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2023715A2 - 프라스틱 복합 분해 촉진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프라스틱 복합 분해 촉진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2023715A2
WO2012023715A2 PCT/KR2011/005623 KR2011005623W WO2012023715A2 WO 2012023715 A2 WO2012023715 A2 WO 2012023715A2 KR 2011005623 W KR2011005623 W KR 2011005623W WO 2012023715 A2 WO2012023715 A2 WO 2012023715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acid
sodium
polyvinyl alcoh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1/00562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2023715A3 (ko
Inventor
김영구
신호철
Original Assignee
Kim Young Koo
Shin Ho Cheol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Kim Young Koo, Shin Ho Cheol filed Critical Kim Young Koo
Publication of WO2012023715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023715A2/ko
Publication of WO2012023715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023715A3/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11/0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 C08J11/04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 C08J11/1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by chemically breaking down the molecular chains of polymers or breaking of crosslinks, e.g. devulcanisation
    • C08J11/18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by chemically breaking down the molecular chains of polymers or breaking of crosslinks, e.g. devulcanisation by treatment with organ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3/00Use of mixtures of ingredients not covered by one singl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08K13/02Organic and inorganic ingredi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stic complex decomposition accelerato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facilitate the decomposition even by using only a small amount of the complex decomposition promoter to the plastic,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consumers due to excessive usage Not only can it reduce the pollution of the soil, it can reduce the environmental pollution during incineration, and it is possible to produce expensive products down to low cost.
  • the synthetic resin which was invented about 100 years ago, has excellent chemical resistance, durability, and various physical properties, and thus is widely used in daily life as a substitute for natural materials, but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cannot be reduced to nature when discarded after use.
  • disposable packaging materials which are rapidly increasing in demand, are often left untouched because they are not easily recovered despite high consumption, and films used for agricultural rooting cannot be completely recovered, so they are often buried in the soil. It is causing trouble.
  • the recovery and reuse method is also a situation in which the recovery rate is only about 20%,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inal waste is generated because it cannot be recovered and used indefinitely even if it is recovered and used repeatedly.
  • degradable resins Accordingly, researches on degradable resin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to solve the problems of disposal.
  • Such a kind of decomposable resins is decomposed by biodegradable resins decomposed by microorganisms present in soil and ultraviolet rays of sunlight. It is roughly classified as a photodegradable resin.
  • the biodegradable resins include biodegradable polyhydroxyarylate-based resins, microcaprolactones, synthetic aliphatic polyester resins such as polycaprolactones, or resins in which natural polymers are mixed with thermoplastic resins.
  • Resins in which ethylene and carbon monoxide are copolymerized to introduce carbonyl groups into the main chain resins in which ethylene and vinyl ketone are copolymerized to introduce carbonyl groups into side chains and resins to which oxidizing agents such as transition metals are added.
  • the microorganism biosynthetic resin, synthetic aliphatic polyester, etc. in the decomposable resin is excellent in degradability but expensive in manufacturing price, the resin added with natural polymer is low in price but does not completely degrade the properties and decomposition There are disadvantages.
  • the photodegradable resin is excellent in degradability when exposed to sunlight, but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not decomposed when buried in the soil.
  • degradable resins in which natural polymers are added to thermoplastic resins cannot be added more than 10% of natural polymers such as starch, which is a decomposable substance, due to fear of deterioration of physical properties, and in general, raw materials are added in a particulate state. It is distributed in this discontinuous phas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complete decomposition is not made.
  • US Patent No. 4121025 has been proposed a method for photodegradation of polyethylene using 0.05 to 0.5% of cerium stearate, the method using the cerium stearate student
  • Chinese patent 1115771A proposes a method of preparing modified starch using oxyalkylene and a strong salt catalyst, and producing biodegradable vinyl using the modified starch and microorganisms, but this is also a problem in that it is not completely decomposed. This was to be.
  •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37385 is one or two compounds selected from succinic acid, succinic anhydride, succinic acid ester or adipic acid, 1,4-butanediol as a diol component, and a polyfunctional group having three or more functional groups. Esterification and polycondensation reaction of a compound having a compound to obtain an aliphatic polyester, blended with an aliphatic polyester prepared by combining clay and fine sand with an inorganic filler (Blending) without reducing the decomposition rate, high strength, aesthetics Satisfies color tone, form stability and economy
  •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d a method for producing a biodegradable resin that can be used for various applications as an injection product, but the above-described method also has a problem in that complete decomposition does not occur.
  • the present inventors proposed the domestic registered patent No. 10-0639106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above-described prior applications, the prior registration No. 10-0639106 is a biodegradation agent, biodegradation accelerator, decomposition promoter in the synthetic resin Complex decomposable resin composition consisting of photomint, photomin accelerator, nourishing agent, drill, decomposition decompressant and vinyl hydrophilic agent. It was.
  • the pre-registered patent of the present inventors has a problem that the demand is small due to the high cost of the raw material, the use field is wide, but the consumer is inconvenient due to the excessive use of the raw material.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all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composite decomposable resin composition, and to enable the production of expensive products at low cost.
  • the polyolefin molecular chain is thermally insulated by adding a bioadditive and a photoenhancer without adding a mining agent, and a molecular weight is lowered to eliminate various wastes caused by the addition of the mining material.
  • Plastic composite decomposition accel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ynthetic resin, inorganic emulsifier, paraffin wax, polyethylene wax, acetylacetonate (acetylacetonate), dimethyldithiocarbamic acid, iron chloride, iron stearate ( ferric stearate, calcium stearate, stearic acid, octadecanoic acid, polyvinyl alcohol, glycerin, polyethylene glycol, sorbitol, borax, carboxymethylcellulose, sodium lauryl sulfate, Lauryl benzene sulfonic acid sodium, benzoyl peroxide, sodium alginate, methyl salicylic acid, and starch.
  • the synthetic resin is made of low density polyethylene and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 the inorganic emulsifi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alcium carbonate.
  • 20 to 35 parts by weight of the synthetic resi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 density polyethylene 8 to 15 parts by weight,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12 to 20 parts by weight.
  •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two decomposition techniques of light and biology, and adds a bioadditive and a slow release medicinal preparation without adding a photosensitizer, which has been conventionally used.
  • plastic composite decomposition accel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ixed with a wide range of plastic materials can be used, after the use of the decomposition promoters to cause a multi-form decomposition method and mutually promoted, thereby fundamentally insulate the molecular chain, It is to lower the molecular weight and continuously complete the decomposition process so that complete decomposition proceeds.
  • plastic composite decomposition promo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 Plastic composite decomposition accel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nthetic resin, inorganic emulsifier, paraffin wax, polyethylene wax, acetylacetonate, dimethyldithiocarbamic acid, iron chloride, ferric stearate, calcium stearate ( calcium stearate, stearic acid, octadecanoic acid, polyvinyl alcohol, glycerin, polyethylene glycol, sorbitol, borax, carboxymethylcellulose, sodium lauryl sulfate, sodium lauryl benzene sulfonate sulfonic acid sodium), benzoyl peroxide, sodium alginate, methyl salicylic acid and starch.
  • the synthetic resin is preferably used one or two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and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 but does not necessarily limit the synthetic resin.
  • the amount of the synthetic resin is preferably used 20 to 35 parts by weight, the reason is that when the synthetic resin is less than 25 parts by weight when mixing with other synthetic resins and complex decomposition promo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easily made, 35 This is because if the weight part is exceeded, the amount of use of the complex decomposition accelerator must be increased, causing inconvenience to users.
  • the low-density polyethylene has a relatively low density because there are very many paper chains on the side of the main chain, the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has a short paper chain has good physical properties, the tensile strength reaches 30Mpa and reaches more than 800% impact It is excellent in strength, low-temperature impact, and the like, so that when the LDPE and LLDPE are used together as the synthetic resin, photolysis may occur quickly. Therefore, it is most preferable to use 8 to 15 parts by weight of low density polyethylene and 12 to 20 parts by weight of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as the synthetic resin.
  • the inorganic emulsifier not only reduces the unit cost of the complex decomposition accelerator, but also concomitantly improves the amount, hardness and stability of the product, controls the decomposition induction group, and causes a decomposition reaction by itself during the decomposition process.
  • Calcium carbonate (CaCO 3 ) may be used to promote thermal insulation of the carbon dioxide.
  • the amount of the inorganic emulsifier is preferably 40 to 60 parts by weight. If the amount is less than 40 parts by weight, the effect of unit cost reduction does not appear significantly. If the amount exceeds 60 parts by weight, the impact resistance and moldability of the product may not be good. Because there is.
  • the paraffin wax is used as a dispersant, it is most preferable to have a melting point of 58-60 degrees, when the amount is 0.5 to 1.5 parts by weight bar is less than 0.5 parts by weight, it is difficult to act as a dispersant, when the excess exceeds 1.5 parts by weight Because it is not economical.
  • polyethylene wax (PE WAX) is used to improve the flow
  • the polyethylene wax is a lubricant as a stable chemical properties and good electrical conductivity is to perform a strong internal lubrication.
  • the amount is preferably 1.5 to 2.5 parts by weight. If less than 1.5 parts by weight, lubrication is difficult, and if it exceeds 2.5 parts by weight, it is excessive and not economical.
  • the acetylaceton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catalyst drill, and has a relatively good compatibility and haptic effect, and as an additive that destabilizes unstable molecules easily into water, thereby improving physical properties within the period of use. It breaks down the polarity of the raw material to promote decomposition. Since the acetylacetonate is used within the range of 0.01 to 0.03 parts by weight, the effect is insignificant when the acetylacetonate is less than 0.01 parts by weight, and even if it exceeds 0.03 parts by weight, there is no further enhanced effect.
  • the dimethyldithiocarbamic acid (dimethyldithiocarbamic acid) is a photo-positive agent, during the decomposition process to generate a sufficient amount of photosynthesis in a variety of ways to produce free groups to promote the insulation of the polyolefin molecular chain as well as its performance is stable and The price is cheap.
  • the dimethyldithiocarbamic acid is used within the range of 0.9 to 1.2 parts by weight. When the dimethyldithiocarbamic acid is less than 0.9 part by weight, photo quantification does not occur sufficiently. Because.
  • the iron chloride and ferric stearate are used as emulsifier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mount of the iron chloride and ferric stearate is preferably used in the range of 0.3 to 0.5 parts by weight of iron chloride and 2.8 to 3.3 parts by weight of ferric stearate. If the iron chloride is less than 0.3 parts by weight or the iron stearate is less than 2.8 parts by weight does not have a sufficient effect as a emulsifier, and if there is a fear that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roduct rather than 0.5 parts by weight or 3.3 parts by weight.
  • calcium stearate is used as a lubricant, and the calcium stearate is used in the range of 0.92 to 1.4 parts by weight. If the calcium stearate is less than 0.92 parts by weight, its role is insignificant, and if it exceeds 1.4 parts by weight, the excess is not economical.
  • the stearic acid is a higher fatty acid, which causes an acidic reaction of calcium carbonate, an inorganic emulsifier, and changes the hydrophilicity of the surface of calcium carbonate, an inorganic material, to lipophilic, and facilitates mixing of each additive. do.
  • the amount of stearic acid used is preferably 0.1 to 1 part by weight. When the amount is less than 0.1 part by weight, the effect is negligible, and the mixing of additives is not easy.
  • the octadecanoic acid (octadecanoic acid) is used as an emulsifier, the amount of use is 0.09 ⁇ 0.17 parts by weight, when the amount is less than 0.09 parts by weight, its role is negligible, if it exceeds 0.17 parts by weight of the excess This is because physical properties may be lowered.
  • the polyvinyl alcohol (PVA) is used as a biodegradable agent, the polyvinyl alcohol is to be completely decomposed to lower the COD a lot.
  • polyvinyl alcohol has two kinds of degradability: water and biodegradation.
  • water is dissolved in water to form a colloid, penetrates into the soil, and is suitable for improving soil viscosity, air permeability, moisture retention, especially sandfield.
  • the PVA in the soil is decomposed by the bacteria in the soil, and a symbiosis composed of at least two kinds of bacteria can decompose polyvinyl alcohol.
  • One kind is an active bacterium of polyvinyl alcohol, and the other is a bacterium that produces a substance that needs active bacteria of polyvinyl alcohol.
  • the second alcohol quantification reaction enzymatically catalyzes polyvinyl alcohol and then hydrolyzes and quantifies it.
  • the main chain of polyvinyl alcohol is enzymatically cleaved and further broken down into carbon dioxide and water.
  • Such polyvinyl alcohol is used within the range of 4.8 to 13 parts by weight, but if the polyvinyl alcohol is less than 4.8 parts by weight, it is difficult to biodegrade, and if it exceeds 13 parts by weight, the photocatalytic agent is relatively insignificant, resulting in complex decomposition. This is becau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ect of is lowered.
  • the glycerin is also used as a biodegradation agent, which is a raw material for the growth and reproduction of microorganisms in vinyl, providing a living environment for the microorganisms, good adaptability to temperature, easily eroded and fungi in soil and garbage conditions Is produced and decomposed, thereby providing the conditions for polyolefin molecular chain insulation.
  • the glycerin is used by 0.1 to 1 parts by weight, the amount is less than 0.1 parts by weight of the biodegradable can not be easily made, if the amount exceeds 1 parts by weight relatively lack of photo-oxidant is not completely decomposed There is a problem.
  • polyethylene glycol and sorbitol are used as a training agent and a training agent, to improve physical properties within the expiration date and to promote decomposition by destroying the polarity of the raw material at the end.
  • the polyethylene glycol and sorbitol are used by 0.15 to 0.55 parts by weight and 0.05 to 0.25 parts by weight, respectively, when the amount of the polyethylene glycol and sorbitol is less than 0.15 parts by weight and 0.05 parts by weight, respectively, the effect of promoting decomposition is insignificant. This is because even if the amount exceeds 0.55 parts by weight and 0.25 parts by weight, the effect of promoting further decomposition is not enhanced.
  • the borax and carboxymethyl cellulose are used as emulsifiers, and are used within the range of 0.09 to 0.17 parts by weight of borax and 0.09 to 0.17 parts by weight of carboxymethyl cellulose.
  • the amount of the borax and carboxymethyl cellulose is less than 0.09 parts by weight, respectively, it is difficult to act as an emulsifier, and when the amount of the borax and carboxymethyl cellulose exceeds 0.17 parts by weight, the product properties may be poor.
  • the sodium lauryl sulfate and sodium lauryl benzene sulfonic acid sodium are used as an emulsifier and a dispersant, and sodium lauryl sulfate and sodium lauryl benzene sulfonic acid sodium has the efficacy of duplicate matches.
  • the effect is that the structural formula of the sodium lauryl sulfate and sodium lauryl benzene sulfonate is R 1 OP- (OR 2 ) n , two kinds of chemical groups are contained in the same molecule, so that the polar portion in the low molecular material can interact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act or bond with a suitable base in polyethylene.
  • Such efficacy has a strict stability within the settled period of use of the product, so that the induction group is strictly controlled, and can be quickly decomposed after the period of use.
  • the sodium lauryl sulfate and sodium lauryl benzene sulfonate are used within the range of 0.17 to 0.3 parts by weight of sodium lauryl sulfate and 0.09 to 0.17 parts by weight of sodium lauryl benzene sulfonate. It is because it is uneconomical even if the excess amount does not enhance any further effect.
  • benzoyl peroxide is used as a catalyst and a drill
  • the benzoyl peroxide has a relatively good compatibility and haphazard effect, easily decomposes in water, improves the physical properties within the expiration date and destroys the polarity of the raw material at the end
  • the amount of use thereof is preferably 0.01 to 0.02 parts by weight. If the amount of benzoyl peroxide is less than 0.01 parts by weight, the role is negligible, and even if it exceeds 0.02 parts by weight, the role as a decomposition catalyst is no longer enhanced.
  • sodium alginate is used as an emulsifier and stabilizer.
  • the amount of sodium alginate is preferably 0.05 to 0.12 parts by weight. When the amount is less than 0.05 part by weight, the role of the emulsifier and stabilizer is insignificant. This is because there is a risk that the physical properties are not good.
  • methyl salicylic acid (methyl salicylic acid) is used as a biodegradation inducing agent, the amount of use is preferably 0.05 ⁇ 0.15 parts by weight, if the amount is less than 0.05 parts by weight biodegradation can not be easily made, if the excess amount is uneconomic Because it is an enemy.
  • starch is used as a biodegradation accelerator, the starch promotes the decomposition as well as serves to increase the tensile strength, the amount is preferably 5 to 10 parts by weight, the amount is less than 5 parts by weight decomposition This is because the promoting effect is insignificant, and if it exceeds 10 parts by weight, it is not economical.
  • the complex decomposition promo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composition described above is greatly enhanced by the cooperative action of the photopositive action and the biodegradation action as the interaction of each composition.
  • composition is prepared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ratio described above (raw material preparation step).
  • the temperature of the high speed stirrer is raised to 70-110 ° C., and then polyvinyl alcohol is put into the high speed stirrer and the high speed stirrer is operated for 2-8 minutes at high speed.
  • the high speed means about 250 to 1000 rpm.
  • the carboxymethyl cellulose, sodium lauryl benzene sulfonate, borax, polyethylene glycol, glycerol, glycerin, sorbitol are sequentially added and mixed evenly, but when the temperature of the mixed raw material is 100 °C down to send a slow stirrer to cool (1st mixing step)
  • Polyvinyl alcohol was added to a high speed stirrer at 80 ° C, and a high speed stirrer (500 rpm) was operated for 2 minutes, and then carboxymethyl cellulose, sodium lauryl benzene sulfonate, borax, polyethylene glycol, glycerin, and sorbitol were sequentially added. Mixed. Separately from this, calcium carbonate, acetyl acetate, benzoyl peroxide, and stearic acid were sequentially added to a high speed stirrer at a temperature of 25 ° C., and mixed uniformly.
  • the decomposition accelerator produced as described above was mixed with PE 200 to produce a PE ba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라스틱 복합 분해 촉진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라스틱에 복합 분해 촉진제를 소량만 첨가하여 사용하여도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은 합성수지, 무기양화제, 파라핀왁스, 폴리에틸렌왁스, 아세틸아세토네이트(acetylacetonate), 디메틸디티오카바믹 산(dimethyldithiocarbamic acid), 염화철, 스테아린산철(ferric stearate), 스테아린산칼슘(calcium stearate), 스테아린 산, 옥타데카노익 산(octadecanoic acid), 폴리비닐알코올, 글리세린,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르비톨, 붕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로릴 황산 나트륨(sodium lauryl sulfate), 로릴 벤젠 술폰산 나트륨(lauryl benzene sulfonic acid sodium), 과산화벤조일, 알긴산나트륨, 메틸 살리실 산(methyl salicylic acid) 및 전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프라스틱 복합 분해 촉진제 및 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프라스틱 복합 분해 촉진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라스틱에 복합 분해 촉진제를 소량만 첨가하여 사용하여도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량 과다에 따른 소비자의 불편함을 해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토양의 오염도 줄일 수 있고, 소각시에도 환경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고가의 제품을 저가로 다운하여 생산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약 100년 전에 발명된 합수지는 내약품성, 내구성 및 여러 물성 등이 우수하여 천연소재의 대체물로 일상생활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사용 후 폐기시 자연으로 환원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최근 수요가 급속히 증가되는 일회용 포장재는 소비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회수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아 그대로 방치되는 경우가 많으며, 농업용 뿌리덮기에 사용되는 필름은 완전한 회수가 불가능하여 토양에 묻혀 농작물 성장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종래 상기 합성수지를 폐기시키는 방법으로는 폐기물을 연소시키거나, 토양에 매립하는 방법, 회수하여 재이용하는 방법 등을 사용하였으나, 상기 합성수지 폐기물을 연소시키는 방법은 대량의 유독가스가 발생되어 2차 오염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매립방법 역시 분해되지 않고 토지에 그대로 남아 있어 2차 오염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회수하여 재이용하는 방법 역시, 그 회수율이 약 20%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고, 회수하여 중복사용할지라도 무제한으로 회수하여 사용할 수 없으므로 최종폐기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폐기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분해성 수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바, 이러한 분해성수지의 종류에는 토양에 존재하는 미생물에 의하여 분해되는 생분해성수지와 태양광의 자외선에 의하여 분해되는 광분해성수지로 대별된다.
상기 생분해성수지에는 미생물의 생체내에서 생합성되어 생분해성이 있는 폴리하이드록시아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카프로락톤 등 합성지방족 폴리에스테르수지 또는 열가소성수지에 천연고분자물질을 혼합한 수지 등이 있고, 광분해성수지에는
에틸렌과 일산화탄소를 공중합하여 주쇄에 카르보닐기를 도입한 수지, 에틸렌과 비닐케톤을 공중합하여 측쇄에 카르보닐기를 도입한 수지 및 전이금속 등 산화제를 첨가한 수지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 분해성수지중 미생물이 생합성된 수지, 합성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등은 분해성은 우수하나 제조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고, 천연고분자를 첨가한 수지는 가격은 저렴하나 물성저하 및 분해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또한, 광분해성수지는 태양광에 노출시에는 분해성이 우수하나 토양에 매립시에는 분해가 안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열가소성수지에 천연고분자를 첨가한 분해성 수지는 물성저하 등을 우려하여 분해물질인 전분 등 천연고분자를 10% 이상 첨가할 수 없으며, 또한 일반적으로 원료물질 등을 입자상태로 첨가하므로, 분해물질이 불연속상으로 분포하게 되어 완전분해가 이루어지지않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선출원된 미국특허 4121025호는 0.05∼0.5%의 세륨 스테아레이트(cerium stearate)를 사용하여 폴리에틸렌을 광분해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상기 세륨 스테아레이트를 이용하는 방법은 생
산원가가 높아 사용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완전분해가 이루어지지 않아 비교적 많은 량의 폐기물이 여전히 잔존한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다른 선출원인 중국 특허 1115771A호는 옥시알킬렌과 강염촉매제를 사용하여 변성전분을 만들고, 상기 변성전분과 미생물을 이용하여 생물분해비닐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이 역시 완전분해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그리고 또 다른 선출원인 국내 특허등록 137385호는 석신산, 석신산무수화물, 석신산에스테르 또는 아디프산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이 화합물, 디올성분으로서 1,4-부탄디올 그리고, 3관능기 이상의 다관능기를 갖는 화합물 등을 에스테르화 반응 및 중축합 반응시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를 얻고, 무기충진제로 찰흙과 가는 모래를 조합하여 제조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와 블랜딩(Blending)하여 분해속도를 저하하지 않으면서도 고강도, 미관의 색조, 형태안정성, 경제성을 만족시
켜 사출품으로 다양한 용도전개를 할 수 있는 생분해성 수지의 제조방법을 제시하였으나, 상기한 방법 역시 완전분해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상기한 종래의 선출원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등록특허 제10-0639106호를 제안하였는 바, 상기 선등록 제10-0639106호는 합성수지에 생물분해제, 생물분해촉진제, 분해촉진제, 광민제, 광민촉진제, 자양화제, 교련제, 분해공제제 및 비닐친수제로 이루어지는 복합 분해성 수지 조성물로써, 자양화분해, 광분해, 미생물분해가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최종적으로 이산화탄소와 물로 완전분해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본 발명자의 선등록특허는 원료의 고단가로 인해 수요가 적고, 사용분야는 광범위하나 사용량의 과다로 인해 수요자가 불편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복합 분해성 수지 조성물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고가의 제품을 저가로 다운하여 생산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프라스틱에 복합 분해 촉진제를 소량만 첨가하여 사용하여도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량 과다에 따른 소비자의 불편함을 해소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종래와 달리 광민제의 첨가없이 생물첨가제와 광양화제를 첨가하는 방법으로 폴리올레핀 분자연쇄가 단열되게 하고 분자량을 낮추어 광민재료의 첨가로 인하여 발생하는 여러 가지 폐단을 없애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프라스틱 복합 분해 촉진제는 합성수지, 무기양화제, 파라핀왁스, 폴리에틸렌왁스, 아세틸아세토네이트(acetylacetonate), 디메틸디티오카바믹 산(dimethyldithiocarbamic acid), 염화철, 스테아린산철(ferric stearate), 스테아린산칼슘(calcium stearate), 스테아린 산, 옥타데카노익 산(octadecanoic acid), 폴리비닐알코올, 글리세린,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르비톨, 붕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로릴 황산 나트륨(sodium lauryl sulfate), 로릴 벤젠 술폰산 나트륨(lauryl benzene sulfonic acid sodium), 과산화벤조일, 알긴산나트륨, 메틸 살리실 산(methyl salicylic acid) 및 전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합성수지는 저밀도폴리에틸렌 및 선형 저밀도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무기양화제는 탄산칼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합성수지 20~35중량부, 탄산칼슘 40~60중량부, 파라핀왁스 0.5~1.5중량부, 폴리에틸렌왁스 1.5~2.5중량부, 아세틸아세토네이트(acetylacetonate) 0.01~0.03중량부, 디메틸디티오카바믹 산(dimethyldithiocarbamic acid) 0.9~1.2중량부, 염화철 0.3~0.5중량부, 스테아린산철(ferric stearate) 2.8~3.3중량부, 스테아린산칼슘(calcium stearate) 0.92~1.4중량부, 스테아린 산 0.1~1중량부, 옥타데카노익 산(octadecanoic acid) 0.09~0.17중량부, 폴리비닐알코올 4.8~13중량부, 글리세린 0.1~1중량부, 폴리에틸렌글리콜 0.15~0.55중량부, 소르비톨 0.05~0.25중량부, 붕사 0.09~0.17중량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0.09~0.17중량부, 로릴 황산 나트륨(sodium lauryl sulfate) 0.17~0.3중량부, 로릴 벤젠 술폰산 나트륨(lauryl benzene sulfonic acid sodium) 0.09~0.17중량부, 과산화벤조일 0.01~0.02중량부, 알긴산나트륨 0.05~0.12중량부, 메틸 살리실 산(methyl salicylic acid) 0.05~0.15중량부 및 전분 5~10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합성수지 20~35중량부는, 저밀도폴리에틸렌 8~15중량부, 선형 저밀도폴리에틸렌 12~20중량부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렴한 비용으로 분해성 프라스틱의 제조가 가능하여 광범위한 수요를 창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종래의 분해성 수지들과는 달리 이산화탄소와 물로 완전분해가 가능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환경오염을 방지하며, 분해기간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넓혀서 농작물에도 적용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광, 생물 2가지 분해기술을 이용한 것으로, 종래 사용되어 오던 광민제(photosensitizer)를 첨가하지 않고, 생물첨가제와 광양화제(Slow release medicinal preparation)를 첨가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프라스틱 복합 분해 촉진제는 광범위한 프라스틱 재료에 모두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데, 사용 폐기 후 분해 촉진제가 다종방식의 분해방식이 일어나게 하고 상호 촉진하게 함으로써, 근본적으로 분자연쇄가 단열되게 하고, 분자량을 낮추며 지속적으로 분해과정을 완성하여 완전분해가 진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프라스틱 복합 분해 촉진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프라스틱 복합 분해 촉진제는 합성수지, 무기양화제, 파라핀왁스, 폴리에틸렌왁스, 아세틸아세토네이트(acetylacetonate), 디메틸디티오카바믹 산(dimethyldithiocarbamic acid), 염화철, 스테아린산철(ferric stearate), 스테아린산칼슘(calcium stearate), 스테아린 산, 옥타데카노익 산(octadecanoic acid), 폴리비닐알코올, 글리세린,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르비톨, 붕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로릴 황산 나트륨(sodium lauryl sulfate), 로릴 벤젠 술폰산 나트륨(lauryl benzene sulfonic acid sodium), 과산화벤조일, 알긴산나트륨, 메틸 살리실 산(methyl salicylic acid) 및 전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합성수지는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및 선형 저밀도폴리에틸렌(LLDPE)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합성수지를 반드시 제한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합성수지의 사용량은 20~35중량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데, 그 이유는 합성수지가 25중량부 미만이 되면 기타 합성수지와 본 발명의 복합 분해 촉진제와의 혼합시 혼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35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복합 분해 촉진제의 사용량을 늘려야 함에 따라 사용자들로 하여금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저밀도폴리에틸렌은 주 연쇄의 측면에 아주 많은 지 연쇄가 있어 밀도가 비교적 낮은 것이며, 선형 저밀도폴리에틸렌은 짧은 지 연쇄를 가지고 있어 물성이 양호하며, 인장강도가 30Mpa에 달하고 800%이상에 달하며 충격강도, 저온충격성 등이 우수한 것으로, 상기 합성수지로서 LDPE와 LLDPE를 함께 사용할 경우 광분해가 빠르게 일어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합성수지로서 저밀도폴리에틸렌 8~15중량부, 선형 저밀도폴리에틸렌 12~20중량부를 사용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기양화제는 복합 분해 촉진제의 단가를 절감하기 위한 것은 물론, 부수적으로 제품의 양과 경도 및 안정성을 개선하여 주고, 분해유도기를 조절하며, 분해과정 시 자체로 분해반응을 일으켜 폴리올레핀 분자연쇄의 단열을 촉진 시키기 위한 것으로, 탄산칼슘(CaCO3)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기양화제의 사용량은 40~60중량부가 바람직한 바, 그 사용량이 40중량부 미만이 되면 단가절감의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 않고, 60중량부를 초과하면 제품의 내충격성 및 성형성이 좋지 못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파라핀 왁스는 분산제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58-60도의 융점을 갖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그 사용량이 0.5~1.5중량부인 바 0.5중량부 미만이 되면 분산제로서의 역할이 어렵고, 1.5중량부를 초과하면 과량이 되어 경제적이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폴리에틸렌 왁스(PE WAX)는 흐름성 개선을 위해 사용되는 바, 상기 폴리에틸렌 왁스는 윤활제로서 화학성질이 안정하며 도전성능이 양호하여 강한 내부 윤활작용을 하는 것이다. 그 사용량은 1.5~2.5중량부가 바람직한 바, 1.5중량부 미만이되면 윤활작용이 어렵고, 2.5중량부를 초과하면 과량이 되어 경제적이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아세틸아세토네이트(acetylacetonate)는 촉매교련제로 사용되는 것으로, 비교적 좋은 상용성과 우련 효과가 있으며, 불안정한 분자가 쉽게 물에 분해하는 첨가제로서, 사용기간 내에는 물성을 제고시켜주고 말기에는 원료의 극성을 파괴시켜 분해를 촉진하는 것이다. 상기 아세틸아세토네이트는 0.01~0.03중량부의 범위 내에서 사용되는 바, 상기 아세틸아세토네이트가 0.01중량부 미만이 되면 그 효과가 미미하게 되고, 0.03중량부를 초과하더라도 더 이상의 증진된 효과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디메틸디티오카바믹 산(dimethyldithiocarbamic acid)은 광양화제로서, 분해과정 시 다방면에서 충분히 광양화 작용을 발생하여 자유기를 산생시켜 폴리올레핀 분자연쇄의 단열을 촉진하기 위한 것은 물론 그 성능이 안정되고 가격이 저렴한 것이다. 상기 디메틸디티오카바믹 산은 0.9~1.2중량부의 범위 내에서 사용되는 바, 상기 디메틸디티오카바믹 산이 0.9중량부 미만이 되면 광양화작용이 충분히 일어나지 않고, 1.2중량부를 초과하면 과량이 되어 비경제적이기 때문이다.
상기 염화철과 스테아린산철(ferric stearate)은 본 발명에서 양화제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그 사용량은 염화철 0.3~0.5중량부 및 스테아린산철(ferric stearate) 2.8~3.3중량부의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염화철이 0.3중량부 미만이거나 스테아린산철이 2.8중량부 미만이 되면 양화제로서 충분한 효과를 갖지 못하고, 0.5중량부나 3.3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오히려 제품의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스테아린산칼슘(calcium stearate)은 윤활제로서 사용되는 바, 상기 스테아린산칼슘은 0.92∼1.4중량부의 범위 내에서 사용된다. 상기 스테아린산칼슘이 0.92중량부 미만이면 그 역할이 미미하게 되고, 1.4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과량이 되어 경제적이지 못하기 때문이다.
상기 스테아린산은 고급지방산으로서, 상기 무기양화제인 탄산칼슘의 산염기 반응을 일으키고, 무기원료인 탄산칼슘 표면의 친수성을 친유성으로 바꾸는 등의 작용을 하는 것으로, 각 첨가제의 혼합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테아린산의 사용량은 0.1~1중량부가 바람직한 바, 상기 사용량이 0.1중량부 미만이 되면 그 효과가 미미하게 되어 첨가제의 혼합이 용이하지 않고, 1중량부를 초과하면 과량이 되기 때문이다.
상기 옥타데카노익 산(octadecanoic acid)은 유화제로 사용되는 것으로, 그 사용량은 0.09~0.17중량부인 바, 사용량이 0.09중량부 미만이 되면 그 역할이 미미하고, 0.17중량부를 초과하면 과량이 되어 그 물성이 오히려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PVA)은 생물분해제로 사용되는 데,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은 완전히 분해되어 COD를 많이 낮출 수 있는 것이다. 생분해 원리로 놓고 말하면 폴리비닐알코올은 물과 생물분해 2가지 종류의 분해성을 가지고 있으며, 먼저 물에 용해되어 교질형태로 되어 토양에 침투하고 토양의 점성, 투기성, 보습성, 특히 모래밭의 개량에 적합하다. 그리고 토양 중의 PVA는 토양 중의 세균에 의하여 분해되는 데, 적어도 2종류의 세균으로 조성된 공생체가 폴리비닐알코올을 분해할 수 있다. 그 일종은 폴리비닐알코올의 활성균이고 다른 일종은 폴리비닐알코올의 활성성균이 필요한 물질을 산생시키는 균으로, 2차 알코올의 양화반응으로 폴리비닐 알코올을 효소촉매화하고 다음에 물분해하여 양화한 폴리비닐알코올의 주 연쇄를 효소절단하며 진일보 분해하여 최종적으로는 이산화탄소와 물로 분해되는 것이다. 이러한 폴리비닐 알코올은 4.8~13중량부의 범위 내에서 사용되는 데, 상기 폴리빈리 알코올이 4.8중량부 미만이면 소량이 되어 생물분해가 어렵고, 13중량부를 초과하면 상대적으로 광양화제가 미미하게 되어 복합분해의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글리세린 역시 생물분해제로서 사용되는 데, 비닐 중 미생물이 성장, 번식하는 원료로 되어 미생물에게 생존환경을 제공하여주며, 온도에 적응성이 좋아 토양과 쓰레기의 상태에서 쉽게 미생물에게 침식되고 곰팡이가 산생되어 붕괴됨으로써, 폴리올레핀 분자 연쇄단열의 조건을 마련해준다. 상기 글리세린은 0.1~1중량부 만큼씩 사용하는 바, 그 사용량이 0.1중량부 미만이되면 생물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없고, 1중량부를 초과하면 상대적으로 광양화제가 부족하게 되어 완전분해가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소르비톨은 촉련제와 교련제로서 사용되는 데, 사용기한 내에는 물성을 제고시켜주고 말기에는 원료의 극성을 파괴시켜 분해를 촉진시키는 것이다.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소르비톨은 각각 0.15~0.55중량부 및 0.05~0.25중량부 만큼 사용되는 바, 상기폴리에틸렌글리콜 및 소르비톨의 사용량이 각각 0.15중량부 및 0.05중량부 보다 적으면 분해촉진의 효과가 미미하게 되고, 0.55중량부 및 0.25중량부를 초과하더라도 더 이상의 분해촉진의 효과가 증진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붕사 및 카르복시메텔셀룰로오스는 유화제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붕사 0.09~0.17중량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0.09~0.17중량부의 범위내에서 사용한다. 상기 붕사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사용량이 각각 0.09중량부 미만이 되면 유화제로서의 역할이 어렵고, 0.17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과량이 되어 제품 물성이 좋지 못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로릴 황산 나트륨(sodium lauryl sulfate) 및 로릴 벤젠 술폰산 나트륨(lauryl benzene sulfonic acid sodium)은 유화제 및 분산제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로릴 황산 나트륨(sodium lauryl sulfate) 및 로릴 벤젠 술폰산 나트륨(lauryl benzene sulfonic acid sodium)은 듀플리케이트 매치(duplicate matches)의 효능을 갖는다. 그 효능이란, 상기 로릴 황산 나트륨과 로릴 벤젠 술폰산 나트륨의 구조식은 R1O-P-(OR2)n 으로, 동일분자 중에 2 종류의 화학기단이 함유되어 있어 저분자재료 중의 극성부분은 상호작용할 수 있게 되고, 폴리에틸렌 중의 적당한 기단과 작용하거나 결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이러한 효능은 제품의 정산 사용기간 내에는 엄격한 안정성을 가지고 있어 유도기가 엄격하게 조절되는 것이며, 사용기간이 지나면 신속히 분해하여 없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로릴 황산 나트륨과 롤릴 벤젠 술폰산 나트륨은 로릴 황산 나트륨 0.17~0.3중량부, 로릴벤젠 술폰산 나트륨 0.09~0.17중량부의 범위 내에서 사용되는 데, 각 사용량 보다 소량으로 사용할 경우 상기한 효능이 미미하게 되고, 과량이 되더라도 더 이상의 효과가 증진되지 않으므로 비경제적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과산화벤조일은 촉매제와 교련제로서 사용되는 데, 상기 과산화벤조일은 비교적 좋은 상용성과 우련효과가 있으며, 쉽게 물에 분해하고, 사용기한 내에는 물성을 제고시켜주고 말기에는 원료의 극성을 파괴시켜 분해를 촉진하는 것으로, 그 사용량은 0.01~0.02중량부이 바람직하다. 과산화벤조일의 사용량이 0.01중량부 미만이 되면 그 역할이 미미하게 되고, 0.02중량부를 초과하더라도 더 이상 분해촉매제로서의 역할이 증진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알긴산나트륨은 유화제 및 안정제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그 사용량은 0.05~0.12중량부이 바람직한 바, 그 사용량이 0.05중량부 미만이 되면 유화제 및 안정제로서의 역할이 미미하게 되고, 0.12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과량이 되어 물성이 좋지 못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메틸 살리실 산(methyl salicylic acid)은 생분해유도제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그 사용량은 0.05~0.15중량부이 바람직한 바, 그 사용량이 0.05중량부 미만이 되면 생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없고, 과량이 되면 비경제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전분은 생분해촉진제로서 사용되는 바, 상기 전분은 분해를 촉진함은 물론 인장강도를 높여주는 역할을 하며, 그 사용량은 5~10중량부가 바람직한 데, 그 사용량이 5중량부 미만이 되면 분해촉진 효과가 미미하게 되고, 1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경제적이지 못하기 때문이다.
즉, 상기한 조성으로서 되는 본 발명의 복합 분해 촉진제는 각 조성물의 상호작용으로서 광양화 작용 및 생분해 작용의 협동작용이 일어나게 됨으로써, 대폭 증강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프라스틱 복합 분해 촉진제는 분해 정도가 비교적 철저하고 , 유도기 조절 가능성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그 구조변화는 주요하게 카르보닐기(>C=0),히드록실기(-OH),하이드로 퍼옥사이드(Hydro peroxide)(-OOH)、카르복실기-COOH)와 이중결합(Duplet bond)(-C=C-)등의 성능 기단을 생성하는 것이며, 폐기시 초기에는 광양화 작용이 일어나게 되어 고분자 체인이 저분자 친수화합물로 되며, 내부구조 역시 느슨하게 되고 후기에는 외부에서 수분을 흡수하여 폐기물의 표면이 팽창습윤상태가되어 미생물 활동을 최대로 할 수 있게 되어, 최종적으로 이산화탄소와 물로 분해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프라스틱 복합 분해 촉진제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앞서 설명한 조성비에 따라 그 조성물을 각각 준비한다.(원료준비단계)
먼저 고속 교반기의 온도를 70∼110℃까지 올린 다음 폴리비닐알코올을 고속교반기에 넣고 2-8분간 고속교반기를 고속운행한다. 이때 상기 고속운행이란 250~1000rpm 정도를 의미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카르복실메틸셀룰루오스, 로릴 벤젠 술폰산 나트륨, 붕사, 폴리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롤, 글리세린, 소르비톨을 순차적으로 첨가하여 고루 혼합하되, 혼합원료의 온도가 100℃가 되면 저속교반기를 내려 보내 냉각시켜 준다.(제1혼합단계)
그리고, 이와는 별도로 상온하에서 탄산칼슘을 고속교반기에 넣고 고속교반기를 고속 운행하다가, 탄산칼슘이 110℃가 되면 우련제인 아세틸아세토네이트와 과산화벤즈오일을 첨가하며, 120℃가 되면 스테아린산을 3~8분 간격으로 첨가하고, 계속 처리(고속교반기)를 진행하며(제2혼합단계), 혼합원료의 온도가 130℃가 되면 혼합원료(제1혼합단계 및 제2혼합단계의 혼합물)를 저속교반기(100~350rpm)로 내려 보내서 냉각을 시켜주고, 순차적으로 나머지 조성물을 투입하여 골고루 혼합(나머지 조성물의 순서는 무관)한다.(제3혼합단계)
상기와 같이 모든 원료의 혼합이 완료되면, 쌍스크류압출기로 압출하여 입자원료를 생산하는 것이다. 이때 스크류의 장경비는 40:1, 회전속도는 100-350회/분, 각 가열구의 온도는 100-170℃ 사이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압출하여 커팅하면 분해촉진제 입자가 생산되는 것이다.(압출 및 커팅단계)
그리고, 상기와 같이 생산된 분해촉진제를 요구에 따라 각종 플라스틱 원료에 균일하게 혼합하여 압출기로 압출하면 분해성 비닐 모료를 생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
LDPE 10kg, LLDPE 14kg, 탄산칼슘 48kg, 파라핀왁스 1kg, PE왁스 2kg, 아세틸아세토네이트 20g, 디메틸디티오카바믹 산 1kg, 염화철 430g, 스테아린산철 3kg, 스테아린산칼슘 1kg, 스테아린 산 500g, 옥타데카노익 산 100g, 폴리비닐알코올 10kg, 글리세린 400g,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g, 소르비톨 100g, 붕사 100g,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100g, 로릴 황산 나트륨 200g, 로릴 벤젠 술폰산 나트륨 100g, 과산화벤조일 14g, 알긴산나트륨 60g, 메틸 살리실 산 100g 및 전분 4kg을 각각 준비하였다.
80℃의 고속교반기에 폴리비닐알코올을 넣고 2분간 고속교반기(500rpm)를 고속운행한 후, 카르복실메틸셀룰루오스, 로릴 벤젠 술폰산 나트륨, 붕사, 폴리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소르비톨을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고루 혼합하였다. 그리고 이와는 별도로 25℃의 온도에서 탄산칼슘, 아세틸아세테이트, 과산화벤조일, 스테아르산을 고속 교반기에 3분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다음으로, 상기에서 각각 혼합한 혼합물을 저속교반기(200rpm)에 함께 투입하고, 순차적으로 나머지 조성물을 1분 간격으로 투입하여 혼합(나머지 조성물의 순서는 상기에서 원료준비 시 기재한 순으로 투입)하였다. 그리고 이를 쌍스크류압출기로 압출하였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생산된 분해촉진제를 PE 200과 혼합하여 PE봉투를 생산하였다.
그리고, 상기 생산한 PE봉투의 물성을 KPS M 1010:2004의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표 1 실시예의 물성측정결과
시험항목 단위 결과치 시험조건
겉모양 - 이상없음 온도:(20±2)℃습도:(65±2)%
치수 두께 평균값 mm 0.029
최대 0.033
최소 0.026
높이 cm 70.0
나비 42.8
인장강도 가로 N/㎟(kgf/㎠) 35.7(364)
세로 40.6(414)
신장률 가로 % 458
세로 307
인열강도 가로 N/㎜(kgf/㎝) 138.2(141)
세로 146.0(149)
접은곳 127.4(130)
접합상태 1.96kPa 견딤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양호한 물리적 성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상기한 쓰레기 봉투를 경작지에 방치하여 봉투의 분해변화를 관찰해 보았다. 관찰결과 30일 경에는 선명한 변화는 없었으며, 50-70일 사이에 선명하게 분해하기 시작하였고 크고 작은 편형으로 파열되었으며, 90일경에는 작은 편형으로 변화하였으며, 120일경에는 완전 분해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5)

  1. 합성수지, 무기양화제, 파라핀왁스, 폴리에틸렌왁스, 아세틸아세토네이트(acetylacetonate), 디메틸디티오카바믹 산(dimethyldithiocarbamic acid), 염화철, 스테아린산철(ferric stearate), 스테아린산칼슘(calcium stearate), 스테아린 산, 옥타데카노익 산(octadecanoic acid), 폴리비닐알코올, 글리세린,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르비톨, 붕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로릴 황산 나트륨(sodium lauryl sulfate), 로릴 벤젠 술폰산 나트륨(lauryl benzene sulfonic acid sodium), 과산화벤조일, 알긴산나트륨, 메틸 살리실 산(methyl salicylic acid) 및 전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스틱 복합 분해 촉진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는 저밀도폴리에틸렌 및 선형 저밀도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무기양화제는 탄산칼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스틱 복합 분해 촉진제.
  3. 제 2항에 있어서,
    합성수지 20~35중량부, 탄산칼슘 40~60중량부, 파라핀왁스 0.5~1.5중량부, 폴리에틸렌왁스 1.5~2.5중량부, 아세틸아세토네이트(acetylacetonate) 0.01~0.03중량부, 디메틸디티오카바믹 산(dimethyldithiocarbamic acid) 0.9~1.2중량부, 염화철 0.3~0.5중량부, 스테아린산철(ferric stearate) 2.8~3.3중량부, 스테아린산칼슘(calcium stearate) 0.92~1.4중량부, 스테아린 산 0.1~1중량부, 옥타데카노익 산(octadecanoic acid) 0.09~0.17중량부, 폴리비닐알코올 4.8~13중량부, 글리세린 0.1~1중량부, 폴리에틸렌글리콜 0.15~0.55중량부, 소르비톨 0.05~0.25중량부, 붕사 0.09~0.17중량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0.09~0.17중량부, 로릴 황산 나트륨(sodium lauryl sulfate) 0.17~0.3중량부, 로릴 벤젠 술폰산 나트륨(lauryl benzene sulfonic acid sodium) 0.09~0.17중량부, 과산화벤조일 0.01~0.02중량부, 알긴산나트륨 0.05~0.12중량부, 메틸 살리실 산(methyl salicylic acid) 0.05~0.15중량부 및 전분 5~10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스틱 복합 분해 촉진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20~35중량부는, 저밀도폴리에틸렌 8~15중량부, 선형 저밀도폴리에틸렌 12~20중량부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스틱 복합 분해 촉진제.
  5. 합성수지, 무기양화제, 파라핀왁스, 폴리에틸렌왁스, 아세틸아세토네이트(acetylacetonate), 디메틸디티오카바믹 산(dimethyldithiocarbamic acid), 염화철, 스테아린산철(ferric stearate), 스테아린산칼슘(calcium stearate), 스테아린 산, 옥타데카노익 산(octadecanoic acid), 폴리비닐알코올, 글리세린,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르비톨, 붕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로릴 황산 나트륨(sodium lauryl sulfate), 로릴 벤젠 술폰산 나트륨(lauryl benzene sulfonic acid sodium), 과산화벤조일, 알긴산나트륨, 메틸 살리실 산(methyl salicylic acid) 및 전분을 준비하는 원료준비단계와,
    고속 교반기에 폴리비닐알코올을 투입하여 고속운행한 후, 상기 카르복실메틸셀룰루오스, 로릴 벤젠 술폰산 나트륨, 붕사, 폴리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소르비톨을 순차적으로 첨가하여 혼합하는 제1혼합단계와,
    고속 교반기에 탄산칼슘, 아세틸아세토네이트, 과산화벤조일, 스테아린산을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균일하게 혼합하는 제2혼합단계와,
    상기 제1혼합단계와 제2혼합단계를 통해 혼합된 혼합물을 저속교반기에 함께 투입하고, 순차적으로 나머지 원료를 투입하여 혼합하는 제3혼합단계와,
    상기 제3혼합단계를 통해 혼합된 혼합물을 압출하여 커팅하는 압출 및 커팅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스틱 복합 분해 촉진제의 제조방법.
PCT/KR2011/005623 2010-08-20 2011-07-29 프라스틱 복합 분해 촉진제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2023715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80741A KR101013453B1 (ko) 2010-08-20 2010-08-20 프라스틱 복합 분해 촉진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0-0080741 2010-08-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23715A2 true WO2012023715A2 (ko) 2012-02-23
WO2012023715A3 WO2012023715A3 (ko) 2012-05-10

Family

ID=43777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1/005623 WO2012023715A2 (ko) 2010-08-20 2011-07-29 프라스틱 복합 분해 촉진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13453B1 (ko)
WO (1) WO2012023715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67556A (zh) * 2016-07-13 2016-11-30 蚌埠市华科机电有限责任公司 一种易降解改性塑料颗粒
CN111040251A (zh) * 2019-11-25 2020-04-21 池州市金艺新材料有限公司 一种低吸油值改性碳酸钙粉体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793B1 (ko) * 2017-01-12 2018-09-21 주식회사 더네이처코리아 플라스틱 분해 촉매제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8199494A1 (ko) * 2017-04-25 2018-11-01 송경재 복합분해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04708B1 (ko) 2017-04-25 2021-01-19 송경재 복합분해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6478495B (zh) * 2023-04-21 2023-09-15 广东丙辛新材料有限公司 一种易生物降解的聚乙烯及其制备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6196B1 (ko) * 1992-12-16 2002-07-27 프로그래머블 라이프 인코포레이티드 합성열가소성중합체조성물및이로부터성형된중합체제품의제조방법
KR100368738B1 (ko) * 1996-12-12 2003-04-21 에스케이 주식회사 생/광분해성 농업용 멀칭필름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 부터 제조된 성형물
KR100602386B1 (ko) * 2003-07-11 2006-07-20 김찬형 복합분해성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복합분해성 열가소성 중합체 제품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07177083A (ja) * 2005-12-28 2007-07-12 Choru Chu Na 光分解性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該組成物からなる使い捨て容器
US7291664B2 (en) * 2000-12-06 2007-11-06 Changtai Han Multicomponent composition for photodegradable and biodegradable plastic articles and the use thereof
KR20080033620A (ko) * 2006-10-12 2008-04-17 (주)네오엠씨씨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중합체의 자연 분해용 첨가제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6196B1 (ko) * 1992-12-16 2002-07-27 프로그래머블 라이프 인코포레이티드 합성열가소성중합체조성물및이로부터성형된중합체제품의제조방법
KR100368738B1 (ko) * 1996-12-12 2003-04-21 에스케이 주식회사 생/광분해성 농업용 멀칭필름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 부터 제조된 성형물
US7291664B2 (en) * 2000-12-06 2007-11-06 Changtai Han Multicomponent composition for photodegradable and biodegradable plastic articles and the use thereof
KR100602386B1 (ko) * 2003-07-11 2006-07-20 김찬형 복합분해성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복합분해성 열가소성 중합체 제품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07177083A (ja) * 2005-12-28 2007-07-12 Choru Chu Na 光分解性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該組成物からなる使い捨て容器
KR20080033620A (ko) * 2006-10-12 2008-04-17 (주)네오엠씨씨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중합체의 자연 분해용 첨가제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67556A (zh) * 2016-07-13 2016-11-30 蚌埠市华科机电有限责任公司 一种易降解改性塑料颗粒
CN111040251A (zh) * 2019-11-25 2020-04-21 池州市金艺新材料有限公司 一种低吸油值改性碳酸钙粉体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1040251B (zh) * 2019-11-25 2021-11-02 池州市金艺新材料有限公司 一种低吸油值改性碳酸钙粉体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23715A3 (ko) 2012-05-10
KR101013453B1 (ko) 2011-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023715A2 (ko) 프라스틱 복합 분해 촉진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548610B (zh) 一种可调控降解速率的生物降解复合材料及其制备与应用
CN113801350A (zh) 一种碳酸钙填充pbat/pla生物降解塑料薄膜及其制备方法
KR101525658B1 (ko) 식품부산물인 소맥피 또는 대두피를 활용한 바이오 매스 필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매스 필름
CN102352064B (zh) 用于促进聚合物光氧化降解和生物降解的双降解添加剂
CN101717537B (zh) 一种聚烯烃薄膜及其制造方法
CN104650506A (zh) 一种可降解的环保塑料
CN102875853A (zh) 一种可降解塑料及其制备方法
WO2018056539A1 (ko)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생분해성 물품
CN105504704B (zh) 乙醇胺活化钠基蒙脱土/聚合物复合生物降解吹膜树脂及制备方法
CN108219406A (zh) 一种阻燃型全降解塑料薄膜及其制备方法
CN112940389A (zh) 一种厌氧降解材料及其制备方法
KR20140094865A (ko) 바이오매스 필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매스 필름
CN112980167A (zh) 一种可降解农用地膜及其制备方法
CN107964215A (zh) 一种安全环保可降解塑料材料及其制备方法
CN104910499A (zh) 一种用碳酸钙为填料的可环境消纳性能塑料制备方法
CN107698950A (zh) 一种具有降解功能的塑料及生产工艺
CN1298777C (zh) 用于塑料的热氧化促降解母料及其制备方法
CN111560139A (zh) 一种医疗防疫隔离用环保石塑中空板材料及其制备方法
JP3773335B2 (ja) 生分解性脂肪族ポリエステル樹脂−でん粉組成物
WO2015170875A1 (en) Wallpaper using pla and pha blend resi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5037877A (zh) 用稀土光敏剂为偶联剂的可环境消纳性能塑料制备方法
CN106700441B (zh) 一种木质素改性pbsa生物降解塑料及其制备方法
KR101032625B1 (ko) 이산화규소 무기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산화 및 생분해성 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08461A (ko) 복합 분해 촉진제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181831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181831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