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1132980A2 - 확장형 굴착유니트와 루트근가를 이용한 전선로용 전주의 고강도 건주공법 - Google Patents

확장형 굴착유니트와 루트근가를 이용한 전선로용 전주의 고강도 건주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1132980A2
WO2011132980A2 PCT/KR2011/002914 KR2011002914W WO2011132980A2 WO 2011132980 A2 WO2011132980 A2 WO 2011132980A2 KR 2011002914 W KR2011002914 W KR 2011002914W WO 2011132980 A2 WO2011132980 A2 WO 2011132980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root
pole
utility pole
underbracing
exca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1/00291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1132980A3 (ko
Inventor
권세원
Original Assignee
대원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전기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11132980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132980A2/ko
Publication of WO2011132980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132980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 construction method for constructing a high-strength electric pole for electric wire, and more specifically, a separate route at the bottom of the pole in a state of excavation with a diameter and depth corresponding to the electric pole and the neighboring value using the expansion type excavation unit
  • the fixed value is install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ole in the tension direction, so that the high-powered inlet state of the electric pole for the cable line is maintained by the root value together with the existing pole value, and crosses the soft ground, the angle point, or the railway, overpass, and river. It is a construction method with excellent economical efficiency as it is a technology to firmly construct high-quality cable lines by making high-strength dryness for investment poles that require a lot of wire tension.
  • the distribution system of Korea is equipped with a distribution voltage of 22.9kV, but research is being conducted to increase the distribution voltage due to the demands of the expansion of large-capacity distribution supply capacity, and the construction of large-capacity distribution facilities is being performed in some regions.
  • the cable line is composed of one to two or more stages, and the thickness of the wire is also thickened (was maximum: 160sq-> large capacity line: 240sq, and later 300sq or more)
  • the strength of the support (Jeonju) that supports it is required to be high strength, and the lack of this also led to the appearance of ultra high strength poles, and to reinforce the entrance of high strength poles, concrete was added to the excavation around the poles.
  • There are also cases of construction in the form of, and the construction of the track is made in the form of reducing the standard span of the cable line from the existing 50m to 30m.
  • pole pole it is improved to heavy load pole, high strength pole and ultra high strength pole made by changing the type of steel or the thickness and number of reinforcing bars and the properties of concrete to gradually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pole itself. I'm doing it.
  •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proposed a high-strength branch root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purpose of securing the transition point of the distribution lin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supply a large capacity of power.
  • the construction method based on the high strength branch roots as described above is a subsidiary facility for the tension received by the poles.
  • any countermeasures due to the large capacity of the cable line There is no construction standard.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by using an extended excavation unit mounted on the auger crane to facilitate easy excavation to the entrance of the pole, and at the same time a separate root (root) at the bottom of the buried portion of the pole
  • the root muscle is installed, and the existing root pole value is installed together with the root root pole, but the pole pole root is fixedly installed in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tension direction acting on the pole pole, and the root root pole is the tension direction acting on the pole pole.
  • Expanded excavation unit that can effectively cope with the construction of electric power facilities for high quality power supply by strengthening the bearing capacity for poles installed with heavy equipment, angular poles with strong tension or soft ground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igh-strength dry construction method of electric pole for electric wire using the root root.
  • the base drilling process for forming a drilling hole to the depth required for the pole pole in the unexpanded state of the expansion type drilling unit mounted on the auger crane;
  • An expansion excavation step of expanding the excavation hole by expanding the excavation unit with respect to the basic excavation hole;
  • Jeonju moving process for moving the electric pole to the upper side of the expanded drilling hole;
  • An electric pole restraining step of inserting the electric pole into the excavation hole in consideration of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all the bolts and the attachment direction of the electric pole number plate so that the root root is loc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electric pole;
  • a first backfill process for embedding the lower end of the pole and the root root;
  • a pole pole fastening step of fastening the pole pole to a pole located on the first backfill and connecting the lead wire of the pole pole root and the lead wire of the root pole to the earth wire of the pole pole when grounding is required;
  •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le that is equipped with a heavy weight device is required a high strength vertical support force, or a strong tensile force such as a pole that takes a lot of wire tension across the soft ground or angles or railroads, overpasses and rivers, or underground bearing force
  • a strong tensile force such as a pole that takes a lot of wire tension across the soft ground or angles or railroads, overpasses and rivers, or underground bearing force
  • the electric power supply can be prevented from inclining or falling down in the tension direction by giving strong vertical support force to the pole by the root root and the existing pole pole which are fastened to the buried bottom of the pole. It will be possible to effectively build high-quality power facilities.
  • Figure 2 is an expansion excavation process in the dry casting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 Figure 3 is a state of movement of the electric pole in the dry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root root tightening state diagram in the dry cas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state seating state in the dry dry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the first backfilling state diagram in the dry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 state of tightening electric pole in the dry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tension and the support force for the electric pole in the dry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view illustrating a construction showing an electric wire path to which the dry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the excavation work for the point where the pole is to be erected is performed using the extended drilling unit 10 mounted vertically using the auger crane.
  • the above-described extended drilling unit 10 is the same as the patent registration No. 0761778 issu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drilling blade (11) formed at the bottom of the drilling screw at the same time rotated by receiving hydraulic pressure from the auger crane The appearance of the work will be made.
  • a cylindrical basic drilling hole having a depth and a diameter of about 50 cm is required for the entry of the electric pole 30.
  • Figure 2 is an expansion drilling process diagram in the dry drill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expanding the secondary drilling blade 11 of the expansion type drilling unit 10 in the state of the basic drilling is made as described above
  • the auxiliary excavation blade 11 forms an excavation hole 20 of expansion having a diameter of about 80 cm.
  • the moved pole Before inserting into the excavation hole 20, as shown in Figure 4 is to separate the root root 40 to the lower end of the electric pole 30 to the opposite side of the tension to receive the electric wire.
  • the auger crane is operated to move the electric pole 30 including the root root 40 as shown in FIG.
  • the pole pole insertion process to insert and place the pole pole 30 and root root 40 is to be performed.
  • the root root 40 should be carefully operated so as to be loc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tension of the electric pole 30 acting by the electric wire.
  • the backfill operation is not made for the entire excavation hole 20, electric pole 30
  • the backfill operation should be performed only at the height except for the portion where the existing electric pole root 60 to b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buried part is installed.
  • the first backfill portion 50 formed by the backfilling operation is formed from the ground surface. The bottom of the 75cm to be formed so that it can be installed to install the existing electric pole root 60 using the empty space above.
  • the existing electric pole root 60 is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electric pole 30 exposed to the upper backfill 50.
  • the above-mentioned pre-weighing muscle 60 is most ideal to use the arch-shaped pre-wound muscles devis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necessary apply a round or rectangular pre-wound muscle You could do it.
  • the electric pole root 60 is to increase the bearing capacity for the electric pole 30 from the tension acting on the electric pole 30 as conventionally installed so as to b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root muscle 40 It will play a role.
  • the lead wire 61 drawn from the pole pole 60 and the ground wire 31 drawn from the pole pole 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fastening process for the pole pole 60 as described above. It is to ensure a stable ground state.
  • the electric pole root 60 which is appli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patent registration 0819389 or patent registration 0820070 or patent registration 0868233, the arcuate pole of the root function will be suitable, root root Even if the grounding function is provided, the grounding performance can be further improved.
  • the secondary backfill portion 70 has the same height as that of the surface by performing a backfill operation on the remaining excavation holes 20 as shown in FIG. 8. ) Can be formed.
  • the secondary backfill portion 70 as described above is to be able to maintain a solid ground state by performing a sufficient compaction work, when the work on the secondary backfill portion 70 is finished to clean up the work around You can do it.
  • the root root 40 as described above is to serve to further improve the bearing capacity for the tension of the electric pole 30 as it is install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tension on the bottom of the buried portion of the electric pole 30, electric pole 30 If the grounding operation is not sufficient for the existing ground electrode-attached arcuate pole value 60 or the cold area where the freezing depth is concerned or to obtain better grounding efficiency, as shown in FIG.
  • a root root having a separate grounding function using a root wire () the lead wire 41 drawn from the root root 40 and the lead wire 61 of the pole root (60) from the pole 30 (30)
  • the root root 40 may also use a root type having a conventional grounding function.
  • the root value 60 will be pressured toward the ground by the deflection tension, and such pressure acts as a reaction force due to the ground interference, providing the primary support for the pole 30, and the root of the lower portion.
  • the root muscle 40 is biased against the pole 30, the root muscle 40 is subjected to pressure to the ground by the deflection tension, and the root muscle 40 in the underground state is interfered with the ground. Due to the reaction will be to provide a secondary support for the electric pole (30).
  • Such root roots 40 may be fastened and installed with respect to poles installed in all the cable lines, but as shown in FIG. 11, the angle of the wire path is at right angles (a) or is disposed at right angles to the direction of the wire paths. It would be more desirable to apply to areas of weak or fragile ground or installation sites with high tension, such as points (b) or railroad crossings (c) or elevated road crossings (d) and river crossings (e). .
  • the high-strength dry construction method of electric poles for electric wires is not reinforcing the strength of electric poles supporting the electric wires, but reinforces the bearing capacity of the electric poles in the indentation state. It is an economical technology that can prevent economic problems, such as tilting, economically, reasonably and effectively at a low investment cost, so that high-quality electric power facilities can be built more robust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로용 전주를 고강도로 근입하기 위한 건주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거크레인에 장착 사용되는 확장형 굴착유니트를 이용하여 전주 근입부에 대한 용이한 굴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동시에 전주의 매설부 하단에 별도의 루트(root)근가를 장착하고, 상기의 루트근가와 함께 기존의 전주근가를 장착하되, 상기의 전주근가는 전주에 작용하는 장력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고정 설치하고, 상기의 루트근가는 전주에 작용하는 장력방향의 반대편에 고정 설치하여, 이들 전주근가와 루트근가에 의해 장력이 작용하는 전주에 대한 강력한 지지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강도 및 초고강도 전주의 성능을 극대화하여 활용할 수 있으며, 고중량의 기기가 설치되어 고강도의 수직 지지력이 요구되는 전주이거나, 연약지반이나 각도개소 또는 철도나 고가도로 및 하천 등을 횡단하는 전주와 같이 강력한 인장력이 작용하여 지반의 지지력 보강이 필요하거나 지중 지지력이 약한 상태의 전주인 경우, 전주의 매설부 하단에 체결된 루트근가 및 기존의 전주근가에 의해 전주에 대한 강력한 수직 지지력을 부여하여 상기의 전주가 장력방향으로 기울어지거나 쓰러지는 것을 적은 투자비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강도 및 초고강도 전주의 성능을 극대화시켜 대용량 전력공급을 위한 고품질의 전력시설을 더욱 견고하게 건설할 수 있는 경제성이 우수한 기술인 것이다.

Description

확장형 굴착유니트와 루트근가를 이용한 전선로용 전주의 고강도 건주공법
본 발명은 전선로용 전주를 고강도로 건설하기 위한 건주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확장형 굴착유니트를 이용하여 전주 및 근가에 해당하는 직경과 깊이로 굴착한 상태에서 전주의 하단에 별도의 루트근가를 전주의 장력방향 반대편에 고정 설치하여, 기존의 전주근가와 더불어 상기 루트근가에 의해 전선로용 전주에 대한 고강도의 근입 상태가 유지되게 하여 연약지반이나 각도개소 또는 철도나 고가도로 및 하천 등을 횡단하여 전선 장력이 많이 걸리는 전주에 대한 고강도의 건주가 적은 투자비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고품질의 전선로를 견고하게 시공하는 기술로서 경제성이 우수한 시공법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배전방식은 배전전압이 22.9kV로 시설되어 있으나, 대용량 배전 공급능력 확충의 시대적 요구 때문에 배전전압을 올리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대용량 배전설비의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과거 110V에서 220V로 승압하는 공사가 전국적으로 시행되었던 것이 이러한 이유때문인데, 이때 우리나라의 배전전압이 6.6kV에서 22.9kV로 바뀌었던 것이다.
여기서, 배전전압이 바뀌면 당연히 전력시설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모든 기자재들이 바뀌게 되는데, 전력시설물을 지지하는 전주와 그 전주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전주근가 및 지선과 그에 사용되는 지선근가는 대단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전선로의 전력공급 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전선로가 1단에서 2단 이상의 다단으로 구성되고, 전선의 굵기 또한 굵어짐(기존 최대:160sq -> 대용량 선로:240sq, 추후 300sq 이상의 전선도 적용될 예정)에 따라 이를 지지하는 지지물(전주)의 강도가 고강도로 요구되고, 이것도 부족하여 초고강도 전주가 등장하기도 했으며, 고강도 전주의 근입을 보강하기 위하여 전주 주변 굴착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기초형태로 시공하는 사례도 있으며, 전선로의 표준경간도 기존 50m에서 30m로 줄이는 형태로 선로의 구성이 이루어지고 있다.
즉, 전주의 경우 과거의 일반 전주로부터 점진적으로 전주 자체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철근의 종류 또는 철근의 굵기와 개수 및 콘크리트의 물성을 달리하여 제작된 중하중 전주와 고강도 전주 및 초고강도 전주로 개량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전주에 대한 강도의 보완은 그 전주 자체의 강도만을 보강하는 것이어서 전선로에 작용하는 강력한 고하중의 인장력으로 인해 토지의 지반 상태에 따라 상기의 전주에 대한 기울어짐이나 쓰러짐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의 해소와 더불어 대용량 전력공급을 위하여 배전선로의 경과지 확보를 목적으로 하는 고강도 지선근가와 그에 따른 시공법을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고강도 지선근가에 의한 시공법은 어디까지나 지선은 전주가 받는 장력에 대한 부수적인 시설물인 것으로서 근본적으로 지선근가 이전에 설치되는 전주에 대한 전주근가에 관해서는 전선로의 대용량화에 따른 어떠한 대비책이나 시공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오거크레인에 장착 사용되는 확장형 굴착유니트를 이용하여 전주 근입부에 대한 용이한 굴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동시에 전주의 매설부 하단에 별도의 루트(root)근가를 장착하고, 상기의 루트근가와 함께 기존의 전주근가를 장착하되, 상기의 전주근가는 전주에 작용하는 장력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고정 설치하고, 상기의 루트근가는 전주에 작용하는 장력방향의 반대편 매설부 하단에 고정 설치하여, 이들 전주근가와 루트근가에 의해 장력이 작용하는 전주에 대한 강력한 지지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중량의 기기가 설치되는 전주나 강력한 장력이 발생되는 각도주 또는 연약지반 등에 시공된 전주에 대한 지지력을 강화시켜 고품질의 전력 공급을 위한 전력시설의 건설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 확장형 굴착유니트와 루트근가를 이용한 전선로용 전주의 고강도 건주공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오거크레인에 장착된 확장형 굴착유니트의 미확장 상태에서 전주 근입에 필요한 깊이로 굴착공을 형성하는 기초굴착공정과; 기초굴착공에 대하여 굴착유니트를 확장시켜 굴착공을 확장하는 확장굴착공정과; 확장된 굴착공의 상측으로 전주를 옮기는 전주이동공정과; 이동된 전주의 하단에 루트근가를 체결하는 루트근가체결공정과; 상기의 전주에 대한 장력 반대방향에 루트근가가 위치하도록 전부 발판볼트의 설치 및 전주 번호찰의 부착 방향을 고려하여 전주를 굴착공에 삽입하는 전주안치공정과; 상기의 전주 하단 및 루트근가가 매립되도록 하는 1차되메움공정과; 상기 1차되메움부 상에 위치한 전주에 전주근가를 체결하고, 접지시공 필요 시 상기 전주근가의 리드선과 루트근가의 리드선을 전주의 접지선에 접속하는 전주근가체결공정과; 전주근가가 위치하는 굴착공에 대한 2차되메움공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고중량의 기기가 설치되어 고강도의 수직 지지력이 요구되는 전주이거나, 연약지반이나 각도개소 또는 철도나 고가도로 및 하천 등을 횡단하여 전선 장력이 많이 걸리는 전주와 같이 강력한 인장력이 작용하거나 지중 지지력이 약한 상태의 전주인 경우, 전주의 매설 하부에 체결된 루트근가 및 기존의 전주근가에 의해 전주에 대한 강력한 수직 지지력을 부여하여 상기의 전주가 장력방향으로 기울어지거나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전력공급을 위한 고품질의 전력시설을 효과적으로 건설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주공법에서의 기본굴착과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주공법에서의 확장굴착과정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주공법에서의 전주 이동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주공법에서의 루트근가 체결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주공법에서의 전주 안착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주공법에서의 1차 되메움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주공법에서의 전주근가 체결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주공법에서의 2차 되메움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건주공법에서의 루트근가에 대한 접지선 연결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건주공법에서의 전주에 대한 장력 및 지지력을 보인 설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주공법이 적용된 전선로를 도시한 시공 예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주공법에서의 기본굴착과정도이다.
도시와 같이 오거크레인을 이용하여 수직으로 장착된 상태의 확장형 굴착유니트(10)를 이용하여 전주가 세워질 지점에 대한 굴착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의 확장형 굴착유니트(10)는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안출된 특허등록 제0761778호와 같은 것으로서, 오거크레인으로부터 유압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동시에 굴착스크류의 하부에 형성된 보조굴착날(11)의 출몰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만들어진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기본굴착공정에서는, 전주(30)의 근입에 필요한 깊이와 대략 직경 50cm 정도의 원통형 기초굴착공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주공법에서의 확장굴착과정도로서, 상기와 같은 1차 굴착공에 대한 기초 굴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확장형 굴착유니트(10)의 보조굴착날(11)을 확장 전개시켜 그 보조굴착날(11)에 의해 대략 80cm 정도의 지름을 갖는 확장의 굴착공(20)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3의 도시와 같이 오거크레인으로 설치하고자 하는 전주(30)를 들어 상기와 같은 굴착공(20)의 상부로 이동시키는 전주이동공정을 수행하는 것이고, 이동된 전주를 상기의 굴착공(20)에 삽입하기 전, 도 4의 도시와 같이 전주(30)의 밑둥인 하단부에 별도의 루트근가(40)를 전선로가 받을 장력의 반대편에 체결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루트근가(40)에 대한 체결공정이 종료되면, 상기의 오거크레인을 작동시켜 도 5의 도시와 같이 루트근가(40)를 포함하고 있는 전주(30)를 하향 이동시켜 그 굴착공(20)의 내측으로 전주의 발판볼트 설치 및 전주 번호찰 부착 방향을 고려하여 전주(30) 및 루트근가(40)를 삽입 및 안치시키는 전주안치공정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에도, 상기의 루트근가(40)는 전선에 의해 작용하는 전주(30)의 장력과 반대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작업을 도모하여야 함은 당연한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6의 도시와 같이 상기의 굴착공(20)에 대한 되메움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인데, 상기의 되메움작업은 굴착공(20)의 전체에 대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전주(30)의 매설부 상단에 장착될 기존의 전주근가(60)가 설치된 부분을 제외한 높이로만 되메움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것인데, 예컨데 상기의 되메움작업에 의해 이루어지는 1차되메움부(50)는 지표면으로부터 75cm의 아랫쪽까지만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의 빈 공간부를 이용하여 기존의 전주근가(60)를 장착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1차되메움부(50)가 만들어진 상태에서, 도 7의 도시와 같이 1차되메움부(50) 상측으로 노출된 전주(30)의 하단부에 기존의 전주근가(60)를 장착하는 전주근가체결공정을 수행하면 되는 것인데, 상기의 전주근가(60)는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안출된 아치형 전주근가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일 것이고, 필요에 따라서는 원형이나 장방형 전주근가를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특히, 상기의 전주근가(60)는 상기 루트근가(40)의 반대편에 위치하도록 장착 설치함에 따라 기존과 같이 전주(30)에 대하여 작용하는 장력으로부터 상기의 전주(30)에 대한 지지력을 상승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접지시공이 필요한 경우 상기와 같은 전주근가(60)에 대한 체결공정에서 전주근가(60)로부터 인출되는 리드선(61)과 전주(30)로부터 인출되는 접지선(31)을 서로 접속시킴에 따라 안정적인 접지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에 적용되는 전주근가(60)는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안출된 특허등록 제0819389호 또는 특허등록 제0820070호 또는 특허등록 제0868233호와 같은 접지기능의 아치형 전주근가가 적합할 것이며, 루트근가에도 접지기능을 부여하여 시공하면 접지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의 전주근가(60)에 대한 체결 및 접속이 이루어지면, 도 8의 도시와 같이 나머지 굴착공(20)에 대한 되메움 작업을 수행하여 지표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2차되메움부(70)를 형성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2차되메움부(70)는 충분한 다짐작업을 수행하여 견고한 지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는 것이며, 2차되메움부(70)에 대한 작업이 종료되면 작업장 주변을 정리하여 마무리를 하면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루트근가(40)는 전주(30)의 매설부 하단에 장력의 반대방향으로 설치됨에 따라 전주(30)의 장력에 대한 지지력을 가일층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인데, 전주(30)에 대한 접지작업이 기존의 접지극 부착 아치형 전주근가(60) 만으로 충분하지 않거나 동결심도가 우려되는 추운지역 또는 더욱 우수한 접지 효율을 얻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9의 도시와 같이 상기의 루트근가(40)를 사용하되 별도의 접지기능을 갖는 루트근가를 사용하여 그 루트근가(40)로부터 인출되는 리드선(41)과 전주근가(60)의 리드선(61)을 전주(30)로부터 인출되는 접지선(31)에 접속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되면, 이들 루트근가(40)와 전주근가(60)에 의해 이중의 접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때에도, 상기의 루트근가(40) 역시 기존의 접지기능을 갖는 형태의 근가를 사용하면 될 것이다.
이러한 일련의 작업 과정을 통해 세워 설치된 상태의 전주(30)는 도 10의 도시와 같이 긴장된 상태의 전선을 통해 작용하는 인장력으로 인해 전주(30)에 대한 편향의 장력이 발생하게 되면, 상부의 전주근가(60)는 상기의 편향 장력에 의해 지중을 향하여 압력을 받게 될 것이고 이와 같은 압력은 지중 간섭으로 인한 반력으로 작용하여 전주(30)에 대한 1차적인 지지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고, 하부의 루트근가(40)는 전주(30)에 대한 편향 장력이 발생하는 경우 그 편향 장력에 의해 루트근가(40)는 지상으로의 압력을 받게 되면서 지중 매설 상태인 루트근가(40)는 지반과의 간섭으로 인한 반력을 통해 전주(30)에 대한 2차적인 지지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매설된 전주(30)의 상부와 하부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위치하는 전주근가(60)와 루트근가(40)는 전주(30)에 작용하는 장력으로부터 각기 하향반력과 상향반력을 작용시켜 전주(30)의 지지력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루트근가(40)는 모든 전선로에 설치되는 전주에 대하여 체결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나, 도 11의 도시와 같이 전선로의 방향이 직각인 각도개소(a)이거나, 전선로의 방향과 직각으로 배치되는 인류개소(b) 또는 철도 횡단개소(c)나 고가도로의 횡단개소(d) 및 하천 횡단개소(e)와 같이 지반이 연약하거나 취약한 부분 또는 많은 장력이 부여되는 설치 개소에 적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각도개소(a) 및 인류개소(b)인 경우에는 전주(30)의 하단부에 각각의 전선로와 반대방향으로 두 개의 루트근가(40)를 상,하 연접하여 설치함에 따라 두 방향에서 작용하는 장력에 대한 효과적인 지지력을 얻을 수 있을 것이고, 연약지반이나 큰 장력이 작용하는 개소와 같이 추가의 근입보강이 필요한 경우에도 상기의 루트근가(40)를 평면상 직교되게 상,하로 연접하여 추가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전선로용 전주의 고강도 건주공법은, 전선로를 지지하는 전주 자체의 강도를 보강하는 것이 아닌 전주의 근입 상태에 대한 지반의 지지력 보강이므로 연약지반이나 큰 장력이 작용하는 설치개소에서 상기의 전주가 기울어지는 등의 문제점을 적은 투자비로 경제적이며 합리적이고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고품질의 전력시설을 더욱 견고하게 건설할 수 있는 경제성이 높은 기술인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3)

  1. 오거크레인에 장착된 확장형 굴착유니트의 미확장 상태에서 전주 근입에 필요한 깊이로 굴착공을 형성하는 기초굴착공정과; 기본굴착공에 대하여 굴착유니트를 확장시켜 굴착공을 확장하는 확장굴착공정과; 확장된 굴착공의 상측으로 전주를 옮기는 전주이동공정과; 이동된 전주의 하단에 루트근가를 체결하는 루트근가체결공정과; 상기의 전주에 대한 장력 반대방향에 루트근가가 위치하도록 전주 발판볼트의 설치 및 전주 번호찰의 부착 방향을 고려하여 전주를 굴착공에 삽입하는 전주안치공정과; 상기의 전주 하단 및 루트근가가 매립되도록 하는 1차되메움공정과; 상기 1차되메움부 상에 위치한 전주에 전주근가를 체결하는 전주근가체결공정과; 전주근가가 위치하는 굴착공에 대한 2차되메움공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굴착유니트와 루트근가를 이용한 전선로용 전주의 고강도 건주공법.
  2. 제 1항에 있어서,
    전주근가체결공정에서, 전주근가로부터 인출되는 리드선을 전주로부터 인출되는 접지선과 접속하는 접지선연결작업을 추가로 수행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굴착유니트와 루트근가를 이용한 전선로용 전주의 고강도 건주공법.
  3. 제 1항에 있어서,
    루트근가체결공정에서, 루트근가로부터 인출되는 리드선을 전주로부터 인출되는 접지선과 접속하는 접지선연결작업을 추가로 수행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굴착유니트와 루트근가를 이용한 전선로용 전주의 고강도 건주공법.
PCT/KR2011/002914 2010-04-22 2011-04-22 확장형 굴착유니트와 루트근가를 이용한 전선로용 전주의 고강도 건주공법 WO2011132980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167A KR20110117768A (ko) 2010-04-22 2010-04-22 확장형 굴착유니트와 루트근가를 이용한 전선로용 전주의 고강도 건주공법
KR10-2010-0037167 2010-04-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32980A2 true WO2011132980A2 (ko) 2011-10-27
WO2011132980A3 WO2011132980A3 (ko) 2012-03-08

Family

ID=44834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1/002914 WO2011132980A2 (ko) 2010-04-22 2011-04-22 확장형 굴착유니트와 루트근가를 이용한 전선로용 전주의 고강도 건주공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10117768A (ko)
WO (1) WO2011132980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33608A (zh) * 2015-09-07 2015-12-09 国网山东省电力公司济南供电公司 电力施工用锚杆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5547U (ja) * 1983-02-15 1984-08-23 近畿コンクリ−ト工業株式会社 柱体の根枷
JPH0516841U (ja) * 1991-08-16 1993-03-02 日本コンクリート工業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電柱用根かせ
KR100740013B1 (ko) * 2006-10-24 2007-07-16 대원전기 주식회사 오거크레인용 확장형 굴착유니트를 이용한 가공선로건주공사 시공법
KR100819389B1 (ko) * 2008-02-15 2008-04-04 대원전기 주식회사 동복강판에 의한 접지판 및 그 접지판을 갖는 아치형전주근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5547U (ja) * 1983-02-15 1984-08-23 近畿コンクリ−ト工業株式会社 柱体の根枷
JPH0516841U (ja) * 1991-08-16 1993-03-02 日本コンクリート工業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電柱用根かせ
KR100740013B1 (ko) * 2006-10-24 2007-07-16 대원전기 주식회사 오거크레인용 확장형 굴착유니트를 이용한 가공선로건주공사 시공법
KR100819389B1 (ko) * 2008-02-15 2008-04-04 대원전기 주식회사 동복강판에 의한 접지판 및 그 접지판을 갖는 아치형전주근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33608A (zh) * 2015-09-07 2015-12-09 国网山东省电力公司济南供电公司 电力施工用锚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7768A (ko) 2011-10-28
WO2011132980A3 (ko) 201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124824U (zh) 一种桥梁施工用浮式钻孔平台
CN106012872B (zh) 连续刚构桥的无背索斜拉加固体系及施工方法
CN111305258A (zh) 装配式抗震抗冻融变形波纹板刚柔型挡土墙
CN207700821U (zh) 一种立杆架设装置
CN105155548B (zh) 一种拉索式双排桩(墙)支护结构
CN204851302U (zh) 矿山井下大跨度硐室起吊梁锚杆固定结构
CN107542096A (zh) 一种相邻基坑间坝体的支护结构
WO2010085061A2 (ko) 가공배전선로가 포함된 전주의 설치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무정전 보수 시공방법
RU2312187C1 (ru) Способ прокладки подземных переходов и тоннелей и секция подземного перехода или тоннеля
CN202117073U (zh) 输电线路铁塔偏心装配式基础
WO2011132980A2 (ko) 확장형 굴착유니트와 루트근가를 이용한 전선로용 전주의 고강도 건주공법
CN103741708A (zh) 预制式砼杆套筒基础
CN212477800U (zh) 一种锚固格宾挡土墙
CN113700369A (zh) 一种防沉降式水泥杆加固基础
CN207244615U (zh) 一种抗滑桩与结构桩合二为一结构
CN111244825A (zh) 一种跨路电缆铺设结构及其施工方法
CN216999758U (zh) 一种靠近已有建筑物的基坑支护的安装结构
CN111622126A (zh) 高山岩区高空垂直载人通道的施工方法
CN213476773U (zh) 一种城市河道生态护岸结构
CN210395410U (zh) 一种适用于山区陡峭地形带水平锚杆的输电塔桩基础
CN210517719U (zh) 一种大坡度电缆桁架结构
CN213508354U (zh) 陡坡地形下水电站开关站屋面出线场结构
CN108837518A (zh) 游乐场软桥及游乐设施以及软桥和游乐设施的施工方法
CN214194626U (zh) 一种山区输电杆塔锚索装配式基础
CN220620194U (zh) 一种应用于箱变的基础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177226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in: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177226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