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0038932A1 - 원형 지선근가와 유압 확장식 굴착 스크류를 이용한 고강도 지선근가 시공법 - Google Patents

원형 지선근가와 유압 확장식 굴착 스크류를 이용한 고강도 지선근가 시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0038932A1
WO2010038932A1 PCT/KR2009/001872 KR2009001872W WO2010038932A1 WO 2010038932 A1 WO2010038932 A1 WO 2010038932A1 KR 2009001872 W KR2009001872 W KR 2009001872W WO 2010038932 A1 WO2010038932 A1 WO 201003893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arth
bracing
circular
wire under
exca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187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권세원
Original Assignee
대원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전기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1003893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3893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02Drilling ri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land transport with their own drive, e.g. skid mounting or wheel mounting
    • E21B7/027Drills for drilling shallow holes, e.g. for taking soil samples or for drilling posthol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3/00Rotary drilling
    • E21B3/02Surface drives for rotary dri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0Drill bits
    • E21B10/42Rotary drag type drill bits with teeth, blades or like cutting elements, e.g. fork-type bits, fish tail bi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3/00Rotary dri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003Drilling with mechanical conveying means
    • E21B7/005Drilling with mechanical conveying means with helical conveying mean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circular ground roots to support and fix the pole when the mechanized dry construction using the excavation screw of the auger crane, and in particular to increase the surface area of the ground ground roots buried underground to increase the pull resistance of the circular ground roots
  • the excavation screw which is automatically expanded by hydraulic pressure, is excavated step by step to excavate the buried portion of the round ground roots and the interference portion of the ground rod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strength ground root construction method that enables the construction of circular ground roots quickly and effectively by a hydraulically expandable drilling screw.
  • the poles are installed to reinforce the unbalanced tension of electric wires and communication cables to prevent the poles from tilting or falling down.
  • excavation work for underground line laying is carried out by manual or mechanical work, and the ground line is buried at the excavation point to connect with Jeonju through the ground rod. I'm doing it.
  • Patent No. 710649 Patent No. 727279, Patent No. 740013, and Patent No. 761778 issued by the present applicant.
  • ground roots used in modern ground roots construction methods are rectangular roots of 0.7 m and 1.2 m, and round roots of 43 cm in diameter and 62 cm in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above values.
  • the reason f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andard and the shape of the ground line is as follow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facility suitable for the tension according to the design load of the facility installed in Jeonju.
  • the power supply facilities are also becoming larger.
  • the circular branch root is a new technology to replace the rectangular ground roots, which was devised by the present applicant.
  • the current distribution system in Korea is equipped with a distribution voltage of 22.9kV, but the research to increase the distribution voltage due to the current flow of expansion of the large-capacity distribution supply capacity is being conducted.
  •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newly manufactured circular branch roots having a diameter of at least 72 cm, and the excavation portion for embedding the circular branch roots is mounted hydraulic expansion drilling screw to the auger crane hydraulic
  • the auxiliary excavation blade that expands and contracts through i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excavate the ground root buried portion and the ground rod interference part, and by increasing the circular ground root root of the enlarged size, the surface area facing the landfill soil is greatly increased and the pullout resistance is increased.
  • the excavation screw with hydraulically expandable auxiliary drill blades can be used to mechanize the excavation process without manual operation.It can be applied to the existing method of circular dorsal construction using the manual expander. Circular branch roots and hydraulics that can achieve construction completion Ornament that i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igh strength branch geunga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drilling screw.
  • a vertical branch rod is formed in a circular branch root having a diameter of at least 72 cm or more, and a hydraulic drilling screw having an auxiliary drilling blade and a spiral screw, which are drawn out laterally by hydraulic pressure.
  • the above-mentioned buried buried portion is subjected to the primary drilling without expanding the auxiliary drilling edge, the secondary expansion by drilling the buried portion having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ircular branch line by the auxiliary drilling edge extended by hydraulic pressure ,
  • the circular branch roots are inserted into the root embedment portion, and the branch rods of the circular branch roots are drawn out to the ground through the rod withdrawal unit.
  • the present invention is effective to increase the weight of various equipment due to the voltage increase of the distribution voltage because the bearing capacity of the pole through the ground rod is greatly improved by increasing the surface area of the earth resistance with the excavated landfill soil by the branch root having an expanded size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support capacity and to install many power equipment-related equipment in the existing tracks, so that it is possible to design large-capacity distribution lines in an integrated state, which can greatly reduce the land occupancy area while improving the aesthetics of the power facilities. High-strength branch work is possible even with a single branch line, so no additional branch line work is required, and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effectively excavate the neighboring landfill part and branch rod interference part by using the auxiliary drilling blade that is automatically expanded by hydraulic pressure. Performance and economics, and the existing passive expander By replacing the circular branch geunga construction method that will enable this application.
  • FIG. 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hydraulic drilling scr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ircular branch roo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construction process dia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cavation process diagram of the rod withdrawal unit
  • FIG. 4 is a construction process dia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xcavation process diagram of the buried value buried part
  • FIG. 5 is a construction process dia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condary expansion excavation diagram of the buried value buried part
  • FIG. 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hydraulic drilling scr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und branch root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Hydraulic drilling screw 20 as shown in the figure has an auxiliary drilling blade (21) (21 ') which is actuated by the hydraulic pressure provided from the auger crane on which the drilling screw (20) is mounted.
  • the outer surface is formed with a screw 22 in the form of a spiral.
  • the circular branch root value 10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t least 72 cm in diameter, the vertical branch rod 11 is fixed to the center.
  • the excavation pressure applied to the hydraulic drilling screw 20 is very strong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ground and the geological and gravel layers.
  • the auxiliary excavation blades 21 and 21 'are taken out and temporarily In the case of forming an excavation area such that the circular branch roots 10 are inserted into the drill, the loads applied to the hydraulic drilling screw 20 and the auger crane are severe, and thus the auxiliary excavation blades 21 and 21 'are expanded as described above. Without this, the drilling work is carried out to the extent that no load is applied to the screw and the crane.
  • the circular branch root 10 is inserted into the excavated root embedment portion 40 excavat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branch rod 11 of the circular branch root portion 10 is a rod withdrawal part on one side of the root embedment portion 40 ( It is to be drawn out to the ground through 30), the rod withdrawal unit 30 and the neighboring buried portion 40 is finished by the backfill process is the construction of high strength near gr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거크레인의 굴착 스크류를 이용한 기계화 건주공사를 하는 경우 전주를 지지 고정하기 위한 원형 지선근가의 시공법에 대한 것으로, 특히 지중 매설되는 원형 지선근가의 토사저항 표면적을 증대시켜 원형 지선근가의 인발 내력을 향상시키고, 유압에 의해 자동으로 확장되는 굴착 스크류를 통해 원형 지선근가의 매립부와 지선롯드와의 간섭부를 단계적으로 굴착 시공함에 따라, 확장된 크기를 갖는 지선근가에 의해 굴착 매립토사와의 토사저항 표면적을 증대시켜 지선롯드를 통한 전주의 지지력이 크게 향상되므로 전력공급 능력 확충을 위한 배전전압의 승압 및 대용량 전력선 설치에 따른 다양한 기자재의 중량 증가시에도 효과적인 전주의 지지력이 유지되는 것이며, 기존 선로 내에도 많은 전력시설 관련 기자재의 추가 및 통신선 등의 병가 설치가 가능하므로 집적된 상태의 중하중 배전선로를 설계할 수 있어 전력시설물에 의한 미관을 개선하면서도 토지 점유 면적을 크게 줄일 수 있는 것이며, 단일의 지선근가 만으로도 고강도 지선공사가 가능하여 추가의 지선공사가 불필요한 것이고, 유압을 통해 자동으로 확장되는 보조굴착날을 이용하여 근가 매립부와 지선롯드 간섭부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굴착할 수 있어 매우 뛰어난 작업성과 경제성을 제공하며 기존 수동식 확장기를 이용한 원형 지선근가 시공법을 대체하여 적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원형 지선근가와 유압 확장식 굴착 스크류를 이용한 고강도 지선근가 시공법
본 발명은 오거크레인의 굴착 스크류를 이용한 기계화 건주공사를 하는 경우 전주를 지지 고정하기 위한 원형 지선근가의 시공법에 대한 것으로, 특히 지중 매설되는 원형 지선근가의 표면적을 증대시켜 원형 지선근가의 인발 저항력을 향상시키고, 유압에 의해 자동으로 확장되는 굴착 스크류를 통해 원형 지선근가의 매립부와 지선롯드와의 간섭부를 단계적으로 굴착 시공함에 따라, 단일의 원형 지선근가 만으로도 대용량 배전 전력시설물로 고중량화되는 전주 내 설비를 갖는 전주에 대한 지지력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게 하면서도, 유압 확장식 굴착 스크류에 의해 원형 지선근가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시공할 수 있게 한 고강도 지선근가 시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배전선로 및 통신선로 등을 구성함에 있어 전주를 설치하고 전선 및 통신케이블을 가선하는 경우 전선 및 통신케이블의 불평형 장력을 보강하기 위한 지선을 설치하여 전주가 기울어지거나 쓰러지지 않게 하고 있는바, 상기한 지선을 설치하기 위해서 지선근가 매설을 위한 굴착작업을 인력에 의한 수작업이나 기계를 이용한 작업을 시행한 후, 상기의 굴착지점에 지선근가를 매립하여 지선롯드를 통해 전주와 연결되게 하는 방법을 택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지선근가 및 지선근가의 시공법은 본 발명 출원인에 의해 안출된 등록특허 제710649호, 등록특허 제738279호, 등록특허 제740013호, 등록특허 761778호에 의해 개시되어 있는 것이다.
현대의 지선근가 시공법에 적용되는 지선근가는 0.7m와 1.2m의 장방형 근가와, 상기의 수치에 준하는 직경 43cm와 직경 62cm의 원형 지선근가가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지선근가의 규격과 형태가 다른 이유로는 전주에 설치되는 설비의 설계하중에 따라 그에 따른 장력에 적정한 설비시공을 위한 것인데, 점차 산업이 고도화되고 전력을 필요로 하는 시설이 급격히 증가하며, 그 개체수가 늘어남에 따라 전력 공급시설도 대용량화되어 가는 추세인 것이다.
참고로, 원형지선근가는 장방형지선근가를 대체하는 신기술로 본 발명 출원인에 의해 안출된 것이다.
즉, 현재 우리나라의 배전방식은 배전전압이 22.9kV로 시설되어 있으나, 상기한 대용량 배전 공급능력 확충의 시대적 흐름때문에 배전전압을 올리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과거 110V에서 220V로 승압하는 공사가 전국적으로 시행되었던 것이 이러한 이유때문인데 이때 우리나라의 배전전압이 6.6kV에서 22.9kV로 바뀌었던 것이다.
여기서, 배전전압이 바뀌면 당연히 전력시설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모든 기자재들이 바뀌게 되는데, 전력시설물을 지지하는 전주와 그 전주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지선과 그에 사용되는 지선근가는 대단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배전선로의 경과지 측면에서 현재 전주 위에 설치되는 전선을 비롯한 관련 기자재들은 모두 설계하중에서 비롯된 것으로서, 전주가 파손되지 않도록 지선이 선로의 장력을 이겨낼 수 있는 범위에서 무게를 고려하여 시설되고 있는 것이며, 이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들이 보완된다면 하나의 선로(경과지)에 더욱 많은 전력시설 관련 기자재들을 집적하여 시설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로 양쪽으로 전주가 세워져 있고 그것을 이용하여 배전선로가 구성되어 있는 지역이 있다고 할 때, 고강도 지선공사가 가능하다면 도로의 한쪽 측면만 이용하여 양측의 중하중 시설을 집적할 수 있는 의미이기도 하며, 전력수요증가에 따른 전력공급 능력을 확대하기 위한 대용량 전력선의 설치와 전력시설물이 미관을 해치고 토지 점유로 인해 주변 환경 훼손을 비롯한 여러 가지 문제가 대두되는 시점에서 점차 대용량화되어 시설물의 하중이 증가해 가는 전력시설물의 추세를 비춰볼 때 고강도 지선근가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인 것이다.
또한, 현행 배전공사에서 2회선 이상 전력선 설치 및 통신선이 공가 시설되는 등 1개의 지선으로 장력을 버틸 수 없는 경우 추가로 지선을 설치하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하는데 고강도 지선공사가 가능해지면 1회의 지선공사로도 고도의 장력을 부여할 수 있게 되므로 단일의 지선근가만으로도 증대하는 배전설비와 통신선 공가 시설에 따른 기자재의 중량 및 선로의 장력을 충분히 이겨낼 수 있을 것이므로 고강도 지선근가에 대한 개발이 시급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적어도 직경 72cm 이상으로 된 원형 지선근가를 새롭게 제작하고, 상기의 원형 지선근가를 매설하기 위한 굴착부는 유압 확장식 굴착 스크류를 오거크레인에 장착하여 유압을 통해 확장 및 축소되는 보조굴착날을 이용하여 지선근가 매립부와 지선롯드 간섭부를 효과적으로 굴착 형성할 수 있게 하여, 확장된 크기의 원형 지선근가에 의해 매립토사와의 대향 표면적을 크게 증대시켜 인발저항력을 향상시키면서도, 유압 확장식 보조 굴착날을 갖는 굴착 스크류에 의해 수작업 없이 굴착과정을 기계화 처리할 수 있어 기존의 수동식 확장기를 이용한 원형지선근가 시공법에도 대체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빠른 시공시간을 갖고 고품질의 시공완성도를 달성할 수 있는 특징의 원형 지선근가와 유압 확장식 굴착 스크류를 이용한 고강도 지선근가 시공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직경이 적어도 72cm 이상인 원형 지선근가에는 수직의 지선롯드가 형성되고, 유압에 의해 횡방향으로 출몰되는 보조굴착날과 나선상의 스크류를 갖는 유압식 굴착스크류를 구비하여,
보조굴착날을 확장하지 않은 상태에서 나선상의 스크류 만을 이용하여 굴착하는 롯드 인출부 굴착공정을 수행하고, 상기 롯드 인출부 굴착공정을 수행한 후 롯드 인출부와 인접하여 상기 원형 지선근가가 매설될 근가 매설부를 굴착하되,
상기의 근가 매설부는 보조굴착날을 확장하지 않은 상태에서 1차 굴착을 수행한 후, 유압에 의해 확장된 보조굴착날에 의해 상기 원형 지선근가의 직경 보다 큰 내경을 갖는 매설부를 2차 확장 굴착하여,
상기 원형 지선근가가 근가 매설부 내측으로 삽입되고, 원형 지선근가의 지선롯드는 상기 롯드 인출부를 통해 지상으로 인출되게 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확장된 크기를 갖는 지선근가에 의해 굴착 매립토사와의 토사저항 표면적을 증대시켜 지선롯드를 통한 전주의 지지력이 크게 향상되므로 배전전압의 승압에 따른 다양한 기자재의 중량 증가시에도 효과적인 전주의 지지력이 유지되는 것이며, 기존 선로 내에도 많은 전력시설 관련 기자재의 추가 설치가 가능하므로 집적된 상태의 대용량 배전선로를 설계할 수 있어 전력시설물에 의한 미관을 개선하면서도 토지 점유 면적을 크게 줄일 수 있는 것이며, 단일의 지선근가 만으로도 고강도 지선공사가 가능하여 추가의 지선공사가 불필요한 것이고, 유압을 통해 자동으로 확장되는 보조굴착날을 이용하여 근가 매립부와 지선롯드 간섭부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굴착할 수 있어 매우 뛰어난 작업성과 경제성을 제공하며 기존 수동식 확장기를 이용한 원형지선근가 시공법을 대체하여 적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굴착스크류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형 지선근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시공과정도로서, 롯드 인출부의 굴착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시공과정도로서, 근가 매설부의 1차 굴착공정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시공과정도로서, 근가 매설부의 2차 확장굴착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시공법에 의한 굴착부에 지선근가가 삽입된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원형 지선근가 11 : 지선롯드
20 : 유압식 굴착스크류 21,21' : 보조굴착날
22 : 스크류
30 : 롯드 인출부
40 : 근가 매설부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굴착스크류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형 지선근가의 사시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굴착스크류(20)는, 상기의 굴착스크류(20)가 장착되는 오거크레인으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에 의해 출몰 작동되는 보조굴착날(21)(21')을 갖고 있고, 외면에는 나선 형태로 된 스크류(2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원형 지선근가(10)는 직경이 적어도 72cm 이상인 것으로서, 중앙에는 수직의 지선롯드(11)가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원형 지선근가(10)와 유압식 굴착스크류(20)를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의 유압식 굴착스크류(20)를 오거크레인에 장착한 후, 전주를 설치한 지반을 굴착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유압식 굴착스크류(20)는 보조굴착날(21)(21')을 확장하지 않은 상태로 지반을 굴착하여 지선롯드(11)와의 간섭부를 제거하는 굴착 공정을 우선하여 시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의 유압식 굴착스크류(20)를 상기의 굴착 공정에 의해 형성된 롯드 인출부(30)의 인접 부분으로 이동시켜 역시 보조굴착날(21)(21')을 확장하지 않은 상태로 1차 굴착을 수행하게 되는 것인데,
상기와 같은 1차 굴착에서는 지반의 상태나 지질 및 자갈층의 여부에 따라 유압식 굴착스크류(20)에 가해지는 굴착압력이 매우 강한 것인데, 상기의 보조굴착날(21)(21')을 인출하여 일시에 원형 지선근가(10)가 삽입될 정도의 굴착 넓이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유압식 굴착스크류(20) 및 오거크레인에 가해지는 부하가 극심하므로 상기와 같이 보조굴착날(21)(21')을 확장하지 않은 상태에서 스크류 및 크레인에 부하가 가지 않을 정도로 굴착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1차 굴착 작업이 이루어진 후, 상기 유압식 굴착스크류(20)의 보조굴착날(21)(21')에 유압을 제공하여 보조굴착날(21)(21')이 확장 인출되게 한 후, 상기와 같은 유압식 굴착스크류(20)를 통해 1차 굴착된 부분을 확장하는 2차 굴착작업을 수행하게 되면 유압식 굴착스크류(20)와 오거크레인에 가해지는 부하가 상대적으로 크게 감소하므로 무리 없이 원활하고 신속한 근가 매설부(40)의 굴착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굴착된 근가 매설부(40)에 원형 지선근가(10)를 삽입하고, 상기 원형 지선근가(10)의 지선롯드(11)는 근가 매설부(40) 일측의 롯드 인출부(30)를 통해 지상으로 인출하면 되는 것이고, 상기 롯드 인출부(30)와 근가 매설부(40)는 되메움 공정에 의해 마감 처리하면 고강도 지선근가의 시공이 종료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1)

  1. 직경이 적어도 72cm 이상인 원형 지선근가(10)에는 수직의 지선롯드(11)가 형성되고, 유압에 의해 횡방향으로 출몰되는 보조굴착날(21)(21')과 나선상의 스크류(22)를 갖는 유압식 굴착스크류(20)를 구비하여,
    보조굴착날(21)(21')이 축소된 상태에서 나선상의 스크류(22) 만을 이용하여 굴착하는 롯드 인출부(30) 굴착공정을 수행하고,
    상기 롯드 인출부(30) 굴착공정을 수행한 후 롯드 인출부(30)와 인접하여 상기 원형 지선근가(10)가 매설될 근가 매설부(40)를 굴착하되, 상기의 근가 매설부(40)는 보조굴착날(21)(21')을 확장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1차 굴착을 수행한 후, 유압에 의해 확장된 보조굴착날(21)(21')에 의해 상기 원형 지선근가(10)의 직경 보다 큰 내경을 갖는 매설부를 2차 확장 굴착하여,
    상기 원형 지선근가(10)가 근가 매설부(40) 내측으로 삽입되고, 원형 지선근가(10)의 지선롯드(11)는 상기 롯드 인출부(30)를 통해 지상으로 인출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지선근가와 유압 확장식 굴착 스크류를 이용한 고강도 지선근가 시공법.
PCT/KR2009/001872 2008-10-01 2009-04-13 원형 지선근가와 유압 확장식 굴착 스크류를 이용한 고강도 지선근가 시공법 WO201003893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393A KR100903054B1 (ko) 2008-10-01 2008-10-01 원형 지선근가와 유압 확장식 굴착 스크류를 이용한 고강도지선근가 시공법
KR10-2008-0096393 2008-10-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38932A1 true WO2010038932A1 (ko) 2010-04-08

Family

ID=40982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09/001872 WO2010038932A1 (ko) 2008-10-01 2009-04-13 원형 지선근가와 유압 확장식 굴착 스크류를 이용한 고강도 지선근가 시공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903054B1 (ko)
TW (1) TWI402415B (ko)
WO (1) WO20100389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437B1 (ko) 2011-11-18 2012-02-20 대원전기 주식회사 오거크레인 유압식 신축 굴착날을 이용한 역t형 굴착 고강도 지선 시공법
KR101453726B1 (ko) * 2014-03-17 2014-10-23 대원전기 주식회사 영상 데이터 무선 전송장치와 전원 및 압축공기 공급을 위한 배관이 형성된 지하매설물 확인용 카메라가 장착된 굴착스크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9787A (ja) * 1994-10-11 1996-04-30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掘削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1073664A (ja) * 1999-09-01 2001-03-21 Daiwa Kiko Kk 拡大ヘッド
KR100738279B1 (ko) * 2005-10-12 2007-07-12 대원전기 주식회사 건주공사용 원형지선근가
KR100761778B1 (ko) * 2007-01-11 2007-09-28 대원전기 주식회사 유압식 확장 보조굴착날을 갖는 연장형 굴착스크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649B1 (ko) * 2005-12-21 2007-04-25 대원전기 주식회사 건주공사용 지선근가의 기계화 시공법 및 이를 위한 오거크레인용 확장형 굴착유니트
KR100740013B1 (ko) 2006-10-24 2007-07-16 대원전기 주식회사 오거크레인용 확장형 굴착유니트를 이용한 가공선로건주공사 시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9787A (ja) * 1994-10-11 1996-04-30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掘削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1073664A (ja) * 1999-09-01 2001-03-21 Daiwa Kiko Kk 拡大ヘッド
KR100738279B1 (ko) * 2005-10-12 2007-07-12 대원전기 주식회사 건주공사용 원형지선근가
KR100761778B1 (ko) * 2007-01-11 2007-09-28 대원전기 주식회사 유압식 확장 보조굴착날을 갖는 연장형 굴착스크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3054B1 (ko) 2009-06-18
TWI402415B (zh) 2013-07-21
TW201022525A (en) 2010-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58489B (zh) 为高架线的拱型电线杆下撑构件施工的方法
CN105298507B (zh) 一种上部明挖下部掘进机施工的地下管廊施工方法
CN106437798B (zh) 一种穿过盾构掘进断面的锚索群的预处理方法
CN107060771A (zh) 中短隧道单向出洞开挖方法
CN107794946B (zh) 一种深埋于软土中的地下综合管廊结构及其施工方法
WO2010085061A2 (ko) 가공배전선로가 포함된 전주의 설치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무정전 보수 시공방법
CN105673934A (zh) 一种电缆缚设排管非开挖方法
WO2010038932A1 (ko) 원형 지선근가와 유압 확장식 굴착 스크류를 이용한 고강도 지선근가 시공법
RU2006106834A (ru) Способ прокладки подземных переходов и тоннелей и секция подземного перехода или тоннеля
CN101532586A (zh) 一种地下管道安装施工装置及其方法
CN102061701A (zh) 利用冲孔灌注桩安装垂直接地极的施工方法
KR101538909B1 (ko) 폴 홀딩 장치 시스템을 이용한 가공전선로 무교체 전주이동 시공법
KR20120025079A (ko) 지열을 이용한 냉난방시스템의 지중파이프 매설공법
CN213782843U (zh) 一种具有防沉降功能的配电间电缆沟
CN105089024B (zh) 地下厂房出线布置方式及结构
JP4463867B2 (ja) 支線根枷の機械化施工法及びこのためのオーガークレーン用拡張型掘削ユニット
CN112814735A (zh) 一种悬索桥隧道式锚碇洞室防排水施工方法
CN106592632A (zh) 一种逆作法施工地下支撑结构及施工方法
CN211579545U (zh) 一种过路管线保护结构
KR101108437B1 (ko) 오거크레인 유압식 신축 굴착날을 이용한 역t형 굴착 고강도 지선 시공법
KR20130127577A (ko) 오거크레인용 굴착스크류를 이용한 역t형 확장 굴착과 확장굴착부의 콘크리트 타설을 이용한 고강도 건주 시공법
CN105977661A (zh) 一种接地铜缆的安装施工工艺
WO2011132980A2 (ko) 확장형 굴착유니트와 루트근가를 이용한 전선로용 전주의 고강도 건주공법
CN106558842A (zh) 一种630kva变电箱及安装基础
CN216489455U (zh) 一种临时工程低压电缆出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0981794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0981794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