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0093072A1 - 진공 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0093072A1
WO2010093072A1 PCT/KR2009/000685 KR2009000685W WO2010093072A1 WO 2010093072 A1 WO2010093072 A1 WO 2010093072A1 KR 2009000685 W KR2009000685 W KR 2009000685W WO 2010093072 A1 WO2010093072 A1 WO 201009307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ust
dust separation
air
su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068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상준
현영민
권혁주
신효철
양해석
서진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09/00068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0093072A1/ko
Priority to AU2009340149A priority patent/AU2009340149B2/en
Priority to KR1020117001964A priority patent/KR20110048511A/ko
Priority to CA2738294A priority patent/CA2738294C/en
Publication of WO201009307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9307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47L9/1641Multiple arrangement thereof for parallel fl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8Construction of outlets
    • A47L9/1666Construction of outlets with filtering means

Definitions

  • This embodiment relates to a vacuum cleaner.
  • a vacuum cleaner is a device that sucks air containing dust by using a suction force generated by a suction motor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and then filters the dust in the dust separator.
  • Such a vacuum cleaner may be distinguished by a canister method in which a suction nozzle for sucking dust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main body and connected by a connecting device, and an upright method in which the suction nozzle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 a conventional vacuum cleaner includes a cleaner body, and a dust separation device mounted on the cleaner body to store the dust separated from the air.
  • a dust separation device is mainly configured to separate air and dust by the cyclone principle. Therefore, the dust separation chamber is formed in the dust separation apparatus.
  • the dust separation chamber may be provided with a filter member for filtering the air separated dust.
  • An object of this embodiment is to propose a vacuum cleaner in which dust separation performance is improved.
  • Another object of this embodiment is to propose a vacuum cleaner which is easy to clean the filter member for filtering the air in the dust separation chamber.
  •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o propose a vacuum cleaner that allows the dust separation unit to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bodies to facilitate the manufacture thereof.
  • the cleaner body is provided with a suction motor;
  • a dust separ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the cleaner body and including an suction opening for suctioning air and dust and an exhaust opening for discharge of air separated from dust;
  • a dust container for storing dust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ion unit, wherein the dust separation unit is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dust separation bodies, and the plurality of dust separation bodies discharge air through the exhaust opening.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oupled to each other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cleaner body; A dust separ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the cleaner body, the dust separation unit having an suction opening for intake of air and dust and an exhaust opening for exhausting air; A suction passage for guiding air and dust to the suction opening; A suction guide formed in the dust separation unit to define a part of the suction flow path; And an exhaust member provided outside the dust separation unit to guide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opening and defining another portion of the suction passage.
  •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cleaner body; A dust separ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the cleaner body and having an exhaust opening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And a filter unit movably connected to the dust separation unit, wherein the filter unit filters air discharged from the dust separation unit,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lter unit selectively selects the exhaust opening by a movement operation of the filter unit. And a filter member penetrating into or out of the dust separation unit, and a coupling member for fixing the filter unit to the dust separation unit while the filter member is inserted into the dust separation unit.
  • the plurality of dust separation body is coupl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cyclone flow, the number of molds for manufacturing each dust separation body is reduced, the structure of the mold is simplified, the cost is reduced, and the dust separation unit of the It is easy to manufacture.
  • each dust separation body has a cyclone body and a distribution body, there is no need to form a separate distribution bod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 each dust separation body has a cyclone body and a distribution body, there is no need to form a separate distribution bod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 the filter body for filter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cyclone unit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cyclone unit from the outside of the cyclone unit, so that the filter body is easily drawn out of the cyclone unit As configur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inside of the filter body or the cyclone unit can be cleaned without disassembling the cyclone unit.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in a state where the dust separ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separated.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dust separ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separ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dust separation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dust separation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Fig. 7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exhaust member of the first embodiment.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xhaust member is coupled to the dust separation unit.
  •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ir flow in the dust separation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upling member coupled to a cover memb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ver memb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upling memb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lter memb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lter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rotated.
  •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ver member of the second embodiment.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vacuum cleaner in a state where the dust sepa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separated.
  • the dust separation apparatus is mounted on the upright vacuum cleaner, but it is apparent that the dust separator may be mounted on the canister vacuum cleaner.
  • the vacuum cleaner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main body 10 provided with a suction motor (not shown)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and rotatably connected to a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 And a suction nozzle 20 placed on the bottom surface, a dust separator 60 detachably mounted to the main body 10, a suction pipe 30 detachably mounted to the main body 10, and the suction pipe.
  • a handle 40 connected to the 30 and a connection hose 50 for connecting the handle 40 and the main body 10 are included.
  • wheels 22 ar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suction nozzle 20 to facilitate movement of the suction nozzle 20, respectively.
  • the rear side of the suction nozzle 20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lever 24 to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suction nozzle 20 in the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10 is upright.
  • the main body 10 rotates with respect to the suction nozzle 20, and the user grasps the handle 40 and moves the suction nozzle 20 to move the bottom surface. Will be cleaned.
  • the dust separator 60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mounting portion 11 form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main body 10, and the suction pipe 30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
  • the dust separator 60 separates dust from the air sucked into the main body 10 and allows the separated dust to be stored.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sepa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sepa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separation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the dust separation device 60 includes a dust separation unit 100 for separating dust from sucked air and a dust container for storing dust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ion unit 100 ( 200 and a discharge guide unit 300 for guiding the flow of air discharged from the dust separation unit 100.
  • the dust separation unit 100 is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dust container 200 and coupled to a lower side of the discharge guide unit 300.
  • the deco cover 360 is coupled to the dust separation unit 100.
  • the inner deco 370 and the outer deco 380 are coupled to the deco cover 360 and the dust container 200 while the dust container 200 and the dust separation unit 100 are coupled to each other.
  • the deco cover 360, the inner deco 370 and the outer deco 380 serves to improve the aesthetics of the dust separator 60.
  • the dust separation unit 100 includes a cyclone unit 110 for separating dust from air, a distribution unit 120 for guiding air and dust to the cyclone unit 110, and the cyclone unit 110. It is rotatably coupled to), and includes a plurality of filter units 130 for filtering the air that has undergone the dust separation process.
  • Each filter unit 130 may include a filter member 140 inserted into the cyclone unit 110 from the outside of the cyclone unit 110 and a cover member 150 coupled to the filter member 140. ), A cover coupling part 160 coupled to the cover member 150 to rotatably support the cover member 150, and coupled to the cover member 150 to rotate the cover member 150.
  • a coupling member 170 for operating, an elastic member 190 elastically supporting the coupling member 170, and a shaft for allowing the cover member 150 to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cover coupling portion 160. 180 is included.
  • the cover coupling part 160 may be coupled to the distribution unit 120.
  • the cover coupling part 16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distribution unit 120.
  • the filter member 140 includes a filter body 141 and an opening cover 143 extending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body 141.
  • the filter body 141 selectively passes through the exhaust opening 116 formed in the cyclone unit 110, and the opening cover 143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exhaust opening 116.
  • the dust container 200 includes a dust collecting body 210 in which a dust storage unit 214 is formed, and a lower cover 220 covering a lower sid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210.
  • the dust collecting body 210 for example,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lower side is opened. However, it is noted that there is no limitation in the shap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210 in the present embodiment.
  • a dust inlet 212 through which dust discharged from the dust separation unit 100 flows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211 of the dust collecting body 210.
  • the dust collecting unit 210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dust separation unit 100, the dust inlet 21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211 of the dust collecting body 210, the dust separation unit 100 Dust discharged from the can be easily dropped into the dust collecting body (210).
  • One side of the lower cover 220 is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ing body 210 by a hinge 222, the other side is selectively coupled to the dust collecting body 210 by a coupling hook 224.
  • the lower cover 220 is rotated to open the lower opening of the dust collecting body 210, the dust of the dust collecting body 210 may be easily discharged.
  • the dust collecting body 2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essing members 240 and 250 for pressing the dust stored in the dust storage unit 214.
  • the plurality of pressing members 240 and 250 may include a first pressing member 240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dust storage unit 214 and a second pressing member 250 fixed to the dust storage unit 214. ) Is included.
  • the exhaust guide unit 300, the exhaust member 330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dust separation unit 100, and the exhaust filter 340 for filtering the air that is seated on the exhaust member 330 is exhausted And a filter housing 350 that protects the exhaust filter 340, and guides the seating of the filter housing 350 to which the exhaust filter 340 is coupled, and the filter seating coupled to the exhaust member 333.
  • a guide 320 and an upper cover 310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exhaust member 330 is included.
  • An air discharge hole 311 is formed in the upper cover 310 to discharge air.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ir discharge hole 311 moves to the main body 10.
  • the upper cover 310 is coupled to the handle portion 312 to facilitate the grip of the user.
  • the handle part 312 is provided with a first coupling button 313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upper cover 310 and a second coupling button 314 for coupling to the main body 10.
  • the first coupling button 313 is selectively coupled with the inner decor 370.
  • an exhaust passage 332 through which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ust separation unit 100 flows is formed in the exhaust member 330.
  • the air discharged into the exhaust passage 332 is discharged through the air discharge hole 311 after passing through the exhaust filter 340.
  •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dust separation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the dust separation unit 100 includes a first dust separation body 101 and a second dust separation body 102 coupled to each other.
  • the first dust separation body 101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cyclone body 111 and the first cyclone body 111 to generate a first cyclone flow, and the first cyclone body A first dispensing body 121 for guiding air to 111 is included.
  • the second dust separation body 102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second cyclone body 112 and the second cyclone body 112 to generate a second cyclone flow, and the second cyclone body A second dispensing body 122 that directs air to 112 is included.
  • first cyclone body 111 and the second cyclone body 112 form the cyclone unit 110
  • first distribution body 121 and the second distribution body 122 are
  • the dispensing unit 120 constitutes.
  • Each of the cyclone bodies 111 and 112 includes an air suction unit 113. Therefore, the cyclone unit 110 as a whole, it can be seen that a plurality of air inlet 113 is formed.
  • a first dust outlet 114 is integrally formed in the first cyclone body 111, and a second dust outlet 115 is integrally formed in the second cyclone body 112.
  • the single dust discharge portion defines a single dust discharge flow path.
  • Each of the dust discharge parts 114 and 115 extends in a direction inclined with the cyclone flow axis A (see FIG. 6) in the cyclone bodies 111 and 112.
  • the dust discharge parts 114 and 115 ar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yclone unit 110, and each of the air suction parts 113 is located at both sides of the dust discharge parts 114 and 115, respectively.
  • a suction hole 123 is formed in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istribution bodies 121 and 122.
  • the suction hole 123 is formed in the first distribution body 121.
  • Each of the distribution bodies 121 and 122 includes flow guides 125 and 126 for guiding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hole 123 to flow into the respective air suction units 113. That is, the air sucked into the distribution unit 120 through the suction hole 123 is branched and flows along each of the flow guides 125 and 126, and then moves to the respective air suction units 113.
  • coupling bosses 124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s of each of the distribution bodies 121 and 122 to be coupled to the cover coupling unit 160.
  • Each of the cyclone bodies 111 and 112 is at least partially formed in a cylindrical or conical shape to generate cyclone flow.
  • the first dust separation body 101 has a first coupling surface 103
  • the second dust separation body 102 has a second coupling surface 104 facing the first coupling surface 103.
  • the exhaust opening 116 of each dust separation body (101, 102) is formed on the opposite surface of each of the engaging surfaces (103, 104).
  • the first dust separation body 101 and the second dust separation body 102 are coupled in the cyclone flow axis A direction (or side by side).
  • first engagement surface 103 and the second engagement surface 104 are inclined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cyclone flow axis A, and thus the first engagement surface 103 and the first engagement surface 103 are inclined (substantially perpendicular).
  • the two engagement surfaces 104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cyclone flow axis A.
  • the dust separation unit 100 may be easily manufactured, the manufacturing cost may be reduced, and the number of parts may be reduced.
  • each dust separation body (101, 102) when manufacturing each dust separation body (101, 102) separately in the same shape than when manufacturing one complete dust separation unit, the number of molds for forming each dust separation body (101, 102) And the mold structure can be simplified. Therefore, the dust separation unit 100 can be easily manufactured, and the production cost of the dust separation unit 100 can be reduced.
  • each of the dust separation body (101, 102) has the cyclone body (111, 112) and the distribution body (121, 122), it is not necessary to form a separate distribution body,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There is an advantage.
  • a seating portion 105 for mounting a sealer S (see FIG. 9) is formed on either one of the first coupling surface 103 and the second coupling surface 104.
  • the seating part 105 is formed on the first coupling surface 103.
  • first cyclone body 111 and the second cyclone body 112 are combined, a single cyclone chamber C is defined. That is, the first cyclone body 111 defines a part of the cyclone chamber C, and the second cyclone body 112 defines another part of the cyclone chamber C.
  • suction openings 113a penetrating through the cyclone bodies 111 and 112, and suction guides 113b protruding from the cyclone bodies 111 and 112 are provided. Included.
  • the suction guide 113b defines a side surface of the suction passage 113c in communication with the distribution unit 120. In addition, the suction passage 113c is covered by the exhaust member 330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dust separation unit 100.
  • a discharge guide 117 is formed at the outer side of each of the cyclone bodies 111 and 112 to guide the flow of air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opening 116.
  • the discharge guide 117 and each of the distribution bodies 121 and 122 define an air discharge passage 118.
  • the air discharge passage 118 communicates with an exhaust passage 332 of the exhaust member 330.
  • each of the cyclone bodies 111 and 112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ortion 119 for coupling the fastening hook 172 (see FIG. 12) of the coupling member to be described later.
  • FIG. 7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exhaust member of the first embodiment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exhaust member coupled to the dust separation unit.
  • FIG. 8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dust separation body is disclosed as an example, and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dust separation body is the same as that of the second dust separation body, only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dust separation body will be described below. Shall be.
  • the exhaust member 33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331 through which a fastening member for fastening with the dust separation unit 100 passes.
  • a hinge portion 338 is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exhaust member 330 to be coupled to the upper cover 310.
  • the exhaust member 33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xhaust passages 332 through which air in the air discharge passage 118 passes.
  • a flow path forming part 333 for defining a part of the suction flow path 113c is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exhaust flow paths 332.
  • the flow path forming unit 333 defines an upper surface of the suction flow path 113c.
  • the flow path forming portion 333 includes an intermediate portion 334, a first guide portion 335 positioned behind the intermediate portion 334 based on the suction direction of air, and the intermediate portion 334.
  • a second guide part 336 positioned in front is included.
  • the cyclone chamber C is disposed through the suction opening 113a. Flows into.
  • the flow path forming portion 333 may be formed to be generally rounded, or at least some surface (eg, an intermediate portion) may be flat.
  • the outer surfaces of the flow guide 125 and the first cyclone body 111 of the first distribution body 121 may connect the suction hole 123 and the suction passage 113c.
  • the connection flow path 127 to communicate is defined.
  • the lower surface of the forming unit 333, the inner surface of the flow guide 125,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clone chamber C form a continuous curved surface.
  • connection passage 127 and the suction passage 113c serve to guide air and dust to the suction opening 113a, the connection passage 127 and the suction passage 113c are guided. You can name it Euro. Then, the flow path forming unit 333 may be described as defining a part of the guide flow path.
  •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ir flow in the dust separation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Air discharged from the main body 10 is sucked into the distribution unit 120 through the suction hole 123.
  • the air sucked into the distribution unit 120 is sucked into the cyclone unit 110 through the suction openings 113a after being branched into the respective connection flow paths 127.
  • a plurality of cyclone flows are generated in a single cyclone chamber C inside the cyclone unit 110. That is, a first cyclone flow is generated inside the first cyclone body 111, and a second cyclone flow is generated inside the second cyclone body 112.
  • the sucked air is mov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clone unit 110 and moved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cyclone unit 110 to be collected. Receiving each other's separation.
  • the flow path area of the air is increased, and thus, the loss of the air path is reduced and the separation performance can be increased.
  • the size of the cyclone unit 110 may be smaller than the structure in which one cyclone flow is generated.
  • the separated dust (dotted line) is discharged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cyclone unit 110 to the dust discharge portion (114, 115), and flows inside the dust discharge portion (114, 115) after the dust container ( 200).
  • the air from which dust is separated (solid line) is filtered while passing through the holes 142 of the respective filter members 140 and then moved to the air discharge passage 118 through the exhaust opening 116.
  • the air on each of the air discharge passages 118 flows through the exhaust passage 332 of the exhaust member 330 and passes through the air discharge hole 311 of the upper cover 310. Is discharged from).
  •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ing member coupled to the cover memb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ver memb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ing memb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o be.
  • the cover member 150 is rotated while being coupled to the cover coupling part 160.
  • the cover member 150 covers one side of the discharge guide 117.
  • the cover member 15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astening bosses 154 for fastening by the filter member 140 and the fastening member.
  • the cover member 15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otation guides 151 and 152 to enable the cover member 150 to be rotated.
  • the plurality of rotation guides 151 and 152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ference to FIG. 11.
  • Insertion holes 153 for inserting the shaft 180 are formed in the rotation guides 151 and 152.
  • One portion of the shaft 180 is coupled to the cover coupling portion 160, and the other portion of the shaft 180 is coupled to the insertion hole 153 of the plurality of rotation guides 151 and 152.
  • the cover member 150 has a fastening portion 155 to which a screw is fastened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elastic member 190 in a state in which the elastic member 190 is seated, and supports the elastic member 190.
  • Support ribs 158 are included.
  • the cover member 150 has a through hole 156 through which the fastening hook 172 of the coupling member 170 penetrates, and a guide hole to which the guide hook 173 of the coupling member 170 is coupled. 157).
  • the fastening hook 172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 190 while the fastening hook 172 penetrates the through hole 156.
  • a leaf spring may be used for the elastic member 190 to increase space utilization.
  • the elastic member 190 exerts a force on the fastening hook 172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astening hook 172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portion 119.
  • the through hole 156 may move from side to side with reference to FIG. 11 while the coupling hook 172 and the guide hook 173 penetrate the through hole 156 and the guide hole 157. ) And the left and right lengths of the guide hole 157 are greater than the left and right lengths of the fastening hook 172 and the guide hook 173, respectively.
  • the coupling member 170 includes the fastening hook 172 and a plurality of guide hooks 173.
  • Each of the guide hooks 173 is formed on the spaced upper side and the spaced lower side of the fastening hook 172, respectively.
  •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lter memb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the filter member 140 includes a filter body 141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142 through which air passes, and extends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filter body 141. And an opening cover 143 for selectively covering the exhaust opening 116 and a flow guide 145 for guiding the flow of air passing through the hole 142.
  • the filter body 141 is selectively introduced into the cyclone chamber C through the exhaust opening 116. At least a portion of the filter body 141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 the reason why the filter body 141 is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cyclone chamber C is to facilitate the cleaning of the inside of the cyclone chamber C and the filter body 141.
  • the filter body 141 is drawn out of the cyclone chamber C, so that the user may use the filter body 141 or the like.
  • the interior of the cyclone chamber (C) can be easily cleaned.
  • the opening cover 143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44 through which a fastening member for fastening with the cover member 150 passes.
  • At least a portion of the flow guide 145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flow hole 146 through which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body 141 passes is formed.
  •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lter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rotated.
  • the plurality of filter bodies 141 are positioned inside the cyclone unit 110, even if dust is caught in any one of the filter bodies, air may pass through the other filter body. It becomes possible. Therefore,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one filter body is provided, the deterioration of the dust separation performance is not large.
  • the user manipulates the coupling member 170. Then, the fastening hook 172 of the coupling member 170 is removed from the coupling portion 119 of the cyclone unit 110. Then, the cover member 150 coupled with the filter member 140 is in a rotatable state. Next, when the cover member 150 is rotated, the filter body 141 located inside the cyclone unit 110 is drawn out of the cyclone unit 110.
  • the user may clean the filter body 141 or clean the inside of the cyclone unit 110.
  • the filter body 141 is drawn out of the cyclone unit 110, and at the same time, the exhaust opening 116 is opened. Accordingly, the filter body 141 or the cyclone unit 110 may be cleaned without disassembling the cyclone unit 110.
  •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ver member of the second embodiment.
  •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previous embodiment in other parts, except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tructure of the rotation guide for guiding the rotation of the cover member. Therefore, hereinafter, only characteristic parts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 the cover member 65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rotation guides 651 and 652.
  • the plurality of rotation guides 651 and 652 include a first guide 651 and a second guide 652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 portions of the guides 651 and 652 connected to the cover member 650 may be formed to have a smaller thickness than other portions.
  • the guides 651 and 652 are elastical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cover member 650.
  • Each of the guides 651 and 652 has a hinge axis 653 protruding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That is, the hinge shaft 653 of the first guide 651 protrudes upward, and the hinge shaft 653 of the second guide 652 protrudes downward.
  • a shaft insertion hole (not shown) for inserting each of the hinge shafts 653 may be formed in the cover coupling part 160 (see FIG. 4) of the first embodiment for supporting the cover member 650.
  • the hinge shaft 653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ver member 650,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hinge shaft of the separate article is unnecessary and the structure is simplif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Cyclon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진공 청소기를 제안한다. 상기 진공 청소기는, 흡입 모터가 구비되는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와 연통되며, 공기 및 먼지의 흡입을 위한 흡입 개구와, 먼지와 분리된 공기의 배출을 위한 배기 개구가 포함되는 먼지분리유닛과, 상기 먼지분리유닛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먼지통이 포함된다.

Description

진공 청소기
본 실시예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흡입 모터에 의하여 발생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한 다음, 먼지분리장치에서 먼지를 필터링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진공 청소기는,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 노즐이 본체와는 별도로 구비되어 연결장치에 의해서 연결되는 캐니스터 방식과, 흡입 노즐이 본체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업라이트 방식으로 구별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진공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에 장착되어 공기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도록 하는 먼지분리장치가 포함된다. 이와 같은 먼지분리장치는, 주로 싸이클론 원리에 의해서 공기와 먼지가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먼지분리장치에는 먼지분리챔버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분리챔버에는 먼지가 분리된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목적은, 먼지 분리 성능이 향상되는 진공 청소기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본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먼지분리챔버의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 부재의 청소가 용이한 진공 청소기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본 실시예의 또 다른 목적은, 먼지분리유닛이 다수 개의 바디로 구성되도록 하여 그 제작이 용이하도록 하는 진공 청소기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흡입 모터가 구비되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와 연통되며, 공기 및 먼지의 흡입을 위한 흡입 개구와, 먼지와 분리된 공기의 배출을 위한 배기 개구가 포함되는 먼지분리유닛; 및 상기 먼지분리유닛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먼지통이 포함되며, 상기 먼지분리유닛은, 다수의 먼지분리바디가 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먼지분리바디는, 상기 배기 개구를 통하여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와 연통되며, 공기 및 먼지 흡입을 위한 흡입개구와 공기의 배기를 위한 배기개구를 가지는 먼지분리유닛; 상기 흡입개구로 공기 및 먼지를 안내하는 흡입 유로; 상기 먼지분리유닛에 형성되어 상기 흡입 유로의 일부를 정의하는 흡입 가이드; 및 상기 먼지분리유닛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배기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며, 상기 흡입 유로의 다른 일부를 정의하는 배기부재가 포함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와 연통되며,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 개구가 형성되는 먼지분리유닛; 및 상기 먼지분리유닛에 움직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필터 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필터 유닛에는, 상기 먼지분리유닛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며, 상기 필터 유닛의 움직임 동작에 의해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배기 개구를 선택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먼지분리유닛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필터 부재와, 상기 필터 부재가 상기 먼지분리유닛에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 유닛이 상기 먼지분리유닛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결합 부재가 포함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먼지분리유닛에 복수의 공기 흡입부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먼지분리유닛 내부에서 복수의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하게 되어 공기의 유동 유로 면적이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공기의 유로 손실이 감소되어 분리 성능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수 개의 먼지분리바디가 싸이클론 유동의 축 방향으로 결합되므로, 상기 각 먼지분리바디를 제작하기 위한 금형 수가 줄어들게 되고, 금형의 구조가 간단해지게 되어 비용이 절감되고, 상기 먼지분리유닛의 제작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각 먼지분리바디가 싸이클론 바디와 분배 바디를 가지므로, 별도의 분배 바디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어, 부품의 수가 줄어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수 개의 먼지분리바디 싸이클론 유동의 축 방향으로 결합되므로, 상기 다수의 먼지분리바디의 접촉 부위의 실링 면적이 줄어들고, 실러의 길이가 줄어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각 먼지분리바디가 싸이클론 바디와 분배 바디를 가지므로, 별도의 분배 바디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어, 부품의 수가 줄어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공기 및 먼지가 원심력을 받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싸이클론 챔버로 유입되므로, 상기 싸이클론 챔버 내에서 싸이클론 유동이 원활하게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싸이클론 유닛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 바디가 상기 싸이클론 유닛의 외측에서 상기 싸이클론 유닛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필터 바디가 상기 싸이클론 유닛의 외측으로 용이하게 인출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상기 싸이클론 유닛을 분해하지 않아도 상기 필터 바디 또는 상기 싸이클론 유닛의 내부 청소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먼지분리장치가 분리된 상태의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먼지분리장치의 사시도.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먼지분리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먼지분리유닛의 사시도.
도 6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먼지분리유닛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7은 제 1 실시예의 배기 부재의 하부 사시도.
도 8은 상기 배기 부재가 상기 먼지분리유닛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9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먼지분리유닛에서의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버 부재에 결합 부재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1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버 부재의 사시도.
도 1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결합 부재의 사시도.
도 1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필터 부재의 사시도
도 1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필터 유닛이 회전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5는 제 2 실시예의 커버 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 들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먼지분리장치가 분리된 상태의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먼지분리장치가 업라이트 방식의 진공 청소기에 장착되는 것이 개시되나, 이와 달리 캐니스터 방식의 진공 청소기에 장착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진공 청소기(1)에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모터(미도시)가 구비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바닥면에 놓이는 흡입 노즐(20)과, 상기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먼지분리장치(60)와, 상기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흡입관(30)과, 상기 흡입관(30)에 연결되는 핸들(40)과, 상기 핸들(40)과 상기 본체(10)가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 호스(5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흡입 노즐(20)의 양측에는 각각 상기 흡입 노즐(20)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바퀴(22)가 구비된다.
상기 흡입 노즐(20)의 후측부에는 상기 본체(10)가 직립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 노즐(20)에 대해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조작 레버(24)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조작 레버(24)를 조작하면, 상기 본체(10)가 상기 흡입 노즐(20)에 대해서 회전하며, 사용자는 상기 핸들(40)을 잡고 상기 흡입 노즐(20)을 이동시키면서 바닥면을 청소하게 된다.
상기 먼지분리장치(60)는, 상기 본체(10)의 앞쪽 부분에 형성된 장착부(11)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흡입관(30)은 상기 본체(10)의 뒷쪽 부분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먼지분리장치(60)는, 상기 본체(10)로 흡입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시키고,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먼지분리장치(60)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먼지분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먼지분리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먼지분리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먼지분리장치(60)에는, 흡입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시키는 먼지분리유닛(100)과, 상기 먼지분리유닛(100)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먼지통(200)과, 상기 먼지분리유닛(100)에서 배출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배출 가이드 유닛(300)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분리유닛(100)은 상기 먼지통(200)의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배출 가이드 유닛(300)의 하측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분리유닛(100)에는 데코 커버(360)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통(200)과 상기 먼지분리유닛(100)이 결합된 상태에서 인너 데코(370) 및 아우터 데코(380)가 상기 데코 커버(360) 및 상기 먼지통(200)에 결합된다. 상기 데코 커버(360), 인너 데코(370) 및 아우터 데코(380)는 상기 먼지분리장치(60)의 미감이 향상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먼지분리유닛(100)에는, 공기 중의 먼지를 분리시키는 싸이클론 유닛(110)과, 상기 싸이클론 유닛(110)으로 공기 및 먼지를 안내하는 분배 유닛(120)과, 상기 싸이클론 유닛(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먼지 분리 과정을 거친 공기를 필터링하는 복수의 필터 유닛(130)이 포함된다.
상기 각 필터 유닛(130)에는, 상기 싸이클론 유닛(110)의 외측에서 상기 싸이클론 유닛(110) 내부로 삽입되는 필터 부재(140)와, 상기 필터 부재(140)와 결합되는 커버 부재(150)와, 상기 커버 부재(150)와 결합되어 상기 커버 부재(15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커버 결합부(160)와, 상기 커버 부재(150)에 결합되어 상기 커버 부재(150)의 회전을 위하여 조작하는 결합 부재(170)와, 상기 결합 부재(170)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190)와, 상기 커버 부재(150)가 상기 커버 결합부(16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샤프트(180)가 포함된다.
상기 커버 결합부(160)는 상기 분배 유닛(1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커버 결합부(160)는 상기 분배 유닛(12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 부재(140)에는, 필터 바디(141)와, 상기 필터 바디(141)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개구부 커버(143)가 포함된다.
상기 필터 바디(141)는 상기 싸이클론 유닛(110)에 형성되는 배기 개구(116)를 선택적으로 관통하고, 상기 개구부 커버(143)는 상기 배기 개구(116)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한편, 상기 먼지통(200)은, 먼지 저장부(214)가 형성되는 집진 바디(210)와, 상기 집진 바디(210)의 하측을 커버하는 하부 커버(220)가 포함된다.
상기 집진 바디(210)는, 일 례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측이 개구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집진 바디(210)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집진 바디(210)의 상면(211)에는 상기 먼지분리유닛(100)에서 배출된 먼지가 유입되는 먼지 유입부(212)가 형성된다.
상기 집진 바디(210)가 상기 먼지분리유닛(100)의 하측에 결합되고, 상기 집진 바디(210)의 상면(211)에 상기 먼지 유입부(212)가 형성되므로, 상기 먼지분리유닛(100)에서 배출된 먼지가 상기 집진 바디(210) 내부로 용이하게 낙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부 커버(220)는 일측이 힌지(222)에 의해서 상기 집진 바디(210)에 연결되고, 타측이 결합 후크(224)에 의해서 상기 집진 바디(210)에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하부 커버(220)가 회전되어 상기 집진 바디(210)의 하측 개구가 개방되면, 상기 집진 바디(210)의 먼지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집진 바디(210)에는 상기 먼지 저장부(214)에 저장된 먼지를 가압하기 위한 복수의 가압 부재(240, 250)가 구비된다.
상기 복수의 가압 부재(240, 250)에는, 상기 먼지 저장부(214)에 움직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1 가압 부재(240)와, 상기 먼지 저장부(214)에 고정되는 제 2 가압 부재(250)가 포함된다.
한편, 상기 배출 가이드 유닛(300)에는, 상기 먼지분리유닛(100)의 상측에 결합되는 배기 부재(330)와, 상기 배기 부재(330)에 안착되어 배기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배기 필터(340)와, 상기 배기 필터(340)를 보호하는 필터 하우징(350)과, 상기 배기 필터(340)가 결합된 상기 필터 하우징(350)의 안착을 가이드하며, 상기 배기 부재(333)에 결합되는 필터 안착 가이드(320)와, 상기 배기 부재(33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커버(310)가 포함된다.
상기 상부 커버(310)에는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공기 배출홀(311)이 형성된다. 상기 공기 배출홀(311)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본체(10)로 이동한다.
상기 상부 커버(310)에는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는 손잡이부(312)가 결합된다. 상기 손잡이부(312)에는 상기 상부 커버(310)의 위치 고정을 위한 제 1 결합 버튼(313)과, 상기 본체(10)에 결합되기 위한 제 2 결합 버튼(314)이 구비된다. 상기 제 1 결합 버튼(313)은 상기 인너 데코(370)와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 부재(330)에는 상기 먼지분리유닛(100)에서 배출된 공기가 유동하는 배기 유로(332)가 형성된다. 상기 배기 유로(332)로 배출된 공기는 상기 배기 필터(340)를 통과한 후에 상기 공기 배출홀(311)을 통하여 배출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먼지분리유닛(100)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구조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먼지분리유닛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먼지분리유닛(100)에는 상호 결합되는 제 1 먼지분리바디(101)와 제 2 먼지분리바디(102)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먼지분리바디(101)는 제 1 싸이클론 유동을 발생시키는 상기 제 1 싸이클론 바디(111)와, 상기 제 1 싸이클론 바디(111)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싸이클론 바디(111)로 공기를 안내하는 제 1 분배 바디(121)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먼지분리바디(102)는 제 2 싸이클론 유동을 발생시키는 상기 제 2 싸이클론 바디(112)와, 상기 제 2 싸이클론 바디(112)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싸이클론 바디(112)로 공기를 안내하는 제 2 분배 바디(122)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싸이클론 바디(111)와 상기 제 2 싸이클론 바디(112)는 상기 싸이클론 유닛(110)을 이루고, 상기 제 1 분배 바디(121)와 상기 제 2 분배 바디(122)는 상기 분배 유닛(120)을 이룬다.
상기 각 싸이클론 바디(111, 112)에는 공기 흡입부(113)가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싸이클론 유닛(110) 전체적으로는 복수의 공기 흡입부(113)가 형성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제 1 싸이클론 바디(111)에는 제 1 먼지 배출부(114)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싸이클론 바디(112)에는 제 2 먼지 배출부(115)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싸이클론 바디(111)와 상기 제 2 싸이클론 바디(112)가 결합되면, 상기 제 1 먼지 배출부(114)와 상기 제 2 먼지 배출부(115)가 결합되어 단일의 먼지 배출부가 완성된다.
그리고, 상기 단일의 먼지 배출부는 단일의 먼지 배출 유로를 정의한다. 그리고, 상기 각 먼지 배출부(114, 115)는 상기 각 싸이클론 바디(111, 112)에서 싸이클론 유동 축(A: 도 6참조)과 경사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 배출부(114, 115)는 상기 싸이클론 유닛(110)의 중앙부에 위치되고, 상기 각 공기 흡입부(113)는 상기 먼지 배출부(114, 115)의 양측에 각각 위치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분배 바디(121, 122) 중 어느 하나에는, 흡입홀(123)이 형성된다. 도 5에는 일 례로 제 1 분배 바디(121)에 상기 흡입홀(123)이 형성되는 것이 도시된다.
상기 각 분배 바디(121, 122)에는, 상기 흡입홀(123)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각 공기 흡입부(113)로 유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유동 가이드(125, 126)가 포함된다. 즉, 상기 흡입홀(123)을 통하여 상기 분배 유닛(120)으로 흡입된 공기는 분지되어 상기 각 유동 가이드(125, 126)를 따라 유동한 후에 상기 각 공기 흡입부(113)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각 분배 바디(121, 122)의 측면에는 상기 커버 결합부(160)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 보스(124)가 형성된다.
상기 각 싸이클론 바디(111, 112)는, 싸이클론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일부가 원통 또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 1 먼지분리바디(101)는 제 1 결합면(103)을 가지고, 상기 제 2 먼지분리바디(102)는 상기 제 1 결합면(103)과 마주보는 제 2 결합면(104)을 가진다. 이 때, 상기 각 먼지분리바디(101, 102)의 배기 개구(116)는 상기 각 결합면(103, 104)의 반대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먼지분리바디(101)와 상기 제 2 먼지분리바디(102)는 상기 싸이클론 유동 축(A) 방향(또는 나란한 방향)으로 결합된다.
즉, 상기 제 1 결합면(103)과 상기 제 2 결합면(104)은 싸이클론 유동 축(A)과 경사지며(실질적으로 수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제 1 결합면(103)과 상기 제 2 결합면(104)은 상기 싸이클론 유동 축(A) 방향으로 밀착된다.
이와 같이 두 개의 먼지분리바디(101, 102)가 싸이클론 유동 축 방향으로 결합됨에 따라 상기 먼지분리유닛(100)의 제작이 용이해지고, 제작 비용이 저감되며, 부품의 수가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즉, 하나의 완전한 먼지분리유닛을 제작하는 경우 보다, 동일한 형상으로 상기 각 먼지분리바디(101, 102)를 별도로 제작하는 경우가 상기 각 먼지분리바디(101, 102)를 형성하기 위한 금형의 수가 줄어들고, 금형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먼지분리유닛(100)의 제작이 용이하고, 상기 먼지분리유닛(100)의 제작 비용이 줄어들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각 먼지분리바디(101, 102)가 상기 싸이클론 바디(111, 112)와 분배 바디(121, 122)를 가지므로, 별도의 분배 바디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어, 부품의 수가 줄어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제 1 결합면(103) 또는 제 2 결합면(104) 중 어느 하나에는 실러(S: 도 9의 참조)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105)가 형성된다. 도 6에서는 일 례로 상기 안착부(105)가 상기 제 1 결합면(103)에 형성되는 것이 도시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먼지분리바디가 싸이클론 유동 축 방향으로 결합됨에 따라, 실링을 위한 면적 또는 실러의 길이가 줄어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복수의 먼지분리바디가 싸이클론 유동 축의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경우에 비하여, 상기 복수의 먼지분리바디가 싸이클론 유동 축 방향으로 결합되는 경우의 각 먼지분리바디의 접촉 면적이 줄어드므로, 실링을 위한 면적 또는 실러의 길이가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또한, 먼지분리유닛에 단일의 먼지 배출부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먼지분리유닛의 구조가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으며, 복수의 먼지 배출부가 형성되는 경우에 비하여, 공간 활용도가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제 1 싸이클론 바디(111)와 제 2 싸이클론 바디(112)가 결합되면 단일의 싸이클론 챔버(C)가 정의된다. 즉, 상기 제 1 싸이클론 바디(111)는 상기 싸이클론 챔버(C)의 일부를 정의하고, 상기 제 2 싸이클론 바디(112)는 상기 싸이클론 챔버(C)의 다른 일부를 정의한다.
상기 공기 흡입부(113)에는, 상기 각 싸이클론 바디(111, 112)에 관통 형성되는 흡입 개구(113a)와, 상기 각 싸이클론 바디(111, 112)에서 돌출 형성되는 흡입 가이드(113b)가 포함된다. 상기 흡입 가이드(113b)는 상기 분배 유닛(120)과 연통되는 흡입 유로(113c)의 측면을 정의한다. 그리고, 상기 흡입 유로(113c)는 상기 먼지분리유닛(100)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기 배기 부재(330)에 의해서 커버된다.
상기 각 싸이클론 바디(111, 112)의 측면에는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상기 배기 개구(11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싸이클론 바디(111, 112)의 측면 외측에는, 상기 배기 개구(116)를 통하여 배출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배출 가이드(117)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 가이드(117) 및 상기 각 분배 바디(121, 122)는 공기 배출 유로(118)를 정의한다. 상기 공기 배출 유로(118)는 상기 배기 부재(330)의 배기 유로(332)와 연통된다.
또한, 상기 각 싸이클론 바디(111, 112)에는, 후술할 결합 부재의 체결 후크(172: 도 12참조)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119)가 형성된다.
도 7은 제 1 실시예의 배기 부재의 하부 사시도이고, 도 8은 상기 배기 부재가 상기 먼지분리유닛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에서는 일 례로 제 1 먼지분리바디의 수직 단면도가 개시되며, 상기 제 1 먼지분리바디의 구성은 제 2 먼지분리바디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제 1 먼지분리바디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배기 부재(330)에는 상기 먼지분리유닛(100)과 체결되기 위한 체결 부재가 관통하는 다수의 체결홀(33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 부재(330)의 후측에는 상기 상부 커버(310)와 결합되기 위한 힌지부(338)가 형성된다.
상기 배기 부재(330)에는 상기 공기 배출 유로(118)의 공기가 통과하기 위한 복수의 배기 유로(332)가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배기 유로(332)의 사이에는 상기 흡입 유로(113c)의 일부를 정의하기 위한 유로 형성부(333)가 형성된다. 상기 유로 형성부(333)는 상기 흡입 유로(113c)의 상면을 정의한다.
상기 유로 형성부(333)에는, 중간부(334)와, 공기의 흡입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중간부(334)의 후방에 위치되는 제 1 가이드부(335)와, 상기 중간부(334)의 전방에 위치되는 제 2 가이드부(336)가 포함된다.
즉, 공기는 상기 제 2 가이드부(336), 상기 중간부(334) 및 상기 제 1 가이드부(335)를 따라 순차적으로 유동한 후에 상기 흡입 개구(113a)를 통하여 상기 싸이클론 챔버(C)로 유입된다.
이 때, 상기 유로 형성부(333)는 전체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거나, 적어도 일부 면(일 례로 중간부)이 평면일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분배 바디(121)의 유동 가이드(125)와 상기 제 1 싸이클론 바디(111)의 외면은 상기 흡입홀(123)과 상기 흡입 유로(113c)를 연통시키는 연결 유로(127)를 정의한다.
따라서, 상기 흡입홀(123)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싸이클론 바디(111)의 외면을 따라 유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 유로(127) 및 상기 흡입 유로(113c)에서의 공기 및 먼지의 유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배기 부재(330)가 상기 먼지분리유닛(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유로 형성부(333)의 하면과 상기 유동 가이드(125)의 내면 및 상기 싸이클론 챔버(C)의 내주면은 연속적인 곡면을 이룬다.
따라서, 공기 및 먼지가 상기 유동 가이드(125)의 내면 및 상기 유로 형성부(333)의 하면을 따라 유동하다가 상기 싸이클론 챔버(C)의 내주면을 따라 유동하므로, 상기 싸이클론 챔버(C)에서 싸이클론 유동이 원활하게 발생될 수 있다.
즉, 상기 유동 가이드(125)의 내면 및 상기 유로 형성부(333)의 하면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 및 먼지가 원심력을 받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싸이클론 챔버(C)로 유입되므로, 상기 공기 및 먼지가 상기 싸이클론 챔버(C)의 내주면을 따라 원활히 유동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 유로(127) 및 상기 흡입 유로(113c)는 공기 및 먼지를 상기 흡입 개구(113a)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므로, 상기 연결 유로(127) 및 상기 흡입 유로(113c)를 안내 유로라 이름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유로 형성부(333)는 상기 안내 유로의 일부를 정의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먼지분리장치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먼지분리유닛에서의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10) 내부에 구비된 흡입 모터에 의해서 흡입력이 발생되면 먼지가 포함된 공기는 상기 흡입 노즐(20)을 통하여 흡입된다. 흡입된 공기는 상기 본체(10)로 유입된 후에 상기 먼지분리장치(60)로 배출된다.
상기 본체(10)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흡입홀(123)을 통하여 상기 분배 유닛(120)으로 흡입된다. 그리고, 상기 분배 유닛(120)으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각 연결 유로(127)로 분지된 후에 상기 각 흡입 개구(113a)를 통하여 상기 싸이클론 유닛(110)의 내부로 흡입된다.
그러면, 상기 싸이클론 유닛(110) 내부의 단일의 싸이클론 챔버(C)에서 복수의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하게 된다. 즉, 상기 제 1 싸이클론 바디(111)의 내부에서 제 1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되고, 상기 제 2 싸이클론 바디(112)의 내부에서 제 2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된다.
그리고, 흡입된 공기는 상기 싸이클론 유닛(110)의 내주면을 따라 선회하면서 상기 싸이클론 유닛(110)의 중앙부로 이동되어 모이게 되고, 이 과정에서 공기와 먼지는 그 중량 차이에 의해 각기 다른 원심력을 받으면서 상호간의 분리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단일의 싸이클론 챔버(C)에서 복수의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됨에 따라 공기의 유동 유로 면적이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공기의 유로 손실이 감소되어 분리 성능이 증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단일의 싸이클론 챔버(C)에서 복수의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됨에 따라, 하나의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되는 구조보다 상기 싸이클론 유닛(110)의 크기를 작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단일의 싸이클론 챔버(C)에서 복수의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됨에 따라 공기가 복수의 싸이클론 유닛을 순차적으로 유동하는 구조와 유사한 먼지 분리 성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싸이클론 유닛에서 배출된 공기에서 먼지를 재차 분리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싸이클론 유닛이 요구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도 추가적인 싸이클론 유닛이 더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분리된 먼지(점선)는 상기 싸이클론 유닛(110)의 중앙부에서 상기 먼지 배출부(114, 115)로 배출되고, 상기 먼지 배출부(114, 115)의 내부를 유동한 후에 상기 먼지통(200)으로 낙하된다.
반면, 먼지가 분리된 공기(실선)는 상기 각 필터 부재(140)의 홀(142)을 통과하면서 필터링된 후 상기 배기 개구(116)를 통하여 상기 공기 배출 유로(118)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각 공기 배출 유로(118) 상의 공기는 상기 배기 부재(330)의 배기 유로(332)를 유동한 후에 상기 상부 커버(310)의 공기 배출홀(311)을 통하여 상기 먼지분리장치(60)에서 배출된다.
도 10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버 부재에 결합 부재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버 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1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결합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 부재(150)는 상기 커버 결합부(160)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부재(150)는 상기 배출 가이드(117)의 일측을 커버한다.
상기 커버 부재(150)에는 상기 필터 부재(140)와 체결 부재에 의해서 체결되기 위한 다수의 체결 보스(15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 부재(150)에는 상기 커버 부재(15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회전 가이드(151, 152)가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회전 가이드(151, 152)는 도 11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각 회전 가이드(151, 152)에는 상기 샤프트(180)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홀(153)이 형성된다. 상기 샤프트(180)는 일 부분이 상기 커버 결합부(160)에 결합되고, 다른 일 부분이 상기 복수의 회전 가이드(151, 152)의 삽입홀(153)에 관통 결합된다.
상기 커버 부재(150)에는 상기 탄성 부재(190)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 부재(19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크류가 체결되는 체결부(155)와, 상기 탄성 부재(190)를 지지하는 지지리브(158)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부재(150)에는, 상기 결합 부재(170)의 체결 후크(172)가 관통하는 관통홀(156)과, 상기 결합 부재(170)의 가이드 후크(173)가 결합되는 가이드 홀(157)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 후크(172)가 상기 관통홀(156)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 후크(172)는 상기 탄성 부재(190)에 의해서 탄성 지지된다. 상기 탄성 부재(190)는 공간 활용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일 례로 판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90)는 상기 체결 후크(172)가 상기 결합부(119)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체결 후크(172)로 힘을 가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 후크(172) 및 상기 가이드 후크(173)가 상기 관통홀(156) 및 상기 가이드 홀(157)을 관통한 상태에서 도 11을 기준으로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관통홀(156) 및 상기 가이드 홀(157)의 좌우 길이는, 각각 상기 체결 후크(172) 및 상기 가이드 후크(173)의 좌우 길이 보다 크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결합 부재(170)에는 상기 체결 후크(172)와 복수의 가이드 후크(173)가 포함된다. 상기 각 가이드 후크(173)는 상기 체결 후크(172)의 이격된 상측 및 이격된 하측에 각각 형성된다.
도 1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필터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필터 부재(140)에는, 공기가 통과하는 다수의 홀(142)이 형성되는 필터 바디(141)와, 상기 필터 바디(141)의 외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배기 개구(116)를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개구부 커버(143)와, 상기 홀(142)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유동 가이드(145)가 포함된다.
상기 필터 바디(141)는 상기 배기 개구(116)를 관통하여 상기 싸이클론 챔버(C)로 선택적으로 인입된다. 상기 필터 바디(141)는 적어도 일부가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필터 바디(141)가 상기 싸이클론 챔버(C)로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이유는, 상기 싸이클론 챔버(C) 내부 및 상기 필터 바디(141)의 청소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필터 부재(140)가 결합된 상기 커버 부재(150)를 회전시키면, 상기 필터 바디(141)가 상기 싸이클론 챔버(C)의 외부로 인출되므로, 사용자는 상기 필터 바디(141) 또는 상기 싸이클론 챔버(C)의 내부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개구부 커버(143)에는 상기 커버 부재(150)와 체결되기 위한 체결 부재가 관통하는 다수의 체결홀(144)이 형성된다.
상기 유동 가이드(145)는 적어도 일부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필터 바디(141)를 통과한 공기가 통과하는 유동홀(146)이 형성된다.
도 1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필터 유닛이 회전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싸이클론 유닛(110)에서 먼지 분리 과정이 수행되는 중에, 머리카락 등이 상기 필터 바디(141)에 감기거나 먼지가 상기 필터 바디(141)의 홀(142)을 막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공기가 상기 필터 바디(141)를 원활히 통과하지 못하기 때문에 먼지 분리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필터 바디(141)의 청소가 요구된다.
물론,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싸이클론 유닛(110) 내부에 복수의 필터 바디(141)가 위치되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필터 바디에 먼지가 끼는 경우에도, 공기가 다른 하나의 필터 바디를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하나의 필터 바디가 구비되는 경우에 비하여, 먼지 분리 성능의 저하는 크지 않다.
또한, 상기 먼지 배출부(114, 115) 내부 또는 입구에 부피가 큰 먼지가 끼는 경우 먼지가 배출되지 않기 때문에 청소가 요구된다.
따라서, 상기 싸이클론 유닛(110)의 내부 또는 상기 필터 바디(141)를 청소하기 위하여, 먼저, 사용자는 상기 결합 부재(170)를 조작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결합 부재(170)의 체결 후크(172)가 상기 싸이클론 유닛(110)의 결합부(119)로부터 탈거된다. 그러면, 상기 필터 부재(140)와 결합된 커버 부재(150)는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 다음, 상기 커버 부재(150)를 회전시키면, 상기 싸이클론 유닛(110) 내부에 위치해 있던 상기 필터 바디(141)가 상기 싸이클론 유닛(110) 외부로 인출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 바디(141)가 상기 싸이클론 유닛(110)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필터 바디(141)를 청소하거나, 상기 싸이클론 유닛(110) 내부를 청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필터 부재(140)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필터 바디(141)가 상기 싸이클론 유닛(110)의 외부로 인출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배기 개구(116)가 개방된다. 따라서, 상기 싸이클론 유닛(110)을 분해하지 않고 상기 필터 바디(141) 또는 상기 싸이클론 유닛(110)의 내부 청소를 할 수 있게 된다.
도 15는 제 2 실시예의 커버 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이전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커버 부재의 회전을 가이드하기 위한 회전 가이드의 구조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커버 부재(650)에는, 다수의 회전 가이드(651, 652)가 포함된다. 상기 다수의 회전 가이드(651, 652)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 1 가이드(651) 및 제 2 가이드(652)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각 가이드(651, 652)에서 상기 커버 부재(650)와 연결되는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하여 두께가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각 가이드(651, 652)는 상기 커버 부재(650)에 대해서 탄성 운동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각 가이드(651, 652)에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힌지축(653)이 각각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 가이드(651)의 힌지축(653)은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2 가이드(652)의 힌지축(653)은 하방으로 돌출된다. 이 때, 상기 커버 부재(650)를 지지하기 위한 제 1 실시예의 커버 결합부(160: 도 4참조)에는 상기 각 힌지축(653)이 삽입되기 위한 축 삽입홀(미도시)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힌지축(653)이 상기 커버 부재(650)와 일체로 형성되므로, 별도 물품의 힌지축이 불필요하게 되어 구조가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

Claims (16)

  1. 흡입 모터가 구비되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와 연통되며, 공기 및 먼지의 흡입을 위한 흡입 개구와, 먼지와 분리된 공기의 배출을 위한 배기 개구가 포함되는 먼지분리유닛; 및
    상기 먼지분리유닛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먼지통이 포함되며,
    상기 먼지분리유닛은, 다수의 먼지분리바디가 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먼지분리바디는, 상기 배기 개구를 통하여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호 결합되는 진공 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통은 상기 먼지분리유닛의 외측에 제공되는 진공 청소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분리유닛에는 상기 먼지통으로 먼지의 이동을 안내하는 먼지배출부가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먼지분리바디는, 제 1 싸이클론 유동을 발생시키는 제 1 먼지분리바디와, 상기 제 1 먼지분리바디와 결합되며, 제 2 싸이클론 유동을 발생시키는 제 2 먼지분리바디가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싸이클론 유동 및 상기 제 2 싸이클론 유동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진공 청소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먼지분리바디에는, 공기 및 먼지의 흡입을 위한 흡입 개구가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먼지분리바디 중 어느 하나에는 실러의 안착을 위한 안착부가 형성되는 진공 청소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먼지분리바디에는 상기 배기 개구가 각각 형성되는 진공 청소기.
  9. 제 8 항에 있어서,
    각각 상기 각 배기 개구를 관통하며, 공기를 필터링하는 다수의 필터 부재가 더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먼지분리바디에는 서로 마주보는 결합면이 형성되고,
    상기 각 배기 개구는 상기 각 먼지분리바디에서 상기 각 결합면의 반대면에 형성되는 진공 청소기.
  11.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와 연통되며, 공기 및 먼지 흡입을 위한 흡입개구와 공기의 배기를 위한 배기개구를 가지는 먼지분리유닛;
    상기 흡입개구로 공기 및 먼지를 안내하는 흡입 유로;
    상기 먼지분리유닛에 형성되어 상기 흡입 유로의 일부를 정의하는 흡입 가이드; 및
    상기 먼지분리유닛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배기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며, 상기 흡입 유로의 다른 일부를 정의하는 배기부재가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재에는 상기 흡입 유로의 다른 일부를 정의하기 위한 유로 형성부가 포함되고,
    상기 유로 형성부의 상기 흡입 유로를 정의하는 면은 일부 또는 전부가 라운드지는 진공 청소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분리유닛에는 싸이클론 챔버가 포함되고,
    상기 배기부재에는 상기 흡입 유로의 다른 일부를 정의하기 위한 유로 형성부가 포함되며,
    상기 유로 형성부의 상기 흡입 유로를 정의하는 면의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싸이클론 챔버의 내주면과 연속적인 곡면을 이루는 진공 청소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분리유닛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흡입 유로로 공기 및 먼지를 안내하기 위한 유동 가이드가 더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분리장치.
  15.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와 연통되며,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 개구가 형성되는 먼지분리유닛; 및
    상기 먼지분리유닛에 움직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필터 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필터 유닛에는,
    상기 먼지분리유닛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며, 상기 필터 유닛의 움직임 동작에 의해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배기 개구를 선택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먼지분리유닛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필터 부재와,
    상기 필터 부재가 상기 먼지분리유닛에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 유닛이 상기 먼지분리유닛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결합 부재가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유닛에는, 상기 필터 부재와 결합되는 필터 커버와,
    상기 필터 커버를 움직임 가능하게 지지하는 커버 결합부가 더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PCT/KR2009/000685 2009-02-12 2009-02-12 진공 청소기 WO2010093072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9/000685 WO2010093072A1 (ko) 2009-02-12 2009-02-12 진공 청소기
AU2009340149A AU2009340149B2 (en) 2009-02-12 2009-02-12 Vacuum cleaner
KR1020117001964A KR20110048511A (ko) 2009-02-12 2009-02-12 진공 청소기
CA2738294A CA2738294C (en) 2009-02-12 2009-02-12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9/000685 WO2010093072A1 (ko) 2009-02-12 2009-02-12 진공 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93072A1 true WO2010093072A1 (ko) 2010-08-19

Family

ID=42561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09/000685 WO2010093072A1 (ko) 2009-02-12 2009-02-12 진공 청소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110048511A (ko)
AU (1) AU2009340149B2 (ko)
CA (1) CA2738294C (ko)
WO (1) WO201009307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89039B2 (en) 2018-10-08 2022-07-19 Black & Decker, Inc. Vacuum clea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459B1 (ko) 2014-12-01 2016-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및 집진장치
KR101653481B1 (ko) 2015-01-16 2016-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및 집진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2883A (ko) * 2002-05-31 2003-12-06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KR100730956B1 (ko) * 2006-04-27 2007-06-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청소기의 집진실 압축장치
KR100816909B1 (ko) * 2007-04-12 2008-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2883A (ko) * 2002-05-31 2003-12-06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KR100730956B1 (ko) * 2006-04-27 2007-06-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청소기의 집진실 압축장치
KR100816909B1 (ko) * 2007-04-12 2008-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89039B2 (en) 2018-10-08 2022-07-19 Black & Decker, Inc. Vacuum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38294A1 (en) 2010-08-19
KR20110048511A (ko) 2011-05-11
CA2738294C (en) 2014-10-21
AU2009340149A1 (en) 2010-08-19
AU2009340149B2 (en) 2013-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262863A1 (en) Robot cleaner, station, and cleaning system
AU2016340619B2 (en) Cyclone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WO2009104878A2 (en) Vacuum cleaner and dust separation apparatus thereof
WO2019164257A1 (en) Cleaner
WO2022014850A1 (ko) 청소기
EP3860417A1 (en) Robot cleaner, station and cleaning system
WO2022075570A1 (ko) 청소 시스템과 도킹장치
WO2016190565A1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WO2017131462A1 (ko) 진공청소기
WO2011055862A1 (ko) 진공청소기
WO2010016672A2 (ko) 진공 청소기
WO2011055861A1 (ko) 진공청소기
WO2018110911A1 (en) Cyclone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WO2011010787A1 (ko) 제진된 먼지 제거 기능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및 진공청소기
WO2019212119A1 (ko) 청소기
WO2010041799A1 (ko) 진공 청소기
WO2010093072A1 (ko) 진공 청소기
WO2011087173A1 (ko) 진공 청소기
WO2022014849A1 (ko) 청소기
WO2021215844A1 (ko) 청소기거치대
WO2011025071A1 (ko) 진공 청소기
WO2019146924A1 (ko) 청소기
WO2022173108A1 (ko)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WO2021230490A1 (ko) 먼지통 및 이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
WO2019146922A1 (ko)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0984006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17001964

Country of ref document: KR

Kind code of ref document: A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09340149

Country of ref document: AU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738294

Country of ref document: CA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09340149

Country of ref document: AU

Date of ref document: 20090212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0984006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