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700905A - 압출기 스크류(Extruder screw) - Google Patents

압출기 스크류(Extruder screw)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700905A
KR980700905A KR1019970704507A KR19970704507A KR980700905A KR 980700905 A KR980700905 A KR 980700905A KR 1019970704507 A KR1019970704507 A KR 1019970704507A KR 19970704507 A KR19970704507 A KR 19970704507A KR 980700905 A KR980700905 A KR 980700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uder screw
dam
extruder
screw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4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티븐 알 젠킨스
쿤 에스 현
Original Assignee
스테픈 에스, 그레이스
더 다우 케미칼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테픈 에스, 그레이스, 더 다우 케미칼 캄파니 filed Critical 스테픈 에스, 그레이스
Publication of KR980700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70090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505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505Screws
    • B29C48/64Screws with two or more threads
    • B29C48/65Screws with two or more threads neighbouring threads or channels having different configurations, e.g. one thread being lower than its neighbouring th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505Screws
    • B29C48/53Screws having a varying channel depth, e.g. varying the diameter of the longitudinal screw tru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505Screws
    • B29C48/62Screw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thread channel, e.g. U-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Formation And Processing Of Food Product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출기의 제 1단부에서 제 2단부까지 열가소성 중합체를 이송하기 위한 압출기를 배럴 내에서 사용되는 압출기 스크류에 관한 것이다. 압출기는 전이 섹션(14)과 스크류(10)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플라이트(20)를 포함한다 댐(24)는 고체의 급속한 용해가 느려지며, 고체층 폭의 감소 속도가 영에 접근하는 지점에 위치한다. 스크류를 가진 댐(24)은 압출물의 높은 생산고를 실현하고, 그러면서도 중합체 입자가 스크류(10)를 통해 이송될 때 체류 시간을 정밀하게 제어하여 제품의 변성 및/또는 공기가 없는 압출물의 생산이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압출기 스크류
[기술분야]
본 발명은 압출기 스크류, 보다 상세하게는 열가소성 중합체를 가소화시키는 압출기용 스크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제처 이송 특성을 가지는 고생산고 염화비닐리덴 중합체(PVDC) 또는 염화비닐 중합체(PVC) 가소화 압출기 스크류의 설계 개선에 관한 것이다.
[기술분야]
전형적인 압출기 스크류는 루트 및 루트 주위로 나선형으로 뻗는 단일 플라이트로 구성된다. 플라이트는 배럴의 내부원통 표면과 나선형 채널(통로를 형성하고 그 채널을 따라 열가소성 중합체가 운반된다. 스크류는 전형적으로 이송 섹션, 테이퍼 전진이 섹션 및 게량 섹션을 갖고 있다. 이송 섹션은 원료 비용해 중합체 벌크를 호퍼에서 배럴로 운반하기위한 것이다. 테이퍼 전이 섹션은 벌크 중합체가 압축됨에 따른 체적감소를 보상하고 기계적 전단력에 의해 양호한 열전도 및 효율적 공해를 위채 중합체를 배럴내벽에 밀착시키기위한 것이다. 전형적으로 중합체는 전이 섹션에서 용해하기 시작한다. 중합체의 균일한 용해를 확실하게하기 위해서는 스크류의 이전이 섹션에서 양호하게 압착되게 하는 것이 특히 필요중요하다. 계량 섹션은 용해된 중합체를 압출기의 배출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이다.
전형적으로 분말, 팰릿 또는 박편형인 원료 비용해 열가소성 중합체가 스크류의 이송 섹션 내에 도입되어 스크류상에서 나선형 플라이트의 회전에 의해 스크류를 따라 이송된다. 고체가 이송 섹션에서 전이 섹션에 진입되면, 고체는 스크류의 회전에 의한 마찰열과 배럴상의 가열소자에서 전도성일에 의해 발생된 열로 인해 용해하기 시작된다.
고체가 압출기를 통히 이동하는 과정중, 뜨거운 배럴과 접촉되어 있는 고체는 마찰열, 열전도 또는 그 양자에 의해 용해하기 시작하여 용매물막을 형성하고 그 막은 배럴의 내표면에 부착하며, 뜨거운 배럴과 접촉하지 않은 고체는 고체 물로서 남는다. 용해물막의 두깨가 배럴과 플라이트 사이의 간극보다 클 때는, 플라이트의 선단이 배럴의 내표면에서 용해물막을 긁어 분리하여 플라이트의 앞쪽 단부 또는 선단에 그것들 모다 용해중합체의 웅덩이를 형성한다. 고체가 계속해서 용해함에 따라, 용해된 중합체 웅덩이의 폭은 증가하면, 그와 동시에 통상적으로 고체층으로 지칭되는 고체층의 폭은 감소하여, 결과적으로 고체층이 파쇄되어 용해중합체의 흐름안에 고체 덩어리들이 부유하는 양상이 된다. 이런일이 일어나면, 고체물의 단지 소부분만이 배럴에 노출되거나 또는 전혀 노출되지 않게 되고, 열이 고체물에 도달하기위해서는 배럴에서 용해중합체의 웅덩이를 거쳐 이동해야 한다. 그 결과로, 일단 고체층이 파괴되면 열가소성 충합체의 열전도도가 대단히 낮기 때문에 용해효율은 현격히 감소된다
PVDC수지의 압출에 있어서는, 배럴표면 가까이에 있어 중합체용해물막의 온도는, 압착된 고체가 체적이 감소된 전이 섹션 내로 압입됨에 따라, 전이 섹션의 개시부분에서 급속히 상승한다 이 용해물막은 국부변성을 일으키고 그리핀 그에 후속하는 포밀덴 막내에 있어 파형무의의 여러 김은 포물선을 유발힐 온도에 도달 할 수 있다. 온도 상승은 배럴표면에 있어 서 중합체가 주속도 및 이 지점예시 발생된 압력에 직접 관계가 있다. 변성은 대체로, 압착된 고체의 큰 표면적이 급속히 축소됨으로써 고압이 발생되는 전이 섹션의 포기 개시부에서 일어난다.
이 문제에 대해 현재의 해결방법은 지압축 스크류(압축비 31 이하)를 제작하고 계량 섹션의 입구 또는 전이 섹션의 말단에 댐(제한요소)를 설치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압축비"라는 용어는 이송 섹션 플라이트 깊이 대 계량 섹션 플라이트 깊이의 비를 말한다. 복수개의 스크류 플라이트 사이에 걸쳐 뻗을 수 있는 그런 댐의 목직은 불충분하게 또는 불균일하게 용해된 중합체 입자들을 제한하여 통과억제하는 것이다. 댐을 가진 그런 스크류의 예는 슈렝크 등의 미국 특허 제3,115,674호의 도면들에서 볼 수 있다. 그 설계는 3.5인치(89m)직경 스크류로 고생산 속도(시간당 300파운드(136kg)에서 신 PVDC 수지를 압출하는데는 성공적이었지많 분말 이송형의 신 PYDC와 소량의 PVDC막폐물(순환)과의 혼합물을 압출하는 데는 비성공적이었다.
전형적으로 박평판(대략적 치수; 0.25"×0.35"×0.075" : 6.4mm×8.9mm× 1.9mm)으로 압착되어 있는 막폐물은 구형 분말입자들(직경 약 220 마이크로 미터)의 흐름 내에서 부유한다. 전형적으로 총수지의 단지 5 내지 10 중량%인 이들 막폐물입자는 주위입자 보다 더 좁은 융점피크를 갖고 있고(그 이유는 이들 입자는 이미 한 번 용해했었기 때문에) 또한 스크류내 고체충의 중심에 집중하는 경향을 갖고 있다 이들 융점 및 순환물은 배럴/중합체 경계면에서 점성적 열을 전달받을 수 없는 고체충의 중심에 한정되어 있어 순환된 중합체의 용해가 지연되고 그에 따라 비용해 중합체(겔)가 최종 막물체내에 존재하게 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압축물의 높은 생산고를 실현하고, 그러면서도 중합체 입자가 스크류를 통해 이송될 때 소량의 순환 수지를 함유하는 중합체 입자의 체류시간을 세밑하게 제어하여 변성제품 및/또는 포획공기가 사실상 없는 압축물을 생산하는 압축기 스크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한 실시예에 있어,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전이 섹션을 포함하는 압출기의 제 1단부에서 계 2단부로 하나 이상의 열가소성 중합체를 이송하기 위한 압출기의 배럴 내에 사용되는 압출기 스크류로서, 한 개 이상 의 플라이트를 포함하고, 거기에 있어 플라이트를 압출기 스크류의 전체 길이를 따라 뻗고 중합체가 운반 통과될 나선형 채널(통로)을 형성하며 또한 고체의 급속 용해가 느려지기 시작하고 고체층 폭의 감소 속도가 영에 접근하는 지점에 위치된 댐을 포함하는 압출기 스크류에 관한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이송 섹션, 전이 섹션 및 계량 섹션을 포함하는 압출 기의 제 1단부에서 제 2단부까지 하나 이상의 열가소성 중합체를 이송하기 위한 압출기의 배릴 내에 사용되는 형식의 압출기 스크류로서, 한 개 이상의 플라이트를 포함하고, 플라이 트는 압출기 스크류의 전체길이를 따라 뻗고 중합체가 운반 통과될 나선형 채널(통로)을 형성하며 또한 고체의 급속 용해가 느려지기 시작하고 고체층 폭의 감속 속도가 영에 접근하는 지점에 위치된 댐을 포함하는 압출기 스크류에 관한 것이다.
고체의 급속 용해가 느려지기 시작하고 고체층 폭의 감소 속도가 영에 접근하는 지점에 댐을 설치함으로써, 스크류는 균일하게 용해되고 실질적으로 겔 및/또는 포획된 공기가 없는 압출물의 고생산고를 실현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본 발명의 스크류 설계에 의해 과도한 점성적 가열은 최소화되면서 고체충의 폭과 깊이의 제어를 통한 용해 속도의 증가가 가능해진다. 댐의 부가에 의해, 전이 섹션에 대해 이송 섹션에 의해 운반되는 고체의 양을 감소시킴으로써 전이 섹션의 초기부에서의 압력 상승이 감소될 수 있음을 또한 발견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댐의 위치를 보여주는 전형적인 단일 플라이트 스크류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2긷선 단면도.
[실시예]
본 발명은 일-, 이-, 삼- 섹션 스크류와 같은 단일 플라이트 스크류; 및 이중 플라이트 스크류와 같은 다중 플라이트 스크류를 포함하는 어떤 통상적 설계의 압출기 스크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예권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염화 폴리비닐리덴, 염화 폴리비닐 및 폴리(에틸렌 비닐 알코올)과 같은 각종 열가소성 중합체 및 공중합체의 특성 및 잔류시간을 제어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소량의 순환된 염화 비닐리덴 중합체 수지를 함유하는 신 염화 비닐리넨 중합체 수지의 특성 및 체류시간을 제어하는데 특히 유용하다.
이제 도 1에 관해 설명하면, 이송 섹션(12), 전이 섹션(14) 및 계량 섹션(16)으로 구성된, 전체적으로 10으로 표시된 압축기 스크류가 예시되어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전이 섹션(14)은, 초기 전이 구역(구역 I), 중간 전이 구역(구역 Ⅱ) 및 후기 전이 구역(구역Ⅲ)으로 구성된 거의 같은 길이의 세 종방향 구역으로 분할되어 있다 초기전이 구역은 이송 구역이 끝나는 곳에서 시작되고, 후지 전이 구역은 계량 섹션이 시작되는 곳에서 끝난다. 중간 전이 구역은 초기 전이 구역이 끝나는 곳에서 시작되고 후기 전이 구역은 중간 전이 구역이 끝나는 곳에서 시작된다. 압축기 스크류는 "단일 플라이트" 형의 스크류를 갖고 있는 것으로 표시되어 있고 루트(18) 및 압축기 스크류의 길이를 따라 뻗어있는 단일 플라이트(20)를 포함한다. 표시된 바와 같이, 단일 플라이트는 일정한 직경과 피치를 갖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는 다른 피치를 가진 스크류가 이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정해야 할 것이다. 단일 플라이트는 나선형 채널(22)을 형성하고 그 채널을 통해 중합체가 이송된다 댐(24)은 두 인접하는 플라이트(20)에 의해 형성된 채널(22)을 가로질러 뻗도록 위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댐(24)의 하류에 추가 댐이 추가 설치된다 예컨대, 한 개 또는 수 개의 댐이 전이 섹션(14)의 전체길이에 걸쳐 단일 플라이트 스크류에 있는 인접 플라이트들 사이에, 바람직하게는 전이 구역(14)의 말단위치 또는 계량 섹션(16)의 개시위치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추가 댐은 과도한 전단작용과 가열의 우려없이 환전 용해를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압출기 스크류는 저 압축비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압출기 스크류는 3.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3 이하, 가장 바람직 하게는 3.0의 압축비를 갖는다.
도 1에 도시된 압출기 스크류의 작동에 있어서는, 원료인 비용해 열가소성의 분말, 팰릿 또는 박편(이하 고체로 호칭됨)이 이송 섹션(12)내에 도입되고, 거기서 그것들은 배럴표면에서 발생된 마찰열에 의해 배럴(표시안됨)의 표면상에 용해 중합체의 박막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온도까지 가열된다. 이 시점에서는 박막은 플라이트(20)에 의해 포집되기에 충분 할만큼 두껍지 않다. 고체가 이송 섹션(12)에서 전이 섹션(12)으로 계속하여 이동함에 따라, 용해된 중합체의 박막은 비용해된 중합체상에 드래그(항력)를 발생하고 그에 의해 비용해된 중합체는 채널(22)의 후방에 밀집한다.
용해가 계속됨에 따라, 배럴의 내 표면상에 있어 용해된 중합체 막의 두께는 이 막이 플라이트(20)의 선단에 의해 긁히어 분리될 수 있기까지 증가한다. 플라이트(20)는 공해된 중합체를 플라이트의 전방단부 또는 선단에 모아서 용해된 중합체의 웅덩이를 형성한다. 이제 열이, 스크류의 회진에서 도출된 에너지에 의한 전단작용에 의해 용해 중합체의 웅덩이에 진입하여, 고체의 급속한 용해를 일으킨다. 고체가 구역 I 에서 전이 섹션인 구역 교내로 계속 진행함에 따라, 용해 중합체 웅덩이의 폭은 증가하며, 그동안에 비용해 중합체물질(보통 고체층으로 호칭됨)의 폭은 그 폭의 감소속도가 영에 접근할 때까지 감소한다. 고체층 폭의 감소속도가 영에 접근하면, 고체의 급속 용해는 완만해지기 시작한다. 이론에 구애되기를 원하지는 않으나, 이 현상은 점성적 용해 중합체의 웅덩이에서의 열이 용해 중합체의 웅덩이 보다 . 저온에 있는 배럴내로 소산됨으로 인해 일어나는 것으로 믿어진다.
전이 섹션(14)내에서 채널(22)에 가로질러 댐(24)을 삼입함으로써 고체용해 속도가 증가될 수 있다는 건을 발견했다. 댐을 납입하면 고체층 폭이 증가하고 고체층 깊이는 감소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고체층 폭의 증가로 고체의 용해 속도가 증가하고, 고체층 깊이의 감소로 인해 용해 고체에서의 열이 보다 신속히 고체층 중심에 위치된 고체에 도달할 수 있다.
댐을 부가하면 전이 섹션 개시위치에서의 압력상승이 감소된다. 압력상승은 계량 섹션이 전이 섹선에서 배출할 수 있는 용해물의 양보다 더 많은 양의 고체가 이송 섹션에서 전이 섹션 내로 이송됨으로써 야기된다. 상기한 위치에 댐을 삽입하면, 스크류의 고체 이송능력과 용해물 배출능력을 균형화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압력상승 이 감소되면 PVDC을 변성에 이르게 할 수도 있는 과도히 급속한 마찰발열을 최소화하는데 도움이 된다.
댐(24)은 바람직하게는 스크류(10)의 장축에서 45도 이하의 예각으로 위치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스크류의 장축에 평행하게 위치된다.
일반적으로, 특정 스크류에 대한 최적 댐 높이는 다수의 인자, 예컨대 사용되고있는 중합체의 종류, 특정적으로는 중합체의 Tg와 결정성, 폐물팰릿이 첨가되었는지의 여부; 중합체에 배합된 첨가제의 종류, 특정적으로는 슬링 첨가제 등; 및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어 사용된 댐의 수에 의존한다. 댐(24)은 일반적으로 플라이트(20)의 높이의 10퍼센트 내지 60퍼센트, 바람직하게는 25퍼센트 내지 55퍼센트,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50퍼센트이다. 플라이트 높이의 67퍼센트 이상의 댐 높이는 고체 중합체의 흐름을 지나치게 제한하고 전이 섹션의 급속용해 구역을 짧게하는 결과를 야기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주 플라이트의 높이의 10퍼센트 이하의 댐 높이는 고체층 폭, 깊이 및 고체 이송 속도를 제어하는것, 중합체를 압착시키는 것 및 중합체내에 포획된 공기를 제거 하는것에 있어 그다지 효과적이지 않은 것이 발견되었다.
도 2에 표시된 것 처럼, 댐(24)은 대체로, 넓은 바닥(30) 및 편평한 상부(32)를 가진 캠형상의 단면(28)을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상부(32)는 길이가 적어도 0.1인치(2.5m7), 바람직하게는 0.125인치(3.175mm) 내지 0.25인치(6.35mm), 가장 바람직하게는 0.2인치(5.IM)인 편평한 상부를 갖고 있다. 이 편평한 상부와 배럴의 내표면 사이의 간격은 대단히 중요하다. 이 간격은 용해 속도 및 스크류의 고체 이송 성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간격은 채널 루트(바닥)와 배럴 내표면 사이의 10 내지 70퍼센트,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퍼센트, 가장 바람직하게는 50퍼센트이다. 배럴 표면과 채널(22) 사이의 간격에 비해 비교적 작은 이 간격은 스크류의 고체 이송속도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고, 그것은 다시 스크류내 초기에 있어 압력상승을 50 내지 1000psi 만큼 감소시킨다. 이 압력감소는 보다 적은 점성적 가열 및 이에 이어 저응점으로 인한 압출물의 질 향상을 월미한다. 이 간격은 (이런 댐설치로) 또한 전이 섹션의 급속 용해 구역의 길이를 감소시키지않고도 고체층을 확장하고 고체층 깊이를 감소시킨다.
댐(24)은 처리하려는 중합체와 조화될 수 있고 또한 압출기내에 있어 직면하는 처리온도에 견딜 수 있는 적당한 재질로 만들어진다. 추가적으로, 댐은 스크류의 루트(IS)를 제작하는데 사용된 재질과 유사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스크류를 폴리에틸렌의 처리용으로 설계하는 경우에는 댐을 강으로 제작할 수 있다. 염화 비닐리렌 공중합체를 처리하려는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댐(24)은 니켈 합금으로 제작된다 댐(24)은 압출기 스크류의 루트(18)에 용접되거나 또는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해 몇가지 대표적 실시예 및 상세 내용을 설명했지만, 첨부된 특허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본원에서 개시된 방법 및 장치에 여러 변경을 행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산업상이용가능성]

Claims (20)

  1. 전이 섹션으로 구성되는 압출기의 제 1단부에서 제 2단까지 하나 이상의 열가소성 중합체를 이송하기 위해 압출기의 배럴 내에 사용되는, 한 개 이상의 플라이트를 포함하는 압출기 스크류에 있어서, 한 개의 플라이트는 압출기 스크류의 전체 길이를 따라 뻗고 중합체가 운반통과될 나선형 채널(통로)을 형성하며 또한 고체의 급속 용해가 느려지기 시작하고 고체층 폭의 감소 속도가 영에 접근하는 지점에 위치된 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스크류.
  2. 이송 섹션, 전이 섹션 및 계량 섹션을 포함하는 압출기의 제 1단부에서 제 2단까지 하나 이상의 열가소성 중합체를 이송하기 위해 압출기의 배럴 내에 사용되는 형식의 압출기 스크류에 있어서, 한 개 이상의 플라이트를 포함하고. 거기에 있어 한 플라이트를 압출기 스크류의 전체 길이를 따라 뻗고 중합체가 운반 통과될 나선형채널(통로)을 형성하며 또한 고체의 급속 용해가 느려지기 시작하고 고체층 폭의 감소 속도가 영에 접근하는 지검에 위치된 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스크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 섹션은 초기 전이 구역(구역 I ), 중간 전이 구역(구역 Ⅱ) 및 후기 전이 구역(구역Ⅲ)을 포함하는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세 개의 길이 방향 구역을 포함하며, 상기 댐은 구역 I 과 구역교 내에 있어 어느 한 채널에 가로질러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스크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댐은 구역 I의 최종 채널에서 시작하여 구역교의 제3채널 중의 어느 한 채널을 가로질러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스크류.
  5. 제 2항에 있어서, 24내지 30개의 채널을 포함하고, 댐은 압출기의 7, 10, 11 또는 12번째 채널중에 어느 한 채널에 삽입 설치되는 건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스크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댐이 압출기 스크류의 10번째 패널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스크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댐은 상기 스크류의 장축에서 45도 이하의 예각에 위치징으로 하는 압출기 스크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댐은 실질적으로 상기 스크류의 장축에 평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스크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댐은 실질적으로 플라이트에 수직인 건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스크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댐의 높이가 상기 플라이트의 높이의 10 내지 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스크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댐의 높이가 상기 플라이트의 높이의 25 내지 7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스크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댐의 높이가 상기 플라이트의 높이의 35 내지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스크류.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기 스크류는 압출기 스크류의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를 따라 뻗는 두 플라이트를 포함하는 건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스크류.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댐은 넓은 바닥과 편평한 상부를 가진 대략 캠형의 단면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스크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편평한 상부는 배럴 내표면에서 채널 루트와 배럴 내표면 사이의 거리의 10 내지 70%의 간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스크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편평한 상부는 배럴 내표면에서 채널 루트와 배럴 내표면 사이의 거리의 20 내지 70%의 간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스크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편평한 상부는 배럴 내표면에서 채널 루트와 배럴 내표면 사이의 거리의 50%의 간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스크류.
  1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 섹션의 종점 또는 상기 게량 섹션의 시점에 삽입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 댐들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스크류.
  19. 제 15 에 있어서, 상기 전이 섹션의 종점 또는 상기 계량 섹션의 시점에 삽입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 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스크류.
  20. 제 1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중합체가 신 염화비닐리덴 중합체 수지와 소량의 순환된 염화비닐리덴 중합체 수지의 혼합물로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스크류.
KR1019970704507A 1994-12-30 1995-12-14 압출기 스크류(Extruder screw) KR9807009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66,526 1994-12-30
US08/366,526 US6017145A (en) 1994-12-30 1994-12-30 Extruder screw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700905A true KR980700905A (ko) 1998-04-30

Family

ID=23443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4507A KR980700905A (ko) 1994-12-30 1995-12-14 압출기 스크류(Extruder screw)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017145A (ko)
JP (1) JPH10512508A (ko)
KR (1) KR980700905A (ko)
CN (1) CN1061593C (ko)
CA (1) CA2208739A1 (ko)
WO (1) WO19960208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88821B2 (en) * 2002-12-30 2006-01-24 Dray Sr Robert F Plastics screw with barrier members
CA2525679C (en) * 2003-06-19 2007-04-10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Improved mixer for a plasticizing screw
US7508075B2 (en) * 2003-08-01 2009-03-24 Micron Technology, Inc. Self-aligned poly-metal structures
US9897375B2 (en) * 2011-04-15 2018-02-20 Nationwide 5, Llc Continuous flow dryer for treating bulk material
US10863765B2 (en) 2012-10-24 2020-12-15 Nationwide 5, Llc High-fat and high-protein animal feed supplement and process of manufacture
JP3205421U (ja) * 2013-08-02 2016-07-28 九▲陽▼股▲フン▼有限公司 安全に稼動可能な製麺機
CN113001938B (zh) * 2021-03-01 2022-06-07 东莞市富华塑胶有限公司 一种用于聚丙烯的高速挤出单螺杆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15674A (en) * 1961-02-15 1963-12-31 Dow Chemical Co Backflow restrictor for extruders
US3115675A (en) * 1961-04-28 1963-12-31 Shell Oil Co Extrusion apparatus with degasification elements
US3411179A (en) * 1966-04-12 1968-11-19 Frank W Egan & Company Extruder screw mixing section
AT307010B (de) * 1968-12-21 1973-05-10 Werner & Pfleiderer Vorrichtung zum kontinuierlichen Kneten, Mischen und Homogenisieren plastischer Massen
DE2032197A1 (de) * 1970-06-30 1972-01-05 Uniroyal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erarbeitung von hochviskosen Werkstoffen, insbesondere Kautschuk-Mischungen, in Einschnecken-Ex trudern
DE2256902C2 (de) * 1972-11-20 1978-05-18 Werner & Pfleiderer, 7000 Stuttgart Kontinuierlich arbeitende Schneckenmaschine
US3850414A (en) * 1972-12-26 1974-11-26 H Scharer Homogenizing extruders
US3858856A (en) * 1973-01-26 1975-01-07 John S Hsu Extruder screw
DE2542515C3 (de) * 1975-09-24 1980-09-04 Paul Troester Maschinenfabrik, 3000 Hannover Extruderschnecke für die Verarbeitung von Kunststoffen und Kautschuk
US4131368A (en) * 1976-04-09 1978-12-26 Iddon Brothers Limited Scrolls for extruding machines
US4173417A (en) * 1977-04-15 1979-11-06 Hpm Corporation Extrusion apparatus and method
US4128341A (en) * 1977-04-29 1978-12-05 Ingersoll-Rand Co. Extruder screw
US4152077A (en) * 1977-12-02 1979-05-01 Usm Corporation Homogenization extruder
GB1595850A (en) * 1978-05-31 1981-08-19 Hpm Corp Extruder with multi-channel wave screw
US4213710A (en) * 1978-09-26 1980-07-22 Usm Corporation Adjustable homogenization extruder
US4330214A (en) * 1980-02-19 1982-05-18 W. H. Willert, Inc. Plasticizing screw
US4355905A (en) * 1980-03-24 1982-10-26 The Dow Chemical Company Adjustable plug seal mechanism for heat transfer zone separation in hollow screws for extrusion machines
US4341474A (en) * 1980-08-27 1982-07-27 Wheeler Jr Norton C Extruder screw
JPS608935B2 (ja) * 1981-12-22 1985-03-06 株式会社日本製鋼所 単軸押出成形機用スクリユ
DE3404461A1 (de) * 1984-02-08 1985-08-14 Robert F. Hamilton Tex. Dray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schmelzen und foerdern von plastifiziertem material
DE3430254A1 (de) * 1984-08-17 1986-02-27 Hoechst Ag, 6230 Frankfurt Schneckenextruder
JPS61141512A (ja) * 1984-12-14 1986-06-28 Toshiba Mach Co Ltd プラスチツク成形用スクリユ
JPS61291119A (ja) * 1985-06-20 1986-12-20 Japan Steel Works Ltd:The 押出機のスクリユ−
US4840492A (en) * 1988-04-25 1989-06-20 Kensaku Nakamura Rotational screw for mixing
JPH0667587B2 (ja) * 1988-05-12 1994-08-31 株式会社石中鉄工所 混練用回転スクリュの混練構造
US4963033A (en) * 1988-10-19 1990-10-16 Wenger Manufacturing, Inc. Screw refiner
DE4202821C2 (de) * 1992-01-31 1995-01-26 S Rockstedt Gmbh Maschf Mehrwellige kontinuierlich arbeitende Misch- und Knetmaschine für plastifizierbare Massen
US5288233A (en) * 1993-04-15 1994-02-22 Green Janet E Learning device for attention deficit childr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017145A (en) 2000-01-25
JPH10512508A (ja) 1998-12-02
WO1996020821A1 (en) 1996-07-11
CA2208739A1 (en) 1996-07-11
CN1171757A (zh) 1998-01-28
CN1061593C (zh) 2001-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96573A (en) Extruder screw
US3858856A (en) Extruder screw
US3698541A (en) Extruder, or extruder-like melting apparatus
CN1203977C (zh) 高熔点树脂脱水成形的运转监视系统
EP1638755B1 (en) Improved mixer for a plasticizing screw
EP0302621B1 (en) Die design for underwater pelletization of high melt flow rate polymers
DE69916894T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xtrudieren von polycarbonat mit niedriger schüttdichte
US4154536A (en) High efficiency injection molding screw
EP1711322B1 (en) Apparatus for plasticating thermoplastics
GB1595850A (en) Extruder with multi-channel wave screw
US4461734A (en) Process for plasticization and pumping of low bulk density plastics
US6227692B1 (en) Double wave screw
US3632254A (en) Apparatus for producing fiber reinforced plastics
KR980700905A (ko) 압출기 스크류(Extruder screw)
KR20000048550A (ko) 다중-스크루 압출기
EP0831986B1 (en) Feed device and method for extruders
US5655835A (en) Single screw extruder method and apparatus
Lyu et al. Residence time distributions and basic studies of flow and melting in a modular buss kneader
US5063016A (en) Production of hardwearing and shock-resistant extrudates of 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and apparatus for this purpose
CN1103628C (zh) 挤压装置的应用
US6699416B2 (en) Impact modifier material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JP2991838B2 (ja) 連続押出造粒装置
JPH0376721A (ja) 熱可塑性樹脂球状粒子の製造法
JP2004268274A (ja) 樹脂ペレット製造用ダイ及び該ダイを用いた樹脂ペレットの製造方法
JP2974828B2 (ja) 連続押出造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