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2091482A2 - 휘도 증강 필름 및 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 Google Patents

휘도 증강 필름 및 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2091482A2
WO2012091482A2 PCT/KR2011/010299 KR2011010299W WO2012091482A2 WO 2012091482 A2 WO2012091482 A2 WO 2012091482A2 KR 2011010299 W KR2011010299 W KR 2011010299W WO 2012091482 A2 WO2012091482 A2 WO 2012091482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ilm
thin film
luminance
mol
bright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1/01029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2091482A3 (ko
Inventor
문정열
한아름
김경남
류득수
김대식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1014383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269697B1/ko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180012128.4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3026270B/zh
Priority to JP2013547354A priority patent/JP2014508961A/ja
Priority to US13/520,066 priority patent/US20120314287A1/en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1014543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284485B1/ko
Publication of WO2012091482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091482A2/ko
Publication of WO2012091482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091482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02B5/024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by means of dispersed p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7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transmiss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ghtness enhancing film for use in displays.
  • the liquid crystal display is one of flat panel display devices that display images using liquid crystal, and is thinner and lighter than other flat panel display devices, and has a low driving voltage and low power consumption. It is used.
  • the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es a liquid crystal panel comprising a thin film transistor (TFT) substrate, a color filter substrate facing the TFT substrate, and a liquid crystal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two substrates to change light transmittance.
  • TFT thin film transistor
  • the liquid crystal display is a non-light emitting device in which the liquid crystal panel for displaying an image does not emit light by itself, it requires a backlight unit for supplying light to the liquid crystal panel.
  • the backlight unit includes at least one kind of optical film laminated on the light guide plate or the diffusion plate in order to secure the advantages of improving the brightness of the output light and the viewing angle of the output light.
  • the optical films may be classified into a film capable of greatly enhancing luminance and a film capable of diffusing light. In recent years, these characteristics need to be combined in response to the trend of thinning of liquid crystal displays.
  • a brightness enhancing film and a backlight unit including the same, capable of securing reliability against external environmental changes.
  • a brightness enhancing film including a multilayer thin film is provided.
  • the brightness enhancing film has a high reliability against external environmental changes, for example, changes in temperature and / or humidity, while improving brightness, and when used in a liquid crystal display, the reliability and color of the external environment of a liquid crystal display. The reproducibility, lifespan characteristics and the like can be improved.
  • the first embodiment is a brightness enhancement film including a multilayer thin film comprising a first thin film and a second thin film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thin film, the luminance reduction rate measured after satisfying the following first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A luminance enhancing film having a luminance reduction rate of 10% or less, respectively, measured after satisfying the following second environmental condition is provided.
  • the first environmental condition refers to a condition in which the brightness enhancement film is disposed for 1000 hours in a chamber maintained at 50 ° C.
  • the second environmental condition is a condition in which the brightness enhancement film is disposed for 1000 hours in a chamber maintained at ⁇ 20 ° C.
  • a backlight unit including the brightness enhancement film is provided.
  •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brightness enhancement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brightness enhancing film can be used to improve the brightness of a backlight unit installed as an external light sourc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that does not have its own light emitting source. Due to the diversification of the shape, use, etc.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the characteristics of the brightness enhancement film required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need to be further improved. For example, in order to secure reliability of an external environment chang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It is necessary to minimize the luminance reduction rate so that the luminance characteristics can be maintained even when the external environment changes.
  • the brightness enhancing film including the multilayer thin film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uminance reduction rate measured after satisfying the following first environmental condition, and a luminance reduction rate measured after satisfying the following second environmental condition. These are each 10% or less.
  • the first environmental condition means that the brightness enhancement film is disposed for 1000 hours in the chamber maintained at 50 ° C
  • the second environmental condition means that the brightness enhancement film is placed for 1000 hours in the chamber maintained at ⁇ 20 ° C.
  • the luminance reduction rate in each environmental condition is defined as the ratio of the luminance measured in each environmental condition to the luminance measured at ordinary environmental conditions, specifically, 25 ° C. and 50% RH, and is used hereinafter with the same meaning.
  • the luminance reduction rate merely means a luminance change rate due to the luminance enhancement film, and a specific measuring method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Examples.
  • the backlight unit employing the brightness enhancing film may have excellent reliability against external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temperature.
  • the luminance enhancing film has a luminance reduction rate measured after satisfying a third environmental condition which is more extreme than the first and second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a luminance reduction rate measured after satisfying a fourth environmental condition.
  • a third environmental condition means that the brightness enhancing film is disposed for 1000 hours in a chamber maintained at 60 ° C. and 95% RH, and the fourth environmental condition is repeated 100 times at 70 ° C./60 minutes to ⁇ 20 ° C./60 minutes.
  • the brightness enhancing film in the chamber is said to be arranged until the end of the 100 iterations.
  • the brightness enhancement film that satisfies such a luminance reduction rate may ensure higher reliability.
  • the brightness enhancing film provides a brightness enhancing film including a multilayer thin film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thin films and a second thin film.
  • the brightness enhancing film includes a light diffusing layer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multilayer thin film, wherein the light diffusing layer may be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 layer formed from a conventional light diffusing crude liquid or that includes a light diffusing film on a base film. This includes all cases of the light diffusing film.
  • the light diffusing film may be understood as a polycarbonate (PC) film having a diffusion function or a film having a diffusion layer.
  • a film having a diffusion layer may be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stretched multilayer film, and a film having an antiblocking layer having a relatively low turbidity may be laminated on the other surface.
  • a film having an antiblocking layer having a relatively low turbidity may be laminated on the other surface.
  • the turbidity of the anti-blocking layer is preferably 1 to 30%. If the turbidity is 30% or more, when light passing through the lower optical member is incident on the luminance-enhanced film, light scattering occurs more on the surface than light transmission, so that the luminance may be lowered. It is preferable to form an antiblocking layer.
  • the light-diffusion layer crude liquid can be formed by applying and drying in a conventional manner.
  • a light diffusing layer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tretched multilayer film, and an antiblocking layer having a turbidity of 1 to 30% may b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in order to give slipability with an optical member positioned below.
  • the light diffusion layer is in the form of a light diffusion film
  • an adhesive layer may be applied on the multilayer thin film for lamination of the multilayer thin film and the light diffusion film, and the light diffusion film may be laminated.
  • the adhesive layer may be a UV curable adhesive.
  • FIG. 1 illustrates a brightness enhancing film including adhesive layers 2 and 4 on both sides of the multilayer thin film 3 and light diffusing films 1 and 5 on the adhesive layer, but the structure of the brightness enhanc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hereto. Of course not.
  • Brightness-enhancing films obtained by laminating light-diffusion films with multilayer thin films have often been deteriorated in brightness depending on temperature conditions and usage time, which may be due to the separation of layers of laminated surfaces between multilayer films and light-diffusion films. Can be. Of course, such a phenomenon may occur even when the light diffusion layer is formed by applying the light diffusion layer crude liquid on the multilayer thin film.
  • sufficient interlayer adhesion strength may be achieved by directly applying a light diffusion layer liquid solution or laminating a light diffusion film using an adhesive. It can be ensured, thereby satisfying the above-described luminance reduction rate conditions.
  • the surface contact angle of the multilayer thin film is 50 to 85 °, preferably 70 to 85 °.
  • the method of improving the surface hydrophilicity of the multilayer thin film may be possible through the treatment of physically and chemically changing the surface properties, but in the case of the physical treatment, hydrophilicity may be given at the same time as extrusion, Sometimes it is difficult to achieve a change and satisfactory hydrophilicity.
  • the primer may be coated after the extrusion process, but it may be disadvantageous in that it may be difficult to match the refractive indexes of the resins formed in the multilayer thin film, which may cause a decrease in brightness.
  •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multilayer thin film using resin which does not advance solid-state polymerization as resin which comprises a 2nd thin film is preferable.
  • the hydrophilicity of the surface of the multilayer thin film may be increased, which may be interpreted as a hydroxyl group remaining at the end of the polymer resin.
  • the brightness enhancement fil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layer thin film comprising a first thin film and a second thin film, a first skin layer (skin layer)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multilayer thin film, and the first skin layer It provides a brightness enhancement film comprising a light diffusion layer formed on.
  • the luminance enhancing film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kin layer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multilayer thin film, and may further include a blocking prevention layer formed on the second skin layer.
  • the second skin layer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category of the first skin layer except for the formation posi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brightness enhancing film having such a structure can diffuse light while increasing the brightness.
  • the light diffusion layer may be directly formed on the skin layer.
  • the lamination process can be eliminated in comparison with other methods of imparting a light diffusing function to the luminance-enhanced film, for example, a method of laminating a member having a multilayer thin film and a conventional light diffusing film.
  • the process can be simplified.
  • the first skin layer may improve properties such as durability, thermal stability, chemical resistance, etc. of the brightness enhancing film by blocking a defect inducing factor introduced into the multilayer thin film.
  • the first skin layer may include a polymer resin having excellent adhesion to the binder resin and / or light diffusing particles included in the light diffusing layer in order to improve adhesion to the light diffusing layer formed on the first skin layer.
  • the polymer resin of the first skin layer may have an intrinsic viscosity of 0.5 dL / g or less.
  • the polymer resin may be a resin that does not undergo solid phase polymerization.
  • the polymer resin of the first skin layer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polymer resin of the first thin film and the polymer resin of the second thin film, and in this case, the first resin through an extrusion process.
  • the hydrophilicity of the skin layer may be increased, which may be interpreted as a hydroxyl group remaining at the end of the polymer resin. Increasing the hydrophilicity of the skin layer in this way can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the skin layer and the multilayer thin film, and the skin layer and the light diffusion layer.
  • the degree to which the hydrophilicity of a skin layer is raised here is preferable as long as the contact angle of a skin layer surface is 50-85 degrees, Preferably it is 70-85 degrees.
  • the polymer resin of the first skin layer may have an intrinsic viscosity of 0.5 dL / g or less, and when it exceeds this value, it may be difficult to obtain a multilayer thin film having a high elongation at low temperature and a draw ratio.
  • the thickness of the first skin layer may be the same or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multilayer thin film. If the thickness is outside this range, there may be a limit in thinning the luminance-enhanced film. However, considering the variety of applications, the thickness of the skin layer may be thickened to satisfy the appropriate thickness of the brightness enhancement film, and when the thickness of the skin layer is thick, it may be advantageous in terms of securing reliability for the external environment.
  • the multilayer thin film may be in a form in which the first thin film and the second thin film constitute one repeating unit, in which the repeating units are stacked, that is, in the form of an alternating multilayer thin film, but is not limited thereto. no.
  • the repeating unit may be configured by interposing at least one thin film different from the first thin film and the second thin film at an arbitrary position within the repeating unit.
  • a repeating unit consisting of the first thin film and the second thin film, and at least one repeating unit having a different stacking form from the repeating unit may be stacked in a regular or irregular manner.
  • the first thin film may be an optically anisotropic thin film
  • the second thin film may be an optically isotropic thin film.
  • Optically isotropic in the above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means that the refractive index associated with all axes in the plane of the thin film is substantially the same, and optical anisotropy means that the associated refractive index varies substantially with the axis in the plane of the thin film. It means to be.
  • the polymer capable of forming the optically anisotropic first thin film a resin having an ethylene naphthalate repeat unit content of 80 mol% or more, a resin of 85 mol% or more, or a resin of 90 mol% or more, or 95 mol% or more Resins, or resins that are 98 mol% or more.
  • the first thin film may include a resin having an ethylene naphthalate repeating unit content of 100 mol%, and may include at least two kinds of the resins.
  • the first thin film may include a resin having an ethylene naphthalate repeating unit content of 80 mol% or more and 100 mol%, and an ethylene terephthalate repeating unit content of 20 mol% or less and 0 mol%.
  • the first thin film may include a resin having an ethylene naphthalate repeating unit of 90 mol% or more and 100 mol% or less, and an ethylene terephthalate repeating unit of 10 mol% or less and 0 mol% or more.
  • Resin of the first thin film is dimethylcarboxylic naphthalate (Dimethylcarboxylic Naphthalate, NDC) and ethylene glycol (Ethylene glycol, EG); Or by condensation polymerization of dimethylcarboxylic naphthalate (NDC), ethylene glycol (Ethylene glycol, EG) and terephthalic acid (TPA).
  • dimethylcarboxylic Naphthalate Dimethylcarboxylic Naphthalate, NDC
  • ethylene glycol Ethylene glycol, EG
  • TPA terephthalic acid
  • the optically isotropic second thin film may include a resin having a content of ethylene naphthalate repeating units of 10 mol% or more and 60 mol% or less, and preferably, a content of ethylene naphthalate repeating units of 10 mol% or more and 60 mol%. Or less, and may include a resin having an ethylene terephthalate repeating unit content of 40 mol% or more and 90 mol% or less. More preferably, the content of the ethylene naphthalate repeating unit is 40 mol% or more and 60 mol% or less, and the content of the ethylene terephthalate repeating unit may be 40 mol% or more and 60 mol% or less.
  • the resin of the second thin film may be prepared by condensation polymerization of dimethylcarboxylic naphthalate (NDC), ethylene glycol (Ethylene glycol, EG) and terephthalic acid (TPA).
  • NDC dimethylcarboxylic naphthalate
  • EG ethylene glycol
  • TPA terephthalic acid
  • both the first thin film and the second thin film may include a polymer resin having an intrinsic viscosity of 0.5 dL / g or less.
  • the intrinsic viscosity of the polymer resin exceeds the above value, rheological defects of the polymer fluid may occur during the stretching process.
  • the draw ratio may be limited, and it may be difficult to manufacture a multilayer thin film having a high elongation at low temperature.
  • at least one of the polymers constituting the first thin film and the second thin film may be a resin that has not undergone solid-phase polymerization.
  • a difference betwee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first polymer resin an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second polymer resin may be 30 ° C. or less.
  • the difference i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exceeds 30 °C, the difference in melt viscosity of the co-extruded resin is large, it is difficult to uniformly control the thickness of each layer and difficult to form a layer.
  • the brightness enhancement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cludes a first axis and a second axis that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in the plane of the film due to the first and second thin films, and the first axis among the light incident on the brightness enhancement film. Accordingly, the polarized light may be reflected, and the light polarized along the second axis may be transmitted among the light incident on the brightness enhancing film.
  • the light may be ultraviolet light, visible light, infrared light, or the like.
  • the light may be visible light.
  • the first thin film and the second thin film may have an optical thickness defined by a product of refractive index and thickness, respectively, and the optical thickness may be constant or Can be variable.
  •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thin films may have an optical thickness of 0.01 to 1.50 ⁇ m, preferably 0.02 to 1.00 ⁇ m, more preferably 0.03 to 0.90 ⁇ m.
  •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first thin film and the second thin film along the first axis may be at least 0.05.
  •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first thin film and the second thin film along the second axis may be 0.03 or less.
  • the brightness enhancing film may include an axis in a norm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lm plane, that is, a third axis, and a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first thin film and the second thin film along the third axis may be 0.03 or less.
  •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first thin film and the second thin film along the first axis is smaller than at least 0.05,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interface between the first thin film and the second thin film may be less and the luminance increase effect may be insignificant.
  •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along the first to third axes may be achieved through a material in which birefringence is induced by stretching, and a material in which birefringence is not induced or is insignificant.
  • the stretching axis may be the first axis.
  • a component of the first thin film As described above, in a brightness enhancement film including a first thin film and a second thin film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thin film, a component of the first thin film, a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first thin film and the second thin film, a difference in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etc.
  • a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first thin film and the second thin film a difference in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etc.
  • the light diffusing layer may include a binder resin and light diffusing particles.
  • the binder resin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improving adhesion between the light diffusing layer and other adjacent layers, the binder res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s described above, the binder resin may improve the hydrophilicity of the multilayer thin film or the skin layer.
  • the kind of binder resin does not greatly influence, For example, polyvinyl resin, acrylic resin, polyester resin, styrene resin, alkyd resin, amino resin, polyurethane resin, epoxy resin, etc. It may contain a thermosetting or ultraviolet curing resin alone or two or more kinds.
  • condensation reaction may be made between the hydroxyl group expected to remain at the polymer resin terminal of the multilayer thin film or skin layer having improved hydrophilicity and the isocyanate group of the binder resin.
  • the adhesion between the first skin layer and the light diffusion layer may be further improved.
  • Examples of the light diffusion particles included in the light diffusion layer include organic or inorganic particles.
  • Examples of the inorganic particles include silica, zirconia, calcium carbonate, barium sulfate, titanium oxide, and the like, and examples of the organic particles include styrene, melamine formaldehyde, benzoguanamine formaldehyde, benzoguanamine berylamine,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from monomers such as propylene, ethylene, silicone, urethane, methyl (meth) acrylate, and the like, and mono- or polydisperse forms thereof,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no.
  • the content of the light diffusion particles may be 20 to 20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binder resin. If the content of the light diffusing particles is less than 20 parts by weight, the diffusion function is reduced, the luminance is lowered at the vertical viewing angle of 50 ⁇ 60 degrees when the front is 0 degrees. And if it is more than 200 parts by weight,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urbidity of the film is increased and desorption of particles occurs due to external impact, thereby reducing the overall brightness.
  • the light diffusing layer includes light diffusing particles having different particle diameters
  • the light diffusing layer since the light diffusing layer has suitable concealability and brightness enhancement characteristics, the light diffusing layer has a first light diffusing particle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 to 20 ⁇ m and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20 to And at least one of the second light diffusing particles having a thickness of 40 ⁇ m.
  • the light diffusing particles include first light diffusing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 to 20 ⁇ m and a refractive index of n1; And the case where the second light-diffusing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20 to 40 ⁇ m and a refractive index of n2 are introduced.
  • n1 and n2 are different,
  • the light diffusing layer may include the first light diffusing particles and the second light diffusing particles in a content ratio of 10:90 to 90:10. If the light diffusing layer is out of this range, the small particles fill the pores between the large particles. Due to the effect, the overall film has a high turbidity and a low light transmittance, thereby reducing the luminance.
  • the thickness ratio of the light diffusion layer and the multilayer thin film layer may be 0.5 or less, and if the range is not satisfied, a predetermined hiding power may be obtained, but the luminance may be lowered.
  • the anti-blocking layer may prevent quality defects such as moiré by preventing adhesion with other member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brightness enhancing film and minimizing frictional force.
  • the anti-blocking layer may prevent the charging phenomenon.
  • the antiblocking layer may include 0.1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binder resin and 100 parts by weight of the binder resin.
  • the binder resin a resin listed in the binder resin of the light diffusion layer may be used, and the beads may be formed of a material listed in the light diffusion particles of the light diffusion layer.
  • the brightness enhancing film may be prepared by any method such as extrusion stretching, vapor deposition, coating, and the like, and preferably, the first thin film and the second thin film may be manufactured by multilayer extrusion and stretching.
  • extrusion drawing manufacturing process will be described schematically below.
  • a predetermined ratio of dimethylcarboxylic naphthalate (NDC), ethylene glycol (Ethylene glycol, EG), and terephthalic acid (Terephthalic acid, TPA) is added to a polymer polymerization reactor, and the first polymer resin and the second polymer are condensed.
  • a polymer resin is prepared.
  • the first polymer resin and / or the second polymer resin do not undergo solid phase polymerization and do not complete polymerization.
  • a multilayer extruded film in which the first polymer resin and the second polymer resin are alternately laminated by co-extrusion in an extruder having a multilayer feed block is manufactured.
  • the luminance-enhanced film can be produced by continuously stretching and winding the produced multilayered extruded film at a constant temperature, draw ratio, and draw rate as a uniaxial stretching machine.
  • the multilayer thin film obtained from the polymer resin which has not undergone the solid state polymerization has high hydrophilicity.
  • a polycarbonate (Polycarbonate, PC) film having a diffusion function or a polyester film having a diffusion layer may be laminated and passed through the UV curing machine.
  • a polycarbonate (Polycarbonate, PC) film having a diffusion function or a polyester film having a diffusion layer may be laminated and passed through the UV curing machine.
  • the multilayer thin film on which the skin layer is formed may be coextruded, and then a solution containing a binder resin and light-diffusing particles may be prepared by applying the skin layer of the multilayer thin film.
  • the relative luminance ratio measured at an angle of 50 degrees from the normal of the plane of the brightness enhancement film may be at least 180%, preferably at least 200%, more preferably at least 230%.
  • the relative luminance ratio is defined as the ratio of the luminance measured when the luminance enhancement film is used compared to the luminance measured when the luminance enhancement film is not used at a predetermined angle.
  • the relative luminance ratio merely means a luminance change rate depending on whether the luminance-enhanced film is used, and a specific measuring method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Examples.
  • the brightness enhancing film may be applied to a backlight unit of a liquid crystal display.
  • the brightness enhancing film may have a high brightness backlight unit having a brightness increase rate of 1.0 or more.
  • the luminance increase rate is defined as the luminance when using the luminance-enhanced film relative to the luminance when the luminance-enhanced film is not used, and a specific measuring method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Examples.
  • Dimethylcarboxylic naphthalate (NDC) and ethylene glycol (Ethylene glycol, EG) were added to the polymer polymerization reactor to prepare a first polymer resin having 100 mol% of ethylene naphthalate repeating units through condensation polymerization.
  • ethylene glycol (Ethylene glycol, EG) and terephthalic acid (Terephthalic acid, TPA) respectively, through the condensation polymerization as described above, the ethylene naphthalate repeat unit is 40 mol% and ethylene terephthalate repeat unit Was prepared a second polymer resin consisting of 60 mol%.
  • the first polymer resin and the second polymer resin were completely polymerized without undergoing solid phase polymerization.
  • the prepared first polymer resin was dehydrated through a dryer at 100 ° C. for 24 hours, and the second polymer resin was dehydrated through drying at 70 ° C. for 48 hours.
  • the first polymer resin and the second polymer resin each produced a 1,024-layer multilayer extruded film through a 256-fold multilayer feed block at a rate of 30 kg / hr, respectively.
  • the manufactured multi-layered extruded film was uniaxially stretched at 5 times the draw ratio at 130 ° C., and then coated with an acrylic UV curable adhesive on both sides of the stretched multilayer film, and then laminated with Kolon's diffusion film (LD102) and UV at a light amount of 500mj / cm 2.
  • LD102 Kolon's diffusion film
  • Example 1 the amount of dimethylcarboxylic naphthalate (NDC), ethylene glycol (Ethylene glycol, EG) and terephthalic acid (TPA) was varied to form the first and second polymer resin layers.
  • the brightness enhancement film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Table 1, except that the first and second polymer resins having different ethylene naphthalate repeating units and ethylene terephthalate repeating units contained different contents.
  • the first and second polymer resins completed the polymerization without undergoing solid phase polymerization.
  • Dimethylcarboxylic naphthalate (NDC) and ethylene glycol (Ethylene glycol, EG) were added to the polymer polymerization reactor to prepare a first polymer resin having 100 mol% of ethylene naphthalate repeating units through condensation polymerization.
  • terephthalic acid Tephthalic acid, TPA
  • Both the first polymer resin and the second polymer resin undergo solid phase polymerization to complete polymerization.
  • the prepared first polymer resin was dehydrated through a dryer at 100 ° C. for 24 hours, and the second polymer resin was dehydrated through drying at 70 ° C. for 48 hours.
  • the first polymer resin and the second polymer resin each produced a 1,024-layer multilayer extruded film through a 256-fold multilayer feed block at a rate of 30 kg / hr, respectively.
  • the manufactured multi-layered extruded film was uniaxially stretched at 5 times the draw ratio at 130 ° C., and then coated with an acrylic UV curable adhesive on both sides of the stretched multilayer film, and then laminated with Kolon's diffusion film (LD102) and UV at a light amount of 500mj / cm 2.
  • LD102 Kolon's diffusion film
  • the first and the second polymer resin layer in Comparative Example 1 by varying the input amount of dimethylcarboxylic naphthalate (NDC), ethylene glycol (Ethylene glycol, EG) and terephthalic acid (TPA) .
  • the brightness enhancement film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Table 1, except that the first and second polymer resins having different ethylene naphthalate repeating units and ethylene terephthalate repeating units contained different contents.
  • the diffuser film (XC210, Kolon) and prism film (LC217, Kolon) with the 22-inch backlight unit, and stack the brightness-enhancing film that satisfies the above conditions or the conventional brightness-enhancing film.
  • the luminance was measured by measuring the luminance with a luminance meter (BM-7, TOPCON Co., Ltd.) to measure the luminance reduction rate according to each condition.
  • Samples were prepared by weighing the first and second polymer resin chips in the form of pellets with a weight of 4 mg, respectively, and then heating the temperature to 30 to 300 ° C. using a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 Perkin Elmer).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polymer resin was measured, respectively, an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first and second polymer resins was calculated from this value.
  • 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 the first polymer resin and the second polymer resin are separately produced in sheets, and then uniaxially stretched at 130 ° C. and 6 times in a laboratory-scale drawing machine, and then cut into a size of 50 mm ⁇ 50 mm to a prism coupler (SPA-3DR, Sairon Technology).
  • the laser was irradiated with a laser of 632.8 nm, and the refractive index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stretching axis. From this value,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olymer resin sheets was calculated.
  • the luminance-enhanced film obtained by laminating the stretched multilayer film and the diffusion film with a UV curable resin (adhesive layer) was cut into 25 mm X 150 mm, then treated with water boiled at 100 ° C. for 1 hour, and then wiped dry. Check the load value when peeling at 300mm / min at 180 ° by attaching multilayer film to Zig.
  • the luminance-enhanced film coated with the diffusion layer directly on the stretched multi-layer film it is measured by Cross Cut Test, and it is scratched to form about 100 lattices on the surface of the film, and then bonded with an adhesive tape (3M company) and then peeled off. Check the number of gratings remaining on the film surface that do not detach and adhere to the tape.
  • a drop of DI water was dropped and the contact angle was measured using a Drop Shape Analyzer (DSA100). After dropping a drop of DI water, the average was measured by measuring the device more than 10 times, and averaged by measuring 9 points per sample.
  • DSA100 Drop Shape Analyzer
  • Example 1 1.5kg / 25mm 70
  • Example 2 1.3kg / 25mm 71
  • Example 3 1.4kg / 25mm 72
  • Example 4 100/100 70
  • Example 5 100/100 72
  • Example 6 100/100 73
  • Comparative Example 1 0.5kg / 25mm 90 Comparative Example 2 0.45kg / 25mm 93
  • Comparative Example 3 0.45kg / 25mm 93
  • Comparative Example 4 50/100 90 Comparative Example 5 45/100 93 Comparative Example 6 45/100 93
  • this brightness reduction rate characteristic shows that the results associated with the surface contact angle and interlayer adhesion of the multilayer thin film. there was.
  • the hydrophilicity of the multilayer thin film was improved, excellent results were obtained in the adhesion evaluation even when the light diffusion layer crude solution was directly applied or the light diffusion film was laminated, and this result can lower the luminance reduction rate.
  • the copolymers were coextruded at the same rate of 30 kg / hr, respectively, and finally alternately formed into 1,024 layers through a 256 times multilayer feed block, followed by a three-layer feed block of 0.48 dL / g polyethylene naphthalate as a skin layer.
  • the first polymer resin, the second polymer resin, and the skin layer forming resin are all in a state of not undergoing solid phase polymerization.
  • the multi-layered thin film having the prepared skin layer was drawn at a draw ratio of 5 times at 125 ° C., and on one side of the stretched film.
  • a light diffusion layer containing 10 ⁇ m of polymethyl methacrylate in an amount of 135 parts by weigh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urethane acrylate binder resin polymethyl methacrylate so that the turbidity is 5% in order to prevent blocking with the lower optical member 5 ⁇ m of acrylate particles were applied to 1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urethane acrylate binder resin to finally prepare a brightness enhancing film.
  • a brightness enhancing film was manufactured by the series of methods of Example 7 except that polyethylene naphthalate having an intrinsic viscosity of 0.5 dL / g was used as the first polymer resin (skin layer resin was also the same).
  • the light diffusion particle ratio for forming the light diffusion layer is a series of the same procedure as in Example 7, except that the light diffusion particle ratio is formed by changing 100 parts by weight, 150 parts by weight, and 200 parts by weight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urethane acrylate binder resin. Through the process to finally produce a brightness enhancement film.
  • Urethane acrylate binder is a light diffusing particle for forming a light diffusing layer comprising a first light diffusing particle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 to 20 ⁇ m, a refractive index of 1.45 and a second light diffusing particle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20 to 40 ⁇ m and a refractive index of 1.50
  • a brightness enhancement film was finally manufactured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as in Example 7, except that 100 parts by weight of the resin were included to include 100 parts by weight.
  • Extensive brightness was increased by the method of Example 7 except that a multilayer thin film and a skin layer were formed by using polyethylene naphthalate having an intrinsic viscosity of 0.6 dL / g (which was subjected to solid-state polymerization) as the first polymer resin.
  • a film was prepared.
  • the light diffusion particle ratio for forming the light diffusion layer was finally changed through a series of steps as in Example 7, except that the light diffusion particle ratio was changed to 20 parts by weight and 250 parts by weight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urethane acrylate binder resin, as shown in Table 1.
  • a brightness enhancing film was prepared.
  • Ethylene naphthalate-ethylene terephthalate comprising polyethylene naphthalate having an intrinsic viscosity of 0.6 dL / g as the first polymer resin and 40 mol% of ethylene naphthalate as the second polymer resin (having an intrinsic viscosity of 0.6 dL / g).
  • the copolymers were coextruded at the same rate of 30 kg / hr, respectively, and finally formed into alternating 1,024 layers through 256 times multilayer feed blocks, and finally 1,024 through 256 times multilayer feed blocks at 30 g / hr respectively.
  • a multilayer extruded film of layers was prepared.
  • the multi-layered extruded film was uniaxially stretched at a ratio of 5 times the draw ratio at 130 ° C., an acrylic UV-curable adhesive was applied to both sides of the stretched multilayer film, and then the Kolon diffusion film (LD102) was laminated and the light amount of 500mj / cm 2. UV was irradiated to prepare a brightness enhancement film.
  • the brightness increase rate and the relative brightness ratio of the brightness enhancing films prepar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re shown in Table 4, and the brightness reduction rate is shown in Table 5.
  • Luminance increase rate (luminance when using luminance-enhanced film) / (luminance when not using luminance-enhanced film)
  • the diffuser film (XC210, Kolon) and prism film (LC217, Kolon) with the 22-inch backlight unit, and place a 22-inch LCD panel on top of each other when the luminance-enhanced film is laminated or not.
  • the relative luminance ratio was converted using a luminance meter (BM-7, TOPCON, Japan) using a luminance value measured at an angle of 50 degrees from the normal of the plane of the luminance-enhanced film.
  • the luminance-enhanced film obtained by laminating the stretched multilayer film and the diffusion film with a UV curable resin (adhesive layer) was cut into 25 mm X 150 mm, then treated with water boiled at 100 ° C. for 1 hour, and then wiped dry. Check the load value when peeling at 300mm / min at 180 ° by attaching multilayer film to Zig.
  • the measurement is performed by the Cross Cut Test. After the scratches are formed to form about 100 lattice on the surface of the film, they are adhered with an adhesive tape (3M company) Check the number of gratings remaining on the film surface without being detached and attached to the adhesive tape.
  • a drop of DI water was dropped and the contact angle was measured using a Drop Shape Analyzer (DSA100). After dropping a drop of DI water, the average was measured by measuring the device 10 times or more, and the average was calculated by measuring 9 points per sample.
  • DSA100 Drop Shape Analyzer
  • the diffuser film (XC210, Kolon) and prism film (LC217, Kolon) with the 22-inch backlight unit, and stack the brightness-enhancing film that satisfies the above conditions or the conventional brightness-enhancing film.
  • the luminance was measured by measuring the luminance with a luminance meter (BM-7, TOPCON Co., Ltd.) to measure the luminance reduction rate according to each condition.
  • Example 7 0.48 135 parts by weight 1.32 230 100/100 71
  • Example 8 0.50 135 parts by weight 1.25 230 100/100 75
  • Example 9 0.48 100 parts by weight 1.33 200 100/100 71
  • Example 10 0.48 150 parts by weight 1.21 232 100/100 71
  • Example 11 0.48 200 parts by weight 1.19 240 100/100 71
  • Example 12 0.48 200 parts by weight 1.34 240 100/100 71
  • Reference Example 2 0.48 20 parts by weight 0.98 120 100/100 71 Reference Example 3 0.48 250 parts by weight 0.88 140 100/100 71 Comparative Example 7 0.60 - 1.20 230 0.2kg / 25mm 90
  • the luminance-enhanced film prepared in Examples 7 to 12 has a high brightness increase rate by securing adhesion between the light diffusion layer and the film generated during diffusion treatment on the multilayer thin film due to the skin layer. It can be seen that the luminance characteristics are uniform without decreasing the relative luminance ratio at the specific viewing angle.
  • the solid phase polymerization is used as the polymer resin of the multilayer thin film to the skin layer formation, or the relative luminance ratio or the luminance increase rate is affected by the particle ratio of the light diffusion layer.
  • the polymer resin of the skin layer does not undergo solid phase polymerization and shows excellent results in adhesion evalu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휘도 증강 필름에 관한 것으로, 다층 박막을 포함하며, 외부 환경, 예를 들어, 온도의 변화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휘도 증강 필름 및 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휘도 증강 필름 및 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휘도 증강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는 액정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평판 표시장치의 하나로서, 다른 평판 표시장치에 비해 얇고 가벼우며, 낮은 구동전압 및 낮은 소비전력을 갖는 장점이 있어, 산업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는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 기판, 상기 TFT 기판에 대향하는 컬러 필터(Color Filter) 기판 및 상기 양 기판 사이에 개재되어 광의 투과율을 변경시키는 액정층으로 이루어진 액정패널을 포함한다. 또한, 액정 디스플레이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액정패널이 자체적으로 발광하지 못하는 비발광성 소자이기 때문에, 액정패널에 광을 공급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을 필요로 한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출력광의 휘도 향상 및 출력광의 시야각 향상 등의 장점을 확보하기 위하여, 도광판 또는 확산판 상에 적층된 적어도 1종의 광학 필름류를 포함한다.
상기 광학 필름류는 크게 휘도를 증강시킬 수 있는 필름과 광을 확산시킬 수 필름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최근에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박형화 추세에 부응하여 이러한 특성들이 복합화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복합화의 일환으로 휘도를 증강시킬 수 있는 필름, 일예로 반사편광필름과 광을 확산시킬 수 있는 필름, 일예로 광확산필름을 합지하고자 하였다(국내특허공개 10-2006-055341 기재 참조).
그러나 단순히 각기 다른 기능을 하는 필름을 합지하여 복합화하는 것만으로는 장시간 사용에 따른 휘도 저하를 방지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외부 환경 변화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휘도 증강 필름 및 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한다.
이에 제1 구현예로서, 다층 박막을 포함하는 휘도 증강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휘도 증강 필름은 휘도를 향상시키면서도, 이와 더불어 외부 환경 변화, 예를 들어, 온도 및/또는 습도 등의 변화에 대해 높은 신뢰성을 가지며, 액정 디스플레이 등에 채용시에 액정 디스플레이의 외부 환경에 대한 신뢰성, 색재현율, 수명 특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구현예는 제1 박막 및 상기 제1 박막에 인접 배치된 제2 박막을 포함하는 다층 박막을 포함하는 휘도 증강 필름으로서, 하기 제1 환경 조건을 만족한 이후에 측정된 휘도감소율, 및 하기 제2 환경 조건을 만족한 이후에 측정된 휘도감소율이 각각 10% 이하인 휘도 증강 필름을 제공한다. 여기서, 제1 환경 조건은 50℃로 유지되는 챔버 내에 휘도 증강 필름이 1000시간 동안 배치되는 조건을 말하며, 제2 환경 조건은 -20℃로 유지되는 챔버 내에 휘도 증강 필름이 1000시간 동안 배치되는 조건을 말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휘도 증강 필름은, 상기 필름 면내에 서로 직교하는 제1 축 및 제2 축을 포함하고, 상기 휘도 증강 필름으로 입사하는 광 중에서 상기 제1 축을 따라 편광된 광을 반사시키고, 상기 휘도 증강 필름으로 입사하는 광 중에서 상기 제2 축을 따라 편광된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제2 구현예로서, 상기 휘도 증강 필름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휘도 증강 필름의 단면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면 부호의 상세한 설명>
(1): 광확산필름
(2): 접착층
(3): 다층 박막
(4): 접착층
(5): 광확산필름
휘도 증강 필름은 자체 발광원을 갖지 않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외부 광원으로서 설치되는 백라이트 유닛의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의 형태, 용도 등의 다양화로 인하여 액정 디스플레이에서 요구되는 휘도 증강 필름의 특성은 더욱 향상될 필요가 있으며, 일 예로, 액정 디스플레이의 외부 환경 변화에 대한 신뢰성 확보를 위하여, 휘도 증강 필름은 외부 환경 변화가 발생하여도 휘도 특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휘도감소율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다층 박막을 포함하는 휘도 증강 필름은, 하기 제1 환경 조건을 만족한 이후에 측정된 휘도감소율, 및 하기 제2 환경 조건을 만족한 이후에 측정된 휘도감소율이 각각 10% 이하이다. 여기서, 제1 환경 조건은 50℃로 유지되는 챔버 내에 휘도 증강 필름이 1000시간 동안 배치되는 것을 말하고, 제2 환경 조건은 -20℃로 유지되는 챔버 내에 휘도 증강 필름이 1000시간 동안 배치되는 것을 말한다. 상기 각 환경 조건에서의 휘도감소율은 통상적인 환경 조건, 구체적으로, 25℃ 및 50%RH에서 측정한 휘도에 대한 상기 각 환경 조건에서 측정된 휘도의 비율로 정의되며, 이하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상기 휘도감소율은, 단지 상기 휘도 증강 필름에 기인한 휘도 변화율을 의미하며, 구체적인 측정 방법은 실시예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1 환경 조건을 만족한 이후에 측정된 휘도감소율, 및 상기 제2 환경 조건을 만족한 이후에 측정된 휘도감소율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각각 8%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각각 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비율이 작아질수록 상기 휘도 증강 필름이 채용된 백라이트 유닛은 온도와 같은 외부 환경 변화에 대해 우수한 신뢰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휘도 증강 필름은, 상기 제1 및 제2 환경 조건 보다 더 극한 조건인 하기 제3 환경 조건을 만족한 이후에 측정된 휘도감소율, 및 하기 제4 환경 조건을 만족한 이후에 측정된 휘도감소율이 각각 10% 이하일 수 있다. 여기서, 제3 환경 조건은 60℃ 및 95%RH로 유지되는 챔버 내에 휘도 증강 필름이 1000시간 동안 배치되는 것을 말하며, 제4 환경 조건은 70℃/60분 ~ -20℃/60분이 100번 반복되는 챔버 내에 휘도 증강 필름이 상기 100번 반복이 끝날때까지 배치되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휘도감소율을 만족하는 휘도 증강 필름은 더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휘도증강필름은 제1 박막 및 제2 박막을 다수로 포함하는 다층 박막을 포함하는 휘도 증강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휘도 증강 필름은 상기 다층 박막의 적어도 일면 상에 광확산층을 포함하며, 여기서 광확산층은 통상의 광확산 조액으로부터 형성된 도포층의 형태일 수도 있고 기재필름 상에 광확산필름을 포함하는 형태, 즉 광확산필름의 형태인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광확산필름은 확산기능을 가지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필름 또는 확산층을 가지는 필름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연신 다층 필름의 일면에 확산층을 가지는 필름을 부착하고, 다른 일면에는 상대적으로 탁도가 낮은 안티블록킹층을 가지는 필름을 합지할 수 있다. 이는 하부에 위치하는 광학부재와의 슬립성을 부여하기 위함이며 안티블록킹층의 탁도는 1~30%가 바람직하다. 탁도가 30% 이상일 경우는 하부의 광학부재를 통과한 빛이 휘도증강 필름으로 입사될 때 빛의 투과 보다는 표면에서의 빛의 산란이 많이 발생하여서 휘도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탁도를 조절하여 안티블록킹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 다층 박막 상에 광확산층을 직접적으로 도포하는 경우라면 광확산층 조액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도포 및 건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에도 연신 다층 필름의 일면에 광확산층을 형성하고, 다른 일면에는 하부에 위치하는 광학부재와의 슬립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탁도 1~30% 수준의 안티블록킹층을 형성할 수 있다.
만일 광확산층이 광확산필름의 형태인 경우라면 다층 박막과 광확산필름의 합지를 위해 다층 박막 상에 접착층을 도포하고, 광확산필름을 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착층은 UV 경화형 접착제일 수 있다.
도 1에는 다층 박막(3)의 양측에 접착층(2, 4), 접착층 상에 광확산필름(1, 5)을 포함하는 휘도 증강 필름을 도시하나, 본 발명의 휘도 증강 필름의 구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광확산필름을 다층 박막과 합지하여 얻어지는 휘도증강필름은 온도 조건 및 사용시간 등에 따라서 휘도가 저하되는 일이 종종 있어 왔는데, 이는 다층 박막과 광확산필름과의 합지면의 층분리가 하나의 원인일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현상은 다층 박막 상에 광확산층 조액을 도포하여 광확산층을 형성한 경우에서도 마찬가지로 일어날 수 있다.
이를 해결하여 궁극적으로 상술한 휘도감소율 조건을 만족할 수 있는 일 수단으로 다층 박막의 표면 친수도를 향상시키는 경우, 광확산층 조액을 직접적으로 도포하거나, 접착제를 이용한 광확산필름의 합지로도 충분한 층간 밀착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로써 상술한 휘도감소율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다층 박막의 표면 접촉각은 50 내지 85°, 바람직하기로는 70 내지 85°이다.
다층 박막의 표면 친수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으로는 표면특성을 물리, 화학적으로 변화시키는 처리를 통해 가능할 수도 있으나 물리적인 처리의 경우는 압출과 동시에 친수도를 부여할 수 있으나 시간에 따른 표면 성질의 경시변화와 만족할 만한 친수도를 얻어 내기 힘든 경우가 있다. 화학적으로 개질시키는 경우로서는 압출공정 후에 프라이머를 코팅하는 방식이 있으나 다층 박막내에 형성되어 있는 수지들의 굴절율과의 매칭이 어려워서 휘도저하를 일으킬 수 있는 점에서 불리할 수 있는바, 본 발명에서는 제1 박막 및/또는 제2 박막을 이루는 수지로서 고상중합을 진행하지 않은 수지를 이용하여 다층 박막을 제조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고상중합을 진행하지 않은 고분자 수지로 다층 박막을 형성하는 경우, 다층 박막의 표면의 친수도를 높일 수 있는데, 이는 고분자 수지의 말단에 수산기가 잔존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층 박막의 친수도를 높이면 다층 박막과 접착층, 접착층-광확산필름간의 밀착력 내지는 다층 박막-광확산층 간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휘도증강필름의 상술한 휘도감소율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의한 휘도증강필름은 제1 박막과 제2 박막을 포함하는 다층 박막, 상기 다층 박막의 일면에 형성된 제1 스킨층(skin layer), 및 상기 제1 스킨층 상에 형성된 광확산층을 포함하는 휘도증강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휘도증강필름은 상기 다층 박막의 타면에 형성된 제2 스킨층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제2 스킨층 상에 형성된 블로킹 방지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스킨층은 형성 위치를 제외하고는 상기 제1 스킨층의 범주와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휘도증강필름은 휘도를 상승시키면서도 광을 확산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킨층 상에 상기 광확산층을 직접적으로 형성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휘도증강필름에 광확산 기능을 부여하는 다른 방식, 예를 들어, 다층 박막을 구비하는 부재 및 통상의 광확산 필름을 합지하여 제조하는 방식에 대비하여 라미네이션 공정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제조 공정의 단순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휘도증강필름의 각 층간 밀착성을 확보할 수 있어서, 궁극적으로 장시간 사용 및 경시변화에 따른 상술한 휘도감소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스킨층은 상기 다층 박막으로 유입되는 불량 유발 인자를 차단함으로써, 상기 휘도증강필름의 내구성, 열안정성, 내화학성 등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스킨층은 상기 제1 스킨층 상에 형성되는 광확산층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광확산층에 포함된 바인더 수지 및/또는 광확산 입자와의 접착력이 우수한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제1 스킨층의 상기 고분자 수지는 고유 점도가 0.5 dL/g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분자 수지는 고상중합을 진행하지 않은 수지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제1 스킨층의 고분자 수지는 상기 제1 박막의 고분자 수지 및 상기 제2 박막의 고분자 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압출 공정을 통해 상기 제1 스킨층을 상기 다층 박막과 동시에 또는 연이어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고상중합을 진행하지 않은 고분자 수지로 스킨층을 형성하는 경우, 스킨층의 친수도를 높일 수 있는데, 이는 고분자 수지의 말단에 수산기가 잔존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킨층의 친수도를 높이면 스킨층과 다층 박막간, 스킨층과 광확산층간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스킨층의 친수도를 높인다는 정도는, 스킨층 표면의 접촉각이 50 내지 85°, 바람직하기로는 70 내지 85°인 정도이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스킨층의 고분자 수지는 고유 점도가 0.5 dL/g 이하일 수 있으며, 이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연신비에 제약이 있고 저온에서의 고연신율의 다층 박막을 얻기가 어려워 질 수 있다.
상기 제1 스킨층은 그 두께가 다층 박막의 두께에 대비하여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으며, 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휘도증강필름을 박형화하는데 한계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용도적 다양성을 고려할 때 스킨층 두께를 두껍게 하여 휘도증강필름이 적정한 두께를 만족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스킨층의 두께가 두꺼워지면 외부환경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는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일 구현예들에 있어서 다층 박막은 상기 제1 박막 및 상기 제2 박막이 하나의 반복 단위를 구성하여 상기 반복 단위가 적층된 형태, 즉, 교호 다층 박막의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상기 반복 단위 내 임의의 위치에 상기 제1 박막 및 상기 제2 박막과 다른 적어도 하나의 박막이 개재되어 상기 반복 단위를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1 박막 및 상기 제2 박막로 이루어진 반복 단위, 및 상기 반복 단위와 다른 적층 형태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반복 단위가 규칙성 또는 불규칙성으로 적층될 수 있다.
제1 박막은 광학적 비등방성인 박막일 수 있으며, 제2 박막은 광학적 등방성인 박막일 수 있다. 상기 및 이하의 기재에서 광학적 등방성이라 함은 박막의 평면 내에 있는 모든 축과 연관된 굴절율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의미하고, 광학적 비등방성이라 함은 박막의 평면 내에 있는 축에 따라 연관된 굴절율이 실질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광학적 비등방성인 제1 박막을 형성할 수 있는 고분자의 일예로는, 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반복단위 함량이 80 몰% 이상인 수지, 또는 85 몰% 이상인 수지, 또는 90 몰% 이상인 수지, 또는 95 몰% 이상인 수지, 또는 98 몰% 이상인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박막은 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반복단위 함량이 100몰%인 수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수지들을 적어도 2종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박막은 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반복단위의 함량이 80몰% 이상 100몰% 이고,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반복단위의 함량이 20몰% 이하 0 몰%인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박막은 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반복단위가 90몰% 이상 100 몰% 이하,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반복단위가 10몰% 이하 0몰% 이상인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박막의 수지는 디메틸카르복실 나프탈레이트(Dimethylcarboxylic Naphthalate, NDC) 및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EG); 또는 디메틸카르복실 나프탈레이트(Dimethylcarboxylic Naphthalate, NDC),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EG) 및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TPA)의 축합중합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광학적 등방성인 제2 박막은 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반복단위의 함량이 10몰% 이상 60몰% 이하인 수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반복단위의 함량이 10몰% 이상 60몰% 이하이고,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반복단위의 함량이 40몰% 이상 90몰% 이하인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반복단위의 함량이 40몰% 이상 60몰% 이하이고,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반복단위의 함량이 40몰% 이상 60몰% 이하인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박막의 수지는 디메틸카르복실 나프탈레이트(Dimethylcarboxylic Naphthalate, NDC),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EG) 및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TPA)의 축합중합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1 박막 및 제2 박막 중에서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박막 및 상기 제2 박막 모두는 고유점도가 0.5 dL/g 이하인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수지의 고유점도가 상기 값을 초과하면, 연신 공정시 고분자 유체의 유동학적 결함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연신비에 제약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저온에서 고연신율을 갖는 다층 박막을 제조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제1 박막 및 제2 박막을 이루는 고분자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고상중합을 진행하지 않은 수지일 수 있다.
상기 제1 박막 및 상기 제2 박막이 각각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고분자 수지의 유리전이온도 및 상기 제2 고분자 수지의 유리전이온도의 차이가 3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유리전이온도의 차이가 30℃ 를 초과할 경우, 공압출하는 수지의 용융점도차이가 커서 각층의 두께를 균일하게 조절하기 힘들고 층을 형성하기가 어려워진다.
상술한 본 발명의 휘도 증강 필름은, 상기 제1 및 제2 박막으로 인해, 상기 필름 면내에 서로 직교하는 제1 축 및 제2 축을 포함하고, 상기 휘도 증강 필름으로 입사하는 광 중에서 상기 제1 축을 따라 편광된 광을 반사시키고, 상기 휘도 증강 필름으로 입사하는 광 중에서 상기 제2 축을 따라 편광된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상기 광은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 등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휘도 증강 필름을 디스플레이에 채용할 경우, 상기 광은 가시광선일 수 있다.
상기 휘도 증강 필름이 특정 파장대의 광에 대해 선택적 투과성 및 반사성을 갖기 위해, 상기 제1 박막 및 상기 제2 박막은 각각 굴절률 및 두께의 곱으로 정의되는 광학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광학 두께는 일정하거나 가변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및 제2 박막은 각각 0.01~1.50㎛, 바람직하게는 0.02~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0.90㎛의 광학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축에 따른 상기 제1 박막 및 상기 제2 박막간의 굴절율 차이가 적어도 0.05일 수 있다. 상기 제2 축에 따른 상기 제1 박막 및 상기 제2 박막간의 굴절율 차이가 0.03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휘도 증강 필름은, 상기 필름 면에 수직하는 법선 방향의 축, 즉, 제3 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축에 따른 상기 제1 박막 및 상기 제2 박막간의 굴절율 차이가 0.03 이하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축에 따른 상기 제1 박막 및 상기 제2 박막간의 굴절율 차이가 적어도 0.05 보다 작으면, 제1 박막 및 제2 박막의 계면에서 반사되는 광이 적어져 휘도 상승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상기 제2 축에 따른 상기 제1 박막 및 상기 제2 박막간의 굴절율 차이가 0.03 을 초과하거나, 상기 제3 축에 따른 상기 제1 박막 및 상기 제2 박막간의 굴절율 차이가 0.03 초과할 경우, 인접하는 면에서 반사되는 광이 많아져서 휘도 상승을 억제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축에 따른 굴절률 차이는 연신에 의해 복굴절성이 유발되는 물질, 및 복굴절성이 유발되지 않거나 미미한 물질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신축이 상기 제1 축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박막 및 상기 제1 박막 상에 인접 배치된 제2 박막을 포함하는 휘도 증강 필름에 있어서, 제1 박막의 성분, 제1 박막과 제2 박막 사이의 굴절율 차이, 유리전이온도 차이 등을 세부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외부 환경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술한 일 구현예들에 있어서, 광확산층은 바인더 수지 및 광확산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수지는 광확산층과 인접하는 다른 층들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되면 되므로,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술한 것과 같이 다층박막 내지는 스킨층의 친수도를 향상시켰기 때문에 밀착력에 있어서 바인더 수지의 종류가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폴리비닐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알키드계 수지, 아미노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등의 열경화형 또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등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수지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바인더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추정컨대 친수도를 향상시킨 다층박막이나 스킨층의 고분자 수지 말단에 잔존할 것으로 예상되는 수산기와 바인더 수지의 이소시아네이트기 간에 축합반응이 이루어질 수도 있어서 상기 제1 스킨층 및 상기 광확산층의 밀착력이 보다 더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광확산층에 포함된 광확산 입자로는 유기계 또는 무기계 입자를 들 수 있다. 무기계 입자의 일예로는 실리카, 지르코니아, 탄산칼슘, 황산바륨, 산화티타늄 등을 들 수 있고, 유기계 입자의 일예로는 스티렌, 멜라민 포름알데하이드, 벤조구아나민 포름알데하이드, 벤조구아나민 벨라민 포름알데하이드, 프로필렌, 에틸렌, 실리콘, 우레탄,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모노머로부터 얻어지는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단분산 또는 다분산 형태의 것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광확산 입자의 함량은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200 중량부일 수 있다. 광확산 입자의 함량이 20 중량부 미만이면 확산기능이 떨어져서 정면을 0도로 기준하였을 때 상하 시야각 50~60도에서의 휘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200 중량부 초과이면 필름의 탁도가 증가되고 외부 충격에 의한 입자의 탈리가 발생하여 전체적인 휘도가 저감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한편, 광확산층이 서로 다른 입경을 갖는 광확산 입자를 포함하면, 적합한 은폐성 및 휘도향상 특성이 있으므로, 상기 광확산층은 평균입경이 1~20㎛인 제1 광확산 입자 및 평균입경이 20~40㎛인 제 2 광확산 입자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경과 더불어 굴절률이 서로 다른 광확산 입자를 포함하면, 은폐성 및 휘도향상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광확산 입자로 평균입경이 1~20㎛이고, 굴절율이 n1인 제 1 광확산 입자; 및 평균입경이 20~40㎛이고, 굴절율이 n2인 제 2 광확산 입자를 도입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상기 n1 및 n2가 다를 경우, |n1-n2| > 0.02 만족할 수 있으며, 상기 굴절률 차이의 범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확산기능이 다소 저감되고, 은폐성이 감소하여 다층압출에서의 모아레의 은폐가 되지 않아서 상대적으로 불량을 야기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확산층은 제 1 광확산 입자와 제 2 광확산 입자를 10:90 ~ 90:10 의 함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큰 입자사이의 공극을 작은 입자들이 메우는 효과로 인하여 전체적인 필름의 탁도가 높아지고 광투과도가 낮아져서 휘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광확산층과 다층 박막 층의 두께비는 0.5이하일 수 있으며, 이 범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소정의 은폐력을 얻을 수 있으나 휘도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안티블록킹층은 상기 휘도증강필름의 일면에 배치되는 다른 부재와의 밀착을 방지하고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모아레 등의 품질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안티블록킹층은 대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안티블록킹층은 바인더 수지 및 상기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 대비 0.1 내지 100 중량부의 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수지로는 상기 광확산층의 바인더 수지에서 열거된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비드는 상기 광확산층의 광확산 입자에서 열거된 재질로 이루어진 비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휘도 증강 필름은 압출 연신, 증착, 도포 등 임의의 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1 박막과 제2 박막을 다층 압출하고 연신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압출 연신 제조 공정을 예를 들어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분자 중합반응기에 일정한 비율의 디메틸카르복실 나프탈레이트(Dimethylcarboxylic Naphthalate, NDC),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EG) 및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TPA)를 넣고 축합중합을 통해서 제 1 고분자 수지와 제 2 고분자 수지를 제조한다. 바람직하기로 제 1 고분자 수지 및/또는 제 2 고분자 수지는 고상중합을 진행하지 않고 중합을 완료하지 않은 것이다. 제조된 고분자 수지를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한 후 다층 피드블럭이 설치된 압출기에 공압출을 통해서 제 1 고분자 수지와 제 2 고분자 수지가 교호로 적층된 다층 압출 필름을 제조한다. 제조된 다층 압출 필름을 1축 연신기로서 일정한 온도, 연신비, 연신속도로 연속적으로 연신하여 권취함으로써 휘도 증강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상중합을 진행하지 않은 고분자 수지로부터 얻어진 다층 박막은 표면 특성이 친수도가 높아진다. 이후, 필요에 따라 연신 다층 필름의 양면에 UV 경화형 접착제를 도포한 후 확산 기능이 있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필름이나 확산층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합지하고 이를 UV 경화기에 통과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합지의 방법을 통해서도 온도변화 및 장시간 사용에 따른 휘도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스킨층을 포함하는 경우라면, 스킨층이 형성된 다층 박막을 공압출한 다음, 바인더 수지와 광확산 입자를 포함하는 용액을 다층 박막의 스킨층에 도포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휘도증강필름의 면의 법선으로부터 50도의 각도에서 측정한 상대 휘도 비율이 적어도 18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0%,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30% 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대 휘도 비율은, 일정 각도에서, 상기 휘도증강필름을 사용하지 않았을 때 측정한 휘도 대비하여 상기 휘도증강필름을 사용하였을 때 측정한 휘도의 비율로 정의된다. 상기 상대 휘도 비율은, 단지 상기 휘도증강필름의 사용 유무에 따른 휘도 변화율을 의미하며, 구체적인 측정 방법은 실시예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휘도증강필름은 액정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유닛에 적용될 수 있는데, 상기 휘도증강필름 적용시 휘도증가율이 1.0 이상인 고휘도의 백라이트 유닛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휘도증가율은 휘도증강필름 미사용시 휘도에 대한 휘도증강필름 사용시 휘도로 정의되며, 구체적인 측정 방법은 실시예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고분자 중합반응기에 디메틸카르복실 나프탈레이트(Dimethylcarboxylic Naphthalate, NDC)와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EG)을 넣고 축합중합을 통하여 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반복단위가 100몰%인 제 1 고분자 수지를 제조하였고 디메틸카르복실 나프탈레이트(Dimethylcarboxylic Naphthalate, NDC),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EG),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TPA)을 각각 넣어서 상기와 같이 축합중합을 통해서 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반복단위가 40몰% 이고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반복단위가 60몰%로 이루어진 제 2 고분자 수지를 제조하였다. 제 1 고분자 수지 및 제 2 고분자 수지는 공히 고상중합을 진행하지 않은 상태로 중합을 완료하였다. 제조된 제 1 고분자 수지는 100℃ 24시간 건조기를 통하여 수분을 제거하였고 제 2 고분자 수지는 70℃, 48시간 건조를 통하여 수분을 제거하였다. 제 1 고분자 수지와 제 2 고분자 수지는 각각 30 kg/hr의 속도로 256배 다층 피드블럭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1,024층의 다층 압출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다층 압출 필름은 130℃에서 5배 연신비로 1축 연신하고 연신된 다층 필름의 양면에 아크릴계의 UV 경화형 접착제를 도포한 후 코오롱사의 확산필름(LD102)을 합지하고 500mj/㎠의 광량으로 UV를 조사하여 휘도 증강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3>
상기 실시예 1에서 제 1 및 제2 고분자 수지층을 형성하기 위해 디메틸카르복실 나프탈레이트(Dimethylcarboxylic Naphthalate, NDC),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EG) 및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TPA)의 투입량을 변량하여, 표 1과 같이 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반복단위와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반복단위의 함량이 다른 제 1 및 제 2 고분자 수지를 적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같은 방법으로 휘도 증강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제 1 및 제 2 고분자 수지는 고상중합을 진행하지 않은 상태로 중합을 완료하였다.
<실시예 4~6>
상기 실시예 1~3에서 사용한 제 1 및 제 2고분자를 각각 사용하고 제조된 다층압출 필름을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연신후 필름위에 10㎛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바인더 100 중량부 대비 135 중량부로 포함하는 확산층을 형성하고, 그 배면에는 하부 광학부재와의 블로킹을 방지하기 위해서 탁도가 5%가 되도록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입자 5㎛을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바인더 100 중량부 대비 15 중량부로 포함하는 안티블록킹층을 형성하여 최종적으로 휘도 증강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고분자 중합반응기에 디메틸카르복실 나프탈레이트(Dimethylcarboxylic Naphthalate, NDC)와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EG)을 넣고 축합중합을 통하여 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반복단위가 100몰%인 제 1 고분자 수지를 제조하였고 디메틸카르복실 나프탈레이트(Dimethylcarboxylic Naphthalate, NDC),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EG),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TPA)을 각각 넣어서 상기와 같이 축합중합을 통해서 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반복단위가 40몰%이고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반복단위가 60몰%로 이루어진 제 2 고분자 수지를 제조하였다. 제 1 고분자 수지 및 제 2 고분자 수지는 공히 고상중합을 진행하고 중합을 완료하였다. 제조된 제 1 고분자 수지는 100℃ 24시간 건조기를 통하여 수분을 제거하였고 제 2 고분자 수지는 70℃, 48시간 건조를 통하여 수분을 제거하였다. 제 1 고분자 수지와 제 2 고분자 수지는 각각 30 kg/hr의 속도로 256배 다층 피드블럭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1,024층의 다층 압출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다층 압출 필름은 130℃에서 5배 연신비로 1축 연신하고 연신된 다층 필름의 양면에 아크릴계의 UV 경화형 접착제를 도포한 후 코오롱사의 확산필름(LD102)을 합지하고 500mj/㎠의 광량으로 UV를 조사하여 휘도 증강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3>
상기 비교예 1에서 제 1 및 제2 고분자 수지층을 형성하기 위해 디메틸카르복실 나프탈레이트(Dimethylcarboxylic Naphthalate, NDC),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EG) 및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TPA)의 투입량을 변량하여, 표 1과 같이 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반복단위와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반복단위의 함량이 다른 제 1 및 제 2 고분자 수지를 적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같은 방법으로 휘도 증강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제 1 및 제 2 고분자 수지는 공히 고상중합을 진행하고 중합을 완료하였다.
<비교예 4~6>
상기 비교예 1 ~ 3에서 사용한 제 1 및 제2 고분자를 각각 이용하여 다층 압출 필름을 제막하고 비교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연신을 진행한 후 실시예 4~6과 같은 확산층을 연신된 필름위에 직접 도포하여 휘도 증강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휘도 증강 필름에 대하여 하기와 같이 각각의 환경 변화에 따른 휘도 감소율을 측정하였다.
(1) 휘도감소율
22인치 백라이트 유닛에 광학필름으로 확산필름(XC210, 코오롱사), 프리즘 필름(LC217, 코오롱)을 조합하고, 그 위에 각 조건에 부합하는 휘도 증강 필름을 적층하거나 또는 통상적인 휘도 증강 필름을 적층할 때에, 22인치 LCD 패널을 얹고 12V의 전원을 인가한 후, 휘도계(BM-7, 일본 TOPCON사)로 휘도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휘도를 측정하여 각 조건에 따른 휘도감소율을 측정하였다.
(2) 유리전이온도
Pellet형태의 제1 및 제2 고분자 수지칩을 각각 4 mg의 무게로 정량하여 시료를 제작한 다음 시차주사열량계(DSC, Perkin Elmer사)로 온도를 30 ~ 300 ℃로 승온하면서 제1 및 제2 고분자 수지의 유리전이온도를 각각 측정하였으며, 이 값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고분자 수지의 유리전이온도 차이를 계산하였다.
(3) 굴절율
제 1 고분자 수지와 제 2 고분자 수지를 별도로 각각 시트로 제작한 다음 실험실 규모의 연신기에서 130℃, 6배로 1축 연신한 다음 50mmX50mm의 크기로 잘라서 프리즘 커플러(SPA-3DR, Sairon Technology사)에 장착하고 632.8nm의 레이저를 조사하여 연신축에 따른 굴절율 측정하였으며, 이 값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고분자 수지 시트간의 굴절율 차이를 계산하였다.
(4) 밀착성 평가
연신된 다층 필름과 확산필름을 UV 경화 수지(접착층)로 합지하여 얻어진 휘도증강 필름의 경우는 휘도증강 필름을 25mmX150mm로 자른 후 100℃로 끓인 물에 1시간 중탕처리 한 후 물기를 닦고 확산필름과 다층필름을 각각 Zig에 장착하여 180° 로 300mm/min의 속도로 peeling 하였을 때 걸리는 Load값을 확인한다.
그리고 연신된 다층 필름위에 직접 확산층을 도포한 휘도 증강 필름의 경우 Cross Cut Test로서 측정을 하는데 필름 표면에 100여개의 격자가 생기도록 흠집을 낸 후 접착 테이프(3M사)로서 접착한 후 떼어내어 접착 테이프에 부착되어 탈리되지 않고 필름 표면에 남아 있는 격자의 개수를 확인한다.
(5) 다층 박막 표면 접촉각
50mm X 50mm 크기의 샘플을 Plate에 고정한 후 DI Water 한 방울 떨어 뜨려 Drop Shape Analyzer(DSA100) 장비를 이용하여 접촉각을 측정하였다. DI water 한 방울을 떨어뜨린 후 10회 이상 장비에서 측정하여 평균을 구하였으며, 한 샘플당 9Point 측정하여 평균을 구하였다.
표 1
제1 박막 제2 박막
에틸렌나프탈레이트 함량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함량 에틸렌나프탈레이트 함량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함량
실시예1 100몰% 0몰% 40몰% 60몰%
실시예2 90몰% 10몰% 60몰% 40몰%
실시예3 80몰% 20몰% 50몰% 50몰%
실시예4 100몰% 0몰% 40몰% 60몰%
실시예5 90몰% 10몰% 60몰% 40몰%
실시예6 80몰% 20몰% 50몰% 50몰%
비교예1 100몰% 0몰% 40몰% 60몰%
비교예2 90몰% 10몰% 60몰% 40몰%
비교예3 80몰% 20몰% 50몰% 50몰%
비교예4 100몰% 0몰% 40몰% 60몰%
비교예5 90몰% 10몰% 60몰% 40몰%
비교예6 80몰% 20몰% 50몰% 50몰%
표 2
  휘도감소율 제1 및 제2 고분자 수지의 유리전이온도차이 굴절율차이
50℃,1000시간 60℃, 95%RH, 1000시간 -20℃,1000시간 70℃/60분 -20℃/60분 100cycle
실시예1 5% 7% 5% 5% 20℃ 0.01
실시예2 8% 10% 7% 10% 25℃ 0.03
실시예3 9% 10% 7% 10% 10℃ 0.03
실시예4 6% 8% 5% 6% 20℃ 0.01
실시예5 8% 10% 6% 9% 25℃ 0.03
실시예6 7% 10% 7% 10% 10℃ 0.03
비교예1 15% 13% 15% 15% 20℃ 0.01
비교예2 15% 15% 15% 15% 25℃ 0.03
비교예3 15% 18% 15% 17% 10℃ 0.03
비교예4 16% 15% 18% 19% 20℃ 0.01
비교예5 16% 18% 18% 18% 25℃ 0.03
비교예6 15% 16% 19% 19% 10℃ 0.03
표 3
  밀착성 다층박막표면 접촉각(°)
실시예1 1.5kg/25mm 70
실시예2 1.3kg/25mm 71
실시예3 1.4kg/25mm 72
실시예4 100/100 70
실시예5 100/100 72
실시예6 100/100 73
비교예1 0.5kg/25mm 90
비교예2 0.45kg/25mm 93
비교예3 0.45kg/25mm 93
비교예4 50/100 90
비교예5 45/100 93
비교예6 45/100 93
물성평가결과, 표 2 내지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의 경우가 비교예에 비해 휘도감소율 특성이 양호하고, 이러한 휘도감소율 특성은 다층박막의 표면 접촉각 및 층간 밀착성과 연계된 결과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다시 말해, 다층박막의 친수도를 향상시킴에 따라 광확산층 조액을 직접적으로 도포하거나 광확산필름을 합지하더라도 밀착성 평가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휘도감소율을 낮출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7>
제1 고분자 수지로서 고유점도가 0.48 dL/g인 폴리 에틸렌 나프탈레이트와, 제2 고분자 수지(고유점도는 0.48 dL/g)로서 40몰%의 에틸렌 나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에틸렌 나프탈레이트-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를 각각 30 kg/hr의 같은 속도로 공압출하여 256배 다층 피드블럭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1,024층으로 교호로 형성시킨 후, 스킨층으로 0.48 dL/g의 폴리 에틸렌 나프탈레이트를 3층 피드블럭으로 30 kg/hr의 속도로 압출시켜서 최종적으로 스킨층을 가지는 다층 박막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1 고분자 수지, 제2 고분자 수지 및 스킨층 형성 수지 모두 고상중합을 진행하지 않은 상태의 것이다. 상기 제조된 스킨층을 가지는 다층 박막은 125℃에서 5배 연신비로 연신하고, 연신한 필름의 1 면에 10㎛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대비 135 중량부로 함유하는 광확산층을 형성하고, 그 배면에는 하부 광학부재와의 블로킹을 방지하기 위해서 탁도가 5%가 되도록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입자 5㎛을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 대비 15 중량부로 도포하여 최종적으로 휘도증강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제1 고분자 수지로서 고유점도가 0.5 dL/g 인 폴리 에틸렌 나프탈레이트를 사용(스킨층 수지도 동일)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7의 일련의 방법으로 휘도 증강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11>
광확산층을 형성시키는 광확산 입자비를, 표 1과 같이,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 대비 100 중량부, 150 중량부, 200 중량부로 변경하여 형성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7과 같은 일련의 공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휘도 증강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광확산층을 형성시키는 광확산 입자로서 평균입경이 1~20㎛이고, 굴절율이 1.45인 제1 광확산 입자와 평균입경이 20~40㎛이고 굴절율이 1.50인 제2 광확산입자를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 대비하여 각각 100 중량부씩 포함하도록 형성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7과 같은 일련의 공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휘도 증강 필름을 제조하였다.
<참조예 1>
제1 고분자 수지로서 고유점도가 0.6 dL/g인 폴리 에틸렌 나프탈레이트(고상중합을 진행한 것임)를 사용하여 다층 박막 및 스킨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7의 일련의 방법으로 휘도 증강 필름을 제조하였다.
<참조예 2~3>
광확산층을 형성시키는 광확산 입자비를, 표 1과 같이,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 대비 20 중량부, 250 중량부로 변경하여 형성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7과 같은 일련의 공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휘도 증강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7>
제1 고분자 수지로서 고유점도가 0.6dL/g인 폴리 에틸렌 나프탈레이트와, 제2 고분자 수지(고유점도는 0.6dL/g)로서 40몰%의 에틸렌 나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에틸렌 나프탈레이트-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를 각각 30 kg/hr의 같은 속도로 공압출하여 256배 다층 피드블럭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1,024층으로 교호로 형성시킨 후, 각각 30g/hr의 속도로 256배 다층 피드블럭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1,024층의 다층 압출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다층 압출 필름을 130℃에서 5배 연신비로 1축 연신하고, 연신된 다층 필름의 양면에 아크릴계의 UV경화형 접착제를 도포한 후, 코오롱사의 확산필름(LD102)을 합지하고 500mj/㎠의 광량으로 UV를 조사하여 휘도 증강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휘도증강필름의 휘도증가율 및 상대 휘도 비율을 표 4에 나타내었고, 휘도감소율을 표 5에 나타내었다.
(1) 휘도
22인치 백라이트 유닛에 광학필름으로 확산필름(XC210, 코오롱사), 프리즘 필름(LC217, 코오롱)을 조합하고 휘도증강 필름을 적층하고 그 위에 22인치 LCD 패널을 얹고 12V의 전원을 인가한 후 휘도계(BM-7, 일본 TOPCON사)으로 휘도를 측정하였다.
(2) 휘도증가율
위에서 측정한 휘도를 다음 식에 적용하여 계산하였다.
휘도증가율 = (휘도증강필름 사용시 휘도)/(휘도증강필름 미사용시 휘도)
(3) 상대 휘도 비율
22인치 백라이트 유닛에 광학필름으로 확산필름(XC210, 코오롱사), 프리즘 필름(LC217, 코오롱)을 조합하고, 그 위에 휘도증강필름을 적층하거나 하지 않을때에 각각 22인치 LCD 패널을 얹고 12V의 전원을 인가한 후, 휘도계(BM-7, 일본 TOPCON사)로 휘도증강필름의 면의 법선으로부터 50도 각도에서 측정한 휘도 수치를 이용하여 상대 휘도 비율을 환산하였다.
(4) 밀착성 평가
연신된 다층 필름과 확산필름을 UV 경화 수지(접착층)로 합지하여 얻어진 휘도증강 필름의 경우는 휘도증강 필름을 25mmX150mm로 자른 후 100℃로 끓인 물에 1시간 중탕처리 한 후 물기를 닦고 확산필름과 다층필름을 각각 Zig에 장착하여 180° 로 300mm/min의 속도로 peeling 하였을 때 걸리는 Load값을 확인한다.
그리고 연신된 다층 필름 위에 스킨층/확산층을 도포한 휘도 증강 필름의 경우 Cross Cut Test로서 측정을 하는데 필름 표면에 100여개의 격자가 생기도록 흠집을 낸 후 접착 테이프(3M사)로서 접착한 후 떼어내어 접착 테이프에 부착되어 탈리되지 않고 필름 표면에 남아 있는 격자의 개수를 확인한다.
(5) 스킨층의 친수도(접촉각 측정)
50mm X 50mm 크기의 샘플을 Plate에 고정한 후 DI Water 한 방울 떨어 뜨려 Drop Shape Analyzer(DSA100) 장비를 이용하여 접촉각을 측정하였다. DI water 한 방울을 떨어뜨린 후 10회 이상 장비에서 측정하여 평균을 구하였으며, 한 샘플당 9 Point 측정하여 평균을 구하였다.
다만, 비교예 7의 경우 다층박막의 친수도를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6) 휘도감소율
22인치 백라이트 유닛에 광학필름으로 확산필름(XC210, 코오롱사), 프리즘 필름(LC217, 코오롱)을 조합하고, 그 위에 각 조건에 부합하는 휘도 증강 필름을 적층하거나 또는 통상적인 휘도 증강 필름을 적층할 때에, 22인치 LCD 패널을 얹고 12V의 전원을 인가한 후, 휘도계(BM-7, 일본 TOPCON사)로 휘도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휘도를 측정하여 각 조건에 따른 휘도감소율을 측정하였다.
표 4
  제1 고분자수지고유점도(dL/g) 광확산층 바인더 수지 대비광확산 입자 함량 휘도증가율 상대 휘도 비율(%) 밀착성 평가 스킨층 친수도(°)
실시예7 0.48 135 중량부 1.32 230 100/100 71
실시예8 0.50 135 중량부 1.25 230 100/100 75
실시예9 0.48 100 중량부 1.33 200 100/100 71
실시예10 0.48 150 중량부 1.21 232 100/100 71
실시예11 0.48 200 중량부 1.19 240 100/100 71
실시예12 0.48 200 중량부 1.34 240 100/100 71
참조예1 0.60 135 중량부 0.82 150 45/100 90
참조예2 0.48 20 중량부 0.98 120 100/100 71
참조예3 0.48 250 중량부 0.88 140 100/100 71
비교예7 0.60 - 1.20 230 0.2kg/25mm 90
물성평가결과,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7~12에서 제조된 휘도증강필름은 스킨층으로 인하여, 다층 박막 위에 확산처리시에 발생되는 광확산층과 필름사이의 밀착력이 확보되어 높은 휘도 증가율과 특정 시야각에서의 상대 휘도 비율의 감소없이 균일한 휘도특성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참조예 1 내지 3의 결과에 비추어 다층박막 내지 스킨층 형성의 고분자 수지로서 고상중합이 진행된 것을 사용하거나 광확산층의 입자비 등에 따라 상대 휘도비율이나 휘도증가율이 영향을 받음을 확인할 수 있고, 특히 스킨층 상에 광확산층을 직접적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스킨층의 고분자 수지가 고상중합을 진행하지 않은 것인 경우 밀착성 평가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하기 표 5에 보이는 것과 같이 실시예의 경우가 비교예에 비해 휘도감소율 특성이 양호하고, 이러한 휘도감소율 특성은 스킨층의 표면 접촉각 및 층간 밀착성과 연계된 결과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다시 말해, 스킨층의 친수도를 향상시킴에 따라 광확산층 조액을 직접적으로 도포하여 밀착성 평가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휘도감소율을 낮출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5
  휘도감소율
50℃,1000시간 60℃, 95%RH, 1000시간 -20℃,1000시간 70℃/60분 -20℃/60분 100cycle
실시예7 5% 7% 5% 5%
실시예8 8% 10% 7% 10%
실시예9 9% 10% 7% 10%
실시예10 5% 7% 5% 4%
실시예11 7% 9% 8% 9%
실시예12 8% 10% 9% 10%
참조예1 15% 15% 18% 20%
참조예2 7% 7% 5% 5%
참조예3 12% 13% 14% 12%
비교예7 15% 13% 15% 15%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Claims (34)

  1. 광학적 등방성인 제1 박막 및 광학적 비등방성인 제2 박막을 다수로 포함하는 다층 박막; 및 상기 다층 박막의 적어도 일면 상에 광확산층을 포함하며,
    하기 제1 환경 조건을 만족한 이후에 측정된 휘도감소율, 및 하기 제2 환경 조건을 만족한 이후에 측정된 휘도감소율이 각각 10% 이하인 휘도 증강 필름.
    제1 환경 조건: 50℃로 유지되는 챔버 내에 휘도 증강 필름이 1000시간 동안 배치됨.
    제2 환경 조건: -20℃로 유지되는 챔버 내에 휘도 증강 필름이 1000시간 동안 배치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환경 조건을 만족한 이후에 측정된 휘도감소율, 및 상기 제2 환경 조건을 만족한 이후에 측정된 휘도감소율이 각각 8% 이하인 휘도 증강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환경 조건을 만족한 이후에 측정된 휘도감소율, 및 상기 제2 환경 조건을 만족한 이후에 측정된 휘도감소율이 각각 5% 이하인 휘도 증강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하기 제3 환경 조건을 만족한 이후에 측정된 휘도감소율, 및 하기 제4 환경 조건을 만족한 이후에 측정된 휘도감소율이 각각 10% 이하인 휘도 증강 필름.
    제3 환경 조건: 60℃ 및 95%RH로 유지되는 챔버 내에 휘도 증강 필름이 1000시간 동안 배치됨.
    제4 환경 조건: 70℃/60분 ~ -20℃/60분이 100번 반복되는 챔버 내에 휘도 증강 필름이 상기 100번 반복이 끝날때까지 배치됨.
  5. 제1항에 있어서,
    다층 박막은 표면의 접촉각이 50 내지 85°인 것인 휘도증강필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층은 바인더 수지; 및 상기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광확산 입자 20~2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도증강필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수지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바인더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도증강필름.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 입자는 평균입경이 1~20㎛인 제 1 광확산 입자와 평균입경이 20~40㎛인 제 2 광확산 입자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휘도증강필름.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 입자는 평균입경이 1~20㎛이고, 굴절율이 n1인 제 1 광확산 입자; 및 평균입경이 20~40㎛이고, 굴절율이 n2인 제 2 광확산 입자를 포함하되, 상기 |n1-n2| > 0.0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도증강필름.
  10.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 입자는 제 1 광확산 입자와 제 2 광확산 입자를 10:90 ~ 90:10 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도증강필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박막은 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반복단위의 함량이 80몰% 이상인 수지를 포함하는 휘도 증강 필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박막은 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반복단위의 함량이 80몰% 이상 100 몰% 이하이고,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반복단위의 함량이 20몰% 이하 0 몰% 이상인 수지를 포함하는 휘도 증강 필름.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박막은 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반복단위의 함량이 10몰% 이상 60몰% 이하인 수지를 포함하는 휘도 증강 필름.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박막은 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반복단위의 함량이 10몰% 이상 60몰% 이하이고,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반복단위의 함량이 40몰% 이상 90몰% 이하인 수지를 포함하는 휘도 증강 필름.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박막은 고유점도가 0.5 dL/g 이하인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휘도증강필름.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박막은 고유점도가 0.5 dL/g 이하인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휘도증강필름.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박막은 제1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박막은 제2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분자 수지의 유리전이온도 및 상기 제2 고분자 수지의 유리전이온도의 차이가 30℃ 이하인 휘도 증강 필름.
  18. 제1항에 있어서,
    광확산층은 기재필름 상에 광확산층을 포함하는 광확산필름의 형태인 휘도증강필름.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박막과 광확산필름 사이에 형성된, 접착층
    을 포함하는 휘도증강필름.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박막은 제1 박막 또는 제2 박막의 수지로 고상중합을 진행하지 않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휘도증강필름.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박막:
    상기 다층 박막의 일면에 형성된, 광확산층; 및
    상기 다층 박막의 다른 일면에 형성된, 안티블록킹층을 포함하는 휘도 증강 필름.
  22. 제1항에 있어서,
    다층 박막;
    상기 다층 박막의 일면에 형성된 제1 스킨층(skin layer); 및
    상기 제1 스킨층 상에 형성된 광확산층
    을 포함하는 휘도증강필름.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박막의 타면에 형성된 제2 스킨층
    을 포함하는 휘도증강필름.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킨층 상에 형성된 안티블록킹층
    을 더 포함하는 휘도증강필름.
  25. 제 22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스킨층 중에서 적어도 한 층은 고유 점도가 0.5 dL/g 이하인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휘도증강필름.
  26. 제 22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킨층 단독 또는 제1 스킨층과 제2 스킨층 모두는 표면 접촉각이 50 내지 85°인 것인 휘도증강필름.
  27. 제 22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킨층 단독 또는 제1 스킨층과 제2 스킨층 모두 고상중합을 진행하지 않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휘도증강필름.
  28. 제 22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스킨층 중에서 적어도 한 층은 그 두께가 다층 박막의 두께에 대비하여 동일하거나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도증강필름.
  2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증강 필름은,
    상기 필름 면내에 서로 직교하는 제1 축 및 제2 축을 포함하고,
    상기 휘도 증강 필름으로 입사하는 광 중에서 상기 제1 축을 따라 편광된 광을 반사시키고, 상기 휘도 증강 필름으로 입사하는 광 중에서 상기 제2 축을 따라 편광된 광을 투과시키는 휘도 증강 필름.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축에 따른 상기 제1 박막 및 상기 제2 박막간의 굴절율 차이가 적어도 0.05인 휘도 증강 필름.
  3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축에 따른 상기 제1 박막 및 상기 제2 박막간의 굴절율 차이가 0.03 이하인 휘도 증강 필름.
  3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증강 필름은,
    상기 필름 면에 수직하는 제3 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축에 따른 상기 제1 박막 및 상기 제2 박막간의 굴절율 차이가 0.03 이하인 휘도 증강 필름.
  3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증강필름의 면의 법선으로부터 50도의 각도에서 측정한 상대 휘도 비율이 적어도 180%인 휘도증강필름.
  34. 제1항의 휘도 증강 필름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PCT/KR2011/010299 2010-12-31 2011-12-29 휘도 증강 필름 및 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WO2012091482A2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180012128.4A CN103026270B (zh) 2010-12-31 2011-12-29 增亮膜及含有该增亮膜的背光单元
JP2013547354A JP2014508961A (ja) 2010-12-31 2011-12-29 輝度増強フィルム及びそれを含む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US13/520,066 US20120314287A1 (en) 2010-12-31 2011-12-29 Luminance enhancement film and backlight unit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40833 2010-12-31
KR20100140833 2010-12-31
KR20100140822 2010-12-31
KR10-2010-0140822 2010-12-31
KR1020110143836A KR101269697B1 (ko) 2010-12-31 2011-12-27 휘도증강필름 및 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10-2011-0143836 2011-12-27
KR1020110143805 2011-12-27
KR10-2011-0143805 2011-12-27
KR10-2011-0145439 2011-12-29
KR1020110145439A KR101284485B1 (ko) 2010-12-31 2011-12-29 휘도 증강 필름 및 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91482A2 true WO2012091482A2 (ko) 2012-07-05
WO2012091482A3 WO2012091482A3 (ko) 2012-10-04

Family

ID=46383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1/010299 WO2012091482A2 (ko) 2010-12-31 2011-12-29 휘도 증강 필름 및 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2091482A2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8486A (ko) * 2001-07-18 2003-01-29 주식회사 코오롱 내열성이 우수한 액정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유니트용 필름
KR20060116776A (ko) * 1999-10-21 2006-11-15 코니카 미놀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이방성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 장치
KR20090124518A (ko) * 2008-05-30 2009-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학시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6776A (ko) * 1999-10-21 2006-11-15 코니카 미놀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이방성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 장치
KR20030008486A (ko) * 2001-07-18 2003-01-29 주식회사 코오롱 내열성이 우수한 액정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유니트용 필름
KR20090124518A (ko) * 2008-05-30 2009-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학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91482A3 (ko) 201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97829B2 (en) Backlight unit with patterned light guide panel
KR101501794B1 (ko) 복합 편광판, 적층 광학 부재 및 그것들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US7557989B2 (en) Reflective polariz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20060291055A1 (en) Diffuse Multilayer Optical Article
US20090303589A1 (en) Optical film composite for brightness enhancement including a birefringent polymer layer
KR20080091781A (ko) 강화된 반사 편광기 필름
KR20160034220A (ko) 편광판 및 광학 적층체
US8926777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high brightness optical sheet
KR20160034219A (ko) 편광판
KR101249656B1 (ko) 휘도증강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WO2012091482A2 (ko) 휘도 증강 필름 및 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JP2018205497A (ja) 光学積層体、偏光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4508961A (ja) 輝度増強フィルム及びそれを含む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KR101451024B1 (ko) 휘도증강필름 및 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TWI849087B (zh) 光學膜組、光學層疊體
KR20050057319A (ko) 액정 필름 및 타원편광판의 제조방법
TW202132877A (zh) 光學薄膜組以及液晶面板
KR20060105296A (ko) 광확산 기능을 갖는 아크릴계 점착 조성물, 이를 이용한편광필름 및 이를 이용한 화상표시장치
KR101284485B1 (ko) 휘도 증강 필름 및 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WO2012091481A2 (ko) 휘도증강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JP3874227B2 (ja) 粘着型光学部材
WO2022139306A1 (ko) 광학용 양면 점착 시트
KR101269697B1 (ko) 휘도증강필름 및 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JP2000081513A (ja) 光学部材及び液晶表示装置
KR102469376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180012128.4

Country of ref document: CN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in:

Ref document number: 2013547354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185341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3520066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in: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185341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