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0134683A2 - 진공청소기의 습식집진장치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의 습식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0134683A2
WO2010134683A2 PCT/KR2010/000806 KR2010000806W WO2010134683A2 WO 2010134683 A2 WO2010134683 A2 WO 2010134683A2 KR 2010000806 W KR2010000806 W KR 2010000806W WO 2010134683 A2 WO2010134683 A2 WO 2010134683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ust
water
dust container
water distribution
prim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0/00080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0134683A3 (ko
Inventor
박정수
박흥준
주성태
김민하
양동헌
Original Assignee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10777870.6A priority Critical patent/EP2433540B1/en
Publication of WO2010134683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134683A2/ko
Publication of WO2010134683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134683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8Liquid filters
    • A47L9/182Separating by passing the air over a liquid ba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08Cyclonic chamber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47L9/1625Multiple arrangement thereof for series fl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47L9/1641Multiple arrangement thereof for parallel fl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Construction of inl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8Construction of outlets
    • A47L9/1666Construction of outlets with 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8Liquid filters
    • A47L9/186Construction of outlets
    • A47L9/187Construction of outlets with filtering means, e.g. separato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t scrubber of a vacuum cleaner for collecting dust using water.
  • Examples of such a prior art include US Pat. Nos. 4,238,869, US 7,293,324, US 4,800,615, Korean Patent 790781, Korean Patent 779190,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3-205214, and the like.
  • the invention (prior art 2) of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3-205214 discloses a structure of a dust container capable of simultaneously filling water in a primary dust collecting region and a secondary dust collecting region. Accordingly, the prior art 2 can simultaneously fill the primary dust collection area and the secondary dust collection area,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 the prior art 2 has a problem in that the dust separation efficiency is lowered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primary dust collecting region and the secondary dust collecting reg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in the wet dust collector having a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region prevents the water fill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region to move to another dust collecting region during the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et scrubber for vacuum cleaner.
  • a dust container having at least two dust collecting region in which a water inlet hole is formed and a water distribution passage for connecting the water inlet hole with each other; And a dust container cover coupled to the dust container and having a sealing member coupled to the dust container to open and close at least one of the water inlets.
  • the sealing member for sealing the water inlet hole prevents the movement of water through the water inlet hole formed in the dust collecting region during the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 the water distribution passage portion may include: a chamber formed in each of the dust collecting regions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water inflow holes; And at least one dust bucket water distribution passage connecting the chambers.
  • the wet dust collect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lower cover coupl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to form the water distribution passage.
  • the water distribution passage portion dust container water distribution passag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And a lower cover water distribution passage portion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ver to be coupled to the dust container water distribution passage portion to form the water distribution passage portion.
  • the dust container is formed of one primary dust container forming a primary dust collecting region and a plurality of secondary dust containers forming a plurality of secondary dust collecting regions
  • the dust container cover Is coupled to the dust container
  • the sealing member is configured to isolate the area of the primary dust container and the secondary dust containers by engaging with the primary water inlet formed in the primary dust container.
  • the dust container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flow rate display part communicating with the water distribution passage and configured to observe a level of water filled in the dust container.
  •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convenience of use of the wet dust collector by allowing the entire dust collecting region to be filled with water through any one dust collecting region in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regions.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events the dust separation efficiency from being lowered by preventing the movement of water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regions during the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to maintain the proper water level.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et dust collect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et dust collecting device 1 of FIG.
  • FIG.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container 300 for explaining the dust container water distribution passage part 300a;
  • FIG. 4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cover 400 showing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ver 400 is coupled to the dust container 300,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et dust collecting device 1 cut along the line VV of FIG. 1.
  • the wet dust collecting apparatus 1 includes a plurality of primary dust bins 310 and one secondary dust collecting region 350c forming one primary dust collecting region 310c. It is assumed that the secondary dust container 350 of (see Fig. 5).
  • the chamber is composed of a primary chamber 310a and a secondary chamber 350a, and the water distribution passag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low rate display portion water distribution passage 330.
  • a dust container water distribution passage 320, and the water inlet ho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the primary water inlet hole 313 and the secondary water inlet hole 353 (see FIG. 5).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et dust collect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et dust collecting device 1 of FIG.
  • the wet dust collecting device 1 includes a dust container cover 200, a primary exhaust pipe unit 210, a plurality of secondary inlet pipe units 230, a dust container 300, and a lower cover. And 400.
  • the dust container cover 200 includes a primary flow path cover 100 having a primary inlet 201, a primary exhaust port 202, and a secondary inlet 231, and forming a secondary flow path 240. It is composed.
  • the primary inlet 201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dust container cover 200 to introduce external air introduced from the brush assembly (not shown in the drawing) of the cleaner into the dust container 300.
  • the primary exhaust port 202 is formed at a position in communication with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grill 211 of the primary exhaust pipe unit 210, the secondary inlet 231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dust container cover 200 It is formed at each position in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ary inlet pipe unit (230).
  • the secondary flow path cover 10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cover 200 to cover the primary exhaust port 202 and the secondary inlet port 231 to form a secondary flow path 240 that is isolated from the outside. .
  • the secondary flow path 240 formed as described above allows the air discharged from the primary exhaust pipe unit 210 to flow into the secondary inlet pipe unit 230.
  • a handle 101 is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ary flow path cover 100 that performs this function, thereby enab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econdary flow path cover 100 or the dust container cover 200.
  • the primary exhaust pipe unit 210 supports the grill 211 and the support tube 212 and the grill 211 to which the sealing member 220 is coupled at one end thereof so as to discharge air from which dust is separate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kirt 213 installed between the tube (212).
  • the secondary inlet tube unit 230 is open at one side is formed of a secondary inlet 231, the other side is composed of a cylindrical tu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secondary outlets 232.
  • the dust bin 300 is the primary dust bin 310, the plurality of secondary dust bins 350 are coupled to be isolated from the primary dust bin 310, the primary dust bin 310 and the secondary dust bin 350 is connected
  • the dust container includes a water distribution passage part 300a (see FIG. 3), an exhaust chamber 370, and a flow rate display part 390.
  • the primary dust container 310 is open at the top, the inside of the primary dust collecting region (310c), the bottom surface is formed with a primary water inlet hole 313 in communication with the dust container water distribution passage (300a) Has a structure (see FIG. 5).
  • Each of the secondary dust bins 350 has an upper opening and a secondary exhaust port 352 through which dust separated air is discharged on one side thereof, and a second surface communicating with the dust container water distribution passage part 300a is provided at the bottom thereof.
  • the water inlet hole 353 has a structure formed (see FIG. 5).
  • the exhaust chamber 370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30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ary exhaust ports 352 of the secondary dust containers 350 to collec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ary exhaust ports 352 together. It is configured to discharge into the interior (not shown in the figure).
  • the flow rate display unit 39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dust container 300 is configured to observe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filled in the dust container.
  • the dust container water distribution channel part 300a forms the water distribution channel part 500 shown in FIG. 5 when the dust container 300 is combined with the lower cover 400.
  • FIG.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container 300 for explaining the dust container water distribution passage part 300a
  • FIG. 4 is a view of the lower cover 400 showing the upper surface to which the lower cover 400 is coupled to the dust container 300. 3 and 4, the dust container water distribution channel part 300a and the lower cover water distribution channel part 400b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 the dust container water distribution flow path part 300a includes a plurality of ribs including a primary chamber rib 310b, at least one secondary chamber rib 350b, and at least one water distribution flow path rib 301. ribs).
  • the primary chamber rib 310b protrudes from the bottom of the primary dust container 310 to include the primary water inflow hole 313.
  • the primary chamber ribs 310b are combined with the primary chamber rib insertion grooves 410b of the lower cover 400 to form the primary chamber 310a.
  • the secondary chamber rib 350b includes a secondary water inlet hole 353 at the bottom of each secondary dust container 350 and protrudes to open a surface facing the primary chamber 310a.
  • the secondary chamber ribs 350b are combined with the secondary chamber lower ribs 450b of the lower cover 400 to form secondary chambers 350a.
  • the water distribution flow path rib 301 is disposed between the primary chamber rib 310b and the secondary chamber rib 350b and between the lower region 390a of the flow rate display part 390 and the primary chamber 310a. It is formed to protrude to connect it.
  • the water distribution flow path ribs 301 are combined with the water distribution flow path rib groove 401a of the lower cover 400 to connect the dust chamber water distribution to connect the primary chamber 310a and each secondary chamber 350a.
  • a flow rate display part water distribution passage 330 is formed to connect the flow path 320, the primary chamber 310a, and the lower region 390a of the flow rate display part 390.
  • the lower cover 400 includes two primary chamber lower ribs 410a, a plurality of secondary chamber lower ribs 450b, and a plurality of lower water distribution flow path ribs 401. It is comprised including the flow-path part 400b.
  • the primary chamber lower ribs 410a are formed in pairs so as to include the primary water inlet holes 313 at the surface facing the primary water inlet holes 313 so that the primary chamber ribs 310b are inserted.
  • the primary chamber rib insertion groove 410b is formed.
  • the secondary chamber lower ribs 450b protrude from positions opposite to the respective secondary dust bins 350 of the lower cover 400 so as to be coupled to the secondary chamber ribs 350b.
  • the lower water distribution flow path ribs 401 may include at least two portions between the primary chamber lower ribs 410a and the secondary chamber lower ribs 450b to form at least two water distribution flow path rib grooves 401a.
  • the pair is protruding. That is, the water distribution flow path ribs 301 are inserted into each of the pair of water distribution flow path rib insertion grooves 401a formed by the pair of lower water distribution flow path ribs 401, so that the area therebetween becomes water. Passing water forms a distribution channel.
  • a separate sealing member (not shown) may be coupled to the first chamber rib insertion groove 410b and the water distribution flow path rib insertion groove 401a to prevent leakage of water.
  • the lower cover 400 is the outer cover of the lower cover 400 to form an outer circumferential rib insertion groove (not shown) is inserted i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rib 302 protruding to for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ttom of the dust container 300 It may further comprise a lower cover outer circumferential rib (not shown in the figure) protruding upward in the entire peripheral portion.
  • the dust container water distribution channel part 300a and the lower cover water distribution channel part 400b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form the water distribution channel part 500 of FIG.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et dust collecting device 1 cut along the line VV of FIG. 1.
  • the primary chamber ribs 310b are inserted into the primary chamber rib insertion grooves 410b.
  • the difference chamber 310a is formed.
  • the secondary chamber ribs 350b are combined with the secondary chamber lower ribs 450b to form the secondary chambers 350a.
  • the water distribution flow path ribs 301 are inserted into the water distribution flow path rib insertion grooves 401a to form the dust container water distribution flow paths 320 and the flow rate display portion water distribution flow path 330.
  • the primary chamber 310a, the secondary chamber 350a, the dust container water distribution channels 320, and the flow rate indicator water distribution channel 330 formed as described above form the water distribution channel 500.
  • the user fills the secondary dust container 350 of either the primary dust container 310 or the secondary dust container 350 with the primary dust container ( 310 and the secondary dust bins 350 and the flow rate indicator 390 may be simultaneously filled with water.
  • the primary exhaust pipe unit 21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rimary exhaust port 202 of the dust container cover 20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ary flow path 240.
  • Second inlet pipe units 230 are coupled to lower portions of respective surfaces on which the secondary inlet 231 of the dust cover 200 is form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ary flow path 240.
  • the secondary flow path cover 10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cover 200 to supply the air discharged from the primary exhaust pipe unit 210 to the secondary inflow pipe unit 230 to the secondary flow path 240. To form.
  • the sealing member 220 coupled to the primary exhaust pipe unit 210 blocks the primary water inlet hole 313 so that the lower region 319 and the secondary dust collecting region 350c of the primary dust collecting region 310c are closed. Isolate the lower region 359.
  • the assembly of the wet dust collecting device 1 of FIG. 1 is completed by the above-described bonding process.
  • the wet dust collecting device 1 is mounted with a vacuum cleaner (not shown), and collects dust separated by using water filled in the primary dust container 310 and the secondary dust container 350.
  • the air introduced into the primary dust container 310 is rotated around the primary exhaust pipe unit 210 to separate foreign matters such as dust, and the separated foreign matter is collected in the primary dust collecting area of the primary dust container 310 ( 310c).
  • Air rotated inside the primary dust container 310 to separate foreign matters such as dust is introduced into the primary exhaust pipe unit 210 through the grill 211.
  • the air introduced into the primary exhaust pipe unit 210 rises and then flows into the secondary inlet pipe units 230 through the primary exhaust port 202, the secondary flow path 240, and the secondary inlet port 231. do.
  • Air introduced into the secondary inlet pipe units 230 is moved downward along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ary inlet pipe units 230 and then introduced into the secondary dust container 350 through the secondary discharge ports 232. do.
  •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econdary dust container 350 is moved upward while rotating about the secondary inlet pipe unit 230 and then discharged through the respective secondary exhaust ports 352.
  •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plurality of secondary exhaust ports 352 is collected in the exhaust chamber 370 and then discharged into the vacuum cleaner. In this process, fine dust not separated from the primary dust container 310 is separated and collected in the secondary dust collecting region 350c of the secondary dust container 350.
  • the air rotating about the primary exhaust pipe unit 210 and the secondary inlet pipe unit 230 rotates the water filled in the primary dust container 310 and the respective secondary dust container 350. Let's do it.
  • the rotated water is driven up the inner walls of the primary dust container 310 and the secondary dust container 350 by centrifugal force to form the primary water wall 501 and the secondary water wall 601.
  • the primary water wall 501 and the secondary water wall 601 formed in this way collect the dust separated in the interior of the primary dust container 310 and the secondary dust container 350 more quickly, and thus, the primary dust container 310 and the secondary water wall 601. Improve dust separation efficiency inside the dust bins 350.
  • the sealing member 220 blocks the primary water inlet hole 313 to isolate the region of the primary dust container 310 and the secondary dust container 350, thereby driving the primary dust container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during the vacuum cleaner driving.
  • the water filled in the 310 and the secondary dust container 350 is prevented from moving to one side.
  • the dust container water is maintained at an appropriate level irrespective of the pressure difference, and prevents the dust separation efficiency from occurring when the water moves to one side.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cleaning devices, such as household cleaners, businesses, industrial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의 습식집진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습식집진장치는, 물유입공이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먼지수집영역과 상기 물유입공들을 서로 연통하도록 연결시키는 물분배유로부를 구비한 먼지통; 및 상기 먼지통에 결합되고, 하부에 상기 물유입공들 중 적어도 하나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하는 밀봉부재가 구비된 먼지통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나의 먼지수집영역에 물을 채우는 것에 의해 다수의 먼지수집영역에 물을 동시에 채울 수 있다. 또한, 진공청소기의 구동 중에 밀봉부재가 물유입공을 막아 먼지수집영역 사이에서의 물의 이동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진공청소기의 구동 중 물의 이동에 의한 먼지분리효율의 저하를 방지하고, 배기를 원활하게 한다. 또한, 먼지통에 채워진 물이 회전하면서 분리된 먼지를 강하게 포집하므로 먼지분리효율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습식집진장치
본 발명은 물을 이용하여 먼지를 포집하는 진공청소기의 습식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심분리에 의해 먼지를 분리하는 진공청소기의 경우 먼지통 내부에 물을 채워 물에 의해 먼지를 포집함으로써 먼지분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종래기술로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예로는 미국특허 US 4,238,869호, US 7,293,324호, US 4,800,615호, 대한민국 특허 제790781호, 대한민국 특허 제 779190호, 일본 특허공개 제2003-205214호 등을 들 수 있다.
상술한 종래기술들 중 미국특허 US 4,238,869호, US 7,293,324호, US 4,800,615호, 대한민국 특허 제790781호, 대한민국 특허 제 779190호의 발명들(종래기술 1)은 하나의 먼지통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에서 먼지통 내부에 채워진 물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개시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 1은 1차와 2차 먼지통을 가지는 집진장치에 적용되는 경우 물을 1차와 2차 먼지통 각각에 별도로 채워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을 발생시킨다.
상기 일본 특허공개 제2003-205214호의 발명(종래기술 2)은 1차 먼지수집영역과 2차 먼지수집영역에 물을 동시에 채울 수 있는 먼지통의 구조를 개시한다. 이에 따라 종래기술 2는 1차 먼지수집영역과 2차 먼지수집영역에 동시에 물을 채울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이에 따라 종래기술 2는 1차 먼지수집영역과 2차 먼지수집영역 사이의 압력차이에 의해 먼지 분리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그러나, 종래기술 2는 1차 먼지수집영역과 2차 먼지수집영역 사이에 압력차가 존재하는 경우, 일 측으로 물의 이동이 계속되어 각 먼지수집영역의 적정한 수위를 유지할 수 없게 된다. 이로 인해 먼지 분리 효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먼지수집영역 내에서 수위가 높아진 일측의 물이 진공청소기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진공청소기 내로 유입된 물은 진공청소기의 필터, 팬모터 유닛, 회로기판 등의 전자장치 등의 동작을 방해하거나, 파손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먼지수집영역을 가지는 습식집진장치에서 진공청소기의 구동 중에 다수의 먼지수집영역 각각에 채워진 물이 다른 먼지수집영역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진공청소기의 습식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먼지수집영역 내부의 배기압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먼지 분리 효율의 저하를 방지하는 진공청소기의 습식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의 습식집진장치는, 물유입공이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먼지수집영역과 상기 물유입공들을 서로 연통하도록 연결시키는 물분배유로부를 구비한 먼지통; 및 상기 먼지통에 결합되고, 하부에 상기 물유입공들 중 적어도 하나를 개폐 가능하게 결합하는 밀봉부재가 구비된 먼지통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유입공을 밀폐하는 상기 밀봉부재는 진공청소기의 구동 중에 상기 먼지수집영역에 형성된 물유입공을 통한 물의 이동을 막는다.
상기 물분배유로부는, 상기 물유입공들과 연통하도록 상기 먼지수집영역 각각에 형성되는 챔버; 및 상기 챔버들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먼지통 물분배유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습식집진장치는 또한 상기 물분배유로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먼지통의 저면에 결합하는 하부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물분배유로부는 상기 먼지통의 저면에 형성되는 먼지통 물분배유로부; 및 상기 먼지통 물분배유로부와 결합하여 상기 물분배유로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하부커버의 상부 면에 형성되는 하부커버 물분배유로부로 구성된다.
상기 먼지통 물분배유로부는, 상기 물유입공의 외주연으로부터 상기 먼지통의 하부로 돌출 형성된 챔버리브와 상기 챔버리브들 사이를 연결하도록 돌출 형성된 물분배유로리브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커버 물분배유로부는, 상기 챔버리브가 결합하는 챔버리브 삽입홈과 상기 물분배유로리브가 결합하는 물분배유로리브 삽입홈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습신 집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먼지통은 1차 먼지수집영역을 형성하는 하나의 1차 먼지통과 다수의 2차 먼지수집영역을 형성하는 다수의 2차 먼지통으로 형성되며, 상기 먼지통 커버가 상기 먼지통에 결합될 때, 상기 밀봉부재가 상기 1차 먼지통에 형성된 1차 물유입공과 결합함으로써, 상기 1차 먼지통과 상기 2차 먼지통들의 영역을 격리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먼지통은, 상기 물분배유로와 연통되며, 상기 먼지통 내부에 채워진 물의 수위를 관찰할 수 있도록 구성된 유량표시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먼지수집영역을 구비한 집진장치에서 어느 하나의 먼지수집영역을 통해 전체 먼지수집영역에 물을 채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습식집진장치의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또한, 진공청소기의 구동 중 다수의 먼지수집영역 사이에서의 압력차에 의한 물의 이동을 막아 적정 수위를 유지함으로써, 먼지 분리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습식집진장치(1)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습식집진장치(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먼지통 물분배유로부(300a)를 설명하기 위한 먼지통(300)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하부커버(400)가 먼지통(300)과 결합하는 상부면을 나타내는 하부커버(400)의 평면 사시도,
도 5는 도 1의 Ⅴ-Ⅴ을 따라 절단한 습식집진장치(1)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습식집진장치(1)는 하나의 1차 먼지수집영역(310c)을 형성하는 하나의 1차 먼지통(310)과 다수의 2차 먼지수집영역(350c)을 형성하는 다수의 2차 먼지통(350)을 구비한 것으로 한다(도 5 참조).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습식집진장치(1)에서 챔버는 1차 챔버(310a)와 2차 챔버(350a)들로 구성되고, 본 발명의 물분배유로는 유량표시부 물분배유로(330)와 먼지통 물분배유로(320)들로 구성되며, 본 발명의 물유입공은 1차 물유입공(313)과 2차 물유입공(353)들로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도 5 참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습식집진장치(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습식집진장치(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습식집진장치(1)는 먼지통커버(200), 1차 배기관유닛(210), 다수의 2차 유입관유닛(230), 먼지통(300) 및 하부커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먼지통커버(200)는 1차 유입구(201), 1차 배기구(202), 2차 유입구(231)들이 형성되고, 2차 유로(240)를 형성하는 2차 유로커버(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1차 유입구(201)는 청소기의 브러시조립체(도면에 미 도시) 등에서 유입된 외부 공기를 먼지통(300)으로 유입시키도록 먼지통커버(200)의 일 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1차 배기구(202)는 1차 배기관유닛(210)의 그릴(211)의 개방된 상부와 연통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2차 유입구(231)들은 먼지통커버(200)의 저부에 결합되는 2차 유입관유닛(230)들과 연통되는 위치 각각에 형성된다.
상기 2차 유로커버(100)는 1차 배기구(202)와 2차 유입구(231)들을 덮도록 상기 먼지통커버(200)의 상부면에 결합하여 외부와 격리되는 2차 유로(240)를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2차 유로(240)는 1차 배기관유닛(210)에서 배출된 공기를 2차 유입관유닛(230)들로 유입시킨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2차 유로커버(100)의 상부에는 손잡이(101)가 형성되어 2차 유로커버(100) 또는 먼지통커버(200)의 개폐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1차 배기관유닛(210)은 먼지가 분리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일 측 영역에 형성되는 그릴(211), 단부에 밀봉부재(220)가 결합되는 지지관(212) 및 그릴(211)과 지지관(212) 사이에 설치되는 스커트(2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2차 유입관유닛(230)은 개방된 일 측은 2차 유입구(231)로 형성되고, 타 측에는 다수의 2차 토출구(232)가 형성된 원통 관으로 구성된다.
상기 먼지통(300)은 1차 먼지통(310), 1차 먼지통(310)과 격리되도록 결합되는 다수의 2차 먼지통(350)들, 1차 먼지통(310)과 2차 먼지통(350)들이 연결되는 먼지통 물분배유로부(300a, 도 3 참조), 배기챔버(370) 및 유량표시부(3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1차 먼지통(310)은 상부는 개방되고, 내부는 1차 먼지수집영역(310c)을 이루며, 저면에는 먼지통 물분배유로부(300a)와 연통하는 1차 물유입공(313)이 형성된 통형 구조를 가진다(도 5 참조).
상기 각각의 2차 먼지통(350)들은 상부는 개방되고 일 측면에 먼지가 분리된 공기가 배출되는 2차 배기구(352)가 형성되며, 저면에는 먼지통 물분배유로부(300a)와 연통하는 2차 물유입공(353)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도 5 참조).
상기 배기챔버(370)는 상기 2차 먼지통(350)들의 2차 배기구(352)들과 연통되도록 먼지통(300)의 외부 면에 형성되어 2차 배기구(352)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한데 모아 진공청소기(도면에 미 도시)의 내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량표시부(390)는 먼지통(300)의 일 측면에 형성되어 먼지통 내부에 채워진 물의 수위를 관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먼지통 물분배유로부(300a)는 상기 먼지통(300)이 상기 하부커버(400)와 결합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물분배유로부(500)를 형성한다.
도 3은 먼지통 물분배유로부(300a)를 설명하기 위한 먼지통(300)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4는 하부커버(400)가 먼지통(300)과 결합하는 상부 면을 나타내는 하부커버(400)의 평면 사시도로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먼지통 물분배유로부(300a) 및 하부커버 물분배유로부(400b)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과 같이 상기 먼지통 물분배유로부(300a)는 1차 챔버리브(310b), 적어도 하나의 2차 챔버리브(350b) 및 적어도 하나의 물분배유로리브(301)를 포함하는 다수의 리브(rib)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1차 챔버리브(310b)는 1차 먼지통(310)의 저면에서 1차 물유입공(313)을 포함하도록 돌출 형성된다. 상기 1차 챔버리브(310b)들은 하부커버(400)의 1차 챔버리브 삽입홈(410b)과 결합하여 1차 챔버(310a)를 형성한다.
상기 2차 챔버리브(350b)는 각각의 2차 먼지통(350)의 저면에서 2차 물유입공(353)을 포함하며 1차 챔버(310a)와 대향하는 면이 개방되도록 돌출 형성된다. 상기 2차 챔버리브(350b)들은 하부커버(400)의 2차 챔버 하부리브(450b)와 결합하여 2차 챔버(350a)들을 형성한다.
상기 물분배유로리브(301)는 1차 챔버리브(310b)와 상기 2차 챔버리브(350b)의 사이, 상기 유량표시부(390)의 하부영역(390a)과 상기 1차 챔버(310a)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돌출 형성된다. 상기 물분배유로리브(301)들은 하부커버(400)의 물분배유로리브 삽입홈(401a)과 결합하여, 상기 1차 챔버(310a)와 각각의 2차 챔버(350a)를 연결하는 먼지통 물분배유로(320), 상기 1차 챔버(310a)와 상기 유량표시부(390)의 하부영역(390a)을 연결하는 유량표시부 물분배유로(330)를 형성한다.
도 4와 같이 상기 하부커버(400)는 2 개의 1차 챔버 하부리브(410a), 다수의 2차 챔버 하부리브(450b), 다수의 하부물분배유로리브(401)들을 포함하는 하부커버 물분배유로부(40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1차 챔버 하부리브(410a)들은 1차 물유입공(313)과 대향하는 면에서 1차 물유입공(313)을 포함하도록 쌍을 이루며 돌출 형성되어 1차 챔버리브(310b)가 삽입되는 1차 챔버리브 삽입홈(410b)을 형성한다.
상기 2차 챔버 하부리브(450b)들은 2차 챔버리브(350b)와 결합하도록 하부커버(400)의 각각의 2차 먼지통(350)과 대향하는 위치마다 돌출 형성된다.
상기 하부물분배유로리브(401)들은 적어도 두 개의 물분배유로리브 삽입홈(401a)을 형성하도록 상기 1차 챔버 하부리브(410a)들과 상기 2차 챔버 하부리브(450b)들 사이에서 적어도 두 쌍이 돌출 형성된다. 즉, 두 쌍의 하부물분배유로리브(401)들에 의해 형성되는 한 쌍의 물분배유로리브 삽입홈(401a) 각각에 물분배유로리브(301)들이 삽입되는 것에 의해 그 사이 영역이 물이 지나는 물분배유로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1차 챔버리브 삽입홈(410b) 및 물분배유로리브 삽입홈(401a)들에는 물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실링부재(도면에 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커버(400)는 먼지통(300)의 저면 외주연을 이루도록 돌출 형성되는 외주리브(302)가 삽입되는 외주리브삽입홈(도면에 미 도시)을 형성하도록 하부커버(400)의 외주연 전체에서 상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부커버외주리브(도면에 미 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도 3 및 도 4의 먼지통 물분배유로부(300a)와 하부커버 물분배유로부(400b)는 서로 결합하여 도 5의 물분배유로부(500)를 형성한다.
도 5는 도 1의 Ⅴ-Ⅴ을 따라 절단한 습식집진장치(1)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습식집진장치(1)의 결합 구조 및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의 습식집진장치(1)의 구성에서 먼지통(300)과 하부커버(400)가 결합하면, 1차 챔버리브(310b)들은 1차 챔버리브 삽입홈(410b)에 삽입되어 1차 챔버(310a)를 형성한다. 상기 2차 챔버리브(350b)들은 2차 챔버 하부리브(450b)들과 결합하여 2차 챔버(350a)들을 형성한다. 상기 물분배유로리브(301)들은 물분배유로리브 삽입홈(401a)에 삽입되어 먼지통 물분배유로(320)들과 유량표시부 물분배유로(330)를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1차 챔버(310a), 2차 챔버(350a)들, 먼지통 물분배유로(320)들 및 유량표시부 물분배유로(330)가 물분배유로부(500)를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물분배유로부(500)에 의해 사용자는 1차 먼지통(310) 또는 2차 먼지통(350)들 중 어느 하나의 2차 먼지통(350)에 물을 채우는 것에 의해 1차 먼지통(310)과 2차 먼지통(350)들 및 유량표시부(390)에 물을 동시에 채울 수 있다.
상기 먼지통커버(200)의 1차 배기구(202)의 하부에는 2차 유로(240)와 서로 연통하도록 1차 배기관유닛(210)이 결합된다. 상기 먼지통커버(200)의 2차 유입구(231)가 형성되는 각각의 면의 하부에는 2차 유입관유닛(230)들이 2차 유로(240)와 연통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2차 유로커버(100)는 먼지통커버(200)의 상부 면에 결합하여 1차 배기관유닛(210)에서 배출된 공기를 2차 유입관유닛(230)들로 유입시키는 2차 유로(240)를 형성한다.
상기 2차 유로커버(100), 1차 배기관유닛(210) 및 2차 유입관유닛(230)들이 결합된 상기 먼지통커버(200)는 먼지통(300)의 상부를 개폐 가능하게 밀폐한다. 이때 상기 1차 배기관유닛(210)에 결합된 밀봉부재(220)가 1차 물유입공(313)을 막아서 1차 먼지수집영역(310c)의 하부영역(319)과 2차 먼지수집영역(350c)의 하부영역(359)을 격리시킨다.
상술한 결합 과정에 의해 도 1의 습식집진장치(1)의 조립이 완료된다.
조립이 완료된 습식집진장치(1)는 진공청소기(도면에 미 도시) 장착된 후 1차 먼지통(310) 및 2차 먼지통(350)들에 채워진 물을 이용하여 분리되는 먼지를 포집한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습식집진장치(1)의 동작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의 구성을 가지는 습식집진장치(1)가 진공청소기(도면에 미 도시)에 장착된 후 진공청소기가 동작하면, 도면에 미 도시된 청소기의 브러시조립체를 통해 흡입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1차 유입구(201)를 통해 1차 먼지통(310)의 내부로 유입된다.
1차 먼지통(3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1차 배기관유닛(210)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먼지 등의 이물질이 분리되며, 분리된 이물질은 1차 먼지통(310)의 1차 먼지수집영역(310c)에 수집된다.
1차 먼지통(310)의 내부에서 회전되어 먼지 등의 이물질이 분리된 공기는 그릴(211)을 관통하여 1차 배기관유닛(210)의 내부로 유입된다.
1차 배기관유닛(2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승한 후 1차 배기구(202)와 2차 유로(240) 및 2차 유입구(231)를 통해 2차 유입관유닛(230)들의 내부로 유입된다.
2차 유입관유닛(230)들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2차 유입관유닛(230)들의 내부 공간을 따라 하 방향으로 이동된 후 2차 토출구(232)들을 통해 2차 먼지통(350)으로 유입된다.
2차 먼지통(350)으로 유입된 공기는 2차 유입관유닛(230)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 방향으로 이동된 후 각각의 2차 배기구(352)를 통해 배출된다. 다수의 2차 배기구(352)를 통해 배출된 공기는 배기챔버(370)에서 한데 모아진 후 진공청소기로 배출된다. 이 과정에서 1차 먼지통(310)에서 분리되지 않은 미세먼지가 분리되어 2차 먼지통(350)의 2차 먼지수집영역(350c)에 수집된다.
상술한 먼지분리과정에서 1차 배기관유닛(210) 및 2차 유입관유닛(230)들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공기들이 1차 먼지통(310)과 각각의 2차 먼지통(350)들에 채워진 물을 회전시킨다. 회전되는 물은 원심력에 의해 1차 먼지통(310)과 2차 먼지통(350)들의 내벽을 타고 올라가 1차 수벽(501) 및 2차 수벽(601)을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1차 수벽(501)과 2차 수벽(601)은 1차 먼지통(310)과 2차 먼지통(350)의 내부에서 분리된 먼지를 더욱 신속하게 포집하여 1차 먼지통(310) 및 2차 먼지통(350)들 내부의 먼지 분리 효율을 향상시킨다.
이 과정에서 밀봉부재(220)가 1차 물유입공(313)을 막아 1차 먼지통(310)과 2차 먼지통(350)들의 영역을 격리시킴으로써, 진공청소기 구동 중, 압력차이에 의한 1차 먼지통(310)과 2차 먼지통(350)들에 채워진 물이 일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는다.
이에 따라, 각각의 먼지통 물은 압력차이에 상관 없이 적정한 수위가 유지되고, 일측으로 물이 이동하는 경우 발생하는 먼지 분리 효율 저하를 방지한다.
본 발명은 가정용, 업소용, 산업용 청소기 등의 청소용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7)

  1. 물유입공이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먼지수집영역과 상기 물유입공들을 서로 연통하도록 연결시키는 물분배유로부를 구비한 먼지통; 및
    상기 먼지통에 결합되고, 하부에 상기 물유입공들 중 적어도 하나를 개폐 가능하게 결합하는 밀봉부재가 구비된 먼지통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습식집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분배유로부는,
    상기 물유입공들과 연통하도록 상기 먼지수집영역 각각의 저면에 형성되는 챔버; 및
    상기 챔버들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먼지통 물분배유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습식집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분배유로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먼지통의 저면에 결합하는 하부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습식집진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물분배유로부는,
    상기 먼지통의 저면에 형성되는 먼지통 물분배유로부; 및
    상기 먼지통 물분배유로부와 결합하여 상기 물분배유로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하부커버의 상부 면에 형성되는 하부커버 물분배유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습식집진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통 물분배유로부는, 상기 물유입공의 외주연으로부터 상기 먼지통의 하부로 돌출 형성된 챔버리브와 상기 챔버리브들 사이를 연결하도록 돌출 형성된 물분배유로리브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커버 물분배유로부는, 상기 챔버리브가 결합하는 챔버리브 삽입홈과 상기 물분배유로리브가 결합하는 물분배유로리브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습식집진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통은 1차 먼지수집영역을 형성하는 하나의 1차 먼지통과 다수의 2차 먼지수집영역을 형성하는 다수의 2차 먼지통으로 형성되며,
    상기 먼지통커버가 상기 먼지통에 결합될 때, 상기 밀봉부재가 상기 1차 먼지통에 형성된 1차 물유입공과 결합함으로써, 상기 1차 먼지통과 상기 2차 먼지통들의 영역을 격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습식집진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통은,
    상기 물분배유로와 연통되며, 상기 먼지통 내부에 채워진 물의 수위를 관찰할 수 있도록 구성된 유량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습식집진장치.
PCT/KR2010/000806 2009-05-19 2010-02-09 진공청소기의 습식집진장치 WO2010134683A2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0777870.6A EP2433540B1 (en) 2009-05-19 2010-02-09 Wet type dust collection device for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736 2009-05-19
KR1020090043736A KR101566411B1 (ko) 2009-05-19 2009-05-19 진공청소기의 습식집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34683A2 true WO2010134683A2 (ko) 2010-11-25
WO2010134683A3 WO2010134683A3 (ko) 2011-01-13

Family

ID=43126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0/000806 WO2010134683A2 (ko) 2009-05-19 2010-02-09 진공청소기의 습식집진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2433540B1 (ko)
KR (1) KR101566411B1 (ko)
WO (1) WO201013468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1553A (ko) * 2009-08-26 2011-03-04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습식집진장치
CN110811418B (zh) * 2019-11-26 2021-05-07 瓦柯姆(南通)吸尘器有限公司 一种带自洁功能的吸尘器
KR102629020B1 (ko) * 2023-10-11 2024-01-25 홍준서 습식 청소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8869A (en) 1978-03-20 1980-12-16 Fernand Lachance Liquid aspirator
US4800615A (en) 1987-04-03 1989-01-31 The Scott Fetzer Company Wet/dry vac
JP2003205214A (ja) 2001-10-29 2003-07-22 Gorin Sangyo:Kk 粉塵除去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7293324B2 (en) 2003-09-19 2007-11-13 Techtronic Industries Co., Ltd. Vacuum cleaner with level control
KR100779190B1 (ko) 2006-06-09 2007-11-2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부표 및 이를 채택한 물통
KR100790781B1 (ko) 2006-08-07 2008-01-0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스팀청소기용 물탱크 조립체 및 스팀청소기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22093A (en) * 1996-04-25 1999-07-13 Miracle Marketing Corporation Ultra-filtration vacuum system
JP3635532B2 (ja) * 2001-05-07 2005-04-06 株式会社プランテ 湿式清浄装置
JP2006006837A (ja) * 2004-06-29 2006-01-12 Izumi Products Co 湿式電気掃除機
JP4535900B2 (ja) 2005-02-14 2010-09-01 花王株式会社 湿式電気掃除機
KR101136631B1 (ko) * 2005-03-19 2012-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AU2006220438B2 (en) 2005-09-23 2011-02-03 Bissell Inc. Vacuum cleaner with two stage filtration
JP2007111397A (ja) * 2005-10-24 2007-05-10 Izumi Products Co 湿式電気掃除機
KR100800655B1 (ko) * 2006-07-04 2008-02-01 김종기 건식 및 습식 이중필터방식 진공청소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8869A (en) 1978-03-20 1980-12-16 Fernand Lachance Liquid aspirator
US4800615A (en) 1987-04-03 1989-01-31 The Scott Fetzer Company Wet/dry vac
JP2003205214A (ja) 2001-10-29 2003-07-22 Gorin Sangyo:Kk 粉塵除去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7293324B2 (en) 2003-09-19 2007-11-13 Techtronic Industries Co., Ltd. Vacuum cleaner with level control
KR100779190B1 (ko) 2006-06-09 2007-11-2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부표 및 이를 채택한 물통
KR100790781B1 (ko) 2006-08-07 2008-01-0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스팀청소기용 물탱크 조립체 및 스팀청소기 제어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2433540A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33540A4 (en) 2017-11-15
EP2433540B1 (en) 2019-07-03
KR20100124627A (ko) 2010-11-29
KR101566411B1 (ko) 2015-11-06
EP2433540A2 (en) 2012-03-28
WO2010134683A3 (ko) 201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122473A1 (en) Robot cleaner, station and cleaning system
WO2016099040A1 (en)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WO2011025138A2 (ko) 핸들 유닛을 구비한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WO2010131833A1 (ko) 제진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WO2016117893A1 (en)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AU2016340619B2 (en) Cyclone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KR20140012766A (ko) 사이클론 집진장치
WO2019231158A1 (ko) 청소기
WO2019231157A1 (en) Cleaning appliance
WO2010044541A2 (en) Dust collecting device
WO2011010787A1 (ko) 제진된 먼지 제거 기능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및 진공청소기
WO2018110911A1 (en) Cyclone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WO2011025130A2 (ko) 진공청소기의 습식집진장치
WO2010134683A2 (ko) 진공청소기의 습식집진장치
WO2011025137A2 (ko) 진공청소기의 습식집진장치
WO2017069473A1 (ko)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WO2019231171A1 (en) Cleaner
WO2022014849A1 (ko) 청소기
WO2011062331A1 (ko) 수위 조절 유닛을 구비한 물 필터 장치
AU2020432829B2 (en) Cleaner
WO2011087173A1 (ko) 진공 청소기
WO2022225215A1 (ko)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
WO2022173108A1 (ko)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WO2019231153A1 (en) Cleaner
WO2019231154A1 (en) Cleaning appli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077787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0777870

Country of ref document: 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