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0110538A2 - 지폐계수기용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지폐계수기용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0110538A2
WO2010110538A2 PCT/KR2010/001313 KR2010001313W WO2010110538A2 WO 2010110538 A2 WO2010110538 A2 WO 2010110538A2 KR 2010001313 W KR2010001313 W KR 2010001313W WO 2010110538 A2 WO2010110538 A2 WO 2010110538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ir
base housing
blower
dust collecting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0/00131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0110538A3 (ko
Inventor
김대홍
Original Assignee
(주)엠씨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씨하이텍 filed Critical (주)엠씨하이텍
Publication of WO2010110538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110538A2/ko
Publication of WO2010110538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110538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7/00Counting of objects carried by a conveyor
    • G06M7/02Counting of objects carried by a conveyor wherein objects ahead of the sensing element are separated to produce a distinct gap between successive objects
    • G06M7/06Counting of flat articles, e.g. of sheets of pap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6Servicing, repairing or coping with irregularities, e.g. power failure or vandalism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3/00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collector for a bill counter, and more particularly, to improve the dust collection performance, the structure is simplified, the dust collector for the bill counter improved improv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use in a very comfortable posture by lowering the height It is about.
  • the bill counter automatically counts the number of bills placed on the hopper, transfers them to the stacker, stops when finished, and automatically recounts the stacker's counted bills when the bills remain in the hopper.
  • the old appliance As is well known, the bill counter automatically counts the number of bills placed on the hopper, transfers them to the stacker, stops when finished, and automatically recounts the stacker's counted bills when the bills remain in the hopper. The old appliance.
  • banknote counters are mainly used in banks to reduce the bill counting error of counter staff, and are used at most bank counters.
  • the prior art uses two axial flow fans (blowing fan and suction fan) to draw in outside air, suck it up, and filter it through a filter, so the volume of the unit is high and the height is high.
  • two axial flow fans blowwing fan and suction fan
  • the prior ar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fan installed inside the unit is discharged back to the outside of the unit, so that the wind blows around the unit at the time of bill counting, causing inconvenience to users as well as customers visiting the bank. There were also disadvantages.
  •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the prior art, and was created to solve this problem, while minimizing the height of the dust collector, that is, the dust collecting unit, through the air flow analysis of the ready-made, preventing the lowering of suction power and increasing the noise,
  • the main challenge is to provide a new type of dust collector for a bill counter that minimizes losses and maximizes convenience for use and simplifies the structure.
  •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base housing with a filter, and having an air discharge tower and an air suction tower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housing, the front of the bill counter seated on the base housing
  • the air circulation method through the air discharge tower and the air suction tower forms an air curtain on the front surface to prevent dust and odors from scattering while collecting dust, thereby lowering the height of the base housing.
  • a dust collector for a bill counter is provided.
  • the present invention a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problems, and the base housing is thinner; An air discharge tower and an air suction tower respective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housing; A blower installed in a space partitioned by a sealed plate in the base housing; A suction chamber which is partitioned with a guide bracket on the suction side of the blower and communicates with the air suction tower; A filter installed on the guide bracket; Provided is a dust collecting device for a bill coun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side of the blower is divided into a closed plate, comprising a discharge chamber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discharge tower.
  • the blow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lower of the sirocco fan type.
  • part of the guide bracke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ragrance expression mechanism is further installed.
  • the floor height of the dust collector is easy to sit and use, and the dust is safe because the dust collection operation is completely blocked from contaminants scattered out of the counter through the air curtain method, and the size is small but the capacity is high. It is possible to carry out dust collecting function with only one fan type blower, so it is possible to design low noise and use air in the form of internal circulation, so it is possible to obtain a more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without discomfort to people around the bill counter. have.
  • FIG. 1 is an exemplary perspective view of a dus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us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ate of use of the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n exemplary perspective view of a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of the state of use of the device.
  •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includes a base housing 100, the upper surface is open.
  • the base housing 100 is designed to have a floor height, that is, a slim shape with a low height, and one blower 200 is installed therein.
  • the blower 200 is a structure having a multi-type blower fan, a so-called 'Sirocco Fan (Sirocco Fan)' rather than the conventional axial fan, and sucks air from the lower side of the blower 200 Configured to discharge laterally.
  • the blower 200 having a fan is a full-curved bent end of the blade in the rotational direction, the rotation speed is considerably less than the other type for the same capacity, the size of the blower compared to the same capacity Small and especially suitable for fan coil units (FCU), low speed duct blower.
  • FCU fan coil units
  • a portion of the inner space of the base housing 100 is partitioned and sealed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blower 200 by a plurality of sealing plates 110 and 120 for smooth operation of the blower 200.
  • the guide bracket 320 having the suction flow path 322 is fitted on the base housing 100 at the suction side of the blower 200 to partition the blower 200 to form the suction chamber C1.
  • the filter 400 is installed in the suction passage 322 of the guide bracket 320.
  • the filter 400 is composed of a filter having a triple structure in which a pre-filter, hepa filter, and activated carbon filter are combined to completely filter even the fine dust, the dead bodies of bacteria or pathogens.
  • foreign particles and dust of relatively large particles are filtered by a pre-filter, fine dust and bacteria or dead bodies of pathogens are filtered by a HEPA filter, and odors or contaminants are filtered and purified by an activated carbon filter. do.
  • the fragrance expression mechanism 500 may be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guide bracket 320 so as to express various scents including a good smell, for example, aroma scent, for the indoor atmosphere change with the dust collecting function. .
  • the guide bracket 320 may be provided with an anion generator instead of the fragrance expression mechanism 500 to generate a more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by collecting the negative ions at the same time, may be combined with these, Various other means may be further provid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cope of the invention.
  • an outlet 122 is formed on the filter plate 400 opposite side sealing plate 120, and the inner space of the base housing 100 is partitioned into a predetermined size by the sealing plate 120 to discharge chamber C2. Will be configured.
  • the discharge chamber C2 is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internal space of the air discharge tower 600, and the suction chamber C1 is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internal space of the air suction tower 620.
  • the air discharge tower 600 and the air suction tower 620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housing cover 130, the housing cover 130 is to seal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housing 100.
  • the housing cover 130 is provided with a flat surface, and the bill counter MC is mounted thereon as shown in FIG. 3.
  •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610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 tower 600 on the inner surface of the air discharge tower 600, and a plurality of suction ports 630 on the inner surface of the air suction tower 620. Is formed.
  • the air sucked by the driving of the blower 200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610, and the discharged air is circulated into the suction port 630 while blocking the front of the banknote counter MC in the form of a curtain. While repeating to collect the fine dust, foreign matters, etc. generated during the bill counting.
  • the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designed to use a bill counter MC.
  • the user is to use the bill counter (MC) in a state seated on the housing cover 130 constituting the dust coll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an be set in this state in advance, it can also be placed on a selective use every time have.
  • MC bill counter
  • the banknote counter (MC) is to be located between the air discharge tower 600 and the air suction tower 620 is dropped while the bill is counted, the housing cover which is seated than the bottom size of the banknote counter (MC)
  • the air in the suction chamber C1 is sucked into the blower 200 by being filtered through the filter 400 by driving the blower 200, and the sucked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22 through the outlet 122. To be discharged.
  • the negative pressure is generated on the suction chamber (C1) side
  • the positive pressure is generated on the discharge chamber (C2) side
  • the air inside the air suction tower 620 is sucked toward the suction chamber (C1) naturally
  • the air inside the air discharge tower 600 is strongly discharged to the front through the discharge port 610.
  • the discharged air is sucked back into the suction port 630 while forming the air curtain, and the sucked air is introduced into the suction chamber C1 again through the inside of the air suction tower 620.
  • the air curtain formation and dust collection function while continuing to circulate the air, there is no need to discharge the filtered air to the outside of the dust collector as befor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t is more comfortable, and it uses a single blower, but its capacity is increased while its size is reduced, so that the overall height of the machine can be lowered.
  • Air curtain type dust collection function increases fine dust blocking and dust collection efficiency, and maximizes convenience for use. To provide a bill counter dust collec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폐계수기용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필터가 내장된 베이스하우징과, 베이스하우징의 상면 양측에 설치된 공기토출탑 및 공기흡입탑을 구비하고, 베이스하우징에 안착된 지폐계수기의 전면에서 에어커튼을 형성하여 지폐계수시 발생하는 오염물질 및 냄새가 비산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집진하는 집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하우징에 내장된 송풍기 하나만으로 공기토출탑과 공기흡입탑을 통한 공기순환방식으로 전면에서 에어커튼을 형성하여 오염물질 및 냄새가 비산하는 것을 차단하면서 집진하게 하여 베이스하우징의 층고를 낮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집진기의 층고가 낮아 앉아서 사용하기 편하고, 에어커튼 방식을 통해 오염물질이 계수기 밖으로 비산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한 상태에서 집진작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안전하며, 크기는 작지만 용량은 높인 시로코팬 타입의 송풍기 하나만을 가지고도 집진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저소음 설계가 가능하고, 공기를 내부 순환 형태로 활용하기 때문에 지폐계수기 주변 사람들에게 불쾌감도 주지 않고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지폐계수기용 집진장치
본 발명은 지폐계수기용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집진성능을 향상된 반면 구조는 간단해지고, 높이를 낮춰 앉아서 사용하는 사용자가 아주 편한 자세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된 지폐계수기용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지폐계수기는 지폐를 호퍼에 놓으면 자동으로 그 매수를 세며, 스태커로 이송시킨 후 완료되면 정지하고, 호퍼에 지폐가 남아 있을 때는 스태커의 계수완료된 지폐를 꺼내는 순간 자동으로 재계수하도록 된 기기를 말한다.
이러한 지폐계수기는 주로 은행 등에서 창구 직원의 지폐계수 실수를 줄이기 위하여 사용하며, 대부분의 은행창구에서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 지폐계수기가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지폐를 계수할 때 지폐가 파열음과 함께 심하게 펄럭이면서 바람을 일으키게 되고, 이 과정에서 지폐에 묻어 있는 각종 먼지나 세균 또는 냄새들이 방출되면서 사용자의 건강을 해칠 뿐만 아니라 실내를 오염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특히, 지폐는 그 특성상 불특정 다수인을 거치면서 유통되기 때문에 위생학적 측면에서도 상당히 불결하다.
이에 이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국,내외에서 많은 기술들이 제안되었으며, 그 일예로 집진장치가 있다.
그러나 종래 개시 기술들은 지폐계수기 자체의 구조를 바꾸는 형태를 취하거나 아니면 별개로 분리된 집진수단을 단순 연결설치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어 매우 비효율적이었으며, 이의 개선을 위해 본 발명자는 지폐계수기의 구조를 바꾸지 않으면서 지폐계수기를 올려 놓기만 하면 간편 용이하게 집진할 수 있는 "지폐계수기의 집진장치"를 특허 제0312913호(이하 '선행기술'이라 함)로 등록받은 특허권자로서 사업화에 성공한 바 있다.
그런데 선행기술은 2개의 축류팬(송풍팬, 흡입팬)을 이용하여 외부공기를 끌어 들인 후 흡입한 다음 필터를 통해 여과시키는 구조였기 때문에 유닛(Unit)의 부피가 크고, 또 높이가 높아 주 사용자인 은행 창구직원의 경우 주로 앉은 상태에서 업무를 처리하기 때문에 사용상 매우 불편한 문제가 발견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유닛의 높이를 낮추고 축류팬의 크기를 줄여야 하는데, 그럴 경우 흡입력의 현저한 저하를 초래하여 집진효율이 떨어지므로 유닛의 유명무실화는 필연적이며, 또한 높이 축소에 다른 유로가 좁아져 압력손실에 따른 소음이 극심하게 증가되는 또다른 문제를 파생시키게 되는데 이는 단순히 크기를 줄인다고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 공기의 유동을 고려한 최적의 설계가 요구되는 매우 어려운 작업이기 때문이다.
아울러, 선행기술은 유닛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흡입팬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유닛 외부로 다시 배출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지폐 계수시 유닛 주변에 바람이 일기 때문에 사용자는 물론 은행을 방문한 고객들에게도 불쾌감을 주는 단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기성품의 공기 유동분석을 통해 집진기, 즉 집진 유닛의 높이를 최소화하면서 흡입력 저하 및 소음 증대를 방지하고, 동시에 압력손실도 최소화시켜 사용상 편의성을 극대화하고, 구조를 간소화시킨 새로운 형태의 지폐계수기용 집진장치를 제공함에 그 주된 해결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필터가 내장된 베이스하우징과, 베이스하우징의 상면 양측에 설치된 공기토출탑 및 공기흡입탑을 구비하고, 베이스하우징에 안착된 지폐계수기의 전면에서 에어커튼을 형성하여 지폐계수시 발생하는 오염물질 및 냄새가 비산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집진하는 집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하우징에 내장된 송풍기 하나만으로 공기토출탑과 공기흡입탑을 통한 공기순환방식으로 전면에서 에어커튼을 형성하여 오염물질 및 냄새가 비산하는 것을 차단하면서 집진하게 하여 베이스하우징의 층고를 낮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계수기용 집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층고가 슬림화된 베이스하우징과; 상기 베이스하우징의 상면 양측에 각각 설치된 공기토출탑 및 공기흡입탑과; 상기 베이스하우징의 내부에서 밀폐판으로 구획된 공간상에 설치된 하나의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의 흡입측에 가이드브라켓으로 구획되고, 상기 공기흡입탑과 연통되는 흡입챔버와; 상기 가이드브라켓 상에 설치된 필터와; 상기 송풍기의 배출측에 밀폐판으로 구획되고, 상기 공기토출탑과 연통되는 배출챔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계수기용 집진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송풍기는 시로코팬 타입의 송풍기인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브라켓의 일부에는 향기발현기구가 더 설치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집진기의 층고가 낮아 앉아서 사용하기 편하고, 에어커튼 방식을 통해 오염물질이 계수기 밖으로 비산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한 상태에서 집진작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안전하며, 크기는 작지만 용량은 높인 시로코팬 타입의 송풍기 하나만을 가지고도 집진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저소음 설계가 가능하고, 공기를 내부 순환 형태로 활용하기 때문에 지폐계수기 주변 사람들에게 불쾌감도 주지 않고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장치의 예시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장치의 사용상태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장치의 예시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장치의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집진장치는 상면이 개방된 베이스하우징(10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하우징(100)은 층고, 즉 높이가 낮게 슬림화된 형상으로 설계되며, 그 내부에는 하나의 송풍기(20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송풍기(200)는 기존과 같은 축류형 팬이 아닌 다익형 송풍팬, 일명 '시로코팬(Sirocco Fan)'이라 일컬어지는 팬을 갖는 구조로서, 송풍기(200)의 하방에서 공기를 흡입한 다음 측방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시로코팬으로 통칭되는 팬을 갖는 상기 송풍기(200)는 날개의 끝부분이 회전방향으로 굽은 전곡형으로 동일 용량에 대해서 다른 형식에 비해 회전수가 상당히 적고, 동일 용량에 비해 송풍기의 크기가 작으면서 특히, 팬코일유닛(FCU)에 적합하며, 저속덕트용 송풍기이다.
따라서 설치공간의 크기를 대폭 축소가능하여 베이스하우징(100)의 층고를 낮출 수 있음과 동시에 풍량, 즉 송풍압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원하는 풍량을 얻을 수 있고, 나아가 소음도 대폭 축소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송풍기(200)의 원활한 동작을 위해 상기 베이스하우징(100)의 내측 일부 공간은 다수의 밀폐판(110,120)에 의해 송풍기(200)의 형상에 맞게 구획되고 밀폐된다.
특히 상기 송풍기(200)의 흡입측에는 흡입유로(322)를 갖는 가이드브라켓(320)이 상기 베이스하우징(100) 상에 끼워져 송풍기(200)와 구획함으로써 흡입챔버(C1)를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브라켓(320)의 흡입유로(322)에는 필터(400)가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필터(400)는 프리필터, 헤파필터, 활성탄필터가 조합된 3중 구조의 필터로 구성하여 극미세 먼지나 세균 혹은 병원균의 사체까지 완전히 필터링시킬 수 있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를 테면, 비교적 큰 입자의 이물과 먼지 등은 프리필터에 의해 여과되고, 미세먼지와 세균 혹은 병원균의 사체 등은 헤파필터에 의해 필터링되게 되며, 악취나 오염물질은 활성탄필터에 의해 여과 및 정화되게 된다.
덧붙여, 본 발명에서는 집진기능과 함께 실내 분위기 전환을 위한 좋은 냄새, 예컨대 아로마향을 비롯한 다양한 향을 발현시킬 수 있도록 향기발현기구(500)를 상기 가이드브라켓(320)의 일측에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가이드브라켓(320)에는 상기 향기발현기구(500) 대신에 음이온발생기를 설치하여 집진과 동시에 음이온을 발생시킴으로써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도 있을 것이며, 이들을 병설할 수도 있을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다른 수단들이 더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필터(400) 대향측 밀폐판(120) 상에는 배출구(122)가 형성되며, 상기 밀폐판(120)에 의해 상기 베이스하우징(100)의 내부공간은 일정크기로 구획되어 배출챔버(C2)를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챔버(C2)는 공기토출탑(600)의 내부공간과 연통되게 설치되며, 상기 흡입챔버(C1)는 공기흡입탑(620)의 내부공간과 연통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공기토출탑(600)과 공기흡입탑(620)은 각각 하우징커버(130)상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커버(130)는 상기 베이스하우징(100)의 상면을 밀폐하게 된다.
특히 상기 하우징커버(130)는 평평한 면을 제공하며, 도 3의 예시와 같이 그 위에 지폐계수기(MC)가 안착설치되게 된다.
아울러 상기 공기토출탑(600)의 내측면에는 다수의 토출구(610)가 공기토출탑(600)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공기흡입탑(620)의 내측면에도 다수의 흡입구(63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송풍기(200)의 구동에 의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토출구(610)를 통해 배출되고, 배출된 공기는 상기 지폐계수기(MC)의 전방을 커튼 형태로 차단하면서 흡입구(630)로 유입되는 순환을 반복하면서 지폐 계수시 발생되는 미세먼지, 이물 등을 집진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집진장치는 기본적으로 지폐계수기(MC)를 올려 놓고 사용하도록 설계된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지폐계수기(MC)를 본 발명 집진장치를 구성하는 하우징커버(130)에 안착시킨 상태로 사용하게 되는데, 이것은 이 상태로 미리 세팅해 놓을 수 있고, 사용할 때 마다 선택적으로 올려 놓고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지폐계수기(MC)는 지폐가 계수되면서 낙하되는 쪽이 공기토출탑(600)과 공기흡입탑(620)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되, 상기 지폐계수기(MC)의 바닥 크기보다 이것이 안착되는 하우징커버(130)가 더 크게 형성되도록 하여 도 3의 도시와 같이 토출구(610)와 흡입구(630)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에어커튼(Air Curtain)이 확실하게 형성되도록 하여 집진 기능 향상은 물론 오염물질이 계수기 밖으로 비산되지 못하도록 완벽하게 차단함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사용준비가 완료되면 전원이 인가되고, 송풍기(200)가 구동되게 된다.
송풍기(200)의 구동에 의해 흡입챔버(C1) 내부의 공기는 필터(400)를 거쳐 여과된 상태로 송풍기(200)로 빨려 들어가게 되고, 흡입된 공기는 배출구(122)를 통해 배출챔버(C2)로 토출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이 일어나는 것과 동시에, 흡입챔버(C1) 쪽에서는 음압이 발생되고, 배출챔버(C2) 쪽에서는 양압이 발생되게 되므로 자연스럽게 공기흡입탑(620) 내부의 공기는 흡입챔버(C1) 쪽으로 빨려 들어가게 되며, 공기토출탑(600) 내부의 공기는 토출구(610)를 통해 그 전방으로 강하게 토출되게 된다.
그리고 토출된 공기는 에어커튼을 형성하면서 다시 흡입구(630)로 흡입되게 되며, 흡입된 공기는 공기흡입탑(620) 내부를 거쳐 다시 흡입챔버(C1)로 유입되게 된다.
정리하자면, 본 발명에서는 시로코팬 타입의 송풍기(200) 하나를 가지고, 공기를 계속 순환시키면서 에어커튼 형성 및 집진 기능을 수행하게 되므로 기존처럼 필터링한 공기를 집진기 외부로 배출시킬 필요가 없어 주변 환경을 더욱 쾌적하게 하며, 하나의 송풍기를 사용하되 용량은 높이면서 크기는 줄여 기기 전체의 층고를 낮출 수 있고, 에어커튼식 집진 기능을 수행하므로 미세 먼지 차단 및 집진 효율이 증대되며, 사용상 편의성이 극대화된 지폐계수기 집진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4)

  1. 필터가 내장된 베이스하우징과, 상기 베이스하우징의 상면 양측에 설치된 공기토출탑 및 공기흡입탑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하우징에 안착된 지폐계수기의 전면에서 에어커튼을 형성하여 지폐계수시 발생하는 오염물질 및 냄새가 비산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집진하는 집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하우징에 내장된 송풍기 하나만으로 상기 공기토출탑과 상기 공기흡입탑을 통한 공기순환방식으로 전면에서 에어커튼을 형성하여 오염물질 및 냄새가 비산하는 것을 차단하면서 집진하게 하여 베이스하우징의 층고를 낮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계수기용 집진장치.
  2. 층고가 슬림화된 베이스하우징과;
    상기 베이스하우징의 상면 양측에 각각 설치된 공기토출탑 및 공기흡입탑과;
    상기 베이스하우징의 내부에서 밀폐판으로 구획된 공간상에 설치된 하나의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의 흡입측에 가이드브라켓으로 구획되고, 상기 공기흡입탑과 연통되는 흡입챔버와;
    상기 가이드브라켓 상에 설치된 필터와;
    상기 송풍기의 배출측에 밀폐판으로 구획되고, 상기 공기토출탑과 연통되는 배출챔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계수기용 집진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는 시로코팬 타입의 송풍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계수기용 집진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브라켓의 일부에는 향기발현기구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계수기용 집진장치.
PCT/KR2010/001313 2009-03-25 2010-03-03 지폐계수기용 집진장치 WO2010110538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265 2009-03-25
KR1020090025265A KR100901771B1 (ko) 2009-03-25 2009-03-25 지폐계수기용 집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10538A2 true WO2010110538A2 (ko) 2010-09-30
WO2010110538A3 WO2010110538A3 (ko) 2010-11-25

Family

ID=40982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0/001313 WO2010110538A2 (ko) 2009-03-25 2010-03-03 지폐계수기용 집진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01771B1 (ko)
WO (1) WO2010110538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66122A (zh) * 2015-04-03 2015-07-08 南宁市三壮科技开发有限公司 点钞机吸霉菌污尘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957B1 (ko) * 2010-03-09 2012-02-20 조남욱 지폐 계수기에서의 집진구조
KR101095351B1 (ko) * 2011-08-16 2011-12-16 박충근 능동적인 오염물질 제거가 가능한 지폐 계수기용 다중 정화장치
KR101551411B1 (ko) 2015-03-16 2015-09-08 (주)케이탑텍 현금 계수기용 정화장치
CN105935521A (zh) * 2016-06-07 2016-09-14 苏州格兰斯柯光电科技有限公司 点钞机的吸尘净化器
CN108171311A (zh) * 2017-12-26 2018-06-15 苍南瓯融电子有限公司 易散热点钞机
CN108364406B (zh) * 2018-03-15 2020-12-01 长沙梅翎电子科技有限公司 公用吸尘装置和授权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1600U (ko) * 1998-05-22 1999-12-15 라명균 지폐계수기의 집진장치
KR20000006706A (ko) * 1999-10-22 2000-02-07 남천기 지폐계수기의 집진장치
KR200260052Y1 (ko) * 2001-09-12 2002-01-10 라명균 지폐 정사기용 먼지 집진기
KR20060085355A (ko) * 2005-01-24 2006-07-27 이봉학 지폐계수기에 탈착이 가능한 공기정화장치세트와 이를 부착한 지폐계수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1458A (ko) * 2002-12-13 2004-06-18 (주)크로바 환경 집진살균 공기정화기능을 가지는 지폐계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1600U (ko) * 1998-05-22 1999-12-15 라명균 지폐계수기의 집진장치
KR20000006706A (ko) * 1999-10-22 2000-02-07 남천기 지폐계수기의 집진장치
KR200260052Y1 (ko) * 2001-09-12 2002-01-10 라명균 지폐 정사기용 먼지 집진기
KR20060085355A (ko) * 2005-01-24 2006-07-27 이봉학 지폐계수기에 탈착이 가능한 공기정화장치세트와 이를 부착한 지폐계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66122A (zh) * 2015-04-03 2015-07-08 南宁市三壮科技开发有限公司 点钞机吸霉菌污尘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1771B1 (ko) 2009-06-11
WO2010110538A3 (ko) 201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110538A2 (ko) 지폐계수기용 집진장치
CN111365806B (zh) 空气净化单元和包括空气净化单元的空气清洁/通风装置
CN201561505U (zh) 一种空气净化器
KR101095351B1 (ko) 능동적인 오염물질 제거가 가능한 지폐 계수기용 다중 정화장치
KR20000056583A (ko) 공기 조화기
JP2002059028A (ja) 空気浄化装置
CN111692672A (zh) 一种空气检测与净化一体化装置
CN1331370A (zh) 马桶除臭装置
KR101110957B1 (ko) 지폐 계수기에서의 집진구조
CN209848914U (zh) 一种带有防尘的生物安全柜
KR200417118Y1 (ko) 공기정화기
CN212466674U (zh) 点钞机专用除尘杀菌装置
CN216011172U (zh) 一种空气消毒机
JP4087170B2 (ja) 空気清浄装置
JP2003050028A (ja) 紙幣計数機用空気清浄機
CN213182821U (zh) 一种多功能点钞机
CN216934193U (zh) 一种方便更换过滤器的柜式空气消毒机
CN216557502U (zh) 室内外循环进风的空气消毒装置
CN220135660U (zh) 一种负离子空气净化器
CN215169163U (zh) 一种收银装置以及银行工作台
CN212585149U (zh) 空气净化器
CN213577932U (zh) 一种被动式空气处理一体机
CN217274670U (zh) 一种新型吸顶式空气消毒机
CN217929138U (zh) 一种空气净化器杀菌除味装置
CN213272958U (zh) 一种楼房用空气净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075629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075629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