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2005422A1 - 내후성과 차광성이 개선된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내후성과 차광성이 개선된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2005422A1
WO2012005422A1 PCT/KR2010/009287 KR2010009287W WO2012005422A1 WO 2012005422 A1 WO2012005422 A1 WO 2012005422A1 KR 2010009287 W KR2010009287 W KR 2010009287W WO 2012005422 A1 WO2012005422 A1 WO 201200542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etramethyl
resin composition
weight
butyl
tetrak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0/00928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동현
박노형
허훈
박춘근
전승호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주식회사 폴리사이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주식회사 폴리사이언텍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ublication of WO201200542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005422A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4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r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08K2003/265Calcium, strontium or barium carbonat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sin composition in which a specific antioxidant, UV stabilizer, and nano-inorganic material combination is added to a polyethylene (PE) resin in which nano-inorganic particles are dispersed, thereby increasing weather resistance and light blocking effect.
  • the resin composition may be used to prepare a insect repellent sheet for preventing pests in rural areas that can reduce the use of chemical synthetic pesticides, such as fungicides, insecticides, herbicides.
  • This eco-friendly farming method is easy to breed pests because no pesticides are applied, which directly affects the yield of crops. These pests live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uch as ricefields and paddy fields, and are analyzed as a direct cause of decreasing crop yields. have.
  • the eco-friendly farming method requires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labor compared to the use of chemicals, which is causing difficulties in the supply and demand of manpower and the quality and quantity of labor due to the aging workforce of domestic farmers. .
  • a heat resistant agent In order to improve such long-term weather resistance and light shielding properties, a heat resistant agent, an antioxidant, a UV stabilizer, or the like may be prescribed.
  • the additives used together should not react with each other to reduce the effects of each other. Therefore, in order to develop a resin composition suitable for the purpose, a deep understanding of the base resin and each additive and Need research
  • the present inventors confirm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long-term weather resistance (antioxidation and UV stability) are improved by the type and combination of antioxidants and UV stabilizers added to the polyethylene (PE) resin in which nano inorganic particles are dispersed.
  • PE polyethylene
  • nano-inorganic particles such as carbon black it was confirmed that the light-shielding properties are improved, thereby completing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rming that it can solve the problem of economic efficiency through a lower production cost.
  •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dd a specific antioxidant, UV stabilizer and nano-inorganic particle combination to the polyethylene (PE) resin in which the nano-inorganic particles are dispersed to increase the properties for weather resistance and light-shielding properties.
  • PE polyethylene
  •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resin composition 50 to 90 parts by weight of polyethylene (PE) resin, 1 to 40 parts by weight of the first nano-inorganic particles, 0.1 to 3 parts by weight of the second nano-inorganic particles, 0.1 to 3 parts by weight of antioxidant And it provides a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0.1 to 3 parts by weight of UV stabilizers.
  • PE polyethylene
  • It provides a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0.3 to 0.5 parts by weight of the antioxidan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resin composition.
  • It provides a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0.4 to 0.8 parts by weight of the UV stabilizer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resin composition.
  • the first nano-inorganic particles provide a resin composition of nano calcium carbonate (CaCO 3 ).
  • the second nano-inorganic particles provide a resin composition which is nano carbon black.
  • An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nano-inorganic particles provides a resin composition of 10 nm to 1,000 nm.
  • the antioxidant provides a resin composition which is a combination of a phenolic antioxidant and a thioester antioxidant.
  • the phenolic antioxidant and thioester antioxidant provide a resin composition mixed in a ratio of 1: 2.
  • the antioxidant is propionate octadecyl-3- (3,5-di-talt-butyl-4-hydroxyphenyl) propionate (octadecyl-3- (3,5-di-tert-butyl-4-hydroxyphenyl) propionate ), Tris (2,4-di-tert-butylphenyl) phosphite, tetrakis [methylene-3- (3,5-di-talt-butyl) 4-hydroxyphenyl) propionate] methane (tetrakis [methylene-3- (3,5-di-tert-butyl-4-hydroxyphenyl) propionate] methane), 4,4'-thiobis (6-talt) -Butyl-m-cresol) (4,4'-thiobis (6-tert-bytyl-m-cresol), pentaerythryl tetrakis (3-laurylthiopropionate) (pentaeryth
  • the antioxidant is tetrakis [methylene-3- (3,5-di-tert-butyl) tetrakis [methylene-3- (3,5-di-talt-butyl-4-hydroxyphenyl) propionate] 4-hydroxyphenyl) propionate] methane) and pentaerythrityl tetrakis (3-laurylthiopropionate) are provided.
  • Tetrakis [methylene-3- (3,5-di-tert-butyl-4-hydroxyphenyl] tetrakis [methylene-3- (3,5-di-tert-butyl-4-hydroxyphenyl) propionate] methane) and pentaerythrityl tetrakis (3-laurylthiopropionate) in a ratio of 1: 2.
  • the UV stabilizer is a resin composition of HALS (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
  • the UV stabilizer provides a resin composition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2500 or more.
  • the UV stabilizers are bis (2,2,6,6-tetramethyl-4-piperidinyl) sebacate (bis (2,2,6,6-tetramethyl-4-piperidinyl) sebacate), poly [[6- (1,1,3,3-tetramethylbutyl) amino] -s-triazine-2,4-dinyl] [(2,2,6,6-tetramethyl-4-piperidinyl) imino] Hexamethylene [2,2,6,6-tetramethyl-4-piperidinyl) imino]] (poly [[6-[(1,1,3,3-tetramethylbutyl) amino] -s-triazine-2 , 4-dinyl] [2,2,6,6-tetramethyl-4-piperidyl) imino] hexamethylene [2,2,6,6-tetramethyl-4-piperidyl) imino]], dimethyl succinate and 4-hydroxy Polymer of dimethyl succinate and 4-hydroxy-2,2,6,6-tetramethyl
  • the UV stabilizer is poly [[6- (1,1,3,3-tetramethylbutyl) amino] -s-triazine-2,4-dinyl] [(2,2,6,6-tetramethyl- 4-piperidinyl) imino] hexamethylene [2,2,6,6-tetramethyl-4-piperidinyl) imino]] (poly [[6-[(1,1,3,3-tetramethylbutyl ) amino] -s-triazine-2,4-dinyl] [2,2,6,6-tetramethyl-4-piperidyl) imino] hexamethylene [2,2,6,6-tetramethyl-4-piperidyl) imino]] Or a polymer of dimethyl succinate and 4-hydroxy-2,2,6,6-tetramethyl- and 4-hydroxy-2,2,6,6, -tetramethyl-1-piperidine ethanol. 1-piperidine ethanol) to provide a resin composition.
  • Antioxidant is tetrakis [methylene-3- (3,5-di-tert-butyl-). 4-hydroxyphenyl) propionate] methane) and pentaerythrityl tetrakis (3-laurylthiopropionate), and UV stabilizers are poly [[6- (1,1) , 3,3-tetramethylbutyl) amino] -s-triazine-2,4-dinyl] [(2,2,6,6-tetramethyl-4-piperidinyl) imino] hexamethylene [2 , 2,6,6-tetramethyl-4-piperidinyl) imino]] (poly [[6-[(1,1,3,3-tetramethylbutyl) amino] -s-triazine-2,4-dinyl ] [2,2,6,6-tetramethyl-4-piperidyl) imino] hexamethylene [2,2,6,6-tetramethyl-4-piperidyl) imin
  • a resin composition which is a polymer of -2,2,6,6, -tetramethyl-1-piperidine ethanol (polymer of dimethyl succinate and 4-hydroxy-2,2,6,6-tetramethyl-1-piperidine ethanol) do.
  • a sheet prepared by melting, extruding and molding the resin composition is provided.
  • the sheet provides a sheet that is an insect repellent sheet.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50 to 90 parts by weight of polyethylene (PE) resin, 1 to 40 parts by weight of the first nano-inorganic particles, 0.1 to 3 second nano-inorganic particle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resin composition To parts by weight, 0.1 to 3 parts by weight of antioxidant, 0.1 to 3 parts by weight of UV stabilizer is added to the resin com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added.
  • PE polyethylene
  • Types of the polyethylene (PE) resin may include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medium density polyethylene (MDPE),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crosslinked P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 and the like. Preferred among them is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and the polyethylene includes 50 to 90 parts by weight, and preferably 70 to 80 parts by weight.
  • LDPE low density polyethylene
  • MDPE medium density polyethylene
  • HDPE high density polyethylene
  • LLDP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 Preferred among them is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 the polyethylene includes 50 to 90 parts by weight, and preferably 70 to 80 parts by weight.
  • the polyethylene resin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has a molecular weight that forms a sheet, but a low density polyethylene having a melt flow index of 0.3 to 4.0 g / 10 min (ASTM D1238) and a density of 0.910 to 0.930 g / cm 3 (ASTM D1505)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resins having a resin or melt flow index of 0.5 to 2.0 g / 10 min (ASTM D1238) and a density of 0.900 to 0.940 g / cm 3 can be used.
  • the first nano-inorganic particles may be dispersed in a polyethylene resin to improve rigidity and processing productivity. It is inferred that this is because nano-inorganic particles act as a kind of nucleating agent for polyethylene resin, and the resin composition is melt-extruded to accelerate the crystallization rate of the resin as it exits the die.
  • the first nano-inorganic particle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0 to 1,000 nm and are calcium carbonate, talc, clay, kaolin, silica, diatomaceous earth, magnesium carbonate, calcium chloride, calcium sulfate, aluminum hydroxide, zinc oxide, magnesium hydroxide, and oxides.
  • Titanium, alumina, mica, asbestos, zeolite, clay silicate, or mixtures thereof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Examples of the form of the nano-inorganic particles include plate, needle, spherical shape and the like, but spherical shape is most preferred.
  • Surface treatment with higher fatty acids having 11 to 21 carbon atoms, such as oleic acid and stearic acid, can improve dispersibility.
  • calcium carbonate (CaCO 3 ) may be used, and when calcium carbonate is used, heat resistance may be improved and economic efficiency is excellent.
  • the first nano inorganic particles include 1 to 40 parts by weight, preferably 20 to 30 parts by weight.
  • Nanocarbon black may be used as the second nano-inorganic particl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nano-inorganic particles is characterized in that 10 nm to 1,000 nm.
  • the nano-inorganic particles are included 0.1 to 3 parts by weight, preferably 0.1 to 0.3 parts by weight.
  • the nano carbon black refers to a general one prepared by pyrolyzing a hydrocarbon raw material into a high temperature combustion gas in a furnace type reactor to obtain a combustion product containing particle carbon black, and generally has a surface area and a structure (DBP absorbency). Classify according to analyt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 the nanocarbon blacks include pulverized graphite, which graphite is know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or example in A. F. Hollemann, E. Wieberg, N. Wieberg, “Lehrbuch der anorganischen Chemie", 91st-100th ed., P.701-702.
  • the antioxidant prevents crosslinking of polymers that may occur during discoloration and processing, and serves to prevent discoloration as well as to maintain long-term physical properties of the finished product.
  • Low-molecular weight ordinary antioxidant for polyethylene has low effect because of its concentration being lowered by volatilization and extraction, and low-volatility high molecular weight antioxidant is preferable.
  • examples thereof include hindered phenol, lactone, phosphite, thioester,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a phenolic / thioester based combination can be used.
  • thioester antioxidants are oxidized to divalent sulfur atoms up to hexavalent, they are capable of decomposing two ROOHs at first.
  • a thioester antioxidant is used in combination with a phenolic antioxidant, it can exert a great synergistic effect and greatly improve the thermal stability of the polyethylene resin. This is because thiols donate hydrogen to regenerate the phenolic antioxidant during the oxidation of the thioester antioxidant, so that ROO.
  • octadecyl-3- (3,5-di-talt-butyl-4-hydroxyphenyl) propionate octadecyl-3- (3,5-di-tert-butyl-4-hydroxyphenyl) propionate
  • Tris (2,4-di-tert-butylphenyl) phosphite tetrakis [methylene-3- (3,5-di-talt-butyl) 4-hydroxyphenyl) propionate] methane (tetrakis [methylene-3- (3,5-di-tert-butyl-4-hydroxyphenyl) propionate] methane
  • pentaerythryl tetrakis (3-laurylthiopropionate) pentaerythrityl t
  • the antioxidant may be used in combination of one or more, preferably two or more, more preferably tetrakis [methylene-3- (3,5-di-talt-butyl-4-hydroxyphenyl) prop Cypionate] methane (tetrakis [methylene-3- (3,5-di-tert-butyl-4-hydroxyphenyl) propionate] methane) and pentaerythrityl tetrakis (3-laurylthiopropionate) (pentaerythrityl tetrakis (3-laurylthiopropionate)), and the ratio may be 1: 2.
  • the UV stabilizer prevents aging such as cracking and discoloration caused by ultraviolet rays when the plastic is exposed to sunlight for a long time.
  • examples thereof include benzophenone, benzotriazole, and HALS.
  • Known materials such as a 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 system may be mainly used, and preferably, a HLS (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 system may be used.
  • bis (2,2,6,6-tetramethyl-4-piperidinyl) sebacate bis (2,2,6,6-tetramethyl-4-piperidinyl) sebacate
  • the antioxidant and the UV stabilizer may be added at the same time to exhibit a complex synergistic effect
  • the present invention used a phenol / thioester antioxidant and a HALS stabilizer together.
  • acidic substances derived from thioester-based antioxidants and HALS-based stabilizers form salts, and active species of HALS-based stabilizers are difficult to produce, antagonism is observed in weather resistance, and both HALS-based stabilizers and phenolic antioxidants are used together. When used, it is known that the coloration of resins of phenolic antioxidants may be promoted.
  • HALS stabilizers with phenolic / thioester antioxidants results in increased weather resistance.
  • Preferred combinations include tetrakis [methylene-3- (3,5-di-] as antioxidants as tetrakis [methylene-3- (3,5-di-talt-butyl-4-hydroxyphenyl) propionat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ellets, sheets or other structures comprising the resin composition.
  • the resin composition may be prepared in pellet form by kneading and extruding at a melting point or more.
  • the pellet may be dried and then extruded and molded to prepare a sheet.
  • the sheet may be tubular.
  • the resin composition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black plastic bag, a black electric wire cable, a wood coating powder coating, etc. having increased weather resistance.
  • the change rate of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of the sheet (film) prepar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experimental example was measured as follows.
  •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change of all samples were measured by light (102 minutes) / light and water at 63 ⁇ 2.5 ° C, 50% humidity and 1,000 hours using Xenon Arc lamp on weather-o-meter for long-term weather resistance measurement. After changing the conditions at a cycle of spraying (18 minutes), the sample sheets were left to stand, and the change in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was measured, and the visible light transmittance was also measured.
  • Tensile properties were measured for strength (kg / cm2) and elongation (%) at the time of fracture according to the KS M 3503 7.6 tensile strength and tensile elongation test method. After measuring the driving direction MD and the width direction TD perpendicular to the driving direction, the lowest value was measured.
  • Calcium carbonate Aldrich, 310034 having an average particle size of 0.01 to 1 ⁇ m and carbon black (SEWON IC, HIBLACK) having an average particle size of 0.01 to 1 ⁇ m were prepared.
  • the resin composition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resin composition, 76.0 parts by weight of polyethylene, 24.0 parts by weight of calcium carbonate, and 0.1 parts by weight of carbon black were added to the kneader, kneaded and dispersed for about 30 minutes at 150 to 190 ° C, and extruded to form a nanoparticle-based resin composition. Prepared in pellet form. The obtained nanoparticle-based resin composition pellets were dried at 90 ° C. for 2 hours in a drier, and then put into a hopper and put into an extruder having a screw diameter of 130 mm and an L / D 30, and a range of 170 to 190 ° C. using a circular die molding machine. The tubular sheet having a thickness of 30 ⁇ m was prepared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extruder cylinder and the die temperature, and the physical properties thereof are shown in Table 1.
  • Octadecyl-3- (3,5-di-talt-butyl-4-hydroxyphenyl) propionate octadecyl-3- (3,5-di-tert-butyl-4-hydroxyphenyl) as an antioxidant in the above formulation 0.1 parts by weight of propionate) (SONGNOX ® 1076) and a UV stabilizer, bis (2,2,6,6-tetramethyl-4-piperidinyl) sebacate (bis (2,2,6, 6-tetramethyl-4-piperidinyl) sebacate) (SONGLIGHT INDUSTRIAL, SONGLIGHT ® 7700) was added in 0.2 parts by weight to prepare a tubular sheet having a thickness of 30 ⁇ m in the same manner as above, and the physical properties thereof are shown in Table 1.
  • Example 1 Polyethylene, calcium carbonate, carbon black, and an antioxidant of the same average particle size (Songwon Industrial Co., SONGNOX ® 1010, SONGNOX ® 4150 ) and UV stabilizer (Songwon Industrial Co., SONGLIGHT ® 7700) were prepared.
  • Polyethylene, calcium carbonate, carbon black and antioxidant (SONGNOX ® 1010, SONGNOX ® 4120) and UV stabilizers (SONGLIGHT ® , SONGLIGHT ® 7700) of the same average particle size as in Experimental Example 1 were prepared.
  • Table 1 shows octadecyl-3- (3,5-di-talt-butyl-4-hydroxyphenyl) propionate (octadecyl-3- (3,5-di-tert-butyl-4-) as an antioxidant.
  • Experimental Example 2 is tetrakis [methylene-3- (3,5-di-talt-butyl-4-hydroxyphenyl) propionate] which is a phenol- / thioester-based antioxidant. 3,5-di-tert-butyl-4-hydroxyphenyl) propionate] methane) (1010) / 4,4'-thiobis (6-talt-butyl-m-cresol) (4,4'-thiobis (6 -tert-bytyl-m-cresol) (4150) is a combination of the antioxidant octadecyl-3- (3,5-di-talt-butyl-4-hydroxyphenyl) propionate (octadecyl-3- (3, 5-di-tert-butyl-4-hydroxyphenyl) propionate) (1076) / tris (2,4-di-tert-butylphenyl) phosphite (1680 It can be seen that it shows better weather resistance than the
  • Experimental Example 3 is an antioxidant tetrakis [methylene-3- (3,5-di-talt-butyl-4-hydroxyphenyl) propionate] methane (tetrakis [methylene-3- (3,5-di-tert) -butyl-4-hydroxyphenyl) propionate] methane) (1010) / 4,4'-thiobis (6-talt-butyl-m-cresol) (4,4'-thiobis (6-tert-bytyl-m- cresol) (4150) rather than antioxidant tetrakis [methylene-3- (3,5-di-talt-butyl-4-hydroxyphenyl) propionate] methane (tetrakis [methylene-3- (3,5) -di-tert-butyl-4-hydroxyphenyl) propionate] methane) (1010) / pentaerythrityl tetrakis (3-laurylthiopropionate) (4120) It showed better weather resistance
  • Experimental Example 4 is a UV stabilizer poly [[6- (1,1,3,3-tetramethylbutyl) amino] -s-triazine-2,4-dinyl] [(2,2,6,6-tetra Methyl-4-piperidinyl) imino] hexamethylene [2,2,6,6-tetramethyl-4-piperidinyl) imino]] (poly [[6-[(1,1,3,3 -tetramethylbutyl) amino] -s-triazine-2,4-dinyl] [2,2,6,6-tetramethyl-4-piperidyl) imino] hexamethylene [2,2,6,6-tetramethyl-4-piperidyl) imino ]] (9440) is applied to UV stabilizer bis (2,2,6,6-tetramethyl-4-piperidinyl) sebacate (bis (2,2,6,6-tetramethyl-4-piperidinyl) sebacate (7700) showed better weather resistance than when appli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후성 및 차광성이 개선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지 조성물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폴리에틸렌(PE) 수지 50 내지 90 중량부, 제1나노무기입자 1 내지 40 중량부, 제2나노무기입자 0.1 내지 3 중량부, 산화방지제 0.1 내지 3 중량부 및 UV 안정제 0.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후성과 차광성이 개선된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은 나노무기입자가 분산된 폴리에틸렌(PE) 수지에 특정 산화방지제, UV 안정제 및 나노무기물질 조합을 첨가하여 내후성 및 차광성 효과를 증대시킨 수지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살균제, 살충제, 제초제 등의 화학합성농약의 사용을 줄일 수 있는 농촌의 병충해 방지를 위한 방충용 시트를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최근 먹거리에 대한 안전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살균제, 살충제, 제초제 등 화학합성농약과 화학비료, 식물생장조절제, 인공사료첨가제 등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가축의 분뇨나 인광석, 질소분말 등 자연광석분말 등을 활용하여 농사를 진행하는 유기농법이 각광받고 있다. 자연법칙에 순응하여 무경운, 무제초, 무화학비료, 무농약 등의 인공적인 요소를 거의 가미하지 않은 농업이어서, 퇴비 및 토착미생물 등을 활용한 토양의 이화학적 성질을 개선하여 작물을 건강하고 안전하게 재배하는 자연농법 등의 친환경 농법이 실시되고 있는 농가가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친환경 농법은 방제제의 투입이 없어 해충의 번식이 용이해 농작물의 생산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며, 이러한 해충은 논두렁, 밭두렁 등의 주변 환경에 서식하여 농작물의 생산량을 감소시키는 직접적인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또한, 친환경 농법은 화학약품을 사용하는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노동력이 필요하게 되어 현재 국내 농업인들이 안고 있는 인력 고령화로 인한 인력수급 및 노동력의 질 및 양의 확보에 차질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병충해 방지를 위한 시트가 개발되기 시작하였으며, 전 세계적으로 상업화된 사례는 일본 정부(농림수산성)의 전폭적인 지원 하에 정부관련 기관 및 협력업체에서 개발한 제품이 거의 유일하다. 이는 장기 내후성 및 차광성 부여 처방이 된 나일론 섬유와 폴리에틸렌(PE) 필름이 코팅된 형태의 복합 시트로서 유연성, 장기(5~7년 보장) 내구성, 차광성, 내후성 등 품질적인 면은 탁월하지만, 가격이 매우 높은 단점으로 인해 일본정부에서 무상으로 농민들에게 지급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시트 제조용 수지 조성물에 차광성을 부여함으로써 잡초성장을 방지하고 병충의 서식을 원천봉쇄하여 방충성을 부여할 수 있다. 광 차단효과를 얻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당한 양의 자외선 흡수제를 배합하는 것이 시도되었지만, 경시변화에 따라 혹은 여름철에 자외선 흡수제가 필름 표면에 침출되어 자외선 흡수제의 결정화로 인해 필름의 백화현상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현실적으로 적용하기 어려웠다.
상기 방충용 시트로서 상용화되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내후성 및 차광성이 중요한 요소이다. 종래에 내습성, 유연성이 우수하면서도 매우 저렴한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기본 수지로 사용하고 나노탄산칼슘을 복합화함으로써 중단기(약3년) 내후성 및 차광성을 달성한 개발예가 있었으나, 5년 이상의 장기내후성 및 차광성을 달성하지는 못하였다.
이러한, 장기 내후성 및 차광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내열제, 산화방지제, UV 안정제 등을 처방할 수 있다. 다만, 여러 가지 첨가제를 사용하는 경우, 함께 사용되는 첨가제들끼리 반응하여 서로의 효과를 감소시키지 않아야 하므로, 목적에 맞는 수지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기본 수지(base resin)와 각 첨가제에 대한 깊은 이해 및 연구가 필요하다.
통상의 폴리에틸렌용 산화방지제는 저분자량의 휘발성 등에 문제가 있어 장기 산화방지성 확보에 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통상의 폴리에틸렌용 UV 안정제를 사용하는 경우수지 내 분산된 나노입자의 방해로 오히려 성능 저하가 초래될 수 있으므로 유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경제성을 고려하여 소량을 첨가하고도 수지 조성물 내 다른 첨가제와 시너지를 발현할 수 있는 첨가제 처방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자는 나노무기입자가 분산된 폴리에틸렌(PE) 수지에 첨가되는 산화방지제 및 UV안정제의 종류 및 조합에 의하여 장기 내후성(산화방지성 및 UV안정성)에 대한 특성이 향상됨을 확인하였고, 또한 나노카본블랙과 같은 나노무기입자를 이용하여 차광특성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해 좀더 낮은 생산단가를 통하여 경제성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나노무기입자가 분산된 폴리에틸렌(PE) 수지에 특정 산화방지제, UV 안정제 및 나노무기입자 조합을 첨가하여 내후성 및 차광성에 대한 특성을 증가시킨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지 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폴리에틸렌(PE) 수지 50 내지 90 중량부, 제1나노무기입자 1 내지40 중량부, 제2나노무기입자 0.1 내지 3 중량부, 산화방지제 0.1 내지 3 중량부 및 UV 안정제 0.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수지 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산화방지제를 0.3 내지 0.5 중량부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수지 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UV안정제를 0.4 내지 0.8 중량부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제1나노무기입자는 나노탄산칼슘(CaCO3)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제2나노무기입자는 나노카본블랙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나노무기입자의 평균 입도는 10 ㎚ 내지 1,000 ㎚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페놀계 산화방지제 및 티오에스터계 산화방지제의 조합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페놀계 산화방지제 및 티오에스터계 산화방지제는 1:2의 비율로 혼합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옥타데실-3-(3,5-다이-털트-부틸-4-하이드록시페닐) 프로피오네이트 (octadecyl-3-(3,5-di-tert-butyl-4-hydroxyphenyl) propionate), 트리스(2,4-다이-털트-부틸페닐) 포스파이트 (tris(2,4-di-tert-butylphenyl) phosphite), 테트라키스[메틸렌-3-(3,5-다이-털트-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메탄(tetrakis[methylene-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methane), 4,4'-티오비스(6-털트-부틸-m-크레솔)(4,4'-thiobis(6-tert-bytyl-m-cresol),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키스(3-라우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pentaerythrityl tetrakis(3-laurylthiopropionate)), 또는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테트라키스[메틸렌-3-(3,5-다이-털트-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메탄(tetrakis[methylene-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methane) 및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키스(3-라우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pentaerythrityl tetrakis(3-laurylthiopropionate))의 조합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테트라키스[메틸렌-3-(3,5-다이-털트-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메탄(tetrakis[methylene-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methane)과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키스(3-라우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pentaerythrityl tetrakis(3-laurylthiopropionate))가 1:2의 비율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UV 안정제는 HALS(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계인 수지 조성물.
상기 UV 안정제는 분자량 2500 이상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UV안정제는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퍼리디닐) 세바케이트(bis(2,2,6,6-tetramethyl-4-piperidinyl) sebacate), 폴리[[6-(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노]-s-트리아진-2,4-다이닐][(2,2,6,6-테트라메틸-4-피퍼리디닐)이미노] 헥사메틸렌[2,2,6,6-테트라메틸-4-피퍼리디닐) 이미노]](poly[[6-[(1,1,3,3-tetramethylbutyl)amino]-s-triazine-2,4-dinyl][2,2,6,6-tetramethyl-4-piperidyl)imino] hexamethylene[2,2,6,6-tetramethyl-4-piperidyl) imino]], 다이메틸 숙시네이트와 4-하이드록시-2,2,6,6,-테트라메틸-1-피퍼리딘 에탄올의 고분자(polymer of dimethyl succinate and 4-hydroxy-2,2,6,6-tetramethyl-1-piperidine ethanol), 또는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UV 안정제는 폴리[[6-(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노]-s-트리아진-2,4-다이닐][(2,2,6,6-테트라메틸-4-피퍼리디닐)이미노] 헥사메틸렌[2,2,6,6-테트라메틸-4-피퍼리디닐) 이미노]](poly[[6-[(1,1,3,3-tetramethylbutyl)amino]-s-triazine-2,4-dinyl][2,2,6,6-tetramethyl-4-piperidyl)imino] hexamethylene[2,2,6,6-tetramethyl-4-piperidyl) imino]] 또는 다이메틸 숙시네이트와 4-하이드록시-2,2,6,6,-테트라메틸-1-피퍼리딘 에탄올의 고분자(polymer of dimethyl succinate and 4-hydroxy-2,2,6,6-tetramethyl-1-piperidine ethanol)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산화방지제는 테트라키스[메틸렌-3-(3,5-다이-털트-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메탄 (tetrakis[methylene-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methane) 및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키스(3-라우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 (pentaerythrityl tetrakis(3-laurylthiopropionate))의 조합이고, UV안정제는 폴리[[6-(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노]-s-트리아진-2,4-다이닐][(2,2,6,6-테트라메틸-4-피퍼리디닐)이미노] 헥사메틸렌[2,2,6,6-테트라메틸-4-피퍼리디닐) 이미노]](poly[[6-[(1,1,3,3-tetramethylbutyl)amino]-s-triazine-2,4-dinyl][2,2,6,6-tetramethyl-4-piperidyl)imino] hexamethylene[2,2,6,6-tetramethyl-4-piperidyl) imino]]이거나; 산화방지제는 테트라키스[메틸렌-3-(3,5-다이-털트-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메탄 (tetrakis[methylene-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methane) 및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키스(3-라우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 (pentaerythrityl tetrakis(3-laurylthiopropionate))의 조합이고, UV안정제는 다이메틸 숙시네이트와 4-하이드록시-2,2,6,6,-테트라메틸-1-피퍼리딘 에탄올의 고분자(polymer of dimethyl succinate and 4-hydroxy-2,2,6,6-tetramethyl-1-piperidine ethanol)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수지 조성물을 용융 및 압출시켜 제조된 펠렛을 제공한다.
상기 수지 조성물을 용융, 압출 및 성형시켜 제조된 시트를 제공한다.
상기 시트는 방충용 시트인 시트를 제공한다.
상기 수지 조성물을 용융, 압출 및 성형시켜 제조된 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내후성 및 차광성이 우수한 방충 시트를 제조하여 친환경 농법 및 농업생산량의 증대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수지 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폴리에틸렌(PE) 수지50 내지 90 중량부, 제1나노무기입자1 내지 40 중량부, 제2나노무기입자0.1 내지 3 중량부, 산화방지제 0.1 내지 3 중량부, UV안정제 0.1 내지 3 중량부가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상기 폴리에틸렌(PE) 수지의 종류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가교 폴리에틸렌(crosslinked 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폴리에틸렌 중 바람직한 것으로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이고, 상기 폴리에틸렌은 50 내지 90 중량부가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80 중량부가 포함된다.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는 시트를 형성하는 정도의 분자량을 가지는 것이라면 제한을 두지 않지만 용융흐름지수가 0.3∼4.0g/10분(ASTM D1238)이고 밀도가 0.910∼0.930g/cm3(ASTM D1505)인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또는 용융흐름지수가 0.5∼2.0g/10분(ASTM D1238)이고 밀도가 0.900∼0.940g/cm3인,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나노무기입자는 폴리에틸렌 수지에 분산시켜 강성 및 가공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나노무기입자가 폴리에틸렌 수지에 대한 일종의 핵제로 작용하여 수지조성물이 용융압출되어 다이에서 빠져나오는 순간 수지의 결정화속도를 빨라지게 함에 기인한 것으로 추론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제1나노무기입자는 평균입경 10 내지 1,000nm의 것으로 탄산칼슘, 탈크, 클레이, 카올린, 실리카, 규조토, 탄산마그네슘, 염화칼슘, 황산칼슘, 수산화알미늄, 산화아연, 수산화마그네슘, 산화티탄, 알루미나, 마이카, 아스베스토스,제오라이트, 규산백토,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나노 무기입자의 형태로서는 판상, 침상, 구상 등이 있으나, 구상이 가장 바람직하다. 올레인산, 스테아린산 등과 같은 탄소수 11 ~ 21의 고급지방산 등으로 표면 처리하는 경우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탄산칼슘(CaCO3)을 사용할 수 있으며, 탄산칼슘을 사용하는 경우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경제성이 뛰어나다. 탄산칼슘으로는 공지의 탄산칼슘, 예를 들어 중질 탄산칼슘, 함성(침강성) 탄산칼슘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상기 제1나노무기입자는 1 내지 40 중량부가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 중량부가 포함된다.
상기 제2나노무기입자를 첨가함으로써 차광성을 부여할 수 있다. 제2나노무기입자로는 나노카본블랙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나노무기입자의 평균 입도는 10 ㎚ 내지 1,00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나노무기입자는 0.1 내지 3 중량부가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3 중량부가 포함된다. 상기 나노카본블랙(carbon black)은 퍼네이스형 반응기에서 탄화수소 원료를 고온의 연소 가스로 열분해시켜 입자 카본 블랙을 함유하는 연소생성물을 얻음으로 서 제조되는 일반적인 것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표면적 및 구조(DBP 흡수성) 등을 포함하는 분석 특성에 따라 분류되는 것을 사용한다. 상기 나노카본블랙은 분쇄된 흑연을 포함하며, 흑연은 당업자에 의해, 예를 들면 문헌 [A. F. Hollemann, E. Wieberg, N. Wieberg, "Lehrbuch der anorganischen Chemie", 91st-100th ed., p.701-702]에 기재된 바와 같은 탄소의 변형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변색과 가공과정의 진행중에 발생할 수 있는고분자의 가교를 막아주고, 완제품의 장기적 물성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변색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저분자량의 통상의 폴리에틸렌용 산화방지제는 휘산, 추출에 의해 농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효과가 낮고, 저휘발성의 고분자량 산화방지제가 바람직하다. 그 종류로는 힌더레드 페놀계(hindered phenol), 락톤계(lacton), 포스파이트계(phosphite), 티오에스터계(thioester)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페놀계/티오에스터계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티오에스터계 산화방지제는 2가의 황원자가 6가까지 산화되기 때문에 처음에 2개의 ROOH를 분해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티오에스터계 산화방지제를 페놀계 산화방지제와 조합하여 사용하면 큰 상승효과를 발휘하여 폴리에틸렌 수지의 열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티오에스터계 산화방지제의 산화과정에서 티올류가 수소를 공여하여 페놀계 산화방지제를 재생하기 때문에 반복하여 ROO·를 포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옥타데실-3-(3,5-다이-털트-부틸-4-하이드록시페닐) 프로피오네이트 (octadecyl-3-(3,5-di-tert-butyl-4-hydroxyphenyl) propionate), 트리스(2,4-다이-털트-부틸페닐) 포스파이트 (tris(2,4-di-tert-butylphenyl) phosphite), 테트라키스[메틸렌-3-(3,5-다이-털트-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메탄(tetrakis[methylene-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methane), 4,4'-티오비스(6-털트-부틸-m-크레솔)(4,4'-thiobis(6-tert-butyl-m-cresol),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키스(3-라우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pentaerythrityl tetrakis(3-laurylthiopropionate)), 또는 이의혼합물이 0.1 내지 3 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테트라키스[메틸렌-3-(3,5-다이-털트-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메탄(tetrakis[methylene-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methane) 또는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키스(3-라우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pentaerythrityl tetrakis(3-laurylthiopropionate))일 수 있고, 수지 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산화방지제를 0.3 내지0.5 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1종 이상, 바람직하게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테트라키스[메틸렌-3-(3,5-다이-털트-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메탄(tetrakis[methylene-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methane) 및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키스(3-라우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pentaerythrityl tetrakis(3-laurylthiopropionate))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그 비율은 1:2일 수 있다.
상기 UV안정제는 플라스틱이 햇빛에 장시간 노출시, 자외선에 의해 발생되는 균열 및 탈색 등 노화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그 종류로는 벤조페논계(benzophenone), 벤조트리아졸계(benzotriazole), HALS(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계 등의 공지의 물질이 주로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HALS(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계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퍼리디닐) 세바케이트(bis(2,2,6,6-tetramethyl-4-piperidinyl) sebacate)(분자량 480), 폴리[[6-(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노]-s-트리아진-2,4-다이닐][(2,2,6,6-테트라메틸-4-피퍼리디닐)이미노] 헥사메틸렌[2,2,6,6-테트라메틸-4-피퍼리디닐) 이미노]](poly[[6-[(1,1,3,3-tetramethylbutyl)amino]-s-triazine-2,4-dinyl][2,2,6,6-tetramethyl-4-piperidyl)imino] hexamethylene[2,2,6,6-tetramethyl-4-piperidyl) imino]](분자량 2500 이상), 다이메틸 숙시네이트와 4-하이드록시-2,2,6,6,-테트라메틸-1-피퍼리딘 에탄올의 고분자(polymer of dimethyl succinateand 4-hydroxy-2,2,6,6-tetramethyl-1-piperidine ethanol)(분자량 3000 이상), 또는 이의 혼합물이 0.1 내지 3 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폴리[[6-(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노]-s-트리아진-2,4-다이닐][(2,2,6,6-테트라메틸-4-피퍼리디닐)이미노] 헥사메틸렌[2,2,6,6-테트라메틸-4-피퍼리디닐) 이미노]](poly[[6-[(1,1,3,3-tetramethylbutyl)amino]-s-triazine-2,4-dinyl][2,2,6,6-tetramethyl-4-piperidyl)imino] hexamethylene[2,2,6,6-tetramethyl-4-piperidyl) imino]] 또는 다이메틸 숙시네이트와 4-하이드록시-2,2,6,6,-테트라메틸-1-피퍼리딘 에탄올의 고분자(polymer of dimethyl succinate and 4-hydroxy-2,2,6,6-tetramethyl-1-piperidine ethanol), 또는 이의 혼합물이 0.1 내지 3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0.8 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화방지제와 UV안정제는 동시에 첨가되어 복합적인 상승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페놀계/티오에스터계 산화방지제와 HALS계 안정제를 함께 사용하였다. 종래에는 티오에스터계 산화방지제로부터 유래하는 산성물질과 HALS계 안정제가 염을 생성하여 HALS계 안정제의 활성종이 생성하기 어렵기 때문에 내후성에서 길항작용이 관찰되고, HALS계 안정제와 페놀계 산화방지제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 페놀계 산화방지제의 수지 착색을 촉진하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본 발명자들은 고분자량(2500이상)의 HALS 안정제를 페놀계/티오에스터계 산화방지제와 사용하는 경우 내후성이 증대되는 결과를 얻었다. 바람직한 조합으로는 산화방지제로서 테트라키스[메틸렌-3-(3,5-다이-털트-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메탄(tetrakis[methylene-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methane),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키스(3-라우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pentaerythrityl tetrakis(3-laurylthiopropionate)), UV안정제로서 폴리[[6-(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노]-s-트리아진-2,4-다이닐][(2,2,6,6-테트라메틸-4-피퍼리디닐)이미노] 헥사메틸렌[2,2,6,6-테트라메틸-4-피퍼리디닐) 이미노]](poly[[6-[(1,1,3,3-tetramethylbutyl)amino]-s-triazine-2,4-dinyl][2,2,6,6-tetramethyl-4-piperidyl)imino] hexamethylene[2,2,6,6-tetramethyl-4-piperidyl) imino]], 또는 산화방지제로서 테트라키스[메틸렌-3-(3,5-다이-털트-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메탄(tetrakis[methylene-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methane),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키스(3-라우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pentaerythrityl tetrakis(3-laurylthiopropionate))와 UV안정제로서 다이메틸 숙시네이트와 4-하이드록시-2,2,6,6,-테트라메틸-1-피퍼리딘 에탄올의 고분자(polymer of dimethyl succinate and 4-hydroxy-2,2,6,6-tetramethyl-1-piperidine ethanol)인 조합일 수 있다.
또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펠렛, 시트 또는 기타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수지 조성물을 용융점 이상에서 혼련시키고 압출시켜 펠렛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펠렛을 건조시킨 후 압출, 성형하여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시트는 튜브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내후성이 증대된 검정색 플라스틱백, 검정색 전선 케이블, 목재 도장용 파우더 코팅제 등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험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험예는 본 발명을 더욱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험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실험예에 따라 제조된 시트(필름)의 인장강도 및 신도의 변화율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모든 샘플의 인장강도 및 신도의 변화율은 장기내후성 측정을 위하여 weather-o-meter에서 Xenon Arc 램프를 이용하여 63±2.5℃, 습도 50%, 1,000시간의 조건에서 빛(102분)/빛과 물스프레이(18분)의 주기로 조건을 바꾸어 가면서 상기 샘플시트들을 방치후, 인장강도 및 신도의 변화율을 측정하였고, 아울러 가시광선 투과율도 측정하였다.
인장물성은 KS M 3503 7.6 인장강도 및 인장신도 시험방법에 준해 시료의 파단시 강도(㎏/㎠) 및 신도(%)를 측정하였다. 주행방향(MD), 주행방향에 수직인 폭방향(TD)에 대해 각각 측정한 뒤, 가장 낮은 값을 측정하였다.
실험예 1
평균입도 0.01 내지 1 ㎛ 탄산칼슘(알드리치, 310034), 평균입도 0.01 내지 1 ㎛의 카본블랙(세원아이엔씨, HIBLACK)을 준비하였다.
니더에 수지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폴리에틸렌 76.0 중량부, 탄산칼슘 24.0 중량부, 카본블랙 0.1 중량부의 배합비로 투입하고, 150~190℃에서 약 30분간 혼련 분산시키고, 압출시켜 나노입자계 수지조성물 펠렛형태로 제조하였다. 상기 얻어진 나노입자계 수지조성물 펠렛을 건조기에서 90℃로 2시간 건조한 뒤, 호퍼에 투입하여 스크류 직경 130 ㎜이며, L/D 30인 압출기에 투입하고, 원형 다이 성형기를 사용하여 170~190℃ 범위로 압출기 실린더 및 다이온도를 적절히 조정하여 두께 30 ㎛의 튜브형 시트를 제조하였고, 그 물성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배합에 산화방지제인 옥타데실-3-(3,5-다이-털트-부틸-4-하이드록시페닐) 프로피오네이트 (octadecyl-3-(3,5-di-tert-butyl-4-hydroxyphenyl) propionate) (송원산업, SONGNOX® 1076) 0.1 중량부 첨가하고, UV안정제인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퍼리디닐) 세바케이트(bis(2,2,6,6-tetramethyl-4-piperidinyl) sebacate)(송원산업, SONGLIGHT® 7700)를 0.2 중량부로 첨가하여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30 ㎛의 튜브형 시트를 제조하였고, 그 물성을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수지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폴리에틸렌 76.0 중량부, 탄산칼슘 24.0 중량부, 카본블랙 0.1 중량부, 산화방지제인 옥타데실-3-(3,5-다이-털트-부틸-4-하이드록시페닐) 프로피오네이트 (octadecyl-3-(3,5-di-tert-butyl-4-hydroxyphenyl) propionate) (송원산업, SONGNOX® 1076) 0.1 중량부와 트리스(2,4-다이-털트-부틸페닐) 포스파이트 (tris(2,4-di-tert-butylphenyl) phosphite)(송원산업, SONGNOX® 1680)를 0.1, 0.2, 0.3 중량부로 각각 첨가하고, UV안정제인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퍼리디닐) 세바케이트(bis(2,2,6,6-tetramethyl-4-piperidinyl) sebacate)(송원산업, SONGLIGHT® 7700)를 0.2 중량부로 일정하게 첨가하여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30 ㎛의 튜브형 시트를 제조하였고, 그 물성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2
실험예 1과 동일한 평균입도의 폴리에틸렌, 탄산칼슘, 카본블랙 및 산화방지제(송원산업, SONGNOX® 1010, SONGNOX® 4150)와 UV안정제(송원산업, SONGLIGHT® 7700)를 준비하였다.
수지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폴리에틸렌 76.0 중량부, 탄산칼슘 24.0 중량부, 카본블랙 0.1 중량부, 산화방지제인 테트라키스[메틸렌-3-(3,5-다이-털트-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메탄(tetrakis[methylene-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methane)(송원산업, SONGNOX® 1010) 0.1 중량부와 4,4'-티오비스(6-털트-부틸-m-크레솔)(4,4'-thiobis(6-tert-bytyl-m-cresol)(송원산업, SONGNOX® 4150)를0, 0.1, 0.2, 0.3 및 0.4 중량부로 첨가하고, UV안정제인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퍼리디닐) 세바케이트(bis(2,2,6,6-tetramethyl-4-piperidinyl) sebacate)(송원산업, SONGLIGHT® 7700)를 0.2 중량부로 첨가하여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30 ㎛의 튜브형 시트를 제조하였고, 그 물성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3
실험예 1과 동일한 평균입도의 폴리에틸렌, 탄산칼슘, 카본블랙 및 산화방지제(송원산업, SONGNOX® 1010, SONGNOX® 4120)와 UV안정제(송원산업, SONGLIGHT® 7700)을 준비하였다.
수지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폴리에틸렌 76.0 중량부, 탄산칼슘 24.0 중량부, 카본블랙 0.1 중량부, 산화방지제인 테트라키스[메틸렌-3-(3,5-다이-털트-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메탄(tetrakis[methylene-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methane)(송원산업, SONGNOX® 1010) 0.1 중량부와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키스(3-라우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pentaerythrityl tetrakis(3-laurylthiopropionate))(송원산업, SONGNOX® 4120)를 0.1, 0.2, 0.3 및 0.4 중량부로 첨가하고, UV안정제인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퍼리디닐) 세바케이트(bis(2,2,6,6-tetramethyl-4-piperidinyl) sebacate)(송원산업, SONGLIGHT® 7700)를 0.2 중량부로 첨가하여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30 ㎛의 튜브형 시트를 제조하였고, 그 물성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4
실험예 1과 동일한 평균입도의 폴리에틸렌, 탄산칼슘, 카본블랙 및 산화방지제(송원산업, SONGNOX® 1010, SONGNOX® 4150)와 UV안정제(송원산업, SONGLIGHT® 9440)을 준비하였다.
수지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폴리에틸렌 76.0 중량부, 탄산칼슘 24.0 중량부, 카본블랙 0.1 중량부, 산화방지제인 테트라키스[메틸렌-3-(3,5-다이-털트-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메탄(tetrakis[methylene-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methane) (송원산업, SONGNOX® 1010) 0.1 중량부와 4,4'-티오비스(6-털트-부틸-m-크레솔)(4,4'-thiobis(6-tert-bytyl-m-cresol))(송원산업, SONGNOX® 4150)를 0.2 중량부로 첨가하고, UV안정제인 폴리[[6-(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노]-s-트리아진-2,4-다이닐][(2,2,6,6-테트라메틸-4-피퍼리디닐)이미노] 헥사메틸렌[2,2,6,6-테트라메틸-4-피퍼리디닐) 이미노]](poly[[6-[(1,1,3,3-tetramethylbutyl)amino]-s-triazine-2,4-dinyl][2,2,6,6-tetramethyl-4-piperidyl)imino] hexamethylene[2,2,6,6-tetramethyl-4-piperidyl) imino]](송원산업, SONGLIGHT® 9440)를 0.2, 0.4, 0.6, 0.8 중량부로 첨가하여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30 ㎛의 튜브형 시트를 제조하였고, 그 물성을 표 2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5
실험예 1과 동일한 평균입도의 폴리에틸렌, 탄산칼슘, 카본블랙 및 산화방지제(송원산업, SONGNOX® 1010, SONGNOX® 4120)와 UV안정제(송원산업, SONGLIGHT® 9440)을 준비하였다.
수지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폴리에틸렌 76.0 중량부, 탄산칼슘 24.0 중량부, 카본블랙 0.1 중량부, 산화방지제인 테트라키스[메틸렌-3-(3,5-다이-털트-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메탄(tetrakis[methylene-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methane) (송원산업, SONGNOX® 1010) 0.1 중량부와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키스(3-라우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pentaerythrityl tetrakis(3-laurylthiopropionate)) (송원산업, SONGNOX® 4120)를 0.2 중량부로 첨가하고, UV안정제인 폴리[[6-(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노]-s-트리아진-2,4-다이닐][(2,2,6,6-테트라메틸-4-피퍼리디닐)이미노] 헥사메틸렌[2,2,6,6-테트라메틸-4-피퍼리디닐) 이미노]](poly[[6-[(1,1,3,3-tetramethylbutyl)amino]-s-triazine-2,4-dinyl][2,2,6,6-tetramethyl-4-piperidyl)imino] hexamethylene[2,2,6,6-tetramethyl-4-piperidyl) imino]] (송원산업, SONGLIGHT® 9440)를 0.2, 0.4, 0.6, 0.8 중량부로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30 ㎛의 튜브형 시트를 제조하였고, 그 물성을 표 2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6
실험예 1과 동일한 평균입도의 폴리에틸렌, 탄산칼슘, 카본블랙 및 산화방지제(송원산업, SONGNOX® 1010, SONGNOX® 4120)와 UV안정제(송원산업, SONGLIGHT® 6220)을 준비하였다.
수지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폴리에틸렌 76.0 중량부, 탄산칼슘 24.0 중량부, 카본블랙 0.1 중량부, 산화방지제인 테트라키스[메틸렌-3-(3,5-다이-털트-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메탄(tetrakis[methylene-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methane) (송원산업, SONGNOX® 1010) 0.1 중량부와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키스(3-라우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pentaerythrityl tetrakis(3-laurylthiopropionate)) (송원산업, SONGNOX® 4120)를 0.2 중량부로 첨가하고, UV안정제인 다이메틸 숙시네이트와 4-하이드록시-2,2,6,6,-테트라메틸-1-피퍼리딘 에탄올의 고분자(polymer of dimethyl succinate and 4-hydroxy-2,2,6,6-tetramethyl-1-piperidine ethanol) (송원산업, SONGLIGHT® 6220)를 0.2, 0.4, 0.6 및 0.8 중량부로 첨가하여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30 ㎛의 튜브형 시트를 제조하였고, 그 물성을 표 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은 산화방지제인 옥타데실-3-(3,5-다이-털트-부틸-4-하이드록시페닐) 프로피오네이트 (octadecyl-3-(3,5-di-tert-butyl-4-hydroxyphenyl) propionate)(1076), 트리스(2,4-다이-털트-부틸페닐) 포스파이트 (tris(2,4-di-tert-butylphenyl) phosphite)(1680), 테트라키스[메틸렌-3-(3,5-다이-털트-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메탄(tetrakis[methylene-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methane)(1010), 4,4'-티오비스(6-털트-부틸-m-크레솔)(4,4'-thiobis(6-tert-bytyl-m-cresol)(4150),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키스(3-라우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pentaerythrityl tetrakis(3-laurylthiopropionate))과 UV안정제인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퍼리디닐) 세바케이트(bis(2,2,6,6-tetramethyl-4-piperidinyl) sebacate)(7700)에 대한 인장 변화율, 신도 변화율 및 가시광선 투과율에 대한 결과를 나타내고, 하기 표 2는 산화방지제인 테트라키스[메틸렌-3-(3,5-다이-털트-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메탄(tetrakis[methylene-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methane)(1010), 4,4'-티오비스(6-털트-부틸-m-크레솔)(4,4'-티오비스(6-tert-bytyl-m-cresol)(4150),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키스(3-라우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pentaerythrityl tetrakis(3-laurylthiopropionate))(4120)와 UV 안정제인 폴리[[6-(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노]-s-트리아진-2,4-다이닐][(2,2,6,6-테트라메틸-4-피퍼리디닐)이미노] 헥사메틸렌[2,2,6,6-테트라메틸-4-피퍼리디닐) 이미노]](poly[[6-[(1,1,3,3-tetramethylbutyl)amino]-s-triazine-2,4-dinyl][2,2,6,6-tetramethyl-4-piperidyl)imino] hexamethylene[2,2,6,6-tetramethyl-4-piperidyl) imino]](9440), 다이메틸 숙시네이트와 4-하이드록시-2,2,6,6,-테트라메틸-1-피퍼리딘 에탄올의 고분자(polymer of dimethyl succinate and 4-hydroxy-2,2,6,6-tetramethyl-1-piperidine ethanol)(6220)에 대한 인장 변화율, 신도 변화율 및 가시광선 투과율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다.
표 1
실험예 구성(질량부) 내후성 가시광선투과율(%)
PE CaCO3 CB anti-oxy anti-UV 인장 변화율(%) 신도 변화율(%)
1 76.0 24.0 - - - 50 50 35
76.0 24.0 0.1 0.1(1076) 0.2(7700) 45 45 0
76.0 24.0 0.1 0.1(1076)0.1(1680) 0.2(7700) 40 39 0
76.0 24.0 0.1 0.1(1076)0.2(1680) 0.2(7700) 30 30 0
76.0 24.0 0.1 0.1(1076)0.3(1680) 0.2(7700) 31 29 0
2 76.0 24.0 0.1 0.1(1010) 0.2(7700) 25 26 0
76.0 24.0 0.1 0.1(1010)0.1(4150) 0.2(7700) 22 22 0
76.0 24.0 0.1 0.1(1010)0.2(4150) 0.2(7700) 15 14 0
76.0 24.0 0.1 0.1(1010)0.3(4150) 0.2(7700) 14 16 0
76.0 24.0 0.1 0.1(1010)0.4(4150) 0.2(7700) 15 14 0
3 76.0 24.0 0.1 0.1(1010)0.1(4120) 0.2(7700) 20 19 0
76.0 24.0 0.1 0.1(1010)0.2(4120) 0.2(7700) 10 10 0
76.0 24.0 0.1 0.1(1010)0.3(4120) 0.2(7700) 9 10 0
76.0 24.0 0.1 0.1(1010)0.4(4120) 0.2(7700) 9 9 0
표 2
실험예 구성(질량부) 내후성 가시광선투과율(%)
PE CaCO3 CB anti-oxy anti-UV 인장 변화율(%) 신도 변화율(%)
4 76.0 24.0 0.1 0.1(1010)0.2(4150) 0.2(9440) 13 14 0
76.0 24.0 0.1 0.1(1010)0.2(4150) 0.4(9440) 7 8 0
76.0 24.0 0.1 0.1(1010)0.2(4150) 0.6(9440) 7 7 0
76.0 24.0 0.1 0.1(1010)0.2(4150) 0.8(9440) 8 6 0
5 76.0 24.0 0.1 0.1(1010)0.2(4120) 0.2(9440) 9 11 0
76.0 24.0 0.1 0.1(1010)0.2(4120) 0.4(9440) 4 3 0
76.0 24.0 0.1 0.1(1010)0.2(4120) 0.6(9440) 3 4 0
76.0 24.0 0.1 0.1(1010)0.2(4120) 0.8(9440) 3 4 0
6 76.0 24.0 0.1 0.1(1010)0.2(4120) 0.2(6220) 10 12 0
76.0 24.0 0.1 0.1(1010)0.2(4120) 0.4(6220) 3 3 0
76.0 24.0 0.1 0.1(1010)0.2(4120) 0.6(6220) 3 4 0
76.0 24.0 0.1 0.1(1010)0.2(4120) 0.8(6220) 4 5 0
상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험예 1을 통하여 1차 산화방지제와 2차 산화방지제의 적정한 비율이 1:2 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나노카본블랙이 혼합됨으로써 차광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는 페놀계/티오에스터계 산화방지제인 테트라키스[메틸렌-3-(3,5-다이-털트-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메탄(tetrakis[methylene-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methane)(1010)/4,4'-티오비스(6-털트-부틸-m-크레솔)(4,4'-thiobis(6-tert-bytyl-m-cresol)(4150)의 조합이 산화방지제 옥타데실-3-(3,5-다이-털트-부틸-4-하이드록시페닐) 프로피오네이트 (octadecyl-3-(3,5-di-tert-butyl-4-hydroxyphenyl) propionate)(1076)/트리스(2,4-다이-털트-부틸페닐) 포스파이트 (tris(2,4-di-tert-butylphenyl) phosphite)(1680)의 조합보다 우수한 내후성을 보여줌을 알 수 있었고, UV안정제인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퍼리디닐) 세바케이트(bis(2,2,6,6-tetramethyl-4-piperidinyl) sebacate)을 투입하였을 경우, 0.2 이상의 중량비에서는 더 이상의 내후성 증가가 관찰되지는 않았다.
실험예 3은 산화방지제 테트라키스[메틸렌-3-(3,5-다이-털트-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메탄(tetrakis[methylene-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methane)(1010)/4,4'-티오비스(6-털트-부틸-m-크레솔)(4,4'-thiobis(6-tert-bytyl-m-cresol)(4150)의 조합보다 산화방지제 테트라키스[메틸렌-3-(3,5-다이-털트-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메탄(tetrakis[methylene-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methane)(1010)/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키스(3-라우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pentaerythrityl tetrakis(3-laurylthiopropionate))(4120)의 조합이 더 우수한 내후성을 나타냄을 보여주었다.
실험예 4는 UV 안정제 폴리[[6-(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노]-s-트리아진-2,4-다이닐][(2,2,6,6-테트라메틸-4-피퍼리디닐)이미노] 헥사메틸렌[2,2,6,6-테트라메틸-4-피퍼리디닐) 이미노]](poly[[6-[(1,1,3,3-tetramethylbutyl)amino]-s-triazine-2,4-dinyl][2,2,6,6-tetramethyl-4-piperidyl)imino] hexamethylene[2,2,6,6-tetramethyl-4-piperidyl) imino]](9440)을 적용하였을 때가 UV안정제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퍼리디닐) 세바케이트(bis(2,2,6,6-tetramethyl-4-piperidinyl) sebacate)(7700)을 적용한 경우보다 더 우수한 내후성을 보여준다는 사실을 보여주였고, 0.4 중량비 이상에서는 더 이상의 내후성 증가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실험예 5와 6에서는 산화방지제 테트라키스[메틸렌-3-(3,5-다이-털트-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메탄(tetrakis[methylene-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methane)(1010)/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키스(3-라우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pentaerythrityl tetrakis(3-laurylthiopropionate))(4120) 및 UV안정제 폴리[[6-6(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노]-s-트리아진-2,4-다이닐][(2,2,6,6-테트라메틸-4-피퍼리디닐)이미노] 헥사메틸렌[2,2,6,6-테트라메틸-4-피퍼리디닐) 이미노]](poly[[6-[(1,1,3,3-tetramethylbutyl)amino]-s-triazine-2,4-dinyl][2,2,6,6-tetramethyl-4-piperidyl)imino] hexamethylene[2,2,6,6-tetramethyl-4-piperidyl) imino]](9440) 또는 산화방지제 테트라키스[메틸렌-3-(3,5-다이-털트-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메탄(tetrakis[methylene-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methane)(1010)/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키스(3-라우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pentaerythrityl tetrakis(3-laurylthiopropionate))(4120) 및 UV안정제 다이메틸 숙시네이트와 4-하이드록시-2,2,6,6,-테트라메틸-1-피퍼리딘 에탄올의 고분자(polymer of dimethyl succinate and 4-hydroxy-2,2,6,6-tetramethyl-1-piperidine ethanol)(6220)의 조합이 가장 우수한 내후성을 보여줌을 확인하였다.

Claims (20)

  1. 수지 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폴리에틸렌(PE) 수지 50 내지 90 중량부, 제1나노무기입자 1 내지40 중량부, 제2나노무기입자 0.1 내지 3 중량부, 산화방지제 0.1 내지 3 중량부 및 UV 안정제 0.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수지 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산화방지제를 0.3 내지 0.5 중량부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수지 조성물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UV안정제를 0.4 내지 0.8 중량부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나노무기입자는 나노탄산칼슘(CaCO3)인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나노무기입자는 나노카본블랙인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무기입자의 평균 입도는 10 ㎚ 내지 1,000 ㎚인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방지제는 페놀계 산화방지제 및 티오에스터계 산화방지제의 조합인 수지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페놀계 산화방지제 및 티오에스터계 산화방지제는 1:2의 비율로 혼합된 수지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방지제는 옥타데실-3-(3,5-다이-털트-부틸-4-하이드록시페닐) 프로피오네이트 (octadecyl-3-(3,5-di-tert-butyl-4-hydroxyphenyl) propionate), 트리스(2,4-다이-털트-부틸페닐) 포스파이트 (tris(2,4-di-tert-butylphenyl) phosphite), 테트라키스[메틸렌-3-(3,5-다이-털트-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메탄(tetrakis[methylene-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methane), 4,4'-티오비스(6-털트-부틸-m-크레솔)(4,4'-thiobis(6-tert-bytyl-m-cresol),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키스(3-라우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pentaerythrityl tetrakis(3-laurylthiopropionate)), 또는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수지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방지제는 테트라키스[메틸렌-3-(3,5-다이-털트-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메탄(tetrakis[methylene-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methane) 및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키스(3-라우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pentaerythrityl tetrakis(3-laurylthiopropionate))의 조합인 수지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테트라키스[메틸렌-3-(3,5-다이-털트-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메탄(tetrakis[methylene-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methane)과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키스(3-라우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pentaerythrityl tetrakis(3-laurylthiopropionate))가 1:2의 비율인 수지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V 안정제는 HALS(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계인 수지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UV 안정제는 분자량 2500 이상인 수지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V안정제는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퍼리디닐) 세바케이트(bis(2,2,6,6-tetramethyl-4-piperidinyl) sebacate), 폴리[[6-(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노]-s-트리아진-2,4-다이닐][(2,2,6,6-테트라메틸-4-피퍼리디닐)이미노] 헥사메틸렌[2,2,6,6-테트라메틸-4-피퍼리디닐) 이미노]](poly[[6-[(1,1,3,3-tetramethylbutyl)amino]-s-triazine-2,4-dinyl][2,2,6,6-tetramethyl-4-piperidyl)imino] hexamethylene[2,2,6,6-tetramethyl-4-piperidyl) imino]], 다이메틸 숙시네이트와 4-하이드록시-2,2,6,6,-테트라메틸-1-피퍼리딘 에탄올의 고분자(polymer of dimethyl succinate and 4-hydroxy-2,2,6,6-tetramethyl-1-piperidine ethanol), 또는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수지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UV안정제는 폴리[[6-(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노]-s-트리아진-2,4-다이닐][(2,2,6,6-테트라메틸-4-피퍼리디닐)이미노] 헥사메틸렌[2,2,6,6-테트라메틸-4-피퍼리디닐) 이미노]](poly[[6-[(1,1,3,3-tetramethylbutyl)amino]-s-triazine-2,4-dinyl][2,2,6,6-tetramethyl-4-piperidyl)imino] hexamethylene[2,2,6,6-tetramethyl-4-piperidyl) imino]] 또는 다이메틸 숙시네이트와 4-하이드록시-2,2,6,6,-테트라메틸-1-피퍼리딘 에탄올의 고분자(polymer of dimethyl succinate and 4-hydroxy-2,2,6,6-tetramethyl-1-piperidine ethanol)인 수지 조성물.
  16. 제1항에 있어서, 산화방지제는 테트라키스[메틸렌-3-(3,5-다이-털트-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메탄 (tetrakis[methylene-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methane) 및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키스(3-라우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 (pentaerythrityl tetrakis(3-laurylthiopropionate))의 조합이고, UV안정제는 폴리[[6-(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노]-s-트리아진-2,4-다이닐][(2,2,6,6-테트라메틸-4-피퍼리디닐)이미노] 헥사메틸렌[2,2,6,6-테트라메틸-4-피퍼리디닐) 이미노]](poly[[6-[(1,1,3,3-tetramethylbutyl)amino]-s-triazine-2,4-dinyl][2,2,6,6-tetramethyl-4-piperidyl)imino] hexamethylene[2,2,6,6-tetramethyl-4-piperidyl) imino]]이거나;
    산화방지제는 테트라키스[메틸렌-3-(3,5-다이-털트-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메탄 (tetrakis[methylene-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methane) 및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키스(3-라우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 (pentaerythrityl tetrakis(3-laurylthiopropionate))의 조합이고, UV안정제는 다이메틸 숙시네이트와 4-하이드록시-2,2,6,6,-테트라메틸-1-피퍼리딘 에탄올의 고분자(polymer of dimethyl succinate and 4-hydroxy-2,2,6,6-tetramethyl-1-piperidine ethanol)인 수지 조성물.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의 수지 조성물을 용융 및 압출시켜 제조된 펠렛.
  18.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의 수지 조성물을 용융, 압출 및 성형시켜 제조된 시트.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방충용 시트인 시트.
  20.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의 수지 조성물을 용융, 압출 및 성형시켜 제조된 구조물.
PCT/KR2010/009287 2010-07-06 2010-12-23 내후성과 차광성이 개선된 수지 조성물 WO201200542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5092A KR20120004309A (ko) 2010-07-06 2010-07-06 내후성과 차광성이 개선된 시트 조성물
KR10-2010-0065092 2010-07-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05422A1 true WO2012005422A1 (ko) 2012-01-12

Family

ID=45441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0/009287 WO2012005422A1 (ko) 2010-07-06 2010-12-23 내후성과 차광성이 개선된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20004309A (ko)
WO (1) WO2012005422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9602B2 (ja) * 1987-01-16 1994-12-07 みかど化工株式会社 農業用フイルム
KR19980073141A (ko) * 1997-03-12 1998-11-05 성기웅 농업용 필름 조성물
KR0168622B1 (ko) * 1995-12-22 1999-03-20 이종학 탄산칼슘을 함유하는 폴리에틸렌 수지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1089611A (ja) * 1999-09-24 2001-04-03 Japan Polyolefins Co Ltd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そのフィルムおよび農業用フィルム
KR20070120652A (ko) * 2006-06-20 2007-12-26 (주)클라스타 인스트루먼트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흑색 멀칭필름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9602B2 (ja) * 1987-01-16 1994-12-07 みかど化工株式会社 農業用フイルム
KR0168622B1 (ko) * 1995-12-22 1999-03-20 이종학 탄산칼슘을 함유하는 폴리에틸렌 수지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9980073141A (ko) * 1997-03-12 1998-11-05 성기웅 농업용 필름 조성물
JP2001089611A (ja) * 1999-09-24 2001-04-03 Japan Polyolefins Co Ltd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そのフィルムおよび農業用フィルム
KR20070120652A (ko) * 2006-06-20 2007-12-26 (주)클라스타 인스트루먼트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흑색 멀칭필름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309A (ko) 2012-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30351B2 (en) Biodegradable polyester composition
DE60117400T2 (de) Thermoplastische harze stabilisiert durch mischungen aus sterisch gehinderten phenolen, sekundären aminen und lactonen
WO2016091807A1 (de) Polymerzusammensetzung mit verzögertem kristallisationsverhalten, das kristallisationsverhalten beeinflussende additivzusammensetzung, verfahren zur herabsetzung des kristallisationspunktes und/oder der kristallisationsgeschwindigkeit sowie verwendung einer additivzusammensetzung
WO2015105214A1 (ko) 항균 섬유 소재, 항균 섬유, 항균 섬유 제조용 마스터배치, 및 항균 섬유의 제조방법
CA2904201A1 (en) Stabilized polymer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same
DE602005019333D1 (de) Flammwidrige polymerzusammensetzungen
DE1769646A1 (de) Stabilisierung von synthetischen Polymeren
EP0751179A1 (de) Antistatisch-ausgerüstete halogenhaltige Polymere
EP2235099B1 (de) Stabilisatorzusammensetzung für halogenhaltige polymere
CN103694682A (zh) 一种抗菌、抗uv尼龙用色母粒
WO2012005422A1 (ko) 내후성과 차광성이 개선된 수지 조성물
CN1971769A (zh) 含有改性辣椒素的防鼠型电缆料及其制备方法
DE2802531C2 (ko)
EP0845013B1 (de) Verwendung von piperidinverbindungen
DE2656999A1 (de) Neue phosphite
JP2012521378A (ja) プラスチック中のピリチオン安定剤としてのデヒドロ酢酸の塩
MX2020001781A (es) Composiciones estabilizadoras que contienen compuestos de cromano sustituidos y metodos de uso.
CN110003630B (zh) 一种透明的耐磨阻燃抗菌塑料及其制备方法
EP2361282B1 (de) Schwermetallfreie stabilisatorzusammensetzung für halogenhaltige polymere
CN111995813B (zh) 一种聚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DE3932041A1 (de) Polymere costabilisatoren fuer formmassen auf basis von polymerisaten des vinylchlorids
DE1569504B2 (de) Verbesserung der verwitterungsbestaendigkeit von festen organischen kunststoffen
CN108117697B (zh) 一种基于氧化锌纳米线协效的抗紫外防滴落无卤阻燃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DE1153522B (de) Verfahren zum Stabilisieren von kristallinem Polypropylen
JPH0673417B2 (ja) 植物保護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085449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085449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