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6844U - 사고 롤 쵸크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사고 롤 쵸크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6844U
KR980006844U KR2019960023175U KR19960023175U KR980006844U KR 980006844 U KR980006844 U KR 980006844U KR 2019960023175 U KR2019960023175 U KR 2019960023175U KR 19960023175 U KR19960023175 U KR 19960023175U KR 980006844 U KR980006844 U KR 98000684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ke
cylinder
roll
center
hydrau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31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92845Y1 (ko
Inventor
윤주열
오영일
이기원
Original Assignee
김종진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진,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종진
Priority to KR20199600231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2845Y1/ko
Publication of KR9800068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68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28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28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8/00Maintaining rolls or rolling equipment in effective cond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02Rolling stand frames or housings; Roll mountings ; Roll ch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3/00Safet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reaker blocks; Devices for freeing jammed rolls for handling cobbles; Overload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샤프트(28)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하부받침대(33) 위에 설치된 상부 몸체(1)와, 쵸크(52)와의 거리 조정 및 제거 작업을 가능하게 하며, 쵸크(52)를 걸어당기기 위한 쵸크걸이(18a, 18b)가 장착되며 몸체(1)의 양측에 설치된 좌우의 암실린더(8, 5)와, 몸체(1)의 중앙에 설치되며 폭을 조절하기 위한 실린더(14a, 14b)와, 롤(53)의 단부(58)와의 밀착을 용이하게 하도록 밀착대(19)가 부착되며 쵸크(52)를 원활하게 제거하기 위해 몸체(1)의 전면 중앙에 장착된 중앙실린더(6)와, 몸체(1) 하부 전면 중앙에 하부 받침대(33) 위에 배치되며, 몸체를 상하 이동시키는 실린더(31)와, 좌우에 각 호스와 연결되는 니플(13)이 설치되고 각각의 실린더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레버(9, 10, 11, 12)가 후측에 배치된 조작반(2)과, 몸체부를 이동시키기 위해 그 하부에 설치된 이동용 휠(32a, 32b, 37)과, 휠을 이동시키도록 하부보디(30)에 결합 설치된 방향조작 핸들(35)과, 전원케이블(40)을 통해 작동되며 유압호스(41)를 통해 조작반(2)에 유압을 공급하도록 하부보디(30) 위에 설치된 유압탱크(38)와 유압모터(39)로 이루어지는 사고 롤 쵸크 제거장치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고 롤 쵸크 제거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본 고안은 쵸크 제거 작업시 롤에서 쵸크를 제거하는 장치에 대한 것으로, 쵸크의 각종 이상 발생으로 인하여 기존의 작업 방법으로는 분리 제거 작업이 불가능한 상태인 것을 용이하게 분리제거하여 다음 작업이 원활하게 연속될 수 있도록 해주는 사고 롤 쵸크의 제거장치에 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의 사고 롤 쵸크의 제거방법이 제1a도 내지 제1c도에 도시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쵸크(52)란 영연 공장에서 압연시 롤(53)에 조립되어 롤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하여 베어링이 내부에 조립되어 있는 사각의 박스 형태로 압연기의 제한된 공간에서 막중한 하중을 받으며 롤(53)의 회전을 돕고 지지해 주는 설비이다. 따라서, 사용 시간의 경과에 따라 쵸크(52)의 치수 형상은 마모되고 변형되기 쉬우며, 사용중 쵸크(52)의 내부에 스케일이나 냉각수 침투로 각종 고장의 원인이 되고 있는데, 압연시에는 쵸크(52) 내부로 그리스가 주입되며 일정시간 압연후 교체되어, 쵸크(52) 제거 조립시 쵸크(52)가 롤(53)에서 해체되지 않는 경우 제1a도 내지 제1c도에 도시한 여러가지 방업을 통하여 쵸크(52)의 분리 작업을 실시한다.
제1a도 내지 제1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사고 쵸크(52)의 분리 및 제거 작업시, 항상 안전상의 위험 또는 장시간 작업 지연으로 인하여 작업 부하가 가중되고 설비 및 부품 파손 등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러한 여러 형태의 사고 롤(53) 쵸크(52)를 다른 중량물과 함께 강하게 충돌시킴으로써 그때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롤(53)에서 쵸크(52)를 강제로 분리시키는 비정상적인 작업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작업 방법에 의하면 중량물 끼리 상호 충돌시킴으로 대형설비 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상존하고 부품 수명의 단축과 고장의 원인이 되고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높아 대부분의 작업원 모두가 매우 기피하는 실정이며 작업시간 지연으로 생산성 저하의 원인이 되는 등 여러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종래 기술에서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샤프트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하부받침대 위에 설치된 상부 몸체와, 쵸크와의 거리 조정 및 제거 작업을 가능하게 하며, 쵸크를 걸어당기기 위한 쵸크걸이가 장착되며 몸체의 양측에 설치된 좌우의 암실린더와, 몸체의 중앙에 설치되며 폭을 조절하기 위한 실린더와, 롤의 단부와의 밀착을 용이하게 하도록 밀착대가 부착되며 쵸크를 원활하게 제거하기 위해 몸체의 전면 중앙에 장착된 중앙실린더와, 몸체 하부 전면 중앙에 하부 받침대 위에 배치되며, 몸체를 상하 이동시키는 실린더와, 좌우에 각 호스의 연결되는 니플이 설치되고 각각의 실린더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레버가 후측에 배치된 조작반과, 몸체를 이동시키기 위해 그 하부에 설치된 이동용 휠과, 휠을 이동시키도록 하부보디에 결합 설치된 방향조작 핸들과, 전원케이블을 통해 작동되며 유압호스를 통해 조작반에 유압을 공급하도록 하부보디위에 설치된 유압탱크와 유압모터로 이루어지는 사고 롤 쵸크 제거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제1a도 내지 제1c도는 종래 기술에서의 사고 롤 쵸크의 제거과정을 도시한 도면.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사고 롤 쵸크 제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제3a도, 제3b도는 본 고안에 따른 사고 롤 쵸크 제거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장치를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상부몸체 2 : 조작반 3 : 상부 보디 중앙블럭
5 : 우측암 실린더 6 : 중앙 실린더 7 : 폭 조정 실린더
8 : 좌측암 실린더 9 : 전후 실린더 레버 10 : 중앙 작동레버
11 : 폭 작동레버 12 : 상하 작동레버 13 : 유압호스 연결니플
14a, 14b : 폭 실린더 18a, 18b : 쵸크걸이 19 : 밀착대
28 : 상하 작동 샤프트 30 : 하부 보디 31 : 상하 이동 실린더
32a ,32b, 37 : 휠 33 : 하부 받침대 35 : 방향 조작핸들
36 : 방향축 38 : 유압탱크 39 : 유압모터
41 : 유압호스 45 : 상부 보디 연결판 52 : 쵸크
53 : 롤 54 : 크레인 55 : 와이어 로프
57 : 져널부 58 : 단부 59 : 치대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사고 롤 쵸크 제거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를 설명한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본 고안의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다른 사고 롤 쵸크 제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제3a도, 제3b도 는 본 고안에 따른 사고롤 쵸크 제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제4도는 본 고안의 장치를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성 제2도 및 제3도와 관련하여 본 고안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3a에 도시된 바와같이, 조작반(2)에는 좌우의 각각의 호스와 연결되도록 유압호스 연결니플(13)이 좌우에 구비되며 측면에는 각종의 실린더를 조작하기 위한 전후실린더 레버(9), 중앙 실린더 작동 레버(10), 폭 실린더 작동 레버(11), 상하실린더 작동레버(12)가 장착되고 있으며 상부 몸체(1) 주변의 각종 유압장치마다 유압호스가 조작반(2)과 연결된다.
한편, 상부 몸체(1)의 양단측에 우측암실린더(5)와, 좌측암실린더(8)가 설치되어 있어 쵸크(52)와의 거리 조정 및 실제 제거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중앙에는 폭을 조절하기 위한 폭실린더(14a, 14b)가 설치되어 있어 넓이에 따라 좌우측 암실린더(8, 5)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쵸크(52)의 제거에 있어서 실질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좌우의 암실린더(8, 5)의 단부에는 쵸크(52)를 (14a, 14b)에 연결 고정된다. 상부 몸체(1)와 유압탱그(38) 및 유압 모터(39)로 몸체부가 구성되는데, 이 몸체부 전면 중앙에는 쵸크(52)를 원활하게 제거하기 위한 중앙 실린더 (6)가 설치되며 중앙실린더(6)의 단부에는 롤힘을 원활하게 집중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중앙실린더(6)의 설치위치는 몸체부의 전면 중앙에 4개의 고정볼트(20)로 고정 장착된다. 몸체부 중앙 상부에는 2mm 두께의 상부 커버(4)가 설치되며 전후 좌우의 18개의 고정볼트(24)로 고정된다. 이러한 여러 장치가 설치된 몸체부는 4개의 원통형 샤프트(28)에 의해 실린더 형태의 하부 받침대(33)위에 설치되어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장치를 이동시키는 휠(32a, 32b, 37)과 방향조작핸들(35)로 이루어지는 구동부의 하부보디(30) 전면 중앙에는 상하 이동 실린더(31)가 4개의 고정볼트(44)로 고정되며 실린더 상부에는 몸체부와 연결 고정하기 위한 상부보디 연결판(45)이 부착되어 고정볼트(46)로 고정된다.
상하 이동실린더(31) 역시 유압이 공급되도록 조작반(2)과 연결되며 하부보디(30) 중앙의 좌측에는 유압탱크(38)과 유압모터(39)가 4개의 고정볼트(43)로 고정설치되는데, 유압모터(39)는 전원케이블(40)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다.
그리고, 유압탱크(38)의 주유압호스(41)는 조작반(2)과 직접 연결되며, 쵸크(52) 제거장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32a, 32b, 35, 37) 최하단에는 3개의 이동용 휠(32a ,32b 37)이 설치되는데, 방향 전환이 용이하도록 후부의 휠(37)의 중간에 방향축(36)이 설치되고 축의 내부에는 마찰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한 스러스트 베어링이 배치된다. 이러한 이동용 휠은 하부보디(30)에 고정되며 이동을 위해 방향조작핸들(35)이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제4도와 제5도를 참고하여 본 고안의 사고 롤 쵸크 제거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고안의 사고 롤 쵸크 제거장치(56)는 1.5Kw 용량의 모터를 장착한 유압장치로써, 이 유압장치의 최대 압력은 약1500kg/㎝이다. 또한, 유압탱크(38)의 용량은 200 이다. 레버를 조작시 유압탱크(38)로 부터 1인치 굵기의 플렉시블 메인유압호스(41)을 통하여 조작반(2)에 연결되며 각각의 레버의 조작시 3/4 인치 굵기의 플렉시블 유압호스(60)를 통하여 각각의 실린더(5-9, 14a, 14b, 31) 내부에 유압을 공급하여 작동시킨다.
본 고안의 장치에서 사고 롤 쵸크 제거장치(56)의 상부몸체(1)의 상하 조절은 상하 작동레버(12)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3/4 인치 굵기의 플렉시블 유압호스(60)를 통하여 150kg/㎝의 유압이 상하 실린더(31) 내부로 공급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하 작동레버(12)의 실제 조작은 전후로 밀거나, 잡아당기는 방식으로 상하작동레버(12)를 앞으로 밀면 상부 몸체(1)가 하강하고 잡아당기면 상승한다.
본 고안에서의 폭 조절 방법은 폭 작동레버(11)을 작동시킴과 동시에 3/4 인치 굵기의 플렉시블 유압호스(60)를 통하여 폭실린더(14a, 14b) 내부에 유압이 공급되므로 폭실린더(14a, 14b)의 전후 동작에 의하여 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좌우의 암실린더(8, 5)를 밀어내거나 잡아당기는 방식으로 적절하게 폭을 조정하게 된다.
롤(52)의 단부(58) 중앙에 고정 또는 전진되는 중앙실린더(6)의 작동은 중앙 작동레버(10)의 전후 작동시 3/4 인치 굵기의 플렉시블 호스(63)를 통하여 400kg/㎝의 유압이 중앙실린더(6) 내부에 전달 공급되며 중앙 작동레버(10)를 앞으로 밀면 중앙실린더(6)가 전진되고 잡아당기면 후퇴하며 이러한 동작을 통하여 쵸크(52) 제거 작업에 필요한 적정 작업 거리를 조절한다.
또한, 사고 쵸크(52)에 쵸크걸이(18a, 18b)를 고정시킨 후 잡아당겨 해체하는 좌우의 암실린더(8, 5)의 조작은 조작반(2)에 설치된 전후실린더 레버(9)를 밀거나 잡아당겨 줌과 동시에 3/4인치 굵기의 플렉시블 유압호스(62)를 통해 각각 400kg/㎝의 유압이 좌우의 암실린더(8, 5)가 전진되고 잡아당기면 후퇴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은 각종 실린더와 조작레버로 이루어지는 유압장치로 구성되는 사고 롤 쵸크의 제거장치(56)에 의해 사고 쵸크를 해체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방향조작핸들(35)을 잡고 삭 롤 쵸크 제거장치(56)를 적정 지점까지 이동시켜 사고 롤(53) 쵸크(52)의 정면 단부(58)에 정확하게 일치시킨 다음에 상하 작동레버(12)와 폭작동레버(11)를 조작하여 높이와 폭을 정확하게 맞춘다. 높이와 폭의 조절이 완료되면, 좌우의 암실린더(8, 5) 단부의 쵸크걸이(18a, 18b)를 쵸크(52) 중앙에 걸어준다. 그리고, 그 다음에는 중앙작동레버(10)를 조작하여 중앙실린더(6) 단부의 밀착대(19)를 롤(53) 단부(58) 중심 구멍에 밀착시킨다.
이러한 일련의 준비작업이 완료되면, 전후실린더 레버(9)를 당겨줌으로써 좌우의 암실린더(8, 5)가 각각 400kg/㎝의 압력으로 사고 롤(53)에서 쵸크(52)를 잡아 당겨주고 동시에 중앙작동레버(10)를 앞으로 밀어줌으로써 중앙실린더(6)가 400kg/㎝의 유압으로 롤(53) 단부의 중심을 강하게 밀어 줌으로써 사고 쵸크(52)의 해체 작업은 완료되게 된다.
이러한 모든 작업이 완료되면 각종 레버(9, 10, 11, 12)를 조작하여 사고 롤 쵸크 제거장치(56)의 모든 작동기기를 본래대로 원위치시킨다.
상기 설명한 본 고안의 사고 롤 쵸크 제거장치에 의하면, 단독의 작업자에 의해서도 사고 롤 쵸크의 제거작업이 가능하며 안전사고의 위험도 방지되고 각종 부품의 파손도 방지할 수 있으며 신속하게 사고 롤 쵸크를 제거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고안은 단독의 작업자가 안전사고의 위험이 없고 각종 부품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여러 종류의 사고 롤 쵸크를 유압을 이용하여 강제로 제거할 수 있는 사고 롤 쵸크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Claims (1)

  1. 샤프트(28)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하부받침대(33) 위에 설치된 상부 몸체(1)와, 쵸크(52)와의 거리 조정 및 제거 작업을 가능하게 하며, 쵸크(52)를 걸어당기기 위한 쵸크걸이(18a, 18b)가 장착되며 몸체(1)의 양측에 설치된 좌우의 암실린더(8, 5)와, 몸체(1)의 중앙에 설치되며 폭을 조절하기 위한 실린더(14a, 14b)와, 롤(53)의 단부(58)와의 밀착을 용이하게 하도록 밀착대(19)가 부착되며 쵸크(52)를 원활하게 제거하기 위해 몸체(1)의 전면 중앙에 장착된 중앙실린더(6)와, 몸체(1) 하부 전면 중앙에 하부 받침대(33) 위에 배치되며, 몸체를 상하 이동시키는 실린더(31)와, 좌우에 각 호스와 연결되는 니플(13)이 설치되고 각각의 실린더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레버(9, 10, 11, 12)가 후측에 배치된 조작반(2)과, 몸체부를 이동시키기 위해 그 하부에 설치된 이동용 휠(32a, 32b,37)과, 휠을 이동시키도록 하부보디(30)에 결합 설치된 방향조작 핸들(35)과, 전원케이블(40)을 통해 작동되며 유압호스(41)를 통해 조작반(2)에 유압을 공급하도록 하부보디(30) 위에 설치된 유압탱그(38)와 유압모터(39)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롤 쵸크 제거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2019960023175U 1996-07-31 1996-07-31 사고 롤 쵸크제거장치 KR2001928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3175U KR200192845Y1 (ko) 1996-07-31 1996-07-31 사고 롤 쵸크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3175U KR200192845Y1 (ko) 1996-07-31 1996-07-31 사고 롤 쵸크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6844U true KR980006844U (ko) 1998-04-30
KR200192845Y1 KR200192845Y1 (ko) 2000-09-01

Family

ID=19463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3175U KR200192845Y1 (ko) 1996-07-31 1996-07-31 사고 롤 쵸크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284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879B1 (ko) * 2008-01-18 2009-03-17 (주)삼우기계 롤 쵸크 턴 오버 장치
KR20200122877A (ko) * 2019-04-19 2020-10-28 주식회사기성이엔지 베어링이 융착된 백업롤로부터 쵸크를 분리하기 위한 쵸크 가공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357B1 (ko) 2003-04-04 2010-09-20 주식회사 포스코 롤 쵸크의 슬리브 및 부시 분해 결합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879B1 (ko) * 2008-01-18 2009-03-17 (주)삼우기계 롤 쵸크 턴 오버 장치
KR20200122877A (ko) * 2019-04-19 2020-10-28 주식회사기성이엔지 베어링이 융착된 백업롤로부터 쵸크를 분리하기 위한 쵸크 가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2845Y1 (ko) 200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94120B1 (en) Bolt and nut disassembling apparatus
US5116264A (en) Positionable service bench
US5074143A (en) Cart for removing and installing dies in a cut-off press
US4747329A (en) Mobile air-equipped transfer table and method of use
KR200192845Y1 (ko) 사고 롤 쵸크제거장치
US5323529A (en) Heat exchanger bundle extractor assembly and method
US5214908A (en) Track press machine
US5564179A (en) Heat exchanger bundle extractor assembly
US5214909A (en) Clamp mechanism
CN214870572U (zh) 一种数控机械旋转抓紧装置
US3142210A (en) Power operated wrench with two-speed drive
JP2969539B2 (ja) ガス絶縁主母線の接続装置
CN210147153U (zh) 一种底盘切割机
CN215934671U (zh) 一种磁悬浮电机装配操作台
KR20200133554A (ko) 모터 회전자 분해 장치
KR200275343Y1 (ko) 압연로울러 교체용 로울러 체인징 장치
JP3317632B2 (ja) ロールチョック抜取装置
IT201800005910A1 (it) Macchina di perforazione, procedimento di assemblaggio, e kit per una macchina di perforazione.
SU998079A1 (ru) Лини дл разборки и сборки
JP2873336B2 (ja) 圧延ロールの切削方法および圧延ロール切削装置
CN213171396U (zh) 一种手动翻转式卷膜胀套
CN214489532U (zh) 液压轮轴拆装装置
EP1050362A1 (en) Slave arm of a complete welding unit
CN216057755U (zh) 一种发电厂控制室的dcs控制系统机柜的固定装置
US3032205A (en) Hoi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