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2156A - 다중모드 단말 및 그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모드 단말 및 그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2156A
KR20080002156A KR1020060060808A KR20060060808A KR20080002156A KR 20080002156 A KR20080002156 A KR 20080002156A KR 1020060060808 A KR1020060060808 A KR 1020060060808A KR 20060060808 A KR20060060808 A KR 20060060808A KR 20080002156 A KR20080002156 A KR 20080002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m
terminal
wireless access
reference value
signal str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0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우진
변우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60060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2156A/ko
Publication of KR20080002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21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모드 단말 및 그의 동작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중모드 단말은 제1 무선 접속단으로 접속하여 통신하는 제1 모뎀; 제2 무선 접속단으로 접속하여 통신하는 제2 모뎀; 제1 모뎀으로부터 수신되는 전파 신호 세기 변화량 및 핸드오버 여부를 감지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고, 비교에 따라 이동 여부를 판단하는 이동 감지 모듈; 및 제1 모뎀, 제2 모뎀 및 이동 감지모듈을 제어하며, 제1모뎀의 활성화 중에, 이동 감지모듈로부터 다중모드 단말의 정지에 따른 정보를 수신하여 제2 모뎀을 활성화하는 모뎀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중모드 단말은 이동 통신망(매크로셀) 접속 중에 다중모드 단말의 이동 여부(이동 또는 정지)에 따라 무선랜(마이크로셀) 접속을 위한 모뎀을 활성화하여 주변 AP(Access Point)를 탐색함으로써, 다중 무선통신망 접속을 위한 모뎀 동작 시에 발생되는 전력 소모를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무선랜, 이동통신망, 다중모드 단말, 핸드 오버, 신호 세기

Description

다중모드 단말 및 그의 동작 방법{MUTIL-MODE USER EQUIPMENT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무선통신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모드 단말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모드 단말의 이동 감지 모듈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모드 단말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중모드 단말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여 서로 다른 무선 접속단에 접속할 수 있는 다중모드 단말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중모드 단말은 여러 종류의 무선통신망을 자유로이 넘나들며 사용자에게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로, 둘 이상의 서로 다른 망에 접속할 수 있는 모뎀 을 포함한다.
이러한,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다중모드 단말은 현재의 위치에서 어떤 무선통신망에 접속 가능한지 알아야 하며, 이를 위해서 여러 종류의 무선통신망의 존재 여부를 계속해서 탐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다중모드 단말에 대한 종래 기술로, 대한 민국 특허 공개 번호 제2005-0067323호에 "다중모드 단말기와 그의 동작방법 및 이를 저장한 기록매체"가 개시되어 있다. 이 종래의 기술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무선 환경정보에 부합되는 통신 모드를 설정하여, 해당 설정에 따라 다중 무선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다중모드 단말기에 대한 기술로, 무선 통신 모드의 기능을 용도에 따라 적절히 활용함으로써, 무선 이동 단말기 상에서 데이터 단말기로서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또한, 대한 민국 특허 공개번호 2005-0077122호에 "멀티 액세스 통신망에서의 멀티 모드-멀티밴드 이동통신단말의 모드 전환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종래의 기술은 현재 위치하고 있는 통신망의 링크 품질을 산출하고, 산출된 링크품질을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특정 핸드오버 기준에 따라 현재 이용 중인 통신망에서 다른 통신망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종래의 다중모드 단말은 매크로셀(Mecro-Cell)에서 마이크로셀(Micro-Cell)으로 핸드오버를 하고자 하는 경우, 매크로셀 접속 중에 마이크로셀을 탐색하기 위해 통신 모듈을 활성화 상태로 지속적으로 유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전력이 소 모가 큰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전력 소모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 미국 전자통신학회의 IEEE 802.21 표준화 드래프트(Draft)문서에 제안된 "Media Independent Neighbor Graph(MING)"가 있다. 이 종래기술은 다중 모드 단말이 매크로셀에 접속해 있을 경우, 해당 매크로셀 커버리지 내에 타 무선 마이크로셀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매크로셀 기지국이 다중모드 단말로 알려줌으로써, 다중모드 단말이 자신이 머물고 있는 매크로셀 내에 이종 무선 마이크로셀이 존재할 경우에만 마이크로셀 탐색에 필요한 통신 모듈을 활성화여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그러나, 이 종래의 기술은 다중모드 단말이 매크로셀 내에서 마이크로셀 커버리지가 아닌 장소에 정지해 머물러 있을 경우에, 마이크로셀 탐색을 위한 통신 모듈을 활성화 하기 때문에 많은 전력을 소모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여 서로 다른 무선 접속단에 접속할 수 있는 다중모드 단말 및 그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첫번째 특징에 따라서, 매크로셀 접속을 위한 제1 무선 접속단과 마이크로셀 접속을 위한 제2 무선 접속단을 포함하는 다중 무선통신망으로 접속하여 통신하는 다중모드 단말은,
제1 무선 접속단으로 접속하여 통신하는 제1 모뎀; 제2 무선 접속단으로 접 속하여 통신하는 제2 모뎀; 제1 모뎀으로부터 수신되는 전파 신호 세기 변화량 및 핸드오버 여부를 감지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고, 비교에 따라 이동 여부를 판단하는 이동 감지 모듈; 및 제1 모뎀, 제2 모뎀 및 이동 감지모듈을 제어하며, 제1모뎀의 활성화 중에, 이동 감지모듈로부터 다중모드 단말의 정지에 따른 정보를 수신하여 제2 모뎀을 활성화하는 모뎀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모뎀 제어모듈은,
이동 여부 판단에 따라 정지라고 판단된 경우에, 제2모뎀을 활성화하여 기준치보다 큰 세기의 신호를 송신하는 제2 무선 접속단이 존재하는지 탐색하고, 탐색에 따라 존재하면, 해당 제2 무선 접속단으로 접속한다.
여기서, 이동 감지 모듈은,
이동 여부 판단에 따라 전파 신호 세기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보다 큰 경우에, 다중모드 단말이 이동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생성한 제1 정보와, 이동 여부 판단에 따라 핸드 오버 발생 간격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보다 크고, 전파 신호 세기 변화량이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에, 다중모드 단말이 정지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생성한 제2 정보를 모뎀 제어모듈로 제공하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두 번째 특징에 따라서, 매크로셀 접속을 위한 제1 무선 접속단과 마이크로셀 접속을 위한 제2 무선 접속단을 포함하는 다중 무선통신망으로 접속하여 통신하는 다중모드 단말은,
제1 무선 접속단으로 접속하여 통신하는 제1 모뎀; 제2 무선 접속단으로 접속하여 통신하는 제2 모뎀; 제2 모뎀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고, 비교에 따라 특정 정보를 생성하는 무선품질 측정모듈; 및 제1 모뎀, 제2 모뎀 및 무선품질 측정모듈을 제어하며, 제2모뎀의 활성화 중에, 무선품질 측정모듈로부터 특정 정보를 수신하고, 특정 정보 수신에 따라 제1 모뎀을 활성화하여 제1 무선 접속단으로 접속하는 모뎀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모뎀 제어모듈은,
제1 모뎀을 활성화하여 제1 무선접속단으로 접속한 후 제2모뎀을 비활성화하여 제2무선 접속단과 접속을 해지한다.
여기서, 모뎀 제어모듈은,
특정 정보 수신에 따라 제2 모뎀을 비활성화한 후 제1 모뎀을 이용하여 제1 무선 접속단으로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 번째 특징에 따라서, 매크로셀 접속을 위한 제1 무선 접속단과 마이크로셀 접속을 위한 제2 무선 접속단을 포함하는 다중 무선통신망으로 접속하여 통신하는 다중모드 단말의 동작 방법은,
a) 제1 무선 접속단과 접속하여 통신을 하는 단계; b) 제1 무선 접속단과 접속하여 통신하는 중에 핸드오버 발생 간격 및 전파 신호 세기의 변화량을 감지하는 단계; c) 감지된 핸드오버 발생 간격 및 전파 신호 세기 변화량을 기초로 이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이동 여부 판단에 따라 다중모드 단말이 정지하고 있다고 판단된 경우, 제2 무선 접속단을 탐색하는 단계; 및 e) 상기 탐색에 따라 제2 무선 접속단이 탐색되어 제2 무선 접속단으로 접속하여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c) 단계는,
c-1) 핸드 오버 발생 간격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치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2) 상기 c-1)단계에서 제1기준치보다 크면, 전파 신호 세기 변화량이 제2 기준치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3) 상기 c-1)단계에서 제1 기준치보다 크지 않으면, 핸드 오버 발생간격을 반복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c-2)단계는,
전파 신호 세기 변화량이 제2 기준치보다 큰지 여부 판단에 따라, 제2 기준치보다 크면, 핸드오버 발생 간격을 반복 측정하는 단계; 및
전파 신호 세기 변화량이 제2 기준치보다 큰지 여부 판단에 따라, 제2 기준치보다 크지 않으면, 다중모드 단말이 정지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네 번째 특징에 따라서, 매크로셀 접속을 위한 제1 무선 접속단과 마이크로셀 접속을 위한 제2 무선 접속단을 포함하는 다중 무선통신망으로 접속하여 통신하는 다중모드 단말의 동작 방법은,
a) 제2 무선 접속단과 접속하여 통신을 하는 단계; b) 제2 무선 접속단과 접속하여 통신하는 중에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c) 측정된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판단에 따라 신호 세기가 기준치보다 작으면, 제1 무선 접속단으로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d) 단계는, 판단에 따라 신호 세기가 기준치보다 크면, 신호 세기를 반복적으로 감지하여, 신호 세기가 기준치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d) 단계 이후에, 제2 무선 접속단과 접속을 해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모듈(Module)이란 용어는 특정한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하나의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을 구현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모드 단말 및 그의 동작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무선통신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무선통신망은 매크로셀 기지국 장치(Base Station, 이하 "BS"라 함.)(200), 마이크로셀 기지국 장치(Access Point, 이하 "AP"라 함.)(300)를 포함하며, 다중모드 단말(100)이 BS(200) 또는 AP(300)로 접속된다.
BS(200)는 무선 링크를 통해 접속되는 다수의 다중모드 단말(100)로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BS(200)는 하나의 매크로셀(Macro Cell) 커버리지를 갖는 무선 접속단이며, 여러 개의 BS(200)들이 지역을 나누어 전국, 광역을 커버한다. 여기서, BS(200)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을 말한다.
AP(300)는 무선 링크를 통해 접속되는 다수의 다중모드 단말(100)로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AP(300)는 마이크로셀(Micro Cell) 커버리지를 갖는 무선 접속단으로 사무실, 학교, 공원 등의 국부지역을 커버한다. 여기서, AP(300)는 무선랜 시스템의 기지국을 말한다.
여기서, BS(200) 및 AP(300)는 서로 다른 유선 링크를 통해 네트워크(인터넷망)와 연결된다.
다중모드 단말(100)은 BS(200) 또는 AP(300)로 접속하여 네트워크의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서비스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다중모드 단말(100)은 BS(200)와 접속 중에, 다중모드 단말(100)의 핸드오버 감지 및 BS(200)로부터 송신되는 전파 신호 세기 변화량의 측정을 통해 다중모드 단말(100)의 이동 여부를 판단하고, 이동 여부 판단에 따라 다중 모드 단말(100)이 정지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마이크로셀 접속을 위한 모뎀을 활성화하여 AP(300)를 탐색한다.
그리고, AP(300)를 탐색되면, 매크로셀에서 마이크로셀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이때, AP(300)를 탐지하지 못하면, 다중모드 단말(100)은 이동에 따른 제1 정보를 수신하기 전까지 AP(300)를 탐색하지 않는다. 이때, 제1 정보를 수신하면, 다중모드 단말(100)은 반복적으로 핸드오버 감지 및 전파 신호 세기 변화량 측정을 통해 이동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다중모드 단말(100)은 AP(300)에 접속하고 있는 중에, AP(300)로부터 송신되는 전파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무선 품질을 판단하고, 판단에 따라 다중모드 단말(100)이 이동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매크로셀 접속을 위한 모뎀을 활성화하여 BS(200)와 연결을 수행한다.
이때, 다중모드 단말(100)은 AP(300)와의 접속 중에, BS(200)와의 접속은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고 가정하며, BS(200)로 핸드오버 시에, BS(200)와의 접속이 완료되기 전까지는 AP(300)와의 접속을 유지하고, BS(200)와의 접속이 완료된 후 AP(300)와의 접속을 해지한다고 가정한다. 그러나, 무선품질이 예상보다 빨리 악화되는 경우에는 BS(200)와의 접속이 완료되기 전에 AP(300)와의 접속이 먼저 해지될 수 있다.
이러한, 다중모드 단말에 대하여 다음의 도2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모드 단말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모드 단말(100)은 이동 감지 모듈(110), 모뎀 제어모듈(120), 매크로셀 모뎀(130), 마이크로셀 모뎀(140) 및 무선품질 측정모듈(150)을 포함하며, 매크로셀 모뎀(130) 또는 마이크 로셀 모뎀(140)을 이용하여 상기 도1에 도시한 BS(200) 또는 AP(300)로 접속하여 네트워크로 연결된다.
매크로셀 모뎀(130)은 모뎀 제어모듈(120)에 의해 제어되고, BS(200)로 무선 링크를 통해 접속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마이크로셀 모뎀(140)은 모뎀 제어모듈(120)에 의해 제어되고, AP(300)로 무선 링크를 통해 접속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이동 감지 모듈(110)은 매크로셀 모뎀(130)으로부터 수신한 전파 신호 세기의 변화량 및 핸드오버 발생 간격을 측정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고, 비교에 따라 이동 여부를 판단하여 제1 정보 또는 제2 정보를 모뎀 제어모듈(120)로 제공한다. 이때, 이동으로 판단된 경우는 제1 정보, 정지로 판단된 경우에는 제2 정보를 모뎀 제어모듈(120)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동 감지 모듈(110)이 핸드오버 발생 간격과 전파 신호 세기의 변화량을 측정하여 이동 여부를 판단하지만, 핸드오버가 발생되는 발생수과 신호 세기의 변화량을 측정하여 이동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때, 제1 정보는 매크로셀 모뎀(130)이 활성화되어 있을 때, 이동 감지 모듈(110)에서 이동 여부 판단에 따라 전파 신호 세기 변화량이 기준치보다 큰 경우에 다중모드 단말(100)이 이동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모뎀 제어모듈(120)로 전송하는 정보이고, 제2 정보는 매크로셀 모뎀(130)이 활성화되어 있을 때, 이동 감지 모듈(110)에서 이동 여부 판단에 따라 핸드 오버 발생 간격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보다 크고, 전파 신호 세기 변화량이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에 다중모드 단말(100)이 정지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모뎀 제어모듈(120)로 전송하는 정보이다
무선 품질 측정 모듈(150)은 마이크로셀 모뎀(140)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고, 비교에 따라 무선 품질을 판단하여 제3 정보를 모뎀 제어모듈(120)로 제공한다.
이때, 제3정보는 마이크로셀 모뎀(140)이 활성화되어 있을 때, 신호 세기 세기가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에 다중모드 단말(100)이 이동하고 있거나 AP(300)와의 연결이 끊겼다고 판단하여 모뎀 제어모듈(120)로 전송하는 정보이다.
여기서, 이동 감지 모듈(110)은 다음의 도3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모뎀 제어모듈(120)는 매크로셀 모뎀(130), 마이크로셀 모뎀(140), 무선품질 측정모듈(150) 및 이동 감지 모듈(110)을 제어하며, 매크로셀 접속시와 마이크로셀 접속시로 나누어 이동 감지 모듈(110)로부터 수신받은 제1정보 또는 제2정보와 무선품질 측정모듈(150)로부터 수신받은 제3정보를 기초로 세분화된 모뎀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모뎀 제어모듈(120)는 매크로셀 접속 중에, 이동 감지 모듈(110)로부터 수신받은 제2정보를 기초로 마이크로셀 모뎀(140)을 활성화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에 AP(300)를 탐색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AP(300)의 탐색에 따라 AP(300)를 감지하면 마이크로셀 모뎀(140)을 이용하여 AP(300)로 접속한 후, 매크로셀 모뎀(130)을 통한 네트워크 접속을 해지한다.
이때, 모뎀 제어모듈(120)은 AP(300)를 탐색하기 위해 마이크로셀 모뎀(140)을 활성화하여 주변의 AP(300)로부터 송신된 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하고, 수신된 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한 기준치보다 큰 AP(300)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탐색한다. 그리고, 탐색에 따라 기준치보다 큰 신호를 송신하는 AP(300)가 존재하면, 해당 AP(300)로 접속한다. 여기서, AP(300)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미리 설정한 기준치보다 크지 않으면, AP(300)로 접속하지 않는다.
또한, 모뎀 제어모듈(120)은 매크로셀 접속 중에, 이동 감지 모듈(110)로부터 제1정보를 수신받으면, 이동 감지 모듈(110)로 수신되는 정보가 있는지 계속 탐색한다.
또한, 모뎀 제어모듈(120)는 마이크로셀 접속 중에, 무선품질 측정모듈(150)로부터 수신받은 제3정보를 기초로 매크로셀 모뎀(130)을 활성화하여 BS(200)로 접속하고, AP(300)와의 접속을 해지한 후 마이크로셀 모뎀(140)을 비활성화한다. 이때, 모뎀 제어 모듈(120)은 마이크로셀 모뎀(140)을 비활성화한 후에 매크로셀 모뎀(130)을 활성화하여 BS(200)로 접속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다중모드 단말은 이동 통신망(매크로셀) 접속 중에 다중모드 단말의 이동 여부를 기초로 무선랜(마이크로셀) 접속을 위한 모뎀을 활성화하여 주변 AP를 탐색함으로써, 다중 무선통신망 접속을 위한 모뎀 동작 시에 발생되는 전력 소모를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모드 단말의 이동 감지 모듈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모드 단말(100)의 이동 감지 모듈(110)은 핸드오버 감지부(112), 전파 신호 세기 감지부(114) 및 이 동 측정 제어부(116)를 포함하며, 매크로셀 모뎀(130)으로부터 수신되는 전파 신호 세기 변화량 및 핸드오버를 감지하여 이동 여부(이동 또는 정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각각의 판단에 따른 제1 정보 또는 제2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도2에 도시한 모뎀 제어모듈(120)로 제공한다.
핸드오버 감지부(112)는 이동 측정 제어부(116)에 의해 제어되며, 매크로셀 모뎀(130)을 통해 핸드오버를 감지하고, 감지에 따른 핸드오버 발생 간격을 측정하여 이동 측정 제어부(116)로 제공한다.
전파 신호 세기 감지부(114)는 이동 측정 제어부(116)에 의해 제어되며, 매크로셀 모뎀(130)을 통해 BS(2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의 전파 신호 세기의 변화량을 측정하여 이동 측정 제어부(116)로 제공한다.
이동 측정 제어부(116)는 핸드오버 감지부(112) 및 전파 신호 세기 감지부(114)를 제어하며, 매크로셀 접속 중에 핸드오버 발생 간격 및 전파 신호 세기 변화량을 미리 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여 다중모드 단말(100)의 이동 여부(이동 또는 정지)를 판단하고, 판단에 따른 정보를 모뎀 제어모듈(120)로 제공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기준치는 핸드오버 발생 간격에 대한 제1 기준치와 전파 신호 세기 변화량에 대한 제2 기준치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모드 단말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모드 단말(100)은 사용자로부터 네트워크 접속 요청을 수신하여 매크로셀로 접속한다.
다중모드 단말(100)은 네트워크 접속 요청에 따라 매크로셀 모뎀(130)을 활성화하여 매크로셀로 접속한다(S100, S102).
다중모드 단말(100)은 매크로셀 접속 중에 다중모드 단말(100)의 이동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핸드 오버 발생 간격을 측정하여 제1 기준치보다 발생 간격이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고(S104), 판단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제1 기준치보다 작으면, 다중모드 단말(100)이 이동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반복해서 핸드오버 발생 간격을 측정한다(S104).
상기 S104단계에서 핸드오버 발생 간격이 제1 기준치보다 크면, 다중모드 단말(100)은 전파 신호 세기 변화량이 제2 기준치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고(S106), 판단에 따라 전파 신호 세기 변화량이 제2 기준치보다 크면, 다중모드 단말(100)이 이동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핸드오버 발생 간격을 다시 측정한다(S104).
상기 S106단계에서 전파 신호 세기 변화량이 제2 기준치보다 크지 않으면, 다중모드 단말(100)은 단말이 정지했다고 판단하여 마이크로셀로 접속하기 위한 마이크로셀 모뎀(140)을 활성화하고(S107), 주변의 AP(300)를 탐색한다(S108).
그리고 나서, 다중모드 단말(100)은 마이크로셀 모뎀(140)을 활성화한 후 미리 설정한 시간 동안에 미리 설정된 기준치보다 신호 세기가 큰 AP(300)을 발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10), 판단에 따라 미리 설정한 시간 동안에 AP(300)를 발견하지 못하였으면, 마이크로셀 모뎀(140)을 비활성화하고, 더 이상 탐색하지 않고 대기하여 전력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매크로셀로부터 수신되는 전파 신호 세기 변화량을 감지한다.
그리고 나서, 다중모드 단말(100)은 전파 신호 세기 변화량이 제2기준치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고(S120), 판단에 따라 제2 기준치보다 크지 않으면, 반복적으로 전파 신호 세기 변화량이 제2 기준치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S120).
상기 S120단계에서 신호 세기 변화량이 제2 기준치보다 크면, 다중모드 단말(100)이 이동하기 시작한 것으로 판단하여 핸드오버 발생 간격을 감지하게 된다(S104).
상기 S110단계에서 AP(300)를 발견하였으면, 다중모드 단말(100)은 마이크로셀 모뎀(140)을 활성화하여 AP(300)로 접속하고(S112), BS(200)와의 접속을 끊은 후에 매크로셀 모뎀(130)을 비활성화한다(S114, S115).
다중모드 단말(100)은 AP(300)로 접속 중에 신호 세기가 기준치보다 큰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단하고(S116), 판단에 따라 신호 세기가 기준치보다 크면 무선링크상의 통신환경이 양호한 것으로 판단하고, 계속해서 무선품질이 양호한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신호 세기가 기준치보다 큰지를 판단하게 된다(S116).
상기 S116단계에서 신호 세기가 기준치보다 크지 않으면, 다중모드 단말(100)은 매크로셀 모뎀(130)을 활성화하여 매크로셀로 접속하고(S126, S125), 마이크로셀 접속을 해지한 후 마이크로셀 모뎀(140)을 비활성화한다(S124, S122).
이러한, 다중모드 단말은 이동통신망(매크로셀)을 통해 네트워크 접속 중에, 다중모드 단말의 이동 여부(이동 또는 정지)에 따라 무선랜(마이크로셀) 접속을 위한 주변 AP를 탐색함으로써, 다중 무선통신망 접속에 의해 발생되는 전력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을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다중모드 단말은 이동 통신망(매크로셀) 접속 중에 다중모드 단말의 이동 여부(이동 또는 정지)를 기초로 무선랜(마이크로셀) 접속을 위한 모뎀을 활성화하여 주변 AP를 탐색함으로써, 다중 무선통신망 접속을 위한 모뎀 동작 시에 발생되는 전력 소모를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20)

  1. 매크로셀 접속을 위한 제1 무선 접속단과 마이크로셀 접속을 위한 제2 무선 접속단을 포함하는 다중 무선통신망으로 접속하여 통신하는 다중모드 단말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접속단으로 접속하여 통신하는 제1 모뎀;
    상기 제2 무선 접속단으로 접속하여 통신하는 제2 모뎀;
    상기 제1 모뎀으로부터 수신되는 전파 신호 세기 변화량 및 핸드오버 여부를 감지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고, 상기 비교에 따라 이동 여부를 판단하는 이동 감지 모듈; 및
    상기 제1 모뎀, 상기 제2 모뎀 및 상기 이동 감지모듈을 제어하며, 상기 제1모뎀의 활성화 중에, 상기 이동 감지모듈로부터 상기 다중모드 단말의 정지에 따른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2 모뎀을 활성화하는 모뎀 제어모듈
    을 포함하는 다중모드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 제어모듈은, 상기 이동 여부 판단에 따라 정지라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제2모뎀을 활성화하여 기준치보다 큰 세기의 신호를 송신하는 제2 무선 접속단이 존재하는지 탐색하고, 탐색에 따라 존재하면, 해당 제2 무선 접속단으로 접속하는 다중모드 단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감지 모듈은,
    상기 이동 여부 판단에 따라 상기 전파 신호 세기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보다 큰 경우에, 상기 다중모드 단말이 이동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생성한 제1 정보와, 상기 이동 여부 판단에 따라 상기 핸드 오버 발생 간격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보다 크고, 상기 전파 신호 세기 변화량이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다중모드 단말이 정지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생성한 제2 정보를 상기 모뎀 제어모듈로 제공하는 특징을 갖는 다중 모드 단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와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1 모뎀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모뎀 제어모듈로 제공되는 특징을 갖는 다중모드 단말.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 제어모듈은, 상기 제2 무선 접속단으로 접속한 후에 상기 제1 모뎀을 비활성화하는 다중모드 단말.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감지 모듈은,
    상기 제1 모뎀으로부터 수신되는 핸드오버를 감지하여 핸드오버 발생 간격을 측정하는 핸드오버 감지부;
    상기 제1 모뎀으로부터 수신되는 전파 신호 세기의 변화량을 측정하는 전파 신호 세기 감지부; 및
    상기 핸드오버 발생 간격 및 전파 신호 세기의 변화량을 수신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기초로 이동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에 따른 상기 제1정보 또는 제2정보를 생성하는 이동 측정 제어부
    를 포함하는 다중모드 단말.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뎀의 활성화 중에, 상기 제2 모뎀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다중 모드 단말이 이동 중이라고 판단하여 제3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제3정보를 상기 모뎀 제어 모듈로 제공하는 무선품질 측정모듈을 더 포함하는 다중 모드 단말.
  8. 매크로셀 접속을 위한 제1 무선 접속단과 마이크로셀 접속을 위한 제2 무선 접속단을 포함하는 다중 무선통신망으로 접속하여 통신하는 다중모드 단말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접속단으로 접속하여 통신하는 제1 모뎀;
    상기 제2 무선 접속단으로 접속하여 통신하는 제2 모뎀;
    상기 제2 모뎀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고, 상기 비교에 따라 특정 정보를 생성하는 무선품질 측정모듈; 및
    상기 제1 모뎀, 상기 제2 모뎀 및 상기 무선품질 측정모듈을 제어하며, 상기 제2모뎀의 활성화 중에, 상기 무선품질 측정모듈로부터 상기 특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특정 정보 수신에 따라 상기 제1 모뎀을 활성화하여 상기 제1 무선 접속단으로 접속하는 모뎀 제어모듈
    을 포함하는 다중모드 단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 제어모듈은 상기 제1 모뎀을 활성화하여 상기 제1 무선접속단으로 전속한 후 상기 제2모뎀을 비활성화하여 상기 제2무선 접속단과 접속을 해지하는 다중모드 단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 제어모듈은, 상기 특정 정보 수신에 따라 상기 제2 모뎀을 비활성화한 후 상기 제1 모뎀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무선 접속단으로 접속할 수 있는 다중모드 단말.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뎀의 활성화 중에, 전파 신호 세기 변화량 및 핸드오버 발생 간격 을 측정하여 상기 다중모드 단말의 정지 또는 이동에 따른 제1정보 또는 제2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모뎀 제어모듈로 제공하는 이동감지모듈
    을 더 포함하는 다중모드 단말.
  12. 매크로셀 접속을 위한 제1 무선 접속단과 마이크로셀 접속을 위한 제2 무선 접속단을 포함하는 다중 무선통신망으로 접속하여 통신하는 다중모드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제1 무선 접속단과 접속하여 통신을 하는 단계;
    b) 상기 제1 무선 접속단과 접속하여 통신하는 중에 핸드오버 발생 간격 및 전파 신호 세기의 변화량을 감지하는 단계;
    c) 상기 감지된 핸드오버 발생 간격 및 전파 신호 세기 변화량을 기초로 이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이동 여부 판단에 따라 상기 다중모드 단말이 정지하고 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2 무선 접속단을 탐색하는 단계; 및
    e) 상기 탐색에 따라 상기 제2 무선 접속단이 탐색되어 상기 제2 무선 접속단으로 접속하여 통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모드 단말의 동작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핸드 오버 발생 간격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치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2) 상기 c-1)단계에서 상기 제1기준치보다 크면, 상기 전파 신호 세기 변화량이 제2 기준치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3) 상기 c-1)단계에서 제1 기준치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핸드 오버 발생간격을 반복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모드 단말의 동작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c-2)단계는,
    상기 전파 신호 세기 변화량이 상기 제2 기준치보다 큰지 여부 판단에 따라, 상기 제2 기준치보다 크면, 상기 핸드오버 발생 간격을 반복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전파 신호 세기 변화량이 상기 제2 기준치보다 큰지 여부 판단에 따라, 상기 제2 기준치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다중모드 단말이 정지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모드 단말의 동작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제2 무선 접속단을 탐색하기 위하여 상기 제2 무선 접속단과 접속할 수 있는 모뎀을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활성화된 모뎀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에 기준치보다 큰 세기의 신호가 송신되는지 탐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모드 단말의 동작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탐색에 따라 상기 제2 무선 접속단이 탐색되지 않아, 상기 활성화된 모뎀을 다시 비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다중모드 단말의 이동에 따른 제1정보를 수신하기 전까지, 상기 제1 무선 접속단의 전파 신호 세기 변화량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무선 접속단으로부터 수신되는 전파 신호 세기 변화량이 기준치보타 큰지 여부에 따라 핸드오버 발생 간격을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모드 단말의 동작 방법.
  17.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 이후에,
    상기 제1무선 접속단과의 접속을 해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중모드 단말의 동작 방법.
  18. 매크로셀 접속을 위한 제1 무선 접속단과 마이크로셀 접속을 위한 제2 무선 접속단을 포함하는 다중 무선통신망으로 접속하여 통신하는 다중모드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제2 무선 접속단과 접속하여 통신을 하는 단계;
    b) 상기 제2 무선 접속단과 접속하여 통신하는 중에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c) 상기 측정된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판단에 따라 상기 신호 세기가 상기 기준치보다 작으면, 상기 제1 무선 접속단으로 접속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모드 단말의 동작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판단에 따라 상기 신호 세기가 상기 기준치보다 크면, 상기 신호 세기를 반복적으로 상기 신호 세기가 상기 기준치보다 큰지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모드 단말의 동작 방법.
  20. 제18항 또는 19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무선 접속단과 접속을 해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다중모드 단말의 동작 방법.
KR1020060060808A 2006-06-30 2006-06-30 다중모드 단말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0800021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0808A KR20080002156A (ko) 2006-06-30 2006-06-30 다중모드 단말 및 그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0808A KR20080002156A (ko) 2006-06-30 2006-06-30 다중모드 단말 및 그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156A true KR20080002156A (ko) 2008-01-04

Family

ID=39213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0808A KR20080002156A (ko) 2006-06-30 2006-06-30 다중모드 단말 및 그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215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5897A2 (ko) * 2011-06-03 2012-12-06 주식회사에어플러그 무선통신 단말기의 선택적인 무선망 액세스 관리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KR20160091782A (ko) * 2015-01-26 2016-08-0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액티브 링크와 스탠바이 링크를 이용한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5897A2 (ko) * 2011-06-03 2012-12-06 주식회사에어플러그 무선통신 단말기의 선택적인 무선망 액세스 관리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WO2012165897A3 (ko) * 2011-06-03 2013-03-28 주식회사에어플러그 무선통신 단말기의 선택적인 무선망 액세스 관리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KR101291590B1 (ko) * 2011-06-03 2013-08-01 주식회사에어플러그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인 무선망 액세스 관리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KR20160091782A (ko) * 2015-01-26 2016-08-0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액티브 링크와 스탠바이 링크를 이용한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1190B1 (ko) 사용자 장비의 핸드­인을 위한 타겟 펨토셀을 식별하기 위한 방법들,장치들 및 시스템
KR100726184B1 (ko) 이종 무선 네트워크간 핸드오버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 탐지방법, 이를 구현하는 다중모드 단말 및 연동 서비스 서버
KR101083542B1 (ko) 소형 기지국 및 그의 동작제어방법
EP2606681B1 (en) Method for small cell discovery in heterogeneous network
KR970002762B1 (ko) 마호(maho)를 이용한 디지탈 이동 무선 시스템의 지향성 변환 제어
RU2459387C1 (ru)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системы управления передачей обслуживания, ассоциативно связанной с сетью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KR101606099B1 (ko) 셀 발견 방법, 장치, 시스템
KR101451860B1 (ko)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시스템 간 단말의 핸드오버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8029035B (zh) 在隐式触发时的ue自主测量相关动作的方法
US20110263242A1 (en) Uniquely identifying target femtocell to facilitate femto-assisted active hand-in
JP2017153149A (ja) フェムトアクセスポイントの検出のための帯域外スキャニング
JP5766809B2 (ja) ビーコン送信機を用いたフェムトセルカバレージ情報の改善
JP2014526849A (ja) スキャン時間制御に基づく装置のモビリティ
KR101065092B1 (ko) 네트워크 컨트롤러 및 소형 기지국
KR101105848B1 (ko) 센서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이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및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의 스캐닝 방법
KR101578137B1 (ko) 이기종 시스템을 지원하는 이동 단말에서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WO2015016183A1 (ja) 無線基地局装置、及び送信電力決定方法
JP2010119028A (ja) 無線機器
KR20080002156A (ko) 다중모드 단말 및 그의 동작 방법
CN108702662B (zh) 用在异构网络中执行切换的系统和方法
JP2011049787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KR20070121366A (ko) 다중 모드 단말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892538B1 (ko) 무선랜 환경에서 통신 주파수 대역을 변경하는 방법
CN109451548B (zh) 基于网关设备在多种网络之间热备通信的方法
KR20110068810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