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014849A1 - 청소기 - Google Patents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014849A1
WO2022014849A1 PCT/KR2021/006412 KR2021006412W WO2022014849A1 WO 2022014849 A1 WO2022014849 A1 WO 2022014849A1 KR 2021006412 W KR2021006412 W KR 2021006412W WO 2022014849 A1 WO2022014849 A1 WO 202201484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main body
collecting chamber
housing
di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641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조영준
권오규
정지욱
조동진
주성태
탁현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201484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014849A1/ko
Priority to US18/089,052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3013640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47L5/30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with driven dust-loosening tools, e.g. rotating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9Emptying means; Reusable ba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72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09Rigid filter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27Means for mounting or attaching bags or filtering receptacles in suction cleaners; Adapters
    • A47L9/1463Means for mounting or attaching bags or filtering receptacles in suction cleaners; Adapters specially adapted for rigid filter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47L9/1641Multiple arrangement thereof for parallel fl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91Mounting or coupling means for cyclonic chamber or dust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0Means for cleaning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84Details of arrangements of batteries or their instal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47L9/325Handles for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Abstract

청소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집진챔버를 폐쇄하는 제1 위치 및 상기 집진챔버를 개방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상기 하우징에 대한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집진챔버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오물 제거 부재, 및 상기 집진챔버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오물 제거 부재와 연동되도록 구성되는 개폐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청소기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개선된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청소기는 실내의 오물(rubbish)을 제거하여 청결하게 하는 기구로서, 가정에서는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가 많이 사용된다. 진공청소기는 팬모터유닛의 흡입력을 이용하여 공기를 빨아들인 후 흡입된 공기 중의 오물을 필터 등과 같은 장치로 분리해냄으로써 실내를 청결하게 한다. 이러한 진공청소기로는 캐니스터형(canister type)과 업라이트형(upright type)이 있으며, 최근에는 사용자의 조작 없이 청소 영역을 스스로 주행하며 피청소면으로부터 먼지 등의 오물을 흡입하여 청소 작업을 수행하는 로봇청소기가 대중화되고 있다.
진공청소기는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오물이 걸러지도록 하기 위해 소정의 필터링 장치에 의해 오물이 걸러지도록 내부에 집진 장치를 포함한다. 집진장치에서 오물이 걸러지도록 하는 필터링 장치에는 공기가 다공성의 필터를 통과하면서 강제적으로 오물이 걸러지는 방식의 다공성 필터장치와, 공기의 사이클론 유동중에 오물이 걸러지도록 하는 사이클론 방식의 집진 장치가 있다.
진공청소기는 오물이 걸러지는 과정에서 머리카락이나 동물의 털 등과 같은 오물이 집진 장치에 엉켜 사용자가 집진 장치로부터 이러한 오물들을 직접 분리해야 하였으므로, 비위생적이었으며, 사용이 번거로웠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집진챔버에 수집된 오물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본체의 하우징에 대한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청소기는 내부에 집진챔버가 마련되는 하우징, 상기 집진챔버를 폐쇄하는 제1 위치 및 상기 집진챔버를 개방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상기 하우징에 대한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집진챔버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오물 제거 부재, 및 상기 집진챔버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오물 제거 부재와 연동되도록 구성되는 개폐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장치는 상기 본체를 향하는 면으로부터 상기 본체를 향해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는 상기 본체의 이동 방향에 수직한 회전 축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롤러는 상기 본체의 외측면 상에서 구름 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장치는 상기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장치는 상기 본체의 외측 둘레를 따라 상호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장치는 상기 본체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위치를 향하는 방향과 반대 반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마련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완충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배터리가 장착되는 배터리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스토퍼는 상기 배터리 장착부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장착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장치는 단수로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본체의 이동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가이드 장치가 장착되어 고정되도록 내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진챔버는 제1 집진챔버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집진챔버를 통과한 공기로부터 오물을 제거하도록 마련되는 오물 분리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오물 분리 장치에서 분리된 오물이 수집되는 제2 집진챔버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오물 제거 부재는 제1 오물 제거 부재고,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제2 집진챔버의 오물을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제2 집진챔버 및 상기 제1 집진챔버 상에서 슬라이딩되도록 마련되는 제2 오물 제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청소기는 내부에 집진챔버가 마련되는 하우징, 상기 집진챔버를 폐쇄하는 제1 위치 및 상기 집진챔버를 개방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집진챔버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개폐 장치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상기 하우징에 대한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장치는 상기 본체의 외측면 상에서 구름 운동하도록 마련되는 롤러, 및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며, 상기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바디를 포함한다.
상기 롤러는 상기 본체의 이동 방향에 수직한 회전 축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장치는 상기 본체의 외측 둘레를 따라 상호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장치는 상기 본체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위치를 향하는 방향과 반대 반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마련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완충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장치는 상기 본체의 이동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청소기는 본체가 하우징에 대해 슬라이딩함에 따라 집진챔버가 개폐되도록 마련되므로 집진챔버에 수집된 오물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청소기는 하우징과 본체 사이에 가이드 장치가 마련되므로, 본체의 하우징에 대한 이동이 용이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청소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청소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표시된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표시된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청소기의 먼지를 비우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가이드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본체가 하우징에 대하여 제1 위치에 있을 때, 하우징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본체가 하우징에 대하여 제2 위치에 있을 때, 하우징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청소기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서 흡입 헤드(10)가 배치된 부분을 전방이라고 정의하며, 핸들(90)이 배치된 부분을 후방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즉, 공기는 청소기(1)의 전방에서 유입되어 후방으로 배출된다고 정의할 수 있다. 다만, 이렇게 정의된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청소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청소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표시된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표시된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청소기의 먼지를 비우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청소기(1)는 공기의 흡입력에 의해 피청소면의 머리카락 등의 오물을 흡입하도록 마련되는 흡입 헤드(10)와, 흡입 헤드(10)에 연결되는 하우징(20)과, 하우징(20)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본체(30)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 헤드(10)는 피청소면 상에서 이동하면서 피청소면 상에 존재하는 먼지 등의 오물을 흡입하도록 마련된다. 흡입 헤드(10)는 헤드 어셈블리(11)와, 네크부(12)와, 헤드 스위치(13)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 어셈블리(11)의 내부에는 공기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헤드 어셈블리(11)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유로는 네크부(12)를 통해 하우징(20)과 연통될 수 있다. 헤드 어셈블리(11)를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와 오물 등은 네크부(12)를 통해 하우징(20)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네크부(12)는 하우징(20)의 하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네크부(12)는 헤드 어셈블리(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네크부(12)가 헤드 어셈블리(11)에 대해 회전함에 따라, 헤드 어셈블리(11)는 네크부(12)에 연결된 하우징(2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청소기(1)는 구동의 자유도가 개선될 수 있다.
헤드 스위치(13)는 흡입 헤드(10)와 하우징(20)의 결합 상태를 고정 또는 고정 해제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사용자는 헤드 스위치(13)를 작동시켜 하우징(20)을 흡입 헤드(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헤드 스위치(13)가 흡입 헤드(10)에 배치됨에 따라, 사용자는 허리를 구부리지 않고 발을 이용하여 헤드 스위치(13)를 작동시킴에 따라 하우징(20)을 흡입 헤드(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하우징(20)은 청소기(1)의 외형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20)은 일 단부(21)가 흡입 헤드(10)에 장착될 수 있다. 하우징(20)은 본체(30)가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중공(2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20)에는 본체(30)의 하우징(20)에 대한 위치를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버튼 장치(26)가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버튼 장치(26)를 작동시켜 본체(30)를 하우징(20)으로부터 고정 해제시킴에 따라, 본체(30)를 하우징(20)에 대해 이동시킬 수 있다.
본체(30)는 하우징(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체(30)는 하우징(20)에 대하여 집진챔버(81, 82)를 폐쇄하는 제1 위치 및 집진챔버(81, 82)를 개방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20)과 본체(30) 사이에는 가이드 장치(100)가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장치(100)는 본체(30)의 하우징(20)에 대한 이동을 가이드하며 지지할 수 있다. 가이드 장치(10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체(30)는 청소기(1)의 외형의 일부를 형성하는 연장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31)의 내부에는 조작 스위치(91)를 향해 연장되는 전선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31a)이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31)의 후단부에는 핸들(90)이 배치될 수 있다. 핸들(90)은 본체(30)의 개폐 장치(60)가 배치된 일 단과 반대되는 타 단에 배치될 수 있다. 핸들(90)은 사용자가 청소기(1)를 사용할 때, 핸들(90)을 파지한 상태에서 흡입 헤드(10)를 밀거나 당길 수 있다.
핸들(90)에는 청소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91)가 마련될 수 있다. 조작 스위치(91)는 청소기(1)의 작동을 위한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마련된다. 조작 스위치(91)는 사용자가 청소를 할 때, 청소기(1)를 이동시키면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핸들(9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체(30)는 배터리 장착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장착부(32)에는 배터리(33)가 장착될 수 있다. 배터리(33)는 1개 또는 2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배터리 장착부(32)는 하우징(2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체(30)에는 피청소면 상의 오물을 흡입하는데 필요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팬모터유닛(40)이 마련될 수 있다. 팬모터유닛(40)은 외부 공기를 흡입 헤드(10)를 통해 유입하여 하우징(20)의 배기구(23, 24)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팬모터유닛(40)은 본체(30)에 장착된 상태로 하우징(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체(30)가 하우징(20)에 결합된 때, 청소기(1)에는 제1 집진챔버(81) 및 제2 집진챔버(82)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30)가 하우징(20)에 대해 제1 위치에 있을 때, 청소기(1)에는 제1 집진챔버(81) 및 제2 집진챔버(82)가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20)의 내부에는 집진챔버(81, 82)를 형성하는 외부 케이스(83) 및 외부 케이스(83)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 케이스(84)가 마련될 수 있다. 외부 케이스(83)는 하우징(20)과 내부 케이스(8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외부 케이스(83)는 내부 케이스(84)과 함께 케이스 유로(85)를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 유로(85)는 제1 집진챔버(81)를 통과한 공기를 제2 집진챔버(82)로 안내할 수 있다.
내부 케이스(84)는 외부 케이스(83)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내부 케이스(84)의 내부에는 제1 집진챔버(81)가 형성될 수 있다. 내부 케이스(84)에는 필터링 장치(86)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집진챔버(81)는 흡입 헤드(1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필터링 장치(86)를 통과할 때 필터링된 오물을 수집할 수 있다.
필터링 장치(86)는 흡입 헤드(10)를 통해 유입된 공기로부터 오물을 1차적으로 필터링할 수 있다. 필터링 장치(86)는 내부 케이스(84)의 내측면의 일부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필터링 장치(86)에 의해 필터링된 오물은 제1 집진챔버(81)에 수집될 수 있다. 필터링 장치(86)는 메쉬 부재로 마련될 수 있다.
내부 케이스(84)는 케이스 유로(85)를 통해 안내된 공기가 오물 분리 장치(51)로 유입되는 케이스 개구(87)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 개구(87)를 통해 오물 분리 장치(51)로 유입된 공기는 오물 분리 장치(51)에서 2차로 필터링될 수 있다. 오물 분리 장치(51)에 의해 필터링된 오물은 제2 집진챔버(82)에 수집될 수 있다. 오물 분리 장치(51)에서 필터링된 공기는 모터 필터(46)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본체(30)는 제1 집진챔버(81)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개폐 장치(60)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 장치(60)는 본체(30)의 흡입 헤드(10)를 향하는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개폐 장치(60)는 제1 오물 제거 부재(70) 및 제2 오물 제거 부재(75)와 연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개폐 장치(60)가 제1 오물 제거 부재(70) 및/또는 제2 오물 제거 부재(75)와 연동됨에 따라, 제1 집진챔버(81)가 의도하지 않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오물을 배출하고자 할 때에만 집진챔버(81, 82)가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개폐 장치(60)는 개폐 부재(61)와, 개폐 커버(62)와, 개폐 실링부재(63)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 장치(60)는 제1 오물 제거 부재(70)가 제1 집진챔버(81)로부터 슬라이딩 이동하며 인출될 때, 제1 집진챔버(81)를 개방하도록 하우징(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개폐 장치(60)는 제1 오물 제거 부재(70)가 제1 집진챔버(81)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인입될 때, 제1 집진챔버(81)를 폐쇄하도록 하우징(2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개폐 부재(61)는 본체(30)가 하우징(20)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제1 집진챔버(81)를 개폐할 수 있다. 개폐 부재(61)는 흡입 헤드(10)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제1 집진챔버(81)로 유입되도록 형성되는 챔버 유입구(61a)를 포함할 수 있다. 챔버 유입구(61a)는 개폐 커버(62)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개폐 커버(62)는 탄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개폐 커버(62)는 제1 집진챔버(81)로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챔버 유입구(61a)를 개방할 수 있다. 반면, 개폐 커버(62)는 제1 집진챔버(81)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는 챔버 유입구(61a)를 개방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개폐 커버(62)는 청소기(1)가 피청소면의 오물을 흡입할 때 챔버 유입구(61a)를 개방할 수 있으나, 제1 집진챔버(81)로부터 먼지가 배출되는 방향으로는 챔버 유입구(61a)를 개방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20)을 흡입 헤드(10)로부터 분리한 때, 오물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개폐 커버(62)는 커버 힌지부(62a)를 포함할 수 있다. 팬모터유닛(40)이 흡입력을 발생시킬 때, 개폐 커버(62)는 커버 힌지부(62a)가 고정된 상태에서 탄성 변형되며 챔버 유입구(61a)를 개방시킬 수 있다. 팬모터유닛(40)이 흡입력을 발생시키지 않을 때, 개폐 커버(62)는 탄성력에 의해 챔버 유입구(61a)를 폐쇄하는 위치로 돌아올 수 있다.
개폐 실링부재(63)는 내부 케이스(84)와 개폐 부재(61) 사이를 실링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개폐 실링부재(63)는 개폐 부재(61)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개폐 실링부재(63)는 탄성을 갖는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개폐 실링부재(63)는 개폐 부재(61)보다 유연한 재질의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개폐 실링부재(63)는 내부 케이스(84)의 내측면과 밀착되며 제1 집진챔버(81)를 밀폐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1)는 제1 집진챔버(81)로부터 오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체(30)는 제1 집진챔버(81)의 오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 오물 제거 부재(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오물 제거 부재(70)는 제1 집진챔버(81)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오물 제거 부재(70)는 제1 장착부(71)와, 제1 장착부(71)에 장착되는 제1 오물 제거부(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오물 제거부(72)는 탄성을 가진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오물 제거부(72)는 필터링 장치(86)의 내벽에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오물 제거부(72)는 필터링 장치(86)의 오물이 필터링된 일 면과 밀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체(30)가 하우징(20)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할 때, 제1 오물 제거부(72)는 필터링 장치(86)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제1 오물 제거부(72)는 본체(30)를 하우징(20)의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때, 필터링 장치(86)의 내측면을 긁으며 필터링 장치(86)의 내측면에 엉킨 머리카락 등과 같은 오물을 제거할 수 있다.
제1 오물 제거 부재(70)는 필터링 장치(86)와 오물 분리 장치(51) 사이의 제1 위치에서 하우징(20)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2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오물 제거 부재(70)는 제1 집진챔버(81)에 존재하는 오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1 오물 제거 부재(70)가 하우징(20)의 외부로 돌출됨에 따라, 제2 집진챔버(82)에 수집된 먼지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체(30)는 제1 오물 제거 부재(70)와 개폐 장치(60)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69)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69)는 제1 집진챔버(81)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부(69)에 의해 제1 오물 제거 부재(70)와 개폐 장치(60)는 연동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복수의 제1 연결부(69) 사이에는 배출 개구(68)가 형성될 수 있다. 배출 개구(68)는 제1 오물 제거 부재(70)와 개폐 장치(6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개폐 장치(60)가 제1 집진챔버(81)를 개방하며 제1 오물 제거 부재(70)가 제1 집진챔버(81)의 오물을 배출할 때, 오물은 배출 개구(6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체(30)는 오물 분리 장치(51)를 포함할 수 있다. 오물 분리 장치(51)는 사이클론을 포함할 수 있다. 오물 분리 장치(51)는 제1 집진챔버(81)에서 필터링되지 않은 오물을 공기로부터 원심 분리할 수 있다. 오물 분리 장치(51)가 필터링 장치(86)와 상이한 방식으로 필터링 장치(86)를 통과한 공기로부터 오물을 분리함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1)는 청소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본체(30)는 제2 집진챔버(82)의 오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2 오물 제거 부재(7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오물 제거 부재(75)는 제2 집진챔버(82) 및 제1 집진챔버(81)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오물 제거 부재(70)와 제2 오물 제거 부재(75) 사이에는 제2 집진챔버(8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오물 제거 부재(75)는 제2 장착부(76)와, 제2 장착부(76)에 장착되는 제2 오물 제거부(77)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오물 제거부(77)는 탄성을 가진 재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오물 제거부(77)는 본체(30)가 하우징(20)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할 때, 제2 집진챔버(82)의 오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내부 케이스(84)의 내측면과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제2 오물 제거부(77)는 본체(30)가 하우징(20)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할 때, 내부 케이스(84)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제2 집진챔버(82)의 오물을 모두 비워낼 수 있다.
본체(30)는 제1 오물 제거 부재(70)와 제2 오물 제거 부재(75)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79)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부(79)는 제2 집진챔버(82)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결부(79)에 의해 제2 오물 제거 부재(75)와 제1 오물 제거 부재(70)는 연동될 수 있다.
본체(30)에는 모터 필터(46)가 마련될 수 있다. 모터 필터(46)는 팬모터유닛(40)으로 유입되기 전의 공기의 오물을 한번 더 필터링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모터 필터(46)는 오물 분리 장치(51)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을 따라 팬모터유닛(4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모터 필터(46)는 팬모터유닛(40)과 오물 분리 장치(5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모터 필터(46)는 오물 분리 장치(51)를 통과한 공기로부터 오물을 필터링할 수 있다. 모터 필터(46)는 메쉬 부재로 마련될 수 있다.
모터 필터(46)는 본체(30)의 필터 케이스(47)에 장착된 상태로 하우징(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1)는 모터 필터(46)에 의해 팬모터유닛(40)이 오물 등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깨끗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팬모터유닛(40)는 제1 집진챔버(81) 및 제2 집진챔버(82)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모터 필터(46)를 통과한 공기는 팬모터유닛(40)을 통과한 후 하우징(20)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1)는 배터리(33)에 비해 상대적으로 무거운 팬모터유닛(40)을 배터리(33)보다 아래에 배치함에 따라, 무게중심을 상대적으로 아래로 위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1)는 무게중심을 상대적으로 아래로 할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1)는 팬모터유닛(40)이 배치된 본체(30)의 일 부분이 배터리 장착부(32)와 구획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팬모터유닛(40)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는 배터리 장착부(32) 및 핸들(90)로 이동하지 않고, 모터 배기구(41) 및 하우징(20)의 배기구(23, 24)를 통해 곧바로 배출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1)는 배출되는 공기가 사용자를 향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팬모터유닛(40)과 배터리 장착부(32) 사이에는 컨트롤러(36)가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러(36)는 PBA(Printed Board Assembly)로 마련될 수 있다. 컨트롤러(36)는 청소기(1)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1)는 청소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흡입 헤드(10)로부터 유입된 오물을 포함한 공기는 제1 집진챔버(81)의 필터링 장치(86)에서 1차적으로 필터링될 수 있다. 이후, 케이스 유로(85)를 통해 오물 분리 장치(51)로 이동한 공기는 2차적으로 필터링될 수 있다. 오물 분리 장치(51)에서 필터링된 공기는 제2 집진챔버(82)에 수집될 수 있다. 오물 분리 장치(51)를 통과한 공기는 모터 필터(46)를 통과하며 3차적으로 필터링된 후, 팬모터유닛(40)을 통과할 수 있다. 팬모터유닛(40)을 통과한 공기는 모터 배기구(41) 및 하우징(20)의 배기구(23, 24)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청소 작업을 종료한 후 집진챔버(81, 82)에 수집된 오물을 비우고자 할 때, 사용자는 본체(30)를 하우징(20)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본체(30)를 이동시키기 위해 버튼 장치(26)를 작동시킬 수 있다.
본체(30)가 하우징(2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때, 본체(30)의 일 단부에 배치된 개폐 장치(60)는 제1 집진챔버(81)를 개방하게 되며, 제1 오물 제거 부재(70)는 필터링 장치(86)의 오물이 존재하는 일 면에 슬라이딩하게 되고, 제2 오물 제거 부재(75)는 제2 집진챔버(82)의 내면 및 필터링 장치(86)의 오물이 존재하는 일 면에 슬라이딩 하게 된다. 제1 오물 제거 부재(70)는 필터링 장치(86)에 존재하는 오물을 분리하여 제1 집진챔버(81)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제2 오물 제거 부재(75)는 제2 집진챔버(82)의 오물을 외부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필터링 장치(86)에 존재하는 오물을 2차적으로 분리하여 제1 집진챔버(81)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오물 제거 부재(70) 및 제2 오물 제거 부재(75)는 하우징(20)의 외부로 돌출되는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본체(30)는 개폐 장치(60)만 하우징(20)의 외부로 노출되고, 제1 오물 제거 부재(70) 및 제2 오물 제거 부재(75)는 하우징(2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이동할 수도 있다. 또한, 본체(30)는 개폐 장치(60)와 제1 오물 제거 부재(70)만 하우징(20)의 외부로 노출되고, 제2 오물 제거 부재(75)는 하우징(2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이동할 수도 있다.
이후, 집진챔버(81, 82)의 먼지 배출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본체(30)의 핸들(90)을 하우징(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개폐 장치(60)는 제1 집진챔버(81)를 폐쇄하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아울러, 버튼 장치(26)는 본체(30)의 하우징(20)에 대한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1)는 비교적 간단한 동작으로 집진챔버(81, 82)의 오물을 용이하게 비워낼 수 있다. 아울러, 개폐 장치(60)는 집진챔버(81, 82)의 오물을 배출할 때에만 집진챔버(81, 82)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므로, 하우징(20)이 흡입 헤드(10)로부터 분리된 경우에도 오물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가이드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본체가 하우징에 대하여 제1 위치에 있을 때, 하우징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본체가 하우징에 대하여 제2 위치에 있을 때, 하우징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청소기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가이드 장치(100)는 하우징(20)에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20)은 가이드 장치(100)가 장착되는 가이드 장착부(20a)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장치(100)는 본체(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본체(3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서는 가이드 장치(100)가 2개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가이드 장치(100)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1개 또는 3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청소기(1)는 하나의 가이드 장치(10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청소기(1)는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가이드 장치(100)는 제1 바디(101)와, 제2 바디(102)와, 롤러(10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101)와 제2 바디(102)는 바디(101, 102)라고 칭할 수 있다.
제1 바디(101)는 롤러(103)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롤러 장착부(101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디(102)에도 롤러(103)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롤러 장착부(102a)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바디(102)의 제2 롤러 장착부(102a)는 제1 바디(101)의 제1 롤러 장착부(101a)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롤러(103)는 제1 바디(101) 및 제2 바디(10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롤러(103)는 본체(30)의 외측면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롤러(103)는 바디(101, 102)의 본체(30)를 향하는 면으로부터 본체(30)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롤러(103)는 본체(30)의 하우징(20)에 대한 이동 방향에 수직한 회전 축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롤러(103)는 본체(30)의 외측면 상에서 구름 운동할 수 있다.
롤러(103)는 본체(3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상호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롤러(103)들로 마련될 수 있다. 도 7에서 롤러(103)는 3개가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롤러(103)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본체(30)의 하우징(20)에 대한 이동을 가이드하며, 본체(30)의 하우징(20)에 대한 위치를 정렬할 수 있다면 다양한 개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롤러(103)들이 형성하는 내부 공간은 롤러(103)가 지지하는 본체(30)의 외측면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30)가 하우징(20)에 대하여 어긋난 위치에서 결합될 때, 롤러(103)는 본체(30)가 하우징(20)에 대하여 올바른 위치에서 결합되도록 본체(30)를 가이드할 수 있다. 본체(30)는 대략 실린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본체(30)의 이동 방향에 따른 중심 축으로부터 복수의 롤러(103)들까지의 거리는 동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바디(102)에는 스토퍼(104)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바디(102)의 배터리 장착부(32)를 향하는 일 면에는 스토퍼(104)가 마련될 수 있다.
스토퍼(104)는 본체(30)가 하우징(20)에 대하여 제2 위치에 있을 때, 개폐 장치(60)가 하우징(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본체(30)를 지지할 수 있다. 즉, 스토퍼(104)는 본체(30)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제1 위치를 향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토퍼(104)는 본체(30)의 배터리 장착부(32)를 지지할 수 있다. 스토퍼(104)는 배터리 장착부(32)로부터 돌출되는 걸림부(32a)를 지지할 수 있다.
본체(30)가 하우징(20)에 대하여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며 본체(30)와 가이드 장치(100)가 충돌할 때,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스토퍼(104)는 완충재(buffer material)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1)는 집진챔버(81, 82)의 오물을 비우기 위해 본체(30)를 하우징(20)에 대해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즉, 가이드 장치(100)는 본체(30)가 하우징(20)에 대해 이동할 때, 마찰력을 감소시켜주므로, 사용자가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힘을 가하여 청소기(1)를 조작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아울러, 집진챔버(81, 82)를 개방시키는 본체(30)의 하우징(20)에 대한 이동 거리를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제한할 수 있으며, 본체(30)와 하우징(20)의 충돌에 따른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4)

  1. 내부에 집진챔버가 마련되는 하우징;
    상기 집진챔버를 폐쇄하는 제1 위치 및 상기 집진챔버를 개방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상기 하우징에 대한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집진챔버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오물 제거 부재; 및
    상기 집진챔버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오물 제거 부재와 연동되도록 구성되는 개폐 장치;를 포함하는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장치는 상기 본체를 향하는 면으로부터 상기 본체를 향해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롤러를 포함하는 청소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본체의 이동 방향에 수직한 회전 축을 갖도록 마련되는 청소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본체의 외측면 상에서 구름 운동하도록 마련되는 청소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장치는 상기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바디를 포함하는 청소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장치는 상기 본체의 외측 둘레를 따라 상호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롤러를 포함하는 청소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장치는 상기 본체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위치를 향하는 방향과 반대 반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마련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완충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청소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배터리가 장착되는 배터리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스토퍼는 상기 배터리 장착부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청소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장착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청소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장치는 단수로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본체의 이동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마련되는 청소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가이드 장치가 장착되어 고정되도록 내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장착부를 포함하는 청소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챔버는 제1 집진챔버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집진챔버를 통과한 공기로부터 오물을 제거하도록 마련되는 오물 분리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오물 분리 장치에서 분리된 오물이 수집되는 제2 집진챔버가 마련되는 청소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 제거 부재는 제1 오물 제거 부재고,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제2 집진챔버의 오물을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제2 집진챔버 및 상기 제1 집진챔버 상에서 슬라이딩되도록 마련되는 제2 오물 제거 부재를 포함하는 청소기.
PCT/KR2021/006412 2020-07-17 2021-05-24 청소기 WO2022014849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089,052 US20230136405A1 (en) 2020-07-17 2022-12-27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986A KR20220010288A (ko) 2020-07-17 2020-07-17 청소기
KR10-2020-0088986 2020-07-17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8/089,052 Continuation US20230136405A1 (en) 2020-07-17 2022-12-27 Vacuum clea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14849A1 true WO2022014849A1 (ko) 2022-01-20

Family

ID=79554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6412 WO2022014849A1 (ko) 2020-07-17 2021-05-24 청소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136405A1 (ko)
KR (1) KR20220010288A (ko)
WO (1) WO202201484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03679A1 (en) * 2022-06-29 2024-01-04 Dyson Technology Limited Vacuum clea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07796S1 (en) * 2021-11-10 2023-12-12 Dreame Innovation Technology (Suzhou) Co., Ltd. Vacuum cleaner hea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25395A1 (en) * 2000-03-24 2001-10-04 Yukimichi Matsumoto Electric vacuum cleaner
US20160174789A1 (en) * 2014-12-18 2016-06-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eaning apparatus
KR20180023790A (ko) * 2016-08-25 2018-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KR20190066239A (ko) * 2017-12-05 2019-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
KR102093931B1 (ko) * 2018-12-06 2020-03-26 은성전자 주식회사 이층구조의 진공청소기용 관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25395A1 (en) * 2000-03-24 2001-10-04 Yukimichi Matsumoto Electric vacuum cleaner
US20160174789A1 (en) * 2014-12-18 2016-06-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eaning apparatus
KR20180023790A (ko) * 2016-08-25 2018-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KR20190066239A (ko) * 2017-12-05 2019-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
KR102093931B1 (ko) * 2018-12-06 2020-03-26 은성전자 주식회사 이층구조의 진공청소기용 관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03679A1 (en) * 2022-06-29 2024-01-04 Dyson Technology Limited Vacuum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36405A1 (en) 2023-05-04
KR20220010288A (ko) 202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381576B2 (en) Cleaner
WO2021141183A1 (en) Station
WO2020122473A1 (en) Robot cleaner, station and cleaning system
WO2021025377A1 (en) Station of robot cleaner
WO2022014850A1 (ko) 청소기
WO2022014849A1 (ko) 청소기
WO2011004916A1 (ko) 로봇 청소기
WO2016099040A1 (en)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AU2016340619B2 (en) Cyclone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WO2017131462A1 (ko) 진공청소기
WO2019231157A1 (en) Cleaning appliance
WO2022075570A1 (ko) 청소 시스템과 도킹장치
WO2018110911A1 (en) Cyclone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WO2017069473A1 (ko)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WO2021215844A1 (ko) 청소기거치대
WO2014200239A1 (en) Vacuum cleaner
WO2021230490A1 (ko) 먼지통 및 이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
WO2011055865A1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 가시화 장치
WO2021107300A1 (ko) 청소기
WO2022215836A1 (ko) 청소기
WO2022215846A1 (ko) 청소기
WO2022203186A1 (ko) 청소기
WO2022211347A1 (ko) 청소기
WO2010093072A1 (ko) 진공 청소기
WO2023003123A1 (ko) 집진장치 및 이를 갖는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4345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84345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