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4597A - 필수 미량양분이 함유된 곡물스넥의 제조방법 및 영양곡물스넥 - Google Patents

필수 미량양분이 함유된 곡물스넥의 제조방법 및 영양곡물스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4597A
KR970014597A KR1019950032500A KR19950032500A KR970014597A KR 970014597 A KR970014597 A KR 970014597A KR 1019950032500 A KR1019950032500 A KR 1019950032500A KR 19950032500 A KR19950032500 A KR 19950032500A KR 970014597 A KR970014597 A KR 970014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snacks
dough
vitamins
gra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2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기형
Original Assignee
류기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기형 filed Critical 류기형
Priority to KR1019950032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14597A/ko
Publication of KR970014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4597A/ko

Links

Abstract

일반적인 곡물을 튀기거나 압축가열후 팽화한 스낵류는 곡분이 충분히 호화하기 위하여 적어도 120도 이상을 유지하면서 일정시간 가열처리하여야 하는 것으로 되어있어 열에 약한 비타민류의 파괴가 필연적이었다.
본 발명은 가열압축팽화의 공정에 있어서 가열온도를 비타민의 파괴가 최소화되도록 최소화하면서 물의 상변화 온도를 대신한 팽창동력으로서 이산화탄소, 질소, 공기들을 이용하므로서 가열온도가 비교적 저온인 상태에서 급속히 곡류를 호화하고(즉, 물의 충분한 비등이 필요없는 정도의 온도임) 냉각후에 상기한 기체를 고압으로 주입하여 팽창시켜주므로서 비타민의 파괴가 최소화된 스낵의 제조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스낵에 다량함유된 비타민으로인하여 청소년, 노약자등이 간단하게 필수 영양소를 즐기면서 섭취가능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필수 미량양분이 함유된 곡물스넥의 제조방법 및 영양곡물스넥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의 곡물스넥 생산장치의 개략도,
제2도는 종래 곡물스넥장치의 개략도.

Claims (4)

  1. 곡분에 물을 20-30중량%에 배합하여 반죽하는 곡물반죽공정, 반죽을 호퍼 (3)를 통하여 공급하여 스크류의 회전이송에 따라 가열부(7)에서 100∼120℃로 가열하는 반죽호화공정, 호화된 반죽을 냉각부(9)에서 90℃이하로 냉각하는 냉각공정, 냉각이송된 반죽에 비타민 또는 기타 향료를 영양분공급구(10)를 통하여 공급하고 이어서 개스밸브(4)를 개방하여 고압의 기체를 공급하면서 압출하는 개스 및 영양분 공급공정, 개스 및 영양분공급이 끝난 저온의 반죽을 압출다이(6)를 통하여 압출팽화하는 공정으로 구성되는 필수 미량성분이 다량 함유된 곡물스넥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공급되는 개스가 CO2, N2, 압축공기이며 기체의 압력이 0.1∼6MP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수 미량성분이 다량함유된 곡물스넥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곡분과 비타민을 냉각공정이전에 직접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수미량성분이 다량함유된 곡물스넥의 제조방법.
  4. 곡분을 팽화한 스넥류에 있어서, 적어도 활성비타민의 함량이 제품의 중량을 기준으로 0.05∼5%함유되며 밀도가 0.16 내지 0.30g/c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의 제조방법에 따른 영양곡물스넥.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50032500A 1995-09-28 1995-09-28 필수 미량양분이 함유된 곡물스넥의 제조방법 및 영양곡물스넥 KR9700145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2500A KR970014597A (ko) 1995-09-28 1995-09-28 필수 미량양분이 함유된 곡물스넥의 제조방법 및 영양곡물스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2500A KR970014597A (ko) 1995-09-28 1995-09-28 필수 미량양분이 함유된 곡물스넥의 제조방법 및 영양곡물스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4597A true KR970014597A (ko) 1997-04-28

Family

ID=66616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2500A KR970014597A (ko) 1995-09-28 1995-09-28 필수 미량양분이 함유된 곡물스넥의 제조방법 및 영양곡물스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1459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5950B1 (ko) * 2000-07-18 2003-03-15 류기형 저온압출성형공법에 의한 영양강화 기능성식품의 제조방법
KR100403406B1 (ko) * 2001-04-24 2003-10-30 류기형 압출성형공정에 의한 영양강화 기능성식품의 제조 및 그제조방법
KR100807527B1 (ko) * 2007-04-10 2008-02-26 최기홍 곡물 퍼핑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5950B1 (ko) * 2000-07-18 2003-03-15 류기형 저온압출성형공법에 의한 영양강화 기능성식품의 제조방법
KR100403406B1 (ko) * 2001-04-24 2003-10-30 류기형 압출성형공정에 의한 영양강화 기능성식품의 제조 및 그제조방법
KR100807527B1 (ko) * 2007-04-10 2008-02-26 최기홍 곡물 퍼핑 장치
WO2008123746A1 (en) * 2007-04-10 2008-10-16 Ki Hong Choi Grain puff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rabha et al. Recent development, challenges, and prospects of extrusion technology
EP2725924B1 (en) Method for preparing extruded legume micro pellets
JPS5847440A (ja) 押出し膨張食品に添加物を加入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S6158539A (ja) スナツク様菓子の製造法
US6586031B1 (en) Method for producing expanded, shaped pellet products
US3480442A (en) Process for preparing a high protein snack
US4521436A (en) Rehydratable rice product
KR100403406B1 (ko) 압출성형공정에 의한 영양강화 기능성식품의 제조 및 그제조방법
KR20010032092A (ko) 팽창성 식품 및 그 제조방법
CN102550972A (zh) 一种双管膨化食品的制备方法
ZA200403246B (en) Process for producing expandable pellets.
CN112293709A (zh) 一种气泡瓜子仁及其生产方法
Shah et al. Advances in extrusion technologies
CN107156476A (zh) 饲料大宗原料预处理方法和饲料生产加工工艺及其设备
KR970014597A (ko) 필수 미량양분이 함유된 곡물스넥의 제조방법 및 영양곡물스넥
KR100375950B1 (ko) 저온압출성형공법에 의한 영양강화 기능성식품의 제조방법
CN106036488A (zh) 一种木耳米粉复合食品的加工方法
JPS5822183B2 (ja) アルフア−化でん粉類の製造法及びその製造装置
US20040109931A1 (en) Reconstituted grain product
JP4319719B2 (ja) 麦芽飲料粉末の製造方法
US5153017A (en) Method of making expanded foodstuffs
RU2544913C2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модифицированной пищевой добавки на основе клейковины
CN1043866A (zh) 膨化法荞麦粉挂面生产技术
Alavi et al. Supercritical fluid extrusion—a novel method for producing microcellular structures in starch-based matrices
JPS63273438A (ja) チュ−インガムの成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