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5417A - 유체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체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5417A
KR970015417A KR1019960039967A KR19960039967A KR970015417A KR 970015417 A KR970015417 A KR 970015417A KR 1019960039967 A KR1019960039967 A KR 1019960039967A KR 19960039967 A KR19960039967 A KR 19960039967A KR 970015417 A KR970015417 A KR 970015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dispensing
bag
distribution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9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이비드 엘리오브손 로빈
에드워드 호란 토마스
크리스토퍼 다우어 존
Original Assignee
알렉스 나단 굿맨
레전드 인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렉스 나단 굿맨, 레전드 인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알렉스 나단 굿맨
Publication of KR970015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541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65D77/062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polygonal containers formed by folding a carton blank
    • B65D77/064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polygonal containers formed by folding a carton blank comprising discharging means formed by cutting a part, e.g. a corner, of the flexibl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요성 시트 재료로 절첩되고 측벽들과, 바닥 밀폐부와, 상부 밀폐부를 갖는 상자를 포함하는, 백이 상자 안에 위치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체식 분배구 형성부가 측벽들중 하나 및 상부 밀폐부 사이에 형성된다. 분배구 형성부는 측벽에 대한 하부 절첩선을 따라 절첩되는 하부 돌출벽과, 상부 밀폐부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후방부와 적어도 하나의 상부 절첩선에 의해 후방부로부터 구별되는 전방 돌출 날개부를 갖는 상부벽 배열을 포함한다. 상부 벽은 상부 밀폐부와 하부 돌출벽의 평면 위로 상향으로 구부려지도록 예비 성형되어, 분배구 형성부가 상승된 분배 위치일 때 하부 돌출벽과 함께 분배 통로를 한정하고, 분배구가 측벽에 대해 하강된 위치로 하향 절첩되었을 때는 하부 돌출벽을 향해 접어지게 한다. 유체 기밀 백이 상자에 끼워지도록 배열되고, 분배 통로내에 위치한 내부 분배구를 갖는다. 내부 분배구의 선단은 분배구 형성부의 선단내에 포개지도록 배열되어 양 선단이 단일 절단 작업으로 동시에 절단되어 백내의 유체에 접근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백이 상자안에 위치한 용기의 성형 방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체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용기 분배구가 하강 밀봉 위치인 본 발명의 유체 용기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
제2도는 중간 상승위치의 제1도의 분배구의 상세도,
제3도는 그 단부가 절단되고 상승 위치인 제2도의 분배구를 도시한 도면,
제4도는 그로부터 제1도의 유체 용기가 형성된 블랭크의 평면도.

Claims (29)

  1. 유체 용기에 있어서, 가요성 시트 재료로 절첩된 상자와, 상자에 끼워지게 배열된 유체 기밀 백을 포함하고, 상자는 측벽들과, 바닥 밀폐부와, 상부 밀폐부와, 측벽들중 하나 및 상부 밀폐부 사이에 형성된 일체식 분배구 형성부를 갖고, 분배구 형성부는 손상 지시 수단과, 측벽에 대한 하부 절첩선을 따라 절첩되는 하부돌출벽과, 분배구 형성부가 상승된 분배 위치일 때 하부 돌출벽과 함께 분배 통로를 한정하고 분배구가 측벽에 대해 하강된 위치로 하향 절첩될 때 하부 돌출벽을 향해 접어지도록 예비 형성된 상부 벽 배열을 갖고, 백은 분배구 통로내에 위치한 내부 분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내부 분배구의 선단이 분배구 형성부의 선단내에 포개지도록 배열되어, 백 안의 유체에 접근하기 위해 양 선단이 한 번의 절단 작업으로 동시에 절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용기.
  3.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부벽 배열은 상부 밀폐부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후방부와, 적어도 하나의 상부 절첩선에 의해 후방부로부터 구별되고 하부 돌출벽 위에 놓이는 전방 돌출 날개부를 갖고, 상부벽은 분배구 통로를 한정하기 위해 상부 밀폐부 및 하부 돌출벽 평면 위로 상향으로 구부려지도록 예비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용기.
  4.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체 기밀 백의 내부 분배구를 한정하는 대향 벽들은 백이 일단 개방된 후 유체가 백으로부터 엎질러지지 않도록 분배구가 하강 위치에 있을 때 분배구 형성부의 상부 및 하부절첩선들을 따라 상부 벽 배열 및 하부 돌출 벽 사이로 밀봉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용기.
  5.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부벽 배열은 상부 밀폐부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제1 및 제2후방부와, 제1 및 제2상부 절첩선에 의해 후방부들로부터 구별되는 제1 및 제2전방 돌출 날개부를 갖는 제1 및 제2중첩 상부벽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용기.
  6.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부 분배구는 분배구 형성부의 하부벽 및 상부벽 배열의 내부면들에 고정된 그 상부 및 하부벽들을 가짐으로써 분배구 형성부와 일치하여 개폐되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용기.
  7. 제5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후방부는 분배구가 하강된 밀봉 위치일 때 상부 밀폐부와 같은 평면이고, 분배구가 상승된 분배 위치일 때 밀폐부의 평면위로 각도를 이루는 제1 및 제2후방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후방 패널은 상자의 대향 상부 모서리들로부터 내측으로 대각선으로 연장되는 제1주름선들과, 제1 및 제2절첩선들을 형성하고 하부 절첩선과 겹치도록 배열된 제2주름선들에 의해 한정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용기.
  9. 상기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배구 형성부를 측벽에 대한 하강 위치에 보유하는 보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보유 수단은 분배구 형성부가 증가하는 저항에 대항하여 절첩될 때 대향 인접 측벽들이 수렴하여 저항을 경감시키고 분배구 형성부를 측벽에 대해 바이어스하려는 힘을 발생시키도록 내측으로 구부려지도록 예비성형된 측벽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용기.
  11.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유 수단은 분배구 형성부의 내부면을 측면에 임시 접착하는 접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용기.
  12. 유체 용기에 있어서, 가요성 시트 재료로부터 절첩된 상자를 포함하고, 상자는 측벽들과, 바닥벽과, 상부벽과, 측벽들 중 하나 및 상부벽 사이에 형성되고 측벽들 중 하나로부터 연장된 일체식 분배구 형성부를 갖고, 분배구 형성부는 손상 지시 수단과, 측벽에 대한 하부 절첩선을 따라 절첩되는 하부 돌출벽과, 상부벽에 대한 상부 절첩선을 따라 절첩되는 상부 돌출벽과, 각 상부벽 및/또는 측벽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상부 및/또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부 및/또는 측벽부는 그것이 연결되는 상부벽 또는 측벽의 평면을 넘어 연장되고, 분배구 형성부가 상승된 분배 위치로 상승되었을 때 하부 및 상부 돌출벽들과 함께 개방된 분배구 통로를 한정하고, 분배구 형성부가 측벽에 대해 하강된 위치로 하향 절첩되었을 때 막힌 분배 통로를 한정하도록 예비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용기.
  13. 유체 용기에 있어서, 가요성 시트 재료로 절첩된 상자를 포함하고, 상자는 측벽들과, 바닥벽과, 상부벽과, 측벽들 중 하나 및 상부벽 사이에 형성되고 측벽들 중 하나로부터 연장된 일체식 분배구 형성부를 갖고, 분배구 형성부는 손상 지시 수단과, 측벽에 대한 하부 절첩선을 따라 절첩되는 하부 돌출벽과, 상부벽에 대한 상부 절첩선을 따라 절첩되는 상부 돌출벽과, 상기 상부벽 및/또는 측벽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상부 및/또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부 및/또는 측벽부는 그것이 연결되는 상부벽 또는 측벽의 평면을 넘어 연장되고, 분배구 형성부가 상승된 분배 위치로 상승되었을 때 하부 및 상부 돌출벽들과 함께 개방된 분배구 통로를 한정하고, 분배구 형성부가 측벽에 대해 하강된 위치로 하향 절첩되었을 때 막힌 분배 통로를 한정하도록 예비성형되고, 분배구 형성부는 상부 돌출벽과, 하부 돌출벽과, 측벽부를 갖고, 측벽부는 측벽의 중심지점으로부터 상자의 대향 상부 모서리들을 향해 연장되는 제1 및 제2오목 주름선들에 의해 용기의 측벽의 잔여부로부터 구별되는 제1 및 제2삼각형 패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용기.
  14.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체 기밀 백이 상자로 끼워지도록 배열되고, 백은 분배구 통로내에 고정된 내부 분배구를 갖고, 내부 분배구의 선단이 분배구 형성부의 선단내에 포개어 위치하도록 배열되어, 양 선단들이 백내의 유체에 접근할 수 있도록 단일 제거 작업에 의해 동시에 제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용기.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 절첩선들은 그것들이 개방된 분배구 통로내에서 대체로 삼각형 또는 사변형 개구를 한정하는 상승된 분배 위치로 분배 개구가 상승될 때의 개방 위치와, 그것들이 상자의 상부 및 측벽들 사이의 모서리 에지와 평행하고 그와 대체로 일치하는 분배 개구 형성부가 측벽에 대해 하강된 위치로 절첩될 때의 폐쇄된 위치 사이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용기.
  16. 제12항에 있어서, 분배구 형성부는 상부 돌출벽과, 하부 돌출벽과 측벽부를 포함하고, 측벽부는 측벽의 중심 지점으로부터 상자의 대향 상부 모서리들을 향해 연장되는 제1 및 제2오목 주름선들에 의해 용기의 측벽의 잔여부로부터 구별되는 제l 및 제2삼각형 패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용기.
  17. 제13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삼각형 패널들은 대응하는 제1 및 제2삼각형 분배구 패널들을 한정하도록 분배구 형성부의 하부 돌출벽으로 연장되는 중심 주름선을 따라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용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삼각형 벽 패널들은 대응하는 제1 및 제2삼각형 분배구 패널들과, 분배구 형성부가 상승된 분배 위치일 때, 동일 평면이고, 중심 주름선은 볼록이고, 측벽의 잔여부는 내측으로 구부려져서 분배구 형성부가 상승된 분배 위치일 때의 강성 자기 지지 구조를 한정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용기.
  19. 제18항에 있어서, 분배구 형성부는 하부 절첩선 및 중심 주름선의 교차점에 위치한 지점에 대해 내측으로 붕괴됨으로써 상승된 분배 위치로부터 밀폐된 위치로 이동되고, 중심 주름선의 볼록부는 분배구 형성부가 측벽에 대해 하향 절첩될 때 오목 형상으로 역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용기.
  20. 제12항에 있어서, 개방된 분배구 통로를 한정하도록 각 상부벽 및 측벽들의 평면을 넘어 연장되고 외측으로 구부려지도록 예비 성형된 상부 및 측벽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용기.
  21. 제1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분배구 형성부의 선단은 천공된 절단선에 의해 구별되고, 백의 선단은 천공된 절단선의 아래에 놓인 취약선에 의해 구별됨으로써, 상자의 선단 및 백의 선단이 동시에 절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용기.
  22. 제1항 내지 제11항, 제12항 및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손상 지시 수단은 분배구를 상승된 분배위치로 상승시킬 때 파괴되도록 배열된 절취 태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용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절취 태그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부 또는 하부 돌출벽내의 천공된 절취선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용기.
  24. 유체 용기 성형 방법에 있어서, 가요성 시트 재료로부터 절단된 상자용 블랭크를 제공하는 단계, 블랭크를 대향 주측벽들과, 대향 부측벽들과, 측벽들의 작동 하부 모서리부로부터 연장되고 바닥 개구를 한정하는 복수의 바닥 패널들과, 측벽들의 상부 모서리로부터 연장되고 상부 개구를 한정하는 복수의 상부 패널들을 포함하고, 상부 패널은 커버 플랩과, 주측벽에 힌지 고정된 대향 하부 플랩과, 부측벽과 커버 플랩과 하부플랩에 힌지 고정된 제1 및 제2대향 날개 패널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개방 단부 기둥으로 성형하는 단계, 기부 단부 및 상부 단부를 갖는 충전된 유체 기밀 백을 제공하는 단계, 백의 상부 단부에 대해 플런저를 가압하여 백의 기부 단부를 상부 개구를 통해 삽입하고, 백은 플런저의 한 쪽으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이어를 한정하도록 예비 성형되고, 이어는 개방 단부 원통으로의 백의 완전한 삽입시 제1날개 패널의 작동내부면에 대해 위치되도록 배열되는 단계, 및 커버 플랩을 하부 플랩위로 절첩하고, 제1 및 제2날개 패널을 측면 패널 위로 절첩하고, 제1날개 패널은 분배구 형성부를 형성하고, 백의 이어는 분배구 형성부와 포개어지는 내부 분배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돌출 이어의 작동 하부면을 제1날개 패널의 작동 내부면에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접착제가 백을 상자에 완전히 삽입하기 직전에 이어의 작동 하부편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28항에 있어서, 접착제 노즐이 백을 상자에 삽입하기 직전에 제1날개 패널의 내부면에 대해 위치되고, 접착제가 상자의 삽입후 노즐을 통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24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백의 삽입전에, 백의 삽입시 공기가 탈출할 수 있도록 플랩들 사이에 한정된 환기구를 갖고 한 쌍의 대향 측면 바닥 플랩들을 내측으로 서로를 향해 절첩하는 단계와, 백의 기부 단부와 측면 바닥 플랩들의 작동 상부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 바닥플랩을 측면 바닥 플랩들 위로 절첩하여 백의 기부 단부를 그 같이 형성된 바닥 밀폐부에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유체 용기용 블랭크에 있어서, 제12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상자를 성형하기 위해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랭크.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039967A 1994-11-16 1996-09-14 유체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KR9700154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ZA949092 1994-11-16
ZA957731 1995-09-14
ZA95/7731 1995-09-14
WOGB95/02690 1995-11-16
US08/680,025 US5820017A (en) 1994-11-16 1996-07-15 Fluid container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US08/680,025 1996-07-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5417A true KR970015417A (ko) 1997-04-28

Family

ID=27142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9967A KR970015417A (ko) 1994-11-16 1996-09-14 유체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5820017A (ko)
EP (1) EP0739298B1 (ko)
JP (1) JPH10502028A (ko)
KR (1) KR970015417A (ko)
CN (1) CN1145055A (ko)
AR (1) AR000484A1 (ko)
AT (1) ATE174863T1 (ko)
AU (2) AU3875395A (ko)
BR (1) BR9506617A (ko)
CA (1) CA2181269A1 (ko)
DE (1) DE69506841T2 (ko)
IL (1) IL116037A0 (ko)
MX (1) MX9602780A (ko)
TW (1) TW293000B (ko)
WO (1) WO19960150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4358297A (en) 1996-10-28 1998-04-30 Legend Incorporation Ltd Fluid container with pouring spout
SG128420A1 (en) * 1998-12-22 2007-01-30 Ricoh Kk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JP3682278B2 (ja) * 2002-09-05 2005-08-10 株式会社シンセイ 箱形パッケージの閉塞シール部の折り当て貼着方法
US7571835B2 (en) * 2002-11-13 2009-08-11 Smurfit-Stone Container Enterprises, Inc. Bag-in-box beverage container
US7007825B2 (en) * 2002-11-13 2006-03-07 Smurfit-Stone Container Enterprises, Inc. Bag-in-box beverage container
US20050274782A1 (en) * 2004-06-10 2005-12-15 Petrelli J A Blank capable of forming a container having an integral pour spout
US20050274781A1 (en) * 2004-06-10 2005-12-15 Petrelli J A Reclosable container having an integral pour spout
JP5052018B2 (ja) * 2006-03-14 2012-10-17 スターウェイ株式会社 収納箱
WO2008019385A1 (en) 2006-08-08 2008-02-14 Kellogg Company Flexible container for pourable product
US8066137B2 (en) 2007-08-08 2011-11-29 Clear Lam Packaging, Inc. Flexible, stackable container including a lid and package body folded from a single sheet of film
US8231024B2 (en) 2007-08-08 2012-07-31 Clear Lam Packaging, Inc. Flexible, stackable container and method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same
WO2010054226A2 (en) 2008-11-06 2010-05-14 Clear Lam Packaging, Inc. Flexible, stackable container and method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same
CA2888741C (en) 2012-10-26 2022-01-04 James J. Sanfilippo Flexible packag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0207850B2 (en) 2012-10-26 2019-02-19 Primapak, Llc. Flexible package and method of making same
ES2856251T3 (es) 2014-05-19 2021-09-27 Primapak Llc Aparato y método para fabricar un envase flexible
JP6660120B2 (ja) * 2015-08-25 2020-03-04 日本製紙株式会社 詰め替え用液状内容物収容用紙製内容器
JP6873107B2 (ja) 2015-09-18 2021-05-26 プリマパック・エルエルシー 可撓性の包装を作製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CN107187692A (zh) * 2017-05-12 2017-09-22 上海普丽盛包装股份有限公司 一种液体密封包装容器
CN113195364B (zh) * 2018-12-11 2023-09-22 诺力昂化学品国际有限公司 用于包装颗粒材料、糊膏或凝胶的方法
CN111497329B (zh) * 2020-04-03 2022-04-15 上海普丽盛包装股份有限公司 一种密封容器的预压成形装置
WO2022070019A1 (en) * 2020-09-29 2022-04-07 Great Stuff Design Ltd. Container and container blanks with integral retractable pouring spout
DE102020130709A1 (de) * 2020-11-20 2022-05-25 Focke & Co. (Gmbh & Co. Kg) Packung für Produkte der Tabakindustri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51202A (en) * 1937-09-02 1939-03-21 Waldorf Paper Prod Co Reclosing carton
US2982461A (en) * 1955-03-10 1961-05-02 Pneumatic Scale Corp Package
US3339820A (en) * 1965-08-18 1967-09-05 Milprint Inc Closure for the outer carrier in a combination package
US3795359A (en) * 1971-11-19 1974-03-05 Tetra Pak Int Parallellepipedic package
DE2208891A1 (de) * 1972-02-25 1973-08-30 Altstaedter Verpack Vertrieb Verpackung mit einfacher ausgusstuelle
US4245743A (en) * 1979-03-12 1981-01-20 Carl Edelmann Gmbh Tear-open packing means, particularly for liquids such as oil or similar
FR2552403B1 (fr) * 1983-09-27 1986-07-04 Massilia Sa Cafe Conditionnement verseur pour produits consommables en grains ou pulverulents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US4546884A (en) * 1983-11-02 1985-10-15 James River - Norwalk, Inc. Tear strip end closure on liquid tight carton
EP0300211A1 (de) * 1987-07-23 1989-01-25 PKL Verpackungssysteme GmbH Packung aus flächigem Material, wie Papier, Karton oder dergleichen, insbesondere quaderförmige Flüssigkeitspackung aus Karton-Kunststoff-Verbundmaterial
FR2680763B1 (fr) * 1991-08-30 1995-04-07 Franssen Jean Christophe Conteneur composite deployable comportant une caisse en carton enfermant un sac souple.
GB9421722D0 (en) * 1994-10-28 1994-12-14 Elopak Systems Packag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502028A (ja) 1998-02-24
AU6211096A (en) 1996-10-17
DE69506841T2 (de) 1999-05-20
TW293000B (ko) 1996-12-11
WO1996015047A1 (en) 1996-05-23
MX9602780A (es) 1997-06-28
EP0739298B1 (en) 1998-12-23
DE69506841D1 (de) 1999-02-04
CN1145055A (zh) 1997-03-12
CA2181269A1 (en) 1996-05-23
EP0739298A1 (en) 1996-10-30
AR000484A1 (es) 1997-07-10
ATE174863T1 (de) 1999-01-15
BR9506617A (pt) 1997-09-16
US5820017A (en) 1998-10-13
AU3875395A (en) 1996-06-06
IL116037A0 (en) 1996-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15417A (ko) 유체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US5040685A (en) Soft pack, especially paper tissue pack
CA1100894A (en) Opening of containers
US5121879A (en) (foil) pack, especially for paper tissues
US2750096A (en) Paper containers
US5000320A (en) Paperboard carton having a pour spout and blank for forming the same
US5190155A (en) Tamper proof folding box
US5678755A (en) Paperboard carton having a pour spout and blank for forming the same
US2903175A (en) Folding box
US4569443A (en) Carton with tamper-proof pouring spout
US4944406A (en) Carton with pour spout
US2361876A (en) Package and method of forming same
US5749462A (en) Improvements in flip-top type carton containers
US6520404B1 (en) Carton, method of forming same, and carton blank
US3366311A (en) Perforated top reclosable carton
US4245743A (en) Tear-open packing means, particularly for liquids such as oil or similar
US2263957A (en) Container
EP0618870B1 (en) Package and blank for making the same
US2989224A (en) Box with pouring spout
US5033622A (en) Carton and blank for packaging ice cream and the like
US4032061A (en) Pour spout
US4953707A (en) Box with pouring spout
US5573177A (en) Reclosable hinged flap
US4154346A (en) Tear-open packing means, particularly for liquids such as oil or the like
US6726088B2 (en) Carton and carton bla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