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0067923A1 - 퍽 타입의 포인팅 장치, 포인팅 시스템 및 포인팅 방법 - Google Patents

퍽 타입의 포인팅 장치, 포인팅 시스템 및 포인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0067923A1
WO2010067923A1 PCT/KR2009/001297 KR2009001297W WO2010067923A1 WO 2010067923 A1 WO2010067923 A1 WO 2010067923A1 KR 2009001297 W KR2009001297 W KR 2009001297W WO 2010067923 A1 WO2010067923 A1 WO 201006792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uck
signal
movement
moving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129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용환
정진우
이방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애트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애트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애트랩
Priority to CN2009801479383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2227700A/zh
Priority to US13/128,794 priority patent/US20110227823A1/en
Priority to JP2011538538A priority patent/JP2012510663A/ja
Publication of WO201006792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6792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inting device, a pointing system and a point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puck-type pointing device, a pointing system and a pointing method for quickly and accurately moving the position of a cursor on a display connected to the poi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uck. will be.
  • Conventional pointing devices for adjusting the cursor position on the display include arrow keys, function keys, mice, trackballs, joysticks, touch screens, light pens, tablets to adjust cursor movement and select items or functions on the display. And other similar devices.
  • a puck-type pointing device has recently been introduced into laptop computers and pocket devices, overcoming many of the limitations of other pointing devices.
  • a puck-type pointing device is a compact disc-shaped device with a handle that can be manipulated by the user's finger movement within the puck's travel area.
  • the puck's location within the puck's travel area is controlled using a variety of electrical, electromagnetic and optical technologies. It is detected and mapped to the cursor position on the display.
  • an elastic device such as a set of springs, moves the puck to the center position within the movement area.
  • the position of the puck and the pressure on the puck are determined by the electrodes of the device, the position information being transmitted to a host device connected to the pointing device with the puck and used to position the cursor on the display screen.
  • the host device incorporates software that converts movement while the user's finger presses the puck into movement of the appropriate cursor on the device's display.
  • FIG. 1 is a plan view of a general puck type pointing device 10, which is composed of a puck 11, a puck moving area 19, a spring 13, and a side portion 14 of the puck moving area.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1-2 of the general puck type pointing device 10 shown in FIG. 1, with the puck 11, the spring 13, the sides 14 of the puck moving region, and the substrate 17. , The user's finger 16.
  • the puck 11 moves over the surface 12 of the substrate 17 in the puck movement region 19 in response to the lateral forces applied to it. This force is typically applied to the puck 11 by the user's finger 16.
  • the puck 11 includes a pressure sensing mechanism that measures the vertical pressure applied to it, and the pointing device 10 includes a monitoring mechanism that measures the position of the puck 11 on the surface 12.
  • the puck 11 When the user releases the finger 16 to release the pressure on the puck 11, the puck 11 is returned to the center position by a spring 13 that connects the puck to the side 14 of the puck movement zone. Therefore, in the joystick mode, which determines the moving speed of the cursor according to the moving distance of the puck 11, the operation of returning the puck 11 to the center position reduces the moving speed of the cursor.
  • the conventional puck-type pointing device detects that the user's finger does not apply a vertical force to the puck 11 while the puck 11 returns, or a mechanical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movement of the cursor in the mouse mode.
  • a pressure sensor was used, this mechanical structure had a problem of weak durability and slow response time.
  • FIG. 3 is a plan view of a pointing device 10 for explaining a capacitive sensing method of detecting a position of a puck in a general puck type pointing device 10.
  • the surface 50 and four surface electrodes 51-54 are shown in FIG. ), Consisting of electrodes of the puck.
  • Surface 50 includes four surface electrodes 51-54 with connected 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n external circuit and the puck includes an electrode 55 virtually shown in the figure. These terminals are omitted for simplicity.
  • the overlap between the puck's electrodes 55 and the respective surface electrodes 51-54 depends on the puck's position relative to the surface electrodes 51-54. Portions A-D overlapping surface electrodes 51-54 in the puck electrode 55 form a parallel plate capacitor having capacitance proportional to each overlapping area.
  • the position of the puck electrode 55 relative to the surface electrodes 51-54 can be measured by measuring the capacitance between the puck electrode 55 and the respective surface electrodes 51-54.
  • the operation mode of the pointing device includes a joystick mode in which a motion vector changes according to the moving distance and the direction of the puck, and a mouse mode in which the movement distance changes according to the moving distance and the direction of the puck.
  • the current puck-type pointing device is faster and more accurate than the conventional pointing device i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dustry, the pointing device is used only in the joystick mode in the structure where the puck is connected by the spring as shown in FIG.
  • the cursor moved only as far as the puck traveled, and when the puck returned to its position, the cursor needed to stop at the moved position.
  • FIG. 4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puck-type poi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which includes a movement detecting unit 5 and a filter unit 15.
  • the movement detecting unit 5 receives movement information of the puck from the contact object, detects whether the contact object is in contact with the pointing device, and detects the movement of the puck after contact, thereby delaying the movement detection signal m_det indicating a capacitance value by a predetermined time.
  • the filter unit 15 receives the movement detection signal m_det delayed by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movement detection unit 5 to filter out the noise, and outputs a puck movement signal mov.
  • waveform 1 is a delayed motion detection signal m_det of 4 channels
  • waveform 2 is a puck motion signal mov of 4 channels.
  • the four channels are due to the difference in capacitance values measured by the overlap of the electrode 55 of the puck and the four surface electrodes 51-54 in FIG.
  • the delayed movement detection signal m_det outputs a high level capacitance value with a predetermined time T1 with noise when the contact object touches the pointing device and moves the puck, and the touch object stops contacting the pointing device ( At a time point t1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T1 has elapsed from t0, the noise transitions to a low level capacitance value and is output.
  • time T1 is a delay time of the filter part (15 of FIG. 4).
  • the puck movement signal mov outputs a high level capacitance value delayed by a predetermined time T1 when noise is removed when the contact object contacts the puck and moves the puck, and the point of time when the contact object stops contacting and moving the pointing device.
  • a predetermined time T1 when noise is removed when the contact object contacts the puck and moves the puck
  • the point of time when the contact object stops contacting and moving the pointing device At a time point t1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T1 has elapsed from t0, the level is gradually decayed, and after a predetermined long time T2 is delayed, the signal is shifted to a low level capacitance value where noise is removed and output.
  • the movement detecting unit 5 receives contact and movement with a certain pressure from the user's finger, which is the contact object, and the contact object moves by touching the puck. Detect.
  • the filter unit 15 outputs the delayed movement detection signal m_det from the movement detection unit 5. Is applied to remove the noise by low pass filtering, and outputs the puck moving signal mov delayed by a predetermined time T1 having a high level capacitance value.
  • the host device receives the high level puck movement signal mov from the filter unit 15 and moves the cursor on a display device such as a monitor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puck.
  • the movement detecting unit 5 recognizes that the pressure from the user's finger is reduced sharply, and the contact and movement of the contact object Detect that it has stopped.
  • the filter unit 15 outputs the delayed movement detection signal m_det from the movement detection unit 5.
  • Low pass filtering removes noise, attenuates while delaying a predetermined time T2, and outputs a puck movement signal mov having a low level capacitance value.
  • the level of the puck movement signal mov does not transition to a low level at the boundary time t0 at which the contact object stops contacting and moving in the pointing device. Only after a predetermined time T2 is decayed and a predetermined time T2 is delayed, a low level capacitance value from which noise is removed is output.
  • the difference in the four capacitance values in the delayed movement detection signal m_det and the puck movement signal mov is exactly four surface electrodes. This is because it is not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field 51-54. This phenomenon may be caused by deterioration of the spring due to the long use of the puck.
  • the time at which the puck returns by the spring 13 is smaller than the puck's travel time.
  • the host device receives the low level puck movement signal mov from the filter unit 15 and does not move the cursor on the display device.
  • the puck-type pointing device has to remove noise by using a predetermined filter part due to noise in contact and movement applied to the puck, even if the puck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after moving the puck. Due to the time T1 delayed by the unit 15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lter output, it takes time T2 to decay the puck movement signal mov so that the time t0 at which the contact and movement of the puck is stopped is accurately corrected. It will not be detected.
  • the puck floats so that the puck's contact increases capacitance, but the puck may be connected to ground voltage so that the noise of the movement detection signal m_det may be reduced during contact where cursor shaking is inevitable.
  • a problem may occur in that the cursor moving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moving distance of the puck in the pointing device does not stop at the correct position at the point in time t0 of contacting and moving of the puck.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uck-type pointing device that allows the cursor to stop at the correct position when the puck stops contacting and moving when the cursor moves only as far as the puck moves and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inting system having the puck-type pointing device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inting method of the puck-type pointing device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 the puck-type pointing device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ovement detecting unit for outputting a movement detection signal by detecting the information moved by the contact object in contact with the puck, filtered by receiving a movement detection signal to filter the noise
  • a first filter unit for removing the first puck moving signal delayed for a first time and receiving the filtered motion detection signal to remove noise by filtering the moving detection signal, and a second time delayed second puck moving signal for outputting a second time delay smaller than the first time
  • a puck moving signal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or blocking the first puck moving signal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moved in response to the second puck moving signal.
  • the puck-type pointing system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detects the information moved by the contact object in contact with the puck, filter by varying the delay time, and transfer the first puck movement signal according to the moved information or Pointing device of the puck type to block, a host device that outputs a cursor control signal by calculating the direction and distance of movement of the puck in response to the first puck movement signal, and moves the cursor only as far as the puck moves in response to the cursor control signal And a display device which stops the cursor at the exact time when the puck is stopped when the puck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 the puck-type pointing method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detects the information moved by the contact object in contact with the puck and outputs a movement detection signal, the movement detection signal is applied to filter the noise
  • the puck-type pointing device, the pointing system and the poin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ke it easy to find the exact time when the puck of the contact object stops contacting and moving when the puck is moved and the contact object is dropped from the puck and returned to its place. This prevents the pointing device from malfunctioning due to the continuous movement of the cursor.
  • FIG. 1 is a plan view of a general puck type pointing device 10.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1-2 shown in the general puck type pointing device 10 shown in FIG. 1.
  • FIG 3 is a plan view of the pointing device 10 for explaining a capacitive sensing method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puck in the general puck-type pointing device 10.
  • FIG. 4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puck type poi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 FIG. 5 is an operation waveform diagram of a puck type poi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of FIG. 4.
  • FIG. 6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puck-type poi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pointing system with a puck type poi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6.
  • FIG. 8 is an operation waveform diagram of a puck-type poi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1-2 shown by apply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puck type pointing device 10 shown in FIG. 1.
  • FIG. 6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puck-type poi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a movement detecting unit 120, first and second filter units 140 and 160, a puck movement determining unit 180, and a switching unit ( 150).
  • the movement detecting unit 120 receives the puck's contact and movement from the contact object and detects whether the contact object is in contact with the puck, and afterwards, detects the movement direction and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puck to generate a movement detection signal m_det indicating the capacitance value.
  • the first filter unit 140 receives the movement detection signal m_det delayed by the predetermined time from the movement detection unit 120 to filter out the noise and outputs the first puck movement signal mov1 delayed by the first time.
  • the second filter unit 160 receives the movement detection signal m_det from the movement detection unit 120 to filter out the noise, and outputs a second time delayed puck movement signal mov2 that is less than the first time. .
  • the first and second filter units 140 and 160 may use a digital filter such as an IIR filter or an FIR filter having the same amplitude characteristic and different delay time characteristics.
  • the IIR filter has a large delay time.
  • the FIR filter has a small delay time, and in the same digital filter, the lower the order, the larger the delay time, and the higher the order, the smaller the delay time.
  • the first filter unit 140 may be implemented as a second order IIR filter
  • the second filter unit 160 may be implemented as a third order FIR filter.
  • the puck movement determination unit 180 receives the second puck movement signal mov2 from the second filter unit 160 and in response to the output of the first filter unit 140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contact object is in contact with the puck. Outputs a filter output cutoff signal (FT_off) that blocks.
  • FT_off filter output cutoff signal
  • the switching unit 150 transmits or blocks the output of the first filter unit 140 in response to the filter output blocking signal FT_off from the puck movement determining unit 180.
  • the switching unit 150 may be implemented not only in logic circuits in hardware but also in software.
  • FIG. 7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pointing system having a puck-type poi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6, which includes a puck-type pointing device 100, a host device 200, and a display device 300. do.
  • the puck-type pointing device 100 senses the information moved by contacting the contact object with the puck, filters the delay time with different delays, and transmits or blocks the first puck moving signal according to the moved information.
  • the host device 200 calculates a moving direction and a moving distance of the puck in response to the first puck moving signal and outputs a cursor control signal c_cur.
  • the display apparatus 300 moves the cursor only as far as the puck moves in response to a cursor control signal c_cur, and stops the cursor at the exact time when the puck is stopped when the puck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 the moving distance of the cursor coincides with the moving distance of the puck, but it can be applied to a mathematical element related to the moving speed of the puck. This is similar to a mouse driver, for example, a mathematical factor that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distance the puck travels.
  • FIG. 8 is an operation waveform diagram of the pointing device of the puck ty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6, in which waveform (1) is a delayed motion detection signal (m_det) of four channels, and waveform (2) is a first puck movement of four channels.
  • Signal mov1 and waveform 3 represent a second puck movement signal mov2 of four channels.
  • the four channels are due to the difference in capacitance values measured by the overlap of the electrode 55 of the puck and the four surface electrodes 51-54 in FIG.
  • the delayed movement detection signal m_det outputs a high-level capacitance value with a predetermined time delay when the contact object moves in contact with the puck and a time elapsed from when the contact object stops contact and movement in the puck. At t0, the noise is shifted to a low level capacitance value and outputted.
  • the first puck movement signal mov1 outputs a capacitance value of a delayed high level at a predetermined time T1 when noise is removed when the contact object moves in contact with the puck and stops contact and movement in the puck ( At a time point t2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T2 has elapsed from t1, the level is gradually decayed, and after a predetermined long time T2 is delayed, the signal transitions to a low level capacitance value from which noise is removed.
  • time T1 is a delay time of the 1st filter part (140 of FIG. 6).
  • the second puck movement signal mov2 outputs a high level capacitance value from which noise is remov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T3 is delayed when the contact object moves in contact with the puck, and the contact object stops contact and movement in the puck.
  • T3 time T3 is the delay time of the 2nd filter part 160 of FIG.
  • the movement detector 120 When the user touches and moves the puck in the pointing device by using a finger, the movement detector 120 receives contact and movement with a constant pressure from the user's finger, which is the contact object, and the contact object moves by contacting the puck. As it detects, the movement detector 120 outputs a movement detection signal m_det of four channels having a high level capacitance value mixed with noise.
  • m_det a movement detection signal
  • the four-channel movement detection signal m_det is a waveform output of the capacitance outputs of the four surface electrodes 51-54 of FIG. 3 to four touch channels, and has a high level of noise when the puck is touched and moved.
  • the capacitance value detected by the electrodes of the puck and the four surface electrodes 51-54 is all reduced to output a low level capacitance value with almost no noise.
  • the first filter unit 140 receives the movement detection signal m_det delayed by the predetermined time T1 from the movement detection unit 120 to remove noise by low pass filtering and to perform a first time having a high level capacitance value. T1) Output the delayed first puck movement signal mov1.
  • the second filter unit 160 receives the movement detection signal m_det from the movement detection unit 120 to remove noise by performing low pass filtering, and delays the second puck with a second time T3 having a high level capacitance value.
  • the movement signal mov2 is output.
  • the puck movement determining unit 180 receives the second puck movement signal mov2 having a high level from the second filter unit 160 and determines that the user's finger is in contact with and moves.
  • the filter output cutoff signal FT_off is output at a low level to transmit an output, and the switching unit 150 receives a low level filter output cutoff signal FT_off from the puck movement determining unit 180 and responds thereto in response thereto.
  • the output of the filter unit 140 is transmitted.
  • the host device receives a high level first puck movement signal mov1 from the switching unit 150 to move a cursor on a display device such as a monitor accor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and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puck.
  • the movement detecting unit 120 recognizes that the pressure from the user's finger has been abruptly reduced and detects that the contact and movement of the contact object are interrupted.
  • the motion detection signal m_det of four channels having a low level capacitance value mixed with noise is delayed and outputted by a predetermined time T1.
  • the first filter unit 140 receives the movement detection signal m_det delayed by the predetermined time T1 from the movement detection unit 120 to remove noise by low pass filtering, and attenuates the signal by delaying the first time T2.
  • the first puck movement signal mov1 having a capacitance value of a level is output, and the second filter unit 160 receives the movement detection signal m_det from the movement detection unit 120 to perform low pass filtering to perform a first time. Attenuates while delaying the second time T3 smaller than T2 to remove noise, and outputs a second puck movement signal mov2 having a low level capacitance after a predetermined time T4 is delayed.
  • the level of the second puck movement signal mov2 is increas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T3 is delayed at the boundary time t0 at which the contact object stops contacting and moving in the puck.
  • the conventional puck type pointing device outputs a low level capacitance value from which noise is removed after a second time T4 shorter than the first time T2 is delayed.
  • the puck movement determination unit 180 receives the low level second puck movement signal mov2 from the second filter unit 160 and determines that the user's finger has stopped contacting and moving.
  • the filter output cutoff signal FT_off is output at a high level to block the output of the signal. In this case, the contact and movement interruption of the finger should be determined at a time less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time T1.
  • the switching unit 150 blocks the output of the first filter unit 140 in response to the high level filter output cutoff signal FT_off from the puck movement determining unit 180, and the host device is configured to remove the output from the switching unit 150. Since the 1 puck moving signal mov1 is not received, the cursor on the display device is stopped without moving any more.
  •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1-2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the puck type pointing device 10 shown in FIG. 1, wherein the puck 11, spring 13, side of the puck moving area are shown in FIG. 14, surface electrodes 53 and 54, a first substrate 17, a dome switch 18, and a second substrate 20.
  • the puck 11 moves over the surface 12 of the substrate 17 within the puck movement region 19 in response to the lateral force applied to it, and the user releases the finger 16 to the puck 11.
  • the operation of returning to the center position by the spring 13 connecting the puck to the side portion 14 of the puck moving area is the same as that of the general puck type pointing device 10 shown in FIG.
  • the input signal applied from the dome switch 18 of the second filter unit 160 of FIG. 6 is an analog value, it is implemented as a peak detector. If the input signal applied from the dome switch 18 is a digital value, there is a difference that an accumulator structure accumulates the value a plurality of times.
  • the filtered value is compared with the threshold value specified by the puck movement determining unit 180.
  • the delay time between the second filter unit 160 and the puck movement determining unit 180 is also determined by the first filter unit ( 140) is set smaller than the delay time.
  • the cursor moves only as far as the puck moves, and the user releases the finger so that the puck is in place.
  • the time required for the contact signal to be attenuated is shorter than in the prior art, so that it is easy to find the exact time t0 at which the contact object stopped contacting and moving the puck.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mouse mode which is stopped at the correct position at the time point t0.
  • the puck-type pointing device, the pointing system, and the poin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the proximity sensing unit that outputs a proximity sensing signal indicating a capacitance value.
  • the operation is described based on the case where there is elasticity between the puck and the lower surface electrodes.
  • the ambient noise induced by the finger is lowered. It is natural that the puck-type pointing device, the pointing system, and the poin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because the same thing is induced in the electrodes.
  • the movement of the puck is described only as a structure for measuring the change in capacitance, but it is obvious that the structure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structure for sensing a magnetic field or a structure for sensing and measuring an RF-coupled electric fie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퍽 타입의 포인팅 장치, 포인팅 시스템 및 포인팅 방법을 공개한다. 이 장치는 접촉 물체가 퍽에 접촉하여 이동한 정보를 감지하여 이동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이동 감지부, 이동 감지 신호를 인가받아 필터링하여 노이즈를 제거하고 제1 시간 지연된 제1 퍽 이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1 필터부, 이동 감지 신호를 인가받아 필터링하여 노이즈를 제거하고 제1 시간보다 작은 제2 시간 지연된 제2 퍽 이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2 필터부, 제2 퍽 이동 신호에 응답하여 이동한 정보에 따라 제1 퍽 이동 신호를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퍽 이동 신호 전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퍽 을 이동시켰다가 퍽에서 접촉 물체가 떨어져 제자리로 복귀했을 때 접촉 물체의 퍽에 접촉 및 이동을 중단한 정확한 시점을 찾기가 용이하게 되어 커서의 계속 이동으로 인한 포인팅 장치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퍽 타입의 포인팅 장치, 포인팅 시스템 및 포인팅 방법
본 발명은 포인팅 장치, 포인팅 시스템 및 포인팅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퍽의 위치 정보에 따라 포인팅 장치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상에서 커서의 위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동시키는 퍽 타입의 포인팅 장치, 포인팅 시스템 및 포인팅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상의 커서 위치를 조정하는 종래의 포인팅 장치에는 커서 이동을 조정하고 디스플레이 상의 아이템 또는 기능(function)을 선택하기 위한 화살표 키, 기능 키, 마우스들, 트랙 볼, 조이스틱, 터치 스크린, 라이트 펜, 타블렛 및 다른 유사 장치가 포함된다.
이들 종래의 포인팅 장치가 일반적으로 많은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만족스럽더라도, 포인팅 장치가 제한된 작업 공간 내에서 동작하고, 랩탑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유선 또는 무선 전화, 비디오 게임기 또는 다른 유사 전자 기기와 같은 전자 기기의 폼 팩터(form factor)에 맞추어야 하는 환경에서는, 종래의 포인팅 장치는 충분한 커서 제어 속도 또는 정확도를 제공하지 못한다.
이에 따라 최근에 퍽 타입(puck-type)의 포인팅 장치가 랩 탑 컴퓨터 및 포켓형 장치에 도입되어, 다른 포인팅 장치의 많은 한계를 극복하고 있다.
퍽 타입의 포인팅 장치는 퍽 이동 영역 내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움직여 조작될 수도 있는 손잡이가 달린 컴팩트 디스크 형상의 장치로서, 퍽 이동 영역 내에서의 퍽의 위치는 다양한 전기, 전자기 및 광학 기술을 이용하여 감지되어 디스플레이 상의 커서 위치에 맵핑된다.
즉,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퍽(puck)을 가압하면 제한된 이동 영역 내에서 퍽(puck)이 이동하고, 사용자가 퍽의 가압을 해제하면 한 세트의 스프링과 같은 탄성 장치가 퍽을 이동 영역 내의 중심 위치로 복귀시킨다.
퍽의 위치 및 퍽에 대한 압력은 이 장치의 전극에 의해 결정되는데, 그 위치 정보는 퍽을 구비하는 포인팅 장치에 연결된 호스트 장치에 전달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서 커서의 위치를 정하는 데 사용된다. 이 호스트 장치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퍽을 가압하는 동안의 이동을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의 적절한 커서의 이동으로 변환하는 소프트웨어가 내장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퍽 타입 포인팅 장치(10)의 평면도로서, 퍽(11), 퍽 이동 영역(19), 스프링(13), 퍽 이동 영역의 측부(14)로 구성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일반적인 퍽 타입 포인팅 장치(10)에 도시된 선 1-2에 따른 단면도로서, 퍽(11), 스프링(13), 퍽 이동 영역의 측부(14), 기판(17), 사용자의 손가락(16)으로 구성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일반적인 퍽 타입 포인팅 장치(1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퍽(11)은 자신에 가해진 측방향 힘에 응답해서 퍽 이동 영역(19) 내에서 기판(17)의 표면(12) 위를 이동한다. 이 힘은 통상적으로 사용자의 손가락(16)에 의해 퍽(11)에 가해진다. 퍽(11)은 자신에게 가해지는 수직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감지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포인팅 장치(10)는 표면(12) 상의 퍽(11)의 위치를 측정하는 감시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손가락(16)을 떼서 퍽(11)에 대한 압력을 해제하면, 퍽(11)은 퍽 이동 영역의 측부(14)로 퍽을 연결시키는 스프링(13)에 의해서 중심 위치로 되돌아온다. 따라서, 퍽(11)의 이동 거리에 따라 커서의 움직이는 속도를 결정하는 조이 스틱 모드에서는 퍽(11)이 중심 위치에 되돌아오는 동작은 커서의 움직이는 속도를 감소시키게 된다.
이에 반해, 퍽(11)의 이동 거리에 따라 커서의 움직이는 거리를 결정하는 마우스 모드에서는 퍽(11)이 중심 위치에 되돌아 오면 커서도 원래의 위치에 되돌아 오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퍽 타입 포인팅 장치는 퍽(11)이 되돌아오는 동안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퍽(11)에 수직 힘을 가하지 않는 것을 감지하여 마우스 모드에서 커서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기계적인 구조 혹은 압력 센서를 사용하였지만, 이러한 기계적인 구조는 내구성이 약하고 응답속도가 늦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3은 일반적인 퍽 타입 포인팅 장치(10)에서 퍽의 위치를 감지하는 전기 용량성 감지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포인팅 장치(10)의 평면도로서, 표면(50), 4개의 표면 전극들(51-54), 퍽의 전극으로 구성된다.
표면(50)은 외부 회로에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접속된 단자들을 갖고 있는 4개의 표면 전극들(51-54)을 포함하고 퍽은 도면에 가상으로 도시된 전극(55)을 포함하는데, 도면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이들 단자는 생략되었다.
퍽의 전극(55)과 각각의 표면 전극들(51-54) 사이의 중첩은 표면 전극들(51-54)에 대한 퍽의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퍽의 전극(55)에서 표면 전극들(51-54)과 중첩하는 부분(A-D)은 각 중첩되는 면적에 비례하는 캐패시턴스를 갖는 병렬 플레이트 캐패시터를 형성한다.
따라서, 퍽의 전극(55)과 각각의 표면 전극들(51-54) 사이의 캐패시턴스를 측정함으로써 표면 전극들(51-54)에 대한 퍽의 전극(55)의 위치가 측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포인팅 장치의 동작 모드에는 퍽 의 움직이는 거리와 방향에 따라 움직임 벡터의 변화가 발생하는 조이스틱 모드와 퍽 의 움직이는 거리와 방향에 따라 움직임 거리의 변화가 발생하는 마우스 모드가 있다.
즉, 퍽 의 이동을 커패시턴스 변화로 감지하는 구조에서 조이스틱 모드에서는 퍽 을 중심에서 이동을 하여 특정 위치에 머물러 있으면 커서가 계속 이동하고 커서의 움직임 속도가 퍽 의 이동 거리에 비례하여 퍽 이 제자리로 돌아왔을때 커서의 이동 속도만 감소하는 반면, 마우스 모드에서는 퍽 을 손가락으로 이동하면 중심에서 이동된 거리만큼만 커서가 이동한 이후 커서가 정지하고 손가락이 떨어져서 제자리로 돌아오면 커서 역시 원 위치로 복귀한다.
그런데, 휴대 전자 기기 산업에서 종래의 포인팅 장치에 비해 현재의 퍽 타입의 포인팅 장치가 더 빠르고 정확하더라도, 도 1에서와 같이 퍽 이 스프링에 의해 연결된 구조에서는 포인팅 장치를 조이스틱 모드로만 사용하게 되므로 신속하고 정확한 동작을 하기 위해서는 퍽 이 이동하는 거리만큼만 커서가 이동하고 퍽이 제자리로 복귀하였을때 커서는 이동된 위치에 정지해 있을 필요성이 있었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퍽 타입 포인팅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로서, 이동 감지부(5), 필터부(15)를 구비한다.
이하 각 블록들의 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동 감지부(5)는 접촉 물체로부터 퍽의 이동 정보를 인가받아 접촉 물체가 포인팅 장치에 접촉되었는지 여부 및 접촉 후에 퍽의 이동을 감지하여 커패시턴스값을 나타내는 이동 감지 신호(m_det)를 소정 시간 지연하여 출력한다.
필터부(15)는 이동 감지부(5)로부터 소정 시간 지연된 이동 감지 신호(m_det)를 인가받아 필터링하여 노이즈를 제거하고 퍽 이동 신호(mov)를 출력한다.
도 5는 도 4의 종래 기술에 따른 퍽 타입 포인팅 장치의 동작 파형도로서, 파형(1)은 4 채널의 지연된 이동 감지 신호(m_det), 파형(2)는 4 채널의 퍽 이동 신호(mov)를 나타낸다. 4 채널은 도 3에서 퍽의 전극(55)과 4개의 표면 전극들(51-54)의 중첩으로 측정된 캐패시턴스 값의 차이에 기인한다.
지연된 이동 감지 신호(m_det) 는 접촉 물체가 포인팅 장치에 접촉하여 퍽을 이동하였을 때에는 노이즈를 가진 소정 시간(T1) 지연된 하이 레벨의 커패시턴스값을 출력하고 접촉 물체가 포인팅 장치에서 접촉을 중단한 시점(t0)으로부터 소정 시간(T1) 경과한 시점(t1)에서는 노이즈가 감소된 로우 레벨의 커패시턴스값으로 천이하여 출력된다. 여기에서 시간(T1)은 필터부(도 4의 15)의 지연 시간이다.
퍽 이동 신호(mov)는 접촉 물체가 퍽에 접촉하여 퍽을 이동하였을 때에는 노이즈가 제거된 소정 시간(T1) 지연된 하이 레벨의 커패시턴스값을 출력하고 접촉 물체가 포인팅 장치의 접촉 및 이동을 중단한 시점(t0)으로부터 소정 시간(T1) 경과한 시점(t1)에서는 레벨이 점차적으로 감쇄(decay)되어 소정의 긴 시간(T2)이 지연된 후에 노이즈가 제거된 로우 레벨의 커패시턴스값으로 천이하여 출력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퍽 타입 포인팅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랩탑 컴퓨터에 내장되어 있는 퍽 타입 포인팅 장치를 이용하여 모니터 상의 커서를 이동시킨다고 가정한다.
사용자가 포인팅 장치 내 퍽을 손가락을 이용하여 접촉 및 이동하게 되면 이동 감지부(5)는 접촉 물체인 사용자의 손가락으로부터 일정한 압력을 가진 접촉 및 이동을 인가받아 접촉 물체가 퍽에 접촉하여 이동하였음을 감지한다.
이에 따라, 이동 감지부(5)는 노이즈가 섞인 하이 레벨의 커패시턴스값을 갖는 이동 감지 신호(m_det)를 출력하면 필터부(15)는 이동 감지부(5)로부터 상기 지연된 이동 감지 신호(m_det)를 인가받아 로우 패스 필터링하여 노이즈를 제거하고 하이 레벨의 커패시턴스값을 갖는 소정 시간(T1) 지연된 퍽 이동 신호(mov)를 출력한다.
호스트 장치는 필터부(15)로부터 상기 하이 레벨의 퍽 이동 신호(mov)를 인가받아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 상의 커서를 퍽의 이동 방향에 따라 이동시킨다.
그 후에 사용자가 커서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어 시점(t0)에서 퍽으로부터 손가락을 떼게 되면 이동 감지부(5)는 사용자의 손가락으로부터의 압력이 급격하게 감소된 것을 인지하고 접촉 물체의 접촉 및 이동이 중단되었음을 감지한다.
이에 따라, 이동 감지부(5)는 노이즈가 감소된 로우 레벨의 커패시턴스값을 갖는 이동 감지 신호(m_det)를 출력하면 필터부(15)는 이동 감지부(5)로부터 상기 지연된 이동 감지 신호(m_det)를 인가받아 로우 패스 필터링하여 노이즈를 제거하고 소정 시간(T2) 지연하면서 감쇄시켜 로우 레벨의 커패시턴스값을 갖는 퍽 이동 신호(mov)를 출력한다.
하지만, 도 5의 파형(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접촉 물체가 포인팅 장치에서 접촉 및 이동을 중단한 경계 시점(t0)에서는 퍽 이동 신호(mov)의 레벨이 로우 레벨로 천이하지 못하고, 점차적으로 소정 시간(T2) 지연하면서 감쇄(decay)되어 소정 시간(T2)이 지연된 후인 시점(t2)에서야 비로소 노이즈가 제거된 로우 레벨의 커패시턴스값을 출력한다.
즉, 퍽 에 손가락이 접촉 및 이동된 시점에서는 도 4의 필터부에 의해 노이즈가 제거된 하이 레벨의 커패시턴스값을 출력하지만, 손가락이 퍽 에서 떨어지면 필터부의 특성에 의해 측정된 커패시턴스 값이 급격하게 감소되지 않고 일정한 기울기를 가지고 서서히 감소한다.
이와 같은 현상은 퍽 에서 손가락이 서서히 떨어지는 경우와 퍽 하부에 위치하는 돔 스위치(dome switch)와 같은 기계적인 스위치가 손가락이 떨어지는 것을 인식할 때 진동(chattering)하는 시간 만큼의 지연에 기인하기도 한다.
또한, 도 5의 파형(1) 및 파형(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연된 이동 감지 신호(m_det) 및 퍽 이동 신호(mov)에서 4개의 커패시턴스 값이 차이가 있는 것은 퍽 이 정확하게 4개의 표면 전극들(51-54)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지 않기 때문인데, 이와 같은 현상은 퍽 을 장시간 사용함으로 인해 스프링의 열화 등에 의해 기인하기도 한다. 여기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스프링(13)에 의하여 퍽이 복귀하는 시간이 퍽의 이동 시간보다 작은 것으로 가정한다.
호스트 장치는 필터부(15)로부터 상기 로우 레벨의 퍽 이동 신호(mov)를 인가받아 디스플레이 장치 상의 커서를 이동시키지 않는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퍽 타입 포인팅 장치는 퍽 에 인가되는 접촉 및 이동에 노이즈가 있음으로 인해 소정의 필터부를 사용하여 노이즈를 제거해야 하는데, 퍽 을 움직였다가 손을 떼어 퍽 이 제자리로 돌아와도 필터부(15)에 의해 지연되는 시간(T1) 및 필터 출력의 특성상 퍽 이동 신호(mov)가 감쇄(decay)되는데 시간(T2)이 소요되어 퍽의 접촉 및 이동이 중단된 시점(t0)을 정확하게 감지하지 못하게 된다.
지금까지는 퍽의 접촉이 커패시턴스를 증가시키도록 퍽이 플로팅하는 것으로 가정하였지만, 퍽이 접지 전압에 연결되어 커서의 흔들림이 불가피한 접촉 동안 이동 감지 신호(m_det)의 노이즈가 감소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포인팅 장치 내 퍽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에 따라 이동하는 커서가 퍽의 접촉 및 이동이 중단된 시점(t0)에서 정확한 위치에 정지하지 못하고 이동을 계속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퍽 이 이동하는 거리만큼만 커서가 이동하고 퍽이 제자리로 복귀하였을때 커서가 퍽의 접촉 및 이동이 중단된 시점에서 정확한 위치에 정지하게 하는 퍽 타입의 포인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상기 퍽 타입의 포인팅 장치를 구비한 포인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상기 퍽 타입의 포인팅 장치의 포인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퍽 타입의 포인팅 장치는 접촉 물체가 퍽에 접촉하여 이동한 정보를 감지하여 이동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이동 감지부, 이동 감지 신호를 인가받아 필터링하여 노이즈를 제거하고 제1 시간 지연된 제1 퍽 이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1 필터부, 이동 감지 신호를 인가받아 필터링하여 노이즈를 제거하고 제1 시간보다 작은 제2 시간 지연된 제2 퍽 이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2 필터부, 제2 퍽 이동 신호에 응답하여 이동한 정보에 따라 제1 퍽 이동 신호를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퍽 이동 신호 전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퍽 타입의 포인팅 시스템은 접촉 물체가 퍽에 접촉하여 이동한 정보를 감지하여 지연 시간을 달리하여 필터링하고 이동한 정보에 따라 제1 퍽 이동 신호를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퍽 타입의 포인팅 장치, 제1 퍽 이동 신호에 응답하여 퍽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계산하여 커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호스트 장치, 커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퍽 이 이동하는 거리만큼만 커서를 이동시키고 퍽이 원 위치로 복귀되었을 때 퍽의 이동이 중단된 정확한 시점에 커서를 정지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퍽 타입의 포인팅 방법은 접촉 물체가 퍽에 접촉하여 이동한 정보를 감지하여 이동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이동 감지 단계, 이동 감지 신호를 인가받아 필터링하여 노이즈를 제거하고 제1 시간 지연된 제1 퍽 이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1 필터링 단계, 이동 감지 신호를 인가받아 필터링하여 노이즈를 제거하고 제1 시간보다 작은 제2 시간 지연된 제2 퍽 이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2 필터링 단계, 제2 퍽 이동 신호에 응답하여 이동한 정보에 따라 제1 퍽 이동 신호를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퍽 이동 신호 전달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퍽 타입의 포인팅 장치, 포인팅 시스템 및 포인팅 방법은 퍽 을 이동시켰다가 퍽에서 접촉 물체가 떨어져 제자리로 복귀했을 때 접촉 물체의 퍽에 접촉 및 이동을 중단한 정확한 시점을 찾기가 용이하게 되어 커서의 계속 이동으로 인한 포인팅 장치의 오동작을 방지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퍽 타입 포인팅 장치(10)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일반적인 퍽 타입 포인팅 장치(10)에 도시된 선 1-2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일반적인 퍽 타입 포인팅 장치(10)에서 퍽의 위치를 감지하는 전기 용량성 감지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포인팅 장치(10)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퍽 타입 포인팅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종래 기술에 따른 퍽 타입 포인팅 장치의 동작 파형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퍽 타입의 포인팅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퍽 타입의 포인팅 장치를 구비한 포인팅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6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퍽 타입의 포인팅 장치의 동작 파형도이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낸 퍽 타입 포인팅 장치(10)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적용하여 도시된 선 1-2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퍽 타입의 포인팅 장치, 포인팅 시스템 및 포인팅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퍽 타입의 포인팅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로서, 이동 감지부(120), 제1 및 제2 필터부(140, 160), 퍽 이동 판단부(180), 스위칭부(150)를 구비한다.
이하 각 블록들의 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동 감지부(120)는 접촉 물체로부터 퍽의 접촉 및 이동을 인가받아 접촉 물체가 퍽에 접촉되었는지 여부 및 접촉 후에 퍽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감지하여 커패시턴스값을 나타내는 이동 감지 신호(m_det)를 출력한다.
제1 필터부(140)는 이동 감지부(120)로부터 소정 시간 지연된 이동 감지 신호(m_det) 를 인가받아 필터링하여 노이즈를 제거하고 제1 시간 지연된 제1 퍽 이동 신호(mov1)를 출력한다.
제2 필터부(160)는 이동 감지부(120)로부터 이동 감지 신호(m_det)를 인가받아 필터링하여 노이즈를 제거하고 제1 시간보다 작은 제2 시간 지연된 제2 퍽 이동 신호(mov2)를 출력한다.
여기에서, 제1 및 제2 필터부(140, 160)는 진폭 특성은 동일하고 지연 시간 특성이 상이한 IIR 필터나 FIR 필터와 같은 디지털 필터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IIR 필터는 지연 시간이 크고 FIR 필터는 지연 시간이 작고, 동일한 디지털 필터에서는 차수가 낮을수록 지연 시간이 크고, 차수가 높아지면 지연 시간이 작다.
따라서, 제1 필터부(140)는 2차 IIR 필터로 구현하고, 제2 필터부(160)는 3차 FIR 필터로 구현하는 예시를 들 수 있다.
퍽 이동 판단부(180)는 제2 필터부(160)로부터 제2 퍽 이동 신호(mov2)를 인가받아 이에 응답하여 접촉 물체의 퍽에 접촉 및 이동 여부에 따라 제1 필터부(140)의 출력을 차단하는 필터 출력 차단 신호(FT_off)를 출력한다.
스위칭부(150)는 퍽 이동 판단부(180)로부터 필터 출력 차단 신호(FT_off)에 응답하여 제1 필터부(140)의 출력을 전달하거나 차단한다. 여기에서, 스위칭부(150)는 하드웨어적으로 로직 회로로 구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소프트웨어적으로도 구현할 수도 있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퍽 타입의 포인팅 장치를 구비한 포인팅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로서, 퍽 타입의 포인팅 장치(100), 호스트 장치(200),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구비한다.
이하 각 블록들의 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퍽 타입의 포인팅 장치(100)는 접촉 물체가 퍽에 접촉하여 이동한 정보를 감지하여 지연 시간을 달리하여 필터링하고 이동한 정보에 따라 제1 퍽 이동 신호를 전달하거나 차단한다.
호스트 장치(200)는 제1 퍽 이동 신호에 응답하여 퍽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계산하여 커서 제어 신호(c_cur)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커서 제어 신호(c_cur)에 응답하여 퍽 이 이동하는 거리만큼만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고 퍽이 원 위치로 복귀되었을 때 퍽의 이동이 중단된 정확한 시점에 커서를 정지시킨다.
상기에서는 커서의 이동 거리가 퍽의 이동 거리와 일치하는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퍽의 이동 속도와 관련된 수학적인 요소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는 마우스 드라이버와 유사한데 퍽의 이동 거리에 비례해서 증가하는 수학적인 요소가 그 대표적인 예로 볼 수 있다.
도 8은 도 6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퍽 타입의 포인팅 장치의 동작 파형도로서, 파형(1)은 4 채널의 지연된 이동 감지 신호(m_det), 파형(2)는 4 채널의 제1 퍽 이동 신호(mov1), 파형(3)은 4 채널의 제2 퍽 이동 신호(mov2)를 나타낸다. 4 채널은 도 3에서 퍽의 전극(55)과 4개의 표면 전극들(51-54)의 중첩으로 측정된 캐패시턴스 값의 차이에 기인한다.
지연된 이동 감지 신호(m_det) 는 접촉 물체가 퍽 에 접촉하여 이동하였을 때에는 노이즈를 가진 소정 시간 지연된 하이 레벨의 커패시턴스값을 출력하고 접촉 물체가 퍽 에서 접촉 및 이동을 중단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한 시점(t0)에서는 노이즈가 감소된 로우 레벨의 커패시턴스값으로 천이하여 출력된다.
제1 퍽 이동 신호(mov1)는 접촉 물체가 퍽 에 접촉하여 이동하였을 때에는 노이즈가 제거된 소정 시간(T1) 지연된 하이 레벨의 커패시턴스값을 출력하고 접촉 물체가 퍽 에서 접촉 및 이동을 중단한 시점(t1)으로부터 소정 시간(T2) 경과한 시점(t2)에서는 레벨이 점차적으로 감쇄(decay)되어 소정의 긴 시간(T2)이 지연된 후에 노이즈가 제거된 로우 레벨의 커패시턴스값으로 천이하여 출력된다. 여기에서 시간(T1)은 제1 필터부(도 6의 140)의 지연 시간이다.
제2 퍽 이동 신호(mov2)는 접촉 물체가 퍽 에 접촉하여 이동하였을 때에는 소정 시간(T3)이 지연된 후에 노이즈가 제거된 하이 레벨의 커패시턴스값을 출력하고 접촉 물체가 퍽 에서 접촉 및 이동을 중단하고(t0) 소정 시간(T3)이 지연된 시점에 레벨이 급격하게 감쇄되어 소정의 짧은 시간(T4)이 지연된 후에 노이즈가 제거된 로우 레벨의 커패시턴스값으로 천이되어 출력한다. 여기에서 시간(T3)은 제2 필터부(도 6의 160)의 지연 시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퍽 타입 포인팅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랩탑 컴퓨터에 내장되어 있는 퍽 타입 포인팅 장치를 이용하여 모니터 상의 커서를 이동시킨다고 가정한다.
사용자가 포인팅 장치 내 퍽을 손가락을 이용하여 접촉 및 이동하게 되면 이동 감지부(120)는 접촉 물체인 사용자의 손가락으로부터 일정한 압력을 가진 접촉 및 이동을 인가받아 접촉 물체가 퍽 에 접촉하여 이동하였음을 감지함에 따라, 이동 감지부(120)는 노이즈가 섞인 하이 레벨의 커패시턴스값을 갖는 4 채널의 이동 감지 신호(m_det)를 출력한다. 여기에서, 퍽은 사용자가 접촉시 표면과의 거리가 감소되도록 플로팅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4 채널의 이동 감지 신호(m_det)는 도 3의 4개의 표면 전극들(51-54)의 커패시턴스 출력을 4개의 터치 채널로 출력한 파형으로서, 퍽 에 접촉 및 이동이 되면 노이즈를 가진 하이 레벨의 커패시턴스값을 출력하다가 퍽 에서 손가락이 떨어지면 바로 퍽의 전극과 4개의 표면 전극들(51-54)에 의해 감지된 커패시턴스 값이 모두 감소가 되어 노이즈가 거의 없는 로우 레벨의 커패시턴스값을 출력한다.
제1 필터부(140)는 이동 감지부(120)로부터 상기 소정 시간(T1) 지연된 이동 감지 신호(m_det) 를 인가받아 로우 패스 필터링하여 노이즈를 제거하고 하이 레벨의 커패시턴스값을 갖는 제1 시간(T1) 지연된 제1 퍽 이동 신호(mov1)를 출력한다.
제2 필터부(160)는 이동 감지부(120)로부터 상기 이동 감지 신호(m_det)를 인가받아 로우 패스 필터링하여 노이즈를 제거하고 하이 레벨의 커패시턴스값을 갖는 제2 시간(T3) 지연된 제2 퍽 이동 신호(mov2)를 출력한다.
퍽 이동 판단부(180)는 제2 필터부(160)로부터 하이 레벨의 제2 퍽 이동 신호(mov2)를 인가받아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 및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1 필터부(140)의 출력을 전달하도록 필터 출력 차단 신호(FT_off)를 로우 레벨로 출력하고, 스위칭부(150)는 퍽 이동 판단부(180)로부터 로우 레벨의 필터 출력 차단 신호(FT_off)를 인가받아 이에 응답하여 제1 필터부(140)의 출력을 전달한다.
호스트 장치는 스위칭부(150)로부터 하이 레벨의 제1 퍽 이동 신호(mov1)를 인가받아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 상의 커서를 퍽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에 따라 이동시킨다.
그 후에 사용자가 커서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어 퍽으로부터 손가락을 떼게 되면 이동 감지부(120)는 사용자의 손가락으로부터의 압력이 급격하게 감소된 것을 인지하고 접촉 물체의 접촉 및 이동이 중단되었음을 감지함에 따라, 노이즈가 섞인 로우 레벨의 커패시턴스값을 갖는 4 채널의 이동 감지 신호(m_det)를 소정 시간(T1) 지연시켜 출력한다.
제1 필터부(140)는 이동 감지부(120)로부터 상기 소정 시간(T1) 지연된 이동 감지 신호(m_det) 를 인가받아 로우 패스 필터링하여 노이즈를 제거하고 제1 시간(T2) 지연하면서 감쇄시켜 로우 레벨의 커패시턴스값을 갖는 제1 퍽 이동 신호(mov1)를 출력하고, 제2 필터부(160)는 이동 감지부(120)로부터 상기 이동 감지 신호(m_det)를 인가받아 로우 패스 필터링하여 제1 시간(T2)보다 작은 제2 시간(T3) 지연하면서 감쇄시켜 노이즈를 제거하고 소정 시간(T4)이 지연된 후에 로우 레벨의 커패시턴스값을 갖는 제2 퍽 이동 신호(mov2)를 출력한다.
이때, 도 8의 파형(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접촉 물체가 퍽 에서 접촉 및 이동을 중단한 경계 시점(t0)에서 소정 시간(T3)이 지연된 후에 제2 퍽 이동 신호(mov2)의 레벨이 급격하게 감쇄(decay)되어 종래 기술에 따른 퍽 타입 포인팅 장치에서 제1 시간(T2)보다는 짧은 제2 시간(T4)이 지연된 후에 노이즈가 제거된 로우 레벨의 커패시턴스값을 출력하게 된다.
퍽 이동 판단부(180)는 제2 필터부(160)로부터 로우 레벨의 제2 퍽 이동 신호(mov2)를 인가받아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 및 이동을 중단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1 필터부(140)의 출력을 차단하도록 필터 출력 차단 신호(FT_off)를 하이 레벨로 출력한다. 여기에서 손가락의 접촉 및 이동 중단은 소정 시간(T1) 이하 시간에 판단되어야 한다.
스위칭부(150)는 퍽 이동 판단부(180)로부터 하이 레벨의 필터 출력 차단 신호(FT_off)에 응답하여 제1 필터부(140)의 출력을 차단하고, 호스트 장치는 스위칭부(150)로부터 제1 퍽 이동 신호(mov1)를 인가받지 못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 상의 커서를 더 이상 이동시키지 않고 정지시킨다.
상기에서는 이해의 편의상 높은 임피던스 혹은 플로우팅된 전도성 퍽을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퍽이 접지 전압과 연결된 구조는 퍽과 표면 전극(51~54)사이를 탄성 물질로 채우거나 외부압력에 의해 간격이 변동될 수 있게 하여, 퍽에 손가락이 떨어질 때 모든 커패시턴스 값들이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퍽 하부에 돔 스위치(dome switch)와 같은 기계적 스위치를 두는 구조에서도 퍽과 표면 전극 (51~54)간의 간격이 일정한 값이 되는데 시간이 걸리는데, 손가락이 퍽 에서 떨어질 경우를 돔 스위치가 감지하는데 있어서 일어나는 진동(chattering)에 의한 노이즈를 제2 필터부 (160)를 통해 제거하여야 한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낸 퍽 타입 포인팅 장치(10)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적용하여 도시된 선 1-2에 따른 단면도로서, 퍽(11), 스프링(13), 퍽 이동 영역의 측부(14), 표면 전극들(53, 54), 제1 기판(17), 돔 스위치(18), 제2 기판(20)으로 구성된다.
도 6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퍽 타입 포인팅 장치(10)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퍽(11)이 자신에 가해진 측방향 힘에 응답해서 퍽 이동 영역(19) 내에서 기판(17)의 표면(12) 위를 이동하고, 사용자가 손가락(16)을 떼서 퍽(11)에 대한 압력을 해제하면 퍽 이동 영역의 측부(14)로 퍽을 연결시키는 스프링(13)에 의해서 중심 위치로 되돌아오는 동작은 도 1에 나타낸 일반적인 퍽 타입 포인팅 장치(10)의 동작과 동일하다.
하지만, 본 발명의 퍽 타입 포인팅 장치(10)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6의 제2 필터부(160)가 돔 스위치(18)로부터 인가되는 입력신호가 아날로그 값이면 피크 감지기(peak detector)로 구현되고, 돔 스위치(18)로부터 인가되는 입력신호가 디지털 값이면 그 값을 복수회 축적하는 누산기(accumulator)구조로 구현되는 차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필터링된 값은 퍽이동 판단부(180)에서 지정된 문턱값과 비교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역시 제2 필터부(160)과 퍽이동 판단부(180)의 지연 시간은 제1 필터부(140)의 지연 시간보다 작은 것으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퍽 타입의 포인팅 장치, 포인팅 시스템 및 포인팅 방법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퍽에 접촉하여 이동하고 있는 경우에는 퍽 이 이동하는 거리만큼만 커서가 이동하고 사용자가 손가락을 떼어 퍽 이 제자리로 복귀되는 경우에는 접촉 신호가 감쇄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종래보다 단축되어 접촉 물체의 퍽에 접촉 및 이동을 중단한 정확한 시점(t0)을 찾기가 용이하게 됨에 따라 커서가 퍽의 접촉 및 이동이 중단된 시점(t0)에서 정확한 위치에 정지되는 마우스 모드의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접촉 및 이동 감지를 기준으로 포인팅 장치, 포인팅 시스템 및 포인팅 방법의 동작을 기재하였으나, 근접 감지를 기준으로 근접 물체로부터 근접을 감지하여 근접 물체가 퍽에 근접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커패시턴스 값을 나타내는 근접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근접 감지부에 본 발명에 따른 퍽 타입의 포인팅 장치, 포인팅 시스템 및 포인팅 방법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에서는 퍽 과 하부의 표면 전극들 사이에 탄성이 있는 경우를 기준으로 동작을 기재하였으나, 퍽 과 하부의 표면 전극들 사이에 간격이 고정된 경우에도 손가락에 유기된 주변 잡음이 하부의 표면 전극들에 유기되는 것은 동일하여 유사한 현상이 발생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퍽 타입의 포인팅 장치, 포인팅 시스템 및 포인팅 방법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에서는 퍽의 이동을 커패시턴스의 변화로 측정하는 구조로만 설명하였으나, 자기장을 감지하는 구조나 RF 커플링(coupling)된 전계를 감지하여 측정하는 구조 등 다양한 구조로 구현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4)

  1. 접촉 물체가 퍽에 접촉하여 이동한 정보를 감지하여 이동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이동 감지부;
    상기 이동 감지 신호를 인가받아 필터링하여 노이즈를 제거하고 제1 시간 지연된 제1 퍽 이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신호 처리부;
    상기 이동 감지 신호를 인가받아 필터링하여 노이즈를 제거하고 상기 제1 시간보다 작은 제2 시간 지연된 제2 퍽 이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신호 처리부;
    상기 제2 퍽 이동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이동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퍽 이동 신호를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퍽 이동 신호 전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퍽 타입의 포인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퍽 이동 신호 전달부는
    상기 제2 퍽 이동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퍽 이동 신호를 전달하는 경우에는 하이 레벨의 상기 필터 출력 차단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퍽 이동 신호를 차단하는 경우에는 로우 레벨의 상기 필터 출력 차단 신호를 출력하는 퍽 이동 판단부;
    상기 필터 출력 차단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퍽 이동 신호를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칭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퍽 타입의 포인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신호 처리부는
    진폭 특성이 동일한 디지털 필터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퍽 타입의 포인팅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감지부는
    근접 물체가 상기 퍽에 근접되었는지 여부 를 감지하여 상기 커패시턴스 값을 나타내는 근접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근접 감지부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퍽 타입의 포인팅 장치.
  5. 접촉 물체가 퍽에 접촉하여 이동한 정보를 감지하여 지연 시간을 달리하여 필터링하고 상기 이동한 정보에 따라 제1 퍽 이동 신호를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퍽 타입의 포인팅 장치;
    상기 제1 퍽 이동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퍽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계산하여 커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호스트 장치;
    상기 커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퍽 이 이동하는 거리만큼만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고 상기 퍽이 원 위치로 복귀되었을 때 상기 퍽의 이동이 중단된 정확한 시점에 상기 커서를 정지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퍽 타입의 포인팅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퍽 타입의 포인팅 장치는
    접촉 물체가 상기 퍽에 접촉하여 이동한 정보를 감지하여 이동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이동 감지부;
    상기 이동 감지 신호를 인가받아 필터링하여 노이즈를 제거하고 제1 시간 지연된 상기 제1 퍽 이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신호 처리부;
    상기 이동 감지 신호를 인가받아 필터링하여 노이즈를 제거하고 상기 제1 시간보다 작은 제2 시간 지연된 제2 퍽 이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신호 처리부;
    상기 제2 퍽 이동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이동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퍽 이동 신호를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퍽 이동 신호 전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퍽 타입의 포인팅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퍽 이동 신호 전달부는
    상기 제2 퍽 이동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퍽 이동 신호를 전달하는 경우에는 하이 레벨의 상기 필터 출력 차단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퍽 이동 신호를 차단하는 경우에는 로우 레벨의 상기 필터 출력 차단 신호를 출력하는 퍽 이동 판단부;
    상기 필터 출력 차단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퍽 이동 신호를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칭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퍽 타입의 포인팅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신호 처리부는
    진폭 특성이 동일한 디지털 필터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퍽 타입의 포인팅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감지부는
    근접 물체가 상기 퍽에 근접되었는지 여부 를 감지하여 상기 커패시턴스 값을 나타내는 근접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근접 감지부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퍽 타입의 포인팅 시스템.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장치는
    상기 제1 퍽 이동 신호가 하이 레벨로 인가되는 경우에는 상기 커서를 상기 퍽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에 따라 이동시키고,
    상기 제1 퍽 이동 신호가 로우 레벨로 인가되는 경우에는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지 않고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퍽 타입의 포인팅 시스템.
  11. 접촉 물체가 퍽에 접촉하여 이동한 정보를 감지하여 이동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이동 감지 단계;
    상기 이동 감지 신호를 인가받아 필터링하여 노이즈를 제거하고 제1 시간 지연된 제1 퍽 이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신호 처리 단계;
    상기 이동 감지 신호를 인가받아 필터링하여 노이즈를 제거하고 상기 제1 시간보다 작은 제2 시간 지연된 제2 퍽 이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신호 처리 단계;
    상기 제2 퍽 이동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이동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퍽 이동 신호를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퍽 이동 신호 전달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퍽 타입의 포인팅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퍽 이동 신호 전달 단계는
    상기 제2 퍽 이동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퍽 이동 신호를 전달하는 경우에는 하이 레벨의 상기 필터 출력 차단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퍽 이동 신호를 차단하는 경우에는 로우 레벨의 상기 필터 출력 차단 신호를 출력하는 퍽 이동 판단 단계;
    상기 필터 출력 차단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퍽 이동 신호를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칭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퍽 타입의 포인팅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감지 단계는
    근접 물체가 상기 퍽에 근접되었는지 여부 를 감지하여 상기 커패시턴스 값을 나타내는 근접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근접 감지 단계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퍽 타입의 포인팅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신호 처리 단계는
    진폭 특성이 동일한 디지털 필터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퍽 타입의 포인팅 방법.
PCT/KR2009/001297 2008-12-08 2009-03-16 퍽 타입의 포인팅 장치, 포인팅 시스템 및 포인팅 방법 WO2010067923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9801479383A CN102227700A (zh) 2008-12-08 2009-03-16 橡皮圆盘型指针装置、指针系统以及指针方法
US13/128,794 US20110227823A1 (en) 2008-12-08 2009-03-16 Puck-type pointing apparatus, pointing system, and pointing method
JP2011538538A JP2012510663A (ja) 2008-12-08 2009-03-16 パックタイプのポインティング装置、ポインティングシステム及びポインティング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143A KR101014426B1 (ko) 2008-12-08 2008-12-08 퍽 타입의 포인팅 장치, 포인팅 시스템 및 포인팅 방법
KR10-2008-0124143 2008-12-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67923A1 true WO2010067923A1 (ko) 2010-06-17

Family

ID=40371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09/001297 WO2010067923A1 (ko) 2008-12-08 2009-03-16 퍽 타입의 포인팅 장치, 포인팅 시스템 및 포인팅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227823A1 (ko)
JP (1) JP2012510663A (ko)
KR (1) KR101014426B1 (ko)
CN (1) CN102227700A (ko)
TW (1) TW201022991A (ko)
WO (1) WO20100679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68369A1 (de) * 2011-09-08 2013-03-13 fm marketing gmbh Gerät zur Auswahl von Multimedia-Informationen
WO2013052005A2 (en) * 2011-10-07 2013-04-11 Quek Joo Hai A self-centering input device
US20150205381A1 (en) * 2014-01-17 2015-07-23 Nvidia Corporation Mobile gaming controller with integrated virtual mouse
US9904459B2 (en) 2015-03-23 2018-02-27 Nvidia Corporation Control device integrating touch and displacement controls
CN108054457B (zh) * 2018-01-17 2023-08-15 华霆(合肥)动力技术有限公司 电池安全监控设备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3638A (ko) * 1996-06-28 2005-02-04 엔티엔 가부시키가이샤 슬라이딩형 등속 유니버셜조인트
KR20060117955A (ko) * 2003-11-24 2006-11-17 애질런트 테크놀로지스, 인크. 포인팅 디바이스
KR20070054592A (ko) * 2004-09-16 2007-05-29 애질런트 테크놀로지스, 인크. 포인팅 장치 및 위치 입력 방법
JP2007172620A (ja) * 2005-12-19 2007-07-05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小型携帯端末に適した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74414A (ja) * 1986-05-23 1987-11-28 Mitsuboshi Belting Ltd 画像移動量の入力装置
US5570111A (en) * 1994-10-03 1996-10-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Graphical user interface cursor positioning device having a negative inertia transfer function
JPH08123613A (ja) * 1994-10-27 1996-05-17 Nitta Ind Corp 静電容量式センサー
JPH08272538A (ja) * 1995-04-04 1996-10-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座標位置入力装置
US5902968A (en) * 1996-02-20 1999-05-11 Ricoh Company, Ltd. Pen-shaped handwriting input apparatus using accelerometers and gyroscopes and an associated operational device for determining pen movement
JPH10253360A (ja) * 1997-03-06 1998-09-25 Murata Mfg Co Ltd 回転角検知装置
JP2000148379A (ja) * 1998-11-12 2000-05-26 Murata Mfg Co Ltd コンピュータポインティング装置
JP2000163210A (ja) * 1998-11-27 2000-06-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フラットパッド
JP4160860B2 (ja) * 2003-06-10 2008-10-0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信号入力装置
US7474772B2 (en) * 2003-06-25 2009-01-06 Atrua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a miniature user input device
US7304637B2 (en) * 2004-08-30 2007-12-04 Avago Technologies Ecbuip (Singapore) Pte Ltd Puck-based input device with rotation detection
JP2006106844A (ja) * 2004-09-30 2006-04-20 Seiko Epson Corp タッチパネルのデータ取込み方法及びその装置
JP4620999B2 (ja) * 2004-11-01 2011-01-2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
US7619612B2 (en) * 2004-12-20 2009-11-17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Pointing device with light source for providing visible light through a moveable puck
US7889176B2 (en) * 2006-07-18 2011-02-15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Capacitive sensing in displacement type pointing devices
KR101381142B1 (ko) * 2006-08-09 2014-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패널의 노이즈 필터링 장치 및 방법
JP4578451B2 (ja) * 2006-09-15 2010-11-10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3638A (ko) * 1996-06-28 2005-02-04 엔티엔 가부시키가이샤 슬라이딩형 등속 유니버셜조인트
KR20060117955A (ko) * 2003-11-24 2006-11-17 애질런트 테크놀로지스, 인크. 포인팅 디바이스
KR20070054592A (ko) * 2004-09-16 2007-05-29 애질런트 테크놀로지스, 인크. 포인팅 장치 및 위치 입력 방법
JP2007172620A (ja) * 2005-12-19 2007-07-05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小型携帯端末に適した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022991A (en) 2010-06-16
KR20080114663A (ko) 2008-12-31
US20110227823A1 (en) 2011-09-22
JP2012510663A (ja) 2012-05-10
KR101014426B1 (ko) 2011-02-15
CN102227700A (zh) 201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28293B (zh) 电容检测模组、方法及电子设备
EP2244173B1 (en) Position detecting method for touchscreen panel, touchscreen panel, and electronic apparatus
WO2010114206A1 (ko) 접촉센서 장치
WO2011049285A1 (ko) 멀티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 패널 및 이 장치의 멀티 터치 감지 방법
WO2011002175A2 (ko)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
WO2015016562A1 (ko) 터치 센서 패널, 터치 검출 장치 및 이들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WO2010067923A1 (ko) 퍽 타입의 포인팅 장치, 포인팅 시스템 및 포인팅 방법
WO2010019004A2 (ko) 양방향 인접 전극을 포함하는 접촉 감지 패널, 및 접촉 감지 장치
WO2013051752A1 (ko) 터치 감지 장치 및 방법
US20050156912A1 (en) Tethered stylyus for use with a capacitance-sensitive touchpad
US20120327026A1 (en) Capacitive sensor and de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WO2013129849A1 (ko) 선형성이 강화된 터치 검출 방법 및 터치 검출 장치
WO2017023108A1 (ko) 터치 검출기, 터치 검출 칩 및 터치 입력 장치
WO2019030513A1 (en) TOUCH PANEL PRESSURE DETECTION
WO2009157654A2 (ko) 이동 터치 감지 방법, 장치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WO2013075344A1 (zh) 触摸识别方法及装置、空间鼠标及其控制方法
WO2014208898A1 (ko) 터치 검출 장치
JP2020166656A (ja) タッチ検出回路、入力装置、電子機器
WO2012093873A2 (ko) 터치스크린의 터치 위치 검출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터치스크린
EP0718790A1 (en) Touch sensitive coordinate input device
WO2019124868A1 (ko) 촉각 센서, 그 제조 방법 및 그 동작 방법
KR101956139B1 (ko) 터치 패널
WO2010110532A2 (ko) 터치 기능을 구비한 복합 입력장치
WO2013183926A1 (ko) 기생 정전용량 제어 기능을 갖는 터치 검출 장치 및 방법
WO2013183925A1 (ko) 터치 검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0980147938.3

Country of ref document: C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0983201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3128794

Country of ref document: US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1538538

Country of ref document: JP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0983201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