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1123B1 - 다기능 디지탈 알람시계 - Google Patents

다기능 디지탈 알람시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1123B1
KR970011123B1 KR1019940003664A KR19940003664A KR970011123B1 KR 970011123 B1 KR970011123 B1 KR 970011123B1 KR 1019940003664 A KR1019940003664 A KR 1019940003664A KR 19940003664 A KR19940003664 A KR 19940003664A KR 970011123 B1 KR970011123 B1 KR 970011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time
unit
control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3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5497A (ko
Inventor
오방렬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03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11123B1/ko
Publication of KR950025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5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11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11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3/00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 G04G13/02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at preselected times, e.g. alarm clocks
    • G04G13/021Detail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1/00Producing optical signals at preselected tim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6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using voice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기능 디지털 알람시계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디지털알람시계의 블록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적용되어 상품화되었을 경우의 다기능디지털알람시계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제3도는 제1도의 발광소자에서 출력되는 발광신호를 수광하여 그에 따른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리모콘기능을 갖춘 전원기기의 일반적인 블록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알람장치 10 : 시간설정부
12 : 표시구동부 14 : 표시부
16 : 타이머 18 : 스피커구동부
20 : 스피커 22 : 모드선택부
24 : 제어부 26 : 모드절환부
28 : 선택모드저장부 30 : 발광소자구동부
32 : 발광소자
본 발명은 다기능디지털알람시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다기능디지털알람시계의 표시기능과 알람기능 이외에 전원기기의 전원을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된 다기능디지털알람시계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제품화되어 판매되고 있는 디지털알람시계는 사용자가 설정하는 시간이 LCD판넬상에 디스플레이(Display)되는 시간표기능과 현재시간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에 도달되는 경우 소정 음향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어 현재 시간이 특정 시간에 도달했음을 알리는 알람기능 등이 갖추어져 있는 바, 그 알람기능은 단순히 사용자가 예컨대, 기상시간 이라든지 기타 중요한 시간을 미리 설정하여 두고서 그 설정된 시간이 되면 스피커를 통해 일정레벨의 음성 또는 멜로디가 발생되는 동작만을 수행하고 있다.
이와 유사하게, 자동타이머기능이 있는 텔레비전 또는 오디오 등의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해 온타임(On-Time)기능을 설정된 상태에서는 현재시간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온타임시간에 도달되면 자동으로 예컨대, 전원이 온(On)되거나 녹화 동작 또는 녹음동작이 수행되도록 하고 있지만 필요에 따라 시간을 재설정 해주어야 되는 경우가 발생되고 그 경우 여러가지의 복잡한 조작단계를 거쳐야 되는 불편함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디지털알람시계의 내부에 별도의 타이머를 설치함과 더불어 그 디지털알람시계의 소정위치에 좌우상하로 회전가능한 복수의 회전단 및 그 회전단의 소정위치에 적외선발광소자를 설치함으로써 리모콘기능을 갖춘 전원기기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킬 수 있도록 된 다기능디지털알람시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디지털알람시계는,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이 디스플레이됨과 더불어 그 설정된 시간이 되면 소정시간동안 음성이 발생되도록 하는 알람장치를 갖춘 디지털알람시계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선택부와, 상기 모드선택부로부터의 모드선택에 따른 선택모드가 저장되도록 함과 더불어 현재 시간이 시간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시간에 도달되면 해당 모드에 대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 후에 모드절환이 수행되도록 장치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모드절환동작을 수행하는 모드절환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모드가 저장되는 선택모드저장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제어대상인 전자기기의 전원을 온/오프제어하기 위한 발광신호를 방사하는 발광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발광소자는 해당 디지털알람시계의 상부에서 좌/우/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한 복수의 회전단의 소정 위치에 설치됨과 더불어 제어대상인 전자기기의 수광부에 대향하도록 위치하도록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알람동작이 수행됨과 더불어 사용자의 모드선택에 따라 현재 시간이 온/오프타임시간에 도달되면 상기 디지털알람시계로부터 소정의 발광신호가 출력되어 소망하는 전원기기 예컨대, 텔레비전 또는 오디오, 전등 등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디지털알람시계의 블록구성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적용되어 상품화되었을 경우의 다기능디지털알람시계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도에 있어서, 참조부호 10은 사용자가 소망하는 시간 예컨대, 기상시간 또는 중요한 행사시간 등을 설정할 수 있는 시간설정부로서, 제2도에 예를 들어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설정하고자 소망하는 시간으로 업(UP)시킬 수 있는 상승키(10a)와 다운(DOWN)시킬 수 있는 하강키(10b)로 구성된다. 12는 상기 시간설정부(10)에서 설정되는 시간을 표시하도록 하는 표시구동부이고, 14는 사용자가 상기 시간설정부(10)상의 상승키(10a)와 하강키(10b)를 이용하여 설정한 시간을 상기 표시구동부(12)의 구동제어하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로서, 제2도에 예를 들어 도시한 바와 같이 LCD판넬로 구성된다.
16은 후술되어질 제어부(24)의 제어하에 현재시간이 상기 시간설정부(10)에 의해 설정된 목적시간에 도달되면 기설정된 소정시간동안 작동되는 타이머이고, 18은 그 타이머(12)의 작동에 따라 구동되어 음성출력을 위해 후단에 접속된 스피커(20)를 구동하는 스피커구동부이다.
상기한 시간설정부(10)와, 표시구동부(12), 표시부(14), 타이머(16), 스피커구동부(18) 및, 스피커(20)는 통상적으로 디지털시계의 알람장치(1)에 해당된다.
동 도면에서, 22는 사용자가 소망하는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선택부로서, 그 모드선택부(22)는 제2도에 예를 들어 도시한 바와 같이 디지털시계의 좌측부분에 설치되어 예컨대 상기 알람장치(1)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키와, 사용자가 동작시키고자 소망하는 전원기기의 온/오프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키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모드선택부(22)에는 스피커(20)를 통해 출력되는 소정의 음성을 뮤팅시킬 수 있는 선택키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24는 상기 알람장치(1)의 동작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모드선택에 따른 선택모드 저장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를 선택모드저장부(28)에 저장하도록 함과 더불어 현재 시간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에 도달하면 즉, 현재 시간이 상기 표시부(14)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시간과 일치하면 해당 모드의 전원기기로 예컨대 적외선과 같은 광비임이 방사되도록 발광제어신호를 출력함과 함께 상기 발광신호에 의해 해당 전원기기의 전원이 온 또는 오프된 경우 후속모드로의 모드절환이 이루어지도록 모드절환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이고, 26은 상기 제어부(24)에서 인가되는 모드절환신호를 근거로 모드를 절환시키는 모드절환부이며, 28은 상기 제어부(24)의 제어하에 상기 모드선택부(22)에서 선택된 모드를 저장시키는 선택모드저장부로서, 예컨대 EEPROM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30은 상기 제어부(24)에서 인가되는 발광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복수의 발광소자구동부이고, 32는 상기 발광소자구동부(28)의 구동동작에 따라 발광신호를 출력시키는 복수의 발광소자로서, 그 발광소자(32)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지털알람시계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3도에 도시된 전원기기의 수광부(34)에 대향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좌/우/상/하로 소정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회전단(5)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3도는 제1도의 발광소자(32)에서 출력되는 발광신호를 수광하여 그에 따른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리모콘기능을 갖춘 전원기기의 일반적인 블록구성도로서, 참조부호 34는 리모콘기능을 갖춘 텔레비전 또는 오디오 등와 같은 A/V기기 및, 샹들리에와 같은 조명기구의 로우젯(Rosette)에 설치되어 상기 제1도의 발광소자(32)에서 출력되는 발광신호를 수광하여 전기적 제어신호로 변환시키는 수광부이고, 36은 상기 수광부(34)로부터의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발광신호에 기초하여 전원 온/오프신호를 출력하는 전원기기 전용의 제어부이고, 38은 상기 전원기기 전용의 제어부(36)에서 인가되는 전원 온/오프신호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는 기능회로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다른 다기능디지털알람시계에 의한 다기능디지털알람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2도에 있어서, 사용자는 시간설정부(10)상의 상승키(10a)와 하강키(10b)를 이용하여 설정하고자 소망하는 시간을 복수개 설정함과 동시에 모드선택부(22)상의 선택키를 이용하여 시간이 설정될 때마다 희망하는 모드를 선택하게 되는 바, 사용자가 설정시킨 시간에 알람장치(1)를 동작시키고자 하는 경우 알람장치선택기를 조작하게 되고, 텔레비전 또는 오디오 등과 같은 A/V기기 및 샹들리에와 같은 조명기구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에 따른 모드선택키를 조작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모드선택이 진행됨에 따라 선택모드저장부(28)에는 제어부(24)로부터의 선택모드저장신호에 의해 상기 선택모드가 저장되고, 표시부(14)상에는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중의 제일 빠른 시간이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회전단(5)을 회전시켜 그 회전단(5)의 발광소자(32)가 제3도에 도시된 희망하는 텔레비전 또는 오디오 및 형광등 등의 수광부(34)에 대향하도록 위치시킨다. 그후, 현재 시간이 상기 표시부(14)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시간에 도달한 경우 예컨대, 현재 시간이 알람장치(1)를 작동시켜야 되는 알람시간에 도달된 경우에는 제어부(24)가 상기 타이머(16)를 작동시킨다.
이어, 상기 타이머(16)가 작동되는 소정 시간동안 스피커구동부(18)에 의해 스피커(20)를 통해서 일정레벨의 음성 또는 멜로디가 출력되고, 그 음성 또는 멜로디가 출력개시된 시점에서 소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어부(24)는 모드절환부(26)로 소정의 모드절환신호를 인가하는데, 이에 상기 모드절환부(26)는 해당모드 절환신호에 기초하여 선택모드저장부(28)에 저장된 선택모드중의 후속모드로 모드를 자동절환시키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부(24)는 상기 표시구동부(12)를 제어하여 상기 표시부(14)를 통해 후속모드의 설정시간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한편, 현재 시간이 상기 표시부(14)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시간에 도달된 경우 예컨대, 현재 시간이 텔레비전 또는 오디오 등과 같은 A/V기기 또는 샹들리에와 같은 조명기구의 전원을 온시키기 위한 온타임시간에 도달된 경우에는 제어부(24)에서 출력되는 소정의 발광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발광소자구동부(30)가 상기 발광소자(32)를 구동하여 상기 텔레비전 또는 오디오, 샹들리에의 수광부(34)에 대향위치된 발광소자(32)로부터 해당 전자기기를 온시키기 위한 소정의 발광신호 예컨대, 적외선과 같은 광비임이 출력된다.
그에 따라 각 수광부(34)에 수광된 발광신호를 소정의 전기적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제어부(36)으로 인가하는 바, 상기 텔레비전 또는 오디오, 샹들리에 등의 제어부(36)는 그 전기적신호에 기초하여 기능회로(38)가 동작되도록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그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텔레비전 또는 오디오, 샹들리에의 전원이 온된다.
또한, 상기한 텔레비전 또는 오디오, 샹들리에의 전원을 오프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도 상기한 동작과 유사하게 제어부(24)에 의해 제어되는 발광소자구동부(30)의 제어하에 발광소자(32)로부터 방사된 전원오프에 해당하는 발광신호가 방사되면, 그 발광신호가 해당 전원기기의 수광부(34)에서 전기적신호로 변환되어진 다음 해당 전원기기 전용의 제어부(36)로 인가되고, 상기 제어부(36)는 해당 전기적신호를 기초로 기능회로(38)를 제어하여 해당 전자기기의 전원이 오프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적용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컨대 회전단(5)을 더 추가시켜 사용하여도 무방하고, 기타 제어부(24)의 제어순서나 제어내용 및 발광소자(32)의 종류 등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디지털알람시계에 의하면, 기존의 디지털알람시계의 알람동작이 수행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모드선택에 따라 적외선과 같은 광비임을 방사하여 소망하는 전원기기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킬 수 있으므로 디지털알람시계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이 디스플레이됨과 더불어 그 설정된 시간이 되면 소정시간동안 음성이 발생되도록 하는 알람장치(1)를 갖춘 디지털알람시계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선택부(22)와, 상기 모드선택부(22)로부터의 모드선택에 따른 선택모드가 저장되도록 함과 더불어 현재 시간이 시간설정부(10)에 의해 설정된 시간에 도달되면 해당 모드에 대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 후에 모드절환이 수행되도록 장치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24), 상기 제어부(24)의 제어하에 모드절환동작을 수행하는 모드절환부(26), 상기 제어부(24)의 제어하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모드가 저장되는 선택모드저장부(28), 상기 제어부(24)의 제어하에 제어대상인 전자기기의 전원을 온/오프제어하기 위한 발광신호를 방사하는 발광수단(30, 3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발광소자(32)는 해당 디지털알람시계의 상부에서 좌/우/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한 복수의 회전단(5)의 소정 위치에 설치됨과 더불어 제어대상인 전자기기의 수광부(34)에 대향하도록 위치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디지털알람시계.
KR1019940003664A 1994-02-28 1994-02-28 다기능 디지탈 알람시계 KR970011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3664A KR970011123B1 (ko) 1994-02-28 1994-02-28 다기능 디지탈 알람시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3664A KR970011123B1 (ko) 1994-02-28 1994-02-28 다기능 디지탈 알람시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5497A KR950025497A (ko) 1995-09-18
KR970011123B1 true KR970011123B1 (ko) 1997-07-07

Family

ID=19377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3664A KR970011123B1 (ko) 1994-02-28 1994-02-28 다기능 디지탈 알람시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111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233B1 (ko) * 2007-10-29 2010-03-09 구재금 색 제어 기능을 갖는 시계, 색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5497A (ko) 1995-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1758B1 (ko)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전원 제어 방법
JPS6218593A (ja) デ−タ処理装置
EP2005733B1 (en) Display system and power control method thereof
JP2007035420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KR970011123B1 (ko) 다기능 디지탈 알람시계
JP3387128B2 (ja) 照明装置
KR940000253B1 (ko) 리모콘
JP2005078834A (ja) 照明制御装置
JPH088068A (ja) 照明装置
KR200181755Y1 (ko) 전원으로 기능을 조정하는 감시카메라
JP3099223B2 (ja) レンジフード装置
KR200267538Y1 (ko) 벽시계
KR100192031B1 (ko) 자동 발광 기능을 가지는 알람 장치
KR0120858Y1 (ko) 조도적응식 리모콘 조명장치
KR200246335Y1 (ko) El을 광원으로 하며 타이머기능을 가지는 조명액자
JP2006229814A (ja) 画像表示装置、テレビ受信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
JP5652697B2 (ja) リモコン送信器
KR0135344Y1 (ko) 조명기구의 출력레벨 표시장치
JP2005078862A (ja) リモコン送信器
KR19990013582U (ko) 모드식별이 가능한 리모콘
KR970005034B1 (ko) A/v기기의 동작상태 표시장치
KR200219945Y1 (ko) 원격제어 전광판
KR200167261Y1 (ko) 텔레비젼 장치의 발광 컨트롤 패널
KR19980043778U (ko) 조명기능을 갖춘 텔레비전 수상기
JPH04108295A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