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8326A - 반건식 전기세정기 및 이를 사용한 배기가스 정화방법 - Google Patents

반건식 전기세정기 및 이를 사용한 배기가스 정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8326A
KR980008326A KR1019960027973A KR19960027973A KR980008326A KR 980008326 A KR980008326 A KR 980008326A KR 1019960027973 A KR1019960027973 A KR 1019960027973A KR 19960027973 A KR19960027973 A KR 19960027973A KR 980008326 A KR980008326 A KR 980008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gas
reactor
spray system
sem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7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02461B1 (ko
Inventor
김용진
최연석
정상현
홍원석
이재옥
하병길
허병수
Original Assignee
서상기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상기,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서상기
Priority to KR1019960027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2461B1/ko
Publication of KR980008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8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2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24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electrical effects other than those provided for in group B01D61/00
    • B01D53/323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electrical effects other than those provided for in group B01D61/00 by electrostatic effects or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배기가스를 용이하게 정화할 수 있는 반건식 전기세정기 및 이를 사용한 배기가스 정화방법이 제공된다. 이는 주입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기액반응의 효율이 극대화 되도록 고전압의 코로나 방전을 시키기 위한 코로나 플라즈마 반응기와 물 및 알칼리성 흡수제를 포함하는 슬러리와 압축공기를 분무시, 고전압의 전력을 가하여 분무되는 액적을 미세화 및 반응성을 높이기 위한 정전기 스프레이 시스템을 포함한다. 방전된 배기가스와 미세화된 액적이 주입되어 기액반응이 진행되는 반응기 본체가 구비된다. 미세하게 분무되는슬러리 액적과 고온의 배기가스가 접촉하여 기액접촉 반응을 일으키게 되는데 , 이에 의해 생성된 고형화된 오염물질은 제거하고 정화된 가스는 대기중으로 배출된다. 유해가스의 제거율이 높고 간단한 장치이다.

Description

반건식 전기세정기 및 이를 사용한 배기가스 정화방법
본 발명은 반건식 전기세정기 및 이를 사용한 배기가스 정화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 상세하게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유해 가스 및 미세분진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반건식 전기세정기 및 이를 사용하고 코로나 플라즈마를 이용함으로써 제거효율이 향상된 배기가스 정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각로 및 산업용 보일러 집진설비 등 연소 및 건조시 발생되는 매연 및 분진입자 제거와 배기가스에 포함된 산화황(SOX), 산화질소(NOX), 염화수소(HCl), 불화수소(HG)와 같은 산성가스 및 중금속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대기오염 방지 설비에 많은 관심이 기울여지고 있다. 그런데 지금까지의 처리 방식은 습식으로 물과 흡수제를 스프레이 분사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유해가스 처리후 발생되는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설비를 요하고 이에따른 장치의 대형화와 산성가스에 의한 장치의 부식문제로 인하여 중소기업이나 영세기업에서는 이러한 설비를 갖추기가 쉽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구조가 간단하고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장치의 개발이 국내외적으로 가속화 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매연 입자 및 유해가스를 비롯한 대기오염 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건식 및 반건식 세정기의 필요성이 급증하고 있으나 이들은 습식 세정기에 비해 제거 효율이 낮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결국 점점 강화되는 환경오염 규제에 대처하기 위한 고효율의 대기오염 방지 장치가 요구되며 기존 장치의 고효율화에 대한 연구가 절실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고려한 것으로 특히 소각로 및 산업용 보일러 등에서 연소시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유해가스 및 미세분진을 높은 효율로 제거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며 유지, 보수가 용이한 반건식 전기세정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반건식 전기세정기를 사용하여 높은 효율로 배기가스와 미세분진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배기가스 정화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제1도는 흡수제인 Ca(OH)2와 물의혼합슬러리가 노즐에 의해 분사되는정전기 스프레이 시스템으로서 미세하게 형성된 Ca(OH)2액적에 의한 배기가스 내의 SO2가스의 제거과정을 단순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반건식 전기세정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제3도는 배기가스가 코로나 플라즈마 반응기를 통과후 정전기 스프레이 시스템 부분을 통과하는 방식의 반건식 전기세정기의 주요 핵심부분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제4도는 배기기스가 코로나 플라즈마 반응기를 통과후 정전기 스프레이 시스템을 통과하지 않고 반응기 본체 측면 부분으로 직접 유입되는 방식의 반건식 전기세정기의 반응기 본체부분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반건식 전기세정기에 있어서 , 코로나 플라즈마 반응기의 부분 상세도이다.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반건식 전기세정기에 있어서 , 정전기 스프레이 시스템의 부분 상세도이다.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반건식 전기세정기에서 고전압 방전의 유무 및 H2O 유입량에 따른 유해가스 제거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a 는 고전압 방전이 없는 경우이고 b 는 고전압 방전이 있는 경우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배기가스 3 : 코로나 플라즈마 반응기
4 : 정전기 스프레이 시스템 5 : 반응기 본체
6 : 호퍼 7 : 백필터
16 : 압축공기 17 : 슬러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주입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기액반응의 효율이 극대화되도록 고전압의 코로나 방전을 시키기 위한 코로나 플라즈마 반응기(corona plasma reactor); 물 및 알칼리성 흡수제를 포함하는 슬러리와 압축공기를 분무시 고전압의 전력을 가하여 분무되는 액적을 미세화하기 위한 정전기 스프레이 시스템(electrostatic spray system); 및 상기 방전된 배기 가스와 미세화된 액적이 주입되어 기액 반응기 진행되는 반응기 본체를 포함하는 반건식 전기세정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코로나 플라즈마 반응기와 상기 반응기 본체가 연결되고 상기 정전기 스프레이 시스템이 상기 반응기 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코로나 플라즈마 반응기를 통과한 배가가스와 상기 정전기 스프레이 시스템을 통과한 미세 액적이 각 각 반응기를 본체로 주입되도록 될 수도 있으며 상기 코로나 플라즈마 반응기와 상기 정전기 스프레이 시스템이 연결되고 상기 정전기 스프레이 시스템이 상기 반응기 본체와 열결되어 상기 플라즈마 반응기를 통과한 배기가스가 상기 정전기 스프레이 시스템으로 주입되고 상기 정전기 스프레이 시스템을 통과한 배기가스 및 미세 액적이 동시에 반응기 본체로 주입되도록 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반응기 본체의 하단에는 기액 반응의 생성물로 얻어지는 고형화된 오염물을 용이하게 수거 및 제거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컨데, 호퍼를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반응기 본체에서 처리된 가스 및 분진을 포함하는 배출물을 제거하기 위한 백필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로나 플라즈마 반응기에서 방전되는 코로나 방전의 펄스 간격은 100-500ms 범위로 매우 짧게 하여 고전압하여금 지의 코로나 방전을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 및 알칼리성 흡수제를 포함하는 슬러리(slurry)를 제조하는 단계;상기 슬러리를 압축공기와 혼합하여 일정비율로 분무시키는 단계; 상기 분무되는 액적에 고전압의 전력을 가하여 상기 액적을 미세화하는 단계; 배기가스를 고전압의 코로나 방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미세화 된 액적과 상기 방전된 배기가스를 기액 반응시켜 오염 물질을 고형화하고 수분을 증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가가스 정화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기액 반응 이후 고형화된 오염물질은 별도의 수거시설을 통하여 수거 및 제거하고 처리후 배출되는 배출물은 백필터와 같은 필터장치를 사용하여 재정화한후 대기중으로 방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알칼리성 흡수제로는 칼슘계 흡수제 또는 나트뮬계 흡수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수산화칼슘(Ca(OH)2), 탄산칼슘(Na2Co3), 탄산나트륨(NaHCO3), 및 중탄산 나트륨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경제적인 면을 고려할 때 Ca(OH)2또는 CaCo3더욱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반건식 전기세정기는 반응기 전단에 코로나 플라즈마 반응기를 설치하여 배기가스에 존재하는 유해가스를 코로나 플라즈마와 접촉시켜 흡수액과의 반응률이 높은 산성 물질로 전환시키고, 흡수제를 포함하는 슬러리가 분무되는 노즐부분에는 고압의 코로나 압전기를 설치하여 분무되는액적을 미세화 하며 유해가스 및 분무 액적을 활성화(energizing)시켜 상기 배기가스와 미세 액적의 기액접촉반응을 가속화시킴으로써 오염물질의 제거 효율을 극대화 시키도록 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반건식 전기세정기를 이용한 배기가스 정화방법 및 그 원리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건식 전기세정기에서는 코로나 플라즈마 반응기를 통해 코로나 방전과 전장을 이용하여 이온 및 전기력에 의하여 화학반응을 촉진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유해가스와 반응율을 상승시키고 , 정전??;스프레이 시스템에 의한 슬러리 액적의 미세화 및 반응성 상승효과를 동시에 갖도록 한 것이다.
즉 스프레이 노즐에의한 분무에 이은 코로나 방전은 분사되는 액적의 크기를 미세화 시키며 코로나 방전에 의해 발생되는 이온들과의 접촉에 의해 높은 반응성을 지닌 액적으로 변하게 된다.
미세하게 분무된 액적들은 약 110-250℃ 범위의 고온배가가스와 접촉이 일어나게 된다. 액체 상태의 알칼리성 흡수제는 배가가스 중의 예컨데, SO2와 기액 접촉 반응을 일으키며, 그 후 배기가스가 가지고 있는 열에 의해 순간적으로 건조되며 기액 반응이 진행된다. 분무 액적은 순간적으로 증발하면서 수증기가 되고 배기가스의 온도는 하강하게 된다.배기가스 중의 이산화황(SO2) 가스와 알칼리성 흡수제 사이의 반응은 열과 물질전달이 최적으로 이루어지는 환경인 분무노즐 근처에서 가장 활발하게 일어난다.
제1도에는 흡수제로 사용된 Ca(OH)2에 의한 SO2가스의 제거과정을 단순화하여 나타내었다. 분무흡수건조반응기 내에서의 반응은 크게 흡수영역과 건조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흡수영역에서는 반응기로 유입된 액상의 슬러리에 가스가 흡수되는 반응이 주도적으로 일어나는데 이 슬러리는 빠르게 건조된다. 건조영역에서는 건조가 끝나가면서 반응물과 미반응 석회입자가 반응기 내에 체류하면서 석회입자내로 확산이 일어난다. 분무노즐을 통해분무된 석회입자를 포함하는 미세액적은 매우 짧은 시간 동안에 속도가 급격히 감소한다. 이 석회입자들은 액적 내에서 일정하게 움직이게 되어 증발율이 매우 커지게 된다. 증발이 일어나면 액적은 수축되고 각 입자간의 거리도 입자들의 표면이 서로 닿기전까지 감소한다. 이 지점에 이르면 액적내 수분의 약 75%가 증발되고 입자의 움직임은 제한을 받게 된다. 일단 입자들의 표면이서로 접근하게 되면 수분의 경로를 제한하여 더 이상의 수분 증발이 어렵게 되고 2차 건조영역에서 입자 속으로의 확산을 제한하게 된다. 최종 생성물의 형태나 크기는 이 영역에서 결정된다. 흡수영역 내에서 석회 슬러리와 SO2가스의 반응은 다음과 같다.
1) 먼저 슬러리 액적입자에 SO2(g)가 용해되고 슬러리 분무 액적의 기액 경계면에서 가스막 경계층을 통한 SO2(g)의 확산이 일어난다.
SO2(g) ↔ SO2(aq)
2) 용존가스는 물과 반응하여 황산을 형성한다.
SO2(aq) + H2O(1) ↔ H2SO3(aq)
3) 물과반응한 용존가스는 알칼리 매체속에서 해리가 일어나고 석회입자의 용해도 일어난다.
H2SO3↔ H++HSO3- ↔ 2H++SO3--
SO2+ H2O ↔H2SO3
Ca(OH)2↔ Ca+++ 2OH-
4) 해리된 용존가스와 용해된 석회 입자가 반응하여 염을 생성한다.
Ca+++ SO3 --+½H2O ↔ Ca+++ 2OH-
이러한 반응은 대부분 매우 빠른속도로 일어나고 용존가스의 확산이나 석회입자의 해리가 율속단계가 된다. 액적 표면으로의 확산은 분무 노즐에 의해 분무되는 액적의 높은 상대속도에 의해 증진되지만 액적 표면으로부터의 증발에 의해 제어된다. 이렇게 생성되어 건조된 염은 후처리 집진설비에 의해 제거되며 유해가스가 제거된 배기가스는 대기중으로 배출된다.
다음 코로나 플라즈마 반응기에 의한 유해가스의 산화에 따른효과를 얻을수 있다. 일반적으로 대기중에 존재하는 가스 성분과 습기등은 코로나 반응기를 통해 다음과 같은 반응들이 일어나며 전자들과결합 및 자체 해리 반응을 야기시켜 활성 라디칼이 생성된다.
N2+e → 2N + e
NO +e → NO*
NO* + NO →NO2 + N +e
NO* → N + o + e
N + O → NO
N + N →N2
NO + O → NO2
2NO2→ N2 + 2O2
H2O → OH + H
상기 반응에서 생성된 자유 이온 및 활성 라디칼들은 일산화질소와 (NO) SO2를 아래와 같은 반응을 통해 황산과 질산으로 전환된다.
SO2+ OH → HSO3
SO2+ O → SO3
SO2+ O → SO3
SO3+ H2O → H2SO4
NO + O → NO2
NO + OH → HNO2
NO2+ OH → HNO3
배기가스 중에 포함되어 있는 산화황 및 산화질소 등의 유해물질은 활성 라디칼에 의하여 황산 및 질산을 생성하며, 상기 황산 및 질산은 고온의 열풍에서 Ca (OH)2와 반응하여 고체의 분진입자를 생성한다.
Ca (OH)2+ H2SO4→ Ca(SO4)·2H2O
Ca (OH)2+ 2 HNO3→ Ca(NO3)2+2H2O
Ca (OH)2+ NO + NO2→ Ca(NO2)·2H2O
즉 이장치는 알칼리성 흡수제가 포함된 알칼리성 슬러리를 분무시켜 적절한 조건에서 NOx, SOx 및 HCL 과 같은 산성가스를 포함하는 고온의 가스와 반응시킨후 반응액적을 건조시킴으로써 제거가능한 건조된 입자로 변화시키는 것이다.
SO2제거 효율은 주로 흡수제의 종류와 농도에 영향을 받는다. 적절한 흡수제의 선책은 오염가스의 제거 효율과 경제성을 고려하여 이루어진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흡수제는Ca(OH)2와 CaCO3이다. Na2CO3, NaHCO3와 같은 나트륨계 흡수제가 사용되기도 하지만 칼슘계 흡수제에 비해서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이의 사용은 한정적이다. 상기 흡수제는 분말 상태보다 슬러리 상태일 때 가스와의 유효 접촉면이 넓으며 반응 흡수 효율이 높다. 이는 슬러리 상태인 경우 흡수제 입자의 평균 입경이분말 상태일 때 보다 훨씬 작기 때문이다. 유해가스 성분인 SOx 나 HCL은 반응기의 내부로 분사된 슬러리에 의해 CaCl2, CaSOx와 같은 고형 물질로 변화되며 액적의 수분이 모두 증발된후 입자의 표면에서 계속 반응이 일어나므로 다이옥신/퓨란 및 중금속의 흡착도 가능하다. 제2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반건식 나아가기세정기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나타내었다. 이를 통하여 각 구성 요소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산업체에 이용되는 소각로나 보일러(1) 등에서 연료의 소각 또는 연소시에 배출되는 분진 및 유해가스를 포함한 배기가스(2)가 유입되면 먼저 코로나 플라즈마 반응기(3)를 통과하게 된다. 고전압 방전(9-1)에 의해 산으로 변환된 유해가스는 반응기본체(5)로 유입된다. 한편, 혼합탱크 (11)에서 물, 알카리성 흡수제, 기타 약품을 혼합하여 슬러리(17)를 제조하고 이를 정량펌프(10를 이용하여 정전기 스프레이 시스템(4)에 공급한 다.
공기압축기(12)에서는 압축공기를 공기건조기(13)를 통하여 공급하여 슬러리(17)와 압축공기(16)가 적당한 비율로 분무 노즐을 통해 분무 되도록 한다. 이후 정전기 스프레이 시스템(4)에 공급하도록 한다. 즉 , 방전 전극에 고전압의 DC를 공급하여 액적을 미세화 하여 반응기 본체(5)로 분무시키는데 이때 분무된 액적은 110℃ - 250℃의 고온의 배기가스와 접촉하게 된다 그러면 액체 상태의 흡수제가 배기가스 중의 SO2, NOx, HCL 등과 기액 접촉 반응을 일으키며 그후 배가가스가 가지고 있는 열에 의해 순간적으로 건조되는 과정에서 기액반응이 진행된다. 이때 분무된 액적은 순간적으로 증발하면서 수증기가 되고 배기가스의 온도는 하강하게 된다. 상기 기액 반응은 열과 물질 전달이 최적으로 이루어지는 곳인 분무 노즐 근처에서 대부분 일어난다. 반응이 끝나고 얻어지는 고체 입자는 자중으로 인하여 호퍼(6)에 쌓이게 되고 중화된 처리가스와 가벼운 분진은 백 필터(7)에 유입된다. 백필터(7)에서는 미분진이 분리된다. 이후 팬(8)에 의해 정화된 가스(18)만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유해가스의 종류 및 분진의 양에 따라 반응기 본체의 크기 스프레이 이류체 노즐의 크기 , 코로나 플라즈마 반응기의 크기, 슬러리 구성 성분의 혼합비 등을 조절하는데 이는 실험에 의한 계산을 통해 결정한다. 그리고 , 유입되는 배기가스는 코로나 플라즈마 반응기를 통과한후 제2도에서 처럼 반응기 본체로 유입될 수 도 있지만 정전기 스프레이 시스템을 통과하여 반응기 본체로 유입될 수 있는데 이두가지 예를 제3도 및 제4도에 나타내었다. 즉, 제3도에는 배기가스가 코로나 플라즈마 반응기를 통과후 정전기 스프레이 시스템 부분을 통과하는 방식의 반건식 세정기의 반응기 본체 부분을 상세히 나타내었고 제4도에는 코로나 플라즈마 반응기를 통과후 정전기 스프레이 시스템을 통과하지 않고 세정기의 반응기 본체 부분 측면으로 직접 유입되는 방식의 반건식 세정기의 반응기 본체부분을 상세히 나타내었다. 제5도에는 코로나 플라즈마 반응기의 부분 상세도를 나타내었으며, 제6도에는 정전기 스프레이 시스템의 부분 상세도를 나타내었다. 미설명 부호 14-1 및 14-2는 절연막을 나타내며 15는 방전전극을 나타낸다. 제7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반건식 전기세정기를 사용하였을 때 고전압의 방전의 유뮤에 따른 유해가스 제거효율을 나타내었다. 그래프 a는 고전압 방전이 없는 경우이고, 그래프 b는 고전압 방전이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어느 경우나 H2O 주입량이 많을수록 SO2제거 효율이 높으나 고전압 방전이 있는 경우 월등히 우수한 SO2제거효율이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반건식 전기세정기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배기가스에 포함된 유해가스 및 미세분진 등을 흡수제의 미세 액적화와 가스의 방전을 통하여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이의 제거효율 또한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정기는 반건식이므로 습식에서와 같이 별도의 후처리 시설이 필요치 않고 장치가 간단하여 이의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다는 잇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자의 통상적인 범위내에서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하다.

Claims (13)

  1. 주입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기액반응의 효율이 극대화 되도록 코로나 방전을 시키기 위한 코로나 플라즈마 반응기; 물 및 알칼리성 흡수제를 포함하는 슬러리와 압축공기를 분무시, 전력을 가하여 분무되는 액적을 미세화하기위한 정전기 스프레이 시스템; 및 상기 방전된 배가가스와 미세화된 액적이 주입되어 기액 반응이 진행되는 반응기 본체를 포함하는 반건식 전기세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로나 플라즈마 반응기와 상기 반응기 본체가 연결되고 상기 정전기 스프레이 시스템이 또한 상기 반응기 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코로나 플라즈마 반응기를 통과한 배기가스 와 상기 정전기 스프레이 시스템을 통과한 미세액적이 각각 반응기 본체로 주입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건식 전기세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로나 플라즈마 반응기와 상기 정전기 스프레이 시스템이 연결되고, 상기 정전기 스프레이 시스템이 상기반응기 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플라즈마 반응기를 통과한 배기가스가 상기 정전기 스프레이 시스템으로 주입되고, 상기 정전기 스프레이 시스템을 통과한 배기가스 및 미세 액적이 동시에 상기반응기 본체로 주입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건식 전기세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 본체의 하단에는 기액반응의 생성물로 얻어지는 결정을 수거하기 위한 호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건식 전기세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반응기 본체에서 처리된 가스 및 가벼운 분진을 포함하는 배출물을 재정화하기 위한 백 필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건식 전기세정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 스프레이 시스템이 전력원과 방전전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건식 전기세정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로나 플라즈마 반응기에서 방전되는코로나 방전의 펄스간격이 100-500ns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건식 전기세정기.
  8. 물 및 알칼리성 흡수제를 포함하는 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상기슬러리를 압축공기와 혼합하여 일정비율로 분무시키는 단계;상기 분무되는 액적에 전력을 가하여 상기 액적을 미세화 하는 단계;배기가스를 코로나 방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미세화된 액적과 상기 방전된 배기가스를 기액 반응시켜 오염물질을 고형화하고 수분을 증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기가스정화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가 산화황 산화질소 염화수소 및 불화수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 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정화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된 배기가스의 온도가 110-25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정화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반응 이후 배출되는 배출물을 백필터를 사용하여 재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정화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성 흡수제가 칼슘계 흡수제 또는 나트륨계 흡수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수 정화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성 흡수제가 수산화칼슘(Ca(OH)2), 탄산칼슘(Ca(O3), 탄산나트륨(Na2(O3)) 및 중탄산나트륨(NaHCO3)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정화방법.
    ※ 참고사항: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027973A 1996-07-11 1996-07-11 반건식 전기세정기 및 이를 사용한 배기가스 정화방법 KR100202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7973A KR100202461B1 (ko) 1996-07-11 1996-07-11 반건식 전기세정기 및 이를 사용한 배기가스 정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7973A KR100202461B1 (ko) 1996-07-11 1996-07-11 반건식 전기세정기 및 이를 사용한 배기가스 정화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326A true KR980008326A (ko) 1998-04-30
KR100202461B1 KR100202461B1 (ko) 1999-06-15

Family

ID=19466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7973A KR100202461B1 (ko) 1996-07-11 1996-07-11 반건식 전기세정기 및 이를 사용한 배기가스 정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246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7622A (ko) * 1996-12-30 1998-09-25 이대원 플라즈마를 이용한 액상 폐기물 처리 방법
KR100441851B1 (ko) * 2001-06-04 2004-07-27 안강호 코로나 방전을 이용한 입자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02872A (ko) * 2019-07-01 2021-01-1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복수 개의 쉘을 가지는 SOx 및 NOx 처리용 스크러버
KR20210041395A (ko) * 2019-10-07 2021-04-15 한국기계연구원 수막 내 플라즈마를 이용한 수세식 스크러버
CN114191907A (zh) * 2022-01-13 2022-03-18 卓宇轩 一种异味处理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7649B1 (ko) * 1997-12-20 2002-11-07 주식회사 포스코 플라즈마반응을이용한배가스의집진효율향상방법
KR20030067241A (ko) * 2002-02-07 2003-08-14 주식회사 유민이엔씨 고온 플라즈마를 이용한 다이옥신 및 분진 제거방법 및 그장치
KR101391168B1 (ko) 2012-11-30 2014-05-02 한국기계연구원 분무 노즐을 이용한 가스 탈수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7622A (ko) * 1996-12-30 1998-09-25 이대원 플라즈마를 이용한 액상 폐기물 처리 방법
KR100441851B1 (ko) * 2001-06-04 2004-07-27 안강호 코로나 방전을 이용한 입자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02872A (ko) * 2019-07-01 2021-01-1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복수 개의 쉘을 가지는 SOx 및 NOx 처리용 스크러버
KR20210041395A (ko) * 2019-10-07 2021-04-15 한국기계연구원 수막 내 플라즈마를 이용한 수세식 스크러버
CN114191907A (zh) * 2022-01-13 2022-03-18 卓宇轩 一种异味处理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02461B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53648C (en) Integrated dry and wet flue gas cleaning process and system
US6143263A (en) Method and system for SO2 and SO3 control by dry sorbent/reagent injection and wet scrubbing
AU2004220725B8 (en) Improved process for the removal of contaminants from gas
RU2645987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даления примесей из выхлопных газов
EP1716909B1 (en) Exhaust gas treatment system and exhaust gas treatment method
US7052662B2 (en) NOx, Hg, and SO2 removal using alkali hydroxide
US4645653A (en) Method for dry flue gas desulfurization incorporating nitrogen oxides removal
UA125822C2 (uk) Інтегрована система для мокрого скруберного очищення
US5965095A (en) Flue gas humidification and alkaline sorbent injection for improving vapor phase selenium removal efficiency across wet flue gas desulfurization systems
US20170029343A1 (en) Sulfur enhanced nitrogen production from emission scrubbing
JPS62197130A (ja) 排ガス処理方法
RU2698835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частичного удаления загрязнений из технологического газового потока
KR100202461B1 (ko) 반건식 전기세정기 및 이를 사용한 배기가스 정화방법
JP5144967B2 (ja) 排ガス処理システム
KR20030034086A (ko) 산가스 배출저감 및 전기집진기 성능향상을 위한수산화칼륨 연도가스 분사기술
US6299848B1 (en) Process for removing sulfur dioxide out of a gas
CN109012123A (zh) 一种烟气净化方法
JP2566746B2 (ja) 煙道ガス流を浄化する方法
KR100235647B1 (ko) 소각로 배가스 냉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가스 처리 공정
JPS60222135A (ja) 排水処理方法
US10617999B2 (en) Process for removing SO2 from flue gases using liquid sorbent injection
CA2484727C (en) Improved process for the removal of contaminants from gas streams
JPH02268809A (ja) 湿式排煙処理装置を備えた火力プラントシステム
PL164511B1 (pl) Sposób usuwania zanieczyszczeń gazowych I aerozolowych ze strumienia gazów
PL234869B1 (pl) Sposób usuwania SO<sub>2</sub>, NO<sub>x</sub> i Hg ze spalin kotłowych zawierających więcej niż 5 % tlenku wapnia w popiele i układ do stosowania sposobu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