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09134045A2 - 엘리베이터용 행거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행거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09134045A2
WO2009134045A2 PCT/KR2009/002201 KR2009002201W WO2009134045A2 WO 2009134045 A2 WO2009134045 A2 WO 2009134045A2 KR 2009002201 W KR2009002201 W KR 2009002201W WO 2009134045 A2 WO2009134045 A2 WO 2009134045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hanger
plate
elevator
hanger plate
elevato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220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09134045A3 (ko
Inventor
황우성
Original Assignee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Priority to JP2011504937A priority Critical patent/JP5241913B2/ja
Priority to CN2009801148287A priority patent/CN102015509B/zh
Priority to EP09738951.4A priority patent/EP2269934B1/en
Publication of WO2009134045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09134045A2/ko
Publication of WO2009134045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09134045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hanger plate and an elevator door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hanger plate to prevent the departure of the elevator door due to the deformation of the hanger plate, and including the same. It relates to an elevator door device.
  • FIG. 9 is a side view of a conventional elevator door device for explaining the departure of the elevator door due to the bending of the hanger plate that may occur when a constant force is applied to the elevator door.
  • a conventional elevator door apparatu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 the upper part of the elevator entrance and exit is provided with a hanger case 10 in which a driving device for driving the elevator door 30 is installed.
  • the hanger case 10 is provided with a hanger rail 12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elevator door 30 in addition to the driving device.
  • the elevator door 30 may be connected to the hanger rail 12 of the hanger case 10 by the hanger plate 20 so as to move left and right.
  • the upper part of the elevator door 30 is supported by the hanger case 10 through the hanger plate 20, and the lower part of the elevator door 30 is guided through the door shoe 32.
  • the elevator door 30 can stably mov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levator doorway.
  • the conventional hanger plate 20 is manufactured by a method of simply bending a flat metal plate having a thin thickness, its rigidity is very weak. Accordingly, as shown in FIG. 9, when a constant force F acts vertically on the elevator door 30, bending occurs in a portion of the hanger plate 20 (see FIGS. 9A and 9B). 30 may be separated from the guide rail 40.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the deformation of the hanger plate even if a constant force is applied to the elevator door hanger for elevators that can prevent the departure of the elevator door It is to provide a plate and an elevator door device.
  • the elevator door device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elevator door and hanger case having a hanger rail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levator door, the transmission on the hanger rail A hanger plate which is connected to the roller and which the roller moves on the hanger rail, and moves left and righ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levator entrance, and an elevator door which is coupled to the hanger plate and opens and closes the elevator door according to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hanger plate.
  • the hanger plate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embossing portion projecting forward or recessed rearward, the first embossing portion is formed to pass through a lin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from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roller.
  • the elevator door apparatus includes a hanger plate on which the first embossing portion is formed, the hanger plat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bent upward even if a vertical force is applied to the elevator door. That is, since the first embossed portion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hanger plate, the rigidity of the hanger plate which can suppress the hanger plate from being bent as described above can be ensured, and thus the hanger plate is applied even if a vertical force is applied to the elevator door. Since it does not bend upward, departure of the elevator door can be prevented.
  • this separation prevention is more effective because the first embossed portion is formed to pass through a lin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from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roller.
  • a force is applied to the hanger plate, bending may occur first at a point at which the hanger plate is connected to the roller, that is, at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roller.
  • the hanger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inforce the strength vulnerability of the hanger plate.
  • One pair of left and right may be formed around the connecting shaft connecting the first embossing part to the hanger plate and the roller.
  • the elevator door device can prevent the hanger plate twisting due to the second embossing portion. That is, in the hanger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econd embossed portion protruded forward or recessed backward may be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prevent the twist of the hanger plate as described above.
  • the second embossing portion is preferably formed so as to pass through a center line that is half divided between the width direction both ends of the hanger plate.
  • the hanger plate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base plate and a connecting plate formed to be bent vertically from one end of the base plate, the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base plate and the connecting plate to prevent the connecting plate is folded toward the base plate
  • the third embossed portion protruding inward may be formed. Accordingly, even if a force is applied to the elevator door, the connecting portion can be prevented from bending upward.
  • the elevator door device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elevator doorway, a hanger case having a hanger rail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levator doorway, and a roller running on the hanger rail is connected. And a roller coupled to the hanger plate to move left and righ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levator doorway in response to the electric box on the hanger rail, and an elevator door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elevator doorway according to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hanger plate.
  • a bent portion is formed to be bent forward or rearward from the hanger plate, the bent portion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pass a lin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from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roller do.
  • an elevator hanger plate is provided with a hanger rail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levator doorway, and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elevator doorway, and is guided by the hanger rail to the elevator doorway.
  • the elevator door which moves left and righ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door, is connected via a roller that is driven on the hanger rail, and protrudes forward or recesses backward, but passes in a lengthwise direction extending from the point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roller. It may include a first embossing portion is formed.
  • the elevator hanger plate and the elevator doo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hanger plate having first to third embossed portions, the rigidity of the hanger plate can be increased, so that even if a constant force is applied to the elevator door, the hanger plate is deform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parture of the elevator door.
  • the elevator hanger plate and elevator doo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change the material or increase the thickness of the material of the hanger plate, it is necessary to couple the separate plate to the hanger plate by a process such as welding to increase rigidity. Without this, it is easy and inexpensive to increase the rigidity of part or the entire hanger plate to the desired level.
  • FIG. 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elevator do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FIG. 2 is a side view of FIG. 1.
  • FIG 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hanger plat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FIG. 4 is a plan view of FIG. 3.
  • FIG. 5 is a side view of FIG. 3.
  • FIG. 6 is a front view showing the hanger plat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 FIG. 7 is a plan view of FIG. 6.
  • FIG. 8 is a side view of FIG. 6.
  • FIG. 9 is a side view of a conventional elevator door device for explaining the departure of the elevator door due to the bending of the hanger plate that may occur when a constant force is applied to the elevator door.
  • hanger case 112 hanger rail
  • first embossing portion 124 first embossing portion 125: second embossing portion
  • third embossing portion 128 base plate
  • connection plate 130 elevator door
  • FIG. 1 is a front view showing an elevator door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 FIG. 2 is a side view of FIG.
  • the elevator do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anger case 110, a hanger plate 120 and the elevator door 130.
  • the hanger case 110 is provided above the elevator boarding side or the car side entran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elevator entrance and exit').
  • the hanger case 110 has a width of an elevator device 130 and an elevator door 130 that provide a driving force for opening and closing an elevator boarding side or a car side do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elevator door' including two).
  • a hanger rail 112 is provided to guide the lateral movement in the direction.
  • the drive unit 160 is generally wound around a drive unit body including a motor, a rotating shaft rotating by a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body, a driving pulley fixed to the rotating shaft and rotating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ng shaft, and the driving pulley. It is comprised including the endless belt which rotates by the rotation of the said drive pulley.
  • the hanger plate 120 connected to the belt may move left and righ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levator doorway 150 according to the circumferential movement of the belt. Accordingly, the elevator door 130 coupled to the hanger plate 120 may be an elevator doorway. 150 can be opened and closed.
  • the hanger rail 112 is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levator doorway 150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roller 122 connected to the hanger plate 120, and the hanger plate 120 to which the elevator door 130 is coupled. It serves to support the roller 122.
  • Such a hanger rail may be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hanger case and coupled to the hanger case, or may be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e hanger case. In this embodiment, the hanger rail 112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e hanger case 110 is illustrated.
  • the hanger plate 120 not only connects the elevator door 130 and the hanger rail 112 of the hanger case 110 via the roller 122, but also drives the driving force by the driving device 160 to the elevator door 130. It serves as a). That is, the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drive unit main body moves the hanger plate 120 to the left and right by the belt moving around, and the elevator door 130 coupled to the hanger plate 120 according to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hanger plate 120. ) May open and close the elevator door 150.
  • the hanger plate 120 may be connected to the roller 122 for rolling on the hanger rail 112 in order to facilitate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hanger plate 120 and to allow the hanger plate 120 to stably move on a predetermined path.
  • Two such rollers 122 are generally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ide of the hanger plate 120 based on a center line that is divided between both ends of the width direction.
  • the upper part of the elevator door 130 is supported by the hanger case 110 through the hanger plate 120, and the lower part of the elevator door 130 is guided through the door shoe 132.
  • the elevator door 130 can stably mov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levator doorway 150.
  • FIG. 3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hanger plate according to Embodiment 1
  • FIG. 4 is a plan view of FIG. 3
  • FIG. 5 is a side view of FIG. 3.
  • the first embossing part 124 recessed to the rear may b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hanger plate 1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rst embossing portion 124 is preferably formed to pass through the line (L)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point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roller.
  • vertical direc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eans a lengthwise direction of the hanger plate 120, that is, a vertical direction in the hanger plate of FIG. 3, and the term “horizontal direction” or “width direction” is a hanger. It means the width direction of the plate 120, ie,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hanger plate of FIG.
  • the first embossed portion 124 is formed in the hanger plate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above bending can be suppressed as much as possible. That is, since the first embossing portion 124 is formed so as to pass through the line L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most bent portion of the hanger plate 120, that is, the point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roller 122.
  • the elevator do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secure the rigidity of the hanger plate 120 which can prevent the hanger plate 120 from being bent as described above. Accordingly, the elevator do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prevent the elevator door 130 from being detached due to the bending of the hanger plate 120 even when a certain force is applied to the elevator door 130.
  • the first embossing part 124 may be formed by pressing a part of the hanger plate 120 by a press or the like, and is formed to protrude forward of the hanger plate 120 or to be recessed rearwar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Can be formed.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embossed portion 124 recessed to the rear is illustrated.
  • the first embossing portion 124 is closer to both ends of the hanger plate 120 than is formed near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When formed, it is effective to prevent the bending of the hanger plate 120.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embossing portion 124 is formed in a pair of left and right around the connecting shaft 123 of the roller 122 connected near both ends of the hanger plate 120.
  • the deformation of the hanger plate 120 is a problem when the hanger plate 120 is bent upward as described above.
  • the twist of the hanger plate 120 may be problematic in addition to the deflection. .
  • the second embossing part 125 may be formed in the hanger plate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milar to the first embossing portion 124, the second embossing portion 125 may be formed by pressing a part of the hanger plate 120 with a press or the like, an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the front side of the hanger plate 120 may be formed. It may be formed to protrude or to be recessed to the rear.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embossed portion 125 recessed to the rear is illustrated.
  • both ends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hanger plate 12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shaft 123 and the like of the roller 122, so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hanger plate 120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the hanger plate 120 It is common for the torsion to occur in the vicinity of the center line C which is divided between the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2nd embossing part 125 is formed so that the 2nd embossing part 125 may pass through the center line C which divides between the both ends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hanger plate 120.
  • the torsion of the hanger plate 120 usually starts at both ends of the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hanger plate 120, the up and down ends of the hanger plate 120 are formed more than when the second embossing portion 125 is formed near the center of the up and down direction.
  • the torsion prevention of the hanger plate 120 is effectiv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2nd embossing part 125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both ends of the up-down direction of the hanger plate 120.
  • the hanger plate 120 is normally bent vertically from the base plate 128 on which the first and second embossing portions 124 and 125 are formed and one end of the base plate 128. It may be composed of a connection plate 129 is formed. Accordingly, the hanger plate 120 may have a cross section of an 'L'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base plate 128 and the connecting plate 129 is very vulnerable to bending. Therefore, the third embossing part 126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hanger plate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o compensate for the above weakness.
  • the third embossing portion 126 is formed to protrude inward from the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base plate 128 and the connecting plate 129.
  • the hanger plate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prevented from bending upward by the third embossing part 126 as described above.
  • the elevator door device is configured to include a hanger plate formed with the first to third embossed portion, so that even if a constant force is applied to the elevator door, it prevents the elevator door from coming off due to deformation of the hanger plate. can do.
  • the elevator door apparatus does not need to change the material or increase the thickness of the material of the hanger plate, and also does not need to combine a separate plate to the hanger plate by a process such as welding to increase rigidity. It is easy and inexpensive to increase the rigidity of part or all of the hanger plate to the desired level.
  • FIG. 6 is a front view showing the hanger plat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 FIG. 7 is a plan view of FIG. 6
  • FIG. 8 is a side view of FIG. 6.
  • the same or equivalent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or equivalent components as those described above,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An elevator door apparatus includes a hanger case 110, a hanger plate 220, and an elevator door 130. Since the main difference between the elevator do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elevator do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in the configuration of the hanger plate,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hanger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th reference to FIGS. 6 to 8. .
  • the hanger plate 22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ent portion 224 is provided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anger plate 220.
  • the bent portion 224 is formed to be bent toward the front or rear of the hanger plate 220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anger plate 220.
  • the bent portion 224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pass through the line (L)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point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roller (122).
  • the bent portion 224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point most likely to be bent in the hanger plate 220, that is, the center of the roller 122, similarly to the first embossed portion 124 of the first embodiment. It is preferably formed to pass through the line (L). In this embodiment, the bent portion 224 form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hanger plate 220 is illustrated.
  • the thickness and length of the bent portion 224 may be useful for preventing deformation as the thickness thereof increases, but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an increase in free space or cost.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hanger plate and an elevator door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that can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hanger plate to prevent the departure of the elevator door due to the deformation of the hanger plate, there is industrial applicability.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상부에 설치되며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행거 레일을 구비하는 행거 케이스, 행거 레일 상에서 전동(轉動)하는 롤러가 연결되며 롤러가 행거 레일 상에서 전동함에 대응하여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폭 방향으로 좌우 이동하는 행거 플레이트, 및 행거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행거 플레이트의 좌우 이동에 따라 엘리베이터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 도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행거 플레이트에는 전방으로 돌출 또는 후방으로 함몰된 제1 엠보싱부가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엠보싱부는 롤러의 중심에 대응되는 지점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된 선을 통과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행거 플레이트 소재의 재질을 변경하거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행거 플레이트의 일부나 전체의 강성을 목적하는 수준에 맞게 증가시킬 수 있어 엘리베이터 도어에 일정한 힘이 가해지더라도 행거 플레이트의 변형으로 인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행거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행거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행거 플레이트의 강성을 증대시켜 행거 플레이트의 변형으로 인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행거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외부 충격으로 인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과 관련된 안전 기준이 미흡한 실정이었다. 예를 들어, 종래의 EN(유럽표준) 기준의 경우 30㎏의 하중을 정적으로 엘리베이터 도어에 가하여 도어의 변형 유무를 확인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실제 충돌 상황을 적절히 반영하지 못해 엘리베이터 도어의 안전성을 충분히 담보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 개최된 승강기안전분야 국제표준화회의(ISO/TC178)에서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강도와 시험방법"과 관련하여 실제 충돌 상황과 가장 유사하게 움직이는 물체의 운동에너지를 엘리베이터 도어에 가하는 방법을 병행하기로 합의하였다.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 도어가 그 안정성을 확인 받기 위해서는 엘리베이터 도어에 450[J]의 에너지(2명의 중학생(120㎏)이 시속 약 10㎞로 돌진하여 부딪히는 경우의 에너지)가 가해지더라도 엘리베이터 도어가 이탈되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의 경우 상기와 같은 에너지가 엘리베이터 도어에 가해지면 행거 플레이트의 변형으로 인해 엘리베이터 도어가 쉽게 이탈된다는 문제가 있다.
도 9는 일정한 힘이 엘리베이터 도어에 가해질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행거 플레이트의 휘어짐으로 인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을 설명하기 위한 종래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종래의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상부에는 엘리베이터 도어(3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 등이 설치되는 행거 케이스(10)가 구비된다. 상기 행거 케이스(10)에는 구동 장치 외에도 엘리베이터 도어(3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행거 레일(12)이 구비된다. 상기 행거 레일(12) 상에는 행거 레일(12)을 따라 전동(轉動)하며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폭 방향으로 좌우 이동하는 롤러(22)가 구비된다. 이러한 롤러(22)는 엘리베이터 도어(30)와 결합되는 행거 플레이트(20)에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해 엘리베이터 도어(30)는 행거 플레이트(20)에 의해 행거 케이스(10)의 행거 레일(12)과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엘리베이터 도어(30)의 상부는 행거 플레이트(20)를 매개로 행거 케이스(10)에 의해 지지되고, 엘리베이터 도어(30)의 하부는 도어 슈(door shoe)(32)를 매개로 가이드 레일(4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엘리베이터 도어(30)는 안정적으로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폭 방향으로 좌우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행거 플레이트(20)는 얇은 두께를 가지는 평판 형상의 금속 플레이트를 단순 절곡하는 방법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그 강성이 매우 약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도어(30)에 일정한 힘(F)이 수직하게 작용하면 행거 플레이트(20)의 일정 부분에 휘어짐이 발생하여(도 9의 A 및 B 참조) 엘리베이터 도어(30)가 가이드 레일(4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엘리베이터 도어에 일정한 힘이 가해지더라도 행거 플레이트의 변형 발생을 억제하여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행거 플레이트와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상부에 설치되며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행거 레일을 구비하는 행거 케이스, 행거 레일 상에서 전동(轉動)하는 롤러가 연결되며 롤러가 행거 레일 상에서 전동함에 대응하여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폭 방향으로 좌우 이동하는 행거 플레이트, 및 행거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행거 플레이트의 좌우 이동에 따라 엘리베이터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 도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행거 플레이트에는 전방으로 돌출 또는 후방으로 함몰된 제1 엠보싱부가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엠보싱부는 상기 롤러의 중심에 대응되는 지점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된 선을 통과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제1 엠보싱부가 형성된 행거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수직 방향의 힘이 엘리베이터 도어에 가해지더라도 행거 플레이트가 상방으로 휘어지는 것이 최대한 억제될 수 있다. 즉, 행거 플레이트에 제1 엠보싱부가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행거 플레이트가 상기와 같이 휘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행거 플레이트의 강성이 확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 도어에 수직한 힘이 가해지더라도 행거 플레이트가 상방으로 휘어지지 않아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이탈 방지는 제1 엠보싱부가 롤러의 중심에 대응되는 지점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된 선을 통과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더욱 효과적이다. 상술하면, 행거 플레이트에 힘이 가해질 경우 행거 플레이트가 롤러와 연결되는 지점 즉, 롤러의 중심에 대응되는 지점에서 제일 먼저 휘어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행거 플레이트에는 제1 엠보싱부가 롤러의 중심에 대응되는 지점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된 선을 통과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행거 플레이트의 강도적 취약성을 보강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엠보싱부는 행거 플레이트와 롤러를 연결하는 연결축을 중심으로 좌우 1쌍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엘리베이터 도어의 폭 방향 양단 사이를 반분하는 중심선보다 좌우로 이격된 지점에서 엘리베이터 도어에 힘이 가해지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제2 엠보싱부로 인해 행거 플레이트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행거 플레이트에는 상기와 같은 행거 플레이트의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전방으로 돌출 또는 후방으로 함몰된 제2 엠보싱부가 가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엠보싱부는 행거 플레이트의 폭 방향 양단 사이를 반분하는 중심선을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행거 플레이트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연결 플레이트가 베이스 플레이트 쪽으로 접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와 연결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제3 엠보싱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 도어에 힘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연결부가 상방으로 휘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상부에 설치되며,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행거 레일을 구비하는 행거 케이스, 행거 레일 상에서 전동(轉動)하는 롤러가 연결되며 롤러가 행거 레일 상에서 전동함에 대응하여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폭 방향으로 좌우 이동하는 행거 플레이트, 및 행거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행거 플레이트의 좌우 이동에 따라 엘리베이터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 도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행거 플레이트의 폭 방향 양단에는 행거 플레이트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부가 구비되며, 상기 절곡부는 롤러의 중심에 대응되는 지점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된 선을 통과하도록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엘리베이터용 행거 플레이트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행거 레일을 구비하고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상부에 설치되는 행거 케이스와, 행거 레일에 의해 안내되어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폭 방향으로 좌우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도어를, 행거 레일 상에서 전동하는 롤러를 통해 연결하며, 전방으로 돌출 또는 후방으로 함몰되되 롤러의 중심에 대응되는 지점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된 선을 통과하도록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엠보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행거 플레이트와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제1 내지 제3 엠보싱부가 형성된 행거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행거 플레이트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어 엘리베이터 도어에 일정한 힘이 가해지더라도 행거 플레이트의 변형으로 인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행거 플레이트와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행거 플레이트 소재의 재질을 변경하거나 두께를 증가시킬 필요가 없고, 강성 증가를 위해 별도의 플레이트를 용접 등의 공정으로 행거 플레이트에 결합시킬 필요가 없으면서도, 손쉽고 저렴하게 행거 플레이트의 일부나 전체의 강성을 목적하는 수준에 맞게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를 도시하고 있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 따른 행거 플레이트를 도시하고 있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 2에 따른 행거 플레이트를 도시하고 있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평면도이다.
도 8는 도 6의 측면도이다.
도 9는 일정한 힘이 엘리베이터 도어에 가해질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행거 플레이트의 휘어짐으로 인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을 설명하기 위한 종래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행거 케이스 112 : 행거 레일
120 : 행거 플레이트 122 : 롤러
124 : 제1 엠보싱부 125 : 제2 엠보싱부
126 : 제3 엠보싱부 128 : 베이스 플레이트
129 : 연결 플레이트 130 : 엘리베이터 도어
150 : 엘리베이터 출입구 224 : 절곡부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실시예 1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를 도시하고 있는 정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행거 케이스(110), 행거 플레이트(120) 및 엘리베이터 도어(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엘리베이터 승장측 또는 엘리베이터 칸측 출입구(이하에서는 둘을 포함하여 '엘리베이터 출입구'로 기재한다)의 상부에는 행거 케이스(110)가 설치된다. 상기 행거 케이스(110)에는 엘리베이터 승장측 또는 엘리베이터 칸측 도어(이하에서는 둘을 포함하여 '엘리베이터 도어'로 기재한다)를 개폐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장치(160)와 엘리베이터 도어(130)의 폭 방향 좌우 이동을 안내하는 행거 레일(112)이 구비된다.
상기 구동 장치(160)는 일반적으로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 장치 본체, 상기 구동 장치 본체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구동 풀리, 및 상기 구동 풀리에 감겨져 상기 구동 풀리의 회전에 의해 주회(周回) 운동하는 무단상(無端狀)의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벨트의 주회 운동에 따라 상기 벨트에 연결된 행거 플레이트(120)는 엘리베이터 출입구(150)의 폭 방향으로 좌우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행거 플레이트(120)에 결합된 엘리베이터 도어(130)는 엘리베이터 출입구(150)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행거 레일(112)은 엘리베이터 출입구(150)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어, 행거 플레이트(120)에 연결된 롤러(122)의 이동을 안내하고, 엘리베이터 도어(130)가 결합된 행거 플레이트(120)를 롤러(122)를 매개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행거 레일은 행거 케이스와 별도로 제작되어 행거 케이스에 결합될 수도 있으나, 행거 케이스와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행거 케이스(110)와 일체로 제작된 행거 레일(112)이 예시되고 있다.
한편, 상기 행거 플레이트(120)는 엘리베이터 도어(130)와 행거 케이스(110)의 행거 레일(112)을 롤러(122)를 매개로 연결할 뿐만 아니라 구동 장치(160)에 의한 구동력을 엘리베이터 도어(130)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구동 장치 본체에 의해 발생한 구동력은 주회 운동하는 벨트에 의해 행거 플레이트(120)를 좌우로 이동시키고, 상기 행거 플레이트(120)의 좌우 이동에 따라 행거 플레이트(120)에 결합된 엘리베이터 도어(130)는 엘리베이터 출입구(150)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행거 플레이트(120)에는 행거 플레이트(120)의 좌우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정해진 경로 상에서 행거 플레이트(120)가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행거 레일(112) 상에서 전동하는 롤러(122)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롤러(122)는 행거 플레이트(120)의 폭 방향 양단 사이를 반분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 상부에 2개가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와 같이 엘리베이터 도어(130)의 상부는 행거 플레이트(120)를 매개로 행거 케이스(110)에 의해 지지되고, 엘리베이터 도어(130)의 하부는 도어 슈(door shoe)(132)를 매개로 가이드 레일(14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엘리베이터 도어(130)는 안정적으로 엘리베이터 출입구(150)의 폭 방향으로 좌우 이동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행거 플레이트의 구조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실시예 1에 따른 행거 플레이트를 도시하고 있는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행거 플레이트(120)에는 후방으로 함몰된 제1 엠보싱부(124)가 세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엠보싱부(124)는 상기 롤러의 중심에 대응되는 지점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된 선(L)을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세로 방향'이라 함은 행거 플레이트(120)의 길이 방향 즉, 도 3의 행거 플레이트에 있어서의 세로 방향을 의미하며, '가로 방향' 또는 '폭 방향'이라 함은 행거 플레이트(120)의 폭 방향 즉, 도 3의 행거 플레이트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을 의미하다.
엘리베이터 도어(130)에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일정한 힘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도어(130)의 상단에 결합된 행거 플레이트(120)에는 그 하단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가해지는 힘이 작용한다. 이때 행거 플레이트(120)의 상부는 롤러(122)의 중심에 구비된 연결축(123)에 의해 지지되고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힘이 작용할 경우 통상 상기 연결축(123) 부근에서 행거 플레이트(120)의 휘어짐이 발생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승객의 부주의 또는 사고 등으로 인해 엘리베이터 도어(130)에 일정한 힘이 가해질 경우 통상 행거 플레이트(120)의 상부 양측에 연결된 롤러(122)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L)을 따라 행거 플레이트(120)의 휘어짐이 발생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행거 플레이트(120)에는 제1 엠보싱부(124)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휘어짐이 최대한 억제될 수 있다. 즉, 행거 플레이트(120)에서 가장 휘어지기 쉬운 부분 즉, 롤러(122)의 중심에 대응되는 지점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된 선(L)을 통과하도록 제1 엠보싱부(124)가 형성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행거 플레이트(120)가 상기와 같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행거 플레이트(120)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엘리베이터 도어(130)에 일정한 힘이 가해지더라도 행거 플레이트(120)의 휘어짐으로 인한 엘리베이터 도어(130)의 이탈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엠보싱부(124)는 행거 플레이트(120)의 일부를 프레스 등으로 가압하는 방법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제조 방법에 따라 행거 플레이트(120)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거나 후방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후방으로 함몰된 제1 엠보싱부(124)가 예시되고 있다.
한편, 행거 플레이트(120)의 휘어짐은 통상 행거 플레이트(120)의 폭 방향 양단에서부터 시작되기 때문에 제1 엠보싱부(124)가 폭 방향 중심 부근에 형성될 때보다 행거 플레이트(120)의 양단 부근에 형성될 때가 행거 플레이트(120)의 휘어짐 방지에 효과적이다. 따라서, 행거 플레이트(120)의 양단 부근에서 연결되는 롤러(122)의 연결축(123)을 중심으로 제1 엠보싱부(124)가 좌우 1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행거 플레이트(120)의 변형은 상기와 같이 행거 플레이트(120)가 상방으로 휘어지는 경우가 문제된다. 그러나, 엘리베이터 도어(130)의 폭 방향 양단 사이를 반분하는 중심선보다 좌우로 이격된 지점에서 도어(130)에 일정한 힘이 가해질 경우 상기와 같은 휘어짐 외에도 행거 플레이트(120)의 비틀림이 문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행거 플레이트(120)에는 제2 엠보싱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엠보싱부(125)도 제1 엠보싱부(124)와 마찬가지로 행거 플레이트(120)의 일부를 프레스 등으로 가압하는 방법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제조 방법에 따라 행거 플레이트(120)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거나 후방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후방으로 함몰된 제2 엠보싱부(125)가 예시되고 있다.
한편, 행거 플레이트(120)의 폭 방향 양단은 롤러(122)의 연결축(123) 등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중심에서 폭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행거 플레이트(120)에 힘이 가해질 경우 행거 플레이트(120)의 폭 방향 양단 사이를 반분하는 중심선(C) 부근에서 비틀림이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제2 엠보싱부(125)는 행거 플레이트(120)의 폭 방향 양단 사이를 반분하는 중심선(C)을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행거 플레이트(120)의 비틀림은 통상 행거 플레이트(120)의 상하 방향 양단에서부터 시작되기 때문에 제2 엠보싱부(125)가 상하 방향 중심 부근에 형성될 때보다 행거 플레이트(120)의 상하 방향 양단 부근에 형성될 때가 행거 플레이트(120)의 비틀림 방지에 효과적이다. 따라서, 제 2 엠보싱부(125)는 행거 플레이트(120)의 상하 방향의 양단 부근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행거 플레이트(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 제1 및 제2 엠보싱부(124, 125)가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28)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8)의 일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연결 플레이트(129)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행거 플레이트(120)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L'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행거 플레이트(120)가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경우 베이스 플레이트(128)와 연결 플레이트(129)의 연결부는 휘어짐에 매우 취약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취약함을 보완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행거 플레이트(120)에는 제3 엠보싱부(126)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엠보싱부(126)는 베이스 플레이트(128)와 연결 플레이트(129)를 연결하는 연결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행거 플레이트(120)는 상기와 같은 제3 엠보싱부(126)로 인해 상기 연결부가 상방으로 휘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제1 내지 제3 엠보싱부가 형성된 행거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도어에 일정한 힘이 가해지더라도 행거 플레이트의 변형으로 인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행거 플레이트 소재의 재질을 변경하거나 두께를 증가시킬 필요가 없고, 또한 강성 증가를 위해 별도의 플레이트를 용접 등의 공정으로 행거 플레이트에 결합시킬 필요가 없으면서도, 손쉽고 저렴하게 행거 플레이트의 일부나 전체의 강성을 목적하는 수준에 맞게 증가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도 6은 실시예 2에 따른 행거 플레이트를 도시하고 있는 정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평면도이고, 도 8는 도 6의 측면도이다. 참고로, 전술한 구성과 동일하거나 상당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상당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행거 케이스(110), 행거 플레이트(220) 및 엘리베이터 도어(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와 제1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의 주된 차이점은 행거 플레이트의 구성에 있으므로, 도 6 내지 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행거 플레이트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행거 플레이트(220)는 행거 플레이트(220)의 폭 방향 양단에 절곡부(22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곡부(224)는 행거 플레이트(220)의 폭 방향 양단에서 상기 행거 플레이트(22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절곡부(224)는 롤러(122)의 중심에 대응되는 지점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된 선(L)을 통과하도록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도어(130)에 일정한 힘이 가해질 경우 행거 플레이트(220)의 상부 양측에 연결된 롤러(122)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L)을 따라 행거 플레이트의 휘어짐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절곡부(224)는 제1 실시예의 제1 엠보싱부(124)와 마찬가지로 행거 플레이트(220)에서 가장 휘어지기 쉬운 부분 즉, 롤러(122)의 중심에 대응되는 지점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된 선(L)을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행거 플레이트(220)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형성된 절곡부(224)가 예시되어 있다.
상기 절곡부(224)의 두께나 길이 등은 그 두께 등이 증가할수록 변형 방지에 유용하나 여유 공간이나 비용 증가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행거 플레이트의 강성을 증대시켜 행거 플레이트의 변형으로 인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행거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Claims (9)

  1.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행거 레일을 구비하는 행거 케이스;
    상기 행거 레일 상에서 전동(轉動)하는 롤러가 연결되며, 상기 롤러가 상기 행거 레일 상에서 전동함에 대응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폭 방향으로 좌우 이동하는 행거 플레이트; 및
    상기 행거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행거 플레이트의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행거 플레이트에는 전방으로 돌출 또는 후방으로 함몰된 제1 엠보싱부가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엠보싱부는 상기 롤러의 중심에 대응되는 지점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된 선을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 플레이트에는 전방으로 돌출 또는 후방으로 함몰된 제2 엠보싱부가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엠보싱부는 상기 행거 플레이트의 폭 방향 양단 사이를 반분하는 중심선을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 플레이트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플레이트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쪽으로 접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연결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제3 엠보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엠보싱부는 상기 행거 플레이트와 상기 롤러를 연결하는 연결축을 중심으로 좌우 1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5.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행거 레일을 구비하는 행거 케이스;
    상기 행거 레일 상에서 전동(轉動)하는 롤러가 연결되며, 상기 롤러가 상기 행거 레일 상에서 전동함에 대응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폭 방향으로 좌우 이동하는 행거 플레이트; 및
    상기 행거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행거 플레이트의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행거 플레이트의 폭 방향 양단에는 상기 행거 플레이트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부가 구비되고, 상기 절곡부는 상기 롤러의 중심에 대응되는 지점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된 선을 통과하도록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6.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행거 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상부에 설치되는 행거 케이스와, 상기 행거 레일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폭 방향으로 좌우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도어를, 상기 행거 레일 상에서 전동하는 롤러를 통해 연결하는 엘리베이터용 행거 플레이트에 있어서,
    전방으로 돌출 또는 후방으로 함몰되되, 상기 롤러의 중심에 대응되는 지점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된 선을 통과하도록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엠보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행거 플레이트.
  7. 제6항에 있어서,
    전방으로 돌출 또는 후방으로 함몰되되, 폭 방향 양단 사이를 반분하는 중심선을 통과하도록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엠보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행거 플레이트.
  8. 제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엠보싱부가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플레이트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쪽으로 접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연결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제3 엠보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행거 플레이트.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폭 방향 양단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롤러의 중심에 대응되는 지점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된 선을 통과하도록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행거 플레이트.
PCT/KR2009/002201 2008-04-28 2009-04-28 엘리베이터용 행거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WO2009134045A2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504937A JP5241913B2 (ja) 2008-04-28 2009-04-28 エレベータ用ハンガープレート及びこれを含むエレベータドア装置
CN2009801148287A CN102015509B (zh) 2008-04-28 2009-04-28 电梯用吊门板及包括该电梯用吊门板的电梯门装置
EP09738951.4A EP2269934B1 (en) 2008-04-28 2009-04-28 Hanger plate for elevator and elevator door device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9364A KR100956917B1 (ko) 2008-04-28 2008-04-28 엘리베이터용 행거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도어 장치
KR10-2008-0039364 2008-04-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34045A2 true WO2009134045A2 (ko) 2009-11-05
WO2009134045A3 WO2009134045A3 (ko) 2010-01-21

Family

ID=41255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09/002201 WO2009134045A2 (ko) 2008-04-28 2009-04-28 엘리베이터용 행거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269934B1 (ko)
JP (1) JP5241913B2 (ko)
KR (1) KR100956917B1 (ko)
CN (1) CN102015509B (ko)
WO (1) WO200913404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2331B1 (ko) * 2015-10-16 2017-03-31 이미숙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 방지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8775U (ja) * 1982-10-29 1984-05-10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タ
JPS59198278A (ja) * 1983-04-25 1984-11-10 三菱電機株式会社 主枠装置
JPH03589Y2 (ko) * 1986-11-10 1991-01-10
JPH0764506B2 (ja) * 1988-05-31 1995-07-1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ドア装置
JPH0764508B2 (ja) * 1989-07-07 1995-07-1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用ドアの据付装置
JPH02292520A (ja) * 1990-04-20 1990-12-04 Fuji Kiko Co Ltd 自在継手
JPH072536Y2 (ja) * 1991-05-01 1995-01-25 株式会社クマリフト技術研究所 三枚横引きドアに於ける高速ドアレールの振止め装置
US5881844A (en) 1996-11-07 1999-03-16 Otis Elevator Company Secondary positioning system for elevator car doors
JP2001227233A (ja) 2000-02-18 2001-08-24 Showa Denko Kk 冷蔵庫等におけるスライド扉の脱輪防止装置
KR100462277B1 (ko) * 2002-07-03 2004-12-17 주식회사 미륭산업 엘레베이터 도어용 행거 케이스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one
See also references of EP2269934A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241913B2 (ja) 2013-07-17
KR20090113568A (ko) 2009-11-02
CN102015509A (zh) 2011-04-13
EP2269934A2 (en) 2011-01-05
EP2269934A4 (en) 2015-01-07
KR100956917B1 (ko) 2010-05-11
EP2269934B1 (en) 2016-08-24
CN102015509B (zh) 2013-05-29
JP2011517649A (ja) 2011-06-16
WO2009134045A3 (ko) 2010-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9128686A2 (ko)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 이탈 방지 구조
US7293631B2 (en) Machine room-less elevator
EP2269935B1 (en) Elevator hoistway door separation preventive structure
EP1831093B1 (en) Elevator system with multiple cars in a hoistway
US7762376B2 (en) Elevator with two elevator cars which are disposed one above the other in a shaft
US20080053756A1 (en) Elevator installation with car and counterweight and method for arrangement of an elevator installation
US6012554A (en) Elevator guide rail
EA008634B1 (ru) Лифт
US7753175B2 (en) Elevator car having an angled underslung roping arrangement
WO2010002101A2 (ko)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KR19990016667A (ko)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닫힘장치
WO2009134045A2 (ko) 엘리베이터용 행거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EP0708052B1 (en) Door sill for an elevator car
EP3459895B1 (en) Elevator safety gear assembly
WO2022019378A1 (ko) 전동차 플랫폼 안전 장치
KR100866415B1 (ko) 가이드 홈의 보호 덮개를 구비하는 스크린 도어 시스템
CN102040140B (zh) 电梯装置以及电梯的电梯门装置
EP2279977B1 (en) Low overhead machine roomless elevator configuration
EP1627842A1 (en) Door device of elevator
KR100926956B1 (ko) 엘리베이터의 외부도어 이탈방지구조
WO2005047162A1 (en) Elevator door operator and interlock arrangement
WO2023204485A1 (ko) 엘리베이터 카의 바운싱 저감 장치
KR890003868Y1 (ko) 엘리베이터용 균형추의 승강로 이탈 방지장치
WO2022158620A1 (ko) 센터링 디바이스
CN113966309A (zh) 电梯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0980114828.7

Country of ref document: C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0973895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09738951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09738951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1504937

Country of ref document: JP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