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9190B1 - 부표 및 이를 채택한 물통 - Google Patents

부표 및 이를 채택한 물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9190B1
KR100779190B1 KR1020060052007A KR20060052007A KR100779190B1 KR 100779190 B1 KR100779190 B1 KR 100779190B1 KR 1020060052007 A KR1020060052007 A KR 1020060052007A KR 20060052007 A KR20060052007 A KR 20060052007A KR 100779190 B1 KR100779190 B1 KR 100779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
bucket
water tank
inle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2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60052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91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9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9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3Liquid supply reservoirs; Preparation of the agents, e.g. mixing devices

Landscapes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표 및 이를 채택한 물통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물통의 연결관에 부표가 설치되어, 물통의 수위를 용이하게 알 수 있는 부표 및 이를 채택한 물통에 관한 것이다.
부표, 추, 물통

Description

부표 및 이를 채택한 물통{Buoy and water tank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팀청소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통 뚜껑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통 설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물통본체 110 : 보조홈
120 : 홈 130 : 뚜껑
131 : 손잡이 132 : 관통공
200 : 물통장착부 210 : 지지부
211 : 안착홈 220 : 배출부
221 : 상향절곡부 222 : 이송부
310 : 연결관 320 : 부표
321 : 돌출부 322 : 부표몸체
323 : 끼움부 324 : 걸림턱
330 : 추 340 : 토출부
341 : 이송부 342 : 하향절곡부
350 : 실링부재
한국등록특허 제10-194379호
본 발명은 부표 및 이를 채택한 물통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물통의 연결관에 부표가 설치되어, 물통의 수위를 용이하게 알 수 있는 부표 및 이를 채택한 물통에 관한 것이다.
스팀청소기에 설치되는 물통은 한국등록특허 제10-194379호에 제시된 것이 있다.
종래의 스팀청소기는, 내부로 모터와 필터가 설치되고 캐니스터형 진공청소기의 본체와 호스로 연결되며 끝단에 브러쉬가 연결되는 브러쉬파이프의 일측으로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였다가 공급할 수 있게 설치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정량, 정압으로 공급하여 주기 위해 설치되는 급수펌프와, 상기 급수펌프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일정온도로 끓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가열기, 상기 가열기에서 발생시키는 증기를 브러쉬의 전면쪽으로 분사 공급시켜주기 위해 가열기와 브러쉬사이에 스팀관이 연결 설치되어 구성된 것이다.
종래의 이러한 스팀청소기는 상기 물탱크를 상기 브러쉬파이프에 설치하기 위해 여러 부품이 필요하여 설치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물탱크의 물의 높이가 어느정도인지 분간하기가 힘들어서 물탱크의 급수시기를 알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물통의 연결관에 부표가 설치되어, 물통의 수위를 용이하게 알 수 있는 부표 및 이를 채택한 물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부표는, 입구와 상기 입구에 연통되도록 출구가 형성되는 부표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수면에 위치하면서 유체를 상기 입구를 통해 상기 출구로 배출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부표몸체 하부에 설치되는 추를 포함하여, 유체에 유동이 생기더라도 상기 입구가 수면 아래에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부표몸체는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상기 부표몸체는 안정적으로 수면에 떠 있을 수 있다.
상기 부표몸체에는 상기 입구 둘레로 끼움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추에는 상기 끼움부가 끼워지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부 외주면에는 상기 추가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부표몸체와 추를 조립하기에 용이해지며, 추가 부표몸체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통은, 배출부가 형성된 물통본체와, 상기 물통본체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배출부에 연결되는 플랙서블한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에 설치되는 부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물통본체는 내부 투시가 가능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물통의 수위를 용이하게 알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연결관에 설치되는 추를 포함하여, 부표가 뒤집어 지는 것을 방지하여 물통이 어떤 상태에 있더라도 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부표는 부표몸체와, 상기 부표몸체에 상기 입구 둘레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끼움부와, 상기 부포몸체에 상기 출구 둘레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관에 끼워지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추에는 상기 끼움부가 끼워지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부 외주면에는 상기 추가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부표 및 추를 용이하게 상기 연결관에 설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팀청소기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통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통 뚜껑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통 설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스팀청소기는, 진공흡입본체(미도시)와, 먼지를 흡입하고 걸레가 장착되어 청소를 하는 청소부와, 청소부에 연결되어 먼지를 이송하는 물통장착부(200)와, 물통장착부(200)와 상기 진공흡입본체를 연결하는 호스(미도시), 물통장착부(200)의 전방에 설치되는 물통본체(100)와, 물통장착부(200)의 후방에 설치되는 보일러(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진공흡입본체는 먼지흡입을 위한 모터와 코드를 보관하기 위한 코드릴과 먼지통을 가진다.
상기 호스는 물통장착부(200)와 상기 진공흡입본체를 연결하며 전원공급용 코일을 지닌다.
이와 같이 진공청소 기능과 스팀청소기능을 동시에 갖고 있는 스팀청소기는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제10-2006-20871호에 제시된 것이 있으므로 자세한 사항은 이를 참고하기로 한다.
보일러는 순간가열식으로 열전도가 잘 되는 재질로 형성되며, 케이싱에 둘러싸여 물통장착부(200)의 배면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설치된다.
보일러와 물통본체(100) 사이에는 펌프(미도시)가 설치되어, 물통본체(100)의 물을 상기 보일러로 효과적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펌프도 케이싱 내부에 배치된다.
물통장착부(200)는 먼지가 이송되는 관부(230)와, 상기 관부(230) 양측 외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설치부(240)를 포함한다.
관부(230)는 중공체로 형성되어 단면형상이 원통형상이다.
설치부(240)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관부(23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설치부(240)의 전면에는 토출부(220)가 설치되어 있다.
토출부(220)는 전부방향으로 배치되는 이송부(222)와, 이송부(222)에 상향 절곡되어 형성된 상향절곡부(221)를 포함한다.
즉, 토출부(220)는 전체적으로 'ㄴ'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향절곡부(221)에는 토출부(220)에 형성된 유로에 연통되도록 안착홈(22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토출부(220)의 이송부(222)는 설치부(240)를 관통하여 물통장착부(200)의 배면에 설치되는 보일러(미도시)에 물이 유입되도록 한다.
물통장착부(200) 전방에는 물통본체(100) 하부에 배치되어 물통본체(100)를 지지하는 지지부(210)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지지부(210)의 상면에는 물통본체(100)의 굴곡진 바닥면이 안착되도록 안착홈(21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지지부(210)로 인해, 물통본체(100)는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물통장착부(200)에 고정될 수 있다.
물통본체(100)는 물통장착부(200)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면과 배면의 일측이 절개되어 홈(120)이 형성되어 있다.
물통본체(100)는 단면형상이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전면을 굴곡지게 형성 되며 배면은 평탄면으로 형성되며, 바닥면은 아래로 볼록하도록 형성된다.
물통본체(100)는 내부 투시가 가능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는 다르게, 물통본체(100)는 일부분만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물통본체(100) 배면 중심부에는 관부(110)가 끼워지는 보조홈(110)이 물통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물통본체(100) 상면에는 물을 넣을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멍을 개폐하는 뚜껑(130)이 설치된다.
뚜껑(130)은 나사결합등에 의해 상기 구멍에 설치되며, 상면에는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131) 돌출되어 형성된다.
뚜껑(130)에는 관통공(132)이 형성되며, 뚜껑(130) 하면에는 관통공(132)에 연결되는 곡관(133)이 설치된다.
곡관(133)은 유로가 작게 형성되어 모세관으로 형성된다.
곡관(133)은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완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완넥(swan neck) 형상은 상향 절곡되고, 다시 하향절곡되어 절곡부가 두번 형성되는 형상이다.
전술한 바와는 다르게, 곡관(133)은 나선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곡관(133)이 형성되어, 물통본체(100)가 흔들리더라도 물통본 체(100) 내부의 물이 쉽게 곡관(133)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게 된다.
또한, 물통본체(100) 내부의 물이 유출되게 되면 이때 생기는 압력으로 인해 곡관(133)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물통본체(100)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또한, 뚜껑(130) 하면에는 곡관(133)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뚜껑(130)을 물통본체(100)에 용이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134)가 곡관(133)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배출부(340)는 홈(120)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물통본체(100) 배면에 설치된다.
배출부(340)는 물통본체(100)에 융착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배출부(340)는 연결관(310)에 연결되는 이송부(341)와 이송부(341)에서 하향 절곡되어 형성되는 하향절곡부(342)를 포함한다.
즉, 배출부(340)는 전체적으로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향절곡부(342)의 외주면에는 링형상의 실링부재(350)가 끼워져서, 토출부(220) 내벽과 배출부(340) 사이에는 실링부재(350)가 배치된다.
이러한 실링부재(350)가 배치되어, 토출부(220)와 상기 배출부(340) 사이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물통본체(100)에 설치된 배출부(340)의 하향절곡부(342)를 토출부(220)의 상향절곡부(342)에 압입시킨다.
이와 동시에, 물통장착부(200)의 관부(230)에 보조홈(110)을 끼워넣음으로써, 물통본체(100)의 설치가 끝나게 된다.
이와 같이, 물통본체(100)를 설치하기 위해서 별도의 구성이 필요하지 않게 되며 물통장착부(200)에 물통본체(100)를 장착하기에 용이하다.
배출부(340)가 상부에 있고 물통본체(100)가 세워진 상태에서 탈착하기 때문에 물통본체(100) 내부의 물이 외부로 누수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는 다르게, 물통장착부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 'ㄴ'자 형상의 토출부가 배치되고, 상기 토출부에 'ㄱ'자 형상의 배출부가 끼워지도록 하여 물통장착부에 물통본체가 장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연결관(310)은 배출부(340)에 연결되며, 물통본체(100) 내부에 배치되고, 플랙서블한 재질로 형성된다.
부표는 부표몸체(322)와, 부표몸체(322)에 하부에 형성되는 끼움부(323)와, 부표몸체(322)에 상부에 형성되는 돌출부(321)를 포함하며, 연결관(310)에 설치된다.
부표몸체(322)는 입구와 상기 입구에 연통되도록 출구가 형성된다.
즉, 부표몸체(322)에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이러한 부표는 수면에 위치하면서 유체를 상기 입구를 통해 상기 출구로 배출시킨다.
부표몸체(322)는 하부로 향할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부표몸체(322)는 안정적으로 수면에 떠 있을 수 있다.
부표몸체(322) 하면에는 상기 입구 둘레로 끼움부(323)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끼움부(323) 하부 외주면에는 추(330)가 걸리는 걸림턱(324)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걸림턱(324)은 외측으로 향할수록 두께가 작아지도록 하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걸림턱(324)으로 인해, 추(330)를 끼움부(323)에 끼우기에 용이해지며, 추(330)가 부표몸체(322)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부표몸체(322) 상면에는 상기 출구 둘레로 연결관(310)에 끼워지는 돌출부(321)가 형성된다.
추(330)는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끼움부(323)에 끼워져서 부표몸체 (322)하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펌프가 작동하여 물통본체(100) 내부의 물을 빨아들이게 되면, 부표몸체(322)의 입구를 통해 물통본체(100) 내부의 물이 유입되게 되어, 연결관(310)으로 이송된다.
여기서, 부표몸체(322) 하부에는 추(330)가 설치되어, 부표의 무게중심이 낮게 잡힘으로써, 부표가 뒤집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입구가 항상 수면 아래에 위치하도록 한다.
한편, 펌프가 작동하여 물통본체(100)의 물이 빠져나가면 그 압력으로 인해 물통본체(100) 내부에는 뚜껑(130)에 형성된 관통공(132)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게 된다.
또한, 부표가 항상 수면에 떠있게 되어,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물통본체(100) 외부에서도 부표의 위치를 알 수 있게 되어, 용이하게 물통본체(100)의 수위를 알 수 있게 되어, 물공급시기를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결관(310)을 통해 물통본체(100)의 상부에 설치된 배출부(340)로 물이 이송되어 물통본체(100)의 기울어짐에 상관없이 상기 펌프의 흡입력이 없을 때에는 물이 배출부(340)로 배출되지 않고, 흡입력이 작용할 때에만 배출부(340)를 통해 상기 보일러로 물이 공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부표 및 이를 채택한 물통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입구와 상기 입구에 연통되도록 출구가 형성되는 부표몸체를 포함하여, 수면에 위치하면서 유체를 상기 입구를 통해 상기 출구로 배출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부표몸체 하부에 설치되는 추를 포함하여, 유체에 유동이 생기더라도 상기 입구가 수면 아래에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부표몸체는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상기 부표몸체는 안정적으로 수면에 떠 있을 수 있다.
상기 부표몸체에는 상기 입구 둘레로 끼움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추에는 상기 끼움부가 끼워지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부 외주면에는 상기 추가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부표몸체와 추를 조립하기에 용이해지며, 추가 부표몸체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연결관에 설치되는 부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물통본체는 내부 투시가 가능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물통의 수위를 용이하게 알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부포몸체에 상기 출구 둘레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관에 끼워지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부표 및 추를 용이하게 상기 연결관에 설치할 수 있다.

Claims (7)

  1. 입구 및 상기 입구에 연통되도록 출구가 형성되는 부표몸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표몸체 하부에 설치되는 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표몸체는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표몸체에는 상기 입구 둘레로 끼움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추에는 상기 끼움부가 끼워지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부 외주면에는 상기 추가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표.
  5. 배출부가 형성된 물통본체;
    상기 물통본체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배출부에 연결되는 플랙서블한 연결관;
    상기 연결관에 설치되는 부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물통본체는 내부 투시가 가능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통.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에 설치되는 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통.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부표는 부표몸체와, 상기 부표몸체에 상기 입구 둘레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끼움부와, 상기 부포몸체에 상기 출구 둘레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관에 끼워지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추에는 상기 끼움부가 끼워지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부 외주면에는 상기 추가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통.
KR1020060052007A 2006-06-09 2006-06-09 부표 및 이를 채택한 물통 KR100779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2007A KR100779190B1 (ko) 2006-06-09 2006-06-09 부표 및 이를 채택한 물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2007A KR100779190B1 (ko) 2006-06-09 2006-06-09 부표 및 이를 채택한 물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9190B1 true KR100779190B1 (ko) 2007-11-23

Family

ID=39080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2007A KR100779190B1 (ko) 2006-06-09 2006-06-09 부표 및 이를 채택한 물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91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4683A2 (ko) 2009-05-19 2010-11-25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습식집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1875Y1 (ko) 1999-10-04 2000-03-15 한경희 스팀청소기
KR100401327B1 (ko) 2000-10-06 2003-10-10 한경희 스팀청소기
KR200359231Y1 (ko) 2004-05-18 2004-08-16 박항로 물걸레 스팀청소기
KR200401868Y1 (ko) 2005-08-22 2005-11-22 (주)한국하비비 업라이트형 진공스팀청소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1875Y1 (ko) 1999-10-04 2000-03-15 한경희 스팀청소기
KR100401327B1 (ko) 2000-10-06 2003-10-10 한경희 스팀청소기
KR200359231Y1 (ko) 2004-05-18 2004-08-16 박항로 물걸레 스팀청소기
KR200401868Y1 (ko) 2005-08-22 2005-11-22 (주)한국하비비 업라이트형 진공스팀청소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4683A2 (ko) 2009-05-19 2010-11-25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습식집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90587B (zh) 包括用于产生蒸汽并具有可拆卸储箱的基部的家电设备
US7370665B2 (en) Tanks
JP4615169B2 (ja) バルブ
RU2402431C2 (ru) Система отбора топлива для дополнительного нагревательного прибора
US20050006405A1 (en) Bottled type water dispenser
KR100779190B1 (ko) 부표 및 이를 채택한 물통
JP2005226524A (ja) 燃料供給装置
KR20210023263A (ko) 물통 수위를 알 수 있는 부표
US6839933B2 (en) Fluid supply tank for hand held vacuum
KR100779189B1 (ko) 스팀청소기의 물통장착구조
EP2309910B1 (en) Nozzle for cleaner
CN215457699U (zh) 清洁机器人的水箱、清洁机器人以及清洁系统
JP4697674B2 (ja) ポット
JP2008155890A (ja) 燃料タンク構造
KR20070078482A (ko) 진공청소기용 걸레물공급장치
CN113080779A (zh) 清洁机器人的水箱、清洁机器人以及清洁系统
JP6131451B2 (ja) 水加熱容器
JP4851236B2 (ja) 電動給液ポンプ
CN219680541U (zh) 一种用于清洗机的排水系统及清洗机
JP4435384B2 (ja) 貯液タンク
KR20090001801U (ko) 싱크대에 설치되는 세정용기
KR200300620Y1 (ko) 보일러용 수류스위치
JP2007253867A (ja) ウォッシャ液供給装置
KR20080022966A (ko) 물통 연결장치
JP2004121358A (ja) 電気湯沸かし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