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2005424A1 -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2005424A1
WO2012005424A1 PCT/KR2010/009534 KR2010009534W WO2012005424A1 WO 2012005424 A1 WO2012005424 A1 WO 2012005424A1 KR 2010009534 W KR2010009534 W KR 2010009534W WO 2012005424 A1 WO2012005424 A1 WO 201200542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resin
weight
flame retardant
char
fl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0/00953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상혁
조사은
이돈근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 주식회사
Priority to EP10854495.8A priority Critical patent/EP2592109A4/en
Publication of WO201200542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005424A1/ko
Priority to US13/735,110 priority patent/US20130119327A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16Making expandable particles
    • C08J9/18Making expandable particles by impregnating polymer particles with the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1/00Fireproofing materials
    • C09K21/14Macromolecula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foam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1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characterized by the use of several polymeric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6Use of inorganic 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08J9/1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organic
    • C08J9/141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6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22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 C08K7/24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8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 C08L71/10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from phenols
    • C08L71/12Polyphenyl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1/00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 C08J2201/02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pre- or post-treatments
    • C08J2201/03Extrusion of the foamable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3/00Foams characterized by the expanding agent
    • C08J2203/14Saturated hydrocarbons, e.g. butane; Unspecified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J23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J23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1/08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 C08J2371/10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from phenols
    • C08J2371/12Polyphenyl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6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carbonates;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5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particle size in general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me-retardant expanded polystyrene beads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me-retardant expanded polystyrene bead exhibiting excellent flame retardancy, heat insulation performance and excellent mechanical strength by introducing a char-generating thermoplastic resin and inorganic foam particles into a styrene resi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foamed molded articles of expandable polystyrene have high strength, light weight, buffering capacity, waterproofness, thermal insulation, and heat insulation, and are used as packaging materials for household appliances, agricultural product boxes, rich people, and home insulation materials.
  • more than 70% of the domestic demand for foam polystyrene is used as a core material for housing insulation or sandwich panels.
  • Korean Patent No. 0602196 discloses a metal hydroxid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uminum hydroxide (Al (OH) 3), magnesium hydroxide (Mg (OH) 2), and mixtures thereof in polystyrene foam particles, a thermosetting liquid phenol resin, and phenol.
  •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lame retardant polystyrene foam resin particle comprising coating and crosslinking a resin curing catalyst.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ame-retardant expanded polystyrene bead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can use a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 without a separate styrene polymerization process or a flame retardant coating process.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ame-retardant expanded polystyrene beads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which can be produced with little equipment investment without causing environmental pollution.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obtaining a high yield of flame retardant expanded polystyrene beads of a desired size.
  • the char-generating thermoplastic resin (a2)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carbonate, polyphenylene ether, polyurethane, polyphenylene sulfide, polyester, polyimide.
  • the inorganic foam particles (B)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xpanded graphite, silicate, pearlite and white sand.
  • the inorganic foam particles (B) may be about 3 to 5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ixed resin particles (A).
  • the foam (C) is about 3 to 8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ixed resin particles in which the inorganic foam particles are dispersed, flame-retardant expanded polystyrene beads.
  • the styrene resin may be a homopolymer of a styrene monomer, a copolymer of a styrene monomer and a monomer copolymerizable therewith, or a mixture thereof.
  • the mixture may be a styrene-based resin and another resin.
  • a copolymer of poly (2,6-dimethyl-1,4-phenylene) ether and poly (2,3,6-trimethyl-1,4-phenylene) ether and poly (2,6-dimethyl- 1,4-phenylene) ether is used, of which poly (2,6-dimethyl-1,4-phenylene) ether is most preferred.
  • the thermoplastic polyurethane may be prepared by reacting a diisocyanate with a diol compound, and may include a chain transfer agent as necessary.
  • a diisocyanate an aromatic, aliphatic and alicyclic diisocyanate compound can be used.
  • the inorganic foam particles (B) may have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about 170 to 1,000 ⁇ m. It can act as a char forming agent in the above range to obtain the desired flame retardancy,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desired mechanical strength and thermal conductivity. It is preferably about 200 to 750 ⁇ m, more preferably about 300 to 650 ⁇ m.
  • the expanded graphite may be prepared by inserting an intercalable chemical species between the layered crystal structures of graphite and then treating it with heat treatment or microwaves.
  • the graphite is treated with an oxidizing agent to introduce species such as SO 3 2- and NO 3 - between the graphite layers to form an interlayer compound, and the graphite on which the interlayer compound is formed is rapidly heated or irradiated with microwaves to Gasification of the bound species can then be made by expanding the graphite hundreds to thousands of times by its pressure, which is readily commercially availab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는 (A) (a1) 스티렌계 수지 약 90 내지 99 중량%; 및 (a2) 챠르(char)생성 열가소성 수지 약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혼합 수지; (B) 상기 혼합 수지 내에 분산된 무기 발포체 입자; 및 (C) 상기 무기 발포체 입자가 분산된 혼합 수지에 함침된 발포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로 제조된 발포체는 우수한 난연성, 단열성능, 기계적 강도를 나타낸다.

Description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스티렌계 수지에 챠르(char)생성 열가소성 수지와 무기 발포체 입자를 도입하여 우수한 난연성, 단열성능 및 탁월한 기계적 강도를 나타내는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포성 폴리스티렌의 발포 성형품은 높은 강도, 경량성, 완충성, 방수성, 보온성 및 단열성이 우수하여 가전제품의 포장재, 농수산물 상자, 부자, 주택 단열재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 특히 발포성 폴리스티렌은 국내 수요의 70% 이상이 주택 단열재나 샌드위치 판넬의 심재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근래에 들어서 발포성 폴리스티렌은 화재 유발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어서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따라서, 발포성 폴리스티렌을 주택 단열재 등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난연재료 수준의 난연성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0602205호에서는 폴리스티렌 발포체 입자에 팽창흑연, 열경화성 수지 및 경화촉매를 코팅, 경화시켜 불연성 난연 폴리스티렌 발포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0602196호에서는 폴리스티렌 발포입자에 수산화 알루미늄( Al(OH)₃), 수산화 마그네슘( Mg(OH)₂),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수산화 금속 화합물, 열경화성 액상 페놀수지, 페놀수지 경화촉매를 코팅, 가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난연 폴리스티렌 발포체 수지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들은 열경화성 수지로 발포 비드 표면을 가교시키는데, 이로 인해 스팀에 의한 2차 발포를 저해시켜, 성형체(패널)를 만드는 과정에서 입자 간의 융착 및 강도 저하를 야기시키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특허들은 페놀, 멜라민과 같은 열경화성 수지의 사용으로 인해 환경오염을 발생시키고, 열경화성 수지 또는 무기물을 코팅하기 위한 설비 투자, 무기물에 의한 수지의 물성 저하 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환경 오염을 방지하면서 성형체를 만드는 과정에서 융착 및 강도 저하를 막을 수 있는 난연 발포성 폴리스티렌 발포 수지의 제조방법에 대한 요구가 계속되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기소화성 난연이 아닌 KS F ISO 5660-1에서 난연 재료 이상의 우수한 난연성을 갖는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스티렌 중합 공정, 난연제 코팅 공정 없이 기존의 상용화된 제품을 사용할 수 있는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우수한 난연성, 단열성능 및 탁월한 기계적 강도를 나타내는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환경오염을 야기시키지 않고 적은 설비투자만으로 제조가능한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우수한 가공성을 갖는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하는 크기의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를 고수율로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탄소입자 함유율을 높일 수 있고 별도 선별 단계가 필요하지 않는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를 이용한 난연 폴리스티렌 발포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를 이용하여 난연성, 열전도도 및 기계적 강도의 물성 발란스가 뛰어나 샌드위치 판넬에 적합한 난연 폴리스티렌 발포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상세히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는 (A) (a1) 스티렌계 수지 약 90 내지 99 중량%; 및 (a2) 챠르(char) 생성 열가소성 수지 약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혼합 수지; (B) 상기 혼합 수지 내에 분산된 무기 발포체 입자; 및 (C) 상기 무기 발포체 입자가 분산된 혼합 수지에 함침된 발포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예에서 상기 스티렌계 수지(a1)는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180,000 내지 300,000 g/mol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챠르(char)생성 열가소성 수지(a2)는 주쇄에 산소결합 또는 방향족기를 갖거나 혹은 산소결합과 방향족기를 모두 가질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챠르(char)생성 열가소성 수지(a2)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페닐렌 에테르, 폴리우레탄,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챠르(char)생성 열가소성 수지(a2)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무기 발포체 입자(B)는 팽창흑연, 규산염, 퍼얼라이트 및 백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무기 발포체 입자(B)는 혼합 수지 입자(A)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3 내지 5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무기 발포체 입자(B)는 평균입경이 약 170 내지 1,000 ㎛일 수 있다.
상기 발포체(C)는 상기 무기 발포체 입자가 분산된 혼합 수지 입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3 내지 8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상기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는 블로킹방지제, 핵제, 산화방지제, 탄소 입자, 충전제, 대전방지제, 가소제, 안료, 염료, 열안정제, UV 흡수제 및 난연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는 평균입경이 약 0.5 내지 3 mm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로부터 형성된 발포체는 50 mm 두께의 샘플을 KS F ISO 5660-1에 따라 콘히터의 복사열 50kW/㎡ 에서 5분간 가열 후 측정된 잔류층 두께가 균열 발생 없이 약 10 mm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법은 (a1) 스티렌계 수지, (a2) 챠르(char)생성 열가소성 수지 및 (B) 무기 발포체 입자를 혼합하여 혼합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 조성물을 압출하고; 상기 압출된 혼합 조성물에 발포제로 함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예에서 상기 혼합 조성물은 (a1)스티렌계 수지 약 90 내지 99 중량%; 및 (a2)챠르(char)생성 열가소성 수지 약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혼합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B)무기 발포체 입자 3 내지 30 중량부이다.
상기 (a1) 스티렌계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180,000 내지 300,000 g/mol인 수지 펠렛일 수 있다.
상기 (a1) 스티렌계 수지는 핵제, 산화방지제, 탄소 입자, 충전제, 대전방지제, 가소제, 안료, 염료, 열안정제, UV 흡수제 및 난연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첨가제가 포함된 펠렛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혼합 조성물은 블로킹방지제, 핵제, 산화방지제, 탄소 입자, 충전제, 대전방지제, 가소제, 안료, 염료, 열안정제, UV 흡수제 및 난연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첨가제를 첨가하여 압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난연성이 우수하고, 별도의 스티렌 중합 공정이나 난연제 코팅 공정 없이 기존의 상용화된 제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우수한 난연성, 단열성능 및 탁월한 기계적 강도를 나타내고, 환경오염을 야기시키지 않고 적은 설비투자만으로 제조가능하며, 우수한 가공성을 가지고, 원하는 크기의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를 고수율로 얻을 수 있으며, 탄소입자 함유율을 높일 수 있고 별도 선별 단계가 필요하지 않는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는 (A) (a1) 스티렌계 수지 및 (a2) 챠르(char) 생성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혼합 수지; (B) 상기 혼합 수지 내에 분산된 무기 발포체 입자; 및 (C) 상기 무기 발포체 입자가 분산된 혼합 수지에 함침된 발포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 혼합 수지
본 발명의 혼합 수지(A)는 (a1) 스티렌계 수지 약 90 내지 99 중량%; 및 (a2) 챠르(char) 생성 열가소성 수지 약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a1) 스티렌계 수지
상기 스티렌계 수지는 스티렌계 단량체의 호모폴리머, 스티렌계 단량체와 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는 스티렌계 수지와 다른 수지와의 혼합물일 수 있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상기 (a1) 스티렌계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 약 180,000∼300,000 g/mol인 스티렌계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단열재 제조 시 우수한 가공성 및 기계적 강도를 가지는 장점이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a1) 스티렌계 수지는 범용 폴리스티렌(GPPS), 고충격폴리스티렌(HIPS)수지, 스티렌 단량체와 α-메틸스티렌의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AN), 스티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스티렌계 수지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의 블렌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이중 바람직하기로는 범용 폴리스티렌(GPPS), 고충격폴리스티렌(HIPS)수지 수지이다.
(a2) 챠르(char) 생성 열가소성 수지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a2) 챠르(char) 생성 열가소성 수지는 주쇄에 산소결합을 갖거나 방향족기를 가질 수 있으며, 혹은 산소결합과 방향족기 모두를 가질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a2) 챠르(char) 생성 열가소성 수지로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페닐렌 에테르, 폴리우레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는 PPS나 PET, PBT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이미드 등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지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로서는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10,000 내지 30,000 g/mol 인 것을 들 수 있으며, 약 15,000 내지 25,000 g/mol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페닐렌 에테르로는 폴리(2,6-디메틸-1,4-페닐렌)에테르, 폴리(2,6-디에틸-1,4-페닐렌)에테르, 폴리(2,6-디프로필-1,4-페닐렌)에테르, 폴리(2-메틸-6-에틸-1,4-페닐렌)에테르, 폴리(2-메틸-6-프로필-1,4-페닐렌)에테르, 폴리(2-에틸-6-프로필-1,4-페닐렌)에테르, 폴리(2,6-디페닐-1,4-페닐렌)에테르, 폴리(2,6-디메틸-1,4-페닐렌)에테르와 폴리(2,3,6-트리메틸-1,4-페닐렌)에테르의 공중합체, 및 폴리(2,6-디메틸-1,4-페닐렌)에테르와 폴리(2,3,5-트리에틸-1,4-페닐렌)에테르의 공중합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폴리(2,6-디메틸-1,4-페닐렌)에테르와 폴리(2,3,6-트리메틸-1,4-페닐렌)에테르의 공중합체 및 폴리(2,6-디메틸-1,4-페닐렌)에테르가 사용되며, 이중에서 폴리(2,6-디메틸-1,4-페닐렌)에테르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페닐렌 에테르의 고유점도는 약 0.2 내지 0.8 dl/g 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안정성이나 작업성이 우수하다.
상기 폴리페닐렌 에테르는 높은 유리전이온도로 인해 스티렌계 수지와 혼합할 경우 보다 높은 내열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스티렌계 수지와 모든 비율로 혼화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은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디올 화합물을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연쇄이동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로는 방향족, 지방족 및 지환족의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4-톨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 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틸비페닐-4,4'-디이소시아네이트, o-, m- 또는 p-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 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도데칸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디이소시아네이트류를 들 수 있다.
상기 디올 화합물로는 폴리에스테르 디올, 폴리카프로락톤 디올, 폴리에테르 디올, 폴리카보네이트 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예컨대,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필렌 글리콜, 1,3-프로필렌 글리콜, 부탄 1,2-디올, 부탄 1,3-디올, 부탄 1,4-디올, 부탄 2,3-디올, 부탄 2,4-디올, 헥산 디올, 트리메틸렌 글리콜, 테트라 메틸렌 글리콜, 헥센글리콜 및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테트라 메틸렌 에테르 글리콜, 디히드록시 폴리에틸렌 아디페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등을 들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a2) 챠르(char) 생성 열가소성 수지는 혼합 수지(A)중 약 1 내지 10 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만일 a2) 챠르(char) 생성 열가소성 수지가 약 1 중량% 미만 사용 시에는 Char 발생 저하에 따라 난연이 저하될 수 있고, 약 10 중량% 초과 시에는 단열재 제조 시 높은 유리전이온도로 인해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약 7.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4 내지 약 7중량% 이다.
(B) 무기 발포체 입자
상기 무기발포체 입자는 팽창흑연, 규산염, 퍼얼라이트, 백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다.
본 발명에서 무기 발포체 입자는 챠르 형성제(char former)로 작용한다. 따라서 수지와 용융 압출시 깨지지 않고 형태를 유지하여야 하고, 난연성과 기계적 강도 및 열전도성을 만족하기 위해 일정한 크기를 가질 것이 요구된다.
상기 무기 발포체 입자(B)는 평균입경이 약 170 내지 1,000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챠르 형성제 역할을 할 수 있어 원하는 난연성을 얻을 수 있고, 목적하는 기계적 강도와 열전도도를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약 200 내지 7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00 내지 650 ㎛이다.
상기 팽창흑연은 층간에 삽입 가능한 화학종을 흑연의 층상 결정 구조사이에 삽입시킨 후에 이를 열처리 또는 마이크로파로 처리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는 흑연을 산화제로 처리하여 흑연층 사이에 SO3 2- , NO3 - 와 같은 화학종을 도입하여 층간 화합물을 형성시키고, 이러한 층간 화합물이 형성된 흑연을 빠르게 가열하거나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층간에 결합된 화학종을 가스화시킨 후 그 압력에 의해 흑연을 수백배 내지 수천배로 팽창시켜 제조할 수 있으며, 상업적 구입이 용이하다.
본 발명에서는 약 200 ℃이상에서 팽창하는 팽창흑연을 사용한다. 약 200 ℃이상에서 팽창하는 팽창흑연을 적용할 경우, 중합 반응시 팽창 흑연 입자가 변형되거나 깨지지 않아 챠르 형성제(char former)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약 25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65 ℃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00 ℃ 이상에서 팽창하는 팽창흑연을 사용한다. 구체예에서는 팽창온도가 약 310 내지 900 ℃ 이다.
상기 규산염으로는 유기화 층상실리케이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규산나트륨, 리튬실리케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규산염은 차르(char)를 형성하여 차단막을 형성하여 난연성을 극대화시킨다. 이러한 유기화 층상실리케이트는 스멕타이트(smectite)계, 카오린나이트(kaolinite)계, 일라이트(illite)계 등의 점토를 유기화하여 개질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점토로는 예컨대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헥토라이트(hectorite), 사포나이트(saponite),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 카오리나이트(kaolinite), 하이드로마이카(hyromicas)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토를 유기화하는 개질제로는 알킬아민염 또는 유기인산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알킬아민염으로는 디도데실암모 늄염, 트리도데실암모늄염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인산염은 테트라부틸인산염, 테트라페닐인산염, 트리페닐헥사데실인산염, 헥사데실트리부틸인산염, 메틸트리페닐인산염, 에틸트리페닐인산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알킬아민염 또는 유기인산염은 층상실리케이트의 층간 금속이온과 치환되어 층간 거리를 벌려주며 층상실리케이트의 물성을 유기물과 친화성이 있게 변화시켜 수지와 혼련이 가능하게 한다.
구체예에서는 유기화 층상실리케이트로서 몬모릴로나이트를 C12-C20 의 알킬아민염으로 개질(modified)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유기화 몬모릴로나이트(이하 m-MMT로 표기함)는 층간에 Na + 대신에 디메틸 디하이드로게네이티드 탈로우 암모늄(dimethyl dihydrogenated tallow ammonium)으로 유기화될 수 있다.
상기 퍼얼라이트(Perlite)는 열처리된 팽창 퍼얼라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팽창 퍼얼라이트는 퍼얼라이트를 약 870 ~ 1100℃ 정도의 열을 가하면, 수분을 포함하는 휘발성분이 기화하면서 생기는 증발압력이 각각의 과립(granule)입자를 원형의 유리질 입자로 약 10 ~ 20 배 정도 팽창하여 제조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팽창된 퍼얼라이트(Expanded Perlite)는 비중이 0.04 ~ 0.2 g/cm2 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우수한 분산성을 갖는다.
상기 백사는 발포백사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무기 발포체 입자(B)는 혼합 수지 입자(A)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3 내지 50 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다. 무기 발포체 입자를 50 중량부 초과 사용시에는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3 중량부 미만 사용시에는 난연성능의 저하될 수 있다.
(C) 발포제
상기 발포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으며, C3-6 의 탄화수소, 예컨대 프로판, 부탄 이소부탄, n-펜탄, 이소펜탄, 네오펜탄, 시클로펜탄, 헥산, 시클로헥산;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등과 같은 할로겐화 탄화수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중 펜탄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포체는 혼합 수지(A)와 무기발포체 입자(B)가 혼합된 전체 100 중량부((A)+(B))에 대하여, 약 3 내지 8 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우수한 가공성 가지는 장점이 있다.
상기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는 통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는 블로킹방지제, 핵제, 산화방지제, 탄소 입자, 충전제, 대전방지제, 가소제, 안료, 염료, 열안정제, UV 흡수제, 난연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함께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블로킹방지제는 발포시 입자끼리 달라붙거나, 단열재 제조시 융착이 쉽게 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물질로, 예로는 에틸렌-비닐아세트산 공중합물 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핵제로는 폴리에틸렌 왁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난연제로는 트리스(2,3-디브로모프로필) 포스페이트, 트리페닐포스페이트, 비스페놀 에이 디페닐포스페이트와 같은 인계 난연제 또는 헥사브로모사이클로도데칸, 트리브로모페닐 알릴에테르와 같은 할로겐계 난연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비스페놀 에이 디페닐포스페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법은 (a1) 스티렌계 수지, (a2) 챠르(char)생성 열가소성 수지 및 (B) 무기 발포체 입자를 혼합하여 혼합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 조성물을 압출하고; 상기 압출된 혼합 조성물에 발포제로 함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예에서 상기 혼합 조성물은 (a1)스티렌계 수지 약 90 내지 99 중량%; 및 (a2)챠르(char)생성 열가소성 수지 약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혼합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B)무기 발포체 입자 약 3 내지 5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a1) 스티렌계 수지는 펠렛 형태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즉 기존의 상용화된 스티렌계 수지 펠렛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스티렌 중합공정이 필요하지 않고 기존 제품을 활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는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180,000 내지 300,000 g/mol인 스티렌계 수지 펠렛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는 상기 스티렌계 수지 펠렛은 필요에 따라 핵제, 산화방지제, 탄소 입자, 충전제, 대전방지제, 가소제, 안료, 염료, 열안정제, UV 흡수제, 난연제 등이 첨가될 수 있다. 이들 첨가제는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a1) 스티렌계 수지는 핵제, 산화방지제, 탄소 입자, 충전제, 대전방지제, 가소제, 안료, 염료, 열안정제, UV 흡수제 및 난연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첨가제가 포함된 펠렛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티렌계 수지가 포함된 제1 펠렛에 (a2)챠르(char)생성 열가소성 수지와 (B) 무기 발포체 입자를 혼합하여 혼합 조성물을 제조한다.
종래에는 무기 발포체 입자를 발포 입자 외부에 코팅하거나 중합 공정시 첨가하였다. 그러나, 중합 공정 시 무기 발포체를 첨가할 경우, 입자의 응집이나, 깨짐 현상이 발생하여 첨가량을 늘릴 수 없고. 발포 입자 외부에 코팅할 경우에는 최종 성형품의 강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스티렌의 중합을 완료하여 얻은 제1펠렛에 무기 발포체를 혼합함으로서, 입자의 응집이나 깨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종 성형품의 강도저하를 예방할 수 있다.
상기 혼합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블로킹방지제, 핵제, 산화방지제, 탄소 입자, 충전제, 대전방지제, 가소제, 안료, 염료, 열안정제, UV 흡수제 , 난연제 등의 통상의 첨가제가 부가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a1) 스티렌계 수지, (a2) 챠르(char)생성 열가소성 수지 및 (B) 무기 발포체 입자가 혼합된 혼합 조성물은 압출기에서 압출되어 제2 펠렛으로 제조된다.
상기 압출기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목적하고자 하는 그레이드(grade)를 얻기 위해서는 통상 다이 플레이트 홀 직경이 약0.7∼2.0 mm, 바람직하게는 약0.7∼1.7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1.0∼1.5 mm로 고정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제2펠렛의 크기는 약2 mm 이하의 크기를 얻게 되어 원하는 크기를 고수율로 얻게 되는 것이다.
이때 압출 온도는 약130∼250 ℃, 바람직하게는 약150∼200 ℃로 조절한다.
본 발명은 발포제를 투입하기 전에 압출함으로써, 탄소입자 함유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 선별단계가 필요하지 않고, 원하는 크기의 그레이드(grade)를 고수율로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 압출시 가스투입으로 인한 폭발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압출된 제2펠렛에 발포제를 주입하여 발포성 폴리스티렌이 제조된다. 상기 발포제의 투입량은 혼합수지와 무기 발포체 입자가 혼합된 제2펠렛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발포제 약 3 내지 8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예에서는 상기 제2펠렛에 분산액 및 유화제를 투입한 후, 약 80∼125℃ 의 온도 범위까지 상승 시킨 다음 발포제를 투입한다. 상기 제2펠렛에 발포제를 투입한 후, 약 100∼120 ℃ 온도에서 약 1∼6시간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산액은 초순수 100 중량부에 피로인산나트륨(10수염) Na4P2O7·10H2O 약 0.001 내지 1.0 중량부 및 염화마그네슘(MgCl2) 약 0.001 내지 1.0 중량부를 교반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통상의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소듐벤조에이트(DSM COMPANY), 트리칼슘포스페이트(BUNDENHEIM C13-08)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발포성 폴리스티렌은 정형화된 크기의 펠렛에 발포가스를 주입하여 형성되므로, 원하는 그레이드를 거의 100 %의 수율로 얻을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는 상기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는 평균입경이 약 0.5 내지 3 mm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상기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를 이용하여 제조된 난연 폴리스티렌 발포체를 제공한다.
상기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로부터 형성된 발포체는 50 mm 두께의 샘플을 KS F ISO 5660-1에 따라 콘히터의 복사열 50kW/㎡ 에서 5분간 가열 후 측정된 잔류층 두께가 약 10 mm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11 내지 45 mm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포체는 가전제품의 포장재, 농수산물 상자, 주택 단열재 등에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난연성, 기계적 강도 및 단열성이 우수하여 주택단열재나 철판 사이의 단열재 심재를 끼워서 제작되는 샌드위치 판넬의 심재로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 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중량평균분자량이 270,000 g/mol인 GPPS 펠렛(a1)(제일모직 GP HR-2390P00) 95 중량부에 챠르(Char) 생성 열가소성 수지로 폴리페닐렌 에테르(a2) (MEP사 PX100F) 5 중량부를 투입하고, 평균입자 크기 297 ㎛이고 팽창온도가 300 ℃인 팽창흑연(B) (ADT사 MPH503) 15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 조성물을 제조하고, 다이 플레이트 홀 직경이 1.5 mm인 이축압출기로 압출하여 펠렛화하였다. 반응기에 초순수 100 중량부에 피로인산나트륨(10수염) Na4P2O7·10H2O 0.8 중량부 및 염화마그네슘 0.9 중량부를 교반하여 제조 한 후, 상기 압출한 펠렛 100 중량부와 칼슘스테아레이트 0.1 중량부를 투입하고, 125 ℃ 의 온도 범위까지 상승시켰다. 여기에 펜탄 혼합가스가스를 8 중량부를 투입한 후, 125 ℃의 온도에서 6시간 유지하여 발포성 폴리스티렌을 제조하였다. 5 시간 건조 후, 코팅 완료된 발포 폴리스티렌 비드를 평판성형기에 넣고 0.5kg/㎠ 의 스팀압력으로 목적하는 발포체 성형품을 제작하였다. 그 후, 50℃ 건조실에서 24시간 건조한 후, 재단하여 난연성, 열전도율 및 기계적 강도 측정을 위한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상기 제작된 시험편에 대하여 하기의 방법으로 물성을 측정하였다.
물성측정방법
(1) 난연성: 건축물 내장재료 및 구조의 난연성 시험방법 KS F ISO 5660-1에 따라 난연 테스트를 하였다. 100 mm × 100 mm × 50 mm의 심재 샘플을 제작하여 5분간 가열 후 균열 발생여부와 잔류층 두께(mm) 를 측정하고 가스유해성 시험을 하였다.
(2) 열전도율(W/m·K): 샘플의 비중이 30kg/㎥ 에서 한국산업규격 KS L 9016에 규정된 보온재의 열전도율 측정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3) 압축강도(N/cm2): 샘플 비중이 30kg/㎥ 에서 한국공업규격 KS M 3808에 규정된 발포 폴리스티렌 보온재의 압축강도 측정 방법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4) 굴곡강도(N/cm2): 샘플 비중이 30kg/㎥ 에서 한국공업규격 KS M 3808에 규정된 발포 폴리스티렌 보온재의 굴곡강도 측정 방법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2
혼합 조성물 제조시 난연제로 비스페놀 에이 디페닐린포스페이트 (DAIHACHI사 CR-741) 5중량부를 추가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챠르(Char) 생성 열가소성 수지로 폴리페닐렌 에테르 대신 유동지수(250℃, 12kg) 10.5 g/10min 인 폴리카보네이트(제일모직 SC-1620)로 변경하여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4
스티렌계 수지로 중량평균분자량이 220,000 g/mol인 HIPS 펠렛(제일모직 GP HF 2660)로 변경하여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5
챠르(Char) 생성 열가소성 수지로 폴리페닐렌 에테르 대신 유동지수(250℃, 12kg) 10.5 g/10min인 폴리카보네이트(제일모직 SC-1620)로 변경하여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6
팽창온도가 220~250 ℃이고 평균입자크기가 279 ㎛인 팽창흑연(PingDu HuaDong사 KP5095)(B-2) 15 중량부를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실시예 1
팽창흑연 2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 조성물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건축물 내장재료 및 구조의 난연성 시험방법 KS F ISO 5660-1에 따라 난연 테스트를 하였을 때 연소 시 팽창된 카본층이 부족하여 열전달을 막지 못해 완료 후 잔류층이 거의 남지 않았으며 균열이 발생하여 난연재료에 준하는 성능을 얻지 못 하였다.
비교실시예 2
Char 형성이 용이한 수지로 유동지수(250℃, 12kg) 10.5g/10min인 폴리카보네이트(제일모직 SC-1620)로 변경하여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KS F ISO 5660-1에 따라 난연 테스트를 하였을 때 연소 시 팽창된 카본층이 부족하여 열전달을 막지 못해 완료 후 잔류층이 거의 남지 않았으며 균열이 발생한 것을 확인하였다.
비교실시예 3
스티렌계 수지로 중량평균분자량이 220,000 g/mol인 HIPS 펠렛(제일모직 GP HF 2660), 평균입자 크기 297 ㎛인 팽창흑연 2중량부로 변경하여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KS F ISO 5660-1에 따라 난연 테스트를 하였을 때 연소 시 팽창된 카본층이 부족하여 열전달을 막지 못해 완료 후 잔류층이 거의 남지 않았으며 균열이 발생한 것을 확인하였다.
비교실시예 4
챠르(Char) 생성 열가소성 수지로 폴리페닐렌 에테르 대신 유동지수(250℃, 12kg) 10.5g/10min인 폴리카보네이트(제일모직 SC-1620) 0.5중량부로 변경하여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KS F ISO 5660-1에 따라 난연 테스트를 하였을 때 연소 시 팽창된 카본층이 부족하여 열전달을 막지 못해 완료 후 잔류층이 거의 남지 않았으며 균열이 발생한 것을 확인하였다.
비교실시예 5
평균입자 크기는 동일하지만 발포온도가 180℃인 팽창흑연(B-1)(ADT社 MPH-502)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이축압출기로 압출 시 압출온도에 의해 압출기 내에서 팽창흑연이 발포되어 정상적인 압출이 불가능하였다.
비교실시예 6
평균입자 크기 74㎛ 인 팽창흑연 (PingDu HuaDong社, KP-295) (B-3)15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 조성물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건축물 내장재료 및 구조의 난연성 시험방법 KS F ISO 5660-1에 따라 난연 테스트를 하였을 때 연소 시 팽창된 카본층이 부족하여 열전달을 막지 못해 완료 후 잔류층이 거의 남지 않았으며 균열이 발생하여 난연재료에 준하는 성능을 얻지 못 하였다.
비교실시예 7
평균입자 크기 149㎛ 인 팽창흑연 (PingDu HuaDong社, KP-195) (B-4)15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 조성물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건축물 내장재료 및 구조의 난연성 시험방법 KS F ISO 5660-1에 따라 난연 테스트를 하였을 때 연소 시 팽창된 카본층이 부족하여 열전달을 막지 못해 완료 후 잔류층이 거의 남지 않았으며 균열이 발생하여 난연재료에 준하는 성능을 얻지 못 하였다.
표 1
실시예
1 2 3 4 5 6
(a1) GPPS 95 95 95 - - 95
HIPS - - - 95 95 -
(a2) PPE 5 5 - 5 - 5
PC - - 5 - 5 -
(B) 15 15 15 15 15 -
(B-1) - - - - - -
(B-2) - - - - - 15
난연제 - 5 - - - -
난연성(잔류층두께mm) 15 17 12 13 11 12
균열발생여부 균열無 균열無 균열無 균열無 균열無 균열無
열전도율 0.032 0.033 0.033 0.033 0.034 0.033
압축강도 18.8 18.3 18.0 18.0 17.7 18.2
굴곡강도 37.2 37.1 37.2 37.2 37.5 34.1
표 2
비교실시예
1 2 3 4 5 6 7
(a1) GPPS 95 95 - 99.5 95 95 95
HIPS - - 95 - - - -
(a2) PPE 5 - 5 - 5 5 5
PC - 5 - 0.5 - - -
(B) 2 2 2 15 - - -
(B-1) - - - - 15 - -
(B-2) - - - - - - -
(B-3) - - - - - 15 -
(B-4) - - - - - - 15
난연제 - - - - - - 5
난연성(잔류층두께mm) 0 0 0 3 압출불가 4 5
균열발생여부 균열有 균열有 균열有 균열有 - 균열有 균열有
열전도율 0.033 0.034 0.033 0.034 - 0.033 0.034
압축강도 17.8 18.0 18.1 17.9 - 18.0 17.9
굴곡강도 37.1 37.2 37.1 37.2 - 37.1 37.1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6는 난연성 시험방법 KS F ISO 5660-1에 따라 난연 테스트를 하였을 때 연소 시 팽창된 카본층이 절연층으로 작용하여 열의 이동을 방해하므로 후면에 열전달을 막아주어 연소 완료 후 잔류층의 두께가 11 mm 이상의 난연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교실시예에 비해 우수한 기계적 강도와 단열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비교실시예 1~4 및 6~7은 잔류층의 두께가 거의 남지 않았으며, 비교실시예 5는 압출자체가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Claims (21)

  1. (A) (a1) 스티렌계 수지 약 90 내지 99 중량%; 및 (a2) 챠르(char) 생성 열가소성 수지 약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혼합 수지;
    (B) 상기 혼합 수지 내에 분산된 무기 발포체 입자; 및
    (C) 상기 무기 발포체 입자가 분산된 혼합 수지에 함침된 발포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 수지(a1)는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180,000 내지 300,000 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챠르(char)생성 열가소성 수지(a2)는 주쇄에 산소결합, 방향족기 또는 이들의 조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챠르(char)생성 열가소성 수지(a2)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페닐렌 에테르, 폴리우레탄,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챠르(char)생성 열가소성 수지(a2)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발포체 입자(B)는 팽창흑연, 규산염, 퍼얼라이트 및 백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발포체 입자(B)는 혼합 수지 입자(A)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3 내지 5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발포체 입자(B)는 평균입경이 약 170 내지 1,000 ㎛이며, 팽창온도가 200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체(C)는 상기 무기 발포체 입자가 분산된 혼합 수지 입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3 내지 8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는 블로킹방지제, 핵제, 산화방지제, 탄소 입자, 충전제, 대전방지제, 가소제, 안료, 염료, 열안정제, UV 흡수제 및 난연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는 평균입경이 약 0.5 내지 3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12. 제1항 내지 제11항중 어느 한 항의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를 발포시켜 형성되며, 50 mm 두께의 샘플을 KS F ISO 5660-1에 따라 콘히터의 복사열 50kW/㎡ 에서 5분간 가열 후 측정된 잔류층 두께가 약 10 mm 이상인 난연성 폴리스티렌계 발포체.
  13. a1) 스티렌계 수지, (a2) 챠르(char)생성 열가소성 수지 및 (B) 무기 발포체 입자를 혼합하여 혼합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 조성물을 압출하고;
    상기 압출된 혼합 조성물에 발포제로 함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의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조성물은 (a1)스티렌계 수지 약 90 내지 99 중량%; 및 (a2)챠르(char)생성 열가소성 수지 약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혼합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B)무기 발포체 입자 약 3 내지 5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a1) 스티렌계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180,000 내지 300,000 g/mol인 수지 펠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a1) 스티렌계 수지는 핵제, 산화방지제, 탄소 입자, 충전제, 대전방지제, 가소제, 안료, 염료, 열안정제, UV 흡수제 및 난연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첨가제가 포함된 펠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챠르(char)생성 열가소성 수지(a2)는 주쇄에 산소결합, 방향족기 또는 이들의 조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챠르(char)생성 열가소성 수지(a2)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페닐렌 에테르, 폴리우레탄,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발포체 입자(B)는 팽창흑연, 규산염, 퍼얼라이트 및 백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발포체 입자(B)는 평균입경이 약 170 내지 1,0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조성물은 블로킹방지제, 핵제, 산화방지제, 탄소 입자, 충전제, 대전방지제, 가소제, 안료, 염료, 열안정제, UV 흡수제 및 난연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첨가제를 첨가하여 압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PCT/KR2010/009534 2010-07-08 2010-12-29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및 그 제조방법 WO2012005424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0854495.8A EP2592109A4 (en) 2010-07-08 2010-12-29 FLAME RETARDANT FOAM POLYSTYRENE PEAR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3/735,110 US20130119327A1 (en) 2010-07-08 2013-01-07 Flame Retardant Foam Polystyrene Bea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5707A KR101332431B1 (ko) 2010-07-08 2010-07-08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및 그 제조방법
KR10-2010-0065707 2010-07-0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3/735,110 Continuation-In-Part US20130119327A1 (en) 2010-07-08 2013-01-07 Flame Retardant Foam Polystyrene Bea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05424A1 true WO2012005424A1 (ko) 2012-01-12

Family

ID=45441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0/009534 WO2012005424A1 (ko) 2010-07-08 2010-12-29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30119327A1 (ko)
EP (1) EP2592109A4 (ko)
KR (1) KR101332431B1 (ko)
WO (1) WO20120054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011B1 (ko) 2011-11-10 2014-06-23 제일모직주식회사 불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380220B1 (ko) * 2012-07-10 2014-04-01 미르하이텍 주식회사 마스터뱃치 제조 방법
KR101713655B1 (ko) 2015-12-07 2017-03-09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불연성을 지니는 발포성 폴리스티렌 입자의 제조 방법
KR101692188B1 (ko) 2016-04-19 2017-01-03 정문수 유니버셜 조인트
IL249007B (en) 2016-11-16 2018-01-31 Or Yogev Compressed gas storage system and method for its construction
CN110172214B (zh) * 2019-06-03 2021-08-13 河北科技大学 一种阻燃型聚苯乙烯保温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042249B1 (ko) 2019-07-15 2019-11-07 주식회사 에스에이치에너지화학 준불연 성능을 갖는 발포성 수지 입자 및 그 제조방법
KR102279241B1 (ko) * 2020-10-28 2021-07-19 김철 준불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0078A (ja) * 1994-09-28 1996-04-16 Sekisui Plastics Co Ltd 発泡性樹脂粒子およびその予備発泡樹脂粒子と発泡成形体の製造方法
JP2001525001A (ja) * 1997-05-14 2001-12-04 ビーエーエスエフ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グラファイト粒子を含有する発泡可能のスチレン重合体
JP2005002268A (ja) * 2003-06-13 2005-01-06 Jsp Corp 黒鉛粉を含有するスチレン系樹脂発泡体
KR100602196B1 (ko) 2004-12-18 2006-07-19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불연성을 갖는 난연 폴리스티렌 발포체 수지입자 제조 방법
KR100602205B1 (ko) 2004-12-18 2006-07-19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팽창흑연을 함유한 불연성 난연 폴리스티렌 발포체수지입자의 제조방법
KR100601233B1 (ko) * 1998-12-09 2006-07-19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발포 폴리스티렌 입자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9069A (en) * 1997-07-15 1999-03-30 The Dow Chemical Company High temperature syndiotactic styrene polymer foam
DE19856759A1 (de) * 1998-12-09 2000-06-15 Basf Ag Flammgeschützte Polystyrolschaumstoffe
NL1023639C2 (nl) * 2003-06-11 2004-12-14 Synbra Tech Bv Deeltjesvormig, expandeerbaar polystyreen (EPS), werkwijze ter vervaardiging van deeltjesvormig expandeerbaar polystyreen, alsmede een bijzondere toepassing van polystyreenschuimmateriaal.
FR2858977A1 (fr) * 2003-08-21 2005-02-25 Bp Chem Int Ltd Composition de polystyrene expansible, procede de fabrication d'objets en polystyrene expanse de moyenne densite, et perles pre-expansees en polystyrene de moyenne densite
US7605188B2 (en) * 2004-12-31 2009-10-20 Owens Corning Intellectual Capital, Llc Polymer foams containing multi-functional layered nano-graphite
DE10358786A1 (de) * 2003-12-12 2005-07-14 Basf Ag Partikelschaumformteile aus expandierbaren, Füllstoff enthaltenden Polymergranulaten
DE102004058586A1 (de) * 2004-12-03 2006-06-14 Basf Ag Halogenfrei flammgeschützte, expandierbare Styrolpolymerisate
NL1028357C2 (nl) * 2005-02-21 2006-08-22 Synbra Tech Bv Deeltjesvormig, expandeerbaar polystyreen (EPS), werkwijze ter vervaardiging van deeltjesvormig expandeerbaar polystyreen, alsmede een bijzondere toepassing van polystyreenschuimmateriaal.
RU2470042C2 (ru) * 2007-05-30 2012-12-20 Инеос Нова Интернэшнл Са Огнестойкий полистирол
KR20120021718A (ko) * 2010-08-13 2012-03-09 제일모직주식회사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중합형 비드 및 그 제조방법
CN103298867B (zh) * 2010-12-30 2015-01-07 第一毛织株式会社 泡沫聚苯乙烯基珠粒及其制造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0078A (ja) * 1994-09-28 1996-04-16 Sekisui Plastics Co Ltd 発泡性樹脂粒子およびその予備発泡樹脂粒子と発泡成形体の製造方法
JP2001525001A (ja) * 1997-05-14 2001-12-04 ビーエーエスエフ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グラファイト粒子を含有する発泡可能のスチレン重合体
KR100601233B1 (ko) * 1998-12-09 2006-07-19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발포 폴리스티렌 입자의 제조 방법
JP2005002268A (ja) * 2003-06-13 2005-01-06 Jsp Corp 黒鉛粉を含有するスチレン系樹脂発泡体
KR100602196B1 (ko) 2004-12-18 2006-07-19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불연성을 갖는 난연 폴리스티렌 발포체 수지입자 제조 방법
KR100602205B1 (ko) 2004-12-18 2006-07-19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팽창흑연을 함유한 불연성 난연 폴리스티렌 발포체수지입자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2592109A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122A (ko) 2012-01-16
EP2592109A1 (en) 2013-05-15
KR101332431B1 (ko) 2013-11-22
EP2592109A4 (en) 2014-07-09
US20130119327A1 (en) 201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005424A1 (ko)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및 그 제조방법
WO2012091381A2 (ko)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및 그 제조방법
WO2010128760A2 (ko) 성형성이 우수한 스킨층을 갖는 발포폴리스티렌 입자와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발포폴리스티렌 성형물
WO2010134736A2 (ko) 고단열성 발포성 폴리스티렌 입자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 입자로부터 제조된 스티로폴
WO2012020894A1 (ko)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중합형 비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896898B1 (ko) 내화 실리콘 고무 조성물
KR101772761B1 (ko) 셀 균일도와 난연성이 향상된 발포폴리스틸렌의 난연 마스터배치 및 그 제조방법
Chen et al. Flammability, thermal st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ethylene‐propylene‐diene monomer/polypropylene composites filled with intumescent flame retardant and inorganic synergists
WO2013094800A1 (ko) 단열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발포성 폴리스티렌, 그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형성된 발포체
KR101411011B1 (ko) 불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385030B1 (ko) 불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46557A (ko) 단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및 그 제조방법
KR102404479B1 (ko) 폐 폴리올레핀 발포체 분말을 이용한 고난연성 및 친환경성 폴리올레핀계 나노복합 발포체의 제조방법
KR20120046556A (ko) 단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중합형 비드 및 그 제조방법
WO2014104592A1 (ko) 전자선가교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난연 발포단열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332440B1 (ko) 불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중합형 비드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98758A (ko) 발포 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434208B1 (ko) 폐고무 발포체 분말을 이용한 고난연성 및 친환경성 고무계 나노복합 발포체의 제조방법
KR102360096B1 (ko) 폐고무 발포체 분말을 이용한 고난연성 및 친환경 고무계 나노복합 마스터뱃치
KR102404477B1 (ko) 고난연성 및 친환경성 고무계 나노복합 발포체의 제조방법
WO2018124625A1 (ko) 발포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발포체 및 제조방법
KR102523047B1 (ko) 폐 폴리올레핀 발포체 분말을 이용한 고난연성 및 친환경성 폴리올레핀계 나노복합 마스터뱃치
KR102381971B1 (ko) 고난연성 및 친환경 고무계 나노복합 마스터배치
KR102279241B1 (ko) 준불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및 그 제조방법
WO2021033888A1 (ko) 발포성 폴리스티렌 입자용 코팅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085449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0854495

Country of ref document: 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