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1007921A1 - 고강도·고내식 탄질소 복합첨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강도·고내식 탄질소 복합첨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1007921A1
WO2011007921A1 PCT/KR2009/004642 KR2009004642W WO2011007921A1 WO 2011007921 A1 WO2011007921 A1 WO 2011007921A1 KR 2009004642 W KR2009004642 W KR 2009004642W WO 2011007921 A1 WO2011007921 A1 WO 201100792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nitrogen
stainless steel
carbon
austenitic stainless
corrosion res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464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성준
이태호
오창석
하헌영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9006348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089718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9006348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089714B1/ko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US12/994,815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10226391A1/en
Priority to CN200980159318.1A priority patent/CN102428200B/zh
Priority to JP2011522918A priority patent/JP5272078B2/ja
Priority to EP09847378.8A priority patent/EP2455508B1/en
Publication of WO201100792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0792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18Hardening; Quenching with or without subsequent temp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2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Cr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5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M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involving a particular fabrication or treatment of ingot or slab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involving a particular fabrication or treatment of ingot or slab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4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1Austenit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 strength, high corrosion resistance carbon nitrogen composite austenitic stainless steel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austenitic stainless steel is unlikely to improve characteristics due to heat treatment, unlike carbon steel, which has a combination of strength and ductility through phase transformation and processing heat treatment using various processing heat treatment processes. It depends mainly on the addition of alloying elements.
  • Nickel (Ni) of the alloy element is an efficient austenite stabilizing element and has the advantage of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workability, more than 65% of the total supply and demand is used as an alloy element of austenitic stainless steel.
  • Nickel prices are a key indicator of the cost of stainless steel. Problems countering human and environmental friendliness, such as causing allergy and releasing harmful gases during recycling, have been raised.
  • the new stainless steel which was recently developed to solve various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stainless steel having high nickel (Ni) content, has the advantages of Fe-Cr-Mn-based alloy known as STS 200-based alloy and nitrogen as an alloying element. There is high nitrogen stainless steel that actively utilizes and improves various characteristics.
  • Nitrogen is a strong austenite stabilizing element, has a number of advantages such as high solid solution strengthening effect, less ductility decrease with strength increase, and corrosion resistance including formal resistance.
  • high nitrogen steel has not been actively progressed due to difficulties in manufacturing process to secure nitrogen in steel material.
  • PESR pressurized electroslag remelting
  • powder metallurgy powder metallurgy
  • solid phase nitriding etc.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manufacturing process technologies, many research and developments are underway.
  • the pressurization process ha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the delta ferrite section, which secures a high nitrogen content in the liquid state and at the same time rapidly reduces the nitrogen utilization during solidification.
  • the present inventors compositely add the invasive element carbon and nitrogen, and control the content of the invasive element (C + N, C / N) and the substituted element (Mn + Cr, Mn / Cr, or 0.5W + Mo).
  • C + N, C / N the content of the invasive element
  • Mn + Cr, Mn / Cr, or 0.5W + Mo the content of the invasive element
  • Mn + Cr, Mn / Cr, or 0.5W + Mo 0.5W + Mo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control the content of the invasive element (C + N, C / N) and the substituted element (Mn + Cr, Mn / Cr, or 0.5W + Mo)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ustenitic stainless steel having high strength and high corrosion resistance in which carbon (C) and nitrogen (N) having improved corrosion resistance are added.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nickel (Ni) content, which is an expensive alloy element harmful to the environment and human body by adding carbon (C) and nitrogen (N), which is an invasive element, and excludes the pressure melting method. It can be manufactured by the atmospheric pressure melting method to provide an austenitic stainless steel excellent in economic efficienc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th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production of alloys at low manufacturing costs, thereby improving the price competitiveness of developed steel grades.
  •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produc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content of the invasive element (C + N, C / N) and the substituted element (Mn + Cr, Mn / Cr, or 0.5W + Mo) It has a tensile strength of 850 MPa or more and a uniform elongation of 45% or more, which not only improves molding processability, but also exhibits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nd biocompatibility by minimizing the content of nickel (Ni), an alloy element harmful to the human body.
  • Ni nickel
  • Figure 1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in nitrogen utilization with temperature changes in Fe-Cr-Mn-based Fe-Cr-Mn-0.4C allo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manufacturing process chart showing a method for producing austenitic stainless steel having high strength and high corrosion resistance in which carbon (C) and nitrogen (N) are added in combina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manufacturing process diagram showing in detail a nitrogen content adjusting step which is one step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high-strength and high corrosion resistance austenitic stainless steel in which carbon (C) and nitrogen (N) are add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having high strength and high corrosion resistance in which carbon (C) and nitrogen (N) are added in combina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is 8 to 12% by weight of manganese (Mn) and 15 to 20% by weight of chromium ( Cr), 2 wt% or less nickel (Ni), 4 wt% or less tungsten (W), 2 wt% or less molybdenum, 0.6-1.0 wt% carbon (C) and nitrogen (N)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total content (C + N), the remaining iron (Fe) and other unavoidable impurities.
  • the ratio (Mn / Cr) of manganese (Mn) to chromium (Cr) is characterized by being 0.5 or more and 1.0 or less.
  • the manganese is lower than the content of manganese (16 to 21% by weight) contained in the conventional stainless steel (PCT / EP / 008960) released by Berns Group can improve the official resistance of the stainless st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total content (Mn + Cr) of the manganese (Mn) and chromium (Cr) is characterized in that less than 30% by weight.
  • the content of nitrogen (N) is characterized in that more than 0.3% by weight.
  • the total content of the tungsten (W) and molybdenum (Mo) is characterized in that 0.5W + Mo is 3% by weight or less. If the total content of 0.5W + Mo exceeds 3% by weight,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there is a problem of increasing the residual delta ferrite fraction and forming a harmful second phase.
  • Nickel (Ni) has a high austenite stabilizing ability, but as described above, it is expensive and harmful to the environment and human body, so the amount of addition is limited as much as possible. However, when a small amount of nickel (Ni) is added to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it has the ability to improve hot and cold workability and to suppress delta ferrite formation during solidification from the liquid phase. Set to.
  • Chromium (Cr) is an essential alloy element for securing the corrosion resistance required for stainless steel, and most of the chromium (Cr) is added to more than 15% by weight in austenitic stainless steel. However, when chromium (Cr) is added in excess, excessive delta ferrite remains after solidification, or promotes the generation of various harmful second precipitated phases during heat treatment, thereby deteriorating corrosion resistance and workability of stainless steel. Therefore, in the stainless steel, the content of chromium (Cr) was limited to the range of 15 to 20% by weight.
  • Manganese (Mn) is an austenite stabilizing element that can replace expensive nickel (Ni), and is added to stainless steel to increase nitrogen utilization and increase the strength of materials.
  • nonmetallic inclusions such as manganese sulfide (MnS) and manganese oxide (MnO) are formed by combining with sulfur (S) or oxygen (O), which are impurity elements.
  • S sulfur
  • O oxygen
  • the non-metallic inclusions acted as the main official source for lowering the formal resistance of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so the content was limited to 8 to 12% by weight.
  • Molybdenum (Mo) is an alloy element that improves the corrosion resistance of austenitic stainless steel together with chromium (Cr). However, when excessively added, the delta ferrite fraction remaining after solidification increases, and like chromium (Cr), it forms a harmful second phase such as carbides and intermetallic compounds and increases the manufacturing cost. Limited.
  • Tungsten (W) as an alloying element increases the high temperature strength of stainless steel and improves creep resistance.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o increase the general corrosion resistance in the non-oxidizing atmosphere, promote the passivation of the metal, and improve the official resistance of the alloy.
  • tungsten is also a ferrite stabilizing element, when added excessively, the delta ferrite fraction is increased, and as a result of the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the content is limited to 4 wt% or less.
  • the 0.5W + Mo content was limited to 3% by weight or less in order to secure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nd economical manufacturing cost.
  • Carbon (C), like nitrogen (N) is added for the purpose of stabilizing austenite, and serves to improve the strength of stainless steel through a solid solution strengthening effect.
  • carbon (C) is excessively added, mechanical properties (typically toughness) are degraded, and carbides such as M 23 C 6 and M 6 C are formed at grain boundaries to promote sensitization of austenitic stainless steels. This lowers the corrosion resistance.
  • the stainless steel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limited to the total content (C + N) of carbon (C) and nitrogen (N) in the range of 0.6 to 1.0% by weight.
  • Figure 1 is 0.4 weight of three kinds of Fe-Cr-Mn-based (Fe-18Cr-10Mn, Fe-15Cr-15Mn, Fe-13Cr-20Mn) alloy without carbon (C) and carbon (C) It is the result of calculating the nitrogen solubility at 1 atmosphere of nitrogen partial pressure of three kinds of Fe-Cr-Mn-0.4C alloys added. As shown in the figure, the nitrogen utilization of the liquid phase decreases from 0.38 wt% to 0.3 wt% with the addition of carbon (C), but when solidification, the decrease in nitrogen employment due to delta ferrite formation is significantly reduc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itrogen loss that can occur.
  • the reason for limiting the total content (C + N) of carbon (C) and nitrogen (N) in the range of 0.6 to 1.0% by weight is as follows.
  • nitrogen (N) is added as an alloying element to increase the free electron density of the austenite matrix, which promotes metallic bonding to short-range rule diagrams within the austenitic matrix. -range ordering). Due to the specificity of the atomic bonds generated during nitroge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formation of harmful second phase due to segregation of alloying elements and to improve ductility and corrosion resistance. That is, the physical basis for the addition of nitrogen (N) to improve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the steel can be said to be due to the increase in free electron concentration.
  • the production method of austenitic stainless steel having high strength and high corrosion resistance in which carbon (C) and nitrogen (N) are added in combination is electrolytic iron, Fe-50% Mn, Fe-60% Cr, Fe- A mother alloy charging step of charging a master alloy containing 58.8% Cr-6.6% N, 75.1% Mn-17.4% Fe-6.8% C, tungsten and / or molybdenum into a vacuum melting furnace, and a vacuum melting furnace loaded with the mother alloy A vacuum holding step of maintaining the vacuum state, a mother alloy melting step of melting the master alloy by heating the vacuum melting furnace, a nitrogen content adjusting step of injecting nitrogen gas into the vacuum melting furnace, and stirring the molten master alloy
  • the vacuum holding step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ide of the vacuum melting process to have a vacuum degree of less than 10 -3 torr.
  • the nitrogen content adjusting step includes a nitrogen injection process of injecting nitrogen gas into the vacuum melting furnace and a pressure adjustment process of adjusting the nitrogen partial pressure inside the vacuum melting furnace to 1 atm.
  •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found to have a tensile strength of 850 MPa or more and a uniform elongation of 45% or more (see Table 2).
  • a tensile strength of 850 MPa or more and a uniform elongation of 45% or more (see Table 2).
  • dV / dt potential scanning speed
  •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by using atmospheric pressure induction melting without the pressurization process, which is inevitable for the production of conventional high nitrogen steel by complex addition of carbon (C), the production of alloys at a low production cost
  • C complex addition of carbon
  • the content of invasive elements (C + N, C / N) and substituted elements (Mn + Cr, Mn / Cr, or 0.5W + Mo) is controlled by 850. It has a tensile strength of at least MPa and a uniform elongation of at least 45%, which not only improves molding processability but also shows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nd improves biocompatibility by minimizing the content of nickel (Ni), which is a harmful alloying element.
  • chromium which has a high melting point and is difficult to dissolve, uses a Fe-60% Cr master alloy, and has a low vapor pressure, resulting in fume formation and segregation during melting.
  • Mn was used a Fe-50% Mn master alloy.
  • Austenitic stainless steels were manufactured by a method prepared by the patent (PCT / EP / 008960) published by the Bernes Group.
  • Table 1 shows the compositions of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 Example 1 18.10 9.47 - 2.17 - 0.38 0.48 0.86
  • Example 2 17.85 9.72 1.25 2.05 - 0.42 0.49 0.91
  • Example 3 17.98 9.79 - - 2.01 0.39 0.48 0.87
  • Example 4 17.71 9.85 1.21 - 2.00 0.36 0.55 0.91
  • Example 5 18.12 9.63 0.10 1.16 2.00 0.38 0.53 0.91
  • Example 6 17.73 9.97 1.23 1.15 1.99 0.39 0.52 0.91
  • Example 7 17.68 9.84 - - 3.80 0.41 0.56 0.97
  • Example 8 17.65 9.73 1.17 - 3.77 0.43 0.54 0.97
  • Comparative Example 1 18.00 2.00 8.00 - - - 0.08 0.08 Comparative Example 2 17.00 2.00 12.00 2.50 - - 0.08 0.08 Comparative Example 3 17.00 2.00 12.00 2.50 - - 0.03 0.03 Comparative Example 4 18.54 17.86 0.45 0.52 - 0.54 0.66 1.20 Comparative Example 5 17.97 17.8 0.36 0.51 -
  • Table 2 shows room temperature tensile properties of the examples and the comparative examples prepared by the above process.
  • Comparative Examples 1 to 3 which are commercial austenitic stainless steels, exhibited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yield strength of 170 to 205 MPa, tensile strength of 480 to 515 MPa, and elongation of 40%. In the case of yield strength 476 ⁇ 559 MPa, tensile strength 868 ⁇ 980 MPa, uniform elongation was 46.3 ⁇ 62.1%.
  •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replace the conventional austenitic stainless steel by exhibiting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of high strength while minimizing the content of nickel than commercially available austenitic stainless steel.
  • the specimens of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placed in a 1 M NaCl solution at room temperature, and the potential was increased at a potential scanning speed (dV / dt) of 2 mV / s.
  • the polarization polarization behavior was measured and the formula potential was calculated and shown in FIG. 4 and Table 3.
  • Example 1 no pitting (1.0 or later)
  • Example 2 no pitting (1.0 or later)
  • Example 3 no pitting (1.0 or later)
  • Example 4 no pitting (1.0 or later)
  • Example 5 no pitting (1.0 or later)
  • Example 6 no pitting (1.0 or later)
  • Example 7 no pitting (1.0 or later)
  • Example 8 no pitting (1.0 or later) Comparative Example 1 0.311 Comparative Example 2 0.417 Comparative Example 3 0.496 Comparative Example 4 0.557 Comparative Example 5 0.692
  • Examples 1-8 of this invention did not generate a formula.
  • the formulas of commercial stainless steels used in Comparative Examples 1 to 3 were generated at 0.311 to 0.496 V SCE
  • the formulas of the conventional carbonitride-added stainless steels of Comparative Examples 4 and 5 were generated at 0.557 V SCE and 0.692 V SCE , respectively. . From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formal resistance of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perior to that of the comparative example.
  •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with high corrosion resistance while minimizing nickel content than commercially available austenitic stainless steel or conventional carbon-nitrogen mixed austenitic stainless steel. Can be used in place of ste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강도·고내식 탄질소 복합첨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8~12 중량%의 망간(Mn)과; 15~20 중량%의 크롬(Cr)과; 2 중량% 이하의 니켈(Ni)과; 4 중량% 이하의 텅스텐(W)과; 2 중량% 이하의 몰리브덴과; 0.6~1.0 중량%의 탄소(C)와 질소(N)의 총 함량(C+N)과; 잔부(殘部)인 철(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탄소(C)와 질소(N)가 복합첨가된 고강도·고내식성을 갖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침입형 원소(C+N, C/N)와 치환형 원소(Mn+Cr, Mn/Cr, 또는 0.5W+Mo)의 함량 제어를 통해 850 MPa 이상의 인장강도와, 45% 이상의 균일연신율을 가지게 되어 성형가공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우수한 내식성을 나타내고, 인체에 유해한 합금원소인 니켈(Ni) 함량을 극소화함으로써 생체적합성이 향상되므로 기존의 구조용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의 적용분야 및 고강도·고내식성이 요구되는 해양구조물, 담수화설비, 오일과 가스 설비/채굴용 소재, 운송기관용 소재 등에 적용이 가능할 뿐 아니라, 의료용 생체재료, 시계 등 장신구 등 다양한 기능성 부품의 제조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강도·고내식 탄질소 복합첨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고강도·고내식 탄질소 복합첨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다양한 가공열처리공정을 이용한 상변태 및 가공열처리를 통해 우수한 강도, 연성의 조합을 구현하고 있는 탄소강과는 달리 열처리에 의한 특성향상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강의 제반특성 향상을 주로 합금원소 첨가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강도, 연성, 내식성 등 우수한 특성을 확보하는 것 이외에 고가의 합금원소 첨가를 극소화하거나 다른 원소로 대체하여 제조원가 면에서 우위를 점하는 것이 합금개발에 있어 중요한 기술적 과제이다.
기존의 연구 또는 발명으로 보고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대부분 중량%로 16~20% 크롬(Cr), 6~12% 니켈(Ni), 0~2% 몰리브덴(Mo) 및 0.03~0.15% 탄소(C)를 함유하며, 인장강도 500~600 MPa, 연신율 40% 수준의 기계적 특성을 갖는다.
상기 합금원소 중 니켈(Ni)은 효율적인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이며 가공성 향상에도 기여하는 장점이 있어서 전체 수급량의 65% 이상이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합금원소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니켈(Ni)의 가격이 2001년부터 6년간 700% 이상 상승하였고 특히 2007년에 1년간 2배 이상 폭등하여, 니켈 가격이 스테인리스강의 원가를 책정하는 주요 지표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경제성 측면 이외에 인체 알러지(allergy)를 유발하며 재활용 시 유해가스를 배출하는 등 인체 및 환경친화성에 역행하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최근 니켈(Ni) 함량이 높은 기존의 스테인리스강이 가지는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발된 새로운 스테인리스강에는 STS 200계 합금으로 알려진 Fe-Cr-Mn계 합금과, 합금원소로서 질소가 가지는 장점을 적극 활용하여 제반특성을 향상시킨 고질소 스테인리스강이 있다.
질소는 강력한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이며, 고용강화 효과가 크고, 강도증가에 수반된 연성감소가 적고, 공식저항성을 포함한 부식저항성을 향상시키는 등 여러 장점이 있다. 종래에는 철강재료 내에 질소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제조공정상의 어려움 때문에 고질소강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지 못했지만, 최근 질소분위기 하에서의 가압유도용해, PESR(pressurized electroslag remelting), 분말야금법, 고상질화법 등 다양한 제조공정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많은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고질소강의 범용화에 있어 가장 큰 장애요인은 고가의 설비와 복잡한 제조공정이 요구되는 가압유도용해 또는 PESR과 같은 특수한 제조공정을 거쳐야 한다는 점이다.
상기한 가압공정의 경우 액상상태에서 높은 질소함량을 확보함과 동시에 응고시 질소고용도를 급격히 감소시키는 델타페라이트 구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대형 고질소강 주괴 제조에 반드시 필요하지만, 기존 스테인리스강 제조에 이용되었던 제조공정 설비를 개조하거나 새로운 설비도입이 불가피하기 때문에 상업화에는 여러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최근 베른스(H. Berns)그룹은 국제특허 PCT/EP/008960에서 니켈(Ni)을 최소로 사용하고, 크롬(Cr) 16~21 중량%, 망간(Mn) 16~21 중량%, 몰리브덴(Mo) 0.5~2 중량%, 총 탄소(C) 및 질소(N) 0.8 중량% 이상을 포함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베른스 그룹이 발표한 특허에서는 망간(Mn)의 비율이 높아 내부식성이 낮은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침입형 원소인 탄소와 질소를 복합첨가하고, 침입형 원소(C+N, C/N)와 치환형 원소(Mn+Cr, Mn/Cr, 또는 0.5W+Mo)의 함량 제어를 통해 고가이며 환경 및 인체에 유해한 합금원소인 Ni 함량을 극소화시키고, 가압용해법을 배제한 상압용해법으로 경제성이 우수하며, 고강도·고내식성을 갖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개발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침입형 원소(C+N, C/N)와 치환형 원소(Mn+Cr, Mn/Cr, 또는 0.5W+Mo)의 함량 제어를 통해 내식성을 향상시킨 탄소(C)와 질소(N)가 복합첨가된 고강도·고내식성을 갖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침입형 원소인 탄소(C)와 질소(N)를 복합첨가 함으로써 고가이며 환경 및 인체에 유해한 합금원소인 니켈(Ni) 함량을 극소화시키고, 가압용해법을 배제한 상압용해법으로 제조가 가능하여 경제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저렴한 제조원가로 합금의 제조를 가능케 하므로 개발 강종의 가격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침입형 원소(C+N, C/N)와 치환형 원소(Mn+Cr, Mn/Cr, 또는 0.5W+Mo)의 함량 제어를 통해 850 MPa 이상의 인장강도와, 45% 이상의 균일연신율을 가지게 되어 성형가공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우수한 내식성을 나타내고, 인체에 유해한 합금원소인 니켈(Ni) 함량을 극소화함으로써 생체적합성이 향상되므로, 기존의 구조용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의 적용분야 및 고강도·고내식성이 요구되는 해양구조물, 담수화설비, 오일과 가스 설비/채굴용 소재, 운송기관용 소재 등에 적용이 가능할 뿐 아니라, 의료용 생체재료, 시계 등 장신구 등 다양한 기능성 부품의 제조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e-Cr-Mn계와 Fe-Cr-Mn-0.4C 합금계에서 온도 변화에 따른 질소고용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탄소(C)와 질소(N)가 복합첨가된 고강도·고내식성을 갖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제조 공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탄소(C)와 질소(N)가 복합첨가된 고강도·고내식성을 갖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에서 일 단계인 질소함량조정단계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제조 공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공식 저항성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 도 2, 도 3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S100: 모합금장입단계 S200: 진공유지단계
S300: 모합금용융단계 S400: 질소함량조정단계
S420: 질소주입과정 S440: 압력조정과정
S500: 용융합금교반단계 S600: 주괴형성단계
S700: 열간압연단계 S800: 수냉단계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탄소(C)와 질소(N)가 복합첨가된 고강도·고내식성을 갖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8~12 중량%의 망간(Mn)과, 15~20 중량%의 크롬(Cr)과, 2 중량% 이하의 니켈(Ni)과, 4 중량% 이하의 텅스텐(W)과, 2 중량% 이하의 몰리브덴과, 0.6~1.0 중량%의 탄소(C)와 질소(N)의 총 함량(C+N)과, 잔부(殘部)인 철(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크롬(Cr)에 대한 망간(Mn)의 비율(Mn/Cr)은 0.5 이상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망간은 종래 베른스 그룹에서 발표한(PCT/EP/008960) 스테인리스강에 포함된 망간의 함량(16~21 중량%)보다 낮아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인리스강의 공식저항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망간(Mn)과 크롬(Cr)의 총함량(Mn+Cr)은 30 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질소(N)의 함량은 0.3 중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텅스텐(W)과 몰리브덴(Mo)의 총함량은 0.5W+Mo이 3 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0.5W+Mo의 총함량이 3 중량%를 초과하면 제조원가가 상승하며 잔존하는 델타페라이트 분율을 증가시키고 유해한 제2상을 형성하는 문제가 있다.
이하에는 본 발명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내의 합금원소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니켈(Ni)은 오스테나이트 안정화능은 크지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가이며 환경 및 인체에 유해한 원소이기 때문에 최대한 첨가량을 제한하였다. 그러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 니켈(Ni)이 소량 첨가될 경우 열간 및 냉간 가공성을 향상시키고 액상으로부터의 응고 시 델타페라이트 형성을 억제시키는 능력을 갖게 되므로, 니켈(Ni) 첨가량은 2 중량% 이하로 설정하였다.
크롬(Cr)은 스테인리스강에 요구되는 내식성 확보를 위해 필수적인 합금원소이며, 대부분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에 15 중량% 이상 첨가된다. 그러나 크롬(Cr)이 과잉 첨가될 경우, 응고 후 과다한 델타 페라이트가 잔존하거나, 열처리 시 여러 종류의 유해한 제2 석출상의 생성을 촉진시켜 스테인리스강의 내식성과 가공성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상기 스테인리스강에서는 크롬(Cr)의 함량을 15~20 중량% 범위로 제한하였다.
망간(Mn)은 고가의 니켈(Ni)을 대체할 수 있는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로서, 스테인리스강에 첨가되어 질소고용도를 증가시키며 재료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망간(Mn)이 과잉 첨가될 경우, 불순물 원소인 황(S)이나 산소(O)와 결합하여 망간황화물(MnS)이나 망간산화물(MnO) 등 비금속 개재물을 형성한다. 이때 생성된 비금속 개재물이 주된 공식발생처로 작용하여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공식저항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그 함량을 8~12 중량% 범위로 제한하였다.
몰리브덴(Mo)은 크롬(Cr)과 함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합금원소이다. 그러나 과잉 첨가될 경우 응고 후 잔존하는 델타페라이트 분율을 증가시키게 되며, 크롬(Cr)과 마찬가지로 탄화물, 금속간 화합물 등 유해한 제2상을 형성시키고 제조원가 상승의 요인이 되므로 그 함량을 2 중량% 이하로 제한하였다.
텅스텐(W)은 크롬(Cr) 및 몰리브덴(Mo)과 함께 스테인리스강의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합금원소이며, 텅스텐(W)은 스테인리스강에서 몰리브덴(Mo)의 1/2 당량에 해당하는 페라이트 안정화능과 공식저항성 향상능을 가짐으로서 몰리브덴(Mo)를 효과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 원소이다. 합금원소로서 텅스텐(W)은 스테인리스강의 고온강도를 증가시키고 크립저항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비산화성 분위기에서 일반부식저항성을 증가시키며 금속의 부동태화를 촉진하고, 합금의 공식저항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텅스텐도 페라이트 안정화 원소이기 때문에 과잉 첨가될 경우 델타페라이트 분율을 증가시키게 되며, 제조원가 상승의 요인이 되므로 그 함량을 4 중량%이하로 제한하였다. 또한, 우수한 내식성과 경제적인 제조원가 확보를 위해 0.5W+Mo 함량을 3 중량% 이하로 제한하였다.
질소(N)는 탄소(C) 및 망간(Mn)과 함께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로서 상술된 문제점을 지닌 니켈(Ni)을 대체할 목적으로 첨가되며, 또한 연성의 큰 저하없이 강도를 증가시키고 공식저항성을 포함한 내식성을 높이기 위한 원소이다. 이러한 효과를 위해 질소는 0.3 중량% 이상 사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질소(N)는 과잉 첨가될 경우 연성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취성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탄소(C)는 질소(N)와 마찬가지로 오스테나이트 안정화를 목적으로 첨가되며, 고용강화 효과를 통해 스테인리스강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만 탄소(C)가 과잉 첨가될 경우 기계적 특성(대표적으로 인성)이 저하되며, M23C6, M6C 등 탄화물을 입계에 생성시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예민화(sensitization)를 촉진하여 결과적으로 내식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테인리스강에는 탄소(C)와 질소(N)의 총함량(C+N)을 0.6~1.0 중량%의 범위로 제한하였다.
한편, 도 1은 탄소(C)를 첨가하지 않은 3종의 Fe-Cr-Mn계(Fe-18Cr-10Mn, Fe-15Cr-15Mn, Fe-13Cr-20Mn) 합금과 탄소(C)를 0.4 중량% 첨가한 3종의 Fe-Cr-Mn-0.4C계 합금의 질소분압 1 기압에서의 질소고용도를 계산한 결과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탄소(C) 첨가에 따라 액상의 질소고용도는 0.38 중량%에서 0.3 중량%로 감소하지만, 응고 시 델타페라이트 형성에 의한 질소고용도 감소가 현저하게 줄어들기 때문에 오히려 응고 시 발생할 수 있는 질소손실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는 탄소(C) 첨가에 따라 고온영역에서의 오스테나이트 상안정성이 증가되고 페라이트 영역이 축소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상압(질소분압 1 기압) 상태에서 탄소(C)와 질소(N)를 복합첨가한 경우가 목표로 하는 질소고용도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탄소(C)와 질소(N)의 총함량(C+N)을 0.6~1.0 중량%의 범위로 제한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질소(N)는 합금원소로 첨가되어 오스테나이트 기지의 자유전자농도(free electron density)를 증가시키고, 이는 금속성 원자결합(metallic bonding)을 촉진시켜 오스테나이트 기지 내부에서 단범위 규칙도(short-range ordering)를 증가시킨다. 질소첨가 시 발생하는 이러한 원자결합의 특수성 때문에 합금원소의 편석에 의한 유해한 제2상 생성을 억제함과 동시에 연성 및 내식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즉, 질소(N)의 첨가가 강의 제반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대한 물리학적 근거는 자유전자농도 증가에 기인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유사한 침입형 원소의 함량에서 탄소(C)첨가는 강의 자유전자농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질소(N)는 일정 함량범위에서 자유전자농도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키게 된다. 그러나 탄소(C)와 질소(N)가 복합첨가된 경우, 두 원소의 시너지 효과 때문에 자유전자농도가 질소(N)를 단독으로 첨가했을 경우와 비교하여 훨씬 증가하며, 탄소(C)와 질소(N)의 총 함량(C+N)이 0.85 중량%에서 최대치를 나타내다가 다시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된 물리학적 근거와 함께 탄소(C)와 질소(N)가 과잉첨가될 경우 발생하는 유해한 제2 석출상 생성을 방지하기 위해 합금원소로서 첨가되는 탄소(C)와 질소(N)의 총 함량(C+N)을 0.6~1.0 중량% 범위로 제한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탄소(C)와 질소(N)가 복합첨가된 고강도·고내식성을 갖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은, 전해철, Fe-50%Mn, Fe-60%Cr, Fe-58.8%Cr-6.6%N, 75.1%Mn-17.4%Fe-6.8%C, 텅스텐 및/또는 몰리브덴을 포함하는 모합금을 진공용해로에 장입하는 모합금장입단계와, 상기 모합금이 장입된 진공용해로를 진공 상태로 유지하는 진공유지단계와, 상기 진공용해로를 가열하여 모합금을 용융하는 모합금용융단계와, 상기 진공용해로 내부에 질소가스를 주입하는 질소함량조정단계와, 용융된 모합금을 교반하는 용융합금교반단계와, 상기 진공용해로 내부에서 교반된 용융합금을 출탕하여 주괴를 형성하는 주괴형성단계와, 형성된 주괴를 열간 압연하는 단계와, 열간 압연된 합금을 수냉 처리하여 기계적 특성, 내식성에 유해한 탄화물의 석출을 억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공유지단계는, 진공용해로 내부가 10-3torr 이하의 진공도를 갖도록 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질소함량조정단계는, 상기 진공용해로 내부로 질소 가스를 주입하는 질소주입과정과, 상기 진공용해로 내부의 질소분압을 1기압으로 조정하는 압력조정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저렴한 제조 및 원재료 비용으로 높은 강도 및 내식성을 가지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주조재, 단조재 또는 압연재 제조공정까지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인장강도 850 MPa 이상, 균일 연신율 45%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표 2 참조). 또한, 1 M NaCl 용액에서 전위주사속도(dV/dt) 2 mV/s로 전위를 증가시키면서 양극분극거동을 측정한 결과 공식이 발생하지 않음으로써 우수한 내식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표 3 참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탄소(C)를 복합첨가함으로써 종래 고질소강 제조에 불가피했던 가압공정을 배제하고 상압유도용해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어, 저렴한 제조원가로 합금의 제조를 가능케하므로 개발 강종의 가격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침입형 원소(C+N, C/N)와 치환형 원소(Mn+Cr, Mn/Cr, 또는 0.5W+Mo)의 함량 제어를 통해 850 MPa 이상의 인장강도와, 45% 이상의 균일연신율을 가지게 되어 성형가공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우수한 내식성을 나타내고, 유해한 합금원소인 니켈(Ni) 함량을 극소화함으로써 생체적합성이 향상되므로, 기존의 구조용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의 적용분야 및 고강도·고내식성이 요구되는 해양구조물, 담수화설비, 오일과 가스 설비/채굴용 소재, 운송기관용 소재 등에 적용이 가능할 뿐 아니라, 의료용 생체재료, 시계 등 장신구 등 다양한 기능성 부품의 제조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8> 본 발명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에 있어서, 융점이 높아 용해가 어려운 크롬(Cr)은 Fe-60%Cr 모합금을 이용하고, 증기압이 낮아 용해 시 fume 생성 및 편석의 우려가 있는 망간(Mn)은 Fe-50%Mn 모합금을 사용하였다.
도 2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기 표 1의 성분비에 따라 상기 Fe-50%Mn, Fe-60%Cr, 전해철, 질소함량 제어를 위한 Fe-58.8%Cr-6.6%N 모합금, 탄소함량 제어를 위한 75.1%Mn-17.4%Fe-6.8%C 모합금, 텅스텐 모합금 및/또는 몰리브덴 모합금을 진공용해로 내부에 장입하였다(S100). 이후, 진공용해로 내부가 10-3 torr 이하의 진공도에 도달할 때까지 탈기한 후, 진공을 유지시키면서(S200) 상기 진공용해로를 가열하여 진공용해로에 장입된 모합금 및 전해철을 용융시켰다(S300). 상기 모합금 및 전해철이 용융되면, 상기 진공용해로 내부에 질소가스를 주입하고(S420) 진공용해로 내부 질소분압이 1기압이 되도록 압력을 조정하여(S440) 질소함량을 조정하였다(S400). 이후, 전자기 유도 교반을 통해 합금원소 편석을 제거하기 위하여 용융합금을 교반하였으며(S500), 상기 용융합금 교반단계(S500) 중 모합금 및 전해철이 용해되어 형성된 용탕의 온도가 1,450 ℃가 되면 진공용해로 내부에서 출탕하여 주괴를 형성하였다(S600). 형성된 주괴를 열간 압연을 통하여 판재나 관, 봉, 세선 등으로 제조하고(S700), 수냉 처리하여 기계적 특성, 내식성에 유해한 탄화물의 석출을 억제하였다(S800).
<비교예 1~3> 상용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상용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AISI 304, AISI 316, AISI 316L)을 사용하였다.
<비교에 4~5>
종래 베른스 그룹이 발표한 특허(PCT/EP/008960)에서 제조된 방법으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조성을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합금 Cr Mn Ni Mo W N C C+N
실시예 1 18.10 9.47 - 2.17 - 0.38 0.48 0.86
실시예 2 17.85 9.72 1.25 2.05 - 0.42 0.49 0.91
실시예 3 17.98 9.79 - - 2.01 0.39 0.48 0.87
실시예 4 17.71 9.85 1.21 - 2.00 0.36 0.55 0.91
실시예 5 18.12 9.63 0.10 1.16 2.00 0.38 0.53 0.91
실시예 6 17.73 9.97 1.23 1.15 1.99 0.39 0.52 0.91
실시예 7 17.68 9.84 - - 3.80 0.41 0.56 0.97
실시예 8 17.65 9.73 1.17 - 3.77 0.43 0.54 0.97
비교예 1 18.00 2.00 8.00 - - - 0.08 0.08
비교예 2 17.00 2.00 12.00 2.50 - - 0.08 0.08
비교예 3 17.00 2.00 12.00 2.50 - - 0.03 0.03
비교예 4 18.54 17.86 0.45 0.52 - 0.54 0.66 1.20
비교예 5 17.97 17.8 0.36 0.51 - 0.58 0.48 1.06
<실험예 1> 인장특성 측정
상기 공정에 의해 제조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상온 인장특성을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합금 항복강도(MPa) 인장강도(MPa) 균일연신율(%)
실시예 1 529 980 62.1
실시예 2 559 973 46.3
실시예 3 537 960 52.3
실시예 4 493 903 59.3
실시에 5 523 899 51.1
실시예 6 528 927 49.4
실시예 7 476 868 55.7
실시예 8 532 930 50.8
비교예 1 205 515 40.0(총연신율)
비교예 2 205 515 40.0(총연신율)
비교예 3 170 480 40.0(총연신율)
비교예 4 533 1019 62.8
비교예 5 500 940 59.0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용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인 비교예 1~3의 경우 항복강도 170~205 MPa, 인장강도 480~515 MPa, 연신율 40% 수준의 기계적 특성을 나타내는 반면, 제조된 실시예의 경우 항복강도 476~559 MPa, 인장강도 868~980 MPa, 균일연신율 46.3~62.1%의 범위를 갖는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종래 베른스 그룹이 개발한 탄질소 복합첨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비교예 4~5)과 비교할 때(항복강도 500~533 MPa, 인장강도 940~1019 MPa, 균일연신율 59.0~62.8%) 동등한 수준의 기계적 특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상용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보다 니켈의 함량은 최소화하면서 고강도의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나타냄으로써 종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다.
<실험예 2> 내부식성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내부식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실시예와 비교예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시편을 상온 1 M NaCl 용액에 넣고 전위주사속도(dV/dt) 2 mV/s로 전위를 증가시키면서 양극분극거동을 측정하고 공식 전위를 계산하여 도 4 및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합금 공식전위(Epit), VSCE
실시예 1 no pitting(1.0 이상)
실시예 2 no pitting(1.0 이상)
실시예 3 no pitting(1.0 이상)
실시예 4 no pitting(1.0 이상)
실시예 5 no pitting(1.0 이상)
실시예 6 no pitting(1.0 이상)
실시예 7 no pitting(1.0 이상)
실시예 8 no pitting(1.0 이상)
비교예 1 0.311
비교예 2 0.417
비교예 3 0.496
비교예 4 0.557
비교예 5 0.692
도 4 및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8은 공식이 발생하지 않았다. 이에 비해 비교예 1~3에서 사용된 상용 스테인리스강의 공식은 0.311~0.496 VSCE에서 발생하였으며, 비교예 4 및 5의 종래 탄질소 복합첨가 스테인리스강의 공식은 각각 0.557 VSCE, 0.692 VSCE에서 발생하였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공식저항성은 비교예의 공식저항성보다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상용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 또는 종래 탄질소 복합첨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보다 니켈의 함량은 최소화하면서 고내식성의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나타냄으로써 기존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2)

  1. 8~12 중량%의 망간(Mn)과; 15~20 중량%의 크롬(Cr)과; 2 중량% 이하의 니켈(Ni)과; 0.6~1.0 중량%의 탄소(C)와 질소(N)의 총 함량(C+N)과; 4 중량% 이하의 텅스텐(W)과; 2 중량% 이하의 몰리브덴(Mo)과; 잔부(殘部)인 철(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탄소(C)와 질소(N)가 복합첨가된 고강도·고내식성을 갖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8~12 중량%의 망간(Mn)과; 15~20 중량%의 크롬(Cr)과; 2 중량% 이하의 니켈(Ni)과; 1~4 중량%의 텅스텐(W)과; 0.6~1.0 중량%의 탄소(C)와 질소(N)의 총 함량(C+N)과; 잔부(殘部)인 철(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C)와 질소(N)가 복합첨가된 고강도·고내식성을 갖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8~12 중량%의 망간(Mn)과; 15~20 중량%의 크롬(Cr)과; 2 중량% 이하의 니켈(Ni)과; 2 중량% 이하의 몰리브덴(Mo)과; 0.6~1.0 중량%의 탄소(C)와 질소(N)의 총 함량(C+N)과; 잔부(殘部)인 철(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C)와 질소(N)가 복합첨가된 고강도·고내식성을 갖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8~12 중량%의 망간(Mn)과; 15~20 중량%의 크롬(Cr)과; 2 중량% 이하의 니켈(Ni)과; 1~4 중량%의 텅스텐(W)과; 2 중량% 이하의 몰리브덴(Mo)과; 0.6~1.0 중량%의 탄소(C)와 질소(N)의 총 함량(C+N)과; 잔부(殘部)인 철(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C)와 질소(N)가 복합첨가된 고강도·고내식성을 갖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롬(Cr)에 대한 망간(Mn)의 비율(Mn/Cr)은 0.5 이상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C)와 질소(N)가 복합첨가된 고강도·고내식성을 갖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망간(Mn)과 크롬(Cr)의 총함량(Mn+Cr)은 30 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C)와 질소(N)가 복합첨가된 고강도·고내식성을 갖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소(N)의 함량은 0.3 중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C)와 질소(N)가 복합첨가된 고강도·고내식성을 갖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텅스텐(W)과 몰리브덴(Mo)의 총함량은 0.5W+Mo이 3 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C)와 질소(N)가 복합첨가된 고강도·고내식성을 갖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인장강도 850 MPa 이상, 균일 연신율 45% 이상의 기계적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C)와 질소(N)가 복합첨가된 고강도·고내식성을 갖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10. 모합금을 진공용해로에 장입하는 모합금장입단계와,
    상기 모합금이 장입된 진공용해로를 진공 상태로 유지하는 진공유지단계와,
    상기 진공용해로를 가열하여 모합금을 용융하는 모합금용융단계와,
    상기 진공용해로 내부에 질소가스를 주입하는 질소함량조정단계와,
    용융된 모합금을 교반하는 용융합금교반단계와,
    상기 진공용해로 내부에서 교반된 용융합금을 출탕하여 주괴를 형성하는 주괴형성단계와,
    형성된 주괴를 열간 압연하는 단계와,
    열간 압연된 스테인리스강을 수냉 처리하여 기계적 특성, 내식성에 유해한 탄화물의 석출을 억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의 탄소(C)와 질소(N)가 복합첨가된 고강도·고내식성을 갖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유지단계는 진공용해로 내부가 10-3torr 이하의 진공도를 갖도록 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C)와 질소(N)가 복합첨가된 고강도·고내식성을 갖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질소함량조정단계는,
    상기 진공용해로 내부로 질소 가스를 주입하는 질소주입과정과,
    상기 진공용해로 내부의 질소분압을 1기압으로 조정하는 압력조정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C)와 질소(N)가 복합첨가된 고강도·고내식성을 갖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
PCT/KR2009/004642 2009-07-13 2009-08-20 고강도·고내식 탄질소 복합첨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1007921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994,815 US20110226391A1 (en) 2009-07-13 2009-08-20 C+n austenitic stainless steel having high strength and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CN200980159318.1A CN102428200B (zh) 2009-07-13 2009-08-20 含有碳-氮复合添加剂的高强度/抗腐蚀性奥氏体不锈钢及其制造方法
JP2011522918A JP5272078B2 (ja) 2009-07-13 2009-08-20 高強度・高耐食の炭窒素複合添加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及びその製造方法
EP09847378.8A EP2455508B1 (en) 2009-07-13 2009-08-20 High strength / corrosion-resistant,.austenitic stainless steel with carbon - nitrogen complex additiv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487 2009-07-13
KR10-2009-0063486 2009-07-13
KR1020090063486A KR101089718B1 (ko) 2009-07-13 2009-07-13 텅스텐 및 몰리브덴이 첨가된 고강도·고내식 탄질소 복합첨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090063487A KR101089714B1 (ko) 2009-07-13 2009-07-13 텅스텐이 첨가된 고강도·고내식 탄질소 복합첨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07921A1 true WO2011007921A1 (ko) 2011-01-20

Family

ID=43449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09/004642 WO2011007921A1 (ko) 2009-07-13 2009-08-20 고강도·고내식 탄질소 복합첨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10226391A1 (ko)
EP (1) EP2455508B1 (ko)
JP (1) JP5272078B2 (ko)
CN (1) CN102428200B (ko)
WO (1) WO2011007921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66283A (zh) * 2013-05-17 2013-08-28 江苏星火特钢有限公司 一种矿石采选设备用无磁不锈钢
EP2924514A1 (fr) * 2014-03-24 2015-09-30 Nivarox-FAR S.A. Ressort d'horlogerie en acier inoxydable austénitique
CN113737091A (zh) * 2021-07-22 2021-12-03 洛阳双瑞特种装备有限公司 一种低磁高强度耐蚀紧固件用钢以及紧固件
CN114606430A (zh) * 2022-03-01 2022-06-10 兴机电器有限公司 一种低碳Fe-Mn-Al-Si系TWIP钢及其制备方法
CN115652210A (zh) * 2022-11-07 2023-01-31 鞍钢股份有限公司 一种超低碳化物含量奥氏体不锈钢坯及其制造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14825A (ja) * 2011-11-25 2013-06-10 Nisshin Steel Co Ltd 電極積層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101377251B1 (ko) * 2011-12-13 2014-03-26 한국기계연구원 저온인성이 우수한 탄질소 복합첨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방법
EP2617839A1 (de) * 2012-01-18 2013-07-24 MeKo Laserstrahl-Materialbearbeitungen e.K. Nickelfreie Eisenlegierung für Stents
EP2813906A1 (fr) * 2013-06-12 2014-12-17 Nivarox-FAR S.A. Pièce pour mouvement d'horlogerie
CH708231B1 (fr) * 2013-06-27 2017-03-15 Nivarox Far Sa Ressort d'horlogerie en acier inoxydable austénitique.
CN104367362A (zh) * 2014-11-04 2015-02-25 无锡贺邦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具有抗过敏功能的合金显微血管夹
CN106148852A (zh) * 2015-04-02 2016-11-23 上海微创医疗器械(集团)有限公司 一种合金材料及植入式医疗器械
EP3147378A1 (fr) * 2015-09-25 2017-03-29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Acier inoxydable austénitique sans nickel
EP3249059A1 (fr) * 2016-05-27 2017-11-29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Procédé de traitement thermique d'aciers austénitiques et aciers austénitiques ainsi obtenus
US10639719B2 (en) 2016-09-28 2020-05-05 General Electric Company Grain boundary engineer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EP3327151A1 (fr) * 2016-11-04 2018-05-30 Richemont International S.A. Résonateur pour piece d'horlogeri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9940A (ja) * 1996-03-13 1997-09-22 Sumitomo Metal Ind Ltd 耐硫化物応力割れ性に優れる高強度鋼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1241145A (ja) * 1998-02-27 1999-09-07 Nippon Yakin Kogyo Co Ltd 耐高温へたり性に優れる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0192194A (ja) * 1998-12-24 2000-07-11 Hitachi Metals Ltd 耐熱へたり性の優れた高硬度高膨張合金金属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011579A (ja) * 1999-06-28 2001-01-16 Sumitomo Metal Ind Ltd マンガン合金鋼と軸、ネジ部材
KR20050055838A (ko) * 2003-12-09 2005-06-14 한국기계연구원 저압 유도용해법을 이용한 고질소 스테인리스강 제조방법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고질소 스테인리스강
KR20060110103A (ko) * 2005-04-19 2006-10-24 주식회사 포스코 고망간 및 고질소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KR20090034194A (ko) * 2007-10-02 2009-04-07 한국기계연구원 변태유기소성을 이용한 고강도·고연성 스테인리스 압연판재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744599A (en) * 1952-05-30 1956-02-08 Armco Int Corp Stainless steel articles for use at high temperatures
US2698785A (en) * 1952-12-31 1955-01-04 Armco Steel Corp Age-hardening austenitic stainless steel
GB778597A (en) * 1955-02-15 1957-07-10 Ford Motor Co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manufacture of nitrogen-rich wrought austenitic alloys
BE758798A (fr) * 1969-11-12 1971-05-12 Crucible Inc Acier inoxydable austenitique
DE2118072C3 (de) * 1971-04-14 1984-05-24 První brněnská strojírna, oborový podnik, Brno Verwendung eines austenitischen Manganchrom-Stahls für kavitations-erosionsbeständige Gegenstände
AU5072400A (en) * 1999-06-24 2001-01-31 Basf Aktiengesellschaft Nickel-poor austenitic steel
JP4538966B2 (ja) * 2001-02-05 2010-09-08 大同特殊鋼株式会社 高強度高耐食非磁性ステンレス鋼
DE102006033973A1 (de) * 2006-07-20 2008-01-24 Technische Universität Bergakademie Freiberg Nichtrostender austenitischer Stahlguss und seine Verwendung
CN101372721A (zh) * 2008-09-19 2009-02-25 山西太钢不锈钢股份有限公司 高真空感应炉冶炼含氮钢增氮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9940A (ja) * 1996-03-13 1997-09-22 Sumitomo Metal Ind Ltd 耐硫化物応力割れ性に優れる高強度鋼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1241145A (ja) * 1998-02-27 1999-09-07 Nippon Yakin Kogyo Co Ltd 耐高温へたり性に優れる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0192194A (ja) * 1998-12-24 2000-07-11 Hitachi Metals Ltd 耐熱へたり性の優れた高硬度高膨張合金金属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011579A (ja) * 1999-06-28 2001-01-16 Sumitomo Metal Ind Ltd マンガン合金鋼と軸、ネジ部材
KR20050055838A (ko) * 2003-12-09 2005-06-14 한국기계연구원 저압 유도용해법을 이용한 고질소 스테인리스강 제조방법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고질소 스테인리스강
KR20060110103A (ko) * 2005-04-19 2006-10-24 주식회사 포스코 고망간 및 고질소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KR20090034194A (ko) * 2007-10-02 2009-04-07 한국기계연구원 변태유기소성을 이용한 고강도·고연성 스테인리스 압연판재및 이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2455508A4 *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66283A (zh) * 2013-05-17 2013-08-28 江苏星火特钢有限公司 一种矿石采选设备用无磁不锈钢
EP2924514A1 (fr) * 2014-03-24 2015-09-30 Nivarox-FAR S.A. Ressort d'horlogerie en acier inoxydable austénitique
CN113737091A (zh) * 2021-07-22 2021-12-03 洛阳双瑞特种装备有限公司 一种低磁高强度耐蚀紧固件用钢以及紧固件
CN114606430A (zh) * 2022-03-01 2022-06-10 兴机电器有限公司 一种低碳Fe-Mn-Al-Si系TWIP钢及其制备方法
CN114606430B (zh) * 2022-03-01 2023-05-12 兴机电器有限公司 一种低碳Fe-Mn-Al-Si系TWIP钢及其制备方法
CN115652210A (zh) * 2022-11-07 2023-01-31 鞍钢股份有限公司 一种超低碳化物含量奥氏体不锈钢坯及其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26391A1 (en) 2011-09-22
JP2011526969A (ja) 2011-10-20
CN102428200B (zh) 2014-04-02
EP2455508B1 (en) 2016-11-23
EP2455508A4 (en) 2014-03-05
EP2455508A1 (en) 2012-05-23
CN102428200A (zh) 2012-04-25
JP5272078B2 (ja) 2013-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07921A1 (ko) 고강도·고내식 탄질소 복합첨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방법
US11078554B2 (en) Lightweight steel and steel sheet with enhanced elastic modul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20020034A1 (zh) 一种高强度高耐蚀节镍奥氏体不锈钢及其制造方法
KR101377251B1 (ko) 저온인성이 우수한 탄질소 복합첨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374119B (zh) 一种抗拉强度1100MPa无磁不锈钢热轧板及制造方法
KR101089718B1 (ko) 텅스텐 및 몰리브덴이 첨가된 고강도·고내식 탄질소 복합첨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4021600A1 (ko) 중성자 흡수소재 및 그의 제조방법
CN102041450A (zh) 一种铁素体耐热钢及其制造方法
WO2018117477A1 (ko) 내식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956283B1 (ko) 탄소와 질소가 복합첨가된 고강도·고내식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WO2019124671A1 (ko) 용접부 인성이 우수한 저온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089714B1 (ko) 텅스텐이 첨가된 고강도·고내식 탄질소 복합첨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방법
EP1207214B1 (en) Soft Cr-containing steel
WO2017111251A1 (ko) 내크립 특성 및 인장강도가 향상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926965B1 (ko) 변태유기소성을 이용한 고강도·고연성 스테인리스 압연판재
CN113774270A (zh) 一种高强度高韧性沉淀硬化不锈钢棒材及其制备方法
WO2011081236A1 (ko) 열간 프레스 가공성이 우수한 열처리 강화형 강판 및 그 제조방법
CN113234964B (zh) 一种镍基耐蚀合金及其加工方法
KR101203539B1 (ko) 고강도 및 고내공식성을 가지는 고질소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7111250A1 (ko) 내식성 및 가공성이 향상된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1549297B (zh) 一种高强抗震耐候耐火耐低温易焊接h型钢的制备方法
KR20080046114A (ko) 황산 내식성이 우수한 내황산 부식강과 그 제조방법
WO2017111437A1 (ko)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9112234A1 (ko) 고온변형 저항성 및 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복사관용 크롬-니켈계 합금 및 그 제조방법
WO2022239883A1 (ko) 고강도 및 저합금형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0980159318.1

Country of ref document: CN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1522918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2994815

Country of ref document: US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0984737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09847378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09847378

Country of ref document: EP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