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9119A - 정수기의 살균장치 - Google Patents

정수기의 살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9119A
KR980009119A KR1019960029694A KR19960029694A KR980009119A KR 980009119 A KR980009119 A KR 980009119A KR 1019960029694 A KR1019960029694 A KR 1019960029694A KR 19960029694 A KR19960029694 A KR 19960029694A KR 980009119 A KR980009119 A KR 980009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t water
purified
col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9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1218B1 (ko
Inventor
서홍섭
Original Assignee
이영서
동양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서, 동양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영서
Priority to KR1019960029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1218B1/ko
Publication of KR980009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9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1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12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의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정수시스템을 통해 정수완료된 물이 공급로를 통해 가열기에 인입되면, 일정온도로서 가열을 행하여 살균하는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열기를 통해 가열된 정수는 사용자의 온수선택시에는 온수로서 공급되지만, 냉수나 상온수 선택시에는 냉각기에서 일정온도이하로 냉각된 살균정수가 배출되게 하는 것으로서, 종래기술의 살균방식보다 가일충 살균력이 강화되었고, 살균 등의 교체에 따른 비용을 배제하여 그에 따른 효과를 보게 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정수기의 살균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개략적인 블럭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장치전반에 대한 동작흐름 구성도.
*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정수시스템 20 : 살균가열부
30 : 냉각기 40 : 취수부
41 : 온수취출구 42 : 냉수취출구
43 : 냉온수취출구
본 발명은 정수기의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정수된 물은 가열기를 통해 살균을 하여 가열된 물은 온수로 저장되고 냉수나 상온수는 가열기를 통해 살균된 물이 냉각기를 통해 취수되는 방식을 채택한 정수기의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 살균램프를 이용하여 정수된 물을 살균하는 장치가 소개되어 있기도 하나, 이는 오랜 사용으로 램프의 수명이 다하거나 이럴 경우, 램프 교체에 따른 비용의 문제점 등이 야기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정수된 물을 일정온도로서 가열하여 살균을 행하고, 이를 온수로 분리되게 하면서 나머지는 냉각기를 거쳐 냉수 및 상온수로 취수되게 하는 정수기의 살균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1도는 본 발명의 개략적인 블럭구성도에 관한 것으로서, 참조부호 10은 정수시스템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기존의 정수방식에 의하여 정수과정을 거쳐 일반수를 정수하는 장치인 것이고, 20은 정수된 물을 일정온도 및 일정시간동안 가열하는 살균가열부를 지칭하는 것이다. 그리고, 가열부(20)를 거친 정수는 취수부(40)의 온수취출구(41)로 공급되도록 연결하면서, 가열부(20) 일측으로는 공급로를 통해 냉각기(30)에 공급되게 하면서, 냉각기(30)에서는 각각 냉수취출구(42) 및 냉온수취출구(43)를 연결하여서 구성된 것이다.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의 장치 전반에 대한 동작흐름 구성도에 관한 것으로서, 정수시스템(10)에서 정수되는 단계(ST1)를 거쳐, 살균가열부(20)에서 이를 가열하고(ST2), 온수선택버튼이 눌려 졌음을 감지하여(ST3), 온수선택버튼이 눌려 졌을 경우(Y) 온수를 급수하는 단계(ST4)를 수행하고, 상기에서 온수를 선택버튼이 눌려지지 않았을 경우(N)에는 냉각기(30)를 거쳐 냉각을 수행하는 단계(ST5), 그리고, 냉각된 정수는 냉수선택버튼이 선택되는가를 감지하여(ST6), 냉수선택이면(Y) 냉수를 급수하는 동작이 이루어 지면서(ST7) 아닐 경우(N) 상온수로서 배출되게 하는 단계(ST8)의 동작수순으로서 이루어진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진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일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수시스템(10)에서 정수된 물은 가열부(20)에 공급되어지면, 가열부(20)에서 일정온도로서 일정시간 동안 가열되게 하여 정수된 물을 살균하게 된다.
이어서, 가열을 통해 살균된 정수는 각각 분리되는데, 온수보관통에 유입된 나머지 살균정수는 냉각기(30)를 거치면서 일정온도 이하로 냉각되어, 냉수와 냉온수 보관통에 저장된다.
이때, 사용자의 선택으로 취수부(40)의 온수(41) 및 냉수(42) 또는 냉온수취출구(43)를 통해 살균된 정수물을 사용 내지는 음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면 제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동작 수순으로서는 기기에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정수시스템(10)을 통해 일반수가 정수되어, 이는 공급로를 통해 가열부(20)에 공급된다.
이때, 가열부(20)에서는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미리 설정된 온도와 시간을 토대로 가열을 수행하고, 1차 정수된 물속에 함유되어 있을 미생물을 살균하게 된다.
이어서, 사용자의 온수선택시에는 가열부(20)를 거친 정수물이 그대로 취수되지만, 그렇지 않을 때에는, 냉각기(30)를 거쳐 가열된 물은 일정온도 이하로 떨어지면서, 냉수 또는 냉온수의 취출구(42)(43)를 통해 배출되게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정수시스템을 통하여 정수된 물은 가열기를 통해 일정온도로서 가열하여 살균을 행하면서, 이를 온수로 배출되게 하거나, 냉각기를 거치면서 일정온도 이하로 냉각시킨 살균정수는 냉수 또는 냉온수로 배출되게 하므로서, 종래기술에서 비롯되던 살균 등에 의한 살균방식을 배제하여 살균 등의 소모를 방지하면서, 살균력을 강화시키고, 살균 등의 소모에 따른 비용절감의 효과를 볼수 있게 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정수기의 살균장치를 구현함에 있어서, 정수시스템(10)에 의해 일반수를 정수하는 단계(ST1)를 거쳐 정수된 물은 공급로를 통해 가열기(20)에 인입되어, 일정온도로서 일정시간동안 가열하여, 살균하는 단계(ST2)를 수행하면서, 온수선택이 설정되었는가를 감지하여(ST3) 감지되었으면, 온수취출동작(ST4)을 수행하고, 온수선택이 아닐 경우, 냉각기(30)를 거쳐 일정온도 이하로 냉각시키는 단계(ST5)에 이어, 냉수선택(ST6)시에는 냉수취출구(42)를 통해 냉수공급이 이루어지게 하면서(ST7) 그렇지 않을 경우(N)에는 냉온수취출구(43)를 통해 냉온수 공급이 수행토록 된 단계(ST8)의 동작수순으로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살균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029694A 1996-07-23 1996-07-23 정수기의 살균장치 KR100401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9694A KR100401218B1 (ko) 1996-07-23 1996-07-23 정수기의 살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9694A KR100401218B1 (ko) 1996-07-23 1996-07-23 정수기의 살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9119A true KR980009119A (ko) 1998-04-30
KR100401218B1 KR100401218B1 (ko) 2003-12-24

Family

ID=37422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9694A KR100401218B1 (ko) 1996-07-23 1996-07-23 정수기의 살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12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5600B1 (ko) * 2004-01-16 2004-11-06 심종섭 배출꼭지 살균처리가 가능한 먹는 물 공급장치
KR100922629B1 (ko) 2009-06-04 2009-10-21 김덕선 가열식 살균 정수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1481A (en) * 1981-04-16 1982-10-22 Nitto Kikai Kk Water purifier
JPS6115786A (ja) * 1984-06-29 1986-01-23 Koji Yamagata 水の浄化殺菌方法
JPH0714511B2 (ja) * 1984-10-27 1995-02-22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製造ライン用純水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1218B1 (ko) 2003-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7730B1 (ko) 냉온수기의 살균장치
GB2363564B (en) Liquid treatment cartridge
US20070102357A1 (en) Heat sanitization for reverse osmosis systems
KR970073666A (ko) 냉온정수기의 램프제어장치 및 그 방법
WO2005038363A1 (ja) 飲料水供給装置
JP2000213011A (ja) 除湿機能付き浄水器
KR980009119A (ko) 정수기의 살균장치
CN2279133Y (zh) 带空气消毒净化装置的饮水机
JPH10128320A (ja) 循環式温浴器
KR20050081192A (ko) 욕탕물의 가열 및 정화장치.
JP3748839B2 (ja) 汚水滅菌装置
KR100688388B1 (ko) 정수기 및 은공급수단작동방법
KR101056854B1 (ko) 음수공급장치의 온수 취수 및 정수통의 살균장치
KR19980067479A (ko) 정수기의 산소공급장치 및 방법
KR20100009984A (ko) 냉온 정수기
KR20060118216A (ko) 정수기 및 이를 이용한 정수순환작동방법
JP3856566B2 (ja) 殺菌水供給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供給方法
JPH01245815A (ja) 風呂水浄化保温装置
JP2003112176A (ja) 浄水器
KR200361789Y1 (ko) 정수기의 미생물 제거장치
JP3708625B2 (ja) 浴水清浄化装置
KR200362575Y1 (ko) 반신욕 시스템의 용수 처리 구조
JPH0796276A (ja) 浄水器
KR200178950Y1 (ko) 오존 세척수 겸용 오존 정수장치
KR20040060877A (ko)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사용하는 욕탕물의 가열 및 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