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2018219A2 - 비가독부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 Google Patents

비가독부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2018219A2
WO2012018219A2 PCT/KR2011/005678 KR2011005678W WO2012018219A2 WO 2012018219 A2 WO2012018219 A2 WO 2012018219A2 KR 2011005678 W KR2011005678 W KR 2011005678W WO 2012018219 A2 WO2012018219 A2 WO 2012018219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unit
read
mobile terminal
reading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1/00567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2018219A3 (ko
Inventor
안명환
Original Assignee
Ahn Myung Hwan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Ahn Myung Hwan filed Critical Ahn Myung Hwan
Priority to US13/814,019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30155094A1/en
Publication of WO2012018219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018219A2/ko
Publication of WO2012018219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018219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3Display of colou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06F40/109Font handling; Temporal or kinetic typography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having a non-reading unit.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unit of a mobile terminal displaying an electronic document. It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 Such an electronic document can read a downloaded file or data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through a terminal.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in which a user can easily read an electronic document by focusing it on the go.
  •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terminal hav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unction of the program, a storage unit for storing various data,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document electronicized by the control unit, the display unit is It provides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ading unit for reading the document clearly and a non-reading unit having a sharpness different from that of the reading unit to read the document clearly.
  • the non-reading portion may have a darker contrast than the read-out portion, and the color difference between the background of the non-reading portion and the letter is smaller than the color difference between the background of the reading portion and the letter.
  • the read portion may have a larger size than the non-read portion.
  • the brightness of the non-readable part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and may have various colors.
  • the display unit may be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and a portion where a touch is detected may be converted into a read unit.
  • the non-reading unit may display a picture file
  • the control unit may display a picture fil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non-reading uni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non-reading unit.
  •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e movement time of the reader in the automatic mode of moving the reader by the controller, and move the reader to the next line.
  • the control unit measures the movement time of the plurality of reading units in the manual mode of moving the read unit by a user input, stores the average value of the movement times of the plurality of reading units in the storage unit, and switches to the automatic mode. It is preferable to move the read part using an average value.
  • the controller may separately store the average valu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displayed character, and move the read unit by using the average valu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haracter when switching to the automatic mode.
  • the electronic document since the readability of the electronic document is improved while moving, the electronic document can be easily read through the mobile terminal without losing a focus.
  • the electronic document content provider can obtain advertising revenues in addition to the contents themselves, the electronic document contents provider can bring a drastic improvement in the profit structure.
  • a mobile terminal specialized for each user may be provided.
  • FIG.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scope of the reading unit is enlarged.
  •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size of the letters of the reading unit is enlarged
  • FIG.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non-reading unit
  • FIG. 6 and 7 are exemplary views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S. 8 and 9 are exemplary views showing an embodiment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executing a manual mode and an automatic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DA, a mobile phone, an e-book, a tablet PC such as an iPad, etc., as a terminal that allows a user to view an electronic document while moving.
  • the mobile terminal forms an appearance and has a main body 100 in which various components are mounted, a button 120 as an input means for controlling a program, a controller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function of a program, and various data.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torage unit (not shown) to be stored and a display unit 200 for displaying a screen.
  • the main body 100 forms an appearance of a mobile terminal, and includes a CPU constituting a controller, a storage unit for storing data, an LED panel constitut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creen, a button 120 as an input means, and the like.
  • the control unit is responsible for driving various programs mounted on the mobile terminal or controlling a communication function with respect to the CPU.
  • the storage unit is configured with a RAM and a flash memory to drive the mobile terminal. Various necessary data are stored.
  • the display unit 200 occupies the largest area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and is preferably provided as a thin film display device such as an LED or an OLED.
  • the display unit 200 includes a read unit 210, a non-read unit 220, and a moving bar 230.
  • the read part 210 is a part in which only a letter part is clearly displayed so as to be clearly read by the conventional display part.
  • the non-reading unit 220 has a sharpness different from that of the reading unit 210 and is a portion displayed so that the character portion cannot be read clearly.
  • the screen In general, to read an electronic document easily and conveniently, the screen should be clear. However, the sharpness of LEDs and OLEDs is currently limited, and electronic ink is also limited. In this situation, on the contrary, decreasing the sharpness of the currently unread portion increases the clarity of the distantly read portion. In addition, the concentration of the part is increased, which makes reading easier.
  • the readability unit 210 Since the user can read while moving the readability unit 210, it is possible to clearly know the part that he or she is currently reading, and from where to start reading again after seeing another place for a while due to the surrounding situation in the vehicle. It's clearly visible, making it easy to carry while reading.
  • the non-reading unit 220 may reduce the sharpness by reducing the color difference between the letters and the background portion.
  • the character display is displayed by the brightness or luminance of each pixel, and when the luminance difference between the luminance of the character portion and the background portion, which is a portion other than the character, is reduced, the character portion is blurred and the sharpness is inferior.
  • the character portion is displayed in black with the lowest brightness, so darken the contrast of the background portion of the non-reading unit 220, and brighten the contrast of the background portion of the reading unit 210, the user is the reading unit 210 This can have the effect of making the reading more concentrated.
  • the display unit 200 includes color information in addition to luminance information.
  •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lor of the character portion of the non-reading unit 220 and the color of the background portion should be smaller than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lor of the character portion of the reading unit 210 and the color of the background portion.
  • the background color of the non-readable part 220 becomes similar to the color of the text part, and the text part of the read part 210 is relatively easy to read.
  • the background color of the non-readable part 220 is the same as the color of the letter part, the letters of the non-readable part 220 are completely invisible. In this case, only the letters of the reading unit 210 may be seen and the concentration may be higher. It is preferable.
  • the reading unit 210 When the reading unit 210 is one line and feels frustrated, the reading unit 210 may have a plurality of lines as shown in FIG. 2.
  • the method of moving the read part 210 may be a method of moving one space by a line of letters or a method of naturally scrolling.
  • the letters in the read part 210 ar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letters in the non-read part 220. This has the same effect as magnifying a letter with a magnifying glass. Therefore, when reading the sentence in the read unit 210 can be read comfortably in larger letters.
  • the display unit is divided into two lines.
  • the non-reading unit 220 may reduce and display the color difference between the background part and the character part.
  • the background color may be left as shown in FIG. 5, and the color of the character part may be displayed as a color similar to that of the background part.
  • the display unit 200 is a black and white screen, the brightness of the text portion may be lowered to reduce the sharpness.
  • the display unit 200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touch screen, and the readout unit 210 is displayed at the top of the display unit 200, and the remaining portions are not rained. It is indicated by the dock 220. In this case, when the display unit 200 is touched, the display unit 200 moves up one line to the read unit 210 as shown in FIG. 7.
  • the area of the non-reading unit may increase and the area of the non-reading unit may be reduced.
  • the movement bar 230 indicates the position of the portion current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0 in the entire electronic document.
  • the moving bar 230 since the size and number of the display unit 200 of the mobile terminal is limited, in order to view the front and rear contents of the por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0, the moving bar 230 must be moved to a position to be viewed. In particular, if there is a diagram or a picture related to the middle of the sentence due to the limited size of the display unit 200 should be seen while raising and lowering the screen again.
  • the non-reading unit 220 may be used to display a picture file related to the non-reading unit 220.
  • the storage unit of the mobile terminal stores a picture file, an audio file, and the like included in the electronic document. Also, such picture file or sound file is matched to a specific character part of the electronic document. Matching characters can be one line or multiple lines. If the specific character portion is displayed on the reader 210 while the user reads the electronic document, the controller displays the picture file matching the specific character portion on the non-reader 220 or outputs an audio file through the speaker.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picture file displayed on the non-reading unit 220 is displayed clearly like the reading unit 210. In addition, the size of the non-reading unit 220 is preferably limited to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to display the picture file.
  • control unit displays a picture file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portion displayed on the read unit in the non-reading unit 220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read unit 210, so that the user reads a sentence and simultaneously reads a related picture. Since it is possible to see the sentence and the picture at the same time without having to check by moving the movement bar 230 one by one.
  • the electronic document viewed through the mobile terminal may be downloaded and stored by the user or may be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 the content provider may distribute the electronic document free of charge, but in the case of the commercial electronic document, the content provider may distribute only the user who paid a certain price. However, there are not many readers who buy electronic documents in euros while paying a certain amount of money while the recognition of electronic documents is still low.
  • an advertisement may be displayed on the non-reading unit 220 of the display unit 200 to drastically change the revenue structure of the content provider. That is, the content provider does not receive the full cost from the reader who purchases the electronic document, but receives the advertising fee from the advertiser who places the advertisement on the electronic document. In this way, content providers can offer their readers an electronic document at no charge or at a very low price, thereby significantly expanding their readership.
  • the control unit moves the reading unit 210 at a predetermined time.
  • the mobile terminal analyzes the usage pattern of the user and provides a specific response to each user by using an adaptive automatic control method corresponding to the user's usage habit.
  • the controller measures a time at which the readout unit 210 moves according to a user's input and stores the time data in the storage unit.
  • the visual data is accumulated while the user repeatedly moves the readout unit 210.
  • 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moving time of the read unit 210 using the time data and calculates the average value. The average value is stored again in the storage unit.
  • the average value is separately calculated according to the type of character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0. That is, in general, since the user has different reading speeds according to Korean, English, or Japanese, the controller determines the type of characters displayed on the read unit 210 and stores and calculates the visual data for each type of character. When the type of the letter is changed, the time data is also changed.
  • the control unit calls the moving time average value corresponding to English from the storage unit.
  • the travel time will be longer.
  • the control unit stores the data by measuring the speed at which the read unit 210 scrolls.
  • the average value of the speed is stored, and when switching to the automatic mode, the reading unit 210 is scrolled using the average value of the speed.
  • the mobile terminal there is a general mode in which the entire display unit 200 is a read unit and a shadow mode in which the non-read unit is activated.
  • the shadow mode is activated, the display is divided into a read part and a non-read part, and the user moves the read part using a button (direction key) and a moving bar (scroll bar) or touches the read part or the non-read part of the display part by hand.
  • the controller recognizes whether a por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s a character, a language, such as Korean, English, Japanese, or the like, through a character code.
  • the read part is displayed based on a line of a sentence, and displays a lower line or an upper line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input means.
  • control unit moves the read unit to a predetermined time corresponding to the user.
  • Moving the reading part means that the sentence displayed on the reading part is changed.
  • the moving time of the read unit may be set separate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문서를 표시하는 이동단말기의 표시부에 가독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어를 하여 이동중에도 보다 편하게 전자문서를 읽을 수 있게 하는 비가독부를 구비한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프로그램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전자화된 문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가지는 이동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문서를 선명하게 읽을 수 있는 가독부 및 상기 가독부와는 다른 선명도를 가져 상기 문서를 선명하게 읽을 수 없는 비가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중에도 전자문서의 가독성이 향상되므로 집중하여 문장을 놓치지 않고 쉽게 이동단말기를 통해 전자문서를 읽을 수 있다.

Description

[규칙 제26조에 의한 보정 25.08.2011] 비가독부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본 발명은 비가독부를 구비한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전자문서를 표시하는 이동단말기의 표시부에 가독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어를 하여 이동중에도 보다 편하게 전자문서를 읽을 수 있게 하는 비가독부를 구비한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집이나 사무실 등 고정된 장소에서만 사용할 수 있던 전기전자기기들이 소형화되고 빠른 무선통신을 이용할 수 있게 되면서 가지고 다니면서 이용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가 급속하게 실생활에 이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스마트폰이 대중화되고 전자책(e-book)이 활성화되면서 종이를 대체하여 전자문서를 이동중에 읽게 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전자문서는 다운받은 파일이나 무선인터넷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단말기를 통해 읽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종이책에 익숙한 사람들이 많아서, LED나 OLED를 통한 작은 화면으로 신문, 성경, 수험서 등의 전자문서를 보는 경우 쉽게 눈의 피로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전자잉크로 제작된 전자책은 종이책의 질감과 가장 근접하다고 하나, 이 또한 역시 이질감을 느끼는 것은 마찬가지이다.
한편, 이러한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전자문서를 보는 때는 버스나 지하철 등 교통수단을 이용하면서 보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 주위환경의 어수선함, 차량의 흔들림 등으로 인하여 이동단말기의 작은 화면을 집중 및 정독하여 읽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문장을 계속하여 읽기가 어렵고, 중간에 어느 부분까지 읽었는지 파악하는데 시간이 걸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이동중에도 전자문서를 보다 집중하여 읽기 쉽게 표시한 이동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프로그램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전자화된 문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가지는 이동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문서를 선명하게 읽을 수 있는 가독부 및 상기 가독부와는 다른 선명도를 가져 상기 문서를 선명하게 읽을 수 없는 비가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비가독부는 상기 가독부에 비해 어두운 명암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비가독부의 배경과 문자와의 색차는 상기 가독부의 배경과 문자와의 색차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독부는 상기 비가독부보다 문자의 크기가 클 수 있다. 또한, 비가독부의 명도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며 다양한 색깔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고, 터치가 감지된 부분이 가독부로 변환될 수 있다.
상기 비가독부에는 그림파일이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독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가독부의 위치에 대응하는 그림파일을 상기 비가독부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가독부를 이동시키는 자동모드에서, 상기 가독부의 이동시간을 판단하여 상기 가독부를 다음 줄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가독부를 이동시키는 수동모드에서, 복수 개의 가독부의 이동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복수 개의 가독부의 이동시간의 평균값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여 두고, 자동모드로 전환시 상기 평균값을 이용하여 가독부를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표시되는 문자의 종류에 따라 상기 평균값을 별도로 저장하여 두고, 자동모드로 전환시 상기 문자의 종류에 따른 평균값을 이용하여 가독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중에도 전자문서의 가독성이 향상되므로 집중하여 문장을 놓치지 않고 쉽게 이동단말기를 통해 전자문서를 읽을 수 있다.
또한, 전자문서 컨텐츠 제공자는 컨텐츠 자체 수입 외에 광고수입을 얻을 수 있으므로 수익구조에 획기적으로 향상된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사용습관에 대응한 적응형(adaptive) 자동 제어방식을 사용함에 따라 사용자 각각에 특화된 이동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는 가독부의 범위를 확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가독부의 글자의 크기를 확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4는 가독부의 스크롤에 의한 이동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5는 비가독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모드 및 자동모드의 실행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이동중에 전자문서를 볼 수 있는 단말기로서 PDA, 휴대폰, 전자책(e-book), 아이패드와 같은 태블릿PC 등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기본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는 외관을 형성하며 각종 부품이 실장되는 본체(100), 프로그램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수단인 버튼(120), 프로그램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미도시) 및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0)는 이동단말기의 외관을 형성하며, 제어부를 구성하는 CPU,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성하는 LED 패널, 입력수단인 버튼(120) 등이 실장된다.
상기 제어부는 CPU를 중심으로 이동단말기에 탑재되어 있는 각종 프로그램을 구동시키거나 통신기능 등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저장부에는 램(RAM), 플래쉬메모리 등으로 구성되어 상기 이동단말기를 구동시키는데 필요한 각종 데이터들이 저장된다.
상기 표시부(200)는 상기 이동단말기의 전면에 가장 큰 면적으로 차지하며, LED, OLED 등의 박막표시장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부(200)는 크게 가독부(210), 비가독부(220) 및 이동바(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독부(210)는 종래 표시부에 의하여 선명하게 읽을 수 있도록 문자부분만 분명하게 표시되는 부분이다. 이에 대하여 상기 비가독부(220)는 상기 가독부(210)와는 다른 선명도를 가져 문자부분을 선명하게 읽을 수 없도록 표시되는 부분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문서를 쉽고 편하게 읽으려면 화면이 선명해야 한다. 하지만, 현재 LED나 OLED의 선명도는 한계가 있으며, 전자잉크도 한계는 있는 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반대로 현재 읽지 않는 부분의 선명도를 떨어뜨리면 현재 읽는 부분의 체감 선명도는 높아진다. 그리고, 그 부분에 대한 집중도가 높아져 읽기가 편하게 되는 것이다.
사용자는 이러한 가독부(210)를 이동시키면서 읽을 수 있으므로 현재 자신이 읽고 있는 부분을 명확히 알 수 있으며, 차량에 탑승하여 주위상황으로 인하여 잠시 다른 곳을 보다가 다시 읽기 시작하여도 어느 부분부터 읽을 지가 선명하게 보이므로 이동시 휴대하면서 읽기가 편해진다.
상기 비가독부(220)는 글자와 배경부분의 색차를 감소시켜 선명도를 저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부(200)가 흑백화면이라면 문자표시는 각 화소의 명도 또는 휘도에 의해서 표시되고, 문자부분의 휘도와 문자 이외의 부분인 배경부분의 휘도차를 작게 하면 문자부분이 희미해져 선명도가 떨어진다.
보통 흑백화면에서 문자부분은 휘도가 가장 낮은 검정색으로 표시되므로 비가독부(220)의 배경부분의 명암을 어둡게 하고, 가독부(210)의 배경부분의 명암을 밝게 하면 사용자로 하여금 가독부(210)를 더욱 집중해서 읽을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상기 표시부(200)가 컬러화면이라면 상기 표시부(200)는 휘도정보 외에 색깔 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비가독부(220)의 문자부분의 색깔과 배경부분의 색깔의 차이가 가독부(210)의 문자부분의 색깔과 배경부분의 색깔의 차이보다 작아야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비가독부(220)의 배경색이 문자부분의 색과 비슷해지고, 상대적으로 가독부(210)의 문자부분이 읽기 편해지는 것이다.
상기 비가독부(220)의 배경색을 문자부분의 색과 동일하게 하면 비가독부(220)의 글자가 완전히 안보이게 된다. 이렇게 되면 가독부(210)의 글자만 보여 집중도는 더 높아질 수 있으나 가독부(210) 이외의 글자가 안 보여 답답함을 느낄수가 있으므로 비가독부(220)에 있는 글자도 선명하지는 않지만 인식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독부(210)가 한 줄로 되어 답답함을 느끼는 경우에는 도 2와 같이 가독부(210)를 복수 개의 줄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독부(210)를 이동시키는 방식은 글자의 줄에 따라 한 칸씩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할 수도 있고 자연스럽게 스크롤되는 방식으로 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가독부(210)에 있는 글자는 비가독부(220)에 있는 글자의 크기보다 크게 된다. 이것은 마치 돋보기로 글자를 확대시킨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가독부(210)에 있는 문장을 읽을 때에 보다 큰 글씨로 편안하게 읽을 수가 있다. 상기 가독부(210)의 글자크기가 커짐에 따라 한 줄에 표시할 수 없는 경우에는 두 줄로 나누어 표시되도록 한다.
상기 가독부(210)를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버튼(120)을 이용하여 이동시키는 방법이 있으나, 상기 표시부(200)가 터치스크린일 경우에는 도 4와 같이 손으로 터치되는 부분을 가독부(210)로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손가락으로 터치된 부분을 이동시키면 상기 가독부(210)도 터치된 부분을 따라 이동되게 할 수 있다.
상기 비가독부(220)는 배경부분과 문자부분의 색차를 감소시켜 표시할 수 있으며, 도 5와 같이 배경색은 그대로 두고, 문자부분의 색을 배경부분의 색과 유사한 색으로 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표시부(200)가 흑백화면이라면 상기 문자부분의 명도를 낮추어 선명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이동단말기의 표시부(200)는 터치스크린으로 구비되며, 상기 표시부(200)의 맨 위쪽에 가독부(210)가 표시되고, 나머지 부분은 비가독부(220)로 표시된다. 이 때, 상기 표시부(200)를 터치하면 도 7과 같이 상기 가독부(210)에 한 줄씩 올라간다.
또한, 다른 예로서 비가독부를 터치하면 가독부의 영역이 늘어남과 동시에 비가독부의 영역이 줄어들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이동바(230)는 전체 전자문서에서 현재 표시부(200)에 표시되는 부분의 위치를 나타낸다.
한편, 상기 이동단말기의 표시부(200)의 크기 및 개수는 한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표시부(200)에 표시되고 있는 부분의 전후 내용을 보려면 상기 이동바(230)를 보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시켜야 한다. 특히, 문장 중간에 관련된 도표나 그림이 있을 경우 표시부(200)의 한정된 크기로 인하여 다시 화면을 올렸다 내렸다 하면서 봐야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비가독부(220)를 이용하여, 상기 비가독부(220)에 관련된 그림파일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이동단말기의 저장부에는 전자문서에 포함되는 그림파일이나 음향파일 등이 저장된다. 또한, 이러한 그림파일이나 음향파일은 상기 전자문서의 특정 문자부분에 매칭되어 있다. 매칭되는 문자부분은 한 줄이 될 수도 있고 여러 줄이 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전자문서를 읽는 동안 상기 특정 문자부분이 가독부(210)에 표시되면 제어부는 상기 특정 문자부분에 매칭되어 있는 그림파일을 비가독부(220)에 표시하거나 음향파일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킨다. 이 때, 상기 비가독부(220)에 표시되는 그림파일은 가독부(210)와 같이 선명하게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비가독부(220)의 크기는 상기 그림파일을 표시할 수 있도록 일정 크기 이상으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독부(210)의 위치에 따라 상기 가독부에 표시되는 문자부분에 대응하는 그림파일을 상기 비가독부(220)에 표시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문장을 읽으면서 동시에 관련된 그림을 보게 되므로 일일이 이동바(230)를 이동시켜 확인하지 않아도 편리하게 문장과 그림을 동시에 볼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이동단말기를 통해 보는 전자문서는 사용자가 다운로드 받아 저장해 둔 것일 수도 있고 무선인터넷을 통해 전송된 데이터일 수도 있다. 이 때, 컨텐츠 제공자는 전자문서를 무료로 배포하는 경우도 있으나, 상업용 전자문서인 경우에는 일정 가격을 지불한 사용자에 대해서만 배포를 한다. 하지만, 아직도 전자문서에 대한 인식이 낮은 상태에서 유로로 된 전자문서를 일정 비용을 지불하면서 사는 독자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9와 같이 표시부(200)의 비가독부(220)에 광고를 표시하여 컨텐츠 제공자의 수익구조를 획기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즉, 컨텐츠 제공자는 전자문서를 구입하는 독자에게 전 비용을 받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전자문서에 광고를 게재하는 광고주에게서 광고비를 받는다. 이러한 방법으로 컨텐츠 제공자는 독자에게 전자문서를 무료 또는 매우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독자층을 비약적으로 확대시킬 수가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가독부(210)를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버튼(120)을 이용하는 방법, 터치하여 이동시키는 방법 등이 있으나, 이것은 일일이 사용자가 이동시켜야 하므로 번거로울 수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이동단말기가 가독부(210)를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자동모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자동모드에서 제어부는 일정 시간마다 상기 가독부(210)를 이동시키게 된다. 이 때, 본 실시예에 의한 이동단말기에서는 사용자의 사용패턴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사용습관에 대응한 적응형(adaptive) 자동 제어방식을 사용함에 따라 사용자 각각에 특화된 반응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가독부(210)를 이동시키는 수동모드에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가독부(210)가 이동되는 시각을 측정하여 상기 시각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하여 둔다. 사용자가 반복하여 가독부(210)를 이동시키는 동안 상기 시각데이터는 축적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시각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가독부(210)의 이동시간을 계산하고 그 평균값을 계산한다. 그리고, 상기 평균값은 저장부에 다시 저장된다.
이 때, 상기 평균값은 표시부(200)에 표시되는 문자의 종류에 따라 별도로 계산된다. 즉,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한글, 영문 또는 일문 등에 따라 읽는 속도가 다르므로 제어부는 상기 가독부(210)에 표시되는 문자의 종류를 판별하고 문자의 종류별로 상기 시각데이터를 저장하고 계산한다. 상기 문자의 종류가 바뀌게 되면 시각데이터도 바뀌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자동모드에서 한글로 된 문장이 표시되다가 영어로 된 문장이 표시되면 데이터의 종류가 바뀌게 되어 제어부에서는 영어에 해당하는 이동시간 평균값을 저장부로부터 호출하게 되어 가독부(210)의 이동시간이 더욱 길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가독부(210)의 이동이 한 줄씩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부드럽게 스크롤되면서 이동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수동모드에서 제어부는 상기 가독부(210)가 스크롤되는 속도를 측정하여 데이터를 축적한다. 또한, 상기 속도의 평균값을 저장하여 두고, 자동모드로 전환시 상기 속도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상기 가독부(210)를 스크롤시킨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단말기에서는 표시부(200) 전체를 가독부로 하는 일반모드와 비가독부를 활성화시키는 섀도우(shadow) 모드가 있다. 섀도우 모드를 활성화시키면 표시부는 가독부와 비가독부로 나뉘어 표시되며, 사용자는 버튼(방향키), 이동바(스크롤바)를 이용하여 가독부를 이동시키거나 손으로 표시부의 가독부 또는 비가독부를 터치하여 이동시킬 수도 있다.
상기 섀도우 모드에서 제어부는 문자코드를 통해 표시부에 표시되는 부분이 한글, 영어, 일본어 등 문자, 언어 등의 여부를 인식한다. 또한, 상기 가독부는 문장의 라인을 중심으로 표시되며, 입력수단의 입력에 따라 아래라인 또는 윗라인을 표시하게 된다.
사용자가 자동모드를 활성화시키면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에 대응한 일정 시간으로 가독부를 이동시킨다. 가독부를 이동시키는 것은 상기 가독부에 표시되는 문장이 변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자동모드에서 사용자가 표시부를 터치하거나 버튼을 누르면 일시 정지될 수 있으며, 가독부의 이동시간을 별도로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프로그램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전자화된 문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가지는 이동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문서를 선명하게 읽을 수 있는 가독부 및 상기 가독부와는 다른 선명도를 가져 상기 문서를 선명하게 읽을 수 없는 비가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가독부는 상기 가독부에 비해 어두운 명암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가독부의 배경과 문자와의 색차는 상기 가독부의 배경과 문자와의 색차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독부는 상기 비가독부보다 문자의 크기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고, 터치가 감지된 부분이 가독부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가독부에는 그림파일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독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가독부의 위치에 대응하는 그림파일을 상기 비가독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가독부를 이동시키는 자동모드에서, 상기 가독부의 이동시간을 판단하여 상기 가독부를 다음 줄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가독부를 이동시키는 수동모드에서, 복수 개의 가독부의 이동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복수 개의 가독부의 이동시간의 평균값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여 두고, 자동모드로 전환시 상기 평균값을 이용하여 가독부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표시되는 문자의 종류에 따라 상기 평균값을 별도로 저장하여 두고, 자동모드로 전환시 상기 문자의 종류에 따른 평균값을 이용하여 가독부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PCT/KR2011/005678 2010-08-03 2011-08-02 비가독부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WO2012018219A2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814,019 US20130155094A1 (en) 2010-08-03 2011-08-02 Mobile terminal having non-readable pa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823 2010-08-03
KR1020100074823A KR101058268B1 (ko) 2010-08-03 2010-08-03 비가독부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18219A2 true WO2012018219A2 (ko) 2012-02-09
WO2012018219A3 WO2012018219A3 (ko) 2012-04-19

Family

ID=44921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1/005678 WO2012018219A2 (ko) 2010-08-03 2011-08-02 비가독부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30155094A1 (ko)
KR (1) KR101058268B1 (ko)
WO (1) WO201201821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61961B2 (en) 2012-06-07 2016-02-16 Nook Digital, Llc Accessibility aids for users of electronic devices
US20140026101A1 (en) 2012-07-20 2014-01-23 Barnesandnoble.Com Llc Accessible Menu Navigation Techniques For Electronic Devices
US20140215339A1 (en) * 2013-01-28 2014-07-31 Barnesandnoble.Com Llc Content navigation and selection in an eyes-free mode
US9971495B2 (en) * 2013-01-28 2018-05-15 Nook Digital, Llc Context based gesture delineation for user interaction in eyes-free mode
US20160011731A1 (en) * 2014-07-11 2016-01-14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Revealing Content on an Electronic Device Display
JP6888245B2 (ja) * 2016-05-19 2021-06-1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文章表示装置、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9506A (ja) * 1998-09-25 2000-04-07 Hitachi Ltd 情報処理システム
KR20050096883A (ko) * 2005-09-13 2005-10-06 (주)드림투리얼리티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의 컨텐츠 자동 최적화장치
KR20060061463A (ko) * 2004-12-02 2006-06-08 주식회사 팬택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스크롤 시스템 및 방법
JP2010157085A (ja) * 2008-12-26 2010-07-15 Fujitsu Ltd 文書表示装置、携帯端末装置、文書表示方法及び文書表示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8327A (en) * 1973-10-17 1975-04-15 Westinghouse Electric Corp Television system for improving reading skills
SE515805C2 (sv) * 1998-12-23 2001-10-08 Tomas Dalstroem Anordning för att understödja läsning av en text från ett visningsorgan
US20010026248A1 (en) * 1999-11-30 2001-10-04 Andrew Gor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isual display security
US8271865B1 (en) * 2005-09-19 2012-09-18 Google Inc. Detection and utilization of document reading speed
US8360779B1 (en) * 2006-12-11 2013-01-29 Joan Brennan Method and apparatus for a reading focus card
US8303309B2 (en) * 2007-07-13 2012-11-06 Measured Progress, Inc. Integrated interoperable tools system and method for test delivery
US20090144654A1 (en) * 2007-10-03 2009-06-04 Robert Brouwer Methods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content consumption
US8135574B2 (en) * 2007-11-15 2012-03-13 Weikel Bryan T Creating and displaying bodies of parallel segmented text
EP2499626A1 (en) * 2009-11-10 2012-09-19 Dulcetta, Inc. Dynamic audio playback of soundtracks for electronic visual works
US20110167350A1 (en) * 2010-01-06 2011-07-07 Apple Inc. Assist Features For Content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9506A (ja) * 1998-09-25 2000-04-07 Hitachi Ltd 情報処理システム
KR20060061463A (ko) * 2004-12-02 2006-06-08 주식회사 팬택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스크롤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96883A (ko) * 2005-09-13 2005-10-06 (주)드림투리얼리티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의 컨텐츠 자동 최적화장치
JP2010157085A (ja) * 2008-12-26 2010-07-15 Fujitsu Ltd 文書表示装置、携帯端末装置、文書表示方法及び文書表示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4364A (ko) 2011-07-22
WO2012018219A3 (ko) 2012-04-19
KR101058268B1 (ko) 2011-08-22
US20130155094A1 (en) 201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018219A2 (ko) 비가독부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US20130027302A1 (en)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document control program, and electronic document control method
KR101320504B1 (ko) 휴대 단말기
US8912986B2 (e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5980801B2 (ja) リスト表示方法及び装置
US20150061968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user terminal apparatus thereof, and expanded display system
US2014025037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CN1533637A (zh) 协调在具有两个或多个显示器的设备上显示的图像
US20130111334A1 (en) Electronic device and p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US9639514B2 (en) Information brows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for computer to read, storing computer program
WO2011028001A2 (ko) 다중 페이지를 가지는 문서를 디스플레이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CN102859484A (zh) 与便携式电子设备上的可滚动区域交互的方法
CN101911005A (zh) 文档打印技术
WO2013183849A1 (ko) 반사형 디스플레이 및 이를 이용한 전자펜 시스템
CN101910998A (zh) 信息处理设备和程序
TW201035820A (en) Electronic book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0783504B1 (ko) 투명필름을 이용한 전자도서 및 도서 인식 방법
CN106293205B (zh) 一种屏幕污渍应对装置及其方法
WO2013183850A1 (ko) 광학필름 및 이를 이용한 전자펜 시스템
CN116149765A (zh) 确定墨水屏的刷新模式的方法、电子设备和存储介质
WO2010018965A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a display module in a portable terminal
CN110737323A (zh) 屏幕显示方法、装置、存储介质以及终端
CN101943986A (zh) 移动装置金融看盘软件自选股报价版面留白区域配置方法
KR20120012947A (ko) 비가독부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EP261832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and screen control device and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181481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3814019

Country of ref document: US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181481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