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1081333A2 - 폭발방지수단을 구비하는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폭발방지수단을 구비하는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1081333A2
WO2011081333A2 PCT/KR2010/009044 KR2010009044W WO2011081333A2 WO 2011081333 A2 WO2011081333 A2 WO 2011081333A2 KR 2010009044 W KR2010009044 W KR 2010009044W WO 2011081333 A2 WO2011081333 A2 WO 2011081333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outer case
secondary battery
pin
cas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0/00904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1081333A3 (ko
Inventor
김희석
정영호
김영덕
홍지준
정택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루트제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루트제이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루트제이드
Publication of WO2011081333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81333A2/ko
Publication of WO2011081333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81333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42Non-re-sealabl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ondary battery having an explosion prevention means, and more particularly, a secondary battery having explosion prevention means for forming a through hole in an exterior case when the exterior case is expanded due to an increase in internal pressure. It is about.
  • a low-capacity battery in which one of the secondary batteries is packed in a pack form is used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a laptop, a computer, a camcorder, and a large-capacity battery in a battery pack unit in which dozens of battery cells are connected. It is widely used as a power source for driving motors of hybrid electric vehicles.
  • the secondary battery includes a positive electrode plate, a negative electrode plate, a separator, and an electrolyte, and is charged and discharged by electromotive force generated when ions move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through an electrochemical rebound.
  • the secondary battery has a high operating potential of the battery, high energy may flow instantaneously, and the positive electrode material rapidly reacts with the electrolyte to generate a large amount of gas because chemical activation is greatly increased by overcharge or short circuit. As a result, the pressure or temperature inside the secondary battery is rapidly increased, leading to an explosion of the battery, which may damage the peripheral device or damage the human body. Therefore, various types of safety devices for preventing explosions have been proposed.
  • Japanese Patent Laid-Open Nos. 2-284350 and 9-320549 disclose a technique of forming a straight or straight X-shaped groove on the surface of an outer case as a safety device of a secondary battery.
  • the groove is formed in the outer case, when the outer case is inflated due to an increase in internal pressure, cracks are generated in the grooved portion and the inner gas is relea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secondary battery does not explod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 the secondary battery in which the groove is formed in the outer case has various disadvantages such as the size and location of the groove, and thus the crack generation time is variously changed, so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design the crack generation time. .
  • the depth of the groove is slightly lowered, even if the outer case is expanded beyond the reference value, there is a risk of explosion because no crack is generated. If the depth of the groove is slightly deep, the crack is generated even if the outer case is slightly expanded.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through-holes are automatically formed in the outer case when the outer case is expanded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the internal pressure to prevent explosion, it is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through-hole forming time, sharp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condary battery in which an injury is prevented because a break portion is not formed.
  • An outer case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received Including the puncture pin, and explosion-proof means having a mounting frame coupled to the outer case by mounting the puncture pin so that one side of the drilling pin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case, the outer body by increasing the internal pressure When the case is expanded, the outer case contacts the perforation pin to form a through hole in the outer case.
  • the punch pin is mounted to the mounting frame in a structure in which the distance to the outer case is adjustable.
  • the outer case is formed with a wider upper surface than the side
  • the mounting frame has a center portion spaced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case and both sides are coupled to the side of the outer case.
  • the outer case is composed of a body case and a cover case having an inner space, the body case and the cover case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a flange is formed, the mounting frame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flange.
  • Electrode assembly An outer case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received;
  • a guide fram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having a longitudinal side coupl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a slide block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guide frame and sliding toward the outer case, and mounted on the slide block;
  • an explosion-proof means having perforated pins pressed against the outer case when the slide block is slid toward the outer case.
  • the guide frame includes a straight portion into which the slide block is inserted in a fitting manner, and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straight portion to extend an inner diameter and having an end coupl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 the slide block is positioned beyond the straight portion and positioned in the extension portion.
  • the guide frame has a lock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other inner side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punch pin is mounted to the slide block in a structure in which the distance protruding from the slide block is changeable.
  • Electrode assembly An outer case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and having a vent hole; Perforated pins project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vent hole formed portion of the outer case, and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so as to cover the vent hole and the punch pin,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vent hole and the drill pin is Including an explosion-proof means having a double cap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the double cap is compressed to the punch pin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outer case increases, the through-hole is formed.
  • the double cap is manufactured to have a greater ductility than the outer case.
  • the punch pin is coupled to the outer case in a structure in which the distance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is changeable.
  • At least one discharge passage groove having a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lling pin is formed.
  • At least one discharge passage hole is formed in the drilling pin to penetrate the drilling pi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rough-holes are formed in the outer case when the outer case is expanded due to an increase in internal pressure, so that the inner gas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explosion is prevented. It can be easily adjust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will not be injured because no sharp fracture is formed.
  •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hape in which a through hole is formed in an outer case when the outer case is expanded.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5 and 6 are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hape in which a through hole is formed in an outer case when the outer case is expanded.
  •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and 9 are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hape in which a through hole is formed in an outer case when the outer case is expanded.
  • 10 and 11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mounting cross-sectional view of a drill pin formed with a discharge flow path groove.
  • 12 and 13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mounting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ill pin formed with the discharge passage hole.
  •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seconda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hape in which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outer case when the outer case is expanded. Partial cross section of the battery.
  •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10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20 are stacked alternately, so that the separator 130 is insert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10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20.
  • the outer case is configured by the electrode assembly 100, the outer case 200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100 and the electrolytic material are accommodated, and the gas generated during the electrochemical reaction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y 100 and the electrolytic material.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explosion prevention means 300 for preventing explosion by forming a through hole in the outer case 200 so that the gas inside the outer case 20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when the 200 is expanded.
  • the electrode assembly 100 is a component that retains electromotive force by moving ions from a cathode to a cathode when discharged and then moving ions from a cathode to a cathode during charging, as shown in this embodiment.
  •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20 and the separator 130 may be formed to be stacked in a flat plate shape, respectively, and various shapes such as a jelly roll form wound after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10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20 and the separator 130 are stacked and It may be composed of a structure.
  •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is disclo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ny battery as long as the battery is in danger of explosion by being expanded by a gas generated therein.
  • the outer case 200 is a component for accommodating the above-described electrode assembly 100 and the electrolytic material
  • the inner case is provided so that the electrode assembly 100 can be accommodated
  • the body case having an open shape of the lower side ( 210 and the cover case 220 is coupled to cover the open lower side of the body case 210 to isolate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case 210 from the outside.
  • the outer case 200 may be replaced with any structure as long as the outer case 200 has an inner space to accommodate the electrode assembly 100 therein.
  •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through hole in the outer case 200 when gas is generated by the electrochemical rea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 and the outer case 200 is expanded so that no explosion occurs.
  • the most distinctive feature of having an explosion prevention means 300 to the bar, the explosion prevention means 3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 the explosion prevention means 300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drilling pin 310 having a sharp end, and the sharp end of the drilling pin 310 is the outer case 200
  • the drilling pin 310 is mounted so as to face the outer surface of the mounting frame 320 is coupled to the outer case 200 is configured.
  • the through-hole is formed by pressing the sharp end of the punching pin 310. do.
  • the gas generated in the outer case 20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hole to lower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outer case, the explosion of the outer case This will not occur.
  • the secondary battery in which the through-hole is formed in the outer case 200 should be disposed of. If the gap between the end of the punching pin 310 and the outer case 200 is too narrow, the outer case 200 may be inflated even if the outer case 200 is slightly inflated. Since 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case 200, the life of the secondary battery is excessively shortened. On the contrary, if the gap between the end of the drilling pin 310 and the outer case 200 is too wide, even if the outer case 200 is expanded beyond the set level, the through-hole is not formed in the outer case 200 so that the outer case 200 There is a risk of explosion. Therefor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punch pin 310 and the outer case 200 is preferably set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material or structural strength of the outer case 200.
  • the drilling pin 310 may be mounted on the mounting frame 320 in a structure in which the distance to the outer case 200 is adjustable.
  • the distance to the outer case 200 is adjustable.
  • the user rotates the drilling pin 310 between the drilling pin 310 and the outer case 200.
  • the distance can vary.
  • the distance between the punching pin 310 and the outer case 200 is configured to be adjustable, it is not only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time point at which the through-hole is formed when the outer case 200 is expanded, and also prevent explosion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 the means 300 may be commonly applied to various kinds of exterior cases 200 having different materials and structural strengths.
  • the manufacturer can control the time when the through-hole is formed in the outer case 200 by appropriately selecting the outer diameter of the punching pin 310 as well as the interval between the punching pin 310 and the outer case 200.
  • the exterior case 200 is manufactured to have a wider shape, that is, a wider top surface than a side surface.
  • the drilling pin 310 is preferably located in a relatively large area, that is,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having a large expansion displacement rate.
  • the drilling pin 310 may be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case 200.
  • the mounting frame 320 has a center portion spaced upward from the top surface of the outer case 200 as shown in FIG. 2, and both left and right sides thereof are coupled to the side of the outer case 200, and the punch pin 310 )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mounting frame (320).
  •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unting frame 320 is coupled to the side of the outer case 200, even if the outer case 200 is expanded, the height of the mounting frame 320 hardly changes, as shown in FIG. Through holes may be formed in the 200.
  • FIGS. 4 and 6 are partial cross-sectional views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rechargeable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hape in which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outer case when the outer case is expanded. .
  • Explosion prevention means 300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outer case 200 as show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s 1 to 3, in this case, when the stack of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the explosion Preventing means 300 is interfered with,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gap between the puncture pin 310 and the outer case 200 may be inappropriately changed by the external impact.
  • the explosion prevention means 300 may be provided inside the outer case 200.
  • the explosion-proof means 30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s shown in Figures 4 to 6,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upper side in this embodiment)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200 Guide frame 330, a slide block 340 is inserted into the guide frame 330 in a fitting manner and slides toward the outer case 200, and mounted on the slide block 340 and the slide
  • the block 34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uncture pin 310 pressed against the outer case 200 when the block 340 is slid toward the outer case 200.
  • the explosion prevention means 300 When the explosion prevention means 300 is configured as such,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casing 200 is increased in the state shown in FIG. 5, the slide block 340 is pushed upward, and eventually in FIG. 6. As shown in the drawing, the drilling pin 310 forms a through hole in the outer case 200 (more specifically, the body case 210) so that the gas generated inside the outer case 200 is transferred to the outer case 200. As it is discharged, the outer case 200 is expanded and does not cause a phenomenon of explosion.
  • the slide block 340 is pushed toward the outer case 200 side punch pin 310 is the outer case 200 Even though the through-holes are formed in the outer case 200, the gas flows out through the through-holes is not secured, so that the gas inside the outer case 200 may not be smoothly discharged.
  • the guide frame 330 is a funnel so that the inner diameter is extended from one side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side) of the straight portion 332 and the straight portion 332 is inserted into the slide block 340 is fitte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extension 334 extending in shape and having an end (top in this embodiment) coupled to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outer case 200.
  • the guide frame 330 is composed of a straight portion 332 and the expansion portion 334 as described above, the slide block 340 exits the straight portion 332 as shown in FIG.
  • gas inside the outer case 200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slide block 340 and the expansion unit 334 can escape to the through-hole, the gas inside the outer case 200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ischarge of can be made very smoothly.
  • the drilling pin 310 presses the outer case 200 to make a through hole in the outer case 200. It will have to be made to a formable length.
  • the locking block 336 protruding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frame 330 (lower in this embodiment) so that the slide block 340 located in the guide frame 330 is not pushed downward.
  • the perforated pin 310 may be mounted to the slide block 340 in a structure in which the distance protruding from the slide block 340 is changeable so that it can be commonly applied to various types of exterior cases 200 having different strengths. Can be.
  • the structure in which the drilling pin 310 is coupled to the slide block 340 may be applied to any coupling structure as long as the distance protruding from the slide block 340 such as a screw coupling structure is changeable.
  • FIGS. 8 and 9 are partial cross-sectional views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rechargeable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hape in which a through hole is formed in an outer case when the outer case is expanded. .
  • the explosion prevention means 300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f a simpler structure than the structure shown in Figures 1 to 6. That is, the vent hole 212 is formed in the outer case 200 (the body case 210 in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explosion prevention means 300 is formed with the vent hole 212 in the outer case 200.
  • Perforated pin 310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ite, and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200 to cover the vent hole 212 and the drill pin 310, the vent hole 212 and the drill p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31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double cap 350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200.
  • the explosion-proof means 300 is configured to include a punching pin 310 and the double cap 350 in this way,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outer case 200 in the state shown in Figure 8 is increased, the double cap 350 The outer case 200 is pushed up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200 is compressed to the punching pin 310, and eventually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double cap 350.
  • the through-hole is formed in the double cap 350, the gas generated inside the outer case 20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hole and the vent hole 212 of the double cap 350, as shown in FIG. The explosion phenomenon by the expansion of the outer case does not occur.
  • the double cap 350 is made stronger than the outer case 200, even if the outer case 200 is inflated by an increase in the internal pressure, the double cap 350 is not pushed up to the inner side of the outer case.
  • the double cap 350 is preferably manufactured to have a greater ductility than the outer case 200.
  • the drilling pin 310 illustrated in FIGS. 7 to 8 also easily adjusts the time point at which the through-hole is formed when the outer case 200 is expanded, and the material and structural strength of the explosion prevention means 300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tance project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200 is coupled to the outer case 200 in such a way that the distanc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200 can be changed.
  • Figure 10 and 11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mounting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ill pin formed with the discharge flow path groove
  • Figure 12 and 13 is a perspective view and a mounting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ill pin formed with the discharge flow path hole.
  • the drilling pin 310 as shown in Figure 10 is configured such that at least one discharge passage groove 312 having a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lling pin 310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r shown in Figure 12 As described above, one or more discharge passage holes 314 penetrating the punch pin 3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formed.
  • the discharge passage groove 312 When the discharge passage groove 312 is formed in the drilling pin 310, the through-hole formed in the body case 210 when the drilling pin 310 penetrates the body case 210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illing pin 310 Since the discharge flow path grooves 312 are not blocked even when compressed, the gas inside the body case 21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long the discharge flow path grooves 312 as shown in FIG. 11.
  • the discharge passage hole 314 is formed in the drilling pin 310, the discharge passage hole 314 is also not blocked when the drilling pin 310 penetrates the body case 210, it is shown in FIG. As shown, the gas inside the body case 12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long the discharge passage hole 314.
  • the drilling pin 310, the discharge flow path groove 312 or the discharge flow path hole 314 is formed can be equally applied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 the discharge passageway groove 312 or the discharge passageway 314 is formed even when the drilling pin 310 having the discharge passageway groove 312 or the discharge passageway hole 314 is applied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4 to 9. Since the shape and function of are substantially the sam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와, 상기 전극조립체가 내부에 수용된 외장케이스와, 천공핀 및 상기 천공핀의 일측이 상기 외장케이스의 외측면을 향하도록 상기 천공핀이 장착되어 상기 외장케이스에 결합되는 거치프레임을 구비하는 폭발방지수단을 포함하여, 내부압력 증가에 의한 상기 외장케이스 팽창 시 상기 외장케이스가 상기 천공핀에 접촉되어 상기 외장케이스에 관통공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는, 내부압력 증가에 따른 외장케이스 팽창 시 외장케이스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내부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바 폭발이 방지되고, 천공핀의 돌출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관통공 형성시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날카로운 파단부위가 형성되지 아니하므로 사용자가 상해를 입지 아니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폭발방지수단을 구비하는 이차전지
본 발명은 폭발방지수단을 구비하는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내부압력 증가에 따른 외장케이스 팽창 시 외장케이스에 관통공을 형성하는 폭발방지수단을 구비하여 폭발이 방지되도록 구성되는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 전자기기 및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개발 및 보급이 확대되고 있으며, 이들의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재충전이 가능함과 동시에 고에너지 밀도를 가진 이차전지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차전지 중 하나의 전지 셀이 팩 형태로 포장된 저용량 전지의 경우 휴대용 전화기나 노트북, 컴퓨터, 캠코더와 같은 휴대가 가능한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전지 셀이 수십 개 연결된 전지 팩 단위의 대용량 전지의 경우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는 양극판, 음극판, 분리막 및 전해질로 이루어지며, 전기화학적 반등을 통해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서 이온이 이동될 때 발생되는 기전력에 의해 충방전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차전지는 전지의 작동 전위가 높기 때문에 고에너지가 순간적으로 흐를 수 있고, 양극 물질은 과충전 또는 단락에 의하여 화학적인 활성화가 크게 증대되기 때문에 전해질과 급격히 반응하여 다량의 가스를 발생시킨다. 그 결과 이차전지 내부의 압력이나 온도가 급격히 상승되고 전지의 폭발로 이어져, 주변 장치가 파손되거나 인체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 따라서 이차전지에는 폭발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안전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공개특허공보 평2-284350호 및 평9-320549호에서는 이차전지의 안전장치로써 외장케이스의 표면에 직선 또는 직선으로 된 X자형의 홈을 형성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외장케이스에 홈이 형성되면, 내부 압력 증가에 의해 외장케이스가 팽창될 때 홈이 형성된 부위에 크랙이 발생되어 내부가스가 외부로 방출되는바, 이차전지가 폭발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외장케이스에 홈이 형성되는 이차전지는, 홈의 크기 및 위치 등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크랙발생 시기가 다양하게 변경되는바, 크랙발생 시기를 정확하게 설계하는 것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홈의 깊이가 약간 낮아지게 되면 외장케이스가 기준치 이상 팽창되더라도 크랙이 발생되지 아니하여 폭발의 위험이 있고, 홈의 깊이가 약간 깊어지게 되면 외장케이스가 약간만 팽창되더라도 크랙이 발생된다.
또한, 외장케이스에 홈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전지의 폭발은 막을 수 있지만 홈의 파단 부위가 날카롭게 되어 인체에 상처를 입힐 수 있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내부압력 증가에 따른 외장케이스 팽창 시 자동으로 외장케이스에 관통공이 형성되므로 폭발이 방지되고, 관통공 형성시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날카로운 파단부위가 형성되지 아니하므로 상해가 방지되는 이차전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가 내부에 수용된 외장케이스; 천공핀과, 상기 천공핀의 일측이 상기 외장케이스의 외측면을 향하도록 상기 천공핀이 장착되어 상기 외장케이스에 결합되는 거치프레임을 구비하는 폭발방지수단을 포함하여, 내부압력 증가에 의한 상기 외장케이스 팽창 시 상기 외장케이스가 상기 천공핀에 접촉되어 상기 외장케이스에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천공핀은, 상기 외장케이스와의 거리가 조정 가능한 구조로 상기 거치프레임에 장착된다.
상기 외장케이스는 측면보다 상면이 넓게 형성되며, 상기 거치프레임은 가운데 부위가 상기 외장케이스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이격되고 좌우 양측이 상기 외장케이스의 측부에 결합된다.
상기 외장케이스는 내부공간을 갖는 몸체케이스와 덮개케이스로 구성되되 상기 몸체케이스와 덮개케이스가 상호 접촉되는 부위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거치프레임은 좌우 양단이 상기 플랜지에 결합된다.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가 내부에 수용된 외장케이스;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되어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외장케이스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내측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어 상기 외장케이스를 향해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드블록과, 상기 슬라이드블록에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드블록이 상기 외장케이스를 향해 슬라이딩될 때 상기 외장케이스에 가압되는 천공핀을 구비하는 폭발방지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상기 슬라이드블록이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는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의 일측으로부터 내경이 확장되도록 연장되며 끝단이 상기 외장케이스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확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천공핀이 상기 외장케이스를 가압하여 상기 외장케이스에 관통공이 형성되었을 때, 상기 슬라이드블록은 상기 직선부를 벗어나 상기 확장부에 위치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길이방향 타측 내주면에 걸림부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천공핀은 상기 슬라이드블록으로부터 돌출되는 거리가 변경 가능한 구조로 상기 슬라이드블록에 장착된다.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가 내부에 수용되며 벤트홀이 형성된 외장케이스; 상기 외장케이스 중 상기 벤트홀이 형성된 부위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천공핀과, 상기 벤트홀과 천공핀을 덮도록 상기 외장케이스의 내측면에 결합되되 상기 벤트홀 및 천공핀과 대응되는 부위는 상기 외장케이스 내측면과 이격되는 이중캡을 구비하는 폭발방지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외장케이스의 내부압력 증가 시 상기 이중캡이 상기 천공핀에 압착되어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이중캡은 상기 외장케이스보다 큰 연성을 갖도록 제작된다.
상기 천공핀은 상기 외장케이스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거리가 변경 가능한 구조로 상기 외장케이스에 결합된다.
상기 천공핀의 외주면에는, 상기 천공핀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배출유로홈이 하나 이상 형성된다.
상기 천공핀에는, 상기 천공핀을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배출유로공이 하나 이상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는, 내부압력 증가에 따른 외장케이스 팽창 시 외장케이스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내부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바 폭발이 방지되고, 천공핀의 돌출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관통공 형성시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날카로운 파단부위가 형성되지 아니하므로 사용자가 상해를 입지 아니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외부케이스 팽창 시 외부케이스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형상을 도시하는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 제2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외부케이스 팽창 시 외부케이스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형상을 도시하는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 제2 실시예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 제3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외부케이스 팽창 시 외부케이스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형상을 도시하는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 제3 실시예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배출유로홈이 형성된 천공핀의 사시도 및 장착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배출유로공이 형성된 천공핀의 사시도 및 장착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의 단면도이며, 도 3은 외부케이스 팽창 시 외부케이스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형상을 도시하는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는, 양극판(110)과 음극판(120)이 교변으로 적층되며 양극판(110)과 음극판(120) 사이마다 분리막(130)이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전극조립체(100)와, 상기 전극조립체(100)와 전해물질이 내부에 수용되는 외장케이스(200)와, 전극조립체(100)와 전해물질 간의 전기화학반응 시 발생되는 가스에 의해 외장케이스(200)가 팽창될 때 외장케이스(200) 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외장케이스(200)에 관통공을 형성함으로써 폭발을 방지하는 폭발방지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극조립체(100)는 방전 시 이온이 음극에서 양극으로 이동되었다가 충전 시 이온이 양극에서 음극으로 이동됨으로써 기전력을 보유하게 되는 구성요소로서,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판(110)과 음극판(120)과 분리막(130)이 각각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적층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양극판(110)과 음극판(120)과 분리막(130)이 적층된 후 감겨진 젤리롤 형태 등 다양한 형상 및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리튬이온 이차전지가 개시되고 있으나,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는, 내부에서 발생되는 가스에 의해 팽창됨으로써 폭발의 위험이 있는 전지라면 어떠한 전지로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외장케이스(200)는 상기 언급한 전극조립체(100) 및 전해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전극조립체(100)가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마련되며 하측이 개방된 형상의 몸체케이스(210)와, 상기 몸체케이스(210)의 개방된 하측을 덮도록 결합됨으로써 몸체케이스(210)의 내부공간을 외부와 격리시키는 덮개케이스(22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외장케이스(200)는 전극조립체(10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로도 대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100)의 전기화학반응에 의해 가스가 발생되어 외장케이스(200)가 팽창될 때 상기 외장케이스(200)에 관통공을 형성하여 폭발이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하기 위한 폭발방지수단(300)을 구비한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는바, 이하 폭발방지수단(300)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포함되는 폭발방지수단(3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카로운 끝단을 갖는 천공핀(310)과, 상기 천공핀(310)의 날카로운 끝단이 상기 외장케이스(200)의 외측면을 향하도록 상기 천공핀(310)이 장착되어 상기 외장케이스(200)에 결합되는 거치프레임(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전극조립체(100)에서 이루어지는 전기화학반응에 의해 가스가 발생되어 외장케이스(200)가 일정 수준 이상 팽창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핀(310)의 날카로운 끝단에 가압되어 관통공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외장케이스(200)에 관통공이 형성되면, 외장케이스(200) 내부에서 발생된 가스가 상기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외부케이스의 내부 압력이 낮아지게 되는바, 외부케이스가 폭발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하게 된다.
이때, 외장케이스(200)에 관통공이 형성된 이차전지는 폐기처리 되어야 하는데, 천공핀(310)의 끝단과 외장케이스(200) 간의 간격이 너무 좁으면 상기 외장케이스(200)가 조금만 부풀어 오르더라도 외장케이스(200)에 관통공이 형성되므로 이차전지의 수명이 과도하게 짧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반대로, 천공핀(310)의 끝단과 외장케이스(200) 간의 간격이 너무 넓으면 상기 외장케이스(200)가 설정수준 이상 팽창되더라도 외장케이스(200)에 관통공이 형성되지 못하게 되므로 외장케이스(200)가 폭발하게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천공핀(310)과 외장케이스(200) 간의 이격 거리는 외장케이스(200)의 재질이나 구조적 강도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천공핀(310)은, 상기 외장케이스(200)와의 거리가 조정 가능한 구조로 상기 거치프레임(320)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천공핀(310)이 나사결합 구조로 거치프레임(320)에 관통 결합되는 경우, 사용자가 천공핀(310)을 회전시키는 조작에 의해 천공핀(310)과 외장케이스(200) 간의 거리가 가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천공핀(310)과 외장케이스(200) 간의 거리가 조정 가능하도록 구성되면, 외장케이스(200) 팽창 시 관통공이 형성되는 시점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포함되는 폭발방지수단(300)을 재질 및 구조적 강도가 상이한 여러 종류의 외장케이스(200)에 공용으로 적용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천공핀(310)과 외장케이스(200) 간의 간격이 동일하다 하더라도, 천공핀(310)의 외경 크기에 따라 외장케이스(200)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시점이 상이해진다. 이는, 천공핀(310)의 전체 길이가 일정하다는 조건에서 천공핀(310)의 외경이 작을수록 천공핀(310)의 끝단을 뾰족하게 제작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천공핀(310)이 보다 쉽게 외장케이스(200)를 관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작자는 천공핀(310)과 외장케이스(200) 간의 간격뿐만 아니라 천공핀(310)의 외경 크기를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외장케이스(200)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시점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다수 개의 이차전지를 적층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케이스(200)가 넓적한 형상 즉, 측면보다 상면이 넓은 형상으로 제작된다. 이때, 외장케이스(200)의 내부 압력이 증가되어 팽창되는 경우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은 상면 및 저면은 많이 부풀어 오르지만 상대적으로 면적이 좁은 측면은 부풀어 오르는 높이가 매우 낮으므로, 상기 천공핀(310)이 외장케이스(200)의 측면에 장착되면 외장케이스(200)에 관통공이 형성되지 아니하여 폭발의 우려가 있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천공핀(310)은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은 부위 즉, 팽창 변위율이 큰 상면 또는 저면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천공핀(310)이 외장케이스(200)의 상면에 위치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천공핀(310)은 외장케이스(200)의 저면에 위치될 수도 있다.
한편, 외장케이스(200)의 내부압력이 높아져 외장케이스(200)의 상면이 부풀어 오를 때 상기 천공핀(310)이 함께 따라 올라가게 되면 외장케이스(200)에 관통공이 형성될 수 없으므로, 상기 천공핀(310)은 외장케이스(200)의 팽창에 관계없이 일정한 지점에 고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거치프레임(3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운데 부위가 상기 외장케이스(200)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이격되며 좌우 양측이 상기 외장케이스(200)의 측부에 결합되고, 상기 천공핀(310)은 거치프레임(320)의 가운데 부위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거치프레임(320)의 좌우 양측이 외장케이스(200)의 측부에 결합되면, 외장케이스(200)가 팽창되더라도 거치프레임(320)의 높이는 거의 변하지 아니하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케이스(200)에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케이스(210)와 덮개케이스(220)가 상호 접촉되는 부위에 플랜지가 형성되는 경우, 외장케이스(200)가 팽창되더라도 상기 플랜지의 변형은 거의 발생되지 아니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거치프레임(320)의 좌우 양단이 상기 플랜지에 결합되면 상기 거치프레임(320) 및 이에 결합된 천공핀(310)의 위치가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 제2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외부케이스 팽창 시 외부케이스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형상을 도시하는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 제2 실시예의 부분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포함되는 폭발방지수단(3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외장케이스(200)의 외측에 구비될 수도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 여러 개의 이차전지를 적층시킬 때 상기 폭발방지수단(300)이 간섭되며, 외부 충격에 의해 천공핀(310)과 외장케이스(200) 간의 간격이 부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폭발방지수단(300)은 외장케이스(200)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폭발방지수단(300)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되어 길이방향 일측(본 실시예에서는 상측)이 상기 외장케이스(200)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가이드프레임(330)과, 상기 가이드프레임(330)의 내측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어 상기 외장케이스(200)를 향해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드블록(340)과, 상기 슬라이드블록(340)에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드블록(340)이 상기 외장케이스(200)를 향해 슬라이딩될 때 상기 외장케이스(200)에 가압되는 천공핀(31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폭발방지수단(300)이 이와 같은 구조로 구성되면,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 외장케이스(200) 내부 압력이 증가되는 경우 슬라이드블록(340)은 상향으로 밀려 올라가게 되고, 종국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핀(310)이 외장케이스(200)(더 명확하게는 몸체케이스(210))에 관통공을 형성하여 외장케이스(200) 내부에서 발생된 가스가 외장케이스(200) 외부로 배출되는바, 외장케이스(200)가 팽창되어 폭발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하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 몸체케이스(210)와 가이드프레임(330) 간의 결합부위가 벌어지게 되도록(도 5에서 가이드프레임(330)의 좌측 상단과 우측 상단 간의 거리가 벌어지게 되도록) 외장케이스(200)가 팽창하면, 가이드프레임(330) 중 슬라이드블록(340)이 안착된 부위가 몸체케이스(210) 측으로 가까워지게 되어, 천공핀(310)이 몸체케이스(210)에 가까워지게 된다. 즉, 상기 천공핀(310)이 몸체케이스(210)에 관통공을 형성하는 인자로는, 외장케이스(200) 내의 압력 상승에 의해 슬라이드블록(340)이 몸체케이스(210) 측으로 슬라이딩되는 요소와, 몸체케이스(210)의 변형 요소가 있는바, 제작자는 상기 두 요소를 고려하여 관통공 형성시점을 적절히 설계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이드프레임(330)의 내경이 상측부터 하측까지 동일한 형상 즉, 직선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면, 슬라이드블록(340)이 외장케이스(200) 측으로 밀려 천공핀(310)이 외장케이스(200)에 관통공을 형성하더라도 외장케이스(200) 내부의 가스가 상기 관통공으로 빠져 나갈 유로가 확보되지 아니하는바, 외장케이스(200) 내부 가스의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지지 아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프레임(330)은, 상기 슬라이드블록(340)이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는 직선부(332)와, 상기 직선부(332)의 일측(본 실시예에서는 상측)으로부터 내경이 확장되도록 깔대기 형상으로 연장되며 끝단(본 실시예에서는 상단)이 상기 외장케이스(200)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확장부(334)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프레임(330)이 직선부(332)와 확장부(334)로 구성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블록(340)이 직선부(332)를 빠져 나가 확장부(334)에 위치되었을 때 외장케이스(200) 내부 가스가 슬라이드블록(340)과 확장부(334) 내측면 사이의 공간을 통해 외장케이스(200)의 관통공으로 빠져 나갈 수 있으므로, 외장케이스(200) 내부 가스의 배출이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블록(340)이 직선부(332)를 벗어나 확장부(334)에 위치되었을 때, 천공핀(310)은 외장케이스(200)를 가압하여 상기 외장케이스(200)에 관통공을 형성할 수 있는 길이로 제작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가이드프레임(330) 내에 위치된 슬라이드블록(340)이 하향으로 밀려 떨어지지 아니하도록, 상기 가이드프레임(330)의 길이방향 타측(본 실시예에서는 하측) 내주면에 걸림부(336)가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를 설명할 때와 마찬가지로 외장케이스(200) 팽창 시 관통공이 형성되는 시점을 용이하게 조정하고 본 발명에 포함되는 폭발방지수단(300)을 재질 및 구조적 강도가 상이한 여러 종류의 외장케이스(200)에 공용으로 적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천공핀(310)은 상기 슬라이드블록(340)으로부터 돌출되는 거리가 변경 가능한 구조로 상기 슬라이드블록(34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천공핀(310)이 슬라이드블록(340)에 결합되는 구조는 나사결합구조 등 슬라이드블록(340)으로부터 돌출되는 거리가 변경 가능한 구조라면 어떠한 결합 구조로도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 제3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외부케이스 팽창 시 외부케이스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형상을 도시하는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 제3 실시예의 부분단면도이다.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되는 폭발방지수단(300)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구조보다 더 단순한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외장케이스(200)(본 실시예에서는 몸체케이스(210))에 벤트홀(212)이 형성되고, 상기 폭발방지수단(300)은 외장케이스(200) 중 상기 벤트홀(212)이 형성된 부위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천공핀(310)과, 상기 벤트홀(212)과 천공핀(310)을 덮도록 상기 외장케이스(200)의 내측면에 결합되되 상기 벤트홀(212) 및 천공핀(310)과 대응되는 부위는 상기 외장케이스(200) 내측면과 이격되는 이중캡(35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폭발방지수단(300)이 천공핀(310)과 이중캡(350)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면, 도 8에 도시된 상태에서 외장케이스(200) 내부압력이 증가되는 경우, 이중캡(350)이 외장케이스(200)의 내측면을 향해 밀려 올라가게 되어 상기 천공핀(310)에 압착되고, 종국에는 상기 이중캡(350)에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이중캡(350)에 관통공이 형성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케이스(200) 내부에서 발생된 가스가 이중캡(350)의 관통공과 벤트홀(212)을 지나 외부로 배출되므로, 외부케이스 팽창에 의한 폭발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중캡(350)이 외장케이스(200)보다 강도가 크게 제작되면 외장케이스(200)가 내부압력 증가에 의해 부풀어 오르더라도 상기 이중캡(350)은 외부케이스 내측면으로 밀려 올라가지 아니하게 되는바, 상기 이중캡(350)은 외장케이스(200)보다 큰 연성을 갖도록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천공핀(310) 역시, 외장케이스(200) 팽창 시 관통공이 형성되는 시점을 용이하게 조정하고 본 발명에 포함되는 폭발방지수단(300)을 재질 및 구조적 강도가 상이한 여러 종류의 외장케이스(200)에 공용으로 적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외장케이스(20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거리가 변경 가능한 구조로 상기 외장케이스(200)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 역시, 몸체케이스(210)와 이중캡(350) 간의 결합부위가 벌어지게 되도록(도 8에서 이중캡(350)의 좌측 상단과 우측 상단 간의 거리가 벌어지게 되도록) 외장케이스(200)가 팽창하면, 이중캡(350)이 천공핀(310)에 가까워지게 된다. 따라서 제작자는, 외장케이스(200) 내의 압력 상승에 의해 이중캡(350)이 천공핀(310) 측으로 밀려 올라가는 요소와, 몸체케이스(210)의 변형에 의해 이중캡(350)이 천공핀(310) 측으로 가까워지는 요소를 고려하여 관통공 형성시점을 적절히 설계함이 바람직하다.
도 10 및 도 11은 배출유로홈이 형성된 천공핀의 사시도 및 장착단면도이고, 도 12 및 도 13은 배출유로공이 형성된 천공핀의 사시도 및 장착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핀(310)이 몸체케이스(210)를 관통하였을 때 천공핀(310)의 외주면과 몸체케이스(210)에 형성된 관통공의 내주면이 완전히 압착되면, 몸체케이스(210) 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지 못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천공핀(31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천공핀(310)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배출유로홈(312)이 외주면에 하나 이상 형성되도록 구성되거나,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천공핀(310)을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배출유로공(314)이 하나 이상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천공핀(310)에 배출유로홈(312)이 형성되면, 상기 천공핀(310)이 몸체케이스(210)를 관통하였을 때 몸체케이스(210)에 형성된 관통공이 천공핀(310)의 외주면에 압착되더라도 배출유로홈(312)은 막히지 아니하므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케이스(210) 내부의 가스가 배출유로홈(312)을 따라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공핀(310)에 배출유로공(314)이 형성되면, 상기 천공핀(310)이 몸체케이스(210)를 관통하였을 때 상기 배출유로공(314) 역시 막히지 아니하므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케이스(120) 내부의 가스가 배출유로공(314)을 따라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배출유로홈(312)이나 배출유로공(314)이 형성된 천공핀(310)은,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배출유로홈(312)이나 배출유로공(314)이 형성된 천공핀(310)이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적용되는 경우에도 상기 배출유로홈(312)이나 배출유로공(314)의 형상 및 기능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가 내부에 수용된 외장케이스;
    천공핀과, 상기 천공핀의 일측이 상기 외장케이스의 외측면을 향하도록 상기 천공핀이 장착되어 상기 외장케이스에 결합되는 거치프레임을 구비하는 폭발방지수단을 포함하여,
    내부압력 증가에 의한 상기 외장케이스 팽창 시 상기 외장케이스가 상기 천공핀에 접촉되어 상기 외장케이스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핀은, 상기 외장케이스와의 거리가 조정 가능한 구조로 상기 거치프레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케이스는 측면보다 상면이 넓게 형성되며,
    상기 거치프레임은, 가운데 부위가 상기 외장케이스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이격되고 좌우 양측이 상기 외장케이스의 측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케이스는, 내부공간을 갖는 몸체케이스와 덮개케이스로 구성되되, 상기 몸체케이스와 덮개케이스가 상호 접촉되는 부위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거치프레임은 좌우 양단이 상기 플랜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5.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가 내부에 수용된 외장케이스;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되어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외장케이스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내측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어 상기 외장케이스를 향해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드블록과, 상기 슬라이드블록에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드블록이 상기 외장케이스를 향해 슬라이딩될 때 상기 외장케이스에 가압되는 천공핀을 구비하는 폭발방지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상기 슬라이드블록이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는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의 일측으로부터 내경이 확장되도록 연장되며 끝단이 상기 외장케이스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확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핀이 상기 외장케이스를 가압하여 상기 외장케이스에 관통공이 형성되었을 때, 상기 슬라이드블록은 상기 직선부를 벗어나 상기 확장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길이방향 타측 내주면에 걸림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핀은 상기 슬라이드블록으로부터 돌출되는 거리가 변경 가능한 구조로 상기 슬라이드블록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0.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가 내부에 수용되며 벤트홀이 형성된 외장케이스;
    상기 외장케이스 중 상기 벤트홀이 형성된 부위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천공핀과, 상기 벤트홀과 천공핀을 덮도록 상기 외장케이스의 내측면에 결합되되 상기 벤트홀 및 천공핀과 대응되는 부위는 상기 외장케이스 내측면과 이격되는 이중캡을 구비하는 폭발방지수단;
    을 포함하여, 상기 외장케이스의 내부압력 증가 시 상기 이중캡이 상기 천공핀에 압착되어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캡은 상기 외장케이스보다 연성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핀은 상기 외장케이스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거리가 변경 가능한 구조로 상기 외장케이스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핀의 외주면에는, 상기 천공핀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배출유로홈이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4.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핀에는, 상기 천공핀을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배출유로공이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PCT/KR2010/009044 2009-12-29 2010-12-17 폭발방지수단을 구비하는 이차전지 WO2011081333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339 2009-12-29
KR1020090132339A KR101097101B1 (ko) 2009-12-29 2009-12-29 폭발방지수단을 구비하는 이차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81333A2 true WO2011081333A2 (ko) 2011-07-07
WO2011081333A3 WO2011081333A3 (ko) 2011-10-27

Family

ID=44226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0/009044 WO2011081333A2 (ko) 2009-12-29 2010-12-17 폭발방지수단을 구비하는 이차전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97101B1 (ko)
WO (1) WO2011081333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86817A1 (en) * 2013-05-02 2015-03-26 Lg Chem, Ltd. Battery pack capable of discharging gases in pouch type battery cell
CN105264690A (zh) * 2013-08-30 2016-01-20 昭和电工包装株式会社 带有安全装置的电化学设备及电化学设备用安全装置
CN109378426A (zh) * 2018-11-22 2019-02-22 大连范特西西科技有限公司 一种高性能绿色电池安全防爆装置及方法
US20210060369A1 (en) * 2019-09-03 2021-03-04 Byung Yul Kim Capsule type fire extinguisher for preventing battery explosion and battery having the fire extinguish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028B1 (ko) * 2011-08-31 2014-10-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파우치형 이차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1313971B1 (ko) * 2011-12-07 2013-10-01 세방전지(주) 천공 스위치를 가지는 리튬 이차 전지
KR101367198B1 (ko) * 2012-07-30 2014-02-25 에너지 컨트롤 리미티드 복수의 연질 패키지 2차 전지를 보유 지지하는 하우징 구조체
KR20160030688A (ko) 2014-09-11 2016-03-21 주식회사 루트제이드 과전류 차단수단이 구비된 이차전지
KR102263409B1 (ko) 2016-10-31 2021-06-1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스웰링을 방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전지셀
KR102178786B1 (ko) 2017-03-03 2020-11-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102263423B1 (ko) 2017-03-23 2021-06-1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안전벤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캡 어셈블리
KR102425827B1 (ko) * 2017-06-16 2022-07-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102384308B1 (ko) 2018-12-07 2022-04-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벤팅 부재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2379765B1 (ko) 2019-02-14 2022-03-2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 전지 및 전지 모듈
KR20210108209A (ko) 2020-02-25 2021-09-02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102606439B1 (ko) * 2023-03-29 2023-11-24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배터리 오프가스 배출 유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8720A (ja) * 1997-01-22 1998-08-07 Toshiba Battery Co Ltd 電池パック
KR20040110535A (ko) * 2003-06-19 2004-12-3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열기구를 구비한 이차전지 조립체
KR20060091788A (ko) * 2005-02-15 2006-08-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벤팅 지그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 카트리지
KR20090006565A (ko) * 2007-07-12 2009-01-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심 부위의 분리막 상에 고상 입자가 코팅된 이차전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8720A (ja) * 1997-01-22 1998-08-07 Toshiba Battery Co Ltd 電池パック
KR20040110535A (ko) * 2003-06-19 2004-12-3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열기구를 구비한 이차전지 조립체
KR20060091788A (ko) * 2005-02-15 2006-08-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벤팅 지그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 카트리지
KR20090006565A (ko) * 2007-07-12 2009-01-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심 부위의 분리막 상에 고상 입자가 코팅된 이차전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86817A1 (en) * 2013-05-02 2015-03-26 Lg Chem, Ltd. Battery pack capable of discharging gases in pouch type battery cell
US9806311B2 (en) * 2013-05-02 2017-10-31 Lg Chem, Ltd. Battery pack capable of discharging gases in pouch type battery cell
CN105264690A (zh) * 2013-08-30 2016-01-20 昭和电工包装株式会社 带有安全装置的电化学设备及电化学设备用安全装置
CN105264690B (zh) * 2013-08-30 2018-03-23 昭和电工包装株式会社 带有安全装置的电化学设备及电化学设备用安全装置
CN109378426A (zh) * 2018-11-22 2019-02-22 大连范特西西科技有限公司 一种高性能绿色电池安全防爆装置及方法
US20210060369A1 (en) * 2019-09-03 2021-03-04 Byung Yul Kim Capsule type fire extinguisher for preventing battery explosion and battery having the fire extinguish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7101B1 (ko) 2011-12-22
KR20110075789A (ko) 2011-07-06
WO2011081333A3 (ko) 201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81333A2 (ko) 폭발방지수단을 구비하는 이차전지
WO2012050343A2 (ko) 신규한 구조의 캡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고 있는 원통형 전지
WO2019107814A1 (ko) 파우치 성형 방법 및 장치
CN216720178U (zh) 电池单体、电池以及用电设备
WO2014178579A1 (ko) 파우치형 배터리 셀 내부의 가스 배출이 가능한 배터리 팩
WO2011081334A2 (ko) 벤트홀을 구비하는 이차전지
GB2584604A (en) A battery pack
WO2021085931A1 (ko) 순차 가압 포메이션 지그 및 이를 이용한 포메이션 방법
KR20180123359A (ko) 배터리 폭발방지 장치, 배터리 팩 및 작동 방법
WO2016122129A1 (ko) 전지팩
WO2015080380A1 (ko) 단락 방지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
WO2015037813A2 (ko) 파우치형 케이스, 전지셀 및 전지셀의 제조방법
WO2018043890A1 (ko) 이차 전지
WO2019098592A1 (ko) 이차전지
WO2019117342A1 (ko) 이차 전지
WO2011046261A1 (ko) 가스켓 처짐이 방지된 캡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원통형 이차전지
WO2018151415A1 (ko) 열팽창성 테이프를 포함하는 안전성이 개선된 배터리 셀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8056630A1 (ko) 이차 전지
WO2022071759A1 (ko)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WO2018052209A1 (ko) 이차 전지
WO2014104462A1 (ko) 안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차전지
WO2016039503A1 (ko) 과전류 차단수단이 구비된 이차전지
WO2018038448A1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WO2022196942A1 (ko) 이차 전지
KR100696781B1 (ko)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084116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084116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