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1076B1 - 운송벨트 위로 유동성 재료를 세편형 또는 물방울 형태로 변형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운송벨트 위로 유동성 재료를 세편형 또는 물방울 형태로 변형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1076B1
KR970011076B1 KR1019920007504A KR920007504A KR970011076B1 KR 970011076 B1 KR970011076 B1 KR 970011076B1 KR 1019920007504 A KR1019920007504 A KR 1019920007504A KR 920007504 A KR920007504 A KR 920007504A KR 970011076 B1 KR970011076 B1 KR 970011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support arm
transport belt
suppor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7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0152A (ko
Inventor
프뢰쉬께 라인하르트
Original Assignee
산트라데 리미티드
레나르트 타퀴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트라데 리미티드, 레나르트 타퀴스트 filed Critical 산트라데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930000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11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10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 B01J2/20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by expressing the material, e.g. through sieves and fragmenting the extruded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 B01J2/26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on endless conveyo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0Making granules by moulding the material, i.e. treating it in the molten st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5/00Plastic article or earthenware shaping or treating: apparatus
    • Y10S425/23Hay wafering or pelletizing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 Glanulating (AREA)
  • Belt Conveyors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운송벨트 위로 유동성 재료를 세편형 또는 물방울 형태로 변형하기 위한 장치
제1도는 운송벨트에 대하여 가로로 마련된 드럼에 할당되어 있으며 선회 지지아암에 마련된 가이드를 포함하는, 소립자 또는 정제약을 생산하는 장치의 평면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단면 Ⅱ-Ⅱ의 측면도이며,
제3도는 드럼에 대해 정지되어 있는 가이드의 내측면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이드 1A : 측벽
1b, 1c : 밀폐편 2 : 지지아암(HOLDING ARM)
3 : 선회편 4 : 구멍
5 : 잠금핀 6 : 지지체(HOLDING DEVICE)
7 : 디스크형 링 8 : 제2하우징
9 : 링조임쇠 10 : 선회 그립(SWIVEL GRIP)
11 : 회전축 12 : 외부드럼
13 : 내부드럼 14 : 원추형 새김눈
15 : 돌출부 16 : 도톨도톨한 나사
17 : 돌출부 지지체 18 : 플랜지(FLANGE)
19 : 제2받침(BRACKET) 20 : 제1받침(BRACKET)
21 : 편심볼트 22 : 구멍
23 : 레버아암(LEVER ARM) 24 : 연접봉
25 : 헤드 26 : 받침
27 : 제2멈춤부재 28 : 압력스프링
29 : 제1멈춤부재 30 : 운송벨트
31 : 제1하우징 32 : 틈새
33 : 가이드부
본 발명은 운송벨트 위로 유동성 재료를 세편형 또는 물방울 형태로 변환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장치들은 독일특허 DE 28 53 054 C3와 DE 29 41 802 C2에 공지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작은 입자 혹은 정제약들의 생산에 사용되고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재료를 가열하여 가압하에서 실린더 용기 내부로 공급하고; 운송벨트를 작동하고 운송벨트에 면해 있는 원주면이 벨트와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방식으로 외부드럼을 회전시키고 있다. 내부 실린더 용기에 구멍들과 회전하는 드럼의 구멍들이 일치할때, 상기 점성 재료의 세편형 또는 물방울 형태의 조작들은 상기 구멍을 통해 가압되어 아래에 위치한 운송벨트 위로 떨어진다. 거기서 각 조각들은 운송벨트의 냉각에 의해 다시금 응고가 촉진되어, 알갱이 또는 알약으로써 벨트를 벗어나게 된다.
드럼 표면에 달라붙어 떨어지지 않는 물질을 없애주거나 달라붙어 있는 결과로써 발생되는 운용상의 장애들을 피하기 위해, 드럼 표면을 감싸는 이러한 장치들의 경우에 있어서는, 운송벨트로부터 떨어져 있는 원주면에서, 가이드들이 그 가이드와 드럼 표면 사이에 형성된 좁은 틈새가 회전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좁아지는 방식으로 제공된다. 운송벨트에 면해 있는 면에서 각각의 드럼 구멍들이 내부 실린더 용기의 구멍들과 다시금 일치할 때 상기 달라붙어 있는 물질을 완전히 밀어넣기 위해, 상기 가이드는 드럼의 외부 원주면에 달라붙어 떨어지지 않는 물질을 드럼 표면의 구멍속으로 되밀어 넣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한 가이드는 드럼 표면에 잔존하는 물질들을 깨끗이 제거하는 장치(SCRAPE-OFF)를 불필요하게 하며, 그러한 잔류물질 제거장치에 비해, 성가신 방법으로 상기 제거된 물질에 해당하는 양만큼을 그 공정에 재공급하지 않아도 되며 또는 잔류물질을 완전히 없애는 이점이 있다.
상기 공지된 장치들의 경우에 있어서, 가이드는 분리는 할 수 있지만 단단히 고정하는 방식으로 고정봉(FASTENING ROD) 또는 앵글받침(ANGLE BRACKET)들에 장착되며, 이러한 고정봉 또는 앵글받침들은 일반적으로 운송벨트 위와 상기 가이드에 위치한 물방울 구멍위에 장착되어진다. 가이드로부터 기화되어 고정부들 위에 응축되는 수증기에 의해, 상기 지지하고 접촉하도록 가압하는 기능의 손상이 일어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지와 보수가 편리한 방식으로 부품들이 구성되어 있는 운송벨트 위로 유동성 재료를 세편형 또는 물방울 형태로 변형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내부에서 서로 동심원상으로 배열된 제1 그리고 제2원통형 용기인 드럼들에서, 제1드럼은 회전가능한 외부드럼이 되며 그의 표면은 제1드럼의 회전중에 제2드럼의 적어도 한개의 구멍과 주기적으로 일치하게 되는 구멍들이 제공되고, 운송벨트로부터 떨어져 면해 있으며, 원주면의 외부 제1드럼을 감싸고 있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재료변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선회 지지체에 마련된 선회핀에 관하여 드럼 표면으로부터 떨어져 방사상으로 선회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으로 안내되는 운송벨트 위로 유동성 재료들을 세편형 또는 물방울 형태로 변형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 가이드 드럼 표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선회할 수 있다는 사실은, 운용위치에서 가이드에 의해 덮여져 있는 드럼의 표면으로 뿐만 아니라 가이드로의 접근을 용이하게 한다. 그러므로 예를들면, 보수와 청소작업을 하기 위해 가이드를 재설치할때는 어려운 조정을 하거나 고정나사들을 푸는데의 지나친 노력을 피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2항에 따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가이드는 선회 지지체의 한면에 선회하도록 연결된 지지아암에 연결된다. 청구범위 제3항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선회핀은 이 경우에 있어서 운송벨트의 측면방향에 마련되어 있으며 드럼축에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다.
청구범위 제4항에 따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가이드는 운송벨트위의 지정 영역에서 접근을 매우 용이하게 하는 벨트의 측면의 한 영역으로 선회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청구범위 제5항에 따라, 지지아암과 더불어 선회되는 가이드를 바람직하게는 자동적인 맞물림에 의해(청구범위 제6항) 잠글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선회 지지체는, 청구범위 제7항에 따라 차례로 하나의 링에 의하여 드럼축의 주위를 회전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그 결과 가이드의 위치는 드럼의 원주방향에서 쉽사리 조정될 수 있다.
청구범위 제8항에 따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적당한 구동장치로 지지되는 단 한 면으로 된 드럼의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가이드를 작동 방향으로 선회시킬 수 있으며, 운용위치로 선회시키는 도중에, 드럼 용기 정면의 원추형 새김눈 속으로 돌출부를 밀어넣는다는 점에서 드럼에 대하여 정밀하고 간단한 방식으로 상기 지지아암과 가이드를 잠글 수 있다.
지지아암이 고정되어 있을때, 드럼 용기에 대해서 뿐만 아니라 드럼 표면에 대하여 약간의 횡방향 이동이 청구범위 제9항의 특성을 갖는 장치에 의해 가능하다.
청구범위 제10항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지지아암에 관련된 가이드의 운동은 운송벨트 측면에 서 있는 작업자가 이 측면에 면해 있는 봉을 상응하게끔 작동시킴으로써 개시된다. 청구범위 제11항에 따른 압력스프링을 제공함에 의해, 가이드는 드럼 표면에 대해 탄력적으로 눌려지며, 또한 구체적으로는 드럼 표면에 접촉하는 가이드의 정면이 사용에 의한 마모에 의해 줄어들때까지 눌려진다. 이 운동을 제한하기 위해 청구범위 제12항에 따라, 지지아암을 선회시킬때 지지아암에서 떨어져 있는 가이드의 운동을 제한시키는 멈춤부재가 제공된다. 만약, 또 가이드를 드럼위로 다시 선회시킬때, 연접봉은 드럼의 원주면에 대해서 정지해 있는 가이드의 앞부분이 다 닳아서 교환해야 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멈춤부재에 의해 한정되는 위치에 머무르게 된다.
또한 편리한 운용법은 청구범위 제13항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시된다. 예를들면, 지지아암이 운송벨트 위의 운용위치에 가로로 있을 때 운송벨트의 측면에 서 있는 작업자는 선회 그립을 가진 지지아암을 측면으로 선회시킬 수 있다. 청구범위 제14항의 특징은 응축되는 수증기가 지지아암의 접촉 압력 장치들의 기능을 손상시키는 것을 막아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첨부 도면에서 보여지며 다음과 같이 상술된다.
제1도와 제2도에 도시된 장치는 작은 알갱이 또는 정제약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치이다. 재료편들은, 예를들면 물방울 모양 또는 길고 가느다란 모양의 재료편들은, 운송벨트(30) 위에 놓여져 지정된 화살표의 방향(T)으로 이동된다. 벨트위에 가깝게 그리고 꺾이는 곳에 연이어, 점성의 덩어리를 생산하기 위한 드럼(13)이 마련되어 있으며, 드럼(13)의 회전축(11)은 상기 벨트의 이동방향(T)을 가로질러 수평하게 연장되어 있다. 통상의 방식으로, 드럼(13)은 그 표면의 한 구획(B)에 상세히 제시되지는 않았지만 여러개의 구멍들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덩어리가 그 구멍을 통해 생산되며, 구멍으로부터 운송벨트 위에 놓여진다.
상기 드럼(13)은 드럼(12)의 내부에 실린더 용기로써 동축선상에 마련되어, 상기 덩어리가 이 용기의 내부로 공급된다. 일면이 지지(ONE-SIDED BEARING)되고 정지된 내부드럼(13)에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드럼(12)의 구동으로써, 하우징(31)내에 수용된 앞면 끝의 공급관들에 상기 덩어리를 공급함으로써 상기와 같이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내부 정지드럼(13)은 그 원주 위에, 운송벨트(30)에 면해 있으며 구멍들이 형성된 외부드럼(12)의 표면(B)의 축방향에 상응하는 길이를 따라 행으로 마련된 구멍들을 가지고 있다. 가압하의 상기 재료가 내부 정지드럼(13)에 공급되는 동안에, 외부드럼(12)은 운용중에는 각 경우마다 특정시간에 운송벨트(30)에 접하는 드럼 원주면의 원주 속력이 거의 벨트 속력과 같은 회전방향(D)으로 회전한다. 상기 내부드럼(13)은 절대적으로 대칭적으로 회전될 필요가 없으며; 그것은 단지 운송벨트에 면한 아래 면에서, 회전하는 외부드럼(12)의 내부 원주면이 내부 정지드럼(13)의 외부 원주면을 밀접하게 둘러싸도록 보장하면 족하다. 이것은 상기 덩어리가 드럼 용기 벽들 사이로 퍼져나가지 않는 대신에, 내부 정지드럼으로부터 그 아래면의 구멍들을 통해서 그리고 틈새없이 연결된 그에 상응하는 각각의 회전하는 외부드럼의 구멍들을 통해 벨트위로 생산되는 것을 보장한다.
운송벨트(30)에 할당된 영역밖에서, 가이드(1)는 회전드럼(12)의 외부 원주위에 마련되어 있으며, 드럼 원주의 일부분을 감싸고, 각 경우에 있어서, 구멍들이 형성된 드럼 표면(B)을 약간 초과해서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 경우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1)는 축방향으로 측벽(1a)들로써 마감되어 있다. 가이드(1)는 드럼(12)에 면하는 안쪽에서 드럼 원주를 마주보고 정지해 있는 밀폐편들(1b, 1c)을 가진다(제3도). 이 경우에 있어서, 밀폐편(1b)은 회전방향의 후미에 있는 가이드부(33)에 부가되어 있다. 원주방향에서, 가이드(1)는 가이드의 정면과 드럼 표면 사이에 형성된 틈새(32)가 회전방향(D)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방식으로 상기 드럼 표면을 감싸고 있다. 가이드부는 벨트(30)위로 떨어지지 않은채 회전하는 외부드럼(12)의 외부 원주위에 남아 있는 재료를 회전하는 드럼 표면의 구멍들 속으로 되밀어 넣는다. 접촉 가이드부(33)를 지난 후에, 드럼의 회전하는 외부 원주로부터 그러한 잔류물질이 완전히 제거되며, 그 결과 손상되지 않은 새로운 물방울 또는 길고 가느다란 조각모양의 생성물을 상응하는 구멍들을 통해서 얻을 수 있다.
압력 효과에 의해 회전하는 외부드럼(12)의 구멍들 속으로 잔류물질을 되밀어 넣는 것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가이드(1)와 드럼 원주 사이의 틈새 공간(32)이 가능하다면, 밀폐편들(1b, 1c)에 의해 모든 면에서 밀폐되어야 한다. 가이드(1)의 운용위치에서는 이러한 밀폐편들에 접근하는 것이 어렵다. 상기 밀폐편들은, 예를들면, 플래스틱 재료로 이루어져 있기에, 일정한 운용기간 후에는 교환되어져야 한다. 가이드(1)는 그러므로 그러한 작업들을 하기 위해 드럼 표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선회시킬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가이드(1)는 지지체(6)에 선회되도록 연결된 지지아암(2)과 연결되어 있어서, 선회핀(3)에 의해 한쪽 끝에서 선회될 수 있다. 운용위치에서는, 사각형으로 구성된 지지아암(2)은 드럼축(11)에 평행하게 편이되어 있으며, 반면에 선회핀(3)은 회전축(11)에 수직인 평면에 위치하게 된다. 가이드(1)가 드럼의 원주에 대해 정지해 있는 이 운용위치에서부터, 지지아암(2)은 드럼들(12, 13)로부터 떨어져 90도 각도만큼 선회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있어서 지지아암(2)은 그 위에 형성된 구멍(4)속에 지지체(6)의 잠금핀(5)을 잠금으로써 선회된 보수위치에서 자동적으로 잠겨지게 된다. 가이드(1)와 함께 지지아암(2)의 선회는, 가이드(1)의 맞은편쪽 지지아암(2)의 측면을 가로질러 거의 중앙으로 돌출한 지지아암(2)에 용접되어 있는 선회 그립(10)에 의해 용이해진다. 상기 선회된 보수위치에서, 가이드(1)와 함께 지지아암(2)은 완전히 운송벨트 영역밖에 위치하게 되므로, 밀폐편들(1b, 1c)과 같은 상응하는 부품들에 쉽사리 접근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가이드와 함께 지지아암(2)은 알갱이화되는 물방울 모양의 재료가 공급되는 운송벨트로부터 떨어져 있는, 드럼들(12, 13)의 측면인 영역에 배치된다. 이것은 지지아암이 물방울 형태의 재료들로부터 기화되는 수증기에 의해, 작업위치에서 또한 손상받지 않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그렇지만, 지지아암의 운용 능력과 가이드를 위한 접촉 압력장치의 운용능력은 유지된다.
잠금핀(5)을 들어올린 후, 상기 지지아암(2)은 다시 작동위치로 선회시킬 수 있다. 정밀한 조정을 위해, 돌출부 지지체(17)가 플랜지(18)에 의해 선회핀(3)의 맞은편에 위치한 지지아암(2)의 끝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으며, 이 돌출부 지지체(17)는 세로 방향으로 조정시킬 수 있는 돌출부(15)를 가지고 있다. 상기 돌출부(15)의 축 상의 변위는 도톨도톨한 나사(16)에 의해 이루어진다. 꼭맞는 원추형의 새김눈(14)이 돌출부(15)와 서로 작용하며, 정지드럼(13)의 대향 단부면쪽의 중앙에 제공된다. 상기 새김눈(14)은 정지드럼(13)을 지지하고 회전드럼(12)을 지탱시키기(BEARING) 위한 하우징(31)의 맞은편쪽에 위치한 정지드럼(13)의 끝면에 있다. 지지아암(2)을 상기 드럼들(12, 13)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운용위치로 선회시킨 후에, 돌출부(15)는 도톨도톨한 나사(16)에 의해 새김눈(14)속으로 삽입되며, 그에 의해 지지아암(2)은 상기 드럽들(12, 13)에 대해 정밀하게 고정된다. 지지아암(2)을 드럼으로부터 선회시키기 전에, 돌출부(15)는 그에 상응해서 다시금 새김눈 밖으로 안내되어져야 한다.
상기 드럼들(12, 13)을 지지하고 지탱하기 위한 하우징(31)쪽과 같은 운송벨트(30)쪽에 위치한 선회 지지체(6)는, 차례로 하우징(31)을 둘러싸고 드럼축(11) 주위를 회전할 수 있는 디스크형 링(7)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다. 상기 링(7)은 제2하우징부(8)의 홈 속에 안내되어, 원주상에 균일하게 배치된 세개의 링 조임쇠들(9)에 의하여 제2하우징에 대해 고정시킬 수 있다. 링 조임쇠들(9), 링(7) 및 또한 선회 지지체(6)를 풀은 후에, 지지아암(2)과 가이드(1)은 드럼축(11) 주위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다른 위치에서 다시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필요에 따라 드럼(12)의 다른 원주면에 가이드(1)를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들면, 그것은 운송벨트(30)의 정밀하게 맞은편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드럼(12) 위에 정확히 배열될 수 있다. 보수를 위해서는, 먼저 링(7)을 풀어 놓은 다음 지지아암(2)을 제1도와 제2도에 지시된 드럼들(12, 13)의 위치로 측면을 따라 회전시키고 나서-돌출부를 빼낸 후-가이드(1)와 함께 지지아암(2)을 그 면에 대하여 선회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드럼들(12, 13)은 벨트(30)의 꺾임 영역의 시작부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선회된 보수 위치에서의 지지아암(2)과 가이드(1)는 운송벨트 영역의 외부영역에 또한 위치하게 되어 그들은 모든 면으로부터의 접근이 용이하다.
편심 베어링에 대해, 가이드(1)는 지지아암(2)에 선회되도록 연결되어 있어, 그 결과 지지아암(2)에 대해서 가로 방향으로 일정크기로 움직일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서, 제1받침(20)이 지지아암(2)의 측면에 용접되어 있고, 이 제1받침을 부분적으로 덮고 있는 제2받침(19)이 나사 또는 볼트로 가이드(1)에 조여져 있다. 구멍(22)은 양 받침들(19, 20) 모두에 존재한다. 하나의 편심볼트(21)가 서로 위에 마련된 구멍들을 통해 꼭들어 맞는다. 그러므로 편심볼트(21)의 회전으로 말미암아 상기 제2받침(19)과 그에 연결된 가이드(1)는 정지해 있는 제1받침(20)과 그에 연결된 지지아암(2)에 대하여 가로로 움직이게 된다. 편심볼트(21)의 회전은 레버아암(23)과 이음쇠에 의하여 그것의 다른쪽 끝에 연결된 연접봉(24)을 통해 일어난다.
세로 방향으로 눌리면, 지지아암(2)의 측면에 용접된 받침(26)의 통로를 통해서 안내되어지도록 지지아암(2)쪽에 연접봉(24)은 구속되어 있다. 압력스프링(28)이 지지아암(2)의 받침(26)과 연접봉(24)위의 제1멈춤부재(29) 사이에 삽입되어 연접봉(24)을 제1도에서 좌측을 가리키는 방향으로 누름으로써, 차례로 가이드(1)는 지지아암(2)으로부터 드럼 표면 방향으로 눌려진다. 가이드(33) 또는 드럼의 원주에 대해 정지해 있는 밀폐편들(1b, 1c)은 그 때문에 스프링 탄력에 의해 외부드럼(12)의 회전하는 표면에 대항하여 눌려진다. 만약 드럼에 접촉하는 밀폐편(1b, 1c)의 높이가, 사용의 결과로써, 일정한 운용기간뒤에 줄어들면 이러한 수단에 의해 가이드(1)는 자동적으로 재조정된다.
압력스프링(28)에 의해 야기되는 봉의 움직임은 받침(26)의 다른쪽, 압력스프링(28)의 맞은편쪽에 위치한 연접봉(24)위의 제2멈춤부재(27)에 의해 제한된다. 이러한 제한은, 한편으로, 지지아암(2)이 보수 위치로 선회되어 그 때문에 가이드(1)는 더이상 드럼(12)을 마주보고 정지해 있지 않을 때 발생된다. 또 한편으로는, 제1도와 제2도에 도시된 가이드(1) 또는 지지아암(2)의 운용위치에서 제2멈춤부재(27)가 지지아암(2)의 받침(26)을 마주보고 부딪칠 때, 이것은 사용되고 있는 가이드(1)의 밀폐편들(1b, 1c)이 다 닳아져서 교환되어져야 한다는 신호이다.
마지막으로, 필요하다면, 제1도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Z)으로 연접봉(24)의 정면 헤드(25)를 잡아당김으로써, 작업자는 지지아암(2)을 선회시키지 않고 드럼(12)의 표면으로부터 도시된 화살표 방향과 같이 방사상으로 약간 가이드(1)를 당길 수 있다. 링(7)을 회전시켜 드럼(12)의 다른 원주면에 가이드(1)를 배정시켜야 하는 경우에는, 지지아암(2)을 완전히 선회시키는 대신에, 링(17)을 회전시키기 전에 연접봉(24)을 잡아 당겨 드럼 표면에서 가이드(1)를 들어올리는 것으로 충분하다.

Claims (14)

  1.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내부에서 서로 동심원상으로 배열된 제1 그리고 제2원통형 용기인 드럼들(12, 13)에서, 제1드럼은 회전가능한 외부드럼(12)이 되며 그의 표면은 제1드럼의 회전중에 제2드럼(13)의 적어도 한개의 구멍과 주기적으로 일치하게 되는 구멍들이 제공되고, 운송벨트(30)로부터 떨어져 면해 있으며, 원주면의 외부 제1드럼을 감싸고 있는 가이드(1)를 포함하는 재료변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1)는 선회 지지체(6)에 마련된 선회핀(3)에 관하여 드럼(12) 표면으로부터 떨어져 방사상으로 선회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으로 안내되는 운송벨트(30) 위로 유동성 재료들을 세편형 또는 물방울 형태로 변형하기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1)는 선회 지지체(6)의 한쪽 끝에 선회되도록 연결된 지지아암(2)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벨트(30) 위로 유동성 재료들을 세편형 또는 물방울 형태로 변형하기 위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핀(3)은 운송벨트 영역의 측면에 위치해 있으며, 드럼축(11)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벨트(30) 위로 유동성 재료들을 세편형 또는 물방울 형태로 변형하기 위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아암(2)은 가이드(1)가 드럼 표면에 대해서 정지해 있는 드럼축(11)에 거의 평행한 운용위치와 드럼축(11)에 거의 수직인 보수위치 사이에서 선회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벨트(30) 위로 유동성 재료들을 세편형 또는 물방울 형태로 변형하기 위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아암(2)은 드럼축(11)에 수직으로 선회된 위치에서 구멍(4)과 잠금핀(5)에 의해 잠겨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벨트(30) 위로 유동성 재료들을 세편형 또는 물방울 형태로 변형하기 위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 지지체(6) 위의 잠금핀(5)은 드럼축(11)에 수직한 위치로 지지아암(2)을 선회시키는 도중에 자동적으로 지지아암(2)의 상응하는 구멍(4)속으로 잠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벨트(30) 위로 유동성 재료들을 세편형 또는 물방울 형태로 변형하기 위한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정지된 하우징부(8) 위에 고정되지 않게 붙일 수 있고 드럼축(11) 주위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선회 지지체(6)가 그 위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는 링(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벨트(30) 위로 유동성 재료들을 세편형 또는 물방울 형태로 변형하기 위한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선회 지지체(6)의 맞은편쪽에 위치한 지지아암(2) 끝의 돌출부 지지체(17)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 지지체(17)는 지지아암(2)의 운용 위치에서 정지드럼 용기(13)의 정면에 면하는 쪽에서 원추형의 새김눈(14)과 축방향으로 상호 작용하며 조정하는 방식의 돌출부(15)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벨트(30) 위로 유동성 재료들을 세편형 또는 물방울 형태로 변형하기 위한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1)는 지지아암(2)에 대하여 가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한 편심볼트(21)를 통하여 지지아암(2)에 선회하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벨트(30) 위로 유동성 재료들을 세편형 또는 물방울 형태로 변형하기 위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편심볼트(21)와 비회전적으로 연결된 레버아암(23)은 지지아암(2)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도록 지지아암(2) 위에 마련된 연접봉(24)에 이음쇠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벨트(30) 위로 유동성 재료들을 세편형 또는 물방울 형태로 변형하기 위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연접봉(24)의 제1멈춤부재(29)와 지지아암(2)의 받침(26) 사이에 있으며, 지지아암(2)으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가이드(1)를 누르는 압력스프링(28)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벨트(30) 위로 유동성 재료들을 세편형 또는 물방울 형태로 변형하기 위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스프링에 의해 야기되는 연접봉의 변위 운동을 제한하기 위해서 압력스프링(28)의 맞은편쪽에서 받침(26)의 측면과 상호 작용하는 연접봉(24)의 제2멈춤부재(27)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벨트(30) 위로 유동성 재료들을 세편형 또는 물방울 형태로 변형하기 위한 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가이드(1)의 맞은편쪽 지지아암(2)의 거의 중앙에 장착된 선회 그립(10)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벨트(30) 위로 유동성 재료들을 세편형 또는 물방울 형태로 변형하기 위한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선회 지지체(6)는 운송벨트(30)의 이동방향에서 원통형 용기(12, 13)들의 앞측면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벨트(30) 위로 유동성 재료들을 세편형 또는 물방울 형태로 변형하기 위한 장치.
KR1019920007504A 1991-06-09 1992-05-02 운송벨트 위로 유동성 재료를 세편형 또는 물방울 형태로 변형하기 위한 장치 KR9700110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119021A DE4119021C1 (ko) 1991-06-09 1991-06-09
DEP4119021.1 1991-06-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152A KR930000152A (ko) 1993-01-15
KR970011076B1 true KR970011076B1 (ko) 1997-07-07

Family

ID=6433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7504A KR970011076B1 (ko) 1991-06-09 1992-05-02 운송벨트 위로 유동성 재료를 세편형 또는 물방울 형태로 변형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5232128A (ko)
EP (1) EP0523335B1 (ko)
JP (1) JP3200175B2 (ko)
KR (1) KR970011076B1 (ko)
AT (1) ATE117593T1 (ko)
AU (1) AU657752B2 (ko)
DE (2) DE4119021C1 (ko)
DK (1) DK0523335T3 (ko)
ES (1) ES2067977T3 (ko)
GR (1) GR3015678T3 (ko)
RU (1) RU2070826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44038C1 (de) * 1992-12-24 1994-03-03 Santrade Ltd Vorrichtung zum streifen- oder tropfenförmigen Ausbringen fließfähiger Massen
DE4419491C1 (de) * 1994-06-03 1995-05-11 Santrade Ltd Vorrichtung zum streifen- oder tropfenförmigen Ausbringen fließfähiger Massen auf ein Transportband
DE10306688B3 (de) * 2003-02-11 2004-11-11 Santrade Lt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Granulat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7834A (en) * 1904-09-06 1906-04-17 Gaston A Bronder Measuring-drum.
US2555437A (en) * 1950-04-10 1951-06-05 Leslie R Edwards Frog feeder
US3700142A (en) * 1971-09-20 1972-10-24 Singer Co Powder dispensing unit
US4110029A (en) * 1973-09-27 1978-08-29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developer for an electrostatic copying device
US3996888A (en) * 1974-07-18 1976-12-14 Raychem Corporation Cleaning and lubricating system for fusing apparatus
US3976119A (en) * 1974-11-19 1976-08-24 Southwire Company Apparaus for applying a fluid coating to a movable endless casting surface
EP0012192B1 (de) * 1978-12-08 1983-01-12 Santrade Ltd. Vorrichtung zum Auspressen von fliessfähigen Massen aus einem Behälter
DE2941802C2 (de) * 1979-10-16 1983-01-27 Santrade Ltd., 6002 Luzern Vorrichtung zum Auspressen von fließfähigen Massen
DE2853054C3 (de) * 1978-12-08 1982-09-09 Santrade Ltd., 6002 Luzern Vorrichtung zum Auspressen von fließfähigen Massen
DE3209747C2 (de) * 1982-03-17 1986-02-27 Santrade Ltd., Luzern/Lucerne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Granulat aus einer Schmelze
US4480582A (en) * 1983-04-13 1984-11-06 Charles Schaefer Adhesive applying apparatus
US4578021A (en) * 1983-11-01 1986-03-25 Santrade Ltd.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granules from two-phase mixtures
DE3421625C2 (de) * 1984-06-09 1986-09-04 Santrade Ltd., Luzern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Granulat
DE3530508A1 (de) * 1985-08-27 1987-03-12 Santrade Ltd Vorrichtung zum auspressen von fliessfaehigen mass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70826C1 (ru) 1996-12-27
JP3200175B2 (ja) 2001-08-20
EP0523335A1 (de) 1993-01-20
AU657752B2 (en) 1995-03-23
ATE117593T1 (de) 1995-02-15
DK0523335T3 (da) 1995-03-27
KR930000152A (ko) 1993-01-15
EP0523335B1 (de) 1995-01-25
ES2067977T3 (es) 1995-04-01
US5232128A (en) 1993-08-03
JPH07185297A (ja) 1995-07-25
DE59201265D1 (de) 1995-03-09
DE4119021C1 (ko) 1992-08-13
AU1605092A (en) 1992-12-10
GR3015678T3 (en) 1995-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49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ication of 360° coatings to articles
KR970011076B1 (ko) 운송벨트 위로 유동성 재료를 세편형 또는 물방울 형태로 변형하기 위한 장치
ES2196261T3 (es) Procedimiento y aparato para rociar productos alimenticios con material en polvo.
CN213529230U (zh) 包衣机的喷枪调节装置及包衣机
JPH0579597B2 (ko)
DE19851775A1 (de) Verpackungsmaschine für Zigaretten
JP2007510426A (ja) ロリポップマシン
CN1331649C (zh) 用于从挤压机中移除塑料剂料的装置
US5894791A (en) Machine for separating a material mixture
GB229516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eeding fibre material to a textile machine
US4100613A (en) Food processing apparatus
US4101978A (en) Food processing apparatus
US4100615A (en) Food processing apparatus
US5277108A (en) Rotating cylindrical treatment apparatus
US5083421A (en) Cleaning device for a rotor of an open-end spinning machine
US4538775A (en) Apparatus for the spindleless mounting, as well as the cutting and cutting to length and simultaneous measurement of spools
CN112517544A (zh) 干冰粒子调节装置及可控制干冰粒子的干式清洗机
US6276270B1 (en) Ink distributton apparatus and method for anilox roll
US2124618A (en) Apparatus for sorting and feeding receptacle closure caps
KR200386035Y1 (ko) 테이핑 장치의 헤드유니트
GB2030124A (en) Device for feeding objects one by one in succession
KR20050103286A (ko) 과립 제조 장치
US1165600A (en) Finishing-machine.
GB1596824A (en) Open-end spinning apparatus
FI63606C (fi) Defibrator foer soenderdelning av smutsiga och ytterst starka saerskilt vaotstarka avfalls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