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0074365A1 - 용액 증발법을 이용한 나노물질의 배열방법 - Google Patents

용액 증발법을 이용한 나노물질의 배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0074365A1
WO2010074365A1 PCT/KR2009/000525 KR2009000525W WO2010074365A1 WO 2010074365 A1 WO2010074365 A1 WO 2010074365A1 KR 2009000525 W KR2009000525 W KR 2009000525W WO 2010074365 A1 WO2010074365 A1 WO 201007436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olution
evaporation
nanomaterial
nanomaterials
carbon nanotub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052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강정구
최경민
최정훈
신원호
이정우
정형모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US13/140,879 priority Critical patent/US8758852B2/en
Publication of WO201007436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7436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1MICROSTRUCTURAL TECHNOLOGY
    • B81C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 B81C1/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or systems in or on a substrate
    • B81C1/00015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or systems in or on a substrate for manufacturing microsystems
    • B81C1/00023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or systems in or on a substrate for manufacturing microsystems without movable or flexible elements
    • B81C1/00031Regular or irregular arrays of nanoscale structures, e.g. etch mask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BNANOSTRUCTURES FORMED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 B82B3/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or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58Carbon nanotubes
    • C01B32/168After-treatment
    • C01B32/174Derivatisation; Solubilisation; Dispersion in solv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arranging nanomaterials using a solution evaporation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prepare a nanomaterial-containing solution by coating a nanomaterial with a polymer material and dispersing it evenly in a solvent;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arranging nanomaterials using a solution evaporation method, wherein the nanomaterial-containing solution is poured onto a substrate to arrange the nanomaterials according to evaporation of the solvent.
  • nano-sized materials utilize the electrical, optical, and magnetic properties different from bulk-sized materials to study the artificial arrangement, patterning, and device fabrication of nanomaterials to use them as ultra-fine electronic device materials. Is active worldwide.
  • the manufactured nano materials should be arranged in a desired shape at a desired place.
  • the nano materials may be arranged in the simplest, easiest, fastest and simplest manner. The research is necessary. However, it is still very difficult to arrange nanomaterials in the desired shape, direction, and size, and it requires a lot of process cost and time as well as a very complicated and difficult process.
  • Photolithography technology uses the principle that a certain photoresist undergoes a chemical reaction when the photoresist receives light to change its properties. Specifically, the process of depositing a film on a substrate and applying photoresist thereon, using ultraviolet wavelengths Selectively exposing the photoresist, developing the exposed photoresist, etching the film using the developed photoresist as a mask, exfoliating the photoresist, and the like. Since a complicated series of processes must be performed, the process is not only complicated and cumbersome, but also requires a variety of equipments, and thus the equipment occupies a large area and consumes a lot of process time and costs.
  • a pattern of carbon nanotubes may be formed by printing a carbon nanotube material on a desired area by using an inkjet printing method.
  • a uniform nanotube material may be formed using a solution type carbon nanotube material. Since it is difficult to form and flows without being fixed in a desired form due to the flowability of carbon nanomaterials, there is a problem that an additional process is required, such as to form a partition wall by performing a separate pattern process.
  • dip-pen nanolithography or micro-contact printing in which a portion of the substrate to be patterned is functionalized with a material having a high affinity for nanomaterials, to attach the nanomaterial to only the functionalized portion
  • methods such as printing have been suggested, they cannot be used in industries due to high process costs.
  • the inventors have carried out continuous research on the alignment of various nanomaterials such as carbon nanotubes, titanium oxide nanotubes and nanoparticles, and are easy and simple in shape and size control for the application and industrialization of nanomaterials.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mpleted to find out the necessity of a method for aligning nanomaterials.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the surface of the nanomaterials in the polymer material above the melting point of the polymer to arrange the nanomaterials in the desired shape and size And to control the behavior, and to provide a nanomaterial array method using a solution synthesized therefrom and the evaporation method of the solution.
  •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coating the nanomaterial with a polymer material and then evenly dispersed in a solvent to prepare a nanomaterial-containing solution;
  • the nanomaterial-containing solution is poured onto a substrate to arrange the nanomaterials according to the evaporation of the solvent, thereby simplifying the process and arranging the nanomaterials whose shape and size are controlled at low cost, or the process is simple and the desired shape and siz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arranging nanomaterials using a solution evaporation method.
  • the method of arranging nanomaterials using the solution evapor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arranging various nanomaterials, an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concentration and shape of the pattern by changing the concentration of the solution containing the nanomaterial and the shape of the evaporation derivative.
  • the nanomaterial-containing solution can be synthesized, and then the solution can be quickly and easily arranged using the solution evaporation method.
  • Figure 1 schematically shows the process of the nanomaterial arrangement method using the solution evapor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 (A) is a carbon nanotube-containing solution on a substrate on which a rod-shaped evaporation derivative is placed using a self-fixing method It shows the process of carbon nanotubes are arranged as the solution evaporates in the shape of the evaporation derivative by dropping
  • Figure 1 (B) by dropping the carbon nanotube-containing solution on the substrate surrounded by the evaporation derivative using a forced fixing method As the solution evaporates only at the edge of the evaporation derivative, carbon nanotubes are arranged along the shape of the evaporation derivative.
  • FIG. 2 is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photograph of carbon nanotubes arranged by a self-fixing method in a nanomaterial array method using a solution evaporation method.
  • FIG. 2 (A) shows carbon nanotubes arranged in a periodic straight line shape.
  • SEM image Figure 2 (B) is an SEM image showing an enlarged portion of Figure 2 (A)
  • Figure 2 (C) is an SEM image showing the carbon nanotubes arranged in a concentric shape
  • Figure 2 (D) Is a SEM photograph showing an enlarged part of FIG. 2 (C).
  • FIG. 3 is an SEM photograph of carbon nanotubes patterned by a forced fixation method in a nanomaterial array method using a solution evaporation method.
  • FIG. 3 (A) is an SEM photograph of carbon nanotubes arranged in a periodic 'U' shape.
  • 3 (B) is a SEM picture of carbon nanotubes arranged in a periodic ' ⁇ ' shape
  • FIG. 3 (C) is a SEM picture of carbon nanotubes arranged in a letter 'NANO' shape
  • FIG. 3 ( D) is an SEM image showing an enlarged white square part of the letter 'NANO' shape of FIG.
  • FIG. 4 is a SEM photograph of carbon nanotubes and titanium oxide particles and titanium oxide nanotubes doped with metals arranged by solution evaporation.
  • FIG. 4 (A) shows carbon nanotubes doped with metals arranged using solution evaporation.
  • SEM image of the tube Figure 4 (B) is an SEM image showing an enlarged portion of Figure 4 (A)
  • Figure 4 (C) is an SEM image of titanium oxide particles arranged using a solution evaporation method
  • Figure 4 (D) is an SEM photograph showing an enlarged part of FIG. 4 (C)
  • FIG. 4 (E) is an SEM photograph of titanium oxide nanotubes arranged using a solution evaporation method
  • FIG. It is an SEM photograph which expands and shows a part of E).
  • the present invention shows a method of arranging nanomaterials using a solution evaporation method.
  •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coating the nanomaterial with a polymer material and then evenly dispersed in a solvent to prepare a nanomaterial-containing solution; A method of arranging nanomaterials using a solution evaporation method in which the nanomaterial-containing solution is poured onto a substrate and the nanomaterials are arranged according to the evaporation of a solvent.
  • the coating of the nanomaterial to the polymer material is used to coat the nanomaterial with the polymer material to suppress aggregation of the nanomaterials and to have the same movement as the solvent in which the nanomaterial is dissolved.
  • PVP polyvinylpyrrolidone
  • polystyrene polystyrene
  • poly (vinyl acetate) polystyrene
  • poly (vinyl acetate) polystyrene
  • poly (vinyl acetate) polyisobutylene
  • the coating of the nanomaterial with the polymer material may be coated by dissolving the polymer material in a solvent in which the nanomaterial is dispersed and heating it at a high temperature.
  • the nanomaterial is dispersed in a solution, the polymer material is added, and the polymer material is changed into a liquid state so as to coat the dispersed nanomaterial in a liquid state by adding the polymer material. It can be carried out.
  • the nanomaterial As an example of coating the nanomaterial with a polymer using heating, the nanomaterial is dispersed in 1,5-pentanediol and then polyvinylpyrrolidone (PVP) as a polymer. After the first heating while stirring for 1 to 3 hours at 150 to 230 °C, and then heated to 250 to 300 °C and secondary heating for 30 minutes to 1 hour to coat the nanomaterial with a polymeric material.
  • PVP polyvinylpyrrolidone
  • the solvent in which the nanomaterial coated with the polymer material is dispersed is removed after evaporation from the substrate, it is preferable to use a solvent having a low boiling point.
  • the solvent in which the nanomaterial coated with the polymer material is dispersed may be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of ethanol, acetone, benzene, ether, and hexane as a low boiling point solvent.
  • the solvent in which the nanomaterial coated with the polymer material is dispersed may use ethanol or acetone as a low boiling point solvent.
  • the substrate since the solvent of the nanomaterial-containing solution must be evaporated after the nanomaterial-containing solution is supplied, the substrate may be a substrate that is maintained at a temperature before and after the boiling point of the solvent, and the nanomaterial having a desired shape In order to be arranged on the substrate it is possible to use a substrate provided with a specific shape of the evaporation derivative.
  • a substrate having a temperature of 40 ⁇ 80 °C is provided with an evaporation derivative. That is, if the solution containing the nanomaterial is maintained at a temperature of 40 ⁇ 80 °C and supplied to the substrate having the evaporation derivative, the nanomaterial containing solution is supplied to the substrate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evaporation derivative and then the solvent of the nanomaterial containing solution of the substrate While evaporating by temperature, the nanomaterials are arrang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evaporation derivative provided on the substrate. Therefore, since the nanomaterials can be arranged on the substrat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evaporation derivative provided on the substrate, the nanomaterials of the desired shape can be arranged by using the evaporation derivative of the desired shape.
  • the evaporation derivative in the above can be used that does not change the shape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of the substrate.
  • a material having one or more materials selected from the group of ceramic, glass, and metal having a high melting point may be used.
  • the evaporation derivative in the above may be formed of any one or more shapes selected from the group of straight, curved, circle, square.
  • the angular means a figure having an angular shape, and as an example of such a angular shape, a angular shape includes a triangle, a triangle, a square, a pentagon, a hexagon, or an octagon.
  • the nanomaterial may be used as long as the nanomaterial has a particle size, and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rbon nanotubes, metal-doped carbon nanotubes, titanium oxide nanoparticles, and titanium oxide nanotubes may be used. You can use more than one.
  • the nanomaterials arranged above are coated with a polymer material, in order to arrange pure nanomaterials only, after removing the evaporation derivative from the substrate, the nanomaterials are submerged in methanol and ethanol for 30 to 60 seconds in order to selectively select only the polymer material. Can be removed by dissolving.
  • the evaporation derivative in the substrate can be separated and removed from the substrate using a mechanism such as tweezers.
  • the method of arranging the nanomaterials using the solution evapor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arried out under various conditions such as various components and contents.
  • the nanomaterials using the solution evaporation method under the above-mentioned conditions were used. It is desirable to provide an arrangement method.
  • the method of patterning carbon nanotubes from a solution containing carbon nanotubes coated with a polymer material is largely divided into two methods.
  • the first method is a solution containing carbon nanotubes coated with a polymer material based on the temperature of a substrate.
  • the self-fixing method is to fix the movement of the solution as the carbon nanotubes coated with the polymer material are evaporated, and the second method is coated with the polymer material along the shape of the evaporation derivative while the evaporation conductor on the substrate is forcibly fixing the solution.
  • the nanomaterial coated with the polymer material arranged in this way can be arranged in the substrate by dissolving and removing the polymer material coating the nanomaterial by soaking in a methanol and ethanol solution for 60 to 90 seconds.
  •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process for the nanomaterial arrangement method using the solution evapor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A) shows a method of arranging nanomaterials using a solution evaporation method by a self-fixing method.
  • a solution containing a carbon nanotube coated with a polymer material is dropped on a substrate having a rod-shaped evaporation derivative
  • the carbon nanotubes are coated with the polymer material by the temperature of and the solution containing the carbon nanotubes coated with the polymer material is evaporated in the shape of the evaporation inductor.
  • carbon nanotubes coated with polymer are deposited at the edge of the solution, which is the fastest evaporation place, and the solution is fixed.
  • the surface tension of the solution increases due to the evaporation of the solvent, and the solution decreases.
  • Figure 1 (B) is a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of carbon nanotubes by a forced fixation method and coated with a polymer material by the temperature of the substrate by dropping the solution containing the carbon nanotubes coated with a polymer material on the substrate surrounded by the evaporation inductor As the solvent of the solution containing the carbon nanotubes evaporates only at the edge of the evaporation derivative, the carbon nanotubes coated with the polymer material are arranged along the shape of the evaporation derivative.
  • the fastest evaporation site of the solution containing the carbon nanotubes coated with the polymer material on the substrate is the edge of the evaporation derivative and the volume reduction of the solution due to the solvent evaporation of the solution containing the carbon nanotubes coated with the polymer material
  • the carbon nanotubes coated with the polymer material are arranged on the substrate along the shape of the evaporation conductor, starting from the center of the circuit and proceeding to the edge.
  • the evaporation derivative provided on the substrate is removed with tweezers, and the substrate is immersed in methanol and ethanol solution in order to dissolve and remove the polymer material coating the carbon nanomaterial to obtain a substrate on which carbon nanotubes are arranged. Can be.
  • FIG. 2 is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photograph of carbon nanotubes arranged by a self-fixing method in a nanomaterial array method using a solution evaporation method.
  • FIG. 2 (A) shows carbon nanotubes arranged in a periodic straight line shape.
  • SEM image Figure 2 (B) is an SEM image showing an enlarged portion of Figure 2 (A)
  • Figure 2 (C) is an SEM image showing the carbon nanotubes arranged in a concentric shape
  • Figure 2 (D) Is a SEM photograph showing an enlarged part of FIG. 2 (C).
  • FIG. 3 is an SEM photograph of carbon nanotubes patterned by a forced fixation method in a nanomaterial array method using a solution evaporation method.
  • FIG. 3 (A) is an SEM photograph of carbon nanotubes arranged in a periodic 'U' shape.
  • 3 (B) is a SEM picture of carbon nanotubes arranged in a periodic ' ⁇ ' shape
  • FIG. 3 (C) is a SEM picture of carbon nanotubes arranged in a letter 'NANO' shape
  • FIG. 3 ( D) is an SEM image showing an enlarged white square part of the letter 'NANO' shape of FIG.
  • the metal-doped carbon nanotubes may be carbon nanotubes doped with any one metal selected from the group of transition metals of gold (Au), iron (Fe), nickel (Ni), and cobalt (Co) in addition to platinum. Can be.
  • the solution containing the metal-doped carbon nanotubes coated with the polymer material thus prepared may be dropped onto a substrate maintained at 60 ° C. to evaporate the metal-doped carbon nanotubes.
  • the method of arranging the floating solution including the carbon nanotubes doped with the metal coated with the polymer material is the same as the method of arranging the carbon nanotubes described in Example (2).
  • FIG. 4 is an SEM photograph of carbon nanotubes doped with metal arranged by solution evaporation.
  • FIG. 4 (A) is an SEM photograph of carbon nanotubes doped with metal arranged using solution evaporation.
  • B) is the SEM photograph which expands and shows a part of FIG. 4 (A).
  • a suspension solution containing titanium oxide nanoparticles coated with a high molecular material 8 mg of titanium oxide nanoparticles are first placed in 50 ml of a 1,5-pentanediol solution and dispersed in a sonicator for 12 hours. The dispersed solution was transferred to a round flask and heated with 5.35 g of polyvinylpyrrolidone (PVP) while stirring at 200 ° C. for 2 hours, and then heated to 270 ° C. and heated for 30 minutes, followed by lowering the temperature.
  • PVP polyvinylpyrrolidone
  • the solution containing the titanium oxide nanoparticles thus prepared is dropped onto a substrate maintained at 60 ° C., and thus the titanium oxide nanoparticles can be patterned.
  • the method of arranging the floating solution is the same as the method of arranging the carbon nanotubes described above.
  • FIG. 4 is a SEM photograph of titanium oxide nanoparticles arranged by solution evaporation.
  • FIG. 4 (C) is a SEM photograph of titanium oxide particles arranged using solution evaporation.
  • FIG. It is an SEM photograph which expands and shows a part of).
  • a suspension solution containing titanium oxide nanotubes coated with a high molecular material 6 mg were first placed in 50 ml of a 1,5-pentanediol solution and dispersed in a sonicator for 4 hours. The dispersed solution was transferred to a round flask and heated with 5.35 g of polyvinylpyrrolidone (PVP) while stirring at 200 ° C. for 2 hours, and then heated to 270 ° C. and heated for 30 minutes, followed by lowering the temperature.
  • PVP polyvinylpyrrolidone
  • the solution containing the titanium oxide nanotubes thus prepared is dropped onto a substrate maintained at 60 ° C. to allow the titanium oxide nanotubes to be patterned.
  • the method of arranging the floating solution is the same as the method of arranging the carbon nanotubes described above.
  • FIG. 4 is a SEM photograph of titanium oxide nanotubes arranged by solution evaporation
  • FIG. 4 (E) is a SEM photograph of titanium oxide nanotubes arranged using solution evaporation
  • FIG. It is an SEM photograph which expands and shows a part of E).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method of arranging nanomaterials whose process is simple and controlled in shape and size at a low cost, and by using the nanomateri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y can provide applicability and industrialization in various applications. Can be.
  • the nanomaterial array method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as an ultrafine electronic device material by utilizing electrical, optical, and magnetic properties of a material having a nano siz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no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액 증발법을 이용한 나노물질의 배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나노물질을 고분자 물질로 코팅한 후 용매에 고르게 분산시켜 나노물질 함유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의 나노물질 함유 용액을 기판에 부어 용매의 증발에 따라 나노물질을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증발법을 이용한 나노물질의 배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규칙 제26조에 의한 보정 24.09.2009] 용액 증발법을 이용한 나노물질의 배열방법
본 발명은 용액 증발법을 이용한 나노물질의 배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나노물질을 고분자 물질로 코팅한 후 용매에 고르게 분산시켜 나노물질 함유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의 나노물질 함유 용액을 기판에 부어 용매의 증발에 따라 나노물질을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증발법을 이용한 나노물질의 배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광학 및 전자소자의 집적화, 소형화되는 추세에 따라 나노 구조 물질 및 그 제작방법에 대한 연구뿐만 아니라 그 활용방법에 대한 연구가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나노 크기를 가지는 물질은 벌크(bulk) 크기를 가지는 물질과 다른 전기적, 광학적, 자성 특성을 활용하여 이를 초미세 전자 소자 물질로 이용하기 위한 나노물질의 인위적인 배열, 패터닝, 소자 제작 등에 관한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나노물질이 넓은 분야에 걸쳐 다양하게 활용되기 위해서는 제조된 나노물질은 원하는 자리에 원하는 모양으로 배열할 수 있어야 하며, 이러한 분야들이 산업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간단한 공정으로 가장 쉽고, 빠르며, 간편하게 나노물질을 배열하는 연구가 반드시 필요한 실정이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나노물질을 원하는 모양과 방향 및 크기로 배열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며 아주 복잡하고 어려운 과정뿐만 아니라 많은 공정비용과 시간이 필요한 상황이다.
포토리소그래피 기술은 어떤 특정한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가 빛을 받으면 화학반응을 일으켜서 성질이 변화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기판 상에 필름을 증착하고 그 위에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하는 단계, 자외선 파장을 이용하여 상기 포토레지스트를 선택적으로 노광(exposure)하는 단계, 노광된 포토레지스트를 현상(develop)하는 단계, 현상된 포토레지스트를 마스크로 하여 상기 필름을 식각하는 단계, 상기 포토레지스트를 박리하는 단계등으로 이루어진 일련의 복잡한 과정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그 과정이 복잡하고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각종장비를 갖추어야 하므로, 장비가 차지하는 면적이 넓어지고 공정시간 및 공정비용도 많이 소비된다.
한편, 이러한 포토리소그래피 기술 이외에, 잉크젯 프린팅 방법을 이용하여 원하는 영역에 탄소나노튜브 물질을 인쇄함으로써 탄소나노튜브의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는데, 용액타입의 탄소나노튜브 물질을 사용하여 균일한 나노튜브 재료 형성이 어렵고 탄소나노물질의 흐름성에 의해 원하는 형태로 고정되지 않고 흐르기 때문에 별도의 패턴 공정을 수행하여 격벽을 형성해야 하는 등 추가공정이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방법 이외에 패턴하고자 하는 기판의 부분을 나노물질과 친화성이 높은 물질로 기능화시켜 나노물질을 기능화된 부분에만 붙게 하는 딥-펜 나노리소그래피(dip-pen nanolithography)나 마이크로 컨택 프린팅(micro-contact printing)과 같은 방법들이 제시되어져 왔지만 높은 공정비용으로 인해 산업에 활용할 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나노물질을 원하는 모양과 크기로 쉽고 빠르며 간단하게 배열하기 위하여 용액 증발법을 이용한 나노물질의 배열법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자들은 탄소나노튜브, 티타늄옥사이드 나노튜브 및 나노파티클(nano particle)과 같은 다양한 나노 물질의 정렬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를 수행한바, 나노물질의 응용 및 그의 산업화를 위하여 쉽고 간편하며 모양과 크기가 제어된 나노물질 정렬방법의 필요성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원하는 모양과 크기로 나노물질을 배열하기 위해 고분자의 녹는점 이상에서 고분자 재료를 이용하여 나노물질의 표면 성질 및 거동을 제어하고, 이로부터 합성된 용액과 그 용액의 증발법을 이용한 나노물질 배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나노물질을 고분자 물질로 코팅한 후 용매에 고르게 분산시켜 나노물질 함유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의 나노물질 함유 용액을 기판에 부어 용매의 증발에 따라 나노물질을 배열하도록 하여 공정이 간단하고, 저비용으로 모양과 크기가 제어된 나노물질을 배열하거나 또는 공정이 간단하고, 원하는 모양과 크기로 나노물질을 배열할 수 있는 용액 증발법을 이용한 나노물질의 배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용액 증발법을 이용한 나노물질 배열방법은 다양한 나노 물질의 배열에 이용될 수 있으며, 나노물질이 함유되는 용액의 농도와 증발유도체의 모양을 변경함으로서 패턴의 농도 및 모양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등 여러 가지 다양한 나노물질의 배열을 위해 나노물질이 함유된 용액을 합성한 뒤 용액 증발법을 이용해 빠르고 쉽고 간편하게 나노물질을 배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용액 증발법을 이용한 나노물질 배열방법의 공정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도 1(A)는 자기고정법을 이용하여 막대모양의 증발 유도체가 놓여져 있는 기판에 탄소나노튜브 함유 용액을 떨어트려 증발 유도체의 모양대로 용액이 증발해가면서 탄소나노튜브가 배열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고, 도 1(B)는 강제고정법을 이용하여 증발 유도체에 의해 둘러 쌓인 기판위에 탄소나노튜브 함유 용액을 떨어트려 용액이 증발 유도체의 가장자리에서만 증발해가면서 증발유도체의 모양을 따라 탄소나노튜브가 배열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용액 증발법을 이용한 나노물질 배열방법 중 자기고정법에 의해 배열된 탄소 나노튜브의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y) 사진으로서, 도 2(A)는 주기적인 직선 모양으로 배열된 탄소나노튜브를 나타낸 SEM 사진이고, 도 2(B)는 도 2(A)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SEM 사진이고, 도 2(C)는 동심원 모양으로 배열된 탄소나노튜브를 나타낸 SEM 사진이고, 도 2(D)는 도 2(C)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SEM 사진이다.
도 3은 용액 증발법을 이용한 나노물질 배열방법 중 강제고정법에 의해 패턴된 탄소 나노튜브의 SEM 사진으로서, 도 3(A)는 주기적인 'U'자 모양으로 배열된 탄소나노튜브의 SEM 사진이고, 도 3(B)는 주기적인 'ㅁ'자 모양으로 배열된 탄소나노튜브의 SEM 사진이고, 도 3(C)는 글자 'NANO' 모양으로 배열된 탄소나노튜브의 SEM 사진이고, 도 3(D)는 도 3(C)의 글자 'NANO' 모양 중 하얀색 사각형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SEM 사진이다.
도 4는 용액증발법에 의해 배열된 금속이 토핑된 탄소나노튜브와 티타늄 옥사이드입자와 티타늄 옥사이드 나노튜브의 SEM 사진으로서, 도 4(A)는 용액증발법을 이용해 배열된 금속이 도핑된 탄소나노튜브의 SEM 사진이고, 도 4(B)는 도 4(A)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SEM 사진이고, 도 4(C)는 용액증발법을 이용해 배열된 티타늄 옥사이드입자의 SEM 사진이고, 도 4(D)는 도 4(C)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SEM 사진이고, 도 4(E)는 용액증발법을 이용해 배열된 티타늄 옥사이드 나노튜브의 SEM 사진이고, 도 4(F)는 도 4(E)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SEM 사진이다.
본 발명은 용액 증발법을 이용한 나노물질의 배열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나노물질을 고분자 물질로 코팅한 후 용매에 고르게 분산시켜 나노물질 함유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의 나노물질 함유 용액을 기판에 부어 용매의 증발에 따라 나노물질을 배열하는 용액 증발법을 이용한 나노물질의 배열방법을 나타낸다.
상기에서 나노물질을 고분자 물질로의 코팅은 고분자 물질로 나노물질을 코팅하여 나노물질들끼리의 응집을 억제하고 또한 나노물질이 용해되는 용매와 같은 움직임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 사용한다.
상기에서 고분자 물질의 일예로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PVP),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비닐 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 폴리이소부틸렌(Polyisobutylene)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나노물질을 고분자 물질로의 코팅은 나노물질이 분산되어 있는 용매에 고분자 물질을 녹여 높은 온도에서 가열함으로서 코팅할 수 있다.
상기에서 나노물질을 고분자 물질로의 코팅은 용액에 나노물질을 분산시킨 뒤 고분자 물질을 첨가하고 고분자 물질의 녹는점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고분자 물질이 액체상태로 변화하여 분산되어 있는 나노물질을 코팅되도록 실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가열을 이용하여 나노물질을 고분자 물질로 코팅하는 일예로서 나노물질을 1,5-펜탄다이올(1,5-pentanediol)에 분산시킨 뒤 고분자 물질로서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PVP)을 첨가하고 150∼230℃에서 1∼3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1차 가열 후, 250∼300℃로 승온하여 30분∼1시간 동안 2차 가열하여 나노물질을 고분자 물질로 코팅할 수 있다.
상기에서 고분자 물질로 코팅된 나노물질이 분산되는 용매는 추후 기판에서 증발되어 제거되므로 끓는점이 낮은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고분자 물질로 코팅된 나노물질이 분산되는 용매는 끓는점이 낮은 용매로서 에탄올, 아세톤, 벤젠, 에테르, 헥산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물질로 코팅된 나노물질이 분산되는 용매는 끓는점이 낮은 용매로서 에탄올 또는 아세톤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판은 나노물질 함유 용액이 공급된 후 나노물질이 함유된 용액의 용매가 증발되어야 하므로, 기판은 상기 용매의 끓는점 전후의 온도로 유지되는 기판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원하는 모양의 나노물질이 기판에 배열되도록 하기 위해 특정한 모양의 증발유도체가 구비되는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판의 일예로 40∼80℃의 온도로 유지되며 증발유도체가 구비된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나노물질 함유 용액이 40∼80℃의 온도로 유지되며 증발유도체가 구비되는 기판에 공급되면 나노물질 함유 용액은 증발유도체의 모양에 따라 기판에 공급된 후 나노물질 함유 용액의 용매가 기판의 온도에 의해 증발되면서 나노물질이 상기 기판에 구비되는 증발유도체의 모양에 따라 배열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기판에 구비되는 증발유도체의 모양에 따라 나노물질을 기판에 배열할 수 있으므로, 원하는 모양의 증발유도체를 사용함으로써 원하는 모양의 나노물질을 배열할 수 있다.
상기에서 증발유도체는 기판의 온도에 따라 모양이 변하지 않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일예로 녹는점이 높은 세라믹(ceramic), 유리(class), 금속(metal)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증발유도체는 직선, 곡선, 원, 각형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각형은 각(角)을 지니는 형태의 도형(圖形)을 의미하여, 이러한 각형의 일예로 삼각형,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또는 팔각형 등의 도형을 나타낸다.
상기에서 나노물질은 입자크기가 나노인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나노물질의 일예로서 탄소나노튜브, 금속이 도핑된 탄소나노튜브, 티타늄 옥사이드 나노입자, 티타늄 옥사이드 나노튜브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배열된 나노 물질은 고분자 물질로 코팅이 되어져 있으므로 순수한 나노물질만 배열시키기 위해서 기판에서 증발유도체를 제거한 후 나노물질이 배열된 기판을 메탄올과 에탄올에 차례로 30∼60초 정도 담가서 고분자 물질만을 선택적으로 용해시켜 제거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판에서의 증발유도체는 핀셋과 같은 기구를 이용하여 기판으로부터 분리,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액 증발법을 이용한 나노물질의 배열방법에 대해 다양한 성분, 함량 등의 조건에 의해 실시한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에서 언급한 조건에 의해 용액 증발법을 이용한 나노물질의 배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용액 증발법을 이용한 탄소나노튜브의 배열 방법
(1)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부유용액 제조
고분자 물질로 코팅된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용액을 제조하기 위해서 먼저 탄소나노튜브 4mg을 50ml의 1,5-펜탄다이올(1,5-pentanediol) 용액에 넣고 6시간 동안 소니케이터(sonicator)에서 분산시킨다. 분산된 용액을 둥근 플라스크로 옮겨 담고 고분자 물질인 5.35g의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PVP)와 함께 200℃로 2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가열한 후 다시 270℃로 온도를 높여 30분간 가열한뒤 온도를 내린다. 그 후 150ml의 아세톤으로 세척하고 다시 50ml의 에탄올에 분산시켜 원심분리하여 탄소나노튜브를 분리하는 과정을 두 번 반복한 뒤 20ml의 에탄올에 다시 분산시켜 고분자 물질로 코팅된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과정에서 가열한 온도가 PVP의 녹는점(melting temperature)를 넘어가므로, PVP가 결정상태에서 액체상태로 변화하여 분산되어 있는 탄소나노튜브를 모두 완벽하게 코팅하게 되고 이 코팅으로 인하여 탄소나노튜브간의 반데르 발스(van der waals)인력은 거의 제거되고 탄소나노튜브와 분산용매인 에탄올과의 상호작용이 커지면서 탄소나노튜브는 에탄올의 움직임과 같이 동기화 되게 된다.
(2) 제조된 부유용액을 이용한 탄소나노튜브 배열
상기 (1)에서 제조된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한 용액을 60℃로 유지된 기판에 떨어뜨려 증발시키면서 탄소나노튜브를 패터닝 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고분자 물질로 코팅된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한 용액으로부터 탄소나노튜브를 패터닝하는 방법은 크게 두가지로 구분되는데, 첫 번째 방법은 고분자 물질로 코팅된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용액이 기판의 온도에 의해 증발되어 상기 고분자 물질로 코팅된 탄소나노튜브가 석출되면서 용액의 움직임을 고정하는 자기고정법이며, 두 번째 방법은 기판위의 증발유도체가 용액을 강제적으로 고정시키면서 증발유도체의 모양을 따라서 고분자 물질로 코팅된 탄소나노튜브가 패턴되는 강제고정법이다. 이렇게 배열된 고분자 물질로 코팅된 나노물질은 메탄올과 에탄올 용액에 60∼90초 정도 담가 나노물질을 코팅하는 고분자 물질을 용해시켜 제거함으로써 기판에 나노물질만을 배열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용액 증발법을 이용한 나노물질 배열방법에 대한 전체적인 공정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그림이다.
도 1(A)는 자기고정법에 의해 용액 증발법을 이용한 나노물질 배열방법을 나타낸 것으로 막대모양의 증발유도체가 구비되어 있는 기판에 탄소나노튜브가 고분자 물질로 코팅되어 함유된 용액을 떨어트리면 기판의 온도에 의해 탄소나노튜브가 고분자 물질로 코팅되어 함유된 용액이 상기 증발유도체의 모양대로 증발해가면서 고분자 물질로 코팅된 탄소나노튜브가 배열되어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가장 빠른 증발 장소인 용액의 가장자리에서 고분자 물질로 코팅된 탄소나노튜브가 석출되면서 용액을 고정하며 동시에 용매의 증발로 인해 용액의 표면장력이 증가하면서 용액이 줄어들어 다른 장소에 다시 고분자 물질로 코팅된 탄소나노튜브를 주기적으로 배열해 나간다. 이러한 배열이 끝나면 상기 기판에 구비되어 있는 증발유도체를 핀셋으로 제거한 다음, 기판을 메탄올과 에탄올 용액에 차례로 담가 탄소나노물질을 코팅하고 있는 고분자 물질을 용해시켜 제거하여 탄소나노튜브가 배열된 기판을 얻을 수 있다.
도 1(B)는 강제고정법에 의한 탄소나노튜브 배열을 나타낸 그림이며 증발유도체에 의해 둘러 쌓인 기판위에 고분자 물질로 코팅된 탄소나노튜브가 함유된 용액을 떨어트려 기판의 온도에 의해 고분자 물질로 코팅된 탄소나노튜브가 함유된 용액의 용매가 증발유도체의 가장자리에서만 증발해가면서 증발유도체의 모양을 따라 고분자 물질로 코팅된 탄소나노튜브가 배열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기판위에 위치한 고분자 물질로 코팅된 탄소나노튜브가 함유된 용액의 가장 빠른 증발장소는 증발유도체의 가장자리이며 고분자 물질로 코팅된 탄소나노튜브가 함유된 용액의 용매 증발로 인한 용액의 부피 감소도 용액의 중심 부분에서부터 시작되어 가장자리로 진행해 나가므로 고분자 물질로 코팅된 탄소나노튜브가 증발유도체의 모양을 따라 기판에 배열되게 된다. 이러한 배열이 끝나면 상기 기판에 구비되어 있는 증발유도체를 핀셋으로 제거한 다음, 기판을 메탄올과 에탄올 용액에 차례로 담가 탄소나노물질을 코팅하고 있는 고분자 물질을 용해시켜 제거하여 탄소나노튜브가 배열된 기판을 얻을 수 있다.
도 2는 용액 증발법을 이용한 나노물질 배열방법 중 자기고정법에 의해 배열된 탄소 나노튜브의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y) 사진으로서, 도 2(A)는 주기적인 직선 모양으로 배열된 탄소나노튜브를 나타낸 SEM 사진이고, 도 2(B)는 도 2(A)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SEM 사진이고, 도 2(C)는 동심원 모양으로 배열된 탄소나노튜브를 나타낸 SEM 사진이고, 도 2(D)는 도 2(C)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SEM 사진이다.
도 3은 용액 증발법을 이용한 나노물질 배열방법 중 강제고정법에 의해 패턴된 탄소 나노튜브의 SEM 사진으로서, 도 3(A)는 주기적인 'U'자 모양으로 배열된 탄소나노튜브의 SEM 사진이고, 도 3(B)는 주기적인 'ㅁ'자 모양으로 배열된 탄소나노튜브의 SEM 사진이고, 도 3(C)는 글자 'NANO' 모양으로 배열된 탄소나노튜브의 SEM 사진이고, 도 3(D)는 도 3(C)의 글자 'NANO' 모양 중 하얀색 사각형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SEM 사진이다.
<실시예 2> 용액 증발법을 이용한 금속이 도핑된 탄소나노튜브의 배열 방법
(1) 금속이 도핑된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부유용액 제조
고분자 물질로 코팅된 금속이 도핑된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부유용액을 제조하기 위해서 먼저 금속(백금(Pt))이 도핑된 탄소나노튜브 8mg을 50ml의 1,5-pentanediol 용액에 넣고 6시간 동안 소니케이터(sonicator)에서 분산시켰다. 금속이 도핑된 탄소나노튜브가 분산된 용액을 둥근 플라스크로 옮겨 담고 5.35g의 polyvinylpyrrolidone(PVP)와 함께 200℃로 2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가열한 후 다시 270℃로 온도를 높여 30분간 가열한뒤 온도를 내렸다. 그 후 150ml의 아세톤으로 세척하고 다시 50ml의 에탄올에 분산시켜 원심분리하여 금속이 도핑된 탄소나노튜브를 분리하는 과정을 두 번 반복한 뒤 25ml의 에탄올에 다시 분산시켜 고분자 물질로 코팅된 금속이 도핑된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의 금속이 도핑된 탄소나노튜브는 백금 이외에 금(Au), 철(Fe), 니켈(Ni), 코발트(Co)의 전이금속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금속이 도핑된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할 수 있다.
(2) 제조된 부유용액을 이용한 금속이 도핑된 탄소나노튜브 배열
이렇게 제조된 고분자 물질로 코팅된 금속이 도핑된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한 용액을 60℃로 유지된 기판에 떨어뜨려 증발시키면서 금속이 도핑된 탄소나노튜브를 패터닝 할 수 있게 된다. 고분자 물질로 코팅된 금속이 도핑된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한 부유용액을 배열하는 방법은 상기 실시예 1의 (2)에서 설명한 탄소나노튜브를 배열하는 방법과 같다.
도 4는 용액증발법에 의해 배열된 금속이 토핑된 탄소나노튜브의 SEM 사진으로서, 도 4(A)는 용액증발법을 이용해 배열된 금속이 도핑된 탄소나노튜브의 SEM 사진이고, 도 4(B)는 도 4(A)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SEM 사진이다.
<실시예 3> 용액 증발법을 이용한 티타늄 옥사이드 나노입자의 배열 방법
*(1) 티타늄 옥사이드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부유용액 제조
고분자 물질로 코팅된 티타늄 옥사이드 나노입자을 포함하는 부유용액을 제조하기 위해서 먼저 티타늄 옥사이드 나노입자 8mg을 50ml의 1,5-pentanediol 용액에 넣고 12시간 동안 소니케이터(sonicator)에서 분산시킨다. 분산된 용액을 둥근 플라스크로 옮겨 담고 5.35g의 polyvinylpyrrolidone(PVP)와 함께 200℃로 2시간동안 교반하면서 가열한 후 다시 270℃로 온도를 높여 30분간 가열한뒤 온도를 내린다. 그 후 150ml의 아세톤으로 세척하고 다시 50ml의 에탄올에 분산시켜 원심분리하여 티타늄 옥사이드 나노입자을 분리하는 과정을 두 번 반복한 뒤 30ml의 에탄올에 다시 분산시켜 고분자 물질로 코팅된 티타늄 옥사이드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용액을 제조 한다.
(2) 제조된 부유용액을 이용한 티타늄 옥사이드 나노입자 배열
이렇게 제조된 티타늄 옥사이드 나노입자를 포함한 용액을 60℃로 유지된 기판에 떨어뜨려 증발시키면서 티타늄 옥사이드 나노입자를 패터닝 할 수 있게된다. 부유용액을 배열 하는 방법은 상기 설명한 탄소나노튜브를 배열하는법과 같다
도 4는 용액증발법에 의해 배열된 티타늄 옥사이드 나노입자의 SEM 사진으로서, 도 4(C)는 용액증발법을 이용해 배열된 티타늄 옥사이드입자의 SEM 사진이고, 도 4(D)는 도 4(C)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SEM 사진이다.
<실시예 4> 용액 증발법을 이용한 티타늄 옥사이드 나노튜브의 배열 방법
(1) 티타늄 옥사이드 나노튜브를 포함하는 부유용액 제조
고분자 물질로 코팅된 티타늄 옥사이드 나노튜브를 포함하는 부유용액을 제조하기 위해서 먼저 티타늄 옥사이드 나노튜브 6mg을 50ml의 1,5-pentanediol 용액에 넣고 4시간동에 소니케이터(sonicator)에서 분산시킨다. 분산된 용액을 둥근 플라스크로 옮겨 담고 5.35g의 polyvinylpyrrolidone(PVP)와 함께 200℃로 2시간동안 교반하면서 가열한 후 다시 270℃로 온도를 높여 30분간 가열한뒤 온도를 내린다. 그 후 150ml의 아세톤으로 세척하고 다시 50ml의 에탄올에 분산시켜 원심분리하여 탄티타늄 옥사이드 나노튜브을 분리하는 과정을 두 번 반복한 뒤 10ml의 에탄올에 다시 분산시켜 고분자 물질로 코팅된 티타늄 옥사이드 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용액을 제조 한다.
(2) 제조된 부유용액을 이용한 티타늄 옥사이드 나노튜브 배열
이렇게 제조된 티타늄 옥사이드 나노튜브를 포함한 용액을 60℃로 유지된 기판에 떨어뜨려 증발시키면서 티타늄 옥사이드 나노튜브를 패터닝 할 수 있게된다. 부유용액을 배열 하는 방법은 상기 설명한 탄소나노튜브를 배열하는법과 같다
도 4는 용액증발법에 의해 배열된 티타늄 옥사이드 나노튜브의 SEM 사진으로서, 도 4(E)는 용액증발법을 이용해 배열된 티타늄 옥사이드 나노튜브의 SEM 사진이고, 도 4(F)는 도 4(E)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SEM 사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공정이 간단하고, 저비용으로 모양과 크기가 제어된 나노물질 의 배열방법을 제공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의해 나노물질을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응용분야에서의 이용 가능성과 산업화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나노물질 배열방법을 이용하여 나노 크기를 가지는 물질에 대한 전기적, 광학적, 자성 특성을 활용하여 이를 초미세 전자 소자 물질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7)

  1. 나노물질을 고분자 물질로 코팅한 후 용매에 고르게 분산시켜 나노물질 함유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의 나노물질 함유 용액을 기판에 부어 용매의 증발에 따라 나노물질을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증발법을 이용한 나노물질의 배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나노물질을 1,5-펜탄다이올(1,5-pentanediol)에 분산시킨 뒤 고분자 물질로서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PVP),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비닐 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 폴리이소부틸렌(Polyisobutylene)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첨가하고 150∼230℃에서 1∼3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1차 가열 후, 250∼300℃로 승온하여 30분∼1시간 동안 2차 가열하여 나노물질을 고분자 물질로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증발법을 이용한 나노물질의 배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용매는 에탄올, 아세톤, 벤젠, 에테르, 헥산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증발법을 이용한 나노물질의 배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나노물질 함유 용액을 40∼80℃의 온도로 유지되며 증발유도체가 구비된 기판의 증발유도체에 부어 용매의 증발에 따라 나노물질을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증발법을 이용한 나노물질의 배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나노물질은 탄소나노튜브, 금속이 도핑된 탄소나노튜브, 티타늄 옥사이드 나노입자, 티타늄 옥사이드 나노튜브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증발법을 이용한 나노물질의 배열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증발유도체는 세라믹(ceramic), 유리(class), 금속(metal)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증발법을 이용한 나노물질의 배열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증발유도체는 직선, 곡선, 원, 각형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모양으로 형성된 것 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증발법을 이용한 나노물질의 배열방법.
PCT/KR2009/000525 2008-12-22 2009-02-03 용액 증발법을 이용한 나노물질의 배열방법 WO2010074365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140,879 US8758852B2 (en) 2008-12-22 2009-02-03 Method for patterning nanomaterial using solution evapor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1413A KR101054354B1 (ko) 2008-12-22 2008-12-22 용액 증발법을 이용한 나노물질의 배열방법
KR10-2008-0131413 2008-12-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74365A1 true WO2010074365A1 (ko) 2010-07-01

Family

ID=42287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09/000525 WO2010074365A1 (ko) 2008-12-22 2009-02-03 용액 증발법을 이용한 나노물질의 배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758852B2 (ko)
KR (1) KR101054354B1 (ko)
WO (1) WO20100743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67916B2 (en) * 2009-06-15 2011-01-11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Horizontal coffee-stain method using control structure to pattern self-organized line structures
KR101252734B1 (ko) * 2010-07-26 2013-04-1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나노선 정렬 방법
KR102077303B1 (ko) 2018-10-24 2020-02-14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세포 밖 소포체를 크기별로 분리하는 방법 및 장치
CN109879249B (zh) * 2019-04-10 2020-01-17 广东广牧动物保健品有限公司 纳米材料制备系统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9282A (ja) * 2005-09-05 2007-03-22 Japan Superconductor Technology Inc 繊維状材料の配列材料の製造方法、及び、繊維状材料の配列材料
JP2007152514A (ja) * 2005-12-06 2007-06-21 Canon Inc ナノワイヤ配向配列基板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素子の製造方法
KR20070113841A (ko) * 2006-05-26 2007-11-29 한국과학기술원 탄소나노튜브가 수직으로 정렬된 전계방출 에미터 전극의제조방법
JP2007536101A (ja) * 2004-05-05 2007-12-13 カリフォルニア インスティテュート オブ テクノロジー ナノ繊維配列(array)のキャピラリーリソグラフィ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16257A2 (en) * 2000-08-24 2002-02-28 William Marsh Rice University Polymer-wrapped single wall carbon nanotubes
US6896864B2 (en) * 2001-07-10 2005-05-24 Battelle Memorial Institute Spatial localization of dispersed single walled carbon nanotubes into useful structures
JP3879991B2 (ja) * 2002-06-03 2007-02-14 独立行政法人農業・食品産業技術総合研究機構 ポリマー被覆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
WO2007139271A1 (en) 2006-05-26 2007-12-06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Method for manufacturing a field emitter electrode using the array of carbon nanotub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36101A (ja) * 2004-05-05 2007-12-13 カリフォルニア インスティテュート オブ テクノロジー ナノ繊維配列(array)のキャピラリーリソグラフィー
JP2007069282A (ja) * 2005-09-05 2007-03-22 Japan Superconductor Technology Inc 繊維状材料の配列材料の製造方法、及び、繊維状材料の配列材料
JP2007152514A (ja) * 2005-12-06 2007-06-21 Canon Inc ナノワイヤ配向配列基板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素子の製造方法
KR20070113841A (ko) * 2006-05-26 2007-11-29 한국과학기술원 탄소나노튜브가 수직으로 정렬된 전계방출 에미터 전극의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56316A1 (en) 2011-10-20
KR101054354B1 (ko) 2011-08-05
KR20100072874A (ko) 2010-07-01
US8758852B2 (en) 2014-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45308B2 (ja) ポリマーコンポジ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0074365A1 (ko) 용액 증발법을 이용한 나노물질의 배열방법
US7655383B2 (en) Photochemical method for manufacturing nanometrically surface-decorated substrates
Huang et al. Matrix-assisted dip-pen nanolithography (MA-DPN) and polymer pen lithography (MA-PPL)
US6923923B2 (en) Metallic nanoparticle cluster ink and method for forming metal pattern using the same
CN100393427C (zh) 组装纳米物体的方法
KR20040106947A (ko) 금속나노입자 및 카본나노튜브를 이용한 도전성 필름 또는패턴 형성방법
WO2003073444A1 (en) Fe/au nanoparticles and methods
Choi et al. Patterning of Hierarchically Aligned Single-Walled Carbon Nanotube Langmuir− Blodgett Films by Microcontact Printing
JP2003510236A (ja) パターン化された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
WO2011142558A2 (ko) 전도성 금속 잉크 조성물 및 전도성 패턴의 형성 방법
KR20060003332A (ko) 자기 조립법 및 관련 장치에 의한 나노구조체 함유 물질의패턴화된 용착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4681126A (zh) 透明电极层积体
JP2008200613A (ja)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コーティング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529807A (ja) 表面のパターン処理および制御された析出成長物を用いたビアの製造
WO2016076563A1 (ko) 그래핀 나노 패턴 인쇄 방법,그에 사용되는 장치 및 잉크
AU2010325999A1 (en) Block copolymer-assisted nanolithography
WO2018016680A1 (ko) 고전도도의 탄소 나노튜브 미세 구조체의 3d 프린팅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잉크
JP2007516925A (ja)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を溶解させる方法およびその使用
JP5176800B2 (ja)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を含有する組成物および膜
WO2012144728A2 (ko) 크기 조절이 가능한 나노입자 어레이 제조방법, 이에 의하여 제조된 나노입자 어레이와 그 응용
CN107367905B (zh) 制备高比表面积的光刻胶-石墨烯材料的复合体系的方法
WO2011090233A1 (ko) 광간섭 리소그래피를 이용한 다공성 탄소 구조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한 다공성 탄소 구조체
Wang et al. Protein micropatterning via self-assembly of nanoparticles
WO2009116829A1 (en) Method for dispersing nanostructures and method for adsorbing nanostructures on the surface of solid using the dispersed nanostruc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0983513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3140879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0983513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