이동전화 통신망을 기반으로 데이터 전송제어 계층을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26.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대한 상태를 상기 제 1상태로 결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N회 검출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접속점에 대한 신호세기의 변화 방향성에 근거하여 이 후의 무선신호 검출 동작의 주기를 조정하거나 또는 별도의 재검색 요건이 충족될 때까지는 더 이상의 무선신호 검출 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27.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대한 상태를 상기 제 2상태로 결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무선 데이터망에 대한 현재의 접속 상태가 해지될 수 있음을 알리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28.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상태와 제 2상태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함에 있어서, 직전에 결정된 상태가 상기 제 1상태인지 제 2상태인 지에 따라 다른 기준치를 적용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29.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상태와 제 2상태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함에 있어서, 상기 무선 데이터망에 현재 접속되어 있는 지 아닌지에 따라 다른 기준치를 적용하는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30.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각 차수에 검출된 신호의 각 세기 또는 상기 각 신호세기와의 차에 근거하여, 차수가 다른 신호세기 쌍(pair)을 상기 하나 이상의 접속점의 각 접속점에 대해 또는 일부 접속점에 대해 선택하고, 그 선택된 각 신호세기 쌍간의 차에 따른 수치에 근거하여 상기 제 1상태와 제 2상태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각 차수에 검출된 각 신호세기에서, 그 신호의 세기가 기준치보다 낮은 신호세기, 또는 그 신호 세기의 변화량이 기준 변화량보다 큰 신호세기를 갖는 신호의 접속점으로부터 검출된 신호세기들, 또는 각 차수에 검출된 각 신호에서, 신호세기 변화 방향성이 대다수의 다른 신호세기 변화 방향성과 다른 신호의 접속점으로부터 검출된 신호세기들은 상기 선택에서 배제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32.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각 차수에 검출된 각 신호에서 그 신호세기가 다른 나머지 신호들의 세기들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높고, 다른 나머지 신호들의 변화량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다른 나머지 신호들의 신호세기는 상기 선택에서 배제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33. 제 30항에 있어서,
    차수가 다른 상기 신호세기 쌍은, 검출 차수에 있어서 연속하여 얻어진 신호세기 쌍이거나 또는 검출 차수에 있어서 불연속인 각 차수에서 검출된 신호세기의 쌍인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34.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각 신호세기와의 차에 따른 상기 수치는, 상기 차를 나타내는 신호세기 값과 상기 차의 검출된 신호세기에 대한 비율 중 어느 하나인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35.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전화 통신망의 정해진 규약에 따른 신호 송수신을 통해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구성된 이동전화 통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전화 통신부를 통해 외부 기기 또는 타 단말기와 음성 또는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더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36.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전화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전화 통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이동전화 통신망에 연결된 서버로부터의 상기 무선 데이터망의 접속자원에 대한 보고요청에 따라, 상기 N회 검출에서의 1차 검출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37.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전화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전화 통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이동전화 통신망에 연결된 서버로부터의 상기 무선 데이터망에 대한 액세스 허용 통지에 따라, 상기 N회 검출에서의 상기 N차 검출 및 상태 결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액세스 허용 통지는, P차( P는 상기 N보다 작은 값들 중 어느 하나 )로 검출된 각 신호세기의 소스(source)인 각 접속점 중 적어도 하나를 지정하거나 열거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38.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N회의 검출, 상기 상태 결정 그리고 상기 선택적 수행을, 상기 이동전화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외부 서버로부터의 절차상 개입없이 자체적으로 개시하여 순차적으로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39.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N회의 무선신호 검출에 있어서, 상기 무선신호의 대역에 할당된 채널의 전부 또는 일부를 검색하되, 특정 모드로 지정된 경우 이전에 유효신호가 검출된 일부 채널을 또는 상기 이동전화 통신부를 통해 통신가능한 외부 서버가 채널을 지정하는 경우에는 그 지정된 일부 채널에 대해서 검색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40. 무선 데이터망 또는 상기 무선 데이터망과는 상이한 통신 인프라로써 구축된 이동전화 통신망과 통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무선 데이터망의 정해진 규약에 따른 신호 송수신을 통해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무선 데이터망의 하나 이상의 접속점으로부터의 무선신호 세기를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데이터 통신부와,
    정보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입출력부와,
    상기 데이터 통신부를 통해 외부 기기와의 정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제어동작을 수행하며, 또한, 상기 데이터 통신부로부터 상기 무선신호 세기를 시간을 달리하여 N회( N은 2이상 ) 검출하고, 상기 N차에 검출된 신호의 각 세기에 대한 이전 차수에 검출된 대응되는 전부 또는 일부의 각 신호세기와의 차(差)에 따른 수치(數値)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속점에 대한 상대적 이동여부를 판단하며, 그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 통신부를 통한 상기 무선 데이터망에의 접속/비접속 상태의 전환을 위한 동작을, 또는 상기 입출력부상에의 액세스 가능상태 표시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선통신 단말기.
  41. 프로그램의 저장공간을 구비하고 있는 장치에 있어서,
    외부와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수단과,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송신되는 또는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수신한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수록되어 있는 저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될 때, 무선 데이터망의 하나 이상의 접속점으로부터의 무선신호를 시간을 달리하여 ‘N-1’회( N은 2이상 ) 검출하고 그 검출된 신호의 세기를 검출 차수별로 저장하며, 상기 무선 데이터망의 하나 이상의 접속점으로부터의 무선신호를 상기 N차로 검출하고 그 검출된 신호의 각 세기에 대한 이전 차수에 검출 저장된 대응되는 전부 또는 일부의 각 신호세기와의 차(差)에 따른 수치(數値)에 근거하여, 적어도 2개의 기 구분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대한 제 1상태와 제 2상태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며, 그 결정된 상태에 따라, 상기 무선 데이터망에의 접속/비접속 상태의 전환을 위한 동작을 또는 액세스 가능상태 표시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구조를 포함하는 것인 장치.
  42. 제 4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상태는, 무선통신 단말기와 접속점간의 공간적 거리 또는 신호도달 거리의 변화가 있을 때 보이는, 시간을 달리하여 검출된 신호세기 차에 따른 수치범위에 대응하여 지정된 것이고,
    상기 제 2상태는, 무선통신 단말기와 접속점간의 공간적 거리 또는 신호도달 거리의 변화가 없거나 미미할 때 보이는, 시간을 달리하여 검출된 신호세기 차에 따른 수치범위에 대응하여 지정된 것인 장치.
PCT/KR2012/004342 2011-06-03 2012-06-01 무선통신 단말기의 선택적인 무선망 액세스 관리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WO2012165897A2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115,773 US20140079014A1 (en) 2011-06-03 2012-06-01 Method for managing selective access to a wireless network in a mobile terminal and an apparatus for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712 2011-06-03
KR1020110053712A KR101291590B1 (ko) 2011-06-03 2011-06-03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인 무선망 액세스 관리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65897A2 true WO2012165897A2 (ko) 2012-12-06
WO2012165897A3 WO2012165897A3 (ko) 2013-03-28

Family

ID=47260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4342 WO2012165897A2 (ko) 2011-06-03 2012-06-01 무선통신 단말기의 선택적인 무선망 액세스 관리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40079014A1 (ko)
KR (1) KR101291590B1 (ko)
WO (1) WO201216589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60392B2 (en) * 2012-09-07 2017-01-31 Google Inc. Dynamic bit rate encoding
US9288273B2 (en) * 2013-01-23 2016-03-1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pre-association discovery of services on a network
KR20150099251A (ko) * 2014-02-21 2015-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제어 장치 및 방법
US9749942B2 (en) 2015-07-15 2017-08-29 Qualcomm Incorporated Wi-Fi power saving based on coarse motion classification information
KR101796985B1 (ko) * 2015-12-28 2017-11-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및 자동차의 와이파이 통신 제어 방법
US10360771B2 (en) * 2016-12-14 2019-07-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lert processing
CN107124744B (zh) * 2017-06-19 2020-09-25 深圳市优克联新技术有限公司 一种网络切换方法及无线接入点
JP7292861B2 (ja) * 2018-11-22 2023-06-19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3438684B (zh) * 2020-03-23 2023-03-31 海信集团有限公司 客户终端设备及其信号强度的指示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0128A (ko) * 2004-11-04 2006-05-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과 이동 통신 시스템 간의 핸드오프방법
KR20080002156A (ko) * 2006-06-30 2008-01-04 주식회사 케이티 다중모드 단말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0814916B1 (ko) * 2006-11-14 2008-03-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단말의 이동성 예측을 통한 핸드오버 제어 방법 및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75616B1 (en) * 1999-02-10 2004-08-10 X-Cyte, Inc. Environmental location system
TWI353753B (en) * 2003-03-27 2011-12-01 Lenovo Singapore Pte Ltd Access to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7433696B2 (en) * 2004-05-18 2008-10-07 Cisco Systems, Inc. Wireless node location mechanism featuring definition of search region to optimize location computation
US7474211B2 (en) * 2005-02-22 2009-01-06 Bradley Allen Kramer System and method for killing a RFID tag
KR20060098251A (ko) * 2005-03-11 2006-09-18 브이케이 주식회사 무선 랜 사용가능 지역 판별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방법
JP5040219B2 (ja) * 2006-08-28 2012-10-03 ソニー株式会社 動き検出システム、動き検出装置、動き検出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345662B1 (ko) * 2006-10-26 2014-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 수신가능한 휴대 단말기
JP2008252273A (ja) * 2007-03-29 2008-10-16 Kddi Corp 無線エリア計測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557670B1 (ko) * 2008-02-14 2015-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신호 강도를 이용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통신 방법 및장치
JP2009281927A (ja) * 2008-05-23 2009-12-03 Nec Electronics Corp 移動端末、並びにその屋内外判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0072014A1 (en) * 2008-12-25 2010-07-01 Siemens Aktiengesellschaft Active antenna device, network device and access point of a wireless network
US20110069627A1 (en) * 2009-03-16 2011-03-24 Qualcomm Incorporated Peer-assisted transmitter signal attribute filtering for mobile station position estimation
US8213957B2 (en) * 2009-04-22 2012-07-03 Trueposition, Inc. Network autonomous wireless lo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0128A (ko) * 2004-11-04 2006-05-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과 이동 통신 시스템 간의 핸드오프방법
KR20080002156A (ko) * 2006-06-30 2008-01-04 주식회사 케이티 다중모드 단말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0814916B1 (ko) * 2006-11-14 2008-03-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단말의 이동성 예측을 통한 핸드오버 제어 방법 및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79014A1 (en) 2014-03-20
KR20120134643A (ko) 2012-12-12
WO2012165897A3 (ko) 2013-03-28
KR101291590B1 (ko) 2013-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165897A2 (ko) 무선통신 단말기의 선택적인 무선망 액세스 관리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WO2014081080A1 (ko) 무선 통신망의 접속점 정보에 기반하여 그 무선 통신망의 접속점으로의 접속전환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3036014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channel in wireless network
JP2001500679A (ja) 遠隔制御によって呼を経路選択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20080085732A1 (en)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server,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WO2011053061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communication
US10368170B2 (en) Smart headset and method of routing service in response to proximity to mobile device
WO2013005996A2 (ko) 고정 호스트 주소에 기반하여 복수의 이종망들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데이터 송수신할 수 있게 하는 장치와 이를 위한 방법
WO2014010852A1 (ko) 경로에 따른 접속점 순차정보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접속점 순차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망을 접속하는 방법과 장치
WO2010030126A2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위치 기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 및 장치
JP2007135194A5 (ko)
JPWO2002082735A1 (ja) 無線lan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子通信装置及び子通信装置の制御方法並びに制御プログラム
JPWO2002082737A1 (ja) 無線lan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子通信装置及び子通信装置の制御方法並びに制御プログラム
CN104837175A (zh) 一种无线路由器的接入控制方法及装置
WO2014148675A1 (ko) 무선 통신망에의 추가 접속시의 망 사용을 제어하는 방법과 그 방법을 위한 장치
WO2013151252A1 (ko) 무선 통신망의 이용요건을 변경하면서 복수 이종망들을 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9135543A1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40086B1 (ko) 복수의 무선 통신망간의 접속전환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JPWO2002082736A1 (ja) 無線lan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子通信装置及び子通信装置の制御方法並びに制御プログラム
WO2014025240A1 (ko) 와이파이를 이용한 근거리 통신 방법 및 시스템
CN109309924A (zh) 数据传输方法及装置
JP6491575B2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90016996A (ko) 통신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WO2019039862A1 (ko)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JP5670067B2 (ja) 電話転送装置、電話転送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電話転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79339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115773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279339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