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1155795A2 - 의자 - Google Patents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1155795A2
WO2011155795A2 PCT/KR2011/004274 KR2011004274W WO2011155795A2 WO 2011155795 A2 WO2011155795 A2 WO 2011155795A2 KR 2011004274 W KR2011004274 W KR 2011004274W WO 2011155795 A2 WO2011155795 A2 WO 2011155795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hair
brake
backrest
fixed
sea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1/00427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1155795A3 (ko
Inventor
박영호
Original Assignee
Park Youngho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0005570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103154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0006663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095279B1/ko
Application filed by Park Youngho filed Critical Park Youngho
Priority to EP11792706.1A priority Critical patent/EP2580992A2/en
Priority to CN2011800288812A priority patent/CN102933119A/zh
Priority to US13/703,334 priority patent/US20130175839A1/en
Priority to JP2013514121A priority patent/JP2013528101A/ja
Publication of WO2011155795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155795A2/ko
Publication of WO2011155795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155795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horizontally-adjustable seats ; Expandable seats or the like, e.g. seats with horizontally 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adjustable in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1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adjustable elastic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3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coi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chair that allows a worker sitting in a chair to support the body of the worker even when tilting the posture forward or backward, or moving to and fro the chair seat.
  • the part supported by the backrest is sligh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body type, so the suggested method is the best way to adjust the height of the backrest.
  • the work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backrest as described above had to be performed by the chair user leaving the chair and adjusting the height of the backrest separately. This was not comfortable enough for the user to lean forward or back.
  • the chair is a wheeled chair to move to the workbench as much as possible to support the back of the worker, or to insert a back cushion separately to maintain the back support It was.
  • the supplementary back cushions may be separated and the thickness of the back cushions may not be able to actively cope with the gap between the backrest and the user.
  • Wheeled chairs are not sufficient for the case where the worker leans forward or moves forward of the chair seat, but this is somewhat resolved and responsiveness is very rapid.
  • the angle of the backrest is preferably tilted slightly back.
  • the existing chairs were elastic and tried to cope with it.
  • the force of elasticity is continuously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so the user has to consciously apply force against this force.
  • the seat of the chair maintains the horizontal state, the user's body is pushed forward.
  • the user may not only lean forward by approaching the workbench, but also take an action of tilting the leg forward, because the movement may be a comfortable posture in the working process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work.
  • the seat plate was still fixed horizontally and did not respond to the worker's posture.
  • the fixing method for the movement of the backrest of the pre- filed was made by drilling a hole in the proper part of the fixed body and having a device for inserting it into the hole by using a pin on a part of the moving backrest. This fixed position is made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impact occurred when the pin is inserted and escaped.
  • Another method proposed by this method is made by direct friction of gum rotating about a fixed axis. Such a method requires a large force to obtain a large friction force for fixing and a small frictional contact surface causes severe wear.
  • Fixing the backrest movement is preferably fixed at any desired position.
  • the operating method of the brake to be fixed should be simple and reliable, and its durability should be guaranteed by not causing severe abrasion.
  • the brake In order to prevent the backrest from being twisted by the operation of the brake on either side, the brake is required to operate equally from side to side, and the trouble of operation for this should not occur as another problem. 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added configuration should not be hindered.
  • the support of the backrest provides the best support for all parts of the user's body.
  • the height of the backrest can be adjusted not only to adjust the height in response to the user's body shape, but also to be easily adjusted without the user leaving the chair.
  • the seat plate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workbench and leans forward as well as tilts his / her legs, it is preferable that the seat plate also tilts for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respond to the user's posture.
  • the backrest is preferably tilted slightly backwards, and it is desirable to configure a mechanism to fix the tilt of the backrest so as not to give the user another stress due to the elasticity to return. It is desirable that the seat bevels back together so that the hips of the user are not pushed off the seat. At this time, it is necessary to configure a mechanism having a sufficient fixing force to the inclined torque.
  • the brake action is initiat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handle-the brake piece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xed body by the operation of the handle", and at this time, the surface roughness is formed so as to form a suitable friction between the brake piece and the fixed body which is operated by the brake.
  • the brakes were configured to act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hair, and the left and right brakes were easily operated by one operation by configuring an interlocker that interlocks these left and right brake operations.
  • the height of the backrest can be adjusted to adjust the height to correspond to the user's body shape.
  • an elastic element having a tension force applied to the front end of the mover was constructed.
  • the backrest supporting the user's main part and its upper part was configured to cope with each other.
  • the brake pieces operated by the brake lever were moved to the left and right or up and down to be compressed to the fixed portion to fix the movement of the backrest.
  • the backrest When the seated person leans forward for work or the like, the backrest is rotatable to actively respond to the changing interval between the backrest and the user.
  • the back height adjustment mechanism can be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to easily adjust the height of the backrest without leaving the chair.
  • the seat plate When the user leans back against the backrest, the seat plate is also inclined to prevent the user's hips from being pushed and the brake mechanism is configured to have sufficient fixing force at any angle.
  • the backrest As the backrest moves, the backrest is in a position to support the back of the chair user who leans forward or moves the hips forward of the seat for work.
  • the brake action is initiated by the operation of the "brake piece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xed body under operation of the operating handle-handle" for the fixing.
  • the movement of the backrest can be fixed even with a small force by adjusting the surface roughness to form a suitable friction between the brake piece and the fixed body subjected to the operation of the brake.
  • the wear of the contact surface is significantly reduced as compared to the direct friction method simply relying on the strong frictional force of the cam, it can significantly extend the durability; Compared to obtaining a fixing force by penetrating the pin, it becomes possible to fix it smoothly without generating noise at any desired position.
  • This brake acting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hair prevents the phenomenon of twisting when the backrest is applied when acting on one side.
  • the interlocker for interlocking the brake operation of the left and right sides, the operation of the left and right brakes is easily started in one operation so that the inconvenience of operating the brakes is not generated.
  • the space is secured by mounting a cover on the lower portion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interlocker interlocking the left and right brake pieces.
  • This can be used as a sedentary chair.
  • by mounting a chair leg in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cover can be realized as a normal chair.
  • it is possible to mount the chair body consisting of one support shaft to the lower cover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wheeled chair.
  • the area that the backrest should support is mainly the lumbar region, and when the user retreats back completely, it is desirable to support the entire part of the user's back and the head. There is no. Therefore, it is designed to be independent of the backrest that moves the backrest, which is enough to support the thoracic region and the head of the user, so that the user supports all the back parts and the head of the user when the user wants to fully support the back with the back. This provides proper support not only when the backrest moves forward, but also when it moves backwards and the user takes a rest position.
  • the height adjustment system of the backrest is made to respond. At this time, convenience is maximized by the configuration for enabling the height adjustment operation while sitting in a chair.
  • This seat tilt function maximizes the user's convenience by allowing the seat plate to tilt for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respond to the user's posture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workbench and tilts the body and legs forward.
  • the elastic force is different from the force of tilting forward and backward, so that the elastic force is also configured to correspond to each movement so that the elastic force is different, thereby providing comfort to the human body.
  • the elastic element By placing the elastic element at the rear of the chair, the user's legs are free at the front.
  • Figure 1 An embodiment including the entire configura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vable backrest system including the left and right brake pieces on the auxiliary rails;
  • FIG 3 is an exploded view of the movable backrest system including the left and right close contact with the auxiliary rail.
  • Fig. 5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ovable backrest system and the height adjustment system including the left and right close contact brake pieces
  • Fig. 8 Rear perspective exploded view of the mobile backrest system and the height adjustment system including the upper and lower tight brake pieces
  • FIG. 10 Part B detailed view of the tilt control device of FIG.
  • FIG. 11 is an exploded view of a chair including a chair tilt control device installed in the chair structure;
  • FIG. 1 An embodiment including the entir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1.
  • the backrest includes a back plate 1 in contact with the user's body, a structure supporting the back plate 2, a mover 6 engaged with the structure, and a guide rail 10 for binding the mover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mover.
  • the lower part of the upper structure 2 supporting the back plate and the upper part of the lower structure 5 are rotatably coupled back and forth by joints 3 penetrating two parts to form a joint. Connecting table 3 is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joints.
  • a screw is formed in one of the superstructure 2 or the substructure 5. It is coupled with a screw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nnecting table (3). At this time, the left and right screws preferably form threads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Both ends of the connecting rod 3 form a stopper 4, which also serves as a handle. By turning the stopper 4, the left and right joint portions move in opposite directions along the connecting rods, so that the coupling portions of the upper structure 2 and the lower structure 5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 the connecting rod 3 has a handle as an end of the stopper 4, and becomes a connecting pin 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2 and the lower structure 5, and functions as an interlock interlocking the action of the left and right stoppers. This gives you the convenience of operating from either side.
  • Rotation of the stopper 4 can be configured to be practically within 180 degrees, wherein the role of the screw is equivalent to the role of the cam. Therefore, in this case, the meaning of the screw includes the role and meaning of the cam.
  • Backrest structure lower part 5 is fitted into a through hole extending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o the mover 6 moving along the guide rail 10 to adjust the height up and down, and on the other side of the backrest structure of the mover 6
  • a stopper 16, which is a fixing means for fixing the shanghai copper, is installed and is fixed at a desired height by tightening the stopper 16.
  • the stopper 16 may be screwed or may be due to friction by the use of a cam.
  • the guide rail 10 is fixed to the chair seat plate 15, and the seat plate and the lower body of the chair may be fixed to the seat plate 15 or the body of the chair in the case of a chair that does not change by being fixed integrally.
  • a brake which is a fix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mover 6, is coupled to the mover 6.
  • FIGS. 2 and 3 are diagrams showing the movement of the backrest system including the left and right close contact brake pieces 7 on the auxiliary rails 11.
  • the auxiliary rail 11 is fixed to the chair seat or guide rail 10 body.
  • the mover 6 is coupled to the brake piece 7 at the front and the auxiliary rail 11 passes between the brake pieces 7 to operate the brake lever 8 so that the brake piece 7 is the auxiliary rail 11. It is fixed by being crimped to.
  • the contact surface of the auxiliary rail 11 and the brake lever 8 is formed with irregularities to increase the resistance to slipping during brake operation (marking is omitted in the figure).
  • the brake lever 8 also acts on the other side by the influence of operating the brake lever 8 by the connecting table 9 which is an element for interlocking the left and right brake action.
  • the connecting rod 9 and the brake piece 7 are screwed together, and the screw joining the brake pieces 7 on the left and right side has a balanced force on the left and right sides, so that the screw is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so as to resist the external torque that twists the left and right.
  • the auxiliary rail 11 is configured separately to form a brake frame in which the brake pieces 7 operate, the auxiliary rail 11 may have some flexibility due to the shape of the auxiliary rail 11, so that the brake may be absorbed by itself while absorbing the change caused by the brake operation. It is possible to ensure the brake action by making the contact between the pieces 7 work in a balanced manner.
  • FIGS. 4-6 is a configuration diagram including the left and right close contact in the brake system of the movable backrest.
  • the brake piece 7 is bound to the left and right in front of the mover 6, and the upper end of the brake piece 7 is guided to the guide rail 10 to move back and forth like the mover 6.
  • the connecting table 9 is bound through the brake piece 7 and the connecting table 9 and the brake piece 7 are screwed together. By combining the right type screw with the left type screw, the opposing brake pieces 7 can approach each other and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or away from the fixed part.
  • the fixed part refers to a part which does not move relative to the moving stator, and may be anything fixed to the seat such as a seat plate or a guide rail, or any part of a fixed chair body.
  • the end surface of the connecting table 9 is fixed to the brake lever 8 and the left and right brake pieces 7 are rotated in opposite directions by the rotation of the brake lever 8 so that they move in opposite directions.
  • the brake piece 7 is pressed against the guide rail 10, which is a fixed portion, to fix the movement of the mover 6.
  • the contact surface of the brake piece 7 and the guide rail 10 forms an unevenness or roughness so as to obtain a sufficient support force not to be pushed when the user supports the backrest.
  • the operation of the brake lever 8 uses only a rotation smaller than half a wheel in practical use, and thus the operating portion of the screw acting on this rot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cam. That is, even if the formation of the screw thread within 180 degrees the same operation, so the screw coupling includes the role and meaning of the cam.
  • any two brake pieces 7 can act as a brake.
  • the brake piece 7 is composed of four to expect a stable action effect, but any two can be omitted and the function is still the same. It is also preferable to use at least two brake pieces 7 for the stable brake function even though the brake pieces 7 function as one brake piece 7. 4 to 6.
  • the brake piece 7 is bound to move up and down in front of the protrusion side of the mover 6, and the upper end of the brake piece 7 moves back and forth like the mover 6 with a slight distance to the guide rail 10. .
  • the connecting table 9 is engaged with the left and right movers. The contact portion of the brake piece 7 and the connecting table 9 forms a cam 17 on the connecting table 9 to make contact.
  • the end surface of the connecting rod 9 is fixed to the brake lever 8, and the rotation of the brake lever 8 is transmitted to the cams 17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nnecting rod 9, and the left and right brake pieces are acted upon by the cam 17. (7) is moved upward to compress the guide rail 10 which is a fixed portion to fix the movement of the mover (6).
  • the contact surfaces of the brake pieces 7 and the guide rails 10 form concave-convexities or roughnesses so as to obtain a sufficient supporting force not to be pushed when the user supports the backrest. 7 and 8.
  • the connecting table 9 functions to act as a connecting pin to couple the brake pieces 7 and to operate the brake pieces, and to operate the brake pieces 7 of the left and right brakes simultaneously. Therefore, the backrest is stably supported from side to side and effectively resists external torque, and the brake can be operated from both left and right, and provides a convenience of obtaining such a brake effect with one operation of one side.
  • cover 14 By mounting the cover 14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 plate as shown in Fig. 2 to 11 to ensure a space that the front and rear movement of the brake left and right connecting rod 9 is not obstructed.
  • the cover can function as a legless chair in the state of FIG. 2 to FIG. 8 shown without the lower leg of the chair (chair substructure 92), wherein the cover 14 also serves as a support to the floor.
  • a chair leg (chair substructure 92) in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cover 14 can be realized as a normal chair. Or it is possible to mount a chair body consisting of a chair leg having one support shaft on the lower cover,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wheeled chair.
  • the spring element which is the elastic member 12
  • the stator 13 fixed to the front of the mover 6 and the front of the seat plate so that a tension force is applied.
  • the backrest is forced to move forward of the chair. This means that when the seated person is tilted or moved forward, the brake lever 8 is squeezed so that the backrest moves forward like the forward movement of the user by closely contacting the seated body by the tension of the spring element, which is the tensioned elastic member 12.
  • the backrest is fixed to support the back of the seated occupant by actuating the brake lever 8 when position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 the area that the backrest should support is preferably the lumbar region.
  • the movable backrest is configured to be low and further configured at the rear of the backrest to move the backrest enough to support the user's thoracic region and the head (FIG. 1), when the user fully backs the back and supports the back of the user. Supporting the stomach and head provides proper support not only when the backrest moves forward, but also when moving backward and the user takes a rest position.
  • stator 101 fixed to the back plate 1 is coupled to the structure 2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 a portion of the structure 104 of the back height adjustment system is fixed to the back plate 1 by a stator 103 and an extended lower portion of the structure 104 is formed horizontally and in the middle, protrudes in a plate perpendicular to the axis. It has a fixing projection 106, the perforated surface of the portion projecting upward in the middle of the brake operating piece 105 is fitted into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structure 104,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structure 104 is the brake operating piece ( It becomes the guide of 105).
  • a spring 107 having an elongating force is inserted between the fixing protrusion 106 and the plate-like protrusion between the brake operating piece 105 so that both ends of the outer side of the brake operating piece 105 are extended to the backrest structure 2 by the extension force.
  • the back plate 1 is fixed by acting to bite the formed irregularities (FIG. 4 to FIG. 9).
  • the back plate 1 In order to adjust the height of the back plate 1, by grasping the handle protruding downward of the brake operation piece 105 so that the outer both ends of the brake operation piece are released from the backrest structure 2, the back plate 1 is released.
  • the silver can be moved up and down along the backrest structure (2), and the height of the back plate (1) can be adjusted by applying a force up or down while holding the handle of the brake operating piece (105) and adjusting to the desired height.
  • the handle of the brake operation piece 105 the end portion of the brake operation piece is again engaged by biting into the unevenness (Figs. 4 to 9) formed in the back structure 2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107. 1) is fixed.
  • the handle portion of the brake operating piece 105 is configured to protrude downward than the lower portion of the back plate 1, so that the chair user can perform the back height adjustment work as described above by leaving his or her hands without leaving the seat.
  • 9 to 16 show the structure of the tilt control device mounted on the chair.
  • the chair seat plate has a horizontal structural element 91 of the chair undercarriage as a horizontal axis, and the seat seat support member 90 fixed to the seat plate cover 14 covering the lower part or the lower part of the seat can be rotated by being fitted on this axis. It is fixed to and supported. That is, the seat plate support member 90 is fixed to the seat plate cover 14 which covers the top of the seat bottom or the bottom of the seat and the bottom is fitted to the horizontal structural element 91 to enable the chair seat to rotate back and forth.
  • the spring system corresponding to the front inclination of the chair and the inclination toward the rear is respectively provided. It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By arranging them in the rear and leaving the front of the chair empty, it is possible to secure a space in which the seated legs can freely move.
  •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ng state of the chair is not inclined by the external force, so the chair is in an equilibrium state of horizontal stability and tilted backwards to operate the compression spring, and tilts forward to operate the tension spring.
  • Both ends of the spring installed by compression in the compression spring set have end portions at the upper end 71 and the lower plate 74 having a wide surface capable of supporting the spring.
  •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is suppressed by the long linear expansion inhibiting connector 72 which is fixed and prevents the gap by binding and connecting the two plates.
  • the upper portion of the expansion inhibiting connector 72 is coupled to the upper end portion 71 and the lower portion passes through the rotational support portion 58 of the body side of the spring system and is fixed in length by a nut 75 which is a release preventing means.
  • compression spring operating state (FIG. 14): When the chair seat plate is rotated and tilted backward, the compression spring set operates to resist tilting. The process is as follows.
  • the compressive force acts on the upper end 71 of the compression spring assembly through the compression spring guide portion 70 attached to the seat plate, so that the spring receives the added compression force.
  • the lower end of the expansion inhibiting connector 72 is configured to be freely projected downward through the rotary support 58 during compression to compress only the spring to give a restoring force.
  • the upper end of the tension spring set is fixed to the chair seat plate and the lower part is configured to allow the tension spring lower end 54 to freely pass through the hole drilled in the rotation support 58 with respect to compression, thereby not being affected by compression.
  • Tension spring manpower control is to move the upward movement suppression element 55 first enough downward and then fix the rotation of the lower end 54 connected to the manpower adjuster 56 with a screw and the manpower adjuster handle ( 57) by adjusting the tension by turning up and down, the upward movement inhibiting element 55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otary support 58 after the adjustment.
  • the rotation support part 58 of the spring system is rotatably coupled with the rotation coupling part 59 of the chair structure 92 to maintain a stable angle with respect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tension spring and the compression spring. .
  • the elastic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and the tension spring is applied differently in consideration of the difference in torque. For example, a small torque is applied when the seat plate is tilted forward, so that the spring force (here the tension spring) that resists this tilt is used a small one; When the seat plate is tilted backwards, a large torque is applied, so a spring force (here, a compression spring) that resists this tilt is used. Therefore, the compression springs and the tension springs, which are elastic elements, have different magnitudes of restoring force against change.
  • Fig. 16 shows the operating part of the brake mechanism for fixing the inclination of the seat plate.
  • Brake mechanism for fixing the inclination of the seat plate The cam 85 is coupled to the bracket 86 configured in the brake case 84 through the rotation shaft 87.
  • the guide portions 88 and 89 of the brake pieces 81 and 120 are fitted into the through holes of the brake case 84 to react to the movement of the cam.
  • a circular brake frame 83 is fixed to the structure 92 as shown in FIGS. 9 to 11, and after the seat plate is rotated by a desired angle, the brake handle 82 is operated to the cam 85 fixed to the end of the brake handle. As a result, the brake pieces 81 and 120 come close to each other and thus are pressed against the brake frame 83 sandwiched therebetween, and thus the seat plate is fixed at the desired inclination angle.
  • the brake frame 83 forms a circle so that it can correspond up to a significant inclination, and since it forms a circle with a significant radius, it can bear considerable torque against the rotation of the seat plate.
  •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brake frame and the brake piece can improve the fixing force more effectively by forming the unevenness or adjusting the roughness.
  •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best response to these changing body postures and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them.
  • the present invention can relieve their physical fatigue, help mental concentration, improve work efficiency, prevent various diseases caused by incorrect posture, can lead to correct posture can help rehabilitation from diseases caused by incorrect posture .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의자 작업자가 몸을 앞으로 숙이거나, 엉덩이를 좌판의 앞으로 이동하거나 할 경우에도 등받이가 작업자의 등을 지지하게 하기 위하여 이동 가능한 등받이를 구성하였다. 등받이의 이동을 신뢰성 있게 고정하기 위해서 브레이크편을 채용하여 작은 힘으로 임의의 위치에 브레이크 작용을 가능하게 하였고, 등받이의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좌우 브레이크 기구를 구성하였고 한 번의 작동으로 좌우 브레이크가 연동하도록 연결대를 구성하였다. 이동 등받이의 높이와 경사를 조절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체형과 체위에 따른 변화에 대응하게 하였다. 등받이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등받이를 앞쪽으로 당기는 탄성요소를 구성하였다. 휴식을 위해 신체를 뒤로 기울였을 때 흉부와 상부, 두부를 지지하게 하기 위한 부가적인 등받이를 구성하였으며, 좌판을 경사가능하게 하여 좌판에서의 밀림을 방지하고 편안함을 주도록 하였다. 좌판 경사의 부드러운 작동을 위하여 각 기울임에 대응하는 스프링을 구성하였고, 기울인 좌판의 경사를 고정하기 위한 신뢰성 있는 브레이크 기구를 구성하였다.

Description

의자
본 발명은 의자에 앉아 작업하는 작업자가 자세를 앞이나 뒤로 기울이거나, 의자 좌판의 전후로 이동하여 앉거나 할 때도 작업자의 몸을 잘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변동하는 의자에 대한 것이다.
의자에 앉아 작업하는 작업자는 그 자세상 시간이 지나면 특히 등에 피로가 누적되어서 이에 대해 보다 효과적인 방법이 다양하게 제시되어 왔다. 이에는 등받이의 형상을 인체의 형상에 최적화시키거나, 등받이에 적당한 정도의 탄성을 주거나 하는 방법이 주를 이루는 것으로, 자세하게는 그 탄성의 최적화와 형상의 최적화에 대한 여러 가지 방법들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의자 작업자가 몸을 앞으로 숙이거나, 엉덩이를 좌판의 앞으로 이동하거나 할 경우에는 등받이는 작업자의 등과 이격 되어 전혀 도움을 줄 수 없었다. 이에 등받이 자체를 의자의 앞뒤로 이동하는 방법이 제시되었으나 등받이의 이동과 고정에 대한 방법이 매우 불편하였고, 그 고정장치도 등받이의 좌우 어느 한쪽에 설치하여 실제로 등이 지지 될 때 등받이가 뒤틀리는 현상도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이동형 등받이 양쪽에 등받이 이동을 고정하는 장치를 각각 구비하는 것이 필요했으나 각각 작동하는 것은 매우 불편한 작동이어서 전혀 실용성을 기대할 수 없고 실제로도 적용된 예는 없었다.
또한, 제시된 고정방법은 고정된 몸체의 적정부위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을 뚫고, 이동하는 등받이의 일부분에 핀을 사용하여 구멍에 삽입되게 고정하는 장치가 제시되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제시된 방법은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갬의 직접 마찰에 의해 이루어지게 하였다.
한편, 등받이를 이동하는 작업에 있어서도, 등받이의 이동을 언제나 사용자의 힘으로 이동하게 함으로써 등받이의 크기가 클 경우 부담스러운 일이었다.
또한, 등받이가 지지하는 부위가 사람의 체형에 따라 서로 조금씩 달라서 이에 대응하는 최선의 방법으로 제시된 방법은 등받이의 높이를 상하이동하여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이었다. 그런데 이와 같이 등받이의 높이를 조정하는 작업은 의자 사용자가 의자에서 이탈하여 따로 등받이 높이를 조정하는 과정으로 수행해야 했다. 이렇게 해도 사용자가 몸을 앞으로 숙이거나 뒤로 숙이거나 할 때 적합한 지지부위가 달라 충분히 안락하지는 않았다.
한편, 착석자가 작업 등을 위하여 몸을 앞으로 숙일 경우에, 바퀴 달린 의자라면 최대한 작업대 쪽으로 이동하게 함으로써 작업자의 등이 등받이의 지지를 받도록 하거나, 따로 등받이 쿠션을 등에 삽입하거나 하여 등의 지지를 유지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따로 보완하는 등쿠션은 이탈하는 경우도 있고 그 두께가 일정하여 변동하는 등받이와 사용자 사이의 간격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없었다.
작업자가 몸을 앞으로 숙이거나, 의자 좌판의 앞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대해 바퀴 달린 의자라면 이에 대해 충분하지는 않으나 어느 정도 해결이 되고 대응성은 매우 신속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여러 이유로 지금껏 제시된 등받이가 이동하는 의자는, 바퀴 달린 의자 이상의 편의성을 제공하지 못하였으므로, 상업적으로 실재 실현된 것은 없었다.
사용자는 의자에 앉은 채로 휴식을 위해 뒤로 등받이에 완전히 의지하는 경우 등받이의 각도가 약간 뒤로 기울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기존의 의자들은 탄성을 주어 그에 대응하려 하였다. 그러나 탄성은 지속적으로 원위치로 복원되려는 힘이 작용하므로 사용자는 의식적으로 이 힘에 대항하여 힘을 가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더불어 의자의 좌판은 등받이와 달리 수평상태를 유지하여 사용자의 몸이 앞으로 밀리는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사용자는 작업대에 접근하여 몸을 앞으로 숙일 뿐만 아니라 다리 역시 앞으로 기울이려하는 동작을 취하게도 되는데 이러한 동작이 일어나는 이유는 작업의 성격에 따라 작업과정에서 그것이 편안한 자세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때, 좌판은 여전히 수평으로 고정되어 있어서 작업자의 자세에 호응하지 못하였다.
일부 좌판의 하부에 좌판의 경사를 약간 조절할 수 있는 장치가 제시된 적도 있으나 역시 휴식의 목적이나 작업의 목적 어느 쪽에도, 기울임 각도가 충분하지 않거나 탄성이 사용자에게 적합하지가 않아, 사용자에게 별 도움이 되지 않아 광범위하게 사용되지는 않았다.
작업을 위하여 몸을 앞으로 숙이거나 좌판의 앞으로 엉덩이를 이동하는 의자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기 위한 가장 적극적인 방법은 등받이를 사용자의 자세에 대응하여 이동하게 하는 것이다. 다만, 그 실현에 있어서 사용상의 불편함을 제거하는 것이 실용화를 위해서는 꼭 필요한 일이었다.
선출원 된 등받이의 이동에 대한 고정방법은 고정된 몸체의 적정부위에 구멍을 뚫고, 이동하는 등받이의 일부분에 핀을 사용하여 구멍에 삽입되게 하는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이루어졌다. 이는 고정되는 위치가 일정간격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핀의 삽입과 탈출시 충격이 발생하였다. 또 다른 방법으로 제시된 방법은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갬의 직접 마찰에 의해 이루어지게 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은 고정을 위해 큰 마찰력을 얻기 위한 큰 힘이 필요하고 마찰 접촉면이 작아서 마모가 심하게 된다.
등받이 이동의 고정은 원하는 임의의 위치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하기 위한 브레이크의 작동방법은 간편하고 확실해야 하며, 심한 마모 등을 일으키지 않아 내구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브레이크의 작동이 좌우 어느 한편에 작동함으로써 등받이가 뒤틀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브레이크는 좌우에서 동등하게 작동하는 것이 요구되며 이를 위한 작동의 번거로움이 또 다른 문제점으로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아울러, 부가된 구성의 작동이 방해받지 않는 구성을 하여야 한다.
또한, 등받이의 이동을 언제나 사용자의 힘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등받이의 크기가 클 경우 부담스러운 일이 될 수 있는데, 인체의 운동특성에 부응하여 작은 힘으로 작동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앞이나, 뒤로 이동하여 등을 지지하려 할 때에도 등받이의 지지가 사용자 신체의 모든 부위에 가장 적합한 지지를 주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착석자가 작업 등을 위하여 몸을 앞으로 숙일 경우에, 이탈하거나 두께가 주어진 등받이 쿠션과 같은 것의 도움이 없이, 등받이와 사용자 사이의 변동하는 간격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기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등받이의 높이 조절은 사용자의 체형에 대응하여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의자에서 이탈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가 작업대에 접근하여 몸을 앞으로 숙일 뿐만 아니라 다리 역시 기울이려는 동작을 취할 때 좌판 역시 앞으로 소정각도로 기울어져서 사용자의 자세에 호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사용자가 몸을 뒤로 기울일 때와 앞으로 기울일 때의 기울임 토크가 다름을 고려하여 이에 대응한 탄성력도 각각 다르게 호응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의자에 앉은 채로 휴식을 원하는 사용자를 위해서, 등받이는 각도가 약간 뒤로 기울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되돌아오려는 탄성으로 인하여 사용자에게 또 다른 스트레스를 주지 않기 위해 등받이의 기울임을 고정하는 기구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의 엉덩이가 좌판에서 밀리지 않도록 좌판도 함께 뒤로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기울어지는 토크에 충분한 고정력을 가지는 기구를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등받이 이동을 고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작동핸들 - 핸들의 동작을 받아 고정된 몸체에 밀착하는 브레이크편"의 동작에 의해 브레이크 작용이 개시하고, 이때 브레이크편과 브레이크의 동작을 받는 고정된 몸체 사이에 적당한 마찰을 형성하도록 표면 거칠기를 조절함으로써 작은 힘으로도 임의의 위치에 충분한 고정력을 가지고 등받이의 이동을 고정하게 하였다.
브레이크 작용이 의자의 좌우에서 작용하도록 브레이크를 구성하였고 이러한 좌우편의 브레이크 동작을 연동하는 연동자를 구성함으로써 한 번의 동작으로 용이하게 좌우브레이크가 작동되도록 하였다.
등받이의 높이는 사용자의 체형에 대응할 수 있도록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등받이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동자의 전단에 인장력이 작용하는 탄성요소를 구성하였다.
사용자의 몸이 의자의 뒤에 기대었을 때 사용자의 요부와 그 상부를 지지하는 등받이를 각각 구성하여 대응하도록 하였다.
상기의 구성시, 좌우 브레이크편을 연동하는 연동자의 이동이 방해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하부에 커버를 장착하여 공간을 확보하였다.
브레이크레버의 작동을 받은 브레이크편은 좌우로 또는 상하로 움직여서 고정된 부분에 압착되어 등받이의 이동이 고정되도록 하였다.
착석자가 작업 등을 위하여 몸을 앞으로 숙일 경우에, 등받이와 사용자 사이의 변동하는 간격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도록 등받이가 회전가능하도록 하였다.
사용자가 의자에서 이탈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등받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등판 높이조절 기구를 구성하였다.
사용자가 의자를 뒤로 기울일 때와 앞으로 기울일 때에 각각 다른 크기의 힘이 작용하는 것에 대응하는 각각 다른 크기의 탄성력이 대응하도록 하였다.
대응하는 탄성력은 압축스프링시스템과 인장스프링시스템으로 하여 대응하게 하였고, 각각의 텐션 조절 기구를 갖추도록 하였다.
사용자가 등받이에 기대어 뒤로 기울일 때 좌판도 기울어지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엉덩이가 밀리는 것을 방지하였으며 임의의 각도에서 충분한 고정력을 가지도록 브레이크 기구를 구성하였다.
등받이가 이동하게 됨으로써 등받이는, 작업을 위하여 몸을 앞으로 숙이거나 좌판의 앞으로 엉덩이를 이동하는 의자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기 위한 위치에 있게 된다. 그 고정을 위해 "작동핸들-핸들의 동작을 받아 고정된 몸체에 밀착하는 브레이크편"의 동작에 의해 브레이크 작용이 개시된다. 이때 브레이크편과 브레이크의 동작을 받는 고정된 몸체 사이에 적당한 마찰을 형성하도록 표면 거칠기를 조절함으로써 작은 힘으로도 등받이의 이동을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단순히 캠의 강한 마찰력에 의지한 직접마찰 방식에 비해 접촉면의 마모가 현저히 감소하므로 내구성을 획기적으로 연장할 수 있으며; 핀의 관통에 의해 고정력을 얻는 것에 비하여 원하는 임의의 위치에서 소음의 발생이 없이 부드럽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브레이크 작용이 의자의 좌우에 작용하게 함으로써 한쪽에서 작용할 때, 등받이가 힘을 받을 때 뒤틀리는 현상이 방지되게 된다. 아울러 이러한 좌우편의 브레이크 동작을 연동하는 연동자를 구성함으로써 한 번의 동작으로 용이하게 좌우브레이크의 작동이 개시되게 하여 각각 브레이크를 작동하는 불편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였다.
상기의 구성시, 좌우 브레이크편을 연동하는 연동자의 이동을 방해받지 않게 하기 위해 하부에 커버를 장착하여 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이로써 좌식의자로서 활용할 수 있다. 아울러 하부 커버의 하부에 의자 다리를 장착하게 됨으로써 보통의 의자와 같이 실현될 수 있게 된다. 또는 하부 커버에 1개 지지축으로 구성되는 의자 몸체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여 높이 조절 장치의 구성과 바퀴 달린 의자의 구성이 가능하게 된다.
등받이에 높이 조절 기능을 가지게 함으로써 의자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적합한 지지를 할 수 있게 된다.
등받이의 이동을 언제나 사용자의 힘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등받이의 크기가 클 경우 부담스러운 일이 될 수 있는데, 인체의 운동특성에 부응하여 작은 힘으로 작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등받이 이동자에, 앞쪽으로 인장력이 작용하는 탄성부재를 구성함으로써 등받이를 앞으로 당기는 번거로움이 제거되며, 등받이를 뒤로 미는 것은 인체의 자세로 보아 큰 힘을 쓸 수 있는 등으로 밀게 됨으로써 어려움이 없게 된다.
등받이가 지지해야 하는 부위가 사용자가 앞으로 이동할 때는 주로 요추부위가 되고 사용자가 완전히 뒤로 후퇴했을 때는 사용자 등의 전 부위와 머리까지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하나의 등받이로 이와 같은 소망을 동시에 만족할 수는 없다. 따라서 사용자의 흉추부위와 머리부위를 받칠 정도의 등받이를 이동하는 등받이의 후방에, 이동하는 등받이와 독립적으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등을 완전히 후방으로 후퇴하여 지지받으려 할 때 사용자의 모든 등 부위와 머리를 지지하게 하여, 등받이가 앞으로 이동할 때뿐만 아니라, 후방으로 이동하고 사용자가 휴식의 자세를 취할 때도 적당한 지지를 주게 된다.
한편, 착석자가 작업 등을 위하여 몸을 앞으로 숙일 경우에, 이탈하거나 두께가 주어진 등받이 쿠션과 같은 것의 도움이 없이, 등받이와 사용자 사이의 변동하는 간격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등받이의 이동과 또 다른 방법으로 등받이의 상부를 회전하여 지지하게 함으로써 더욱더 사용자의 자세에 대응하게 하여 사용자를 잘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의자 사용자의 지지부위가 사용자의 체형과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서 변동되는 점에 대응하기 위해서 등받이 등판의 높이 조절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대응하게 하였다. 이때 이러한 높이 조절 동작을 의자에 앉은 채로 가능하게 하기 위한 구성으로 하여 편리함이 극대화된다.
의자에 앉은 채로 휴식을 원하는 사용자가 등받이에 의지하여 뒤로 기울일 때, 사용자의 엉덩이가 좌판에서 밀리지 않도록 좌판도 함께 뒤로 경사지게 하여 미끌림을 방지하였다. 이러한 좌판 기울임 기능은 사용자가 작업대에 접근하여 몸과 다리를 앞으로 기울이려하는 동작을 취할 때 좌판 역시 앞으로 소정각도로 기울어져서 사용자의 자세에 호응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하였다.
이와 같이 좌판을 앞이나 뒤로 기울일 때 탄성력은 앞으로 기울일 때와 뒤로 기울일 때의 힘이 다르므로 탄성력도 다르도록 각각의 동작에 대응하는 탄성요소를 구성하여 인체 기울임에 대응하도록 함으로써 인체에 편안함을 주게 된다. 상기한 탄성요소를 의자의 후방에 배치함으로써 사용자의 다리가 전방에서 자유롭게 된다.
좌판의 기울임에 대해 되돌아오려는 탄성으로 인하여 사용자에게 또 다른 스트레스를 주는 등받이의 복원력을 제거하기 위하여 기울어진 각도에서 충분한 고정력을 가지는 브레이크 기구를 구성함으로써 용이하게 고정되게 되며, 복원력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되어 편안함을 주게 된다.
도 1: 전체 구성이 포함된 실시 예
도 2: 보조레일에 좌우밀착 브레이크편을 포함한 이동 등받이시스템의 사시도
도 3: 보조레일에 좌우밀착 브레이크편을 포함한 이동 등받이시스템의 분해도
도 4: 좌우밀착 브레이크편을 포함한 이동 등받이시스템과 등판높이조절시스템의 사시도
도 5: 좌우밀착 브레이크편을 포함한 이동 등받이시스템과 등판높이조절시스템의 후방 사시도
도 6: 좌우밀착 브레이크편을 포함한 이동 등받이시스템과 등판높이조절시스템의 후방 사시 분해도
도 7: 상하밀착 브레이크편을 포함한 이동 등받이시스템과 등판높이조절시스템의 전방 사시도
도 8: 상하밀착 브레이크편을 포함한 이동 등받이시스템과 등판높이조절시스템의 후방 사시 분해도
도 9: 경사조절장치를 포함한 구성 사시도
도 10: 도 9의 경사조절장치 B부분 상세도
도 11: 의자 구조체에 설치된 의자경사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의자 분해도
도 12: 의자에 장착된 압축스프링집합과 인장스프링집합의 상세도(평형상태)
도 13: 압축스프링집합과 인장스프링집합의 분해도
도 14: 압축스프링 작동시의 상태도(압축 작동상태)
도 15: 인장스프링 작동시의 상태도(인장 작동상태)
도 16: 좌판경사 고정 브레이크 기구 분해도
본 발명의 전 구성이 포함된 실시 예는 도 1과 같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서 도 8은 이동 가능한 등받이를 장착한 좌판부까지를 따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에서 도 10은 등받이를 앞뒤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좌판 또는 의자의 몸체에 가이드레일(10)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어 이동하는 이동자(6)를 포함한 상태를 나타낸다. 등받이는 사용자의 몸에 접촉하는 등판(1)과 등판을 지지하는 구조체(2), 이 구조체와 결속하는 이동자(6), 이동자와 결속하여 이동자의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10)을 포함한다. 등판을 지지하는 상부구조체(2)의 하부와 하부구조체(5)의 상부는 두 부분을 관통하는 연결대(3)에 의해 앞뒤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관절을 이룬다. 연결대(3)는 좌우 관절이 연동하도록 좌우를 연결한다.
연결대(3)로 연결되는 상부구조체(2)와 하부구조체(5)의 결합부위 내부 관통공 중, 상부구조체(2) 또는 하부구조체(5) 중 하나의 내부에 나사를 형성하며, 이 나사는 연결대(3) 양단에도 형성된 나사와 결합된다. 이때 좌우의 나사는 서로 반대방향의 나사산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대(3)의 양 끝단은 스토퍼(4)를 형성하며 이 스토퍼(4)는 또한 손잡이의 역할도 한다. 스토퍼(4)를 돌림으로써 좌우의 관절부는 연결대를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므로 상부구조체(2)와 하부구조체(5)의 결합부는 서로 밀착하게 된다.
이때 상부구조체(2)와 하부구조체(5)의 결합부의 접촉면은 스토퍼(4)의 회전에 의해 서로 밀착하였을 때, 사용자가 지지함으로써 발생하는 회전력에 대해 충분한 고정력을 줄 수 있는 정도의 요철을 형성한다. 연결대(3)는, 그 끝단은 스토퍼(4)로서 손잡이를 형성하며, 상부구조체(2)와 하부구조체(5)를 연결하는 연결핀이 되며, 좌우 스토퍼의 작용을 연동하는 연동자로 기능하며 좌우 어느 쪽에서도 작동할 수 있는 편리함을 주게 된다. 스토퍼(4)의 회전은 실용상 180도 이내가 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때 나사의 역할은 캠의 역할과 동등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 나사의 의미는 캠의 역할과 의미를 포함한다.
등받이 구조체하부(5)는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자(6)에 상하방향으로 나있는 관통공에 끼워져서 결합되어 상하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동자(6)의 한편에 등받이 구조체의 상하이동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인 스토퍼(16)가 설치되어 스토퍼(16)를 조임으로써 원하는 높이의 위치에 고정된다. 스토퍼(16)는 나사결합일 수 있으며, 캠의 사용에 의한 마찰에 의한 것일 수도 있다.
가이드레일(10)은 의자좌판(15)에 고정되며 의자의 좌판과 하부 몸체가 일체로 고정되어 변하지 않는 의자인 경우에는 좌판(15)이나 의자의 몸체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동자(6)의 이동을 단속하는 고정수단인 브레이크는 이동자(6)에 결합된다.
도 2, 도 3은 보조레일(11)에 좌우밀착 브레이크편(7)을 포함한 이동 등받이시스템 구성도이다.
보조레일(11)은 의자좌판이나 가이드레일(10) 몸체에 고정된다. 이동자(6)는 전방에 브레이크편(7)과 결합되며 브레이크편(7) 사이로 보조레일(11)이 지나가게 되어 있어서 브레이크레버(8)를 작동하여 브레이크편(7)이 보조레일(11)에 압착됨으로써 고정된다. 보조레일(11)과 브레이크레버(8)의 접촉면에는 요철을 형성하여 브레이크 작동시 미끄러짐에 대한 저항력을 높인다(그림에서 표시는 생략됨). 브레이크레버(8)는 좌우의 브레이크 작용을 연동하는 요소인 연결대(9)에 의하여 브레이크레버(8)을 작동하는 영향이 다른 쪽에도 작용한다.
연결대(9)와 브레이크편(7)은 나사로 결합되어 있으며, 좌우의 브레이크편(7)을 결합하는 나사는 반대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이 좌우에 균형 잡힌 힘을 주므로 좌우를 비트는 외부 토크에 잘 저항하게 된다. 보조레일(11)을 따로 구성하여 브레이크편(7)이 작동하는 브레이크틀로 하는 것은 보조레일(11)의 형상에 기인하여 약간의 유연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브레이크 작동에 의한 변화를 자체적으로 흡수하면서 브레이크편(7)사이의 밀착을 균형 있게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브레이크작용을 확실하게 할 수 있게 한다.
도 4에서 도 6은 이동 가능한 등받이의 브레이크 시스템에 있어서 좌우밀착 브레이크편을 포함한 구성도이다. 도 4 ~ 도 6에서;
이동자(6)의 전방에 브레이크편(7)이 좌우로 이동할 수 있게 결속되며 브레이크편(7)의 상단은 가이드레일(10)에 안내되어 이동자(6)와 같이 앞뒤로 이동한다. 연결대(9)는 브레이크편(7)을 관통하여 결속하며 연결대(9)와 브레이크편(7)은 나사결합된다. 나사의 형식을 오른나사와 왼나사를 조합하여 씀으로써 대향 하는 브레이크편(7)이 서로 접근하여 고정된 부분에 밀착하거나 멀어지게 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된 부분이란 이동하는 고정자에 상대적으로 움직이지 않는 부분을 말하는 것으로서 좌판 또는 가이드레일과 같이 좌판에 고정된 무엇이든, 또는 고정된 의자 몸체 어느 부분이든지 될 수 있다. 즉, 연결대(9) 끝 면은 브레이크레버(8)에 고정되며 브레이크레버(8)의 회전에 의해 좌우브레이크편(7)은, 나사결합의 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이므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움직이게 됨으로써, 브레이크편(7)은 고정된 부분인 가이드레일(10)에 압착되어 이동자(6)의 이동을 고정하게 된다. 이때, 브레이크편(7)과 가이드레일(10)의 접촉면은 사용자가 등받이에 지지할 때 밀리지 않을 충분한 지지력을 얻을 정도로 요철을 형성하거나, 거칠기를 형성한다.
브레이크레버(8)의 작동은 실용상 반 바퀴보다 작은 회전만을 이용하게 되며 따라서 이와 같은 회전에 작용하는 나사의 작동부분은 캠의 작용과 같다. 즉 나사산의 형성을 180도 이내에서 해도 동일한 작동을 하며, 따라서 이때 나사결합은 캠의 역할과 의미를 포함한다. 나사의 형식을 같은 형식만 씀으로써도 어느 2개의 브레이크편(7)은 브레이크 작용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4 ~ 도 6에서 브레이크편(7)은 4개로 구성되어 안정적인 작용 효과를 기대하고 있으나 어느 2개를 생략할 수 있으며 그래도 기능은 동일하다. 또, 1개의 브레이크편(7)으로도 기능 하나 안정된 브레이크 기능을 위해서는 최소 2개 이상의 브레이크편(7)을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도 4에서 도 6.
도 7, 도 8에서;
이동자(6)의 돌출부 측면 전방에 브레이크편(7)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결속되며 브레이크편(7)의 상단은 가이드레일(10)에 약간의 간격을 두고 이동자(6)와 같이 앞뒤로 이동한다. 연결대(9)는 좌우의 이동자에 결속된다. 브레이크편(7)과 연결대(9)의 접촉부는 연결대(9)에 캠(17)을 형성하여 접촉한다.
연결대(9) 끝 면은 브레이크레버(8)에 고정되며 브레이크레버(8)의 회전은 연결대(9)의 좌우에 형성된 캠(17)에 전달되고 캠(17)의 작용에 의해 좌우의 브레이크편(7)이 상방으로 움직여 고정된 부분인 가이드레일(10)에 압착되어 이동자(6)의 이동을 고정하게 된다.
이때 . 브레이크편(7)과 가이드레일(10)의 접촉면은 사용자가 등받이에 지지할 때 밀리지 않을 충분한 지지력을 얻을 정도로 요철을 형성하거나, 거칠기를 형성한다. 이상 도 7, 도 8.
연결대(9)는 브레이크편(7)을 결합하는 연결핀의 역할과 브레이크편을 작동하는 기능과, 아울러 좌우 브레이크의 브레이크편(7)을 연동하여 동시에 작동하게 한다. 따라서 등받이는 좌우에서 안정적으로 지지 되어 외부 토크에 효과적으로 저항하게 되며, 브레이크는 좌우 어느 쪽에서도 작동가능하게 되고, 한쪽의 한 번의 작동으로서 이와 같은 브레이크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편리함을 준다.
좌판 하부에 커버(14)를 도 2에서 도 11과 같이 장착함으로써 브레이크 좌우 연결대(9)의 전후이동이 방해받지 않는 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또한, 커버는 의자의 하부 다리(의자 하부구조체(92))가 없이 나타낸 도 2에서 도 8의 상태로, 좌식의자로서 기능 할 수 있으며 이때 커버(14)는 바닥과의 지지대 역할도 하게 된다.
아울러 하부 커버(14)의 하부에 의자 다리(의자 하부구조체(92))를 포함하게 됨으로써 보통의 의자와 같이 실현될 수 있게 된다. 또는 하부 커버에 1개 지지축을 가진 의자 다리로 구성되는 의자 몸체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여 높이 조절 장치의 구성과 바퀴 달린 의자의 구성도 가능하게 된다.
등받이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특히 앞으로 당기는 작업에 편리함을 주기 위해서 탄성부재(12)인 스프링요소를 이동자(6)의 앞쪽과 좌판 전방에 고정된 고정자(13)에 결속하고 인장력이 작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등받이는 의자의 앞쪽으로 이동하는 힘을 받게 된다. 이는 착석자가 체위를 앞쪽으로 기울이거나 이동할 경우 브레이크레버(8)를 풂으로써 긴장된 탄성부재(12)인 스프링요소의 인장력에 의해 등받이도 사용자의 전진이동과 같이 전진이동하여 착석자의 몸에 밀착하게 하는 작용을 하게 되며, 적당한 위치에 위치했을 때 브레이크레버(8)를 작용함으로써 등받이는 고정되어 착석자의 등을 지지하게 된다.
반대로 착석자가 체위를 뒤쪽으로 기울이거나 이동하고자 할 경우 브레이크레버(8)를 풀어주게 되면 등받이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이때 착석자의 몸으로 등받이를 후방으로 밂으로써 등받이는 이동하게 되며 원하는 위치일 때 브레이크레버(8)를 작동함으로써 고정하게 된다. 상기의 과정에 있어서 인체의 구조상 등의 힘으로 등받이를 뒤로 미는 작업은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다.
사용자가 앞으로 이동할 때는 등받이가 지지해야 하는 부위가 주로 요추부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사용자가 완전히 뒤로 후퇴했을 때는 사용자 등의 전 부위와 머리까지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하나의 등받이로 이와 같은 소망을 동시에 만족할 수는 없다. 따라서 이동 가능한 등받이는 낮게 구성하고 사용자의 흉추부위와 머리부위를 받칠 정도의 등받이를 이동하는 등받이의 후방에 더 구성함으로써(도 1) 사용자가 등을 완전히 후방으로 후퇴하여 지지할 때, 사용자의 모든 등부위와 머리를 지지하게 하여, 등받이가 앞으로 이동할 때뿐만 아니라, 후방으로 이동하고 사용자가 휴식의 자세를 취할 때도 적당한 지지를 주게 된다.
도 4에서 도 9에는 등판(1)에 설치된 등판높이조절시스템이 나타난다.
도 6, 도 8에서 등판(1)에 고정된 고정자(101)는 구조체(2)와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결속된다.
등판높이조절시스템의 구조체(104)의 일부분은 등판(1)에 고정자(103)에 의해 고정되며 구조체(104)의 연장된 하부는 수평하게 형성되고 중간에, 축에 수직 방향으로 판상으로 돌출된 고정돌기(106)를 가지며, 브레이크작동편(105)의 중간에 상방으로 판상으로 돌출된 부분의 천공면이 구조체(104) 수평부분에 끼워짐으로써 구조체(104)의 수평부분은 브레이크작동편(105)의 가이드가 된다.
고정돌기(106)와 브레이크작동편(105) 중간의 판상 돌출부 사이에 신장력을 가지는 스프링(107)이 삽입됨으로써 그 신장력에 의해 브레이크작동편(105)의 바깥쪽 양 단부가 등받이구조체(2)에 형성된 요철(도 4에서 도 9)에 이가 들어맞아 물리도록 작용하여 등판(1)이 고정된다.
등판(1)의 높낮이를 조절하고자 할 때는 브레이크작동편(105)의 하방으로 돌출된 손잡이를 움켜쥐어 브레이크 작동편의 바깥쪽 양 단부가 등받이구조체(2)와의 맞물림이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등판(1)은 등받이구조체(2)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브레이크작동편(105)의 손잡이를 움켜쥔 상태로 위나 아래로 힘을 작용함으로써 등판(1)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원하는 높이로 조절한 후 브레이크작동편(105)의 손잡이를 놓음으로써 브레이크작동편의 단부는 다시 스프링(107)의 복원력에 의해 등받이구조체(2)에 형성된 요철(도 4에서 도 9)에 이가 들어맞아 물림으로써 등판(1)이 고정된다.
상기 브레이크작동편(105)의 손잡이 부분은 등판(1)의 하부보다 하방으로 돌출하여 구성됨으로써 의자 사용자가 자리에서 이탈하지 않고서도 손을 뒤로하여 상기와 같은 등판높이 조절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9에서 도 16은 의자에 장착된 경사조절장치의 구조를 나타낸다.
의자 좌판은 의자 하부 구조체의 수평구조요소(91)를 수평축으로 하여 이 축에 한쪽은 끼워져서 회전할 수 있고 다른 쪽은 좌판 하부 또는 하부를 덮은 좌판 커버(14)에 고정된 좌판지지부재(90)에 고정되어 지지 된다. 즉 좌판지지부재(90)는, 상단은 좌판 하부 또는 좌판 하부를 덮는 좌판 커버(14)에 고정되고 하부는 수평구조요소(91)에 끼워져서 의자 좌판을 앞뒤로 회전가능하게 한다.
의자의 회전에 의한 기울어짐에 대해서 완충적인 기능과 원위치로의 복원을 위한 장치로 도 9, 도 10, 도 11에 보인 것과 같이 의자의 앞쪽 기울임과 뒤쪽으로의 기울임에 각각 대응하는 스프링 시스템이 의자의 후방에 설치되어 있다. 이들을 후방에 배치하고 의자의 전방을 비워둠으로써 착석자의 다리가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들의 구성과 동작상태를, 착석자에 의해서 경사를 주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아서, 의자가 수평의 안정상태를 나타내는 평형상태와 뒤로 기울여서 압축스프링이 작동하는 상태, 앞으로 기울여서 인장스프링이 작동하는 상태로 각각 구분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압축스프링 평형상태(도 9에서 도 12)]: 압축스프링집합에 있어서 압축하여 설치된 스프링의 양단은, 스프링을 지지할 수 있는 넓은 면을 가진 상단부(71)와 하단판(74)에 단부가 고정되고, 두 판 사이를 결속하여 연결함으로써 벌어짐을 막는 긴 선형의 팽창억제연결자(72)에 의해 스프링의 복원력이 억제된다. 팽창억제연결자(72)의 상부는 상단부(71)에 결합되고 하부는 스프링시스템의 몸체 쪽 회전지지부(58)를 통과하여 이탈방지 수단인 너트(75)에 의해 길이가 고정된다. 의자 좌판을 앞이나 뒤로 기울이지 않은 수평상태일 때 스프링의 복원력은 이 상태로 좌판에 아무런 힘을 작용하지 않는 평형을 이룬 상태가 된다.
[압축스프링 작동상태(도 14)]: 의자 좌판을 회전하여 뒤쪽으로 기울일 때에는 압축스프링집합이 작동하여 기울임에 저항하게 되는데 그 과정은 다음과 같다.
좌판의 회전에 의해 압축력은 좌판에 부착된 압축스프링 가이드부(70)를 통해 압축스프링집합의 상단부(71)에 작용하고 따라서 스프링은 부가된 압축력을 받게 된다. 그런데 팽창억제연결자(72)의 하단부는 압축시에 회전지지부(58)를 통과하여 아래쪽으로 자유롭게 돌출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스프링만 압축되어 복원력을 주게 된다.
이때 인장스프링집합의 상단은 의자 좌판에 고정되어 있고 하부는 압축에 대해서 인장스프링 하단부(54)가 회전지지부(58)에 뚫린 구멍을 자유롭게 통과하도록 구성하여서 압축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압축스프링 압력조절방법]: 스프링 압력조절자(76)는 회전지지부(58)와 나사로 결합 되어 손잡이(77)를 돌려 상부나 하부로 진행함에 따라 하단판(74)을 위로 밀어 올리거나 내려서 압력을 조절하게 된다.
[인장스프링 평형상태(도 9에서 도 12)]: 인장스프링집합에 있어서 인장하여 설치한 스프링은, 상단부(51)와 하단부(54)에 고정되고 두 판 사이의 좁혀짐은 인력조절자(56)에 나사에 의해 연결된 스프링 하단부(54)와 인력조절자(56)의 머리부 사이의 거리에 의해 억제된다. 좌판을 앞이나 뒤로 기울이지 않는 상태에서는 이 상태로 좌판에 아무런 힘을 작용하지 않는 평형상태를 이룬다.
[인장스프링 작동상태(도 15)]: 의자 좌판을 회전하여 앞쪽으로 기울일 때에는 인장스프링집합이 작동하여 기울임에 저항하게 된다. 좌판의 회전에 의해 인장력은 좌판에 부착된 인장스프링부(50)와 회전축핀(52)을 통해 인장스프링집합의 상단부(51)에 작용하고 인력조절자(56)는, 회전지지부(58)에 뚫린 구멍보다 크며 인력조절자(56)와 나사로 연결된 상방이동억제요소(55)에 의해 상방향 이동이 억지 되고 인력조절자(56)와 나사로 연결된 하단부(54)에 고정된 스프링의 하단은 고정되고, 스프링의 상단과 결합 된 상단부(51)는 인력조절자(56)의 머리부에서 떨어져 상방향으로 늘어나게 되서 원위치로 복원하려는 복원력을 주게 된다.
이때 압축스프링집합의 상단부(71)의 반원형 돌출부는 좌판에 부착된 압축스프링 가이드부(70)와 자유롭게 떨어져서 인장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인장스프링 인력조절 방법]: 인장스프링 인력조절은 상방이동억제요소(55)를 먼저 하방으로 충분히 이동해 놓고 인력조절자(56)에 나사로 연결된 하단부(54)의 회전을 고정하고 인력조절자핸들(57)을 돌려서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텐션을 조절하게 되며, 조절 후 상방이동억제요소(55)는 회전지지부(58)에 다시 밀착시킨다.
의자 좌판은 회전운동을 하게 되므로 스프링시스템의 회전지지부(58)는 의자 구조체(92)의 회전결합부(59)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인장스프링과 압축스프링의 복원력에 대해서 안정된 각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착석자의 대퇴부를 이용하여 의자 좌판을 전방으로 기울일 때와 착석자의 등과 체중을 이용하여 후방으로 기울일 때에 토크의 크기가 다름을 고려하여 압축스프링과 인장스프링의 탄성력을 다르게 적용한다. 예를 들면 좌판을 앞으로 기울일 때는 작은 토크가 작용하므로 이 기울임에 저항하는 스프링(여기서는 인장스프링)의 탄성력은 작은 것을 이용하며; 좌판을 뒤로 기울일 때는 큰 토크가 작용하므로 이 기울임에 저항하는 스프링(여기서는 압축스프링)의 탄성력은 큰 것을 이용한다. 따라서 탄성요소인 압축스프링과 인장스프링은 변화에 대하여 다른 크기의 복원력을 갖는다.
도 16는 좌판의 경사를 고정하는 브레이크기구의 작동부를 나타낸 것이다.
좌판의 경사를 고정하는 브레이크기구: 캠(85)은 회전축(87)을 통해서 브레이크케이스(84)에 구성된 브라켓(86)에 결합 된다. 브레이크편(81, 120)은 브레이크케이스(84)의 관통공에 브레이크편(81, 120)의 가이드부(88, 89)가 끼워져서 캠의 운동에 반응하게 된다.
구조체(92)에 도 9에서 도 11와 같이 원형의 브레이크틀(83)이 고정되어 있고, 좌판을 원하는 각도만큼 회전한 후 브레이크 핸들(82)을 작동함으로써 브레이크핸들 끝에 고정된 캠(85)에 의해, 브레이크편(81, 120)은 서로 접근하게 되므로 이들 사이에 낀 브레이크틀(83)에 압착하게 되고, 따라서 좌판은 원하는 기울기의 각도에서 고정된다.
브레이크틀(83)은 원형을 형성하므로 상당한 경사까지 대응할 수 있으며, 상당한 반경을 가진 원형을 형성하므로 좌판의 회전에 대한 상당한 토크를 감당할 수 있다. 브레이크틀과 브레이크편의 접촉면은 요철을 형성하거나 거칠기를 조정함으로써 더욱더 효과적으로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의자는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첨부한 도면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의자에 앉아 책상, 작업대 등을 앞에 두고 업무, 학습, 연구, 작업 등을 하는 사람들은 그 일의 속성상 수시로 몸의 상체를 앞으로 숙이거나, 뒤로 기대는 자세를 끊임없이 반복에게 된다. 이때 기존의 의자는 이들의 자세에 대응하여 충분한 지지를 주지 못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피로가 누적되며, 일의 능률을 감소시키며, 잘못된 자세를 유인하였다.
본 발명은 이들의 변동하는 신체 자세에 최선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들에게 특히 적합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들의 육체적 피로를 해소시키고, 정신집중을 도와 일의 능률을 향상시키며, 잘못된 자세로 인한 각종 질병을 예방 할 수 있으며, 바른 자세를 유도하여 잘못된 자세로 인한 질병으로부터 재활을 도울 수 있다.

Claims (19)

  1. 의자 좌판 또는 의자프레임에, 좌판에 대해 앞뒤 방향으로 고정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하여 의자의 앞뒤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자를 포함하여, 의자의 앞뒤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의자등받이를 포함한 의자에 있어서,
    상기 이동자의 이동을 고정하는 브레이크 장치와, 상기 브레이크 장치는 브레이크레버의 작동을 받아 의자의 고정부분에 압착되어 이동자를 고정하는 브레이크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2.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장치는 좌우 한쪽 브레이크레버의 작동에 의해서도 좌우 브레이크 장치를 연동하여 작동하게 하는 연결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3. 1항에 있어서 등받이를 지지하는 구조체(2)는 좌우 양쪽 하단으로 개방된 단부를 가지는 하부구조체(5)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구조체(5)는 이동자의 상하 관통공과 결합하여 상하이동으로 등받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4. 1항에 있어서 등받이의 이동자(6)의 전면과 고정자(13)에 양단을 결합하여 구성한 긴장된 탄성부재(12)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5. 1항에 있어서 이동식 등받이의 후방에 이동식등받이와 독립적인, 이동하지 않는 등받이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6. 1 내지 5항에 있어서 좌판 하부 커버(14)를 포함한 의자
  7. 1 내지 5항에 있어서 브레이크레버의 작동을 받은 브레이크편(7)은 연결대(9)에 의해서 보조레일(11)에 압착하여 등받이의 이동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8. 1 내지 5항에 있어서 브레이크레버의 작동을 받은 브레이크편(7)은 브레이크편의 좌우작동을 연동하는 연결대(9)에 의해서 고정부분에 압착하여 등받이의 이동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9. 1 내지 5항에 있어서 브레이크레버의 작동을 받은 브레이크편(7)은 좌우 브레이크편(7)의 작동을 연동하는 연결대(9)에 형성한 캠(17)에 의해서 고정부분에 브레이크편(7)을 상하운동으로 압착하여 등받이의 이동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10. 1 내지 5항에 있어서 등받이의 상부 구조체(2)와 하부구조체(5)는 연결대(3)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 되며, 스토퍼(4)의 작동으로 등받이 각도 조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11. 1 내지 5항에 있어서 등받이는 등판(1)의 높이를 상하로 조절하는 높이조절시스템을 가지며 착석자가 착석한 상태로도 브레이크작동편(105)의 하방으로 돌출한 손잡이 부분을 잡을 수 있도록 등판 하부보다 하방으로 더 돌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판 높이조절시스템을 포함한 의자.
  12. 10항에 있어서 등판높이조절시스템의 구조체(104)의 일부는 등판(1)에 고정되며(103) 구조체의 연장된 일부분은 수평하게 형성되고 중간에 고정된 돌출부분(106)을 가지며; 돌출부의 양쪽에 구조체를 따라 끼워지는 브레이크작동편(105)과, 상기 브레이크작동편(105)과 고정된 돌출부분(106) 사이에 스프링(107)이 삽입되며; 브레이크작동편(105)의 바깥쪽에 등받이 구조체(2)에 형성된 요철에 이가 들어맞도록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판 높이조절시스템을 포함한 의자.
  13. 1 내지 5항에 있어서 의자 좌판 하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의자구조체 상부에 좌우방향으로 형성된 수평한 구조체요소(91)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좌판지지부재(90)와;
    좌판을 전방이나 후방으로 회전하여 기울일 시에 각각에 대응하여 각각 다른 크기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탄성요소(53, 73)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의 경사조절장치를 포함한 의자.
  14. 13항에 있어서 탄성요소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며;
    압축스프링 상단을 고정하는 상단부(71)와 하단을 고정하는 하단판(74), 하단판(74)을 지지하고 회전지지부(58)와 결합된 스프링 압력조절자(76); 상단부(71)와 하단판(74)을 연결하고 회전지지부(58)를 걸림 없이 통과하며 그 하단부는 이탈 방지수단(75)으로 구성되는 선형의 팽창억제연결자(72); 좌판에 고정되어 상단부(71)의 상부 돌출부와 들어맞는 압축스프링 가이드부(70); 의자 구조체에 설치된 회전결합부(59)에 회동가능하게 결합 되는 회전지지부(5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15. 14항에 있어서 압축스프링의 압력조절은 하단판(74)을 지지하고, 회전지지부(58)와 나사 결합된 압력조절자(76)를 전후진 함으로써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16. 13항에 있어서 탄성요소는 인장스프링을 포함하며;
    인장스프링 상단을 고정하는 상단부(51)와 하단을 고정하는 하단부(54); 상단부(51)와 하단부(54)의 스프링 간격을 유지하는 인력조절자(56); 상단부(51)와 회전축핀(52)을 통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좌판에 고정된 인장스프링 좌판고정부(50); 의자 구조체에 설치된 회전결합부(59)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지지부(58); 인력조절자(56)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지지부(58)아래 구성된 상방이동억제요소(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17. 16항에 있어서 인장스프링의 압력조절은;
    상단부(51)을 지지하고, 인력조절자(56)와 나사 결합된 하단부(54)가 걸림 없이 통과할 수 있게 회전지지부(58)에 뚫린 구멍의 아래에, 구멍보다 큰 상방이동억제요소(55)와 나사 결합된 인력조절자(56)를 전후진 함으로써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18. 1 내지 5항에 있어서 의자 좌판 하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의자구조체에 좌우방향으로 형성된 수평한 구조체요소(91)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좌판지지부재(90)를 포함하며; 좌판의 회전축(91)과 동심으로 의자구조체에 형성된 원형의 브레이크틀(83); 의자 좌판에 설치되고 상기 브레이크틀(83)에 작용함으로써 좌판의 회전을 고정하는 브레이크기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19. 18항에 있어서 브레이크기구는; 고정부분인 좌판 또는 커버에 브레이크케이스(84)가 고정되고 브레이크 케이스에 결합되는 브레이크편(81); 상기 브레이크편을, 브레이크핸들의 작용을 받아 브레이크틀(83)에 압착하는 캠(8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PCT/KR2011/004274 2010-06-11 2011-06-10 의자 WO2011155795A2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792706.1A EP2580992A2 (en) 2010-06-11 2011-06-10 Chair
CN2011800288812A CN102933119A (zh) 2010-06-11 2011-06-10 椅子
US13/703,334 US20130175839A1 (en) 2010-06-11 2011-06-10 Chair
JP2013514121A JP2013528101A (ja) 2010-06-11 2011-06-10 椅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704 2010-06-11
KR1020100055704A KR101103154B1 (ko) 2010-06-11 2010-06-11 인체자세에 대응하는 의자등받이
KR10-2010-0066636 2010-07-09
KR1020100066636A KR101095279B1 (ko) 2010-07-09 2010-07-09 의자요추받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55795A2 true WO2011155795A2 (ko) 2011-12-15
WO2011155795A3 WO2011155795A3 (ko) 2012-05-03

Family

ID=45098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1/004274 WO2011155795A2 (ko) 2010-06-11 2011-06-10 의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30175839A1 (ko)
EP (1) EP2580992A2 (ko)
JP (1) JP2013528101A (ko)
CN (1) CN102933119A (ko)
WO (1) WO2011155795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38056A (en) * 2015-04-28 2016-11-09 Gordon Vickers Adam Adjustable chai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17446A1 (de) * 2015-07-09 2017-01-15 Innova Patent Gmbh Sessel für einen Sessellift
GB2551737B (en) 2016-06-28 2019-06-05 Posturite Ltd Seat tilting mechanism with two springs
KR101833324B1 (ko) * 2016-08-22 2018-03-02 민강식 승하차가 용이한 회전식 차량 시트
CN107518666B (zh) * 2017-10-19 2023-08-22 芜湖琅格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影音沙发
CN109805650B (zh) * 2017-11-20 2024-01-23 永艺家具股份有限公司 一种线控把手机构及座椅
FR3082108B1 (fr) * 2018-06-06 2020-06-05 Herve Thomas Dispositif d'assise physiologique
CN111248678A (zh) * 2018-12-03 2020-06-09 国誉家具(中国)有限公司 椅子
CN110464146A (zh) * 2019-08-20 2019-11-19 李扬震 一种分段调节式人体工学椅
CN112674512B (zh) * 2021-01-15 2023-09-01 佛山市铭众家具有限公司 一种具有位置记忆功能的课椅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21772B (de) * 1960-04-13 1966-07-28 Dr Otto Alfred Becker Sitzmoebel
FR2075176A5 (ko) * 1970-01-31 1971-10-08 Suspa Federungstech
US4491366A (en) * 1981-10-05 1985-01-01 Victor Silber Multi-positional chair
US4662682A (en) * 1985-10-15 1987-05-05 Maurel Jacques A Seat back height adjustment mechanism
US5035466A (en) * 1989-04-03 1991-07-30 Krueger International, Inc. Ergonomic chair
US7396082B2 (en) * 2002-03-29 2008-07-08 Garrex Llc Task chair
US7625046B2 (en) * 2002-03-29 2009-12-01 Garrex Llc Task chair
JP3097058U (ja) * 2003-04-09 2004-01-15 春輝産業股▲ふん▼有限公司 椅子の背もたれ前後移動調整装置
CN1663503A (zh) * 2005-01-27 2005-09-07 吴文进 椅背腰部可调式座椅
US7585028B2 (en) * 2005-02-09 2009-09-08 Jenkins Jeffrey B Mobile ergonomic rotating adjustable chair with lumbar support
US7357453B2 (en) * 2005-07-04 2008-04-15 Wu Wenjin Chair with armrests
KR100722991B1 (ko) * 2006-01-04 2007-05-29 주식회사늘푸름가구 등받이가 밀착되는 의자
KR200424912Y1 (ko) * 2006-03-24 2006-08-29 전달용 등판과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좌판 및 허리받침부를포함하는 의자
CN201008450Y (zh) * 2007-02-12 2008-01-23 北京市丽日办公用品有限责任公司 学生课椅
CN101332033A (zh) * 2007-06-27 2008-12-31 王名勇 活动靠背及其动力机构
KR101030474B1 (ko) * 2008-10-09 2011-04-25 이병열 중심이 이동되는 의자
KR100954226B1 (ko) * 2009-09-14 2010-04-21 주식회사 우드메탈 등받이가 수평이동 가능한 의자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o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38056A (en) * 2015-04-28 2016-11-09 Gordon Vickers Adam Adjustable chair
GB2538056B (en) * 2015-04-28 2017-11-29 Gordon Vickers Adam Adjustable chai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75839A1 (en) 2013-07-11
JP2013528101A (ja) 2013-07-08
WO2011155795A3 (ko) 2012-05-03
CN102933119A (zh) 2013-02-13
EP2580992A2 (en) 2013-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155795A2 (ko) 의자
WO2011037431A9 (ko) 요추받이를 포함하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US6439661B1 (en) Chair mechanism
WO2018041256A1 (zh) 一种座椅结构及座椅
WO2017099295A1 (ko) 기능성 의자
US9173492B1 (en) Self-reclining chair
JPH0315411A (ja) 椅子
WO2012153920A2 (ko) 컴퓨터 의자
JP2006528048A (ja) 背受けを自動的に移動調節する椅子
WO2012118341A2 (ko) 다기능 헤드레스트
KR100872907B1 (ko) 좌판과 등받이의 각도조정이 가능한 의자
KR20060027454A (ko) 운동기능을 갖는 사무용 의자
KR101167816B1 (ko) 등받이의자
KR200448295Y1 (ko) 등받이가 전·후 이동되어 바른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기능성 의자
WO2016064162A1 (ko) 헬스형 승마자전거
WO2016117822A1 (ko) 등압착식 허리받침대
KR101243018B1 (ko) 의자
WO2010123234A2 (ko) 롤러식 좌판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의자
KR101092785B1 (ko) 의자
WO2011037430A9 (ko) 의자의 등 지지 장치
CN111728408A (zh) 一种自适应靠背座椅
WO2021201458A1 (ko)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
KR101095279B1 (ko) 의자요추받이
KR101683871B1 (ko) 전신 운동의자
CN212878495U (zh) 一种用于椅具的背座联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180028881.2

Country of ref document: C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179270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3514121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DPE1 Request for preliminary examination filed after expiration of 19th month from priority date (pct application filed from 2004010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3703334

Country of ref document: US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1792706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1792706

Country of ref document: 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