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1430B1 - 전화회선자동절체기 - Google Patents

전화회선자동절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1430B1
KR970011430B1 KR1019940031529A KR19940031529A KR970011430B1 KR 970011430 B1 KR970011430 B1 KR 970011430B1 KR 1019940031529 A KR1019940031529 A KR 1019940031529A KR 19940031529 A KR19940031529 A KR 19940031529A KR 970011430 B1 KR970011430 B1 KR 970011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line
line
domestic
circuit
interna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1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0289A (ko
Inventor
이흥일
Original Assignee
이흥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흥일 filed Critical 이흥일
Priority to KR1019940031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11430B1/ko
Publication of KR960020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0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11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14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38Interface circuits for coupling substations to external telephone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82Line monitoring circuits for call progress or status discrim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요약 없음.

Description

전화회선자동절체기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전화회선자동절체기를 연결한 직접접속서비스망의 구성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화회선자동절체기의 블록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화회선자동절체기의 구체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화회선자동절체기2 : 공중전화망
3 : 국제 관문국4 : 사용전원
5 : 정전압 안정화회로6 : 전화선 선택스위치회로
7 : 국내 호출신호감지회로8 : 국제 호출신호감지회로
9 : 단말기 동작상태검출회로10 : 제어회로
11 : 국내 선로선택 및 동작표시회로12 : 국제 선로선택 및 동작표시회로
13 : 국내 선로통화중(BUSY)회로14 : 국제 선로통화중(BUSY)회로
15 : 호출신호 감지중지회로16 : 전화회선선택회로
본 발명은 단말장치인 사설교환기(PABXO), 전화기, 키폰, 팩시밀리등에서 국제전화전용망과 국내 공중통신망 또는 국내전화 전용망과 국내 공중통신망을 이용자가 선택적으로 사용할수 있도록 접속시켜주는 전화회선자동절체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 국제통신시장의 개방으로 인하여 서비스 경쟁 시대가 도래됨에 따라 보다 신속, 편리하게 국제전화회선, 국내전화전용회선을 선택적으로 사용할수 있는 기회를 가입자에게 제공하게 되었다.
그러나, 팩시밀리 등과 같은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가입자가 국제전화, 국내전용전화를 사용함에 있어, 직접접속서비스 직통으로는 국내전화망을 접속할수 없기 때문에 시내 또는 시외전송을 할수 없었다.
또한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수동식회선절체기를 이용한 경우에 있어서는 국제전화를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이미 제안된 국내특허출원 제 92-16445호에 의하면 이는 회로상으로 보면 가입자의 회선중 1 회선이 항시 통화중(BUSY) 상태가 지속되고 있어 가입자가 회선을 선택할때 한 회선은 사용을 할수 없도록 되어있고, 회로도 자체가 미완성으로 구성되어있기 때문에 연결상태가 잘못되어 여러번 통화를 시도하여도 연결이 되지않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전화국간의 PCM구간에서 발생하는 백신호(RINGER BACK TONE)를 처리하지 못하여 사용자가 사용할때는 국내 공중통신망을 사용하고자 할때 국제전화 전용회선에 연결되어 가입자가 회선을 선택할때 연결상태가 잘못되어 여러번 통화를 시도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호출신호에 의하여 입력되었을때 국내 및 표시램프의 상태가 변화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점을 감안해서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단말장치의 앞단에 전화회선자동절체기를 연결하여 국제전화나 국내전용전화를 이용할시는 직접접속서비스의 직통회선을 통하여 전송하고, 시내 및 시외전화를 이용할시는 국내공중전화망을 통하여 전송하도록 하므로서, 국제전화, 시내 및 시외전화 모두를 편리하게 이용할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단말장치의 앞단에 설치된 전화회선자동절체장치는 반드시 호출신호가 들어오는 쪽으로만 회선선택이 되도록 하고, 한 회선이 통화중일때 비사용회선은 자동으로 통화중상태가 되도록 함과 동시에 국내공중전화망에서는 교환기(PABX)자체에서 상대방 전화국 교환기(PABX)와 주고받는 신호를 상쇄시켜 가입자회선에는 백신호(RINGER BACK TONE)가 발생하지 않으나 전용전화망에서는 전화국과 전화국간의 피시엠(PCM)구간에서 서로 주고받는 신호가 가입자회선에 백신호(RINGER BACK TONE)를 발생하여 통화를 끝내고 해제를 시키면 곳바로 전용전화회선에서 발생하는 백신호(RINGER BACK TONE)를 받아서 전화회선자동절체기가 전용전화회선에서 호출신호가 입력되어, 사용상 이용자로 하여금 혼란이 일어나지 않도록함과 동시에 직접접속서비스를 직통회선으로 연결하여 경제성이 향상되는 장치를 제공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말장치 송신시 국제 및 국내를 선택하는 전화선 선택스위치회로(6)와, 수신시 어느 회선으로 호출이 되고 있는가를 감지하는 국제 호출신호감지회로(8)와, 국내 호출신호감지회로(7)와, 전화선 선택 스위치회로(6)와 국내 호출신호감지회고(7), 국제 호출신호감지회로(8)의 상태를 감지하여 점유된 전화회선을 연결시켜주는 제어회로(10)와 한쪽회선이 통화중임을 감지하여 비사용회선을 통화중상태로 만들어주는 국내선로통화중회로(13), 국제선로통화중회로(14)와 회선이 연결상태를 나타내주고 감지된 회선과 단말장치를 연결시켜주는 국내선로선택 및 동작표시회로(11), 국제선로선택 및 동작표시회로(12)와 전화국간의 PCM구간에서 발생하는 백신호(RINGER BACK TONE)를 처리하여 호출신호 감지회로가 작동하지 못하게 하는 호출신호감지중지회로(15)와 상기 통화중감지회로의 감지신호를 제어회로가 받아서 선로선택회로가 전화회선을 단말장치로 연결시키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한 각 회로에 안정된 전원을 공급하는 정전압안정화회로(5)로 이루어지는 전화회선자동절체기(1)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전화회선자동절체기(1)를 연결한 직접접속서비스망의 구성도로서, 먼저, 전화회선자동절체기(1)는 단말장치인 사설교환(PABX), 전화기, 키폰 팩시밀리(FAX)등과 연결되어 있으며, 단말장치를 통해 국내 및 국제통화를 할수 있도록 국내공중전화망(2)과 직접접속서비스가 제공되는 국제 관문국(3)과 연결되어 있으며, 국제 관문국(3)은 해저케이블이나 위성을 통하여 해외로 연결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전화회선자동절체기(1)는 국제 직접서비스중 직접접속서비스 가입자가 이용할수 있다.
여기서 직접접속서비스는 국내공중전화망을 경유하지 않고 사설교환기(PABX), 전화기, 키폰 팩시밀리등을 국제관문국 교환기에 직통회선으로 연결하여 국제전화나 국제 FAX등을 이용하는 서비스이다.
다음,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화회선자동절체기(1)의 블록도로서, 본 장치(1)를 전화회선과 단말장치 사이에 연결하였을 경우에 대한 동작 설명이다.
전화회선선택장치(1)가 수신 또는 발신시가 아닌 대기상태에 있어서, 단말장치는 최종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회선에 연결된 상태로 유지된다.
국내 동작표시는 국내 전화회선에 호출신호가 입력될때와 국내 전화회선을 선택하여 통화중일때, 수신 또는 발신시가 아닌 대기상태에 있어서 전화선 선택스위치회로(6)가 국내선을 선택하고 있을때 점등된다.
국제 동작표시는 국제 전화회선에 호출신호가 입력될때와 국제 전화회선을 선택하여 통화중일때, 수신 또는 발신시가 아닌 대기상태에 있어서 전화선 선택스위치회로(6)가 국제선을 선택하고 있을때 점등된다.
전화회선자동절체기(1)의 스위치 동작 방식은 스위치 한개를 갖이고 한번 누르면 국내가 선택되고 국제가 해제며, 다시한번 누르면 국제가 선택되고 국내가 해제되는 토글방식으로 작동된다.
그러므로, 국내 호출신호감지회로(7)에 호출신호가 입력되었을때 단말장치는 자동으로 국내회선에 연결된다.
국내 전화회선에서 호출신호가 입력되는 동안 국제 전화회선으로 통화신호가 있더라도 단말장치가 국제 전화회선에 연결되지 않도록 하였으며, 국제 전화회선이 통화중임을 나타낸다.
또한, 국제 호출신호감지회로(8)에 호출신호가 입력되었을때 단말장치는 동으로 국제회선에 연결된다.
단, 국내 전화회선과 단말장치가 통화중일경우에는 연결되지 않도록 되어있다.
국제 전화회선에서 호출신호가 입력되는 동안 국내 전화회선으로 통화신호가 있더라도 단말장치가 국내 전화회선에 연결되지 않도록 하였으며, 국내 전화회선이 통화중임을 나타낸다.
또한, 국내 전화회선에서 호출신호가 입력되었을때 단말장치는 자동으로 국내회선에 연결된다.
단, 국내 전화회선과 단말장치가 통화중일 경우에는 연결되지 않도록 되어있다.
또한, 국내 전화회선로가 단말장치와의 착신 통화가 끝났을때 단말기 동작상태검출회로(9)에서 검출하여 전화선 선택 스위치가 국제 전화회선에 선택되어 있는 상태이면 단말장치는 자동으로 국제전화회선에 연결된다. 그리고 국제 전화회선과 단말장치와의 착신통화가 끝났을때 단말기 동작상태 검출회로(9)에서 검출하여 전화선 선택 스위치가 국내전화회선에 선택되어 있는 상태이면 단말장치는 자동으로 국내전화회선에 연결된다.
국내 전화회선에서 호출신호가 입력되어 단말장치와 통화가 성립되지 않고 호출신호가 중단되었을때 전화선 선택스위치가(6)가 국제전화회선에 선택되엇던 상태이면 단말장치는 자동으로 국제전화회선과 연결된다.
국제 전화회선에서 호출신호가 입력되어 단말장치와 통화가 성립되지 않고 호출신호가 중단되었을때 전화선 선택스위치(6)가 국내전화회선에 선택되었던 상태이면 단말장치는 자동으로 국내전화회선과 연결된다.
국내 공중전화망에서는 교환기(PABX)자체에서 상대방 전화국과 주고받는 신호를 상쇄시켜 가입자회선에는 백신호(RINGER BACK TONE)가 발생하지 않으나 전용전화망에서는 전화국과 전화국간의 피시엠(PCM)구간에서 서로 주고받는 신호가 가입자 회선에 백신호(RINGER BACK TONE)를 발생하여 통화를 끝내고 해제를 시키면 곧바로 전용전화 회선에서 발생하는 백신호(RINGER BACK TONE)가 전화회선자동절체기(1)에서 호출신호로 감지하지 못하도록 호출신호 감지중지회로(15)에서 통화상태의 유,무를 판단하여 처리하여 주기 때문에 사용상 이용자로 하여금 혼란이 일어나지 않도록 연결하여 준다.
국선 절체기 회로 설명서
-국선 절체기의 입력 전원은 AC 11V OR 220V의 전원으로 동작된다.
-전원이 ON 상태가 되면 모든 전화회선자동절체기(1)의 부품에 DC 5V의 전원이 자동으로 공급된다.
-입력전원의 표시 상태는 "국내" 및 "국제"의 표시램프로 겸한다.
(가) 전원 전압 공금회로(5).
A. 전원은 일반 가정용 AC 110V/220V를 선택하여 정류기(POWER ADAPTOR)에서 DC 6V로 바꾸어 연결코드(CORD JACK) JP1을 경유하여 입력한다.
B. 입력된 전원은 정전압 회로(VOLTAGE REGULATOR) U12를 경유하여 DC 5V의 정전압을 유지하며 콘덴서 C14를 경유하여 잡음(NOIZE)을 제거하며 정격 전압을 회로에 공급한다.
(나) 전화선 선택 스위치(SWITCH)회로(6).
A. DC 전원이 입력되면 콘덴서 C7과 저항 R5의 동작 지연펄스(TIMER)가 발생하고 이 펄스를 엔드 게이트(AND GATE) U8D의 pin12번 pin13번에서 입력하여 U8D의 pin11번을 HIGH 상태에서 LOW 상태로 디지털(DIGITAL) 펄스신호로 바꾸어 디-플리플롭(D TYPE FLIP FLOP) U1A의 pin14번에 준다.
이때, HIGH 상태에서는 U1A는 동작하지않고 pin1번에 LOW 상태, pin2번에는 HIGH 상태가 된다. LOW상태로 신호가 변환되면 U1A 동작 대기상태가 되면서 pin1번에 LOW 상태 pin2에 HIGH상태가 유지되고 pin3번의 입력 데이터(DATA)를 기다린다.
B. 평상시 U1A의 pin3번은 저항 R4와 콘덴서 C6에 의하여 LOW 상태로 유지되고 스위치 SW1을 한번 누르면 LOW 상태에서 HIGH 상태로 변화하고, 누르는 신호가 pin3에 입력되어 pin1번의 LOW 상태가 HIGH 상태로, pin2번의 HIGH 상태가 LOW 상태로 바뀐다. 스위치 SW1을 한번더 누르면 LOW 상태에서 HIGH 상태로 변화하고, 누르는 신호가 pin3번에 입력되어 pin1번의 HIGH 상태가 LOW 상태로, pin2번의 LOW 상태가 HIGH 상태로 바뀐다.
(다) 국제 호출신호 감지회로(7).
A. 국내선로에 호출신호(16-20Hz AC80-100V)가 입력되면 과전류보호기 TNR2에서 과전류의 유입을 차단하고, 정상적인 신호일경우 콘덴서 C16과 저항 R20을 경유하여 브리지다이오드(BRIDGE DIODE) DB3로 입력되면 브리지다이오드(BRIDGE DIODE) DB2에서는 교류신호를 직류신호로 바꾸어 정전압다이오드(ZENOR DIODE) D2를 경유하며 D2의 전압용량보다 높은 전압일경우 포토커플러(PHOTO COUPLER) PC1의 pin3번 pin4번으로 입력된다.
B. 이때 PC1의 pin3번과 pin4번에 전압이 유입되면 pin5번과 pin6번이 호출신호가 울리는 동안 TURN-ON 상태가되며, 호출신호가 정지되면 TURN-OFF 되면서 이 신호가 저항 R15와 콘덴서 C2를 경유하여 pin6번은 HIGH 상태에서 LOW 상태로 동작하고, 이 신호를 난드슈미트트리거(NAND SCHMITT TRIGGER) U5C의 pin8번 pin9번에 공급하며, 이때 U5C의 pin10번은 LOW 상태에서 HIGH 상태로 변하면서 이 신호를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PRECISION RETIGGERABLE RESETTABLE MONOSTABLE MULTIVIBR-ATOR) U4B의 pin12번에 공급한다.
C. 이때 U4B의 pin10번은 LOW 상태에서 HIGH 상태로 pin9번은 HIGH 상태에서 LOW 상태로 저항 R3오 콘덴서 C5의 주기(TIMER)에 의하여 시정수의 시간동안 변화한다.
D. 위의 설명과 같이 국내 선로에 호출신호가 유입되면 자동으로 국내 선로의 호출신호를 감지한다.
(라) 국제 호출신호 감지회로(8).
A. 국제선로에 호출신호(16-20Hz AC80-100V)가 입력되면 과전류보호기 TNR1에서 과전류의 유입을 차단하고, 정상적인 신호일경우 콘덴서 C15과 저항 R19을 경유하여 브리지다이오드(BRIDGE DIODE) DB1으로 입력되면 DB1에서는 교류신호를 직류신호로 바꾸어 정전압 다이오드(ZENOR DIODE) D1을 경유하며 D1의 전압용량 보다 높은 전압일경우 포토커플러(PHOTO COUPLER) PC1의 pin1번 pin2번으로 입력된다.
B. 이때 PC1의 pin1번과 pin2번에 전압이 유입되면 pin7번과 pin8번이 호출신호가 울리는 동안 TURN-ON 상태가되며, 호출신호가 정지되면 TURN-OFF 되면서 이 신호가 저항 R16와 콘덴서 C1을 경유하여 pin8번은 HIGH 상태에서 LOW 상태로 동작하고, 이 신호를 난드슈미트트리거(NAND SCHMITT TRIGGER) U5C의 pin5번 pin6번에 공급하며, 이때 U5B의 pin4번은 LOW 상태에서 HIGH 상태로 변하면서 이 신호를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PRECISION RETIGGERABLE RESETTABLE MONOSTABLE MULTIVIBRATOR) U4A의 pin4번에 공급한다.
C. 이때 U4A의 pin6번은 LOW 상태에서 HIGH 상태로 pin7번은 HIGH 상태에서 LOW 상태로 저항 R2와 콘덴서 C4의 주기(TIMER)에 의하여 시정수의 시간동안 변화한다.
D. 위의 설명과 같이 국제선로에 호출신호가 유입되면 자동으로 국내선로의 호출 신호를 감지한다.
(마) 단말기 동작상태 검출회로(9).
A. 단말기가 평상시(NORMARM) 상태일경우에 포토커플러(PHOTO COUPLER) PC2의 pin2, pin4번에 동작전압이 유입되지 않으나, 단말기가 동작상태가 되면 동작되는 동안, PC2는 양방향접점으로 전화선의 극성에 관계없이 동작됨으로, PC2의 pin3, pin4번이 TURN-ON 상태가 되며 이 신호가 저항 R18과 콘덴서 C9를 경유하여 pin4번은 HIGH 상태에서 LOW 상태로 동작하고, 이 신호를 난드슈미트트리거(NAND SCHMITT TRIGGER) U5A의 pin2번번에 공급하며, 이때 U5A의 pin1번은 HIGH 상태로 있기 때문에 pin3번이 LOW 상태에서 HIGH 상태로 변하면서 이 신호를 U5D의 pin12번, pin13번에 공급하며, 이때 U5D의 PIN11번은 HIGH 상태에서 LOW 상태로 변화한다.
(바) 제어회로(10).
A. 상기 (나)항의 전화선 선택스위치(SWITCH)회로(6), (다)항의 국내 호출신호감지회로(7), (라)항의 국제 호출신호감지회로(8)의 결과로 엔드오아인버터(AND OR INVERT) U3A에 스위치로 선택된 pin2에 LOW, pin5에 LOW가 유입되고, 호출신호로 선택시 pin3, pin4에 LOW가 유입된 결과에 의하여 pin6번이 HIGH 상태가 되어 U8D의 pin5번에 유입되고, 위(마)항의 단말기 동작상태검출회로(9)의 결과가 pin번에 유입된다.
B. 이때, U8D의 pin4번은 HIGH가 되고 이 신호를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PRECISION RETIGGERABLE RESETTABLE MONOSTABLE MULTIVIBRATOR) U10B의 pin11번과 디-플리플롭(D TYPE FLIP FLOP) U7B의 pin11번에 유입된다.
C. 상기 (나)항의 전화선 선택스위치(SWITCH)회로(6), (다)항의 국내 호출신호감지회로(7) (라)항의 국제 호출신호감지회로(8)의 결과로 엔드오아인버터(AND OR INVERT) U3B의 pin1에 LOW, pin12, pin13, pin11, pin10에 HIGH, pin9 LOW가 유입된 결과에 의하여 pin8번이 HIGH 상태가 되어 U8C의 pin9번에 유입되고, 위 (마)항의 단말기 동작상태 검출회로(9)의 결과가 pin8번에 유입된다.
D. 이때, U8C의 pin10번은 HIGH가 되고 이 신호를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PRECISION-RETIGGERABLE RESETTABLE MONOSTABLE MULTIVIBRATOR) U10A의 pin5번과 디-플리플롭(D TYPE FLIP FLOP) U9A의 pin3번에 유입된다.
(사) 국내 전화선로 선택 및 동작표시회로(11).
A. 상기 (바)항의 제어회로(10)의 결과로 I7B의 pin13번이 HIGH가 되어 디-플리플롭(D TYPE FLIP FLOP) U7A의 pin5번과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PRECISION RETRIGGERABLE RESETTABLE MONOSTABLE MULTIVIBRATOR) U6B의 pin12번에 유입된다.
B. 위의 결과로 U7B pin12번의 평상시 휴지(IDLE) 상태에서 HIGH가 되고 국내선이 선택되었을시 LOW로 바뀌어 지면서 LOW일때의 출력으로 국내표시램프 LED1을 구동하여 표시등이 점등된다.
C. 이때,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PRECISION RETRIGGERABLE RESETTABLE MONOSTABLE MULTIVIBRATOR) U6B의 pin12번에 유입된 신호에 의하여 U6A의 pin10번은 LOW 상태에서 HIGH 상태로 pin9번은 HIGH 상태에서 LOW 상태로 저항 R13과 콘덴서 C11의 주기(TIMER)에 의하여 시정수의 시간동안 변화한다. 이때 pin10번의 결과로 저항 R11번을 경유하여 트랜지스터 TR1의 베이스 단자를 구동하게 되는데, TR1은 NPN트랜지스터이며 베이스전위가 에미터전위보다 0.7V이상 높게되면 동작하므로 TR1이 ON 상태가 됨에따라 릴레이 RL3/1을 구동하여 단말기와 국내전화회선이 접속된다.
D. 위의 결과로 U6B의 pin10번의 신호를 이용하여 국제선로선택 및 동작표시회로(12)를 해제시킨다.
E. 릴레이는 래치타입(LATCH TYPE)이므로 트랜지스터 TR2로부터 트리거신호가 인가되기 전까지는 이전상태를 유지함으로 릴레이 구동전류는 트랜지스터 TR1의 TRUN-ON 시간동안만 소모된다.
(아) 국제 전화선로 선택 및 동작표시 회로(12).
A. 상기 (바)항의 제어회로(10)의 결과로 엔드오아인버터(AND OR INVERT) U3B의 pin1에 LOW, pin12, pin13, pin11, pin10에 HIGH, pin9에 LOW가 유입된 결과에 의하여 pin8번의 이 HIGH상태가 되어 U8C의 pin번에 유입되고, 위 (마)항의 결과가 pin8번에 유입된다.
B. 이때, U8C의 pin10번은 HIGH가 되고 이 신호를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PRECISION RETRIGGERABLE RESETTABLE MONOSTABLE MULTIVIBRATOR) U10A의 pin5번과 디-플리플롭)D TYPE FLIP FLOP) U9A에 pin3번에 유입된다.
이 결과로 U9A의 pin1번이 HIGH가되어 디-플리플릅(D TYPE FLIP FLOP) U9B의 pin9번과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PRECISION RETRIGGERABLE RESETTABLE MONOSTABLE MULTIVIBRATOR)U6A 의 pin4번에 유입된다.
C. 위 B의 결과로 U9A의 pin2번이 평상시 휴지(IDLE) 상태에서 HIGH가 되고 국제선이 선택되었을시 LOW로 바구어 지면서 LOW일때의 출력으로 국제표시램프 LED2를 구동하여 표시등이 점등된다.
D. 이때,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PRECISION RETRIGGERABLE RESETTABLE MONOSTABLE MULTIVIBRATOR) U6A의 pin4번에 유입된 신호에 의하여 U6B의 pin6번은 LOW 상태에서 HIGH 상태로 pin7번은 HIGH 상태에서 LOW 상태로 저항 R12와 콘덴서 C12의 주기(TIMER)에 의하여 시정수의 시간동안 변화한다. 이때 pin6번의 결과가 저항 R117을 경유하여 트랜지스터 TR2의 베이스 단자를 구동하게 되는데, TR2는 NPN트랜지스터이며 베이스전위가 에미터전위보다 0.7V이상 높게되면 동작하므로 TR2는 ON상태가 됨에따라 릴레이 RL3/2를 구동하여 단말기와 국제전화회선이 접속된다.
E. 위의 결과로 U6B의 pin6번 신호를 이용하여 국내 선로선택 및 동작표시회로(11)를 해제시킨다.
F. 릴레이는 래치타입(LATCH TYPE)이므로 트랜지스터 TR1로부터 트리거신호가 인가되기 전까지는 이전상태를 유지함으로 릴레이 구동전류는 트랜지스터 TR2의 TRUN-ON 시간동안만 소모된다.
(자) 국제 선로통화중회로(14).
상기 (사)항의 국내 전화선로선택 및 동작표시회로(11)의 결과로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PRECISION RETRIGGERABLE RESETTABLE MONOSTABLE MULTIVIBRATOR) U10B의 pin11번에 유입된 신호에 의하여 U10A의 pin10번은 LOW 상태에서 HIGH 상태로 pin9번은 HIGH 상태에서 LOW 상태로 저항 R9와 콘덴서 C10의 주기(TIMER)에 의하여 시정수의 시간동안만 변화한다. 이때 pin9번의 결과가 디-플리플롭(D TYPE FLIP FLOP) U7A의 pin3번에 유입된다.
이 결과로 U7A의 pin1번은 LOW 상태에서 HIGH 상태로 pin2번은 HIGH 상태에서 LOW 상태로 변화하고 pin1번에서 저항 R7번을 경유하여 트랜지스터 TR4의 베이스 단자를 구동하게 되는데, TR4는 NPN트랜지스터이며 베이스전위가 에미터전위보다 0.7V이상 높게되면 동작하므로 TR4가 ON상태가 됨에따라 릴레이 RL1을 구동시킨다.
이 릴레이는 국제회선의 팁, 링선 양단에 연결된 저항 R22를 루프시킴으로서 OFF-HOOK 상태를 유지시켜 국제회선에 호출신호가 입력되더라도 통화중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차) 국내 선로통화중회로(13).
A. 상기 (아)항의 국제 전화선로선택 및 동작표시회로(12)의 결과로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PRECISION RETRIGGERABLE RESETTABLE MONOSTABLE MULTIVIBRATOR) U10A의 pin5번에 유입된 신호에 의하여 U10A의 pin6번은 LOW 상태에서 HIGH 상태로 pin7번은 HIGH 상태에서 LOW 상태로 저항 R8과 콘덴서 C8의 주기(TIMER)에 의하여 시정수의 시간동안 변화한다. 이때 pin7번은 결과가 디-플리플롭(D TYPE FLIP FLOP) U9B의 pin11번에 유입된다.
이 결과로 U9B의 pin13번은 LOW 상태에서 HIGH 상태로 pin12번은 HIGH 상태에서 LOW 상태로 변화하고 pin13번에서 저항 R10번을 경유하여 트랜지스터 TR3의 베이스 단자를 구동하게 되는데, TR3은 NPN트랜지스터이며 베이스전위가 에미터전위보다 0.7V이상 높게되면 동작하므로 TR3이 ON상태가 됨에따라 릴레이 RL2를 구동시킨다.
이 릴레이는 국내회선의 팁, 링선 양단에 연결된 저항 R21을 루프시킴으로서 OFF-HOOK 상태를 유지시켜 국내회선에 호출신호가 입력되더라도 통화중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카) 호출신호 감지중지회로(15).
A. 상기 (바)항의 제어회로(10)의 결과로 국내선로 통화중회로(13) U7A의 pin2번과, 국제선로 통화중회로(14) U9B의 pin12번에서 신호가 엔드게이트(AND GATE) U8A의 pin1번과 pin2번으로 유입된다. 이때 U8A의 pin3번은 평상시 HIGH 상태에서 pin1번과 pin2번중 한곳에서 LOW 신호가 유입되면 LOW 상태로 변하면서 이 신호가 U2A의 pin4번으로 인가된다.
B. 이때,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PRECISION RETRIGGERABLE RESETTABLE MONOSTABLE MULTIVIBRATOR) U2A의 pin4번에 유입된 신호에 의하여 U2A의 pin6번은 LOW 상태에서 LOW상태로 pin7번은 HIGH 상태에서 LOW 상태로 저항 R1과 콘덴서 C3의 주기(TIMER)에 의하여 시정수의 시간동안 변화한다.
이때 pin7번의 결과가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PRECISION RETRIGGERABLE RESETTABLE MONOSTABLE MULTIVIBRATOR) U4A의 pin3번과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PRECISION RETRIGGERABLE RESETTABLE MONOSTABLE MULTIVIBRATOR) U4B의 pin13번에 유입되어 U4A와 U4B의 IC가 동작하지 못하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장치 앞단에 설치된 전화회선 자동절체기(1)가 수신상태에서 어느 회선으로 선택되어 있더라도 호출신호가 입력되는 방향으로만 선택되도록 하였으며, 한쪽회선이 통화중일때 비사용회선으로 통화시도가 있게되면 통화중상태로 만들어 이용자로 하여금 혼란이 없도록함과 동시에 전화국 교환기간의 백신호를 처리하여 국제전화나 전용전화를 직통회선으로 연결, 경제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단말장치 송신시 국제 및 국내를 선택하는 전화선선택스위치회로(6)와, 수신시 어느 회선으로 호출이되고 있는가를 감지하는 호출신호감지회로(7),(8)와, 호출신호의 상태를 감지하여 점유된 전화회선을 단말장치로 연결시켜주는 제어회로(10)와, 국내선로선택 및 동작표시회로(11)와, 국제선로선택 및 동작표시회로(12)와, 단말기의 동작상태를 감지하여 제어회로에 연결시켜주는 단말기 동작상태검출회로(9)와, 한쪽회선이 통화중임을 감지하여 비사용회선을 통화중 상태로 만들어주는 선로통화중회로(11),(12)와, 선로통화중회로(11),(12)의 감지신호를 감지하여 백신호가 유입되지 못하도록 호출신호감지회로(7),(8)를 차단하는 호출신호감지중지회로(15)와, 상기 통화중감지회로(7),(8)의 감지신호와 전화선선택스위치회로(6)의 감지신호를 제어회로(10)가 받아서 국내선로선택 및 동작표시회로(11)와, 국제선로선택 및 동작표시회로(12)를 제어하여 전화회선선택회로(16)가 전회회선을 단말장치로 연결시키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한 각 회로에 안정된 전원을 공급하는것을 특징으로하는 전화회선자동절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국제 전화회선 또는 국내 전화회선에서 호출신호가 입력되었을때 단말장치를 국제 전화회선 또는 국제 전화회선에 연결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회선자동절체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국제전화회선에서 호출신호가 입력되는 동안 새로이 국내전화회선에서 통화신호가 있더라도 단말장치가 국내전화회선에 연결되지 않도록 한것과 국내전화회선이 통화중인 상태를 제공하는 것과, 국내전화회선에서 호출신호가 입력되는 동안 새로이 국제전화회선에서 통화신호가 있더라도 단말장치가 국제전화회선에 연결되지 않도록함과 동시에 국내전화회선이 통화중임을 알리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회선자동절체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국제전화회선을 통해 단말장치가 통화가 끝났을때 전화선선택스위치(6)가 국내전화선에 선택되어있는 상태이면 단말장치는 자동으로 국내전화회선과 연결되도록하는 것과 국내전화회선을 통해 단말장치가 통화가 끝났을때 전화선선택스위치(6)가 국제전화선에 선택되어있는 상태이면 단말장치는 자동으로 국제전화회선과 연결되도록하고, 국제전화회선을 통해 단말장치가 통화가 끝났을때 전화선선택스위치(6)가 국제전화선에 선택되어있는 상태이면 단말장치는 자동으로 국제전화회선과 연결되도록 하는 것과 국내전화회선을 통해 단말장치가 통화가 끝났을때 전화선선택스위치(6)가 국내전화선에 선택되어있는 상태이면 단말장치는 자동으로 국내전화회선과 연결되도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회선자동절체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호출신호의 입력에 따라 착신상태를 표시함과 동시에 전화선 선택스위치에 의하여 전화회선이 선택되었음을 표시하는 국내, 국제표시램프용 LED(LED1)(LED2)가 구비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회선자동절체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전화회선을 통해 국내 공중전화망에서는 교환기(PABX)자체에서 상대방 전화국과 주고받는 신호를 상쇄시켜 가입자회선에는 백신호(RINGER BACK TONE)가 발생하지 않으나 전용전화망에서는 전화국과 전화국간으 피시엠(PCM)구간에서 서로 주고받는 신호가 가입자 회선에 백신호(RINGER BACK TONE)를 발생하여 통화를 끝내고 해제를 시키면 곧바로 전용전화 회선에서 발생하는 백신호(RINGER BACK TONE)가 전화회선자동절체기에서 호출신호로 감지하지 못하도록 호출신호 감지중지회로(15)에서 통화상태의 유,무를 판단하여 처리하여 주기 때문에 사용상 이용자로 하여금 혼란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회선자동절체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장치를 2개의 전화회선과 단말장치의 사이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회선자동절체기.
KR1019940031529A 1994-11-28 1994-11-28 전화회선자동절체기 KR970011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1529A KR970011430B1 (ko) 1994-11-28 1994-11-28 전화회선자동절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1529A KR970011430B1 (ko) 1994-11-28 1994-11-28 전화회선자동절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0289A KR960020289A (ko) 1996-06-17
KR970011430B1 true KR970011430B1 (ko) 1997-07-10

Family

ID=19399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1529A KR970011430B1 (ko) 1994-11-28 1994-11-28 전화회선자동절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1143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0289A (ko)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78537A (en) Telecommunication apparatus serving as an interface between a digital computer and an analog communication medium
US5317629A (en)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connectable with a plurality of telephone sets and a telephone line
EP0684722B1 (en) Diverter interface between two telecommunication lines and a subscriber station set
CA2148897A1 (en) Subscriber telephone diverter switch
KR950008865B1 (ko) 여러개의 원격 국 장치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KR910000627B1 (ko) 전화·팩시밀리절환방식
US5877872A (en) Facsimile apparatus
KR970011430B1 (ko) 전화회선자동절체기
CA2177756C (en) Selection of terminal equipment in response to a data message received during silent intervals of ringing
US6396918B1 (en) Method for forwarding a call to a telephone behind a key telephone system
EP0706279B1 (en) Modem system for teleworkers
KR950001523B1 (ko) 회선선택장치
US6185297B1 (en) Low power dialer
KR100194428B1 (ko) 자동 접속번호 송출전화기에서 병렬 접속된 전화기에 자동 접속번호 송출기능 제공장치 및 방법
JP3837905B2 (ja) 通信端末装置
JPS6062267A (ja) ダイヤル機能を有するファクシミリ装置における動作モード制御方式
KR100425082B1 (ko) 전화 수신신호의 자동 판별방법
JP3091065B2 (ja) ノーリンギングによりデータ伝送を行う通信装置
JPH04324755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KR100217036B1 (ko) 간이 전자 교환장치의 삐삐호출 예약방법
JP3058584B2 (ja) 広域ボタン電話システムおよびisdn電話機
JP3870544B2 (ja) 通信端末装置
KR100488423B1 (ko) 무선가입자망가입자정합장치내의전화기접속장치
JP2976740B2 (ja) 通信端末装置
JP4472852B2 (ja) 回線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