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700805A - 고정된 외부 시스템과 대체 가능한 내부 시스템으로 분리된 , 빌딩내 폐수 배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정된 외부 시스템과 대체 가능한 내부 시스템으로 분리된 , 빌딩내 폐수 배수 시스템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700805A
KR970700805A KR1019960703962A KR19960703962A KR970700805A KR 970700805 A KR970700805 A KR 970700805A KR 1019960703962 A KR1019960703962 A KR 1019960703962A KR 19960703962 A KR19960703962 A KR 19960703962A KR 970700805 A KR970700805 A KR 970700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s
thread
pipe
box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3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니벨리 파스쿠알레
Original Assignee
니벨리 파스쿠알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벨리 파스쿠알레 filed Critical 니벨리 파스쿠알레
Publication of KR970700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0805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Sewage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나선형 벽이 있는 가요성 배관(103,113)에 의하여 위생설비와 변기 배수 파이프(70)에 연결된 배수용 박스 트랩(30,80)을 구비하고, 두 개의 시스템 즉, 빌딩 구조물 내부에 결정적으로 설치된 기초 시스템과 그 기초 시스템 내부의 또 다른 시스템으로 분리되고, 상기 제2시스템은 대체 가능하고 제1시스템과 같은 형태인, 빌딩의 폐수 배수 시스템.

Description

고정된 외부 시스템과 대체 가능한 내부 시스템으로 분리된, 빌딩내 폐수 배수 시스템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욕실의 하수 배수 시스템의 사시도, 제2도는 변기의 배수 파이프와 조립되어 있는 시스템의 박스 트랩(box trap)의 종단면도, 제3도는 박스 트랩의 부분 절단 평면도, 제4도는 제2도의 박스 트랩의 상세도, 제5도는 세면대의 벽 배수관의 종단면도.

Claims (11)

  1. 변기(25)로부터 물을 모으는 주 배수 트랩(72)과, 위생 설비(23,24)로부터 물을 모으는 제1박스 트랩(30,80)과, 욕조(22), 샤워기와 같은 것으로부터 물을 모으는 제2박스 트랩(149,150)과, 제2박스 트랩(140,150)뿐만 아니라 위생 설비(23,24)의 배수관을 제1박스 트랩(30,80)과 상호 연결시키는 파이프(102-107, 112-117)과, 변기(25)뿐만 아니라 제1박스 트랩(30,80)을 주 배수관(72)과 상호 연결시키는 파이프(73,116)로 구성되고, 두 개의 하위 시스템 즉, 박스 트랩(30,149)과 파이프(102,107)로 구성되고 이들이 빌딩 구조물(11,12)에 결정적으로 설치 고정된 제1하위 시스템(15)과, 제1하위 시스템 파이프(102-107)내에 놓여 그와 유사한 형태로 된 파이프(112-117)와 박스 트랩(80,150)으로 구성된 제2하위 시스템으로 분리되고, 제1 및 제2하위 시스템(15,16)의 파이프들(102-107, 112-117)은 조립장치들(46, 47, 50, 51, 200, 201)에 연결되어 거기서 파이프들은 빌딩 구조물(11,12)에서 나와 위생 설비(23-25)의 수세 파이프(flush pipe)나 배수관 또는 주 배수 트랩(72)에 연결되고, 제2하위 시스템은 제1하위 시스템과 비교할 때 다른 크기를 가지고 제1하위 시스템 내부에 쉽게 설치될 수 있도록 그리고 파손되었을 경우 상기 제2하위 시스템 전체 또는 부품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거·교환할 수 있도록 로킹(locking)부분을 구비하고, 외부의 고정된 하위 시스템 또는 내부의 교체 가능한 하위 시스템의 상기 박스형 트랩들은 그 측면에 구멍(orifices)을 구비하고 고정된 박스형 트랩(30,140)내의 구멍들(31-34, 141, 221-224)은 빌딩 구조물(11,12)의 외측면과 같은 높이로 놓여 있는 덮개(37)와 파이프(102-107, 112-117)를 위한 조립장치(41-45, 54, 225-228과 91-94, 56, 235-238)를 구비하는 내부의 교체 가능한 박스형 트랩(80, 150)내의 구멍들(81, 84, 151, 152, 231-234)과 일직선으로 맞추어져 있고 필요하다면, 상기 덮개는 이미 사용된 재료(18)와 동일한 상부 다듬질 재료(17)층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매몰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 스택(stack; 굴뚝 모양의 긴 관)(70)과 위생 설비에 연결된 일반 빌딩과 산업 빌딩 내의 폐수 배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파이프(102-108, 112-118)는 내·외부 나사줄을 만드는 나선형 파동이 있는 가요성(可橈性) 합성 물질로 만들어지고, 대체 가능한 시스템(16)의 파이프는 (112-118) 고정 시스템(15)의 파이프(102-108) 내부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 스택(70)과 위생 설비에 연결된 일반 빌딩과 산업 빌딩 내의 폐수 배수 시스템.
  3. 제1항과 제2항에 있어서, 고정된 시스템(15)의 박스 트랩(30,140,220) 위의 조립장치들(41-44, 45, 54, 225-228)은 그 구멍(31-34, 141, 142, 221-224) 외부에 원통형 유니언(cylindrical unions)(35)으로 구성되고, 고정 시스템(15)의 고정된 파이프(102-108) 위에 내부 나사줄에 상응하는 외부 나사줄(36)을 구비하여 유니언(35)위에 나사줄 파이프(102-108) 위에 나사줄에 삽입함으로써 서로 결합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 스택(70)과 위생 설비에 연결된 일반 빌딩과 산업 빌딩 내의 폐수 배수 시스템.
  4. 제1항과 제2항에 있어서, 교체 가능한 시스템(16)내의 박스 트랩(80,150,230) 위의 조립장치들(91-94, 56, 57, 235-238)은 내부 테이퍼(taper)가 안쪽으로 빗나가고 그 외부 나사줄(86) 위에 와셔(washer)(87)가 조립되는 구멍(81-84, 151, 152, 231-234) 내부의 파이프 유니언(85)으로 구성되고, 상기 와셔는 그 내부에 파이프 유니언(85) 위의 나사줄에 상응하는 나사줄(88)이 있는 원통형 공동(空洞)이 있는 헤드로 둘러 싸인 축 원통형 몸체(89)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89)의 외부 직경은 대체 가능한 시스템(16)의 부분을 형성하는 파이프(112-118)의 더 작은 직경에 상응하고, 파이프 유니언(85) 내부에 박스 트랙(80, 150, 230) 안쪽으로 부분적으로 돌출된 패킹(packing)(66)이 있고, 상기 패킹의 외부 테이퍼(taper)(68)는 상기 파이프 유니언(85)의 외부 테이퍼에 상응하고 그 직경은 대체 가능한 시스템(16)의 부분을 형성하는 파이프(112-118)의 외부 직경에 상응하여, 와셔(87)에 나사못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서로 마주하는 테이퍼에 의해 유니언(85) 내부에서 압력을 받게 되어 상기 패킹(66)은 나사줄(88)위에 조립된 와셔(87)의 축 몸체에 대하여 파이프(112-118)를 압착하여 안정적인 연결을 만드는 오물 스택(70)과 위생 설비에 연결된 일반 빌딩과 산업 빌딩 내의 폐수 배수 시스템.
  5. 제1항과 제2항에 있어서, 고정 시스템(15)의 부분을 형성하는, 빌딩 구조물(11,12) 내의 구멍 위의 조립장치들(46, 47, 50, 51, 200, 201)은 외부 나사줄(121)이 고정된 파이프(102-108)의 내부 나사줄에 상응하는, 구조물(11,12) 내부에 설치되는 원통형 커플링(120)으로 구성되며, 상기 커플링은 상기 구조물(11,12)의 외면(外面)과 접촉할 정도의 큰 직경을 갖는 다공(多孔) 헤드(122)를 구비하는 반면 배관(102-108) 위의 나사줄은 상기 커플링(120)과 연결되고, 헤드(122)의 구멍은 대체가능한 시스템(16)의 배관(102-108)의 최대 직경보다 더 커서 상기 배관(102-108)이 빌딩 구조물(11,12)로부터 자유롭게 나올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 스택(70)과 위생 설비에 연결된 일반 빌딩과 산업 빌딩 내의 폐수 배수 시스템.
  6. 제1항과 제2항에 있어서, 빌딩 구조물위의 고정 시스템(15)의 구멍 위에 있는 조립장치들(200,201)은 내부 나사줄(203)이 빌딩 구조물(12) 내부에 설치될 고정된 배관(107) 위의 외부 나사줄과 동일한 원통형 커플링(202)으로 구성되고, 상기 커플링은 상기 구조물(12)의 외면과 접촉하는 플랜지(flange)(204)를 구비하여, 그 나사줄에 의하여 상기 고정된 배관(107)은 상기 커플링(202)에 연결되고 반면, 대체가능한 시스템의 배관(117)은 빌딩 구조물(12)로부터 자유롭게 빠져 나올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 스택(70)과 위생 설비에 연결된 일반 빌딩과 산업 빌딩 내의 폐수 배수 시스템.
  7. 제1항과 제2항에 있어서, 세면대(23), 비데(bidet)(24)와 같은 위생설비의 조립방치들은 변기(25) 배수 파이프 유니언에 고정된 커플링(70)으로 구성되고, 상기 커플링은 로크 너트(lock nut)(175)를 수용하는 외부 나사줄과 외부 직경이 대체 가능한 시스템(16)의 부분을 형성하는 배관(113)의 더 작은 직경에 상응하는 일측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로크 너트(175)는 커플링(170)을 수용하는 나사줄이 있는 내부 구멍(176)을 구비하고, 상기 구멍(176)은 외벽 위의 대응하는 테이퍼(180) 와 함께 패킹(180)을 수용하는 테이퍼(178)에서 끝이 나고 내부의 원통형 구멍은 그 직경이 대체 가능한 시스템(16) 배관 (113)의 최대 직경에 상응하고, 상기 로크 너트(175)는 와셔(181)가 나사못으로 고정되는 외부 나사줄(177)을 구비하고, 상기 와셔는 배관(113)의 통과를 위해 그 내부에 축 구멍을 구비하여, 상기 와셔(181)를 나사못으로 고정함으로써 패킹(180)은 서로 마주보는 테이퍼(167,178)로 인하여 커플링(170)에 압력이 가해질 때 배관(113)을 커플링(170)에 압착시켜 안정적인 연결을 이루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 스택(70)과 위생 설비에 연결된 일반 빌딩과 산업 빌딩 내의 폐수 배수 시스템.
  8. 제1항과 제2항에 있어서, 변기(25)의 배수 조립장치는 내부 나사줄(203)이 고정된 시스템(15)의 부분을 형성하는 파이프(107)의 외부 나사줄에 상응하는 링 너트(ring nut)(202)로 구성되고, 상기 링 너트는 바닥(12)과 접촉하고 내부 구멍(211)의 직경이 상기 변기(25)의 배수관 유니언의 외부 직경에 상응하고 최대 외부 직경은 플랜지(204)의 내부 직경보다 큰 패킹(210)으로 구성되는 평평한 플랜지(204)를 구비하고, 내부 축의 나선형 고리 모양의 홈(212)은 대체 가능한 시스템(16)의 부분을 형성하는 배관(117)의 치수와 모양에 상응하여, 고정된 시스템(15) 배관(107)은 그 외부 나사줄을 링 너트(202)의 나사줄에 삽입함으로써 연결될 수 있고, 대체 가능한 시스템(16) 배관(117)은 그 단부를 상기 패킹(210)의 나선형 홈(212)으로 삽입함으로써 연결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 스택(70)과 위생 설비에 연결된 일반 빌딩과 산업 빌딩 내의 폐수 배수 시스템.
  9. 제1항과 제2항에 있어서, 변기의 오물 스택(70)은 대체 가능한 시스템(16)의 부분을 형성하는 배관(117)의 내부 나사줄에 상응하는 외부 나사줄(208)을 갖는 파이프 유니언(207)과 구멍들(206)과 조립된 원래의 부품(205)을 포함하여, 상기 배관(117)은 파이프 유니언(117)의 나사줄을 상기 배관(117)의 내부 나사줄 안으로 삽입함으로써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원래의 부품(205)은 상기 원 부품(205)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뿐만 아니라 오물 스택(70)의 어떠한 모양 변화도 흡수하도록 육각형 악기 모양의 가요성 커플링(209)에 의하여 그 상부의 인접한 부품(72)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 스택(70)과 위생 설비에 연결된 일반 빌딩과 산업 빌딩 내의 폐수 배수 시스템.
  10. 제1항과 제2항에 있어서, 고정된 시스템(15)의 박스 트랩(30)은, 나사못(63)에 의해 주 배수 트랩(72)의 파이프 유니언(73) 위의 마주하는 플랜지(74)에 연결된 플랜지(61)와 조립된 끝이 뽀족한 수렴(收斂) 파이프 유니언(60)에 있는 구멍(31)에 의하여 오물 스택(70)의 주 배수 트랩(72) 위의, 플랜지(74)가 있는 파이프 유니언(73)에 연결되고, 반면 제1박스 트랩(30)의 내부에 있는, 대체가능한 시스템(16)의 부분을 형성하는 박스 트랩(80)은 박스 트랩(30)의 구멍(31) 위의 끝이 뽀족한 유니언(60)에 연결되고, 고정된 시스템(15)의 박스 트랩(30) 위의 유니언(60)의 내부 테이퍼에 상응하는 외부 테이퍼(56)를 갖는 파이프 유니언(55)에 의하여 고정된 시스템(15)의 부분을 형성하여, 내·외부 테이퍼와 평평한 축 대(臺)(base)를 구비한 패킹(57)의 중단과 함께 마주하는 테이퍼들의 상호 매칭(matching)을 일으킴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 스택(70)과 위생 설비에 연결된 일반 빌딩과 산업 빌딩 내의 폐수 배수 시스템.
  11. 제1항과 제2항에 있어서, 욕조(22)의 박스 트랩(140)의 기술적 특성은 두 개의 구멍(orifices)(141, 142)에 의해 오물 스택(70)과 배축구(153)에 각각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박스 트랩(30)과 트랩(220)의 기술적 특성과 유사하고, 반면 욕조(22) 배수관의 배수관 플러그 장치(161)는 박스 트랩(140) 내부의 박스 트랩(150)을 배출구(153)에 연결시키는 파이프(115) 내부의 연결봉(棒)(163)에 의해 작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 스택(70)과 위생 설비에 연결된 일반 빌딩과 산업 내의 폐수 배수 시스템.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703962A 1994-01-24 1994-05-20 고정된 외부 시스템과 대체 가능한 내부 시스템으로 분리된 , 빌딩내 폐수 배수 시스템 KR9707008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MI94A000104 1994-01-24
ITMI940104A IT1269461B (it) 1994-01-24 1994-01-24 Impianto di scarico delle acque luride dai fabbricati,sdoppiato in due complessi, esterno fisso ed interno intercambiabile
PCT/IT1994/000066 WO1995020077A1 (en) 1994-01-24 1994-05-20 Drainage system for waste water in buildings, separated into two parts, a fixed outer one and an inner replaceable 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0805A true KR970700805A (ko) 1997-02-12

Family

ID=11367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3962A KR970700805A (ko) 1994-01-24 1994-05-20 고정된 외부 시스템과 대체 가능한 내부 시스템으로 분리된 , 빌딩내 폐수 배수 시스템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EP (1) EP0741824B1 (ko)
JP (1) JPH09507541A (ko)
KR (1) KR970700805A (ko)
CN (1) CN1142861A (ko)
AT (1) ATE155844T1 (ko)
AU (1) AU6980594A (ko)
BG (1) BG100803A (ko)
BR (1) BR9408565A (ko)
CA (1) CA2181793A1 (ko)
CZ (1) CZ214596A3 (ko)
DE (1) DE69404482T2 (ko)
FI (1) FI962913A (ko)
HU (1) HUT74898A (ko)
IT (1) IT1269461B (ko)
LV (1) LV11697B (ko)
NO (1) NO962974L (ko)
NZ (1) NZ267495A (ko)
PL (1) PL315543A1 (ko)
SK (1) SK95396A3 (ko)
WO (1) WO19950200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35294A1 (en) * 2008-09-26 2010-04-01 Crs S.P.A. Drain device for sanitary fittings, kit for sanitary fittings, sanitary fitting and method for mounting a sanitary fitting
KR101177495B1 (ko) 2010-04-23 2012-09-10 삼박엘에프티 (주) 배관 연결이 용이한 배수트랩
KR101119526B1 (ko) * 2010-04-26 2012-03-13 주식회사 미토이엔지 소음과 악취의 역류가 방지되는 배수트랩
DE102010031572B4 (de) 2010-07-20 2013-02-2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orrichtung zur Steuerung der Leistung eines Gebläsemotors für einen Staubsauger
CN107237394B (zh) * 2016-12-31 2023-04-11 河南锐诚节能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高层用模块化同层排水装置及其安装方法
CN107237395B (zh) * 2016-12-31 2023-04-14 河南锐诚节能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高层用模块化同层排水装置及其安装方法
KR200488311Y1 (ko) * 2018-06-22 2019-01-11 주식회사 에스엠지 싱크대 하부 트랩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82325A (en) 1969-08-27 1972-07-19 Gustavsbergs Fabriker Ab Plumbing installations
DE2608015A1 (de) * 1976-02-27 1977-09-01 Josam Mfg Co Reinigungs- oder zugangsstutzen fuer eine entwaesserungsleitung
DE3660113D1 (en) * 1985-02-12 1988-05-05 Gunzenhauser Ag J & R Flush water distributing or collecting manifol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155844T1 (de) 1997-08-15
IT1269461B (it) 1997-04-01
WO1995020077A1 (en) 1995-07-27
HUT74898A (en) 1997-02-28
HU9601943D0 (en) 1996-09-30
EP0741824A1 (en) 1996-11-13
LV11697A (lv) 1997-02-20
BG100803A (en) 1997-06-30
EP0741824B1 (en) 1997-07-23
SK95396A3 (en) 1997-01-08
ITMI940104A1 (it) 1995-07-24
JPH09507541A (ja) 1997-07-29
AU6980594A (en) 1995-08-08
ITMI940104A0 (it) 1994-01-24
FI962913A0 (fi) 1996-07-19
CN1142861A (zh) 1997-02-12
NO962974D0 (no) 1996-07-16
CZ214596A3 (cs) 1998-03-18
LV11697B (en) 1997-08-20
NO962974L (no) 1996-09-20
CA2181793A1 (en) 1995-07-27
PL315543A1 (en) 1996-11-12
BR9408565A (pt) 1997-08-05
NZ267495A (en) 1996-10-28
DE69404482T2 (de) 1998-03-05
DE69404482D1 (de) 1997-09-04
FI962913A (fi) 199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20582A (en) Universal waste and overflow drain assembly
KR970700805A (ko) 고정된 외부 시스템과 대체 가능한 내부 시스템으로 분리된 , 빌딩내 폐수 배수 시스템
US10760250B2 (en) Method of retrofitting a bathtub drainage pipe
KR20210000700U (ko) 층상 및 매립 배관용 이중배관식 바닥배수장치
US7472435B2 (en) P-trap drainage device
KR20090091637A (ko) 배관 구조
RU96117118A (ru) Канализационная система для сточных вод в зданиях, разделенная на две части-стационарную наружную часть и внутреннюю заменяемую часть
KR102448229B1 (ko) 이중 배관 장치
CN2450276Y (zh) 筒式地漏
RU2428547C2 (ru) Дренажная выпускная труба со встроенным фиксатором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санитарно-техническом оборудовании
US1185676A (en) Waste-pipe connection.
US1193527A (en) downey
KR960007540Y1 (ko) 건물용 하수관 집수통
JP2001207488A (ja) 浴室の給水給湯用配管システム
JP2002146874A (ja) 住宅用排水システム
JP2001348927A (ja) 排水管設備および内部排水桝
US959207A (en) Plumbing-fixture.
CN117178100A (zh) 用于互连地板排水口的方法
KR970001631Y1 (ko) 하수관의 트랩
JP2001220788A (ja) 建物の配管方法
KR200316800Y1 (ko) 배수관용 직관
KR20210147634A (ko) 오수 배관 시스템
KR200307686Y1 (ko) 배수관용 편심형 고정플렌지
JP2005036467A (ja) 排水設備
KR200298096Y1 (ko) 이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우관의 접속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