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0128A -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과 이동 통신 시스템 간의 핸드오프방법 - Google Patents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과 이동 통신 시스템 간의 핸드오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0128A
KR20060040128A KR20040089352A KR20040089352A KR20060040128A KR 20060040128 A KR20060040128 A KR 20060040128A KR 20040089352 A KR20040089352 A KR 20040089352A KR 20040089352 A KR20040089352 A KR 20040089352A KR 20060040128 A KR20060040128 A KR 20060040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ed signal
wireless access
signal strength
access system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89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신
박성수
우대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40089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40128A/ko
Publication of KR20060040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0128A/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과 이동 통신 시스템 간의 핸드오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과 이동 통신 시스템 간의 핸드오프 방법은, 고정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과 이동 통신 시스템이 공존하는 환경에서, 고정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방법으로서, 주기적으로 단말이 현재 서비스 받고 있는 시스템의 수신신호세기의 변화량(DP_Serv)을 측정하는 제1단계와; 상기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Serv)이 고정환경과 이동환경을 구분하기 위한 기준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Ref)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Serv)이 상기 기준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Ref) 이상인 경우,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제3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 이동 통신 시스템

Description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과 이동 통신 시스템 간의 핸드오프 방법{Method for Hand-Off between Fixed Typ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Typ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고정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고정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과 이동 통신 시스템 간의 핸드오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무선랜(WLAN)이나 고정 광대역 무선 접속 방식(FBWA)인 와이맥스(Wi-MAX) 등 단말의 이동성을 지원하지 않거나 저속의 이동성만을 지원하는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과, 셀룰러, 휴대 인터넷(와이브로, WiBro) 등과 같이 단말의 중속 혹은 고속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이 공존하는 환경에서, 수신신호세기뿐만 아니라, 단말의 이동성 여부, 각 시스템이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 등을 고려한 효율적인 핸드오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과 이동 통신 시스템 간의 핸드오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랜은 핫 스팟용으로서, 전송 거리가 짧아 이동형 시스템의 커버리지 안에 핫 스팟(Hot Spot)의 형태로 존재하게 되며, 와이맥스의 경우에는 전송 거리가 길기 때문에 이동 통신 시스템과 커버리지가 비슷하거나 오히려 큰 경우가 많다.
한편, 이동 통신 시스템(셀룰러 망, 와이브로 망)의 기지국과 와이맥스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 신호세기가 같다면, 각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 전달되는 수신 신호세기도 거의 유사하다. 그러나, 무선랜으로부터의 수신 신호세기는 무선랜 영역 내에서는 크지만 커버리지 즉, 핫 스팟을 벗어나게 되면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신호세기보다 낮아진다.
그리고, 데이터 전송 속도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와이맥스나 무선랜과 같은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이동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속도보다 높다.
따라서, 와이맥스와 이동 통신 시스템(셀룰러, 와이브로) 간의 핸드오프에 있어서, 와이맥스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수신 신호세기는 유사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수신 신호의 세기를 고려하여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기존의 핸드오프 방식을 와이맥스와 이동 통신 시스템 간의 핸드오프에 적용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또한, 핫 스팟 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의 대표적인 예인 무선랜은, 신호 전송 속도가 큰 반면 전송 거리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단말이 이동 중인 경우에는, 단말이 무선랜의 수신 신호세기가 커질 때 신호세기만을 고려하는 기존의 핸드오프 방식에 따라 무조건 무선랜으로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수신신호의 세기만을 고려한 핸드오프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과 이동 통신 시스템이 공존하는 환경에서 수신신호의 세기뿐만 아니라 단말의 이동성 및 무선 통신 시스템이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를 고려하여 효율적인 핸드오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과 이동 통신 시스템 간의 핸드오프 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고정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과 이동 통신 시스템이 공존하는 환경에서, 고정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방법으로서, 주기적으로 단말이 현재 서비스 받고 있는 시스템의 수신신호 세기의 변화량(DP_Serv)을 측정하는 제1단계와; 상기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Serv)이 고정환경과 이동환경을 구분하기 위한 기준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Ref)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Serv)이 상기 기준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Ref) 이상인 경우,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제3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과 이동 통신 시스템 간의 핸드오프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고정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과 이동 통신 시스템이 공존하는 환경에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고정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방법으로서, 주기적으로 단말이 현재 서비스 받고 있는 시스템의 수신신호세기의 변화량(DP_Serv)을 측정하는 제1단계와; 상기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Serv)이 고정환경과 이동환경을 구분하기 위한 기준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Ref)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Serv)이 상기 기준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Ref) 이하인 경우, 현재 서비스 받고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이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SR_M)가 고정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이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SR_F)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제3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이동 통신 시스템이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SR_M)가 고정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이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SR_F) 이하인 경우, 상기 고정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으로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과 이동 통신 시스템 간의 핸드오프 방법에 의해 달 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이동 통신 시스템과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이 공존하는 환경에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방법으로서, 주기적으로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의 수신신호세기(P_L) 및 수신신호세기의 변화량(DP_Serv)을 측정하는 제1단계와; 상기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의 수신신호세기(P_L)가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가 가능한 기준 수신신호세기(P_Ref)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의 수신신호세기(P_L)가 기준 수신신호세기(P_Ref) 이상인 경우, 상기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Serv)이 고정환경과 이동환경을 구분하기 위한 기준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Ref)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제3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Serv)이 상기 기준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Ref) 이하인 경우,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이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SR_L)가 이동 통신 시스템이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SR_M)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제4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이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SR_L)가 이동 통신 시스템이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SR_M) 이상인 경우, 상기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으로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제5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과 이동 통신 시스템 간의 핸드오프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이동 통신 시스템과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이 공존하는 환경에서,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방법으로서, 주기적으로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의 수신신호세기(P_L) 및 수신신호세기의 변화량(DP_Serv)을 측정하는 제1단계와; 상기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의 수신신호세기(P_L)가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의 이용이 가능한 기준 수신신호세기(P_Ref) 이하이거나, 상기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Serv)이 고정환경과 이동환경을 구분하기 위한 기준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Ref)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의 수신신호세기(P_L)가 기준 수신신호세기(P_Ref) 이하이거나, 상기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Serv)이 기준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Ref) 이상인 경우,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제3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과 이동 통신 시스템 간의 핸드오프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과,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고정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이 공존하는 환경에서, 핫 스팟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과 고정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 중 어느 하나로의 핸드오프 방법으로서, 주기적으로 핫 스팟(Hot Spot) 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의 수신신호세기(P_L) 및 수신신호세기의 변화량(DP_Serv)을 측정하는 제1단계와; 상기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의 수신신호세기(P_L)가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의 이용이 가능한 기준 수신신호세기(P_Ref)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의 수신신호세기(P_L)가 기준 수신신호세기(P_Ref) 이하인 경우, 상기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Serv)이 고정환경과 이동환경을 구분하기 위한 기준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Ref)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제3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Serv)이 기준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Ref) 이하인 경우, 이동 통신 시스템이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SR_M)가 고정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이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SR_F)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제4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이동 통신 시스템이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SR_M)가 고정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이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SR_F) 이하인 경우, 상기 고정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으로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제5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과 이동 통신 시스템 간의 핸드오프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먼저, 도 1과 도 2는 고정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과 이동 통신 시스템이 공존하는 환경에 적용되는 실시예로서, 도 1은 고정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2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고정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여기서, 고정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은 와이맥스(Wi-MAX) 시스템과 같이 단말의 이동성 지원도가 낮지만, 일반적으로 데이터 전송 속도는 이동 통신 시스템보다 높고, 커버리지가 이동 통신 시스템과 유사한 시스템이다.
이러한 고정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과 이동 통신 시스템이 공존하는 환경에서는, 고정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를 수행하기 위해 단말의 이동성 여부만을 고려하고, 반대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고정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단말의 이동성 및 각 시스템이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를 고려하여야 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고정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의 서비스를 받고 있는 단말은 주기적으로 단말이 현재 서비스 받고 있는 시스템의 수신신호세기의 변화량(DP_Serv)을 측정하여(S101), 상기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Serv)이 고정환경과 이동환경을 구분하기 위한 기준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Ref)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102).
상기 판단 결과,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Serv)이 상기 기준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Ref) 이상인 경우, 단말의 이동성이 높기 때문에 고정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이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가 높더라도 이동성 지원이 되지 않기 때문에 단말은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 핸드오프를 수행한다(S103).
한편, 상기 S102 단계의 판단 결과,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Serv)이 상기 기준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Ref) 이상이 아닌 경우, 단말은 상기 S101 단계로 궤환하여 주기적 수신신호세기 변화량 측정 단계를 수행한다.
반대로,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고정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과정은 도 2와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이동 통신 시스템의 서비스를 받고 있는 단말은 주기적으로 단말이 현재 서비스 받고 있는 시스템의 수신신호세기의 변화량(DP_Serv)을 측정하고(S201), 상기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Serv)이 고정환경과 이동환경을 구분하기 위한 기준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Ref) 이하인지를 판단한다(S202).
상기 판단 결과,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Serv)이 기준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Ref) 이하인 경우, 단말의 이동성이 낮기 때문에 단말은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를 지원하는 시스템의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현재 서비스 받고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이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SR_M)가 고정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이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SR_F) 이하인지를 판단한다(S203).
상기 판단 결과, 이동 통신 시스템이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SR_M)가 고정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이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SR_F) 이하인 경우, 단말은 상기 고정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으로 핸드오프를 수행한다(S204).
한편, 상기 S202단계의 판단 결과, 현재 수신신호세기 변화량이 기준값 이하 가 아닌 경우와, S203 단계의 판단 결과, 이동 통신 시스템의 지원속도가 고정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의 지원속도 이하가 아닌 경우, 단말은 S201 단계로 궤환하여 주기적 수신신호세기 변화량 측정 단계를 수행한다.
다음, 도 3 및 도 4는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과 이동 통신 시스템이 공존하는 환경에 적용되는 실시예로서, 도 3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4는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여기서,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은 전송 거리가 짧아 이동형 시스템의 커버리지 안에 핫 스팟(Hot Spot)의 형태로 존재하게 되는 무선 접속 시스템으로서, 대표적인 예는 무선랜(WLAN)이 있으며, 단말의 이동성 지원도가 낮지만, 일반적으로 데이터 전송 속도는 이동 통신 시스템보다 높다.
이러한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과 이동 통신 시스템이 공존하는 환경에서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를 수행하기 위해 수신신호세기, 단말의 이동성 여부, 각 시스템이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를 고려하고, 반대로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수신신호세기, 단말의 이동성만을 고려하면 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를 위해, 주기적으로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의 수신신호세기(P_L) 및 수신신호세기의 변화량(DP_Serv)을 측정하고(S301), 상기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의 수신신호세기(P_L)가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가 가능한 기준 수신신호세기(P_Ref)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302).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의 수신신호세기(P_L)가 기준 수신신호세기(P_Ref) 이상인 경우,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의 단말의 이동성 지원도가 낮기 때문에 단말은 또한 상기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Serv)이 고정환경과 이동환경을 구분하기 위한 기준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Ref) 이하인지를 판단한다(S303).
상기 판단 결과,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Serv)이 상기 기준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Ref) 이하인 경우, 단말은 전송 속도가 높은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하여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이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SR_L)가 이동 통신 시스템이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SR_M)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304).
상기 판단 결과,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이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SR_L)가 이동 통신 시스템이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SR_M) 이상인 경우, 상기 단말은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으로 핸드오프를 수행한다(S305).
한편, 상기 S302 단계의 판단 결과, 수신신호세기가 기준값 이상이 아닌 경우와, S303 단계의 판단 결과, 수신신호세기 변화량이 기준값 이하가 아닌 경우 및 , S304 단계의 판단 결과,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이동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속도 이상이 아닌 경우, 단말은 S301 단계로 궤환하여 주기적 수신신호세기 및 그 변화량 측정 단계를 수행한다.
반대로,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으로부터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과정은 도 4와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의 서비스를 받고 있는 단말은 주기적으로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의 수신신호세기(P_L) 및 수신신호세기의 변화량(DP_Serv)을 측정한다(S401).
이후, 단말은 상기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의 수신신호세기(P_L)가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의 이용이 가능한 기준 수신신호세기(P_Ref) 이하이거나(S402), 상기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Serv)이 고정환경과 이동환경을 구분하기 위한 기준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Ref)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403).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의 수신신호세기(P_L)가 기준 수신신호세기(P_Ref) 이하이거나, 상기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Serv)이 기준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Ref) 이상인 경우, 단말은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 핸드오프를 수행한다(S404).
이때, 도면에서는 상기 수신신호세기를 판단하는 단계 S402를 먼저 수행하고, S402의 결과에 따라 수신신호세기 변화량을 판단하는 단계 S403을 수행하는 것 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는 순서와 무관하게 S402의 조건과 S403의 조건 중 어느 하나만을 만족함에 따라 이루어지므로, S403 단계를 먼저 수행한 후, 그 결과에 따라 S402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바람직하게 S401단계에서 수신신호세기 및 수신신호세기의 변화량을 모두 측정하는 것으로 되어있으나, 수신신호세기의 변화량과 무관하게 수신신호세기에 대한 조건 만족만으로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수신신호세기만을 측정한 후 S402 단계를 수행하고, 그 결과에 따라 다시 수신신호세기의 변화량을 측정할 수도 있으며, 순서를 바꾸어 수신신호세기의 변화량만을 측정한 후 S403 단계를 수행하고, 그 결과에 따라 다시 수신신호를 측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단계 S402, S403 단계의 조건 중 어느 하나도 만족하지 않는 경우 단말은 S401 단계로 궤환하여 주기적인 수신신호세기 및 수신신호세기 변화량을 측정한다.
상기에서는 이동 통신 시스템과 고정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만이 공존하는 경우와, 이동 통신 시스템과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만이 공존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 것이고, 이동 통신 시스템과 고정 광대역,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을 포함하는 세가지 시스템이 공존하는 경우의 핸드오프에 대하여 도 5를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 스템에서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고정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과,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고정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이 공존하는 환경에서, 단말이 현재 핫 스팟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의 서비스를 받고 있는 경우, 단말은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과 고정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 중 어느 하나로의 핸드오프를 수행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의 수신신호세기(P_L) 및 수신신호세기의 변화량(DP_Serv)을 측정한다(S501).
다음, 단말은 상기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의 수신신호세기(P_L)가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의 이용이 가능한 기준 수신신호세기(P_Ref) 이하인지를 판단하여, 핸드오프가 요구되는지를 판단한다(S502).
상기 판단 결과,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의 수신신호세기(P_L)가 기준 수신신호세기(P_Ref) 이하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Serv)이 상기 기준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Ref) 이상인지를 판단하고(S503),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Serv)이 기준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Ref) 이상인 경우, 단말은 이동성을 지원하는 시스템인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 핸드오프를 수행한다(S504).
한편, 상기 S502 단계의 판단 결과,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의 수신신호세기(P_L)가 기준 수신신호세기(P_Ref) 이하인 경우, 단말은 핸드 오프를 위해 상기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Serv)이 고정환경과 이동환경을 구분하기 위한 기준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Ref) 이하인지를 판단한다(S505).
상기 S505 단계의 판단 결과,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Serv)이 기준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Ref) 이하인 경우, 단말은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를 지원하는 시스템으로 핸드오프를 수행하기 위하여, 이동 통신 시스템이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SR_M)가 고정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이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SR_F) 이하인지를 판단하고(S506), 판단 결과, 이동 통신 시스템이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SR_M)가 고정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이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SR_F) 이하인 경우, 상기 고정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으로 핸드오프를 수행한다(S507).
이때, 상기 단계 S505의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및 단계 S506의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단말은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 핸드오프를 수행한다(S504).
한편, 상기에서 단말은 각 시스템이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에 대한 정보를 각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전송하는 방송 채널 정보를 통해 알 수 있다.
그리고, 수신신호세기의 변화량 및 수신신호세기의 비교에 있어서, 각 시스템이 전송하는 송신신호세기가 다른 경우, 단말은 기지국에서 방송 채널을 통해 알려주는 송신신호세기 정보를 통해 각 시스템으로부터의 수신신호세기를 정규화하여 수신신호세기 및 수신신호세기 변화량을 비교하여야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과 이동 통신 시스템 간의 핸드오프 방법에 의하면,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과 이동 통신 시스템이 공존하는 환경에서 수신신호의 세기뿐만 아니라 단말의 이동성 및 무선 통신 시스템이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를 고려하여 핸드오프를 수행함으로써, 서로 다른 조건의 무선 통신 시스템이 공존하는 환경에서 각 시스템의 특성이 고려된 효율적인 핸드오프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고정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과 이동 통신 시스템이 공존하는 환경에서, 고정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방법으로서,
    주기적으로 단말이 현재 서비스 받고 있는 시스템의 수신신호세기의 변화량(DP_Serv)을 측정하는 제1단계와;
    상기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Serv)이 고정환경과 이동환경을 구분하기 위한 기준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Ref)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Serv)이 상기 기준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Ref) 이상인 경우,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제3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과 이동 통신 시스템 간의 핸드오프 방법.
  2. 고정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과 이동 통신 시스템이 공존하는 환경에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고정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방법으로서,
    주기적으로 단말이 현재 서비스 받고 있는 시스템의 수신신호세기의 변화량(DP_Serv)을 측정하는 제1단계와;
    상기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Serv)이 고정환경과 이동환경을 구분하기 위한 기준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Ref)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Serv)이 상기 기준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Ref) 이하인 경우, 현재 서비스 받고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이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SR_M)가 고정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이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SR_F)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제3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이동 통신 시스템이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SR_M)가 고정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이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SR_F) 이하인 경우, 상기 고정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으로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과 이동 통신 시스템 간의 핸드오프 방법.
  3. 이동 통신 시스템과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이 공존하는 환경에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방법으로서,
    주기적으로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의 수신신호세기(P_L) 및 수신신호세기의 변화량(DP_Serv)을 측정하는 제1단계와;
    상기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의 수신신호세기(P_L)가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가 가능한 기준 수신신호세기(P_Ref)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의 수신신호세기(P_L)가 기준 수신신호세기(P_Ref) 이상인 경우, 상기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Serv)이 고정환경과 이동환경을 구분하기 위한 기준 수신신호세기 변화량 (DP_Ref)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제3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Serv)이 상기 기준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Ref) 이하인 경우,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이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SR_L)가 이동 통신 시스템이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SR_M)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제4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이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SR_L)가 이동 통신 시스템이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SR_M) 이상인 경우, 상기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으로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제5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과 이동 통신 시스템 간의 핸드오프 방법.
  4. 이동 통신 시스템과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이 공존하는 환경에서,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방법으로서,
    주기적으로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의 수신신호세기(P_L) 및 수신신호세기의 변화량(DP_Serv)을 측정하는 제1단계와;
    상기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의 수신신호세기(P_L)가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의 이용이 가능한 기준 수신신호세기(P_Ref) 이하이거나, 상기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Serv)이 고정환경과 이동환경을 구분하기 위한 기준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Ref)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의 수신신호세기(P_L)가 기준 수신신호세기(P_Ref) 이하이거나, 상기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Serv)이 기준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Ref) 이상인 경우,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제3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과 이동 통신 시스템 간의 핸드오프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의 수신신호세기(P_L)가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의 이용이 가능한 기준 수신신호세기(P_Ref)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의 수신신호세기(P_L)가 기준 수신신호세기(P_Ref)이하가 아닌 경우, 상기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Serv)이 고정환경과 이동환경을 구분하기 위한 기준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Ref)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과 이동 통신 시스템 간의 핸드오프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Serv)이 고정환경과 이동환경을 구분하기 위한 기준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Ref)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Serv)이 고정환경과 이동환경을 구분하기 위한 기준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Ref) 이상이 아닌 경우, 상기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의 수신신호세기(P_L)가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의 이용이 가능한 기준 수신신호세기(P_Ref)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과 이동 통신 시스템 간의 핸드오프 방법.
  7.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과,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고정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이 공존하는 환경에서, 핫 스팟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과 고정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 중 어느 하나로의 핸드오프 방법으로서,
    주기적으로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의 수신신호세기(P_L) 및 수신신호세기의 변화량(DP_Serv)을 측정하는 제1단계와;
    상기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의 수신신호세기(P_L)가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의 이용이 가능한 기준 수신신호세기 (P_Ref)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의 수신신호세기(P_L)가 기준 수신신호세기(P_Ref) 이하인 경우, 상기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Serv)이 고정환경과 이동환경을 구분하기 위한 기준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Ref)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제3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Serv)이 기준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Ref) 이하인 경우, 이동 통신 시스템이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SR_M)가 고정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이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SR_F)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제4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이동 통신 시스템이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SR_M)가 고정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이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SR_F) 이하인 경우, 상기 고정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으로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제5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과 이동 통신 시스템 간의 핸드오프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 이후,
    상기 제2단계의 판단 결과, 핫 스팟(Hot Spot)용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의 수신신호세기(P_L)가 기준 수신신호세기(P_Ref) 이하가 아닌 경우, 상기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Serv)이 고정환경과 이동환경을 구분하기 위한 기준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Ref)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Serv)이 기준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Ref) 이상인 경우,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과 이동 통신 시스템 간의 핸드오프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 이후,
    상기 제3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Serv)이 기준 수신신호세기 변화량(DP_Ref) 이하가 아닌 경우,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과 이동 통신 시스템 간의 핸드오프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 이후,
    상기 제4단계의 판단 결과,
    이동 통신 시스템이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SR_M)가 고정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이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SR_F) 이하가 아닌 경우,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과 이동 통신 시스템 간의 핸드오프 방법.
KR20040089352A 2004-11-04 2004-11-04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과 이동 통신 시스템 간의 핸드오프방법 KR200600401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89352A KR20060040128A (ko) 2004-11-04 2004-11-04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과 이동 통신 시스템 간의 핸드오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89352A KR20060040128A (ko) 2004-11-04 2004-11-04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과 이동 통신 시스템 간의 핸드오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0128A true KR20060040128A (ko) 2006-05-10

Family

ID=37147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89352A KR20060040128A (ko) 2004-11-04 2004-11-04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과 이동 통신 시스템 간의 핸드오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4012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89937B2 (en) 2006-12-07 2012-01-0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ver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satellite network
WO2012165897A2 (ko) * 2011-06-03 2012-12-06 주식회사에어플러그 무선통신 단말기의 선택적인 무선망 액세스 관리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89937B2 (en) 2006-12-07 2012-01-0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ver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satellite network
WO2012165897A2 (ko) * 2011-06-03 2012-12-06 주식회사에어플러그 무선통신 단말기의 선택적인 무선망 액세스 관리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WO2012165897A3 (ko) * 2011-06-03 2013-03-28 주식회사에어플러그 무선통신 단말기의 선택적인 무선망 액세스 관리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KR101291590B1 (ko) * 2011-06-03 2013-08-01 주식회사에어플러그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인 무선망 액세스 관리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26781B (zh) 一种双频WiFi自动切换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7072652B2 (en) Handoff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US2021012733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 wlan system
KR100960116B1 (ko)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그를 이용한이동통신 단말기 및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CN104618978A (zh) 移动通信装置以及在多个异质网络间进行交递的方法
US7486616B2 (en) Preemptive dynamic frequency selection
JP4050295B2 (ja) 通信システム、移動通信端末装置及び制御局
JP2005027313A (ja) 無線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のハンドオフ切換方法
JP2010021765A (ja) 通信装置、通信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US20070077928A1 (en) Handoff system and method in communication system with smart antenna
JPH06209492A (ja) 電界レベル測定エリア制御方式
US7782819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adio base station,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program thereof
CN107548113B (zh) 一种无线服务提供方法及装置
US907820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tively determining communication link in communication system
JP2012506165A (ja) セル再選択方法および装置
US832633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ponding to a scanning request
KR20060040128A (ko) 고정 무선 접속 시스템과 이동 통신 시스템 간의 핸드오프방법
JP4382636B2 (ja) 無線通信端末
JP4343190B2 (ja) 移動通信端末
KR101091036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이동 속도를 이용한 이기종 무선 통신시스템 간의 핸드오프 방법
US833197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canned objects
US20240007154A1 (en) Beamforming techniques in wi-fi frequency bands
JP2008118721A (ja) 無線通信端末
JP2023048458A (ja) 無線lan端末、無線lan端末の制御方法および無線lan端末の制御プログラム
CN106465228A (zh) 小区中断补偿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