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5950B1 - 저온압출성형공법에 의한 영양강화 기능성식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저온압출성형공법에 의한 영양강화 기능성식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5950B1
KR100375950B1 KR10-2000-0041152A KR20000041152A KR100375950B1 KR 100375950 B1 KR100375950 B1 KR 100375950B1 KR 20000041152 A KR20000041152 A KR 20000041152A KR 100375950 B1 KR100375950 B1 KR 100375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aw material
vitamin
low temperature
extrusion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1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7740A (ko
Inventor
류기형
Original Assignee
류기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기형 filed Critical 류기형
Priority to KR10-2000-0041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5950B1/ko
Publication of KR20020007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7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5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59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17Flakes or other shapes of ready-to-eat type; Semi-finished or partly-finished products therefor
    • A23L7/122Coated, filled, multilayered or hollow ready-to-eat cere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6Extru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온압출성형공법에 의한 영양강화 기능성식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비타민, 무기질 등의 기능성 성분이 다량 첨가된 옥수수, 밀, 보리, 쌀 등의 곡류를 70∼100℃의 온도에서 호화시킨 후, 탄산가스 및 압축공기를 압축성형기 내부로 주입하여 팽화시켜 제조된 영양강화 기능성식품은 열에 불안정한 비타민의 손실과 기능성 영양성분의 파괴를 줄임으로써 다량의 영양소 또는 기능성 성분이 강화된 식품을 제조할 수 있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저온압출성형공법에 의한 영양강화 기능성식품의 제조방법{Process for preparation of nutrition enriched funtional foods using a method of low temperature extrude fabrication}
본 발명은 저온압출성형공법에 의한 영양강화 기능성식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비타민, 무기질 등의 기능성 성분이 다량 첨가된 옥수수, 밀, 보리, 쌀 등의 곡류를 70∼100℃의 온도에서 호화시킨 후, 압축가스 또는 압축공기를 압축성형기 내부로 주입하여 영양강화 기능성식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낵(sack)이란 넓은 의미에서 가벼운 식사(light, casual 또는 hurried meal), 도시락, 간식 등을 뜻하는 것으로, 하루 세끼의 주식 이외의 가볍게 먹을 수 있는 것은 모두 스낵의 범주에 속한다. 좁은 의미에서는 과자류의 일부분으로서 비교적 비중이 가볍고, 가격이 싸고 부담없이 먹을 수 있는 것을 통칭해서 쓰이고 있다.
스낵식품은 여러 가지로 구분 또는 분류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사용원료에 의한 분류와 가공방법에 의한 분류로 나눌 수 있다.
스낵식품은 제품의 골격을 형성하여 주원료에 의한 분류와 제품의 맛, 향미, 색 등의 특징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특정 원료에 의한 분류로 나눌 수 있다.
주원료에 의한 분류로는 소맥스낵, 옥수수스낵, 감자스낵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특정원료로서는 새우, 고구마, 감자, 양파 등의 농수산물을 단품 위주로 사용한 스낵과 혼합된 농수산 원료를 사용한 제품, 각종 육류, 생선류의 추출물(extract)나 조합된 조미분말(scasoning powder)로 조리하여 맛의 특징을 부여한 제품들이 있다.
밀가루를 주원료로 사용한 스낵제품은 전체의 약 60%를 차지하는 주종상품군으로 밀가루의 담백한 맛 때문에 다른 원료들과의 맛 조화가 잘 이루어져 다양한 제품을 만들 수 있다.
옥수수를 주원료로 하는 스낵은 스낵식품의 약 20%를 차지하고 있으며, 앞으로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된다. 옥수수 스낵은 옥수수의 특유한 강한 맛이 있기 때문에 옥수수의 맛과 부합되는 부원료 및 조미원료의 개발이 옥수수 스낵의 발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옥수수 스낵제품의 대표적인 것은 옥수수 플레이크(corn flake), 옥수수 칩(corn chips), 팽화 옥수수(puffed corn), 팝콘 등이 있다.
그 외로 감자를 주원료로 하는 스낵제품의 수요가 커지고 있으며 이외로는 쌀을 주원료로 하는 제품이 과자, 시리얼(cereal) 등의 형태로 인기를 끌고 있다.
스낵식품을 제조공정에 의하여 분류하면 단순히 외형적, 기계적으로 분류하는 방법과 제조기술의 기술적 수준의 차이, 그리고 원료로부터 제품에 이르기까지의 가공방법의 차이를 고려하여 세대(generation)로 구분하는 방법이 활용되기도 한다.
압연성형스낵(rolling snack)은 스팀을 가하여 반죽을 호화시킨 것을 이용하는 방법과 호화시키지 않은 반죽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구분된다. 원료로를 혼합기에서 혼합하여 반죽을 만들고, 로울러에서 얇은 형태의 쉬트(sheet)를 뽑아 원하는 형태로 절단하여 생지(生地)를 만든다. 이 반죽을 일정한 수분함량이 되도록 건조시켜 볶거나 기름에 튀겨 팽창시킨 것으로 우리나라의 스낵이 대부분 이 범주에 속한다.
압출성형스낵(extruded snack)은 압출기(extruder)를 통해 혼합, 압출, 성형시킨 제품으로 비교적 공정이 간단하며, 복잡한 형태도 쉽게 가공할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 욕구의 다양화, 개성화에 따라 계속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예를 들어, 감자칩은 생감자를 원료로 탈피, 수세하여 0.8∼1.6 mm 두께로 절단한 후 유탕공정에서는 처음에는 176∼190℃, 나중에는 148∼174℃로 조절된 기름에 튀겨 소금이나 조미료 등으로 맛을 부여한 제품으로 비교적 단순한 제조공정을 갖고 있다. 성형 포테토 칩(fabricated potato chip)은 감자가루를 이용하여 반죽, 압연한 후 튀겨 제품화한다. 이 외로 쉬트를 여러 겹으로 뽑아 접합시켜 입체모양을 한 입체스낵과 미과(米菓), nut류, 육건조가공품(jerky) 등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압출성형공법은 130℃이상의 바렐온도에서 액체상태의 수분이 사출구를 통과하여 대기압 상태에서 수증기로 변하면서 비체적이 증가하여 팽화되는 공정으로 비타민, 무기질 등의 영양성분의 손실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자는 종래의 압출성형공법의 영양성분 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옥수수, 밀, 보리, 쌀 등의 곡류에 비타민류, 이소플라본(isoflavone), 누에가루, 뽕잎 등을 혼합하여 70∼100℃의 온도에서 호화(α화)시킨 후 탄산가스 또는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팽화시켜 영양강화 기능성식품을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타민, 무기질 등의 기능성 성분이 다량 첨가된 옥수수, 밀, 보리, 쌀 등의 곡류를 70∼100℃의 바렐 온도에서 호화시킨 후, 탄산가스 또는 압출공기를 주입하여 팽화시킨 저온압출성형공법에 의한 영양강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저온압출성형공법에 의한 영양강화 기능성식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쌀, 보리, 옥수수, 밀 등의 곡물 원료에 영양강화를 위하여 비타민, 무기질 등의 기능성 성분을 첨가하여 저온압출성형공법에 의하여 70∼100℃의 낮은 온도에서 팽화시키고 절단하여 건조한 다음 향신료를 코팅하여 영양강화 기능성스낵을 제조함으로써 달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영양강화 기능성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저온압출성형 장치의 계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저온압출성형공법에 의해 제조된 영양강화 기능성식품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 저온압출성형공법에 의해 제조된 영양강화 기능성식품을 제품화한 사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저온쌍축압출성형부 10-1 : 스크류
20 : 원료혼합부 30 : 절단부
40 : 건조부 50 : 코팅부
60 : 포장부 70 : 제품
80 : 컨베이어 90 : 냉각부
110 : 가열부 120 : 호퍼
130 : 영양분공급부 140 : 압축가스 및 압축공기 주입부
150 : 수분공급부
120-1, 120-2, 120-3, 130-1, 140-1, 150-1 : 벨브
본 발명은 쌀가루에 비타민 B1을 첨가하여 혼합하고 70∼100℃의 온도에서 호화하고 압축가스 또는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팽화한 다음 절단하여 열풍건조하고 향신료를 코팅하여 비타민 B1이 강화된 쌀과자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와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비타민 B1, B2, B6, B12및 비타민 C가 강화된 쌀과자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단계들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타민 B2, B6, B12및 비타민 C가 강화된 쌀과자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단계들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타민 B1, B6, B12및 비타민 C를 강화시킨 옥수수스낵 및 보리스낵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단계들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타민 B2, B6, B12및 비타민 C를 강화시킨 보리스낵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단계들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타민 B1, C, 이소플라본(isoflavone), 누에가루, 뽕잎가루를 선택적으로 첨가하여 강화시킨 옥수수스낵을 제조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쌀가루, 옥수수가루, 보리가루를 사용하여 영양강화 기능성식품을 제조하였지만, 여러 종류의 곡물을 단독 또는 혼합하고 여기에 비타민이나 무기질 등 다양한 기능성 성분을 첨가하여 팽화시킨 다양한 영양강화 기능성식품을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다량의 비타민 및 영양성분을 강화하여 제조된 본 발명 영양강화 기능성식품은 어린이 및 성인 노약자의 영양공급제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 바람직한 실시예의 저온압출성형공법에 의한 영양강화 기능성식품의 제조 장치는 원료를 공급하는 호퍼(120)와, 상기 호퍼에서 공급된 원료를 혼합·이송하는 원료혼합부와(20), 상기 원료혼합부(20)에서 공급된 원료에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부(150)와, 상기 원료혼합부(20)와 수분공급부(150)에서 공급된 수분과 원료를 가열하는 가열부(110)와 가열한 원료를 냉각하는 냉각부(90)로 구성되어 송출하도록 구성된 저온쌍축압출성형부(10)와, 압축성형물을 일정크기로 절단하는 절단부(30)와, 상기 절단된 압축성형물을 건조하는 건조부(40)와, 건조된 제품표면에 향신료를 코팅하는 코팅부(50)와, 완제품을 포장하는 포장부(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온쌍축압출성형부(10)는 두 개의 스크류가 서로 마주보도록 장착된 스크류부(10-1)와; 상기 스크류부의 일측단에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단에는 호퍼형상의 공급구가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는 가열부(110)와 냉각부(90)로 나누어지며, 가열부(110)는 전열선 또는 히팅열이 공급되도록 구성되어지고, 냉각부(90)는 배출되는 원료를 냉각하도록 수냉관이 감겨져 있으며, 상기 냉각부(90)에는 영양분공급부(130)와 압축가스 및 압축공기 주입부(140)가 연결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저온압출성형장치(도 1)에서 곡물원료에 기능성성분을 첨가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첫째는 곡물원료에 첨가할 부원료를 혼합하여 압출성형기(10) 사입구로 사입하는 방법이고, 둘째는 곡물원료가 압출성형기에서 호화되고 냉각된 후 영양분공급부(130)로 주입시키는 방법이다.
본 발명 영양강화 기능성식품의 제조에 있어 압축가스 및 압축공기주입부(140)로 공급되는 가스는 CO2, N2, 압축공기, 임계탄산 중에 어느 하나이며, 기체의 압력은 0.1∼10 MPa이다.
본 발명 영양강화 기능성식품의 크기는 영양성분의 필요량, 소비자의 선호도 등에 따라 당업자가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 영양강화 기능성식품은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영양강화식품 표면에 초콜렛, 바나나, 치즈향, 피자향 등의 향신료를 코팅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 영양강화 기능성식품의 포장재질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의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어지는 여러 합성수지 또는 알루미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 저온압출성형공법에 의한 영양강화 기능성식품의 조각 밀도는 1ℓ 매스실린더에서 좁쌀을 매체로 하여 압출성형물 7 조각의 체적을 측정하였으며, 상기 압출성형물 조각의 무게와 부피의 비(g/㎤)로 나타내었고, 각각의 밀도는 5번 측정한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또한 비타민의 함량은 크라운 제과 연구소에서 측정하였다.
본 발명에서 영양강화를 위해 첨가한 이소플라본(isoflavone)은 수용성이고, 식물세포의 액포 중에 배당의 형태로 발견되는 플라보노이드(flavonoid)계 식용성 색소이다. 이소플라본은 플라보노이드의 기본구조 즉, 벤조피론(benzopyrone)의 C3위치에 페닐(phenyl)기가 치환된 구조로 주로 콩과류에서 발견되고 식물성 수소로 많이 사용된다.
본 발명 저온압출성형공법에 의한 영양강화 기능성식품은 하기와 같은 공정을 거쳐 제조하였다.
제 1 공정 : 곡물 및 기능성 성분 혼합공정
쌀가루, 밀가루, 옥수수가루, 보리가루 등의 식용 가능한 곡물의 분말 및 기능성성분을 호퍼(120)에 넣고 각각의 벨브(120-1, 120-2, 120-3)를 조절하여 곡물 분말을 단독 또는 강화할 기능성성분과 함께 원료혼합기(20)에 공급한다. 이 공정에서는 필요에 따라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유화제, 대두단백질, 칼슘강화제, 변성전분, 프로피온산칼슘이나 나트륨염 등 곡물가공개선제를 배합하여 줄 수도 있다.
제 2 공정 : 호화공정
상기 제 1공정에서 혼합된 원료를 저온쌍축압출성형부(10)에 일정량 공급한 다음, 스크류(10-1)의 회전속도를 150∼200 rpm으로 회전시키고 가열부(110)의 온도를 70∼100℃로 유지시키며 수분공급부(150)를 통하여 원료의 수분함량을 25∼30%로 투입한다. 상기 공급된 원료를 저온쌍축압출성형기 내부로 압축 이송한다. 이때 가열부(110)를 통과한 용융물의 온도가 100℃ 이상이 되면 기능성 성분의 파괴 우려가 있으므로 냉각부(90)에서 냉수를 순환시켜 90℃이하로 압출성형기 내부의 용융물을 냉각처리한다.
제 3 공정 : 압축가스 및 공기주입에 의한 팽화공정
상기 제 2 공정에서 냉각된 영양강화 용융물을 팽화시키기 위하여 압축가스 및 압축공기 주입부(140)의 밸브(140-1)를 개방시켜 주입압력 0.1∼10.0 MPa로 압출성형기(10) 내부에 압축가스나 압축공기를 주입시킨다. 상기 주입된 압축가스나 압축공기는 기공형성제로 용융물과 혼합되어 대기압 상태로 압력이 낮아지면 기공형성제의 비체적이 증가하여 70∼100℃의 온도에서 용융물의 팽화가 일어나 내부에 기공이 형성된다.
6 MPa에서 90℃로 가스를 주입할 경우, 비체적은 사출구에서의 급격한 압력감소에 의하여 0.55 ㎥/㎏으로 증가되며, 31℃, 7.38 MPa 이상인 경우에는 1.0 ×10-3㎥/㎏이 된다.
이상의 제 1, 2 및 3 공정의 방법 이외에도 곡물원료를 가열하여 호화한 다음 냉각 중에 영양분공급부(130)를 통하여 영양강화 기능성성분을 첨가하고 여기에 압축가스 및 압충공기 주입부(140)을 통해 고압기체를 공급하여 팽화하는 방법으로도 제조할 수 있다.
제 4 공정 : 절단공정
상기 제 3 공정까지 거쳐 팽화된 압출성형물을 절단부(30)를 통과하면서 5∼10㎝ 정도로 절단하여 제품의 외관 및 영양강화제의 섭취량을 조절한다.
제 5 공정 : 건조공정
강화된 영양성분이 파괴되지 않고 본 발명 영양강화 기능성식품의 조직감과 저장성을 향상시키도록 건조부(40)에서 100℃ 이하의 열풍으로 건조시키고 건조된 최종식품의 수분함량을 8% 이하로 유지한다.
제 6 공정 : 코팅공정
상기의 제 5 공정까지 거쳐 제조한 영양강화 기능성식품의 바람직하지 않은 맛과 향기 등을 감소시키고 소비자의 기호에 따른 식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코팅부(50)에서 식품의 표면에 초콜렛, 바나나, 치즈향, 피자향 등의 향신료를 코팅한다.
치즈 등의 향신료를 코팅할 경우 소비자들의 영양소 섭취가 용이하며, 초콜렛을 코팅할 경우 영양강화 기능성식품에 강화된 영양성분의 저장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 7 공정 : 포장공정
상기 제 6 공정까지 거쳐 제조된 본 발명 영양강화 기능성식품을 포장부(60)에서 비닐 백에 개별 또는 단체 포장하여 종이상자나 플라스틱 용기에 포장하여 제품화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실시예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 비타민 B 1 이 강화된 쌀과자 제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 1에 나타낸 저온압출성형공법 장치를 사용하여 스크류(10-1)의 길이/지름의 비가 30 이상인 쌍축압출성형기(10)에 분쇄한 입자크기가 60메쉬(mash) 이상의 쌀가루를 0.2 ㎏/min 사입시키고, 강화시킬 비타민 B1을 쌀가루가 호화된 다음 영양분공급구(130)를 통해 쌀가루 원료의 0.5%의 수준으로 사입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쌀가루 원료와 비타민 B1을 쌀가루원료의 0.01∼5 % 수준으로 원료혼합부(20)에서 혼합하여 저온쌍축압출성형부(10)에 사입하여 가열, 냉각한 다음 팽화식품을 제조하였다.
이 때 가열부(110)의 온도는 100∼120℃로 가열하고 냉각부(90)에서 저온쌍축압철성형부(10)에 냉각수를 통과시켜 반죽의 온도를 80℃ 이하로 조절하였다.
가스의 주입은 압축가스 및 압축공기 주입부(140)의 벨브(140-1)를 조절하여 주입압력 0.1∼5 MPa로 주입시켜 팽화스낵의 밀도와 기공의 구조를 조절하였다. 압출성형기(10)의 작동조건은 스크류(10-1) 회전속도 100∼300 rpm이였고, 스크류 배열은 가스가 사입구 방향으로 흐르지 않도록 가스주입구(140) 뒤에 역피치스크류를 설치하였으며, 가스주입구(140)와 사출구 사이에는 가스가 잘 혼합될수 있도록 스크류의 조합을 하였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팽화된 원료를 절단부(30)에서 절단하고건조부(40)에서 100℃ 이하의 열풍으로 건조시킨 다음, 코팅부(50)에서 식품의 표면에 초콜렛, 바나나, 치즈향, 피자향 등의 향신료를 코팅하고 포장부(60)에서 비닐 백에 개별 또는 단체 포장하여 종이상자나 플라스틱 용기에 포장하여 제품화하였다.
압출성형물의 밀도는 1 ℓ의 매스실린더에 압출성형물 조각 7개의 체적을 좁쌀을 매체로 하여 측정하였으며, 상기 압출성형물 조각 7개의 부게와 부피의 비(g/㎤)로 나타내었고, 각각의 밀도는 5회 측정한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또한 비타민의 함량은 크라운 제과 연구소에서 측정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비타민 B1강화 쌀가루 압출성형물의 밀도를 측정한 결과 0.16∼0.30 g/㎤였고, 비타민 B1의 파괴율은 쌀가루의 호화와 냉각 후에 비타민 B1을 주입한 경우 약 5%가 파괴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 비타민 B 1 , B 2 , B 6 , B 12 및 비타민 C가 강화된 쌀과자 제조
영양강화 성분을 비타민 B1, B2, B6, B12및 비타민 C로 하여 각각 0.2%씩 혼합하여 비타민 복합제가 0.8%가 함유되도록 쌀가루 원료에 주입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으로 제조하였다. 이 때 탄산가스 주입압력은 약 1 MPa로 하였다. 실험결과 저온압출성형공법에 의해 생산된 비타민의 파괴율은 B1이 4% 이하, B2가 3% 이하, B6가 4% 이하, B12가 3% 이하, 비타민 C가 2% 이하로 각각 파괴되어 다량의비타민 강화영양 성분이 파괴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 비타민 B 2 , B 6 , B 12 및 비타민 C이 강화된 쌀과자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으로 시행하되 비타민 B2, B6, B12및 비타민 C를 1:1:1:1의 비로 1g/min의 속도로 혼합하여 호화되고 냉각된 쌀가루 원료에 3% 정도 혼합하였다. 그리고, 앞서와 동일한 공정으로 하되 쌀가루 원료와 영양분의 혼합물을 순간가열하여 호화시키고 냉각시킨후 압출팽화시켰다. 실험결과 쌀가루 압출성형물의 밀도는 0.21∼0.25 g/㎤이었고 쌀가루를 단독으로 호화하고 냉각시킨 후 영양분을 주입한 경우 비타민 B2, B6, B12및 비타민 C의 파괴율은 약 3% 이하였다.
실시예 4 : 비타민 B 1 , B 6 , B 12 및 비타민 C를 강화시킨 옥수수스낵 및 보리스낵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으로 시행하되 곡물 원료를 쌀가루 대신 옥수수가루와 보리가루를 0.2 ㎏/min의 속도로 공급하면서 비타민 B1, B6, B12및 비타민 C를 1 g/min의 속도로 가하면서 옥수수스낵과 보리스낵을 제조하였다. 실험결과 옥수수가루과 보리가루의 압출성형물 밀도는 0.19∼0.25 g/㎤로 옥수수가루와 보리가루를 단독으로 호화하고 냉각시킨 후 영양분을 주입한 경우 비타민 B1, B6, B12및 비타민 C가 각각 5% 이하의 파괴율을 나타냈다.
실시예 5 : 비타민 B 2 , B 6 , B 12 및 비타민 C를 강화시킨 보리스낵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으로 실시하되 보리가루를 0.2 ㎏/min의 속도로 공급하면서 비타민 B2, B6, B12및 비타민 C를 각각 1 g/min으로 보리가루의 4%를 가하여 보리스낵을 제조하였다. 실험결과 보리가루 압출성형물의 밀도는 0.20∼0.25 g/㎤로 저온압출성형에서 비타민 B2, B6, B12및 비타민 C의 파괴율은 3% 이하를 보였다.
실시예 6 : 비타민 B 1 , C, 이소플라본, 누에가루, 뽕잎가루를 강화한 옥수수스낵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으로 실시하되 곡물 원료로 옥수수 가루와 옥수수 전분을 사용하였고, 영양강화 기능성 성분으로 비타민 B1, C, 이소플라본(isoflavone), 누에가루, 뽕잎가루 등을 표 1과 같이 16 종류의 성분 배합비와 같이 첨가하여 도 2a∼o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 영양강화 기능성식품을 제조하였다. 실험결과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영양성분 파괴율은 0∼3%정도로 본 발명 저온압출성형공법에 의한 영양강화 기능성식품은 저온(70∼100℃)에서 용융물을 팽화시킴으로써 최종 제품을 얻고(도 3) 동 제품의 비타민 및 기능성성분의 파괴가 방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양강화 기능성식품의 성분 배합비 및 영양성분 파괴율
옥수수가루 옥수수전분 비타민 B1 비타민 C 이소플라본 설탕 소금 누에가루 뽕잎가루 영양성분파괴율
A 68.5% 5% 1.5% 25% 0
B 68.5% 5% 1.5% 25% 0
C 93.485% 0.016% 5% 1.5% 2%
D 93.485% 0.016% 5% 1.5% 2%
E 80% 13.485% 0.016% 5% 1.5% 2%
F 92.77% 0.83% 5% 1.5% 3%
G 92.77% 0.83% 5% 1.5% 3%
H 80% 12.77% 0.83% 5% 1.5% 3%
I 80% 4.8% 8.7% 5% 1.5% 3%
J 80% 12.6% 0.93% 5% 1.5% 3%
K 96.84% 0.016% 2% 1% 2%
L 96.74% 0.26% 2% 1% 3%
M 96.84% 0.016% 2% 1% 2%
N 96.74% 0.26% 2% 1% 3%
O 96.58% 0.016% 0.26% 2% 1% 2∼3%
P 70.0% 25% 4% 1% 0
상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저온압출성형공법에 의해 제조된 영양강화 기능성식품은 압축가스 및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70∼100℃의 낮은 온도에서 용융물을 팽화시킬 수 있으므로 열에 불안정한 비타민의 손실과 기능성 영양성분의 파괴를 줄임으로써 다량의 영양소 또는 기능성 성분이 강화된 식품을 제조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식품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식용 가능한 곡물에 기능성성분을 강화하여 호퍼(120)에 넣고 각각의 벨브(120-1, 120-2, 120-3)를 조절하여 곡물 분말을 기능성성분과 함께 원료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혼합된 원료를 저온쌍축압출성형부(10)에 공급한 다음, 스크류(10-1)의 회전속도를 150∼200 rpm으로 회전시키고 가열부(110)의 온도를 70∼90℃로 유지시키며 수분공급부(150)를 통하여 원료의 수분함량을 25∼30%로 투입하여 호화시키는 단계;
    상기 호화된 반죽을 냉각부(90)에서 100℃이하로 냉각하는 단계;
    상기 냉각된 영양강화 용융물을 팽화시키기 위하여 압축가스나 압축공기 주입부(140)의 밸브(140-1)를 개방시켜 압축가스나 압축공기를 주입시키는 단계; 팽화된 압출성형물을 절단부(30)에서 절단하는 단계;
    상기 절단된 압출성형물을 건조부(40)에서 100℃ 이하의 열풍으로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압출성형물을 코팅부(50)에서 향신료를 코팅하는 단계;
    상기 코팅된 완제품을 포장부(60)에서 포장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압출성형공법에 의한 영양강화 기능성식품의 제조방법.
  2. 상기 제 1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영양강화 기능성식품.
  3. 삭제
  4. 삭제
KR10-2000-0041152A 2000-07-18 2000-07-18 저온압출성형공법에 의한 영양강화 기능성식품의 제조방법 KR100375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1152A KR100375950B1 (ko) 2000-07-18 2000-07-18 저온압출성형공법에 의한 영양강화 기능성식품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1152A KR100375950B1 (ko) 2000-07-18 2000-07-18 저온압출성형공법에 의한 영양강화 기능성식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7740A KR20020007740A (ko) 2002-01-29
KR100375950B1 true KR100375950B1 (ko) 2003-03-15

Family

ID=19678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1152A KR100375950B1 (ko) 2000-07-18 2000-07-18 저온압출성형공법에 의한 영양강화 기능성식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595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3406B1 (ko) * 2001-04-24 2003-10-30 류기형 압출성형공정에 의한 영양강화 기능성식품의 제조 및 그제조방법
KR101105388B1 (ko) 2008-09-12 2012-01-16 최기홍 곡물 퍼핑 스낵의 제조방법
KR101233345B1 (ko) 2010-12-10 2013-02-14 주식회사 빙그레 싱글 스크류 사출 공정을 이용한 콘칩 스낵용 펠렛의 제조방법
KR20160144186A (ko) 2015-06-08 2016-12-16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스주입-저온 압출성형 공법을 이용한 팽화 생식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5363A (ko) * 2000-11-06 2002-05-11 최태규 쌍축형 압출 성형기 및 그 장치를 이용한 팽화 곡류제조방법
KR20020093293A (ko) * 2001-06-08 2002-12-16 한경순 한과 제조방법
KR100525298B1 (ko) * 2002-08-13 2005-11-02 송재만 버섯균사체 배양추출물을 함유한 곡물의 제조방법과 이에의해 제조한 곡물 및 그를 이용한 식품의 제조방법과 이에의해 제조한 식품
KR200461127Y1 (ko) * 2009-10-23 2012-06-26 (주)에이치맥스 팝핑 장치
CN115736088A (zh) * 2022-11-29 2023-03-07 中国农业大学 一种高水分植物蛋白的双螺杆挤压设备和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1808A (ko) * 1991-07-20 1993-02-22 앙드르제이 레드지옹 미리 조리된 곡물식(precooked cereal foods)의 제조방법
KR970014597A (ko) * 1995-09-28 1997-04-28 류기형 필수 미량양분이 함유된 곡물스넥의 제조방법 및 영양곡물스넥
KR19990068445A (ko) * 1999-05-20 1999-09-06 김상근 찹쌀분말을이용한유과의제조방법및장치
KR20000035432A (ko) * 1998-11-12 2000-06-26 로버트 제이 에커 구운 곡물 맛이 개선된 인스턴트 시리얼 및 이의 제조를위한 조성물 및 압출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1808A (ko) * 1991-07-20 1993-02-22 앙드르제이 레드지옹 미리 조리된 곡물식(precooked cereal foods)의 제조방법
KR970014597A (ko) * 1995-09-28 1997-04-28 류기형 필수 미량양분이 함유된 곡물스넥의 제조방법 및 영양곡물스넥
KR20000035432A (ko) * 1998-11-12 2000-06-26 로버트 제이 에커 구운 곡물 맛이 개선된 인스턴트 시리얼 및 이의 제조를위한 조성물 및 압출 제조 방법
KR19990068445A (ko) * 1999-05-20 1999-09-06 김상근 찹쌀분말을이용한유과의제조방법및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식품과학회지, Vol.27, No.3, pp. 404~413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3406B1 (ko) * 2001-04-24 2003-10-30 류기형 압출성형공정에 의한 영양강화 기능성식품의 제조 및 그제조방법
KR101105388B1 (ko) 2008-09-12 2012-01-16 최기홍 곡물 퍼핑 스낵의 제조방법
KR101233345B1 (ko) 2010-12-10 2013-02-14 주식회사 빙그레 싱글 스크류 사출 공정을 이용한 콘칩 스낵용 펠렛의 제조방법
KR20160144186A (ko) 2015-06-08 2016-12-16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스주입-저온 압출성형 공법을 이용한 팽화 생식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7740A (ko) 2002-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rabha et al. Recent development, challenges, and prospects of extrusion technology
Navale et al. Extrusion cooking technology for foods: A review
CN101646353B (zh) 用花生粉制作的直接膨胀的零食和用于制作所述零食的方法
EP2725924B1 (en) Method for preparing extruded legume micro pellets
EP1164870B1 (en) Cereal bar with high milk solids content
CA2364693C (en) Extruded snack product comprising a nitrogen injection step during manufacturing
CA2709164A1 (en) Protein extrudates comprising whole grains
CN102550972B (zh) 一种双管膨化食品的制备方法
WO2006019686A2 (en) Low carbohydrate direct expanded snack and method for making
KR100403406B1 (ko) 압출성형공정에 의한 영양강화 기능성식품의 제조 및 그제조방법
KR100375950B1 (ko) 저온압출성형공법에 의한 영양강화 기능성식품의 제조방법
WO2013155327A1 (en) Bi-colored random collet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EP3376879B1 (en) High protein flakes derived from protein pellets
KR101479424B1 (ko) 곡물 스낵 피이시스 및 그 제조 방법
Dubey et al. Extrusion processing of foods
EP1297754B1 (en) A method for producing an expanded pasta-based snack
JP2655264B2 (ja) 膨化食品の製造法
JP3293901B2 (ja) 押出機によって製造される予備料理されたパスタ製品
JPS6229936A (ja) 二重螺旋状スナツク食品の製造法
Heredia-Olea et al. 12 Production Extrusion Cooking of Snacks by
Alam et al. Food Extrusion: An Approach to Wholesome Product
Heredia-Olea et al. Production of Snacks by Extrusion Cooking
US20040175482A1 (en) Choline-fortified cereal and method
KR100219810B1 (ko) 상이한 원료의 복수의 로프가 병착되어 일체화된 튀김과자 및 그 제조방법
WO2023154552A1 (en) Extruded flattened high protein food pieces and methods of ma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