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0056017A2 - 도어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도어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0056017A2
WO2010056017A2 PCT/KR2009/006508 KR2009006508W WO2010056017A2 WO 2010056017 A2 WO2010056017 A2 WO 2010056017A2 KR 2009006508 W KR2009006508 W KR 2009006508W WO 2010056017 A2 WO2010056017 A2 WO 2010056017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oor
curved
support
handle
cov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650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0056017A3 (ko
Inventor
김주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8011304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012380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8011316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012381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09826249.6A priority Critical patent/EP2345859B1/en
Priority to CN200980145707.9A priority patent/CN102216707B/zh
Publication of WO2010056017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56017A2/ko
Publication of WO2010056017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56017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8Aesthetic featur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for a home appliance and a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Specifically, a predetermined curved portion is formed in a door portion of the home appliance, thereby facilitating user convenience when opening the door and at the same time, aesthetics of the home appliance itself. It is related with the invention which can be aimed at.
  • home appliances are generally made of products essential to life such as refrigerators and cooking appliances, and these home appliances are usually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storage space or storage space, and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such storage space is provided. do.
  • the door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handle to hold the handle so that the user can open the door.
  • the handle of the door is provided as a separate member from the door to protrude forward.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or for a home appliance and a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which can enhance the user's convenience while enhancing the aesthetics of the product itself by simplifying the appearance of the home appliance.
  •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door body portion rotatably provided in the main body of the home appliance, the predetermined receiving space is formed; A cover member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door body and having a curved portion formed at one side thereof; Provided is a door for home appliances, which is disposed behind the curved portion and includes a handle portion having a grip portion.
  • the handle part includes a first support part which is in contact with and is supported behind the curved part of the cover member; a second support part which is in contact with and is supported by one side of the door body part, and the grip part is between the first support part and the second support part.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the form of a groove to be provided.
  • the gripp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groove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oor.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support rib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first support portion surrounding the curved end portion of the cover member.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xing member installed to protrude rearward from the first support portion to be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formed in the main body of the home appliance.
  • a fixing member mounting portion provided at one side of the door body portion so that the fixing member is installed;
  • the fixing member further comprises an installation groov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andle portion to be coupled to the handle portion.
  • the door body portion It is provided in a stepped form on one side of the door body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ating portion in which the handle portion is seated.
  • a cap member cover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ver member,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door body portion,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andle portion.
  • the cap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 is formed from the outer side to the inner side so a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gripping portion.
  • the outer end of the curved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in the form of projecting forward than the front of the cover member.
  • the curved surface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urvature is formed so as to sequentially increase toward the outer end.
  • An opening part provided inside the door body par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e-through member which is provided inside the opening and positioned behind the cover member to allow the inside of the main body of the home appliance to see through.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oor that is opened and closed to the storage compartment and is rotatably disposed on the main body has a curved portion on one side of the front; Provided at the rear of the curved portion and provides a refrigerator including a handle portion provided with a grip portion.
  • One side end of the door is provided with a rotating portion rotatab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curved portion is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door.
  • the door may include a door body part including a seating part on which one side of the handle part is seate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ver member covering the front of the door body portion and the curved portion is formed.
  • the gripp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oor.
  • the innermost side of the gripping portion is characterized by being rounded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 a first support rib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first support part to surround one side of the cover member; And a second support rib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second support part to surround one side of the door body part.
  • a cap member cover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door body portion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andle portion.
  • One side of the cap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gripping portion is formed.
  • the curved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rranged to protrude forward toward the outside from the inside of the front of the door.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home appliance is installed door is instal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refrigerator in which the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 FIG. 3 is a plan view of the refrigerator in which the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a refrigerator.
  •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a refrigerator.
  • FIG. 6 is a plan view of a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a refrigerator.
  • Figure 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part of the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refrigerator to which the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ne refrigerator to which the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FIG. 10 is a plan view of the wine refrigerator to which the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ne refrigerator to which the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FIG.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a wine refrigerator.
  • Figure 13 is a plan view showing the separation of the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the wine refrigerator.
  • Figure 1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part of the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the wine refrigerator.
  •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king appliance to which a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16 is a plan view of a cooking appliance to which a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17 is a perspective view of a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a cooking appliance.
  • FIG. 1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oking appliance to which the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19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a door applied to a cooking appliance.
  • 2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opening of the cooking appliance to which the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Figure 1 shows that the home appliances (200,300,400) and the predetermined cabinet 100 are mixed and arranged, the cabinet 100 and the home appliances (200,300,400) are part of the built-in form embedded in the wall of the predetermined interior space It may be arranged in the form, or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protruding to occupy a portion of the indoor space.
  • a cabinet 100 for accommodating a predetermined storage item is installed at the leftmost side, and a wine refrigerator 300 capable of storing a bottled beverage product such as wine is disposed at the right side thereof.
  • the refrigerator 200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wine refrigerator 300, and the cabinet 100, the cooking apparatus 400, and the cabinet 100 are arranged.
  • the above order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taste of the user or the wide range of the space in which they are installed.
  • Each of the cabinet 100, the wine refrigerator 300, the refrigerator 200, the cooking apparatus 400, the main body (101, 201, 301) is a predetermined storage space is formed, and the opening and closing the main body by opening and closing the main body Doors 110, 210, 310, and 410 rotatably disposed on the door.
  • a predetermined curved portion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doors 110, 210, 310, and 410, and a handle portion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curved portion to allow the user to grasp and pull the door to open the door.
  • a predetermined storage space is formed, the main body 201 that can be embedded in the wall, and the door 210 is provided rotatably 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201 Prepared.
  • the curved portions 221 are formed at portions where the first door 210a and the second door 210b face each other.
  • the rear of the curved portion 221 is provided with a handle portion (230; 230a, 230b) as described above.
  • a predetermined space portion 250 is formed between the curved portion 221a of the first door 210a and the curved portion 221b of the second door 210b as a whole, and the space 250 is a door. It is formed continuously up and down from the top of the 210.
  • each of the curved portions 230; 230a and 230b is disposed to protrude slightly forward with respect to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210, and the degree of protruding is toward the side of the door 210.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so as to sequentially project.
  • the handle portion 230 formed at the rear of the curved portion 221 is provided with a gripping portion 231 of the groove shape, the front and rear width of the holding portion 231 is less than half of the total thickness of the door. It is preferably formed.
  • the gripping portion 231a formed on the first door 210a and the gripping portion 231b formed on the second door 210b may be provided in a symmetrical form, or one of the gripping portions may be less than the other gripping portion. It may be provided in a form that is formed deeper.
  • the curved portion 221 and the gripping portion 231 are generally disposed in an up and down direction over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side portion of the door 210, and the Depth and width before and after and the curvature of the curved portion 221 is preferably kept constant throughout the top and bottom of the door.
  • the door 210 includes a door body portion 211 and a cover member 220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body portion 211.
  • the curved portion 221 is formed at the side end portion.
  • the cover member 220 is preferably composed of curved glass with one side curved to form the curved portion 221.
  • the side end portion of the door body portion 211 is formed with a seating portion 212 is provided in a stepped form so that the handle portion 230 is seated.
  • the handle part 230 may include a first support part 232 supported in contact with a rear surface of the cover member 220 on which the curved part 221 is formed, and a second support part supported by being seated on the seating part 212. 233, wherein the grip part 231 is formed between the first support part 232 and the second support part 233, and one side of the handle part 230 is opened, and the first support part 231 is opened. A part of the support part 232 and the second support part 233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the gripping part 231 in a groove shape.
  • the handle portion 230 is preferably made of wood in consideration of the ease of processing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 the gripping portion 231 is continuously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oor.
  • the end of the cap member 25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the same shape as the flat cross-sectional shape of the grip portion 231 of the handle portion 230, that is, a predetermined groove 251.
  • the first support part 232 of the handle part 230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rear of the curved part 221, and the second support part 233 is supported by the seating part 212. It is attached to the support, in order to further reinforce the support state of the handle portion 230, the handle portion 230 is formed with first and second support ribs (235, 236), respectively.
  • first support rib 235 protrudes forward from the first support part 232 to contact the outermost side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221 of the cover member 220, and the second support rib ( 236 is protruded rearward from the end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233 is arranged in contact with the side end of the door body portion 211.
  • the length of the door body portion (L1) is preferably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cover member (L2), which when viewed from the front, by the part of the handle portion 230 can be seen from the front in appearance To enhance change and beauty.
  • the cap member 250 is provided to cover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door body 211, the curved portion 221, and the handle portion 230.
  • the first support rib 235 covers the side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221, and the second support rib 236 covers the side surface of the door body portion 211, thereby supporting after coupling between components.
  • the condition can be improved, and the finishing can be done more neatly.
  • the hinge device 260 is provided.
  • the hinge device 260 is inserted into the first hinge insertion groove 261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of the main body is rotatably coupled, the other end of the hinge device 260 is the door 210 It is inserted into the second hinge insertion groove 262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of the) is rotatably coupled.
  • the hinge device 260 is rotatably fixed to the door 210 and the main body 201.
  • the rotation angle of the hinge device 260 is to be changed.
  • the wine refrigerator includes a main body 301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storage compartment and a shelf, and a door 310 rotatably disposed in the main body 301.
  • the door 310 preferably includes a transparent member so that the storage compartment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and a predetermined curved portion 321 and the rear of the curved portion 321 on one side of the door 310
  • the handle portion 330 disposed in the is disposed.
  • the handle portion 330 is provided with a gripping portion 331 of the groove shape so that the user can open the door by pulling the hand into the gripping portion 331.
  • the configuration of the curved portion 321 is disposed continuously from the top of the front of the door 310 to the bottom thereof, and thus the handle portion 330 disposed behind the curved portion 321 is also illustrated. It is disposed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door 310.
  • the grip part 331 of the handle part 310 is open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door 310.
  • the door 310 includes a door body 311, a cover member 320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body 311, and the door body 311.
  • a handle member 330 seated and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of the door 310, and a cap member covering the handle part 330, the cover member 320,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door body 310. 350).
  • the door body portion 311 has a predetermined opening portion 313 i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thereof and has a seating portion 312 on which the handle portion 330 is seated, and the handle portion 330 is It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312.
  • the transparent member 325 is preferably composed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 the hinge part 314 rotatably inserted into a hinge shaft (not shown) installed in the main body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ating part 312 on which the handle part 330 is mounted. ) Is provided, and a stepped form is provided around the hinge portion 314 by a predetermined depth for the arrangement of the hinge portion 314.
  • the handle part 330 contacts the first support part 332 which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rear of the curved part 321 of the cover member 320 and the seating part of the door body part. And a second support part 333 to be supported, and a grip part 331 provided between the first support part 332 and the second support part 333.
  • a shape of a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art 332 contacting the curved part 221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a rear surface of the curved part 221, and the seating part of the second support part 333 may be provided.
  • the shape of the surface in contact with 312 is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eating portion 312 is stepped.
  • a first support rib 335 is provided at an end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332 to protrude forward to contact the side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of the cover member, and protrudes rearward at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333.
  • a second support rib 336 is formed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door body portion 311, so that the handle portion 330 is installed on the door body portion 311 and the cover member 320, respectively Help
  • the opening 313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cover member 320 so that a user outside the cover member 320 can see the stored matter stored in the storage room through the opening 313.
  • the cap member 350 when the cap member 350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all the upper surfaces of the door body portion (not shown), the cover member 320 and the handle portion 330 may be formed. You can cover it.
  • the gripping portion 331 is the door through the groove 351 It can be opened to the top and bottom of the.
  • FIG. 15 illustrates a cooking appliance having a door having a curved portion.
  • the cooker 400 includes a cooker main body 401 accommodated in a predetermined storage space, and a door 410 rotatably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 A predetermined curved portion 421 is formed as in the case of the wine refrigerator or the general refrigerator.
  • a predetermined fixing member 480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door portion where the curved portion 421 is formed to maintain the closed state when the door 410 closes the main body 401.
  • a fixing groove 481 into which the fixing member 480 is inserted is provided.
  • a door contact portion 402 corresponding to the width and height of the door 410 is provided at the front edge of the main body 401.
  • the width and height of the door contact portion 402 is formed higher and wider than the height and width of the main body 401 is to consider the wall thickness, such as the shelf (S) having a space for the main body is received. .
  • the door contact part 402 is caught by the edge of the entrance of the storage space of the shelf S, thereby completing the installation of the main body of the cooker 401. It can be done.
  • the door 410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contact part 402, and the curved part 421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door, and the handle part 430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curved part 421. Is prepared.
  •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door 410 are provided with predetermined cap members 450, and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door body 411, the cover member 420, and the handle 4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Do not expose the bottom surface to the outside.
  • the door 410 includes a door body 411, a cover member 420 provided in front of the door body 411, and a side of the door body 411. And the handle part 430 attached to the rear of the curved part 421 of the curved member 420.
  • a seating portion 412 on which the handle part 430 is seated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oor body 401, and the fixing member 480 is provided on the seating part 412 by protruding to the side. Fixed member mounting portion 483) is provided.
  • the upper and lower vertical surfaces of the handle part 430 ar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eating part 412 in contact with the seating part 412, and the fixing member mounting part 480 is formed therein.
  • a predetermined installation groove 439 is inserted and fixed.
  • a predetermined curved surface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curved portion 421.
  • a place supported by contacting with the curved portion 421 is referred to as a first support portion 432
  • a place supported by contacting with the seating portion 412 is referred to as a second support portion 433.
  • first support part 432 and the second support part 43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a stepped shape is provided, which is held by the user by the handle part 430 to open the door 410.
  • the holding part 431 can be opened.
  • the door can be opened more conveniently.
  • cap member 450 described above is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door 410, and the groove 451 is formed at the end of the cap member 450, which is the same as the cross section of the grip part 431.
  • the cap member 451 is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reof. By covering the top and bottom finish neatly, while it is possible to prevent any foreign matter interposed between these components.
  • the fixing member 480 provided in the door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hook, and is provided in the form of protruding backward from the fixing member installing part 483.
  • the fixing groove 482 into which the fixing member 481 is inserted is provided in the door contact portion 402, when the door 410 is closed by being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xing member 481, the main body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closed state between the 401 and the door 41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전장치용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가전장치용 도어의 일부를 곡면처리하여 도어 개폐시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하는 한편, 아울러 가전장치 자체에 대한 심미감을 제고할 목적으로 마련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몸체부와; 상기 도어몸체부 전면에 배치되되 일측에 곡면부가 형성되는 커버부재와; 상기 곡면부의 후방에 배치되며 파지부가 형성되는 핸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장치용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도어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본 발명은 가전장치용 도어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가전장치의 도어 부분에 소정의 곡면부를 형성함으로써 도어 개방시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하는 한편, 아울러 가전장치 자체에 대한 심미감을 도모할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전장치는 냉장고, 조리기기와 같은 생활에 필수적인 제품을 통칭하여 이루어 지는 것이며, 이들 가전장치는 통상적으로 소정의 보관공간이나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이러한 저장공간을 개폐할 수 있는 도어가 마련된다.
그리고, 이러한 도어에는 소정의 핸들이 마련되어 핸들을 잡고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되는데, 통상적으로 이러한 도어의 핸들은 도어와 별도의 부재로 마련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런데, 점차 가전제품의 외관을 단순화 하여, 외부로 직접적으로 돌출되는 구성을 최소화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고하자는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발명은 가전제품의 외관을 단순화 함으로써 제품자체에 대한 심미감을 고취시키는 동시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는 가전장치용 도어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가전제품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몸체부와; 상기 도어몸체부 전면에 배치되되 일측에 곡면부가 형성되는 커버부재와; 상기 곡면부의 후방에 배치되며 파지부가 형성되는 핸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장치용 도어를 제공한다.
상기 핸들부는 상기 커버부재의 곡면부 후방에 접촉지지되는 제1지지부와;상기 도어몸체부의 일측에 접촉지지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파지부는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의 사이에 마련되는 홈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상기 파지부는 상기 도어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홈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지지부에서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커버부재의 곡면부 단부를 감싸는 제1지지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지지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가전제품 본체에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가능하게 마련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가 설치되도록 상기 도어몸체부 일측에 마련되는 고정부재 설치부와; 상기 고정부재 설치부가 상기 핸들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핸들부 일측에 마련되는 설치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지지부에서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도어몸체부 측면을 감싸는 제2지지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몸체부 일측에 단차진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핸들부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부재의 상하면과, 상기 도어몸체부의 상하면과, 상기 핸들부의 상하면을 덮는 캡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부재에는 상기 파지부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외측에서 내측으로 들어간 형태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곡면부의 외측단부는 상기 커버부재의 전면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곡면부는 상기 외측단부로 갈수록 그 곡률이 순차적으로 증대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몸체부 내부에 마련되는 개방부와; 상기 개방부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커버부재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가전제품 본체 내부가 투시될 수 있도록 하는 투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며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되 그 전면 일측에 곡면부가 형성되는 도어와; 상기 곡면부의 후방에 마련되며 파지부가 마련되는 핸들부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상기 도어의 일측단부에는 상기 본체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부가 마련되고, 상기 도어의 타측단부에 상기 곡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는 그 일측에 상기 핸들부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도어몸체부와; 상기 도어몸체부의 전면을 커버하고 상기 곡면부가 형성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핸들부는 상기 곡면부의 후면에 접촉하여 지지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파지부는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지부는 상기 도어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지부의 최내측은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라운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지지부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커버부재의 일측을 감싸는 제1지지리브와; 상기 제2지지부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도어몸체부의 일측을 감싸는 제2지지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몸체부의 상하면과, 상기 핸들부의 상하면을 덮는 캡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 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파지부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곡면부는 상기 도어의 전면내측에서 외측으로 갈 수록 전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대하여 가전제품을 개폐하는 도어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에 마련된 핸들부의 노출을 최소화하고 그 돌출정도를 최소화하되, 파지할 수 있는 범위를 확대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가 설치되는 가전장치가 배치된 것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도어가 설치되는 냉장고의 전면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도어가 설치되는 냉장고의 평면도이다.
도4는 냉장고에 적용되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5는 냉장고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도어의 분리사시도이다.
도6은 냉장고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도어의 평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도어의 상부일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도어가 적용된 냉장고가 개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도어가 적용되는 와인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도어가 적용되는 와인냉장고의 평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도어가 적용되는 와인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12는 와인냉장고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도어의 분리사시도이다.
도13은 와인냉장고에 적용된 본 발명의 도어를 분리한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14는 와인냉장고에 적용된 본 발명의 도어의 상부 일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15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가 적용되는 조리기기의 사시도이다.
도16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가 적용되는 조리기기의 평면도이다.
도17은 조리기기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18은 본 발명의 도어가 적용되는 조리기기의 분리사시도이다.
도19는 조리기기에 적용되는 도어의 일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20은 본 발명의 도어가 적용된 조리기기를 개방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다.
도1은 가전제품(200,300,400)과 소정의 수납장(100)이 혼재되어 배치되는 것을 보인것으로서, 상기 수납장(100)과 가전제품(200,300,400)들은 그 일부가 소정의 실내공간의 벽에 매립되는 붙박이 형태로 배치되거나, 혹은 외부로 돌출되어 실내공간의 일부를 점유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도 있다.
여기서, 도1에서 나타난 구성을 왼쪽에서 부터 오른쪽으로 가면서 설명하기로 하겠다.
우선, 가장 왼쪽에는 소정의 수납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장(100)이 설치되고, 그 우측에는 와인과 같은 병음료제품을 보관할 수 있는 와인냉장고(300)가 배치된다. 상기 와인냉장고(300)의 우측에는 냉장고(200)가 배치되고, 수납장(100), 조리기기(400), 수납장(100)이 배치된다.
다만, 위와 같은 순서는 사용자의 취향이나 이들이 설치되는 공간의 광협에 따라서 바뀔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각각의 수납장(100) 및 상기 와인냉장고(300), 냉장고(200), 조리기기(400)는 각각 소정의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본체(101, 201,301)와, 그 수용공간을 개폐하여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도어(110,210,310,41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도어(110,210,310,410)의 일측에는 소정의 곡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곡면부의 후방에는 핸들부가 마련되어 사용자가 이를 파지한 후 잡아당겨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우선, 상기 냉장고(200)의 구성을 보면, 소정의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벽에 매립될 수 있는 본체(201)와, 상기 본체(201)의 전면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210)가 마련된다.
도2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양문형 냉장고의 경우 상기 제1도어(210a)와 제2도어(210b)가 서로 마주보는 부분에는 상기 곡면부(221; 221a, 221b)가 형성된다.
상기 곡면부(221)의 후방에는 상술한바와 같이 핸들부(230;230a, 230b)가 마련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상기 제1도어(210a)의 곡면부(221a)와 제2도어(210b)의 곡면부(221b) 사이에 소정의 공간부(250)가 형성되고, 그 공간부(250)는 도어(210)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상하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각각의 곡면부(230; 230a,230b)는 상기 도어(210)의 전면에 대하여 약간 앞쪽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데, 그 돌출되는 정도가 도어(210)의 측면으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곡면부(221)의 후방에 형성되는 핸들부(230)는 홈형태의 파지부(231)를 구비는데, 상기 파지부(231)의 전후폭은 상기 도어의 전체 두께 대비 절반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도어(210a)에 형성된 파지부(231a)와 상기 제2도어(210b)에 형성된 파지부(231b)은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마련되거나, 혹은 어느 한쪽의 파지부가 다른 한쪽의 파지부보다 보다 깊게 형성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4에서 개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곡면부(221)와 상기 파지부(231)는 상기 도어(210)의 측부의 최상면과 최하면에 걸쳐서 전체적으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파지부(231)의 깊이 및 전후 폭과 상기 곡면부(221)의 곡률은 상기 도어의 상부와 하부 전체에 걸쳐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210) 및 상기 도어(210)에 배치되는 핸들부(23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다.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210)는 도어몸체부(211)와, 상기 도어몸체부(211)의 전면에 마련되는 커버부재(220)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부재(220)의 측단부에는 상기 곡면부(221)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재(220)는 곡면부(221)를 형성하기 위하여 일측이 곡면처리된 곡면유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몸체부(211)의 측단부에는 상기 핸들부(230)가 안착되도록 단차형태로 마련되는 안착부(212)가 형성된다.
상기 핸들부(230)는 상기 곡면부(221)가 형성된 커버부재(220)의 후면과 접촉하여 지지되는 제1지지부(232)와, 상기 안착부(212)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제2지지부(233)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파지부(231)는 상기 제1지지부(232)와 상기 제2지지부(233)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핸들부(230)의 일측이 개방되고, 상기 제1지지부(232)와 상기 제2지지부(233)의 일부가 상호 이격됨으로써 상기 파지부(231)가 홈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핸들부(230)는 그 가공의 용이성 및 심미적인 특징을 고려하여 목재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술한바와 같이, 상기 파지부(231)은 상기 도어의 상하방향으로 연속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220)와 상기 도어몸체부(211), 그리고 상기 핸들부(23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그 상면과 하면에는 이들의 상면과 하면을 커버링하는 캡부재(250)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캡부재(250)의 단부에는 상기 핸들부(230)의 파지부(231)의 평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 즉, 소정의 홈(251)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핸들부(230)의 제1지지부(232)는 상기 곡면부(221)의 후방에 접촉되어 지지되고, 상기 제2지지부(233)는 상기 안착부(212)에 부착되어 지지되는데, 상기 핸들부(230)의 지지상태를 더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핸들부(230)에는 각각 제1,2지지리브(235,236)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지지리브(235)는 상기 제1지지부(232)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커버부재(220)의 곡면부(221)의 최외각 측면에 접촉하게 되고, 상기 제2지지리브(236)는 상기 제2지지부(233)의 단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도어몸체부(211)의 측단부와 접촉하는 형태로 배치된다.
한편, 여기서 상기 도어몸체부의 길이(L1)은 상기 커버부재(L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전면에서 볼때, 상기 핸들부(230)의 일부가 전면에서 약간 보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관상 변화 및 미려함을 제고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도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캡부재(250)와 , 곡면부(221)와 상기 핸들부(230)와 상기 도어몸체부(도6참조, 211)가 결합된 상태를 확대해서 보면 , 상기 캡부재(250)가 상기 도어몸체부(211)와 상기 곡면부(221)와 상기 핸들부(230)의 상면과 하면을 덮는 형태로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리브(235)는 상기 곡면부(221)의 측면을 덮고, 상기 제2지지리브(236)는 상기 도어몸체부(211)의 측면을 덮게 됨으로써 각 구성요소간의 결합후 지지상태가 개선되고, 그 마감처리가 보다 깔끔하게 이루어지게 될 수 있는 것이다.
도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핸들부(230)를 구비하는 도어(210)가 상기 냉장고의 본체(200)에 결합되는 상태를 보면, 상기 본체(200)와 상기 도어(210)를 연결하는 힌지장치(260)를 구비한다.
상기 힌지장치(260)는 상기 본체의 전면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1힌지삽입홈(261)에 그 일단부가 삽입되어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힌지장치(260)의 타단부는 상기 도어(210)의 후면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2힌지삽입홈(262)에 삽입되어 회동가능하게 결합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핸들부(230)를 잡고 도어(210)를 개방하거나, 폐쇄할때, 상기 힌지장치(260)가 상기 도어(210)와 상기 본체(201)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장치(260)의 회동각도가 변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와인냉장고(300)의 본체(301) 및 이에 결합되는 도어(310)에 부착된 핸들부(330)의 구성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다.
도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와인냉장고는 소정의 저장실 및 선반이 구비되는 본체(301)와, 상기 본체(301)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도어(310)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외부에서 상기 저장실을 볼 수 있도록 상기 도어(310)는 투명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도어(310)의 일측면에는 소정의 곡면부(321) 및 상기 곡면부(321)의 후방에 배치되는 핸들부(330)가 배치된다.
도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핸들부(330)에는 홈형태의 파지부(331)가 마련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파지부(331)에 손을 넣고 잡아당겨서 상기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도11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곡면부(321)의 구성은 상기 도어(310)의 전면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연속적으로 배치되며, 그에 따라 상기 곡면부(321) 후방에 배치되는 핸들부(330)도 도어(310)의 상면에서 부터 하면까지 배치된다.
상기 도어(310)의 상면과 하면에는 상기 핸들부(310)의 파지부(331)가 상부와 하부로 개방된다.
도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310)는 도어몸체부(311)와, 상기 도어몸체부(311)의 전면에 마련되는 커버부재(320)와, 상기 도어몸체부(311))에 안착되며 상기 도어(310)의 상하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핸들부(330) 및, 상기 핸들부(330), 커버부재(320), 그리고 상기 도어 몸체부(310)의 상하면을 커버링하는 캡부재(3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도어몸체부(311)는 그 중앙부에 소정의 개방부(313)가 형성되고 그 측면에 상기 핸들부(330)가 안착되는 안착부(312)를 구비하며, 상기 핸들부(330)는 상기 안착부(312)에 안착된다.
상기 개방부(313)의 내주면에는 소정의 투시부재(325)가 마련되어 외부에서 상기 와인냉장고 내부의 저장물을 볼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투시부재(325)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상기 도어몸체부(311) 부분 중 상기 핸들부(330)가 장착되는 상기 안착부(312)의 정반대측면에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힌지축(미도시)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힌지고정부(314)가 마련되며, 상기 힌지고정부(314)의 배치를 위하여 상기 힌지고정부(314)의 주위에는 일정깊이만큼 단차진 형태가 마련된다.
도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핸들부(330)는 상기 커버부재(320)의 곡면부(321)의 후방에 접촉하여 지지되는 제1지지부(332)와, 상기 도어몸체부의 안착부에 접촉하여 지지되는 제2지지부(333)와, 상기 제1지지부(332)와 상기 제2지지부 (333)사이에 마련되는 파지부(331)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제1지지부(332) 중 상기 곡면부(221)와 접촉하는 면의 형상은 상기 곡면부(221)의 후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2지지부(333) 중 상기 안착부(312)와 접촉하는 면의 형상은 단차져진 상기 안착부(312)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상기 제1지지부(332)의 단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커버부재의 곡면부의 측면과 접촉하는 제1지지리브(335)가 마련되고, 상기 제2지지부(333)의 단부에는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도어몸체부(311)의 일측면과 접촉하게 되는 제2지지리브(336)가 형성되어, 상기 핸들부(330)가 각각 상기 도어몸체부(311)와 상기 커버부재(320)에 설치되는 것을 돕는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320)의 후방에는 상기 개방부(313)가 마련됨으로써 커버부재(320) 외측에 있는 사용자가 개방부(313)를 통하여 상기 저장실 내부에 저장된 저장물의 모습을 볼수 있게 된다.
도1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캡부재(350)가 상기 도어의 상면에 놓이게 되면, 상기 도어몸체부(미도시)와, 상기 커버부재(320) 및 상기 핸들부(330)의 상면을 모두 커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캡부재(350)에는 상기 파지부(331)의 평단면형상에 대응되는 홈(351)이 형성되므로 상기 파지부(331)은 상기 홈(351)을 통하여 상기 도어의 상면 및 하부로 개방될 수 있다.
도15는 곡면부를 가진 도어가 구비되는 조리기기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조리기기(400)는 소정의 수납공간에 수납되는 조리기기 본체(401)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410)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도어(410)에는 상술한 와인냉장고나 일반적인 냉장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곡면부(421)가 형성된다.
다만, 상기 도어 부분 중 상기 곡면부(421)가 형성되는 곳 후방에는 상기 도어(410)가 상기 본체(401)를 폐쇄하는 경우 그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고정부재(480)와, 상기 고정부재(480)가 삽입되는 고정홈(481)이 마련된다.
도16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401)의 전방의 테두리 부분에는 상기 도어(410)의 넓이와 높이에 상당하는 도어접촉부(402)가 마련된다. 이때, 상기 도어접촉부(402)의 너비와 높이가 상기 본체(401)의 높이와 너비에 비하여 높고 넓게 형성된 이유는 상기 본체가 수납되는 공간을 구비한 선반(S) 등의 벽두께 등을 고려한 것이다.
즉, 상기 선반(S)에 본체(401)가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도어접촉부(402)가 상기 선반(S)의 수납공간의 입구부 테두리에 걸리게 됨으로써 조리기기 본체(401)의 설치가 완료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선반(S)의 입구부와 본체 사이의 갭이 외부에서 안보여지게 하므로 갭발생 부분이 발생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외관상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접촉부(402)의 전면에는 상기 도어(410)가 배치되며, 상기 도어의 일측면에는 상기 곡면부(421)가 설치되고, 상기 곡면부(421)의 후방에는 핸들부(430)가 마련된다.
도1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410)의 상면과 하면에는 소정의 캡부재(450)가 마련되어, 후술할 도어몸체부(411), 커버부재(420) 및 핸들부(430)의 상면과 하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도1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410)는 도어몸체부(411)와, 상기 도어몸체부(411)의 전방에 마련되는 커버부재(420)) 및 상기 도어몸체부(411)의 측면 및 상기 곡면부재(420)의 곡면부(421)의 후방에 부착되는 상기 핸들부(430)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도어몸체부(401)의 일측면에는 상기 핸들부(430)가 안착되는 안착부(412)가 마련되고, 상기 안착부(412)에는 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부재(480)가 마련되는 고정부재 설치부(483))가 마련된다.
핸들부(430)의 부분 중 상기 안착부(412)와 접촉하여 결합되는 곳은 상기 안착부(412)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하의 수직면이 형성되며, 그 곳에는 상기 고정부재 설치부(48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소정의 설치홈(439)이 마련된다.
상기 핸들부(430)의 부분 중 상기 곡면부(421)와 접촉하여 설치되는 곳에는 상기 곡면부(42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소정의 곡면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곡면부(421)와 접촉하여 지지되는 곳을 제1지지부(432)라고 하고, 상기 안착부(412)와 접촉하여 지지되는 곳을 제2지지부(433)라고 하겠다.
한편, 상기 제1지지부(432)와 상기 제2지지부(432)는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그 단면을 보면, 단차진 형태가 마련되는데, 이것이 사용자가 핸들부(430)를 파지하여 도어(410)를 열게 할 수 있는 파지부(431)이다.
사용자가 상기 파지부(431)에 손을 댄 상태에서 앞으로 잡아당기면 도어를 보다 편리하게 열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술한 캡부재(450)가 상기 도어(410)의 상하면에 부착되는 것이며, 상기 캡부재(450)의 단부에도 상기 파지부(431)의 단면과 동일한 홈(451)이 형성된다.
도19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몸체부(도18참조, 411)와 상기 커버부재(420) 및 상기 핸들부(43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캡부재(451)가 상기 이들의 상면과 하면을 커버링함으로써 상부와 하부의 마감을 깔끔하게 처리하는 한편, 이 구성요소들 사이에 소정의 이물질이 개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20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에 마련되는 고정부재(480)는 후크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고정부재 설치부(483)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481)가 삽입되는 고정홈(482)은 상기 도어접촉부(402)에 마련되고, 상기 고정부재(48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도어(410)가 닫히게 되는 경우, 상기 본체(401)와 상기 도어(410) 간의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Claims (23)

  1.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가전제품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몸체부와;
    상기 도어몸체부 전면에 배치되되 일측에 곡면부가 형성되는 커버부재와;
    상기 곡면부의 후방에 배치되며 파지부가 형성되는 핸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장치용 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상기 커버부재의 곡면부 후방에 접촉지지되는 제1지지부와;
    상기 도어몸체부의 일측에 접촉지지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파지부는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의 사이에 마련되는 홈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장치용 도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도어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홈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장치용 도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에서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커버부재의 곡면부 단부를 감싸는 제1지지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장치용 도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가전제품 본체에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가능하게 마련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장치용 도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가 설치되도록 상기 도어몸체부 일측에 마련되는 고정부재 설치부와;
    상기 고정부재 설치부가 상기 핸들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핸들부 일측에 마련되는 설치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장치용 도어.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에서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도어몸체부 측면을 감싸는 제2지지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장치용 도어.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몸체부 일측에 단차진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핸들부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장치용 도어.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상하면과, 상기 도어몸체부의 상하면과, 상기 핸들부의 상하면을 덮는 캡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장치용 도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에는 상기 파지부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외측에서 내측으로 들어간 형태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장치용 도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의 외측단부는 상기 커버부재의 전면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장치용 도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는 상기 외측단부로 갈수록 그 곡률이 순차적으로 증대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장치용 도어.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몸체부 내부에 마련되는 개방부와;
    상기 개방부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커버부재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가전제품 본체 내부가 투시될 수 있도록 하는 투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장치용 도어.
  14. 저장실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며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되 그 전면 일측에 곡면부가 형성되는 도어와;
    상기 곡면부의 후방에 마련되며 파지부가 마련되는 핸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일측단부에는 상기 본체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부가 마련되고, 상기 도어의 타측단부에 상기 곡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그 일측에 상기 핸들부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도어몸체부와; 상기 도어몸체부의 전면을 커버하고 상기 곡면부가 형성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상기 곡면부의 후면에 접촉하여 지지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파지부는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도어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의 최내측은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라운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커버부재의 일측을 감싸는 제1지지리브와;
    상기 제2지지부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도어몸체부의 일측을 감싸는 제2지지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몸체부의 상하면과, 상기 핸들부의 상하면을 덮는 캡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캡 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파지부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는 상기 도어의 전면내측에서 외측으로 갈 수록 전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PCT/KR2009/006508 2008-11-14 2009-11-06 도어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WO2010056017A2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9826249.6A EP2345859B1 (en) 2008-11-14 2009-11-06 A door for an electric appliance and a refrigerator having a door
CN200980145707.9A CN102216707B (zh) 2008-11-14 2009-11-06 用于电器的门和具有门的冰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3167 2008-11-14
KR1020080113049A KR101012380B1 (ko) 2008-11-14 2008-11-14 곡면부를 구비한 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08-0113049 2008-11-14
KR1020080113167A KR101012381B1 (ko) 2008-11-14 2008-11-14 가전장치용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56017A2 true WO2010056017A2 (ko) 2010-05-20
WO2010056017A3 WO2010056017A3 (ko) 2010-12-23

Family

ID=42170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09/006508 WO2010056017A2 (ko) 2008-11-14 2009-11-06 도어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2345859B1 (ko)
CN (1) CN102216707B (ko)
WO (1) WO2010056017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11947A (ja) * 2018-09-05 2019-01-24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02994B (zh) * 2011-12-30 2017-03-08 阿塞里克股份有限公司 包括手柄的家用电器
JP6469939B2 (ja) * 2012-08-27 2019-02-13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JP6232578B2 (ja) * 2013-04-19 2017-11-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断熱扉
CN104422236B (zh) * 2013-08-29 2018-08-21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用于制冷器具的门以及制冷器具
NL2024899B1 (nl) * 2020-02-13 2021-09-15 Polyplastic Group B V Koelmeubel en bedieningsinrichting daarvoo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785669A (en) * 1968-05-21 R. Steiner William Refrigerator door with integral handle
US3314196A (en) * 1965-04-23 1967-04-18 Gen Motors Corp Insulated door
US3264047A (en) * 1965-04-23 1966-08-02 Gen Motors Corp Domestic appliance door
JPS6152110U (ko) * 1984-09-07 1986-04-08
US5048233A (en) * 1987-05-01 1991-09-17 Northland Corporation Refrigerator do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0306656B1 (ko) * 1997-12-31 2002-06-28 윤종용 파지가 용이한 손잡이부를 갖는 전자렌지용 도어
JP2000097550A (ja) * 1998-09-18 2000-04-04 Sanyo Electric Co Ltd 冷蔵庫
JP2001153538A (ja) * 1999-11-24 2001-06-08 Toshiba Corp 冷蔵庫扉
DE10208061B4 (de) * 2002-02-25 2015-01-2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etür und damit ausgestattetes Kältegerät
JP2005069533A (ja) * 2003-08-22 2005-03-17 Sharp Corp 冷蔵庫
JP4179244B2 (ja) * 2004-08-06 2008-11-12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one
See also references of EP2345859A4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11947A (ja) * 2018-09-05 2019-01-24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45859B1 (en) 2019-07-10
EP2345859A2 (en) 2011-07-20
WO2010056017A3 (ko) 2010-12-23
CN102216707A (zh) 2011-10-12
CN102216707B (zh) 2016-05-04
EP2345859A4 (en) 2015-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56017A2 (ko) 도어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WO2011093613A2 (en) Refrigerator
WO2011013900A1 (en) Refrigerator
WO2010131813A1 (ko) 냉장고
WO2011013901A1 (en) Refrigerator
WO2011162525A2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U2016291014B2 (en) Refrigerator
WO2014129769A1 (en) Slid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WO2010140836A2 (en) Refrigerator
WO2016129947A1 (en) Refrigerator
WO2009113808A2 (en) Washing machine
WO2010087538A1 (en) Refrigerator
WO2013032262A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WO2017003220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O2017119590A1 (ko) 세제 투입 도어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WO2017111352A1 (ko) 세탁기
WO2011115393A2 (en) Refrigerator and dispenser of refrigerator
WO2011139116A2 (en) Refrigerator
WO2016017951A1 (en) Refrigerator
EP3152502A1 (en) Refrigerator
WO2020111694A1 (ko) 마감시트 고정장치
WO2020235840A1 (en) Refrigerator
WO2023054861A1 (ko) 전면 개폐 도어 어셈블리를 구비한 가전제품
WO2018117478A1 (en) Washing machine
KR100995047B1 (ko) 곡면부를 구비한 도어를 포함하는 가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0980145707.9

Country of ref document: C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0982624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09826249

Country of ref document: EP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