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8211A - 소목(Caesapinia sappan L.) 추출물을 함유하는 탠닝 화장료 - Google Patents

소목(Caesapinia sappan L.) 추출물을 함유하는 탠닝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8211A
KR980008211A KR1019960030755A KR19960030755A KR980008211A KR 980008211 A KR980008211 A KR 980008211A KR 1019960030755 A KR1019960030755 A KR 1019960030755A KR 19960030755 A KR19960030755 A KR 19960030755A KR 980008211 A KR980008211 A KR 980008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tanning
extraction
dry weight
extraction sol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0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하
김범준
이강태
장홍권
김정행
Original Assignee
유상옥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상옥,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유상옥
Priority to KR1019960030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80008211A/ko
Priority to EP97305561A priority patent/EP0820761A3/en
Priority to US08/900,883 priority patent/US5866133A/en
Publication of KR980008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821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4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tan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Der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소목 추출물(Caesapinia sappan L.)을 함유하는 텐닝 화장료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텐닝 화장료에 함유되는 소목 추출물은 소목의 나무속살을 정제수로 세척한 후 건조하고 작은 조각으로 파쇄한 뒤, 여기에 그 건조중량의 1-10배의 무수 또는 함수의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등의 저급 알코올을 가하거나,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벤젠을 가하고, 냉각 콘덴서가 장치되어 유효성분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에서 40-90℃에서3~10시간 가열하여 추출하거나 4~35℃에서 1~10일간 추출하고 회전감압증발기로 완전히 건조시킨 것이다.
본 발명의 탠닝 화장료는 자외선 조사의 부작용이 없고 지속적인 탠닝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소목(Caesapinia sappan L.) 추출물을 함유하는 탠닝 화장료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실시예에서 추출한 소목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에 대한 영향 및 멜라닌 형성 세포에서 멜라닌 합성에 대한 영향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본 발명은 소목(Caesapinia sappan L.) 추출물을 함유하는 텐닝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피부의 자연적인 탠닝(tanning)은 피부를 짙은 갈색으로 만드는 것으로 이는 멜라닌 형성 세포(Melan ocyte)내에서 멜라닌이 합성되고 방출되어 표피세포에 분포한 데서 기인하며, 탠닝에 의한 갈색피부는 건강하고 젊으며 세련된 인상을 주기 때문에 서구의 많은 사람들뿐만 아니라 최근 국내 젊은 여성들에 의하여 선호되고 있다.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피부의 탠닝 방법은 자연적으로 태양광에 노출하거나 인공적인 자외선 조사 장치에 의하여 자외선 조사를 받는것이다. 그러나 자외선에 대한 피부의 장기간 노출은 화상뿐만 아니라 주름살, 포피조직이 두꺼워짐, 엘라스틴 단백질의 변화, 피부 탄력성 상실 등의 광노화 및 피부암인 멜라노마(Melanoma)등의 부작용이 있다. 특히 태양광의 경우 오존층의 파괴로 과다한 자외선의 조사가 심각하게 우려되고 있다.
이러한 자외선 조사의 부작용이 없는 또다른 피부의 탠닝 방법이 연구되고 있는데, DHA(Dihydroxy acetone)를 이용하여 피부를 염색하는 방법[ K.Laden et al., J. Soc. Cosmetic Chenit 16,777-782 (1965);T.Ku rz et al.Cosmetic Toiletries 109,55-61 (1664)]과 티로신(Tyrosine)과 가수분해된 콜라겐 티로신 유도체 또는 DAG(Diacyl Glycerol)을 이용하여 멜라닌 형성 세포에서의 멜라닌의 합성을 증가시키는 방법[A.Muller, Cosmetics Toiletries 107,125-132 (1992); 미국특허 5,352,449]이 있다.
이중 DHA를 이용한 피부 염색 방법은 그 염색상태가 지속적이지 못해 자연스러운 탠닝 효과를 얻지 못하고 잇다.
한편 소목은 콩과 식물의 떨기나무로, 소목의 원줄기에서 껍질과 목질부 변두리를 제거한 나머지 부분인 나무속살만을 말린 심재가 예로부터 한방약으로 사용되어 왔다. 동의보감에서는 소목을 혈행의 촉진, 진통효과 및 타박상의 치료에 이용하였으며, 민간 생활에서는 붉은색 염료로 사용한 바 있다. 또한 소목의 색소 성분인 브라질린 (Brazilin)과 헤마톡실린(Hematoxylin)은 머리카락 염색약으로 사용되고 잇다.
본 발명자들은 자외선 조사의 부작용이 없고 지속적인 탠닝 효과를 가지는 탠닝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소목(Caesapinia sappan L.)추출물이 멜라닌 형성세포에서 멜라닌 합성 경로에서 가장 핵심적인 티로시나아제(Tyrosinase)의 활성을 촉진하여 멜라닌 합성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발견하여 소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탠닝 화장료를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탠닝 화장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탠닝 화장료는 소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탠닝 화장료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소목은 시사피니아 사판(Caesapinia sappan L.)이다. 추출 부위는 소목의 뿌리 및 줄기이며, 바람직하게는 소목의 원줄기에서 껍질과 목질부 변두리를 제거한 나머지 부분인 나무속살이다.
본 발명의 탠닝 화장료에 함유되는 소목 추출물은 소목으로부터 통상적인 추출방법에 의하여 추출한 것이다. 즉, 나무속살을 정제수로 세척한 후 건조하고 작은 조각으로 파쇄한 뒤, 여기에 그 건조중량의 1-10배의 무수 또는 함수의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등의 저급 알코올을 가하거나,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벤젠을 가한다. 그후 냉각 콘덴서가 장치되어 유효성분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에서 40-90℃에서3~10시간 가열하여 추출하거나 4~35℃에서 3~10일간 추출하고 회전감압증발기로 완전히 건조시킨 것이다.
본 발명의 탠닝 화장료는 통상적인 크림제로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목 추출물은 멜라닌 형성 세포의 증식은 없이 멜라닌 형성 세포의 티로시아나제의 활성을 촉진시켜 멜라닌 생합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자외선의 조사없이도 멜라닌의 함량을 증가시켜 피부를 탠닝 시키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비교예 1 ]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한 소목의 나무속살을 1kg을 물 5L에 넣고 냉각콘덴서가 장치된 추출기에서 5시간 가열하여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5-10℃에서 7-10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후 와트만 5번 여과지로 여과한다. 이추출물을 80℃에서 회전감압증발지로 건조하여, 전조중량21.61g을 얻는다.
[ 비교예 2 ]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한 소목의 나무속살을 1kg을 물 5L에 넣고 15-35℃에서 5일간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다시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한 후 회전감압증발기로 2배 농축한다. 여기에 100% 에탄올 2.5L를 가하고 4-10℃에서 7-10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한다. 이 추출물을 60℃에서 회전감압증발지로 건조하여, 전조중량 13.10g을 얻는다.
[ 실시예 1 ]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한 소목의 나무속살을 1kg을 10% 에탄올 5L에 넣고 냉각콘덴서가 장치된 추출기에서 5시간 가열하여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5-10℃에서 7-10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후 와트만 5번 여과지로 여과한다. 이 추출물을 60℃에서 회전감압증발지로 건조하여, 전조중량 21.61g을 얻는다.
[ 실시예 2 ]
추출용매로 20% 에탄올을 사용하고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추출하여, 건조중량 38.87g을 얻는다.
[ 실시예 3 ]
추출용매로 30% 에탄올을 사용하고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추출하여, 건조중량 45.52g을 얻는다.
[ 실시예 4 ]
추출용매로 40% 에탄올을 사용하고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추출하여, 건조중량 50.12g을 얻는다.
[ 실시예 5 ]
추출용매로 50% 에탄올을 사용하고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추출하여, 건조중량 53.65g을 얻는다.
[ 실시예 6 ]
추출용매로 60% 에탄올을 사용하고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추출하여, 건조중량 61.71g을 얻는다.
[ 실시예 7 ]
추출용매로 70% 에탄올을 사용하고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추출하여, 건조중량 68.69g을 얻는다.
[ 실시예 8 ]
추출용매로 80% 에탄올을 사용하고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추출하여, 건조중량 80.01g을 얻는다.
[ 실시예 9 ]
추출용매로 90% 에탄올을 사용하고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추출하여, 건조중량 84.67g을 얻는다.
[ 실시예 10 ]
추출용매로 100% 에탄올을 사용하고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추출하여, 건조중량 105.11g을 얻는다.
[ 실시예 11 ]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한 소목의 나무속살을 1kg을 10% 에탄올 5L에 넣고 15-35℃에서 5일간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5-10℃에서 7-10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후 와트만 5번 여과지로 여과한다. 이추출물을 60℃에서 회전감압증발지로 건조하여, 전조중량15.27g을 얻는다.
[ 실시예 12 ]
추출용매로 20% 에탄올을 사용하고 실시예 11의 방법으로 추출하여, 건조중량 19.85g을 얻는다.
[ 실시예 13 ]
추출용매로 30% 에탄올을 사용하고 실시예 11의 방법으로 추출하여, 건조중량 24.53g을 얻는다.
[ 실시예 14 ]
추출용매로 40% 에탄올을 사용하고 실시예 11의 방법으로 추출하여, 건조중량 28.71g을 얻는다.
[ 실시예 15 ]
추출용매로 50% 에탄올을 사용하고 실시예 11의 방법으로 추출하여, 건조중량 34.63g을 얻는다.
[ 실시예 16 ]
추출용매로 60% 에탄올을 사용하고 실시예 11의 방법으로 추출하여, 건조중량 39.25g을 얻는다.
[ 실시예 17 ]
추출용매로 70% 에탄올을 사용하고 실시예 11의 방법으로 추출하여, 건조중량 43.72g을 얻는다.
[ 실시예 18 ]
추출용매로 80% 에탄올을 사용하고 실시예 11의 방법으로 추출하여, 건조중량 49.37g을 얻는다.
[ 실시예 19 ]
추출용매로 90% 에탄올을 사용하고 실시예 11의 방법으로 추출하여, 건조중량 55.69g을 얻는다.
[ 실시예 20 ]
추출용매로 100% 에탄올을 사용하고 실시예 11의 방법으로 추출하여, 건조중량 68.54g을 얻는다.
[ 실시예 21 ]
추출용매로 메탄올을 사용하고 실시예 11의 방법으로 추출하여, 건조중량 109.48g을 얻는다.
[ 실시예 22 ]
추출용매로 n-프로판을을 사용하고 실시예 11의 방법으로 추출하여, 건조중량 24.39g을 얻는다.
[ 실시예 23 ]
추출용매로 이소프로판올을 사용하고 실시예 11의 방법으로 추출하여, 건조중량 24.78g을 얻는다.
[ 실시예 24 ]
추출용매로 2-부탄올을 사용하고 실시예 11의 방법으로 추출하여, 건조중량 39.02g을 얻는다.
[ 실시예 25 ]
추출용매로 아세톤을 사용하고 실시예 11의 방법으로 추출하여, 건조중량 15.58g을 얻는다.
[ 실시예 26 ]
추출용매로 클로로포름을 사용하고 실시예 11의 방법으로 추출하여, 건조중량 7.86g을 얻는다.
[ 실시예 27 ]
추출용매로 에틸 아세테이트을 사용하고 실시예 11의 방법으로 추출하여, 건조중량 25.88g을 얻는다.
[ 실시예 28 ]
추출용매로 부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하고 실시예 11의 방법으로 추출하여, 건조중량 14.61g을 얻는다.
[ 실험예 1 ]
소목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활성 증가 효과
상기의 비교예 1,2 및 실시예 1-28에서 제조한 소목 추출물에 대하여 티로시나아제 활성 증가 효과를 측정하였다.
티로시나아제는 버섯에서 분리 및 정제된 것으로 시그마(SIGMA)사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기질인 티로신은 0.05M 인산나트륨 완충용액(pH 6.8)에 녹여 0.3mg/ml 용액으로 만들어 사용하였다.
비교예 1,2 및 실시예 1-28의 추출물은 프로필렌 글리콜에 고농도로 용해시키고 다시 완충용액에 희석하여 적당 농도로 조절하여 추출물 시료액으로 만들어 사용하였다.
티로신 용액 0.5ml를 시험관에 넣고 여기에 추출물 시료액 0.5ml를 가하고 37℃ 항온조에서 10분동안 방치 한후 210유니트/ml 티로시나아제 0.5ml를 넣고 37℃ 항온조에서 10분간 반응시킨다. 이때 대조군은 각 추출물 대신 완충용액만 0.5ml를 넣은 것이다. 이 반응액이 든 시험관을 얼음위에 놓아 급냉시켜 반응을 중지시키고, 분광 광도계(Spectrophotometer)로 파장 475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한다. 각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활성 증가 효과는 하기의 공식으로 구한다.
실험결과는 하기의 표1에 나타낸 바와 같다.
[ 실험예 2 ]
소목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티로시나아제 활성 증가 효과
상기의 실시예 18에서 제조한 소목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티로시나아제 활성 증가 효과를 실험예 1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다만 이때 티로시나아제의 최종 농도는 100유니트/ml로 하였다.
실험 결과는 하기의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소목 추출물의 농도가 0.8mg/ml이하일 경우에는 티로시나아제 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소목 추출물이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촉진시키는 효소 활성제(activator)기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소목 추출물의 농도가 0.8mg/ml를 초과하는 경우 오히려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실험예 3 ]
멜라닌 형성 세표의 증식에 대한 소목 추출물의 영향
멜라닌 형성 세포는 마우스 유래 B16-F1 멜라노마(ATCC CRL6323)세포주를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멜라노마 세포주를 포도당 4.5g/l, 10% 혈청,1% 항생제가 함유된 DMEM배지에 접종하여 25㎠T플라스크에 37℃에서 배양한다. 5% CO2조건하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0.02% EDTA가 함유된 0.05% 트립신(Trypsin)을 처리하여 세포를 분리한후, 96 웰 플레이틀 0.1ml당 4,000세포를 접종하고 37℃에서 24시간 반응시킨다. 배양후 96 웰에 적당 농도의 소목 추출물 DMEM 배지에 희석시켜 10㎕씩 첨가한다. 이를 다시 24시간 배양한후 살린-포스페이트 완충용액(PBS)에 MTT를 5mg/ml의 농도로 용해시킨 용액을 10㎕씩 첨가한 후 37℃에서 4시간 반응시킨다. 96 웰 플레이트의 내용물을 완전히 버린후 MTT용해용액인 10% Tritomn X-100를 함유한 산처리 이소프로판올(0.1N HCI)을 웰당 100㎕씩 첨가하여 20분간 교반한 후, ELISA 측정기로 570nm와 63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실험결과는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멜라닌 형성 세포의 증식은 일어나지 않았다. 이는 소목 추출물이 멜라닌 형성 세포의 증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 실험예 4 ]
멜라닌 형성 세포에서 멜라닌 생성에 대한 소목 추출물의 영향
멜라닌 형성 세포를 실험예 3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배양하였다.
멜라노마 세포수를 6웰 플레이트에 접종하여 37℃에서 24시간 배양한다. 이때 세포수는 4×104세포/웰이다. 여기에 적당 농도의 소목 추출물을 DMEM배지에 희석시켜 배양된 멜라노마 세포에 처리하여 37℃에서 24시간 배양한다. 배양후 배지를 모두 제거하고, 0.02% EDTA와 0.05% 트립신을 함유한 살린-포스페이트 완충용액(PBS)을 1ml을 처리하여 세포를 분리시킨 후, 1,000 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세포만 얻는다. 5% 트리클로로아세테이트(TCA)를 처리하여 교반하고, 원심분리하여 침전된 멜라닌을 살린-포스페이트 완충용액으로 세척한다. 침전된 멜라닌에 1N NaOH를 처리하여 용해시킨 후, 47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멜라닌 농도는 합성 멜라닌(SIGMA)의 표준 농도 곡선으로부터 결정되었다.
실험결과는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다.
소목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멜라닌 형성 세포에서 멜라닌 함량이 증가하였다. 실험예1,2,3 및 4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제1도), 이는 소목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멜라닌 형성 세포의 증식없이 멜라닌 형성 세포 내의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이 증가하여 밀라닌 합성을 촉진한 데서 기인하는것임을 나타낸다.
[ 처방예 ]
소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로 크림제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소목 추출물은 실시예 18의 추출물이다.
소목 추출물 0.1중량부
폴리아크릴아미드, C13-14 이소파라핀 및 로레트-T 2.5중량부
카프리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3.0중량부
증류수 84.0중량부
프로필렌 글리콜 10.0중량부
방부제 0.4중량부

Claims (6)

  1. 소목(Caesapinia sappan L.)추출물을 함유하는 탠닝 화장료.
  2. 제1항에 있어서, 소목의 추출부위가 나무속살임을 특징으로 하는 탠닝 화장료.
  3. 제1항에 있어서, 추출용매가 무수 또는 함수의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임을 특징으로 하는 탠닝 화장료.
  4. 제1항에 있어서, 추출용매가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벤젠임을 특징으로 하는 탠닝 화장료.
  5. 제1항에 있어서, 추출물이 냉각 콘덴서가 장치된 추출기에서 40-90℃에서 3-10시간 가열하는 추출방법에 의하여 얻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탠닝 화장료.
  6. 제1항에 있어서, 추출물이 4-35℃에서 1-10일간 추출하는 방법에 의하여 얻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탠닝 화장료.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030755A 1996-07-27 1996-07-27 소목(Caesapinia sappan L.) 추출물을 함유하는 탠닝 화장료 KR98000821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0755A KR980008211A (ko) 1996-07-27 1996-07-27 소목(Caesapinia sappan L.) 추출물을 함유하는 탠닝 화장료
EP97305561A EP0820761A3 (en) 1996-07-27 1997-07-24 Tanning cosmetics containing caesapinia sappan L. extract
US08/900,883 US5866133A (en) 1996-07-27 1997-07-28 Tanning cosmetics containing Caesapinia sappan L. extra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0755A KR980008211A (ko) 1996-07-27 1996-07-27 소목(Caesapinia sappan L.) 추출물을 함유하는 탠닝 화장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211A true KR980008211A (ko) 1998-04-30

Family

ID=19467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0755A KR980008211A (ko) 1996-07-27 1996-07-27 소목(Caesapinia sappan L.) 추출물을 함유하는 탠닝 화장료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866133A (ko)
EP (1) EP0820761A3 (ko)
KR (1) KR98000821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5448B1 (ko) * 1997-02-18 2003-08-19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브라질린(Brazilin)을주성분으로함유하는탠닝화장료
KR100899278B1 (ko) * 2007-10-15 2009-05-26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36687B2 (en) * 2006-01-31 2010-06-15 Advance Bio Prosthetic Surfaces, Ltd. Methods of making medical devices
FR2889808B1 (fr) 2005-08-17 2011-07-22 Oreal Utilisation de l'acide 8-hexadecene-1,16-dicarboxylique comme agent de soin destine a favoriser la cohesion de la couche cornee
FR2951940B1 (fr) * 2009-10-30 2012-01-06 Oreal Utilisation d'un extrait de caesalpinia pour lutter contre la canitie
US9160024B1 (en) 2012-06-22 2015-10-1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Grafting of biomolecules onto microbial fuel cell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19422C3 (de) * 1979-05-15 1982-05-19 Dr. Babor GmbH & Co, 5100 Aachen Kosmetisches Mittel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JPS60149512A (ja) * 1984-01-13 1985-08-07 Kanebo Ltd メイクアツプ化粧料
LU86422A1 (fr) * 1986-05-07 1987-12-16 Oreal Procede de teinture des cheveux humains avec la brasiline ou son derive hydroxyle et compositions mises en oeuvre
US5352440A (en) * 1988-03-30 1994-10-04 Trustees Of Boston University Methods for increasing melanin content in melanocytes using diacylglycerols and uses thereof
FR2676649B1 (fr) * 1991-05-22 1994-02-25 Lvmh Recherche Composition cosmetique ou pharmaceutique, notamment dermatologique, destinee a favoriser la pigmentation de la peau ou des cheveux, contenant un extrait de cyperus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JPH0987197A (ja) * 1995-07-13 1997-03-31 Shiseido Co Ltd チロシナーゼ阻害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5448B1 (ko) * 1997-02-18 2003-08-19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브라질린(Brazilin)을주성분으로함유하는탠닝화장료
KR100899278B1 (ko) * 2007-10-15 2009-05-26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866133A (en) 1999-02-02
EP0820761A3 (en) 1998-07-29
EP0820761A2 (en) 1998-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69943A (ko) 상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KR100702519B1 (ko) 애기닥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0899502B1 (ko)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조성물
US5869031A (en) Depigmenting dermatological and/or cosmetic composition
CN107468568A (zh) 一种具有美白防晒活性的柿叶多酚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0544024B1 (ko)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980008211A (ko) 소목(Caesapinia sappan L.) 추출물을 함유하는 탠닝 화장료
KR20220112447A (ko) 보리밥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0441596B1 (ko) 미백과 세포 증식효과를 갖는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화장료 조성물
KR100190993B1 (ko) 흑화 성분을 제거하여 개선된 미백효과를 갖는 천문동 수용성 분획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기미,주근깨 개선 및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0389096B1 (ko) 피부미백기능을 가지는 장미꽃잎추출물 및 이를 함유한피부미백화장료 조성물
KR20020035656A (ko) 삼백초추출물로 이루어진 티로시나제 저해제 및 이를함유하는 미백화장료
KR100260510B1 (ko) 상지추출물의 분배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KR100371504B1 (ko) 분말 상의 포도 발효액 추출물을 함유하고 미백 및 주름방지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0496850B1 (ko) 치자 추출물을 함유하고 있는 미백화장료
KR100564227B1 (ko)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66379B1 (ko) 피부미백용 조성물
CN113797132A (zh) 一种美白防晒组合物、其制备方法及含有该组合物的美白防晒乳
KR100797366B1 (ko) 로로통 추출물, 백미 추출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144725A (ko) 항노화제, 항산화제, 항염증제 및 미백제, 그리고 화장료
CN111728910A (zh) 一种蓝莓和雪莲花的发酵提取物、制备方法及其应用
KR100789635B1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102393811B1 (ko) 미생물 발효액을 포함하고 피부 미백활성이 개선된 피부 미백용 조성물
JPH05163115A (ja) 美白化粧料
KR100562369B1 (ko) 목근피 추출물, 백교항 추출물 또는 금사도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