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60653A - 콘덴서를 이용한 전압변환기 - Google Patents

콘덴서를 이용한 전압변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60653A
KR970060653A KR1019970000075A KR19970000075A KR970060653A KR 970060653 A KR970060653 A KR 970060653A KR 1019970000075 A KR1019970000075 A KR 1019970000075A KR 19970000075 A KR19970000075 A KR 19970000075A KR 970060653 A KR970060653 A KR 970060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acitor
diode
voltage
parallel
ser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0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광상
서인성
Original Assignee
한광상
서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6000004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0198235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60000047A external-priority patent/KR0173905B1/ko
Application filed by 한광상, 서인성 filed Critical 한광상
Publication of KR970060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065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5/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 H02M5/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 H02M5/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 H02M5/06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impedances
    • H02M5/08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impedances using capacitor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64Magnetic structures combining different functions, e.g. storage, filtering or transform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67Converter structures employing plural converter units, other than for parallel operation of the units on a single 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ct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전압변환기는 입력전압 양단에 직렬로 접속된 제 1 콘덴서 및 제2 콘덴서와 상기 제1콘덴서 및 제2콘덴서에 대해 각각 병렬로 연결되는 동시에 상호간에는 직렬로 연결된 제1저항 및 제2저항을 포함하고, 콘덴서의 직렬 저항에 따른 분압된 전압을 이용하여 제2콘덴서의 단자전압을 출력전압으로 이용한다. 그밖에도 용도에 따라 여러가지 변형을 통해 다양한 구성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콘덴서를 전압분할용으로 사용하므로 전체적으로 전압변환기의 체적 및 무게를 줄일 수 있다. 즉 기존의 같은 용량의 트랜스는 물론 같은 용량의 SMPS 보다도 그 크기를 최소 1/4에서 최대 1/9 이하까지 줄일 수 있고, 무게 또한 그 최소 1/3에서 최대 1/9까지 줄일 수 있다. 또 콘덴서의 특성상 열의 발생이 거의 없어 종래 트랜스나 SMPS에서의 열손실 등을 줄일 수 있어 효율이 상대적으로 매우 높고 SMPS에서와 같이 별도의 통풍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장치의 크기, 부대비용 등의 면에서 유리하다. 또한 써지나 2차측 노이즈시험에서도 종래의 트랜스나 SMPS 보다 우수한 특성을 가지며, 전압변환용 소재로서 콘덴서를 이용함으로써 SMPS에서 발생하는 EMI 및 고조파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그리고, 용도에 있어서도 그 범위가 제한되어 있는 종래의 전압변환기와는 달리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콘덴서를 이용한 전압변환기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AC입력-AC출력의 전압변환기용으로서, 출력측 콘덴서의 용량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정되는 구성을 갖는 회로도.

Claims (9)

  1. 입력전압 양단에 직렬로 접속된 제1콘덴서 및 제2콘덴서와, 상기 제1콘덴서 및 제2콘덴서에 대해 각각 병렬로 연결되는 동시에 상호간에는 직렬로 접속된 제1저항 및 베2저항을 포함하고, 콘덴서의 직렬 저항에 따른 분압된 전압을 이용하여 제2콘덴서의 단자전압을 출력전압으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변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콘덴서에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제3콘덴서가 상기 제2콘덴서와 함께 하나의 공통연결점을 가지고 배치되고, 이들 제3콘덴서는 스위치수단을 이용하여 제2콘덴서에 선택적으로 병렬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변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콘덴서와 제2콘덴서 사이에는 트라이액이 접속되며, 그 트라이액의 게이트는 제2콘덴서와 직렬로 연결된 초크코일에 연결되어 부하측 단자가 출력측단자에 연결될 경우 상기 제1저항 및 제2저항을 통해 상기 제2콘덴서에 축적된 전류가 초크코일을 통해 트라이액의 게이트에 인가되고, 상기 제1콘덴서와 제2콘덴서 양단에 분압전압이 형성되며, 그 결과 상기 제2콘덴서의 분압전압이 부하측에 공급되는 출력전압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변환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콘덴서의 일단과 출력측 일단 사이에는 트랜스가 접속되고, 상기 제1콘덴서와 제2콘덴서 사이에는 트라이액 및 제4콘덴서를 포함하는 위상제어시스템이 배치되며, 상기 트랜스의 2차측 권선은 포토커플러가 연결되고 이 포토커플러의 수광부측의 가변저항은 상기 위상제어시스템의 제4콘덴서와 직렬연결되며, 상기 트랜스의 전압의 변화에 따라서 포토커플러의 저항값이 변화하고, 결과적으로 상기 제4콘덴서의 용량이 변화함에 따라 가변저항에 의해 설정된 위상점호각이 변화하여 출력전압을 레귤레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변환기 .
  5. 제1항에 있어서, 입력단자 양단에 배치된 제5콘덴서 및 이 제5콘덴서와 직렬로 연결된 코일을 포함하는 노이즈제거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콘덴서 양단을 입력으로하고 부하측 출력단자를 출력으로하여 정류다이오드가 접속되며, 이 정류다이오드로부터 정류된 직류전압을 충전하여 출력하는 직류용 제6콘덴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변환기.
  6. AC입력단자 양단에 상호 직렬로 연결된 제1저항 및 제2저항과 상기 제1저항과 병렬로 접속된 교류용 제1콘덴서와, 상기 제2저항과 병렬로 접속되면서 상기 제1콘데서와는 직렬로 접속되는 직류용 제2콘덴서 및 직류용 제3콘덴서와 상기 제2저항과 병렬로 접속되면서 상기 제2콘덴서 및 제3콘덴서와는 직렬로 접속되는 교류용 제4콘덴서와, 상기 직류용 제2콘덴서 및 직류용 제3콘덴서의 플러스 전극과 극성이 일치하면서 이들 제2콘덴서및 제3콘덴서에 대해 각각 병렬로 배치된 제1다이오드 및 제2다이오드와, 상기 제2콘덴서 및 제3콘덴서 양단의 전압을 정류하는 제3다이오드 및 제4다이오드와, 일차측코일이 상기 제1콘덴서와 제2콘덴서 사이에 배치되고, 이차측코일이 상기 제3다이오드 및 제4다이오드의 플러스극성과 DC출력의 플러스 극성 사이에 접속되는 트랜스와, 상기 제3다이오드 및 제4다이오드로부터 정류된 직류전류를 충전하는 직류용 제5콘덴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변환기
  7. AC입력단자 일측에 상호 병렬로 연결된 제1제항 및 교류용 제1콘덴서와, 상기 제1콘덴서와 직렬로 접속되는 직류용 제2콘덴서 및 직류용 제3콘덴서와, 상기 제2콘덴서 및 제 3콘덴서와는 직렬로 접속되면서 상호 병렬로 접속되는 제2저항 및 교류용 제4콘덴서와, 상기 직류용 제2콘덴서 및 직류용 제3콘덴서의 플러스 전극과 극성이 일치하면서 이들 제2콘덴서 및 제3콘덴서에 대해 각각 병렬로 배치된 제1다이오드 및 제2다이오드와,상기 제2콘덴서 및 제3콘덴서 양단의 교류전압을 정류하는 제3다이오드 및 제4다이오드와, 상기 제3다이오드및 제4다이오드로부터 정류된 직류전류를 충전하는 직류용 제5콘덴서와, 상기 직류용 제5콘덴서의 마이너스 단자와 극성이 일치하게 배치된 역저지내압용 제5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변환기
  8. AC입력단자 양단에 접속된 제1콘덴서와, 상기 제1콘덴서와 직렬로 연결된 브리지형 정류다이오드와, 상기 정류다이오드의 직류출력단에 연결된 릴레이와, 상기 릴레이를 통해 상기 정류다이오드의 직류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전압을 충전하는 제2콘덴서와, 상기 릴레이와 부하측의 일단 사이에 접속된 네온램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용 전압변환기.
  9. AC입력단자 양단에 직렬로 배치된 교류용 제1콘덴서, 교류용 제2콘덴서 및 교류용 제3콘덴서와, 상기 제2콘덴서의 일단과 제3콘덴서의 접지된 일단 사이의 교류전압을 정류하는 제1다이오드 및 제2다이오드와, 이들 제1다이오드 및 제2다이오드와는 극성을 일치시켜 병렬로 접속되면서 상호간에는 직렬로 접속된 직류용 제4콘덴서 및 직류용 제5콘덴서와, 상기 직류용 제4콘덴서의 플러스 단자와 상기 직류용 제5콘덴서의 마이너스 단자와 극성을 일치시켜 직류전압을 충전하는 직류용 제6콘덴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변환기
KR1019970000075A 1996-01-04 1997-01-06 콘덴서를 이용한 전압변환기 KR9700606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0048A KR100198235B1 (ko) 1995-01-10 1996-01-04 이온주입장치, 이온주입방법 및 반도체장치
KR1019960000047A KR0173905B1 (ko) 1996-01-04 1996-01-04 고객정보 처리결과 자동통보 서비스 방법
KR96-48 1996-01-05
KR96-47 1996-01-05
KR96-762 1996-01-17
KR19960000762 1996-01-17
KR96-6370 1996-03-11
KR19960006370 1996-03-11
KR96-32927 1996-10-07
KR19960032927 1996-10-07
KR96-32928 1996-10-07
KR19960032928 1996-10-07
KR19960053335 1996-11-12
KR96-53335 1996-11-12
KR96-53336 1996-11-12
KR19960053336 1996-11-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0653A true KR970060653A (ko) 1997-08-12

Family

ID=65953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0075A KR970060653A (ko) 1996-01-04 1997-01-06 콘덴서를 이용한 전압변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6065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09235B1 (en) Phase-shifted resonant converter having reduced output ripple
US5896279A (en) Constant-voltage clamping forward conversion switching power supply
US6867575B2 (en) Switching mode power supply incorporating power line filter
JP2796526B2 (ja) 電源変換回路
KR960032861A (ko) 직류콘버터장치
EP0058399B1 (en) High frequency switching circuit
JP3159261B2 (ja) スナバ回路並びにそれを用いた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970060653A (ko) 콘덴서를 이용한 전압변환기
EP0665632A2 (en) Switching power source apparatus
JPH0681498B2 (ja) スナバ回路
JP3100526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3670419B2 (ja) 交流入力用電源装置
JPS5853195A (ja) 放電灯点灯装置
JP3401923B2 (ja) 1石電流複合共振型コンバーター回路
JP4253808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3587907B2 (ja) 直流電源装置
RU1821305C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дуговой сварки на переменном токе
JP3590152B2 (ja) 直流電源装置
JP3225271B2 (ja) 電子交流降圧回路
JPS6227030Y2 (ko)
SU1170572A1 (ru)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посто нного напр жени
JPS5941600Y2 (ja) X線装置
SU838947A1 (ru) Сглаживающий фильтр
JP3291507B2 (ja) 放電灯用インバータ装置
KR960036851A (ko) 전원장치, 방전등점등장치 및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