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2735A - 다실린더 내연기관의 실린더 식별장치 - Google Patents

다실린더 내연기관의 실린더 식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2735A
KR980002735A KR1019970024593A KR19970024593A KR980002735A KR 980002735 A KR980002735 A KR 980002735A KR 1019970024593 A KR1019970024593 A KR 1019970024593A KR 19970024593 A KR19970024593 A KR 19970024593A KR 980002735 A KR980002735 A KR 980002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combustion engine
internal combustion
identification device
cylinder iden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4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9453B1 (ko
Inventor
덴쯔 헬뮤트
월터 클라우스
Original Assignee
랄프 홀거 베렌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랄프 홀거 베렌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랄프 홀거 베렌스; 게오르그 뮐러
Publication of KR980002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2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9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94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9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using means for generating position or synchronisation sign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4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 F02D41/2406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using essentially read only memo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5/00Testing of engines
    • G01M15/04Testing internal-combustion engines
    • G01M15/06Testing internal-combustion engines by monitoring positions of pistons or cr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다이나믹한 동작시 회전수가 크게 변동되도록 실린더 식별에 악영향이 미치지 않는 다실린더 내연기관의 실린더 식별장치가 제공된다.
캠축과 동기해서 회전되는 발신기 디스크가 검출기에 의해 주사된다. 발신기 디스크는 실린더수에 대응되는 갯수의 각도 마크를 갖추고 있다. 1개의 각도 마크는 다른 각도 마크와 다르다. 다른 각도 마크는 미리 정해진 1개의 실린더에 대응되어 있고 계산 장치를 사용하여 하기와 같이 식별된다. 세그멘트 디스크가 반영되는 센서 신호의 앞 가장자리와 뒤 가장자리 사이의 시간 간격이 구해지며 앞 가장자리와 디 가장자리 사이의 시간 간격(ti)과 동종의 옆 가장자리간의 시간 간격(Ti)의 비가 형성되어 서로 관련된다.

Description

다실린더 내연기관의 실린더 식별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독일 특허출원 공개 제4131004호 공보에 부분적으로 공지되어 있지만, 이와는 다른 방식으로 신호 평가가 행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제1의 발신기 디스크가 도시된 도면.

Claims (12)

  1. 내연기관의 축과 동기해서 회전되며 실린더 수와 상관된 개수의 복수의 각도 마크를 갖고 그 각도 마크중 1개 이상의 각도 마크는 다른 각도 마크와는 달리 소정의 1개의 실린더의 위치를 특징짓는 기준 마크를 형성하는 발신기 디스크는 정치된 검출기가 발신기 디스크를 주사해서 각도 마크에 대응되는 출력 신호를 공급하고 출력 신호는 평가 수단으로 공급되며 평가 수단은 출력 신호에 앞 가장자리와 뒤 가장자리간의 시간 간격(ti)과 동종의 옆 가장자리간의 시간 간격(Ti)을 구하도록 구성된 다실린더 내연기관의 실린더 식별장치에 있어서, 값(Xi)를 구하기 위해 눈아래의 비(ti/Ti) 대 선행의 비(t(i-1)/T(i-1)가 형성되며 (Xi)의 값에서 기준 마크가 식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실린더 내연기관의 실린더 식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수단은 내연기관용 제어장치의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실린더 내연기관의 실린더 식별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값(Xi)은 선행 또는 후속 값(Xi-1, Xi+1)과 비교되며 그들 값의 차에서 기준 마크가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실린더 내연기관의 실린더 식별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값(Xi)에서 -1, 0 또는 +1을 취하는 다른값(A)이 형성되며 평가 수단은 각 실린더마다 1개의 메모리 셀이 있어(A)의 값이 대응된 메모리 셀로 기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실린더 내연기관의 실린더 식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메모리 셀의 내용은 1개의 메모리 셀 내용이 역치를 넘을때까지 계속적으로 갱신되며 역치의 초과나 검출되어서 해당된 메모리에 대응된 각도 마크가 기준 마크로서 검출되지 아니할 때는 해당된 메모리 또는 해당된 각도 마크에 대응된 실린더가 기준 실린더로서 식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실린더 내연기관의 실린더 식별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메모리 셀 내용은 시작시 또는 종료시에 제로로 셋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실린더 내연기관의 실린더 식별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메모리 셀의 값이 소정의 역치를 상회하거나 하회할 때 기준마크 검출 즉 실린더 식별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실린더 내연기관의 실린더 식별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신기 디스크는 다른 각도 마크와는 다른 2개의 각도 마크를 갖추며 이에 의해 2개의 다른 세그먼트 길이가 생겨 한편의 세그먼트 길이는 기준 세그먼트보다 짧고 다른편의 기준 세그먼트는 길며 양편의 기준 세그먼트는 곧게 전후로 계속되거나 또는 180°의 각도를 어긋나게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실린더 내연기관의 실린더 식별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른 각도 마크와는 다르고 서로 같은 각도 마크를 갖는 발신기 디스크의 사용으로 형성된 다른 세그먼트 길이는 기준 세그먼트보다 짧거나 또는 길고 기준 세그먼트는 곧게 전후로 계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실린더 내연기관의 실린더 식별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신기 디스크는 비의 형성만으로 실린더 식별이 충분히 행해지도록 1개 이상의 세그먼트가 기준 세그먼트와는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실린더 내연기관의 실린더 식별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연기관의 동작 상태에 관한 다른 데이터가 공급되는 제어 장치는 데이터 또는 격납된 특성 맵에서 실린더 식별후 동기화후 점화 또는 분사를 위해 제어 신호 및 별도의 제어 신호가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실린더 내연기관의 실린더 식별장치.
  12. 크랭크 축 발신기가 구비된 내연기관의 실린더 식별방법에 있어서, 크랭크 축 발신기가 고장일 경우 긴급 동작이 실행되고 청구항 제1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실린더 식별장치에서 공급된 정보가 긴급 동작 실행을 위해 고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랭크 축 발신기가 구비된 내연기관의 실린더 식별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70024593A 1996-06-14 1997-06-13 다실린더내연기관의실린더식별장치 KR1004894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23716.5 1996-06-14
DE19623716 1996-06-14
DE19639541.0 1996-09-26
DE19639541A DE19639541A1 (de) 1996-06-14 1996-09-26 Einrichtung zur Zylindererkennung bei einer Mehrzylinder-Brennkraftmas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2735A true KR980002735A (ko) 1998-03-30
KR100489453B1 KR100489453B1 (ko) 2005-08-05

Family

ID=7796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4593A KR100489453B1 (ko) 1996-06-14 1997-06-13 다실린더내연기관의실린더식별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89453B1 (ko)
DE (2) DE196395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71568B2 (ja) 2013-01-16 2017-02-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36762B2 (ja) * 1994-09-13 2002-10-21 三菱電機株式会社 内燃機関の気筒識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9453B1 (ko) 2005-08-05
DE59711744D1 (de) 2004-08-05
DE19639541A1 (de) 1997-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701708A (ko) 다중 실린더 내연기관에서의 빠른 실린더 탐지용 센서 장치(Sensor arrangement for rapid cylinder identification in a multi-cylinde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082362B2 (en) Cylinder identification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572132B1 (ko) 홀수개의실린더를구비한4행정내연기관에서의위상각결정방법
KR960701292A (ko) 내연기관의 연료 분사 제어 장치(Device for controlling the fuel injection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920006734A (ko) 내연기관의 실화검출장치
KR970002284A (ko) 실화 검출 방법
KR910008267A (ko) 복수기통엔진 제어방법 및 그 전자식 제어장치
KR970704961A (ko) 다실린더 내연기관의 실린더 검출장치
KR20070085420A (ko) 내연 기관의 타이밍을 결정하는 방법
US6584834B1 (en) Method for detecting combustion misses
KR910008262A (ko) 내연기관용 녹(Knock) 제어장치
JPH01240751A (ja) 内燃機関用角度検出装置
RU2000117465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спознавания фаз газораспределения
KR910008261A (ko) 내연기관용 녹(Knock) 검출장치 및 그 페일검출방법
JP2813210B2 (ja) 内燃機関用気筒識別装置
KR930000816A (ko) 내연기관 점화제어장치
KR980002735A (ko) 다실린더 내연기관의 실린더 식별장치
KR900005064A (ko) 내연기관의 점화시기 제어장치
KR900016603A (ko) 내연기관의 제어 장치
KR910020306A (ko) 내연기관점화제어장치 및 방법
JP4154007B2 (ja) 多シリンダ内燃機関のシリンダ識別装置
US7171925B2 (en) Method for reversing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a two-stroke engine
KR900018531A (ko)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KR900014729A (ko) 다기통 엔진용 연소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920018344A (ko) 착화타이밍 제어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