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66373A -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66373A
KR970066373A KR1019960061291A KR19960061291A KR970066373A KR 970066373 A KR970066373 A KR 970066373A KR 1019960061291 A KR1019960061291 A KR 1019960061291A KR 19960061291 A KR19960061291 A KR 19960061291A KR 970066373 A KR970066373 A KR 970066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air conditioner
closing device
closing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1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15045B1 (ko
Inventor
김도연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61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5045B1/ko
Priority to US08/813,653 priority patent/US5868617A/en
Priority to JP9063266A priority patent/JP2951618B2/ja
Priority to IDP970873A priority patent/ID16278A/id
Priority to MYPI97001193A priority patent/MY117720A/en
Priority to CN97103359A priority patent/CN1089424C/zh
Publication of KR970066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6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5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50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75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having parallel rods or lamellae directing the outflow, e.g. the rods or lamellae being individually adjus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4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g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는, 공기조화기의 가동이 정지될때 전면판넬에 일정면적으로 개구된 토출구를 통하여 이물질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개폐문을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페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문은 구동원에 따라 상기 토출구의 상단 높이까지 상승된 후, 2차원운동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어 토출구를 폐쇄하면서 상기 전면판넬의 표면과 동일한 민자면을 유지하도록 전면판넬의 후측에 상하운동가능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되어 있으므로, 토출구를 폐쇄시킬때 피니언과 랙기어의 2차원운동에 의해 토출구와 개폐문의 두께면을 일치시켜 토출구의 두께면에 대한 단차폭을 없애어 제품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페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6도는 토출구 개페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Claims (38)

  1. 공기조화기의 가동이 정지할때 전면판넬에 일정면적으로 개구된 토출구를 통하여 이물질등의 유입되지 않도록 개폐문을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문은 구동원에 따라 상기 토출구의 상단 높이까지 상승된 후, 2차원운동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어 토출구를 폐쇄하면서 상기 전면판넬의 표면과 동일한 민자면을 유지하도록 전면판넬의 후측에 상하운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2. 공기조화기의 가동이 정지될 때 전면판넬에 일정면적으로 개구된 토출구를 통하여 이물질등의 유입되지 않도록 개폐문을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에서 복수개의 풍향상하블레이드가 상하회동가능케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개폐문의 상하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전면판넬의 후면에 설치된 좌측 및 우측안내수단과, 상기 토출구에서 복수개의 풍향좌우블레이드가 좌우회동되도록 상기 전면판넬의 후면에 설치된 지지수단과, 상기 지지수단에 설치되어 양방향으로 구동되는 제1구동수단과, 상기 제1구동수단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개폐문이 상하운동되도록 상기 지지수단에 설치된 동력전달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및 우측안내수단에는, 상기 복수개의 풍향상하블레이드의 양단이 대칭되게 형상맞춤되어 상하회동 자유롭게 동작되도록 그들 양측벽에 대하여 중간높이에서 상단높이까지의 사이에 상하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된 복수개의 힌지홀과, 상기 개폐문의 상단 양측에 각각 설치된 죠인트복수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도록 그들 양내측벽에 대하여 중간높이에서 상단높이의 사이에 형성된 상부레일홈과, 상기 개폐문의 하단 양측에 각각 설치된 죠인트복스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도록 그들 양내측벽에 대하여 하단높이에서 중간높이의 사이에 형성된 하부레일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레일홈은 상기 개폐문이 상하방향으로 동작되게 안내하도록 직선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레일홈은 상기 개폐문이 상하방향으로 동작되게 안내함과 동시에 개폐문의 하단이 소정위치에서 전후방향으로 동작되게 안내하도록 ㄱ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레일홈의 상부단에는 상기 개폐문의 하단이 토출구를 향해 전방으로 수평이동 되면서 개폐문의 하부 두께와 토출구의 하부 두께와의 단차면을 없애주도록 일정경사각을 가지고 수평으로 절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레일홈의 하부단은 상기 복수개의 죠인트복스의 일측단이 상호 힌지결합을 위해 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좌측 및 우측안내수단의 외측으로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에는, 상기 동력전달수단의 랙기어의 상하동작을 안내하는 랙안내부재가 좌우 흔들리지 않도록 그 후면 중앙에 돌설된 자리맞춤부와, 상기 자리맞춤부의 상부 및 하부에 랙안내부재의 상단 및 하단이 각각 결합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스냅돌기 및 체결나사공과, 상기 자리맞춤부의 제1구동수단이 전면을 통하여 삽입 장착되도록 피니언통과홀을 가진 구동수단고정수납부와, 상기 자리맞춤부의 좌측에 상기 랙기어의 상하동작을 위치감지하는 포토센서가 전면에서 후면으로 삽입되어 취부되도록 돌설된 센서고정부와, 상기 전면판넬의 후면 양내측벽과 체결되도록 그 양단에 형성된 복수개의 나사통과홀과, 상기 복수개의 풍향좌우블레이드를 지지하도록 그 상면에 절곡된 좌우블레이드지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에서 그 상면에 상기 복수개의 풍향좌우블레이드의 하단을 지지하는 좌우 블레이드지지부가 직각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블레이드지지부에는, 상기 복수개의 풍향좌우블레이드의 하단이 형상맞춤되어 좌우회동 자유롭게 동작되도록 그 상면 양단 사이에 각각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개의 힌지홀과, 상기 복수개의 풍향좌우블레이드들을 좌우왕복 운동시키도록 그 상면 일측단에 설치된 제2구동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수단은, 상기 좌우블레이드지지부의 상면 일측단에 일체로 형성된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상부 개구에 형성된 복수개의 스냅돌기와 체결나사공에 대응되는 스냅홈 및 나사통과홀을 가진 덮개판의 결합에 의해 그 내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에는 상기 동력전달수단의 랙기어가 좌우 흔들림이 없이 정확히 상하동작되도록 안내하는 랙안내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랙안내부재는 상기 랙기어가 상부를 통하여 삽입되어 상하동작될 수 있도록 전면 중앙 및 상하면이 개방되어져 그 우측벽 중간에 상기 피니언이 통과되어 랙기어와 치형맞춤되도록 형성된 절결부와, 상기 지지수단의 후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스냅돌기와 체결나사공에 각각 대응되게 결합되도록 그 상단 및 하단에 대하여 양측벽에 복수개의 고정홀을 가진 플랜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제1구동수단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피니언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동작되도록 상기 지지수단의 후측에 설치된 랙기어와, 상기 피니언의 회전에 따라 상기 랙기어가 상승동작될때 동시 상승동작되다가 외력에 충돌시 정지됨과 동시에 랙기어와 댐퍼작용에 의해 간격이 좁혀지도록 랙기어의 상단에 탄력적으로 설치된 고정부재와, 상기 랙기어와 고정부재에 각각 관절운동되도록 힌지된 상부 및 하부연결부재와, 상기 개폐문이 상기 좌측 및 우측안내수단의 안내를 받아 상하운동되도록 개폐문, 상부 및 하부연결부재, 좌측 및 우측안내수단을 동시 힌지 결합하는 복수개의 죠인트복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랙기어는 상기 피니언의 회전에 따라 고정부재와 동시 상승동작되다가 고정부재가 외력에 충돌되어 정지될때 댐퍼작용에 의해 좀더 상승되어 고정부재와 간격이 좁혀지도록 고정부재의 하단에 탄력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랙기어에는, 상기 피니언과 치형맞춤되도록 그 일측벽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기어잇빨과, 상기 고정부재가 상부를 통하여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댐퍼작용을 하도록 그 상단에 형성된 수납부와,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수납부에 삽입되어 탄력적으로 결합되도록 그 상단 양측벽에 형성된 걸림홈과, 상기 하부연결부재가 삽입되어 상하회동되도록 그 하단후면에 축홀이 형성된 리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축홀에는 상기 하부연결부재가 힌지되어 상하회동될때 하부링크의 회전운동에 의한 마모를 최소화시키도록 그 양단 내경에 세레이션방식에 의해 각각 형성맞춤된 베어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의 내경에는 상기 리브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고 강제적으로 삽입된 부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바닥면에는 댐퍼부재가 상하방향으로 정확히 댐퍼작용을 하도록 이탈을 방지하는 댐퍼고정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댐퍼부재가 삽입되어 댐퍼작용을 하도록 그 하단에 형성된 삽입부와, 상기 랙기어에 형성된 걸림홈에 탄력적으로 결합하도록 그 상단 양측벽에 일부 절결에 의해 형성된 훅크돌기와, 상기 상부연결부재가 삽입되어 상하회동되도록 그 상단 후면에 축홀을 가진 리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천정에는 상기 댐퍼부재가 상하방향으로 정확히 댐퍼작용을 하도록 이탈을 방지하는 댐퍼고정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훅크돌기에는, 상기 랙기어에 형성된 걸림홈의 상면에 걸려 고정부재가 랙기어의 상부로 분리되지 않게 저지하도록 그 상면에 형성된 수평턱과, 상기 걸림홈의 하면에 밀착되어 있다가 고정부재가 정지될려는 힘과 랙기어가 상승될려는 힘에 의해서 그들 사이간격이 좁혀지게 슬라이드되도록 그 하면에 형성된 경사턱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축홀에는 그 양단 내경에 세레이션방식에 의해 각각 형상맞춤된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의 내경에 상기 리브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고 강제적으로 삽입된 부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재는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재는 그 하단이 상기 랙기어의 상단에 형성된 수납부의 바닥면에 밀착됨과 동시에 그 상단에 상기 고정부재의 하단에 형성된 삽입부의 천정에 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2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연결부재에는, 상기 고정부재와 랙기어에 힌지축을 매개로 각각 힌지결합되도록 그들 전방 중앙에 형성된 축홀을 가진 리브와, 상기 개폐문에 상기 죠인트복스를 매개로 각각 힌지결합되도록 그들 후방 양단에 돌설된 힌지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2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죠인트복스는 상기 상부 및 하부연결부재, 개폐문, 좌측 및 우측안내수단을 하나의 라인으로 동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2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죠인트복스는 그 일측단이 상기 개폐문의 상하부 양측벽을 각각 관통해서 상기 상부 및 하부링크에 돌설된 히지핀의 외경에 결합됨과 동시에 그 타측단이 상기 좌측 및 우측안내수단에 형성된 상부 및 하부레일홈에 안착되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2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죠인트복스에는, 상기 개폐문의 측벽을 탄력적으로 관통되면서 상기 상부 및 하부연결부재의 양단부에 돌설된 힌지핀의 외경에 강압적으로 결합되도록 그 일측단이 외경 일측에 형성된 적어도 1개이상의 훅크돌기를 가진 중공축부와, 상기 좌측 및 우측안내수단의 상부 및 하부레일홈에 선택적으로 삽입 안착되어 미끄럼운동되도록 그 타측단이 형성된 축부와, 상기 중공축부와 축부의 사이에 이들 외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상기 개폐문의 외측벽에 밀착되어 와셔기능을 하는 플랜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3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문의 상부 양측벽에 각각 설치된 죠인트복스는 상기 좌측 및 우측안내수단의 상부레일홈에 각각 끼워맞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3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문의 하부 양측벽에 각각 설치된 죠인트복스는 상기 좌측 및 우측안내수단의 하부레일홈에 각각 끼워맞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32. 공기조화기의 가동이 정지될때 전면판넬에 일정면적으로 개구된 토출구를 통하여 이물질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개폐문을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문이 구동원에 따라 상기 토출구의 상단 높이까지 상승된 후, 경사방식에 의한 미끄럼운동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토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전면판넬에 후측에 개폐문을 상하운동시키는 토출구 개폐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 개폐기는, 상기 개폐문을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케 안내하는 제1안내 수단과, 상기 제1안내수단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개폐문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매개수단과, 상기 매개수단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매개수단을 수직방향으로 안내하는 제2안내수단과, 상기 매개수단의 이동을 필요에 따라 구속하여 상기 개폐문이 실내기본체의 내부전면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수단은, 상기 제1안내수단의 상측내부에 설치된 작동봉과, 상기 작동봉에 탄성복원력을 가하는 탄성수단과, 상기 작동봉에 결합되어 상기 매개수단의 상면에 걸리는 걸림쇠와, 상기 제1안내수단이 실내기본체의 내측상면에 밀착할때 상기 작동봉을 밀어주도록 상기 실내기본체의 내측상면에 설치된 돌기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봉에는, 상기 걸림쇠에 끼워지도록 그 중간부에 상기 작동봉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의 양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봉형상의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의 하측에 상기 탄성수단을 구속하도록 작동봉의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원판형상의 돌출판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쇠에는, 상기 매개수단의 몸체 상면에 걸리도록 그 일측에 돌출된 갈고리형의 턱부와, 상기 작동봉의 날개부에 걸리어 슬라이딩되도록 그 타측에 형성된 복수개의 다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37.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수단은 그 수직방향이동에 대해 상기 개폐문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개폐문과 경사면에 의해 서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38.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문에는, 그 후측으로 돌출된 경사판과, 그 후측에 대하여 상기 경사판의 상하측에 돌출된 제1 및 제2슬라이드봉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061291A 1996-03-21 1996-12-03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KR100215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1291A KR100215045B1 (ko) 1996-03-21 1996-12-03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US08/813,653 US5868617A (en) 1996-03-21 1997-03-07 Discharge outlet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air conditioner
JP9063266A JP2951618B2 (ja) 1996-03-21 1997-03-17 空気調和機の吐出口開閉装置
IDP970873A ID16278A (id) 1996-03-21 1997-03-18 Alat pembuka/tutup saluran pengeluaran dari mesin penyejuk udara
MYPI97001193A MY117720A (en) 1996-03-21 1997-03-20 Discharge outlet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air conditioner
CN97103359A CN1089424C (zh) 1996-03-21 1997-03-20 空调机的排风口开闭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6-7761 1996-03-21
KR19960007766 1996-03-21
KR19960007765 1996-03-21
KR96-7767 1996-03-21
KR201996005542 1996-03-21
KR101996007768 1996-03-21
KR96-5542 1996-03-21
KR96-7764 1996-03-21
KR19960007762 1996-03-21
KR19960007763 1996-03-21
KR19960007764 1996-03-21
KR96-7766 1996-03-21
KR101996007761 1996-03-21
KR101996007762 1996-03-21
KR96-7760 1996-03-21
KR101996007766 1996-03-21
KR19960007769 1996-03-21
KR201996005543 1996-03-21
KR96-7762 1996-03-21
KR96-5543 1996-03-21
KR101996007765 1996-03-21
KR96-7769 1996-03-21
KR19960007768 1996-03-21
KR101996007760 1996-03-21
KR19960007760 1996-03-21
KR19960007767 1996-03-21
KR101996007769 1996-03-21
KR96-7765 1996-03-21
KR19960007761 1996-03-21
KR19960005543 1996-03-21
KR96-7768 1996-03-21
KR101996007764 1996-03-21
KR101996007763 1996-03-21
KR19960005542 1996-03-21
KR101996007767 1996-03-21
KR96-7763 1996-03-21
KR1019960061291A KR100215045B1 (ko) 1996-03-21 1996-12-03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6373A true KR970066373A (ko) 1997-10-13
KR100215045B1 KR100215045B1 (ko) 1999-08-16

Family

ID=27584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1291A KR100215045B1 (ko) 1996-03-21 1996-12-03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868617A (ko)
JP (1) JP2951618B2 (ko)
KR (1) KR100215045B1 (ko)
ID (1) ID16278A (ko)
MY (1) MY1177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527B1 (ko) * 1999-06-05 2004-03-0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공기 조화기의 토출구 개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54696B2 (en) * 2000-06-29 2003-04-29 Collins & Aikman Products Co. Air duct outlets with closeable doors and vehicles incorporating same
US6318105B1 (en) * 2000-08-17 2001-11-20 Carrier Corporation Control box for a room air conditioner
KR100529218B1 (ko) * 2002-01-22 2005-11-21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고층건물의 바람강하 방지 및 실내환기 장치
KR100446494B1 (ko) * 2002-09-12 2004-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KR100622010B1 (ko) * 2004-12-31 2006-09-1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에어컨의 오토셔터 작동장치
CN100356110C (zh) * 2005-10-17 2007-12-19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空调器的室内机
US7817430B2 (en) * 2007-06-12 2010-10-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irflow adjustment in an electronic module enclosure
US20100130121A1 (en) * 2008-11-26 2010-05-27 Ming-Tsung Chiu Air intake switching device for portable air conditioner
CN101900403B (zh) * 2009-05-25 2013-03-2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面板连接结构及空调器
CN101858641B (zh) * 2010-06-18 2012-05-30 广东志高空调有限公司 一种空调柜机出风结构
KR101542123B1 (ko) * 2014-12-31 2015-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토출유닛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CN105588188B (zh) * 2015-02-16 2018-05-25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一种可旋转送风的空调器
CN106338105B (zh) * 2015-07-08 2020-04-10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吸气装置以及吸气方法
CN105241048B (zh) * 2015-10-15 2018-08-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滑动门驱动装置及空气调节装置
KR102363529B1 (ko) * 2016-12-21 2022-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102661384B1 (ko) * 2018-03-07 2024-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08534336A (zh) * 2018-06-01 2018-09-1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运动机构及具有其的空调室内机
CN110887187B (zh) * 2019-11-08 2021-05-1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的出风控制方法
CN111006369B (zh) * 2019-12-17 2021-11-30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传动机构、室内机及空调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12562A (en) * 1927-02-18 1929-05-14 Martin Parry Corp Vehicle door
GB607361A (en) * 1946-01-31 1948-08-30 Wilfrid Overton Improvements relating to sliding doors for vehicles
US4733511A (en) * 1986-03-25 1988-03-29 Milcor Incorporated Gravity closing fire-rated ceiling access do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527B1 (ko) * 1999-06-05 2004-03-0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공기 조화기의 토출구 개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38362A (ja) 1998-02-13
JP2951618B2 (ja) 1999-09-20
US5868617A (en) 1999-02-09
MY117720A (en) 2004-07-31
KR100215045B1 (ko) 1999-08-16
ID16278A (id) 1997-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66373A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US5285596A (en) Door closure apparatus
KR100803818B1 (ko) 미닫이문의 문닫힘장치
KR950008160Y1 (ko) 접는 문 장치
KR101530299B1 (ko) 창 개폐 장치
US6862778B2 (en) Self-supporting device to hinge toward opposite sides
US5355556A (en) Enclosure having reversible door and hinge therefor
KR102405052B1 (ko) 스프링 캠 댐핑장치가 구비된 조립 및 분해용이한 도어힌지장치
KR20050094932A (ko) 폴딩도어장치
KR101880996B1 (ko) 전후 방향 흔들림이 없이 안정적으로 닫히는 양방향 여닫이문
KR100830657B1 (ko) 차량용 트레이
JP2544079B2 (ja) 風向調節装置
KR900011180Y1 (ko) 문짝의 개폐기구
JP3243221B2 (ja) ルーバ機構
US20230287707A1 (en) Lock assembly
KR200357380Y1 (ko) 파티션
JP2729099B2 (ja) ガイドローラ取付装置
KR102055816B1 (ko) 쇼케이스용 자동회전도어
KR101964735B1 (ko) 자동식 개폐창문
JPS627836Y2 (ko)
KR790001218B1 (ko) 문의 양측 개폐장치
JP2003106047A (ja) 自動ドア開閉装置
KR940009648A (ko) 냉장고의 김치실도어 개폐장치
KR950009871Y1 (ko) 자동문의 높이조절장치
JPH024861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