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9060A - 플렉시블 컨테이너, 이 플렉시블 컨테이너로부터의 분립체 반송방법 및 그 장치, 또 플렉시블 컨테이너용 배출유닛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컨테이너, 이 플렉시블 컨테이너로부터의 분립체 반송방법 및 그 장치, 또 플렉시블 컨테이너용 배출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9060A
KR980009060A KR1019970030448A KR19970030448A KR980009060A KR 980009060 A KR980009060 A KR 980009060A KR 1019970030448 A KR1019970030448 A KR 1019970030448A KR 19970030448 A KR19970030448 A KR 19970030448A KR 980009060 A KR980009060 A KR 980009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container
discharge unit
granular material
conveying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0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25092B1 (ko
Inventor
슈지 아오키
Original Assignee
미타니 데츠오
도요 하이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타니 데츠오, 도요 하이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타니 데츠오
Publication of KR980009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9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5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50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5/00Tank wagons for carrying fluent materials
    • B61D5/08Covers or access openings; Arrangemen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68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closures for top or bottom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9/00Unpacking of articles 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B69/0075Emptying systems for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Transport Of Granular Materials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목적
본 발명은 분진을 주위에 방산하는 일 없이 장거리 혹은 높은 곳에의 반송이 가능하게 되고, 게다가 수하측의 설비비용이 염가로 되는데 더하여 플렉시블 컨테이너 백의 포장중량 및 포장체적이 거의 증가하지 않도록 한 플렉시블 컨테이너, 이 플렉시블 컨테이너로부터의 분립체 방송방법 및 그 장치, 또 플렉시블 컨테이너용 배출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성
본 발명은, 상부에 밀봉가능한 투입구를 갖는 본체와, 이 본체의 하부로부터 연출된 슬리브와를 구비하는 플렉시블 컨테이너로서, 슬리브의 선단부에 분립체 반송장치의 배출유닛에 밀봉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를 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컨테이너 및 이를 사용한 분립체의 반송방법 또 그의 장치 게다가 플렉시블 컨테이너용 배출유닛을 그의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렉시블 컨테이너, 이 플렉시블 컨테이너로부터의 분립체 반송방법 및 그 장치, 또 플렉시블 컨테이너용 배출유닛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사시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플렉시블 컨테이너에 있어서 슬리브의 적어도 선단부 및 접속부를 이 접속부의 선단개구가 상향으로 개구하도록 본체의 횡측면에 접어진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사시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장치에 관한 일실시예의 구성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유닛의 단면도이다.
제6도는 본 발명장치를 사용하여 분립체의 반송성능을 도시하는 일실시예의 반송특성도이다.
제7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사시도이다.
제8도는 본 발명의 다른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사시도이다.
제9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유닛의 단면도이다.
제1O도는 종래의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측면도이다.
제11도는 종래의 플렉시블 컨테이너로부터의 분립체 반송장치의 주요부의 구성도이다.
제12도는 종래의 플렉시블 컨테이너로부터의 분립체 반송장치의 주요부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플렉시블 컨테이너 2 : 투입구
3 : 본체 4 : 슬리브
4c : 접속부 5 : 레버식 커플링조인트
6 : 유지수단 10 : 분립체 반송장치
11 : 배출유닛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분립체의 보관이나 수송에 사용되는 플렉시블 컨테이너, 이 플렉시블 컨테이너로부터 분립체를 꺼내고, 소요의 반송지로 반송하는 플렉시블 컨테이너로부터의 분립체 반송방법, 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플렉시블 컨테이너로부터의 분립체 반송장치 및 이 장치에 사용되는 플렉시블 컨테이너용 배출유닛에 관하고, 특히 분립체를 주위에 방산시키지 않고 장거리 혹은 높은 곳에의 반송이 가능하게 되고, 게다가 수하(受何)설비비용이,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체적 및 중량을 증대시키는 일이 없도록 한 플렉시블 컨테이너, 플렉시블 컨테이너로부터의 분립체 반송방법 및 그 장치, 또 플렉시블 컨테이너용 배출유닛에 관한다.
[종래의 기술]
종래, 분립체를 취급하는 공장 등에 있어서는 원료분을 넣은 자루를 개봉하고, 수하호퍼 혹은 제1단의
처리장치의 호퍼로 낙하시키고 있었지만 이들 호퍼에의 투입작업은 유해한 원료분의 분진이 주위로 비산하게 되어 더럽고, 위험한 소위 3D 작업으로 되고, 작업자가 기피하게 되었다.
현재로서는, 이와 같은 원료분의 주위에의 비산을 없이하기 위하여, 원료분을 수송하는 용기로서 예를들면 제1O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플렉시블 컨테이너(1O)가 사용된다. 이 플렉시블 컨테이너(100)는 상부에 밀봉가능한 투입구(102)를 갖는 본체(101)와, 본체(101)의 하단에 연속시킨 배출부(103)와를 구비하고, 이 배출부(103)의 중간부를 끈(104)등에 의하여 묶어 밀봉하고 더욱 이 배출부(103)를 되접어 꺾어 별도의 끈(105)으로 결속한 상태로 투입구(102)로부터 분립체를 충전하고 충전완료후에 투입구(102)를 밀봉하여 보관 혹은 수송된다.
수하지에서는 되접어 꺾은 배출부(103)를 결속하는 끈(105)을 풀어, 제1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출부(103)의 하단부를 분립체 반송장치(106)의 수하호퍼(107)의 투입구에 꽂아넣거나, 제1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출부(103)의 하단부를 수하호퍼(107)의 투입구의 외주위에 쥐우고, 밀봉상으로 체결하거나 한후, 배출부(103)의 중간부를 닫고 있는 끈(104)을 풀어 플렉시블 컨테이너(100)내의 원료분을 수하포허(107)에 낙하시켜 수하호퍼(107)의 하단부에 연통시킨 배출유닛(108)로부터 반송관(110)에서 소요의 반송지로 반송하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다.
상기 분립체 반송장치(106)는, 수하호퍼(107)와, 수하호퍼(107)의 하단부에 접속된 배출유닛(108)와, 이 배출유닛(108)을 통하여 수하호퍼(107)내의 분립체에 유체를 압입하는 가압유체 공급원(109)과, 이 가압유체의 압입에 의한 유동성을 높혀진 분립체가 배출유닛(108)을 통하여 압입되는 반송관(110)와를 구비하고, 필요에 따라 반송지에 분립체를 가압유체로부터 분리하여 회수하는 회수수단(111)이 설치되어 있다.
이 회수수단(111)에 의하여 회수된 분립체는 제2단의 분립체 반송장치(106)의 수하호퍼(107)에 투하되어, 이 수하호퍼(107)로부터 그단의 분립체 반송장치(106)의 회수수단(111)에 반송되어 다음단의 분립체 반송장치(110)의 중계호퍼 혹은 제1단의 처리장치에 투하된다.
그러나, 이들의 방법에서는, 우선 플렉시블 컨테이너(100)로부터 원료분을 받기 위한 수하호퍼(107)가 필요로 하므로, 수하지의 설비비용이 고가로 된다라는 문제가 있다.
종래의 분립체 반송장치(106)에서는 반송압을 높이하면 수하호퍼(107)로부터 배출부(103)가 간단히 벗겨지므로, 반송압을 일정이상 높일 수 없고, 그결과, 반송거리는 겨우 10m 반송양정은 겨우 2~3m밖에 설정할 수 없고, 통상, 수평거리로 15~30m, 고저차로 하여 수 m 내지 십수 m 떨어져 있는 수하호퍼(107)와 제1단의 처리장치와의 사이에는 2~3단의 분립체 반송장치(106)를 설치할 필요가 있고, 수하측의 설비비용은 한층고가로 된다라는 문제가 있다.
더욱, 제1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출부(103)의 하단부를 수하호퍼(107)의 투입구에 끼워넣는 경우에는, 플렉시블 컨테이너(100)로부터 분립체를 투하할때에 배출부(103)와 수하호퍼(107)의 투입구 사이로 부터 분진이 날아올라가 주위에 방산된다라는 문제가 있다.
제1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렉시블 컨테이너(100)의 배출부(103)의 하단부를 수하호퍼(107)의 투입구의 외주면에 붙들어 매는 경우에는, 플렉시블 컨테이너(100)의 하단부와 수하호퍼(1U7)의 투입구와의 사이에 분립체가 고이고, 투하후에 플렉시블 컨테이너(100)를 수하호퍼(107)로부터 뗄때에 이 분립체가 주위에 비산한다라는 문제가 있다.
더하여, 이 방법에서는, 플렉시블 컨테이너(100)의 하단개구 둘레가장자리부를 수하호퍼에 붙들고 매고 있을 뿐이므로, 분립체 반송장치(106)의 반송압을 높이하면 플렉시블 컨테이너(100)가 수하호퍼(107)로부터 벗겨져서 플렉시블 컨테이너(100)내의 원료분이 주위에 산란한다라는 문제가 있다.
이 종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근년, 플렉시블 컨테이너 본체의 하단에 배출부 대신에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튜브모양의 팔레트를 연결하고 이 팔렛트를 통하여 본체의 내부에 가압유체를 압입하여 분립체의 유동성을 높이고, 본체내의 분립체를 팔레트의 횡주면에 설치한 배출게이트에 낙하시키거나, 본체의 상단에 설치한 배기구에 뿜어올리거나 하여 꺼내도록한 특별한 플렉시블 컨테이너가 시판되도록 되었다(미국, 미주리주, 세미벌크시스템사, 상품명: 에어팔레트 시스템).
이 특별한 플렉시블 컨테이너에 의하면, 수하측에서는 수하호퍼 및 분립체 반송장치의 배출유닛을 설치하지 않고 끝나므로, 수하측의 설비비용이 염가로 되는데 더하여, 배출게이트 및/또는 배출구는 예를들면 자폐식 커플링을 사용함으로서 밀봉할 수 있게 하였으므로 주위에 거의 분진을 방산하는 일없이 반송관을 접속하거나 해리하거나 할 수가 있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그러나, 이 플렉시블 컨테이너는, 하부에 합성수지제의 팔레트를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분립체를 충전한 상태이거나, 포장의 중량상태에도 그 점유스페이스가 크고 보관코스트나 수송코스트가 값이 비싸게 된다라는 문제가 있다.
또,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바닥부에 팔레트를 설치하여 있으므로 플렉시블 컨테이너 자체의 가격이 상당히 고가로 되고, 이 플렉시블 컨테이너 자체의 코스트, 보관코스트 및 수송코스트 등의 코스트 상승을 고려하면, 실용성에 문제가 생기는 일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플렉시블 컨테이너는, 이와 같은 사정에 비추어서, 분립체의 주위에의 방산의 방지와 수하설비의 간략화를 도모하는데 더하여, 보관코스트, 수송코스트, 및 플렉시블 컨테이너 자체의 코스트를 거의 증가시키는 일 없이, 게다가, 반송거리나 반송양정을 증대시키는 플렉시블 컨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플렉시블 컨테이너로부터의 분립체 반송방법(이하, 본 발명 방법이라함)은, 본 발명의 플렉시블 컨테이너를 사용하므로서, 분립체의 주위에의 방산의 방지와 수하설비의 간략화 및 수하설비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데 더하여, 보관코스트, 수송코스트, 및 플렉시블 컨테이너 자체의 코스트를 염가로 하고, 게다가 반송거리나 반송양정을 증대시킬수 있는 플렉시블 컨테이너로 부터의 분립체 반송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욱, 본 발명에 관한 플렉시블 콘테이너로부터의 분립체 반송장치(이하, 본 발명 장치이라함)은, 상기 본 발명 방법을 실시할 수 있고, 이로서, 분립체의 주위에의 방산의 방지와, 수하설비의 간략화 및 수하설비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데 더하여, 보관코스트, 수송코스트, 및 플렉시블 컨테이너 자체의 코스트를 염가로 하고, 게다가 반송처리나 반송양정을 증대시킬수 있는 플렉시블 컨테이너로부터의 분립체 반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하여, 본 발명에 관한 플렉시블 컨테이너용 배출유닛(이하 본 발명 유닛이라함)은 특히 상기 본 발명 방법 및 본 발명 장치를 사용하는데 더하여 플렉시블 컨테이너와의 접속이 용이하고, 동시에 간단히 행해지는데 더하여, 구성이 간단으로 염가한 플렉시블 컨테이너용 배출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플렉시블 컨테이너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부에 밀봉가능한 투입구를 갖는 본체와, 이 본체의 하부로부터 연출된 슬리브와를 구비하는 플렉시블 컨테이너로서, 슬리브의 선단부에 분립체 반송장치의 배출유닛에 밀봉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를 연달아 설치한 것을 톡징으로 한다.
이로서,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슬리브를, 배출부를 갖는 종래의 플렉시블 컨테이너와 같은 수순으로, 혹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조인트클 사용하여 직접으로 분립체 반송장치의 배출유닛에 밀봉상으로 접속할 수가 있어, 플렉시블 컨테이너와 분립체 반송장치와의 접속시에 주위에 분립체가 방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수하호퍼의 투입구의 둘레가장자리의 길이에 비하면 배출유닛의 둘레가장자리의 길이는 짧으므로, 반송증에 슬리브와 배출유닛와의 사이나 배출유닛의 끝가장자리부에 잔류하는 분립체의 양이 적어지고, 슬리브와 배출유닛와를 해리할때의 주위에의 분립체의 방산을 거의 없이할 수 있어 실시의 양태에 따라서는 슬리브와 배출유닛와를 해리할때의 주위에의 분립체의 방산을 완전히 없이할 수가 있다.
더욱 수하설비로서는, 호퍼를 생략하여 간략화할 수가 있어, 이로서 수하측의 설비코스트를 삭감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플렉시블 컨테이너는, 슬리브를 갖는 종래의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슬리브의 선단부에 접속부를 부가하는 것 뿐이므로, 내부에 분립체를 충전할시 및 포장시의 체적 및 중량을 슬리브를 갖는 종래의 플레시블 컨테이너에 비하여 거의 증가시키지 않게 되고, 보관코스트 및 수송코스트를 낮은 가격으로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플렉시블 컨테이너 자체, 구성이 간단하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이하, 본 발명의 플렉시블 컨테이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본체는, 본질적으로는 종래의 플레시블 컨테이너의 본체와 같이 구성되어, 내부에 분립체를 충전하기 때문에, 상기에 밀봉가능한 투입구가 설치됨과 동시에, 분립체 투입시, 화물취급시 혹은 분립체 배출시에 본체를 매달아들기 위하여, 적당한 혹, 훅걸기 등이 설치된다.
이 본체의 형상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뚜껑을 구비한 바닥이 있는 또는 바닥이 없는 튜브상으로 형성되고, 이튜브의 단면형상은 원형, 정4각형, 직4각형등으로 형성되는 일이 많다.
본 발명의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슬리브의 시단가장자리는, 본체의 하단 가장자리 전둘레에 연속시켜도 좋고, 또, 본체의 하단가장자리의 일부와 횡측면의 일부에 걸쳐서 연속시켜도 좋고, 더욱, 본체하부의 횡측면에만 연속시켜도 좋은 것이다.
이 슬리브의 형상은 열린상태에서 원뿔형,각뿔형 등의 끝이가늘게 형성하여도 좋고, 원통형, 각통형 등의 단면이 한결같은 튜브형으로 형성하여도 좋고, 또, 그 축선은 본체의 축선과 동축 또는 평행한 수직축으로 하여도, 본체의 축선에 직각인 수평축으로 하여도, 본체의 축선에 대하여 끝이 내려가는 경사축으로 하여도 좋다.
또, 본 발명의 플렉시블 컨테이너에 있어서는, 이 슬리브의 형성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그 선단부 및 그 선단부에 연달아 설치되는 접속부를 이 접속부의 선단 개구가 상향으로 개구하도록 본체의 횡측면에 접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추천된다.
그 이유는, 적어도 그 선단부 및 상기 접속부를 접속부의 선단개구가 상향으로 개구하도록 본체의 옆측면으로 접으면, 이 슬리브를 지나 분립체가 주위로 방산되는 것이 확실히 방지되고, 이 상태로 배출유닛을 접속하거나, 해리하거나 함으로서, 배출유닛의 접속에 있어서의 주위에의 분립체의 방산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고 또, 배출유닛의 해리에 있어서의 주위에의 분립체의 방산을 거의 완전히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 본 발명의 플렉시블 컨테이너에 있어서, 슬리브를 적어도 그 선단부 및 그 선단부에 연달아 설치되는 접속부를 그 접속부의 선단개구가 상향으로 개구하도록 본체의 횡측면에 접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보관중 및 수송중에 주위에 분립체가 방산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배출유닛의 붙이고 떼기 시에 있어서, 그 붙이고 떼기를 지극히 용이하게, 게다가 붙이고 떼기의 작업성 및 조작성이 높여진다.
이 경우, 상기 본체와 슬리브에 걸쳐서 슬리브의 적어도 선단부 및 접속부를 이 접속부의 선단개구가 상향으로 개구하도록 본체의 횡측면에 접은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수단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플렉시블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분립체 반송장치의 배출유닛에 밀봉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있으면 좋다. 여기서 밀봉상으로 연결된다는 것은 연결된 접속부와 배출유닛에 걸쳐서 연속하여 가압유체의 통로 및 반송되는 분립체의 통로가 형성되고, 동시에 이들 통로가 주위의 대기중으로부터 밀봉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슬리브는, 종래의 배출부와 같이, 접속부에 겸용되는 선단부를 배출유닛의 외주면에 쒸우고, 그 외주위로부터 예를들면 금속벨트로 체결함으로서 배출유닛에 접속하여도 좋지만, 접속 및 해리의 작업성 및 조작성을 높이기 위하여, 조인트를 통하여 배출유닛과 접속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플렉시블 컨테이너에 있어서는 접속부에 상기 배출유닛에 설치한 암·수 조인트에 대응하는 수 ·암 조인트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 조인트으로서는 나사식 조인트, 유니온조인트, 플렌지조인트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접속작업의 작업성 및 조작성을 한층 높이기 위하여는 예를들면 마찌노식 급속조인트, 자폐식 급속조인트 등의 급속조인트나 후술하는 레버식 커플링 조인트 등, 원터치 조작으로 연결 및 해리를 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플렉시블 컨테이너에 있어서는, 상기 접속부의 선단개구를 개방가능하게 폐쇄하는 뚜껑체를 설치하고, 접속부에 배출유닛을 접속하고 있지 않을때에 이 뚜껑체로 선단개구를 폐쇄하고, 선단개구가 플렉시블 컨테이너내로 불순물이나 이 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플렉시블 컨테이너에 있어서는, 접속부와 선단개구를 개방가능하게 폐쇄하는 뚜껑체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뚜껑체로서는 접속부의 선단부에 끼워맞춤되거나, 나사 맞춤되는 캡, 접속부 혹은 접속부에 설치된 플랜지 둥에 볼트 고정되는 뚜껑판, 혹은, 본체의 횡측면에 봉합등에 의하여 지지시킨 커버등을 그예로서 열거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 방법은, 유체공급원에서 공급되는 유체를 플렉시블 컨테이너 내로 도입하고, 이 유체의 공급에 의하여 플렉시블 컨테이너내에서 유동성이 높혀진 분립체를 플렉시블 컨테이너에 접속된 반송관에 배출하여 소정의 반송지로 반송하는 플렉시블 컨테이너로부터의 분입체 반송방법에 있어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하와 같은 기술적 수단을 강구하고 있다.
즉, 상기 본 발명의 플렉시블 컨테이너를 사용하여, 해당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접속부를 분립체 반송장치의 배출유닛에 밀봉상으로 접속한후, 플렉시블 컨테이너로부터 분립체를 분립체 반송장치로 소정의 반송지에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 방법에 있어서는, 이 분립체의 반송종료후에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접속부가 분립체 반송장치의 배출유닛으로부터 해리된다.
이로서, 본 발명의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슬리브를 배출부를 갖는 종래의 플렉시블 컨테이너와 같이하여, 혹은 조인트를 사용하여 직접 분립체 반송장치의 배출유닛에 밀봉상으로 접속할 수가 있어, 플렉시블 컨테이너와 분립체 반송장치와의 접속시 주위에 분립체가 방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수하호퍼의 투입구의 둘레가장자리의 길이에 비하면 배출유닛의 둘레가장자리의 길이는 짧으므로 반송중에 슬리브와 배출유닛과의 사이나 배출유닛의 끝가장자리부에 잔류하는 분립체의 양이 적어지고, 슬리브와 배출유닛과 해리할때의 주위에의 분립체의 방산은 거의 없이할 수가 있어 실시양태에 따라서는 슬리브와 배출유닛과 해리할 때 주위에의 분립체의 방산을 없이할 수가 있다.
더욱 수하설비로서는 호퍼를 생략하여 간략화할 수가 있고 수하측의 설비코스트를 현저히 삭감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플렉시블 컨테이너는, 슬리브의 선단부에 접속부를 부가하는 것 뿐이므로, 내부에 분립체를 충전한시 및 포장시의 체적 및 중량을 배출부를 갖는 종래의 플렉시블 컨테이너에 비교하여 거의 증가하지 않고 끝나, 보관코스트 및 수송코스트를 저가격으로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플렉시블 컨테이너 자체, 구성이 간단하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 방법에 사용하는 플렉시블 컨테이너에 대하여는 상술한 본 발명의 플렉시블 컨테니어의 상세한 설명과 중복함으로 특히 중요한 설명을 제외하고는 지폭을 절약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 방법에 있어서는, 플렉시블 컨테이너와 배출유닛와의 접속시 및 해리시의 주위에의 분립체의 방산을 한층 감소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그 선단부 및 상기 접속부를 이 접속부의 선단 개구가 상향으로 개구하도록 본체의 횡측면에 접은형상으로 형성된 슬리브를 갖는 플렉시블 컨테이너를 사용하여 적어도 상기 슬리브의 선단부 및 상기 접속부를 이 접속부의 선단 개구가 상향으로 개구하도록 본체의 횡측면으로 접은 상태에서 접속부에 배출유닛을 접속하고, 뒤이어 이 슬리브에 있어서 선단부 및 상기 접속부의 접은 것을 풀어 전개하고, 분립체를 반송한다.
그리고, 분립체의 반송종료후에 적어도 상기 슬리브의 선단부 및 상기 접속부를 이 접속부의 선단개구가 상향으로 개구하도록 본체의 횡측면으로 접은 후 배출유닛을 접속부로부터 해리하는 것이 추천된다.
또, 이 경우에는 플렉시블 컨테이너와 배출유닛과의 접속시 및 해리시의 주위에의 분립체의 방산을 확실히 감소시키기 때문에, 본체와 슬리브에 걸쳐서 해당 슬리브의 적어도 선단부 및 접속부를 이 접속부의 선단개구가 상향으로 개구하도록 본체의 횡측면에 접은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수단을 설치하여, 플렉시블 컨테이너와 배출유닛과의 접속시 및 해리시에 선단개구가 상향으로 개구하도록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플렉시블 컨테이너를 흡인상태로 완료시킬수 있으므로, 배출유닛을 이탈시키면, 이탈부로부터 외기를 흡인하는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분립체의 방산을 한층 감소시킬수가 있다.
플렉시블 컨테이너와 배출유닛과를 접속하는 방법으로서는, 배출유닛의 플렉시블 컨테이너에의 개구부의 둘레가장자리 외측에 접속부를 덮어서 누루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지만, 이외에, 접속부와 배출유닛에 걸쳐서 설치한 커플링을 결합시키를 방법이 있고, 접속작업의 작업성 및 조작성을 높이는 점에서는 후자가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접속부와 상기 배출유닛과를 조인트를 통하여 접속하는 것이 추천된다.
이 경우, 조인트로서는, 나사식조인트, 유니온조인트, 플랜지조인트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접속작업의 작업성 및 조작성을 한층 높이기 위하여 예를들면 마찌노식 급속조인트, 자폐식 금속조인트 등의 급속조인트이나 후술하는 레버식 커플링 조인트 등 원터치 조작으로 연결 및 해리를 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배출유닛을 통하여 플렉시블 컨테이너에 압입되는 가압유체는, 분립체의 유동성을 높이는 작용 및 분립체를 반송관에 배출, 유입하는 작용을 갖고 있지만, 예를들면 반송되는 분립체가 미분말과 같이 치밀화하기 쉬운 경우에는, 반송특성에 따라서는 분립체의 유동성을 높이는 작용이 특히 필요로 된다. 또, 팔레트상의 분립체와 같이 유동성이 좋은 경우에는 분립체의 반송관에의 유입을 제어하는 작용이 특히 필요로 된다.
여기서, 본 발명 방법에 있어서, 반송되는 분립체의 벌크 비중이나 유동성이 높은 경우에 배출유닛내에서 플렉시블 컨테이너내에 공급되는 유체의 일부를 분류시켜, 플렉시블 컨테이너내에서 유동성이 높혀져서 반송관에 배출되는 분립체의 흐름에 합류시키므로서, 분립체를 반송관에 배출, 유입의 제어를 하기 쉽게 함으로서, 분립체를 최적의 조건으로 반송할 수 있게 된다.
또, 이 경우에, 배출유닛내에서 분류되어 플렉시블 컨테이너내에서 유동성이 높혀져서 반송관에 배출되는 분립체의 흐름에 합류시키는 유체의 분류량이 조정가능하게 하면 벌크비중이 다른 복수종류의 분립체의 각각의 반송특성에 대응하여 이 분류량을 조절함으로서, 각각의 분립체를 최적의 조건으로 반송할 수 있게 된다.
더욱, 본 발명 방법에 있어서, 배출유닛 혹은 반송관에 있어서 캐리어 유체를 추가적으로 공급함으로서 반송거리나 반송양정을 높이는 것은 자유이고, 이 추가적으로 공급되는 캐리어 유체는, 분립체와 혼합되는 물질 그 자제, 혹은 분립체와 혼합되는 물질을 포함하는 유체이라도 좋다. 이 분립체와 혼합되는 물질은, 반송되는 분립체와 접촉하여 화학반응을 발생하는 것과 그렇지 않는 것이 포함되지만, 분립체의 흐름에 혼합되므로서 반송지에 도달할때까지 화학반응을 발생하는 물질의 경우는 효율좋게 반응시킬수가 있고, 그렇지 않는 물질의 경우에는 효율좋게 혼합할 수가 있다.
이 경우, 캐리어 유체를 추가적으로 공급하는 캐리어 유체 공급원은, 배출유닛에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원을 겸용하여도, 이 유체공급원과는 별도로 설치하여도 좋다.
이 배출유닛 혹은 반송관에 있어서 캐리어 유체의 추가적 공급에 있어서는 캐리어 유체를 분립체의 반송지 방향으로 분출시켜, 이 추가되는 캐리어 유체의 이 젝트 작용을 이용하여 반송량을 증대시키거나 유체공급원의 공급압을 저하시키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유체 공급원의 공급압을 저하시키는 경우에는 유체공급원을 소형으로 동시에 염가로 할 수 있음과 동시에 플렉시블 컨테이너와 배출유닛과의 연결을 보다 확실히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 방법에 있어서는, 반송지에서 분립체를, 일단, 회수수단으로 캐리어 유체로부터 분리하여 회수하고, 그후, 제1단의 처리장치에 공급하도록 하여도 좋고, 캐리어 유체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없는 경우, 혹은 제1단의 처리장치가 캐리어 유체로부터 분립체를 분리하여 회수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직접 제1단의 처리장치로 반송하면 좋다.
본 발명 방법에 있어서, 반송지에서 분립체를 회수수단에 의하여 캐리어 유체로부터 분리하여 회수하는 경우, 회수수단에서 분립체를 캐리어 유체로부터 분리하는 방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들면, 분립체의 자중을 이용하는 침강 또는 침전법, 필터의 여과작용을 이용하는 여과법, 분립체의 관성을 이용하는 관성분리법, 분립체를 대전시켜 전극에 흡착하는 대전흡착법, 응집제를 사용하는 웅집법, 이들중의 2개 이상을 병용하는 방법등 공지의 기체고체분리 또는 액체고체분리방법을 채용하면 좋다.
이들중에는, 간단한 구성으로 분립체를 캐리어 유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고, 또, 분리한 분립체의 꺼냄이 용이한 방법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관점에서 예를들면 백필터에 의한 여과, 침강 또는 침전법, 사이클론을 사용하는 관성분리법 등이 바람직하다.
물론 본 발명 방법에 있어서는 후속의 제1의 처리공정의 진행상태나 긴급사태등에 대응하여 반송관을 임의의 시점에서 개폐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런데, 본 발명 방법에 있어서, 반송종료시에 플렉시블 컨테이너내에 분립체가 잔류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한 것은 당연한 것이고, 이 때문에, 반송종료전에 플렉시블 컨테이너를 경사하거나, 흔들거나 외부에서 두드리거나 하는 일이 있지만, 이들의 작업은 그런대로 귀찮다. 배출유닛의 접속방법에 따라서는 이들의 방법을 실시하면, 플렉시블 컨테이너가 배출유닛로부터 벗겨질 염려가 있다.
여기서, 본 발명 방법에 있어서는, 분립체의 반송종료직전에,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내압을 증감시켜 플렉시블 컨테이너를 강제적으로, 바람직하기는 2~3회 반복하여 팽창·수축시켜,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내면에 부착한 분립체를 박락시킨다라는 방법을 취함으로서, 자동적으로 플렉시블 컨테이너내에의 분립체의 잔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플렉시블 컨테이너 백을 팽창시키면, 그 내면의 주름이 펴지고, 이 주름사이에 고인 내용물이 낙하하는 소위 풍선효과에 의하여 플렉시블 컨테이너백에 내용물이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팽창 ·수축의 반복에 의한 플렉시블 커테이너 진동에 의하여, 내연에서 분립체를 흔들어 떨어뜨리므로서, 플렉시블 컨테이너백에 내용물이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내압을 증감시키는 구체적인 방법으로서는 유체공급원에서 플렉시블 컨테이너에 유입되는 공급압 및/또는 공급량을 증감시키는 방법, 반송관외 유로단면적을 증감시키는 방법, 캐리어 유체로서 배출유닛 및/또는 반송관내에 추가적으로 공급하는 경우에 이 캐리어 유체의 공급압 및/또는 공급량을 증감시키는 방법, 반송지에서 캐리어 유체를 대기중에 방출하는 대기 연통로를 개폐 또는 그 유로 단면적을 증감시키는 방법, 반송지에서 캐리어 유체를 흡인하는 경우에 이 캐리어 유체의 흡인압 및/또는 흡인량을 증감시키는 방법, 이들중의 2방법 이상을 병용하는 방법등을 그예로서 열거할 수가 있다.
유체공급원에서 플렉시블 컨테이너에 유입되는 유체의 공급압 및/또는 공급량을 증감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유체공급원의 공급압 및/또는 공급량 자체를 증감시키는 방법과 유체공급원의 공급압 및/또는 공급량은 일정하게 유지하고, 유체의 일부를 배출관, 반송관, 대기중 등에 방출하는 방법이다.
반송관을 개폐 또는 그 유로 단면적을 증감시키는 방법은, 반송로에 게이트 혹은 밸브를 설치하여 이 게이트 혹은 밸브를 개폐하거나, 개도를 변경하거나 함으로서 실현할 수 있다. 이 밸브 또는 게이트로서 전폐가능한 밸브 또는 게이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 밸브 또는 게이트는 반송을 단속시키는 셔터에 겸용할 수 있다.
캐리어 유체로서 배출유닛 및/또는 반송관내에 추가적으로 공급하는 유체의 공급압 및/또는 공급량을 증감시키는 방법은, 캐리어유체를 공급하는 캐리어 유체공급원의 공급압 및/또는 공급량 자체를 증감시키는 방법과, 캐리어 유체 공급원의 공급압 및/또는 공급량 자체는 일정하게 하고, 추가하는 캐리어 유체의 일부를 반송관이나 대기중에 방출시키는 방법이 있다.
반송지에서 캐리어 유체를 대기중에 방출하는 대기연통로를 개폐 또는 그 유로 단면적을 증감시키는 방법은, 대기연롱로에 게이트 혹은 밸브를 설치하여 이 게이트 혹은 밸브를 개폐하거나 개도 변경하거나 하여 실현될 수 있다.
반송지에서 캐리어 유체를 흡인하는 경우에 이 캐리어 유체의 흡인압 및/또는 흡인량을 증감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캐리어 유체를 흡인하는 흡인수단의 흡인압 및/또는 흡인량 자체를 증감시키는 방법과, 흡인 수단의 흡인압 및/또는 흡인량 자체는 일정으로 하고 흡인수단예 예를들면 대기를 흡입시키므로서 흡인수단에 흡인되는 캐리어 유체의 비율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있다.
더욱, 플렉시블 백내의 분립체의 특성에 따라서는 반송종료간 사이에 자연히 플렉시블 백이 1회만 팽창·수축하는 일이 있지만, 이와 같은 팽창수축이 생기지 않는 일도 있다. 따라서, 내용물의 잔류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강제적으로 플렉시블 컨베이어 백을 팽창시켜 혹은 팽창과 수축과를 바람직하게는 2~3회 반복하여 행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장치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접속부에 밀봉상으로 접속되는 배출유닛과, 이 배출유닛을 통하여 플렉시블 컨테이너 내에 유체를 공급하는 가압 유체 공급원과, 이 유체의 공급에 의하여 플렉시블 컨테이너 내에서 유동성이 높혀지고, 상기 배출유닛에 의하여 도출된 분립체를 소정의 반송지로 유도하는 반송관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로서, 상기 본 발명의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접속부를 분립체 반송장치의 배출유닛에 밀봉상으로 접속한 후, 유체 공급원으로부터의 유체를 상기 배출유닛을 통하여 플렉시블 컨테이너 내로 공급하고, 이 유체의 공급에 의하여 플렉시블 컨테이너 내의 분립체의 유동성을 높여, 유동성이 높여진 분립체을 배출유닛으로 도출하고, 반송관에 의하여 소정의 반송지로 반송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플렉시블 컨테이너로서, 슬리브가 적어도 그 선단부 및 그 선단에 연출된 접속부를 그 접속부의 횡측면에 접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사용함으로서 상기 본 발명 방법을 실시할 수 있게 되고, 이로서, 반송에 있어서의 분립체의 주위에의 방산의 방지, 수하설비의 간략화, 수하설비의 저감화, 보관 및 수송의 저가격화 및 플렉시블 컨테이너 자체의 저가격성을 조화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장치에 적용되는 플렉시블 컨테이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기 본 발명의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상세한 설명과 중복하므로, 여기서는 지폭을 절약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본 발명의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상세한 설명중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플렉시블 콘테이너의 슬리브의 접속부와 배출유닛과를 확실히 밀봉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접속부와 배출유닛의 피접속부와를 커플링을 통하여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끈등에 의하여 묶을 필요가 없고, 접속할때의 수고가 현저히 간략화되는 것이다.
또, 상기 접속부로서는 금속이나 합성수지 더욱 섬유강화합성수지로 제조된 노즐등이 열거된다.
즉, 상기 접속부에 설치한 수 ·암형 조인트에 대응하는 암 ·수 조인트를 상기 피접속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조작성을 한층 높이기 위하여, 상기 접속부에 설치한 수 ·암형 조인트와 피접속부에 설치한 암 ·수 조인트가 원터치 조작으로 연결 ·해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접속부와 배출유닛의 피접속부와를 접속하는 커플링의 기타의 상세한 설명을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서는 생략한다.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 유체공급원과 배출유닛의 공급관과의 접속 및 배출유닛의 배출관과 반송관과의 접속은 종래의 이것들과 같이 구성하면 되고, 예를들면 공급관의 기단부에 유체공급원의 단말배관을 안에서 끼우거나 또는 밖에서 끼우고, 예를들면 금속밴드 등의 결속수단으로 공급관의 기단부와 유체공급원의 단말배관과의 한쪽을 다른쪽에 꼭 묶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 슬리브와 배출유닛과의 접속과 같이, 접속의 확실성을 높이는 것에 의해 반송거리 및/또는 반송양정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조인트를 사용하여도 좋지만, 이 조인트로서는, 예를들면 플랜지, 소켓, 유니온, 스피거트 조인트 등의 직관을 결합하는 조인트, 엘보, 벤드등의 배관을 굴곡시킨 조인트, 티, 십자, 와이 등의 분기관을 내는 조인트 등을 그예로서 열거할 수가 있다.
본 발명 장치의 배출유닛에 대한 기타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본 발명 유닛의 상세한 설명에 양보하고, 여기서는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더욱, 본 발명 장치의 유체공급원은, 배출유닛의 공급관에 유체를 공급하도록 구성하여 있으면 좋고, 예를들면, 기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원으로서는, 여러 가지의 공지의 왕복형에어펌프, 로터리형 에어펌프, 이젝터형에어펌프(제트펌프)등의 에어펌프, 축류형 블로어, 원심형 블로어, 사류형 블로어 등의 블로어, 에어컴프레서, 여러 가지의 가압기체를 수용한 압력용기, 여러 가지 액화가스를 수용한 액화가스 용기등을 사용할 수가 있어, 이들 중에서는 구성이 간단하고 게다가 다량의 가압공기를 장시간에 걸쳐서 안정하여 공급할 수 있는 블로어를 사용하는 것이 추천된다.
이 유체공급원에 의해 공급되는 유체에 대하여는 본 발명 방법의 설명에 있어서 이미 상세히 설명하여 있으므로 증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또, 본 발명 장치의 반송관은, 상기 배출유닛의 배출관에 일단이 연통되어 있으면 그 소재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들면 금속, 합성수지, 섬유강화합성수지 둥으로 구성하면 좋은 것인데, 피반송물의 반송에 동반하는 내면의 마모가 될 수 있는 대로 적은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배출유닛의 플렉시블 컨테이너에의 붙이고 떼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적어도 그 일부를 가요성을 갖는 호스로 구성하거나, 선회조인트를 개재시키거나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체공급원에서 공급관을 통하여 플렉시블 컨테이너에 압입된 유체의 압력으로 피반송물이 캐리어 유체로서 유체와 함께 배출관에 압입되어, 반송관내를 반송되지만, 필요에 따라, 배출관 및/또는 반송관에 캐리어 유제를 추가적으로 공급하는 캐리어 추가수단을 설치하여, 반송거리 및/또는 반송양정을 증대시켜도 좋다.
이 캐리어 추가수단으로서는, 캐리어 유체를 분립체의 흐름의 하류방향으로 분출하는 이젝터노즐을 구비하는 것을 열거할 수 있어, 이 이젝터노즐을 구비하는 캐리어 추가수단에 의하면, 이 이젝터노즐보다도 시단측의 분립체 및 캐리어 유체를 흡인함과 동시에, 이 이젝터노즐 보다도 종단측의 반송속도 및 반송압을 높일 수 있는 결과, 더욱 원거리 및/또는 높은 곳에 분립체를 반송할 수 있게 된다.
캐리어 추가수단에서 분출되는 캐리어 유체는, 캐리어 유체로서 사용할 수 있는 유체이면 좋고, 또, 어떤 물질과 분립체와를 혼합하는 공정이 설정되는 경우에는, 이 이젝터로부터 분립체에 혼합되는 물질을 캐리어 유체로서, 혹은 이 물질을 함유시킨 유체를 캐리어 유체로서 분출시킬수가 있고, 이로서, 분립체를 원거리 및/또는 높은 곳에 분립체를 반송함과 동시에, 반송중에 상기 물질과 분립체와를 급속히, 동시에 균일하게 혼합시킬수가 있어, 공정수를 삭감할 수가 있고, 또, 이 물질이 분립체에 대하여 반응성을 갖는 경우에는 분립체와 이 물질을 급속히, 동시에 균일하게 반응시킬수가 있다.
또 더욱,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 반송관에 이를 개폐하는 셔터를 설치하고, 이 셔터로 반송관을 닫으므로서, 분립체의 반송을 예를들면 반송지의 상태나 긴급사태발생 등에 대응하여 임의의 시점에서 중단 내지 중지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더하여,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 반송지에 분립체를 캐리어 유체로부터 분리하여 회수하는 회수수단을 설치할 수 있고, 이 회수수단으로서는, 예를들면 유체의 흐름으로부터 백형상 기타 여러가지 형상의 여재를 갖는 여과장치, 분립체를 자중으로 분리시키는 침강실 또는 침전실, 굴곡 혹은 만곡한 유로를 통과시켜, 흐름의 방향전환점에서 분립체의 관성에 의하여 분리시키는 관성분리장치, 내부에서 나선 흐름을 형성하고, 분립체의 관성에 의하여 분리시키는 사이클론, 분립체를 여과에 의하여 분리하는 분리시트, 혹은 이들중의 2종이상의 것을 병용하는 것 등이 그예로서 열거된다.
이들 회수수단중에는 다음단에의 분립체의 꺼냄이 용이하고, 게다가 구성이 간단하고 염가인, 백필터, 침강 또는 침전실, 혹은, 사이클론을 사용하는 것이 추천된다.
이 회수수단에는, 분리된 캐리어 유체를 단순히 대기중에 방산하기 위하여, 회수수단을 대기중에 연통시키는 대기 연통로를 설치할 수 있지만, 이에 대신하여 유체 공급원의 공급압을 일정 이하로 억제하여 플렉시블 컨테이너가 배출유닛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함과 동시에, 반송거리나 반송양정을 현저히 증대하고, 예를들면 종래는 복수단의 분립체 ·반송장치를 사용하고 있던 수하장에서 제1단의 처리장치에 1단의 분립체 반송장치로 분립체를 반송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회수수단으로 분리된 캐리어 유체를 흡인하는 흡인수단을 설치하여도 좋다. 또, 상기대기연통로에 이를 개폐하는 대기 연통밸브를 개재시키는 경우에는, 대기연통로와 흡인수단와를 병설하여도 좋다.
다시 더하여, 본발명 장치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내압을 증감시켜 플렉시블 컨테이너를 팽창·수축시키는 수단을 설치하고, 이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팽창 ·수축에 의하여 플렉시블 컨테이너 내에의 분립체의 잔류를 감소시길수가 있다.
이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내압을 증감시키는 수단으로서는 플렉시블 컨테이너내에의 공급압을 증감시키는 수단과, 반송관의 유로단면적을 증감시키는 수단과, 캐리어 유체 추가수단을 설치한 경우에 추가적으로 공급되는 캐리어 유체의 양 내지 공급압을 증감시키는 수단과, 회수수단을 설치한 경우에 이 회수수단을 대기로 연통시키는 대기연통로의 유로단면적을 증감시키는 수단과, 회수수단 및 이 회수수단으로 분리된 캐리어 유체를 흡인하는 흡인수단을 설치한 경우에 이 흡인수단의 흡인압을 증감하는 수단과를 열거할 수가 있다.
더욱, 플렉시블 컨테이너 백내의 분립체의 특성에 따라서는 반송종료 사이에 자연히 플렉시블 백이 1회만 팽창 ·수축하는 일이 있지만 이와 같은 팽창수축이 생기지 않는 일도 있다. 따라서 내용물의 잔류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상술한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내압을 증감시키는 수단을 설치하고, 반송종료직전에 이 수단을 차동시켜 강제적으로 바람직하기는 2~3회 반복하여 플렉시블 컨테이너 백을 팽창 ·수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상기의 본발명 방법 및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 기류에 사용되는 기체로서는 공기, 질소가스, 헬륨가스, 탄산가스 또는 이들중에서 임의로 선택된 복수종의 혼합가스가 열거되지만, 일반으로 공기가 사용된다.
또, 분립체가 산화되기 쉬운 경우, 분립체의 산화를 방지할 목적으로, 질소, 탄산가스, 헬륨가스 또는 이들중에서 선택된 복수종의 혼합가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
더욱, 상기의 본 발명 방법 및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 회수수단에서 기체를 흡인하여 대기중에 방출하는 흡인수단의 배기관을 분립체의 송품관에 접속하고, 기체를 순환시킬수 있음과 동시에, 폐회로로서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여도 좋은 것이다. 이 경우에는 질소가스 등의 불활성가스에 의한 분립체의 송풍이 가능하게되고, 이로서,분진폭발 등의 위험이나, 분립체의 산화등에 의한 품질열화를 회피하고, 안전히 반송할 수가 있다.
본 발명 유닛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플렉시블컨테이너가 접속되는 피접속부와,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원을 이 피접속부에 접속한 플렉시블 컨테이너 내부에 연통시키는 공급관과, 이 피접속부에 접속한 플렉시블 컨테이너 내부를 반송관에 연통시키는 배출관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닛에 의하면, 공급관에 유체공급원을 접속함과 동시에, 배출관에 반송관을 접속함으로서 상술한 본 발명 장치를 구성할 수가 있고, 또, 이와 같이 본 발명 장치를 구성한 후, 본 발명 유닛의 피접속부를, 플렉시블 컨테이너 본체의 횡측면에 선단개구가 상향으로 되도록 접은 슬리브의 접속부에 기밀상태로 연통연결하고, 더욱, 이 본 발명 유닛을 접속한 슬리브를 전개하여 연후에, 유체공급원으로부터 유체를 공급관에 공급하여 플렉시블 컨테이너내의 분립체를 반송관에 유입하여 반송하고, 본 발명 방법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분립체를 배출한 후, 유체의 공급을 정지한 후,본발명 유닛을 접속한 슬리브를 본체의 횡측면에 선단 개구가 상향으로 되도록 접고, 최후로 본 발명 유닛을 상기 슬리브로부터 해리함으로서, 분립체의 주위에 비산시키는 일없이 반송할 수 있다.
또, 플렉시블 컨테이너를 흡인상태로 완료시킬수 있으므로, 본 발명 유닛을 이탈시키면, 이탈부로부터 외기를 흡인하는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분립체의 방산의 가능성은 한층 감소될 수 있다.
더욱, 본 발명 유닛은, 플렉시블 컨테이너를 접속하는 피접속부툴 설치하므로, 플렉시블 컨테이너와의 접속이 용이하게, 동시에, 간단히 행하는데 더하여, 본 발명 유닛은 피접속부, 공급관 및 배출관으로 이루어지는 간단한 구성이고, 용이하게 동시에 염가로 실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 유닛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 유닛에 있어서는 공급관과 배출관과를 서로 평행으로 배치하거나, 피접속부에 접속된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내부에서 이들의 축심이 교차하도록 공급관과 배출관과를 배치하거나 할 수 있지만, 플렉시블 컨테이너와의 붙이고 떼기 작업의 작업성을 높임과 동시에, 플렉시블 컨테이너내에의 분립체의 잔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상기 공급관과 배출관과를 동축상으로 내외 2중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공급관에서 플렉시블 컨테이너내에 유체를 분출하는 분기구멍을 배출관내에서 개구시켜도 좋지만, 유체의 압입에 의하여 분립체의 유동성이 높혀지는 범위를 넓게하기 위해서는, 상기 배출관의 선단에 피접속부가 연달아 설치되고, 이 피접속부보다도 공급관의 선단을 돌출시킴과 동시에, 이 피접속부로 부터 돌출한 공급관의 부분에 공급관에서 플렉시블 컨테이너에 유체를 분출하는 분기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분기구멍이 공급관의 주위면에, 공급관의 축심방향의 소정 범위에 걸쳐서 분산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와 같이 피접속부의 선단보다도 돌출시킨 공급관의 부분의 주면에분기구멍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이 분기구멍으로부터 가압유체의 분출량을 많게 함과 동시에 공급관을 슬리브에 삽입할 때에 플렉시블 컨테이너내의 분립체가 공급관에 막혀서 그 삽입이 곤란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공급관의 선단을 일부 또는 전부에 걸쳐서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끝이 가늘한 원뿔상의 선단부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 유닛에 있어서는, 본 발명 방법 및 본 발명 장치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급관을 직접 배출관에 연통시키는 바이패스통로를 설치하여 이 바이패스통로를 경유하여 배출관에 유체를 공급함으로서, 유동성이 높고, 벌크비중이 큰 분립체를 반송할 수 있게 된다. 또 이 경우에 이 바이패스통로를 개폐, 또는 전폐와 전개와의 사이에서 개도조정하는 바이패스밸브를 설치하여, 이 바이패스 밸브로 바이패스통로를 개폐, 또는, 개도조정함으로서, 유동성 및 벌크비중이 다른 복수종류의 분립체를 각각의 반송특성에 대응하여 선택된 최적조건으로 반송할 수가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 유닛에 있어서, 상기의 공급관과 배출관과를 동축상으로 내외 2중으로 배치하고, 상기 배출관의 선단에 피접속부가 연달아 설치되고, 이 피접속부 보다도 공급관의 선단을 돌출시킴과 동시에, 이 피접속부로부터 돌출한 공급관의 부분에 공급관으로부터의 플렉시블 컨테이너에 유체를 분출하는 분기구멍을 형성하는 경우, 배출관의 내부에 형성되는 분립체의 흐름에 정체가 생겨, 슬리브로부터 본 발명 유닛을 해리할때에, 이 정체되어 고인 분립체가 슬리브의 외측에 넘쳐흘러 주위에 방산될 염려가 있다라는 문제가 있음을 알았다.
여기서, 본 발명 유닛에 있어서는, 배출관내에 나선기류를 형성하는 수단을 설치함으로서, 배출관내에 분립체가 잔류하는 것과 같은 정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추천된다.
이 배출관내에 나선기류를 형성하는 수단으로서는, 구체적으로, 배출관에 유입하는 흐름을 나선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판 배출관내에 배출관의 접선방향에 유체를 분출하는 노즐을 사용하는 등을 그예로서 열거할 수 있지만, 이외에 반송관을 배출관에 배출관의 접선방향으로 접속함으로서도 배출관내에 나선기류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물론, 이들중의 2종이상의 수단을 병용하여도 좋다. 이들중에서도 구성이 간단한 것으로 안내판을 설치하는 것이 추천된다. 이 안내판은 공급관의 외주면 또는 슬리브의 내주면의 한쪽, 특히 공급관의 외주면에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본 발명 유닛의 공급관 및 배출관의 소재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여러 가지 분립체에 대하여 화학적으로 불활성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 내마모성에 우수한 것이 바람직한 것이므로, 예를들면 스테인리스강등의 금속 혹은 합성수지로 형성할 수 있는 것외에 이들 화학적으로 불활성으로 내마모성에 우수한 소재로 표면이 피복되고, 혹은, 코오팅 내지 라이닝된 기타의 임의의 소재를 사용하여도 좋다.
[발명실시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플렉시블 컨테이너, 이를 사용하는 본 발명 방법 및 본 발명 창치 또 본 발명 유닛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플렉시블 컨테이너, 이를 사용하는 본 발명 방법 및 본 발명 장치 또 본 발명 유닛은 이하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도 내지 제3도의 각 사시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플렉시블 컨테이너(1)는 상부에 밀봉가능한 투입구(2)를 갖는 본체(3)와, 본체(3)의 하부로부터 연출된 슬리브(4)와, 이 슬리브(4)의 선단부클 본체(3)의 하나의 횡측면에 접은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수단(6)와를 구비한다.
즉,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플렉시블 컨테이너(1)의 본체(3)는 밑이 없는 4각통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4)는 본체(3)의 사방의 아래가장자리중의 하나의 아래가장자리(3a)에 연속하는 대략 3각형의 한쪽측면(4a)과, 본체(3)에 접어지고, 본체의 나머지 3개의 아래가장자리(3b ~3d)에 연속하는 4변형으로 접은 상태로 상기 한쪽측면(4a)에 포개지는 대략 3각형을 연속시킨 반대측면(4b)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한쪽측면(4a)과 반대측면(4b)의 선단부가 포개진 슬리브(4)의 선단부는 그 선단 개구가 상향으로 되도록, 본체(3)의 하나의 횡측면을 접고, 이 접음에 의하여 본체(3)의 밑면이 닫혀진다.
또,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슬리브(4)는 유지수단(6)의 유지작용을 해제하여 열린상태에서 끝이 가늘한 깔대기 상태로 되고, 동시에, 그 축심이 끝이 내려가게 경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더욱, 이 슬리브(4)의 선단예는 원통상의 접속부(k)가 연달아 설치되고, 이 접속부(4c)예는, 제4도의 구성도에 도시하는 분립체 반송장치(1O)의 배출유닛(11)을 접속하기 위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위 원터치 조작으로 연결 ·해리될 수 있는 레버식 커플링 조인트(5)의 수형 조인트(51)(암형 조인트도 좋다)가 설치된다.
즉, 제5도의 단면도예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접속부(4c)의 선단개구에 수형 조인트(51)의 기단부가 삽입되고, 외주위로부터 급속밴드 B로 접속부(4c)를 수형 조인트(51)의 기단부의 외주면에 체결함으로서, 이 수형 조인트(51)이 슬리브(4)에 밀봉상으로 연통 연결됨과 동시에 이 수형 조인트(51)의 슬리브(4)로부터 미끄럼 빠짐하는 것이 확실히 방지된다.
더욱,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레버식 커플링 조인트(5)에 의하여 슬리브(4)를 상기 배출유닛(11)에 접속할 때 이외에는, 이 수형 조인트(51)로부터 슬리브(4)내에 이물질이나 불순물이 침입하지 않도록 수형 조인트(51)에는 이 개구를 폐쇄하는 박고 뽑기 가능한 캡(57)이 끼워붙임되어 있다.
상기 유지수단(6)의 구성은 슬리브(4)의 선단부를 본체(3)의 하나의 횡측면에 접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있으면 특히 한정되지 않고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반대측면(4b)에 횡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두고 각각 밴드(61)를 통하여 유지된 한쌍의 버클(62)과, 본체(3)의 하나의 횡측면에 이들 버클(62)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각각 대응하는 버클(62)를 현수하는 한쌍의 고정밴드(63)와를 구비하고 있다.
이 고정밴드(63)는 본체(3)에 고정되는 상반부(6b)와, 이에 되접어 포개여지는 하반부(63a)와를 갖고, 이들 상반부(63b)와 하반부(63a)와의 서로 되접어 합해지는 면의 한쪽에 면파스너(64)의 수형, 즉, 후크면(64a)이, 그 반대측에 암형, 즉, 루프면(64a)이 각각 고정된다.
그리고, 슬리브(4)의 선단부를 본체(3)의 하나의 횡측면에 접은후, 상기 버클(62)에 각 고정밴드(8)의 하반부(63a)를 통하고, 이 하반부(63a)를 잡아당겨올리면서 상반부(63b)로 되접어 포개어 면파스너(64)의 후크면(64a)과 루프면(64b)와를 걸어맞춤으로서, 슬리브(4)의 선단부가 본체(3)의 하나의 횡측면에 접은 상태로 유지된다.
그런데, 이 유지수단(6)으로서, 슬리브(4)의 선단부를 본체(3)의 하나의 횡측면으로 접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면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훅단추, 벨버틴, 단추, 면파스너, 클립 등이 열거된다.
상기 본체(3)의 상부에는 4개의 후크 걸기(7)가 둘레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슬리브(4)의 선단부를 본체(3)의 하나의 횡측면에 접은후, 유지수단(6)으로 슬리브(4)의 선단부를 본체(3)의 하나의 횡측면으로 접은 상태로 유지한 후, 이들 후크 걸기(7)에 걸치기하고, 예를들면 호이스트로 적당한 높이로 매달아 올린후, 상기 투입구(2)를 열고, 이 투입구(2)로부터 플렉시블 컨테이너(1)내에 분립체가 투입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슬리브(4)의 선단부를 본체(3)의 하나의 횡측면으로 접은 상태에서는 본체(3)의 밑면이 상기 반대측면(4b)에 의하여 닫혀지고, 또 상기 한쪽측면(4a)과 반대측면(4b)의 선단부가 포개여져서 본체(3)의 아래가장자리(3a)에서 접어구부러져서, 이들 한쪽측면(4a)과 반대측면(4b)의 선다부와의 사이도 닫혀지는 것으로 되어, 플렉시블 컨테이너(1)내로부터 슬리브(4)를 지나 분립체가 배출되는 것이 확실히 방지된다. 따라서 분립체를 플렉시블 컨테이너(1)내에 충전할때에, 슬리브(4)를 지나 플렉시블 컨테이너(1)내의 분립체가 주위에 방산될 염려는 없다.
소정량의 분립체를 충전하고, 투입구(2)를 밀봉한 다음 플렉시블 컨테이너(1)는 소정의 보관장소로 반송되어 보관되고, 훅은 수송되지만, 이의 보관시 및 수송시에도 슬리브(4)의 선단부는 유지수단(6)에 의하여 본체(3)의 하나의 횡측면에 접은 상태로 유지되고, 따라서, 보관중이나 수송중에 플렉시블 컨테이너(1)내의 분립체가 슬리브(4)를 지나 주위에 방산될 염려는 없다.
또, 분립체를 충전한 플렉시블 컨테이너(1)의 보관시나 수송시에는,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밑면에 팔레트가 연결되어 있지 않고, 게다가, 슬리브(4)의 선단부가 본체(3)의 하나의 횡측면에 접혀 있으므로, 슬리브를 갖는 종래의 플렉시블 컨테이너와 비교하여, 내부에 분립체가 층전되어 있는 실충전시의 점유체적 및 중량(포장의 중량+내용물 중량)이 거의 증가하지 않고, 그결과, 실충전시의 보관코스트나 수송코스트가 실질적으로 증대하는 일은 없다.
물론, 밑면에 팔레트를 갖지 않으므로 슬리브를 갖는 종래의 플렉시블 컨테이너에 비하여 거의 포장중량 및 포장체적이 증대하지 않고 포장시의 보관코스트나 수송코스트도 증대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게다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플렉시블 컨테이너(1)에 의하면, 본 발명 장치 및 본 발명 방법을 실시함으로서, 수하지에서 주위에 분립체를 방산시키는 일 없이, 원거리 및/또는 높은 콧에 분립체를 반송할 수 있다.
본 발명 방법의 일실시예에 관한 플렉시블 컨테이너로부터의 분립체 반송방법에서는, 예를들면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하지에 수송된 플렉시블 컨테이너(1)가 그 슬리브(4)의 선단부를 본체(3)의 한횡측면으로 접은 상태대로, 상기후크 걸기(7)에 걸치기하여, 예를들면 호이스트(H)로 적당한 높이로 매달아 올려지고, 소정의 위로 운반된다. 그리고, 이소정의 위치로, 그 슬리브(4)의 선단부를 본체(3)의 한횡측면으로 접은 상태대로, 캡(57)을 떼어서 그 슬리브(4)의 선단에 본 발명 장치의 일실시예에 관한 분립체 반송 장치(1O)의 배출유닛(11) 즉, 본 발명 유닛의 일실시예에 관한 배출유닛(11)이 후술하는 상기 레버식 커플링 조인트(5)를 통하여 밀봉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이 방법에 의하면, 슬리브(4)의 선단부를 유지수단(6)에 의하여 본체(3)의 한횡측면에 접은 상태
로 유지하여, 슬리브(4)에 분립체 반송장치(10)의 배출유닛(11)을 접속되므로, 배출유닛(11)의 접속시에 플렉시블 컨테이너(1)내의 분립체가 슬리브(4)를 지나 주위에 방산될 염려가 없어지는 것이다.
이 방법에서는 그후, 유지수단(6)의 유지기능을 해제함으로서, 슬리브(4)가 열린다. 즉, 슬리브(4)를 본체(13)의 한횡측면에 접은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수단(6)의 하반부(8a)의 선단을 손으로 잡아당겨 면파스너(64)을 열므로서, 유지수단(6)의 유지기능이 해제되고, 슬리브(4)는 본체(3)내의 분립체의 중량에 의하여,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선이 본체(3)의 축선에 대하여 끝이 내려가는 깔때기상으로 자연히 열린다.
더욱, 제3도에 있어서는, 유지수단(6) 및 훅걸기(8)는 생략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슬리브(4)를 열면, 본체(3)내의 분립체가 슬리브(4)내로 낙하하고, 후술하는 배출유닛(11)의 공급관(18)의 주위 및 후술하는 배출유닛(11)의 배출관(19)내에 충만하지만, 이 슬리브(4)내에 낙하한 분립체는 그대로는 유동성이 낮으므로, 이 방법에서는 슬리브(4)를 연후에, 상기 분립체 반송장치(1O)의 유체공급원(12)로부터 유체, 이 예에서는 공기류가 상기 배출유닛(11)의 공급관(18)을 통하여 플렉시블 컨테이너(1)내로 보내어진다.
이 공기류가 압입되므로서, 분립체의 유동성이 높혀짐과 동시에, 유동성이 높혀진 분립체가 플렉시블 컨테이너(1)에 압입된 공기류를 캐리어 유체로서, 플렉시블 컨테이너(1)의 내압에 의하여 상기 배출유닛(11)의 배출관(19)을 통하여 상기 미립체 반송장치(10)의 반송관(13)에 유입되어 회수수단(14)으로 반송된다.
슬리브(4)내의 분립체가 배출유닛(11)을 통하여 반송관(13)에 배출되면, 그 배출된 양에 알맞는 분립체가 본체(3)내에서 슬리브(4)내로 보충되어, 그 결과, 플렉시블 컨테이너(1)내의 분립체가 다음에서 다음으로 배출유닛(11)을 통하여 반송관(13)에 배출된다.
또, 이 분립체 반송장치(10)의 반송지에는, 회수수단(14)이 설치되어, 플렉시블 컨테이너(1)로부터 분립체 반송장치(1O)의 반송관(3)에 의하여 반송된 분립체가, 반송지에서 이 회수수단(14)에 의하여 캐리어 유체로부터 분리하여 회수되고, 더욱, 이 회수수단(14)의 본체(14a)의 하부에 설치한 배출밸브(14b)로부터 제1단의 처리장치(3이로 낙하 공급된다.
상기 회수수단(14)의 본체(14a)의 상부에는, 본체(14a)내에서 분리된 캐리어 유체로부터 미분진을 확실히 제거하기 위한 제진부(14c)와, 이 제진부(14c)로 제진된 캐리어 유체를 대기중에 방출하는 대기연통로(16)와, 이 대기연통로(16)를 개폐하는 대기연통밸브(17)와, 이 대기연통밸브(17) 보다도 상류측의 대기연통로(16)의 부분을 통하여 제진부(14c)에 연통하는 흡인수단(15)이 설치되어, 반송시에는 상기 대기연통밸브(17)를 폐쇄함과 동시에, 흡인수단(15)을 작동시켜 회수수단(14)으로부터 캐리어 유체를 흡인하도록 하고 있다.
이로서, 유체공급원(12)의 공급압을 낮게 억제할 수가 있어, 유체공급원(12)의 소형화 및 저가격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배출유닛(11)과 슬리브(4), 유체공급원(12)의 단말배관(12a) 및 반송관(13)와의 해리를 한층 확실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이와 같이 흡인수단(15)을 사용함으로서, 분립체 반송장치(1O)의 반송능력, 즉, 반송거리나 반송양정을 한층 높일수가 있다. 그 결과, 수하장에서 예를들면 15~30m 정도 떨어져 설치되어 있었던 제1단의 처리장치와의 사이에, 종래에서는 복수단의 복수단의 분립체 반송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있었던데 대하여, 이 분립체 반출장치(1O)를 1단 설치하는 것만으로 끝나게 되어, 이로서 설비비용을 현격히 염가로 할 수가 있다.
플렉시블 컨테이닝(1)내의 분립체의 특성에 따라서는, 반송종료의 사이시에 자연히 플렉시블 커테이너(1)가 1회만 팽창, 수축하는 일이 있지만, 이와 같은 팽창, 수축은 미립체의 유동특성과 장치의 세팅조건에 의하여 변화하는 불안정한 것이다.
이와 같은 플렉시블 컨테이너(1)의 팽창·수축에 동반하여, 플렉시블 컨테이너(1)의 내면에 부착하여 잔류하고 있었던 분립체가 소위, 풍선효과에 의하여 플렉시블 컨테이너(1)의 내면에서 박리하고, 슬리브(4) 내로 낙하하고, 더욱, 배출유닛(11)로부터 반송관(13)에 배출되어 플렉시블 컨테이너(1)내에로의 분립체의 잔류량이 적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플렉시블 컨테이너(1)의 팽창·수축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도 있으므로, 이 실시예에 관한 플렉시블 컨테이너로부터의 분립체 반송방법 및 그 장치에 있어서는, 반송의 종료사이에 대기 연통 밸브(17)의 개폐를 2~3회 반복함으로서 플렉시블 컨테이너(1)의 내압을 증감시켜, 이로서 플렉시블 컨테이너(1)의 팽창·수축을 강제적으로 2~3회 반복시킨다.
이로서, 플렉시블 컨테이너(1)의 내면에 부착한 분립체가, 이 플렉시블 컨테이너(1)의 팽창시의, 소위, 풍선효과에 의하여 박락함과 동시에 팽창·수축의 반복에 동반하는 플렉시블 컨테이너(1)의 본체(3)의 진동에 의하여 박락하여 슬리브(4)내로 낙하하고, 더욱, 분립체 반송장치(1O)에 의하여 반출되는 것으로 된다. 그 결과, 플렉시블 컨테이너(1)내에의 분립체의 잔류를 거의 없이할 수가 있었다.
더욱,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기 본체(3)의 한쪽측면(4a)이 연속하는 한횡측면과 반대측이 횡측면의 하부에는, 한쌍의 훅걸기(8)가 설치되고, 예를들면 본체(3)의 상부의 한횡측면측의 훅걸기(7)와 이 훅걸기(8)에 걸치기하여, 열린 슬리브(4)의 축심이 거의 연직으로 되도록 플렉시블 컨테이너(1)를 경사하여 매달아 들올수 있고, 이 경우에는, 분립체가 잔류하기 쉬운 상기 한횡측면과 반대측의 플렉시블 컨테이너(1)의 부분에 분립체가 잔류하기 어렵게 된다. 또, 도 4에 있어서 부호(24)는 흡인수단(15)을 구동하는 모터이다.
이 방법에 있어서는, 반송의 종료후의 적당한 때에 유체공급원(12)이 정지되어, 배출유닛(11)을 접속한 채로 슬리브(4)가, 그 선단개구가 상향으로 되도록 본체(3)의 한횡측면에 접고, 유지수단(6)에 의하여 그 선단개구가 상향으로 되도록 본체(3)의 한횡측면에 접은 상태로 유지된다.
그후, 배출유닛(11)이 접속시와 역의 수순의 원터치 조작에 의하여 슬리브(4)로부터 해리되지만, 반송중에 슬리브(4)와 배출유닛(11)와의 사이에는 거의 분립체가 체류하지 않으므로, 또, 배출유닛(11)에 잔류하고 있는 분립체는 슬리브(4)를 본체(3)의 한횡측면에 접을때에 슬리브(4)내로 낙하하므로, 이 배출유닛(11)의 해리에 있어서의 주위에의 분립체의 방산은 거의 완전히 없이할 수 있다.
그런데, 제5도의 단면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배출유닛(11)은 공급관(18)과 배출관(19)으로 이루어지는 내외 2증관상으로 형성되고, 이 공급관(18)의 기단부에는 상기 유체 공급원(12)의 단말배관(12a)이 밀봉상으로 연통연결된다. 또 배출관(19)의 기단부에는 직접 또는 엘보관(2O)을 통하여 반송관(13)의 시단부가 밀봉상으로 연통연결되어, 그 선단 개구에 레버식 커플링 조인트(5)의 암형 조인트(52)로 이루어지는 피접속부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레버식 커플링 조인트(5)는, 슬리브(4)의 접속부(4c)에 설치한 수형 조인트(51)와, 배출관(19)의 선단에 지지시킨 암형 조인트(52)와, 이 암형 조인트(52)에 배출관(19)의 접선방향으로 평행한 축심둘레로 소정의 범위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레버(53)와, 이 레버(53)의 지점근방에 연설한 캠(54)과, 수형 조인트(51)의 주위면에 전주에 걸쳐서 형성한 둘레홈(5)와를 구비하고, 이 수형 조인트(51)을 암형 조인트(52)에 끼워넣은 상태로 상기 레버(53)를 회전시키므로서, 이 레버(53)의 전단에 연설한 캠(54)을 수형 조인트(51)의 둘레홈(55)에 맞물리고, 수형 조인트(51)를 암형 조인트(52)에 끌어들이도록 하고 있다.
상기 레버(8) 및 이것과 일체를 이루는 캠(54)은, 하나씩만 설치하여도 좋지만, 접속의 확실성을 높이기 이하여 암형 조인트(52)의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그 개소에 설치하여도 좋은 것이다. 물론, 접속의 확실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서는, 암형 조인트(52)의 둘레방향에 등간격을 두고 4개소 이상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들의 수가 많아지면 붙이고 떼기의 조작성을 높이는 점에서 분리하게 되므로, 이들의 수는 2개 도는 3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여기서는 조작성을 증시하여 2개로 하고 있다.
즉, 이 레버식 커플링 조인트(5)는, 레버(53)를 넓혀서 각각 한손으로 쥐고, 암형 조인트(52)를 수형 조인트(51)에 위에서 쥐우도록 끼워넣은 후, 양레버(53)를 동시에 닫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므로서, 소위, 원터치 조작으로 간단히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양레버(53)를 닫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은 차례로 행하여도 좋지만, 작업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동시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상기 암컷형 조인트(52)에는 필요에 따라, 수형 조인트(51)의 선단면에 대향시켜서 시일부재(56)가 설치되고, 상기 레버(8)의 조작에 의하여 암형 조인트(52)에 끌어들인 수형 조인트(51)의 선단면을 이 시일부재(56)에 누름함으로서, 수형 조인트(51)과 암 조인트(52)가 밀봉상으로 연통연결된다.
더욱, 유체공급원(12)의 단말 배관(12a)은, 공급관(18)의 시단부에 쥐워지고 금속밴드 B1로 체결함으로서 공급관(18)의 시단부로부터 미끄럼 빠짐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고 있다. 또, 반송관(13)의 선단부는, 이것과 같이 배출관(19)에 연통연결한 엘보관(2O)에 쥐워지고, 금속밴드(B2)로 체결함으로서 배출관(19)에 밀봉상으로 연통연결되어, 이로서, 반송관(13)이 엘보관(20)에서 미끄럼 빠짐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배출유닛(11)의 공급관(18)과 유체공급원(12)의 단말배관(12a)과의 접속, 배출유닛(11)의 배출관(19)과 반송관(13)과의 접속, 및 배출유닛(11)과 플렉시블 컨테이너(1)의 슬리브(4)와의 접속을 확실히 하거나, 흡인수단(15)으로 유채, 이 경우, 공기류를 흡인함으로서, 분립체 반송장치(10)의 반송능력 즉, 반송거리나 반송양정을 현저히 높일수가 있다. 그결과, 수하장에서 예를들면 15~30m 정도 떨어져 설치되어 있던 제1단의 처리장치(30)와의 사이에, 종래에서는 복수단의 복수단의 분립체 반송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있었던데 대하여 이 분립체 반출장치(1O)를 1단 설치하는 것만으로 되게 되고, 이로서, 설비비용을 현격히 염가로 할 수가 있다.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배출유닛(11)의 공급관(18)은, 그 선단을 배출관(19)의 선단보다도 돌출시키고 있고, 또, 그 배출관(19)의 선단보다도 일정이상 돌출한 공급관(18)의 부분의 주위벽은 펀칭메탈(18a)로 형성되어, 더욱, 그 선단부는 끝이 가늘한 원뿔형의 선단부재(18b)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배출유닛(11)을 슬리브(4)의 선단부에 접속한 후, 유체공급원(12)으로부터 소정의 압력의 공기류를 배출유닛(11)의 공급관(18)에 공급하면 공급관(18)의 펀칭메달(18a)의 부분에서 그 전주위에 걸쳐서 슬리브(4)내에 공기류가 유입되어 슬리브(4)내의 분립체의 유동성이 높혀진다.
여기서, 상기 공급관(18)의 선단을 배출관(19)의 선단보다도 돌출시켜, 배출관(19)의 선단보다도 일정이상 돌출한 공급판(18)의 부분, 즉, 펀칭메달(18a)의 부분에서 공급관(18)를 슬리브(4)내로 연통시키고 있으므로, 공급관(18)에서 분출된 공기류가 분립체 속에 압입되지 않고 직첩으로 배출관(19)에 흐르는 것이 방지되어, 슬리브(4)내에서 분립체의 유동성을 높여지는 범위가 광범위하게 넓혀지게 되는 것이다.
또, 이 공급관(18)의 선단은 원뿔상의 선단부재(18b)로 폐쇄하여 있으므로, 공급관(18)에 공급된 공기류를 펀칭메달(18a)로부터 슬리브(4)내로 분출시킬수가 있고, 슬리브(4)내에서 분립체의 유동성이 높아지는 범위가 한층 광범위하게 넓혀지게 되는 것이다.
더욱, 공급관(18)의 선단부재(18b)가 끝이 가늘한 원뿔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배출유닛(11)을 접속하기 위하여 슬리브(4)에 공급관(18)을 끼워넣을때에, 포개워 맞주어진 슬리브(4)의 한쪽측면(4a)과 반대측면(4b)의 선단부가 원활하게 넓혀지고, 슬리브(4)내에의 공급관(18)의 삽입이 용이하게 된다.
또, 이 선단부재(18b)에 의하여 공급관(18)의 선단이 폐쇄되어 있으므로, 이 공급관(18)의 삽입에 있어서 슬리브(4)내에 분립체가 새더라도, 이 분립체가 공급관(18)의 선단에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공급관(18)를 용이하게 슬리브(4)에 삽입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배출유닛(11)을 슬리브(4)의 선단부에 접속한 후, 유체공급원(12)으로부터 소정의 압력의 공기류를 배출유닛(11)의 공급관(18)에 공급하면 공기류가 슬리브(4)내로 유입되어, 슬리브(4) 내의 분립체의 유동성이 높혀지고, 이 분립체가 배출관(19)에 원활하게 유입되어, 더욱, 이 배출관(19)에서 엘보관(2O)을 통하여 접속된 반송관(13)에 유입되어 회수수단(14)에 반송되는 것으로 된다.
그러나, 실제의 분립체의 반송에 있어서는, 반송되는 분립체의 종류나 입경 또 밀도 등의 여러 가지 특성, 즉, 반송특성에 의하여 반송조건을 달리하게 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이 배출유닛(11)에는, 공급관(18)으로부터 플렉시블 컨테이너(1)를 바이패스하여 직접으로 배출관(19)에 공기류를 분류하는 바이패스통로(21)와, 이 바이패스통로(21)의 유로단면적을 전개와 전폐와의 사이에서 조정하는 조절밸브(2)가 설치되어 있다.
예를들면, 미분말 등의 벌크비중의 작은 분립체는, 유체의 유입에 의하여 용이하게 유동성이 높혀지고, 원거리나 높은 곳에의 반송이 용이하게 되지만, 반송압을 낮게 하여, 말하자면, 브레이크를 걸면서 반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이 조정밸브(2)를 전폐함으로서, 공급관(18)에 공급된 공기류의 전량을 플렉시블 컨테이너(1)의 슬리브(4)내에 분출시켜, 플렉시블 컨테이너(1)에의 유입에 의하여 감압된 반송압으로 반송하고, 벌크비중이 작은 분립체의 회수율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다. 즉, 예를들면 도 6의 성능곡선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정밸브(22)를 전폐로 하여 매시 1550kg의 탄산칼슘분말, 소위 탄산칼슘을 3Om의 원거리로 반송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또, 팔레트등의 유동성이 큰 분립체는, 배출관(19)에의 유입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반송압이나 흡인력을 높이하지 않으면 원거리나 높은 곳에의 반송이 곤난하게 되지만, 분립체의 유동성의 크기에 대응하여 이 조정밸브(22)를 적당히 열으므로서, 플렉시블 컨테이너(1)에의 유입에 의한 압력저하가 없는 고압의 공기를 이 바이패스통로(21)를 통하여 배출로(19)에 공급하여 반송압을 높이거나 흡인수단(15)의 흡인력을 올려 벌크비중이 큰 분립체의 원거리나 높은 곳에의 반송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즉 제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매시 1700kg의 팔레트를 30m의 원거리에 반송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슬리브(4)로부터 배출유닛(11)을 해리할때에는, 분립체가 주위에 방산될 염려는 없지만, 배출유닛(11)에 의하면, 엘보관(2O)이 배출관(19)의 안쪽단면의 근방에서 이 주위면에 그 법선방향으로 연결시켜 있으므로, 반송중에 이 안쪽단면의 근방에 정체가 발생하여 이 정체에 의해 분립체가 고이고, 슬리브(4)로부터 이 배출유닛(11)을 해리할때에 이 분립체가 슬리브(4)의 외측으로 낙하할 염려가 있다.
여기서,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출관(19)내에 나선기류를 형성하는 안내판(23)을 설치함으로서 배출관(19)내에 분립체가 잔류하는 것과 같은 정체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배출유닛(11)의 슬리브(4)로부터 해리시에 배출유닛(11)로부터 주위에 분립체가 방산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고 있는 것이다.
제7도의 사시도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플렉시블 컨테이너(1)는 본체(1)의 하부의 한귀퉁이부로부터 연출되어, 수평축의 원통형으로 열리는 슬리브(4)를 구비하고, 이 슬리브(4)의 선단부에는 접을때에 이 슬리브(4)의 양측에 돌출하는 벨트(65)가 고정되어, 벨트(65)의 돌출부분에 대응하는 본체(3)의 부분과 이 벨트(65)에 걸쳐서 면파스너(64)가 설치되어 있다. 또 본체(1)의 중간 높이부에는, 본체(3)의 횡측면에 선단개구가 상향으로 되도록 접은 이 슬리브(4)의 선단개구를 덮는 시트상의 커버(3e)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기타의 구성, 작용 내지 효과는 상기의 일실시예의 그것들과 꼭같으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이들의 설명을 생략한다.
제8도의 측면도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플래시블 컨테이너(1)는, 본체(4)의 아래 가장자리에 세로측의 각깔때기부(4a)와 그 하단부에 원통부(4e)를 연속시킨 형상으로 열리는 슬리브(4)를 연설하여 있고, 이 슬리브(4)는, 분립체를 투입하기전에 원통부(4e)의 중간높이부를 예를들면 끈으로 결속함으로서 밀봉되어, 더욱, 이 원통부(4e)를 그 결속위치로 되접어 결속된다.
그리고 수하지에서는 종래의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슬리브를 수하호퍼에 장착하는 것과 같은 요령으로 슬리브(4)의 선단부(4c)를 제9도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배출유닛(11)에 설치한 원통상의 피접속부(58)에 쉬워서 그 외주위로부터 금속밴드(B)로 체결함으로서 슬리브(4)와 배출유닛(11)이 기밀상으로 연결되어 그후, 슬리브(4)를 밀봉하는 끈을 푸는 것에 의해 공급관(18) 및 배출관(19)이 슬리브(4)내에 연통된다.
더욱, 이 배출유닛(11)의 공급관(18)의 선단부는 끝이 가늘게 축경되어, 그 한쪽 절반을 개구시켜 분기구멍(18c)으로 하고 있다.
이 플렉시블 컨테이너(1) 이 플렉시블 컨테이너(1)로부터의 분립체 반송방법 및 그 장치(1O), 또 플렉시블 컨테이너용 배출유닛(11)의 기타의 구성, 작용 내지 효과를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발명의 효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플렉시블 컨테이너는 본체의 하부로부터 연출된 슬리브의 선단에 분립체 반송장치의 배출유닛에 밀봉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를 연설하였으므로,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우선, 종래의 배출부를 갖는 플렉시블 컨테이너를 수하호퍼예 접속하는 것과 같은 수순으로, 흑은 접속부와 배출유닛에 걸쳐서 설치한 조인트를 통하여 플렉시블 컨테이너를 배출유닛에 직접접속할 수가 있고, 종래의 수하호퍼에의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접속과 동일하게 플렉시블 컨테이너와 분립체 반송장치와의 접속시에 주위에 분립체가 방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배출유닛의 둘레가장자리의 길이는 수하호퍼의 투입구의 둘레가장자리의 길이보다도 짧으므로, 반송중에 슬리브와 배출유닛과의 사이나 배출유닛의 둘레가장자리부에 잔류하는 분립체의 양이 적어지고, 플렉시블 컨테이너와 분립체 반송장치와의 해리시의 주위에 방산되는 분립체의 양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음에 더하여, 실시의 양태에 따라 플렉시블 컨테이너와 분립체 반송장치와의 해리시에 분립체가 주위에의 방산을 없이 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더욱 수하호퍼를 생략하여 수하설비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는데 더하여, 플렉시블 컨테이너와 배출유닛과를 직접으로 접속함으로서 반송거리나, 반송양정을 증대시킬 수가 있고, 분립체 반송장치의 설치수를 삭감할 수 있으므로, 수하측의 설비비용을 대폭으로 삭감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더하여,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슬리브를 작게하여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코스트다운을 도모할 수 있음에 더하여, 종래의 배출부를 갖는 플렉시블 컨테이너에 비하여 실충전시에도 포장시에도 점유체적 및 중량이 거의 증가하지 않고, 보관코스트나 수송코스트의 증대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플렉시블 컨테이너에 있어서, 본체와 슬리브에 걸쳐서 슬리브의 적어도 선단부 및 접속부를 이 접속부의 선단개구가 상향으로 개구하도록 본체의 횡측면에 접은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접속부의 선단개구가 상향으로 개구하도록 슬리브를 본체의 횡측면으로 접은 상태로 배출유닛의 접속 및 해리를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주위에 전혀 분립체를 방산시키는 일 없이 배출유닛을 슬리브에 접속할 수 있는 것이고, 게다가 주위에 분립체를 거의 방산시키는 일 없이, 배출유닛을 슬리브로부터 해리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의 플렉시블 컨테이너에 있어서, 접속부에 배출유닛에 설치한 암 또는 수형 조인트에 대응
하는 수 또는 암형 조인트를 설치한 경우에는 슬리브와 배출유닛과의 접속작업 및 해리작업의 작업성을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조작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 경우에, 특히, 상기 접속부에 설치한 수 또는 암형 조인트와 배출유닛에 설치한 암 또는 수형 조인트가 원터치조작에 의하여 접속 및 해리되도록 구성하면, 슬리브와 배출유닛과의 접속작업 및 해리작업의 작업성을 한층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조작성을 한층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더욱, 본 발명의 플렉시블 컨테이너에 있어서, 접속부의 선단개구를 개방 가능하게 폐쇄하는 뚜껑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슬리브 배출유닛에 접속할 때 이외에 뚜껑으로 선단개부를 폐쇄함으로써, 불순물 내지 이 물질의 슬리브를 통하여 플렉시블 컨테이너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다음에, 본 발명 방법은, 상기 본 발명의 플렉시블 컨테이너를 사용하여, 해당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접
속부를 분립체 반송장치의 배출유닛에 밀봉상으로 접속한후, 플렉시블 컨테이너로부터 분립체를 분립체
반송장치에 의해 소정의 반송지로 반송하고, 반송종료후에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접속부를 분립체 반송장
치의 배출유닛로부터 해리하므로, 상술한 바와같이, 플렉시블 컨테이너와 분립체 반송장치와의 접속시에
주위에 분립체가 방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 플렉시블 컨테이너와 분립체 반송장치와의 해리시
에 분립체가 주위로의 방산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 수하설비의 간략화 및 이에 동반하는 설비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 실충전시에도 포장시에도 배출부를 갖는 종래의 플렉시블 컨테이너에 비하
여, 거의 점유체적 및 중량을 증대시키지 않게 되며, 보관코스트와 수송코스트를 증대시키지 않게 되는
효과,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저가격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등의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흡인수단으로 유체를 흡인하는 구성으로 하면, 상기 효과에 더하여, 반송거리
나 반송양정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는 결과 예를들면 종래는 복수단의 분립체 반송장치를 사용하고 있
는 수하장으로부터 제 1단의 처리장치로 1단의 분립체 반송장치로 분립체를 반송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 방법에 있어서, 특히 슬리브가 적어도 그 선단부 및 접속부를 이 접속부의 선단개구가 상
향으로 개구하도록 본체의 횡측면에 접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와 슬리브에 걸쳐서 슬리브의 적
어도 선단부 및 접속부를 이 접속부의 선단개구가 상향으로 개구하도록 본체의 횡측면에 접은 상태로 유
지하는 유지수단이 설치되어 있으면 이하에 설명하는 각별히 현저한 효과를 이룬다.
즉, 본 발명의 플렉시블 컨테이너를 사용하여, 적어도 상기의 슬리브의 선단부 및 접속부를 이 접속부
의 선단개부가 상향으로 개구하도록 본체의 횡측면에 접은 상태에서 접속부에 배출유닛을 접속하고, 반송
종료후에 적어도 상기의 슬리브의 선단부 및 접속부를 이 접속부의 선단개구가 상향으로 개구하도록 본
체의 횡측면에 접은 후 배출유닛을 접속부로부터 해리하는 경우에는, 플렉시블 컨테이너와 분립체 반송장
치와의 접속시의 주위에 분립체가 방산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는 효과, 플렉시블 컨테이너와 분립
체 반송장치와의 해리시에 주위에 분립체가 방산되는 것을 거의 완전히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얻
어진다.
또, 본 발명 방법에 있어서, 특히 상기의 접속부와 배출유닛과를 조인트를 통하여 접속하여 경우에는
플렉시블 컨테이너와 배출유닛과의 접속작업 및 해리작업의 작업성 및 조작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얻
어진다.
이 경우, 특히 상기 조인트의 원터치 조작에 의하여 접속 및 해리되는 경우에는 플렉시블 컨테이너와
배출유닛과의 접속작업 및 해리작업의 작업성 및 조작성을 한층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더욱 본 발명 방법에 있어서, 배출유닛내에서, 플렉시블 컨테이너내로 공급되는 유체의 일부를 분류시켜 플렉시블 컨테이너내에서 유동성을 높여 반송관에 배출되는 분립체의 흐름에 합류시키므로서 분립체를 반송관에 유입하는 압력을 높이는 경우에는 벌크비중이 크고, 유동성이 높은 분립체, 예를들면 팔레트 상의 분립체를 반송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 경우에, 배출유닛내에서 분류되어, 플렉시블 컨테이너내에서 유동성이 높여져서 반송관에 배출되는 분립체의 흐롬에 합류케되는 유체의 분류량이 조정가능하게 되면, 벌크비중이나 유동성이 다른 복수 종류의 분립체를 각각의 반송특성에 최적의 반송조건으로 반송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본 발명 방법에 있어서, 배출유닛 및/또는 반송관에 캐리어 유체를 추가적으로 공급하는 경우에는 분립체를 한층 원거리 및/또는 높은 곳으로 반송할 수가 있다.
더하여, 본 발명 방범에 있어서, 반송지에서 분립체를 캐리어 유체로부터 분리함과 동시에 분리된 캐리어 유체를 흡인하는 경우에는 유체공급원의 공급압을 낮게 억제하여 배출유닛과 플렉시블 컨테이너와의 접속부에 작용하는 힘을 작게하여 배출유닛과 플렉시블 컨테이너와의 해리를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효과, 유체공급원의 공급압에 대한 반송거리 및/또는 반송 양정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등의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이와같이, 흡인수단으로 유체를 흡인하는 구성으로 하면, 분립체를 흡인하고, 반송거리나 반송양정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가 있어, 예를들면 종래는 복수단의 분립체 반송장치를 사용하고 있던 수하장에서 제1단의 처리장치에 1단의 분립체 반송장치로 분립체를 반송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 방법에 있어서, 반송의 종료전예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내압을 플렉시블 컨테이너를 강제적으로 팽창 ·수축시켜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내면에 부착한 분립체를 박락시키는 경우에는 플렉시블 컨테이너내의 분립체의 잔류량을 감소시켜 거의 플렉시블 컨테이너내에 분립체를 잔류시키는 일 없이 반송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 장치에 의하면, 배출유닛이 본 발명의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접속부에 해당 배출유닛을 밀봉상으로 접속시키는 피접속부를 구비하므로, 배출유닛에 플렉시블 컨테이너를 직접연결하여 상기 본 발명 방법을 실시할 수가 있어, 이로서, 플렉시블 컨테이너와 분립체 반송장치와의 접속시에 주위에 분립체가 방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 플렉시블 컨테이너와 분립체 반송장치와의 해리시에 분립체가 주위에서 방산을 없이 할 수 있는 효과 수하설비의 간략화 및 이에 동반하는 설비비용의 삭감을 도모하는 효과, 실충전시에서도 포장시에서도 슬리브를 갖는 종래의 플렉시블 컨테이너에 비하여 거의 점유체적 및 중량을 증가시키지 않게 되고, 보관코스트나 수송코스트를 증대시키지 않게 되는 효과,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저가격화를 도모하는 효과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 장치에 의하면 흡인수단으로 흡인하면, 상기 효과에 더하여 반송거리나 반송양정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는 결과, 예를 들면 종래는 복수단의 분립체 반송장치를 사용하고 있던 수하장에서 제1단의 처리장치에 1단의 분립체 반송장치로 분립체를 반송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 특히 상기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접속부에 설치한 수 또는 암형 조인트에 대응하는 암 또는 수형 조인트를 상기 피접속부에 설치한 경우에는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슬리브와 배출유닛과를 조인트를 통하여 접속 ·해리할 수 있게 되고, 이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슬리브와 배출유닛과의 접속작업 및 해리의 작업성을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조작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 경우, 상기의 접속부에 설치한 수 또는 암형 조인트와 상기의 피접속부에 설치한 암 또는 수형 조인트가 원터치조작에 의하여 접속 및 해리되는 것인 경우에는 플렉시블 컨테이너와 배출유닛과의 접속작업 및 해리작업의 작업성을 한층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조작성을 한층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 장치에 의하면, 배출유닛이 본 발명의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접속부에 해당 배출유닛을 밀봉상으로 접속시키는 피접속부를 구비하므로, 배출유닛에 플렉시블 컨테이너를 직접연결하여 상기의 본 발명 방법을 실시할 수 있는 결과 플렉시블 컨테이너와 분립체 반송장치와의 접속시에 주위에 분립체가 방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 플렉시블 컨테이너와 분립체 반송장치와의 해리시에 분립체가 주위에의 방산을 없이 할 수 있는 효과, 수하설비의 간력화 및 이에 동반하는 설비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 반송거리 및/또는 반송양정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 실충전시에도 포장시에도 슬리브를 갖는 종래의 플렉시블 컨테이너에 비하여 거의 점유체적 및 중량을 증가시키지 않게 되며 보관코스트나 수송 코스트를 증대시키지 않게 되는 효과,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저가격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등의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또,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 배출유닛 및/또는 반송관에 캐리어유체를 추가적으로 공급하는 수단을 설치한 경우에는, 배출유닛 및/또는 반송관에 있어서 캐리어유체의 추가에 의하여 반송압을 증가시킬수 있어 반송거리 및/또는 반송양정을 한층 크게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더욱, 본 발명장치에 있어서, 배출유닛에 접속된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내압을 증감시켜 플렉시블 컨테이너를 팽창·수축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반송의 종료사이시에 이 수단을 작동시켜, 플렉시블 컨테이너를 팽창 ·수축시켜, 이로서,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내면에 부착한 분립체를 박락시켜 분립체 방송장치로 플렉시블 컨테이너로부터 배출할 수 있으므로, 플렉시블 컨테이너에의 분립체의 잔류를 적게할 수가 있다.
다음에 본 발명 유닛은 본 발명의 플렉시블 컨테이너 접속부가 밀봉상으로 접속되는 피접속부와 가압유체를 공급하는 가압유체공급원을 이 피접속부에 접속된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내부에 연통시키는 공급관과 이 피접속부에 접속된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내부를 반송관에 연통되는 배출관을 구비하므로, 공급관에 가압유체공급원을 접속하고 배출관에 반송관을 접속하는 것 만으로 간단히 본 발명장치를 구성할 수가 있고, 또,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본체의 횡측면에 접은 슬리브외 선단에 연설되어 상향으로 개구시킨 접속부에 이의 피접속부를 직접으로 접속시켜 플렉시블 컨테이너로부터 분립체를 반송하는 상기 본 발명 방법을 실시할 수가 있다.
그 결과, 플렉시블 컨테이너와 분립체 반송장치와의 접속시에 주위에 분립체가 방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는 효과, 플렉시블 컨테이너와 분립체 반송장치와의 해리시에 분립체가 주위에의 방산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 수하설비의 간략화 및 이에 동반하는 설비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 실충전시에도 포장시에도 슬리브를 갖는 종래의 플렉시블 컨테이너에 비하여 거의 점유체적 및 중량을 증가시키지 않게 되며, 보관코스트나 수송코스트를 증대시키지 않게 되는 효과,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저가격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등의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본 발명 유닛에 있어서, 특히 상기 공급관과 반송관이 동축상으로내외 2중으로 배치되어, 상기 배출관의 선단에 피접속부가 연설되어, 이 피접속부보다도 공급관의 선단을 돌출시킴과 동시에 이 피접속부보다도 돌출한 공급관의 부분에 가압공기를 플렉시블 컨테이너내로 분출시키는 분기구멍을 형성한 경우에는, 슬리브와 배출유닛과의 접속이 용이하게 되는데 더하여, 공급관에서 분출하는 가압유체가 분립체의 유동성을 높이는 일 없이 배출관에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확실히 분립체의 유동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 경우에, 특히 상기 분기구멍이 공급관의 주위면에 공급관의 축심방향의 소정범위내의 분산하여 형성되면, 가압유체의 압입에 의하여 분입체의 유동성이 높아지는 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이 경우에 공급관의 선단이 선단부재에 의하여 폐쇄되면, 공급관에 공급된 가압유체의 전량을 분기구멍에서 분출시킬 수가 있으므로, 가압유체의 압입에 의하여 분립체의 유동성이 높혀지는 범위를 한층 확대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더욱, 본 발명 유닛에 있어서, 공급관을 그 기단부에서 배출관에 연통시키는 바이패스통로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가압공기를 공급관에서 직접 배출관에 공급하여 흔상비를 낮게할 수가 있어, 이로서 팔레트등의 벌크비중이 큰 분립체의 반송을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 경우에 상기 바이패스통로를 개폐 또는 전폐와 전개와의 사이에서 개도조정되는 바이패스밸브를 설치하면, 벌크비중이 다른 복수종류의 분립체를 각각의 반송특성에 최적의 반송조건으로 반송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더하여, 본 발명 유닛에 있어서, 특히 배출관내에 선회류를 형성하는 수단을 설치한 경우에는, 배출관내에 반송류의 정체가 생기는 것이 방지되고, 반송중에 이 정체한 체류관 분립체가 배출유닛을 플렉시블 컨테이너로부터 해리할 때에 주위에 방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7)

  1. 상부에 밀봉 가능한 투입구를 갖는 본체와, 이 본체의 하부로부터 연출된 슬리브와를 구비하는 플렉시블 컨테이너로서, 슬리브의 선단부에 분립체 반송장치의 배출유닛에 밀봉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를 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컨테이너.
  2. 제1항에 있어서, 본체에 있어서 슬리브가 적어도 그 선단부 및 접속부를 이 접속부의 선단개구가 상향으로 개구하도록 본체의 횡측면예 접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는 슬리브의 적어도 선단부 및 접속부를 이 접속부의 선단개구가 상향으로 개구하도록 본체의 횡측면에 접은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컨테이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접속부에 배출유닛에 설치한 암형 조인트 또는 수형 조인트에 대응하는 수형 조인트 또는 암형 조인트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컨테이너.
  4. 제3항에 있어서 접속부에 설치한 수형 조인트 또는 암형 조인트와 배출유닛에 설치한 암형 조인트 또는 수형 조인트가 원터치조작에 의하여 접속 및 해리되는 구조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컨테이너.
  5. 제3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접속부의 선단개구를 개방가능하게 폐쇄하는 뚜껑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컨테이너.
  6. 유체공급원에서 공급되는 유체를 플렉시블 컨테이너내에 도입하고, 이 유체의 공급에 의하여 플렉시블 컨테이너내에서 유동성이 높혀진 분립체를 플렉시블 컨테이너에 접속된 반송관에 배출하여 소정의 반송지로 반송하는 플렉시블 컨테이너로부터의 분립체 반송방법에 있어서 제1항 내지 5중 어느 한항에 개재된 플렉시블 컨테이너를 사용하여 해당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접속부를 분립체 반송장치의 배출유닛에 밀봉상으로 접속한후, 플렉시블 컨테이너로부터 분립체를 분립체 반송장치에서 소정의 반송지로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컨테이너로부터의 분립체 반송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청구항 2 내지 5증 어느 한항에 기재된 플렉시블 컨테이너를 사용하여 적어도 슬리브의 선단부 및 접속부를 이 접속부의 선단개구가 상향으로 개구하도록 본체의 횡측면에 접은 상태로 해당 접속부에 배출유닛을 접속한후, 플렉시블 컨테이너내의 분립체를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컨테이너로부터의 분립체 반송방법,
  8. 제6항 또는 7항에 있어서, 접속부와 배출유닛과를 조인트를 통하여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분립체 반송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조인트를 원터치 조작으로 접속 및 해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분립체 반송방법.
  10. 제6항 내지 9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배출유닛내에서 플렉시블 컨테이너내에 공급되는 유체의 일부를 분류시켜, 이 분류를 플렉시블 컨테이너내에서 유동성이 높혀져서 반송관에 배출되는 분립체의 흐름에 합류시키므로서 분립체를 반송관에 유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컨테이너로부터의 분립체 반송방법.
  11. 제1O항에 있어서, 배출유닛내에서 분류되고, 플랙시블 컨테이너내에서 유동성이 높혀져서 반송관에 배출되는 분립체의 흐름에 합류시키는 유체의 분류량을 분립체의 반송특성에 대응하여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컨테이너로부터의 분립체 반송방법.
  12. 제6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배출유닛 및/또는 반송관에 캐리어유체를 추가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컨테이너로부터의 분립체 반송방법.
  13. 제6항 내지 12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반송지에서 분립체를 캐리어 유체로부터 분리함과 동시에 분리된 캐리어유체를 흡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컨터이너로부터의 분립체 반송방법.
  14. 제6항 내지 1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반송이 종료하는 사이에,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내압을 증감시켜 플렉시블 컨테이너를 강제적으로 팽창·수축시켜,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내면에 부착한 분립체를 박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컨테이너로부터의 분립체 방송방법.
  15. 제1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접속부에 밀봉상으로 접속되는 배출유닛과, 이 배출유닛을 통하여 플렉시블 컨테이너내에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원과, 이 유체의 공급에 의하여 플렉시블 컨테이너내에서 유동성이 높혀지고, 상기 배출유닛에 의하여 유출된 분립체를 소정의 반송지로 유도하는 반송관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컨테이너로부터의 분립체 반송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배출유닛이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접속부와 밀봉상으로 접속되는 피접속부를 갖고, 상기 접속부에 설치한 수 또는 암형 조인트에 대응하는 암 또는 수형 조인트를 상기 피접속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컨테이너로부터의 분립체 반송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접속부에 설치한 수 또는 암형 조인트와 피접속부에 설치한 암 또는 수형 조인트가 원터치 조작에 의하여 접속 및 해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컨테이너로부터의 분립체 반송장치.
  18. 제15항 내지 17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배출유닛 및/또는 반송관에 캐리어유체를 추가적으로 공급하는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컨테이너로부터의 분립체 반송장치.
  19. 제15항 내지 18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배출유닛에 접속된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내압을 증감시켜 플렉시블 컨테이너를 팽창 ·수축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컨테이너로부터의 분립체 반송장치.
  20. 제15항 내지 19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반송지에 분립체를 캐리어 유체로부터 분리하여 회수하는 회수수단과, 회수수단으로 분리된 캐리어 유체를 흡인하는 흡인수단과, 회수수단을 대기중에 연통시키는 대기연통로와, 이 대기 연통로를 개폐하는 대기연통밸브와를 설치하고, 이 대기 연통밸브를 개폐함으로서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내압을 증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컨테이너로부터의 분립체 반송장치.
  21. 제1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항의 기재의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접속부가 밀봉상으로 접속되는 피접촉부와,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원을 이것의 피접속부에 접속된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내부에 연통시키는 공급관과, 이것의 피접속부에 접속된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내부를 반송관에 연통하는 배출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컨테이너용 배출유닛.
  22. 제21항에 있어서, 공급관과 반송관이 동축상으로 내외 2증으로 배치되고,상기 배출관의 선단에 피접속부가 연설되고, 이 피접속부 보다도 공급관의 선단을 돌출시킴과 동시에, 이 피접속부 보다도 돌출한 공급관의 부분에 유체를 플렉시블 컨테이너 내로 분출시키는 분기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컨테이너용 배출유닛.
  23. 제22항에 있어서, 분기구멍이 공급관의 주위면에 공급관의 축심방향의 소정의 범위내로 분산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컨테이너용 배출유닛.
  24. 제21항 내지 2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공급관의 선단에 선단부재에 의하여 폐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컨테이너용 배출유닛.
  25. 제21항 내지 24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공급관을 그 기단부에서 배출관에 연통시키는 바이패스 통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컨테이너용 배출유닛.
  26. 제25항에 있어서, 바이패스통로를 개폐 또는 개도조정하는 바이패스밸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컨테이너용 배출유닛.
  27. 제21항 내지 26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배출관내에 선회류를 형성하는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컨테이너용 배출유닛.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70030448A 1996-07-01 1997-07-01 플렉시블 컨테이너, 이 플렉시블 컨테이너로부터의 분립체반송방법 및 그 장치, 또 플렉시블 컨테이너용 배출유닛 KR1002250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191462 1996-07-01
JP08191462A JP3077966B2 (ja) 1996-07-01 1996-07-01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9060A true KR980009060A (ko) 1998-04-30
KR100225092B1 KR100225092B1 (ko) 1999-10-15

Family

ID=16275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0448A KR100225092B1 (ko) 1996-07-01 1997-07-01 플렉시블 컨테이너, 이 플렉시블 컨테이너로부터의 분립체반송방법 및 그 장치, 또 플렉시블 컨테이너용 배출유닛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050750A (ko)
JP (1) JP3077966B2 (ko)
KR (1) KR100225092B1 (ko)
AU (1) AU705161B2 (ko)
CA (1) CA2203030C (ko)
GB (1) GB231482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13020B1 (en) * 1999-04-21 2002-07-02 Alan L. Davison Vacuum transfer apparatus and process
US6318594B1 (en) * 2000-05-08 2001-11-20 Burleigh M. Hutchins Container system and method apparatus for holding and dispensing flowable dry goods
NL1016180C2 (en) * 2000-09-14 2002-03-15 Wu Peng Chieuh Method for packing powder-form or granular material particularly in a bag with capacity of 50 kg to 4000 kg involves bag having permeability to water vapor from 0.1 to 10 g/m2/day and a permeability to oxygen of 0.05 to 30 cc/m2/day
ES2186486B1 (es) * 2000-10-17 2004-08-16 Peng-Chieh Wu Metodo para empaquetar materiales en polvo o granulares y una bolsa antihumedad, antioxidante, antiestatica, resistente a la luz, para dichometodo.
US6431753B1 (en) * 2000-10-20 2002-08-13 Acadia Industries, Inc. Bulk bag with remote discharge
DE10133991B4 (de) * 2001-07-12 2012-08-02 Doosan Lentjes Gmbh Vorrichtung zur Reinigung von Verbrennungsabgasen
GB2381787A (en) * 2001-11-09 2003-05-14 Catalyst Handling Res & Engine Particulate material transfer
US20040190799A1 (en) * 2003-03-31 2004-09-30 General Electric Company Side discharge bag for flowable materials and method for dicharging flowable materials
US6834995B1 (en) * 2003-07-14 2004-12-28 Kmcc Western Australia Pty Ltd Bulk bag having a pair of loops to secure the discharge opening in a closed position
GB0409318D0 (en) * 2004-04-27 2004-06-02 Its Drilling Services Ltd Material transportation apparatus and method
US7552845B2 (en) * 2004-06-01 2009-06-30 Natan Guryevskiy Fine particle dispensing apparatus and method
US7541549B2 (en) * 2007-01-10 2009-06-02 Cooling & Applied Technology, Inc. Vacuum transfer apparatus having load isolation weighing system including a rigid pipe section pivotally mounted to a support frame
US20090004346A1 (en) * 2007-06-29 2009-01-01 Estes Jeremy B Continuous vacuum marination apparatus and method
JP5100435B2 (ja) * 2008-02-20 2012-12-19 株式会社三洋 粒状物搬送容器
CA2637176A1 (en) * 2008-07-04 2010-01-04 Inga Lasko Bag for installation on a mobile cleaning cart
CN102811925B (zh) * 2009-12-02 2015-11-25 英默里斯滑石美国有限公司 具有卸料斜槽的柔性散装存储容器
NL2009125C2 (nl) * 2012-07-05 2014-01-07 Smq Group B V Een houder voor het vervoeren van massagoed, en een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legen van een houder.
EP2705900B1 (en) * 2012-09-10 2021-09-01 Petroval Process for unloading particulate material from a vessel
JP6411787B2 (ja) * 2014-06-20 2018-10-24 赤武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フレコンバッグの排出・洗浄装置
WO2016022792A2 (en) * 2014-08-07 2016-02-11 Plank Road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and controlling combustion and flammability, or oxidation of materials during storage or transport
KR20170000240U (ko) 2015-07-09 2017-01-18 최광수 컨테이너 백
US10407233B1 (en) 2016-04-15 2019-09-10 Plank Road Technologies, Llc Enclosure system for storage
CN110451101A (zh) * 2019-07-09 2019-11-15 福建省尚晟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折叠吸水型吨袋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2355C (ko) *
CA663123A (en) * 1959-03-31 1963-05-14 N.V. Philips Gloeilampenfabrieken Pneumatic transport duct
FR1240656A (fr) * 1959-07-30 1960-09-09 Ets Poliet & Chausson Réservoir souple pour produits pulvérulents et granuleux
GB978832A (en) * 1961-12-07 1964-12-23 G & A Firkins Ltd Means for transporting and handling finely divided material
GB1265722A (ko) * 1968-02-17 1972-03-08
GB1536237A (en) * 1977-05-31 1978-12-20 Nattrass P J Bulk material containers
NZ205363A (en) * 1982-09-30 1987-04-30 Custom Packaging Syst Large collapsible bag with rectangular spout
AU4502185A (en) * 1984-03-21 1986-01-30 Morwood-Polystick Pty. Limited Shipping and dispensing container
US5040693A (en) * 1990-02-15 1991-08-20 Podd Sr Victor T Liner for a cargo container and a method of installing a liner inside a cargo container
US5344048A (en) * 1991-05-24 1994-09-06 Bonerb Timothy C Flexible bulk container apparatus and discharge method
US5474111A (en) * 1993-10-22 1995-12-12 Degussa Corporation Fine particle hand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25092B1 (ko) 1999-10-15
GB9708082D0 (en) 1997-06-11
AU1906797A (en) 1998-01-15
CA2203030A1 (en) 1998-01-01
AU705161B2 (en) 1999-05-13
GB2314829A (en) 1998-01-14
US6050750A (en) 2000-04-18
CA2203030C (en) 2000-10-10
JP3077966B2 (ja) 2000-08-21
GB2314829B (en) 1999-10-20
JPH1017077A (ja) 1998-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5092B1 (ko) 플렉시블 컨테이너, 이 플렉시블 컨테이너로부터의 분립체반송방법 및 그 장치, 또 플렉시블 컨테이너용 배출유닛
US5474111A (en) Fine particle handling
EP0257683B1 (en) Powder dispensing apparatus
TWI440594B (zh) 將運輸容器填充及清空塑膠粒狀材料之方法
US4695205A (en) Pneumatic conveying system
CA1101380A (en) Constant vacuum barge unloading system
JP2001502650A (ja) 粉状物質を空気力で搬送する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その使用方法
EP23345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ppant transfer
CN102971082A (zh) 粉末供应装置以及自动清洁粉末供应装置的方法
US4362442A (en) Venturi barge unloading system
US7234493B2 (en) Device and method for transferring a dusty powdery grain-like or granular conveyed material out of a storage receptacle and into a working or transfer receptacle or a similar accomodating space
US574634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particles from a container
CN1101325A (zh) 颗粒物料的输送
US5435442A (en) Dry fluid substance loading device
US5518343A (en) Dust-free powder substance delivery and filter system
JP3281888B2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からの粉流体搬送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用排出ユニット
US5769572A (en) Bag dumping station vacuum
EP0443349A1 (en) Powder dispensing apparatus
WO1994024031A1 (en) Method of charging a vessel with particulate material
US9115557B1 (en) Dust collection system
GB2323586A (en) Transmitting a particulate material from a flexible container
US5156500A (en) Appliance for the decantation and recovery of powdery products in pneumatic conveyors
JP2000255781A (ja) 空気輸送式粉粒体貯蔵供給装置
CN217458057U (zh) 设有除尘袋的散装物料存储装置
JP4118367B2 (ja) 粉体混合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