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7443B1 - 개선된 안전성을 갖는 급식 튜브 - Google Patents

개선된 안전성을 갖는 급식 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7443B1
KR102267443B1 KR1020190084424A KR20190084424A KR102267443B1 KR 102267443 B1 KR102267443 B1 KR 102267443B1 KR 1020190084424 A KR1020190084424 A KR 1020190084424A KR 20190084424 A KR20190084424 A KR 20190084424A KR 102267443 B1 KR102267443 B1 KR 102267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feeding tube
feeding
endoscope
lum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4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8256A (ko
Inventor
홍문기
유인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케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케어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케어코리아
Priority to KR1020190084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7443B1/ko
Publication of KR20210008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8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5/00Feeding-tubes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J15/0003Nasal or oral feeding-tubes, e.g. tube entering body through nose or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7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upper alimentary canal, e.g. oesophagoscopes, gastroscopes
    • A61B1/2733Oesophag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5/00Feeding-tubes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J15/0026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feeding-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5/00Feeding-tubes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J15/0026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feeding-tubes
    • A61J15/0073Multi-lumen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61M25/0026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82Catheter tip comprising a to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025/0059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the catheter, sheath or lumens from collapsing due to outer forces, e.g. compressing forces, or caused by twisting or kin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025/0166Sensors, electrodes or the like for guiding the catheter to a target zone, e.g. image guided or magnetically guid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Surg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시경을 탑재하여 급식 튜브의 선단의 위치와 주변 환경을 파악하면서 급식 튜브를 삽입함으로써, 안전성이 한층 향상되도록 한, 개선된 안전성을 갖는 급식 튜브에 관한 것으로, 다수개의 루멘(110)을 갖는 튜브 본체(100); 및 상기 튜브 본체(100)의 후단에 형성되는 커넥터(200); 를 포함하며, 상기 튜브 본체(100)는, 내부에 적어도, 급식용의 제1 루멘(110)과, 내시경 광섬유(520)용의 제5 루멘(150)을 가지며, 상기 커넥터(200)는, 적어도, 영양분이나 약물을 환자에게 투여하는데 사용되는 급식용 커넥팅부(210)와, 상기 내시경 장치(500)의 광섬유(520)가 출입하는 내시경용 커넥팅부(250)를 포함하며, 상기 내시경용 커넥팅부(250)를 통해 튜브 본체의 제5 루멘(150)에 내시경이 탈착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선된 안전성을 갖는 급식 튜브{A NASOGASTRIC TUBE HAVING A IMPROVED SAFETINESS}
본 발명은 개선된 안전성을 갖는 급식 튜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시경을 탑재하여 급식 튜브의 선단의 위치와 주변 환경을 파악하면서 급식 튜브를 삽입하되,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조향이 가능하면서도 역류까지도 방지하기 위한, 삽입 및 사용 과정에서의 안전성이 한층 향상되도록 한, 개선된 안전성을 갖는 급식 튜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시간 영양 및 약물 투입이 필요한 환자, 경구 급식을 하기 힘든 환자, 위를 통해 적절한 영양 흡수를 수행할 수 없는 환자, 장운동에 문제가 있거나 위장관 막힘 또는 심각한 위식도 역류 문제가 있는 환자 또는 이전에 식도암이나 위절제 병력이 있는 환자에게, 영양 및 약물을 직접 투입하기 위한 기구를 “단기사용 위장용 급식튜브”(Nasogasrtric Tube: NG Tube)라 하며, 이 영양법을 '비위관영양법' 이라고 한다.
즉, 입원 환자의 영양지원은 환자 회복에 매우 중요한 부분이며, 영양부족은 위장관과 신장, 심장 등 여러 장기의 기능을 저하시키고, 약물의 대사와 상처 회복에 영향을 미치며, 면역력을 감소시켜 감염증 발생을 증가시키고, 환자의 회복을 지연시켜 결국에는 사망률 증가로 이어진다고 알려져 있는바, 이에, 유아, 중증 환자, 치매 등 무의식 환자들이 음식물을 삼킬 수 없는 경우,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급식 튜브(1)를 식도에 삽입하고 급식용 주사기(2)를 사용하여 급식 튜브(1)를 통해 위장에 직접 음식물을 제공하거나 처방난 약물을 투여하는 것이다.
도 1의 (a)는 일반적인 급식 튜브(1)를 식도를 통해 위장까지 투입한 상태를 나타내며, 도 1의 (b)는 주사기(2)를 사용하여 음식물 등을 공급하는 급식 튜브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급식 튜브는, 눈으로 보지 않고 블라인드하게 넣는 방법으로, 이와 같은 방법은 튜브를 넣으면서 조직에 손상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는바, 특히 식도 정맥류가 있는 환자의 경우, 튜브로 인해 정맥류에서 출혈을 야기할 수 있고 이는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는 치명적인 위험이 있으며, 그 외에도, 식도와 위 내부에 수술로 인한 접합부가 있거나 그 외 병적인 소견이 있을 때, 보지 않고 넣는 튜브가 손상을 가져와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더욱이, 튜브가 정상적 경로가 아닌 잘못된 경로로 들어갈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며, 특히, 성대를 통해 기도로 들어갈 경우, 환자의 기도를 심하게 자극하여 기침, 기도 수축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고, 기관 튜브가 들어가 있는 환자의 경우, 튜브가 기관 튜브 사이에 틈을 만들 수 있어 이로 인해 인공 호흡에 이상을 가져올 수 있는 등, 기존의 급식 튜브로 인하여 여러 문제들이 야기되었다.
도 2는, 일반적인 급식 튜브의 사용상 부작용 사례를 도시한 도면들인바, 도 2의 (a)는, 급식 튜브가 음식물이 내려갈 때는 기도를 닫고 숨을 쉴 때는 기도를 여는 후두덮개를 손상하거나 자극하는 경우이고, 도 2의 (b)는, 급식 튜브가 두개골 기저부를 관통하고 뇌에 도달한 경우이고, 도 2의 (c)는, 급식 튜브가 기관지에 들어가는 경우로서, 그로 인한 기흉 발생 혹은 튜브가 기도를 자극해 기침을 유발하는 경우이며, 도 2의 (d)는, 급식 튜브가 주변을 자극해서 혹은 가스 잔존량과 같은 위장 내부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상대적으로 많은 음식물을 주입하여 위장 내용물의 식도 및 기도로의 역류로 흡인성 폐렴을 유발한 경우를 나타내며, 이 외에도 여러가지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한편, 이상의 위장용 급식 튜브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위장용 급식 튜브에 대한 것으로, 미국 특허공개 제2008/0004598호 (급식 튜브 삽입 시스템 및 방법) 가 제안된 바 있다.
도 3은, 상기 제1 종래기술에 따른, 급식 튜브(110), 가이드부재(120) 및 삽입부재(130)가 동시에 결합되는 급식 튜브 삽입 시스템(100)의 전체 개략도이며, 도 4는, 상기 제1 종래기술의 급식 튜브 삽입 시스템을 식도에 삽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급식 튜브(110)가 가이드부재(120)에 의해 설정된 경로를 따르도록, 급식 튜브(110)의 삽입 중에 급식 튜브(110)의 일부분에 의해 가이드부재(120)가 부분적으로 포위되거나 관통되어 있다.
삽입부재(130)는, 직선형의 가늘고 긴 본체부(172) 및 가이드부재(120)의 단부와 맞물려서 만곡되어 있는 삽입부(174)로 이루어지며, 이들이 환자의 비강 또는 구강 인두에 삽입된다.
삽입부재(130)는, 삽입부재(130)가 사용자에 의해 용이하게 파지되고 제어될 수 있게 하는 손잡이(176)를 포함한다. 손잡이는, 본체(172)에 부착되어 본체(172)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2개의 루프로서 형성된다. 상기 루프는 손잡이 개구부(178)를 형성하며, 상기 개구부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색인 및 중간 손가락을 수용하여 삽입부재(130)가 파지되도록 한다.
본체부로부터 손잡이(176)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80)는 삽입부재(130)의 취급 중에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삽입부재(130)의 본체(172)는, 충분한 두께 및 강도를 가지며 삽입부(174)의 적당한 무게 및 삽입 중에 거기에 부착된 가이드부재(120)의 일부분을 지지하도록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삽입부(174)는, 전형적으로 환자의 비강 및 인두(oropharynx)의 해부학적 구조에 합치하도록 하나 이상의 굴곡부를 갖는다. 삽입부(174)는, 가이드부재(120)의 연질 웨이트(158)를 지지하기에 충분한 강성을 제공하지만, 삽입부(174)를 환자의 비강 내로 삽입하는 동안 필요에 따라 변형하기에 충분한 유연성을 제공하는 가요성의 생체 적합성 재료로 구성되고, 원하는 양의 강성 및 유연성을 제공하고, 삽입부재가 삽입부(174)의 비강을 쉽게 통과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삼킴 가능한 추(158)는 삽입부재(130)로부터 해제될 것이고, 사용자는 배치를 돕기 위해 가이드부재의 강성에 의존하는 종 방향 압력을 가함으로써 가이드부재(120)를 구강 내로 전진시킬 것이다.
일단 가이드부재(120)의 삼킴 가능한 추(158)가 삽입부재(130)의 단부 상에 배치되면, 삼킴 가능한 추(158)를 제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가이드부재(120) 상에 가벼운 장력을 가해야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삼킴 가능한 추(158)가 삽입부(174)의 팁(186) 상에 배치되면, 팁(186)은 바람직하게는 가이드부재(120)상의 가벼운 장력에 의해 제 위치에 고정된다.
결합을 느슨하게 하여 가이드부재(120)에 대한 인장력을 해제함으로써, 삼킴 가능한 추(158)가 팁(186)으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허용하여, 삼킴 가능한 추(158)가 떨어지는 것을 허용한다.
가이드부재(120)는 환자에게 쉽게 삽입되고 삼킬 수 있는 충분한 가요성을 갖는 선두부(154) 및 환자에 의해 삼켜지는 선두부(154)를 갖는 얇은 코드 또는 라인일 수 있으며, 튜브가 삽입될 때 급식 튜브(110)를 안내하기에 충분한 강성을 갖는다.
삼킴 가능한 추(158)가 선두부(154)에 부착되며, 연결부(156)는 꼬리부(152)와 선두부(154)를 연결한다. 꼬리부가 환자에 의해 삼켜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부재(120)의 말단(150) 근처에 스토퍼(160)가 상기 삼킴 가능 추(158)의 반대측에 제공될 수 있다.
삽입부재(130)를 사용하여 환자의 비강 내로 부분적으로만 가이드부재(120)의 선두부(154)의 삽입을 돕고, 추가로 진행하도록 가이드부재(120)에 종 방향 압력을 사용할 수 있다.
급식 튜브(110)의 말단부(116)는 가이드부재(120)를 따라 미끄러질 수 있게 이동하도록 구성된 가이드부재 보유 구조체(136)를 더 포함한다. 가이드부재 보유 구조체는 바람직하게는, 가이드부재(120)를 수용하기 위한 관형 개구(140)를 갖는 기단부(114)에 평행하게 부착된 일반적으로 관형인 돌출부 또는 침입부를 포함한다. 일단 가이드부재가 삽입되면, 가이드부재 보유 구조체(136)는 급식 튜브(110)가 가이드부재(120)를 따라 미끄럼가능하게 그리고 텔레스코프식으로 움직이도록 한다. 따라서, 가이드부재(110)는 급식 튜브(110)가 환자의 비강, 인두, 식도를 통해 환자의 위장으로 삽입됨에 따라 급식 튜브(110)가 따라갈 경로를 확립하도록 작용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 보유 구조체(136)의 선단부(138) 및 후단부(248)는 바람직하게는 모따기 처리된다.
가이드부재 보유 구조체(136)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말단부(116)에 부착된 튜브형 요소로서 설명되었지만, 다른 구조체가 또한 가이드부재(120)를 따라 활주 가능하고 및/또는 텔레스코픽 운동을 도록 구성된 가이드부재 보유 구조체(136)를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재보유 구조체(136)는 말단 단부 (116)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루프 또는 보유 탭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즉, 이상의 제1 종래기술은, 가이드부재(120)와 삽입부재(130)를 함께 삽입하되 급격한 곡선 채널에서 끝단을 삽입부재의 삽입부(174)의 장력과 추(158)의 중력을 이용하여 조향하며, 곡선 구간이 지나면 삽입부재(130)를 제거하고, 가이드 와이어를 따라 튜브(110)를 삽입시킴으로써, 일반적인 급식 튜브보다는 보다 향상된 안정성을 갖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제1 종래기술의 경우, 구조가 너무 복잡하고, 여전히 일반적인 급식 튜브처럼 블라인드 방식으로서, 순전히 삽입부의 장력과 추의 중력에 의하여 조향하여야 하기 때문에, 복잡한 구조의 비강, 인두, 식도 및 위장으로 원활하게 삽입되기에는 한계가 있다.
한편, 추가로 이러한 위장용 급식 튜브의 일종으로서, 미국 특허공개 제2010/0274225호가 개시되어 있는바, 상기 제2 종래기술은, 위 내용물 검출 기능을 갖는 급식 튜브에 관한 것으로서, 위장 내 잔여량(Gastric Residual Volume, GRV) 검출 센서를 갖는 급식 튜브에 관한 것이다.
즉, GRV(Gastric Residual Volume)는, 장내 섭식으로부터 일정 기간이 경과 한 후에 위장에 잔류하는 잔류 위장 내용물의 양이며, GRV 수치가 높으면, 위생 상태가 나빠지거나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는바, 구토나 염증이 발생하기 전에 급식을 줄이거나 중단해야 한다는 사실을 의료 서비스 제공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GRV 검출 센서를 갖는 급식 튜브를 제안하고 있다.
도 5는, 환자(106)에 삽입된 통합 GRV 검출 센서(102)를 갖는 예시적인 급식 튜브(100)를 도시한다. 볼륨 표시 장치(104)가 또한, 급식 튜브(100)에 연결될 수 있다. 급식 튜브(100)는, 급식 튜브(100)를 통해 환자의 위장(110)에 음식과 같은 영양제를 전달할 수 있도록, 급식 튜브 단부에 고정적으로 부착되거나 연결 가능한 깔때기형 장치(108)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102)는 급식 튜브(100) 내의 와이어나 다른 도전 요소(112)를 통해,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볼륨 표시 장치(104)에 연결될 수 있다.
위장(110)은 식도로의 전이시 하부 식도 괄약근(114), 및 위 및 십이지장(118) 사이의 유문 괄약근(116)을 포함하는 밀봉을 제공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다. 이들 구조는 위장 내 내용물을 유지하는 것을 돕는다. 환자의 위치에 관계없이, 기저부(fundus)(120)는, 대부분의 위 내용물이 쌓이는 위장 부분이므로, GRV 검출 센서(102)가 상기 기저부 주위 또는 안쪽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위 내용물 내에서의 센서의 정확한 배치는 보다 정확한 판독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종래기술에 따르면, GRV 검출 센서(102)가 위장에 존재하는 위장 내용물의 양을 측정하기 때문에, 이에 기하여 급식 양을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역류 현상을 감지하여 적절한 대책을 취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제2 종래기술 역시, 상기 GRV 검출 센서가, 압력 센서, 혹은 포토다이오드와 광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는 유체 검출 회로인바, 센싱할 수 있는 한계가 있으며, 특히 급식 튜브를 삽입하는 과정에서는 기존의 일반적인 블라인드 방식의 급식 튜브로 그다지 다를바 없다는 한계가 있다.
다른 한편, 미국 특허공개공개 제2014/0188080호 (급식 튜브) 는, 음식물의 역류를 막고, 장기간 튜브가 고정되어 있는 부분의 손상 (코의 침식, 식도 천공, 식도로의 조직 손상, 등) 을 줄이기 위해, 진공 제어 장치로 식도를 튜브에 연결하여 식도를 따라 음식물이 기관으로 역류하는 것을 막고, 식도 내에서 국부적인 선택적 진공 적용을 가능하게 하여 튜브에 연결된 식도의 위치가 시간에 따라 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식도 등의 조직 손상을 줄이기 위한, 개선된 급식 튜브 장치(nasogastric tube: NGT)를 제안하고 있다.
도 6은, 상기 제3 종래기술에 따른 급식 튜브 장치 및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6의 (a)는, 상기 제3 종래기술에 따라 구성되고 작동되는 급식 튜브의 단순화된 개략도이고, 도 6의 (b)는, 상기 제3 종래기술에 따른 NGT의 단순화된 단면도로서, 도 6 (a)의 II-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6의 (c)는, 상기 제3 종래기술에 따른 NGT에 대해 식도의 내벽을 흡입 및 밀봉하기 위해 사용되는 급식 튜브의 단순화된 개략도이다.
상기 제3 종래기술을, 도 6 (a)를 참조하여 좀더 상술하면, 메인 루멘(12)이 약물 및 다른 구강 제제를 공급 및 투여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또한 위장으로부터 유체를 흡입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메인 루멘(12)은, 공급용의 루멘 및 흡입용 루멘의 이중 루멘일 수 있다. 메인 루멘(12)은, 공급 또는 투여를 위한 물질의 공급원, 및 선택적으로 압력원 (일례로 흡입기) 에 연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적합한 기저부 커넥터(14)를 구비한다.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루멘(12) 주위에 이격된 4 개의 진공 루멘(16)이 있다. 메인 루멘(12) 및 진공 루멘(16)은 동심원으로 배치된 도관으로 배열된다. 진공 루멘(16)은 진공 조절 장치를 형성하는 압력 조절기(20) 및 밸브(22)를 통해 진공 소스(18)와 결합된다.
메인 루멘(12) 및 진공 루멘(16)은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진공 루멘(16)은 메인 루멘(12)을 환자 몸체에 삽입한 후에 메인 루멘(12) 위로 미끄러지는 별도의 유닛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혹은 진공 루멘(16)이 먼저 환자에게 도입 되고 메인 루멘(12)은 진공 루멘(16) 사이에서 미끄러질 수도 있다.
도 6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진공 루멘(16)은 하나 이상의 흡입 포트(26)를 포함하는 진공 밀봉부(24)를 포함한다. 도 6 (a)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소스(18)에 의해 발생된 진공이 가해질 때, 식도의 내벽은 흡입 포트(26)에 의해 끌어 당겨진다.
압력 조절기(20)가, 진공 소스(18)에 의해 생성된 진공 레벨을 진공 밀봉에 필요한 진공 레벨에 맞추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 조절기(20)가 진공 소스(18)에 의해 생성된 음압을 감소시키거나 그렇지 않으면 조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밸브(22)는, 흡입 레벨이 진공 밀봉부(24)에서 시간 경과에 따라 일정하지 않도록 식도 벽이 흡입되는 방식의 가변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이한 진공 루멘(16) 사이에서 진공을 이동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NGT(10)에는 상이한 개수의 진공 밀봉부(24) 및 흡입 포트(26)가 제공될 수 있으며, 밀봉부(24)에 대한 진공은 연동 운동 또는 식도의 다른 진동 운동을 생성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 종래기술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보조 흡입 포트(33)가 진공 밀봉부(24)에 인접하여 제공되고, 진공 밀봉부(24)가 식도를 밀봉하기 때문에, 진공 흡입부(33)가, 타액과 같은 임의의 구강내 분비물을 흡입 및 제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가 하면, 하나 이상의 진공 루멘(16)이 환자의 위장으로부터 도착한 액체를 배출시키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즉, 역류가 발생하면 진공 루멘(16) 중 하나 이상이 흡인 포트(26)를 통해 밸브(22)를 향해 적어도 그 일부를 인출할 수 있다. 결국, 진공 소스(18)는 환류 음식 및 폐로의 액체 흡인을 방지 또는 최소화함으로써 VAP 또는 다른 세균 감염의 위험을 감소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제3 종래기술은, 급식 튜브가 안전하게 배치된 후에 음식물의 역류를 방지하는데 중점이 두어져 있으며, 처음 급식 튜브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한 개선책이 없는바, 역시 압력을 이용하여 역류 방지 등을 행하기 때문에, 안전성에 한계가 있고 블라인드 방식의 삽입 기술에서 오는 한계를 벗어나지는 못한다.
미국 특허공개 제2008/0004598호 (급식 튜브 삽입 시스템 및 방법) 미국 특허공개 제2010/0274225호 (위 내용물 검출 기능을 갖는 급식 튜브) 미국 특허공개공개 제2014/0188080호 (급식 튜브)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내시경을 탑재하여 급식 튜브의 선단의 위치와 주변 환경을 파악하면서 급식 튜브를 삽입함으로써, 안전성이 한층 향상되도록 한, 개선된 안전성을 갖는 급식 튜브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조향이 가능하면서도, 게다가 역류까지도 방지하기 위한, 역시 안전성이 한층 향상되도록 한, 개선된 안전성을 갖는 급식 튜브에 관한 것이다.
이상의 목적 및 다른 추가적인 목적들이, 첨부되는 청구항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들에게 명백히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개선된 안전성을 갖는 급식 튜브는, 다수개의 루멘(110)을 갖는 튜브 본체(100); 및 상기 튜브 본체(100)의 후단에 형성되는 커넥터(200); 를 포함하며, 상기 튜브 본체(100)는, 내부에 적어도, 급식용의 제1 루멘(110)과, 내시경 광섬유(520)용의 제5 루멘(150)을 가지며, 상기 커넥터(200)는, 적어도, 영양분이나 약물을 환자에게 투여하는데 사용되는 급식용 커넥팅부(210)와, 상기 내시경 장치(500)의 광섬유(520)가 출입하는 내시경용 커넥팅부(250)를 포함하며, 상기 내시경용 커넥팅부(250)를 통해 튜브 본체의 제5 루멘(150)에 내시경이 탈착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튜브 본체(100)의 선단에 위치하는 고정풍선(310)과 상기 튜브 본체(100)의 후단에 위치하는 허브(320)를 포함하는 벌룬장치(300);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튜브 본체(100)는, 내부에 벌룬장치용 제3 루멘(130)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넥터(200)를 통해 튜브 본체 내로 장착되는 조향장치(400);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튜브 본체(100)는, 내부에 조향장치 와이어(420)용의 제4 루멘(120)을 더 갖고, 상기 커넥터(200) 역시, 상기 조향장치(400)용 와이어(420)가 삽입되며 조향장치의 핸들(410)을 지지하는 조향장치용 커넥팅부(240)를 더 갖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급식 튜브의 선단부는 연질부(102)로 구성하고, 상기 급식 튜브의 중간은 꼬임 방지를 위해 sus 와이어 재질의 꼬임방지케이블(101a)이 피복층에 감겨 있는 경질부(101)로 구성함으로써, 급식 튜브 중간에서의 꼬임을 방지하면서도 튜브 선단부에서의 조향이 원활하여 조직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급식용 커넥팅부(210)와 상기 조향장치용 커넥팅부(240)를 맨 후단에 위치하는 제1 커넥터로 구성하고, 내시경용 커넥팅부(250)는 중간에 제2 커넥터로 별도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시경용 커넥팅부(250)를 통해 상기 튜브 본체의 제5 루멘(150)에 내시경 장치(500)의 광섬유(520)를 삽입하여 사용하는 급식 튜브로서, 상기 내시경 장치(500)는 재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안전성을 갖는 급식 튜브에 의하면, 단일의 루멘에 초소형 내시경을 탑재하여 급식 튜브의 선단의 위치와 주변 환경을 파악하면서 급식 튜브를 삽입함으로써, 안전성이 한층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급식 튜브에 의하면, 단일의 루멘 내의 보조 루멘에 아주 가는 가이드 와이어를 삽입하여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조향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게다가, 본 발명의 급식 튜브는, 역시 단일의 루멘 내의 보조 루멘에 유압을 가하여, 선단부의 풍선을 부풀려서 역류까지도 방지하기 위한, 안전성이 한층 더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에 사용되는 초소형 내시경 등은 재활용 가능하며, 이러한 여러 기능을 갖는 커넥터를 제공함으로써, 단일의 루멘에 의해 여러가지 기능을 달성할 수 있으므로, 여러가지로 유리한 장점을 갖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 및 장점들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히 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급식 튜브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급식 튜브의 사용상 부작용 사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제1 종래기술의 급식 튜브 삽입 시스템의 측면도.
도 4는 제1 종래기술의 급식 튜브 삽입 시스템을 식도에 삽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제2 종래기술에 따른 급식 튜브를 환자의 식도를 통해 위까지 삽입한 상태의 도면.
도 6은 제3 종래기술에 따른 급식 튜브 및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개선된 안전성을 갖는 급식 튜브의 전체 개략도.
도 8은 도 7의 급식 튜브에서 내시경이 제거된 상태의 평면도.
도 9는 도 7의 급식 튜브에 사용되는 내시경의 사용 상태도.
도 10은 도 7의 급식 튜브에서 내시경과 조향기구가 제거된 상태의 평면도.
도 11a는 도 7의 급식 튜브에서 모든 부가 기구가 제거된 상태의 기본 튜브만의 평면도.
도 11b는 본 발명의 급식 튜브에서 튜브 본체의 단면도.
도 12는 도 7의 급식 튜브의 꼬임방지 케이블의 모식도.
도 13은 도 7의 급식 튜브의 방향 조절용 와이어의 힘과 튜브 선단의 이동 간의 상관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14a는 도 7의 급식 튜브에서 벌룬을 통한 풍선 팽창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4b는 환자의 위문 위치에서 풍선이 팽창한 상태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개선된 안전성을 갖는 급식 튜브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개선된 안전성을 갖는 급식 튜브에 방향 조절 기구가 삽입된 상태의 실물 사진.
도 17은 도 16의 급식 튜브에 사용되는 내시경의 실물 사진.
도 18a는 도 16의 급식 튜브 커넥터의 일 예.
도 18b는 도 16의 급식 튜브 커넥터의 다른 일 예.
도 19는 도 16의 급식 튜브의 단면도.
도 20은 도 16의 급식 튜브의 연질부 및 경질부의 경계 부위의 확대 사진.
도 21은 도 16의 급식 튜브의 풍선부의 확대 사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안전성을 갖는 급식 튜브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후술하는 실시예 및 실시 형태들은 예시로서 제한적이지 않은 것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본 발명은 여기에 주어진 상세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및 동등물 내에서 치환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로 변경될 수 있다.
(제1 실시예)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개선된 안전성을 갖는 급식 튜브에 대하여, 도 7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개선된 안전성을 갖는 급식 튜브의 전체 개략도이고, 도 8은 도 7의 급식 튜브에서 내시경이 제거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7의 급식 튜브에 사용되는 내시경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10은 도 7의 급식 튜브에서 내시경과 조향기구가 제거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11a는 도 7의 급식 튜브에서 모든 부가 기구가 제거된 상태의 기본 튜브만의 평면도이며, 도 11b는 본 발명의 급식 튜브에서 튜브 본체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7의 급식 튜브의 꼬임방지 케이블의 모식도이다.
도 13은 도 7의 급식 튜브의 방향 조절용 가이드 와이어의 힘과 튜브 선단의 이동 간의 상관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14a는 도 7의 급식 튜브에서 벌룬을 통한 풍선 팽창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4b는 환자의 위문 위치에서 풍선이 팽창한 상태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개선된 안전성을 갖는 급식 튜브의 전체적인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개선된 안전성을 갖는 급식 튜브는, 내시경을 이용해 삽입 도중 식도의 경로 및 삽입 후 위장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내시경으로 경로를 확인하면서 조향장치로 급식 튜브의 선단의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삽입이 용이하고 안전하며, 부가적으로 벌룬 장치와 꼬임방지 케이블에 의해 위장 내에서 꼬임방지와 위치고정이 가능한 위장용 급식튜브이다.
즉, 종래기술의 경장 튜브들은 위 안에서 꺾이거나 매듭이 지어질 수 있는 위험이 늘 있어 이러한 경우 약물 및 영양제 투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위 내용물의 흡인도 원활하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으나, 내시경을 이용하여 직접 경로를 확인하며 넣을 경우, 기존의 블라인드 방식의 튜브 삽입이 가져올 수 있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소할 수 있으므로 매우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풍선과 같은 벌룬 장치를 이용하여 튜브의 위치를 고정하여 꼬임과 꺾임을 방지하는 것은, 튜브의 기능을 보장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먼저, 본 발명의 급식 튜브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도 7 내지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개의 루멘(110)을 갖는 연질 튜브 본체(100); 상기 튜브 본체(100)의 후단에 형성되는 커넥터(200); 상기 튜브 본체(100)의 선단에 위치하는 고정풍선(310)과 상기 튜브 본체(100)의 후단에 위치하는 허브(320)를 포함하는 벌룬장치(300); 상기 커넥터(200)를 통해 튜브 본체 내로 장착되는 조향장치(400); 및 상기 커넥터(200)를 통해 튜브 본체에 탈착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내시경(500); 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튜브 본체(100)는, 내부에 다수개의 루멘(채널)을 가지는바, 중앙의 상대적으로 큰 내경의 급식용의 제1 루멘(110)과, 주변의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의 조향장치 와이어(420)용의 제4 루멘(120)과, 주변의 중간 크기 내경의 내시경 광섬유(520)용의 제5 루멘(150) 및 벌룬용 제3 루멘(130)으로 구성되며 (도 11b 참조), 상기 커넥터(200)는, 주사기 등에 의해 영양분이나 약물을 환자에게 투여하는데 사용되는 급식용 커넥팅부(210)와, 상기 조향장치(400)용 와이어(420)가 삽입되며 조향장치의 핸들(410)을 지지하는 조향장치용 커넥팅부(240)와, 상기 내시경 장치(500)의 광섬유(520)가 출입하는 내시경용 커넥팅부(250)를 포함한다.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급식용 커넥팅부(210)와 상기 조향장치용 커넥팅부(240)를 맨 후단에 제1 커넥터로 구성하고, 내시경용 커넥팅부(250)는 중간에 제2 커넥터로 별도로 구성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환자가 누워있는 상태에서, 본 발명의 급식 튜브로 급식을 행할 때에, 급식은 높은 위치에서 행하도록 하여 역류를 방지하게 되고, 내시경 장치는 다소 낮은 위치에 위치함도록 함으로써 모니터링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각 부분을 더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본 실시예의 급식 튜브에서 내시경(도 9의 500)을 탈리한 상태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는바, 도 9의 내시경(500)은, 기존의 병원에서 사용하는 내시경보다 훨씬 가느다란 직경의 광섬유(520)를 가진 내시경으로 이루어지되, 다만 내시경 장치(500)를 위한 내시경 기구(510)의 광원 및 모니터 연결은 병원에서 사용하는 기존 장비와 호환이 되도록 하는 것이 추가의 비용 없이 유용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급식 튜브의 내시경 루멘(150)의 맨 선단(151)에 내시경 광섬유(520)의 선단부(521)가 위치하게 되며, 근처에 급식 루멘(110)의 토출구(111)가 구비되고, 역시 근처의 적당한 위치에는 벌룬용 루멘(130)의 토출구(131)를 벌룬 장치의 풍선(310)이 감싸게 된다.
벌룬 장치(300)의 허브(320)가 상기 제2 커넥터와 같은 위치에 마련되기도 하며, 벌룬 장치의 허브 말단에는 밸브장치(321)가 구비됨으로써, 별도의 주사기와 같은 가압장치(2': 도 14a)로 상기 풍선(310)을 가압한 후에는 가압장치를 제거하더라도 체크밸브와 같은 밸브장치로 인하여 압력이 제거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 참조).
부재번호 (111)은 급식용 루멘 토출구이고, (131)은 벌룬장치용 루멘 토출구이고, (151)은 내시경용 루멘 출구이며, 한편 조향장치용 루멘의 선단은 가이드 와이어(420)와 함께 상기 튜브 본체의 선단 고정점(미 도시됨)에 고정 부착되어 진다.
아울러, 도 11a 및 도 1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급식 튜브의 튜브 본체(100)의 길이는 1000~1500mm 정도가 필요하며, 튜브 본체(100)의 외경은 5.0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급식용의 제1 루멘(110)의 내경은 2.4mm, 조향장치(400) 가이드 와이어용의 제4 루멘(140)의 내경은 0.4mm, 내시경 광섬유(520)용의 제5 루멘(150) 및 벌룬장치(300)용 제3 루멘(130)의 내경은 각각 1.0mm 이하(바람직하게는 0.8mm 정도) 가 적당하며, 이에 맞추어 내시경 광섬유(520)의 외경은 0.9mm 이하(바람직하게는 0.7 mm 이하) 로 하도록 한다. 즉, 상기 내시경 광섬유(520) 및 조향장치의 가이드 와이어(420)의 외경은 각각, 상기 제5 루멘(150) 및 제4 루멘(140)의 내경보다 약간 (일례로 0.1mm) 더 작을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급식 튜브에 삽입되는 내시경(500)은, 튜브와 달리 1회 사용이 아니고 소독하여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광섬유(520)의 화각은 ±35°, 시야각은 90°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급식 튜브는 매우 가늘기 때문에 위장 내에서 꼬임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바,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급식 튜브의 본체(100)는, 일례로 유연한 재질의 폴리이미드 케이블에 아주 가는 0.1mm 굵기의 sus 와이어가 감긴 꼬임 방지 케이블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급식 튜브는, 일정 이상의 하중을 견디도록 설계되어야 하는바, ISO10555-1 규격에 따라 튜브 양 끝에 일례로 15N 이상의 하중을 견디도록 하여야 하며, 급식 튜브의 축이 서로 수평을 이루도록 조정한 후, 주사기 피스톤과 외통의 상대적 작용으로 축 방향으로 일례로 300kpa ~ 320kpa의 압력을 일례로 30초간 유지하였을 때, 튜브에 액체의 누출이 있는지 확인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특히, 풍선 튜브의 진입 시 위장 점막의 손상을 최소화하도록 하며, 꼬임 방지를 위한 이중 구조의 튜브로 하였고, 벌룬 장치를 사용하여 튜브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급식용 루멘을 사용하여 혹은 여분의 추가적인 채널을 사용하여 위장 내 이물질을 외부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품 말단에 X-ray 불투과성 소재를 사용하여 제품의 위치를 식별하게 하고, 튜브를 유문하부에 거치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며, 환자의 상태에 따라 내시경을 이용한 육안 관찰 및 X-ray 이용이 동시에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벌룬 장치에 대한 사용적합성의 평가는 ISO 60601-1-3의 개정으로 의료기기 개발에서 꼭 필요한 항목이며, 15cc 주입 후 고정 풍선의 직경이 25mm, 폭이 15mm 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내시경 시야 적절성을 위해, 식도 외경 2cm (성인남자 기준) 시야를 확보하도록 하며, 내시경의 화각을 조절하며, 모니터상 식도의 전체 외벽이 확인가능하도록 한다.
튜브 및 내시경 진입 유효성을 위해서는, 튜브의 인체 진입시 걸림 또는 마찰 없이 삽입되어져야 하는바, 튜브의 마감처리(코팅, 팁끝의 각도)를 통하여 부드럽게 인체에 진입이 되도록 한다.
그외, 인체 내에 튜브 거치 시, X-RAY 확인 후 튜브가 꼬이지 않도록 하여야 하고, 식도, 위벽, 위장 내의 이물질 등의 흡인(SUCTION)이 원활히 되도록 하여야 하는가 하면, 인체 내 위장에 경장 영양제를 담은 실린지(주사기) 등을 통하여, 튜브에 주입하여 위장까지 영양제가 도달하는지 확인을 위해 튜브 끝에서 영양제가 배출되어야 한다. 그 외에도, 조영제를 통하여 벌룬을 확장시켜보고, 인체 내에서 무리가 없어야 하며, X-RAY 상 위치 확인이 되어야 하며, 튜브의 사용 후 제거 시에도 인체 조직에 손상을 줄 수 있는 부분이 없고, 부드럽게 빠지도록 구성되어진다.
계속해서,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급식 튜브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와이어와 와이어/급식튜브의 구부린 정도에 대한 각각의 힘과 각도의 상관관계는 도 13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으며, 구부린 정도에 대한 각각의 변위와 각도의 상관관계는 도 13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은바, 급식 튜브 후단의 조향장치(400)의 핸들(410)을 잡아당기거나 밀게 되면, 가이드 와이어(420)를 통해 선단의 튜브 본체(100)를 일측으로 및 타측으로 구부릴 수 있게 되는바, 내시경을 통해 경로를 보면서 급식 튜브의 선단을 원하는 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환자의 식도 등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원하는 곳으로 급식 튜브를 삽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 본 발명에 관한 급식 튜브의 벌룬 장치(300)는, 도 1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벌룬장치용 커넥팅부(230)에 벌룬 허브(320)가 체결되고 허브 선단의 밸브(321)에 주사기가 체결된 채로, 급식 튜브 선단을 위장 내로 삽입한 상태에서, 벌룬 허브(410)로 공기를 불어넣으면, 튜브 본체(100)의 벌룬장치용 루멘(제3 루멘)(130)을 통해 토출구(131)로 토출됨으로써, 도 14b에서와 같이 고정풍선(310)이 부풀어 올라 위문을 막게 되기 때문에, 환자의 부주의로 인한 혹은 조작 실수로 인한 급식 튜브의 이탈을 막을 수 있고, 더욱이 위장 내의 음식물의 과다나 개스 압력의 증가나 혹은 조작 실수로 인한 역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으로 인한 여러가지 장점들이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바, 본 발명의 급식 튜브에 의하면, 튜브 삽입 중 내시경으로 내부를 보면서 조향 장치로 튜브 본체의 원하는 삽입 방향을 효과적으로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특별한 기술이나 전문 지식이 없는 일반인도 집에서 조작이 가능하며, 환자의 조직을 전혀 손상시키지 않고도 삽입이 가능하다. 또한, 시술 과정에서도, 꼬임방지 케이블을 사용하면서 역시 신체 내부를 보면서 사용하기 때문에 및 벌룬 장치에 의해 고정이 되기 때문에, 튜브의 꼬임도 방지하고 실수로 인한 튜브 본체의 이탈도 방지하며, 역류도 방지할 수 있는 등, 종래기술에 비하여 여러가지 장점을 지닌 기술이다.
(제2 실시예)
다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개선된 안전성을 갖는 급식 튜브에 대하여, 도 16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개선된 안전성을 갖는 급식 튜브에 방향 조절 기구가 삽입된 상태의 실물 사진이고, 도 17은 도 16의 급식 튜브에 사용되는 내시경의 실물 사진이고, 도 18a는 도 16의 급식 튜브 커넥터의 일 예의 실물사진이고, 도 18b는 도 16의 급식 튜브 커넥터의 다른 일 예의 실물 사진이고, 도 19는 도 16의 급식 튜브의 단면도이고, 도 20은 도 16의 급식 튜브의 연질부 및 경질부의 경계 부위의 확대 사진이며, 도 21은 도 16의 급식 튜브의 풍선부의 확대 사진이다.
본 제2 실시예의 경우, 제1 실시예의 경우와 거의 비슷하나, 본 실시예는 실제 완성된 제품의 실물 사진들로 설명이 되며, 다만 제1 커넥터(201)에 썩션이나 위장 내부 상태의 센싱과 같은 다른 목적의 예비용 커넥팅부(260)가 더 있으며(도 16 참조), 내시경(500')을 본 발명에 맞게 개량했다는 점이 상이하다(도 17 참조). 아울러, 커넥터(200)도, 급식용 커넥팅부(210), 조향장치용 커넥팅부(240) 및 예비용 커넥팅부(260)를 갖는 제1 커넥터(201)가 상이하며, 내시경용 커넥팅부(250)를 갖으며 조향 장치(300)가 삽입되는 제2 커넥터(202)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18a 및 도 18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커넥터(201) 및 제2 커넥터(202)의 색상이나 투명도는 상황에 따라서 다양한 방식으로 할 수 있다.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급식 튜브 본체(100) 역시, 제1 실시예의 경우와 유사하나, 다만 실제 사진으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은 크기의 내경을 갖는 4채널형의 튜브 본체가 기술적으로 충분히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 급식 튜브의 중간은 꼬임 방지를 위해 sus 와이어가 피복층에 감겨 있는 경질부(101)로 하고, 튜브의 선단부는 연질부(102)로 구성함으로써, 급식 튜브 중간에서의 꼬임을 방지하면서도 튜브 선단부에서의 조향이 원활하여 조직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도 21은 급식 튜브의 본체(100) 및 고정풍선(310)의 실제 확대 사진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100: 튜브 본체 110: 급식용 루멘(제1 루멘)
111: 급식용 루멘 토출구 130: 벌룬장치용 루멘(제3 루멘)
131: 벌룬장치용 루멘 토출구 140: 조향장치용 루멘(제4 루멘)
150: 내시경용 루멘(제5 루멘) 151: 내시경용 루멘 출구
200: 커넥터 201: 제1 커넥터
202: 제2 커넥터 210: 급식용 커넥팅부
240: 조향장치용 커넥팅부 250: 내시경용 커넥팅부
300: 벌룬장치 310: 고정풍선
320: 허브 321: 밸브
400: 조향장치 410: 핸들
420: 가이드 와이어
500: 내시경 장치 510: 내시경 기구
520: 내시경 광섬유 521: 내시경 광섬유 선단부

Claims (5)

  1. 위장용 급식 튜브(1)로서,
    다수개의 루멘(110)을 갖는 튜브 본체(100); 및
    상기 튜브 본체(100)의 후단에 형성되는 커넥터(200);
    를 포함하며,
    상기 튜브 본체(100)는, 내부에 적어도, 급식용의 제1 루멘(110)과, 내시경 광섬유(520)용의 제5 루멘(150)을 가지며,
    상기 커넥터(200)는, 적어도, 영양분이나 약물을 환자에게 투여하는데 사용되는 급식용 커넥팅부(210)와, 내시경 장치(500)의 광섬유(520)가 출입하는 내시경용 커넥팅부(250)를 포함하며,
    상기 내시경용 커넥팅부(250)를 통해 튜브 본체의 제5 루멘(150)에 내시경이 탈착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급식 튜브의 선단부는 연질부(102)로 구성하고, 상기 급식 튜브의 중간은 꼬임 방지를 위해 꼬임방지케이블(101a)이 피복층에 감겨 있는 경질부(101)로 구성함으로써, 급식 튜브 중간에서의 꼬임을 방지하면서도 튜브 선단부에서의 조향이 원활하여 조직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안전성을 갖는 급식 튜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본체(100)의 선단에 위치하는 고정풍선(310)과 상기 튜브 본체(100)의 후단에 위치하는 허브(320)를 포함하는 벌룬장치(300);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튜브 본체(100)는, 내부에 벌룬장치용 제3 루멘(130)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안전성을 갖는 급식 튜브.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급식용 커넥팅부(210)를 맨 후단에 위치하는 제1 커넥터(201)로 구성하고, 내시경용 커넥팅부(250)는 중간에 제2 커넥터(202)로 별도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안전성을 갖는 급식 튜브.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용 커넥팅부(250)를 통해 상기 튜브 본체의 제5 루멘(150)에 내시경 장치(500)의 광섬유(520)를 삽입하여 사용하는 급식 튜브로서,
    상기 내시경 장치(500)는 재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안전성을 갖는 급식 튜브.
KR1020190084424A 2019-07-12 2019-07-12 개선된 안전성을 갖는 급식 튜브 KR102267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424A KR102267443B1 (ko) 2019-07-12 2019-07-12 개선된 안전성을 갖는 급식 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424A KR102267443B1 (ko) 2019-07-12 2019-07-12 개선된 안전성을 갖는 급식 튜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8256A KR20210008256A (ko) 2021-01-21
KR102267443B1 true KR102267443B1 (ko) 2021-06-23

Family

ID=74237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4424A KR102267443B1 (ko) 2019-07-12 2019-07-12 개선된 안전성을 갖는 급식 튜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744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5064A (en) 1993-12-06 1997-09-09 Sherwood Medical Company Gastroenteric feeding tube for endoscopic placement and method of use
JP2011512955A (ja) 2008-02-26 2011-04-28 イユンニ ヴェンカタ セシャ サイ ナス 栄養補給管
JP5706879B2 (ja) * 2009-04-09 2015-04-22 ユニバーシティ・オブ・ユタ・リサーチ・ファウンデイション 光学的に誘導される栄養管、カテーテルおよび関連方法
JP2015181485A (ja) * 2014-03-20 2015-10-22 テルモ株式会社 カテーテル組立体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439B1 (ko) 2005-04-14 2010-05-25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연마재 슬러리 및 이것을 사용한 연마재
JP5292188B2 (ja) 2009-05-29 2013-09-1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器
JP6143516B2 (ja) 2013-03-26 2017-06-0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挿入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5064A (en) 1993-12-06 1997-09-09 Sherwood Medical Company Gastroenteric feeding tube for endoscopic placement and method of use
JP2011512955A (ja) 2008-02-26 2011-04-28 イユンニ ヴェンカタ セシャ サイ ナス 栄養補給管
JP5706879B2 (ja) * 2009-04-09 2015-04-22 ユニバーシティ・オブ・ユタ・リサーチ・ファウンデイション 光学的に誘導される栄養管、カテーテルおよび関連方法
JP2015181485A (ja) * 2014-03-20 2015-10-22 テルモ株式会社 カテーテル組立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8256A (ko) 2021-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5459B2 (en) Nasogastric tube insertion system and method
ES2689570T3 (es) Cánula endobronquial con sensor de imagen integrado y disposición de boquillas de limpieza
US7740620B2 (en) Insertion system and methods for nasogastric tubes including feeding tubes
JP5706879B2 (ja) 光学的に誘導される栄養管、カテーテルおよび関連方法
US20100030057A1 (en) Imaging catheter
US20210196577A1 (en) Nasogastric tube
US10646406B2 (en) Nasogastric tube
JP2014128653A (ja) 膨張可能なバルーンコンポーネントをもった栄養チューブ
US9827169B2 (en) Nasogastric tube with camera
EP2754384A2 (en) An endobronchial tube with integrated image sensor and a cleaning nozzle arrangement
US9789029B2 (en) Nasogastric tube
US10695269B2 (en) Nasogastric tube
KR102267443B1 (ko) 개선된 안전성을 갖는 급식 튜브
KR102267450B1 (ko) 조향 장치를 갖는 급식 튜브
CN110584581A (zh) 内窥镜装置
CN216629191U (zh) 一种头部可控弯的可视鼻胃肠管
US20210322280A1 (en) Feeding tube with inflatable balloon component and at least one of a carbon dioxide sampling line and a suction tube component
KR102295322B1 (ko) 레빈 튜브의 삽입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레빈 튜브 복합체
JP6718664B2 (ja) 医療用チューブ、及び医療用チューブセット
CN216985735U (zh) 一种鼻胃肠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