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26306A - 전기 자동차의 제동성 증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자동차의 제동성 증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26306A
KR970026306A KR1019950043935A KR19950043935A KR970026306A KR 970026306 A KR970026306 A KR 970026306A KR 1019950043935 A KR1019950043935 A KR 1019950043935A KR 19950043935 A KR19950043935 A KR 19950043935A KR 970026306 A KR970026306 A KR 970026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vehicle
vehicle
state
control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3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74093B1 (ko
Inventor
임현택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1019950043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4093B1/ko
Publication of KR970026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6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4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40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7/00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 B60L7/10Dynamic electric regenerative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2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 B60L15/2009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for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6Structural association of a motor or generator with the drive train of a motor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Abstract

전기 자동차의 주행 속도를 감소시키거나 제동 동작을 실행할 경우 전기 자동차의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별도의 발전기를 작동시켜 전기 자동차의 구동력을 감소시키므로 제동성을 향상시키고 브레이크 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한 전기 자동차의 제동성 증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하여, 전기 자동차의 제동성 증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하여, 전기 자동차의 주행 속도에 따라 출력되는 전기 신호의 상태가 변화하는 차속 감지 수단과; 전기 자동차의 주행 속도의 감속 동작을 위한 제동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장착되는 브레이크 페달의 동작 상태에 따라 출력되는 전기 신호의 상태가 변화하는 브레이크 동작 감지 수단과;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기 신호에 의해 동작 상태가 변화하여 전기 자동차의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발전 동작을 실행하는 보조 발전기와; 상기 보조 발전기와 연결되어, 외부에서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 상태가 변화하여 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보조 발전기의 연결 상태를 제어하는 동력 단속 수단과; 상기 차속 감지 수단과 브레이크 동작 감지 수단과 연결되어, 전기 자동차의 주행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해 제동 동작이 실행되고 자동차가 정차 상태가 아닐 경우, 상기 동력 단속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보조 발전기와 충전 제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전기 자동차의 제동성 증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제동성 증대 장치의 블럭도이고,
제2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제동성 증대 제어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Claims (7)

  1. 전기 자동차의 주행 속도에 따라 출력되는 전기 신호의 상태가 변와하는 차속 감지 수단과; 전기 자동차의 주행 속도의 감속 동작을 위한 제동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장착되는 브레이크 페달의 동작 상태에 따라 출력되는 전기 신호의 상태가 변화하는 브레이크 동각 감지 수단과;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기 신호에 의해 동작 상태가 변화하여 전기 자동차의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발전 동작을 실행하는 보조 발전기와; 상기 보조 발전기와 연결되어, 외부에서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 상태가 변화하여 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보조 발전기의 연결 상태를 제어하는 동력 단속 수단과; 상기 차속 감지 수단과 브레이크 동작 감지 수단과 연결되어, 전기 자동차의 주행 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해 제동 동작이 실행되고 자동차가 정차 상태가 아닐 경우, 상기 동력 단속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보조 발전기와 충전 제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전기 자동차의 제동성 증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보조 발전기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동작 제어 수단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 상태가 변화하여 보조 발전기를 통해 인가되는 전력을 축전지(34)에 충전시키기 위한 동작을 실행하는 충전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제동성 증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브레이크 동작 감지 수단은, 전기 자동차의 주행 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한 브레이크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장착되는 브레이크 페달의 동작 상태에 따라 온/오프 상태가 변화하여 출력되는 전기 신호의 상태가 변화하는 브레이크 동작 감지 스위치(S1)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제동성 증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단속 수단은, 동작 제어 수단에서 출력되는 전기 신호에 의해 발생하는 자계에 의해 동작상태가 변화하는 마그네틱 클러치(33)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제동성 증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 수단은, 차속 감지 수단과 브레이크 동작 감지 수단과 연결되어, 전기 자동차의 주행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해 제동 동작이 실행되고 자동차가 정차 상태가 아닐 경우, 충전 제어 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제동성 증대 장치.
  6. 브레이크 동작 감지 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브레이크 장치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된 브레이크 장치가 동작 상태일 경우, 차속 감지 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자동차의 주행 속도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된 자동차의 주행 속도가 "0"이 아닐 경우, 보조 발전기와 모터의 회전축을 연결시키기 위해 동력 단속 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판단된 자동차의 주행 속도가 "0"이 아닐 경우, 동력 단속 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의 출력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제어 신호가 출력중일 경우 제어 신호의 출력을 중지시켜 동력 단속 수단을 동작을 해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제동성 증대 제어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판단된 자동차의 주행 속도가 "0"이 아닐 경우, 보조 발전기에서 발전되는 전력을 축전지(34)에 충전하기 위해, 충전 제어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판단된 자동차의 주행 속도가 "0"이 아닐 경우, 충전 제어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의 출력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제어 신호가 출력 중일 경우 제어 신호의 출력을 중지시켜 축전지(34)의 충전 동작을 중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제동성 증대 제어 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50043935A 1995-11-27 1995-11-27 전기 자동차의 제동성 증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0174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3935A KR0174093B1 (ko) 1995-11-27 1995-11-27 전기 자동차의 제동성 증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3935A KR0174093B1 (ko) 1995-11-27 1995-11-27 전기 자동차의 제동성 증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6306A true KR970026306A (ko) 1997-06-24
KR0174093B1 KR0174093B1 (ko) 1999-05-01

Family

ID=19435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3935A KR0174093B1 (ko) 1995-11-27 1995-11-27 전기 자동차의 제동성 증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409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5439A (ko) * 1999-02-06 2000-09-05 정몽규 전기 자동차용 발전시스템
KR101244811B1 (ko) * 2005-10-07 2013-03-18 알스톰 트랜스포트 에스에이 Dc/ac 전압 변환기의 입력에서 직류전압을 유지하는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및 전기 자동차
KR101403788B1 (ko) * 2011-12-08 2014-06-11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브레이크력을 이용한 회생동력 충전장치
KR20200070206A (ko) * 2019-08-07 2020-06-17 김형철 에너지회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군사장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7885B1 (ko) * 2019-08-07 2021-09-30 김형철 에너지회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륜차
KR102309415B1 (ko) * 2019-08-07 2021-10-05 김형철 에너지회수장치
KR102395964B1 (ko) * 2020-06-11 2022-05-09 김형철 센싱 기술을 이용한 에너지회수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5439A (ko) * 1999-02-06 2000-09-05 정몽규 전기 자동차용 발전시스템
KR101244811B1 (ko) * 2005-10-07 2013-03-18 알스톰 트랜스포트 에스에이 Dc/ac 전압 변환기의 입력에서 직류전압을 유지하는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및 전기 자동차
KR101403788B1 (ko) * 2011-12-08 2014-06-11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브레이크력을 이용한 회생동력 충전장치
KR20200070206A (ko) * 2019-08-07 2020-06-17 김형철 에너지회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군사장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74093B1 (ko) 1999-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5536A (ko) 차량용 전원장치
CN103459190B (zh) 电动汽车及其速度控制方法
JP2005067409A (ja) 電動駐車ブレーキ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3228438B2 (ja) ハイブリッド型車両
KR970026306A (ko) 전기 자동차의 제동성 증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H11215610A (ja) 電動車両の運転制御装置
JPH08308020A (ja) 補助加速装置および補助制動装置
WO2017169180A1 (ja) 車両駆動装置および電気車両
KR100256737B1 (ko) 전기 자동차의 충전장치 및 방법
KR970066149A (ko) 전자석을 이용한 브레이크장치
KR980008918A (ko) 플러깅 모드를 이용한 전동지게차의 브레이크 장치
KR960003033A (ko) 자동차용 발전장치
KR970036327A (ko) 전기 자동차의 희생 제동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H11168802A (ja) 制動制御装置
KR950015902A (ko) 자동차용 충전발전기 제어장치
JP7371413B2 (ja) 電動車両の運転支援装置
JP2580478Y2 (ja) 電気自動車の回生ブレーキ制御装置
JPH08237805A (ja) 回生制動装置
JP3418700B2 (ja) 電動車の走行制御装置
JP4698063B2 (ja) 電気自動車のモータ制御装置
JP2561554B2 (ja) 自動車の電気制動および補助加速装置
KR100256739B1 (ko) 전기 자동차의 제동 제어장치 및 방법
JP2000013904A (ja) 電気自動車のトルク制御装置
KR100256736B1 (ko) 전기 자동차의 제동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335935B1 (ko) 전기자동차의 제동 에너지 재생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