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0655B1 - 건식 및 습식 이중필터방식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건식 및 습식 이중필터방식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0655B1
KR100800655B1 KR1020060062342A KR20060062342A KR100800655B1 KR 100800655 B1 KR100800655 B1 KR 100800655B1 KR 1020060062342 A KR1020060062342 A KR 1020060062342A KR 20060062342 A KR20060062342 A KR 20060062342A KR 100800655 B1 KR100800655 B1 KR 100800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
vacuum cleaner
filter
reservoir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2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3976A (ko
Inventor
김종기
Original Assignee
김종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기 filed Critical 김종기
Priority to KR1020060062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0655B1/ko
Publication of KR20080003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0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0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47L9/122Dry filters fl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8Liquid filters
    • A47L9/181Separating by passing the air through a liquid b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의 분리 및 수집된 먼지 등의 처리가 용이하고, 필터유닛을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청소효율이 우수한 건식 및 습식 이중필터방식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면이 개방된 통형상의 본체(100)와, 이 본체(100)의 상면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된 커버체(200)와, 본체(100)의 내부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수납되는 먼지수집통(110)과, 상기 먼지수집통(110)에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는 건식필터유닛(120)과, 본체(100)의 먼지수집통(110)의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수납되는 저수통(130)과, 상기 커버체(2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에어통로(210)와, 에어통로(210) 상에 형성되는 흡입팬(230)으로 구성된 진공청소기이다.
진공청소기, 습식, 먼지수집통, 저수통, 이중필터

Description

건식 및 습식 이중필터방식 진공청소기{Vacuum cleaner with dry filter and water filt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커버를 개방한 상태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정단면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먼지수집통 부분의 구성도
도 5는 상기 실시예의 저수통 부분의 구성도
도 6은 상기 실시예의 타측에서 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체 110. 먼지수집통
120. 건식필터유닛 130. 저수통
132. 에어유도관 134, 부력체
138. 비산방지판 150. 흡입호스
154. 직립연장관 160. 차단판
200. 커버체 210. 에어통로
220. 모터 230. 흡입팬
250. 배기구
본 발명은 건식 및 습식 이중필터방식 진공청소기에 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히는 필터의 분리 및 수집된 먼지 등의 처리가 용이하고, 필터유닛을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 경제적이며, 미세한 먼지까지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효율이 우수하면서도 소음발생이 적어서 사용성이 우수한 새로운 구조의 건식 및 습식 이중필터방식 진공청소기에 대한 것이다.
종래에 가정용 또는 산업용 진공청소기가 여러 가지 나와 있다. 이러한 진공청소기는 대체로 소모품인 필터백에 이물질을 수집하여, 필터백이 이물질로 채워지면 필터백을 이물질과 함께 버리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소모품인 필터백의 빈번한 교체에 따른 비용이 들고, 소모품인 필터백은 상대적으로 취약하여 취급 중에 터져서 수집된 이물질이 주변에 흩어질 수 있었다. 또한, 종래의 진공청소기는 대체로 모터나 팬의 회전에 따른 소음과 더불어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에 따른 소음이 합쳐져서 큰 소음이 발생되었다.
한편, 종래에 내부에 물을 담은 워터필터를 구비하여, 흡입한 이물질을 통과시켜서 이물질을 거르도록 한 진공청소기도 소개되고 있으나, 흡입된 이물질을 워터필터에만 의존하여 제거하는 경우에는 물의 자주 교체해야 하고, 이물질이 물을 통과하는 경우에는 수위에 따라 진공흡인력이 약화되는 등 효율적인 이물질제거가 곤란하였다.
아울러, 종래의 진공청소기는 필터나 수집통의 교체가 번거로워서 사용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진공청소기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건식필터 습식필터를 동시에 구비하여 미세한 먼지까지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청소효율이 우수한 새로운 구조의 건식 및 습식 이중필터방식 진공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일회용 필터백을 사용하지 않아서 유지비용이 절감되어 경제적이며, 필터의 분리 및 오염된 물이나 먼지의 처리가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진공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취급이 용이하며, 소음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진공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상면이 개방된 통형상의 본체(100)와, 이 본체(100)의 상면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된 커버체(200)와, 상기 본체(100)의 내부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수납되며 흡입호스(150)가 연결되는 흡입구(152)가 연통되는 먼지수집통(110)과, 상기 먼지수집통(110)의 상면에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는 건식필터 유닛(120)과, 본체(100)의 먼지수집통(110)의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수납되며 상면이 개방된 저수통(130)과, 상기 커버체(200)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먼지수집통(110)의 상부에 면하는 유입구(212)와 상기 저수통(130)의 상부에 면하는 배출구(214)를 상호 연통시키는 에어통로(210)와, 상기 저수통(130)과 연통되며 상기 본체(100) 또는 커버체(200)에 형성된 배기구(250)와, 상기 에어통로(210) 상에 형성되며 모터(220)에 의해 구동되는 흡입팬(2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및 습식 이중필터방식 진공청소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먼지수집통(110)의 흡입구(152)는 먼지수집통(110)의 저면에 관통되어 상부로 연장되는 직립연장관(154)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및 습식 이중필터방식 진공청소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먼지수집통(110)의 내부에는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방사판(15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및 습식 이중필터방식 진공청소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먼지수집통(110)의 직립연장관(154)에 면하는 건식필터유닛(120)의 저면에는 흡입된 먼지가 부딪혀서 우회하는 만곡 또는 경사진 차단판(16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및 습식 이중필터방식 진공청소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건식필터유닛(120)의 외부면에는 횡단가이드(126)가 구비되고, 이 횡단가이드(126)에는 여과엘리먼트(125)에 접촉되는 탈진슬라이더(128)가 슬라이드되도록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및 습식 이중필터방식 진공청소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저수통(130)에는 상기 커버체(200)의 배출구(214)에 그 상단이 결합되며 저수통(130) 속으로 하향 연장되는 에어유도관(132)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및 습식 이중필터방식 진공청소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에어유도관(132)은 신축가능하게 구성되고, 그 하부에는 물에 잠기는 부력체(13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및 습식 이중필터방식 진공청소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저수통(130)의 에어유도관(132)의 타측에는 물의 비산을 방지하는 비산방지판(138)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및 습식 이중필터방식 진공청소기가 제공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 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외관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커버를 개방한 상태도, 도 3은 그 정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면이 개방된 본체(100)와, 이 본체(100)의 상면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된 커버체(200)가 힌지결합되고, 이 커버체(200)는 잠금장치(102,202)로 본체(100)에 잠금결합 또는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0)의 내부 일측에는 흡입호스(150)가 연결되는 흡입구(152)와 연통되는 먼지수집통(110)이 착탈가능하게 수납된다. 그리고, 이 먼지수집통(110)의 일측에는 상면이 개방된 저수통(130)이 착탈가능하게 수납된다. 또한, 본체(100)의 일측에는 손잡이(180)가 직립연장되고, 본체(100)의 저면에는 캐스터(162)가 부착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흡입구(152)는 먼지수집통(110)의 저면 중앙으로 연통되고, 이 흡입구(152)에는 먼지수집통(110)의 중심부에서 상향연장되는 직립연장관(154)이 결합된다. 먼지수집통(110)의 상면에는 부직포나 여과엘리먼트(125)가 내장된 사각형 건식필터유닛(120)이 안착된다. 이 건식필터유닛(120)은 손잡이(122)가 달리고 개구부(124)가 형성된 덮개판(121)으로 덮인다. 건식필터유닛(120)의 저면에는 돔형상의 차단판(160)이 부착되어, 상기 흡입구(152)와 직립연장관(154)을 통해 유입된 먼지가 이 차단판(160)에 부딪혀서 먼지수집통(110)의 아래로 낙하하고 미세한 먼지는 차단판(160)을 우회하여 건식필터유닛(120)을 통과한다. 또한, 건식필터유닛(120)의 상면에는 횡단가이드(126)가 구비되고, 이 횡단가이드(126)에는 여과엘리먼트(125)에 접촉되는 탈진슬라이더(128)가 슬라이드되도록 장착되어, 장시간 사용에 의해 여과엘리멘트(125)에 부착된 먼지 등을 탈진슬라이더(128)를 왕복시키면서 충돌시켜서 탈락시켜서 건식여과필터(120)를 반복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커버체(200)에는 먼지수집통(110)의 상부에 면하는 유입구(212)와, 상기 저수통(130)의 상부에 면하는 배출구(214)가 형성되며, 이 유입구(212)와 배출구(214)를 연통시키는 에어통로(210)가 커버체(200)의 내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이 에어통로(210) 내에는 모터(220)에 의해 구동되는 흡입팬(230)이 내장되어, 먼지와 함께 공기를 흡입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체(200)의 배출구(214)에 인접하여 흡입구(216)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214)와 흡입구(216)는 에어통로(210) 상에 설치되며 배출구(214)와 흡입구(216) 사이에 배치되는 격판(215)(도 3에 부분절단도로 도시됨)에 의해 상호 구획된다. 흡입구(216)는 커버체(200)의 외부로 노출되는 배기구(250)와 연통된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통(130)의 상면에는 에어유도관(132)이 하향 연장되도록 삽입된다. 이 에어유도관(132)의 상부에는 여과재(135)가 구비되는 필터커버(134)가 수평방향으로 확장되어 저수통(130)의 상부 개구부를 커버한다. 그리고, 이 에어유도관(132)에는 텔레스코프식으로 결합된 연장관(133)에 의해 그 연장길이가 신축된다. 그리고, 이 연장관(133)의 하부에는 부력체(136)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에어유도관(132)의 하단이 저수통(130)에 담긴 물 속으로 과도하게 깊이 연장되는 경우에는, 수압에 의해 에어통로가 막혀서 충분한 흡입압력이 저하되므로, 부력체(136)의 부력에 의해 연장관(130)을 적절히 상승시켜서 수압 또는 수위를 조절함으로써, 흡입압력을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연장관(130)의 하부에는 길이방향의 절개부(139)가 형성되어, 유입된 공기가 이들 절개부(139)를 통해 빠져 나옴으로써 저수통(130) 내의 소용돌이를 촉진하여 공기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먼지의 포획효율을 높이도록 한다. 또한, 저수통(130)의 내부 타측에는 에어압력에 의해 물이 비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비산방지판(138)이 형성된다. 한편, 본체(100)의 일측에는 저수통(130)의 수위 또는 작동시의 물의 요동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시창(104)이 형성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일측에 직립연장되는 손잡이(160)의 하부에는 청소기스틱(300)의 흡입헤드(310)와 교체하여 착탈할 수 있는 도시안된 청소기 악세서리 또는 어댑터들을 끼워서 보관할 수 있는 어댑터홀더(164)가 장착된다. 청소기스틱(300)과 흡입호스(150)는 상기 본체(100)와 손잡이(160) 사이의 공간에 감아서 수납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에 따르면, 청소기스틱(300)의 흡입헤드(310)로 흡입한 먼지나 이물질은 흡입호스(150)를 통해 본체(100)의 먼지수집통(110)의 저면으로 유도된다. 이들 먼지는 에어와 함께 직립연장관(154)을 타고 상승하여 상부의 차단판(160)에 부딪혀서 상대적으로 무거운 먼지 등은 낙하되어, 상대적으로 가벼운 먼지들은 소용돌이 치면서 먼지수집통(110) 내의 방사판(156)에 재차 걸려서 포획되기도 하고, 나머지는 커버체(200) 일측 저면의 유입구(212)를 통해 흡입되어 타측 저면의 배출구(214)를 통해 저수통(130) 쪽으로 유입된다. 이 저수통(130)의 상면에 배치된 여과재(135)를 통과하면서 재차 걸러지고, 에어유도관(132)을 타고 저수통(130)의 물 속으로 유입된 후에, 물을 거치면서 미세한 먼지까지 완전히 제거된 상태에서 에어는 커버체(200)의 타측 흡입구(216)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 배기구(250)로 빠져 나간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먼지수집통(110)으로 된 건식필터와 저수통(130)으로 된 습식필터를 동시에 구비함으로써, 일차로 건식필터로 먼지를 포확한 후에는 미세한 먼지를 습식으로 포획함으로써, 먼지의 제거효율이 매우 우수한 진공청소기를 달성한다. 또한, 일회용 필터백을 사용하지 않아서 유지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본체(100)의 상면 개구부를 통해 먼지수집통(110)과 저수통(130)을 서로 인접하도록 수납시키고, 커버체(200)에는 흡입팬(230)과 모터(220)를 내장하고 먼지수집통(110)과 저수통(130)을 연결하는 에어통로(210)를 형성함으로써, 구조가 컴팩트하면서도, 커버체(200)만을 열면 간편하게 먼지수집통(110)과 저수통(130)을 꺼내어 비울 수 있으므로, 분진 및 오물의 처리나 조작이 매우 간편하게 된다. 또한, 커버체(200)에 모터(220)와 흡입팬(230) 및 에어통로(210)를 형성하므로, 본체(100)의 구조가 더욱 단순해져서 먼지수집통(110)과 저수통(130)의 용량을 상대적으로 크게 제작할 수 있고, 수납과 인출이 용이하도록 배치할 수 있어서, 부피에 비해 용량이 크면서도 먼지 등의 배출과 청소가 매우 편리하다.
또한, 습식필터인 저수통(130)을 에어가 통과하면서 상대적으로 소음이 저감되므로 진공청소기의 전체적인 소음이 감소된다. 또한, 먼저수집통(110)의 내부에 직립연장관(154)을 형성하고, 차단판(160)에 먼지를 함유한 에어가 충돌하도록 구성하여, 건식필터유닛(120)에 먼지가 부착되는 것을 억제하여 필터가 막혀서 흡입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필터의 사용기간을 더욱 늘릴 수 있다. 또한, 먼지수집통(110)에 축적된 먼지가 에어와 함께 소용돌이치면서 비산되는 것이 방사판(156)에 의해 차단되므로 상대적으로 입자가 큰 먼지를 효과적으로 포획활 수 있고, 수집된 먼지가 쌓이더라도 직립연장관(154)에 의해 에어통로가 막히지 않아서 청소효율이 우수하다.
또한, 저수통(130)에서 하향연장되는 에어유도관(132)을 신축가능하게 구성하고, 이에 부력체(134)를 부착함으로써, 사용자가 저수통에 물을 필요이상으로 많이 담아서 수위가 높더라도, 이에 따라서 에어유도관(132)이 부력에 의해 상승하여 수축되므로, 높은 수위에 의해 진공청소기의 흡입압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건식필터유닛(120)의 외부면에는 여과엘리먼트(125)에 접촉되는 탈진슬라이더(128)를 구비하여, 주기적으로 여과엘리먼트(125)에 부착된 먼지를 용이하게 탈진 제거하여, 반복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예는 청소기스틱(300)이 흡입호스(150)를 통해 직접 본체(100)에 연결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청소기 본체(100)는 건물의 벽체에 내장된 배관시스템을 통해 흡입호스(150)에 연결되는 소위 빌트인 타입의 진공청소기에도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상면이 개방된 통형상의 본체(100)와, 이 본체(100)의 상면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된 커버체(200)와, 상기 본체(100)의 내부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수납되며 흡입호스(150)가 연결되는 흡입구(152)가 연통되는 먼지수집통(110)과, 상기 먼지수집통(110)의 상면에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는 건식필터유닛(120)과, 본체(100)의 먼지수집통(110)의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수납되며 상면이 개방된 저수통(130)과, 상기 커버체(200)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먼지수집통(110)의 상부에 면하는 유입구(212)와 상기 저수통(130)의 상부에 면하는 배출구(214)를 상호 연통시키는 에어통로(210)와, 상기 저수통(130)과 연통되며 상기 본체(100) 또는 커버체(200)에 형성된 배기구(250)와, 상기 에어통로(210) 상에 형성되며 모터(220)에 의해 구동되는 흡입팬(2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및 습식 이중필터방식 진공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수집통(110)의 흡입구(152)는 먼지수집통(110)의 저면에 관통되어 상부로 연장되는 직립연장관(154)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및 습식 이중필터방식 진공청소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수집통(110)의 내부에는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방사판(15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및 습식 이중필터방식 진공청소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수집통(110)의 직립연장관(154)에 면하는 건식필터유닛(120)의 저면에는 흡입된 먼지가 부딪혀서 우회하는 만곡 또는 경사진 차단판(16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및 습식 이중필터방식 진공청소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필터유닛(120)의 외부면에는 횡단가이드(126)가 구비되고, 이 횡단가이드(126)에는 여과엘리먼트(125)에 접촉되는 탈진슬라이더(128)가 슬라이드되도록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및 습식 이중필터방식 진공청소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통(130)에는 상기 커버체(200)의 배출구(214)에 그 상단이 결합되며 저수통(130) 속으로 하향 연장되는 에어유도관(132)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및 습식 이중필터방식 진공청소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유도관(132)은 신축가능하게 구성되고, 그 하부에는 물에 잠기는 부력체(13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및 습식 이중필터방식 진공청소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통(130)의 에어유도관(132)의 타측에는 물의 비산을 방지하는 비산방지판(138)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및 습식 이중필터방식 진공청소기.
KR1020060062342A 2006-07-04 2006-07-04 건식 및 습식 이중필터방식 진공청소기 KR100800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2342A KR100800655B1 (ko) 2006-07-04 2006-07-04 건식 및 습식 이중필터방식 진공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2342A KR100800655B1 (ko) 2006-07-04 2006-07-04 건식 및 습식 이중필터방식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976A KR20080003976A (ko) 2008-01-09
KR100800655B1 true KR100800655B1 (ko) 2008-02-01

Family

ID=39214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2342A KR100800655B1 (ko) 2006-07-04 2006-07-04 건식 및 습식 이중필터방식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065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4683A3 (ko) * 2009-05-19 2011-01-13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습식집진장치
WO2011025130A3 (ko) * 2009-08-26 2011-04-21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습식집진장치
KR20110054959A (ko) * 2009-11-19 2011-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위 조절 유닛을 구비한 물 필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228B1 (ko) * 2014-04-29 2016-02-24 김문환 습식 이물질수거조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KR102630005B1 (ko) * 2016-12-27 2024-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듈형 무선 진공 청소기
KR102135154B1 (ko) * 2018-11-22 2020-07-17 김민호 개방형 습식 에어크리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6327Y1 (ko) * 1988-04-12 1990-07-16 유병혁 액체를 이용한 진공청소기의 여과장치
JPH07116096A (ja) * 1993-10-21 1995-05-09 Akai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
JP2001286422A (ja) 2000-04-07 2001-10-16 Yoshio Shimizu 電気掃除機
EP1618824A1 (en) 2004-07-20 2006-01-25 CANDY S.p.A. Domestic vacuum clea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6327Y1 (ko) * 1988-04-12 1990-07-16 유병혁 액체를 이용한 진공청소기의 여과장치
JPH07116096A (ja) * 1993-10-21 1995-05-09 Akai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
JP2001286422A (ja) 2000-04-07 2001-10-16 Yoshio Shimizu 電気掃除機
EP1618824A1 (en) 2004-07-20 2006-01-25 CANDY S.p.A. Domestic vacuum cleane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4683A3 (ko) * 2009-05-19 2011-01-13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습식집진장치
WO2011025130A3 (ko) * 2009-08-26 2011-04-21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습식집진장치
KR20110054959A (ko) * 2009-11-19 2011-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위 조절 유닛을 구비한 물 필터 장치
WO2011062331A1 (ko) * 2009-11-19 2011-05-26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수위 조절 유닛을 구비한 물 필터 장치
KR101704747B1 (ko) * 2009-11-19 2017-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위 조절 유닛을 구비한 물 필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976A (ko) 2008-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1067B1 (ko)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진공청소기
KR100587099B1 (ko) 사이클론 방식 진공 청소기의 집진 유니트
KR100377016B1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KR100456174B1 (ko) 습건식 진공청소기
KR100485705B1 (ko) 진공청소기용 집진통
RU2300306C1 (ru) Пылесб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ылесоса
KR100585692B1 (ko) 진공청소기의 먼지통
KR100800655B1 (ko) 건식 및 습식 이중필터방식 진공청소기
AU2004202211B2 (en)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a Vacuum Cleaner having Two Cyclone Chambers
KR20020075487A (ko)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JP2006334391A (ja) サイクロン集塵装置
US7608123B2 (en) Vacuum cleaner
ES2234457T3 (es) Unidad de recogida de polvo con conjunto de filtro para aspiradora.
KR100800641B1 (ko) 워터필터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KR100437374B1 (ko)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0547286B1 (ko) 물세척 진공청소기
EP2524641A2 (en) Apparatus for collecting sucked up materials for use in vacuum cleaner appliances
CN216933017U (zh) 污物收集装置及清洁设备
JP4322257B2 (ja) ゴミ分離装置
KR100967186B1 (ko) 건식 여과 장치
KR100562112B1 (ko) 진공 청소기의 필터 구조
JP2005021469A (ja) 電気掃除機
CN220256399U (zh) 垃圾收集装置与清洁设备
CN220256398U (zh) 垃圾收集装置与清洁设备
CN215421556U (zh) 一种蔬菜种子除灰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