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6557A - 단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단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6557A
KR20120046557A KR1020100108274A KR20100108274A KR20120046557A KR 20120046557 A KR20120046557 A KR 20120046557A KR 1020100108274 A KR1020100108274 A KR 1020100108274A KR 20100108274 A KR20100108274 A KR 20100108274A KR 20120046557 A KR20120046557 A KR 20120046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resin
weight
mixed
ch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8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호
김상혁
조사은
김일진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8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46557A/ko
Publication of KR20120046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655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16Making expandable particles
    • C08J9/18Making expandable particles by impregnating polymer particles with the blowing ag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foam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J23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J23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400/22Thermoplastic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3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dia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는 (A)(a1)스티렌계 수지와 (a2)챠르(char) 생성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혼합 수지; 및 (B)(b1) 무기 발포체 입자와 (b2) 카본필러를 포함하는 혼합입자를 포함하는 압출펠렛에 (C) 발포제가 함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로부터 제조된 발포체는 우수한 난연성, 단열성능 및 탁월한 기계적 강도를 나타낸다.

Description

단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및 그 제조방법{FLAME RETARDANT EXPANDABLE POLYSTYRENE BEADS HAVING GOOD INSULATION PROPERTY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단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스티렌계 수지에 챠르(char)생성 열가소성 수지와 무기 발포체 입자 및 카본필러를 도입하여 우수한 난연성, 단열성능 및 탁월한 기계적 강도를 나타내는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포성 폴리스티렌의 발포 성형품은 높은 강도, 경량성, 완충성, 방수성, 보온성 및 단열성이 우수하여 가전제품의 포장재, 농수산물 상자, 부자, 주택 단열재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 특히 발포성 폴리스티렌은 국내 수요의 70% 이상이 주택 단열재나 샌드위치 판넬의 심재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근래에 들어서 발포성 폴리스티렌은 화재 유발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어서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따라서, 발포성 폴리스티렌을 주택 단열재 등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난연재료 수준의 난연성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0602205호에서는 폴리스티렌 발포체 입자에 팽창흑연, 열경화성 수지 및 경화촉매를 코팅, 경화시켜 불연성 난연 폴리스티렌 발포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0602196호에서는 폴리스티렌 발포입자에 수산화 알루미늄( Al(OH)₃), 수산화 마그네슘( Mg(OH)₂),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수산화 금속 화합물, 열경화성 액상 페놀수지, 페놀수지 경화촉매를 코팅, 가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난연 폴리스티렌 발포체 수지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들은 열경화성 수지로 발포 비드 표면을 가교시키는데, 이로 인해 스팀에 의한 2차 발포를 저해시켜, 성형체(패널)를 만드는 과정에서 입자 간의 융착 및 강도 저하를 야기시키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특허들은 페놀, 멜라민과 같은 열경화성 수지의 사용으로 인해 환경오염을 발생시키고, 열경화성 수지 또는 무기물을 코팅하기 위한 설비 투자, 무기물에 의한 수지의 물성 저하 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환경 오염을 방지하면서 성형체를 만드는 과정에서 융착 및 강도 저하를 막을 수 있는 난연 발포성 폴리스티렌 발포 수지의 제조방법에 대한 요구가 계속되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단열성을 가지면서도 자기소화성 난연이 아닌 KS F ISO 5660-1에서 난연 재료 이상의 우수한 난연성을 갖는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스티렌 중합 공정, 난연제 코팅 공정 없이 기존의 상용화된 제품을 사용할 수 있는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우수한 난연성, 단열성능 및 탁월한 기계적 강도를 나타내는 단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환경오염을 야기시키지 않고 적은 설비투자만으로 제조 가능한 단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우수한 가공성을 갖는 단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하는 크기의 단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를 고수율로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탄소입자 함유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고 별도 선별 단계가 필요하지 않는 단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단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를 이용한 난연 폴리스티렌 발포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단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를 이용하여 단열성, 난연성, 열전도도 및 기계적 강도의 물성 발란스가 뛰어나 샌드위치 판넬에 적합한 단열성이 우수한 난연 폴리스티렌 발포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상세히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단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는 (A)(a1)스티렌계 수지와 (a2)챠르(char) 생성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혼합 수지; 및 (B)(b1) 무기 발포체 입자와 (b2) 카본필러를 포함하는 혼합입자; 를 포함하는 압출펠렛에 (C) 발포제가 함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예에서 상기 (A)혼합 수지는 (a1) 스티렌계 수지 90 내지 99 중량%; 및 (a2) 챠르(char) 생성 열가소성 수지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티렌계 수지(a1)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80,000 내지 300,000 g/mol일 수 있다.
상기 챠르(char)생성 열가소성 수지(a2)는 주쇄에 산소결합, 방향족기 또는 이들의 조합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챠르(char)생성 열가소성 수지(a2)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페닐렌 에테르, 폴리우레탄,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이미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는 상기 챠르(char)생성 열가소성 수지(a2)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무기 발포체 입자(b1)는 팽창흑연, 규산염, 퍼얼라이트, 백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무기 발포체 입자(b1)는 혼합 수지(A)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5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무기 발포체 입자(b1)는 평균입경이 170 내지 1,000 ㎛이며, 팽창온도가 200 ℃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카본필러 (b2)는 흑연, 카본블랙, 카본파이버, 카본나노튜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카본필러 (b2)는 평균입경이 0.1 내지 100 ㎛일 수 있다.
상기 카본필러 (b2)는 혼합 수지(A)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3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발포체(C)는 (A)+(B)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8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폴리스티렌계 비드는 블로킹방지제, 핵제, 산화방지제, 탄소 입자, 충전제, 대전방지제, 가소제, 안료, 염료, 열안정제, UV 흡수제 및 난연제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는 평균입경이 0.5 내지 3 mm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를 발포시켜 형성된 난연성 폴리스티렌계 발포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난연성 폴리스티렌계 발포체는 50 mm 두께의 샘플을 KS F ISO 5660-1에 따라 콘히터의 복사열 50kW/㎡ 에서 5분간 가열 후 측정된 잔류층 두께가 10 mm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A)(a1)스티렌계 수지와 (a2)챠르(char) 생성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혼합 수지; 및 (B)(b1) 무기 발포체 입자와 (b2) 카본필러를 포함하는 혼합입자를 혼합하여 혼합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 조성물을 압출하고; 상기 압출된 혼합 조성물에 발포제로 함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혼합 조성물은 (a1)스티렌계 수지 90 내지 99 중량%; 및 (a2)챠르(char)생성 열가소성 수지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혼합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b1) 무기 발포체 입자 3 내지 50 중량부 및 (b2) 카본필러 0.01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a1) 스티렌계 수지는 핵제, 산화방지제, 탄소 입자, 충전제, 대전방지제, 가소제, 안료, 염료, 열안정제, UV 흡수제 및 난연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첨가제가 포함된 펠렛일 수 있다.
상기 혼합 조성물은 블로킹방지제, 핵제, 산화방지제, 탄소 입자, 충전제, 대전방지제, 가소제, 안료, 염료, 열안정제, UV 흡수제 및 난연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첨가제를 첨가하여 압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열성 및 난연성이 우수하고, 별도의 스티렌 중합 공정이나 난연제 코팅 공정 없이 기존의 상용화된 제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우수한 난연성, 단열성능 및 탁월한 기계적 강도를 나타내고, 환경오염을 야기시키지 않고 적은 설비투자만으로 제조가능하며, 우수한 가공성을 가지고, 원하는 크기의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를 고수율로 얻을 수 있으며, 탄소입자 함유율을 높일 수 있고 별도 선별 단계가 필요하지 않는 단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단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는 (A) (a1) 스티렌계 수지와 (a2) 챠르(char) 생성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혼합수지; (B)(b1) 무기 발포체 입자와 (b2)카본필러를 포함하는 혼합입자를 포함하는 압출펠렛에 (C) 발포제가 함침된 구조를 갖는다.
(A) 혼합 수지
본 발명의 혼합 수지(A)는 (a1) 스티렌계 수지 70 내지 98.9 중량%, 및 (a2) 챠르(char) 생성 열가소성 수지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a1) 스티렌계 수지
상기 스티렌계 수지는 스티렌계 단량체의 호모폴리머, 스티렌계 단량체와 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는 스티렌계 수지와 다른 수지와의 혼합물일 수 있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상기 (a1) 스티렌계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 180,000?300,000 g/mol인 스티렌계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단열재 제조 시 우수한 가공성 및 기계적 강도를 가지는 장점이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a1) 스티렌계 수지는 범용 폴리스티렌(GPPS), 고충격폴리스티렌(HIPS)수지, 스티렌 단량체와 α-메틸스티렌의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AN), 스티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스티렌계 수지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의 블렌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이중 바람직하기로는 범용 폴리스티렌(GPPS), 고충격폴리스티렌(HIPS)수지 수지이다.
(a2) 챠르(char) 생성 열가소성 수지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a2) 챠르(char) 생성 열가소성 수지는 주쇄에 산소결합을 갖거나 방향족기를 가질 수 있으며, 혹은 산소결합과 방향족기 모두를 가질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a2) 챠르(char) 생성 열가소성 수지로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페닐렌 에테르, 폴리우레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는 PPS나 PET, PBT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이미드 등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지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로서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30,000 g/mol 인 것을 들 수 있으며, 15,000 내지 25,000 g/mol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페닐렌 에테르로는 폴리(2,6-디메틸-1,4-페닐렌)에테르, 폴리(2,6-디에틸-1,4-페닐렌)에테르, 폴리(2,6-디프로필-1,4-페닐렌)에테르, 폴리(2-메틸-6-에틸-1,4-페닐렌)에테르, 폴리(2-메틸-6-프로필-1,4-페닐렌)에테르, 폴리(2-에틸-6-프로필-1,4-페닐렌)에테르, 폴리(2,6-디페닐-1,4-페닐렌)에테르, 폴리(2,6-디메틸-1,4-페닐렌)에테르와 폴리(2,3,6-트리메틸-1,4-페닐렌)에테르의 공중합체, 및 폴리(2,6-디메틸-1,4-페닐렌)에테르와 폴리(2,3,5-트리에틸-1,4-페닐렌)에테르의 공중합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폴리(2,6-디메틸-1,4-페닐렌)에테르와 폴리(2,3,6-트리메틸-1,4-페닐렌)에테르의 공중합체 및 폴리(2,6-디메틸-1,4-페닐렌)에테르가 사용되며, 이중에서 폴리(2,6-디메틸-1,4-페닐렌)에테르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페닐렌 에테르의 고유점도는 열안정성이나 작업성을 고려하여 25℃의 클로로포름 용매에서 측정된 고유점도가 0.2 내지 0.8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페닐렌 에테르는 높은 유리전이온도로 인해 스티렌계 수지와 혼합할 경우 보다 높은 내열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스티렌계 수지와 모든 비율로 혼화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은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디올 화합물을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연쇄이동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로는 방향족, 지방족 및 지환족의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4-톨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 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틸비페닐-4,4'-디이소시아네이트, o-, m- 또는 p-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 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도데칸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디이소시아네이트류를 들 수 있다.
상기 디올 화합물로는 폴리에스테르 디올, 폴리카프로락톤 디올, 폴리에테르 디올, 폴리카보네이트 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예컨대,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필렌 글리콜, 1,3-프로필렌 글리콜, 부탄 1,2-디올, 부탄 1,3-디올, 부탄 1,4-디올, 부탄 2,3-디올, 부탄 2,4-디올, 헥산 디올, 트리메틸렌 글리콜, 테트라 메틸렌 글리콜, 헥센글리콜 및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테트라 메틸렌 에테르 글리콜, 디히드록시 폴리에틸렌 아디페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등을 들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a2) 챠르(char) 생성 열가소성 수지는 혼합 수지(A)중 1 내지 10 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만일 (a2) 챠르(char) 생성 열가소성 수지가 1 중량부 미만 사용 시에는 Char 발생 저하에 따라 난연이 저하될 수 있고, 10 중량부 초과 시에는 단열재 제조 시 높은 유리전이온도로 인해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B) 혼합입자
본 발명의 혼합입자는 (b1) 무기 발포체 입자 및 (b2) 카본필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 구체예에서는 상기 (b1) 무기 발포체 입자 및 (b2) 카본필러의 비율은 (b1):(b2)는 2~15: 1, 바람직하게는 3~10: 1의 비율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보다 우수한 단열성 및 기계적 강도의 물성발란스를 갖는다.
(b1) 무기 발포체 입자
상기 무기발포체 입자는 팽창흑연, 규산염, 퍼얼라이트, 백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다.
본 발명에서 무기 발포체 입자는 챠르 형성제(char former)로 작용한다. 따라서 수지와 용융 압출시 깨지지 않고 형태를 유지하여야 하고, 난연성과 기계적 강도 및 열전도성을 만족하기 위해 일정한 크기를 가질 것이 요구된다.
상기 무기 발포체 입자(b1)는 평균입경이 170 내지 1,000 ㎛일 수 있다. 만일 평균입경이 170㎛ 미만일 경우, 부피 팽창율이 낮아 챠르 형성제 역할을 할 수 없어 원하는 난연성을 얻을 수 없고, 평균입경이 1,000 ㎛를 초과할 경우 목적하는 기계적 강도와 열전도도를 얻을 수 없다.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7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650 ㎛이다.
상기 팽창흑연은 층간에 삽입 가능한 화학종을 흑연의 층상 결정 구조사이에 삽입시킨 후에 이를 열처리 또는 마이크로파로 처리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는 흑연을 산화제로 처리하여 흑연층 사이에 SO3 2 - , NO3 - 와 같은 화학종을 도입하여 층간 화합물을 형성시키고, 이러한 층간 화합물이 형성된 흑연을 빠르게 가열하거나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층간에 결합된 화학종을 가스화시킨 후 그 압력에 의해 흑연을 수백배 내지 수천배로 팽창시켜 제조할 수 있으며, 상업적 구입이 용이하다.
본 발명에서는 200 ℃이상에서 팽창하는 팽창흑연을 사용한다. 만일 팽창온도가 200 ℃ 미만에서는 수지와 용융 압출시 팽창 흑연 입자가 변형되거나 깨질 수 있어 챠르 형성제(char former) 역할을 기대할 수 없다. 바람직하게는 25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65 ℃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300 ℃ 이상에서 팽창하는 팽창흑연을 사용한다.
상기 규산염으로는 유기화 층상실리케이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규산나트륨, 리튬실리케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규산염은 차르(char)를 형성하여 차단막을 형성하여 난연성을 극대화시킨다. 이러한 유기화 층상실리케이트는 스멕타이트(smectite)계, 카오린나이트(kaolinite)계, 일라이트(illite)계 등의 점토를 유기화하여 개질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점토로는 예컨대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헥토라이트(hectorite), 사포나이트(saponite),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 카오리나이트(kaolinite), 하이드로마이카(hyromicas)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토를 유기화하는 개질제로는 알킬아민염 또는 유기인산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알킬아민염으로는 디도데실암모 늄염, 트리도데실암모늄염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인산염은 테트라부틸인산염, 테트라페닐인산염, 트리페닐헥사데실인산염, 헥사데실트리부틸인산염, 메틸트리페닐인산염, 에틸트리페닐인산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알킬아민염 또는 유기인산염은 층상실리케이트의 층간 금속이온과 치환되어 층간 거리를 벌려주며 층상실리케이트의 물성을 유기물과 친화성이 있게 변화시켜 수지와 혼련이 가능하게 한다.
구체예에서는 유기화 층상실리케이트로서 몬모릴로나이트를 C12-C20 의 알킬아민염으로 개질(modified)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유기화 몬모릴로나이트(이하 m-MMT로 표기함)는 층간에 Na + 대신에 디메틸 디하이드로게네이티드 탈로우 암모늄(dimethyl dihydrogenated tallow ammonium)으로 유기화될 수 있다.
상기 퍼얼라이트(Perlite)는 열처리된 팽창 퍼얼라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팽창 퍼얼라이트는 퍼얼라이트를 870 ~ 1100℃ 정도의 열을 가하면, 수분을 포함하는 휘발성분이 기화하면서 생기는 증발압력이 각각의 과립(granule)입자를 원형의 유리질 입자로 약 10 ~ 20 배 정도 팽창하여 제조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팽창된 퍼얼라이트(Expanded Perlite)는 비중이 0.04 ~ 0.2 g/cm2 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백사는 발포백사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무기 발포체 입자(b1)는 혼합 수지 입자(A)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50 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다. 무기 발포체 입자를 50 중량부 초과 사용시에는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3 중량부 미만 사용시에는 난연성능의 저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 중량부, 예를 들면, 10 내지 25 중량부이다.
(b2) 카본필러
상기 카본필러(b2)는 흑연, 카본블랙, 카본파이버, 카본나노튜브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카본필러(b2)의 형태는 입자형, 파이버형, 튜브형, 플레이크형, 무정형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중 바람직하게는 입자형이다.
구체예에서는 상기 (b2) 카본필러는 평균입경이 0.1 내지 100 ㎛일 수 있다. 상기 범위내에서 중합물의 droplet 유지가 용이하며, 바람직하게는 평균입경이 1 내지 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 ㎛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카본필러(b2)는 혼합 수지 입자(A)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30 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우수한 가공성 및 단열성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중량부, 예를 들면, 1.5 내지 10 중량부이다.
(C) 발포제
상기 발포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으며, C3 - 6 의 탄화수소, 예컨대 프로판, 부탄 이소부탄, n-펜탄, 이소펜탄, 네오펜탄, 시클로펜탄, 헥산, 시클로헥산;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등과 같은 할로겐화 탄화수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중 펜탄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포제는 혼합 수지(A)와 혼합입자(B)가 혼합된 전체 100 중량부((A)+(B))에 대하여, 3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 내지 8 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우수한 가공성 가지는 장점이 있다.
상기 단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는 통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는 블로킹방지제, 핵제, 산화방지제, 탄소 입자, 충전제, 대전방지제, 가소제, 안료, 염료, 열안정제, UV 흡수제, 난연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함께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블로킹방지제는 발포시 입자끼리 달라붙거나, 단열재 제조시 융착이 쉽게 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물질로, 예로는 에틸렌-비닐아세트산 공중합물 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핵제로는 폴리에틸렌 왁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난연제로는 트리스(2,3-디브로모프로필) 포스페이트, 트리페닐포스페이트, 비스페놀 에이 디페닐포스페이트와 같은 인계 난연제 또는 헥사브로모사이클로도데칸, 트리브로모페닐 알릴에테르와 같은 할로겐계 난연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비스페놀 에이 디페닐포스페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단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법은 (a1) 스티렌계 수지, (a2) 챠르(char)생성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혼합 수지에 (b1) 무기 발포체 입자 및 (b2)카본필러를 혼합하여 혼합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 조성물을 압출하고; 상기 압출된 혼합 조성물에 발포제로 함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예에서 상기 혼합 조성물은 (a1)스티렌계 수지 90 내지 99 중량%, (a2)챠르(char)생성 열가소성 수지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혼합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b1)무기 발포체 입자 3 내지 50 중량부 및 (b2) 카본필러 0.01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a1) 스티렌계 수지는 펠렛 형태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즉, 기존의 상용화된 스티렌계 수지 펠렛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스티렌 중합공정이 필요하지 않고 기존 제품을 활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80,000 내지 300,000 g/mol인 스티렌계 수지 펠렛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는 상기 스티렌계 수지 펠렛은 필요에 따라 핵제, 산화방지제, 탄소 입자, 충전제, 대전방지제, 가소제, 안료, 염료, 열안정제, UV 흡수제, 난연제 등이 첨가될 수 있다. 이들 첨가제는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a1) 스티렌계 수지는 핵제, 산화방지제, 탄소 입자, 충전제, 대전방지제, 가소제, 안료, 염료, 열안정제, UV 흡수제 및 난연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첨가제가 포함된 펠렛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티렌계 수지가 포함된 제1 펠렛에 (a2)챠르(char)생성 열가소성 수지 및 (b1) 무기 발포체 입자와 (b2) 카본필러 를 혼합하여 혼합 조성물을 제조한다.
종래에는 무기 발포체 입자를 발포 입자 외부에 코팅하거나 중합 공정시 첨가하였다. 그러나, 중합 공정 시 무기 발포체를 첨가할 경우, 입자의 응집이나, 깨짐 현상이 발생하여 첨가량을 늘릴 수 없고. 발포 입자 외부에 코팅할 경우에는 최종 성형품의 강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스티렌의 중합을 완료하여 얻은 제1펠렛에 무기 발포체를 혼합함으로서, 입자의 응집이나 깨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종 성형품의 강도저하를 예방할 수 있다.
상기 혼합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블로킹방지제, 핵제, 산화방지제, 탄소 입자, 충전제, 대전방지제, 가소제, 안료, 염료, 열안정제, UV 흡수제 , 난연제 등의 통상의 첨가제가 부가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a1) 스티렌계 수지, (a2) 챠르(char)생성 열가소성 수지, (b1) 무기 발포체 입자 및 (b2) 카본필러가 혼합된 혼합 조성물은 압출기에서 압출되어 제2 펠렛으로 제조된다.
상기 압출기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목적하고자 하는 그레이드(grade)를 얻기 위해서는 통상 다이 플레이트 홀 직경이 0.7?2.0 mm, 바람직하게는 0.7?1.7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5 mm로 고정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제2펠렛의 크기는 2 mm 이하의 크기를 얻게 되어 원하는 크기를 고수율로 얻게 되는 것이다.
이때 압출 온도는 130?250 ℃, 바람직하게는 150?200 ℃로 조절한다.
본 발명은 발포제를 투입하기 전에 압출함으로써, 탄소입자 함유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 선별단계가 필요하지 않고, 원하는 크기의 그레이드(grade)를 고수율로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 압출 시 가스투입으로 인한 폭발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압출된 제2펠렛에 발포제를 주입하여 발포성 폴리스티렌이 제조된다. 상기 발포제의 투입량은 혼합수지와 무기 발포체 입자가 혼합된 제2펠렛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발포제 3 내지 8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예에서는 상기 제2펠렛에 분산액 및 유화제를 투입한 후, 80?125℃ 의 온도 범위까지 상승 시킨 다음 발포제를 투입한다. 상기 제2펠렛에 발포제를 투입한 후, 100?120 ℃ 온도에서 1?6시간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산액은 초순수 100 중량부에 피로인산나트륨(10수염) Na4P2O7?10H2O 0.001 내지 1.0 중량부 및 염화마그네슘(MgCl2) 0.001 내지 1.0 중량부를 교반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통상의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소듐벤조에이트(DSM COMPANY), 트리칼슘포스페이트(BUNDENHEIM C13-08)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발포성 폴리스티렌은 정형화된 크기의 펠렛에 발포가스를 주입하여 형성되므로, 원하는 그레이드를 거의 100 %의 수율로 얻을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는 상기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는 평균입경이 0.5 내지 3 mm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상기 단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를 이용하여 제조된 단열성이 우수한 난연 폴리스티렌 발포체를 제공한다.
상기 단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로부터 형성된 발포체는 30 mm 두께의 샘플을 KYOTO ELECTRONICS의 Thermal Conductivity Meter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가 0.030(W/m.K)의 값을 가질 수 있으며 또한 50 mm 두께의 샘플을 KS F ISO 5660-1에 따라 콘히터의 복사열 50kW/㎡ 에서 5분간 가열 후 측정된 잔류층 두께가 10 mm 이상,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45 mm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포체는 가전제품의 포장재, 농수산물 상자, 주택 단열재 등에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난연성, 기계적 강도 및 단열성이 우수하여 주택단열재나 철판 사이의 단열재 심재를 끼워서 제작되는 샌드위치 판넬의 심재로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 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중량평균분자량이 270,000 g/mol인 GPPS 펠렛(a1)(제일모직 GP HR-2390P00) 95 중량부에 챠르(Char) 생성 열가소성 수지로 폴리페닐렌 에테르(a2) (MEP사 PX100F) 5 중량부를 투입하고, 평균입자 크기 297 ㎛이고 팽창온도가 300 ℃인 팽창흑연(b1) (ADT사 MPH503) 15 중량부 및 평균입도가 6㎛인 흑연(TIMCAL 사 S-249)(b2) 1.5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 조성물을 제조하고, 다이 플레이트 홀 직경이 1.5 mm인 이축압출기로 압출하여 펠렛화하였다. 반응기에 초순수 100 중량부에 피로인산나트륨(10수염) Na4P2O7?10H2O 0.8 중량부 및 염화마그네슘 0.9 중량부를 교반하여 제조 한 후, 상기 압출한 펠렛 100 중량부와 칼슘스테아레이트 0.1 중량부를 투입하고, 125 ℃ 의 온도 범위까지 상승시켰다. 여기에 펜탄 혼합가스를 8 중량부를 투입한 후, 125 ℃의 온도에서 6시간 유지하여 발포성 폴리스티렌을 제조하였다. 5 시간 건조 후, 코팅 완료된 발포 폴리스티렌 비드를 평판성형기에 넣고 0.5kg/㎠ 의 스팀압력으로 목적하는 발포체 성형품을 제작하였다. 그 후, 50℃ 건조실에서 24시간 건조한 후, 재단하여 난연성, 열전도율 및 기계적 강도 측정을 위한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상기 제작된 시험편에 대하여 하기의 방법으로 물성을 측정하였다.
물성측정방법
(1) 난연성: 건축물 내장재료 및 구조의 난연성 시험방법 KS F ISO 5660-1에 따라 난연 테스트를 하였다. 100 mm × 100 mm × 50 mm의 심재 샘플을 제작하여 5분간 가열 후 균열 발생여부와 잔류층 두께를 측정하고 가스유해성 시험을 하였다.
(2) 열전도율(W/m?K): 샘플의 비중이 30kg/㎥ 에서 한국산업규격 KS L 9016에 규정된 보온재의 열전도율 측정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3) 압축강도(N/cm2): 샘플 비중이 30kg/㎥ 에서 한국공업규격 KS M 3808에 규정된 발포 폴리스티렌 보온재의 압축강도 측정 방법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4) 굴곡강도(N/cm2): 샘플 비중이 30kg/㎥ 에서 한국공업규격 KS M 3808에 규정된 발포 폴리스티렌 보온재의 굴곡강도 측정 방법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2
혼합 조성물 제조시 난연제로 비스페놀 에이 디페닐린포스페이트 (DAIHACHI사 CR-741) 5 중량부를 추가 투입하고 평균입도가 6㎛인 흑연(TIMCAL 사 S-249)(b2) 1.5 중량부를 3 중량부로 증가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챠르(Char) 생성 열가소성 수지로 폴리페닐렌 에테르 대신 유동지수(250℃, 12kg) 10.5 g/10min 인 폴리카보네이트(제일모직 SC-1620)로 변경하여 투입하고 평균입도가 6㎛인 흑연(TIMCAL 사 S-249)(b2) 1.5 중량부를 4.5 중량부로 증가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4
스티렌계 수지로 중량평균분자량이 220,000 g/mol인 HIPS 펠렛(제일모직 GP HF 2660)로 변경하여 투입하고 평균입도가 6㎛인 흑연(TIMCAL 사 S-249)(b2) 1.5 중량부를 3 중량부로 증가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5
챠르(Char) 생성 열가소성 수지로 폴리페닐렌 에테르 대신 유동지수(250℃, 12kg) 10.5 g/10min인 폴리카보네이트(제일모직 SC-1620)로 변경하고 평균입도가 6㎛인 흑연(TIMCAL 사 S-249)(b2) 3 중량부를 4.5 중량부로 증가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6
팽창온도가 220~250 ℃이고 평균입자크기가 279 ㎛인 팽창흑연(PingDu HuaDong사 KP5095)(B-2) 15 중량부를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실시예 1
팽창흑연 2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 조성물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건축물 내장재료 및 구조의 난연성 시험방법 KS F ISO 5660-1에 따라 난연 테스트를 하였을 때 연소 시 팽창된 카본층이 부족하여 열전달을 막지 못해 완료 후 잔류층이 거의 남지 않았으며 균열이 발생하여 난연재료에 준하는 성능을 얻지 못 하였다.
비교실시예 2
Char 형성이 용이한 수지로 유동지수(250℃, 12kg) 10.5g/10min인 폴리카보네이트(제일모직 SC-1620)로 변경하여 투입하고 평균입도가 6㎛인 흑연(TIMCAL 사 S-249)(b2)를 0.5 중량부를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KS F ISO 5660-1에 따라 난연 테스트를 하였을 때 연소 시 팽창된 카본층이 부족하여 열전달을 막지 못해 완료 후 잔류층이 거의 남지 않았으며 균열이 발생한 것을 확인하였다.
비교실시예 3
스티렌계 수지로 중량평균분자량이 220,000 g/mol인 HIPS 펠렛(제일모직 GP HF 2660), 평균입자 크기 297 ㎛인 팽창흑연 2중량부로 변경하여 투입하고 평균입도가 6㎛인 흑연(TIMCAL 사 S-249)(b2)를 0.5 중량부를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KS F ISO 5660-1에 따라 난연 테스트를 하였을 때 연소 시 팽창된 카본층이 부족하여 열전달을 막지 못해 완료 후 잔류층이 거의 남지 않았으며 균열이 발생한 것을 확인하였다.
비교실시예 4
챠르(Char) 생성 열가소성 수지로 폴리페닐렌 에테르 대신 유동지수(250℃, 12kg) 10.5g/10min인 폴리카보네이트(제일모직 SC-1620) 0.5중량부로 변경하여 투입하고, 평균입도가 6㎛인 흑연(TIMCAL 사 S-249)을 넣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KS F ISO 5660-1에 따라 난연 테스트를 하였을 때 연소 시 팽창된 카본층이 부족하여 열전달을 막지 못해 완료 후 잔류층이 거의 남지 않았으며 균열이 발생한 것을 확인하였다.
비교실시예 5
평균입자 크기는 동일하지만 발포온도가 180℃인 팽창흑연(B-1)(ADT社 MPH-502)을 사용하고, 평균입도가 6㎛인 흑연(TIMCAL 사 S-249)을 넣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이축압출기로 압출 시 압출온도에 의해 압출기 내에서 팽창흑연이 발포되어 정상적인 압출이 불가능하였다.
비교실시예 6
평균입자 크기 74㎛ 인 팽창흑연 (PingDu HuaDong社, KP-295) (B-3)15 중량부를 혼합하여 사용하고, 평균입도가 6㎛인 흑연(TIMCAL 사 S-249)을 넣지 않고 혼합 조성물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건축물 내장재료 및 구조의 난연성 시험방법 KS F ISO 5660-1에 따라 난연 테스트를 하였을 때 연소 시 팽창된 카본층이 부족하여 열전달을 막지 못해 완료 후 잔류층이 거의 남지 않았으며 균열이 발생하여 난연재료에 준하는 성능을 얻지 못 하였다.
비교실시예 7
평균입도가 6㎛인 흑연(TIMCAL 사 S-249)을 넣지 않고, 평균입자 크기 149㎛ 인 팽창흑연 (PingDu HuaDong社, KP-195) (B-4)15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 조성물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건축물 내장재료 및 구조의 난연성 시험방법 KS F ISO 5660-1에 따라 난연 테스트를 하였을 때 연소 시 팽창된 카본층이 부족하여 열전달을 막지 못해 완료 후 잔류층이 거의 남지 않았으며 균열이 발생하여 난연재료에 준하는 성능을 얻지 못 하였다.
실시예
1 2 3 4 5 6
(a1) GPPS 95 95 95 - - 95
HIPS - - - 95 95 -
(a2) PPE 5 5 - 5 - 5
PC - - 5 - 5 -
(b2) 1.5 3 4.5 3 4.5 1.5
(B) 15 15 15 15 15 -
(B-1) - - - - - -
(B-2) - - - - - 15
난연제 - 5 - - - -
난연성
(잔류층
두께mm)
15 17 12 13 11 12
균열발생여부 균열無 균열無 균열無 균열無 균열無 균열無
열전도율 0.033 0.031 0.030 0.032 0.030 0.030
압축강도 18.8 18.3 18.0 18.0 17.7 18.2
굴곡강도 37.2 37.1 37.2 37.2 37.5 34.1
비교실시예
1 2 3 4 5 6 7
(a1) GPPS 95 95 - 99.5 95 95 95
HIPS - - 95 - - - -
(a2) PPE 5 - 5 - 5 5 5
PC - 5 - 0.5 - - -
(a2) - 0.5 0.5 - - - -
(b1) 2 2 2 15 - - -
(B-1) - - - - 15 - -
(B-2) - - - - - - -
(B-3) - - - - - 15 -
(B-4) - - - - - - 15
난연제 - - - - - - 5
난연성
(잔류층
두께mm)
0 0 0 3 압출불가 4 5
균열발생여부 균열有 균열有 균열有 균열有 - 균열有 균열有
열전도율 0.036 0.034 0.034 0.036 - 0.035 0.036
압축강도 17.8 18.0 18.1 17.9 - 18.0 17.9
굴곡강도 37.1 37.2 37.1 37.2 - 37.1 37.1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6는 만족할 만한 단열성능을 얻을 수 있었으며, 난연성 시험방법 KS F ISO 5660-1에 따라 난연 테스트를 하였을 때 연소 시 팽창된 카본층이 절연층으로 작용하여 열의 이동을 방해하므로 후면에 열전달을 막아주어 연소 완료 후 잔류층의 두께가 11 mm 이상의 난연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비교실시예 1~4 및 6~7은 잔류층의 두께가 거의 남지 않았으며, 비교실시예 5는 압출자체가 불가능하였으며, 단열성 면에서도 현저히 저하된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Claims (23)

  1. (A)(a1)스티렌계 수지와 (a2)챠르(char) 생성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혼합 수지; 및
    (B)(b1) 무기 발포체 입자와 (b2) 카본필러를 포함하는 혼합입자; 를 포함하는 압출펠렛에 (C) 발포제가 함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혼합 수지는 (a1) 스티렌계 수지 90 내지 99 중량%; 및 (a2) 챠르(char) 생성 열가소성 수지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 수지(a1)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80,000 내지 300,000 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챠르(char)생성 열가소성 수지(a2)는 주쇄에 산소결합, 방향족기 또는 이들의 조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챠르(char)생성 열가소성 수지(a2)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페닐렌 에테르, 폴리우레탄,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챠르(char)생성 열가소성 수지(a2)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발포체 입자(b1)는 팽창흑연, 규산염, 퍼얼라이트 및 백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발포체 입자(b1)는 혼합 수지(A)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5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발포체 입자(b1)는 평균입경이 170 내지 1,000 ㎛이며, 팽창온도가 200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필러 (b2)는 흑연, 카본블랙, 카본파이버, 카본나노튜브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필러 (b2)는 평균입경이 0.1 내지 1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필러 (b2)는 혼합 수지(A)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3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체(C)는 (A)+(B)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8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스티렌계 비드는 블로킹방지제, 핵제, 산화방지제, 탄소 입자, 충전제, 대전방지제, 가소제, 안료, 염료, 열안정제, UV 흡수제 및 난연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는 평균입경이 0.5 내지 3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16. 제1항 내지 제15항중 어느 한 항의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를 발포시켜 형성되며, 50 mm 두께의 샘플을 KS F ISO 5660-1에 따라 콘히터의 복사열 50kW/㎡ 에서 5분간 가열 후 측정된 잔류층 두께가 10 mm 이상인 난연성 폴리스티렌계 발포체.
  17. (A)(a1)스티렌계 수지와 (a2)챠르(char) 생성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혼합 수지; 및 (B)(b1) 무기 발포체 입자와 (b2) 카본필러를 포함하는 혼합입자를 혼합하여 혼합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 조성물을 압출하고;
    상기 압출된 혼합 조성물에 발포제로 함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의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조성물은 (a1)스티렌계 수지 90 내지 99 중량%; 및 (a2)챠르(char)생성 열가소성 수지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혼합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b1) 무기 발포체 입자 3 내지 50 중량부 및 (b2) 카본필러 0.01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a1) 스티렌계 수지는 핵제, 산화방지제, 탄소 입자, 충전제, 대전방지제, 가소제, 안료, 염료, 열안정제, UV 흡수제 및 난연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첨가제가 포함된 펠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챠르(char)생성 열가소성 수지(a2)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페닐렌 에테르, 폴리우레탄,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발포체 입자(b1)는 평균입경이 170 내지 1,000 ㎛이고, 팽창흑연, 규산염, 퍼얼라이트 및 백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필러 (b2)는 흑연, 카본블랙, 카본파이버, 카본나노튜브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조성물은 블로킹방지제, 핵제, 산화방지제, 탄소 입자, 충전제, 대전방지제, 가소제, 안료, 염료, 열안정제, UV 흡수제 및 난연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첨가제를 첨가하여 압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00108274A 2010-11-02 2010-11-02 단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465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274A KR20120046557A (ko) 2010-11-02 2010-11-02 단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274A KR20120046557A (ko) 2010-11-02 2010-11-02 단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6557A true KR20120046557A (ko) 2012-05-10

Family

ID=46265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8274A KR20120046557A (ko) 2010-11-02 2010-11-02 단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4655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5248A (ko) * 2012-12-27 2014-07-07 제일모직주식회사 발포성 수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포체
CN108047581A (zh) * 2017-11-28 2018-05-18 安徽德全新型建材科技有限公司 一种高强度的石墨聚苯板及其制备方法
US11034811B2 (en) 2016-12-27 2021-06-15 Lotte Advanced Materials Co., Ltd.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produced therefro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5248A (ko) * 2012-12-27 2014-07-07 제일모직주식회사 발포성 수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포체
US11034811B2 (en) 2016-12-27 2021-06-15 Lotte Advanced Materials Co., Ltd.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produced therefrom
CN108047581A (zh) * 2017-11-28 2018-05-18 安徽德全新型建材科技有限公司 一种高强度的石墨聚苯板及其制备方法
CN108047581B (zh) * 2017-11-28 2020-11-20 安徽德全新型建材科技有限公司 一种高强度的石墨聚苯板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2431B1 (ko)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및 그 제조방법
KR20070100260A (ko) 무할로겐 난연성 발포성 스티롤 중합체
US20130289146A1 (en) Foam Polystyrene-Based Bea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411011B1 (ko) 불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385030B1 (ko) 불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21718A (ko)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중합형 비드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46557A (ko) 단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772761B1 (ko) 셀 균일도와 난연성이 향상된 발포폴리스틸렌의 난연 마스터배치 및 그 제조방법
EP2632976A1 (en) Expanded polyolefin containing powdered activated carbon
KR20130071268A (ko) 단열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발포성 폴리스티렌, 그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형성된 발포체
JP2006525406A (ja) 耐火性に優れた発泡プラスチック成形体
KR101332440B1 (ko) 불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중합형 비드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46556A (ko) 단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중합형 비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902786B1 (ko) 재생 스티렌계 수지를 이용한 발포성 폴리스티렌 및 이의제조방법
Sharma et al. Polyurethane foams as packing and insulating materials
KR102279241B1 (ko) 준불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98758A (ko) 발포 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119032B1 (ko) 발포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발포체 및 제조방법
KR20130052484A (ko) 단열성 및 작업성이 우수한 발포성 폴리스티렌, 그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형성된 발포체
KR101419457B1 (ko) 알루미늄 입자를 함유하는 발포성 스티렌 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발포성 스티렌 중합체
KR20130055403A (ko) 불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중합형 비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582712B1 (ko) 발포성 수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포체
KR102286792B1 (ko) 하이드로플루오로올레핀을 이용한 압출 발포체 조성물, 압출 발포체 및 그 제조방법
JP2019074116A (ja) 断熱材及び断熱材の製造方法
KR101064177B1 (ko) 발포성 스티렌계 수지 입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