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2134196A2 - 풍선을 이용한 삼킴 훈련용 비위관 및 이를 이용한 삼킴훈련방법 {nasogastric tube with a baloon(yk tube) and method for training swallowing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풍선을 이용한 삼킴 훈련용 비위관 및 이를 이용한 삼킴훈련방법 {nasogastric tube with a baloon(yk tube) and method for training swallowing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2134196A2
WO2012134196A2 PCT/KR2012/002333 KR2012002333W WO2012134196A2 WO 2012134196 A2 WO2012134196 A2 WO 2012134196A2 KR 2012002333 W KR2012002333 W KR 2012002333W WO 2012134196 A2 WO2012134196 A2 WO 2012134196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alloon
training
swallowing
tube
tub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233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2134196A3 (ko
Inventor
김용균
Original Assignee
관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관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관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12134196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134196A2/ko
Publication of WO2012134196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134196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5/00Feeding-tubes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J15/0003Nasal or oral feeding-tubes, e.g. tube entering body through nose or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5/00Feeding-tubes for therapeu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5/00Feeding-tubes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J15/0026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feeding-tubes
    • A61J15/003Means for fixing the tube inside the body, e.g. balloons, retaining means
    • A61J15/0046Expandable retainers inside body lumens of the enteral tract, e.g. fixing by radially contacting a lumen wall
    • A61J15/0049Inflatable Ballo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9/00Dilators with or without means for introducing media, e.g. remedies
    • A61M29/02Dilators made of swell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5/00Feeding-tubes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J15/0026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feeding-tubes
    • A61J15/0073Multi-lumen tub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sogastric tube and swallowing training method is inserted from the nose up to inject liquid food to patients who can not normally eat food through the mouth, in particular a patient with a swallowing disorder to facilitate swallowing training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sogastric tube for swallowing training and a swallowing training method using the same.
  • Swallowing disorder is a condition in which swallowing is more difficult than the swallowing process.
  • Normal swallowing consists of a series of smoothly coordinated movements divided into three stages: oral cavity, pharynx, and esophagus,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food mass.
  • oral cavity a series of smoothly coordinated movements divided into three stages: oral cavity, pharynx, and esophagus,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food mass.
  • all patients with anorexia or those who cannot eat due to cognitive and consciousness are diagnosed as swallowing disorders, but in general, when swallowing function is reduced due to abnormalities of nerves and muscles involved in swallowing function, In particular, the definition is limited to the symptoms of airway aspiration.
  • the swallowing process requires coordination with breathing and mastication, which are controlled by the center of the harmonious motor in the brainstem. Patients with swallowing disorders can not eat normally, intubate the nasogastric tube and inject liquid food.
  • patients with swallowing disorder had a problem to remove nasogastric tube for swallowing training.
  • patients with swallowing disorder are placed in the inserted part of the nose at a distance from the nose and then inflated the swallow swallow training,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nasogastric tube must be removed to insert the balloon for swallow training.
  • the nasogastric tube should be inserted again, thus causing a lot of burden on the patient, and thus,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swallowing training could not be performed smoothly.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provide a swallow training method and improved swallowing training method using the nasogastric tube structure to be able to swallow training using a balloon in the intubation state.
  • the purpose is.
  • Swallowing training nasogastric tube using a ballo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inserted through the esophagus through the nose of the patient, the tube body made of a hollow type to supply food through the inside; A balloon formed to surrou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body and capable of expansion and contraction by injecting a fluid into the tube body; And a hollow injection tube formed along the tube body to inject and discharge the fluid into the balloon.
  • the patient had to remove the nasogastric tube for swallowing training, and after the swallowing training, there was a burden of intubating the nasogastric tube again,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asogastric tube and the balloon for swallowing training are integrally formed so that the nasogastric tub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swallowed without fever.
  • 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nasogastric tube for training training using a ballo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1.
  • FIG.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of FIG. 1, with the balloon inflated.
  • FIG.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of FIG. 1, with the balloon contracted.
  • FIG.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of FIG. 3.
  •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osition of the balloon in the state in which the nasogastric tube shown in FIG.
  • FIG. 7 is a schematic flowchart of swallow training using a nasogastric tube.
  • Swallowing training nasogastric tube using a ballo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inserted through the esophagus through the nose of the patient, the tube body made of a hollow type to supply food through the inside; A balloon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body and capable of expansion and contraction by injecting fluid into the tube body; And a hollow injection tube formed along the tube body to inject and discharge the fluid into the balloon.
  • the balloon is preferably arranged in a portion of 17 ⁇ 23cm along the tube body from the nose of the patient, more preferably in a portion of 20cm.
  • swallowing training method for a patient with a swallowing disorder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step of inserting the nasogastric tube consisting of the above configuration through the nose of the patient; Inflating the balloon by injecting fluid into the balloon after the intubation step; The patient performing swallowing training; If the patient swallows the balloon, withdraws the fluid in the balloon, contracts the balloon, restores the balloon to a position before swallowing the balloon, and expands the balloon again to repeat swallowing training; And drawing out the fluid in the balloon after the swallowing training and contracting the balloon.
  • the balloon for the swallowing training is disposed at the site of 17 ⁇ 23Cm, more preferably 20Cm along the tube body of the nasogastric tube from the nose of the patient.
  • 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nasogastric tube for training using a ballo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1
  • FIGS. 3 and 4 are III-III of FIG. 1.
  • FIG. 5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of the V-V line of FIG.
  • the swallowing training nasogastric tube 100 using the balloon includes a tube body 10, a balloon 20, and an injection tube 30.
  • Tube body 10 is for feeding food to the patient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long and is finally inserted into the patient through the nose, pharynx, esophagus of the patient. Tube body 10 is formed in a hollow can be fed food through the inner pipe (11).
  • Tube body 10 has a diameter of about 5 ⁇ 6mm and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can be easily bent along the path in the process of being inserted above.
  • the lower end of the tube body 10 is in contact with the stomach wall, so that the stomach wall is formed to be curved so as not to be damaged by friction.
  •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12 ar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tube body 10 so that the liquid food introduced through the pipe line 11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tube body 10.
  • injection hub 13 for injecting food is fitted to the upper end of the tube body (10).
  • the pack containing food is connected to the injection hub 13 by a separate connection pipe (not shown).
  • Balloon 20 is medical care to assist swallowing training of patients with swallowing disorders.
  • the balloon 20 is arrang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body 10 so that the balloon 20 can contract and expand. That is, the balloon 20 is formed of a stretchable material and when fluid is injected into the balloon 20, as shown in FIGS. 3 and 5, the balloon 20 is expand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Conversely, when fluid is withdrawn from the inside of the balloon, as shown in FIG. 4, the balloon 20 is elastically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and contracted.
  • the balloon 20 expands to approximately 2 to 3 cm in diameter upon expansion thereof,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ube body 10 during contraction.
  • a fluid such as saline or air should be injected about 5 to 6 cc.
  • the patient may be trained to swallow the balloon 20.
  • the balloon 20 is disposed at a point approximately 17 to 23 cm along the tube body 10 from the nose of the patient, more precisely 20 cm. Since the portion of the tube body 10 that is not inserted through the nose is about 15 cm, the point where the balloon 20 is disposed is about 35 m from the upper end of the tube body 10. It has been reported that training with the balloon 20 may facilitate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swallowing disorders.
  • the injection pipe 30 is for injecting a fluid into the balloon 20, or to discharge the injected fluid.
  • the injection tube 30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tube body 10, but is integrally manufactured with the tube body 10 in this embodiment. That is, as shown in FIG. 2, the partition wall 32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be body 10 in the pipeline 11 of the tube body 10 so that the pipeline 11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Separate.
  • the partition 32 is formed only from the upper end of the tube body 10 to the portion where the balloon 20 is disposed. That is,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fluid passage 31 formed by the partition wall 32 is connected to the inner space 21 of the balloon 20, as shown in FIGS. 3 and 4. And the upper end of the injection tube 30 is separated from the tube body 10 extends independently.
  • a fluid injection hub 33 is fitted to an end of the upper end of the injection pipe 30, and the fluid injection hub 33 is connected to the injection and withdrawal means of a fluid such as a syringe.
  • the nasogastric tube 100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 the liquid food is introduced into the patient through the infusion hub 13 and the pipe 11 inside the main body 10 to supply nutrients to the patient who cannot normally eat food. That is, it performs the basic function as a nasogastric tube.
  • the syringe is connected to the fluid injection hub 33 to supply the saline solution into the balloon 20.
  • the saline is injected into the balloon 20 along the conduit 31 of the injection tube 30 to inflate the balloon 20 to a predetermined size.
  • the volume of the balloon 20 is chang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saline injection. In this embodiment, about 5 cc of saline is injected as described above to inflate the balloon to about 2.5 cm in diameter.
  • the balloon When the balloon is inflated in this way, the patient is trained to swallow the balloon 20. When the patient swallows the balloon 20 in the course of swallowing training, the balloon 20 is moved toward the stomach.
  • the balloon 20 may be infused with the fluid again, and then expanded, followed by repeated swallowing training.
  • the balloon 20 is contracted, and performs the basic function of the nasogastric tube.
  • the swallowing training can be continuously performed without removing the nasogastric tube, so that the training can be performed smoothly.
  • Reference numeral h which has not been described, is a hub into which the injection tube 30 and the tube body 30 extended from the tube body 10 are fit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삼킴훈련용 비위관 및 이를 이용한 삼킴훈련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풍선을 이용한 삼킴훈련용 비위관은 환자의 코를 통해 삽입하여 식도를 거쳐 위에 삽입되며, 내부를 통해 음식을 공급하도록 중공형으로 이루어진 관본체와, 관본체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내부로 유체를 주입함에 따라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한 벌룬 및 벌룬의 내부로 유체를 주입 및 배출시키도록, 관본체를 따라 형성되는 중공형의 주입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규칙 제26조에 의한 보정 04.06.2012] 풍선을 이용한 삼킴 훈련용 비위관 및 이를 이용한 삼킴훈련방법
본 발명은 입을 통해 정상적으로 음식물을 섭취할 수 없는 환자들에게 액상의 음식물을 투입하기 위하여 코에서부터 위로 삽입되는 비위관 및 삼킴훈련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삼킴장애가 있는 환자가 삼킴 훈련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삼킴 훈련용 비위관 및 이를 이용한 삼킴훈련방법에 관한 것이다.
삼킴장애(dysphagia)는 삼킴 과정의 이상으로 삼키는 것에 어려움이 있는 상태를 말한다. 정상적인 삼킴은 음식물 덩어리의 위치에 따라 구강기, 인두기, 식도기의 세 과정으로 나누어진 부드럽게 조화된 일련의 움직임으로 이루어진다. 넓은 의미에서 거식증 환자나 인지기능 및 의식 저하로 식사를 하지 못하는 환자들도 모두 삼킴장애로 진단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삼킴 기능에 관여하는 신경이나 근육 같은 구조물들의 이상으로 삼킴 기능이 저하된 경우, 특히 기도 흡인의 증상을 보이는 경우에 국한시켜 정의를 내린다.
삼킴 과정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호흡 및 저작기능과의 조화가 필요한데 이러한 동작들은 뇌간에 있는 조화운동중추에 의해 조절된다. 삼킴장애가 있는 환자들은 정상적으로 음식물을 섭취할 수 없으므로, 비위관을 삽관하여 액상의 음식물을 투입한다.
그러나 삼킴장애 환자들이 삼킴훈련을 위해서는 비위관을 빼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삼킴장애 환자들은 풍선을 코로부터 일정 거리 삽입된 부분에 위치시킨 후 이 풍선을 팽창시켜 삼킴훈련을 하는데, 이렇게 삼킴훈련을 위해 풍선을 삽입하기 위해서는 비위관을 제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삼킴훈련을 위해서 삽관되어 있던 비위관을 제거하고, 삼킴훈련을 끝낸 후에는 다시 비위관을 삽관해야 하므로 환자에게 많은 부담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삼킴훈련도 원활하게 실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비위관을 삽관한 상태에서 풍선을 이용하여 삼킴훈련을 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삼킴훈련용 비위관 및 이 비위관을 이용한 삼킴훈련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풍선을 이용한 삼킴훈련용 비위관은, 환자의 코를 통해 삽입하여 식도를 거쳐 위에 삽입되며, 내부를 통해 음식을 공급하도록 중공형으로 이루어진 관본체; 상기 관본체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내부로 유체를 주입함에 따라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한 벌룬; 및 상기 벌룬의 내부로 상기 유체를 주입 및 배출시키도록, 상기 관본체를 따라 형성되는 중공형의 주입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종래에는 환자가 삼킴훈련을 위해 비위관을 제거하여야 하고 삼킴훈련을 끝낸 후에는 다시 비위관을 삽관해야 하는 부담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비위관과 삼킴훈련을 위한 풍선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비위관을 제거함이 없이 삼킴훈열을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무엇보다도 인지기능이 좋은 환자의 경우 의료진의 도움없이도 삼킴훈련을 자발적으로 시행할 수 있어, 재활 효과가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선을 이용한 삼킴훈련용 비위관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 개략적 단면도로서, 벌룬이 팽창된 상태이다.
도 4는 도 1의 Ⅲ-Ⅲ선 개략적 단면도로서, 벌룬이 수축된 상태이다.
도 5는 도 3의 Ⅴ-Ⅴ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비위관이 삽관된 상태에서 풍선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비위관을 이용한 삼킴훈련의 개략적 흐름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풍선을 이용한 삼킴훈련용 비위관은, 환자의 코를 통해 삽입하여 식도를 거쳐 위에 삽입되며, 내부를 통해 음식을 공급하도록 중공형으로 이루어진 관본체; 상기 관본체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내부로 유체를 주입함에 따라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한 벌룬; 및 상기 벌룬의 내부로 상기 유체를 주입 및 배출시키도록, 상기 관본체를 따라 형성되는 중공형의 주입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벌룬은 환자의 코로부터 상기 관본체를 따라 17~23Cm 되는 부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20Cm 되는 부분에 배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삼킴장애가 있는 환자에 대한 삼킴훈련방법은,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비위관을 환자의 코를 통해 삽입하는 단계; 상기 삽관단계 후 상기 벌룬에 유체를 주입하여 상기 벌룬을 팽창시키는 단계; 상기 환자가 삼킴훈련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환자가 상기 벌룬을 삼킨 경우 상기 벌룬 내의 유체를 인출하여 상기 벌룬을 수축시킨 후 다시 상기 벌룬을 삼키기 전의 위치로 복원시키고, 상기 벌룬을 다시 팽창시켜 삼킴훈련을 반복하는 단계; 및 상기 삼킴훈련을 종료 후 상기 벌룬 내의 유체를 인출하여 상기 벌룬을 수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삼킴훈련을 위해 상기 벌룬은 상기 환자의 코로부터 상기 비위관의 관본체를 따라 17~23Cm, 보다 바람직하게는 20Cm되는 부위에 배치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선을 이용한 삼킴훈련용 비위관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선을 이용한 삼킴훈련용 비위관의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Ⅱ-Ⅱ선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의 Ⅲ-Ⅲ선 개략적 단면도로서 벌룬이 팽창된 상태(도 3)와, 벌룬이 수축된 상태(도 4)이고, 도 5는 도 3의 Ⅴ-Ⅴ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풍선을 이용한 삼킴훈련용 비위관(100)은 관본체(10), 벌룬(20) 및 주입관(30)을 구비한다.
관본체(10)는 음식물을 환자에게 투입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연한 소재로 길게 형성되며 환자의 코, 인두, 식도를 통해 최종적으로 환자의 위에 삽입된다. 관본체(10)는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의 관로(11)를 통해 음식물을 투입할 수 있다.
관본체(10)는 대략 5~6mm의 직경을 가지며 유연한 소재로 형성되어 위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경로를 따라 용이하게 구부러질 수 있다.
관본체(10)의 하단은 위벽과 접촉되는 부분이므로 위벽이 마찰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만곡되게 형성한다. 또한, 관본체(10)의 하단에는 복수의 토출구(12)가 형성되어 관로(11)를 통해 유입된 액상의 음식물이 관본체(1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관본체(10)의 상단에는 음식물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허브(13)가 끼워진다. 음식물이 담겨 있는 팩 등은 별도의 연결관(미도시)에 의해 주입허브(13)에 연결된다.
벌룬(20)은 삼킴장애가 있는 환자의 삼킴훈련을 보조하기 위한 의료 것이다. 벌룬(20)은 관본체(10)의 외주면을 감싸며 배치되어 수축 및 팽창가능하다. 즉, 벌룬(20)은 신축가능한 소재로 형성되어 벌룬(20)의 내측으로 유체가 주입되면,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의 압력에 의해 팽창된다. 역으로 유체가 벌룬 내부로부터 인출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룬(20)은 원래의 상태로 탄성적으로 복원하여 수축된다.
본 실시예에서 벌룬(20)은 그 팽창시에 대략 직경 2~3Cm로 팽창하며, 수축시에는 관본체(10)에 거의 밀착된 상태가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부피로 벌룬(20)을 팽창시키기 위해서는 식염수 또는 공기와 같은 유체를 대략 5~6cc 정도 주입하여야 한다.
또한 벌룬(20)은 삼킴반응을 유발하는 부위에 배치시키면 환자가 이 벌룬(20)을 삼키는 훈련을 할 수 있다. 벌룬(20)이 배치되는 부위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코입구로부터 관본체(10)를 따라 대략 17~23Cm 되는 지점이며, 보다 정확하게는 20Cm 되는 지점이다. 관본체(10)에서 코를 통해 삽입되지 않는 부분이 대략 15Cm 정도이므로, 벌룬(20)이 배치되는 지점은 관본체(10)의 상단부로부터 대략 35m정도 되는 지점이다. 벌룬(20)을 매개로 하는 훈련은 삼킴장애가 있는 환자의 재활을 촉진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한편, 주입관(30)은 벌룬(20)의 내부로 유체를 주입하거나, 주입된 유체가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주입관(30)은 관본체(10)와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관본체(10)와 일체로 제조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본체(10)의 관로(11) 내부에 관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격벽(32)을 형성하여 관로(11)를 서로 격리된 두 부분으로 분리한다.
다만, 이 격벽(32)은 관본체(10)의 상단으로부터 벌룬(20)이 배치된 부분까지만 형성된다. 즉, 격벽(32)에 의하여 형성된 유체관로(31)의 하단부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룬(20)의 내측 공간(21)과 연결된다. 그리고 주입관(30)의 상단부는 관본체(10)로부터 분리되어 독자적으로 연장된다. 주입관(30)의 상단부 끝에는 유체주입허브(33)가 끼워지며, 이 유체주입허브(33)를 통해 주사기 등의 유체의 주입 및 인출수단이 연결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풍선을 이용한 삼킴훈련용 비위관(100)을 사용하여 환자가 삼킴훈련을 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삼킴훈련방법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위관을 이용한 삼킴훈련방법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벌룬이 형성되어 있는 비위관(100)을 환자의 코를 통해 위까지 삽입한다.
일상시에는 주입허브(13)와 관본체(10) 내부의 관로(11)를 통해 액상의 음식물을 환자에게 투입하여 정상적으로 음식물 섭취가 불가능한 환자에게 영양분을 공급한다. 즉, 비위관으로서의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재활을 목적으로 삼킴훈련을 할 때에는 벌룬(20)을 팽창시킨다. 벌룬(20)은 환자의 삼킴반응을 유도하는 부분에 이미 배치되어 있으므로, 유체주입허브(33)에 주사기를 연결하여 식염수를 벌룬(20)의 내부로 공급한다. 식염수는 주입관(30)의 관로(31)를 따라 벌룬(20) 내부로 주입되어 벌룬(20)을 일정 크기까지 팽창시킨다. 식염수를 주입하는 양에 따라 벌룬(20)의 부피가 변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대략 5cc의 식염수를 주입하여 벌룬의 직경이 2.5Cm 정도로 부풀어지게 한다.
이렇게 벌룬이 부풀어지면, 환자는 이 벌룬(20)을 삼키는 훈련을 한다. 이렇게 삼킴훈련을 하는 과정에서 환자가 벌룬(20)을 삼키면 벌룬(20)은 위장 쪽으로 위치가 이동된다.
따라서, 환자가 다시 삼킴훈련을 반복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벌룬(20)으로부터 유체를 배출시켜 벌룬(20)을 수축시킨 후 관본체(10)를 상부로 이동시켜 벌룬(20)을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벌룬(20)에 다시 유체를 주입하여 팽창시킨 뒤 삼킴훈련을 계속 반복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삼킴훈련이 끝난 후에는 벌룬(20)을 수축시키고, 비위관의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종래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풍선을 사용한 삼킴훈련을 하기 위해서는 비위관을 제거해야 하고, 훈련 종료후에는 다시 삽관을 해야 했으므로 환자가 훈련에 많은 부담을 느껴 훈련에 소극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비위관을 한 번 삽관한 후, 비위관을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계속적으로 삼킴훈련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훈련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환자들 중에는 인지기능이 우수한 케이스가 있는데, 이러한 환자들은 스스로 벌룬을 팽창 및 수축시킴으로써 삼킴훈련을 상시적으로 할 수 있어 재활이 촉진된다는 장점이 있다.
미설명한 참조번호 h는 관본체(10)로부터 별도로 연장된 주입관(30)과 관본체(30)가 끼워지는 허브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환자의 코를 통해 삽입하여 식도를 거쳐 위에 삽입되며, 내부를 통해 음식을 공급하도록 중공형으로 이루어진 관본체;
    상기 관본체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내부로 유체를 주입함에 따라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한 벌룬; 및
    상기 벌룬의 내부로 상기 유체를 주입 및 배출시키도록, 상기 관본체를 따라 형성되는 중공형의 주입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을 이용한 삼킴훈련용 비위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벌룬은 환자의 코로부터 상기 관본체를 따라 17~23Cm 되는 부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을 이용한 삼킴훈련용 비위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벌룬은 환자의 코로부터 상기 관본체를 따라 20Cm 되는 부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을 이용한 삼킴훈련용 비위관.
  4. 삼킴장애가 있는 환자에 대한 삼킴훈련방법으로서,
    상기 제1항 내지 제3항에 기재된 비위관을 환자의 코를 통해 삽입하는 단계;
    상기 삽관단계 후 상기 벌룬에 유체를 주입하여 상기 벌룬을 팽창시키는 단계;
    상기 환자가 삼킴훈련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환자가 상기 벌룬을 삼킨 경우 상기 벌룬 내의 유체를 인출하여 상기 벌룬을 수축시킨 후 다시 상기 벌룬을 삼키기 전의 위치로 복원시키고, 상기 벌룬을 다시 팽창시켜 삼킴훈련을 반복하는 단계; 및
    상기 삼킴훈련을 종료 후 상기 벌룬 내의 유체를 인출하여 상기 벌룬을 수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을 이용한 삼킴훈련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삼킴훈련을 위해 상기 벌룬은 상기 환자의 코로부터 상기 비위관의 관본체를 따라 17~23Cm 되는 부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을 이용한 삼킴훈련방법.
PCT/KR2012/002333 2011-04-01 2012-03-29 풍선을 이용한 삼킴 훈련용 비위관 및 이를 이용한 삼킴훈련방법 {nasogastric tube with a baloon(yk tube) and method for training swallowing using the same} WO2012134196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072 2011-04-01
KR1020110030072A KR101264670B1 (ko) 2011-04-01 2011-04-01 풍선을 이용한 삼킴 훈련용 비위관 및 이를 이용한 삼킴훈련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34196A2 true WO2012134196A2 (ko) 2012-10-04
WO2012134196A3 WO2012134196A3 (ko) 2012-12-27

Family

ID=46932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2333 WO2012134196A2 (ko) 2011-04-01 2012-03-29 풍선을 이용한 삼킴 훈련용 비위관 및 이를 이용한 삼킴훈련방법 {nasogastric tube with a baloon(yk tube) and method for training swallowing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64670B1 (ko)
WO (1) WO2012134196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33377A (zh) * 2021-01-21 2021-06-11 温州医科大学附属第一医院 一种环咽肌功能障碍康复训练装置
US11666696B2 (en) 2019-03-25 2023-06-06 Ellen McGrath Enterostomy drainage methods and devices
WO2024050114A1 (en) * 2022-09-01 2024-03-07 DyQure LLC Apparatuses and methods to activate muscles of deglutition to promote dysphagia recovery in neurological disorder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86619B1 (ja) 2017-04-24 2018-09-05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KR200494260Y1 (ko) * 2019-11-15 2021-09-07 주식회사 리노디바이스 삼킴 운동 보조 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53937A1 (en) * 1996-12-16 1998-07-22 SIS-TER S.p.A. Gastrostomy tube device for enteral nutrition
JPH11309186A (ja) * 1998-04-30 1999-11-09 Yoshie Mishima 嚥下機能訓練器具
WO2004050000A1 (en) * 2002-11-27 2004-06-1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a body facing liner having discretely placed lotion deposits
KR20090090667A (ko) * 2008-02-21 2009-08-26 에이스메디칼 주식회사 흡인방지용 비위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06899A1 (en) 2002-11-30 2004-06-03 Mcmichael Donald J. Gastric balloon catheter with improved balloon orient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53937A1 (en) * 1996-12-16 1998-07-22 SIS-TER S.p.A. Gastrostomy tube device for enteral nutrition
JPH11309186A (ja) * 1998-04-30 1999-11-09 Yoshie Mishima 嚥下機能訓練器具
WO2004050000A1 (en) * 2002-11-27 2004-06-1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a body facing liner having discretely placed lotion deposits
KR20090090667A (ko) * 2008-02-21 2009-08-26 에이스메디칼 주식회사 흡인방지용 비위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66696B2 (en) 2019-03-25 2023-06-06 Ellen McGrath Enterostomy drainage methods and devices
CN112933377A (zh) * 2021-01-21 2021-06-11 温州医科大学附属第一医院 一种环咽肌功能障碍康复训练装置
CN112933377B (zh) * 2021-01-21 2023-03-28 温州医科大学附属第一医院 一种环咽肌功能障碍康复训练装置
WO2024050114A1 (en) * 2022-09-01 2024-03-07 DyQure LLC Apparatuses and methods to activate muscles of deglutition to promote dysphagia recovery in neurological disord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4670B1 (ko) 2013-05-15
WO2012134196A3 (ko) 2012-12-27
KR20120111542A (ko) 201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134196A2 (ko) 풍선을 이용한 삼킴 훈련용 비위관 및 이를 이용한 삼킴훈련방법 {nasogastric tube with a baloon(yk tube) and method for training swallowing using the same}
JP6108410B2 (ja) 食道刺激装置および方法
US20120118286A1 (en) Nasal airway management device
WO2008121603A1 (en) Self-advanceable feeding tube
CN103211568A (zh) 胃镜检查用辅助气囊套管
CN213609296U (zh) 一种用于吞咽障碍患者的多功能导管
WO2014166134A1 (zh) 可分离鼻胃肠管
CN202052182U (zh) 胃肠套管
CN210542502U (zh) 一种内镜引导下的鼻胃肠管
CN201840764U (zh) 食道局部用药治疗器
KR101336621B1 (ko) 풍선을 이용한 삼킴훈련장치
CN103170045A (zh) 带有固定装置及导丝的多孔鼻胃管
CN202802218U (zh) 一种医用胃管
CN206482864U (zh) 胃管及胃肠营养设备
CN217612362U (zh) 一种多功能气管插管导管
CN202490297U (zh) 气道内可持续给药的双腔支气管导管
CN210813403U (zh) 一种食道引流型四腔两囊胃管
GB2043449A (en) Nasogastric catheter
CN209996801U (zh) 经口插入式胃管
CN209108129U (zh) 一种新型防脱落鼻胃管
CN219764257U (zh) 一种保护型双腔胃管
CN214806925U (zh) 一种可快速分离的肠内营养及胃肠减压一体式装置
CN203342057U (zh) 一种头囊式胃管
CN215022636U (zh) 一种医用空肠营养管
KR102267443B1 (ko) 개선된 안전성을 갖는 급식 튜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76434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276434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