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0016708A2 -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0016708A2
WO2010016708A2 PCT/KR2009/004341 KR2009004341W WO2010016708A2 WO 2010016708 A2 WO2010016708 A2 WO 2010016708A2 KR 2009004341 W KR2009004341 W KR 2009004341W WO 2010016708 A2 WO2010016708 A2 WO 2010016708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ranch pipe
packing
pipe
curved
inle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434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0016708A9 (ko
Inventor
오정호
Original Assignee
Oh Jung-Ho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90018876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00017040A/ko
Application filed by Oh Jung-Ho filed Critical Oh Jung-Ho
Publication of WO2010016708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16708A2/ko
Publication of WO2010016708A9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16708A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14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by screwing an intermediate part against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12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using attaching means embracing the pip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nch pipe socket attachment device for drilling a hole in the side of the main pipe and attaching the connection pipe without the use of a T pipe when connecting the main pipe and the branch pipe (connecting pipe), particularly in the case of sewage pipe, 1-piece branch socket attachment for use only in finely drilled holes and 2-piece branch socket attachment for dividing inner washers larger than inlet holes used for drilling with relatively simple tools (saws, electric saws, etc.) without perforations 2piece and 1piece structure of geometric cross-sectional shape such as ellipse, rectangular shape, etc., and in the case of pipes already buried underground, it relates to a 1piece branch socket attachment device that can work at different angles to the pipe by uncut method.
  •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two-piece branch socket socket attachment device, 1piece branch socket socket attachment device and 1piece branch pipe socket attachment device for non-cutting method, suitable for these, small inlet hole and even one piece in the inlet hole inlet hole.
  • Larger forced expansion, forced pleat, crease recovery, etc. prevents the branch socket from being pulled out of the hole, and presses, expands and seals the packing in the periphery or inlet of the edge of the pipe or at the end of the inlet hole.
  • the watertight packing structure improves watertightness in 3 ⁇ 4 by adding caulking material, adhesive, etc., It is one-touch fastening structure to improve workability, and it can be disassembled (disassembled). If you make a geometric hole, it is possible to have a structure of a fixed T branch socket attachment device.
  •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5-0078633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5-0080133,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531157,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
  • a 2008-0012129 which has a common use of the watertight means of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No. 10-2006-0068953 and utilizing the divided inner washer.
  • the branch pipe and the packing are integrated, the problem of one-touch insertion is not easy and the watertightness of one or two is required, and an improvement point is needed.
  • JP Patent No. 3415900 is a conventional 1piece branch pipe socket attachment device.
  • the main body (branch socket) is installed in the main pipe buried in the ground by a non-cutting method.
  • it is a structure that should be classified into triples such as packing, moving and rotating cylinders in the inflow hole (connecting hole), so that the inflow hole becomes large and the structure of the second sealing of the packing is simply expanded.
  •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0772712 differs from JP Patent Registration No. 3415900, except that the fastening hole is large and the packing is also simple. Therefore, the branch pipe is pulled out from the inlet hole. When there is a problem with watertightness. Of course, it can't be used like T.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velop a structure that is fastened even if small inlet hole on the side of the pip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background technology, the watertight part of the packing overlapping more than three or four times, the development of one-touch fastening means,
  • problems such as the development of forced wrinkle forming watertight means that the branch pipe cannot be pulled out from the inlet hole, the development of the reinforcement piece of the bu-chat type, and the development of the branch pipe socket fastened by the non-cutting method are to be solved.
  • the present invention can realiz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by means of fastening means for attaching them to the pipe inlet hole, assembling means of the branch pipe and the inner washer projecting pipe, watertight means, etc. Can be. Therefore, according to the technic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utting the inner washer integral with the curved wing piece of the steel material (rigid) larger than the inlet hole, and put it into the inlet hole, using a watertight means to pressurize the packing to the original shape Watertight means for vertically inserting the curved wing pieces of steel material equal to or similar to the inlet hole integral with the lower part of the branch pipe of the two pieces and the steel, and pressurizing the packing, and in particular, forming the pleats in the packing.
  • the branch pipe 200 becomes the branch pipe of the upper and lower parts 201 and 202, and the packing upper part is integrated with the lower branch pipe so that the nut 400 is formed.
  • the packing curved wing piece 73 is pressed between the inner washer curved wing piece 310 and the pipe inner surface 620 so that it is watertight.
  • the horizontal surface 203 of the branch pipe as the catching portion 44 (refer to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5-0080133), and when it is packed in Figs. At this time, the outer surface or the outer surface of the extension portion when forming a groove groove 717 along the curved surface and elasticity
  • This good packing material, soft packing material, adhesive such as liquid, sponge, caulking material, silicone material, water-expandable rubber, grease, etc. (707) are formed and, if necessary, sealed with vinyl or tape and removed when tightened with nuts.
  • the assembly means is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5-0086228, Patent Registration No. 0531157, and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311 -0094247, 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No. 10-2006-0081386, 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No. 10-2006-0126241, 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No. 10-2006-0111967, 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No. 10-2006-0108620, 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No. 10-2006-0114477 or the like can also be utilized as an assembly means, which is also included in the assembly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reinforcing washer 800 or the saddles integral with the upper and middle packing parts are pressed with the saddle 800 and the nut is tightened as in the first configuration.
  • the fastening means is the same, and the lower branch pipe slides only from the center of the packing to the lower branch pipe, and the lower part of the packing (inner part; 73)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inlet hole and the periphery of the end of the inlet hole and the inner part of the pipe.
  • the watertightness becomes fourfold and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alized.
  • the assembly means of a 1st structure is the same as the assembly means of a 1st structure.
  • the third configuration is a composite of the first configuration and the second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s. 11 and 12 (see the detailed description) between the packing pressing surface and the curved wing piece 310 larger than the inlet hole around the reinforcement washer 800. It is watertight as in two configurations, and the upper side of the reinforcement washer is made of height-adjusting packing even when the branch pipe moves upward by tightening the nut, and the upper part 71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upper branch pipe outer surface or the lower branch pipe to be watertight. Watertight is four-watertight.
  • the fourth to sixth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the rigid branch pipe integrated with the curved wing pieces entering the inlet hole under the branch pipe, and the fastening means of the first to third configurations.
  • ⁇ It is a curved wing piece on the upper outward side of the middle and lower packing, and the center part is located on the inlet hole and branch pipe outer surface, and the lower part of the expanded part that is lon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ipe is curved packing. Accordingly, when the upper and lower branch pipe diameters are different as shown in FIGS. 13 and 14, the saddle bottom and the reinforcement washer are integrally formed or the reinforcement washer or the divided reinforcement washer 800 is used to curved the packing center portion in the lower branch pipe.
  • the fifth configuration is a 1piece type as shown in Fig. 21 (see details), and the watertight means has a lower forced diameter and a forced pleat, so that the pleats larger than the inlet hole a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inlet en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pipe are larger than the inlet hole.
  • the branch pipe is not pulled out of the inlet hole and the triplet watertight by the addition of adhesive (see detailed description of FIG. 17) to realize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ixth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e fourth configuration and the fifth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s. 22 to 34 (see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watertight means forms a wrinkle larger than the inflow hole at the periphery of the inlet end, unlike the fourth configuration.
  • the support frame 780 or the groove groove 733 formed therein or the horizontal or vertical projections or inclined projections are formed at different positions on the branch pipe curved wing piece and its upper side, respectively, when lowering the diameter when tightening the nut 400. It is a structure that is not compressed.
  • Figure 34 is a packing utilization structure in which the pleats are formed in advance in the packing as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structure is to be released when the nu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ranch pipe when used in the inlet hole and the wrinkle is restored when tightened with the nut, the present invention To realize the technical challenges.
  • the adhesion and attachment of the inn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upport frame with an adhesive or the like may also compress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without expanding the diameter.
  • the 7th to 9th constitutions are non-open structures (se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Figs. 35 to 39), and unlike the 4th to 6th constitutions, it is difficult to work from the ground to the main pipe by digging. It is a structure that is used when fastening the main pipe vertically or obliquely without digging with non-opening and tightening it with the main pipe. Saddles, nuts and nuts in the fourth, fifth and sixth configurations Fastening up and down by simultaneously moving the movable sleeve 300 and the movable sleeve which are integrated into the branch socket (200) with one engine and the curved wing piece which is moved up and down and are inserted into the inlet hole.
  • the seventh configuration is a fastening means to the rotary sleeve 400 of Figures 35-38 But inside the swivel sleeve Tighten the movable sleeve and the rotating sleeve by forming a male thread that is formed and engaged with the movable sleeve outer surface, and then connect the connecting tube to the branch pipe and turn the movable sleeve and packing into the inlet hole drilled into the main pipe.
  • the movable sleeve moves upwards to enlarge the lower portion of the packing as in the fourth configuration by the curved blade, thereby realizing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do.
  • This structure has the advantage of small inlet holes.
  • the inner sleeve is a female sleeve formed with a movable sleeve
  • the rotating sleeve is formed with a male screw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ranch pipe socket in the structure to rotate the rotating sleeve by plugging the rotating sleeve, as shown in Figs.
  • the inflow hole drilled in the pipe is a little larger than the structure of FIGS.
  • the watertight means is the same as the watertight packing of the fifth configuration and the fastening means is the same as the seventh configuration to realize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watertight means is the same as the sixth configuration (refer to FIGS. 22 to 34), and the fastening means is the same as the seventh configuration. Therefore, in the seventh to nineth configurations, the fastening means is a single screw and can be watertightly adhered to the curved wing piece 76 on the outward side of the packing by the bottom of the branch pipe or the bottom of the saddle and by an adhesive or the like as necessary. It is triple watertight.
  • the tenth configuration forms a protruding frame below the inner surface of the branch pipe socket instead of the rotating sleeve that is a single screw tightening in the fourth, fifth, sixth, seventh, eighth, and ninth configurations, and thus a plurality of bolts
  • the branch pipe socket formed with a number of bolt holes to be inserted at the periphery thereof (see FIG. 40).
  • the seventh and eighth configurations include a movable sleeve and a packing in which the female threads are formed in the same position as the bolt holes in the movable sleeve, and the same number of female threads are formed.
  • the fastening means and watertight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realized by attaching and utilizing various packings to the movable sleeve as in the configuration and ninth configuration.
  • the eleventh configuration is a branch pipe socket having a plurality of wedge insertion grooves having an inclined surface to be wedg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rotruding frame instead of a plurality of bolts in the tenth configuration (see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6-0126241 of the present cause). It consists of movable sleeve, packing and wedge form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inclined groove on the movable sleeve side and the same number of wedge holes on the side, and the movable sleeve is inserted into the branch pipe socket and the wedge is inclined at the inner side of the movable sleeve. Since the movable sleeve is fastened by tightening the wedge by applying a wedge to the groove,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alized by expanding and sealing the lower part of the packing.
  • the twelfth configuration is a cross-section of the lower branch pipe is a geometric cross section, such as an ellipse and a rectangle other than a garden, utilizing the prior applicatio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8-0012129 of the present cause, and the holes drilled in the pipe ar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cross section, and the two pieces and 1piece is divided into 1piece, 3rd fastening means, assembling means and watertight means, 1piece is the fastening means and watertight means of 4th to 6th configurations, and the packing is geometric cross-sectional shape of the lower branch pipe. Use packing in place. In the non-cutting structure, it is 1 piece, and it is utilized in the limited standard in the seventh and ninth configurations, and these are also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they realize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hirteenth configuration may utilize other separate donut-type watertight packs as watertight means, which are utilized for various branch pipe sockets, but are divided into curved blade pieces 310 larger than the inlet holes of the first to third configu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utilize for an inner washer and this is also included in this invention.
  • the watertight packing of the 4th-9th structure can be utilized for JP Patent Registration No. 3415900 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772712, and this is also included in this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motes the safety of the pipe structure by making small holes in the pipe, and the holes and holes in the pipe are used in geometric cross-section holes such as ellipses, rectangles, rectangles, as well as irregular circles other than the garden, and uncut structures and
  • the connecting pipe becomes the branch pipe socket attachment device that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maximum main pipe, and it has the structure of 2 ⁇ 4 levels of water density and superimposed watertightness, and improves the watertightness. It is commonly used in Edo, and it is a non-open method structure that is installed without digging up and down in the already laid pipes, so it can be used for new pipes and already installed pipes, and it is widely used in industrial and sewage pipe fields. It is the invention which becomes effective.
  • FIG. 1 is an exploded front and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ate in which Figure 1 is fastened to the pipe
  • FIG. 3 is an explanatory view of a packing integral with the branch pipe of FIG.
  • Figure 4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packing state before insertion into the inlet hole in Figure 3
  • FIG. 5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packing state inserted into the inlet hole in FIG.
  • FIG. 6 is an explanatory view of a packing state in which insertion is completed in an inlet hole in FIG. 5;
  • Figure 7 is an illustration of the inner washer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inner washer of FIG. 7; FIG.
  • FIG. 9 is a packing explanatory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astening state of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astening state of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astening state of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ranch pip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erted into a pipe;
  • FIG. 15 is an explanatory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lower branch pipe is separated in FIG. 13.
  • 16 is a packing explanatory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7 is another explanatory view of the packing of FIG.
  • FIG. 18 is another explanatory diagram of FIG. 17.
  • FIG. 19 is another explanatory diagram of FIG. 18.
  • Figure 22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packing fastening stat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3 is an explanatory view of a state in which packing fastening of FIG. 22 is completed
  • FIG. 24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reinforcing piece expansion of FIG. 23.
  • 26 is another explanatory diagram of a curved wing piece
  • FIG. 29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overlapping blade pieces in FIG. 28; FIG.
  • FIG. 31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the insertion process of FIG.
  • FIG. 32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state after insertion of FIG. 31;
  • FIG. 33 is an explanatory view of a state after fastening in FIG. 32;
  • 35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6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the combination of FIG.
  • FIG. 37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FIG. 36 fastened to a pipe
  • FIG. 38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inserting FIG. 37 into the main pipe
  • FIG. 39 is an exploded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FIG. 35.
  • 200, 201, 202 branch pipe or upper and lower branch pipes
  • wing side outward 207 protrusion or rim
  • wing 315 bulge pressure frame
  • protruding tube V-shaped space portion 380 locking protrusion of eaves shape
  • protrusion frame 440 cover
  • O-Ring 780 Support Frame
  • FIG. 1 is an exploded front view and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addle 100 integral with the protruding pipe 150 is inserted into the upper branch pipe, the upper branch pipe 201 and the lower branch pipe diameter
  • the upper part 71 of the branch pipe 200 which consists of 202
  • the packing 71 which consists of the upper part 71, the center part 72, and the lower part 73 which is a curved wing piece is integral with a lower branch pipe
  • a reinforcement washer 800 and an inner washer 300 which is integral with the protruding tube on the upper side of the curved wing piece larger than the inlet hole, and if necessary, the tension line 6 is connected to the protruding tube and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branch pipe.
  • An inlet hole 650 is formed in the pipe 600, and a symbol 700 represents a connection pipe.
  • the packing 70 may be as shown in FIG.
  •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ate in which Fig. 1 is fastened to the pipe, the fastening process is folded into the inlet hole by dividing the inner washer while holding the tension lin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ranch pipe in the inlet hole and the wing piece 73 of the packing 4 or press the curved curved wing piece 73 downward toward the inlet hole, as shown in FIG. 4, and narrows as shown in FIG. It is caught in the periphery of the inner surface of the pipe so as to be the same as the inner surface, and the tension line 6 is pulled into the lower branch pipe 202 so that the end face of the protruding pipe is inserted into the inner surface.
  • the locking protrusion 380 of the hook and the biscuit reinforcement washer 800 is placed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bifurcation at the bottom of the upper bifurcation tube, and the bottom of the saddle 100 is placed on the bismuth reinforcement washer.
  • the saddle tree (400) When rotating, the saddle tree (400) to press the reinforcing washer and the lower saddle-minute pressure to the lower packing 73 to the inner washer blade piece 310. By pressing the peripheral portion at the same time between the engine, and shows that the tight fastening.
  •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branch pipe has a longitudinal groove formed on both sides symmetrically with the exception of only a portion of the lower side from the upper side (this is called a stopper).
  • the saddle protrusion pipe must be inserted from the bottom of the lower branch pipe so that the saddle protrusion pipe longitudinal rail is a longitudinal groove and there is a distinct symmetry between the groove and the groove. Inserting a key with a longitudinal rail and tightening the key with the beater key on the side of the saddle protrusion may prevent the birds from being pulled downward.
  • FIG. 3 is an explanatory view of a packing integral with the branch pipe of FIG. 1, wherein the packing 70 is upper, middle, and lower parts 71, 72, and 73, and the upper part 71 is integral with the lower branch pipe 202. Corrugation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72 and a packing lower portion 73 larger than the inflow hole is formed.
  • FIG. 4 is an explanatory view of a packing state before insertion into an inlet hole in FIG. 3
  • FIG. 5 is an explanatory view of a packing state inserted into an inlet hole in FIG. 4, and FIG.
  • the lower branch pipe 202 is integrally wrapped with the upper packing 71 and the lower groove 74 is formed o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packing central portion 72 and the lower pleated ribbon 77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thereof.
  • a curved wing piece 73 which is lower than the inlet hole,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entral portion 72, and if necessary, between the enlarged portion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packing center portion or between the enlarged portion and the outer surface, the yaw along the curved surface is required.
  • a groove frame 717 is formed and a flexible packing material, a soft packing material, an adhesive such as a liquid, a sponge, a caulking material, a silicone material, a water-expandable rubber, a grease, etc. are formed, and a vinyl or a tape as necessary. Remove when sealing and tightening with nuts, so that the perimeter or end of the inlet end Is watertight from 3-4, such as in close contact with the ball or in the pipe inner surface, compression bonding, bonding to improve the water tightness.
  • This structure is characterized by one-touch tapping of the branch pipe (One-Touch), and it has a feature of improving workability.
  • FIG. 7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inner washer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ner washer projecting pipe upper surface 350 is folded to the center of the hinge and inserted into the inlet hole and when the inner space of the pipe is narrow, the inlet hole size can be reduced and the narrow inner pipe surface In the inner washer is unfolded in a circular shape by forming the upper surface 350 in a curved surface is characterized by facilitating fastening.
  • FIG. 8 is an explanatory view of another inner washer of FIG. 7 and shows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upper surface is a curved surface or an inclined surface, and the cut surface 365 may be formed as a V-shaped space portion 366 as necessary.
  •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ding fram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ranch pipe is preferably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washer protruding pipe.
  • FIG. 9 is an explanatory view of a pack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ranch pipe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urved wing piece smaller than the inlet hole at the end 295 of the lower branch pipe 202 integrated with the upper branch pipe.
  • the inner washer 300 is a locking portion 55 is caught or tightened with the protruding pipe 360 is integral with the protruding pipe 360 and the branch pipe catching portion 44 on the protruding pipe larger than the inlet hole.
  • the concave groove 74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tubular center between the inlet hole and the inner washer protruding tube and the lower portion 73 of the lower portion lon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ipe are formed in the tubular shape or the end thereof is larger than the inlet hole.
  • the lower surface is the packing 70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urved wing piece 310, equipped with a nut 400, the saddle is inserted into the lower branch pipe from the top of the packing from the top of the lower branch pipe into the groove into the inlet hole folded in the state Rotating the nut 400 while the inserted inner washer protruding tube is tightened with the lower branch pipe and a plurality of bolts, the reinforcing washer of the bottom of the saddle presses the packing pressing surface, and the lower part 73 is enlarged outward. Pressure tightly tightens the inner surface and the periphery of the end of the inlet hole and into the inlet hole as necessary.
  • FIG. 10 is an explanatory view of a fastening stat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lower branch pipe 202 outer surface end curved wing piece 295 is removed, and the engaging portions 44; 243 are disposed at the inner periphery of the lower branch pipe 202.
  • the formed branch pipe (200), in the packing 70 to remove the groove (74) that the lower branch pipe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acking center portion 72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addle or reinforcement washer as needed.
  • One wedge (60) is a packing formed with a slanted groove (790) is formed, the saddle or a separate wedge (60) or a saddle integral with the wedge at the bottom of the saddle, reinforcement washer, it is caught in the protruding tube of the inner washer
  • Inner washer formed in the same position and same number of grooves 55 or holes to be caught by the parts 44 and 243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packing in the inflow hole, and pulls the inner washer into or pulls the inner washer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branch pipe. As a result, the inner washe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V-shaped space as shown in FIGS.
  • the engaging portion (44; 243) is that the inner washer is stuck in the protruding pipe groove 55 or the inner washer is not pulled out of the branch pipe is fastened as shown in FIG. 9 and 10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tightness is continued while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branch pipe slides (sliding) in the packing central portion 72 and slides upward.
  •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astening stat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male screw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a branch pipe, a locking jaw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and a protrusion 44 having a locking portion 44 formed on a lower inner peripheral edge of the locking jaw.
  • the lower surface is a flat or curved or grooved groove and the branch pipe 200 is formed as necessary, the lower branch pipe, the inner washer penetrates the packing center portion above the curved wing piece 310 larger than the inlet hole and into the branch pipe.
  • Protruding pipe 360 to be inserted and the upper surface is a flat surface or all or part of the pipe curved surface or inclined surface (see Figs.
  • the locking portion 55 is caught or tightened with the locking portion 44 of the branch pipe to the protrusion pipe.
  • the inner washer 300 bisects the inner washer up and down and, if necessary, the inner washer 300 is hinged to the wing piece, the saddle 100 and the saddle having a curved wing piece integral with the protruding pipe Reinforcement washer 800 that is curved Reinforcing washers integral with, separated from, or bisected, and the packing is upper, middle, and lower, and the grooves or grooves on which the reinforcing washers or bisected reinforcing washers are attached to the central part 72, and the pressing surface 79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cking central part.
  • the reinforcing washer bottom surface 820 is in contact with the pressing surface 79, and the curved frame for absorbing the height between the packing upper part 71 and the upper side where the reinforcing washer is mounted and the packing upper part 71 is integrally formed.
  • the upper part 71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lower branch pipe 202 and forms a packing curved wing piece on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reinforcement washer as needed, and the packing center part 72 is inserted between the inlet hole and the inner washer protrusion tube outer surface.
  • the expansion portion 73 which is a body shape and a lower portion of the packing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pipe, is tubular or formed outwardly larger than the inflow hole, and the lower surface is a packing 70 ly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urved wing piece 310.
  • the lower surface of the pressing surface (79) As the inner washer rises upward, the lower portion of the packing is expanded to the outward side by the curved wing piece 310, or it is placed on the inner washer and adher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ipe, and pressed to the periphery of the inlet end or into the inlet hole, It is in close contact, expansion, and watertightness, and the height is controlled and watertight on the curved frame below the packing top 71.
  • FIGS. 11 and 12 are the composites of FIGS. 3 and 9, and the watertight is a watertight quadruple such as the inner surface of the pipe, the periphery of the end of the inlet hole, and the inside of the inlet hole.
  •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ranch pip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erted into a pipe
  •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ranch pipe after fastening FIG. 13 to a pipe, and the branch pipe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branch pipes.
  • a branch pipe 200 having a male thread form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and a branch pipe 200 integrally having an outward side wing piece 205 whose lower surface is curv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branch pipe 202 having a small diameter and a lower diameter into the inlet hole, and a nut.
  • the saddle 100, and the packing is a tubular type between the inlet hole and the lower branch pipe outer surface and the same pipe is protruded longer than the pipe thickness on the lower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expansion portion 73 is lower branch pipe
  • the same upper surface of the curved wing piece 205 and the packing upper portion 71 includes a pressurizing surface 79.
  • the packing 7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wing piece 76, which is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and the reinforcement is attached to the lower branch pipe outer surface.
  • Reinforcement washer or separate nutrients with or without washer 800 If the packing is made of reinforced reinforcement washer is inserted into the curved surface of the wing piece, insert the lower branch pipe with the packing in the inlet hole and tighten the nut to expand the expansion portion 73 of the lower part of the packing by the wing piece 205 into the outward side It is larger than the ball and shows the pressure, watertightness, and tightness of the periphery of the inlet end.
  • FIG.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lower branch pipe is separately shown in FIG. 13.
  • the upper branch pipe is separated into upper and lower branch pipes, and an adhesive or O-ring 777 is inserted and the upper part is fixed with a pin 1 and the like. It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size of the inlet hole by forming a lower branch pipe made of PC material or SUS material which is thin in the lower branch pipe, and does not need to divide the reinforcement washer 800 into the saddle bottom and the reinforcement washer. You may.
  • FIG. 16 is a packing explanatory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7 is another packing explanatory view of FIG. 16, showing a conventional tubular packing of a one-piece branch pipe having upper, middle, and lower portions 71, 72, and 73.
  • the groove surface 790 is formed on the pressing surface 79, and as shown in the groove grooves 791 are formed integrally therein,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reinforcement washer, the wedge 60 is tightened with a nut.
  • the inner side of the packing upper side pressurizes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branch pipe.
  • a groove groove 717 is formed along the lower surface of the packing center portion or the lower outer surface thereof, so that the elastic packing material, the soft packing material, the adhesive such as liquid, sponge, caulking material, silicone material, water-expandable rubber, Filling grease or the like, sealing it with vinyl or tape, tearing off the sealing tape at the time of tightening, and tightening the nut adds watertightness such as adhesion in addition to the normal watertight, thereby improving watertightness.
  • O-ring 777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acking.
  • Grooves 730 or grooves 731 ar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lower part of the packing, and when the wedges 66 are pressed by the curved blade pieces 205, the upper part of the periphery of the inlet hole end is pressed to improve the watertightness. If necessary, the lower part of the wedge can be incised a lot like a buchasal and expanded to the outward side to form larger than the inlet hole. At this time, the grooves 731 and 791 and the wedges 60 and 66 may be integrally or divided into one or more places.
  • FIG. 18 is another explanatory view of FIG.
  • the buccal-shaped reinforcement piece 737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inner portion or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expansion portion 73 to prevent the branch pipe from being pulled out of the inlet hole.
  • the buchatsal reinforcement piece 737 can be made of SUS plate or the like, metal material, synthetic resin material, rubber material, etc. If the nut is tightened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inlet hole, the buchatsal reinforcement piece 737 is enlarged larger than the inlet hole so that the branch pipe curved surface It prevents the wing piece 205 from being pulled out of the inlet hole. Therefore, except for the rubber material, the portion of the chatchat meat is preferably cu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upper side is preferably integral.
  • the sub chatsal reinforcement piece 737 can be divided into one or more than one.
  • 19 is an explanatory view of another packing of FIG. 18, in which a concave groove 730 or a groove taper 731 is integrally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tubular lower portion 73 and a width thereof is inserted into the wedge 66. Only the narrow end is pinched and the wedge rim larger than the inlet hole at the same time as the expansion portion 73 by the wing piece 205 is tightened with the nut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curved wing piece 205, the branch pipe curved wing piece is pulled out from the inlet hole Do not let it.
  • FIG. 20 is an explanatory view of yet another packing, in which a reinforcing blade piece 773 connected to a bent portion 771 is integrally formed at an extension end in FIG. It is long overlapping and inserted into a circular shape in the inlet hole, and when tightening the nut, the expansion portion and the reinforcing blade piece 773 overlap.
  • FIG. 2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orced expansion pleated pack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an inner surface of the packing center portion 72 or a lower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thereof is a lower surface 721 as necessary, and a groove groove 74 and a lower portion thereof.
  • the lower surface of the corrugated frame 77 at the lower sid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groove 73 at the lower side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enlarged portion 73 at the lower side thereof are the same surface as the curved surface of the lower branch pipe curved wing piece 205 and the lower branch pipe outer surface as necessary.
  • This packing is placed in the lower branch pipe 202 (see FIGS. 22 to 24),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packing is the same surface as the curved wing piece 205, and the protruding frame 207 (see FIGS. 25 to 27) and the groove 733. ) And then fasten with nut 400, and when inserting the packing with the lower branch pipe into the inlet hole, the protruding frame 207 and the groove 733 are engaged so that the lower 73 cannot be separated and inserted upward. do.
  • the support frame 780 is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721 of the central portion, to be compressed. That is, unlike FIGS. 22 to 33, the lower portion 73 is enlarged by the curved blade piece 205, and the lower portion 73 is expanded to the outer side of the inlet end end as shown in FIGS. 13 and 14, and wrinkles are formed between the pipes. There is a characteristic.
  • the upper surface thickness should be considered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lower upper surface should be overlapped again on the overlapping wrinkles with the point to be enlarged.
  • FIG. 22 is an explanatory view of a packing fastening st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3 is an explanatory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packing fastening of FIG. 22 is completed
  • FIG. 24 is an explanatory explanatory view of the reinforcing piece extension of FIG.
  •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frame 780 and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frame 780 are lowered, and the upper branch pipe inner surface protruding frame 207 on which the lower branch pipe 207 is formed is formed, and the packing of FIGS. 34 to 38
  • FIG. 25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curved wing piec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6 is another explanatory view of the curved wing piece
  • FIG. 27 is another explanatory view of the curved wing piece
  • a corrugated frame (top) is formed on the lower branch pipe curved wing piece 205.
  • 207 and the packing engaging projection hole 204 and the horizontal projection hole 206 which have an inclination-angle, the vertical projection hole 208, and the horizontal piece 209 are formed in the inward side of the curved blade piece.
  • the horizontal surface 209 of FIGS. 26 and 27 is preferably used because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of FIGS. 22 to 38 needs to be compressed rather than enlarged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rises upward.
  • FIG. 28 is an explanatory view of still another packing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9 is an explanatory view in which the wing pieces are overlapped in FIG. 28, and the curved wing pieces 73 of the packing larger than the inflow hole are formed on the branch pipe curved wing pieces 205. It is formed large.
  • the packing curved blade piece 73 can overlap the packing groove 74 to enter the inlet hole.
  • FIG. 30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the fastening, forming a groove groove 74 and a corrugated frame 77 thinner than the center thickness in the packing center portion 72 and the pipe curved blade larger than the inlet hole below It is a branch pipe attachment device in which a packing 70 having an integral packing lower portion 73 is inserted into a lower branch pipe so that the curved wing pieces become the same curved surface on the lower curved wing piece of the lower branch pipe.
  • the protrusion or the rim 207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branch pipe, and the groove or the protrusion may be engaged with the packing.
  • FIG. 31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insertion process of FIG.
  • FIG. 32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state after insertion of FIG. 31, showing that the wing piece, which is an enlarged part, is unfold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pipe in the inflow hole.
  • 33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state after fastening of FIG. 32, by tightening the nut 400, the saddle or the reinforcing washer or the bisected reinforcing washer pressurizes the upper pressing surface 79 of the packing center and the upper and lower branch pipes 201 and 202.
  • the packing center portion or the outer groove (74) outer surface or the groove groove 717 formed thereon as shown in Figure 17, the elastic packing material, soft packing material, adhesives such as liquid, sponge, caulking material, silicone material, water-expandable rubber , Grease, etc. (707) may be formed and sealed with vinyl or tape and, if necessary, removed when tightened with a nut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compression, adhesion, and watertightness at the periphery of the inlet or the inlet end or the inner surface of the pipe.
  • FIG. 34 is another explanatory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packing is formed with a pleat larger than the inlet hole in the packing of FIGS. 22 to 24 and 28 to 29, and the packing is engaged with the lower branch pipe. It can be seen that it is another attachment devic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inlet hole by rotating and opening the pleats. Such packing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rinkle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let hole is reliably restored.
  • 35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ye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ifficult to work from the ground to the main pipe when the connection pipe to the main pipe pre-buried in the ground, the soil is dug by non-opening (Non-Open)
  • Non-Open non-opening
  • the branch pipe socket 200 has a lower surface of the pipe curved surface, the branch pipe is integrated on the upper side,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or grooves and protruding frames 230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rail 235 on the inner peripheral edge thereof.
  • the branch pipe socket formed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 holes in the saddle, a longitudinal groove on the outer surface and a female thread 490 to be engaged with the movable sleeve male screw on the inner surface, and a protrusion frame 430 protruded upward inward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frame or Irregularities on the inside Is a rotating sleeve 400 integrally formed with a central hole 442 and a cover 440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es or protrusions 444 toward the inward side of the protrusion or center, and the movable sleeve 300 is downwardly outward.
  • the curved wing piece 310 to be introduced into the inlet hole is integrally formed with a male screw 390 to be engaged with the rotating sleeve female screw 490 and a longitudinal groove 335 through which the longitudinal rail of the branch socket is to be penetrated. It is a movable sleeve, the side surface, the top, bottom, inclined hole can be formed in the curved blade piece and the movable sleeve side as shown in Figs. 25 to 27, and if necessary, the horizontal surface 209 is formed inwardly of the curved wing piece or protruding frame 207 ) May optionally be utilized.
  • Packing 70 is the upper, middle, and lower, the packing formed with a plurality of side projections and vertical projections on the inn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upport frame in the packing of Figs. 22 to 24, the ring 30 is a C ring or O ring
  • the inner surface of the branch pipe 264 indicates that it is counted.
  • 36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coupling of FIG. 35, wherein the outer surface longitudinal groove of the rotary sleeve 400 penetrates the projection 264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ranch pipe socket, and the lower surface thereof is placed on the protruding frame 230, and the ring 30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 FIG. 37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FIG. 36 fastened to a pipe, and the movable sleeve and the packing are put into the inlet hole 650 drilled in the pipe as shown in FIG. 38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pipe 700 and the branch pipe socket are integrally attached from the ground.
  • the engaging part of the rotating body picked up from the ground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art 444, which is the locking part of the cover 440.
  • the rotating sleeve is rotated, and the female sleeve of the rotating sleeve and the male thread of the movable sleeve are engaged with the movable sleeve. Wrinkles formed in the pleated frame (77) between the groove groove and the groove groove of the packing to indicate that the fastening is completed, the hole-cutter of the rotating body to cut the cover to the axis center of the cover center hole (442) At this time, the locking portion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entral axis of the rotating body so as not to be separated.
  • the cover is also pulled out when the rotor is pulled out to the ground.
  • the concave-convex portion or the proj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otating sleeve, thereby making it a locking portion.
  • the inner female thread of the protruding frame in the drawing is used to disassemble the socket of the branch pipe from the main pipe by forming the female screw (left female screw) opposite to the female screw of the rotating sleeve and using the male rotor of the left direction from the ground.
  • FIG. 38 is an explanatory view of inserting FIG. 37 into the main pipe, and is an explanatory view of installing the non-cutting method toward the main pipe from another angle without digging in the main pipe 600 above.
  • FIG. 39 is an exploded explanatory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FIGS. 35 to 38, wherein the rotating sleeve is a male sleeve as the outer male thread in FIG. 35 and the inwardly projecting frame 430 is the outwardly projecting frame;
  • the rotary sleeve 400 is insert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branch pipe socket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ding frame 430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anch socket protruding frame 268 and the C-type ring or the O-shaped ring 30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ranch pipe socket. (267).
  • Such a structure has a larger pipe inflow hole than that shown in FIG. Other than that is the same as FIG.
  • the branch socket inner surface protrusion 264 in Figure 35 and forming the groove 267 as shown in Figure 39 there is no need for a longitudinal groove to penetrate the proj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ry sleeve 400.
  • Figure 40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s 35 to 38 is a fastening means by engaging the female screw of the rotary sleeve and the male screw of the movable sleeve to rotate only one rotary sleeve, 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multiple Bolts and movable sleeve in the same position, the same number of bolts to tighten the tightening female thread is formed in the inner periphery of the branch socket and a plurality of bolts are formed in the periphery, and the bolts into the bolt holes and then into a separate ring (35)
  • the branch pipe socket which formed the ring which formed the hole of a bolt head which cannot be pulled out is formed in a protrusion frame, and is tightened by a plurality of bolts instead of one rotating body.
  • Branch pipe socket attach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 one-piece and two-piece and non-cutting structure and the connection pipe is the same structure as the main pipe, the hole is drilled in the pipe is used in the geometric ellipse, rectangular, etc. It is an invention that can be widely used in industrial pipes and sewer pipes because it can be used for new pipes with one-touch fastening and uneven pipe shape and pipes already bur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배관과 지관(연결관)을 연결할 때 사용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배관에 정원 외 타원, 직사각 등 기하학적 단면 형상에 활용되는 1piece 구조와 비교적 간단한 공구(톱, 전기 직쏘 등)로 뚫을 경우에 활용되는 유입공보다 큰 양분된 내측와샤의 2piece 구조 및 이미 매설되어 있는 배관 경우에 비개삭 공법으로 다른 각도에서 작업이 가능한 1piece 구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유입공을 작게 뚫는 것과 유입공 내면에는 1piece라도 유입공보다 큰 강제 확개형, 강제 주름형, 주름 복원형 등으로 되어 분기관 소켓이 뽑아지지 못하며 배관 내면 또는 유입공 끝단 에찌(edge) 주연부 또는 유입공 속에 패킹을 압박, 팽창, 수밀케 하고 필요에 따라 코킹재, 접착제 등이 추가되므로써 3~4중 수밀 향상되는 수밀 패킹 구조이며 작업성 향상을 위해 One-Touch 체결을 지향하는 구조이며 분해(해체)도 가능한 구조와 유입공이 정원 외 타원 또는 장방형 등 기하학적 구멍으로 할 시 정T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구조까지 가능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본 발명은 본배관과 지관(연결관)을 연결할 때 T관 사용없이 본배관 측면에 구멍을 뚫고 연결관을 부착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하수관 경우에는 구멍을 뚫을 때 천공기로 뚫어 정교하게 된 구멍에만 사용이 가능한 1piece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와 천공기 없이 비교적 간단한 공구(톱, 전기 직쏘 등)로 뚫을 경우에 활용되는 유입공보다 큰 양분된 내측와샤의 2piece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와 정원 외 타원, 직사각 등 기하학적 단면 형상의 2piece와 1piece 구조 및 지하에 이미 매설되어 있는 배관 경우에는 비개삭 공법으로 배관에 다른 각도에서 작업이 가능한 1piece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들에 적합한 2piece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1piece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및 비개삭 공법용 1piece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로 구분하며, 유입공을 작게 뚫는 것과 유입공 내면에는 1piece라도 유입공보다 큰 강제 확개형, 강제 주름형, 주름 복원형 등으로 되어 구멍에서 분기관 소켓이 뽑아지지 못하며 배관 내면 또는 유입공 끝단 에찌(edge) 주연부 또는 유입공 속에 패킹을 압박, 팽창, 수밀케 하고 필요에 따라 코킹재, 접착제 등이 추가되므로써 3~4중 수밀 향상되는 수밀 패킹 구조이며 작업성 향상을 위해 One-Touch 체결을 지향하는 구조이며 분해(해체)도 가능한 구조와 유입공이 정원 외 타원 또는 장방형 등 기하학적 구멍으로 할 시 정T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구조까지 가능한 특징이 있다.
종래 2piece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의 예로, 본 원인이 선출원한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10-2005-0078633호,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10-2005-0080133호,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0531157호,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10-2008-0012129호가 있는데, 이들은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10-2006-0068953호의 수밀 수단 이용과 양분된 내측와샤를 활용하는 공통점이 있다. 이때, 분기관과 패킹이 일체로 되어 있더라도 One-Touch 삽입이 용이치 않은 문제점과 1~2중 수밀이 되어 개선점이 필요했다.
또한, 종래 1piece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로 JP 특허 등록 제3415900호는 지상에서 이미 매설된 본배관에 분기관 소켓(분기계수)을 비개삭 공법으로 지상에서 매설된 본배관에 본체(분기관 소켓)를 체결하는 특징이 있으며, 이때 유입공(접속공) 속에 패킹과 가동통과 회전통 등 3중으로 꼽혀야 하는 구조여서 유입공이 커지는 문제점과 패킹의 제2 Sealing의 구조가 단순 확경되는 구조여서 수밀성과 체결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고 본배관과 연결관이 정T처럼 활용되지 못한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0772712호는 JP 특허 등록 제3415900호와 체결 수단만 다를 뿐 유입공도 커지고 패킹도 역시 단순 구조여서 유입공에서 분기관이 뽑아지는 문제점과 천공시 유입공 끝단 주연부가 일부 떨어지거나 불규칙할 때 수밀에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물론, 정T처럼 활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키 위해 배관 측면에 유입공을 작게 뚫어도 체결되는 구조 개발과, 패킹의 수밀 부위가 3~4중 이상 중복된 수밀 수단 개발, One-Touch 체결 수단 개발, 1piece 구조에서 분기관이 유입공에서 뽑아지지 못하게 되는 강제 주름 형성 수밀 수단 개발과 부챗살형인 보강편 개발, 비개삭 공법으로 체결하는 분기관 소켓 개발 등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키 위해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구성에서 이들을 배관 유입공에 부착하는 체결 수단과 분기관과 내측와샤 돌출관의 조립 수단 및 수밀 수단 등으로 상기 기술적 과제를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분야 목적에 의해 유입공보다 큰 강재질(rigid)의 곡면 날개편과 일체인 내측와샤를 절단하여 접어 유입공 속에 집어넣고 원상으로 하여 패킹을 가압 수밀케 하는 수밀 수단을 이용한 2piece와 강재질(rigid)의 분기관 하단과 일체인 유입공과 같거나 비슷한 강재질(rigid)의 곡면 날개편을 수직으로 집어넣고 패킹을 가압 수밀케 하는 수밀 수단과 특히 패킹에 주름을 형성, 이를 유입공 끝단과 배관 내면 주연부에 형성하는 수밀 수단과 비개삭 공법으로 강재질의 가동 슬리브를 상측으로 이동하며 체결하는 1piece와 원 외 타원, 장방형 등의 유입공에 체결되는 2piece와 1piece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1구성은 도 1~도 8의 실시예처럼 분기관(200)은 상·하부(201, 202) 분기관으로 되고 패킹 상부가 하부 분기관과 일체로 되어 있어 너트(400)를 회전시켜 새들과 유입공보다 큰 내측와샤(300)가 조임되므로써 이를 체결 수단으로 하고 이때 내측와샤 곡면 날개편(310)과 배관 내면(620) 사이에 패킹 곡면 날개편(73)을 압박하므로 이를 수밀 수단으로 하며 내측와샤 돌출관의 걸림부(55)와 분기관 내면 또는 상면의 걸림부(44)를 조립 수단으로 하고 도 1에서 걸림부(55)는 내측와샤 돌출관 상측에 대칭되는 걸림턱이며 분기관의 수평면(203)을 걸림부(44)로 하며(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10-2005-0080133호 참고), 도 4~도 6에 패킹으로 할 때 유입공에 One-Touch로 삽입이 가능하며 이때 확개부 외면 또는 확개부 외면에 하면 곡면을 따라 요홈테(717)를 형성하고 이에 탄력이 좋은 패킹재, 연질 패킹재, 액체 등의 접착제, 스펀지, 코킹재, 실리콘재, 수팽창 고무, 구리스 등(707)을 형성하고 필요에 따라 비닐 또는 테이프로 밀봉하고 너트로 조일 때 이를 제거하여 유입공 끝단 주연부 또는 배관 내면에 밀착, 압착, 접착, 수밀케 하므로써 배관 내면, 유입공 끝단 주연부, 접착 등으로 되어 3중 수밀이 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실현한다. 이때 조립 수단은 본 원인이 선출원한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10-2005-0080133호 외에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10-2005-0086228호, 상·하 볼트 체결인 특허 등록 제0531157호,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10-2005-0094247호,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10-2006-0081386호,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10-2006-0126241호,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10-2006-0111967호,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10-2006-0108620호,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10-2006-0114477호 등도 활용되어 조립 수단으로 할 수 있어 이도 본 발명의 조립 수단에 포함한다.
제 2구성은 도 9, 도 10에서처럼(상세 설명 참고) 보강와샤(800) 또는 이와 일체인 새들로 상·중·하부로 된 패킹 상부의 가압면(79)을 가압하고 제 1구성처럼 너트를 회전시 체결 수단은 동일하며 하부 분기관이 패킹 중앙부에서 하부 분기관만 상측으로 슬라이드(slide)되며 배관 내면에 패킹 하부(내면부 ; 73)가 밀착되고 유입공 속과 유입공 끝단 주연부와 배관 내면 등의 3중 수밀과 패킹에 코킹재, 접착제 등이 있는 경우 4중 수밀이 되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실현한다. 그 외는 제 1구성의 조립 수단 등과 동일하다.
제 3구성은 도 11, 도 12에서처럼(상세 설명 참고) 제 1구성과 제 2구성의 복합형으로 보강와샤(800) 중심으로 패킹 가압면과 유입공보다 큰 곡면 날개편(310) 사이에서 제 2구성처럼 수밀이 되며 보강와샤 상측은 분기관이 위로 너트 조임에 의해 이동하더라도 높낮이 조절 패킹으로 되고 상부(71)는 상부 분기관 외면 또는 하부 분기관과 일체로 되어 있어 수밀되게 하는 구조이다. 수밀은 4중 수밀이다.
제 4구성~제 6구성은 분기관 하측에 유입공 속에 들어가는 곡면 날개편과 일체로 된 강재질(rigid)의 분기관과, 제 1구성~제 3구성의 체결 수단과 동일하고 수밀 패킹은 상·중·하부로 된 패킹의 상부 외향측으로 곡면 날개편이며 중앙부가 유입공과 분기관 외면에 꼽히며 배관 두께보다 긴 하부인 확개부 하면이 곡면인 패킹이다. 따라서, 도 13, 도 14처럼 상·하부 분기관 직경이 다른 경우 새들 하면과 보강와샤를 일체로 하거나 분리된 보강와샤이거나 양분된 보강와샤(800)를 활용하여 하부 분기관에 상기 패킹 중앙부를 곡면 날개편과 동일 곡면이 되게 패킹 하면을 놓고 상부 분기관에 새들과 함께 양분된 보강와샤를 측면에서 꼽고(도 15처럼 하부 분기관이 별도인 경우에는 보강와샤를 양분할 필요가 없다) 너트(400)로 가조임, 하나로 한 상태에서 배관(600)에 뚫은 유입공 속에 하부 분기관과 패킹을 삽입 후 너트를 조임하면 분기관은 상측으로 올라가며 보강와샤가 패킹 가압면(79)을 가압하고 하부 분기관 곡면 날개편에 의해 패킹 하부가 유입공 끝단 배관 내면 주연부에 확경되며 수밀되고 동시에 분기관이 배관에 체결되므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실현한다.
제 5구성은 도 21에서처럼(상세 설명 참고) 1piece type이며 수밀 수단은 하부 강제 확경 및 강제 주름으로 되어 유입공 끝단 주연부와 배관 내면을 유입공보다 큰 주름과 유입공보다 큰 확경된 하부(73)가 있어 3중 중첩되어 분기관을 유입공에서 뽑아지지 못하게 하며 접착 등의 추가(도 17 상세 설명 참고)로 3중 수밀이 되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실현한다.
제 6구성은 도 22~도 34에서처럼(상세 설명 참고) 체결 수단은 제 4구성, 제 5구성과 동일하고 수밀 수단은 제 4구성과 달리 유입공 끝단 주연부에 유입공보다 큰 주름을 형성하되 하부가 지지테(780) 또는 이에 형성된 요홈테(733) 또는 수평 돌기 또는 수직 돌기 또는 경사 돌기가 분기관 곡면 날개편과 그 상측에 각각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너트(400)를 조일 때 하부는 확경되지 않고 압축되는 구조이다. 특히, 도 34는 상세 설명에서처럼 패킹에 주름을 미리 형성한 패킹 활용 구조이며 사용시 너트를 풀어 주름이 분기관 외면에 밀착되게 하여 유입공에 꼽고 너트로 체결할 때 주름이 복원되는 구조가 되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실현한다. 지지테 하면 또는 내면에 형성되는 수평 돌기, 경사 돌기, 수직 돌기 외에 지지테 내면과 하면을 접착제 등으로 접착, 부착하는 것도 지지테 하면을 확경됨이 없이 압축되게 할 수 있어 본 발명에 포함한다.
제 7구성~제 9구성은 비개삭 공법(Non-Open) 구조(도 35~도 39의 상세 설명 참고)로 제 4구성~제 6구성과 달리 지상에서 흙파기로 본배관까지 작업하기 곤란할 경우, 비개삭(Non-Open)으로 흙파기를 하지 않고 수직 또는 경사지게 구멍을 뚫어 추진하여 본배관과 체결할 때 활용되는 구조로써, 제 4구성, 제 5구성, 제 6구성에서 새들과 너트와 분기관을 하나로 한 분기관 소켓(200)과 분기관 소켓 내면에 꼽히는 상·하로 이동되고 유입공 속으로 꼽히는 곡면 날개편을 일체로 한 가동 슬리브(300)와 가동 슬리브를 상측으로 끌어 올리며 동시에 체결하는 수단과 가동 슬리브 곡면 날개편과 외면에 꼽히며 상부 새들 곡면을 갖는 패킹(70 ; 제 4구성의 패킹과 동일)으로 구성되어 제 7구성은 체결 수단으로 도 35~도 38의 회전 슬리브(400)로 하되 회전 슬리브 내면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이와 맞물리는 숫나사를 가동 슬리브 외면에 형성하므로써 가동 슬리브와 회전 슬리브를 가조임한 후, 분기관에 연결관을 일체로 하고 본배관에 뚫은 유입공 속에 가동 슬리브와 패킹을 꼽은 상태에서 지상에서 회전체를 회전 슬리브의 걸림부와 맞물리게 하여 지상에서 회전체를 회전하여 회전 슬리브가 회전되므로써 가동 슬리브는 상측으로 이동하여 곡면 날개편에 의해 제 4구성에서처럼 패킹 하부를 확경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실현한다. 이같은 구조는 유입공을 작게 뚫는 장점이 있다. 이때, 도 39처럼 내면에 암나사를 형성한 가동 슬리브로 하고, 회전 슬리브는 외면에 숫나사를 형성하여 분기관 소켓 상측에서 회전 슬리브를 꼽아 회전 슬리브를 회전하는 구조로 하면 도 35~도 38처럼 비개삭 공법이 되며 이때 배관에 뚫는 유입공은 도 35~도 38 구조보다 좀 커진다.
제 8구성은 수밀 수단이 제 5구성의 수밀 패킹과 동일하고 체결 수단은 제 7구성과 동일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실현한다.
제 9구성은 수밀 수단이 제 6구성과 동일하며(도 22~도 34 상세 설명 참고) 체결 수단은 제 7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제 7구성~제 9구성은 체결 수단이 단일 나사이며 패킹 상부 외향측의 곡면 날개편(76)과 분기관 소켓 하면 또는 새들 하면과 필요에 따라 접착제 등으로 접착하여 수밀할 수 있고 수밀은 3중 수밀이 된다.
제 10구성은 제 4구성, 제 5구성, 제 6구성 및 제 7구성, 제 8구성, 제 9구성에서 단일 나사 조임인 회전 슬리브 대신 분기관 소켓 내면 하측에 돌출테를 형성, 이에 다수의 볼트를 주연부에 꼽을 볼트 구멍을 다수 형성한 분기관 소켓(도 40 참고)이며 가동 슬리브에 상·하로 볼트 구멍과 동일 위치, 동일 수로 암나사를 형성한 가동 슬리브와 패킹으로 구성되어 제 7구성, 제 8구성, 제 9구성에서처럼 다양한 패킹을 가동 슬리브에 꼽아 활용하므로써 본 발명의 체결 수단과 수밀 수단을 실현한다.
제 11구성은 제 10구성에서 다수의 볼트 대신 돌출테 내면에 쐐기가 꼽힐 경사면을 갖는 쐐기 삽입 홈을 다수 형성한 분기관 소켓(본 원인의 선출원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10-2006-0126241호 참고)이며, 가동 슬리브 측면에 경사 홈과 동일 위치, 동일 수로 쐐기 구멍을 측면에 형성한 가동 슬리브와 패킹과 쐐기로 구성되며 가동 슬리브를 분기관 소켓에 꼽고 쐐기를 가동 슬리브 내면에서 쐐기 구멍과 분기관 소켓 경사 요홈에 쐐기를 힘을 가하여 꼽으므로써 가동 슬리브를 상측으로 이동하여 체결하므로 패킹 하부를 확경하며 수밀하므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실현한다.
제 12구성은 본 원인의 선출원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10-2008-0012129호를 활용하여 하부 분기관 단면이 정원 외 타원, 장방형 등 기하학적 단면이며 배관에 뚫는 구멍도 상기 단면과 동일하거나 비슷하게 뚫으며 2piece와 1piece로 구분되며 2piece는 제 1구성, 제 3구성의 체결 수단과 조립 수단과 수밀 수단으로 되며 1piece는 제 4구성~제 6구성의 체결 수단과 수밀 수단으로 되고 패킹은 하부 분기관의 기하학적 단면 형상으로 된 패킹을 사용한다. 비개삭 구조에서는 1piece이며 제 7구성, 제 9구성에서 제한적 규격에 활용되어 이들도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실현하므로 본 발명에 포함한다.
제 13구성은 기타 별개의 도너츠형 수밀팩을 수밀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는 다양한 분기관 소켓에 활용되나 본 발명의 제 1구성~제 3구성의 유입공보다 큰 곡면 날개편(310)의 양분된 내측와샤에 활용할 수 있어 이도 본 발명에 포함한다. 또한, 제 4구성~제 9구성의 수밀 패킹은 JP 특허 등록 제3415900호,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0772712호에 활용할 수 있어 이도 본 발명에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배관에 구멍을 작게 뚫으므로 배관 구조의 안전을 도모하며, 배관에 뚫는 구멍이 정원 외 불규칙한 원은 물론 타원, 직사각, 장방형 등의 기하학적 단면 구멍에 활용되는 1piece와 2piece와 비개삭 구조 및 연결관이 최대 본배관과 동일한 구조인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가 되어, 수밀도 2~4단계 및 중첩 수밀되게 한 구조이고 수밀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One-Touch 체결 지향으로 시공성 간편과 배관 표면이 요철 형상에도 공통 사용되어 이미 매설된 배관에 상·하 흙파기를 하지 않고 설치되는 비개삭 공법(Non-Open Method) 구조가 되어 신설 배관과 이미 설치된 배관에 사용 가능하여 산업 분야 및 하수관거 분야에 광범위하게 활용되는 효과가 있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분해 정면도와 일부 사시도
도 2는 도 1을 배관에 체결한 상태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1의 분기관과 일체인 패킹의 설명도
도 4는 도 3에서 유입공에 삽입전 패킹 상태 설명도
도 5는 도 4에서 유입공에 삽입되는 패킹 상태 설명도
도 6은 도 5에서 유입공에 삽입이 완료된 패킹 상태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내측와샤 설명도
도 8은 도 7의 다른 내측와샤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패킹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체결 상태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체결 상태 설명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체결 상태 설명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분기관을 배관에 삽입한 상태 단면도
도 14는 도 13을 배관에 체결한 후 상태 단면도
도 15는 도 13에서 하부 분기관을 별개로 한 상태 설명도
도 1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패킹 설명도
도 17은 도 16의 다른 패킹 설명도
도 18은 도 17의 다른 패킹 설명도
도 19는 도 18의 다른 패킹 설명도
도 20은 또다른 패킹 설명도
도 21은 본 발명의 강제 확개 주름형 패킹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패킹 체결 상태 설명도
도 23은 도 22의 패킹 체결이 완료된 상태 설명도
도 24는 도 23의 보강편 확개 설명도
도 25는 본 발명의 곡면 날개편의 설명도
도 26은 곡면 날개편의 다른 설명도
도 27은 곡면 날개편의 또다른 설명도
도 28은 본 발명의 또다른 패킹 설명도
도 29는 도 28에서 날개편이 겹쳐진 상태 설명도
도 3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체결 전 일부 단면도
도 31은 도 30의 삽입 과정 설명도
도 32는 도 31의 삽입 후 상태 설명도
도 33은 도 32의 체결 후 상태 설명도
도 34는 본 발명의 또다른 패킹 설명도
도 3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분해 단면도
도 36은 도 35의 결합 설명도
도 37은 도 36을 배관에 체결한 설명도
도 38은 도 37을 본배관에 삽입하는 설명도
도 39는 도 35의 다른 형태의 실시예 분해 설명도
도 4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분해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암나사 5 : 볼트
30, 35, 80 : 별개의 링 34 : 조임 구멍
60, 66 : 쐐기테 70 : 패킹
71 : 외면부 또는 상부 72 : 중앙부
73 : 패킹의 내면부 또는 하부, 확개부, 곡면 날개편
74, 717, 733 : 요홈 또는 요홈테 76 : 곡면 날개편
77 : 주름 또는 주름테 79 : 가압면
100 : 새들 150 : 새들 돌출관
200, 201, 202 : 분기관 또는 상·하부 분기관
203 : 수평면 걸림턱 204, 206, 208, 306, 308 : 구멍
205 : 외향측 날개편 207 : 돌부 또는 돌출테
209 : 수평면 215, 267 : 요홈테, 하면 요홈테
230, 268 : 돌출테 235 : 길이 방향 레일
243, 244 : 돌기, 매입 돌기 264 : 돌기
290, 390, 499 : 숫나사 295 : 끝단 곡면 날개편
300 : 내측와샤, 가동 슬리브 309 : 수평면
310 : 날개편 315 : 돌설 가압테
335 : 길이 방향 요홈 360 : 내측와샤 돌출관
366 : 돌출관 V자 공간부 380 : 차양(eaves) 형상의 걸림 돌부
399, 490 : 암나사 400 : 너트, 회전 슬리브
430 : 돌출테 440 : 덮개
444 : 구멍 또는 걸림부 491 : 왼암나사
500 : 경첩(hinge) 600 : 본배관
650 : 유입공 700 : 연결관
721 : 하면 730, 790 : 요홈테
731, 791 : 홈테받이 733 : 걸림테(요홈테)
737 : 부챗살형 보강편 740 : 높낮이 주름
760, 781, 783 : 돌기 773 : 보강 날개편
777 : O-Ring 780 : 지지테
800 : 보강와샤, 양분된 보강와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분해 정면도와 일부 사시도로써, 상부 분기관에 삽입되는 돌출관(150)과 일체인 새들(100)과, 상부 분기관(201)과 직경이 작은 하부 분기관(202)으로 된 분기관(200)과, 상부(71)와 중앙부(72)와 곡면 날개편인 하부(73)로 된 패킹(70)의 상부(71)가 하부 분기관과 일체이며, 보강와샤(800)와, 유입공보다 큰 곡면 날개편 상측에 돌출관과 일체인 내측와샤(300)로 구성되고 필요에 따라 돌출관에 인장선(6)을 연결, 하부 분기관 내면과 연결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배관(600)에는 유입공(650)이 형성되고 부호(700)는 연결관을 나타낸다. 상기 실시예에서 패킹(70)은 도 3과 같이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을 배관에 체결한 상태의 측단면도로써, 체결 과정은 유입공 속에 분기관 내면에서 인장선을 잡은 상태로 양분된 내측와샤를 접어 유입공에 집어넣고 패킹의 날개편(73)을 좁히거나 도 4처럼 분기관을 하측으로 패킹 곡면 날개편(73)을 유입공을 향해 단 한번 누를 때 도 5처럼 좁혀지며 도 6처럼 유입공 속에서 원상으로 유입공보다 큰 곡면 날개편이 펼쳐지며 배관 내면과 동일 곡면이 되게 배관 내면 주연부에 걸리게 하고 인장선(6)을 당겨 하부 분기관(202) 내면 속으로 돌출관 단면이 맞닿은 상태로 삽입되게 하여 수평면 걸림턱(203)에 차양(eaves) 형상의 걸림 돌부(380)가 걸리게 하고 양분된 보강와샤(800)를 상부 분기관 하측의 하부 분기관 외면을 향해 꼽고 상부 분기관(201)에 꼽힌 새들(100) 하면을 양분된 보강와샤 상면에 놓고 상부 분기관에 너트(400)를 회전, 새들 하면이 보강와샤를 가압하여 새들과 하부 분기관 사이 주연부를 동시에 가압하므로써 내측와샤 날개편(310)으로 패킹 하부(73)를 압박, 수밀되며 체결됨을 나타낸다. 도면에는 나타나 있지 않으나 상부 분기관 외면에는 상측에서 하측 일부만 제외하고(이것을 스토퍼(stopper)로 한다) 길이방향 요홈을 대칭되게 양측에 형성하며 새들 돌출관 내면에는 상기 길이방향 요홈에 꼽힐 길이방향 레일을 일체로 형성하여 너트(400)를 회전하여 조일 때 분기관이 따라 돌지 못하게 새들의 길이방향 레일과 요홈에 맞물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새들 하면에 상부 분기관보다 직경이 작은 하부 분기관 경우 하부 분기관 하측부터 새들 돌출관을 꼽아야 하므로 이때에는 새들 돌출관 길이방향 레일을 길이방향 요홈으로 하고 요홈과 요홈 사이에 별개의 대칭되는 길이방향 레일을 갖는 키(key)를 꼽고 새들 돌출관 측면에서 비쓰로 키(key)를 조여 새들과 키(key)를 일체로 하면 새들을 하측으로 뽑아지지 못하게 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분기관과 일체인 패킹의 설명도로써, 패킹(70)은 상·중·하부(71, 72, 73)이고 상부(71)가 하부 분기관(202) 하측과 일체이고 중앙부(72)에 주름이 형성되어 있으며 유입공보다 큰 패킹 하부(73)가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도 3에서 유입공에 삽입전 패킹 상태 설명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유입공에 삽입되는 패킹 상태 설명도이며, 도 6은 도 5에서 유입공에 삽입이 완료된 패킹 상태 설명도로써, 하부 분기관(202) 하측을 패킹 상부(71)로 감싸 일체이고 그 하측에 패킹 중앙부(72)의 내외면에 요홈테(74)와 그 하측에 주름테(77) 그 하측에 요홈테(74) 그 하측에 중앙부(72) 그 하측에 유입공보다 큰 하부인 곡면 날개편(73)이 형성되고 필요에 따라 확개부와 패킹 중앙부 외면 사이 또는 확개부와 외면 사이에 하면 곡면을 따라 요홈테(717)를 형성하고 이에 탄력이 좋은 패킹재, 연질 패킹재, 액체 등의 접착제, 스펀지, 코킹재, 실리콘재, 수팽창 고무, 구리스 등(707)을 형성하고 필요에 따라 비닐 또는 테이프로 밀봉하고 너트로 조일 때 이를 제거하여 유입공 끝단 주연부 또는 유입공 속 또는 배관 내면에 밀착, 압착, 접착 등 3~4중 수밀되어 수밀성을 향상시킨다. 이같은 구조는 분기관을 단 한번 누름(One-Touch)에 꼽히며 원상으로 되어 작업성을 좋게 하는 특징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내측와샤 설명도로써, 내측와샤 돌출관 상면(350)을 경첩 중심으로 접어 유입공에 집어넣을 시와 배관 내면 공간이 협소할 시 유입공 크기를 작게할 수 있고 협소 배관 내면에서 내측와샤가 원상으로 펼쳐지더라도 상면(350)을 곡면으로 형성하므로써 체결을 용이하게 하는 특징이 있다. 도 8은 도 7의 다른 내측와샤 설명도로써, 상면 일부를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한 상태를 나타내며 절단면(365)은 필요에 따라 V자 공간부(366)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분기관 내면에 형성된 돌출테 하면은 가급적 내측와샤 돌출관 상면과 맞닿을 수 있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패킹 설명도로써, 상부 분기관과 일체인 하부 분기관(202) 끝단(295)에 유입공보다 작은 곡면 날개편 내면에 걸림부(44)가 형성된 분기관(200)이며, 내측와샤(300)는 유입공보다 큰 곡면 날개편(310) 상측에 돌출관(360)이 일체이고 돌출관에 분기관 걸림부(44)와 걸리거나 조임되는 걸림부(55)가 동일 위치, 동일 수로 형성되고 상·하로 양분하고 경첩으로 연결한 내측와샤(300)이며, 돌출관(150)과 일체인 곡면 날개편을 갖는 새들(100) 하면과 하부 분기관 외면에 꼽히는 중앙구멍을 갖는 보강와샤(800)를 분리 또는 일체이거나 양분된 보강와샤이며, 패킹(70)은 상·중·하부이고 상부(71) 외향측으로 곡면 날개편(76)이 형성되고 필요에 따라 이에 돌기(760)를 형성하며 중앙부(72) 내면에 상기 하부 분기관 외면 또는 끝단 곡면 날개편(295)이 꼽히는 요홈테(74)와 그 하측에 유입공과 내측와샤 돌출관 사이에 꼽히는 관체형 중앙부와 그 하측에 배관 두께보다 긴 하부인 확개부(73)가 관체형이거나 끝단이 외향측으로 유입공보다 크게 형성하고 하면이 곡면 날개편(310) 상면에 놓이는 패킹(70)이며, 너트(400)를 구비, 새들을 꼽고 하부 분기관에 상기 패킹 상부로부터 요홈테 속에 하부 분기관을 꼽은 상태에서 유입공 속에 접어 집어넣은 내측와샤 돌출관이 하부 분기관과 다수의 볼트로 조인 상태에서 너트(400)를 회전, 새들 하면의 보강와샤가 패킹 가압면을 가압하고 하부인 확개부(73)가 외향측으로 확경되며 배관 내면과 유입공 끝단 주연부와 필요에 따라 유입공 속까지 압박 수밀케 체결함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체결 상태 설명도로써, 도 9에서 상기 하부 분기관(202) 외면 끝단 곡면 날개편(295)을 없애고 하부 분기관 내면 주연부에 걸림부(44 ; 243)를 형성한 분기관(200)이며, 상기 패킹(70)에서 패킹 중앙부(72) 내면에 하부 분기관이 꼽히는 요홈테(74)를 없애고 필요에 따라 가압면(79)에 새들 또는 보강와샤 하면에 형성한 쐐기테(60)가 꼽히는 경사 요홈테(790)가 형성된 패킹이며, 상기 새들 또는 보강와샤 하면에 별개의 쐐기테(60) 또는 쐐기테와 일체로 한 새들이며, 내측와샤의 돌출관에는 걸림부(44 ; 243)가 걸릴 요홈(55) 또는 구멍을 동일 위치, 동일 수로 형성한 내측와샤로 되어 유입공 속에서 패킹 중앙부를 관통, 분기관 내면 속으로 내측와샤를 끌어올리거나 당길 때 경사면에 의해 내측와샤가 도 1, 도 2처럼 V자 공간부가 맞닿으며 걸림부(44 ; 243)가 내측와샤가 돌출관 요홈(55)에 꼽히거나 걸려 분기관에서 내측와샤가 뽑아지지 못하게 되어 도 9처럼 체결됨을 나타낸다. 이때, 도 9, 도 10은 패킹 중앙부(72)에서 하부 분기관 외면만 미끄러지면서(sliding) 상측으로 올라가며 수밀이 지속되는 것이 특징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체결 상태 설명도로써, 분기관 외면에 숫나사가 형성되고 내면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걸림턱 하측방 내면 주연부에 걸림부(44)가 형성된 돌출테(230)이며 하면이 평면 또는 곡면 또는 요홈테로 되고 필요에 따라 하부 분기관을 형성한 분기관(200)이며, 내측와샤는 유입공보다 큰 곡면 날개편(310) 상측에 패킹 중앙부를 관통하고 분기관 속으로 삽입될 돌출관(360)과 상면이 평면 또는 전체 또는 일부가 배관 곡면이나 경사면이며(도 7, 도 8 참고) 돌출관에 상기 분기관의 걸림부(44)와 걸리거나 조임되는 걸림부(55)가 동일 위치, 동일 수로 형성되고, 내측와샤를 상·하로 양분하고 필요에 따라 날개편에 경첩으로 연결된 내측와샤(300)이며, 돌출관과 일체인 곡면 날개편을 갖는 새들(100)과 새들 하면 곡면인 보강와샤(800)가 새들과 일체이거나 분리 또는 양분된 보강와샤이며, 패킹은 상·중·하부이고 중앙부(72)에 보강와샤 또는 양분된 보강와샤가 꼽히는 요홈 또는 요홈테(74)와 패킹 중앙부 상면에 가압면(79)을 형성하고 이에 보강와샤 하면(820)이 가압면(79)과 맞닿게 하고 패킹 상부(71)와 상기 보강와샤가 꼽히는 상측과 패킹 상부(71) 사이에 높낮이를 흡수할 곡면테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71)는 하부 분기관(202)과 일체로 형성되고 필요에 따라 보강와샤 상면 또는 하면에 패킹 곡면 날개편을 형성하고 패킹 중앙부(72)는 유입공과 내측와샤 돌출관 외면 사이에 꼽히는 관체형이며 배관 내면에 돌출된 패킹 하부인 확개부(73)가 관체형이거나 외향측으로 유입공보다 크게 형성하고 하면이 곡면 날개편(310) 상면에 놓이는 패킹(70)이며, 너트로 조일 때 보강와샤 하면이 가압면(79)을 압박하고 내측와샤가 상측으로 올라감에 따라 곡면 날개편(310)에 의해 패킹 하부인 확개부가 외향측으로 확개되거나 내측와샤 상에 얹혀지고 배관 내면에 밀착되며 유입공 끝단 주연부와 또는 유입공 속까지 압박, 밀착, 팽창, 수밀케 되고 패킹 상부(71) 하측의 곡면테에서 높낮이가 조절되며 수밀됨을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체결 상태 설명도로써, 도 11에서 패킹 상부(71)가 상부 분기관 외면에 일체로 되어 있고 구조와 작용은 도 11과 동일하다. 따라서, 도 11, 도 12는 도 3과 도 9의 복합형으로 수밀은 배관 내면과 유입공 끝단 주연부와 유입공 속과 접착 등 4중 수밀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분기관을 배관에 삽입한 상태 단면도이며, 도 14는 도 13을 배관에 체결한 후 상태 단면도로써, 분기관은 상·하부 분기관으로 구분하고, 상부 분기관은 외면에 숫나사가 형성되고 상부 분기관과 직경이 작은 하부 분기관(202) 외면 하부에 하면이 곡면인 외향측 날개편(205)을 유입공에 들어가게 일체로 한 분기관(200)과, 너트(400)와, 새들(100)과, 패킹은 유입공과 하부 분기관 외면 사이에 꼽히는 관체형이며 그 하측에 동일 관체가 배관 두께보다 길게 돌출되며 하부인 확개부(73)의 하면이 하부 분기관 곡면 날개편(205)과 동일 곡면이며 패킹 상부(71)는 가압면(79)을 포함, 배관 외면 곡면인 날개편(76)과 일체로 된 패킹(70)과, 하부 분기관 외면에 꼽히는 보강와샤(800)를 새들과 일체 또는 별개로 된 보강와샤 또는 별개로 된 양분된 보강와샤로 구성하여 패킹을 하면이 날개편 곡면에 놓이게 삽입하고 유입공 속에 패킹과 함께 하부 분기관을 꼽고 너트를 조여 날개편(205)에 의해 패킹 하부인 확개부(73)가 외향측으로 유입공보다 크게 확경되며 유입공 끝단 주연부를 가압, 수밀, 체결함을 나타낸다.
도 15는 도 13에서 하부 분기관을 별개로 한 상태 설명도로써, 상·하부 분기관으로 분리하고 접착 또는 O-Ring(777)을 꼽고 그 상측을 핀(1) 등으로 고정하여 하나의 분기관으로 하며 하부 분기관에서 두께가 얇은 PC 재질 또는 SUS 재질로 하부 분기관을 형성하여 유입공 크기를 작게할 수 있는 장점과 보강와샤(800)를 양분하지 않아도 되어 새들 하면과 보강와샤를 일체로 할 수도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패킹 설명도이며, 도 17은 도 16의 다른 패킹 설명도로써, 상·중·하부(71, 72, 73)로 된 1piece 분기관의 통상의 관체형 패킹에서 패킹 상부(71) 가압면(79)에 요홈테(790)를 형성하고 필요에 따라 이에 홈테받이(791)를 일체로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며 보강와샤의 하면 쐐기테(60)가 너트로 조일 때 패킹 내면 상측이 하부 분기관 외면을 가압 수밀함을 나타낸다. 또한, 패킹 중앙부 또는 하부 외면에 곡면인 하면을 따라 요홈테(717)가 형성되어 있어 이에 탄력이 좋은 패킹재, 연질 패킹재, 액체 등의 접착제, 스펀지, 코킹재, 실리콘재, 수팽창 고무, 구리스 등을 충진, 그 위를 비닐 또는 테이프로 밀봉하고 체결시 밀봉 테이프를 뜯고 너트를 조이면 통상의 수밀 외에 접착 등의 수밀이 추가되어 수밀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이같은 수밀을 위한 조치는 다른 활용 패킹에 적용할 수 있어 이도 본 발명에 포함한다. O-Ring(777)은 패킹 내면에 형성할 수 있다. 패킹 하부인 확개부 하면에 요홈테(730) 또는 홈테받이(731)를 형성하고 이에 쐐기테(66)를 곡면 날개편(205)으로 가압할 때 유입공 구멍 끝단 주연부 상부를 가압하여 수밀을 향상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쐐기테 하부를 부챗살처럼 다수 절개하여 외향측으로 확개, 유입공보다 크게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홈테받이(731, 791)와 쐐기테(60, 66)는 일체 또는 1개소 이상 분할할 수 있다. 도 18은 도 17의 다른 패킹 설명도로써, 확개부(73)에 부챗살형 보강편(737)을 내장 또는 내외면에 선택적으로 일체로 형성하면 분기관을 유입공에서 뽑아지지 못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부챗살형 보강편(737)은 SUS 판재 등을 금속재, 합성 수지재, 고무재 등으로 할 수 있으며 유입공에 꼽힌 후에 너트를 조이면 부챗살형 보강편(737)이 유입공보다 크게 확개되어 분기관 곡면 날개편(205)을 유입공에서 뽑아지지 못하게 한다. 따라서, 고무재 외에는 부챗살 부분은 일정 간격으로 절단된 상태가 바람직하며 상측은 일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부챗살형 보강편(737)은 일체 또는 1개소 이상 분할할 수 있다. 도 19는 도 18의 다른 패킹 설명도로써, 관체형 하부인 확개부(73) 하면에 요홈테(730) 또는 홈테받이(731)를 일체로 형성하고 이에 쐐기테(66)가 삽입되게 폭이 좁은 끝단만 꼽히며 너트로 조일 때 날개편(205)에 의해 확개부(73)와 동시에 유입공보다 큰 쐐기테가 곡면 날개편(205) 상측에 형성되어 분기관 곡면 날개편을 유입공에서 뽑아지지 못하게 한다. 이때, 쐐기테(66)가 하부 분기관 하면과 곡면 날개편(205) 및 필요에 따라 하부 분기관 외면까지 꼽을 수 있다. 또한, 도 16처럼 패킹 중앙부 내면에 O-Ring을 일체 또는 별개로 하여 수밀되게 할 수 있다. 도 20은 또다른 패킹 설명도로써, 도 30에서 확개부 끝단에 꺾임부(771)로 연결된 보강 날개편(773)을 일체로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며 유입공에 삽입시 패킹 중앙부 요홈테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중첩되며 삽입되고 유입공 속에서 원상으로 되며 너트를 조일 때 확개부와 보강 날개편(773)이 중첩된다.
도 21은 본 발명의 강제 확개 주름형 패킹 단면도로써, 도 15의 패킹(70)에서 패킹 중앙부(72) 내면 또는 외면 하측이 필요에 따라 하면(721)이며 그 하측에 요홈테(74)와 그 하측에 주름테(77)와 그 하측에 요홈테(74)와 그 하측에 하부인 확개부(73) 하면을 하부 분기관 곡면 날개편(205) 곡면과 동일 곡면이며 필요에 따라 하부 분기관 외면에 형성한 돌부 또는 돌출테(207)와 맞물릴 요홈테(733)를 형성하고 그 상측에 지지테(780)를 형성한 패킹을 나타낸다. 이같은 패킹을 하부 분기관(202 ; 도 22~도 24 참고)에 상기 패킹의 하부 하면이 곡면 날개편(205)과 동일 곡면이며 돌출테(207 ; 도 25~도 27 참고)와 요홈테(733)가 맞물리게 꼽고 너트(400)로 가조임한 후, 유입공에 하부 분기관과 함께 패킹을 꼽을 때 돌출테(207)와 요홈테(733)가 맞물려 있어 하부(73)가 상측으로 분리되지 못하며 삽입된다. 너트를 계속 조임하면 곡면 날개편(205)에 의해 하부(73)가 외향측으로 확개 또는 꺾여 유입공보다 커지고, 하부인 확개부가 배관 내면 사이 또는 유입공 끝단 주연부 또는 유입공 속에 주름테가 전부 또는 선택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테(780)는 중앙부 하면(721) 측으로 밀착, 압착되게 한다. 즉, 도 22~도 33과 달리 하부인 확개부(73)는 곡면 날개편(205)에 의해 도 13, 도 14처럼 유입공 끝단 주연부 외향측으로 하부(73)만 확경되며 배관 사이에 주름이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하부 상면은 확경해야 되는 점과 중첩된 주름 위에 다시 겹쳐져야 함을 고려, 상면 두께를 고려해야 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패킹 체결 상태 설명도이며, 도 23은 도 22의 패킹 체결이 완료된 상태 설명도이고, 도 24는 도 23의 보강편 확개 설명도로써, 도 21에서 하부인 확개부(73)를 없게 하고 지지테(780) 하면이 하부이며 그 상측에 하부 분기관 내면 돌출테(207)가 꼽힐 요홈테(733)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34~도 38의 패킹(70)처럼 지지테 내면에 다수의 수평 돌기(781)와 상·하 수직 돌기(783)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하부 분기관 곡면 날개편 또는 분기관 측면에 다수의 구멍(도 25~도 27 참고)을 형성하여 지지테 돌기를 하부 분기관 수평 수직 구멍에 꼽아 조립하므로써 도 23처럼 너트를 조여 분기관 곡면 날개편으로 압축하여 배관 유입공 끝단 주연부에 유입공보다 큰 주름이 형성됨을 나타낸다. 이때, 요홈테(74)에 부챗살형 보강편(737)을 필요에 따라 내장 또는 내외면에 1개소 또는 2개소 이상 등을 형성하면 도 24처럼 부챗살형 보강편이 유입공보다 크게 주름에 형성되므로 유입공에서 분기관을 뽑아지지 못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곡면 날개편의 설명도이며, 도 26은 곡면 날개편의 다른 설명도이고, 도 27은 곡면 날개편의 또다른 설명도로써, 하부 분기관 곡면 날개편(205) 상측에 주름테(207)와 경사각을 갖는 패킹 걸림 돌기 구멍(204)과 수평 돌기 구멍(206)과 수직 돌기 구멍(208) 및 곡면 날개편 내향측에 수평편(209)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6, 도 27의 수평면(209)은 도 22~도 38의 지지테 하면이 곡면 날개편에 상측으로 올라갈 때 확경이 아닌 압축해야 하므로 수평면 활용이 바람직하다.
도 28은 본 발명의 또다른 패킹 설명도이며, 도 29는 도 28에서 날개편이 겹쳐진 상태 설명도로써, 유입공보다 큰 패킹의 곡면 날개편(73)이 분기관 곡면 날개편(205) 상에 크게 형성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분기관의 곡면 날개편 직경보다 조금 큰 유입공에 들어갈 때에는 패킹 곡면 날개편(73)이 패킹 요홈테(74)에 중첩되어 유입공에 들어갈 수 있음을 나타낸다.
도 3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체결 전 일부 단면도로써, 패킹 중앙부(72)에 중앙부 두께보다 얇은 요홈테(74)와 주름테(77)를 형성하고 그 하측에 유입공보다 큰 배관 곡면 날개편인 패킹 하부(73)를 일체로 한 패킹(70)을 하부 분기관에 꼽아 하부 분기관 하측 곡면 날개편 위에 곡면 날개편을 동일 곡면이 되게 한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이다. 이때, 필요에 따라 도 28처럼 하부 분기관 외면에 돌부 또는 돌출테(207)가 형성될 수 있고 패킹에는 요홈테 또는 돌부가 맞물리게 할 수 있다. 도 31은 도 30의 삽입 과정 설명도로써, 유입공에 하부 분기관을 집어넣을 때 확개부인 날개편(73)이 패킹 중앙부 요홈테(74)와 도 29처럼 중첩된 상태로 삽입됨을 나타낸다. 도 32는 도 31의 삽입 후 상태 설명도로써, 유입공 속 배관 내면에서 확개부인 날개편이 원상으로 펼쳐져 있음을 나타낸다. 도 33은 도 32의 체결 후 상태 설명도로써, 너트(400)를 조여 새들 또는 보강와샤 또는 양분된 보강와샤 하면이 패킹 중앙부 상측 가압면(79)을 가압하고 상·하부 분기관(201, 202)이 상측으로 올라가고 동시에 곡면 날개편(205)에 의해 유입공 배관 내면 주연부와 하부 분기관 사이 주름(77)에서 요홈테가 중첩되게 체결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유입공 끝단 에찌(edge) 주연부를 압박 수밀케 하고 필요에 따라 동시에 유입공과 하부 분기관 외면 사이의 패킹 중앙부가 압박 팽창되어 수밀케 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같은 구조는 유입공에서 하부 분기관이 뽑히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패킹 중앙부 또는 요홈테(74) 외면 또는 이에 형성된 요홈테(717)에 도 17처럼 탄력이 좋은 패킹재, 연질 패킹재, 액체 등의 접착제, 스펀지, 코킹재, 실리콘재, 수팽창 고무, 구리스 등(707)을 형성하고 필요에 따라 비닐 또는 테이프로 밀봉하고 너트로 조일 때 이를 제거하여 유입공 또는 유입공 끝단 주연부 또는 배관 내면에 밀착, 압착, 접착, 수밀케 할 수 있다.
도 34는 본 발명의 또다른 패킹 설명도로써, 도 22~도 24, 도 28~도 29의 패킹에서 미리 유입공보다 큰 주름을 형성한 패킹으로 하여 패킹을 하부 분기관에 맞물리게 꼽으며 너트를 회전, 주름테가 벌려지게 하여 유입공에 꼽을 수 있는 또다른 부착장치가 됨을 알 수 있다. 이같은 패킹은 유입공 내면에 주름이 확실하게 복원되는 특징이 있다.
도 3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분해 단면도로써, 지중에 미리 매설된 본배관에 연결관을 설치할 때 지상에서 흙파기로 본배관까지 작업하기 곤란할 경우 비개삭(Non-Open)으로 흙파기를 하지 않고 경사지게 구멍을 뚫어 추진하여 본배관과 체결할 때 활용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이며, 분기관 소켓(200)과 가동 슬리브(300)와 회전 슬리브(400)와 패킹(70)과 링(30)으로 구성되며 상기 분기관 소켓(200)은 하면이 배관 곡면으로 되고 상측에 분기관이 일체이며 내면 주연부에 다수의 돌기 또는 요홈테와 돌출테(230)에 길이방향 레일(235)이 형성되고 필요에 따라 새들에 돌기 구멍을 다수 형성한 분기관 소켓과, 외면에 길이방향 요홈과 내면에 가동 슬리브 숫나사와 맞물릴 암나사(490)와 상측 내향측으로 돌출테(430)를 돌설하고 돌출테 상면 또는 내면에 요철 또는 돌기 또는 중심에 중앙 구멍(442)과 돌출테 내향측으로 다수의 구멍 또는 돌기(444)를 형성한 덮개(440)를 일체로 형성한 회전 슬리브(400)이며, 가동 슬리브(300)는 하측 외향측으로 유입공에 들어갈 곡면 날개편(310)이 일체이며 외면에 상기 회전 슬리브 암나사(490)와 맞물릴 숫나사(390)와 상기 분기관 소켓의 길이방향 레일이 관통할 길이방향 요홈(335)이 형성된 가동 슬리브이며, 곡면 날개편과 가동 슬리브 측면에는 도 25~도 27처럼 측면, 상·하, 경사 구멍이 형성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곡면 날개편 내향측으로 수평면(209)이 형성되거나 돌출테(207) 등이 선택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패킹(70)은 상·중·하부이며 도 22~도 24의 패킹에서 지지테 내면과 하면에 다수의 측면 돌기와 수직 돌기가 형성된 패킹이며, 링(30)은 C형 링 또는 O형 링으로 되어 분기관 내면 돌기(264) 하면에 꼽히게 됨을 나타낸다. 도 36은 도 35의 결합 설명도로써, 분기관 소켓 내면에 회전 슬리브(400)의 외면 길이방향 요홈이 돌기(264)를 관통하여 돌출테(230)에 하면이 놓이며 상면에 링(30)을 돌기 하면에 꼽아 회전 슬리브가 뽑아지지 못하게 하고 가동 슬리브를 분기관 소켓 돌출테 레일과 요홈이 맞물리게 꼽으며 회전 슬리브에 암나사와 맞물리게 가조임한 후 가동 슬리브(300) 외면에 패킹(70)의 수평 돌기와 수직 돌기를 꼽고 이때 돌기는 동일 단면으로 되어 있으나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킹 곡면 날개편의 돌기를 새들 구멍에 꼽아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7은 도 36을 배관에 체결한 설명도로써, 지상에서 연결관(700)과 분기관 소켓이 일체로 부착된 상태에서 도 38처럼 배관에 뚫은 유입공(650)에 가동 슬리브와 패킹을 집어 넣고 지상에서 꼽은 회전체의 걸림부를 덮개(440)의 걸림부인 걸림부(444)와 맞물리게 하고 회전체가 회전되면 회전 슬리브가 회전되며 회전 슬리브의 암나사와 가동 슬리브의 숫나사가 맞물려 있어 가동 슬리브가 상측으로 올라가며 패킹의 요홈테와 요홈테 사이의 주름테(77)에서 주름이 형성되며 체결됨을 나타내며 체결이 완료되면 회전체의 Hole-Cutter가 덮개 중심 구멍(442)에 꼽힌 축 중심으로 덮개를 절단하며 이때 회전체 중심축 하면에 덮개가 이탈되지 못하게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체를 지상으로 뺄 때 덮개도 뽑아진다. 상기 설명에서 회전체 내면에 일체로 한 덮개 대신 회전 슬리브 내면에 길이방향의 요철부 또는 돌기를 형성하여 이를 걸림부로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면의 돌출테 내면 암나사는 회전 슬리브의 암나사와 반대로 된 암나사(왼암나사)를 형성하여 해체시 지상에서 왼쪽 방향 숫나사의 회전체를 사용하므로써 본배관에서 분기관 소켓을 뽑아지게 해체할 때 사용한다. 도 38은 도 37을 본배관에 삽입하는 설명도로써, 본배관(600) 상측에 흙파기 없이 다른 각도에서 본배관을 향해 비개삭 공법으로 설치하는 설명도이다.
도 39는 도 35~도 38의 다른 형태의 실시예 분해 설명도로써, 회전 슬리브를 도 35에서 암나사를 외면 숫나사로 하고 내향 돌출테(430)를 외향 돌출테로 한 회전 슬리브이며 분기관 소켓 내면 주연부에 요홈테(267)와 그 하측에 돌출테(268)와 내면 하측에 길이방향 레일(235)을 형성한 분기관 소켓이며, 가동 슬리브(300)는 내면의 숫나사를 암나사로 한 상태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회전 슬리브(400)는 분기관 소켓 상측에서 꼽아 돌출테(430) 하면이 분기관 소켓 돌출테(268) 상면에 놓고 C형 링 또는 O형 링(30)을 분기관 소켓 내면 요홈테(267)에 꼽는다. 이같은 구조는 도 35 구조보다 배관 유입공이 크게 된다. 그 외는 도 35~도 38과 동일하다. 물론, 도 35에서 분기관 소켓 내면 돌기(264)를 없애고 도 39처럼 요홈테(267)를 형성하면 회전 슬리브(400) 외면에 돌기를 관통할 길이 방향 요홈이 필요치 않다.
도 4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분해 단면도로써, 도 35~도 38은 체결 수단을 회전 슬리브의 암나사와 가동 슬리브의 숫나사를 맞물리게 하여 하나의 회전 슬리브만 회전시키면 체결되는 반면,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볼트와 가동 슬리브 역시 동일 위치, 동일 수의 볼트가 조일 암나사를 조임되게 분기관 소켓 내면 주연부에 다수의 볼트가 꼽힐 돌출테가 형성되고 볼트 구멍에 볼트를 꼽은 후 별개로 된 링(35)으로 볼트 머리가 뽑아지지 못할 정도의 구멍을 형성한 링을 돌출테에 형성한 분기관 소켓이며 하나의 회전체 대신 다수의 볼트로 조이는 것 외에는 도 39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는 배관에 뚫는 구멍이 원 외 타원, 직사각 등 기하학적 단면 구멍에 활용되는 1piece와 2piece와 비개삭 구조 및 연결관이 최대 본배관과 동일한 구조로 할 수 있고, 수밀이 향상되고 One-Touch 체결과 배관 표면이 요철 형상인 신설 배관과 이미 매설된 배관에 활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어 산업용 배관과 하수관거에 널리 이용될 수 있는 발명이다.

Claims (29)

  1. 배관 측면에 뚫은 유입공에 분기관을 부착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에 있어서, 분기관은 상·하부 분기관으로 구분하고, 상부 분기관은 외면에 숫나사 형성과 상면 또는 내면 또는 외면에 연결관이 연결되며 상·하부 분기관 직경이 동일 또는 작은 하부 분기관 경계면 또는 상·하부 분기관 내면에 걸림부(44)가 형성된 분기관(200)이며, 패킹은 상·중·하부이고 패킹 상부(71)가 하부 분기관 하측에 일체이고 중앙부(72) 내면 또는 외면에 요홈테(74) 또는 주름테(77)가 형성되고, 하부(73)인 확개부가 관체형이거나 외향측으로 유입공보다 크게 형성하고 하면이 유입공보다 큰 곡면 날개편(310) 상면에 놓이는 패킹(70)이며, 내측와샤는 유입공보다 큰 곡면 날개편(310) 상측에 분기관 속으로 삽입되는 돌출관(360)과 상면이 평면 또는 전체 또는 일부가 배관 곡면이나 경사면이며 돌출관(360)에 상기 하부 분기관 걸림부(44)와 걸리거나 조임되는 걸림부(55)가 동일 위치, 동일 수로 형성되고 필요에 따라 곡면 날개편(310)과 돌출관(360) 사이에 돌설 가압테(315)를 형성하고 내측와샤를 양분 또는 다수로 분할하고 날개편에 꺾임부 또는 경첩으로 연결된 내측와샤(300)이며, 상부 분기관 외면에 꼽히는 돌출관(150)과 일체인 곡면 날개편을 갖는 새들 하면에 하부 분기관 외면에 꼽힐 보강와샤(800)를 분리 또는 일체로 한 새들(100)과, 숫나사(290)에 조임되는 너트(400)로 구성되어, 유입공에 상기 내측와샤를 접어 집어넣고 상기 분기관과 일체인 패킹 확개부를 유입공 속에 집어넣어 유입공 속에서 원상으로 펼쳐지며 내측와샤 돌출관이 패킹 중앙부를 관통하고 분기관 속에 끌어올려 걸림부(44)와 돌출관 걸림부(55)와 조이거나 걸리게(이를 조립 수단으로 한다) 한 후, 너트(400)를 조일 때(이를 체결 수단으로 한다) 내측와샤 날개편(310)에 의해 확개부가 외향측으로 확개되거나 내측와샤 상에 얹혀지고 분기관이 상측으로 이동할 때 패킹 중앙부의 요홈테 또는 주름테가 유입공 속 또는 외면 상측으로 펴져 높낮이가 조절되며 체결되어 배관 내면과 유입공 에찌(edge) 끝단 주연부를 동시에 수밀케(이를 수밀 수단으로 한다)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하부 분기관(202)을 없애고 상부 분기관 하면 또는 내외면에 패킹 상부(71)를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확개부 외면 또는 확개부 외면에 하면 곡면을 따라 요홈테(717)를 형성하고 이에 탄력이 좋은 패킹재, 연질 패킹재, 액체 등의 접착제, 스펀지, 코킹재, 실리콘재, 수팽창 고무, 구리스 등(707)을 형성하고 필요에 따라 비닐 또는 테이프로 밀봉하고 너트로 조일 때 이를 제거하여 유입공 끝단 주연부 또는 배관 내면에 밀착, 압착, 접착, 수밀케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4. 배관 측면에 뚫은 유입공에 분기관을 부착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에 있어서, 상부 분기관은 외면에 숫나사가 형성되고 내면에 연결관이 수평면 걸림턱까지 꼽히며, 상부 분기관보다 직경이 작은 하부 분기관 외면은 관체형이거나 관체형 끝단(295)에 유입공보다 작은 곡면 날개편 또는 그 상측에 돌기테이고 내면에 걸림부(44)가 형성된 분기관(200)이며, 내측와샤(300)는 유입공보다 큰 곡면 날개편(310) 상측에 분기관 속으로 삽입될 돌출관(360)과 상면이 평면 또는 전체 또는 일부가 곡면이나 경사면이며 돌출관에 분기관 걸림부(44)와 걸리거나 조임되는 걸림부(55)가 동일 위치, 동일 수로 형성되고 내측와샤를 상·하로 양분 또는 다수로 분할하고 필요에 따라 날개편에 꺾임부 또는 경첩으로 연결한 내측와샤(300)이며, 분기관 외면에 꼽히는 돌출관(150)과 일체인 곡면 날개편을 갖는 새들 하면과 하부 분기관 외면에 꼽히는 중앙구멍을 갖는 보강와샤(800)를 분리 또는 일체이거나 양분된 보강와샤이며, 패킹은 상·중·하부이고 상부(71) 외향측으로 배관 외면 곡면 날개편(76)이 형성되고 필요에 따라 곡면 날개편에 돌기(760)를 형성하며 중앙부(72) 내면에 상기 하부 분기관 외면 및 돌기테 또는 끝단 곡면 날개편(295)이 꼽히는 요홈테(74)와 그 하측에 유입공과 내측와샤 돌출관 사이에 꼽히는 관체형 패킹 중앙부와 그 하측에 배관 두께보다 긴 하부인 확개부(73)가 관체형이거나 외향측으로 유입공보다 크게 형성하고 하면이 곡면 날개편(310) 상면에 놓이는 패킹(70)이며, 상부 분기관 외면에 조임 될 너트(400)를 구비, 새들을 꼽고 하부 분기관에 상기 패킹 상부로부터 요홈테 속에 꼽은 상태에서 유입공 속에 접어 집어넣은 내측와샤 돌출관이 하부 분기관의 걸림부와 걸리거나 조임한 후 너트(400)를 회전하여 패킹 하부가 확경 또는 가압하며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5. 배관 측면에 뚫은 유입공에 분기관을 부착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에 있어서, 분기관 외면에 숫나사가 형성되고 내면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걸림턱 하측방 내면 주연부에 걸림부(44)가 형성된 돌출테(230)이며 하면이 평면 또는 곡면 또는 요홈테로 되고 필요에 따라 하부 분기관을 형성한 분기관(200)이며, 내측와샤는 유입공보다 큰 곡면 날개편(310) 상측에 패킹 중앙부를 관통하고 분기관 속으로 삽입되는 돌출관(360)과 상면이 평면 또는 전체 또는 일부가 배관 곡면이나 경사면이며 돌출관에 상기 분기관의 걸림부(44)와 걸리거나 조임되는 걸림부(55)가 동일 위치, 동일 수로 형성되고, 내측와샤를 상·하로 양분 또는 다수로 분할하고 필요에 따라 날개편에 꺾임부 또는 경첩으로 연결된 내측와샤(300)이며, 분기관 외면에 꼽히는 돌출관과 일체인 곡면 날개편을 갖는 새들(100)과 새들 하면 곡면인 보강와샤(800)가 새들과 일체이거나 분리 또는 양분된 보강와샤이며, 패킹은 상·중·하부이고 중앙부(72)에 보강와샤 또는 양분된 보강와샤가 꼽히는 요홈 또는 요홈테(74)와 패킹 중앙부 상면에 가압면(79)을 형성하고 이에 보강와샤 하면(820)이 가압면(79)과 맞닿게 하고 패킹 상부(71)와 상기 보강와샤가 꼽히는 상측과 패킹 상부(71) 사이에 높낮이를 흡수할 주름테 또는 경사테 또는 곡면테(740)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71)는 상부 분기관 외면 또는 하면 또는 하부 분기관(202)과 일체로 형성되고 필요에 따라 보강와샤 상면 또는 하면에 패킹 곡면 날개편을 형성하고 패킹 중앙부(72)는 유입공과 내측와샤 돌출관 외면 사이에 꼽히는 관체형이며 배관 내면에 돌출된 패킹 하부인 확개부(73)가 관체형이거나 외향측으로 유입공보다 크게 형성하고 하면이 곡면 날개편(310) 상면에 놓이는 패킹(70)이며, 너트로 조일 때 보강와샤 하면이 가압면(79)을 압박하고 내측와샤가 상측으로 올라감에 따라 곡면 날개편(310)에 의해 패킹 하부인 확개부가 외향측으로 확개되거나 내측와샤 상에 얹혀지고 배관 내면에 밀착되며 유입공 끝단 주연부와 또는 유입공 속까지 압박, 밀착, 팽창, 수밀케 되고 패킹 상부(71) 하측의 주름테 또는 경사테 또는 곡면테에서 높낮이가 조절되며 수밀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패킹 중앙부(72) 내면 또는 외면에 주름테(77) 또는 요홈테(74)를 형성하여 너트로 조일 때 요홈테(74)와 주름테(77)에서 중첩된 주름이 배관 내면 또는 유입공 끝단 주연부 또는 유입공 속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7. 배관 측면에 뚫은 유입공에 분기관을 부착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에 있어서, 분기관은 상·하부 분기관으로 구분하고, 상부 분기관은 외면에 숫나사가 형성되고 연결관은 상부 분기관 상면 또는 내면 또는 외면에 연결되며 상부 분기관과 직경이 동일하거나 작은 하부 분기관(202) 외면 하부에 하면이 곡면인 외향측 날개편(205)을 유입공에 들어가게 형성하며 상부 분기관보다 직경이 작은 하부 분기관 내면은 수평면 걸림턱(203)까지 형성된 하부 분기관을 일체로 형성하거나 분리하여 접착제 또는 O-Ring(777)과 함께 측면에서 핀 등으로 고정하여서 된 분기관(200)과, 숫나사에 조임되는 너트(400)와, 상부 분기관 외면에 꼽히는 돌출관과 일체인 배관 곡면인 날개편을 갖는 새들(100)과, 패킹은 유입공과 하부 분기관 외면 사이에 꼽히는 관체형이며 필요에 따라 하부 분기관 외면과 패킹 중앙부 사이에 O-Ring(777)을 일체 또는 별개로 형성하고 그 하측에 동일 관체가 배관 두께보다 길게 돌출되며 하부인 확개부(73)의 하면이 하부 분기관 곡면 날개편(205)과 동일 곡면이며 패킹 상부(71)는 가압면(79)을 포함, 배관 외면 곡면인 날개편(76)과 일체로 된 패킹(70)과, 하부 분기관 외면에 꼽히는 보강와샤(800)를 새들과 일체 또는 별개로 된 보강와샤 또는 별개로 된 양분된 보강와샤로 구성하여 패킹을 상기 패킹 확개부 곡면 하면이 하부 분기관 날개편 곡면에 놓이게 삽입하고 유입공 속에 패킹과 함께 하부 분기관을 꼽고 너트를 조여 날개편(205)에 의해 패킹 하부인 확개부(73)가 외향측으로 유입공보다 크게 확개되어 유입공 끝단 주연부를 가압 수밀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새들(100) 하면에 보강와샤와 일체이거나 별개로 된 보강와샤 또는 별개로 된 양분된 보강와샤가 하측으로 폭이 좁아지는 쐐기테(60)와 일체이거나 분리된 쐐기테이며, 패킹 상부 가압면(79)에 상기 보강와샤 하면 쐐기테(60)가 꼽힐 요홈테(790) 또는 요홈테에 일체 또는 1개소 이상 분할된 별개의 홈테받이(791)가 일체로 형성된 가압면인 패킹(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관체형 확개부 외면과 그 상측 외면 또는 이에 하면 곡면을 따라 형성된 요홈테(717)에 탄력이 좋은 패킹재, 연질 패킹재, 액체 등의 접착제, 스펀지, 코킹재, 실리콘재, 수팽창 고무, 구리스 등(707)을 형성하고 필요에 따라 비닐 또는 테이프로 밀봉하고 너트로 조일 때 이를 제거하여 유입공 또는 유입공 끝단 주연부 또는 배관 내면에 밀착, 압착, 접착, 수밀케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패킹 확개부 하면에 부챗살형 보강편(강재, 합성수지재, 고무재 등)을 내장 또는 곡면 날개편(205)과 확개부 하면과 하부 분기관 외면 사이에 부챗살형 보강편을 개재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부챗살형 보강편(강재, 합성수지재, 고무재 등)을 별개의 쐐기테(66)로 하고 확개부 하면에 쐐기가 꼽힐 요홈테(730)를 형성하며 너트를 조일 때 곡면 날개편 상의 일체이거나 1개소 이상 분할된 쐐기테가 외향측으로 확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12. 배관 측면에 뚫은 유입공에 분기관을 부착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에 있어서, 분기관은 상·하부 분기관으로 구분하고, 상부 분기관은 외면에 숫나사가 형성되고 연결관은 상부 분기관 상면 또는 내면 또는 외면에 연결되며 상부 분기관과 직경이 동일하거나 작은 하부 분기관의 하측 외면 주연부에 필요에 따라 돌출테(207)와 외면 하부에 하면이 곡면인 외향측 날개편(205)을 유입공에 들어가게 형성하며 상부 분기관보다 직경이 작은 하부 분기관 내면은 수평면 걸림턱(203)까지 형성된 하부 분기관을 일체로 형성하거나 분리하여 접착제 또는 O-Ring(777)과 함께 측면에서 핀 등으로 고정하여서 된 분기관(200)과, 숫나사에 조임되는 너트(400)와, 상부 분기관 외면에 꼽히는 돌출관과 일체인 배관 곡면인 날개편을 갖는 새들(100)과, 패킹은 상·중·하부이고 상부는 가압면(79)을 포함, 외향측 배관 곡면 날개편(76)이며 중앙부(72) 내면 또는 외면 하측이 필요에 따라 하면(721)이며 그 하측에 요홈테(74)와 그 하측에 주름테(77)와 그 하측에 요홈테(74)와 그 하측에 하부인 확개부(73) 하면을 하부 분기관 곡면 날개편(205) 곡면과 동일 곡면이며 필요에 따라 하부 분기관 외면에 형성한 돌부 또는 돌출테(207)와 맞물릴 요홈테(733)를 형성한 패킹(70)이며, 보강와샤(800)를 새들 하면과 일체로 하거나 별개로 된 보강와샤 또는 별개로 된 양분된 보강와샤를 구비, 하부 분기관에 상기 패킹의 하부 하면이 곡면 날개편(205)과 동일 곡면이며 돌출테와 요홈테가 맞물리게 꼽고 너트로 가조임한 후, 유입공에 하부 분기관과 함께 패킹을 꼽고 너트를 조임하면 하부 분기관 곡면 날개편(205)에 의해 하부(73)가 외향측으로 확개 또는 꺾여 유입공보다 커지고, 하부인 확개부와 배관 내면 사이 또는 유입공 끝단 주연부 또는 유입공 속에 주름이 전부 또는 선택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부 분기관보다 직경이 작은 하부 분기관의 하측 외면 주연부에 돌출테(207) 또는 측면 수평 걸림 구멍 또는 곡면 날개편(205) 내향 상·하 구멍을 다수 형성한 분기관이며, 수밀을 위한 패킹의 하부인 확개부를 곡면 날개편(205)과 동일 곡면인 하면이 곡면을 갖는 지지테(780)를 일체로 형성하고 지지테 내면에 상기 돌출테(207) 또는 수평 걸림 구멍(206)에 꼽힐 걸림테(733) 또는 수평 걸림 돌기(781)와 또는 지지테 하측방으로 곡면 날개편 상·하로 형성된 걸림 구멍에 꼽힐 걸림 돌기(783)를 형성한 패킹으로 하고, 상기 패킹을 분기관 날개편에 동일 곡면으로 돌기 또는 돌출테에 맞물리게 꼽고 너트를 조임하면 주름테가 배관 내면에 유입공보다 크게 형성되며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하부인 확개부(73)가 외향측으로 유입공보다 큰 곡면 날개편이며 필요에 따라 끝단이 상측으로 각을 갖게 형성하고 곡면 날개편 내면에 다수의 수평 돌기 또는 곡면 날개편 하면 내향측에 상·하로 다수의 돌기를 형성한 패킹이며, 상기 하부 분기관 하측 또는 곡면 날개편 내향측 상·하에 돌기 구멍을 형성한 분기관으로 하고 하부 분기관에 상기 패킹 곡면 날개편(73)이 상기 하부 분기관 곡면 날개편(205)에 동일 곡면으로 되게 패킹 돌기를 하부 분기관 측면 또는 상·하 구멍에 돌기를 꼽고 유입공 속에 하부 분기관과 함께 삽입할 때 패킹 곡면 날개편이 패킹 요홈테에 중첩되며 삽입되고 유입공 속에서 곡면 날개편(73)이 원상으로 유입공보다 크게 형성되어 너트를 조일 때 곡면 날개편(73)과 배관 내면 사이에 유입공보다 큰 주름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15.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 중앙부 또는 요홈테(74) 외면 또는 이에 형성된 요홈테(717)에 탄력이 좋은 패킹재, 연질 패킹재, 액체 등의 접착제, 스펀지, 코킹재, 실리콘재, 수팽창 고무, 구리스 등(707)을 형성하고 필요에 따라 비닐 또는 테이프로 밀봉하고 너트로 조일 때 이를 제거하여 유입공 또는 유입공 끝단 주연부 또는 배관 내면에 밀착, 압착, 접착, 수밀케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패킹(70)의 곡면 날개편(73) 끝단에 꺾임부(771)로 연결된 보강 날개편(773)을 일체로 형성한 패킹이며, 하부 분기관 하측 곡면 날개편(205)과 상기 패킹의 곡면 날개편(73)이 동일 곡면이 되게 꼽아 결합한 후, 유입공에 하부 분기관을 삽입할 때 상기 곡면 날개편(73)과 보강 날개편(773)이 좁혀지며 요홈테(74)에 밀착되어 꼽아지고 유입공 속 배관 내면에서 보강 날개편 끝단이 요홈테(74)에 근접되게 꺾임부(771)가 각을 갖게 원상으로 되고 너트(400)를 조일 때 곡면 날개편(73) 상면에 보강 날개편(773)이 하부 분기관 하측 곡면 날개편(205)에 의해 중첩되며 주름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요홈테(74)에 부챗살형 보강편(737)을 내장 또는 내면 또는 외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18.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 중앙부 또는 요홈테(74) 외면 또는 이에 형성된 요홈테(717)에 탄력이 좋은 패킹재, 연질 패킹재, 액체 등의 접착제, 스펀지, 코킹재, 실리콘재, 수팽창 고무, 구리스 등(707)을 형성하고 필요에 따라 비닐 또는 테이프로 밀봉하고 너트로 조일 때 이를 제거하여 유입공 또는 유입공 끝단 주연부 또는 배관 내면에 밀착, 압착, 접착, 수밀케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19.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요홈테(74) 내면 또는 외면이나 곡면 날개편 상면 또는 하면에 부챗살형 보강편(737)을 내장 또는 내면 또는 외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20. 배관 측면에 뚫은 유입공에 분기관을 부착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에 있어서, 분기관은 상·하부 분기관으로 구분하고, 상부 분기관은 외면에 숫나사가 형성되고 내면에 연결관이 상부 분기관 상면 또는 내면 또는 외면에 연결되며 상부 분기관과 직경이 동일하거나 작은 하부 분기관 외면 하부에 하면이 곡면인 외향측 날개편(205)을 유입공에 들어가게 형성하며 상부 분기관보다 직경이 작은 하부 분기관 내면은 수평면 걸림턱(203)까지 형성되고 하부 분기관의 하측 외면 주연부에 돌출테(207) 또는 측면 수평 걸림 구멍 또는 곡면 날개편(205) 내향 상·하 구멍을 다수 형성한 분기관(200)이며, 너트(400)는 필요에 따라 새들 돌출관(150) 상측과 회전 가능하게 맞물려 걸려 요홈테 또는 돌기테를 형성한 너트이고, 새들(100)은 돌출관(150) 상측에 필요에 따라 너트 하측 요홈테 또는 돌기테와 맞물리며 걸릴 걸림테 또는 요홈테를 형성하며 하면에 하부 분기관 외면에 꼽히는 보강와샤(800)와 일체이거나 별개로 된 보강와샤 또는 별개로 된 양분된 보강와샤에 필요에 따라 패킹 곡면 날개편의 걸림 돌기(760)가 꼽힐 다수의 구멍을 형성한 보강와샤와, 패킹은 상·중·하부이고 상부는 가압면(79)을 포함, 외향측 배관 곡면 날개편(76)이며 필요에 따라 새들 또는 보강와샤의 구멍에 꼽힐 다수의 돌기를 형성하고 중앙부(72) 내면 하측에 필요에 따라 하면(721)을 형성하며 그 하측에 유입공보다 큰 주름이 형성되고 이에 곡면 날개편(205)과 동일 곡면인 하면이 곡면을 갖는 지지테(780)로 형성하고 지지테 내면에 상기 하부 분기관 돌출테(207) 또는 걸림 구멍(206)에 꼽힐 걸림테(733) 또는 수평 돌기와 또는 지지테 하측방으로 곡면 날개편 상·하로 형성된 걸림 구멍에 꼽힐 돌기를 형성한 패킹을 구비, 상기 패킹을 하부 분기관 외면에 패킹 지지테(780)의 걸림테 또는 수평 걸림 돌기와 상·하 돌기를 하부 분기관의 돌출테(207) 또는 수평 걸림 구멍과 상·하 구멍에 맞물리게 꼽으며 패킹 곡면 날개편(76)이 새들 하면 곡면 또는 보강와샤 하면 곡면과 동일 곡면이 되게 곡면 날개편에 돌기를 꼽아 일체로 하고 새들 돌출관 상측과 너트 하측의 걸림테 또는 요홈테가 회전되게 맞물려 너트 하측에서 새들이 하측으로 뽑아지지 못하게 하고 너트를 회전, 상기 패킹 주름이 벌려지게 한 상태에서 유입공에 하부 분기관을 패킹과 함께 꼽고 너트(400)를 조여 배관 내면 유입공 끝단 주연부에 유입공보다 큰 주름이 원상으로 형성되며 체결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테 내향 하측에 유입공보다 큰 곡면 날개편을 일체로 형성하며 필요에 따라 끝단이 상측으로 각을 갖게 형성한 패킹이며, 하부 분기관 곡면 날개편과 동일 곡면이 되게 패킹 돌기를 하부 분기관에 꼽아 일체로 하여 너트를 반대로 회전, 주름이 벌려지게 한 후 유입공 속에 하부 분기관을 삽입할 때 패킹 곡면 날개편이 패킹 요홈테에 중첩되며 삽입되고 유입공 속에서 곡면 날개편(73)이 원상으로 유입공보다 크게 형성되어 너트를 조일 때 곡면 날개편(73)과 배관 내면 사이에 유입공보다 큰 주름이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의 주름 상면과 유입공 끝단 주연부 상측 외면 또는 필요에 따라 주름 곡면을 따라 형성된 요홈테(717)에 탄력이 좋은 패킹재, 연질 패킹재, 액체 등의 접착제, 스펀지, 코킹재, 실리콘재, 수팽창 고무, 구리스 등(707)을 형성하고 필요에 따라 비닐 또는 테이프로 밀봉하고 너트로 조일 때 이를 제거하여 유입공 또는 유입공 끝단 주연부 또는 배관 내면에 밀착, 압착, 접착, 수밀케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23.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요홈테(74) 또는 유입공보다 큰 곡면 날개편 내면 또는 외면에 부챗살형 보강편(강재, 합성수지재, 고무재 등)을 내장 또는 내면 또는 외면에 부챗살형 보강편을 개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24. 배관 측면에 뚫은 유입공에 분기관을 부착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에 있어서, 하면이 곡면인 새들(100) 상측에 분기관을 일체로 형성하고 내면 주연부에 다수의 돌기 또는 요홈테와 내면 하측 중심측으로 상면을 갖는 돌출테에 길이방향 레일(235)이 일체이고 새들 하면 또는 돌출테 하면에 필요에 따라 요홈테 또는 돌출테 및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분기관 소켓(200)이며, 회전 슬리브는 외면에 필요에 따라 돌기가 관통할 길이방향 요홈이 형성되고 내면에 가동 슬리브 숫나사와 맞물릴 암나사와 상측 내향측으로 돌출테를 돌설하고 돌출테 상면 또는 내면에 요철 또는 돌기를 형성하여 공구 또는 회전체와 맞물려 회전케 된 회전 슬리브(400)이며, 가동 슬리브는 슬리브 외면에 상기 분기관 소켓 돌출테 내면 길이방향 레일이 관통할 길이방향 요홈과 외면에 상기 회전 슬리브 암나사와 맞물리며 조임될 숫나사를 형성하고 하측 외향측으로 유입공에 꼽힐 곡면 날개편(310)을 일체로 형성한 가동 슬리브(300)이며, 패킹은 상·중·하부이고 상부는 중앙부(72) 두께의 가압면(79)을 포함한 새들 하면 곡면인 날개편을 일체로 하고 필요에 따라 상기 분기관 소켓 하면 또는 새들 하면의 요홈테 또는 돌출테 및 다수의 돌기를 선택적으로 형성하고 중앙부(72)는 유입공과 가동 슬리브 사이에 꼽히는 배관 두께보다 긴 관체형이며 하부(73)는 슬리브 곡면 날개편의 곡면과 동일 곡면으로 된 패킹(70)이며, C형 링 또는 O형 링(30)은 분기관 내면 요홈테 또는 돌기 하면에 꼽히거나 걸리는 링으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 슬리브를 분기관 소켓 상측에서 돌출테 상면에 놓고 링(30)으로 회전 슬리브 외향측 상면 사이에 꼽고 가동 슬리브에 패킹을 하부 곡면이 곡면 날개편 곡면과 동일 곡면으로 꼽고 패킹 곡면 날개편이 새들 하면 곡면과 동일 곡면이 되게 가동 슬리브 길이방향 요홈과 돌출테 길이방향 레일이 꼽힌 상태에서 회전 슬리브의 암나사와 가동 슬리브의 숫나사를 가조임하여 하나로 하고 필요에 따라 연결관(700)을 분기관 소켓 내면 또는 상면 또는 외면에 부착한 상태에서 배관에 뚫은 유입공 속에 상기 가동 슬리브와 패킹을 유입공에 꼽고 공구 또는 회전체를 회전 슬리브의 걸림부와 맞물리게 하고 회전체를 회전, 회전 슬리브의 회전에 따라 가동 슬리브가 조임되며 상측으로 이동할 때 곡면 날개편에 의해 패킹 가압면과 곡면 날개편 사이에서 하부가 유입공 끝단 주연부 외향측으로 확경되며 유입공 끝단 주연부와 유입공 속 및 새들 하면과 가압면 사이가 수밀되며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 소켓의 돌출테를 없게 하고 분기관 소켓 내면에 길이방향 레일(235)과 상기 요홈테 또는 돌기 하측에 돌출테를 형성한 분기관 소켓이며, 상기 가동 슬리브는 외면 숫나사를 내면에 암나사를 형성한 가동 슬리브이며, 회전 슬리브는 내면 암나사를 외면에 숫나사로 하여 가동 슬리브 내면 암나사와 맞물려 조여지고 회전 슬리브 내향측 돌출테를 외향측 돌출테로 하여 돌출테 상면 또는 회전 슬리브 내면에 회전체와 맞물릴 걸림부를 형성하며 분기관 소켓 상측에서 회전 슬리브를 꼽아 돌출테 하면이 분기관 소켓 돌출테 상면에 걸리게 꼽고 상측에 C형 링 또는 O형 링(30)을 요홈테 또는 돌기 하면에 꼽거나 걸리게 하고 패킹과 함께 가동 슬리브를 분기관 소켓 길이 방향 레일(235)과 가동 슬리브 요홈이 맞물리게 꼽은 상태에서 회전 슬리브를 회전하여 숫나사를 가동 슬리브 암나사와 맞물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26. 배관 측면에 뚫은 유입공에 분기관을 부착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에 있어서, 하면이 곡면인 새들(100) 상측에 분기관을 일체로 형성하고 내면 주연부에 다수의 돌기 또는 요홈테와 내면 하측 중심측으로 상면을 갖는 돌출테에 길이 방향 레일(235)이 일체이고 새들 하면 또는 돌출테 하면에 필요에 따라 요홈테 또는 돌출테 및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분기관 소켓(200)이며, 회전 슬리브는 외면에 필요에 따라 돌기가 관통할 길이 방향 요홈이 형성되고 내면에 가동 슬리브 숫나사와 맞물릴 암나사와 상측 내향측으로 돌출테를 돌설하고 돌출테 상면 또는 내면에 요철 또는 돌기를 형성하여 공구 또는 회전체와 맞물려 회전케 된 회전 슬리브(400)이며, 가동 슬리브는 슬리브 외면에 상기 분기관 소켓 돌출테 내면 길이 방향 레일이 관통할 길이 방향 요홈과 외면에 상기 회전 슬리브 암나사와 맞물리며 조임될 숫나사를 형성하고 하측 외향측으로 유입공에 꼽힐 곡면 날개편(310)을 일체로 형성하고 이에 상·하로 다수의 돌기 구멍과 슬리브 측면으로 다수의 수평 돌기가 꼽힐 구멍을 형성한 가동 슬리브(300)이며, 패킹은 상·중·하부이고 상부는 중앙부(72) 두께의 가압면(79)을 포함한 새들 하면 곡면인 날개편을 일체로 하고 필요에 따라 상기 분기관 소켓 하면 또는 새들 하면의 요홈테 또는 돌출테 및 다수의 돌기를 선택적으로 형성하고 중앙부(72) 내면 또는 외면 하측이 필요에 따라 하면(721)이며 그 하측에 요홈테(74)와 그 하측에 주름테(77)와 그 하측에 요홈테(74)와 그 하측에 하부인 확개부 하면이 가동 슬리브 곡면 날개편(310) 곡면과 동일 곡면이며 상기 가동 슬리브의 곡면 날개편과 측면에 뚫은 구멍에 꼽힐 다수의 돌기(783)와 수평 돌기(781)와 지지테(780)로 된 패킹(70)이며, C형 링 또는 O형 링은 분기관 내면 요홈테 또는 돌기 하면에 꼽히거나 걸리는 C형 또는 O형 링으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 슬리브를 분기관 소켓 상측에서 돌출테 상면에 놓고 링(30)으로 회전 슬리브 외향측 상면 사이에 꼽고 가동 슬리브에 패킹을 하면이 곡면 날개편 곡면과 동일 곡면이 되게 다수의 수평 돌기와 상·하 돌기를 꼽고 패킹 곡면 날개편이 새들 하면 곡면과 동일 곡면이 되게 가동 슬리브 길이 방향 요홈과 돌출테 길이 방향 레일이 꼽힌 상태에서 회전 슬리브의 암나사와 가동 슬리브의 숫나사를 가조임하여 하나로 하고 필요에 따라 연결관(700)을 분기관 소켓 내면 또는 상면 또는 외면에 부착한 상태에서 배관에 뚫은 유입공 속에 상기 가동 슬리브와 패킹을 유입공에 꼽고 공구 또는 회전체를 회전 슬리브의 걸림부와 맞물리게 하고 회전체를 회전, 회전 슬리브의 회전에 따라 가동 슬리브가 조임되며 상측으로 끌어올릴 때 가동 슬리브 곡면 날개편(310)에 의해 지지테 하면이 압축되며 패킹의 요홈테 사이가 겹쳐지며 주름이 유입공보다 크게 형성되며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 소켓의 돌출테를 없게 하고 분기관 소켓 내면에 길이방향 레일(235)과 상기 요홈테 또는 돌기 하측에 돌출테를 형성한 분기관 소켓이며, 상기 가동 슬리브는 외면 숫나사를 내면에 암나사를 형성한 가동 슬리브이며, 회전 슬리브는 내면 암나사를 외면에 숫나사로 하여 가동 슬리브 내면 암나사와 맞물려 조여지고 회전 슬리브 내향측 돌출테를 외향측 돌출테로 하여 돌출테 상면 또는 회전 슬리브 내면에 회전체와 맞물릴 걸림부를 형성하며 분기관 소켓 상측에서 회전 슬리브를 꼽아 돌출테 하면이 분기관 소켓 돌출테 상면에 걸리게 꼽고 상측에 C형 링 또는 O형 링(30)을 요홈테 또는 돌기 하면에 꼽거나 걸리게 하고 패킹과 함께 가동 슬리브를 분기관 소켓 길이 방향 레일(235)과 가동 슬리브 요홈이 맞물리게 꼽은 상태에서 회전 슬리브를 회전하여 숫나사를 가동 슬리브 암나사와 맞물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28. 배관 측면에 뚫은 유입공에 분기관을 부착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에 있어서, 하면이 곡면인 새들(100) 상측에 분기관을 일체로 형성하고 내면 주연부에 다수의 돌기 또는 요홈테와 내면 하측 중심측으로 상면을 갖는 돌출테에 길이 방향 레일(235)이 일체이고 새들 하면 또는 돌출테 하면에 필요에 따라 요홈테 또는 돌출테 및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분기관 소켓(200)이며, 회전 슬리브는 외면에 필요에 따라 돌기가 관통할 길이 방향 요홈이 형성되고 내면에 가동 슬리브 숫나사와 맞물릴 암나사와 상측 내향측으로 돌출테를 돌설하고 돌출테 상면 또는 내면에 요철 또는 돌기를 형성하거나 돌출테 내면에 왼암나사를 형성하고 왼암나사 하측 내향 중심에 중앙 구멍과 왼암나사 내측방 주연부에 회전체가 꼽히거나 걸릴 구멍 또는 요철 걸림부를 다수 형성한 덮개(440)를 일체로 형성한 회전 슬리브(400)와, 가동 슬리브는 슬리브 외면에 상기 분기관 소켓 돌출테 내면 길이 방향 레일이 관통할 길이 방향 요홈과 외면에 상기 회전 슬리브 암나사와 맞물리며 조임될 숫나사를 형성하고 하측 외향측으로 유입공에 꼽힐 곡면 날개편(310)을 일체로 형성하고 이에 상·하로 다수의 돌기 구멍과 슬리브 측면으로 다수의 수평 돌기가 꼽힐 구멍을 형성한 가동 슬리브(300)이며, 패킹은 상·중·하부이고 상부는 중앙부(72) 두께의 가압면(79)을 포함한 새들 하면 곡면인 날개편을 일체로 하고 필요에 따라 하면(721)이며 그 하측에 요홈테(74)와 주름테(77)와 요홈테(74)가 유입공보다 크게 주름이 형성되고 요홈테 내향측에 지지테(780)가 일체이며 지지테 하면이 가동 슬리브 곡면 날개편과 동일 곡면인 지지테 하면이며 이에 하측방으로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지지테 내면에 가동 슬리브 측면 구멍에 꼽힐 돌기가 형성된 패킹(70)이며, C형 링 또는 O형 링은 분기관 내면 요홈테 또는 돌기 하면에 꼽히거나 걸리는 C형 또는 O형 링으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 슬리브를 분기관 소켓 상측에서 돌출테 상면에 놓고 링(30)으로 회전 슬리브 외향측 상면 사이에 꼽고 가동 슬리브에 패킹을 하면이 곡면 날개편 곡면과 동일 곡면이 되게 다수의 수평 돌기와 상·하 돌기를 꼽고 패킹 곡면 날개편이 새들 하면 곡면과 동일 곡면이 되게 가동 슬리브 길이 방향 요홈과 돌출테 길이 방향 레일이 꼽힌 상태에서 회전 슬리브의 암나사와 가동 슬리브의 숫나사를 가조임하여 하나로 하고 회전 슬리브를 분기관 소켓 내면에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주름이 가동 슬리브 외면에 길이 방향으로 벌려진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연결관(700)을 분기관 소켓 내면 또는 상면 또는 외면에 부착하고 배관에 뚫은 유입공에 가동 슬리브와 패킹을 꼽고 회전체의 걸림부를 상기 덮개의 걸림 구멍(444)에 맞물리게 하여 회전, 가동 슬리브를 상측으로 끌어올림에 따라 유입공 배관 내면에 요홈테와 요홈테가 주름테에서 중첩되며 원상으로 주름이 유입공보다 크게 되며 체결하고 덮개가 있을 시 회전체의 Hole-Cutter로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 소켓의 돌출테를 없게 하고 분기관 소켓 내면에 길이방향 레일(235)과 상기 요홈테 또는 돌기 하측에 돌출테를 형성한 분기관 소켓이며, 상기 가동 슬리브는 외면 숫나사를 내면에 암나사를 형성한 가동 슬리브이며, 회전 슬리브는 내면 암나사를 외면에 숫나사로 하여 가동 슬리브 내면 암나사와 맞물려 조여지고 회전 슬리브 내향측 돌출테를 외향측 돌출테로 하여 돌출테 상면 또는 회전 슬리브 내면에 회전체와 맞물릴 걸림부를 형성하며 분기관 소켓 상측에서 회전 슬리브를 꼽아 돌출테 하면이 분기관 소켓 돌출테 상면에 걸리게 꼽고 상측에 C형 링 또는 O형 링(30)을 요홈테 또는 돌기 하면에 꼽거나 걸리게 하고 패킹과 함께 가동 슬리브를 분기관 소켓 길이 방향 레일(235)과 가동 슬리브 요홈이 맞물리게 꼽은 상태에서 회전 슬리브를 회전하여 숫나사를 가동 슬리브 암나사와 맞물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PCT/KR2009/004341 2008-08-05 2009-08-03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WO2010016708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76383 2008-08-05
KR10-2008-0076383 2008-08-05
KR10-2009-0018876 2009-03-05
KR1020090018876A KR20100017040A (ko) 2008-08-05 2009-03-05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KR1020090068862A KR100983186B1 (ko) 2008-08-05 2009-07-28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KR10-2009-0068862 2009-07-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16708A2 true WO2010016708A2 (ko) 2010-02-11
WO2010016708A9 WO2010016708A9 (ko) 2010-05-20

Family

ID=41207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09/004341 WO2010016708A2 (ko) 2008-08-05 2009-08-03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83186B1 (ko)
WO (1) WO2010016708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24093A1 (fr) * 2016-11-21 2018-05-23 Norham Bride d adaptation pour piquage sur canalisation
CN109441371A (zh) * 2018-11-26 2019-03-08 中国石油大学(北京) 内旋式导管承载力加强装置及其使用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07483B4 (de) * 2010-02-09 2013-04-18 Winfried Felber Anschlussvorrichtung
KR101134523B1 (ko) * 2010-09-16 2012-04-13 엔바이로텍 주식회사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KR200477524Y1 (ko) * 2013-09-27 2015-06-18 피에이.이 머쉬너리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압력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9690Y1 (ko) 1997-07-09 1999-11-01 진인주 분기 지관 소켓 부착장치
KR100696448B1 (ko) 2004-10-18 2007-03-20 한승희 탄성힌지형 이중벽관 분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24093A1 (fr) * 2016-11-21 2018-05-23 Norham Bride d adaptation pour piquage sur canalisation
CN109441371A (zh) * 2018-11-26 2019-03-08 中国石油大学(北京) 内旋式导管承载力加强装置及其使用方法
CN109441371B (zh) * 2018-11-26 2023-12-08 中国石油大学(北京) 内旋式导管承载力加强装置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9825A (ko) 2009-08-24
WO2010016708A9 (ko) 2010-05-20
KR100983186B1 (ko) 2010-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16708A2 (ko)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KR101678379B1 (ko) 관 연결 조립장치
KR100256769B1 (ko) 관이음매
WO2014081111A1 (ko) 배관연결용 클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파이프 커플러
WO2017171349A1 (ko) 선박용 긴급 파공 봉쇄장치
CN110416960A (zh) 一种地下电缆管道封堵器
WO2018056510A1 (ko) 응급용 파공 봉쇄장치
KR20070013181A (ko)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KR20080075434A (ko)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CN107218452A (zh) 一种管道的防渗接头组件及管道的防渗密封方法
CN210196751U (zh) 一种药机专用的卫生级卡箍人孔
KR20120031859A (ko)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JP3073743U (ja) ケーブル固定ヘッド
CN214273588U (zh) 一种井口封井器
CN211315444U (zh) 快速接头
KR900009954Y1 (ko) 가스호스 연결구조
CN215300126U (zh) 一种便于安装的线缆管封堵器
CN217130659U (zh) 一种易安装的宝塔接头
CN218378216U (zh) 一种弹性喉箍
CN218895096U (zh) 一种消防管道连接处快速密封装置
CN220628858U (zh) 一种电缆管道封堵器
CN216883800U (zh) 管道、管道拆卸工具及管道工装
CN211525737U (zh) 一种废气处理管道的软连接管
CN2250467Y (zh) 上水管连接装置
JPH03289318A (ja) ケーブルの仮再接続部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0980516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0980516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