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0079895A2 - 스타일러스 펜 - Google Patents

스타일러스 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0079895A2
WO2010079895A2 PCT/KR2009/007296 KR2009007296W WO2010079895A2 WO 2010079895 A2 WO2010079895 A2 WO 2010079895A2 KR 2009007296 W KR2009007296 W KR 2009007296W WO 2010079895 A2 WO2010079895 A2 WO 2010079895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rame member
gripper
housing
variable
stylus 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729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0079895A3 (ko
Inventor
이상호
Original Assignee
(주)쉘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쉘라인 filed Critical (주)쉘라인
Publication of WO2010079895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79895A2/ko
Publication of WO2010079895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79895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ylus pen, which can provide convenience in use, and to a stylus pen that can improve the product value of a product and enhance consumer satisfaction.
  • a stylus pen is a terminal equipped with a touch screen such as a personal digital assitants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cellular phone, a tablet PC, a palm PC, and the like. It can be used as an input device (electronic or communication device).
  • PDA personal digital assitants
  •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 cellular phone a tablet PC
  • palm PC a palm PC
  • input device electronic or communication device
  • an input signal is generated and the terminal operates according to the signal. That is, an icon, a menu screen, etc. may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nd when the user presses an icon, a menu, etc. to be executed, the terminal performs a corresponding function.
  • Such a stylus pen may be carried separately by a user or mounted in a terminal.
  • most stylus pens are selectively detachably provided in place of a terminal to provide loss prevention and ease of portability.
  • the size and performance of the terminal has been changing day by day.
  • the size of the terminal has become smaller and smaller so as to be easily carried and stored on the go.
  • the stylus pen becomes smaller and smaller.
  • the stylus pen becomes smaller, there is a problem in which the user grabs the stylus pen and performs a desired touch operation.
  • the grip member is reduced because the thickness of the shaft member is thin in the state that the shaft member having a touch tip at one end is drawn ou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 is a problem, uncomfortable to us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ylus pen that can provide convenience in use and can improve the commercial value of a produc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ylus pen capable of selectively expanding the thickness of a grip portion to provide an excellent grip.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tylus pen that can prevent slippage when the product is grippe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ylus pen capable of improving the product value of the product and contributing to the high quality of the product, and enhancing customer satisfaction.
  • the stylus pen is provided on the frame member, the touch tip which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frame member and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ed portion, the frame member adjacent to the touch tip. And optionally include a variable gripper that expands and contracts and is variable in thickness.
  • the thickness of the frame member can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 the thickness of the frame member is inevitably thinned, and thus, the grip of the frame member is deteriorated.
  • the gripability can be improved through the variable gripper that can be selectively expanded and contracted.
  • variable gripper may be provided to the frame member so as to be adjacent to the touch tip, and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expand and contract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rame member and to vary the thickness.
  • variable grippers may be configured in a variety of shapes and structures capable of selectively expanding and contracting along the radial direction.
  • the variable gripp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gripper bodies provided to be accessible and spaced apart from the frame member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rame member.
  • the shaft member may be provided inside the frame member, the shaft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n extension having an expanded diameter than the shaft member, when the shaft member moves relative to the frame member, the variable gripper inside the frame member The gripper body is pushed outward from the center of the frame member by the expansion portion entering the inner side of the variable gripper so that the variable gripper can be inflated.
  • variable gripper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 a plurality of receiving portions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may be formed around a frame member provided with a variable gripper, and each gripper body is formed to have a substantially fan-shaped cross-sectional shape to accommodate at least a portion thereof disposed inside the frame member.
  • the inside of the frame member refers to an internal space of the frame member, and the expansion part may flow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frame member.
  • variable gripper may include an elastic gripper ring provid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of the gripper body.
  • the elastic gripper ring is provided to surround the whole or part of the circumference of each gripper body, thereby maintaining the arrangement of each gripper body and allowing each gripper body to return to its initial position when the pressure by the extension is released.
  • the elastic gripper ring may be formed of a conventional elastic body that is elastically deformable.
  • the elastic gripper ring may be formed by at least one of rubber, rubber, and silic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type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elastic gripper ring.
  • a restraint groove may be formed around the gripper body, and a restraint protrusion for receiving the restraint groove may b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elastic gripper ring.
  • two, three, five or more gripper bodies may be configured to constitute a variable gripper.
  • an inclined portion for guiding the entry of the expansion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one end of the gripper body. Therefore, the extension part can move stably along the entry slope and stably enter the variable gripper.
  • a cap (cap) for protecting the touch tip may be provided, the cap may be provided with a strap for hanging on the target object such as a terminal.
  • a housing may be provided on the frame member so as to receive the frame member therein, and optionally a housing moving relative to the frame member so as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member, and one end of the aforementioned shaft member may be connected to the housing. .
  • the housing extends from the frame member, substantially the entire length of the stylus pen may extend by a certain length.
  • variable gripper may be configured to expand or contract due to mechanical interference between the gripper body and the extension when the frame member moves relative to the housing (or shaft member), and in some cases, the frame member relative to the housing.
  • the variable gripper may be configured to be operated by a separate driving source or a separate operation regardless of the withdrawal operation.
  • an air pressure is generated when the frame member moves with respect to the housing, and the air pressure may be configured to expand and contract by the air pressure.
  • the variable gripper may be configured to expand and contract using a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You may.
  • the stylus pen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the housing and optionally drawn out of the housing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mov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rame member is drawn out of the housing
  • An elastic member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so as to temporarily restrain the state in which the frame member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 touch tip provided at one end of the frame member to be in contact with the to-be-contacted portion, and adjacent to the touch tip on the frame member.
  • a variable gripper provided and optionally expanded and retracted and variable in thickness.
  • the elastic member may be provided between the housing and the frame member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mov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rame member is drawn out of the housing.
  • Conventional coil springs may be used as the elastic member,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elastic member.
  • the state in which the frame member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may be temporarily restricted by the restraining means.
  • restraining means restraining means of various structures and methods capable of temporarily restraining the arrangement of the housing with respect to the frame member may be employed.
  • the restraining means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button portion provided with a restraining protrusion that is restrained in the housing and provided to be pressed on the frame member. When the button is pressed, the restrained state of the housing by the restraint protrusion may be released, and the frame member may be automatically drawn out of the housing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as the restrained state is released.
  • the variable gripper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shapes and structures capable of selectively expanding and contracting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rame member.
  • the variable gripp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gripper bodies provided to be accessible and spaced apart from the frame member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rame member.
  • the shaft member may be provided inside the frame member, the shaft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n extension having an expanded diameter than the shaft member, when the shaft member moves relative to the frame member, the variable gripper inside the frame member The gripper body is pushed outward from the center of the frame member by the expansion portion entering the inner side of the variable gripper so that the variable gripper can be inflated.
  • variable gripper may include an elastic gripper ring provid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of the gripper body.
  • the elastic gripper ring is provided to surround the whole or part of the circumference of each gripper body, thereby maintaining the arrangement of each gripper body and allowing each gripper body to return to its initial position when the pressure by the extension is released.
  • flange portions having an extended diameter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each gripper body, and the elastic gripper ring may be stably disposed between the flange portions.
  • the stylus pen has a hollow frame member, a shaft member accommodated in the frame member so as to be press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rame member, and an extension having a relatively expanded diamete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haft member and accommodated inside the frame member so that the other end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frame member when the shaft member is pressed, so that the center of the frame member is accessible and spaced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rame member. And a variable gripper comprising a plurality of gripper bodies provided.
  • the gripper body is pushed outward from the center of the frame member by the expansion part which enters the inside of the variable gripper inside the frame member, and the variable gripper may expand. Can be.
  • variable gripper may include an elastic gripper ring provid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of the gripper body.
  • the shaft member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frame member to be push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member.
  •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shaft member can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 the shaft member may be provided in a repetitive pressing operation manner, such as a conventional ballpoint pen pressing portion. That is, the pressing portion of the ball pen (sometimes called a so-called tip ball pen) that can be moved down a predetermined section during the first pressing operation, and can be elastically returned to the upper side agai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member during the pressing operation again.
  • the shaft member can be constructed in a similar manner. In some cases, a separate spring member may be excluded and the shaft member may be provided in a form of simply pressing.
  • a housing may be provided on the frame member so as to receive the frame member therein, and optionally move relative to the frame member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member.
  • the housing extends from the frame member, substantially the entire length of the stylus pen may extend by a certain length.
  • the stylus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venience in use and improve the product value of the product.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with a variable gripper that can be selectively expanded and contracted, the thickness can be varied to improve the grip (Grip), and makes the product more convenient to use. Accordingly, even when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stylus pen are reduced to inevitably become thin, the grip portion can selectively have a sufficient thickness and can provide an excellent grip feeling.
  • variable gripper since the variable gripper can be selectively shrunk to a thin thickness, it can improve portability and storage when carrying and storing, and can satisfy various tastes of the user.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product value of the product and contribute to the quality of the produc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ustomer satisfaction.
  • FIG.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structure of a stylus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of FIG. 1.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1.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structure of the stylus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of FIG. 5.
  •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FIG. 5.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tylus p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describing an operating structure of a stylus p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tylus p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describing an operating structure of a stylus pen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tylus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of FIG. 1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1.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operation structure of the stylus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of FIG. 5
  •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FIG. 5.
  • the stylus pen 100 includes a housing 110, a frame member 120, a touch tip 130, and a variable gripper 140. .
  • the stylus pen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personal digital assitants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cellular phone, a tablet PC, a palm PC. It can be used as an input device of a terminal equipped with a touch screen, such as a smart phone, a handheld PC, an MP3 player, etc.
  • PDA personal digital assitants
  •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 cellular phone such as a smart phone, a handheld PC, an MP3 player, etc.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terminal.
  • the housing 110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housing 110 is described as an example formed to have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but in some cases, the housing may be formed to have a non-circular cross-section such as a polygon.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 the frame member 120 is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110, and selectively provided to be drawn out of the housing 110 and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10. That is, the frame member 120 is slidably accommodated in the housing 1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10, and may be selectively withdrawn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and the frame member 120. ) May be extended out of the housing 110 to substantially extend the entire length of the stylus pen 100 by a predetermined length.
  • the frame member 120 may be restrained without being drawn out by mechanical constraint between the frame member 120 and the housing 110. have.
  • the mechanical restraint structure between the frame member 120 and the housing 110 may be changed according to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 the touch tip 130 may be integrally provided at the end of the frame member 120 to be in contact with the contacted part.
  • the contacted portion may be understood as a contact object to which the touch tip 130 is in direct contac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type and characteristic of the contacted portion.
  • the contacted part may be a conventional touch screen provided to the terminal. When the touch tip 130 contacts an icon, a menu screen, etc.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contact may be generated. The terminal may perform the corresponding function by this input signal.
  • the thickness of the above-described frame member 120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 the gripper may be improved through the variable gripper 140 while maintaining portability and storage.
  • variable gripper 140 is provided on the frame member 120 so as to be adjacent to the touch tip 130, and is selectively expanded (D2) and contracted (D1)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rame member 120 and has a thickness. Is configured to be variable.
  • the variable gripper 14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shapes and structures capable of selectively expanding and contracting along the radial direction.
  • the variable gripper 140 may include a plurality of gripper bodies 142 provided to be approachable and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frame member 120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rame member 120, and the gripper body 142. It may include an elastic gripper ring 144 provid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of the.
  • the variable gripper 140 may be expanded while the frame member 120 is drawn out of the housing 110, and conversely, in the state where the frame member 120 is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110, the variable gripper 140 may be expanded. The gripper 140 may be retracted.
  • each gripper body 142 is formed to have a substantially fan-shaped cross-sectional shape.
  • the inside of the frame member 120 refers to an internal space of the frame member 120, and the expansion unit 1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flow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frame member 120.
  • the elastic gripper ring 144 may be formed of a conventional elastic body capable of elastic deformation.
  • the elastic gripper ring 144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of rubber, rubber, and silic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type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elastic gripper ring 144.
  • the gripper body 144 may be formed to a sufficient size so that each gripper body 142 is pushed outward and the gripper body 142 is not directly exposed to the outside even in an expanded state.
  • the elastic gripper ring 144 may serve to elastically contract the expanded gripper body 142 as described above, and at the same time, may serve as an anti-slip member for preventing slipping. That is, since the elastic gripper ring 144 may be provided to surround the gripper body 142 that substantially grips the grip, the user may grip the gripper body 142 to prevent slippage when the user grips the gripper body 142. can do.
  • a restraint groove 142a may be formed around the gripper body 142, and a restraint protrusion 144a may b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elastic gripper ring 144.
  •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constraining protrusion and the constraining groove can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In some cases, the constraining protrusion is formed around the gripper body and the constraining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elastic gripper ring. You may.
  • a total of four gripper bodies are arranged radially around the frame member, but in some cases, two or three, five or more gripper bodies are variable grippers. It can be configured to configure.
  • variable gripper 140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 the variable gripper may be configured to interlock and expand or contract when the frame member 120 moves with respect to the housing.
  • the variable gripper may be variable by a separate driving source or a separate driving operation regardless of a drawing operation of the frame member with respect to the housing.
  • the gripper can be configured to work.
  • variable gripper 140 is expanded or contracted by mechanical interference between the gripper body 142 and the expansion unit 160 when the frame member 120 moves relative to the housing 110. do. That is, one end of the shaft member 150 may be fix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10 so as to pass through the frame member 120, and the diameter extended to the other end of the shaft member 150 than the shaft member 150. An extension 160 having (or cross-sectional area) may be provided.
  • variable gripper 140 when the frame member 120 is withdrawn from the housing 110, the variable gripper 14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housing 110 together with the frame member 120, and the variable gripper 140 may be separated from the housing 110. As it is spaced apart from the), the gripper body 142 is pushed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rame member 120 by the expansion unit 160 that enters the inside of the variable gripper 140 in the interior of the frame member 120 And, consequently, the variable gripper 140 can be inflated. On the contrary, when the frame member 120 moves to an initial position accommodated in the housing 110, the variable gripper 140 spaced apart from the housing 11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housing 110 again.
  • variable gripper 140 As the variable gripper 14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housing 110, the extension 160 that is inside the variable gripper 140 may be spaced out of the variable gripper 140, and as a result, the gripper that has been expanded.
  • the body 142 may be contrac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gripper ring 144.
  • the size or diameter of the expansion unit 160 may be chang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elastic gripper ring 144,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 the inclined portion 142b for guiding the entry of the expansion portion 160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one end of the gripper body 142. Therefore, the expansion unit 160 may move along the entrance inclination unit 142b and stably enter the variable gripper 140.
  • variable gripper is expanded or contracted due to mechanical interference between the gripper body 142 and the expansion unit 160.
  • Air pressure is generated when the member moves, and the air gripper can be configured to expand and contract.
  • the variable gripper may be configured to expand and contract using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 a cap 170 may be provided to protect the touch tip 130.
  • the cap 170 is provided to surround the touch tip 130 to allow the touch tip 130 to be protected from external contact.
  • Mounting structure and manner of the cap 170 may be variously changed depending on the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 the cap 170 may be mounted on the frame member 120.
  • the cap 170 may be provided with a holder 180 having an elastically movable holder protrusion 182, the holder protrusion 182 of the holder 18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rame member 120
  • the accommodation state between the cap 170 and the frame member 120 may be maintained by being accommodated in the restriction groove 124.
  • the holder 180 may be accommodated in the cap 170 and the arrangement state may be fixed by the holder ring 190 coupled to the cap 170.
  • the cap 170 may be provided with a hanger 200 for hanging on the target object such as a terminal.
  • a hanger 200 a conventional strap member may be used,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hanger 200.
  • the frame member 120 When carrying and storing the stylus pen 100, the frame member 120 is disposed in a state accommodated in the housing 110, and one end of the frame member 120 is provided with a cap 170 constrained. (See Figure 1)
  • the frame member 120 may be drawn out of the housing 110 while the constraint is maintained.
  • variable gripper 140 may be expanded and the thickness of the variable gripper 140 may be varied. That is, when the frame member 120 is withdrawn from the housing 110, the variable gripper 14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housing 110 together with the frame member 120, and the variable gripper 140 may be separated from the housing 110. As it is spaced apart from the), the gripper body 142 is pushed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rame member 120 by the expansion unit 160 that enters the inside of the variable gripper 140 in the interior of the frame member 120 And consequently the variable gripper 140 may be inflated D2 (see FIG. 7).
  • the user may detach the cap 170 from the extended frame member 120, and perform a touch input operation using the touch tip 130 exposed to the outside as the cap 170 is separated. have. In this case, the user may stably grip the expanded variable gripper 140 to use the stylus pen 100.
  • the cap 170 may be closed and the frame member 120 may be pushed back into the housing 110 to be carried and stored.
  • the variable gripper 140 spaced apart from the housing 11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housing 110 again.
  • the extension 160 that is inside the variable gripper 140 may be spaced out of the variable gripper 140, and as a result, the gripper that has been expanded.
  • the body 142 may be contracted (D2> D1)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gripper ring 144.
  • the above-described frame member is configured to be drawn out from the housing by manual operation of the user, but in some cases, the frame member is removed from the housing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It can also be configured to be automatically withdrawn.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tylus p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structure of the stylus p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ame or equivalent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or equivalent components as those described above,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stylus pen 100 ′ is housed in the housing 110 ′, the housing 110 ′ and optionally the housing 110 ′.
  • 130 'and a variable gripper 140' provided on the frame member 120 'adjacent to the touch tip 130' and selectively expanding and contracting and varying in thickness.
  • the housing 110 ′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housing 110 ′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have.
  • the frame member 120 ′ is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110 ′, and selectively provided to be drawn out of the housing 110 ′ and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10 ′. That is, the frame member 120 'may be slidably accommodated in the housing 1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10 ', and may be selectively drawn out of the housing 110'. When the frame member 120 'is drawn out of the housing 110', substantially the entire length of the stylus pen 100 'may be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 an elastic member 210 '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between the housing 110' and the frame member 120 'to move the frame member 120' in a direction to be drawn out of the housing 110 '.
  • Conventional coil springs may be used as the elastic member 210 ',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elastic member 210'.
  • the state in which the frame member 120 ′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110 ′ may be temporarily restricted by the restraining means.
  • the restraining means restraining means of various structures and methods capable of temporarily restraining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housing 110 'with respect to the frame member 120' may be employed.
  • the restraining means may include a button part 126 provided with a locking protrusion 126a that can be restrained in the housing 110 'and provided to be pressed on the frame member 120'.
  • the button 126 is pressed, the restrained state of the housing 110 'by the locking protrusion 126a may be released, and the frame is automatically releas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10' as the restrained state is released.
  • the member 120 ′ may be drawn out of the housing 110 ′.
  • the frame member 120 ' is drawn out from the housing 110' by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the frame member 120 'is no longer pulled out due to mechanical constraint between the frame member 120' and the housing 110 '. Can be constrained.
  • the mechanical restraint structure between the frame member 120 'and the housing 110' may be changed according to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 the touch tip 130 ' may be integrally provided at an end portion of the frame member 120' and may be in contact with the contacted portion.
  • the contacted part may be a conventional touch screen provided to the terminal.
  •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contact may be generated.
  • the terminal may perform the corresponding function by this input signal.
  • the variable gripper 140 ′ is provided on the frame member 120 ′ so as to be adjacent to the touch tip 130 ′, and selectively expands and contracts along a radial direction of the frame member 120 ′ and may vary in thickness. It is configured to.
  • the variable gripper 140 ′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shapes and structures capable of selectively expanding and contracting along a radial direction.
  • the variable gripper 140 ′ may include a plurality of gripper bodies 142 ′ provided to be approachable and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frame member 120 ′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rame member 120 ′, and the gripper. It may include an elastic gripper ring (144 ') provid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of the body (142').
  • variable gripper 140 ' may be inflated while the frame member 120' is drawn out of the housing 110 ', and on the contrary, the frame member 120' is inside the housing 110 '. In the state accommodated in the variable gripper 140 'can be retracted.
  • a plurality of receiving portions are formed around the frame member 120 ′ provided with the variable gripper 140 ′, and the respective gripper bodies 142 ′ are substantially fan-shaped.
  • it is formed to have a cross-sectional shape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rame member 12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122 so as to be described. (See FIG. 2)
  • the inside of the frame member 120' will be described.
  • the expansion unit 1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flow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frame member 120 '.
  • a total of four gripper bodies 142 ' may be radially disposed around the frame member 120', and in some cases, two, three, five or more gripper bodies may constitute a variable gripper. Can be configured.
  • the elastic gripper ring 144 ′ may be formed of a conventional elastic body that is elastically deformable.
  • the elastic gripper ring 144 '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of rubber, rubber, and silic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r limited by the type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elastic gripper ring 144'. no.
  • the elastic gripper ring 144 ' may perform a role of elastically contracting the expanded gripper body 142' as described above, and at the same time, may serve as a non-slip member for preventing slipping. That is, since the elastic gripper ring 144 'may be provided to surround the gripper body 142' which is substantially gripped, the user grips the gripper when the gripper body 142 'is gripped. It can prevent occurrence.
  • flanges 142c ' having an extended diameter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each gripper body 142', and the elastic gripper ring 144 'is disposed between the flanges 142c'. Can be. Since the elastic gripper ring 144 'can be disposed between the flange portions 142c', the separation of the elastic gripper ring 144 'with respect to the gripper body 142' can be prevented, and each gripper body ( 142 ') can be stably maintained.
  • variable gripper 140 ' is expanded or contracted by mechanical interference between the gripper body 142' and the extension 160 'when the frame member 120' is moved relative to the housing 110 '. It will be described with an example. That is, one end of the shaft member 150 'may be fixed inside the housing 110' so as to pass through the frame member 120 ', and the shaft member 150'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haft member 150 '.
  • An extension 160 ′ having an enlarged diameter (or cross-sectional area) can be provided.
  • variable gripper 140 ' when the frame member 120 'is withdrawn from the housing 110', the variable gripper 14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housing 110' together with the frame member 120 '. ') Is spaced apart from the housing 110', the gripper body 142 'is extended by the expansion portion 160' which enters the inside of the variable gripper 140 'in the frame member 120'. It may be pushed outward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120 ', and consequently the variable gripper 140' may be inflated. On the contrary, when the frame member 120 'is moved to an initial position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110', the variable gripper 140 ',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housing 11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housing 110 'again.
  • variable gripper 140 ' As the variable gripper 14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housing 110', the extension 160 'which is inside the variable gripper 140' is moved outward of the variable gripper 140 '.
  • the gripper body 142 ' which has been spaced apart and consequently expanded, may be contrac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gripper ring 144'.
  • the size or diameter of the expansion portion 160 ′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physical properties,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of the elastic gripper ring 144 ′.
  • an inclined portion 142b ' may b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one end of the gripper body 142' to guide the entry of the expansion portion 160 '. Therefore, the extension 160 'may move along the entry slope 142b' and stably enter the variable gripper 140 '.
  • a cap 170 ′ may be provided to protect the touch tip 130 ′.
  • the cap 170 ′ is provided to surround the touch tip 130 ′ to allow the touch tip 130 ′ to be protected from external contact.
  • the mounting structure and manner of the cap 170 ′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 the cap 170 ′ may be provided with a hanger 200 ′ for hanging on an object such as a terminal.
  • a hanger 200 ′ a conventional tie member may be used,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hanger 200'.
  • the frame member 120 ′ When carrying and storing the stylus pen 100 ′, the frame member 120 ′ is disposed in the housing 110 ′, and the cap 170 ′ is constrained at one end of the frame member 120 ′.
  • the elastic member 210 ' may be disposed in a compressed state between the frame member 120' and the housing 110 ', and the frame member 120'.
  •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housing 110 ′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10 ′ may be temporarily restricted by the locking protrusion 126a of the button unit 126.
  • the restrained state of the housing 110' by the locking protrusion 126a may be released.
  • the compressed elastic member 210' may be restored, and the frame member may be automatically restor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10 '. 120 'may be drawn out of the housing 110'.
  • the frame member 120 ' is drawn out of the housing 11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10 'and the variable gripper 140' is expanded and the thickness of the variable gripper 140 'is increased.
  • the user may detach the cap 170 'from the extended frame member 120', and use the touch tip 130 'exposed to the outside as the cap 170' is separated to perform a touch input operation. Can be performed. In this case, the user may stably grip the expanded variable gripper 140 'to use the stylus pen 100'.
  • the cap 170' may be closed and the frame member 120 'may be pushed back into the housing 110' to be carried and stored.
  • the variable gripper 140 '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housing 110' is again disposed adjacent to the housing 110 '.
  • the extension 160 ' which is inside the variable gripper 140' is moved outward of the variable gripper 140 '.
  • the gripper body 142 ' which has been spaced apart and consequently expanded, may be contrac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gripper ring 144'.
  •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tylus p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structure of the stylus p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ame or equivalent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or equivalent components as those described above,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stylus pen 100 ′′ may be pressed along a length direction of the hollow frame member 120 ′′ and the frame member 120 ′′.
  • a plurality of gripper bodies 142 provided so as to be accessible and spaced from the center of the member 120” and an elastic gripper ring 144 "provid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of each gripper body 142".
  • a variable gripper 140 ".
  • the frame member 120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shape of a hollow cylinder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frame member 120 is formed to have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 the frame member may be formed to have a non-circular cross section such as a polyg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frame member.
  • the shaft member 150 " is accommodated inside the frame member 120" so as to be push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member 120 ".
  •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shaft member 150" are determined by the required conditions and It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design specifications.
  • the shaft member may be provided in a repetitive pressing operation manner, such as a conventional ballpoint pen pressing portion. That is, the pressing portion of the ball pen (sometimes called a so-called tip ball pen) that can be moved down a predetermined section during the first pressing operation, and can be elastically returned to the upper side agai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member during the pressing operation again.
  • the shaft member can be constructed in a similar manner. In some cases, a separate spring member may be excluded and the shaft member may be provided in a form of simply pressing.
  • the touch tip 130 ′′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shaft member to be accommodated inside the frame member 120 ′′ and to the outside of the frame member 120 ′′ when the shaft member 150 ′′ is pressed. It may protrude and contact a part to be contacted.
  • the contacted part may be a conventional touch screen provided to the terminal.
  •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contact may be generated.
  • the terminal may perform the corresponding function by this input signal.
  • the variable gripper 140 ′′ is provided adjacent to the end of the frame member 120 ′′ and is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inflated and contracted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rame member 120 ′′ and to vary in thickness.
  • the touch tip 130 ′′ is provided with an extension 160 ′′ having a relatively expanded diameter, and the variable gripper 140 ′′ may be selectively inflated by the extension 160 ′′.
  • variable gripper 140 ′′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shapes and structures capable of selectively expanding and contracting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rame member 120 ′′.
  • the variable gripper 140 ′′ may include a plurality of gripper bodies 142 ′′ provided to be accessible and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frame member 120 ′′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rame member 120 ′′, and the gripper. It may include an elastic gripper ring 144 "provid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of the body 142".
  • a plurality of receiving portions 122 of FIG. 2 are formed around the frame member 120 ′′ provided with the variable gripper 140 ′′, and the gripper body 142 ′′ is substantially fan-shaped.
  • the gripper body 142 ′′ is substantially fan-shaped.
  • it is formed to have a cross-sectional shape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rame member 120 ′′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122 so as to be disposed therein. (See FIG. 2).
  • the term “an” means an internal space of the frame member 120 ", and the expansion unit 1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flow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frame member 120 ".
  • a total of four gripper bodies 142 may be disposed radially around the frame member 120", and in some cases, two, three, five or more gripper bodies may constitute a variable gripper. Can be configured.
  • the elastic gripper ring 144 ′′ may be formed of a conventional elastic body that is elastically deformable.
  • the elastic gripper ring 144 ′′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of rubber, rubber, and silicon, and may be elastic.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type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gripper ring 144 ".
  • the elastic gripper ring 144 may serve to elastically contract the expanded gripper body 142" as described above and at the same time, may serve as a non-slip member for preventing slipping. That is, the elastic gripper ring 144 " can be provided to surround the gripper body 142 " that substantially grips the grip, so that when the user grips the gripper body 142 " It can prevent occurrence.
  • flanges 142c "having an extended diameter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each gripper body 142", and the elastic gripper ring 144 "is disposed between each flange 142c". Can be. Since the elastic gripper ring 144 "can be disposed between the flange portions 142c", the separation of the elastic gripper ring 144 "with respect to the gripper body 142" can be prevented, and each gripper body ( 142 ") can be stably maintained.
  • the gripper body 142 may be pushed outward and the variable gripper 140" may be inflated.
  • the touch tip 130 may be moved to an initial position accommodated inside the frame member 120".
  • the extension portion 160 ′′ disposed inside the variable gripper 140 ′′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outside of the variable gripper 140 ′′, and as a result, the gripper body 142 ′′ that has been expanded may have an elastic gripper ring ( 144 ").
  • the size or diameter of the expansion portion 160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of the elastic gripper ring 144".
  • the housing is provided on the frame member 120 "to receive the frame member 120" therein and is moved relative to the frame member 120 "to selectively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member 120". 110 ") may be provided.
  • the housing 110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housing 110 may be formed to have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and in some cases, The housing may be formed to have a non-circular cross section, such as a polygon.
  • the housing may be selectively exten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member 120 ", and substantially the entire length of the stylus pen 100" when the housing 110 "extends from the frame member 120". It may extend by a certain length.
  • the touch tip 130 ′′ When carrying and storing the stylus pen 100 ′′, the touch tip 130 ′′ is accommodated inside the frame member 120 ′′ so that the stylus pen 100 ′′ is provided without being protruded outwardly (see FIG. 10).
  • the touch tip 130 is drawn out of the frame member 120" by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shaft member 150 "and the variable gripper 140" is expanded and the thickness of the variable gripper 140 "is expanded. That is, the touch tip 130 ′′ may move downward together by pressing the shaft member 150 ′′. As the touch tip 130 ′′ moves downward, the frame member moves downward.
  • the gripper body 142 may be pushed outwards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rame member 120" by the extension 160 “entering the inside of the variable gripper 140" inside the 120 ", As a result, the variable gripper 140 "may be inflated (see FIG. 11).
  • the user may perform a touch input operation using the touch tip 130 ′′ protruding out of the frame member 120 ′′.
  • the user may stably grip the inflated variable gripper 140 ′′ to use the stylus pen 100 ′′.
  • the touch tip 130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frame member 120 "and carried and stored again.
  • the method of receiving the touch tip inside the frame member is described above. It may be implemented in the same manner as a tip ballpoint pen, or alternatively may be implemented by simply pushing the touch tip.
  • the variable gripper An extension 160 ′′ that was inside of 140 ′′ may be spaced outward of the variable gripper 140 ′′, and consequently, the gripper body 142 ′′, which has been expanded, is subjected to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gripper ring 144 ′′. By contraction.
  • the stylus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idely used as an input means of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touch screen, such as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smart phone, a handheld PC, a mobile phone, an MP3 player, a game machine, and the like. Can be.
  •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 a smart phone such as a smart phone, a handheld PC, a mobile phone, an MP3 player, a game machine, and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제품의 상품적 가치를 향상시키고 소비자의 만족도를 제고시킬 수 있는 스타일러스 펜이 개시된다. 스타일러스 펜은 프레임부재, 프레임부재의 일단에 제공되어 피접촉부에 접촉되는 터치팁, 터치팁에 인접하게 프레임부재에 제공되며 선택적으로 팽창 및 수축되며 두께가 가변되는 가변 그립퍼(variable gripper)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타일러스 펜
본 발명은 스타일러스 펜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제품의 상품적 가치를 향상시키고 소비자의 만족도를 제고시킬 수 있는 스타일러스 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은 PDA(personal digital assi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셀룰러 폰(cellular phone), 타블릿 피씨(tablet PC), 팜 피씨(palm PC) 등과 같이 터치스크린이 설치된 단말기(전자 또는 통신기기)의 입력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의 일단에 형성된 터치팁(touch tip)이 터치스크린에 접촉되면, 입력신호가 발생되고 이 신호에 따라 단말기가 동작하게 된다. 즉, 터치스크린 상에는 아이콘, 메뉴 화면 등이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가 실행시키고자 하는 아이콘, 메뉴 등을 스타일러스 펜으로 누르면, 단말기는 해당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스타일러스 펜은 사용자가 별도로 휴대하고 다니거나 단말기에 내장형으로 장착될 수 있다. 근래들어, 대부분의 스타일러스 펜은 분실 방지 및 휴대의 용이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단말기의 적소에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제공된다.
한편, 최근들어 단말기의 크기 및 성능은 하루가 다르게 변해가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이동 중에도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단말기의 크기가 점점 작아지고 있다.
그런데, 단말기가 소형화되면 스타일러스 펜도 점점 작아지게 되는데, 종래에는 스타일러스 펜이 작아짐에 따라 사용자가 스타일러스 펜을 잡고 원하는 터치조작을 수행하기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스타일러스 펜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신축할 수 있는 종래 스타일러스 펜의 경우, 일단에 터치팁이 구비된 샤프트부재가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인출된 상태에서는 샤프트부재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그립성이 저하되고,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그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스타일러스 펜에 대한 여러 가지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제품의 상품적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스타일러스 펜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그립부(grip portion)의 두께를 선택적으로 팽창시켜 우수한 그립(Grip)감을 제공할 수 있는 스타일러스 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품의 그립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스타일러스 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품의 상품적 가치를 향상시키고 제품의 고급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소비자의 만족도를 제고시킬 수 있는 스타일러스 펜을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타일러스 펜은 프레임부재, 프레임부재의 일단에 제공되어 피접촉부에 접촉되는 터치팁, 터치팁에 인접하게 프레임부재에 제공되며 선택적으로 팽창 및 수축되며 두께가 가변되는 가변 그립퍼(variable gripper)를 포함한다.
프레임부재의 두께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런데, 스타일러스 펜의 크기 및 두께가 작아질수록 불가피하게 프레임부재의 두께가 얇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프레임부재의 그립성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선택적으로 팽창 및 수축될 수 있는 가변 그립퍼를 통해 그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가변 그립퍼는 터치팁에 인접하도록 프레임부재에 제공될 수 있으며, 프레임부재의 반경 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팽창 및 수축되며 두께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가변 그립퍼는 반경 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팽창 및 수축 가능한 다양한 형태 및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가변 그립퍼는 프레임부재의 반경 방향을 따라 프레임부재에 접근 및 이격 가능하게 제공되는 복수개의 그립퍼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프레임부재의 내부에는 샤프트부재가 제공될 수 있되, 샤프트부재에는 샤프트부재보다 확장된 직경을 갖는 확장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샤프트부재가 프레임부재에 대해 이동하면, 프레임부재의 내부에서 가변 그립퍼의 내측으로 진입하는 확장부에 의해 그립퍼몸체가 프레임부재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밀려나며 가변 그립퍼가 팽창될 수 있다.
가변 그립퍼의 형상 및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가변 그립퍼가 제공되는 프레임부재의 둘레에 내부와 연통되는 복수개의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그립퍼몸체는 대략 부채꼴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적어도 일부가 프레임부재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수용부에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부재의 내부라 함은 프레임부재의 내부 공간을 의미하며, 확장부는 프레임부재의 내부 공간에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가변 그립퍼는 그립퍼몸체의 둘레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제공되는 탄성 그립퍼링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그립퍼링은 각 그립퍼몸체의 둘레 전체 또는 일부를 감싸도록 제공되어, 각 그립퍼몸체의 배치상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확장부에 의한 가압이 해제될 경우 각 그립퍼몸체가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게 한다.
탄성 그립퍼링은 탄성 변형 가능한 통상의 탄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탄성 그립퍼링은 고무, 러버 및 실리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 그립퍼링의 종류 및 물리적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각 그립퍼몸체의 둘레에는 구속홈이 형성될 수 있고, 탄성 그립퍼링의 내면에는 구속홈에 수용되기 위한 구속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2개 또는 3개, 5개 이상의 그립퍼몸체가 가변 그립퍼를 구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그립퍼몸체의 일단부 내면에는 확장부의 진입을 안내하기 위한 진입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확장부는 진입경사부를 따라 이동하며 가변 그립퍼 내부로 안정적으로 진입될 수 있다. 한편, 터치팁을 보호하기 위한 캡(cap)이 제공될 수 있으며, 캡에는 단말기와 같은 피대상체에 매달아 사용하기 위한 걸이끈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부재 상에는 프레임부재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제공되며, 선택적으로 프레임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프레임부재에 대해 이동하는 하우징이 제공될 수 있으며, 전술한 샤프트부재의 일단은 하우징에 연결될 수 있다. 프레임부재로부터 하우징이 연장될 시 실질적으로 스타일러스 펜의 전체 길이가 일정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또는 샤프트부재)에 대한 프레임부재의 상대 이동시 그립퍼몸체와 확장부 간의 기구적 간섭에 의해 가변 그립퍼가 팽창되거나 수축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하우징에 대한 프레임부재의 인출 동작에 상관없이 별도 구동원 또는 별도 조작에 의해 가변 그립퍼가 작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르게는 하우징에 대해 프레임부재가 이동할 시 공기 압력이 발생되고, 이 공기 압력에 의해 가변 그립퍼가 팽창 및 수축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또 다르게는 자석의 자기력을 이용하여 가변 그립퍼가 팽창 및 수축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타일러스 펜은 하우징,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며 선택적으로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되는 프레임부재, 프레임부재가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프레임부재가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일시적으로 구속하기 위한 구속수단, 프레임부재의 일단에 제공되어 피접촉부에 접촉되는 터치팁, 및 터치팁에 인접하게 프레임부재 상에 제공되며 선택적으로 팽창 및 수축되며 두께가 가변되는 가변 그립퍼(variable gripper)를 포함한다.
탄성부재는 하우징과 프레임부재의 사이에 제공되어 프레임부재가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탄성부재로서는 통상의 코일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레임부재가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상태는 구속수단에 의해 일시적으로 구속될 수 있다. 구속수단으로서는 프레임부재에 대한 하우징의 배치 상태를 일시적으로 구속 가능한 다양한 구조 및 방식의 구속수단이 채용될 수 있다. 일 예로, 구속수단은 하우징에 구속 가능한 구속돌기를 구비하여 프레임부재 상에 누름조작 가능하게 제공되는 버튼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버튼부를 누름조작하면 구속돌기에 의한 하우징의 구속상태가 해제될 수 있으며, 구속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프레임부재가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가변 그립퍼는 프레임부재의 반경 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팽창 및 수축 가능한 다양한 형태 및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가변 그립퍼는 프레임부재의 반경 방향을 따라 프레임부재에 접근 및 이격 가능하게 제공되는 복수개의 그립퍼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프레임부재의 내부에는 샤프트부재가 제공될 수 있되, 샤프트부재에는 샤프트부재보다 확장된 직경을 갖는 확장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샤프트부재가 프레임부재에 대해 이동하면, 프레임부재의 내부에서 가변 그립퍼의 내측으로 진입하는 확장부에 의해 그립퍼몸체가 프레임부재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밀려나며 가변 그립퍼가 팽창될 수 있다.
또한, 가변 그립퍼는 그립퍼몸체의 둘레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제공되는 탄성 그립퍼링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그립퍼링은 각 그립퍼몸체의 둘레 전체 또는 일부를 감싸도록 제공되어, 각 그립퍼몸체의 배치상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확장부에 의한 가압이 해제될 경우 각 그립퍼몸체가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게 한다. 아울러, 각 그립퍼몸체의 양단부에는 확장된 직경을 갖는 플랜지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고, 탄성 그립퍼링은 각 플랜지부 사이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타일러스 펜은 중공의 프레임부재, 프레임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누름조작 가능하게 프레임부재의 내부에 수용되는 샤프트부재, 상대적으로 확장된 직경을 갖는 확장부를 구비하여 샤프트부재의 일단에 연결되며 프레임부재의 내부에 수용되어 샤프트부재의 누름조작시 타단이 프레임부재의 외부로 돌출되는 터치팁, 프레임부재의 반경 방향을 따라 프레임부재의 중심에 접근 및 이격 가능하게 제공되는 복수개의 그립퍼몸체를 포함하는 가변 그립퍼(variable gripper)를 포함한다. 따라서, 누름조작에 따라 터치팁이 프레임부재의 외부로 돌출되면, 프레임부재의 내부에서 가변 그립퍼의 내측으로 진입하는 확장부에 의해 그립퍼몸체가 프레임부재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밀려나며 가변 그립퍼가 팽창할 수 있다.
또한, 가변 그립퍼는 그립퍼몸체의 둘레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제공되는 탄성 그립퍼링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부재는 프레임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누름조작 가능하게 프레임부재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샤프트부재의 구조 및 특성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가령, 샤프트부재는 통상의 볼펜 누름부와 같이 반복적인 누름 조작 가능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최초 누름 조작시 일정 구간 아래로 이동될 수 있고, 재차 누름 조작시에는 스프링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상부로 탄성적으로 복귀할 수 있는 볼펜(소위 똑딱이 볼펜이라 지칭되기도 함)의 누름부와 유사한 작동 방식으로 샤프트부재가 구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의 스프링부재를 배제하고 샤프트부재가 단순히 누름 조작 가능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부재 상에는 프레임부재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제공되며, 선택적으로 프레임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프레임부재에 대해 이동하는 하우징이 제공될 수 있다. 프레임부재로부터 하우징이 연장될 시 실질적으로 스타일러스 펜의 전체 길이가 일정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에 의하면, 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제품의 상품적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선택적으로 팽창 및 수축되며 두께가 가변될 수 있는 가변 그립퍼를 구비하여 그립(Grip)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품을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스타일러스 펜의 크기 및 두께가 작아져 불가피하게 프레임부재의 두께가 얇아지게 될 경우에도 그립부(grip portion)가 선택적으로 충분한 두께를 가질 수 있게 하며 우수한 그립(Grip)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변 그립퍼가 선택적으로 얇은 두께로 수축될 수 있기 때문에 휴대 및 보관시에는 휴대성 및 보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다양한 취향을 만족시켜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품의 그립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품의 상품적 가치를 향상시키고 제품의 고급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소비자의 만족도를 제고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Ⅰ-Ⅰ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작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작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작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Ⅰ-Ⅰ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작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Ⅲ-Ⅲ선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100)은 하우징(110), 프레임부재(120), 터치팁(130) 및 가변 그립퍼(variable gripper)(140)를 포함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100)은 PDA(personal digital assi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셀룰러 폰(cellular phone), 타블릿 피씨(tablet PC), 팜 피씨(palm PC), 스마트 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 PC,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이 터치스크린이 설치된 단말기의 입력장치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단말기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하우징(11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중공의 실린더 형상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10)이 원형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하우징이 다각형 등과 같은 비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의 형상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프레임부재(12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수용되되, 선택적으로 하우징(110)의 외부로 인출되며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즉, 상기 프레임부재(120)는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우징(110)의 내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선택적으로 하우징(11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으며, 프레임부재(120)가 하우징(110) 외부로 인출될 시 실질적으로 스타일러스 펜(100)의 전체 길이가 일정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재(120)가 하우징(110)으로부터 일정 이상 인출된 후에는 프레임부재(120)와 하우징(110) 간의 기구적 구속에 의해 프레임부재(120)가 더 이상 인출되지 않고 구속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재(120)와 하우징(110) 간의 기구적 구속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터치팁(130)(touch tip)은 프레임부재(120)의 단부에 일체로 제공되어 피접촉부에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피접촉부라 함은 터치팁(130)이 직접 접촉되는 접촉대상체로 이해될 수 있으며, 피접촉부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상기 피접촉부는 단말기에 제공되는 통상의 터치스크린일 수 있는 바, 터치팁(130)이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아이콘, 메뉴 화면 등에 접촉하게 되면, 접촉에 따른 입력신호가 발생될 수 있고, 이 입력신호에 의해 단말기가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프레임부재(120)의 두께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런데, 스타일러스 펜의 크기 및 두께가 작아질수록 불가피하게 프레임부재의 두께가 얇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프레임부재의 그립성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가변 그립퍼(140)를 통해 그립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휴대 및 보관성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가변 그립퍼(140)는 터치팁(130)에 인접하도록 프레임부재(120) 상에 제공되며, 프레임부재(120)의 반경 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팽창(D2) 및 수축(D1)되며 두께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가변 그립퍼(140)는 반경 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팽창 및 수축 가능한 다양한 형태 및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가변 그립퍼(140)는 프레임부재(120)의 반경 방향을 따라 프레임부재(120)의 중심에 접근 및 이격 가능하게 제공되는 복수개의 그립퍼몸체(142), 및 상기 그립퍼몸체(142)의 둘레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제공되는 탄성 그립퍼링(144)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프레임부재(120)가 하우징(110)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가변 그립퍼(140)는 팽창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프레임부재(120)가 하우징(110)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가변 그립퍼(140)가 수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가변 그립퍼(140)가 제공되는 프레임부재(120)의 둘레에 내부와 연통되는 복수개의 수용부(122)가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그립퍼몸체(142)는 대략 부채꼴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적어도 일부가 프레임부재(120)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수용부(122)에 수용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부재(120)의 내부라 함은 프레임부재(120)의 내부 공간을 의미하며, 후술할 확장부(160)는 프레임부재(120)의 내부 공간에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탄성 그립퍼링(144)은 탄성 변형 가능한 통상의 탄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탄성 그립퍼링(144)은 고무, 러버 및 실리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 그립퍼링(144)의 종류 및 물리적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상기 탄성 그립퍼링(144)은 각 그립퍼몸체(142)가 외측으로 밀려나며 팽창된 상태에서도 각 그립퍼몸체(142)가 외부로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충분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탄성 그립퍼링(144)은 전술한 바와 같이 팽창된 그립퍼몸체(142)를 탄성적으로 수축시키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미끄럼 방지부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탄성 그립퍼링(144)은 실질적으로 그립(grip)이 이루어지는 그립퍼몸체(142)의 둘레를 감싸도록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그립퍼몸체(142)를 그립할 시 그립부에서의 미끄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그립퍼몸체(142)의 둘레에는 구속홈(142a)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탄성 그립퍼링(144)의 내면에는 구속홈(142a)에 수용되기 위한 구속돌기(144a)가 형성될 수 있다. 탄성 그립퍼링(144)의 구속돌기(144a)가 그립퍼몸체(142)의 구속홈(142a)에 수용되며 구속될 수 있기 때문에, 그립퍼몸체(142)에 대한 탄성 그립퍼링(144)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고, 각 그립퍼몸체(142)의 배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속돌기 및 구속홈의 형상 및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그립퍼몸체의 둘레에 구속돌기를 형성하고 탄성 그립퍼링의 내면에 구속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총 4개의 그립퍼몸체가 프레임부재의 둘레에 방사형으로 배치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2개 또는 3개, 5개 이상의 그립퍼몸체가 가변 그립퍼를 구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가변 그립퍼(140)를 구성하는 그립퍼몸체(142) 및 탄성 그립퍼링(144)의 작동방식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가령, 가변 그립퍼는 하우징에 대한 프레임부재(120)의 이동시 연동되며 팽창되거나 수축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하우징에 대한 프레임부재의 인출 동작에 상관없이 별도 구동원 또는 별도 구동조작에 의해 가변 그립퍼가 작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하우징(110)에 대한 프레임부재(120)의 상대 이동시 그립퍼몸체(142)와 확장부(160) 간의 기구적 간섭에 의해 가변 그립퍼(140)가 팽창되거나 수축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즉, 상기 프레임부재(120)를 통과하도록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샤프트부재(150)의 일단이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샤프트부재(150)의 타단부에 샤프트부재(150)보다 확장된 직경(또는 단면적)을 갖는 확장부(160)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부재(120)가 하우징(110)으로부터 인출되면, 프레임부재(120)와 함께 가변 그립퍼(140)가 하우징(11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는 바, 가변 그립퍼(140)가 하우징(110)으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프레임부재(120)의 내부에서 가변 그립퍼(140)의 내측으로 진입하는 확장부(160)에 의해 그립퍼몸체(142)가 프레임부재(120)의 반경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밀려날 수 있고, 결과적으로 가변 그립퍼(140)가 팽창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프레임부재(120)가 하우징(110) 내부에 수용되는 초기 위치로 이동하면, 하우징(110)으로부터 이격되었던 가변 그립퍼(140)가 다시 하우징(11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는 바, 가변 그립퍼(140)가 하우징(110)에 인접하게 배치됨에 따라, 가변 그립퍼(140)의 내측에 있던 확장부(160)가 가변 그립퍼(140)의 외측으로 이격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확장되었던 그립퍼몸체(142)는 탄성 그립퍼링(144)의 탄성력에 의해 수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확장부(160)의 크기 또는 직경은 탄성 그립퍼링(144)의 물리적의 특성,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립퍼몸체(142)의 일단부 내면에는 확장부(160)의 진입을 안내하기 위한 진입경사부(142b)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확장부(160)는 진입경사부(142b)를 따라 이동하며 가변 그립퍼(140) 내부로 안정적으로 진입될 수 있다.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그립퍼몸체(142)와 확장부(160) 간의 기구적 간섭에 의해 가변 그립퍼가 팽창되거나 수축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하우징에 대해 프레임부재가 이동할 시 공기 압력이 발생되고, 이 공기 압력에 의해 가변 그립퍼가 팽창 및 수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자석의 자기력을 이용하여 가변 그립퍼가 팽창 및 수축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터치팁(130)을 보호하기 위한 캡(cap)(170)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캡(170)은 터치팁(130)을 감싸도록 제공되어 외부 접촉으로부터 터치팁(130)이 보호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캡(170)의 장착 구조 및 방식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캡(170)은 프레임부재(12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캡(170)에는 탄성적으로 움직이는 홀더돌기(182)를 갖는 홀더(180)가 제공될 수 있으며, 홀더(180)의 홀더돌기(182)가 프레임부재(120)의 일단부에 형성된 구속홈(124)에 수용됨으로써 캡(170)과 프레임부재(120) 간의 구속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홀더(180)는 캡(170) 내부에 수용되며 캡(170)에 결합되는 홀더링(190)에 의해 배치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170)에는 단말기와 같은 피대상체에 매달아 사용하기 위한 걸이끈(200)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걸이끈(200)으로서는 통상의 끈부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걸이끈(200)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작동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스타일러스 펜(100)의 휴대 및 보관시에는 프레임부재(120)가 하우징(11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배치되고, 프레임부재(120)의 일단부에는 캡(170)이 구속된 상태로 제공된다.(도 1 참조)
그 후, 사용자가 스타일러스 펜(100)을 사용하기 위해 도 5 및 도 6과 같이, 하우징(110)과 캡(170)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캡(170)과 프레임부재(120) 간의 구속이 유지된 상태로 프레임부재(120)가 하우징(110)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프레임부재(120)가 하우징(110) 외부로 인출됨과 동시에 가변 그립퍼(140)가 팽창되며 가변 그립퍼(140)의 두께가 가변될 수 있다. 즉, 상기 프레임부재(120)가 하우징(110)으로부터 인출되면, 프레임부재(120)와 함께 가변 그립퍼(140)가 하우징(11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는 바, 가변 그립퍼(140)가 하우징(110)으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프레임부재(120)의 내부에서 가변 그립퍼(140)의 내측으로 진입하는 확장부(160)에 의해 그립퍼몸체(142)가 프레임부재(120)의 반경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밀려날 수 있고, 결과적으로 가변 그립퍼(140)가 팽창(D2)될 수 있다.(도 7 참조)
그 후, 사용자는 연장된 프레임부재(120)로부터 캡(170)을 분리할 수 있으며, 캡(170)이 분리됨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는 터치팁(130)을 사용하여 터치 입력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팽창된 가변 그립퍼(140)를 안정적으로 그립하여 스타일러스 펜(100)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 스타일러스 펜(100)을 사용한 후에는 캡(170)을 닫고 프레임부재(120)를 다시 하우징(110) 내부로 밀어넣어 휴대 및 보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부재(120)가 하우징(110) 내부에 수용되는 초기 위치로 이동하면, 하우징(110)으로부터 이격되었던 가변 그립퍼(140)가 다시 하우징(11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는 바, 가변 그립퍼(140)가 하우징(110)에 인접하게 배치됨에 따라, 가변 그립퍼(140)의 내측에 있던 확장부(160)가 가변 그립퍼(140)의 외측으로 이격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확장되었던 그립퍼몸체(142)는 탄성 그립퍼링(144)의 탄성력에 의해 수축(D2>D1)될 수 있다.
한편,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프레임부재가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프레임부재가 하우징으로부터 자동적으로 인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작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 및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100')은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수용되며 선택적으로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우징(110')의 외부로 인출되는 프레임부재(120'), 상기 프레임부재(120')가 하우징(110')의 외부로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10'), 상기 프레임부재(120')가 하우징(110')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일시적으로 구속하기 위한 구속수단, 상기 프레임부재(120')의 일단에 제공되어 피접촉부에 접촉되는 터치팁(130'), 상기 터치팁(130')에 인접하게 프레임부재(120') 상에 제공되며 선택적으로 팽창 및 수축되며 두께가 가변되는 가변 그립퍼(variable gripper)(14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중공의 실린더 형상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하우징(110')의 형상 및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재(12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수용되되, 선택적으로 하우징(110')의 외부로 인출되며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즉, 상기 프레임부재(120')는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우징(110')의 내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선택적으로 하우징(11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으며, 프레임부재(120')가 하우징(110') 외부로 인출될 시 실질적으로 스타일러스 펜(100')의 전체 길이가 일정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과 상기 프레임부재(120')의 사이에는 프레임부재(120')가 하우징(110')의 외부로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부재(210')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10')로서는 통상의 코일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210')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상기 프레임부재(120')가 하우징(110') 내부에 수용된 상태는 구속수단에 의해 일시적으로 구속될 수 있다. 상기 구속수단으로서는 프레임부재(120')에 대한 하우징(110')의 배치 상태를 일시적으로 구속 가능한 다양한 구조 및 방식의 구속수단이 채용될 수 있다. 일 예로, 구속수단은 하우징(110')에 구속 가능한 걸림돌기(126a)를 구비하여 프레임부재(120') 상에 누름조작 가능하게 제공되는 버튼부(12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버튼부(126)를 누름조작하면 걸림돌기(126a)에 의한 하우징(110')의 구속상태가 해제될 수 있으며, 구속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탄성부재(210')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프레임부재(120')가 하우징(11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부재(120')가 하우징(110')으로부터 일정 이상 인출된 후에는 프레임부재(120')와 하우징(110') 간의 기구적 구속에 의해 프레임부재(120')가 더 이상 인출되지 않고 구속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재(120')와 하우징(110') 간의 기구적 구속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터치팁(130')(touch tip)은 프레임부재(120')의 단부에 일체로 제공되어 피접촉부에 접촉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피접촉부는 단말기에 제공되는 통상의 터치스크린일 수 있는 바, 터치팁(130')이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아이콘, 메뉴 화면 등에 접촉하게 되면, 접촉에 따른 입력신호가 발생될 수 있고, 이 입력신호에 의해 단말기가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가변 그립퍼(140')는 터치팁(130')에 인접하도록 프레임부재(120') 상에 제공되며, 프레임부재(120')의 반경 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팽창 및 수축되며 두께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가변 그립퍼(140')는 반경 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팽창 및 수축 가능한 다양한 형태 및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가변 그립퍼(140')는 프레임부재(120')의 반경 방향을 따라 프레임부재(120')의 중심에 접근 및 이격 가능하게 제공되는 복수개의 그립퍼몸체(142'), 및 상기 그립퍼몸체(142')의 둘레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제공되는 탄성 그립퍼링(144')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프레임부재(120')가 하우징(110')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가변 그립퍼(140')는 팽창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프레임부재(120')가 하우징(110')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가변 그립퍼(140')가 수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가변 그립퍼(140')가 제공되는 프레임부재(120')의 둘레에 내부와 연통되는 복수개의 수용부(도 2의 122)가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그립퍼몸체(142')는 대략 부채꼴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적어도 일부가 프레임부재(120')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수용부(122)에 수용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도 2 참조) 여기서 상기 프레임부재(120')의 내부라 함은 프레임부재(120')의 내부 공간을 의미하며, 후술할 확장부(160')는 프레임부재(120')의 내부 공간에서 유동될 수 있다. 일 예로, 총 4개의 그립퍼몸체(142')가 프레임부재(120')의 둘레에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2개 또는 3개, 5개 이상의 그립퍼몸체가 가변 그립퍼를 구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탄성 그립퍼링(144')은 탄성 변형 가능한 통상의 탄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탄성 그립퍼링(144')은 고무, 러버 및 실리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 그립퍼링(144')의 종류 및 물리적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탄성 그립퍼링(144')은 전술한 바와 같이 팽창된 그립퍼몸체(142')를 탄성적으로 수축시키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미끄럼 방지부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탄성 그립퍼링(144')은 실질적으로 그립(grip)이 이루어지는 그립퍼몸체(142')의 둘레를 감싸도록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그립퍼몸체(142')를 그립할 시 그립부에서의 미끄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그립퍼몸체(142')의 양단부에는 확장된 직경을 갖는 플랜지부(142c')가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탄성 그립퍼링(144')은 각 플랜지부(142c')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 그립퍼링(144')이 각 플랜지부(142c') 사이에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그립퍼몸체(142')에 대한 탄성 그립퍼링(144')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고, 각 그립퍼몸체(142')의 배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가변 그립퍼(140')를 구성하는 그립퍼몸체(142') 및 탄성 그립퍼링(144')의 작동방식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하우징(110')에 대한 프레임부재(120')의 상대 이동시 그립퍼몸체(142')와 확장부(160') 간의 기구적 간섭에 의해 가변 그립퍼(140')가 팽창되거나 수축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즉, 상기 프레임부재(120')를 통과하도록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샤프트부재(150')의 일단이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샤프트부재(150')의 타단부에 샤프트부재(150')보다 확장된 직경(또는 단면적)을 갖는 확장부(160')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부재(120')가 하우징(110')으로부터 인출되면, 프레임부재(120')와 함께 가변 그립퍼(140')가 하우징(11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는 바, 가변 그립퍼(140')가 하우징(110')으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프레임부재(120')의 내부에서 가변 그립퍼(140')의 내측으로 진입하는 확장부(160')에 의해 그립퍼몸체(142')가 프레임부재(120')의 반경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밀려날 수 있고, 결과적으로 가변 그립퍼(140')가 팽창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프레임부재(120')가 하우징(110') 내부에 수용되는 초기 위치로 이동하면, 하우징(110')으로부터 이격되었던 가변 그립퍼(140')가 다시 하우징(11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는 바, 가변 그립퍼(140')가 하우징(110')에 인접하게 배치됨에 따라, 가변 그립퍼(140')의 내측에 있던 확장부(160')가 가변 그립퍼(140')의 외측으로 이격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확장되었던 그립퍼몸체(142')는 탄성 그립퍼링(144')의 탄성력에 의해 수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확장부(160')의 크기 또는 직경은 탄성 그립퍼링(144')의 물리적의 특성,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립퍼몸체(142')의 일단부 내면에는 확장부(160')의 진입을 안내하기 위한 진입경사부(142b')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확장부(160')는 진입경사부(142b')를 따라 이동하며 가변 그립퍼(140') 내부로 안정적으로 진입될 수 있다.
한편, 터치팁(130')을 보호하기 위한 캡(cap)(170')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캡(170')은 터치팁(130')을 감싸도록 제공되어 외부 접촉으로부터 터치팁(130')이 보호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캡(170')의 장착 구조 및 방식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170')에는 단말기와 같은 피대상체에 매달아 사용하기 위한 걸이끈(200')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걸이끈(200')으로서는 통상의 끈부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걸이끈(200')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작동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스타일러스 펜(100')의 휴대 및 보관시에는 프레임부재(120')가 하우징(11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배치되고, 프레임부재(120')의 일단부에는 캡(170')이 구속된 상태로 제공된다.(도 8 참조) 이때, 탄성부재(210')는 프레임부재(120')와 하우징(110')의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고, 프레임부재(120')에 대한 하우징(110')의 배치 상태는 버튼부(126)의 걸림돌기(126a)에 의해 일시적으로 구속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가 스타일러스 펜(100')을 사용하기 위해 도 9와 같이, 버튼부(126)를 누름조작하게 되면, 걸림돌기(126a)에 의한 하우징(110')의 구속상태가 해제될 수 있으며, 걸림돌기(126a)에 의한 하우징(110')의 구속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압축되었던 탄성부재(210')가 복원될 수 있고 이 탄성부재(210')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프레임부재(120')가 하우징(11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탄성부재(210')의 탄성력에 의해 프레임부재(120')가 하우징(110') 외부로 인출됨과 동시에 가변 그립퍼(140')가 팽창되며 가변 그립퍼(140')의 두께가 가변될 수 있다. 즉, 상기 프레임부재(120')가 하우징(110')으로부터 인출되면, 프레임부재(120')와 함께 가변 그립퍼(140')가 하우징(11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는 바, 가변 그립퍼(140')가 하우징(110')으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프레임부재(120')의 내부에서 가변 그립퍼(140')의 내측으로 진입하는 확장부(160')에 의해 그립퍼몸체(142')가 프레임부재(120')의 반경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밀려날 수 있고, 결과적으로 가변 그립퍼(140')가 팽창될 수 있다.(도 9 참조)
그 후, 사용자는 연장된 프레임부재(120')로부터 캡(170')을 분리할 수 있으며, 캡(170')이 분리됨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는 터치팁(130')을 사용하여 터치 입력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팽창된 가변 그립퍼(140')를 안정적으로 그립하여 스타일러스 펜(100')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스타일러스 펜(100')을 사용한 후에는 캡(170')을 닫고 프레임부재(120')를 다시 하우징(110') 내부로 밀어넣어 휴대 및 보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부재(120')가 하우징(110') 내부에 수용되는 초기 위치로 이동하면, 하우징(110')으로부터 이격되었던 가변 그립퍼(140')가 다시 하우징(11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는 바, 가변 그립퍼(140')가 하우징(110')에 인접하게 배치됨에 따라, 가변 그립퍼(140')의 내측에 있던 확장부(160')가 가변 그립퍼(140')의 외측으로 이격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확장되었던 그립퍼몸체(142')는 탄성 그립퍼링(144')의 탄성력에 의해 수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작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 및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100")은 중공의 프레임부재(120"), 상기 프레임부재(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누름조작 가능하게 프레임부재(120")의 내부에 수용되는 샤프트부재(150"), 상대적으로 확장된 직경을 갖는 확장부(160")를 구비하여 샤프트부재(150")의 일단에 연결되며 프레임부재(120")의 내부에 수용되어 샤프트부재(150")의 누름조작시 프레임부재(120")의 외부로 돌출되는 터치팁(130"), 및 상기 프레임부재(120")의 반경 방향을 따라 프레임부재(120")의 중심에 접근 및 이격 가능하게 제공되는 복수개의 그립퍼몸체(142") 및 각 그립퍼몸체(142")의 둘레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제공되는 탄성 그립퍼링(144")을 포함하는 가변 그립퍼(variable gripper)(14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부재(12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중공의 실린더 형상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프레임부재(120")가 원형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프레임부재가 다각형 등과 같은 비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프레임부재의 형상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샤프트부재(150")는 프레임부재(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누름조작 가능하게 프레임부재(120")의 내부에 수용된다. 샤프트부재(150")의 구조 및 특성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가령, 샤프트부재는 통상의 볼펜 누름부와 같이 반복적인 누름 조작 가능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최초 누름 조작시 일정 구간 아래로 이동될 수 있고, 재차 누름 조작시에는 스프링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상부로 탄성적으로 복귀할 수 있는 볼펜(소위 똑딱이 볼펜이라 지칭되기도 함)의 누름부와 유사한 작동 방식으로 샤프트부재가 구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의 스프링부재를 배제하고 샤프트부재가 단순히 누름 조작 가능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터치팁(130")(touch tip)은 사프트부재의 단부에 제공되어 프레임부재(120")의 내부에 수용되며, 샤프트부재(150")의 누름조작시 프레임부재(120")의 외부로 돌출되어 피접촉부에 접촉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피접촉부는 단말기에 제공되는 통상의 터치스크린일 수 있는 바, 터치팁(130")이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아이콘, 메뉴 화면 등에 접촉하게 되면, 접촉에 따른 입력신호가 발생될 수 있고, 이 입력신호에 의해 단말기가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가변 그립퍼(140")는 프레임부재(120")의 단부에 인접하게 제공되며, 프레임부재(120")의 반경 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팽창 및 수축되며 두께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터치팁(130")에는 상대적으로 확장된 직경을 갖는 확장부(160")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확장부(160")에 의해 가변 그립퍼(140")가 선택적으로 팽창될 수 있다.
상기 가변 그립퍼(140")는 프레임부재(120")의 반경 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팽창 및 수축 가능한 다양한 형태 및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가변 그립퍼(140")는 프레임부재(120")의 반경 방향을 따라 프레임부재(120")의 중심에 접근 및 이격 가능하게 제공되는 복수개의 그립퍼몸체(142"), 및 상기 그립퍼몸체(142")의 둘레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제공되는 탄성 그립퍼링(144")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가변 그립퍼(140")가 제공되는 프레임부재(120")의 둘레에 내부와 연통되는 복수개의 수용부(도 2의 122)가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그립퍼몸체(142")는 대략 부채꼴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적어도 일부가 프레임부재(120")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수용부(122)에 수용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도 2 참조) 여기서 상기 프레임부재(120")의 내부라 함은 프레임부재(120")의 내부 공간을 의미하며, 후술할 확장부(160")는 프레임부재(120")의 내부 공간에서 유동될 수 있다. 일 예로, 총 4개의 그립퍼몸체(142")가 프레임부재(120")의 둘레에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2개 또는 3개, 5개 이상의 그립퍼몸체가 가변 그립퍼를 구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탄성 그립퍼링(144")은 탄성 변형 가능한 통상의 탄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탄성 그립퍼링(144")은 고무, 러버 및 실리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 그립퍼링(144")의 종류 및 물리적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탄성 그립퍼링(144")은 전술한 바와 같이 팽창된 그립퍼몸체(142")를 탄성적으로 수축시키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미끄럼 방지부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탄성 그립퍼링(144")은 실질적으로 그립(grip)이 이루어지는 그립퍼몸체(142")의 둘레를 감싸도록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그립퍼몸체(142")를 그립할 시 그립부에서의 미끄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그립퍼몸체(142")의 양단부에는 확장된 직경을 갖는 플랜지부(142c")가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탄성 그립퍼링(144")은 각 플랜지부(142c")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 그립퍼링(144")이 각 플랜지부(142c") 사이에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그립퍼몸체(142")에 대한 탄성 그립퍼링(144")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고, 각 그립퍼몸체(142")의 배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부재(150")의 누름조작에 따라 터치팁(130")이 프레임부재(120")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는 가변 그립퍼(140")의 내측으로 진입하는 확장부(160")에 의해 그립퍼몸체(142")가 외측으로 밀려나며 가변 그립퍼(140")가 팽창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터치팁(130")이 프레임부재(120")의 내부에 수용되는 초기 위치로 이동하면, 가변 그립퍼(140")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던 확장부(160")가 가변 그립퍼(140")의 외측으로 이격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확장되었던 그립퍼몸체(142")는 탄성 그립퍼링(144")의 탄성력에 의해 수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확장부(160")의 크기 또는 직경은 탄성 그립퍼링(144")의 물리적의 특성,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재(120") 상에는 프레임부재(120")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제공되며, 선택적으로 프레임부재(1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프레임부재(120")에 대해 이동하는 하우징(110")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중공의 실린더 형상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하우징(110")이 원형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하우징이 다각형 등과 같은 비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은 프레임부재(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프레임부재(120")로부터 하우징(110")이 연장될 시 실질적으로 스타일러스 펜(100")의 전체 길이가 일정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작동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스타일러스 펜(100")의 휴대 및 보관시에는 터치팁(130")이 프레임부재(120")의 내부에 수용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상태로 제공된다.(도 10 참조)
그 후, 사용자가 스타일러스 펜(100")을 사용하기 위해 도 11과 같이, 샤프트부재(150")의 상단부를 누름조작하게 되면, 샤프트부재(150")가 일정 구간 아래로 이동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샤프트부재(150")의 하단에 연결된 터치팁(130")이 아래로 이동하며 프레임부재(120")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샤프트부재(150")의 누름 조작에 의해 터치팁(130")이 프레임부재(120")의 외부로 인출됨과 동시에 가변 그립퍼(140")가 팽창되며 가변 그립퍼(140")의 두께가 가변될 수 있다. 즉, 상기 샤프트부재(150")의 누름 조작에 의해 터치팁(130")이 함께 아래로 이동할 수 있는 바, 터치팁(130")이 아래로 이동함에 따라, 프레임부재(120")의 내부에서 가변 그립퍼(140")의 내측으로 진입하는 확장부(160")에 의해 그립퍼몸체(142")가 프레임부재(120")의 반경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밀려날 수 있고, 결과적으로 가변 그립퍼(140")가 팽창될 수 있다.(도 11 참조)
그 후, 사용자는 프레임부재(120")의 외부로 돌출된 터치팁(130")을 사용하여 터치 입력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팽창된 가변 그립퍼(140")를 안정적으로 그립하여 스타일러스 펜(100")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스타일러스 펜(100")을 사용한 후에는 터치팁(130")을 다시 프레임부재(120") 내부에 수용시켜 휴대 및 보관할 수 있다. 터치팁을 프레임부재의 내부에 수용하는 방식은 전술한 바와 같이 똑딱이 볼펜과 같은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단순히 터치팁을 밀어 넣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터치팁(130")이 프레임부재(120")의 내부에 수용됨에 따라, 가변 그립퍼(140")의 내측에 있던 확장부(160")가 가변 그립퍼(140")의 외측으로 이격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확장되었던 그립퍼몸체(142")는 탄성 그립퍼링(144")의 탄성력에 의해 수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 PC, 휴대폰, MP3 플레이어, 게임기 등과 같이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전기전자장치의 입력수단으로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Claims (20)

  1. 프레임부재;
    상기 프레임부재의 일단에 제공되어 피접촉부에 접촉되는 터치팁; 및
    상기 터치팁에 인접하게 상기 프레임부재에 제공되며, 선택적으로 팽창 및 수축되며 두께가 가변되는 가변 그립퍼(variable gripper);
    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그립퍼는 상기 프레임부재의 반경 방향을 따라 상기 프레임부재의 중심에 접근 및 이격 가능하게 제공되는 복수개의 그립퍼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재의 내부에는 샤프트부재가 제공되되, 상기 샤프트부재에는 상기 샤프트부재보다 확장된 직경을 갖는 확장부가 구비되며,
    상기 샤프트부재가 상기 프레임부재에 대해 이동하면, 상기 프레임부재의 내부에서 상기 가변 그립퍼의 내측으로 진입하는 상기 확장부에 의해 상기 그립퍼몸체가 상기 프레임부재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밀려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재의 둘레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그립퍼몸체는 부채꼴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퍼몸체의 일단부 내면에는 상기 확장부의 진입을 안내하기 위한 진입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그립퍼는 상기 그립퍼몸체의 둘레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제공되는 탄성 그립퍼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퍼몸체의 둘레에는 구속홈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 그립퍼링의 내면에는 상기 구속홈에 수용되는 구속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재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제공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프레임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프레임부재에 대해 이동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일단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팁을 보호하기 위한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캡에는 홀더돌기를 갖는 홀더가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부재의 일단부에는 상기 홀더돌기가 구속되는 구속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10. 하우징;
    일단이 상기 하우징에 구속되어 수용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되며, 둘레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복수개의 수용부가 방사형으로 형성된 프레임부재;
    상기 프레임부재의 일단에 제공되어 피접촉부에 접촉되는 터치팁;
    상기 프레임부재를 통과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는 샤프트부재;
    상기 샤프트부재보다 확장된 직경을 갖도록 샤프트부재에 제공되는 확장부;
    상기 프레임부재의 반경 방향을 따라 상기 프레임부재의 중심에 접근 및 이격 가능하게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복수개의 그립퍼몸체, 및 상기 각 그립퍼몸체의 둘레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제공되는 탄성 그립퍼링을 포함하는 가변 그립퍼(variable gripper); 및
    상기 터치팁을 보호하기 위한 캡;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재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면, 상기 프레임부재의 내부에서 상기 가변 그립퍼의 내측으로 진입하는 상기 확장부에 의해 상기 그립퍼몸체가 상기 프레임부재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밀려나며 상기 가변 그립퍼가 팽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1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되는 프레임부재;
    상기 프레임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상기 프레임부재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일시적으로 구속하기 위한 구속수단;
    상기 프레임부재의 일단에 제공되어 피접촉부에 접촉되는 터치팁; 및
    상기 터치팁에 인접하게 상기 프레임부재 상에 제공되며, 선택적으로 팽창 및 수축되며 두께가 가변되는 가변 그립퍼(variable gripper);
    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하우징에 구속 가능한 걸림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프레임부재 상에 누름조작 가능하게 제공되는 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를 누름조작하면 상기 걸림돌기에 의한 상기 하우징의 구속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프레임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그립퍼는 상기 프레임부재의 반경 방향을 따라 상기 프레임부재의 중심에 접근 및 이격 가능하게 제공되는 복수개의 그립퍼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재를 통과하도록 상기 하우징에는 샤프트부재가 연결되되, 상기 샤프트부재에는 상기 샤프트부재보다 확장된 직경을 갖는 확장부가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과 함께 상기 샤프트부재가 상기 프레임부재에 대해 이동하면, 상기 프레임부재의 내부에서 상기 가변 그립퍼의 내측으로 진입하는 상기 확장부에 의해 상기 그립퍼몸체가 상기 프레임부재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밀려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그립퍼는 상기 그립퍼몸체의 둘레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제공되는 탄성 그립퍼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퍼몸체의 양단부에는 확장된 직경을 갖는 플랜지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탄성 그립퍼링은 상기 각 플랜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팁을 보호하기 위한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17. 중공의 프레임부재;
    상기 프레임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누름조작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부재의 내부에 수용되는 샤프트부재;
    상대적으로 확장된 직경을 갖는 확장부를 구비하여 상기 샤프트부재의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부재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샤프트부재의 누름조작시 타단이 상기 프레임부재의 외부로 돌출되는 터치팁;
    상기 프레임부재의 반경 방향을 따라 상기 프레임부재의 중심에 접근 및 이격 가능하게 제공되는 복수개의 그립퍼몸체를 포함하는 가변 그립퍼(variable gripper);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조작에 따라 상기 터치팁이 상기 프레임부재의 외부로 돌출되면, 상기 프레임부재의 내부에서 상기 가변 그립퍼의 내측으로 진입하는 상기 확장부에 의해 상기 그립퍼몸체가 상기 프레임부재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밀려나며 상기 가변 그립퍼가 팽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그립퍼는 상기 그립퍼몸체의 둘레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제공되는 탄성 그립퍼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퍼몸체의 양단부에는 확장된 직경을 갖는 플랜지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탄성 그립퍼링은 상기 각 플랜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재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제공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프레임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프레임부재에 대해 이동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PCT/KR2009/007296 2009-01-09 2009-12-08 스타일러스 펜 WO2010079895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705A KR20100082409A (ko) 2009-01-09 2009-01-09 스타일러스 펜
KR10-2009-0001705 2009-0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79895A2 true WO2010079895A2 (ko) 2010-07-15
WO2010079895A3 WO2010079895A3 (ko) 2010-09-10

Family

ID=42316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09/007296 WO2010079895A2 (ko) 2009-01-09 2009-12-08 스타일러스 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00082409A (ko)
WO (1) WO2010079895A2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16074A1 (en) * 2014-01-30 2015-08-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djustable stylus pen
WO2016122212A1 (ko) * 2015-01-27 2016-08-04 주식회사 와이드벤티지 자기장을 이용한 입력 장치, 입력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자기장을 이용한 전자 장치,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US9535515B2 (en) 2013-05-06 2017-01-03 Societe Bic Manual device adapted for a capacitive screen
WO2017044975A1 (en) * 2015-09-11 2017-03-16 Tactual Labs Co. Semi-passive stylus
CN107992221A (zh) * 2018-01-29 2018-05-04 仇雅菡 一种带触控笔的智能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677B1 (ko) * 2010-07-27 2011-02-22 정영우 터치 입력장치
KR101940565B1 (ko) 2012-08-02 2019-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타일러스 펜 및 그것을 구비한 전자 장치
JP6173545B1 (ja) * 2016-08-23 2017-08-02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ペン及び電子機器
JP6152459B1 (ja) * 2016-08-23 2017-06-21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ペン及び電子機器
CN110539573A (zh) * 2019-09-26 2019-12-0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笔及电子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383U (ja) * 1991-08-26 1993-03-02 アラコ株式会社 ペングリツパー
KR100459649B1 (ko) * 2002-07-03 2004-12-03 주식회사 모리스 손잡이 굵기 조절 가능한 필기구
US7046236B2 (en) * 2003-05-22 2006-05-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tylus for portable computing and processing systems
KR100691359B1 (ko) * 2005-11-07 2007-03-12 박관혁 원터치 개폐 스타일러스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383U (ja) * 1991-08-26 1993-03-02 アラコ株式会社 ペングリツパー
KR100459649B1 (ko) * 2002-07-03 2004-12-03 주식회사 모리스 손잡이 굵기 조절 가능한 필기구
US7046236B2 (en) * 2003-05-22 2006-05-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tylus for portable computing and processing systems
KR100691359B1 (ko) * 2005-11-07 2007-03-12 박관혁 원터치 개폐 스타일러스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35515B2 (en) 2013-05-06 2017-01-03 Societe Bic Manual device adapted for a capacitive screen
US9857891B2 (en) 2013-05-06 2018-01-02 Societe Bic Manual device adapted for a capacitive screen
WO2015116074A1 (en) * 2014-01-30 2015-08-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djustable stylus pen
US10852850B2 (en) 2014-01-30 2020-12-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djustable stylus pen
WO2016122212A1 (ko) * 2015-01-27 2016-08-04 주식회사 와이드벤티지 자기장을 이용한 입력 장치, 입력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자기장을 이용한 전자 장치,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WO2017044975A1 (en) * 2015-09-11 2017-03-16 Tactual Labs Co. Semi-passive stylus
CN107992221A (zh) * 2018-01-29 2018-05-04 仇雅菡 一种带触控笔的智能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79895A3 (ko) 2010-09-10
KR20100082409A (ko) 2010-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79895A2 (ko) 스타일러스 펜
WO2012030010A1 (ko) 모바일 기기의 송수신 감도 향상을 위한 안테나 부스터 케이스
WO2014079264A1 (en) A handhel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control signals to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WO2014107077A1 (ko) 모바일 기기용 보호 케이스
WO2012128424A1 (ko) 휴대용 기기를 위한 홀더
EP3942786A1 (en) Mobile terminal
WO2016140524A1 (ko) 단일면 폴딩장치
WO2016068566A1 (ko)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
WO2010011107A2 (ko)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WO2016111517A1 (ko) 마운팅 부재
WO2017119650A1 (en) Electronic device with cradling function
WO2021182649A1 (ko) 이동 단말기
WO2020162698A1 (ko) 손 재활 운동장치
WO2023027213A1 (ko) 크래들 및 휴대용 음향기기
WO2015088279A1 (en) Protective cover
JP5337880B2 (ja) ケーブルコネクタ
KR20220000871U (ko) 모바일기기용 그립톡
WO2012138105A2 (en)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s, and apparatus and system for inputting characters using the method
WO2014208853A1 (ko)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
WO2021167236A1 (ko) 이동 단말기
WO2021162455A1 (ko) 폴더블 장치용 보호 케이스
WO2010079896A2 (ko) 스타일러스 펜
WO2022019357A1 (ko) 이동 단말기
WO2014112667A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WO2021020842A1 (ko) 펜 수납부를 포함하는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0983765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in: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0983765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